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831A - Air condition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831A
KR20150096831A KR1020140017613A KR20140017613A KR20150096831A KR 20150096831 A KR20150096831 A KR 20150096831A KR 1020140017613 A KR1020140017613 A KR 1020140017613A KR 20140017613 A KR20140017613 A KR 20140017613A KR 20150096831 A KR20150096831 A KR 20150096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ffle
case
temperatur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01998B1 (en
Inventor
정재오
박은주
엄부용
이준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7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998B1/en
Publication of KR2015009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9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71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 B60H1/00685Damper doors moved by rotation; Grilles the door being a rotating disc or cylinder or par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42Devices in the rear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Noise red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ir conditioning device, capable of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a conditioning case in a mode, requiring a baffle, and being prohibited from protruding in a mode, not requiring the baffle. The air conditioning device includes a conditioning case including an air inlet in an entrance, and including an air outlet in an exit; a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installed in the conditioning case; a temperature control door installed between the evaporator and the heater core to be rotated to control a mixture amount of cold and hot wind; and a mode door installed in the conditioning case to be rotated to control a degree of opening the air outlet. A thermal baffle, protruding from an inner wall of the conditioning case, is included in a mixing area in which the hot wind,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is mixed with the cold wind, bypassing the heater core. The thermal baffle is placed to be rotated around a first rotary shaft to be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case or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conditioned air is improved, air volume and quantity are reduced in the mode, not requiring the thermal baffle, and noise is prevented. Since a single actuator is able to rotate both the mode door and the thermal baffle, the number of components is reduced and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is effectively prevented.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탑재되어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및 청정도 등의 조건을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air conditioner mounted on a vehicle to maintain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irflow and cleanliness of the room in a stat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 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차량 실내를 냉, 난방하거나 우천시 및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도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가열 또는 냉각시킴으로써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하는 장치이다.Generally,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installed in a vehicle to cool and heat the interior of the vehicle during the summer or winter season, to secure the front and rear visibility of the driver by removing the windsurfing in the rainy and winter seasons, And introducing the air into the room or circulating air in the room to heat or cool the room to heat or cool the room.

그런데,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는 프론트 공조장치로써 냉방 또는 난방용 공기가 차량 실내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nel)에 형성된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실내 공간이 넓은 차량, 예컨대 고급승용차나 또는 SUV 차량과 같이 실내 공간이 넓은 차량의 경우에는 뒷좌석까지 냉방 또는 난방 효과가 충분하게 미치지 못하게 된다.Since the general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s a front air conditioner, the air for cooling or heating is discharged from a discharge port formed in an instrument panel in front of the vehicle.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door space is a large vehicle such as a luxury passenger car or an SUV Similarly, in the case of a vehicle having a large indoor space, the cooling or heating effect to the rear seat is insufficient.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실내 공간이 넓은 차량의 경우에는 뒷좌석에 대한 냉,난방 성능을 보조하기 위하여 통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바퀴 커버(5)의 상부측에 별도의 리어 공조장치(1)를 설치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assist the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of the rear seat in the case of a vehicle having a large indoor spac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1 and 2, a separate rear air- (1).

상기 리어 공조장치(1)는 일측에 공기유입구(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3)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14) 및 히터코어(15)와, 상기 증발기(14)와 히터코어(15)의 사이에 설치되어 냉풍과 온풍의 혼합량을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6)와, 상기 공기토출구(13)측에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공기토출구(13)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 air conditioning case 10 in which an air inlet 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1 and a plurality of air outlets 13 are formed at an outlet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A temperature control door 16 disposed between the evaporator 14 and the heater core 15 for adjusting the mixing amount of the cold air and the warm air to adjust the temperature, And a mode door 17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ir outlet 13 to adjust the opening of the air outlet 13 according to the air conditioning mode.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1) 측에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20)가 설치된다. 송풍장치(20)는 원심팬과, 상기 원심팬을 구동시키는 모터(21)를 구비한다. 공기토출구(13)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차량의 루프(roof) 측으로 송풍하기 위한 벤트(vent)출구(13a)와, 차량의 플로어(floor) 측으로 송풍하기 위한 플로어출구(13b)로 분기된다.An air blowing device 20 for blowing air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air inlet 11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The blower 20 includes a centrifugal fan and a motor 21 for driving the centrifugal fan. The air outlet 13 has a vent outlet 13a for ventilating the air exchang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toward the roof of the vehicle and a floor outlet for blowing air toward the floor of the vehicle. (13b).

상기 송풍장치(20)의 원심팬이 회전하게 되면, 원심팬의 내부에는 저압이 형성됨에 따라 공기유입구(11)를 통해 원심팬의 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반경방향으로 송풍되며, 이 송풍공기는 공기유입구(11)를 통해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송풍된다. 이후에, 공조케이스(10)의 내부로 토출된 공기는 증발기(14)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이후 온도조절도어(16)에 의해 히터코어(15)를 바이패스하거나 히터코어(15)를 통과하게 된다. 히터코어(15)를 바이패스 한 냉풍과 히터코어(15)를 통과한 온풍은 믹싱영역에서 믹싱된 후 벤트출구(13a) 또는 플로어출구(13b)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When the centrifugal fan of the blower 20 rotates, air is suck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through the air inlet 11 as the low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centrifugal fan, and the air is blown in the radial direction. Is blown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through the air inlet (11). Thereafter, the air discharged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4, and then the heater core 15 is bypass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6 or passed through the heater core 15 . The cool air bypassed by the heater core 15 and the warm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er core 15 are mixed in the mixing region and then discharged to the vehicle interior through the vent outlet 13a or the floor outlet 13b.

이 경우, 상기 리어 공조장치(1)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에 온도성 배플(19)을 더 구비한다. 상기 온도성 배플(19)은 히터코어(15)를 통과한 온풍과 히터코어(15)를 바이패스한 냉풍이 만나는 믹싱영역 측에 유로를 막는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믹싱영역에서 온풍과 냉풍 간의 혼합을 잘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공조 공기의 온도성 성능을 만족시키는 기능을 한다.In this case, the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1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9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0. The thermal baffle 19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mixing area side where the warm air passed through the heater core 15 and the cold air bypassed from the heater core 15 form a flow path, Thereby satisfying the temperatur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ing air.

하지만, 상기 온도성 배플(19)은 벤트출구(13a) 및 플로어출구(13b) 모두로 공조 공기를 토출하는 바이레벨 모드에서만 그 기능을 발휘하며, 벤트출구(13a)로만 공조 공기를 토출하는 벤트 모드와 플로어출구(13b)로만 공조 공기를 토출하는 플로어 모드에서는 저항체로서 작용하여 풍량 및 공기 체적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발생시켜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9 exerts its function only in the bi-level mode in which the air-conditioning air is discharged through both the vent outlet 13a and the floor outlet 13b, and a vent for discharging air-conditioning air only through the vent outlet 13a Mode and the floor outlet 13b to discharge the air-conditioning air only acts as a resistor to reduce air volume and air volume and generate noise, which is adversely affected.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온도성 배플이 필요한 모드에서는 공조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고 온도성 배플이 불필요한 모드에서는 돌출되지 않게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hicular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a temperature baffle protrudes into the air conditioning case in a mode requiring a baffle and does not protrude in a mode in which a temperature baffle is not requir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와,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풍과 온풍의 혼합량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히터코어를 통과하는 온풍과 히터코어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이 혼합되는 믹싱영역에 공조케이스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온도성 배플을 구비하고; 상기 온도성 배플은 공조케이스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거나 공조케이스의 내벽에 접하도록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having an air inlet formed on an inlet side and an air outlet formed on an outlet side, an evaporator and a heater core provid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 mode doo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and adjusts the opening of the air discharge opening, wherein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A temperature baffl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in a mixing region where cool air for bypassing the heater core is mixed; The thermostatic baffle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about a first rotation axis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or to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상기에서, 온도성 배플은 모드도어와 연동되어 회전 구동된다.In the above,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is rotationally driven in association with the mode door.

상기에서, 모드도어의 제2 회전축과 온도성 배플의 제1 회전축을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In the above, a link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rotation axis of the mode door and the first rotation axis of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is included.

상기에서, 공기토출구는 벤트 토출구와 플로어 토출구로 구성되고, 상기 모드도어는 상기 벤트 토출구와 플로어 토출구의 사이에서 회동되며; 상기 링크부는 벤트 모드 또는 플로어 모드 시 상기 온도성 배플을 공조케이스의 내벽에 밀착되게 회전시키고, 바이레벨 모드 시 상기 온도성 배플을 공조케이스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회전시킨다.In the above, the air outlet port is composed of a vent outlet port and a floor outlet port, and the mode door is rotated between the vent outlet port and the floor outlet port; The link portion rotates the thermal baffl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in a vent mode or a floor mode and rotates the thermal baffle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in a bi-level mode.

상기에서, 모드도어를 회동시키는 단일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부는 액추에이터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온도성 배플을 양방향으로 회동시킨다.In the above, a single actuator for rotating the mode door is provided, and the link portion rotates the thermostatic baffle in both directions by unidirectional rotation of the actuator.

상기에서, 링크부는: 일 측이 상기 모드도어의 제2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 측에 타원 형상의 궤도를 형성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제1 링크부재; 및 일 측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 가능한 안내돌기에 의해 제1 링크부재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온도성 배플의 제1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로 구성된다.The link portion may include: a first link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of the mode door and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to form an elliptical orbit; And a second link member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by a guide projection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axis of the temperature baffle.

상기 안내돌기가 타원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의 일 측에 위치하여 링크부의 길이가 최단 길이가 될 때 모드도어의 회전에 의해 온도성 배플은 공조케이스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안내돌기가 타원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의 타 측에 위치하여 링크부의 길이가 최장 길이가 될 때 모드도어의 회전에 의해 온도성 배플은 공조케이스의 내벽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The temperature baffle is rotated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by rotation of the mode door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liptical shape and the length of the link portion is the shortest length,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liptical shape and the length of the link portion is the longest length,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by the rotation of the mode door.

상기에서, 링크부는 공조케이스의 외부에 구비된다.In the above, the link portion is provided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상기에서, 공조케이스는 차량의 후석 측에 구비된다.In the above, the air conditioning case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온도성 배플을 접이식으로 나타났다 사라졌다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공조 공기의 온도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온도성 배플이 불필요한 모드에서 풍량 및 공기 체적을 감소시키고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단일의 액추에이터로 모드도어와 온도성 배플을 모두 회전 구동시킬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단가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ir volume and the air volume and generate noise in a mode in which the temperature baffle is unnecessary by improving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the air conditioning air by making the temperature baffle folded and disappeared And the single mode actuator can drive both the mode door and the temperature baffle to rotat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effectively preventing the manufacturing cost from rising.

아울러, 링크부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단일의 액추에이터를 통해 단순한 모드도어의 회전 제어를 수행하면 자동으로 온도성 배플이 양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기구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ink por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provides a mechanical mechanism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a bidirectional rotation of the temperature baffle when performing a simple mode door rotation control through a single actuator.

도 1은 종래의 리어 공조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후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리어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링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링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링크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1 링크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플로어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이레벨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벤트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portion of a vehicle in which a conventional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is install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conventional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nk portion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link portion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link portion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link member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loor mode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i-level mode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vent mode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링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링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링크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1 링크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ink portion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nk portion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nk portion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link member of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이하의 설명에서, 도 6의 좌우 방향이 "링크부 타원 형상의 길이 방향"이고, 상하 방향이 "링크부의 폭 방향"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ateral direction in Fig. 6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ink portion ellipse shape" and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link portion ".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공조케이스(110)와, 송풍장치와, 증발기(114) 및 히터코어(115)와, 온도조절도어(116)와, 모드도어(1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차량의 후석, 즉 뒷바퀴 커버 측에 위치하는 리어 공조장치로 구현된다. 하지만,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차량의 전석측에 설치되는 프론트 공조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3 to 7, a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conditioning case 110, a blower, an evaporator 114 and a heater core 115, An adjusting door 116, and a mode door 117. [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re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located on the back of the vehicle, that is, on the rear wheel cover side. However, it is noted that the vehicle air conditioner 100 may be implemented as a front air conditioner installed on the front seat side of the vehicle.

공조케이스(110)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다. 공기토출구는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차량의 루프(roof) 측으로 송풍하기 위한 벤트(vent) 토출구(113a)와, 차량의 플로어(floor) 측으로 송풍하기 위한 플로어 토출구(113b)로 구성된다. 증발기(114) 및 히터코어(115)는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된다.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n air inlet 111 is formed at the inlet side, and an air outlet is formed at the outlet side. The air outlet includes a vent outlet 113a for blowing the air exchang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the roof of the vehicle and a floor outlet 113b for blowing air to the floor of the vehicle. . The evaporator 114 and the heater core 115 are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온도조절도어(116)는 돔 도어 타입으로 이루어져 증발기(114)와 히터코어(115)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풍과 온풍의 혼합량을 조절한다. 모드도어(117)는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모드도어(117)는 돔도어 타입으로 이루어져, 벤트 토출구(113a)와 플로어 토출구(113b)의 사이에서 회동된다.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6 is a dome door type and is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evaporator 114 and the heater core 115 to control the mixing amount of the cold air and the hot air. The mode door 117 is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o adjust the opening of the air outlet. The mode door 117 is a dome door type and is rotated between the vent outlet 113a and the floor outlet 113b.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온도성 배플(119)이 구비된다. 온도성 배플(119)은 히터코어(115)를 통과하는 온풍과 히터코어(115)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이 혼합되는 믹싱영역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온도성 배플(119)은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1 회전축(1191)을 중심으로 공조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온도성 배플(119)은 제1 회전축(1191)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거나,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에 접한다.A temperature baffle 119 is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 is provided in a mixing region wher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15 and cold air bypassing the heater core 115 are mixed, and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The temperature baffle 119 is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rotatable around the first rotation shaft 1191 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or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as it is rotated around the first rotation axis 1191.

상기 온도성 배플(119)은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 있을 때, 히터코어(115)를 통과한 온풍과 히터코어(115)를 바이패스한 냉풍이 만나는 믹싱영역 측에서 공기의 유동을 막는 형태로 돌출되어 믹싱영역에서 온풍과 냉풍 간의 혼합을 잘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공조 공기의 온도성 성능을 만족시키는 기능을 한다.When the temperature baffle 119 is in a posi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the temperature baffle 119 is located at the mixing area side where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15 and the cold air bypassing the heater core 115 meet So that the mixing performance between the hot air and the cold air in the mixing zone is improved, thereby satisfying the temperature performance of the air conditioning air.

또한, 상기 온도성 배플(119)은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에 접하는 위치에 있을 때, 벤트 모드 또는 플로어 모드와 같이 온풍과 냉풍의 혼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공조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고 에어 볼륨을 감소시키지 않으며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baffle 119 is in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when mixing of warm air and cold air is not required, such as a vent mode or a floor mode, It does not reduce the volume and generate noise.

결국, 온도성 배플(119)을 접이식으로 나타났다 사라졌다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온도성 배플(119)의 구성으로 인한 장점은 유지하면서 단점을 적절히 보완할 수 있다.As a result, by making the thermal baffle 119 collapsed and possibly dislodged, the advantages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hermal baffle 119 can be adequately compensated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상기 온도성 배플(119)은 모드도어(117)와 연동되어 회전 구동된다. 온도성 배플(119)은 모드도어(117)와 연동되어 회전됨에 따라, 단일의 액추에이터로 모드도어(117)와 온도성 배플(119)을 모두 회전 구동시킬 수 있어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단가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baffle 119 is rotatably driven by interlocking with the mode door 117. As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mode door 117, both the mode door 117 and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 can be driven to rotate by a single actuator,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링크부를 구비한다. 링크부는 모드도어(117)와 온도성 배플(119)을 연동되게 연결시키는 기능을 하다. 모드도어(117)는 제2 회전축(1171)을 중심으로 공조케이스(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링크부는 모드도어(117)의 제2 회전축(1171)과 온도성 배플(119)의 제1 회전축(1171)을 연결한다.In this case,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k portion. The link portion functions to connect the mode door 117 and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 in an interlocked manner. The mode door 117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around the second rotary shaft 1171 and the link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shaft 1171 of the mode door 117 and the thermostatic baffle 119 And connects the first rotary shaft 1171.

상기 링크부는 벤트 모드 또는 플로어 모드 시 상기 온도성 배플(119)을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에 밀착되게 회전시키고, 바이레벨 모드 시 상기 온도성 배플(119)을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냉풍과 온풍의 혼합이 요구되는 바이레벨 모드 시 효과적으로 온도성을 개선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벤트 모드 또는 플로어 모드와 같이 온풍과 냉풍의 혼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공조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고 에어 볼륨을 감소시키지 않으며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게된다.The link portion rotates the thermal baffle 119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in a vent mode or a floor mode and rotates the thermal baffle 119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And is rotated in a protruding manner. This configuration effectively improves temperature in a bi-level mode in which a mixture of cold air and warm air is required, and when the mixing of hot air and cold air is not required, such as vent mode or floor mode, It does not interrupt the air volume and does not generate noise.

아울러, 모드도어(117)는 단일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이 경우, 링크부는 액추에이터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온도성 배플(119)을 양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따라서, 온도성 배플(119)을 양방향, 즉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에 밀착하는 방향 및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복잡한 메커니즘을 요구하지 않고 액추에이터는 모드도어(117)의 회전 구동을 제어하면 자동으로 온도성 배플(119)은 링크부의 기구적인 메커니즘에 의해 양방향 회전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ode door 117 is rotationally driven by a single actuator. In this case, the link portion rotates the thermal baffle 119 in both directions by unidirectional rotation of the actuator. Therefore, without requiring a complicated mechanism for driving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 in both directions, that is, in the direction of sticking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and the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When controlled, the temperature-sensitive baffle 119 is automatically rotated bidirectionally by a mechanical mechanism of the link portion.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링크부는 다관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1 링크부재(150) 및 제2 링크부재(160)로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link portion is made of a multi-joint, and is composed of a first link member 150 and a second link member 160.

제1 링크부재(150)는 일 측이 모드도어(117)의 제2 회전축(1171)에 연결되고, 타 측에 타원 형상의 궤도를 형성하는 안내홈(152)이 형성된다. 제1 링크부재(150)의 일 측에는 제1 연결공(151)이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공(151)에 모드도어(117)의 제2 회전축(1171)이 결합된다. 안내홈(152)은 제1 링크부재(150)의 폭 방향으로 요입된 타원 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홈 중앙 부위에 격벽 부재(1521)를 형성함으로써, 타원 형상의 궤도를 형성하는 안내홈(152)을 만들 수 있다.The first link member 150 has one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171 of the mode door 117 and a guide groove 152 formed on the other side to form an elliptical orbit. A first connection hole 15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150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rotation shaft 1171 of the mode door 117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hole 151. The guide groove 152 has an elliptical groove recess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150 and a partition wall member 1521 at the center of the groove to form a guide groove 152 ).

제2 링크부재(160)는 일 측이 안내홈(15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안내돌기(163)에 의해 제1 링크부재(150)에 연결되고, 타 측이 온도성 배플(119)의 제1 회전축(1191)에 연결된다. 제2 링크부재(160)의 일 측에 형성된 안내돌기(163)는 안내홈(152)에 삽입되며 반대측에서 결합부재(164)로 결합되며, 안내홈(152)의 타원 형상 궤도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제2 링크부재(160)의 타 측에는 제2 연결공(161)이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공(161)에 온도성 배플(119)의 제1 회전축(1191)이 결합된다.The second link member 160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150 by the guide protrusion 163 whose one side is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152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150 of the temperature- And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1191. The guide protrusion 163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16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52 and is coupled with the engaging member 164 on the opposite side and is movable along the elliptical orbit of the guide groove 152 Do. A second connection hole 161 is formed i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160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first rotation shaft 1191 of the temperature resistant baffle 119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ion hole 161 .

이러한 구성을 통해, 링크부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면서 단일의 액추에이터를 통해 단순한 모드도어(117)의 회전 제어를 수행하면 자동으로 온도성 배플(119)이 양방향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기구적인 메커니즘을 제공하게 된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link portion has a simple configuration and performs a rotation control of the simple mode door 117 through a single actuator, thereby automatically providing a mechanical mechanism for bi-directional rotation of the temperature baffle 119 .

아울러, 링크부는, 안내돌기(163)가 타원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152)의 일 측에 위치하여 링크부의 길이가 최단 길이가 될 때, 모드도어(117)의 회전에 의해 온도성 배플(119)은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 경우, 안내돌기(163)는 도 7의 안내홈(152)의 "b" 구간에 위치한다. 아울러, 링크부는, 안내돌기(163)가 타원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152)의 타 측에 위치하여 링크부의 길이가 최장 길이가 될 때, 모드도어(117)의 회전에 의해 온도성 배플(119)은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 경우, 안내돌기(163)는 도 7의 안내홈(152)의 "a" 구간에 위치한다.In addition, the link por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guide protrusion 163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1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liptical shape and the length of the link portion is the shortest length, (119) is rotated in a direction project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In this case, the guide projection 163 is located in the "b" section of the guide groove 152 in FIG. When the guide protrusion 163 is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groove 1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liptical shape and the length of the link portion is the longest length, the link portion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de door 117, (119) is rotat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In this case, the guide projection 163 is located in the section "a" of the guide groove 152 in Fig.

이러한 구성을 통해, 링크부는 별도의 캠을 구비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온도성 배플(119)을 접이식으로 구현 가능하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link portion can be foldably implemented with the thermal baffle 119 in a simpl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cam.

상기 링크부는 공조케이스(110)의 외부에 구비된다. 링크부를 공조케이스(110)의 외부에 구성하여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조 공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공조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아울러, 링크부는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링크부가 공조케이스(110)의 외부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조장치의 부피 증가를 방지하고 설치 공간의 제약을 줄일 수 있다.The link portion is provided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The link portion is formed out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so as not to affect the air-conditioning air flowing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so that the air conditioning performance is not deteriorated. In addition, the link portion may be provid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In this case, since the link portion does not occupy the external spac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the volume of the air conditioner can be prevented from increasing and the installation space can be restricted.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플로어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바이레벨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벤트 모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동 예를 설명한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i-level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 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vent mode of the vehicle air cond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n operation example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플로어 모드 시, 온도조절도어(116)는 냉풍 유로를 개방하고 온풍 유로를 폐쇄하여 증발기(114)를 통과한 냉풍이 플로어 토출구(113b) 측으로 토출된다. 이 경우, 모드도어(117)는 벤트 토출구(13a)를 폐쇄하고 플로어 토출구(113b)를 개방한 상태이며, 온도성 배플(119)은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에 밀착되게 회전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8, in the floor mode,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6 opens the cold air flow path, closes the hot air flow path, and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14 is discharged toward the floor discharge port 113b. In this case, the mode door 117 closes the vent outlet 13a and opens the floor outlet 113b, and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 is rotat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도 9를 참조하면, 바이레벨 모드 시, 온도조절도어(116)는 냉풍 유로 및 온풍 유로를 개방하도록 회전되어 있고 증발기(114)를 통과한 냉풍과 히터코어(115)를 통과한 온풍이 믹싱영역 측에서 혼합된다. 이 경우, 모드도어(117)는 벤트 토출구(13a)와 플로어 토출구(113b)를 모두 개방하도록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온도성 배플(119)은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9, in the bi-level mode,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6 is rotated to open the cold air flow path and the hot air flow path, and the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114 and th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15 are mixed Lt; / RTI > In this case, the mode door 117 is rotated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open both the vent outlet 13a and the floor outlet 113b, and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 is projec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clockwise .

더욱 상세하게는, 모드도어(117)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제1 링크부재(150)는 제2 회전축(1171)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제2 링크부재(160)에 형성된 안내돌기(163)는 도 7의 "a" 구간에서 "b" 구간 측으로 안내홈(152)을 따라 이동하며, 제2 링크부재(160)는 제1 회전축(119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 링크부재(160)의 회전에 의해 온도성 배플(119)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ode door 117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first link member 15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second rotating shaft 1171. In this case, the guide protrusion 163 formed on the second link member 160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52 to the section "b " in the section" a " And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first rotary shaft 1191. The thermal baffle 119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160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

도 10을 참조하면, 벤트 모드 시 온도조절도어(116)는 냉풍 유로를 개방하고 온풍 유로를 폐쇄하여 증발기(114)를 통과한 냉풍이 벤트 토출구(113a) 측으로 토출된다. 이 경우, 모드도어(117)는 벤트 토출구(13a)를 개방하고 플로어 토출구(113b)를 폐쇄한 상태이며, 온도성 배플(119)은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에 밀착되게 회전된다.10, in the vent mode,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116 opens the cold air flow path, closes the hot air flow path, and is discharged to the cold air discharge port 113a side through the evaporator 114. [ In this case, the mode door 117 opens the vent outlet 13a and closes the floor outlet 113b, and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 is rotat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더욱 상세하게는, 모드도어(117)가 도 9의 상태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제1 링크부재(150)는 제2 회전축(1171)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경우, 제2 링크부재(160)에 형성된 안내돌기(163)는 도 7의 "b" 구간에서 "a" 구간 측으로 안내홈(152)을 따라 이동하며, 제2 링크부재(160)는 제1 회전축(1191)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 링크부재(160)의 회전에 의해 온도성 배플(119)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에 밀착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mode door 117 is further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9, the first link member 15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1171. In this case, the guide protrusion 163 formed on the second link member 160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152 to the section "a" in the section " b " And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bout the first rotary shaft 1191. The thermal baffle 119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the rota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160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공조장치
110 : 공조케이스 111 : 공기유입구
113a : 벤트 토출구 113b : 플로어 토출구
114 : 증발기 115 : 히터코어
116 : 온도조절도어 117 : 모드도어
1171 : 제2 회전축 119 : 온도성 배플
1191 : 제1 회전축 150 : 제1 링크부재
152 : 안내홈 160 : 제2 링크부재
163 : 안내돌기
100: Vehicle air conditioner
110: air conditioning case 111: air inlet
113a: Vent outlet 113b: Floor outlet
114: evaporator 115: heater core
116: Temperature control door 117: Mode door
1171: Second rotating shaft 119: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1: first rotating shaft 150: first link member
152: guide groove 160: second link member
163:

Claims (9)

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출구측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114) 및 히터코어(115)와, 상기 증발기(114)와 히터코어(115)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풍과 온풍의 혼합량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16)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모드도어(117)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코어(115)를 통과하는 온풍과 히터코어(115)를 바이패스하는 냉풍이 혼합되는 믹싱영역에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온도성 배플(119)을 구비하고;
상기 온도성 배플(119)은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거나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에 접하도록 제1 회전축(119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An air conditioner case 110 in which an air inlet 111 is formed at an inlet side and an air outlet is formed at an outlet side; an evaporator 114 and a heater core 115 installed inside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A temperature control door 116 rotatably installed betwee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4 and the heater core 115 to adjust a mixing amount of the cold air and the warm air, And a mode door (117) for controlling the opening degree of the door,
And a temperature baffle 119 protruding from an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n a mixing region where hot air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115 and cold air bypassing the heater core 115 are mixed;
Wherein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 is rotatably provided around the first rotation shaft (1191) so as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or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성 배플(119)은 모드도어(117)와 연동되어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baffle (119) is rotatably driven by being interlocked with the mode door (117).
제2 항에 있어서,
모드도어(117)의 제2 회전축(1171)과 온도성 배플(119)의 제1 회전축(1171)을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link portion connecting the second rotary shaft 1171 of the mode door 117 and the first rotary shaft 1171 of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구는 벤트 토출구(113a)와 플로어 토출구(113b)로 구성되고, 상기 모드도어(117)는 상기 벤트 토출구(113a)와 플로어 토출구(113b)의 사이에서 회동되며;
상기 링크부는 벤트 모드 또는 플로어 모드 시 상기 온도성 배플(119)을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에 밀착되게 회전시키고, 바이레벨 모드 시 상기 온도성 배플(119)을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게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ir outlet port is composed of a vent outlet 113a and a floor outlet 113b and the mode door 117 is rotated between the vent outlet 113a and the floor outlet 113b;
The link portion rotates the thermal baffle 119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in a vent mode or a floor mode and rotates the thermal baffle 119 from the inner wall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10 So as to be protruded from the vehicle body.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도어(117)를 회동시키는 단일의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링크부는 액추에이터의 일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온도성 배플(119)을 양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ingle actuator for rotating the mode door (117), wherein the link portion rotates the thermal baffle (119) bidirectionally by unidirectional rotation of the actuator.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 측이 상기 모드도어(117)의 제2 회전축(1171)에 연결되고, 타 측에 타원 형상의 궤도를 형성하는 안내홈(152)이 형성된 제1 링크부재(150); 및
일 측이 상기 안내홈(152)을 따라 이동 가능한 안내돌기(163)에 의해 제1 링크부재(150)에 연결되고, 타 측이 상기 온도성 배플(119)의 제1 회전축(1191)에 연결되는 제2 링크부재(1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ink portion comprises:
A first link member 15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second rotation shaft 1171 of the mode door 117 and a guide groove 152 formed on the other side to form an elliptical orbit;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member 150 by a guide protrusion 163 movable along the guide groove 152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1191 of the temperature baffle 119 And a second link member (160) provided on the vehicle body sid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163)가 타원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152)의 일 측에 위치하여 링크부의 길이가 최단 길이가 될 때 모드도어(117)의 회전에 의해 온도성 배플(119)은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안내돌기(163)가 타원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152)의 타 측에 위치하여 링크부의 길이가 최장 길이가 될 때 모드도어(117)의 회전에 의해 온도성 배플(119)은 공조케이스(110)의 내벽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guide protrusion 163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1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liptical shape and the length of the link portion is the shortest length, the temperature-resistant baffle 119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de door 117, Is rotated in a direction project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se 110,
When the guide protrusion 163 is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guide groove 1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liptical shape and the length of the link portion is the longest length, the temperature baffle 119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mode door 117, And is rotated in a direction close to the inner wall of the case (1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공조케이스(110)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ink portion is provided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차량의 후석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conditioning case (110) is provided on the back side of the vehicle.
KR1020140017613A 2014-02-17 2014-02-17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019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613A KR102001998B1 (en) 2014-02-17 2014-02-17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613A KR102001998B1 (en) 2014-02-17 2014-02-17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831A true KR20150096831A (en) 2015-08-26
KR102001998B1 KR102001998B1 (en) 2019-07-22

Family

ID=5405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613A KR102001998B1 (en) 2014-02-17 2014-02-17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9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0684A (en) * 2016-04-22 2018-12-21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Car air-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1931B2 (en) * 2019-12-19 2022-02-08 Valeo North America, In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assembly for supplying different mixed air flows simultaneously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105A (en) * 2008-11-24 2010-06-0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Door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KR20110024413A (en) * 2009-09-02 2011-03-09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105A (en) * 2008-11-24 2010-06-0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Door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KR20110024413A (en) * 2009-09-02 2011-03-09 한라공조주식회사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0684A (en) * 2016-04-22 2018-12-21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Car air-conditioner
CN109070684B (en) * 2016-04-22 2022-04-15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998B1 (en) 201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9593B1 (en) Airconditioner having structure of two layer air flow for vehicles
JP3960020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403440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CN110678338B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7074086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JP2004058775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758722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2001998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4178866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453361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2999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365384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US20180272833A1 (en) Vehicle hvac system with sliding door
JP468743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737916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050111251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981218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425880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34047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10149566A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KR101492149B1 (en) Cam and driving unit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s
JP3481407B2 (en) Automotive air conditioners
KR20100065884A (en) Mode doo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20180001627A (en) Blower unit of two layer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00296712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