KR102281494B1 -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494B1
KR102281494B1 KR1020200019474A KR20200019474A KR102281494B1 KR 102281494 B1 KR102281494 B1 KR 102281494B1 KR 1020200019474 A KR1020200019474 A KR 1020200019474A KR 20200019474 A KR20200019474 A KR 20200019474A KR 102281494 B1 KR102281494 B1 KR 102281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udio data
receiving device
relay server
dela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찬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200019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3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9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 H04N21/2393Interfacing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prioritizing client content requests involving handling client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수신 장치와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기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 처리함과 아울러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APPARATUS, SYSTEM, METHOD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S}
본 발명은 소정의 콘텐츠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그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장치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댁내에 구비된 셋톱박스를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될 수도 있고,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수신 및 그 수신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이 중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를 서로 다른 장치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고객들의 니즈가 있어왔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와 연결된 TV(Television)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면서도 음성은 사용자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리모컨 등)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이는 야간에 다른 사람들에게 방해를 받지 않고 영화 등을 시청하는 상황에서 필요한 기능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셋톱박스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직접 연동을 통해 상술한 기능을 구현하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와 사용자 단말기가 와이파이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셋톱박스가 영상을 재생함과 아울러 와이파이 통신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음성 신호를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능 구현을 위해서는 셋톱박스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모듈이 필수적으로 구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와이파이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의 경우,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과 프로토콜상의 특성 등으로 인해 벽이나 장애물, 또는 주변에서 발생되는 다른 전파의 영향을 받기기 쉽고,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고품질의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6-003538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셋톱박스와 같이 콘텐츠를 수신하는 장치에 사용자 단말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고, 시청자가 콘텐츠 시청 중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콘텐츠의 음성 신호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 처리함과 아울러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의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와;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수신 장치는, 소정의 콘텐츠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는 영상 재생부와;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의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와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통신 환경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는 지연 시간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재생부는 상기 지연 시간 설정부에 의해 결정된 재생 딜레이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대한 재생 시점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수신 장치와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기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 처리함과 아울러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수신 장치의 제어방법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콘텐츠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의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와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통신 환경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단계에서 결정된 재생 딜레이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대한 재생 시점을 변경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셋톱박스가 설치된 경우라도, 콘텐츠 시청자는 영상은 셋톱박스와 연결된 TV를 통해 시청하면서도, 오디오는 이동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들을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단말기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고품질의 오디오 신호 출력이 가능하고, 또한 댁내 벽이나 기타 장애물에 의해 오디오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버에서 영상과 사운드를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콘텐츠를 수신한 셋톱박스에서 영상과 사운드를 분리함으로써, 콘텐츠 제공 서버의 부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중복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방지함으로써, 전체 통신 트래픽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텐츠 수신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수신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통신 시스템은 콘텐츠 수신 장치(100), 중계 서버(200), 사용자 단말기(300), 콘텐츠 제공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콘텐츠 제공 서버(400)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일 예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구비하고 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방송사 또는 IPTV 서비스 제공사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400)가 제공하는 콘텐츠 중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콘텐츠 시청자가 소유한 스마트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3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중계 서버(200)에 접속하고, 중계 서버(200)로부터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는 중계 서버(200)가 전송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4G(Fourth Generation) 또는 5G(Fifth Generation)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한편, 중계 서버(200)는 콘텐츠 수신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하는 것으로서, 콘텐츠 수신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콘텐츠의 오디오 신호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중계 서버(200)는 콘텐츠 수신 장치(1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그 일시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의 일시 저장은 전송 처리를 위해 필요한 짧은 시간 동안(일 예로 수 초 이내)의 버퍼 영역에 저장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미 전송한 오디오 데이터의 재활용을 위해 비교적 긴 시간(일 예로 24시간)동안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콘텐츠 수신 장치(100)가 중계 서버(200)에 특정 콘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또한, 중계 서버(200)는 콘텐츠 수신 장치(100)에 가상 번호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가상 번호는 각 콘텐츠 수신 장치(100)를 구별하기 위한 고유 번호로서, 각 콘텐츠 수신 장치(100)를 소유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300)와 연동할 수 있는 번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오디오 데이터 전송시 중계 서버(200)로부터 부여받은 가상 번호에 매칭시켜 전송하게 되는데, 중계 서버(200)는 콘텐츠 수신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 및 가상 번호를 매칭시켜 일시 저장한 후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가상 번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서버(200)는 콘텐츠 수신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다른 콘텐츠 수신 장치(100)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콘텐츠 수신 장치(100)에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중지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생방송 콘텐츠에 대해 서로 다른 댁내에 구비된 제1 콘텐츠 수신 장치(100')와 제2 콘텐츠 수신 장치(100")가 재생한다고 가정하면, 제1 콘텐츠 수신 장치(100')로부터 해당 생방송 콘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콘텐츠 수신 장치(100")로부터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면, 중계 서버(200)는 그 나중에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2 콘텐츠 수신 장치(100")에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콘텐츠 수신 장치(100")에 의한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은 중단될 수 있는데, 이 경우라도 중계 서버(200)는 제1 콘텐츠 수신 장치(100')를 이용하는 시청자와 제2 콘텐츠 수신 장치(100")를 이용하는 시청자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소정의 콘텐츠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특히 콘텐츠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하여 추출한 후,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 처리함과 아울러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중계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콘텐츠 수신 장치(100)가 처리하는 콘텐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던 콘텐츠일 수도 있다.
즉,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영상을 자체적으로 재생하는 장치임과 동시에 음성을 다른 장치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예를 들어 셋톱박스에 해당할 수 있다.
콘텐츠 수신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콘텐츠 수신부(110), 추출부(120), 영상 재생부(130), 전송부(140), 지연 시간 설정부(150), 마이크(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16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마이크(160)의 기능 및 구조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콘텐츠 수신부(110)는 콘텐츠 제공 서버(400)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수신부(1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400)에 특정 콘텐츠의 전송을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 수신부(110)가 콘텐츠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는 콘텐츠는 실시간 방송 콘텐츠이거나 또는 VOD와 같이 주문형 비디오 콘텐츠에 해당할 수도 있다.
추출부(120)는 콘텐츠 수신부(110)에 수신된 콘텐츠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는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해당하는데, 추출부(120)는 이러한 하나의 콘텐츠에서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구분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영상 재생부(130)는 추출부(120)가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TV와 같은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데, 영상 재생부(130)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TV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영상 재생부(130)는 소정의 재생 딜레이 시간을 고려하여 영상 데이터의 재생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재생부(130)는 재생 딜레이 시간이 '0'인 상태에서 영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을 재생하던 중에, 재생 딜레이 시간이 '1'이 되는 경우 영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을 1초 지연 시켜 재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재생 딜레이 시간은 지연 시간 설정부(150)에 의해 설정되는 것인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전송부(140)는 추출부(120)가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중계 서버(2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송부(140)는 미리 중계 서버(200)로부터 부여 받은 가상 번호와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매칭시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전송부(140)는 중계 서버(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시킬 수도 있다. 이는 중복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지연 시간 설정부(150)는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와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통신 환경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 서버(2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은 사용자 단말기(300)는 그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데, 이때 지연 시간 설정부(15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와의 동기화 시간 오차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동기화 시간 오차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동기화 시간 오차는 동일한 콘텐츠에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출력되는 경우 발생되는 것으로서,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간의 동기화를 위해 필요한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포함된 서로 대응되는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소정의 타임스탬프에 기초하여 동일한 시점에 출력(동기화 출력)되어야 하는데, 이때 동일한 콘텐츠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 간의 출력 시점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동기화 시간 오차가 발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지연 시간 설정부(150)는 마이크(160)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분석한 후 콘텐츠에 포함되어 있던 오디오 데이터 중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의 타임스탬프를 확인함과 아울러, 현재 재생 중인 영상 데이터의 타임스탬프를 확인한 후, 서로 비교하여 동기화 시간 오차를 산출한 후, 그 산출된 동기화 시간 오차를 이용하여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대응되는 타임스탬프가 17분12초이고, 재생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응되는 타임스탬프가 17분10초인 경우, 지연 시간 설정부(150)는 그 차이인 '2초'를 재생 딜레이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지연 시간 설정부(150)는 중계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시 발생하는 통신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즉, 중계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300) 간에는 무선 통신 구간이 존재하고, 무선 통신 상황에 따라 소정의 지연 시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중계 서버(200)는 이러한 통신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콘텐츠 수신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는데, 지연 시간 설정부(150)는 이렇게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 또는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콘텐츠 수신 장치(100)가 콘텐츠 제공 서버(400)로부터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단계 S1), 그 수신된 콘텐츠에서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다(단계 S3).
이어서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 표시함과 아울러(단계 S5), 오디오 데이터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중계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7).
한편, 콘텐츠 시청 중인 고객은 자신의 단말기 즉,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중계 서버(200)에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한다(단계 S9).
이에 중계 서버(200)는 요청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고(단계 S11), 사용자 단말기(300)는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 또는 연결된 이어폰을 통해 출력한다(단계 S13).
여기서 콘텐츠 수신 장치(100)가 중계 서버(200)에 전송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특정 식별 정보(예를 들어 콘텐츠 수신 장치(100)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 또는 현재 재생 중인 콘텐츠에 대응되는 식별 정보)와 매칭된 채로 전달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가 중계 서버(200)에 오디에 데이터를 요청할 때도 상술한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수신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의 출력 시점을 결정 또는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단계 S21),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단계 S23), 그 오디오 신호에 대응되는 타임스탬프와 재생하고 있는 영상 데이터의 타임스탬프를 비교하여 동기화 시간 오차를 산출한다(단계 S25).
이어서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산출된 동기화 시간 오차에 기초하여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고(단계 S27),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처리에 있어서 그 설정된 재생 딜레이 시간만큼 지연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29).
도 5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지연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정보를 이용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표시함(단계 S31)과, 아울러 오디오 데이터를 중계 서버(200)에 전송한다(단계 S33).
한편, 중계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와 통신을 수행하여(단계 S35)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뿐만 아니라 중계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와의 통신을 통해 통신 지연 시간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중계 서버(200)는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 시점 T1을 미리 기록하고, 사용자 단말기(300)가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 T2를 전송하면, T1과 T2의 차이를 통신 지연 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어서 중계 서버(200)는 이러한 통신 지연 시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생성하여(단계 S37) 콘텐츠 수신 장치(100)에 전송한다(단계 S39).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통신 지연 시간 정보를 기초로 동기화 시간 오차를 판단하고(단계 S41), 그 판단된 동기화 시간 오차에 기초하여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고(단계 S43),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처리에 있어서 그 설정된 재생 딜레이 시간만큼 지연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45).
도 4의 과정과 도 5의 과정은 함께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중계 서버(200)로부터 최초로 수신된 통신 지연 시간이 2초이고,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대한 타임스탬프와 재생중인 영상 데이터에 대한 타임스탬프를 비교하여 동기화 시간 오차를 판단한 결과 2.5초인 경우, 우선 2.5초를 재생 딜레이 시간으로 설정하여 그에 따라 영상 재생시 지연 처리한다.
이후에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을 필요 없이 오직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지연 시간을 최초 통신 지연 시간과 비교하여 재생 딜레이 시간을 갱신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지연 시간이 3초가 되는 경우, 콘텐츠 수신 장치(100)는 재생 딜레이 시간을 3.5초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수신 장치(100)에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이 설정되는 과정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기(300) 역시 음성 데이터의 출력에 있어서 자체적으로 판단한 딜레이 시간을 적용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중계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에 절대적 시간(타임스탬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는 그 포함된 타임스탬프에 기초하여 음성 데이터의 출력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중계 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300)간의 통신 경로 상의 통신 지연 시간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콘텐츠 수신 장치(100)가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으로부터 사용자 단말기(300)가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중계 서버(200)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시점까지를 통신 지연 시간으로 판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요한 콘텐츠 수신 장치(100)와 중계 서버(200) 간의 통신 과정은 자명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수신 장치(100)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콘텐츠 수신 장치 200 : 중계 서버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콘텐츠 제공 서버
110 : 콘텐츠 수신부 120 : 추출부
130 : 영상 재생부 140 : 전송부
150 : 지연 시간 설정부 160 : 마이크

Claims (22)

  1. 콘텐츠 수신 장치와 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기 저장된 콘텐츠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 처리함과 아울러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가 마이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와의 동기화 시간 오차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동기화 시간 오차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가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시 발생하는 통신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 또는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가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시 발생하는 통신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가상 번호에 매칭시켜 전송하고,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에 가상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 및 가상 번호를 매칭시켜 일시 저장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번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다른 콘텐츠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에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중지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가 상기 중계 서버의 오디오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7. (a)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수신된 콘텐츠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와;
    (c) 상기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는 단계와;
    (d) 상기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의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e)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해당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와의 동기화 시간 오차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동기화 시간 오차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e) 단계에서 결정된 재생 딜레이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대한 재생 시점을 변경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의 제어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시 발생하는 통신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딜레이 시간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는,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시 발생하는 통신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13.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콘텐츠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 후,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 처리함과 아울러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의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와;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일시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이동통신망을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있는 영상 데이터와의 동기화 시간 오차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동기화 시간 오차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는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시 발생하는 통신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딜레이 시간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는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시 발생하는 통신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는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가상 번호에 매칭시켜 전송하고,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에 가상 번호를 부여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 및 가상 번호를 매칭시켜 일시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번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서버는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다른 콘텐츠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오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경우,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에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 중지를 요청하고,
    상기 콘텐츠 수신 장치는 상기 중계 서버의 오디오 데이터 전송 중지 요청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의 전송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처리 시스템.
  19. 소정의 콘텐츠로부터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추출부와;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영상 데이터를 재생 처리하는 영상 재생부와;
    상기 추출부가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를 외부의 중계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은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해당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마이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후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와의 동기화 시간 오차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동기화 시간 오차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는 지연 시간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재생부는 상기 지연 시간 설정부에 의해 결정된 재생 딜레이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각 프레임에 대한 재생 시점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설정부는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시 발생하는 통신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딜레이 시간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시간 설정부는 상기 중계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시 발생하는 통신 지연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환경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그 수신되는 통신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재생 딜레이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수신 장치.
KR1020200019474A 2020-02-18 2020-02-18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281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474A KR102281494B1 (ko) 2020-02-18 2020-02-18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474A KR102281494B1 (ko) 2020-02-18 2020-02-18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494B1 true KR102281494B1 (ko) 2021-07-26

Family

ID=77124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474A KR102281494B1 (ko) 2020-02-18 2020-02-18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4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306A (ko) * 2011-07-25 2013-02-04 주식회사 아이플래테아코리아 방송콘텐츠의 부가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96842A (ko) * 2014-02-17 2015-08-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KR20160035381A (ko) 2014-09-23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36054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306A (ko) * 2011-07-25 2013-02-04 주식회사 아이플래테아코리아 방송콘텐츠의 부가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096842A (ko) * 2014-02-17 2015-08-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디지털방송 출력 시스템, 셋톱박스 및 그 디지털방송신호 출력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오디오신호 출력방법
KR20160035381A (ko) 2014-09-23 2016-03-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36054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멀티미디어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3077B1 (en) Content-activated intelligent, autonomous audio/video source controller
US9860613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esenting highlights of a media content event
RU2601446C2 (ru)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ерв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программа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сцепленного приложения
US982626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synchronize communication of content to a presentation device and a mobile device
US8583555B1 (en) Synchronizing multiple playback device timing utilizing DRM encoding
USRE47825E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certifying a playback device
US20200092515A1 (en) Dynamically Switching To/From a First Network During Audio Playback Over HDMI/ARC
US11392342B2 (en) Audio cancellation and content recognition of audio received over HDMI/ARC
US20160255302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of multiple headsets
KR20180105750A (ko) 오디오 핑커프린트 기반의 비디오 멀티-매칭 검출 및 명확화를 통한 미디어 채널 식별
KR102469142B1 (ko) 미디어 스트림 재생들 사이를 트랜지션하는 동안 트랜지션 프레임들의 동적 재생
US10110948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atellite system fast channel change
KR101472013B1 (ko)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원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WO2014199357A1 (en) Hybrid video recognition system based on audio and subtitle data
JP2008113301A (ja) ビデオ送信装置及びビデオ送信方法
CN101232611B (zh) 图像处理设备及其方法
CN115766676A (zh) 促进与内容相关的动作的系统、方法和数据存储器
KR102281494B1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재생 처리를 위한 장치,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210195256A1 (en) Decoder equipment with two audio links
EP2723067B1 (en) Information-providing system, reception device, an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KR102445069B1 (ko) 복수의 미디어 소스를 동기화하여 통합 전송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039199B2 (en) Media continuity system
KR102273795B1 (ko) 영상 동기화 처리를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60114898A (ko) 일시 정지 기능이 가능한 vod 스트림 데이터 재생 장치및 일시 정지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KR101384740B1 (ko) 인식 기술을 이용한 영상물의 자막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