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673A -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접속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접속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673A
KR20150096673A KR1020157016139A KR20157016139A KR20150096673A KR 20150096673 A KR20150096673 A KR 20150096673A KR 1020157016139 A KR1020157016139 A KR 1020157016139A KR 20157016139 A KR20157016139 A KR 20157016139A KR 20150096673 A KR20150096673 A KR 20150096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protocol
data
switch
sign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마르텐스
폴 프라에트
요르겐 쇼테르스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5009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6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6Protocol convers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4Hybrid switching systems
    • H04L12/6418Hybrid trans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장치는 인터넷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대역 접속을 통해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접속시키기 위해 구성되고, 아웃고잉 접속을 위해, 제1 프로토콜에 따라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스트림을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로 전송하며, 인커밍 접속을 위해 그 반대로 하기 위한 미디어 릴레이를 포함한다. 미디어 릴레이는, 미디어 릴레이를 홈 네트워크와 연결하고,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 스트림의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 제1 프로토콜에 따른 시그널링 데이터를 제2 프로토콜에 따른 시그널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시그널링 스위치(3), 제1 프로토콜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제2 프로토콜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미디어 스위치(4), 및 미디어 릴레이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연결하고, 시그널링 스위치로부터의 시그널링 데이터와 미디어 스위치로부터의 미디어 데이터를 결합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접속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APPARATUS ADAPTED FOR CONNECTING A HOME NETWORK WITH A SERVICE PROVIDER NETWORK}
본 발명은 최종-사용자 디바이스들(end-user devices)의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service provider network)와의 광대역 접속(broadband connection)을 통해 동작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들(residential gateways)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게이트웨이들은 고객의 가정 내의 디바이스들을 인터넷 또는 임의의 다른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폭넓게 사용된다. 가정용 게이트웨이들은 예를 들어, 구리 회선들(copper lines)을 통한 빠른 데이터 속도 전송(high data rate transmission)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xDSL: digital subscriber line) 기술, 고속 무선 통신 또는 광섬유(optical fiber) 광대역 전송 시스템들을 사용한다. 홈 네트워크들은 많은 최종 사용자들에게 일상 생활의 일부분이 되어가고 있다. 홈 네트워크는 다양한 이질적 구성요소들(heterogeneous components)로 구성되고, 이는 홈 네트워크가 상이한 종류들의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이들 디바이스들은 서로 그리고 인터넷과 통신할 필요가 있다.
홈 네트워크들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일반 가정용 게이트웨이는 통상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가진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및 가정용 게이트웨이의 동작을 위한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를 포함한다. 가정용 게이트웨이의 운영체제는 예를 들어, LINUX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실행 환경을 나타내는 게이트웨이-특정 미들웨어(gateway-specific middleware)이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예를 들어 DSL 모뎀 기능, 케이블 또는 광학 모뎀 기능, 게이트웨이 및 스위칭 기능들, FXS 기능들, VoIP 기능성을 제공하고, 무선 동작 및 이더넷 브리지(Ethernet bridge)를 위한 Wi-Fi 노드를 포함한다. 가정용 게이트웨이는 이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미디어 스트리밍 기술들(media streaming technologies)을 관리하여야 하고, 상이한 미디어 인터렉터들(media interactors) 사이의 전송 프로토콜들(transport protocols) 내에는 보통 미스매치가 있다. 예를 들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는 RTP/RTCP(Real-time Transport Protocol/RTP Control Protocol) 패킷들을 사용하고, FXS/FXO(Foreign Exchange Service/Foreign eXchange Office)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부터 비롯된 미디어 샘플들을 사용하며, 응답 머신들은 재생/저장될 필요가 있는 파일들을 사용하는 것 등이다. 상이한 전송 프로토콜들을 하나의 타입으로부터 다른 것으로 연결하는 것은 보통 복잡하고 개별적인 구현이다.
US20050190743은 복수의 프로토콜 핸들러, 및 각각의 프로토콜 핸들러들과 통신하는 복수의 동작 모듈을 포함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를 개시한다. 제1 프로토콜 핸들러는 주어진 고객 프로토콜 또는 서비스 제공자 프로토콜과 연관되고, 연관된 프로토콜에 따라 입력 신호들을 일반 정보 포맷(generic information format)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제2 프로토콜 핸들러는 2번째의 연관된 프로토콜에 따라 정보를 일반 정보 포맷으로부터 출력 신호들로 변환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동작 모듈들 중 하나는 제1 프로토콜 핸들러를 제2 프로토콜 핸들러와 접속시키고, 일반 정보 포맷의 정보를 사용하여 통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인터넷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대역 접속을 통해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접속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는, 아웃고잉 접속(outgoing connection)을 위해, 제1 프로토콜에 따라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스트림을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에 전송하며, 인커밍 접속(incoming connection)을 위해 그 반대로 하는 미디어 릴레이(media relay)를 포함한다. 미디어 릴레이는, 미디어 릴레이를 홈 네트워크와 연결하고,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 스트림의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제1 프로토콜에 따른 시그널링 데이터를 제2 프로토콜에 따른 시그널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시그널링 스위치, 제1 프로토콜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제2 프로토콜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미디어 스위치, 및 미디어 릴레이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연결하고, 시그널링 스위치로부터의 시그널링 데이터와 미디어 스위치로부터의 미디어 데이터를 결합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 태양에서, 시그널링 스위치는 미디어 데이터의 메타데이터(metadata) 및 미가공 데이터(raw data)를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고,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아웃고잉 접속을 위해 미디어 스위치를 위한 미디어 데이터에 적용가능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아웃고잉 접속을 위해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성하기 위하여, 미디어 스위치로부터의 메타데이터를 미가공 미디어 데이터(raw media data)와 함께 사용하고, 인커밍 접속을 위해 그 반대로 한다. 시그널링 스위치는 미디어 데이터의 메타데이터 및 미가공 데이터를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한다. 미디어 스위치는 구체적으로 다수의 상이한 프로토콜들에 따른 데이터 스트림들의 프로세싱을 위해 다수의 상이한 입력 접속 지점들(entry connection points) 및 다수의 상이한 출력 접속 지점들(exit connection points)을 포함한다. 메타데이터는 구체적으로 제1 프로토콜 및 제2 프로토콜의 종류, 및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 사이의 변환의 타입을 정의하거나,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이 동일한 경우 변환이 필요하지 않은 것을 정의하기 위하여 미디어 스위치에 의해 사용되는 소스 및 목적지 포트 번호들(source and destination port numbers)을 또한 포함한다. 포트 번호들은 유리하게 미디어 스위치의 각각의 입력 접속 지점 및 각각의 출력 접속 지점을 선택하기 위해 미디어 스위치에 의해 또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상이한 타입들의 최종 디바이스들이 다른 측에서 어떤 전송 프로토콜이 사용되는지를 알 필요없이 용이하게 상호접속될 수 있도록, 미디어 스위치의 복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들의 추상화(abstraction)를 생성하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아키텍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개략도들을 참조하여 예시의 방식에 의해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고, 도면들은:
도 1은 미디어 스위치를 가진 미디어 릴레이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위한 가정용 게이트웨이,
도 2는 다수의 입력 접속 지점 및 출력 접속 지점을 포함하는 미디어 스위치,
도 3은 도 2의 미디어 스위치의 예시적 실시예, 및
도 4-14는 상이한 접속 지점 타입들 및 상이한 변환들을 가지는 도 2의 미디어 스위치의 상세 예시들을 도시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인터넷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대역 접속을 통해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접속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가 설명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명의 목적들을 위한 많은 특정 상세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는 것이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장치는 예를 들어, 가정용 게이트웨이 또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라우터, 스위치 또는 셋톱 박스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운영체제 및 애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장치의 동작을 위한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장치의 운영체제는 예를 들어, LINUX 운영체제, 및 디바이스 실행 환경을 나타내는 디바이스-특정 미들웨어이다. 디바이스 실행 환경은 구체적으로 DSL 모뎀 기능, 게이트웨이 및 스위칭 기능들, FXS 기능들, VoIP 기능성 및 Wi-Fi 동작을 제공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장치는 미디어 릴레이(1)를 포함하고, 이는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 시그널링 스위치(3), 미디어 스위치(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를 포함한다. 미디어 릴레이(1)는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를 통해 최종 디바이스(6),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의 랩톱, 태블릿 PC,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 TV와 연결된다. 장치는 홈 네트워크 내에서 구체적으로 기지국으로서, 예를 들어 가정용 게이트웨이로서 역할하고, 인터넷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대역 접속(7) 예를 들어, xDSL 또는 광섬유 접속을 통해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8)와 접속시킨다.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는 시그널링 데이터 및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최종 디바이스(6)의 임의의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고, 아직 분리되지 않은 경우,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 미디어 스트림의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분리하며, 시그널링 데이터를 시그널링 스위치(3)에, 그리고 미디어 데이터를 미디어 스위치(4)에 포워딩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는 임의의 시그널링 데이터를 미디어 스위치로부터, 그리고 미디어 데이터를 미디어 스위치(4)로부터 수신하고, 아웃고잉 접속을 위한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임의의 시그널링 데이터와 미디어 데이터를 결합하며, 광대역 접속(7) 및 인터넷 또는 인터넷의 일부분과 접속되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8)를 통해, 아웃고잉 데이터 스트림을 제2 사용자의 임의의 최종 디바이스(9)에 포워딩한다.
예를 들어, 최종 디바이스(9)로부터의 인커밍 접속의 경우, 미디어 릴레이는 대응하여 동작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는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 스트림을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8)로부터 수신하고,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 스트림의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분리한다. 시그널링 데이터는 시그널링 스위치(3)에 포워딩되고, 미디어 데이터는 미디어 스위치(4)에 포워딩된다.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는 시그널링 데이터를 시그널링 스위치(3)로부터, 그리고 미디어 데이터를 미디어 스위치(4)로부터 수신한다. 그것은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시그널링 데이터를 미디어 데이터와 결합하고,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을 최종 디바이스(6)에 포워딩한다.
아웃고잉 접속을 위해 미가공 데이터로부터 분리된 메타데이터를 미디어 스위치(4)로 제공하기 위하여,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는 구체적으로 또한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미가공 데이터는 데이터 스트림의 미가공 미디어 데이터, 예를 들어 데이터 스트림 내에 포함된 것과 같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이다. 미디어 데이터를 위한 메타데이터는 시그널링 데이터에 따라 또는 미디어 데이터 프로토콜을 인식하는 것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는 미디어 스위치(4)로부터 수신된 메타데이터 및 미가공 데이터를 대응하여 처리한다. 인커밍 접속을 위해, 메타데이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에 의해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생성되고, 대응하여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에 의해 결합된다. 미디어 스위치(4)는 동일한 종류 또는 상이한 종류들의 적어도 2개의 접속 지점(20-26, 30-36)을 접속시킨다.
메타데이터는 제1 프로토콜 및 제2 프로토콜의 종류, 및 접속된 디바이스들의 소스 및 목적지 포트 번호들을 또한 포함하고, 이 포트 번호들은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 사이의 변환의 타입을 정의하거나,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이 동일한 경우 변환이 필요하지 않은 것을 인식하기 위하여 미디어 스위치에 의해 사용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디어 스위치(4)는 입력 측 및 출력 측 상의 다수의 접속 지점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접속 지점들(20-26 및 30-36)은 입력 접속 지점 또는 출력 접속 지점일 수 있다. 미디어 스위치(4)의 일 측 상의 접속 지점들(20-26)은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와 연결되고, 접속 지점들(30-36)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와 연결된다. 각각의 접속 지점은 특정한 미디어 프로토콜 타입에 따라 특정 기능성을 가지며, 즉 미가공 데이터의 접속을 위한 릴레이 타입의 것일 수 있는 접속 지점(20), RTP/RTCP(Real-time Transport Protocol/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접속 지점(21), 파일 접속 지점(22),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접속 지점(23), 트랜스코더 접속 지점(24), 멀티캐스트 접속 지점(25) 또는 임의의 다른 미디어 접속 지점(26)이다. 대응하여, 미디어 스위치(4)는 그것의 다른 측에서 동일한 종류의 접속 지점들, 즉 접속 지점들(30-36)을 포함한다.
메타데이터 없이 오로지 미가공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는 릴레이 접속 지점(20)을 제외하고, 입력 지점으로서 역할할 때, 각각의 접속 지점(20-26)은 미가공 미디어 스트림 뿐만 아니라, 프로토콜의 종류에 의존하는 대로 미가공 미디어 스트림을 설명하는 소정의 메타데이터를,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로부터 수신한다. 접속 지점들(20-26)이 입력 접속 지점들로서 역할할 때, 접속 지점들(30-36)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와 연결되고, 그들은 출력 접속 지점들이다. 접속 지점들(30-36)이 입력 접속 지점들로서 역할할 때의 경우, 다음으로 접속 지점(21-26)은 대응하는 출력 접속 지점들로서 역할한다. 미디어 스위치(4)는 하나의 입력 접속 지점이 동일한 종류 또는 상이한 종류의 하나의 출력 접속 지점과 접속되도록, 각각의 입력 접속 지점을 출력 접속 지점과 상호접속시킨다. 임의의 2개의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접속의 각각의 입력 및 출력 접속 지점은 제1 프로토콜 및 제2 프로토콜의 메타데이터, 예를 들어 포트 번호들에 따라,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선택된다.
예시적인 상호접속을 위해, 미디어 스위치(4)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조직될 수 있다. 인커밍 미가공 데이터 스트림은 릴레이 접속 지점(20)에 의해 수신되고,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RTP/RTCP 출력 접속 지점(31)으로 스위칭된다. 인커밍 데이터 스트림은 RTP/RTCP 입력 접속 지점(21)에 의해 수신되고,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파일 출력 접속 지점(32)으로 스위칭된다. 인커밍 데이터 스트림은 파일 입력 접속 지점(22)에 의해 수신되고,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DSP 출력 접속 지점(33)으로 스위칭된다. 인커밍 데이터 스트림은 DSP 입력 접속 지점(23)에 의해 수신되고,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릴레이 출력 접속 지점(30)으로 스위칭된다. 인커밍 미가공 데이터 스트림은 릴레이 접속 지점(20)에 의해 수신되고,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트랜스코더 출력 접속 지점(34)으로 스위칭된다. 인커밍 미가공 데이터 스트림은 릴레이 접속 지점(20)에 의해 수신되고,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멀티캐스트 출력 접속 지점(35)으로 스위칭되는 것 등이다.
후술하는 도면들에서, 상이한 접속 지점 타입들 및 상이한 변환들을 갖고서 미디어 스위치들(4)의 예시들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소스 및 목적지 인터넷 주소들을 가진 메타데이터, 및 소스 및 목적지 최종 디바이스들의 소스 및 목적지 포트 번호들은 또한 이들 도면들 내에 포함된다. 예시들은 인커밍 프로토콜 및 아웃고잉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되거나 변환되는, 메타데이터의 전송 및 변환을 도시하지 않는다.
도 4는 어떤 데이터 타입이라도 입력 접속 지점(20)으로부터 출력 접속 지점(30)으로 통과시키는 릴레이 접속을 도시한다. 미디어 스위치(4)를 가진 가정용 게이트웨이는 최종 디바이스(6), 예를 들어 랩톱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의 일부분이다. 랩톱은 미가공 데이터 스트림을 홈 네트워크 및 인터넷(8)을 통해, 예를 들어 또한 랩톱일 수 있는 다른 최종 디바이스(9)에 전송한다. 시그널링은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SIP/SDP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디어 스위치에 의해 전송된 IP 패킷들은 IP 헤더(50) 및 미가공 데이터 패킷(51)을 포함한다. IP 헤더는 후술하는 메타데이터: 소스 및 목적지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들 및 각각의 포트 번호들을 포함한다.
RTP/RTCP 스트림을 최종 디바이스(61)로부터 미디어 스위치(4)를 통해 최종 디바이스(62)에 전송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가 도 6에 도시된다. RTP 스트림은 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고, RTCP 스트림은 선택적이며, 통계를 포함하고, 이들은 미디어 스위치에 의해 RTP/RTCP 입력 접속 지점(21)으로부터 RTP/RTCP 출력 접속 지점(31)으로 스위칭된다. 메타데이터 내의 RTP/(RTCP) 파라미터들은: RTP 소스 IP@:포트 정보, RTP 목적지 IP@:포트 정보, (RTCP 소스 IP@:포트 정보), (RTCP 목적지 IP@:포트 정보), (RTCP 대역폭), {RTCP 플래그(RTCP 전송 또는 미전송)}, 및 미디어 데이터 = RTP 스트림의 종료를 통지하는 미디어 타임아웃(Media timeout)이다. 인터넷 RTP 패킷 및 선택적 인터넷 RTCP 패킷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인다(IP@=IP-address).
도 8은 FXS 전화 통화가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RTP/RTCP 프로토콜로 변환되는 일 예시를 도시한다. 홈 네트워크의 최종 디바이스로서의 전화(80)는 시그널링 톤들 및 음성을, 예를 들어 전화번호 014234567에 대해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고, 그것은 전화 통화를 인터넷을 통해 다른 최종 디바이스(81)에 전송한다.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에서, 시그널링 톤들은 아날로그 음성 신호들로부터 분리되고, 최종 디바이스(81)를 위한 시그널링은 SIP/SDP를 통해 행해진다.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는 커널 DSP(82)를 포함하고, 이는 아날로그 음성을 미디어 스위치(4)의 입력 접속 지점(23)에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으로 변환한다. 미디어 스위치(4)에서, DSP 데이터 스트림은 RTP/RTCP 프로토콜로 변환되고, 출력 접속 지점(31)을 통해 최종 디바이스(81)에 전송된다. FXS 포트 및 인터페이스 제어가 하위 레이어들(lower layers) 내에 있기 때문에, 음성 스트림은 커널 접속에 의해 식별된다. 메타데이터 내의 커널 파라미터들은: DSP 채널 ID이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정용 게이트웨이에 국부적으로 저장된 톤, 예를 들어 비지 톤(busy tone)이 최종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비지 톤은 커널 DSP(82)에 의해 미디어 스위치(4)의 입력 접속 지점(23)인 DSP 채널에 전송되고, 이는 RTP/RTCP 출력 접속 지점(31)을 통해 최종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메타데이터를 위한 커널 파라미터들은: DSP 채널 ID 및 톤 ID이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정용 게이트웨이 내에 국부적으로 저장된 메시지가 전송된다. 메시지는 가정용 게이트웨이의 사용자 공간(101) 내의 파일(100)로서 저장되고, 전송 버퍼(102)를 통해 파일 입력 접속 지점(22)에 전송되며, RTP 프로토콜에 따라 RTP/RTCP 출력 접속 최종지점(31)을 통해 최종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사용자 공간 파라미터들은: 읽기(read)를 위한 파일 서술자(file descriptor), 파일을 읽기 위한 장소: 파일 위치, 및 전송 버퍼 사이즈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정용 게이트웨이 내에 국부적으로 저장되어야 하는 메시지가 대응하여 처리된다. 메시지는 RTP/RTCP 입력 접속 지점(21)을 통해 수신되고,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파일로 변환되며, 파일 출력 접속 지점(32)을 통해 파일이 파일(111)로서 저장되는 사용자 공간(101)의 수신 버퍼(112)에 전송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 공간 파라미터들은 쓰기(write)를 위한 파일 서술자, 파일을 쓰기 위한 장소: 파일 위치, 및 쓰기 버퍼 사이즈이다.
데이터 스트림의 트랜스코딩은 도 12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디어 스위치(4)의 입력 측에서 또는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디어 스위치(4)의 출력 측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2a에서, G.711 프로토콜에 따른 RTP 미디어 스트림은 트랜스코더 입력 접속 지점(24)에서 G.722 프로토콜에 따른 RTP 미디어 스트림으로 트랜스코딩되고,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릴레이 출력 접속 지점(20)에 연결된다. 도 12b는 G.711 프로토콜에 따른 RTP 미디어 스트림을 도시하고, 이는 릴레이 입력 접속 지점(20)에서 수신되고,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트랜스코더 출력 접속 지점(34)에 연결된다.
멀티캐스트 출력 접속 지점(35)의 기능은 도 13에 도시된다. G.711 프로토콜에 따른 RTP 미디어 스트림은 릴레이 입력 접속 지점(20)에 의해 수신되고,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멀티 캐스트 출력 접속 지점(35)에 연결된다. 이 경우, 멀티캐스트 출력 접속 지점(35)은 G.711 프로토콜에 따른 다수의 RTP 미디어 스트림을 제공한다.
이러한 종류의 멀티캐스트 접속 출력 지점은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일 실시예에 적용된다. RTP G.711 미디어 스트림은 릴레이 입력 접속 지점(20)에서 수신되고, 이는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RTP 미디어 스트림을 3개의 RTP G.711 스트림으로 증가시키는 멀티캐스트 출력 접속 지점(35)에 연결된다. 3개의 RTP G.711 스트림은 미디어 스위치(4)의 릴레이 입력 접속 지점(20)에 각각 연결된다. 각각의 멀티캐스트 입력 접속 지점(20)은 적절한 출력 접속 최종지점에 상호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 3개의 스트림 중 첫 번째는 RTP G.711 미디어 스트림을 제공하는 릴레이 출력 접속 지점(30)에 연결되고, 두 번째는 예를 들어 음성 입력의 녹음을 위한 파일 출력 접속 지점(32)에 연결되며, 세 번째는 RTP G.711 미디어 스트림을 RTP G.722 미디어 스트림으로 트랜스코딩하는 트랜스코더 출력 접속 지점(34)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장점은 임의의 미디어 생성기들이, 미디어 스위치(4)의 수신 측 및 그 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송 프로토콜을 더 이상 관리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다. 이것은 단지 한정된 변형들을 가지고 많은 새로운 시나리오들을 허용하도록,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는 단순한 구조를 이끌어낼 수 있다. 이 접근은 단지 매우 적은 지연들을 가지고 매우 효과적일 수 있는 최적의 구현을 이끌어낸다. 운영체제들의 측면에서, 이 미디어 핸들링은, 라우팅 레이턴시(routing latency)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원하는 대로 우선순위가 정해질 수 있는, 커널 작업자 스레드들(kernel worker threads)의 범주 내에서 행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 의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도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xDSL 전송들을 사용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다른 유선 또는 무선 광대역 기술에도 적용가능하며, 대응하여 모든 종류의 장치들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이하에서 첨부되는 청구항들 내에 존재한다.

Claims (8)

  1. 인터넷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광대역 접속(broadband connection)(7)을 통해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service provider network)(8)와 접속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아웃고잉 접속(outgoing connection)을 위해, 제1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홈 네트워크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고, 제2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8)에 전송하며, 인커밍 접속(incoming connection)을 위해 그 반대로 하는 미디어 릴레이(media relay)(1)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릴레이(1)는
    상기 미디어 릴레이를 상기 홈 네트워크와 연결하고,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 스트림의 미디어 데이터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
    상기 제1 프로토콜에 따른 시그널링 데이터를 상기 제2 프로토콜에 따른 시그널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시그널링 스위치(3),
    상기 제1 프로토콜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제2 프로토콜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미디어 스위치(4), 및
    상기 미디어 릴레이를 상기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8)와 연결하고, 상기 시그널링 스위치(3)로부터의 시그널링 데이터와 상기 미디어 스위치(4)로부터의 미디어 데이터를 결합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
    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 스위치(3)는 미디어 데이터의 메타데이터(metadata) 및 미가공 데이터(raw data)를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미디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2)는 아웃고잉 접속을 위해 상기 미디어 스위치(4)를 위한 미디어 데이터의 상기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는 아웃고잉 접속을 위해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미디어 스위치로부터의 메타데이터를 미가공 미디어 데이터(raw media data)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인커밍 접속을 위해 그 반대로 하는,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스위치(4)는 다수의 상이한 입력 접속 지점들(entry connection points) 및 다수의 상이한 출력 접속 지점들(exit connection points)을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입력 접속 지점들 및 상기 출력 접속 지점들 중 각각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미디어 스위치(4)에 의해 사용되는 소스 및 목적지 포트 번호들(source and destination port numbers), 및/또는 상기 제1 프로토콜과 상기 제2 프로토콜 사이의 데이터 스트림의 임의의 변환을 정의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스위치(4)는 미가공 데이터의 접속을 위한 릴레이 접속 지점(20), RTP/RTCP(Real-time Transport Protocol/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접속 지점(21), 파일 접속 지점(22),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접속 지점(23), 트랜스코더 접속 지점(24), 및/또는 멀티캐스트 접속 지점(25)을 포함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지점들 각각은 입력 접속 지점(20-26) 또는 출력 접속 지점(30-36)일 수 있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 및 상기 제2 프로토콜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인,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가정용 게이트웨이(residential gateway), 기업용 게이트웨이(enterprise gateway) 또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셋톱 박스, 모바일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인,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는 상기 제1 프로토콜 및 상기 제2 프로토콜의 종류, 및/또는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장치.
KR1020157016139A 2012-12-20 2013-12-18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접속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 KR201500966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306638.3A EP2747348A1 (en) 2012-12-20 2012-12-20 Apparatus adapted for connecting a home network with a service provider network
EP12306638.3 2012-12-20
PCT/EP2013/077185 WO2014096064A1 (en) 2012-12-20 2013-12-18 Apparatus adapted for connecting a home network with a service provider networ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673A true KR20150096673A (ko) 2015-08-25

Family

ID=4759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139A KR20150096673A (ko) 2012-12-20 2013-12-18 홈 네트워크를 서비스 제공자 네트워크와 접속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48452B2 (ko)
EP (2) EP2747348A1 (ko)
JP (1) JP2016508315A (ko)
KR (1) KR20150096673A (ko)
CN (1) CN104871494A (ko)
BR (1) BR112015014547A2 (ko)
WO (1) WO20140960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360A1 (ko) * 2016-11-01 2018-05-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디어 버퍼 제어를 이용한 효율적인 무선 네트워크 스트리밍 중계 엔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8826A (zh) * 2019-04-02 2019-08-16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业务处理的方法和装置
US11770418B2 (en) * 2022-01-31 2023-09-26 Ping Identity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credential format and protocol manag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17838C (en) * 1996-11-07 2003-07-29 At&T Corp. Wan-based voice gateway
US6243753B1 (en) 1998-06-12 2001-06-0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reating a raw data channel form an integrating component to a series of kernel mode filters
JP2003091464A (ja) 2001-09-19 2003-03-28 Ricoh Co Ltd 通信中継装置
US20050190743A1 (en) 2004-01-22 2005-09-01 Adc Telecommunications Israel Ltd. Telecommunications gateway
DE602005019337D1 (de) * 2005-12-13 2010-03-2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anordnung zur ermöglichung von multimedia-kommunikation
WO2007090196A2 (en) 2006-02-01 2007-08-09 Coco Communications Corp. Protocol link layer
US20090003381A1 (en) * 2007-06-28 2009-01-01 Shamilian John H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tocol Translation in Support of IMS Servic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4360A1 (ko) * 2016-11-01 2018-05-1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미디어 버퍼 제어를 이용한 효율적인 무선 네트워크 스트리밍 중계 엔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36744B1 (en) 2018-04-04
US20160020919A1 (en) 2016-01-21
WO2014096064A1 (en) 2014-06-26
CN104871494A (zh) 2015-08-26
EP2936744A1 (en) 2015-10-28
JP2016508315A (ja) 2016-03-17
EP2747348A1 (en) 2014-06-25
BR112015014547A2 (pt) 2017-07-11
US10148452B2 (en)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66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transcoding of information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0469064C (zh) 控制媒体网关建立冗余连接的方法
US72279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data in a packet-oriented data network
CN101305560B (zh) 用于为传输有用数据选择传输模式的方法及通信系统
CN105991856B (zh) 基于rtp服务器到服务器寻路由的voip寻路由
JP4600511B2 (ja) コーデック変換装置、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コーデック変換方法
EP1986408B1 (e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voice connections
CN101554051A (zh) 数字通信适配器
JP2007049415A (ja) 音声データ変換装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US20090286523A1 (en) Communications method between a combinational terminal and multimedia terminal
JP5500069B2 (ja)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方法とプログラム
CN101258723A (zh) 用于建立有用数据连接的方法、服务器装置和转换装置
US10148452B2 (en) Apparatus adapted for connecting a home network with a service provider network
US7002987B2 (en) Common services and applications agent
CN100372346C (zh) 一种基于软交换的媒体服务器
JP2008294957A (ja) メディア変換システム、メディア変換方法、メディア変換プログラム、呼制御装置及びメディア変換装置
CN101242458A (zh) 媒体网关及其控制方法
KR100726462B1 (ko) 지능형 통합 멀티미디어 서버
US20080107064A1 (en) Media access server for satellite-based cellular networks
US8565224B2 (en) Telephone system,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and connection control method used in telephone exchange apparatus
KR100699349B1 (ko) 지능형 통합 멀티미디어 게이트웨이
JP5634340B2 (ja) 中継システム及び中継網のコーディック選択方法
KR100750583B1 (ko)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RU66135U1 (ru) Система медиавещания в инфраструктуре оператора связи
JP2011101246A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