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415A - 끽연류 - Google Patents

끽연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415A
KR20150096415A KR1020157016179A KR20157016179A KR20150096415A KR 20150096415 A KR20150096415 A KR 20150096415A KR 1020157016179 A KR1020157016179 A KR 1020157016179A KR 20157016179 A KR20157016179 A KR 20157016179A KR 20150096415 A KR20150096415 A KR 20150096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element
section
blank
smoking
smoking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칼 칼주라
필립 러쎌 파우커스
스투어트 던롭
아드리안 모듈
아이언 던클리
닉 하딩
Original Assignee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9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4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1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adjustable means for modifying the degree of filtration of th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4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A24D3/043Tobacco smoke filt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with ventilation means, e.g. air dilution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끽연류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 그리고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를 포함한다. 통기 구역이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버되도록 구성된다. 제어 요소는 회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 1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 제한 에지 및 제 2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2 제한 에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끽연류 {A SMOKING ART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끽연류, 끽연류를 제작하기 위한 블랭크 및 끽연류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기가 끽연류의 일부의 회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끽연류가 공지된다.
본 명세서에서 끽연류의 실시예들이 설명되며, 이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 및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버되도록 구성되는 통기 구역을 포함하며, 제어 요소는 회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 1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 제한 에지 및 제 2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2 제한 에지를 포함하고, 제어 요소는 제 1 제한 에지와 제 2 제한 에지 사이의 통기 공기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고, 끽연류는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의 제어 요소의 상대 원주 위치가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요소에 의해 커버되는 통기 구역의 양이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직접적으로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끽연류가 설명되며, 이는 끽연류의 제 2 부분에 대한 제 1 부분의 이동에 의해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통기 메커니즘 및 끽연류의 제 2 부분에 대한 제 1 부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통기 메커니즘 및 제한 메커니즘은 단일 제어 요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끽연류의 제작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 주위에 랩핑되도록 구성되는 블랭크가 설명되고, 블랭크는 :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 및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버되도록 구성되는 통기 구역을 포함하며, 제어 요소는 회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 1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 제한 에지 및 제 2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2 제한 에지를 포함하고, 제어 요소는 제 1 제한 에지와 제 2 제한 에지 사이의 통기 공기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고, 블랭크는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의 제어 요소의 상대 원주 위치가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요소에 의해 커버되는 통기 구역의 양이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직접적으로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끽연류를 제작하는 방법이 설명되며, 이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을 제공하는 단계, 로드 물품들 주위에 하나 이상의 블랭크를 랩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블랭크는 :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 및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버되도록 구성되는 통기 구역을 포함하며, 제어 요소는 회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 1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 제한 에지 및 제 2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2 제한 에지를 포함하고, 제어 요소는 제 1 제한 에지와 제 2 제한 에지 사이의 통기 공기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고, 블랭크는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의 제어 요소의 상대 원주 위치가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며, 제어 요소에 의해 커버되는 통기 구역의 양이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직접 결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부분이 제어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범위에서 제 2 부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끽연류가 설명되며, 제어 요소는 끽연류의 통기를 결정하기 위해 통기 구역을 가변적으로 커버하도록 또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단지 예로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끽연류의 부분 길이방향 횡단면이고,
도 2는 끽연류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들 및 로드 물품들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끽연류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끽연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끽연류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끽연류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다른 블랭크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끽연류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들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끽연류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들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끽연류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들 및 로드 물품들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끽연류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끽연류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들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끽연류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끽연류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및 로드 물품들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끽연류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 및 로드 물품들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끽연류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들 및 로드 물품들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끽연류의 제 13 실시예에 따른 블랭크들 및 로드 물품들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끽연류의 제작의 제 1 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끽연류의 제작의 제 2 방법의 개략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끽연류의 제작의 제 3 방법의 개략도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용어 "끽연류(smoking article)"는 타바코, 타바코 파생물들, 팽창된 타바코, 재구성된 타바코 또는 타바코 대체물들 및 또한 불연(heat-not-burn) 제품들(즉, 재료의 연소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열을 가하는 것에 의해 끽연 재료로부터 풍미가 발생되는 제품들)을 기본으로 하는 담배, 시가 또는 시가릴로와 같은 끽연 가능한 제품들을 포함한다.
장치 또는 방법의 실시예에 의해 형성된 끽연류는 끽연 가능한 재료의 기다란 소스를 포함한다. 특히, 끽연 가능한 재료는 타바코이며, 원통형 타바코 로드에 배열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필터들 또는 필터 섹션들이 타바코 로드에 부착된다. 각각의 필터 또는 필터 섹션은 예컨대, 종이, 예컨대 플러그랩(plugwrap)인 시이트 재료로 랩핑되는 여과 재료를 포함한다. 필터 또는 필터 섹션들은 길이방향 축선을 형성하며, 이는 타바코 로드의 길이방향 축선과 공통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용어 "끽연류의 구성요소" 또는 "로드 물품"은 타바코 로드, 필터, 필터 섹션 또는 마우스피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끽연류의 임의의 구성요소 부분을 포함한다. 끽연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구성요소들은 랩에 의해 외접된다. 랩은 2 개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기능,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구성요소들에 구조적 지지를 제공하는 기능, 끽연류의 특성(예컨대, 통기)을 제어하기 위해 끽연류의 다른 부분에 대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 또는 임의의 다른 기능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장치 또는 방법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될 수 있는 예시적인 끽연류(100)를 도시한다. 이러한 끽연류는 단지 예이며, 장치 및 방법은 제 1 랩핑된 층 및 제 1 랩핑된 층에 외접하는 제 2 랩핑된 층을 갖는 상이한 타입들의 끽연류들의 제작에 사용될 수 있다.
끽연류(100)는 끽연 가능한 재료(111)의 소스를 포함하는 제 1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끽연 가능한 재료는 타바코 로드의 형태의 타바코이다. 끽연류(100)는 끽연 가능한 재료(111)의 소스에 부착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필터 섹션들을 더 포함한다. 예시적인 끽연류는 끽연류의 특성, 예컨대 통기 레벨을 선택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에서, 이동은 회전이다. 일부 이행들에서, 끽연류는 선택적으로는, 미리 정해진 범위로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한기(제한 메커니즘)를 포함한다.
끽연류는 제 1 필터 섹션(112) 및 제 2 필터 섹션(114)을 포함한다. 제 1 필터 섹션(112)은 단일 유닛을 형성하기 위해 끽연 가능한 재료의 소스에 부착된다. 타바코 로드 및 제 1 필터 섹션(112)은, 예컨대 공지된 바와 같이 시이트 재료, 예컨대 티핑 페이퍼로 형성되며, 타바코 로드에 제 1 필터 섹션(112)을 부착하기 위한 커버링 층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필터 섹션(112)은 첨가제, 예컨대 탄소를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첨가제는 활성탄일 수 있다.
타바코 로드 및 제 1 필터 섹션은 끽연류의 제 1 부분으로서, 또는 타바코 유닛으로서 참조되며, 일부 예들에서 유닛으로서 단단하게 연결된다. 기다란 타바코 로드 및 제 1 필터 섹션은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을 형성한다. 후방 방향이 끽연류의 마우스 단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전방 방향이 타바코, 또는 끽연류의 단부인 점화부를 향하여 형성된다.
끽연류의 제 2 부분은 제 2 필터 섹션(114)을 포함한다. 제 2 필터 섹션(114)은 제 1 필터 섹션(112)과 동축이며, 제 1 필터 섹션(112)의 후방으로 위치된다. 타바코 로드, 제 1 필터 섹션(112) 및 제 2 필터 섹션(114)은 로드 물품(110)들의 예들로서 또는 끽연류의 "코어"로서 고려될 수 있으며, 그 주위로 내부 랩 및 외부 랩이 랩핑된다. 끽연류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이 형성될 수 있다. 타바코 로드 및 제 1 필터 섹션은 길이방향 축선 주위로 유닛으로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또는 제 2 필터 섹션(112, 114)들은 종래의 여과 재료, 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tow)로 만들어진다. 제 1 및/또는 제 2 필터 섹션(112, 114)은 시이트 재료, 예컨대 종이, 예컨대 여과 재료 주위에 랩핑되는 플러그 랩을 더 포함한다. 여과 재료 및 둘러싸는 랩핑된 시이트 재료는 로드 물품의 예를 형성한다. 설명된 제 1 및 제 2 그리고 추가의 랩들은 여과 재료 또는 타바코 재료 주위에 직접적으로 랩핑되고, 필터 로드들 또는 타바코 로드를 형성하는 시이트 재료와 별개이며 부가적이다.
끽연류(10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 주위로 연장하는 복수의 층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층은 타바코 로드(111), 제 1 필터 섹션(112) 및/또는 제 2 필터 섹션(114)의 원주 주위로 연장하는 원통형 튜브의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층들은, 로드 물품들 주위를 일 회 또는 그 초과의 횟수로 랩핑되는 시이트 재료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블랭크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제 1 블랭크(300)는 로드 물품들 주위에 직접 랩핑된다. 제 2 블랭크(200)는 제 1 블랭크(300) 주위에 랩핑된다. 이러한 예에서, 제 1 및 제 2 블랭크(300, 200)들의 각각이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2 회 랩핑된다. 이러한 이행에서, 제 1 블랭크(300) 및 로드 물품(110)(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필터 섹션(112))은, 이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될 인덱싱 메커니즘(116, 304)을 포함하거나 이에 부착된다.
도 2는 도 1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로드 물품(110)들을 도시한다. 제 1 블랭크(300) 및 제 2 블랭크(200)가 또한 도시된다. 제 1 및 제 2 블랭크(300, 200)들, 및 로드 물품(110)들의 정렬은 로드 물품들에 대한 제 1 블랭크(300)의 관련 부분의 부착 및 제 1 블랭크(300)에 대한 제 2 블랭크(200)의 관련 부분의 부착을 나타낸다. 제 1 및 제 2 블랭크(300, 200)들은 각각 시이트 재료로 만들어진다. 일부 양태들에서, 시이트 재료는 페이퍼이다. 제 1 및 제 2 블랭크(300, 200)들은 각각 재료의 단일 시이트들이다. 제 1 및 제 2 블랭크(300, 200)들은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에 복수의 층들로 각각 연장한다.
인덱싱 메커니즘은 별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인덱싱 이동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인덱싱 표면(304)과 맞물릴 수 있는 제 1 인덱싱 표면(116)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인덱싱은 인덱싱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될 때 가청 찰칵 소리(click)를 발생할 수 있다.
제 1 인덱싱 표면은 제 1 필터 섹션의 외부 표면에 리지들 및 그루브들(오목부들)(116)을 포함한다. 리지들 및 그루브들은 원주 이동이 인덱싱되도록 배열된다. 일부 예들에서, 리지들 및 그루브들(116)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리지들 및 그루브들(116)은 함께 제 1 필터 섹션을 형성하는 외부 페이퍼 랩 및 여과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인덱싱 표면은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뒤집힌 돌기들을 포함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돌기들은 폴(pawl; 304)의 형태일 수 있다. 폴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다란 돌기를 포함하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지를 포함한다. 폴(304)은 로드 물품들의 외부의 피쳐들(116)(예컨대 리지들)과 맞물리고, 로드 물품들 주위의 최내측 랩과 로드 물품들 중 적어도 하나, 특히 제 1 필터 섹션(112) 사이의 회전을 인덱싱하는 것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폴 지지 유닛으로 불리는, 제 2 인덱싱 표면 지지 유닛(306)은 폴(304)을 포함한다. 폴 지지 유닛(306)은 폴(304)을 형성하기 위해 접하는 시이트 재료의 피스일 수 있다. 폴(304)은 반경 방향으로 내방으로 돌출하는 삼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삼각형 횡단면의 꼭짓점은 피쳐들(116), 예컨대 제 1 필터 섹션(112)의 리지들과 맞물린다. 폴 지지 유닛(306)은 폴(304)의 삼각형 횡단면을 형성하기 위해 복수의 접힘부(fold)들을 포함한다.
폴 지지 유닛(306)은 로드 물품(110)들의 원주의 단지 일부 주위로 연장한다. 폴 지지 유닛(306)은 제 1 블랭크(300)의 지지 섹션(320)에 부착된다. 지지 섹션(320)은 로드 물품(110)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예컨대, 지지 섹션(320)은 로드 물품들의 단지 1 회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지지 섹션(320)은 튜브, 즉 원통형 튜브의 형태의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랩핑한다. 지지 섹션(320)은 로드 물품 주위로 연장하는 튜브로서 고정되도록 그 자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블랭크(300)는 반경 방향의 위치에 있는 폴(304)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폴(304)이 제 1 인덱싱 표면의 인덱싱 리지들 사이에서 인덱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폴 유닛(306)은 제 1 인덱싱 표면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지지되며, 예컨대 그루브들의 반경 방향 내부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다. 그리하여, 맞물린 제 1 및 제 2 인덱싱 표면들은, 인덱싱된 이동을 제공하도록 작동 가능하지만 떨어져 이격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인덱싱 표면들은 서로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반경 방향 위치에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이러한 반경 방향 위치는 적어도 최소한의 분리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및 제 2 인덱싱 표면들은 제 1 및 제 2 인덱싱 표면들이 함께 강제되거나 편향되지 않거나, 서로 완전히 접촉되도록 가압되지 않도록 떨어져 이격된다.
제 1 블랭크(300)는 제 1 인덱싱 표면과 제 2 인덱싱 표면 사이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간격 섹션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블랭크(300)는 이러한 반경 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은 각각 제 2 인덱싱 표면(304)의 전방으로 그리고 후방으로 배열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은 지지 섹션(320)에 취성으로(frangibly) 부착되는 제 1 부분(311a)을 각각 포함한다. 예컨대, 블랭크(300)는 제 1 부분(311a)들과 지지 섹션(320)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천공부(325)들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은 제 1 필터 섹션에 부착되는 시이트 재료의 기다란 섹션들이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은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이격되어, 이들 사이에 제 1 인덱싱 표면으로의 접근을 제공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및/또는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은 제 1 필터 섹션(112)의 제 1 인덱싱 표면의 부분들에 부착된다. 제 2 인덱싱 표면은, 제 1 간격 섹션(310a)과 제 2 간격 섹션(310b) 사이에서, 제 1 필터 섹션(112)의 제 1 인덱싱 표면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은 로드 물품(110) 주위의 내부 층 및 외부 층 모두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은 로드 물품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2 회 연장한다. 간격 섹션(310a, 310b)의 제 1 부분(311a)들 및 지지 섹션(320)은 블랭크(300)의 외부 층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층이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의 제 2 부분(311b)에 의해 제공된다.
내부 층 및 외부 층은 순차적으로 랩핑된다. 특히, 내부 층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구역은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즉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된다. 외부 층은 동일한 블랭크의 부분으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층을 따른다. 외부 층은 전체 원주 주위로 랩핑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다른 범위의 블랭크가 외부 층과 겹쳐서, 튜브로서 외부 층을 고정시킨다. 일부 양태들에서, 겹침부는 또한 튜브로서 내부 층을 고정시킨다. 블랭크의 랩핑은 연속적이다.
제 2 부분(311b)들은 로드 물품, 예컨대 제 1 필터 섹션(112)에 직접 부착된다. 폴 지지 유닛(306)은 제 1 블랭크(300)의 외부 층에, 즉 지지 섹션(320)에 최초로 부착된다.
제 2 블랭크(200)는 지지 섹션(320) 및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을 둘러싼다. 제 2 블랭크(200)는 지지 섹션(320) 그리고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 중 적어도 하나 위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2 블랭크(200)는 지지 섹션에 부착된다. 제 2 블랭크의 일부는 또한 제 1 인덱싱 표면(116)에 대한 미리 정해진 반경 방향 위치에 지지 섹션(320)을 지지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한다. 따라서, (예컨대 제 2 블랭크(200)의)층이 제 1 인덱싱 표면(116)에 대한 미리 정해진 반경 방향 위치로 지지 섹션(320)을 지지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 중 적어도 하나의 외부 표면 위에 놓이고 접촉한다. 간격 섹션은 블랭크(300)의 시이트 재료의 2 개의 층들의 간격을 제공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겹침 층은 시이트 재료의 관형 층이다. 예컨대, 관형 층은 지지 섹션(320) 및 단지 후방 제 2 간격 섹션(310b)을 둘러싸고 그 위에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지지부를 제공하는 층은 제 2 블랭크의 외부 층, 즉 끽연류의 최외측 층일 수 있다. 지지부를 제공하는 층은 간격 섹션에 부착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층들 또는 섹션들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인덱싱 표면을 지지하는 섹션 또는 층은 임의의 적절한 반경 방향 지지부와 접촉할 수 있고, 이는 간격 섹션과 직접 접촉하거나, 간격 섹션에 부착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층들과 접촉하거나, 로드 물품에 부착되는, 예컨대 제 2 필터 섹션 주위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별개의 층들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폴 지지 섹션(320)은 간격 섹션(310a, 310b)들에 의해 내부에, 및/또는 길이방향으로 제한되어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3은 상기 언급된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갖는 끽연류의 부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블랭크(20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블랭크(200)는 제 1 (외부) 층(240) 및 제 2 (내부) 층(230)을 형성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 주위를 2 회 랩핑되도록 치수를 갖는다. 블랭크(200)는 시이트 재료, 특히 시이트 재료의 단일 층을 포함한다. 예컨대, 시이트 재료는 페이퍼이다. 제 1 외부 층(240) 및 제 2 내부 층(230)은 각각 로드 물품들의 완전한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블랭크(200)는 제 1 층과 겹치고 연결(점착)하기 위해, 그리고 블랭크(200)를 튜브로서 고정시키기 위해 제 1 층(240)을 넘어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겹침 섹션(211)을 포함한다. 제 2 블랭크(200)는 제 1 블랭크(300)에 의해 이미 랩핑된 로드 물품(들) 주위를 랩핑하도록 구성된다. 접착제 구역들이 도시된 것들과는 상이할 수 있지만, 임의의 실시예의 블랭크들의 음영 처리된 구역들이 접착제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블랭크(200)는 끽연류의 제 1 부분의 부분인 복수의 섹션들, 그리고 끽연류의 제 2 부분의 부분인 복수의 섹션들을 포함한다. 제 1 부분은 끽연류의 특성, 예컨대 통기를 제어하기 위해 제 2 부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제 1 (외부) 층(240)에서, 제 1 섹션(213)은 제 1 부분의 일부이다. 제 2 섹션(214)은 제 2 부분의 일부이다. 제 2 (내부) 층(230)에서, 제 3 섹션(233) 및 제 4 섹션(235)은 제 1 부분의 일부이다. 제 5 섹션(234), 제어 요소(250) 및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제 2 부분의 일부이다. 이러한 섹션들의 기능들이 이제 설명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제 2 블랭크(200)는 제 1 섹션(213), 제 3 섹션(233) 및 제 4 섹션(235)을 갖는 제 1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제 2 부분은 제 2 섹션(214), 제 5 섹션(234) 및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을 포함한다. 모든 섹션들은 단일 블랭크(200)에서 최초로 연결된다. 블랭크(200)는 로드 물품들 주위로 유닛으로서 2 회 랩핑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블랭크(200)는 섹션들을 분리하고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취성 연결부들을 포함한다. 분리되지 않은 섹션들은 일체로 남아있을 수 있다. 각각의 섹션은 로드 물품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내부 층 및 외부 층은 순차적으로 랩핑된다. 특히, 내부 층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구역은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즉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된다. 외부 층은 동일한 블랭크의 부분으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층을 따른다. 외부 층은 전체 원주 주위로 랩핑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다른 범위의 블랭크가 외부 층과 겹쳐서, 외부 층을 튜브로서 고정시킨다. 일부 양태들에서, 겹침부는 또한 튜브로서 내부 층을 고정시킨다. 블랭크의 랩핑은 연속적이다.
제 2 (내부) 층(230)의 섹션들은 제 1 부분의 로드 물품들, 예컨대 타바코 로드 및 필터 섹션을 둘러싸고 부착되며, 예컨대 제 1 블랭크(300)에 의해 랩핑된다. 제 2 (내부) 층(230)은 제 2 부분의 로드 물품들, 예컨대 제 2 필터 섹션을 둘러싸고 부착된다. 예컨대, 제 5 섹션(234)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별개의 간격 층들을 통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제 2 필터 섹션(114)에 부착된다.
제 3 섹션(233), 제 4 섹션(235) 및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제 1 부분의 로드 물품들 주위에 위치된다. 예컨대, 모든 이러한 섹션(233, 235, 236)들은 제 1 필터 섹션 주위에 위치된다. 제 3 섹션(233) 및 제 4 섹션(235)은 제 1 부분의 로드 물품에 부착되고, 제 1 필터 섹션에 의해 이동한다. 제 3 섹션(233)은 전방 간격 섹션(310a)의 외부에 부착된다. 제 4 섹션(235)은 후방 간격 섹션(310b)에 부착된다. 그리하여, 제 4 섹션(235)은 간격 층을 제공하고, 일 부 예들에서, 제 4 섹션의 외부는 제 2 섹션의 반경 방향 위치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촉 표면을 제공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4 섹션의 폭은 실질적으로 제 2 간격 섹션(310b)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또는 그 미만이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제 1 부분의 로드 물품들 주위로 이동 가능하다. 특히,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제 1 필터 섹션(112) 및/또는 제 1 인덱싱 표면(116) 주위로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제 1 블랭크의 폴 지지 섹션(320)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의 이동은 인덱싱된다.
제 1 섹션(213)은 아래에 놓이는 제 3 섹션(233)에 부착된다. 제 2 섹션(214)은 구역(214a) 위에 있는 아래에 놓이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에 부착되고, 구역(214c) 위에 있는 아래에 놓이는 제 5 섹션(234)에 부착된다. 제 2 섹션(214)은 구역(214b) 위에 있는 제 4 섹션(234) 위에 놓이고, 제 4 섹션(234)에 부착되지 않는다.
제 2 블랭크(200)는 단일 시이트로서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된다. 제 2 블랭크(200)의 모든 섹션들은 최초에는 서로 부착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취성 연결부들에 의해 분리 가능하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2 블랭크(200)는 상이한 섹션들을 형성하기 위해 취성 연결부들이 형성되는 단일 시이트를 포함한다. 취성 연결부, 또는 컷-아웃에 의해 분리 가능하지 않은 섹션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채로 남아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3 섹션(213, 233)들은 일체형이고, 단일 2-층 랩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 제 2 섹션(214) 및 제 5 섹션(234)은 일체이고, 단일 2-층 랩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최초에는 외부 층을 갖고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이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 주위로 연속으로 랩핑된다.
제 2 블랭크(200)는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연결 가능한 섹션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3 섹션(233) 및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 3 섹션 및 제어 요소 지지 섹션 중 하나는 제어 요소, 또는 탭(250)을 형성한다. 이러한 예에서, 제어 요소(250)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의 일부이다. 제어 요소(250)는 제어 요소를 형성하는 섹션의 인접한 부분을 넘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랭크의 일부이다. 예컨대, 제어 요소(250)는 블랭크(200)의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의 일체형 부분이다. 제어 요소(250)는 블랭크(200)의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과 동일한 반경 방향 층에 있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로드 물품들 또는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튜브, 예컨대 원통형 튜브이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로드 물품들 주위로 연장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층들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임의의 이러한 특징들이 임의의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어 요소(250)는 이 제어 요소가 형성되는 섹션의 길이방향의 극한 구역을 형성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어 요소(250)는 끽연류의 제 2 부분의 일부인 블랭크(200)의 길이방향 극한 (전방) 부분이다. 제어 요소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의 나머지를 넘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제어 요소가 부착되는 지지 섹션은 제어 요소(250)를 넘어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일부 예들에서, 지지 섹션은 단지 제어 요소의 하나의 길이방향 측의 제어 요소를 넘어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어 요소(250)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 요소(250)는 제 1 맞물림 표면(233a)과 제 2 맞물림 표면(233b)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 1 맞물림 표면(233a) 및 제 2 맞물림 표면(233b)은 제어 요소(250)가 이동 가능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239)을 형성한다. 채널(239)의 일부는 통기 공기가 이를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채널(239)의 원주 범위의 일부는 통기 구멍으로서 고려된다.
채널(239)은 길이방향 에지를 따라 개방된다. 특히, 제어 요소(250)를 대면하는 채널(239)의 길이방향 에지가 개방된다. 이러한 길이방향 에지는 실질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채널(239)은 이 채널(239)을 형성하는 섹션의 길이방향 극한 또는 경계를 형성한다. 제 1 맞물림 표면(233a) 및 제 2 맞물림 표면(233b)은 제어 요소로부터 블랭크의 제 1 또는 제 2 부분의 다른 부분인 블랭크(200)의 섹션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맞물림 표면(233a) 및 제 2 맞물림 표면(233b)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단일 블랭크는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들을 형성하는 섹션 및 탭을 포함한다. 특히, 동일한 블랭크의 동일한 층은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들을 형성하는 섹션 및 탭을 포함한다. 블랭크는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의 탭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취성으로 분리되거나 절단되도록 배열된다.
제어 요소(250)는 이동의 축선에서 제어 요소의 에지들에서, 즉 제어 요소(250)의 원주 에지에서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253a, 253b)들을 형성한다. 제 1 맞물림 표면(233a)과 제 2 맞물림 표면(233b) 사이의 제어 요소(250)의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253a, 253b)들의 접촉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제한한다. 제 2 부분에 대한 제 1 부분의 회전은 끽연류의 통기를 결정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회전의 허용된 범위는 최소 통기 레벨과 최대 통기 레벨 사이에서의 변동에 대응한다.
제어 요소(250)의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253a, 253b)들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어 요소(250)의 제 1 및 제 2 제한 요소(253a, 253b)들은 제어 요소가 부착되는 섹션을 넘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제어 요소(250)의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253a, 253b)들은 제어 요소를 형성하는 섹션의 나머지의 원주 범위 내에 원주 방향으로 위치된다. 예컨대, 제어 요소를 형성하는 섹션(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의 나머지는 로드 물품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제어 요소는 단지 원주의 일부에 걸쳐 연장한다. 제어 요소(250)는 끽연류의 둘레의 단지 비교적 작은 부분에 걸쳐 연장한다. 예컨대, 제어 요소(250)는 원주의 절반 미만에 걸쳐 연장한다. 제어 요소(250) 및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233a, 233b)들의 간격은 90 내지 180도 사이로, 특히 110 내지 140도로, 그리고 더욱 특별하게는 대략 120 도로 회전 이동을 제한하도록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제어 요소(250)의 제 1 제한 표면(253a) 및 제 1 맞물림 표면(233a)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하거나 형상이 상호 보완적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어 요소(250)의 제 2 제한 표면(253b) 및 제 2 맞물림 표면(233b)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고/하거나 형상이 상호 보완적이다. 예컨대,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들 그리고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제어 요소(250)는 끽연류의 통기의 제어에서 추가의 기능을 갖는다. 특히, 제어 요소(25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역들을 선택적으로 커버링 또는 폐쇄함으로써 끽연류의 통기를 직접적으로 제어한다. 제어 요소(250)는 끽연류의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 부분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역들과 정렬되도록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 요소(250)는 공기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재료, 특히 공기에 대하여 투과성이 아닌 페이퍼로 형성된다. 제어 요소(250)는 끽연류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역들을 커버하도록 구성되어서, 통기 공기는 제어 요소(250)에 의해 커버되는 구역을 통하여 끽연류에 들어갈 수 없게 된다. 제어 요소는 제 1 제한 표면(253a)과 제 2 제한 표면(253b) 사이에서 공기에 대하여 불투과성이다.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253a, 253b)들은 회전의 제한들을 정의하고 커버되는 또는 커버되지 않는 통기 구역의 양도 정의한다. 제어 요소(250)에 의해 커버되는 통기 구역의 면적은 가변적이고 통기를 결정한다.
따라서, 제어 요소(25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멍들을 커버함으로써 통기 레벨을 직접적으로 제어하고, 예컨대 통기의 최대 레벨과 최소 레벨 사이에서 미리 정해진 범위로 제어 요소의 이동을 제한하는 양쪽의 이중 기능을 갖는다.
랩핑된 제 2 블랭크(200)는 제 2 필터 섹션(114)과 제 1 필터 섹션(112)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결부는 제 2 인덱싱 표면(예컨대 폴(304))을 제 2 필터 섹션(114)과 연결한다. 제 2 인덱싱 표면(304), 제 2 필터 섹션(114) 및 끽연류의 제 2 부분은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길이방향으로 제한된다. 일부 예들에서, 길이방향 제한은 끽연류의 제 1 부분에 대한 단일 길이방향 위치까지이다. 특히, 제 2 블랭크(200)의 외부 층은 이러한 연결부를 제공한다. 이러한 연결부를 제공하는 시이트 재료의 외부 층은 인덱싱 메커니즘 및/또는 회전 제한 메커니즘을 둘러싸지만, 그 자체가 이를 제공하지는 않는다.
끽연류의 제 1 부분에 대한 제 2 필터 섹션(114)의 제 2 블랭크(200)에 의한 연결부는 제 5 섹션(234), 제 2 섹션(214) 및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을 포함한다. 제 5 섹션(234)은 제 2 필터 섹션(114)에 부착된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폴 지지 섹션(320)에 부착되고/되거나 제 4 섹션(235)의 전방으로 위치된다. 블랭크(200)는 제 2 필터 섹션(114)을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에 연결한다. 특히, 블랭크(200)의 외부 층(즉, 제 2 섹션(214)은, 예컨대 제 5 섹션(234)과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한다. 블랭크(200)는 길이방향 이동, 예컨대 제 1 필터 섹션으로부터 멀어지는 제 2 필터 섹션(114)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배열되는 접촉 표면에 제 2 필터 섹션(114)을 연결하는 재료의 일체형 튜브를 제공한다. 접촉 표면은 단일 방향으로의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길이방향 이동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연결 튜브는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2 개의 반경 방향 층들(즉, 전체 원주 주위의 2 개의 층들)을 포함하고, 이들은 단일 층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 튜브는, 예컨대 재료의 단일 시이트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제 5 섹션(234), 제 2 섹션 및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2 필터 섹션의 고정 연결부가 제공된다.
제 2 블랭크(200)의 외부 층의 후방 구역(제 2 섹션(214))은 제 1 블랭크(300)의 후방 간격 섹션(310b) 위로 연장하며, 이에 부착되지는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 또한 적용 가능하듯이,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되는 블랭크들의 최외측 층(240)은 단지 제 1 필터 섹션과 제 2 필터 섹션 사이의 연결부를 제공한다. 제 1 필터 섹션에 대한 최외측 층의 부착은 길이방향으로 블랭크의 인접한, 분리 가능한 부분(제 4 섹션(235))에 의해 제한되는 섹션(예컨대, 폴 지지 섹션(320))을 통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선택적으로는 수정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블랭크(20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역(270)들을 포함한다. 특히, 통기 구역(270)은 제어 요소(250)에 대한 상이한 층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200)의 부분에 형성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외부) 층(240)은 통기 구역(270)을 포함하고 제 2 (내부) 층(230)은 제어 요소(250)를 포함한다.
제어 요소(250) 및 통기 구역(270)은 인접한 층들에 있다. 채널(239) 및 통기 구멍(270)은 끽연류의 별개의(인접한) 층들에 형성되고, 서로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어 요소(250)는 채널을 형성하는 층 및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역(270)을 형성하는 층 모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제어 요소(250)는 채널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제어 요소(250) 및 이러한 제어 요소는 채널을 형성하는 층의 단지 임의의 부분이 아니다. 제어 요소에 의해 직접 커버되는/커버되지 않는 통기 구역(270)의 면적의 양은 단지 끽연류의 통기 구역의 변동을 결정하는 요인이다. 특히, 끽연류의 다른 부분들, 예컨대 제어 요소가 이동 가능한 채널을 형성하는 섹션은 본 발명에서 통기의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통기 구역을 커버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통기 구역(270) 및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233a, 233b)들은 시이트 재료의 복수의 일체형 층들에 의해, 예컨대 동일한 재료의 시이트의 2 개의 층들에 의해 형성된다.
통기 구역(270)은 기다랗고, 제어 요소(250)가 이동 가능한 방향으로, 즉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통기 구역(270)은 채널(239)의 길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다. 일부 예들에서, 통기 구역(270)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채널(239) 내의 제어 요소(250)의 이동 길이(즉, 원주 방향으로)와 동일하다. 이는 제어 요소(250)가 단지 통기 구역(270)이 완전히 커버되는 극한 위치(최소 통기, 제어 요소(250)가 제 1 맞물림 표면(233a)과 접촉)와 통기 구역(270)이 완전히 개방되는 다른 극한 위치(최대 통기, 제어 요소(250)가 제 2 맞물림 표면(233b)과 접촉)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 요소(250) 및 통기 구역(270)의 대략 동등한 이동 거리는 채널(239) 내의 제어 요소(250)의 임의의 이동(즉, 끽연류의 제 2 부분에 대한 끽연류의 제 1 부분의 이동)이 끽연류의 통기를 변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 요소의 위치의 변동은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의 적어도 주된 거리에 걸친 통기를 직접 변동시킨다. 일부 예들에서, 제어 요소의 위치의 변동은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의 실질적으로 전체 거리에 걸친 통기를 직접 변동시킨다. 따라서, 통기는 제어 요소의 위치에 따라 변동된다.
통기 구역(270)은 단일 통기 구역으로서 도시된다. 대안적으로, 통기 구역(270)은 복수의 구멍들, 특히 제어 요소(250)의 이동 방향으로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통기 구역(270)은 원주 방향으로 복수의 별개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기 구역(270)은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구멍들을 더 포함한다. 통기 구역(270)은 격자 또는 구멍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예컨대, 구멍들은 전기 천공(electroperforation; EP)에 의해 형성된다.
단일 구멍을 위해, 구멍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어 요소(250)는 실질적으로 커버되지 않는 구역에 대한 통기 공기를 제한한다. 하지만, 일부 상황들에서 일부 통기 공기는 통기 구멍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는 통기를 증가시킨다. 복수의 구멍들은 별개로 각각의 통기 구멍으로 유동하기 위해 통기 구역을 통한 기류를 격리시킨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구멍들을 커버하는 것은 단지 커버되지 않은 구역으로의 기류를 더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어 요소(250)는 하나 이상의 통기 구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배열된다. 일부 예들에서, 통기 구역은 제어 요소(250)의 이동 방향으로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통기 구역은, 로드 물품 주위에(예컨대, 블랭크(300) 상에) 랩핑된 별개의(예컨대, 내부) 블랭크, 또는 제어 요소를 둘러싸는 별개의 외부 랩인, 동일한 블랭크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어 요소(250)는 복수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된 통기 구멍들을 커버하기 위해 이동 가능하다.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통기 구멍들 중 하나 이상은 제어 요소(250)의 이동 방향으로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제 2 블랭크(200)는 제 1 또는 제 2 인덱싱 표면을 직접 형성하지 않는다. 제 1 인덱싱 표면은, 예컨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필터 섹션에 형성된다. 제 2 인덱싱 표면은, 예컨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인덱싱 섹션 주위로 연장하는 환형 층에 형성된다. 블랭크(200)는 제 2 인덱싱 섹션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제 2 인덱싱 섹션을 형성하는 유닛의 외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제 2 인덱싱 섹션 유닛의 외부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제어 요소를 형성하는 섹션은 제 2 인덱싱 표면(304)을 형성하는 내부 랩(300)의 일부에 또한 부착된다. 일 양태에서, 제어 요소(250)는 또한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에 의해 형성되어, 제어 요소(250)를 형성하는 블랭크의 섹션은 지지 섹션(320)에 직접 부착된다. 제어 요소(250)는 맞물림 표면(233a, 233b)들 사이의 제어 요소의 이동이 별도의 통기 레벨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별도의 단계들로 있도록 인덱싱 메커니즘에 연결된다.
제 4 섹션(235)이 제 1 부분의 로드 물품에, 예컨대 제 1 필터 섹션(112)에 부착된다. 끽연류의 제 1 부분은 제 4 섹션(235)을 포함한다. 제 4 섹션(235)은 제 2 블랭크(200)의 내부 층의 인접한 섹션(234, 236)들로부터 분리 가능하거나, 분리된다. 예컨대, 제 2 블랭크(200)는 블랭크(200)의 나머지에 대한 제 4 섹션(235)의 취성 연결부, 예컨대 제 4 섹션 주위의 천공부(225)들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 4 섹션(235)은 외부 층의 대응하는 섹션, 즉 섹션(214c)에 대한 취성 연결부를 또한 갖는다. 취성 연결부들은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의 제 1 회전시 파손되도록 구성된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끽연류는 끽연류의 회전식으로 이동 가능한 부분들 사이, 예컨대 제어 요소와 맞물림 표면들 사이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 또는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랩핑된 블랭크는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 또는 방지하는 접촉 표면들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접촉 표면들은 제 1 및 제 2 필터 섹션들이 떨어져 강제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 방향은 끽연류의 제 1 및 제 2 부분들이 떨어져 이동될 때, 또는 후방 부분이 후방으로 강제될 때 대안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상이한 접촉 표면들은 대향 방향으로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 또는 방지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접촉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일부 예들에서, 접촉 표면들은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접촉 표면들의 이러한 큰 범위는 끽연류의 이동 가능한 부분들의 길이방향 분리가 어렵거나 또는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 또는 방지하도록 구성된 접촉 표면들 중 하나는, 임의의 실시예에서 제어 요소 지지 섹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접촉 표면은 제어 요소에 대한 제어 요소 지지 섹션의 대향 길이방향 측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접촉 표면은, 예컨대 랩핑된 관형 시이트 재료에 의해 제공되는 환형 또는 상승된 에지이다. 접촉 표면은 반경 방향으로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제어 요소 지지 섹션 및 제어 요소의 배열(예컨대, 일체형이고 동일한 반경 방향 층에 있는)은 길이방향 및 회전 이동 모두를 제한하고 직접 통기를 결정하는 것을 제공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4 섹션(235)은 제 2 부분의 2 개의 섹션들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 층에 정렬된 섹션(214c)은 또한 제 2 부분의 일부이다. 제 4 섹션을 둘러싸는 제 2 부분의 섹션들은 제 2 부분이 제 1 부분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제 2 부분(234, 214, 236)의 섹션들은 제 4 섹션(235)의 관형 상승된 에지와 동일한 반경 방향 층 위에 그리고 그 안으로 연장한다. 특히,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과 제 4 섹션(235) 사이의 접촉은 제 2 부분이 제 1 부분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 5 섹션(234)과 제 4 섹션(235) 사이의 접촉은 제 2 부분이 제 1 부분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인접한 섹션(235, 236)들과 제 4 섹션(234)의 접촉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에지들에 의한 것이며, 상대 원주 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다른 양태에서, 폴 지지 섹션(320)은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 또는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접촉 표면들을 제공한다. 폴 지지 섹션(32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에지들과 제 1 및/또는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은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맞물릴 수 있다.
끽연류의 제 1 부분을 형성하는 제 2 블랭크(200)의 섹션들은 끽연류의 제 2 부분을 형성하는 블랭크(200)의 섹션들에 취성으로 부착된다. 특히,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내부 층의 취성 연결부(226)에 의해 제 3 섹션(233)에 취성으로 부착된다. 취성 연결부(226a)의 일부는 최초에 제어 요소(250)를 인접한 섹션, 즉 제 3 섹션(233)에 연결한다. 제 2 섹션(214a)은 블랭크(200)의 외부 층(240) 상으로 연장하고, 연결부(226)와 연결되는 취성 연결부(228)에 의해 제 1 섹션(213)에 취성으로 부착된다. 취성 연결부(226, 228)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정렬된다. 취성 연결부(226, 228)들 모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방향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예컨대, 블랭크의 임의의 취성 연결부들은 사용시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작동 가능한 섹션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복수의 천공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음영 처리된 구역들은 음영 처리된 구역의 반경 방향 내부 측에,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 표면과 연결하도록 배열된다. 인접한 표면은 시이트 재료의 내부 층일 수 있고, 예컨대 섹션(214a)은 섹션(236)에 연결된다. 인접한 섹션은 로드 물품일 수 있고, 예컨대 제 5 섹션(234)은 제 2 필터 섹션(또는 단지 제 2 필터 섹션 주위에 랩핑된 스페이서)에 연결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로드 물품들은 제 2 블랭크(200)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시이트 재료의 층들(도시되지 않음), 예컨대 제 2 블랭크(200)가 부착되는, 제 1 블랭크(300)에 의해 랩핑된다. 연결은 접착제에 의한 것일 수 있다. 특히, 제 2 블랭크(200)는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되기에 앞서 접착제에 의해 코팅된다.
일부 예들에서, 제 1 블랭크(300)는 단지 제 1 필터 섹션(112) 주위를 랩핑한다. 랩핑된 제 1 블랭크(300)의 외부는 랩핑된 제 1 블랭크(300)의 길이방향 범위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의 실린더이다. (예컨대, 간격 섹션의)균일한 직경은 제 2 블랭크(200)의 제어 요소(250)가 그 위에서 이동 가능한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한다. 예컨대, 간격 섹션들 중 하나는 제어 요소(250)가 그 위에서 회전할 수 있는 매끄러운, 예컨대 원통형 외부 표면을 제공한다. 제어 요소(250)는 블랭크(200)의 외부 층 아래에서 이동 가능하다. 랩핑된 블랭크(200)의 외부는 블랭크(200)가 랩핑되는 다른 로드 물품(110)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 2 필터 섹션(114) 및/또는 타바코 로드(111)는 랩핑된 제 1 필터 섹션(112)과 동일한 외경을 갖도록 치수를 갖거나, 또는 시이트 재료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층들에 의해 오버랩핑될 수 있다. 로드 물품들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들은 블랭크(200)의 랩핑 및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제 1 블랭크(300)는 단지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은 지지 섹션에 의해 연결되지 않으며, 도 2에 설명된 바와 동일한 위치에서 로드 물품(110) 주위로 랩핑된 시이트 재료의 별개의 섹션들이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310a, 310b)들은 단일 간격 층을 형성하기 위해 로드 물품들 주위로 한번 랩핑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2 개의 간격 층들을 형성하기 위해 로드 물품들 주위로 2 회 랩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층 및 외부 층은 순차적으로 랩핑된다. 특히, 내부 층을 형성하기 위한 블랭크의 구역은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즉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된다. 외부 층은 동일한 블랭크의 일부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층을 따른다. 외부 층은 전체 원주 주위로 랩핑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블랭크의 다른 범위가 외부 층과 겹쳐서, 튜브로서 외부 층을 고정시킨다. 일부 양태들에서, 겹침부는 또한 내부층을 튜브로서 고정시킨다. 블랭크의 랩핑은 연속적이다.
폴(304)을 포함하는 폴 지지 유닛(306)은 제 2 블랭크(200)에 부착된다. 특히, 폴 지지 유닛(306)은 제어 요소를 형성하는 제 2 블랭크(200)의 섹션에 부착된다(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폴(304)은 제 1 인덱싱 표면과 맞물리기 위해 간격 섹션(310)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기 설명된 바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로드 물품들 주위의 복수의 층들은 섹션들로 분할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섹션들은 일반적으로 끽연류의 제 1 부분 또는 제 2 부분 중 하나의 일부를 형성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섹션들은 제 1 또는 제 2 부분에 부착되지 않으며, 이러한 섹션의 회전 위치는 끽연류의 특성의 결정에 연관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끽연류의 특성을 제어하기 위해, 끽연류는 이하의 특징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은 각각 끽연류의 외부 표면 위에서 연장한다. 이는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부분들 모두를 파지하고,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상대 운동, 예컨대 상대 회전을 발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및 제 2 인덱싱 표면들은 인덱싱 이동을 제공하기 위해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특징은 선택적이며, 끽연류의 특성은 인덱싱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제어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제 4 섹션(235)은 선택적이다. 특히, 제 4 섹션(235)에 의해 제공되는 길이방향 이동의 방지 기능은 간격 섹션(310a, 310b)들 사이에서 단지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섹션(320)에 의해 대신, 또는 단지 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블랭크(200)는 전방 구역에 끽연류의 제 1 부분을 형성하고, 후방 구역에 끽연류의 제 2 부분을 형성하는 복수의 층들을 포함한다.
도 4는 블랭크(400)의 제 2 예를 도시한다. 블랭크(400)는 블랭크(2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동일한 부분들은 동일하게 라벨이 붙여졌다. 블랭크(400)는 또한 블랭크(300) 주위로, 그리고 끽연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랩핑되도록 구성된다.
블랭크(400)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취성 연결부의 위치가 블랭크(200)와는 상이하다. 특히, 블랭크(400)에서 블랭크의 내부 층(랩핑될 때)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취성 연결부는 블랭크의 외부 층(랩핑될 때)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취성 연결부와 정렬되지 않는다.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경계면은 복수의 층들에서 떨어져 이격된다.
특히,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은 내부 층의 취성 연결부(426)에 의해 제 3 섹션(233)에 취성으로 부착된다. 취성 연결부(426a)의 일부는 최초에 제어 요소(250)를 인접한 섹션, 즉 제 3 섹션(233)에 연결한다. 도시된 예에서, 취성 연결부(426)는 제어 요소(250)의 양쪽의 원주 측들에서 연장한다. 대안적으로, 제어 요소(250)는 최초에 내부 층(230)의 원주 단부에 있어서, 취성 연결부(426)는 제어 요소(250)로부터 단지 단일 연결부로 연장한다.
제 2 섹션(214)은 블랭크(200)의 외부 층(240) 상으로 연장하고, 연결부(426)와 연결되는 취성 연결부(428)에 의해 제 1 섹션(213)에 취성으로 부착된다. 예컨대, 취성 연결부들은 섹션들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천공부들을 포함하여서 블랭크는 천공부들을 따라서 우선적으로 찢어지도록 구성되고, 사용시 섹션들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내부 및 외부 층들의 취성 연결부(426, 428)들은 길이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오프셋된다. 특히, 취성 연결부(426, 428)들은 서로 실질적으로 정렬되지 않는다. 양쪽의 취성 연결부(426, 428)들은 상이한 길이방향 위치들에서 실질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취성 연결부(426a)는 다른 상이한 길이방향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취성 연결부(426, 428)들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취성 연결부(429)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내부 및 외부 층들 모두의, 블랭크(400)의 전방 및 후방 부분은 취성 연결부(426, 426a, 428, 429)들이 처음으로 통기를 변동시키기 위해 힘을 가할 때 파손될 때 서로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블랭크(400)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사이의 경계면은 블랭크(400)를 랩핑함으로써 제공되는 내부 및 외부 관형 층들 상에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이격된다.
취성 연결부(426, 428)(또는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경계면)들의 상이한 위치들은 공기가 취성 연결부들에서 블랭크(400)의 섹션들 사이에 정렬된 갭들을 통하여 직접 반경 방향으로 끽연류 안으로 빨아들여질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 이러한 갭들을 통하여 들어가는 공기는 또한 길이방향으로 빨아들여져야만 한다. 따라서, 이러한 갭들을 통하여 끽연류 안으로 빨아들여지는 공기의 양은 감소되며, 형성된 통기 구멍들을 사용하는 통기의 레벨의 제어를 개선한다.
도 5는 블랭크(500)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블랭크(500)를 포함하는 끽연류는 상기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들을 갖는다. 특징들은 달리 설명되지 않는다면 동일한 배열 및 기능을 갖는다.
블랭크(500)는 끽연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 주위로, 특히 단지 제 1 필터 섹션(112) 주위로 직접 랩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필터 섹션(112)은 제 1 인덱싱 표면을 형성한다. 블랭크(500)는 제 1 필터 섹션의 원주 주위로 연장하는 3 개의 완전한 층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내부 층 : 제 1 층(510); 중간 층 : 제 2 층(520); 및 외부 층 : 제 3 층(530)을 형성하기 위해 구역들을 포함한다. 제 1, 제 2 및 제 3 층(510, 520, 530)들은, 시이트 재료의 단일 피스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로드 물품의 원주 주위로 3 회 랩핑되도록 배열된다. 일부 예들에서, 블랭크(500)는 도 6에 도시된, 다른 블랭크(600)로부터 다른 별개의 층에 의해 오버랩핑된다. 블랭크(500)는 도 2 및 도 3에 대하여 설명된 제 1 및 제 2 블랭크(300, 200) 모두와 교번한다.
제 1 층(510)은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512a, 512b)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512a, 512b)들은 로드 물품, 특히 제 1 인덱싱 표면을 형성하는 제 1 필터 섹션(112)에 직접 부착되고 이에 외접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512a, 512b)들은 인덱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정확한 반경 방향 위치에 제 1 및 제 2 인덱싱 표면들을 이격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512a, 512b)들은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이격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512a, 512b)들의 구성은 블랭크(300)의 제 2 (내부) 부분(311b)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어 요소(550)가 간격 섹션(512a, 512b)들 중 하나의 위에 직접적으로 놓이도록 구성된다. 제어 요소는 간격 섹션(512a) 위에서 이동 가능하고, 간격 섹션은 제어 요소가 그 위에서 쉽게 이동되는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외부 표면을 제공한다. 제어 요소는 제 1 필터 섹션으로부터 간격 섹션 만큼 이격된다. 제 1 필터 섹션은 제 1 인덱싱 표면을 형성하고, 그리하여 제어 요소를 위한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지 않는다.
제 1 간격 섹션(512a)으로서 도시되는,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512a, 512b) 중 하나는 내부 층(510)에 제 1 통기 구역(570)을 포함한다. 제 1 통기 구역(570)은 복수의 구멍들, 특히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550)의 이동 방향으로 복수의 구멍들, 즉 원주 방향으로의 복수의 별개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통기 구역(570)은 길이방향의 복수의 구멍들을 더 포함한다. 제 1 통기 구역(570)은 격자 또는 구멍들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예컨대, 구멍들은 전기 천공(EP)에 의해 형성된다.
블랭크(500)의 제 2 층(520)은 상기 설명된 제어 요소(25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제어 요소(550)를 포함한다. 특히, 제어 요소(550)는 이 제어 요소가 형성되는 섹션의 길이방향 극한 부분을 형성한다. 제어 요소(550)에 부착되는 섹션은 로드 물품들의 전체 둘레 주위로 연장한다. 제어 요소(550)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 요소(550)는 제 1 맞물림 표면(533a)과 제 2 맞물림 표면(533b)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제 1 맞물림 표면(533a) 및 제 2 맞물림 표면(533b)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요소(550)가 이동 가능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539)을 형성한다.
제어 요소(550)는 이동의 축선에서 제어 요소의 에지들에서, 즉 제어 요소(550)의 원주 에지에서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553a, 553b)들을 형성한다. 제 1 맞물림 표면(533a)과 제 2 맞물림 표면(533b) 사이의 제어 요소(250)의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553a, 553b)들의 접촉은(도시된 바와 같이)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제한한다.
제어 요소(550)는 끽연류의 통기를 제어하는 다른 기능을 갖는다. 특히, 제어 요소(55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역들을 선택적으로 커버함으로써 끽연류의 통기를 직접 제어한다. 제어 요소(550)는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역들 위해 이동 가능하게, 그리고 끽연류의 일부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제어 요소(550)는 공기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재료, 특히 공기에 대하여 투과성이 아닌 페이퍼로 형성된다. 제어 요소(550)는 끽연류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역들을 커버하도록 구성되어서, 통기 공기는 제어 요소(550)에 의해 커버되는 구역을 통하여 끽연류에 들어갈 수 없다. 제어 요소는 제 1 제한 표면(553a)과 제 2 제한 표면(553b) 사이의 공기에 대하여 불투과성이다.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553a, 553b)들은 회전의 제한들을 정의하고 커버되는 또는 커버되지 않는 통기 구역의 양을 또한 정의한다.
따라서, 제어 요소(550)는 통기의 최대 레벨과 최소 레벨 사이에서 끽연류의 제 1 및 제 2 부분들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고 통기 구역의 일부를 커버함으로써 통기 레벨을 직접 제어하는 양쪽의 이중 기능을 갖는다.
제어 요소(550)는 블랭크(500)의 지지 섹션(522)에 형성된다. 제어 요소는 제 2 층(520)을 형성하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522)의 나머지를 넘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제어 요소(550)는 제어 요소가 부착되는 섹션의 길이방향 극한 구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어 요소(550)의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553a, 553b)들은 제어 요소가 부착되는 섹션을 넘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522)은 튜브이다. 제어 요소는 이 튜브의 일부로서 휘어진다.
지지 섹션(522)은 제 2 인덱싱 표면을 위한 지지부로서 다른 기능을 한다. 특히, 제 2 인덱싱 표면은, 지지 섹션(522)에 부착되는 폴 지지 유닛(306)에 형성되는 폴(304)을 포함한다. 폴(304)은 제 1 간격 섹션(512a)과 제 2 간격 섹션(512b) 사이에서 연장하고, 제 1 인덱싱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폴 및 폴 지지 유닛은 실질적으로 블랭크(200)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같다. 따라서, 블랭크의 제 2 층(520)은 통기를 직접 제어하고 최대 통기와 최소 통기 사이에서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어 요소(550) 모두를 포함하고, 또한 제 2 인덱싱 표면을 지지하거나 포함한다.
제어 요소(550) 및 통기 구역(570)은 상이한 층들에, 예컨대 최초에 연결되는 구역들에 있다. 채널(539) 및 통기 구멍(570)은 끽연류의 별개의 층들에 형성되고, 서로에 대하여 고정된다. 제어 요소(550)는 채널을 형성하는 층 그리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역(570)을 형성하는 층 모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제어 요소(550)는 채널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통기 구역(570)을 커버하는 제어 요소(550)는 채널을 형성하는 층의 단지 임의의 부분이 아니다. 제어 요소에 의해 직접 커버되는/커버되지 않는 통기 구역의 면적의 양은 단지 끽연류의 통기 구역의 변동을 결정하는 요인이다. 특히, 끽연류의 다른 부분들, 예컨대 제어 요소가 이동 가능한 채널을 형성하는 섹션은 본 발명에서 통기 레벨을 제어하기 위해 통기 구역을 커버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블랭크(500)의 제 3 층(530)은 제 2 통기 구역(572)을 포함한다. 제 2 통기 구역(572)은 간격 섹션(512a, 512b)들 중 하나, 특히 제 1 통기 구역(570)과 동일한 (제 1) 간격 섹션에 있다. 제 2 통기 구역(572)은 단일 통기 구역 또는 구멍이다. 단일 통기 구역은 제어 요소(550)가 제 2 통기 구역(572)을 통하여 명백하게 보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에게 제어 요소(550)의 위치의 표시를 제공하고, 그리하여 통기 레벨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제 2 통기 구역(572)은 복수의 통기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요소(550)는 여전히 복수의 구멍들을 통하여 가시적일 수 있다. 제 1 및 제 2 통기 구멍(570, 572)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요소(550)의 위치에 대응하여 통기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550)는 제 1 통기 구멍(570)과 제 2 통기 구멍(572)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위치된다. 제 1 및 제 2 통기 구멍(570, 572)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정렬된다. 특히, 제 1 및 제 2 통기 구멍(570, 572)들은 제어 요소(550)의 이동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범위, 즉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 범위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통기 구멍(570, 572)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정렬된다. 따라서, 제어 요소(550)는 통기를 제어하기 위해 제 1 및 제 2 통기 구멍(570, 572)들을 동시적으로 커버하도록 구성된다. 통기 공기는 제 1 및 제 2 통기 구멍(570, 572)들 모두를 반경 방향으로 직접 통과하고, 채널(539)을 통과하고, 불투과성 제어 요소(55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구역 위를 지나간다.
블랭크(500)의 제 3 층(530)은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512a, 512b) 그리고 지지 섹션(522)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 3 층(530)은 제 2 층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열을 갖는다. 제 3 층(530)은 제어 요소(530) 위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특히, 제 2 통기 구멍(572)을 형성하는 제 1 또는 제 2 간격 섹션(512a, 512b)은 제어 요소(550) 위에 놓인다.
블랭크(500)는 단지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512a, 512b)들(제 1, 제 2 및 제 3 층들 위에서 연장함), 그리고 지지 섹션(522)(제 2 및 제 3 층들 위에서 연장함)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512a, 512b)들 그리고 지지 섹션(522)은 통기를 제어하기 위해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지지 섹션(522)은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제 1 간격 섹션(512a)과 제 2 간격 섹션(512b)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그리하여, 지지 섹션(522)은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512a, 512b)들과의 맞물림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지지 섹션(522) 및 제 1 및/또는 제 2 간격 섹션(512a, 512b)들은 랩핑될 때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 또는 방지하도록 구성된 접촉 표면들을 갖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접촉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기능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들(512) 그리고 지지 섹션(522)은 최초에 제 2 및 제 3 층들 위에서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취성 연결부(526, 528)에 의해 연결된다. 취성 연결부(526, 528)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설명된 것과 같으며, 예컨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천공부들의 라인이다. 연결부(526)는 제어 요소(550)가 간격 섹션(512a)에 취성으로 연결되는 부분(526a)을 포함한다.
블랭크(500)로부터 제 1, 제 2 및 제 3 층들을 포함하는 끽연류는,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블랭크(60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블랭크(600)는 로드 물품(110)들에 이미 랩핑된 블랭크(500)에 의해 형성되는 층들을 오버랩핑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끽연류의 외부 층인, 단일 층을 형성하도록 치수를 갖는 시이트 재료를 포함하는 블랭크(600)를 도시한다. 블랭크(600)는 제 1 필터 섹션(112), 제 2 필터 섹션(114) 그리고 선택적으로 또한 타바코 로드(111) 주위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치수를 갖는다. 일부 예들에서, 블랭크(600)는 제 1 필터 섹션(112)과 타바코 로드를 연결한다. 블랭크(600)는 제 2 필터 섹션(114)을 제 1 필터 섹션에 연결하며, 이와 동시에 필터 섹션(112, 114)들 사이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블랭크(600)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통기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며, 통기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블랭크는 끽연류 안으로의 통기의 베이스 레벨을 제공한다.
블랭크(600)는, 끽연류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하는 튜브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블랭크(600)는 블랭크(500)의 적어도 제 1 및 제 2 통기 구역(570, 572)의 구역에 걸쳐 연장하는 통기 구역(670)을 포함한다. 통기 구역(670)은 제어 요소(550)가 적어도 이동 가능한 채널(539)의 길이에 걸쳐 연장할 수 있다. 특히 통기 구역(670)은 블랭크(600)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따라서, 끽연류의 통기의 변화는 통기 구역(670)과 독립적이다. 일부 예들에서, 통기 구역(670)을 형성하는 블랭크(600)의 섹션은 제어 요소(550)와 이동 가능하고, 그리하여 제 1 및 제 2 통기 구멍들 주위로 이동 가능하다. 통기 구역(670)은 적어도 제어 요소(550)의 이동의 전체 길이에 걸친 제 1 및 제 2 통기 구멍(570, 572)들의 전체 원주 길이에 걸쳐 연장하기에 충분한 길이이다.
블랭크(600)는 제 2 필터 섹션(114)에 연결하기 위해 배열되는 제 1 섹션(611)을 포함한다. 제 1 섹션(611)에는 제 2 필터 섹션(114)에 대한 부착을 제공하기 위해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블랭크(600)는 제 2 간격 섹션(512b) 위에 놓이는 제 2 섹션(612)을 포함한다. 제 2 섹션(612)은 제 2 간격 섹션(512b)에 부착되지 않고, 제 2 간격 섹션(512b) 위에 놓이는 구역에서 전체 원주 주위에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는다. 따라서, 랩핑된 블랭크(600)는 제 2 간격 섹션(512b) 위에서 이동 가능하다.
블랭크(600)는, 예컨대 제 2 섹션(612)에 통기의 베이스 레벨을 제공하는 복수의 통기 구멍(680)들을 포함한다. 통기 구멍(680)들에 의해 제공되는 통기 구역은 끽연류의 제 1 및 제 2 부분들의 회전에 의해 선택되는 통기 레벨과는 실질적으로 독립적이다.
통기 구멍(680)들은 블랭크(600)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통기 구멍(680)들 아래에 놓이는 제 2 간격 섹션(512b)은 끽연류 안으로의 베이스 통기 공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른 통기 구멍들(파선으로 도시됨)을 갖거나 다공성 재료로 형성된다.
블랭크(600)는 블랭크(500)의 지지 섹션(522) 위에 놓이는 제 3 섹션(613)을 포함한다. 제 3 섹션(613)은 지지 섹션(522)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서, 제 3 섹션(613)(및 블랭크(600)의 일체형 부분들)은 제 2 인덱싱 표면 및 제어 요소(550)와 회전한다. 예컨대, 블랭크(500) 및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블랭크(600)를 랩핑하기에 앞서 접착제가 제 3 섹션(613)에 도포된다. 따라서, 제 2 필터 섹션(114)은 끽연류의 제 1 부분에 단단하게 그리고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 3 섹션(613)은 지지 섹션(522)에 부착되고, 이는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512a, 512b)들에 의해 길이방향 이동(즉, 인덱싱 방향에 수직)이 방지된다. 따라서, 블랭크(600)는 랩핑될 때 길이방향 이동이 또한 방지된다.
블랭크(600)의 제 1, 제 2 및 제 3 섹션(611, 612, 613)들은, 예컨대 블랭크(200)의 제 2 섹션(214)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블랭크(600)는 마우스 단부 로드 물품, 예컨대 제 2 필터 섹션과 제 2 인덱싱 표면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한다. 블랭크(600)는 제 2 필터 섹션을 제 1 필터 섹션에 커플링하고,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블랭크(600)는 통기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끽연류의 외부 표면을 제공한다. 예컨대, 블랭크(600)의 제 1, 제 2 및 제 3 섹션(611, 612, 613)은 지지 섹션(522)보다 더 큰 면적을 제공하며 이는 통기를 제어하기 위해 파지되고 끽연류의 제 1 부분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블랭크(600)는 길이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접촉 표면과 제 2 필터 섹션 사이의 연결부를 제공한다.
블랭크(600)는 제 1 지지 섹션(512a) 위에 놓이는 제 4 섹션(614)을 더 포함한다. 제 4 섹션(614)은 제 1 간격 섹션(512a) 주위로 이동 가능하고, 제 4 섹션(614)에 부착되지 않는다. 제 4 섹션(614)은 통기 구역(670)을 형성한다.
제 4 섹션(614)은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제 2 부분의 다른 구역을 제공한다. 제 4 섹션(614)은 (통기 구역(670)을 통하여)이들을 통한 통기를 가능하게 하고, 제 1 및 제 2 통기 구역(570, 572)들에 대하여 또한 이동 가능하다. 제 4 섹션(614)의 위치에 있는 랩핑된 블랭크(500, 600)들을 통하는 횡단면은 끽연류의 제 1 및 제 2 부분들에 대한 부착에서 교번하는 4 개의 층들을 나타낸다. 따라서, 모든 4 개의 층들은 인접한 층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로드 물품(110)에 인접한 것으로부터 차례로, 랩핑된 층들은 : 제 1 지지 섹션(512a)(제 1 부분), 제어 요소(550)(제 2 부분), 제 1 지지 섹션(512a)(제 1 부분) 그리고 제 4 섹션(614)(제 2 부분)이다.
블랭크(600)는 다른 제 5 섹션(615)으로부터의 블랭크(600)의 제 4 섹션(614)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취성 연결부(626)를 더 포함한다. 취성 연결부(626)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랭크(600)의 재료의 천공부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 5 섹션(615)은 제 1 지지 섹션(512a) 위에 놓인다. 제 5 섹션(615)은 제 1 지지 섹션(512a)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블랭크(500) 및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블랭크(600)를 랩핑하기에 앞서 접착제가 제 5 섹션(615)에 도포된다. 따라서, 일단 취성 연결부(626)가 파손되면, 제 5 섹션(615)은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이동 가능하고, 즉 제 1 인덱싱 표면 및/또는 제 1 필터 섹션에 부착된다.
일체형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섹션(611, 612, 613, 614)들은 간격 섹션들 중 하나(예컨대, 후방 간격 섹션(512b)과의 접촉에 의해 반경 방향 위치로 유지되는 튜브를 형성한다. 튜브는 제 2 인덱싱 표면(304)에 부착되고, 이를 지지한다. 따라서, 제 2 인덱싱 표면(304)의 반경 방향 위치가 유지된다.
끽연류들의 제 2 부분은 블랭크(600)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섹션(611, 612, 613, 614)들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취성 연결부는 제 3 섹션(613)과 제 4 섹션(614) 사이에 있을 수 있고 제 4 섹션(614)은 끽연류의 제 1 부분의 일부이다.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 주위에 내부 층 및 외부 층을 갖는 끽연류의 예이다. 내부 및/또는 외부 층들은 더 적은 또는 더 많은 분리 라인들 또는 접착제 면적들에 의해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외부 랩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내부 랩 주위에 배열되어서, 내부 랩의 적어도 일부는 반경 방향으로 외부 랩 내에 있다. 내부 및 외부 랩들은 일반적으로 관형이고, 특히 원통형이다.
제작 동안, 블랭크(200, 300)들 또는 블랭크(200, 400)들은 끽연류를 형성하기 위해 로드 물품들 주위로 각각 2 회 랩핑된다. 대안적으로, 블랭크(500)는 3 회 랩핑되며, 블랭크(600)의 단일 랩이 뒤따른다.
대안적으로, 블랭크(200, 300, 400, 500, 600)의 특징들의 2 개(또는 그 초과)를 포함하는 블랭크는 2 개(또는 그 초과)의 끽연류들을 형성하기 위해 로드 물품들 주위에 적절한 횟수로 랩핑된다. 랩핑은 실질적으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실행된다. 로드 물품은 2 개(또는 그 초과)의 별개의 섹션들로 절단될 수 있고, 하나가 각각 끽연류를 위한 것이다.
도 7은 제 1 블랭크(701) 및 제 2 블랭크(7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블랭크(701, 700)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기능하며, 이하의 차이들을 갖는다. 동등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제 2 블랭크(700)는 도 4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된 취성 연결부(426, 428)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제 2 블랭크(700)의 특징들은 또한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된 취성 연결부(426, 428)들 없이 도 1 내지 도 4에 설명된 바와 같이 블랭크에 적용 가능하다. 블랭크(700, 701)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층들, 특히 복수의 층들을 갖는 튜브들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되도록 구성된다.
제 2 블랭크(700)는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될 때 튜브로서 제 2 블랭크를 고정시키기 위해 내부 층(730), 외부 층(740) 그리고 겹침부(711)에 걸쳐 일체형으로 연장하도록 배열되는 재료를 포함한다.
제 2 블랭크(700)는 실질적으로 제어 요소(250)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통기를 제어하고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요소(750)를 포함한다. 제어 요소(750)는 이동 방향으로 제어 요소의 에지들에서, 즉 제어 요소(750)의 원주 에지에서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은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연장한다.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은 제어 요소의 이동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연장한다.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은 슬로프형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은 실질적으로 직선이며, 즉 일정한 각도로 연장한다. 각이 진 에지들은 길이방향 위치의 변동에 따라 원주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한다. 각이 진 리딩 에지(leading edge) 및/또는 트레일링 에지(trailing edge)는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10 내지 45도의 각도만큼, 선택적으로는 15 내지 35도의 각도 만큼 각이 진다.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은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대향 방식으로 각이 진다.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은 지지 섹션(73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각이 진다. 부착된 섹션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어 요소(750)의 원주 범위는 부착된 섹션에 가까운 제어 요소(750)의 원주 범위보다 더 작다. 대안적으로,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은 휘어질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의 적어도 일부는 랩핑될 때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에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은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각이지고, 예컨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733a, 733b)들은 또한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및/또는 제어 요소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연장한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733a, 733b)들은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로 연장하고/하거나 상호 보완적인 형상을 갖는다.
제 1 블랭크(701)는 지지 섹션(720)을 포함한다. 지지 섹션(720)은 도 2에 대하여 설명된 지지 섹션(3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지지 섹션(720)은 취성 연결부(725)들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초과(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간격 섹션들(710), 즉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들(710)에 부착된다. 지지 섹션(720)은 로드 물품(110)들의 적어도 1 회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지지 섹션(720)은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를 포함한다.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는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먼저 랩핑되는 지지 섹션(720)의 최초 지점을 형성한다. 리딩 에지(721)는 원주 리딩 에지로서 고려될 수 있는데, 이는 리딩 에지(721)가 섹션의 원주 에지에 있기 때문이다.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는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연장한다.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는 제어 요소의 이동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연장한다.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는 슬로프형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는 실질적으로 직선이며, 즉 일정한 각도로 연장한다. 대안적으로,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는 휘어질 수 있다.
제 1 블랭크(701)는, 상기 설명된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들과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갖고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710a, 710b)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2 간격 섹션(710b)은 제어 요소(750)에 의해 제어될 때 통기 공기가 제 2 간격 섹션(710b)을 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배열되는 통기 구멍(772)들을 포함한다.
제 1 블랭크(701)는 제 1 간격 섹션(710a)과 제 2 간격 섹션(710b) 사이에 스페이서 연결부(724)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연결부(724)는 제 1 블랭크(701)의 리딩 에지에 있고, 즉 로드 물품(110)들 주위에 먼저 랩핑되는 블랭크(701)의 지점에 있다. 스페이서 연결부(724)는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710a, 710b)들의 리딩 에지들을 연결한다.
스페이서 연결부(724)는 제 1 간격 섹션(710a)과 제 2 간격 섹션(710b) 사이의 일체형 연결부이다. 스페이서 연결부(724)는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710a, 710b)들, 그리고 제 1 블랭크(701)의 나머지와 동일한 시이트 재료로 형성된다. 스페이서 연결부(724)는 제 1 간격 섹션(710a)과 제 2 간격 섹션(710b) 사이의 길이방향 공간에서 연장한다. 스페이서 연결부(724)는 블랭크(701)의 내부 층을 형성하는 제 2 부분(711b)들을 연결하고, 블랭크(701)의 외부 층을 형성하는 제 1 부분(711a)으로 연장하지 않는다. 스페이서 연결부(724)는 지지 섹션(720)(및 폴(340))이 이동 가능한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710a, 710b)들을 분리시키는 공간을 가로질러 연장한다.
스페이서 연결부(724) 그리고 제 1 및 제 2 섹션(710a, 710b)들은, 랩핑될 때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의 방향으로 블랭크(701)의 전체 길이로 연장하는 시이트 재료의 연속적인 구역을 제공한다. 스페이서 연결부(724)는 간격 섹션(710)들에 영구적으로 및/또는 일체형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스페이서 연결부(724)와 간격 섹션(710a, 710b)들 사이에는 취성 연결부가 없다.
스페이서 연결부(724) 및 간격 섹션(710)들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구역들은,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제 1 블랭크(701)의 랩핑을 시작하기 위해 로드 물품들에 최초에 부착된다. 스페이서 연결부(724)는 블랭크(701)가 로드 물품(110)들에 대한 부착의 단일 최초 구역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간격 섹션(710a, 710b)들은, 로드 물품들에 대한 별개의 부착을 요구하는 시이트 재료의 독립적인 기다란 섹션들과 같이 부착되지 않는다. 대신, 제 1 블랭크(701)의 단일 구역이 로드 물품들에 부착되고, 이 단일 구역은 제 1 블랭크(701)의 전체 길이방향 범위를 가로질러 연장한다. 따라서, 간격 섹션(710a, 710b)들의 리딩 에지들의 연결은 로드 물품들에 대한 제 1 블랭크(701)의 최초 부착을 개선한다.
스페이서 연결부(724) 그리고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710a, 710b)들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블랭크(701)의 선단 에지는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특히, 제 1 블랭크(701)의 리딩 에지는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각이 지지 않는다. 스페이서 연결부(724) 그리고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710a, 710b)들은 리딩 에지에서 그리고 이에 인접하여 로드 물품(들), 즉 제 1 필터 섹션(112)에 부착된다. 일부 예들에서, 스페이서 연결부(724) 그리고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710a, 710b)들은 로드 물품의 전체 원주 주위로 또는 스페이서 연결부(724)의 전체 원주 범위에서 로드 물품(들)에 또한 부착된다.
스페이서 연결부(724)는 리딩 에지로의 스페이서 연결부(724)의 원주 방향 대향 단부에 트레일링 에지(726)를 갖는다.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는 제 1 간격 섹션과 제 2 간격 섹션(710) 사이에서 연장한다.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는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연장한다.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는 제어 요소의 이동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연장한다.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는 슬로프형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는 실질적으로 직선이고, 즉 일정한 각도로 연장한다.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는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에 평행하고/하거나 상호 보완적이다. 대안적으로,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는 휘어질 수 있거나, 상기 설명된 각이 진 제한 표면(753a, 753b)들 또는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의 임의의 특징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는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고, 즉 각이 지지 않는다.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 그리고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710)들은 제 1 블랭크(701)의 구멍(722)을 형성한다. 구멍(722)은 지지 섹션(720)이 안으로 이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구멍(722)은 제어 요소(750)의 이동의 원주 범위보다 더 큰 원주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는 제어 요소(750)의 이동 범위를 결정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구멍(722)은 제어 요소(750)의 이동의 원주 범위와 동일한 또는 그 미만인 원주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는, 단독으로 또는 맞물림 표면(733a, 733b)들과 협동하여 제어 요소(750)의 이동 범위를 결정한다.
임의의 설명된 각이 진 리딩 에지 및/또는 트레일링 에지는 단지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된 시이트 재료의 블랭크의 길이방향 범위의 일부에 걸쳐 연장한다. 제 1 또는 제 2 부분의 각이 진 에지를 포함하는 섹션은 제 1 또는 제 2 부분 중 다른 부분인 길이방향으로 및/또는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 섹션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섹션은 동일한 반경 방향 층, 예컨대 동일한 블랭크의 동일한 층으로서 최초에 부착되는 층을 나타낼 수 있다.
각이 진 리딩 에지 및/또는 트레일링 에지를 갖는 임의의 섹션은 각이 진 에지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취성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접한 취성 연결부는 각이 진 에지에 바로 인접할 수 있어서, 각이 진 에지는 취성 연결부까지 연장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각이 진 에지는 각이 진 에지를 형성하는 섹션의 길이방향 에지까지 연장한다. 일부 예들에서, 취성 연결부는 각이 진 에지의 하나 이상의 길이방향 에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리딩 에지 및/또는 트레일링 에지를 형성하는 시이트 재료의 섹션은 끽연류의 아래에 놓이는 구역의 위에서 이동 가능하고/하거나 끽연류의 로드 물품 주위로 랩핑된 아래에 놓이는 시이트 재료의 위에서 이동 가능하다. 일부 예들에서, 리딩 에지 및/또는 트레일링 에지를 형성하는 시이트 재료의 섹션은 끽연류의 로드 물품 주위에 랩핑되는 위에 놓이는 시이트 재료의 아래에서 이동 가능하다.
일부 양태들에서, 리딩 에지 및/또는 트레일링 에지에 인접한 시이트 재료의 섹션은 끽연류의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 예컨대 아래에 놓이는 또는 위에 놓이는 부분에 부착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각이진 리딩 에지 및/또는 트레일링 에지는 각이 진 리딩 에지 및/또는 트레일링 에지를 형성하는 섹션을 포함하는 블랭크의 리딩 에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다. 일부 예들에서, 각이 진 리딩 에지 및/또는 트레일링 에지는 블랭크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섹션의 리딩 에지 및/또는 트레일링 에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다. 원주 간격은 각이 진 에지가 별도로 이격되어서, 블랭크 또는 섹션의 리딩 에지와 각이 진 에지 사이에 원주 간격(0 이 아님)이 있게 된다. 일부 예들에서, 각이 진 리딩 에지는 각이 진 에지가 형성되는 블랭크의 리딩 에지까지 연장하지 않는다. 각이 진 에지는 블랭크의 리딩 에지와 블랭크의 트레일링 에지 사이에 있을 수 있다. 각이 진 에지는 블랭크의 리딩 에지로부터 이격되고 블랭크의 트레일링 에지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블랭크의 리딩 에지 또는 블랭크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섹션은 각이 진 리딩 에지 및/또는 트레일링 에지에 앞서 랩핑된다.
제 1 또는 제 2 블랭크(701, 700)의 하나 이상의 에지, 특히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733a, 733b)들,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 및/또는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가 각이 진 것으로서 설명되었다. 각이 진 에지(들)는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될 때 나선형으로(즉, 나선형, 또는 소용돌이형)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각이 진 에지들은 길이방향 및 원주 방향 모두로 연장한다.
에지의 각도는 로드 물품들 주위로 정확한 튜브(즉, 원통형 튜브)로 제 1 또는 제 2 블랭크(701, 700)의 시이트 재료를 랩핑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에지의 각도는 에지에 인접한 블랭크가 관형 의향의, 즉 실린더로부터 멀어져서 연장하는 횡단면을 갖는 범위를 방지할 수 있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랩핑된 블랭크의 직경이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변하는 것에 대한 최소한의 경향이 있다. 랩핑된 블랭크의 직경 및 횡단면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에지의 각도는 재료의 나머지가 에지를 형성하기 전에 랩핑되는 에지의 최초의 지점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재료는 최초의 지점을 따르고, 의도된 관형(원통형) 형상에 가깝게 랩핑하는 것이 의도된다. 이러한 랩핑은 에지를 형성하는 재료가 아래에 놓이는 층 또는 로드 물품에 점착되거나(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또는 점착되지 않을 때 유리하다. 각이 진 에지는 블랭크의 리딩 에지로부터 이격된다.
예컨대, 에지의 길이방향 극한들 사이의, 블랭크의 재료가 에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범위가 감소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에지가 로드 물품들의 곡률에 대한 접선을 향하여 연장하는 양은 감소된다. 에지의 각도는 내부 층이 부착되지 않는 에지들, 예컨대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 또는 제어 요소의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753a, 753b)들에 대하여 특히 유리하다. 각이 진 에지는 시이트 재료의 다른 층에 의해 오버랩핑될 때 또한 유리하다. 특히, 각이 진 에지는 원통형의 아래에 놓이는 표면에 각이 진 에지의 밀착을 제공하며, 이는 원통형 형상에 대한 위에 놓이는 층의 밀착을 가능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8은 제 1 블랭크(801) 및 제 2 블랭크(8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블랭크(801, 800)는 실질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구성되고 기능하며, 이하의 차이들을 갖는다. 동등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제 1 블랭크(801)는 로드 물품들 주위로 3 회 랩핑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블랭크(801)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통기를 제어하고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채널(839) 내에서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850)를 포함한다. 제어 요소(850)는 이동 방향으로 제어 요소의 에지들에서, 즉 제어 요소(850)의 원주 에지에서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853a, 853b)들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853a, 853b)들은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연장한다.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853a, 853b)들의 각도는 도 7의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들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833a, 833b)들은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및/또는 제어 요소의 이동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또한 연장한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833a, 833b)들은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853a, 853b)들과 동일한 각도로 연장하고/하거나 이들에 대하여 상호 보완적인 형상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833a, 833b)들의 각도는 도 7의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733a, 733b)들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다.
제 1 블랭크(801)는 지지 섹션(820)을 포함한다. 지지 섹션(820)은 도 5에 대하여 설명된 지지 섹션(52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지지 섹션820)은 취성 연결부(825)들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초과(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간격 섹션들, 즉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810a, 810b)들에 부착된다. 지지 섹션(820)은 로드 물품(110)들의 한 번 이상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특히, 지지 섹션(820)은, 블랭크(801)의 랩핑의 제 2 및 제 3 층들에서, 로드 물품(110)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2 회 연장한다. 지지 섹션의 외부 (제 3) 층은 랩핑의 중간 (제 2) 층에 부착하기 위해 라인(827)으로부터 접착제(828)를 포함한다.
지지 섹션(820)은 지지 섹션 리딩 에지(821)를 포함한다. 지지 섹션 리딩 에지(821)는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먼저 랩핑되는 지지 섹션(820)의 최초 지점을 형성한다. 지지 섹션 리딩 에지(821)는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연장한다. 지지 섹션 리딩 에지(821)의 각도 및 형상은 도 7의 지지 섹션 리딩 에지(721)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제 1 블랭크(801)는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810a, 810b)을 연결하는 스페이서 연결부(824)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연결부(824)는 제 1 블랭크(701)의 리딩 에지에 인접하며, 즉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먼저 랩핑되는 블랭크(701)의 지점에 인접한다. 스페이서 연결부(824)는 도 7에 대하여 설명된 스페이서 연결부(724)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기능한다.
스페이서 연결부(824) 및 간격 섹션(810a, 810b)들의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구역들은, 예컨대 접착제에 의해, 제 1 블랭크(801)의 랩핑을 시작하기 위해 로드 물품들에 최초에 부착된다. 스페이서 연결부(824)는 블랭크(801)가 로드 물품(110)들에 대한 부착의 단일 최초 구역을 갖는 것을 제공한다. 간격 섹션(810a, 810b)들은, 로드 물품들에 대한 별개의 부착을 요구하는, 시이트 재료의 독립적인 기다란 섹션들과 같이 부착되지 않는다. 따라서, 간격 섹션(810a, 810b)들의 리딩 에지들의 연결은 로드 물품들에 대한 제 1 블랭크(801)의 최초 부착을 개선한다.
스페이서 연결부(824)는 리딩 에지에 대한 스페이서 연결부(824)의 원주 방향으로 대향 단부에서 트레일링 에지(826)를 갖는다.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826)는 제 1 간격 섹션(810a)과 제 2 간격 섹션(810b) 사이에서 연장한다.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826)는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어떠한 각도로 연장한다.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826)는 도 7의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726)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형상을 갖고 구성된다.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826), 지지 섹션 리딩 에지(821) 그리고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810a, 810b)들은 제 1 블랭크(801)의 구멍(822)을 형성한다. 구멍(822)은 지지 섹션(820)이 이동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일부 예들에서, 구멍(822)은 제어 요소(850)의 이동의 원주 범위보다 더 큰 원주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스페이서 연결부 트레일링 에지(826)는 제어 요소(850)의 이동 범위를 결정하지 않는다.
제 1 블랭크(801)는 블랭크의 제 1 및 제 3 층들에 제 1 및 제 2 통기 구역(870, 872)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통기 구역(870, 872)은 도 5에 대하여 설명된 통기 구역(570, 572)들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제 2 블랭크(800)는 전방 구역(880) 및 후방 구역(882)으로의 블랭크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취성 연결부(830)를 포함한다.
전방 구역(880)은 제 3 통기 구역(874)을 포함한다. 제 3 통기 구역(874)은 도 6에 대하여 설명된 통기 구역(670)과 동일하게 구성되고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전방 구역(880)은 제 1 간격 섹션(810a)에 부착하도록 배열된다. 제 3 통기 구역(874)을 형성하고 제어 요소 위에 놓이는 전방 구역(880)의 구역은 제 1 블랭크에 부착되지 않는다. 후방 구역(882)은 지지 섹션(820) 및 제 2 필터 섹션(114)에 부착된다. 후방 구역은 제 2 필터 섹션(114)과 제 1 필터 섹션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한다. 연결부는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간격 섹션(810a, 810b)들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제한되는 지지 섹션을 포함하여서, 제 2 필터 섹션(114)은 동일한 이동 범위를 갖는다.
후방 구역(882)은 제 2 간격 섹션(810a) 위에서 연장하고 이에 부착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 또한 적용 가능하듯이,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되는 블랭크들의 최외측 층(800)은 단지 제 1 필터 섹션과 제 2 필터 섹션 사이의 연결을 제공한다. 제 1 필터 섹션에 대한 최외측 층의 부착은 길이방향으로 블랭크에 인접한, 분리 가능한 부분에 의해 제한되는 섹션(예컨대, 지지 섹션(820)을 통한 것이다. 게다가, 간격 섹션의 외부에 의한 제 2 섹션에 대한 섹션의 접촉은 제 1 및 제 2 인덱싱 표면들의 반경 방향 위치지정을 제공한다. 제 2 블랭크(800)의 특징들은 도 6에 대하여 설명된 블랭크(600), 또는 단일 랩 외부 (제 2) 블랭크를 갖는 임의의 연관된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며, 그 역도 가능하다. 제 2 블랭크(800)의 구역들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들 "전방" 및 "후방"은 교번하는 실시예에서 반대가 될 수 있다.
도 9는 제 1 블랭크(901, 901') 및 제 2 블랭크(9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블랭크(901, 901', 900)들은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기능하며, 이하의 차이들을 갖는다. 동등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제 1 및/또는 제 2 블랭크들은 로드 물품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복수의 횟수로 랩핑하도록 각각 배열된다. 따라서, 끽연류는 복수의 완전히 일체형으로 부착된 층들(예컨대, 2 개의 층들)을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튜브들을 포함한다.
제 2 블랭크(900)는 2 개의 끽연류들을 제작하도록 구성된 블랭크(900')의 절반으로서 도시된다. 블랭크(900')는 라인(960)을 따라 절단되도록 배열된다. 블랭크(900')는 2 개의 제 2 블랭크(900)들을 포함한다. 2 개의 블랭크(900)들은 2 개의 끽연류들의 제작을 위해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랩핑될 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2 개의 별개의 제 1 블랭크(901, 901')들이, 로드 물품(110')들 및 제 2 블랭크(900')에 대한 부착을 위해 또한 도시된다. 특히, 2 개의 제 1 블랭크(901, 901')들 및 로드 물품(110')들은 절단 라인(960)을 중심으로 대칭이다.
각각의 제 2 블랭크(900) 상의 통기 구멍(970) 및/또는 제어 요소(9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랭크(900')에 배열되어서, 최초의 이동 방향 및 최초 통기는 2 개의 최종 끽연류들에서와 동일하다. 예컨대, 통기 구멍(970) 및/또는 제어 요소(950)의 배열은 비대칭이며, 예컨대 분리 라인(960)에 대한 반영에서 비대칭이다. 통기 구멍(970) 및 제어 요소(950)의 형상 및 기능은, 상이하게 배열된 것이 설명될 것이지만, 실질적으로 도 7에 대하여 설명된 것 또는 임의의 다른 연관된 실시예와 같다.
로드 물품(110')들은 절단 라인(960)을 통하여 절반으로 절단되도록 구성된, 2 배 길이의 제 2 필터 섹션(114')을 포함한다. 절단된 2 배 길이의 필터 섹션(114')은 2 개의 제 2 필터 섹션들을 제공한다. 다른 로드 물품들은 대칭으로 배열된 2 개의 제 1 필터 섹션(112)들 및 2 개의 타바코 로드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필터 섹션(112) 및 타바코 로드는 단일 끽연류를 위한 치수를 갖는다. 제 2 블랭크(900) 및 제 2 필터 섹션(114')은 로드 물품(110')들 주위의 제 1 및 제 2 블랭크(901, 900)들의 랩핑 후에 절단된다.
제 1 블랭크(901, 901')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4 또는 도 7 중 어느 것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다. 임의의 실시예의 제 1 블랭크(901, 901')(또는 제 2 블랭크)는 임의의 다른 특징들과는 독립적으로, 임의의 실시예에 설명된 임의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블랭크(901, 901')는 실질적으로 도 7의 지지 섹션의 각이 진 리딩 에지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 섹션(920)에 각이 진 리딩 에지(921, 921')를 포함한다. 각이 진 리딩 에지(921, 921')들은 길이방향 축선에 대한 각도의 배향이 상이하다. 길이방향 축선으로부터의 각도의 크기는 동일하다. 각이 진 리딩 에지(921, 921')들의 리딩 부분은 모두 제 1 간격 섹션(910a)에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각이 진 리딩 에지(921, 921')의 리딩 부분은 모두 제 2 간격 섹션(910b)에 부착되거나,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910a, 910b)들 중 상이한 하나에 부착되거나, 길이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한다.
제 1 블랭크(901)는, 실질적으로 도 2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들의 리딩 에지들에서 연결되지 않는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910a, 910b)들을 포함한다. 제 1 간격 섹션(910a)은 제 2 간격 섹션(910b)의 길이방향으로 전방으로서(마무리된 끽연류의)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910a, 910b)들은,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 2 블랭크(900)는 제어 요소(950)를 포함한다. 제어 요소(950)는 채널(939)에서 이동 가능하고 도 3 또는 도 7에 도시된 제어 요소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통기를 제어한다. 제어 요소(950)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이동 축선에서의 제어 요소의 에지들에서, 즉 제어 요소(950)의 원주 에지에서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953a, 953b)들을 포함한다. 제 1 맞물림 표면(933a)(도시된 바와 같이)과 제 2 맞물림 표면(933b) 사이의 제어 요소(950)의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953a, 953b)들의 접촉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제한한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933a, 933b)들 그리고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953a, 953b)들은 임의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고, 예컨대 도 7 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각이 질 수 있다.
제 2 블랭크(900)는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복수의 횟수로 랩핑될 때 제 1 층 및 제 2 층을 형성하도록 배열된다. 제 2 블랭크(900)는 로드 물품들 주위로 2 회 랩핑된다. 제 1 층 및 제 2 층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단일 블랭크가 2 개(또는 그 초과)의 완전한 층들을 제공한다.
제어 요소(950)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의 일부(예컨대 이와 일체)이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은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될 때 내부 층(930)의 일부로서 블랭크(900)에 배열된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은 로드 물품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예컨대 단지 1 회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은 제어 요소(950)가 이로부터 연장하는 튜브이다. 제어 요소(950)는, 예컨대 튜브와 동일한 평면에서 또는 반경 방향 층에서 튜브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블랭크(900)의 최초의 일체형 외부 층(940)은 위에 놓이는 섹션(914)을 포함한다. 위에 놓이는 섹션(914)은 제어 요소(950) 위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위에 놓이는 섹션(914)은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하며, 예컨대 튜브이다. 위에 놓이는 섹션(914)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이, 통기를 변동시키기 위해 아래에서 이동(즉,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위에 놓이는 섹션(914)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에 부착되지 않으며, 예컨대 내부 대면 표면에 접착제가 제공되지 않는다. 위에 놓이는 섹션(914)은 최초에 제어 요소(950) 및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과 일체이고, 이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위에 놓이는 섹션(914)은 제어 요소(950) 및/또는 채널(239)과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통기 구역(970)을 포함한다. 제어 요소(950)는 통기 구역(970)의 가변적 부분(구역)을 선택적으로 커버하기 위해 이동 가능하다. 일부 예들에서, 통기 구역(970)은 복수의 별도의 통기 구역들, 예컨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별도의 구멍들을 포함한다. 통기 구역(970)은 로드 물품들에서, 예컨대 각각의 끽연류를 위한 제 2 필터 섹션(114')에서 통기 구역(972)과 정렬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필터 섹션의 그루브들 및 리지들보다, 제 2 필터 섹션의 통기 구역(972)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수월하다.
원주 주위의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의 단일 층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이 사용 동안 외부 층의 섹션과 일체인 도 3에 대하여 설명된 블랭크(200)와 대조적이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은 그와 다르게, 상기 설명된 것을 제외하면,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과 유사하고, 제어 요소 지지 섹션(236)의 특징들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은 끽연류의 제 1 부분에 부착된다. 예컨대,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은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910a, 910b)들 중 하나에 부착된다. 끽연류의 제 1 부분의 일부로서,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 및 제어 요소는 로드 물품의 제 1 인덱싱 표면(제 1 필터 섹션)과 및/또는 끽연 가능한 재료의 소스와 고정된 관계에 있다. 제 2 인덱싱 표면(폴)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 및 제어 요소(95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 및 제어 요소(950)는 끽연류의 제 1 부분의 일부로서 고려되고, 끽연류의 제 2 부분의 제 2 인덱싱 표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정의들은 반대로 될 수 있어서, 제어 요소는 항상 끽연류의 제 2 부분에 있는다. 이는 제어 요소가 제 2 인덱싱 표면과 연결되거나 함께 이동하는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대조적이다.
제어 요소(950)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의 길이방향으로 후방 측에 있다. 이는 제어 요소가 제어 요소 지지 섹션의 길이방향으로 전방 측에 있는 도 2 내지 도 8의 실시예들과 대조적이다. 도 9의 실시예는 "역전된(inverted)" 배열로서 고려될 수 있다.
제어 요소(950)는 끽연류의 로드 물품 또는 마우스 단부 섹션 위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특히, 제어 요소(950)는 제어 요소(95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로드 물품 또는 마우스 단부 섹션 위에 놓이도록 배열된다. 마우스 단부 섹션은 로드 물품, 특히 제 2 필터 섹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마우스 단부 섹션은 중공 튜브일 수 있다. 중공 튜브는 로드 물품의 예로서 고려된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은 끽연류의 마우스 단부 섹션 위에 놓이지 않는다. 대신,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은, 마우스 단부 섹션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비교적 전방 섹션 또는 로드 물품 위에 놓인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은 아래에 놓이는 로드 물품에 부착된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은 간격 섹션의 일부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일체형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 및 제어 요소(950)는 2 개의 아래에 놓이는 섹션들 또는 로드 물품들 사이의 경계면 위에서 연장한다. 제어 요소(950)는, 예컨대 끽연 가능한 재료의 소스의 제 1 부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후방 로드 물품, 또는 마우스 단부 로드 물품 안으로의 통기 공기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은 통기 공기의 흡기 위치가 비교적 후방 위치가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어 요소(950)는 제 2 필터 섹션 위에 놓이고, 일부 양태들에서, 제 2 필터 섹션 안으로의 통기 공기의 제어를 제공한다.
블랭크(900)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의 길이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하는 연결 섹션(934)을 더 포함한다. 연결 섹션(934)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의 전방 및 후방으로, 내부 및 외부 층(930, 940)들 모두에 일체형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위에 놓이는 섹션(914)은 연결 섹션(934)의 일부로서 고려될 수 있다. 연결 섹션(934)은 끽연류의 제 2 부분의 일부이다.
블랭크(900)는 내부 및 외부 층들 모두 위에서 일체형으로 연장하는 전방 섹션(941)을 더 포함한다. 전방 섹션(941)은 제 1 간격 섹션(910a) 위에 놓이고 이에 부착된다. 전방 섹션(941)은 끽연류의 제 1 부분의 일부이다. 전방 섹션(940)은 선택적으로 제 1 필터 섹션(112)을 타바코 로드(111)에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 및 제어 요소(950)는 취성 연결부(926)에 의해 연결 섹션(934)(및 위에 놓이는 섹션(914))에 부착된다. 취성 연결부(926)는, 제어 요소(950)를 형성하기 위해,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의 각각의 길이방향 측의 2 개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들, 그리고 다른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취성 연결부(926)는 위에 놓이는 섹션(914)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 및 제어 요소(950)는 내부 층을 형성하는 블랭크의 인접한 구역들, 그리고 일체형 외부 층을 형성하는 블랭크의 인접한 구역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경계면은 내부 층(930)과 외부 층(940) 사이에서 오프셋된다. 이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경계면을 통한 공기의 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방 섹션(941)은 내부 층의 내부 취성 연결부(928a)에 의해 그리고 외부 층의 외부 취성 연결부(928b)에 의해 연결 섹션(934)에 부착된다. 내부 및 외부 취성 연결부(928a, 928b)들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고,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일부 예들에서, 최초에 일체형인 블랭크의 내부 층 및 외부 층은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일부 양태들에서, 내부 층 및 외부 층은 내부 층과 외부 층을 분리하는 취성 연결부에서 떨어져 이동한다. 다른 양태들에서, 내부 층 및 외부 층은 함께 이동하며, 외부 층은 내부 층 위에 그리고 주위에 올려진다. 일부 예들에서, 컷-아웃이 제공될 수 있으며, 내부 층은 컷-아웃 안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는 외부 층이 내부 층의 취성 연결부에 의해 형성되는 에지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한 요구를 없앤다. 임의의 실시예가 외부 층의 대응 섹션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내부 층의 섹션 사이의 경계면에서 컷-아웃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섹션(934)은 제 2 인덱싱 표면(304)에 부착되도록 배열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연결 섹션(934)은 제 2 인덱싱 표면(304)을 지지하는 제 1 블랭크(901, 901')의 지지 섹션(920)에 부착된다. 연결 섹션(934)은 또한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933a, 933b)들을 형성한다. 지지 섹션(920) 그리고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933a, 933b)들에 대한 연결부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의 대향 길이방향 측들에 있다.
연결 섹션(934)은 또한 제 2 필터 섹션(114')을 둘러싸고 이에 부착된다. 연결 섹션(934)은 끽연류의 제 1 부분(예컨대 제 1 필터 섹션)과 제 2 필터 섹션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한다. 연결부는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지만 길이방향 이동은 가능하지 않다. 연결 섹션(934)은 단지 제 1 및 제 2 블랭크(901, 900)들의 최외측 층을 통하는 제 2 필터 섹션에 대한 연결부를 제공한다.
연결 섹션(934) 및 위에 놓이는 섹션(914)은 끽연류의 외부 마우스 단부 부분을 형성한다. 타바코 로드에 대한 이러한 외부 마우스 단부 부분의 회전은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이동을 실행시킨다. 특히, 제 2 필터 섹션, 연결 섹션(934), 지지 섹션(920) 및 제 2 인덱싱 표면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933a, 933b)들과 통기 구역(970)은 제 2 필터 섹션과 함께 회전한다. 제 2 인덱싱 섹션은 제 1 필터 섹션의 제 1 인덱싱 표면에 의해 인덱싱한다. 제어 요소(950)는 타바코 로드에 대하여 고정된 채로 남아있고, 타바코 로드에 대한 이러한 관계에서,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933a, 933b)들 그리고 통기 구역(970)은 고정 제어 요소(950)에 대하여 회전한다.
연결 섹션(934) 및 위에 놓이는 섹션(914)은 일체형이고 하나 이상의 간격 섹션 위에 놓이고 제 1 인덱싱 표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반경 방향 위치에서(즉, 부분적으로 떨어져 이격된, 일정한 위치) 제 2 인덱싱 표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단일 섹션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특히, 연결 섹션(934) 및 위에 놓이는 섹션(914)은 하나 이상의 간격 섹션에 인접하게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제 2 인덱싱 표면을 지지한다. 위에 놓이는 섹션(914)은, 제 2 간격 섹션(910b)에 부착되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의 외부 표면과 접촉한다. 따라서,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은 간격 기능을 갖고, 제 2 간격 섹션(910b)의 다른 부분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과 위에 놓이는 섹션(914)의 접촉은 일정한, 또는 최소의 반경 방향 위치에 위에 놓이는 섹션(914)을 유지하고, 이는 제 1 및 제 2 인덱싱 표면들의 최소의 분리를 유지한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의 다른 기능은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 또는 방지하도록 배열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접촉 표면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접촉 표면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936)의 전방 측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승된 에지이다. 상승된 에지는 블랭크(900)를 형성하는 시이트 재료의 두께이다. 접촉 표면은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제 2 필터 섹션의 분리를 방지하는 접촉 표면은 제어 요소(950)에 대하여 대향하는 길이방향 에지이다. 따라서, 제 2 필터 섹션은 끽연류의 제 1 부분에 단단하게 부착된다.
접촉 표면은 연결 섹션(934)의 다른 접촉 표면과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연결 섹션(934)의 다른 연결 표면은 또한 블랭크의 내부 층(930)에 있고/있거나,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2 개의 접촉 표면들은 최초에 블랭크(9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그 후 원주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분할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 또는 방지하는 접촉 표면들은 랩핑될 때 복수의 층들을 포함하는 블랭크의 동일한 랩핑된 층에 최초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연결 섹션(934)은 접촉 표면들 주위로 연장한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블랭크(900)는 베이스 통기를 제공한다. 베이스 통기의 구역은 제어 요소의 위치와는 독립적이다. 제2 블랭크는 베이스 통기 구역(976)을 포함한다. 베이스 통기 구역(976)은 원주 방향으로, 예컨대 내부 및 외부 층(930, 940)들 모두를 통하여 연장한다. 베이스 통기 구역(976)은 연결 섹션(934)에, 예컨대 제어 요소(950) 및 통기 구역(970)의 후방에 위치된다. 베이스 통기 구역(976)은 복수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통기 구멍들을 포함한다. 베이스 통기 구역(976)은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한다. 베이스 통기 공기는 제 2 필터 섹션(114')에 들어가도록 배열된다. 제 2 필터 섹션(114')은 정렬된 베이스 통기 구역(976')을 포함한다.
랩핑된 블랭크(900, 901)들을 포함하는 끽연류의 기능은, 제어 요소(950)가 선택적으로 통기 구역(970)을 커버하고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933a, 933b)들과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9의 실시예는, 제 2 블랭크(900)의 제어 요소(950) 및 제 1 블랭크(901)의 제 2 인덱싱 표면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지만, 도 1 내지 도 8의 실시예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도 10은 복수의 제 1 블랭크(901, 901')들로 절단되도록 구성된 블랭크(1001)를 도시한다. 제 1 블랭크(901, 901')들은 도 9에 설명된 바와 같다. 특히, 블랭크(1001)는 4 개의 블랭크(901, 901')들로 절단되도록 배열된다. 블랭크(1001)는 블랭크(901, 901')의 특징들의 4 개의 세트들을 갖고 구성된다. 블랭크(1001)는 라인(1002)들에 의해 나타낸 3 개의 절단 라인들을 따라 절단될 수 있다. 제작의 예시적인 방법에서, 블랭크(1001)는 4 개의 제 1 필터 섹션(112)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로드 물품(도시되지 않음) 주위로 랩핑되고 부착된다. 블랭크(1001) 및 로드 물품은 위치(1002)들에서 4 개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랩핑된 제 1 필터 섹션들을 제공하기 위해 함께 절단된다. 랩핑된 제 1 필터 섹션은 다른 로드 물품들과 정렬될 수 있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끽연류들을 형성하기 위해 제 2 블랭크(900)에 의해 랩핑될 수 있다.
각각의 블랭크(901)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간격 섹션(901a) 및 제 2 간격 섹션(901b)을 포함한다. 제 1 간격 섹션(901a)은, 끽연류의 길이방향으로 제 2 간격 섹션(901b)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다. 블랭크(1001)는 제 1 또는 제 2 간격 섹션(901a, 901b)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시이트 재료의 기다란 섹션들,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의 2 개의 간격 섹션(901a, 901b)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블랭크(901)는, 절단 라인(1002)에 의해 분리되도록 배열되는 서로 인접한 2 개의 제 2 간격 섹션(901b)들을 갖고 배열된다. 블랭크(1001)는 또한 2 개의 인접한 제 1 간격 섹션(901a)들을 포함한다.
블랭크(1001)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 섹션(920)들의 리딩 에지(921, 921')들이 에지(921, 921')의 부분이 에지(921, 921')의 다른 부분에 앞서 랩핑되도록 각이 지도록 배열된다. 대안적인 예에서, 에지(921, 921')들은 최초에 랩핑되는 에지(921, 921')의 부분이 제 1 및 또는 제 2 간격 섹션(901a, 901b)들을 형성하는 더 좁은 기다란 섹션들에 인접하도록 각이 진다. 이는 제 1 및 또는 제 2 간격 섹션(901a, 901b)들을 형성하는 좁은 기다란 섹션들에 인접한 지지 섹션(920)의 부가적인 재료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에지(921, 921')들은 상이한 구성으로 각이 질 수 있다. 각이 진 에지(921, 921')들은 임의의 실시예의 각이 진 에지들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특히 도 7 및 도 9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각이 진다.
블랭크(1001)는, 도 9에 도시된 배열과 함께 2 개의 끽연류들을 제작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대향 방식들로 각이 진 에지(921)들을 제 1 블랭크(901)에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블랭크(1001)는 복수의 동일한 제 1 블랭크(901; 901')들, 또는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910a, 910b)들에 대하여 상이한 배향들의 각이 진 에지(921, 921')들을 갖는 제 1 블랭크(901, 901')들과 유사한 블랭크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블랭크(1001)는 4 개의 블랭크(901, 901')들로 절단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블랭크(1001)는, 임의의 개수의 복수의 블랭크들로 절단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블랭크(1001)는 2 개, 4 개 또는 6 개의 동일한 또는 유사한 블랭크들로 절단되거나, 2 개의 유사한(하지만 상이한) 블랭크들의 각각의 하나로 절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은 제 1 블랭크(1101, 1102)의 2 개의 예들을 도시한다. 블랭크(1101, 1102)들은 실질적으로 도 9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기능하며, 이하의 차이들을 갖는다. 제 1 블랭크(1101, 1102)들은 2 개의 세트들의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랩핑하고, 도 9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2 개의 세트들의 제 2 블랭크(900')들에 의해 랩핑되도록 구성된다. 동등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제 1 블랭크(1101, 1102)들은 함께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910a, 910b)들의 리딩 에지를 포함한다. 스페이서 연결부(1124)는, 도 7에 대하여 설명된 스페이서 연결부(724)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리딩 에지를 연결한다. 스페이서 연결부(1124)의 트레일링 에지(1126, 1126')는, 도 7에 대하여 설명된 각이 진 에지(726)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각이 진다. 스페이서 연결부(1124)의 트레일링 에지(1126, 1126')의 배향은 지지 섹션(920, 921')의 리딩 에지(721, 721')들에 평행하다.
각각의 제 1 블랭크(1101)는, 도 2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또한 폴 지지 유닛이라고 불리는, 제 2 인덱싱 표면 지지 유닛(306)을 포함한다. 제 2 인덱싱 표면 지지 유닛(306)은 제 1 블랭크(1101, 1102)들을 형성하는 시이트 재료에 부착된다. 제 2 인덱싱 표면 지지 유닛(306)은 제 2 인덱싱 표면 또는 폴(304)을 포함한다. 제 2 인덱싱 표면(304)은 별개의 제 1 블랭크(1101, 1102) 상의 상이한 위치에 배열된다.
양쪽의 끽연류들은 통기에서 동일한 변동을 얻기 위해 동일한 방식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제공하기 위해, 지지 섹션(920)들 중 하나는 스페이서 연결부(1124) 위에서 회전하는 것이 요구된다. 폴(304)의 위치지정은 폴(304)이 스페이서 연결부(1124) 위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된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하부 블랭크(1102)는 각이 진 에지(721', 1126')들 사이의 컷-아웃 또는 공간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는 지지 섹션(920)을 갖는다. 상부 블랭크(1101)는, 스페이서 연결부(1124) 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측으로 이동하는 지지 섹션(920)을 갖는다. 폴(304)은 사용시 이동 방향으로 리드하는 지지 섹션(920)들의 에지로부터,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에지로부터 떨어져 이격된다. 따라서, 폴(304)은 스페이서 연결부(1124) 위에서 이동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선택으로서, 블랭크(1102)의 폴(304)은 이러한 동일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블랭크(1101, 1102)들로 절단되도록 구성되는 블랭크(1201)를 도시한다. 특히, 블랭크(1201)는, 각각의 타입의 2 개의, 4 개의 블랭크(1101, 1102)들로 절단되도록 배열된다. 블랭크(1201)는 블랭크(1101, 1102)들의 4 개의 세트들의 특징들을 갖고 구성된다. 블랭크(1201)는 라인(1202)들에 의해 나타낸 3 개의 절단 라인들을 따라 절단될 수 있다. 제작의 예시적인 방법에서, 블랭크(1201)는 4 개의 제 1 필터 섹션(11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로드 물품(도시되지 않음) 주위로 랩핑된다. 블랭크(1201) 및 로드 물품은 랩핑된 제 1 필터 섹션을 제공하기 위해 위치(1202)들에서 함께 절단된다. 랩핑된 제 1 필터 섹션은 다른 로드 물품들과 정렬될 수 있고, 예컨대 도 9 또는 도 11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끽연류들을 형성하기 위해 제 2 블랭크에 의해 랩핑될 수 있다.
지지 섹션(920)의 리딩 에지(921, 921')는, 실질적으로 도 7 내지 도 11 중 임의의 것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각이 진다. 각이 진 에지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이 교번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각이 진 에지들은, 예컨대 도 10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상이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 2 인덱싱 지지 섹션(304)의 위치는, 도 11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유사한(하지만 상이한) 타입들의 제 1 블랭크(1101, 1102)의 위치로 선택적으로 교번할 수 있다.
블랭크(1201)는 각각의 블랭크(1101, 1102)에 대하여 스페이서 연결부(1124)들로 절단되도록 구성되는 스페이서 연결부(1224)를 포함하는 리딩 에지를 갖는다. 스페이서 연결부(1224)는 도 11에 대하여 설명된 복수의 스페이서 연결부(1124)들로서 구성된다.
도 13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 주위로 외부의 2 개의 층들로서 랩핑되도록 구성되는 제 2 블랭크(1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 1 블랭크(1301)에 의해 이미 랩핑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로드 물품(110)들을 또한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블랭크(1301, 1300)는 실질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대하여, 특히 도 4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기능하며, 이하의 차이들을 갖는다. 동등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로드 물품(110)들은,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310a, 1310b)들을 포함하는 제 1 블랭크(1301)에 의해 랩핑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310a, 1310b)들은, 예컨대 도 2 및 도 3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배열되고 기능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310a, 1310b)들은 제 1 필터 섹션(112) 주위에 랩핑되어서, 이들 사이에 제 1 인덱싱 표면(116)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블랭크(1301)는 단지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310a, 1310b)들을 포함한다. 일 양태에서,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310a, 1310b)들은 최초에 분리되며, 개별적으로 부착된다. 대안적으로,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310a, 1310b)들은, 예컨대 스페이서 연결부(724)에 의해 랩핑에 앞서 함께 연결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310a, 1310b)들은 제 2 인덱싱 표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섹션에 최초에 부착되지 않는다. 대신, 제 2 인덱싱 표면 지지 유닛(306), 그리고 제 2 인덱싱 표면(폴)(304)은 제 2 블랭크(1300)에 부착된다. 예컨대, 제 2 인덱싱 표면(폴)(304)은 제어 요소(250)를 포함하는 블랭크(1300)의 동일한 섹션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 2 인덱싱 표면 및 제어 요소는 제 1 인덱싱 표면에 대하여 함께 이동하도록 배열된다.
제 1 블랭크(1301)는 통기 구역(1372)을 포함한다. 통기 구역(1372)은 제 1 스페이서 섹션(1310a)에 형성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 1 간격 섹션(1310a)은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랩핑되고, 그 후 통기 구역(1372)이 제 1 스페이서 섹션(1310a)에 형성된다. 따라서, 통기 구역(1372)은 단지 제 1 스페이서 섹션(1310a)이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랩핑된 후에만 형성된다. 예컨대, 통기 구역(1372)은 제 1 스페이서 섹션(1310a)의 일련의 구멍들을 발생하는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통기 구역(1372)은 제 1 간격 섹션(1310a)의 랩핑에 앞서 형성된다.
도 14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블랭크(140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블랭크(1401)는 실질적으로 도 8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기능하며, 이하의 차이들을 갖는다. 동등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제 1 블랭크(1401)는, 예컨대 도 8에 대하여 설명된 제 2 블랭크(800)인 제 2 블랭크에 의해 오버랩핑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블랭크(1401)는 단지 로드 물품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2 회 랩핑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및 외부 층은 도 5의 블랭크(500)에 의해, 또는 도 8의 블랭크(80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및 중간 층들에 대응한다. 특히, 도 5의 블랭크(500)에 의해, 또는 도 8의 블랭크(801)에 의해 제공되는 외부 층은 블랭크(1401)에 존재하지 않는다. 제 3 및 외부 층을 형성하는 도 5의 블랭크(500), 또는 도 8의 블랭크(801)의 일부는 선택적이다. 특히, 도 5의 블랭크(500)는, 제어 요소(550)에 의해 커버되도록 배열되는 내부 층(510)의 통기 구역(570)을 포함한다. 제 3 외부 층은 통기 구역(570)과 일치하는 다른 통기 구역(572)을 포함한다. 하지만, 블랭크(1401)에서 다른 통기 구역은 생략된다.
제 1 블랭크(1401)는 실질적으로 도 8에 설명된 바와 같은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410a, 1410b)들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410a, 1410b)들은 스페이서 섹션(824)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410a, 1410b)들은 제 1 블랭크(1401)의 2 개의 층들 위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1 블랭크(1401)는, 제 2 인덱싱 표면(304)을 지지하는 지지 섹션(1420)을 포함한다. 지지 섹션(1420)은, 예컨대 튜브를 형성하기 위해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1 회 연장한다. 지지 섹션(1420)의 트레일링 에지(1427)가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한다.
예컨대 제 1 간격 섹션(1410a)에 내부 층을 형성하는 블랭크(1401)의 구역은 통기 구역(1472)을 포함한다. 일부 예들에서, 통기 구역(1472)은 단일 구멍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통기 구역(1472)은 복수의 별도의 투과 구역들 또는 구멍들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로드 물품(110)들 중 하나는 다른 통기 구역(1470)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 1 필터 섹션(112)은 다른 통기 구역(1470)을 포함한다. 통기 구역(1472)은 다른 통기 구역(147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다른 통기 구역(1470)은, 예컨대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라인으로 복수의 별도의 통기 구역들 또는 구멍들을 포함한다. 다른 통기 구역(1470)은 레이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기 구역(1470, 1472)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는 복수의 별도의 통기 구역들 또는 구멍들을 포함한다.
도 15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랩핑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블랭크(1501) 및 제 2 블랭크(1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블랭크(1501)는 도 8에 대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기능하며, 도 9의 실시예와 연관된 배열을 갖고, 이하의 차이들을 갖는다. 동등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제 1 블랭크(1501)는, 예컨대 실질적으로 도 5 및 도 6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블랭크(1500)에 의해 오버랩핑되도록 구성된다.
제 1 블랭크(1501)는 로드 물품들의 전체 원주 주위를 3 회 랩핑하도록 구성되고, 겹침부를 제공하고 층들을 튜브들로서 고정하기 위해 작은 다른 랩핑을 갖는다. 제 1 블랭크(15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 물품들에 최초에 부착되는 우측 에지에 의해 랩핑된다. 특히, 우측 에지는 로드 물품들에 부착되고, 제 1 블랭크(1501)는 로드 물품들 주위로 연속으로 3 회 이상 랩핑된다. 제 2 블랭크(1500)는, 제 1 블랭크(1501)의 랩핑 후에 별개의 랩으로서 부착된다. 제 2 블랭크(1500)는 전체 원주 주위로 단지 1 회 연장하고, 겹침부를 제공하고 층을 튜브로서 고정시키기 위해 작은 다른 랩핑을 갖는다.
제 1 블랭크(1501)는, 실질적으로 도 8에 설명된 바와 같은 각이 진 리딩 에지(821)를 갖는 지지 섹션(1520)을 포함한다. 제 1 블랭크(1501)는, 실질적으로 도 8에 설명된 바와 같은, 연결된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510a, 1510b)들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510a, 1510b)들은 스페이서 섹션(824)에 의해 연결된다. 스페이서 섹션(824)은, 또한 도 8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랩핑될 때 끽연류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각이 지는 트레일링 에지(826)를 갖는다. 제 1 및 제 2 간격 섹션(1510a, 1510b)들은 제 1 블랭크(1501)의 모든 3 개의 층들에 걸쳐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제 1 블랭크(1501)는 제어 요소(1550)를 포함한다. 제어 요소(1550)는 도 5 또는 도 9에 도시된 제어 요소(550; 950)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통기를 제어한다. 제어 요소(1550)는 이동 축선에서 제어 요소의 에지들에, 즉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요소(1550)의 원주 에지에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1553a, 1553b)들을 포함한다. 제 1 맞물림 표면(1533a)(도시된 바와 같이)과 제 2 맞물림 표면(1533b) 사이의 제어 요소(1550)의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1553a, 1553b)들의 접촉은 그 사이에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채널(1539)을 형성한다.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1533a, 1533b)들 그리고 제 1 및 제 2 제한 표면(1553a, 1553b)들은 임의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고, 예컨대 도 9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각이 질 수 있다.
제어 요소(1550)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의 일부이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은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될 때 제 2 (중간) 층을 형성하기 위해 블랭크(1501)에 배열된다. 제어 요소(1550)는 로드 물품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1 회 이상 연장하는 동일한 층의 섹션의 일부이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은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1 회 이상, 또는 2 회 이상, 또는 3 회 이상 연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은 로드 물품들의 3 회의 전체 원주들에 걸쳐 연장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제어 요소(1550)를 포함하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은 간격 섹션들 중 하나, 즉 제 2 간격 섹션(1510b)과 일체형이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은 제 2 간격 섹션(1510b)에서와 동일한 블랭크(1501)의 섹션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제 1 블랭크(1501)의 외부 층은 위에 놓이는 섹션(1514)을 포함한다. 위에 놓이는 섹션(1514)은, 통기를 변동시키기 위해 제어 요소(1550)가 아래에서 이동(즉,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위에 놓이는 섹션(1514)은 통기 구역(1572)을 포함한다. 통기 구역(1572)은 제어 요소(1550) 및/또는 채널(1539)과 일치하도록 구성되고,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배열되고 기능한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은 끽연류의 제 1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은 제 1 필터 섹션(112)에 부착된다. 제 1 간격 섹션(1510a)은 또한 제 1 필터 섹션(112)에 부착된다. 끽연류의 제 1 부분의 일부로서,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은 로드 물품의 제 1 인덱싱 표면(제 1 필터 섹션)과 고정된 관계에 있다. 제 2 인덱싱 표면(폴)(304)은 끽연류의 제 2 부분의 일부이고, 실질적으로 도 9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 및 제어 요소(155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블랭크(1500)는 모든 3 개의 내부, 중간 및 외부 층들에서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의 길이방향 후방으로 연장하는 후방 섹션(1534)을 더 포함한다. 후방 섹션(1534)은 길이방향으로 프로파일된(profiled)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에 인접한 에지를 갖는다. 특히, 후방 섹션(1534)은 제 1 맞물림 표면(1533a) 및 제 2 맞물림 표면(1533b)을 형성하고, 예컨대 랩핑된 블랭크(1501)의 중간 층에서 채널(1539)을 형성하는 전방 에지를 갖는다.
후방 섹션(1534)은 랩핑된 블랭크(1501)의 내부 층에 보조 채널(1549)을 또한 형성한다. 보조 채널(1549)은 실질적으로 채널(1539)과 동일한 원주 및/또는 길이방향 범위를 갖는다. 보조 채널(1549)은 블랭크가 랩핑될 때 채널(1539)과 일치한다. 그리하여, 보조 채널의 에지들은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1533a, 1533b)과 일치하는 원주 에지(1543a, 1543b)들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1533a, 1533b)들은 끽연류의 2 개의 층들에 걸쳐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보조 채널(1549)은 통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통기는 로드 물품의 그리고 블랭크(1501)의 외부 층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역(1572, 1570)들의 선택적인 커버에 의해 제어된다. 채널 및 보조 채널(1539, 1549)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과 섹션(1534) 사이에 경계를 형성한다. 통기 공기는 채널(1539)을 통과할 수 있고 보조 채널(1549)과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또는 임의의 다른 채널의 임의의 특징이 또한 보조 채널(1549)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예에서, 블랭크(1501)는 제 1 및 제 2 필터 섹션(112, 114) 주위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특히 제 1 및 제 2 필터 섹션(112, 114)들의 전체 길이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한다. 블랭크(1501)는 타바코 로드(111) 주위로 연장하지 않는다.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은 제 1 취성 연결부(1526, 1526a)에 의해 후방 섹션(1534)에 부착된다. 제 1 취성 연결부(1526, 1526a)는 내부 및 중간 층들에 걸쳐 연장한다. 제 2 인덱싱 표면 지지 섹션(1520)은 제 2 취성 연결부(1527)에 의해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제 2 간격 섹션(1510b)에 연결된다. 제 2 인덱싱 표면 지지 섹션(1520)은 제 3 취성 연결부(1528)에 의해 제 1 간격 섹션(1510a)에 연결된다. 각각의 제 1, 제 2 및/또는 제 3 취성 연결부들은 랩핑될 때 실질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한다. 각각의 제 1, 제 2 및/또는 제 3 취성 연결부들은 블랭크(1501)의 시이트 재료에 천공부들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블랭크(1500)는 통기 구역(1570, 1572)들 및 채널(1539, 1549)들과 일치하도록 배열되는 통기 구역(1574)을 포함한다. 통기 구역(1574)은 제 2 블랭크(1500)의 전체 원주에 걸쳐 연장하여서, 통기 구역(1574)은 제어 요소(1550)의 위치지정의 변동에 의해 끽연류의 유효 통기를 직접 결정하지 않는다. 통기 구역(1574)은 원주 및/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별도의 통기 구역들을 포함한다.
제 2 블랭크는 제 4 취성 연결부(1530)를 포함하며, 이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고, 전방 구역(1580)과 후방 구역(1582)으로의 제 2 블랭크(1500)의 분리를 제공한다. 전방 구역(1580)은 단지 제 1 간격 섹션(1510a)에 부착된다. 후방 구역(1582)은 지지 섹션(1520), 및 섹션(1534)에 부착된다. 후방 구역(1582)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 또는 제 2 간격 섹션(1510b) 위에서 연장하지만, 이에 부착되지는 않는다. 후방 구역(1582)은 지지 섹션(1520)과 후방 섹션(1534)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후방 섹션(1534)은 제 2 필터 섹션에 부착되고,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은 제 1 간격 섹션과 제 2 간격 섹션 사이에서 길이방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 2 블랭크(1500)는 제 2 필터 섹션과 제 1 필터 섹션 사이의 연결부를 제공한다. 연결부는,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면서, 제 1 및 제 2 필터 섹션들을 고정된 길이방향 관계(예컨대 서로 인접함)로 유지한다. 다른 실시예들과 공통으로, 제 1 및 제 2 필터 섹션(112, 114)들 주위로 랩핑된 블랭크(들)의 최외측 또는 외부 층은 제 1 필터 섹션(112)과 제 2 필터 섹션(114) 사이에 연결부를, 또는 단지 연결부만을 제공한다.
제 2 블랭크(1500)의 후방 구역(1582)은 끽연류의 외부 마우스 단부 부분을 형성한다. 타바코 로드에 대한 이러한 외부 마우스 단부 부분의 회전은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이동을 실행시킨다. 특히, 제 2 필터 섹션(114), 후방 섹션(1534) 및 제 2 인덱싱 표면(304)은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1533a, 1533b) 그리고 통기 구역(1570, 1572)들은 제 2 필터 섹션과 함께 회전한다. 제 2 인덱싱 섹션은 제 1 필터 섹션의 제 1 인덱싱 섹션에 의해 인덱싱한다. 제어 요소(1550)는 타바코 로드에 대하여 고정된 채로 남아있고, 타바코 로드에 대한 이러한 관계에서,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1533a, 1533b)들 그리고 통기 구역(1570, 1572)들은 고정 제어 요소(1550)에 대하여 회전한다. 이 실행은, 제어 요소(1550)가 통기 구역(1570, 1572)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커버하고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1533a, 1533b)들과의 맞물림에 의해 회전을 제한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14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제어 요소(1550)는 로드 물품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1 회 이상 연장하는 섹션의 일부이다. 따라서, 도 15의 실시예는, 제 1 블랭크(1501)의 제어 요소(1550) 및 제 2 인덱싱 표면(304)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지만, 다른 실시예들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능한다.
제 1 블랭크(1501)는 제 2 필터 섹션(114)의 길이방향 인발을 제한 또는 방지하기 위해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접촉 표면들을 형성한다. 접촉 표면들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1536)의 전방 에지 및 제 2 인덱싱 표면 지지 섹션(1520)의 후방 에지에 의해 제공된다. 인접한 접촉 에지들은 최초에 동일한 블랭크(1501)의 일체형 부분이다. 접촉 에지들은 끽연류의 1 회 또는 그 초과의 횟수로 전체 원주들에 걸쳐 연장한다. 일부 예들에서, 접촉 에지들은 끽연류의 원주의 주위로 2 회 이상 연장한다.
도 16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랩핑되도록 구성되는 제 1 블랭크(1601) 및 제 2 블랭크(16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 블랭크(1601)는 도 15에 대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기능하며,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한 부분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블랭크(1601)는, 도 14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단지 내부 및 중간 층들(제 1 및 제 2 층들)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상이하다. 제 1 블랭크(1601)는 로드 물품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단지 2 회 랩핑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블랭크(1601)의 제어 요소(1550)는 로드 물품, 예컨대 제 2 필터 섹션(114)의 통기 구역(1570)과의 겹침 정도에 의해 통기를 제어한다. 제 2 블랭크(1600)의 통기 구역(1574)은 통기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단지 제어 요소(1550)가 통기를 결정하기 위해 가변적으로 위에 놓이는 통기 구역이 로드 물품에 있다.
대안적으로, 제 2 블랭크(160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끽연류의 통기를 결정하는 통기 구역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 2 블랭크(600)의 통기 구역은 원주의 단지 일부에 걸쳐 연장하고, 예컨대 통기 구역(1570)과(또는 그 대신) 정렬된다. 일부 예들에서, 제어 요소(1550)는 통기 구역(들)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고, 통기 구역(들)의 가변적인 양을 차단하거나 커버하는 제어 요소(1550)의 겹침의 양이 통기를 결정한다.
로드 물품의 및/또는 제 2 블랭크의 통기 구역(1574, 1570)은 원주 구역에 걸쳐 연장하는 단일 구멍 또는 복수의 별도의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기 구역(1570, 1574)들 주위의 로드 물품 및/또는 제 2 블랭크의 구역은 실질적으로 공기에 대하여 불투과성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보조 채널(1549)이 채널(1539)의 원주 범위 미만에 걸쳐 연장할 수 있어서, 랩의 내부 층은, 예컨대 상기 임의의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은 끽연류들의 유효 통기를 결정하는 통기 구역을 제공한다.
도 17 내지 도 19는 제작 방법들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들을 도시한다. 사용되는 용어들 및 예시된 프로세스들은 단지 예들이다. 일반적으로, 끽연류를 제작하는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로드 물품들은 끽연 가능한 재료의 소스, 제 1 필터 섹션 및 제 2 필터 섹션을 포함한다.
제 1 블랭크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 예컨대 제 1 필터 섹션 주위로 랩핑된다. 제 1 블랭크는 내부 및 외부 튜브를 제공하기 위해 전체 원주 주위로 복수의 횟수로(예컨대 2 회 또는 3 회) 랩핑하도록 치수를 갖는다. 제 1 블랭크에는 로드 물품 및/또는 내부 층에 점착하기 위해 접착제가 제공된다.
제 2 블랭크는 그 후 로드 물품들 및 제 1 블랭크 주위로 랩핑된다. 제 1 블랭크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튜브들을 제공하기 위해 전체 원주 주위로 1 회 또는 그 초과의 횟수로(예컨대, 1 회 또는 2 회) 랩핑되도록 치수를 갖는다. 제 2 블랭크에는 제 2 블랭크의 내부 층에 점착하고/하거나 내부 층 및/또는 로드 물품들에 점착하기 위해 접착제가 제공된다.
로드 물품들 및 블랭크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끽연류들을 동시에 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끽연류들이 동시적으로 만들어지면, 다른 단계가 2 개의 끽연류들을 제공하기 위해 2 배의 물품을 절반으로 절단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끽연류들을 제작하기 위한 제 1 방법(20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방법은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되며, 이하에 설명되는 차이들을 갖는다.
끽연류들은, 인덱싱 섹션 프로세스(2010) 및 제 2 필터 프로세스(2040)에서 형성된 구성요소들을 사용하여, 조립 프로세스(2050)에서 조립된다. 이러한 프로세스들이 이제 차례로 설명된다. 프로세스들은 1, 2 또는 4 개의 끽연류를 동시에 제작하는데 적절하고, 개별 끽연류들을 형성하기 위해 추후에 절단되는 구성요소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덱싱 섹션 프로세스(2010)는 제 1 인덱싱 섹션(116)을 갖는 필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인덱싱 섹션 프로세스(2010)는 시이트 재료, 예컨대 폴리머 필름(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름, 예컨대 CLARIFOIL) 또는 종이를 제공하는 단계(2021), 및 예컨대 대향되는 롤러들을 사용하여 그루브들 및 리지들을 갖는 인덱싱 프로파일을 엠보싱하는 단계(2022)를 포함한다. 프로세스(2010)는, 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인 여과 재료의 표준 토우를 제공하는 단계(2023)를 더 포함한다. 토우는 실린더로 형성되고(2024), 토우는 가소화된다(2025). 선택적으로, 흡수 첨가제, 예컨대 탄소 입자들이 토우에 부가된다(2026). 흡수 첨가제 입자들은 여과 재료에 걸쳐 분산된다. 인덱싱 프로파일을 갖는 필름은 제 1 필터 섹션을 포함하는 로드를 형성하기 위해 토우 주위로 랩핑되고, 로드는 필요하다면 어떠한 길이로 절단된다(2027).
도시된 방법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간격 섹션들이 제공되고(2028) 제 1 필터 섹션 주위로 랩핑된다(2029).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간격 섹션들은 길이방향으로 떨어져 이격된다.
제 2 필터 프로세스(2040)는, 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토우의 형태로, 종래의 여과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2041)를 포함한다. 토우는 실린더로 형성된다(2042). 토우는 가소제(2043)에 의해 가소화된다. 시이트 재료, 예컨대 페이퍼 플러그랩이 제공된다(2044). 여과 재료는 시이트 재료에 의해 랩핑되고, 랩핑된 여과 재료의 연속적인 로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제 2 필터 섹션들을 형성하기 위해 피스들로 절단된다(2045).
조립 프로세스(2050)는 프로세스(2010)로부터 제 1 인덱싱 표면(2051)을 갖는 제 1 필터를 수용한다. 제 1 인덱싱 표면(즉 래칫(ratchet))을 갖는 2 배 길이의 제 1 필터 섹션이 제공되고 절반으로 절단된다(2054). 조립 프로세스(2050)는 프로세스(2040)로부터의 표준 제 2 필터 섹션들을 제공하는 단계(2052)를 포함한다. 2 개의 제 2 필터 섹션(예컨대, 2 배 길이 제 2 필터)는 분리된 제 1 필터들 사이에 삽입된다(2054). 제 2 필터 섹션들은, 예컨대 첨가제가 없는, 플레인(plain)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가변적 통기 구멍들이, 예컨대 레이저에 의해 제 2 필터 섹션들에 형성된다(2056).
조립 프로세스(2050)는 제 2 인덱싱 표면을 형성하는 폴을 포함하는 폴 유닛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폴 유닛은, 블랭크를 절단하는(2061), 예컨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름인 시이트 재료(2060)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블랭크들은 분리되고(2062), 예컨대 롤러들에 의해 폴 프로파일, 예컨대 삼각형의 직립한 폴을 형성하기 위해 접힌다(2063).
내부 슬리브 또는 랩이, 예컨대 티핑 페이퍼인 시이트 재료(2065)를 제공함으로서 형성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멍들은 블랭크에서 절단되고(2067), 구멍들의 재료는 폐기물로서 제거된다(2068). 블랭크는 2 개의 끽연류들을 위한 슬리브들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가 블랭크에 도포된다(2069).
폴 유닛은 접착제에 의해 내부 슬리브 블랭크에 부착된다(2070). 일부 양태들에서, 2 개의 폴 유닛들은 각각 2 배 길이의 슬리브 블랭크에 부착된다. 단계(2071)에서, 슬리브 블랭크는 제 1 및 제 2 필터 섹션들 주위에 위치되고 폴은 간격 섹션들 사이에서 레지스터된다(2071). 슬리브 블랭크는 또한 단계(2072)에서 제공되는 타바코 로드들 주위로 연장하고, 제 1 필터 섹션들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일부 예들에서, 외부 슬리브 블랭크 또는 랩은, 예컨대 티핑 페이퍼인 시이트 재료(2075)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멍들은 블랭크에서 절단되고(2077), 구멍들의 재료는 폐기물로서 제거된다(2078). 블랭크는 2 개의 끽연류들을 위한 슬리브들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가 블랭크에 도포된다(2079). 외부 티핑 페이퍼 및 내부 티핑 페이퍼는 본 발명의 일부 양태들에서 일체형일 수 있다.
슬리브 블랭크들은 2 배 길이의 끽연류를 형성하기 위해 내부 랩, 제 1 및 제 2 필터들 및 타바코 로드들 주위에 실린더들로서 고정된다(2080). 2 배 길이의 제 2 필터는 2 개의 개별 끽연류들을 형성하기 위해 가로로 절단된다(2081).
설명된 방법은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들에 따라 끽연류를 제작하기 위해 프로세스 단계들을 조합하거나 바꾸기 위해 수정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끽연류들을 제작하기 위한 제 2 방법(2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방법은 도 17에 도시된 제 1 방법과 연관되며, 동일한 단계들은 동일한 번호를 갖는다. 제 2 방법은 또한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연관될 수 있으며, 이하에 설명된 차이들을 갖는다.
슬리브 또는 랩 블랭크는, 예컨대 티핑 페이퍼인 시이트 재료(2165)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랩은 로드 물품(110)들 주위에 2 개의(또는 그 초과의) 층들을 형성하도록 치수를 갖는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멍들은 블랭크에서 절단되고(2167), 구멍들의 재료는 폐기물로서 제거된다(2168). 블랭크는 2 개의 끽연류들을 위한 슬리브들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가 블랭크에 도포된다(2169).
단계(2170)에서, 단계(2063)(상기 설명됨)에서 형성된 폴이 블랭크에 부착된다. 예컨대, 폴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폴은,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랩핑될 때, 블랭크의 내부 층에 있도록 블랭크에 위치된다.
단계(2180)에서, 블랭크는 시이트 재료의 2 또는 그 초과의 층들을 형성하기 위해 2 회 또는 그 초과의 횟수로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된다. 블랭크의 랩핑은 제 1 필터 섹션에 대하여 타바코 로드를 또한 연결한다. 대안적으로, 타바코 로드는 타바코 로드 및 제 1 필터 섹션 주위로 랩핑되는 별개의 블랭크에 의해 부착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끽연류들을 제작하기 위한 제 3 방법(2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방법은 도 17에 도시된 제 1 방법과 연관되고, 동일한 단계들은 동일한 번호를 갖는다.
슬리브 또는 랩을 위한 내부 블랭크가, 예컨대 티핑 페이퍼인 시이트 재료(2265)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내부 랩(즉, 제 1 블랭크)은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2 개의(또는 그 초과의) 층들을 형성하도록 치수를 갖는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멍들은 블랭크에서 절단되고(2267), 구멍들의 재료는 폐기물로서 제거된다(2268). 블랭크는 2 개의 끽연류들을 위한 슬리브들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가 블랭크에 도포된다(2269).
단계(2270)에서, 단계(2063)(상기 설명됨)에서 형성된 폴이 블랭크에 부착된다. 예컨대, 폴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내부 슬리브 또는 랩이, 예컨대 티핑 페이퍼인 시이트 재료(2165)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내부 랩은 로드 물품(110)들 주위로 2 개의(또는 그 초과의) 층들을 형성하도록 치수를 갖는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멍들은 블랭크에서 절단되고(2167), 구멍들의 재료는 폐기물로서 제거된다(2168). 블랭크는 2 개의 끽연류들을 위한 슬리브들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는 블랭크에 도포된다(2169).
조립 프로세스(2050)에서, 외부 슬리브 또는 랩이, 예컨대 티핑 페이퍼인 시이트 재료(2275)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내부 랩은 랩핑된 제 1 필터 섹션 주위로 2 개의(또는 그 초과의) 층들을 형성하도록 치수를 갖는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기 구멍들이 블랭크에서 절단되고(2277), 구멍들의 재료는 폐기물로서 제거된다(2278). 블랭크는 2 개의 끽연류들을 위한 슬리브들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가 블랭크에 도포된다(2279).
단계(2280)에서, 블랭크는 시이트 재료의 2 또는 그 초과의 층들을 형성하기 위해 랩핑된 제 1 필터 섹션 주위로 2 회 또는 그 초과의 횟수로 랩핑된다. 외부 랩은 폴을 지지하는 섹션의 외부 표면과 고정되도록 맞물리도록 배열되고, 폴은 제 1 필터 섹션의 제 1 인덱싱 표면과 맞물린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제어 요소는 끽연류의 원주의 단지 일부에 걸쳐 연장한다. 따라서, 제어 요소의 회전은 통기 구멍을 커버할 수 있다.
제어 요소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에 일체형으로 부착된다. 부착은 지지 섹션 위에 놓이거나 아래에 놓이도록 제어 요소를 접는 것에 의한 것이 아니다. 제어 요소는 제어 요소 지지 섹션과 동일한 반경 방향 층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블랭크들은 최초에 제어 요소 및 지지 섹션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다른 반경 방향 층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별개의 반경 방향 층은 제어 요소 및 지지 섹션 주위로 랩핑될 수 있다.
아래에 놓이는 층에 대한 선택 부분들의 이동은 회전 이동으로서 설명되었다. 대안적으로, 이동은 길이방향 이동, 즉 로드 물품들 또는 끽연류들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른 길이방향 이동이다. 대안적으로, 이동은 길이방향 및 회전 이동의 조합이다.
제한기는 내부 랩과 일체로 형성되는 멈춤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대안적으로, 멈춤부는, 슬롯 내에서 이동 가능한 임의의 타입의 상승된 돌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멈춤부는, 상승된 돌기를 형성하는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멈춤부는 로드 물품들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임의의 실시예의 슬롯 안으로 연장한다. 일부 예들에서, 멈춤부는 외부 랩 및 로드 물품들 모두에 연결된다. 대안적인 배열에서, 멈춤부는 내부 층의 슬롯을 통하여 연장하고,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 층들 모두에, 즉 끽연류의 제 1 부분을 형성하는 로드 물품들과 외부 층 모두에 부착된다. 외부 랩 및 로드 물품들은 단일 유닛을 형성하고, 이들 사이에서 내부 랩이 회전 가능하다. 멈춤부는 외부 랩과 타바코 유닛 사이에 연결부를 제공한다. 멈춤부(272)는 외부 랩과 타바코 유닛 모두에 점착되는 접착제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 층들 모두에 대한 멈춤부(272)의 부착은 멈춤부(272)가, 예컨대 슬롯(271)을 형성하는 내부 랩(113)의 반경 방향 변형에 의해 슬롯(271)의 밖으로 이동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안적으로, 슬롯은 외부 랩에 형성되고, 슬롯 내에서 이동 가능한 멈춤부는 내부 랩에 부착된다.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된 복수의 층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즉 동일한 블랭크가 복수의 층들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대안적으로, 설명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층들은 별개의 블랭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즉 하나 또는 각각의 층은 별개로 랩핑된다. 게다가, 별개의 블랭크를 랩핑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층들은 임의의 다른 인접한 층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끽연류의 임의의 인접한 층은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인접한 층들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제 2 필터 섹션은 둘러싸는 랩(들)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는 임의의 타입의 섹션이다. 예컨대, 제 2 필터 섹션은 중공 원통형 튜브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끽연류는 끽연 가능한 재료의 소스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제 2 필터 섹션을 포함하지 않는다. 끽연류의 제 2 부분은, 실질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이 끽연류의 특성을 수정하기 위해 다른 외부 부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외부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필터 섹션은 이동 가능한 외부 부분들 중 하나에 연결되지 않는다.
임의의 실시예의 블랭크의 섹션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취성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대안적으로, 블랭크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이러한 취성 연결부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섹션들은 로드 물품들 주위로의 랩핑에 앞서, 또는 그 후에 블랭크를 절단함으로써 분리된다. 예컨대, 블랭크는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될 때 회전 나이프 또는 레이저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제어 요소 및 제어 요소가 이동 가능한 채널은 각각의 실시예에서 도시되었다. 대안적으로, 제어 요소 및 채널은 역전될 수 있고, 즉 제어 요소를 형성하는 섹션은 대신 채널을 형성하고, 채널을 형성하는 섹션은 제어 요소를 형성한다. 제어 요소는 채널 내에서 여전히 이동 가능하고, 전체 기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미세한 수정들이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임의의 실시예는 가변 통기 및 베이스 통기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통기는 통기 구역들, 예컨대 블랭크(들)의 모든 층들을 통하여 연장하는, 그리고 선택적으로 로드 물품들 주위의 랩의 구멍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 2 필터 섹션은 베이스 통기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통기 구역은 제 1 또는 제 2 통기 구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가변 통기 구역은 통기를 결정하기 위해 제어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버될 수 있는 부분 원주 범위를 가질 수 있거나, 정렬된 제어 요소의 위치가 이러한 통기 구역을 커버함으로써 통기를 결정하지 않도록 원주 주위로 연장할 수 있다.
끽연류의 제 1 및 제 2 부분은 인덱스된 단계들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대안적으로, 끽연류는 인덱싱 메커니즘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끽연류의 제 1 및 제 2 부분은 인덱스된 단계들로 이동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부분들은 연속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동의 범위는, 예컨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요소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통기 구역에 대한 제어 요소의 회전 위치는 인덱스되지 않고, 예컨대 위치는 연속적으로 선택 가능하다. 일부 예들에서, 선택된 위치는 서로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인접한 층들 사이의 마찰에 의해 유지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9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제 2 블랭크(90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랭크(90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 주위로 직접 랩핑된다. 로드 물품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필터 섹션들을 포함한다. 로드 물품들은 제 1 인덱싱 표면을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끽연류는 제 1 블랭크(901)를 포함하지 않는다. 블랭크(900)에는 컷-아웃이 제공될 수 있으며, 즉 예컨대 인접한 제어 요소 지지 섹션인 블랭크(900)의 구멍이 제공될 수 있다. 컷-아웃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이 컷-아웃 안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컷-아웃은, 예컨대 원주 방향으로 제어 요소 지지 섹션의 최초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컷-아웃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으로서 동일한 층에 공간을 제공하고, 제어 요소 지지 섹션이 그 안으로 이동 가능하다. 컷-아웃은 회전될 때 제어 요소 지지 섹션의 원주 에지가 블랭크(900)의 인접한 부분에 캐치되는(또는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끽연류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신뢰할 수 있는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블랭크의 이동 가능한 부분, 예컨대 제어 요소 지지 섹션에 인접한, 예컨대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컷-아웃은 최초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임의의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다.
간격 섹션들은 로드 물품들의 원주 주위로 1 회 또는 그 초과의 횟수로, 예컨대 로드 물품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1 회 또는 그 초과의 횟수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일부 양태들에서 내부 및 외부의 완전한 층을 형성하는, 로드 물품들 주위로 2 회 연장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간격 섹션들을 설명한다. 대안적으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간격 섹션(들)은 로드 물품들의 전체 원주 주위로 단지 1 회 연장한다. 게다가, 일부 양태들에서, 간격 섹션의 겹침부는 로드 물품들 주위의 튜브로서 간격 섹션들을 고정시키기 위해 그 자체에 부착된다. 간격 섹션의 단일 층은 제어 요소 지지 섹션에 연결되거나 취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절단되거나 취성)연결부는 각각의 간격 섹션(들)의 전체 원주 길이 주위로 연장한다.
설명된 임의의 특징들은 임의의 다른 특징들과는 독립적으로 청구될 수 있다. 예컨대, 상이한 층들에서 길이방향으로 오프셋되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경계면의 특징이 독립적으로 청구될 수 있다. 특히, 경계면은 일체형인 2 개의 층들에서 오프셋된다. 제 1 및 제 2 층들은 로드 물품들 주위로 단일 블랭크로서 랩핑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접촉 표면들은 또한 독립적으로 청구될 수 있다.
다양한 문제들을 처리하고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본 개시의 전체는 청구된 발명(들)이 실행될 수 있고 우수한 끽연류들 또는 끽연류 제작을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예시에 의해 도시한다. 개시의 이점들 및 특징들은 단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이며, 포괄적 및/또는 배타적이지 않다. 이들은 단지 청구된 특징들의 이해를 돕고 교시하기 위해 나타낸다. 본 개시의 이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된 것과 같은 개시에 대한 제한들로서 또는 청구항들과 동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서 고려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주 및/또는 사상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분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다양한 조합들을 적절하게 포함하고, 이들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본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다가, 본 개시는 현재에 청구되지 않지만, 미래에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한다.

Claims (29)

  1. 끽연류로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
    상기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 및
    상기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버되도록 구성되는 통기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요소는 회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 1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 제한 에지 및 제 2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2 제한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요소는 제 1 제한 에지와 제 2 제한 에지 사이의 통기 공기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고,
    상기 끽연류는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의 제어 요소의 상대 원주 위치가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요소에 의해 커버되는 통기 구역의 양이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직접 결정하는,
    끽연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 그리고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들은 동일한 재료의 시이트에 형성되는,
    끽연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 및/또는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들은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하는 복수의 층들로 배열되는 재료의 시이트에 형성되는,
    끽연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와 맞물림 표면들 사이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접촉 표면들을 포함하는,
    끽연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표면들은 실질적으로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하는,
    끽연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표면들 중 하나는 제어 요소에 부착되는 지지 섹션에 의해 형성되고, 선택적으로는, 상기 접촉 표면은 제어 요소에 대한 지지 섹션의 대향 길이방향 측에 있는,
    끽연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끽연류의 원주 주위로 연장하며,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후방 부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전방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제 1 층 및 제 2 층을 포함하고,
    제 1 경계면이 제 1 층의 이동 가능한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고 제 2 경계면이 제 2 층의 이동 가능한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경계면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경계면과 정렬되지 않고, 선택적으로는, 실질적으로 제 1 경계면의 전체 원주가 제 2 경계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는,
    끽연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는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들을 형성하는 섹션으로부터 제어 요소를 분리시키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취성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끽연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끽연류는 인덱싱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요소는 복수의 별도의 통기 레벨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인덱싱 메커니즘에 의해 제공되는 별도의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끽연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싱 메커니즘은 로드 물품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는 제 1 인덱싱 표면 및 제 1 인덱싱 표면의 복수의 피쳐들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돌기들을 포함하는 제 2 인덱싱 표면을 포함하는,
    끽연류.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싱 메커니즘은 로드 물품들 중 하나의 원주 주위로 연장하고 로드 물품 주위로 이동 가능한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튜브의 내부의 제 2 인덱싱 표면을 포함하거나 지지하는,
    끽연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는 부착된 지지 섹션을 넘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끽연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에 부착되는 지지 섹션은 끽연류의 전체 원주 주위로 연장하는,
    끽연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는 일체형 지지 섹션을 넘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재료의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섹션은 제어 요소와 동일한 반경 방향 층에서 연장하는,
    끽연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는 부착된 지지 섹션의 길이방향으로 후방 측에 있는,
    끽연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는 끽연류의 마우스 단부에서 위에 놓이고 로드 물품 안으로의 통기를 제어하고, 선택적으로는 끽연 가능한 재료의 소스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필터 섹션 위에 놓이고 필터 섹션 안으로의 통기를 제어하도록 배열되는,
    끽연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끽연류는 로드 물품 주위로 연장하는 제 1, 제 2 및 제 3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은 제 1 통기 구역을 포함하고 제 3 층은 제 1 통기 구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된 제 2 통기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층의 제어 요소는 제어 요소가 통기 레벨을 선택하기 위해 제 1 통기 층 및 제 2 통기 층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층과 제 2 층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끽연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 및 하나 이상의 통기 구역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 주위의 복수의 일체로 형성된 층들에 형성되고/되거나,
    별개의 또는 다른 부분이 제어 요소 그리고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들 위에 놓이고 끽연류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끽연류.
  19. 제 9, 제 10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끽연류는 끽연류의 원주 주위로 1 회 또는 그 초과의 횟수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간격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간격 섹션은 제 1 인덱싱 표면에 대한 제 2 인덱싱 표면의 반경 방향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끽연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 2 인덱싱 표면 지지 섹션이 제 2 인덱싱 표면을 형성하거나 지지하도록 배열되고, 제 2 인덱싱 표면 지지 섹션은 간격 섹션과 동일한 반경 방향 층에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제 2 인덱싱 표면 지지 섹션 및 하나 이상의 간격 섹션은 최초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끽연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끽연류는, 끽연류의 로드 물품 및 간격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지지 섹션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간격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요소는 지지 섹션에 연결되고/되거나, 제어 요소는 상기 간격 섹션 위에 놓이는,
    끽연류.
  22. 제 2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간격 섹션 위에 놓이고 하나 이상의 간격 섹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제 1 인덱싱 표면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반경 방향 위치에서 제 2 인덱싱 표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섹션을 포함하는,
    끽연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요소 그리고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들을 형성하는 섹션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 주위에 랩핑되는 시이트 재료의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끽연류.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끽연 가능한 재료의 소스를 포함하는 제 1 부분,
    제 1 필터 섹션을 포함하고 제 1 부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 사이의 회전을 인덱스하기 위해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 부분의 제 1 인덱싱 표면 및 제 2 부분의 제 2 인덱싱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 또는 제 2 부분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끽연류의 통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요소, 및
    상기 제어 요소로부터의 끽연류의 제 1 또는 제 2 부분들 중 다른 하나에 있는 통기 구역으로서, 상기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버되도록 구성되는, 통기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부분은 필터 섹션을 끽연류의 제 1 부분에 연결하는 연결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섹션은 제 2 인덱싱 섹션에 부착되거나 이를 지지하는,
    끽연류.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끽연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을 둘러싸는 제 1, 제 2 및 제 3 층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층은 상기 로드 물품의 원주 주위로 연장하는 적어도 제 1 스페이서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층은 제어 요소 및 맞물림 표면들, 그리고 로드 물품의 제 1 인덱싱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2 인덱싱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층은 제어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버되도록 배열되는 통기 구역을 포함하는,
    끽연류.
  26. 끽연류로서,
    상기 끽연류의 제 2 부분에 대한 제 1 부분의 이동에 의해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통기 메커니즘, 및
    상기 끽연류의 제 2 부분에 대한 제 1 부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제한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통기 메커니즘 및 제한 메커니즘은 단일 제어 요소로 있는,
    끽연류.
  27. 끽연류의 제작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 주위로 랩핑되도록 구성되는 블랭크로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
    상기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 및
    상기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버되도록 구성되는 통기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요소는 회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 1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 제한 에지 및 제 2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2 제한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요소는 제 1 제한 에지와 제 2 제한 에지 사이의 통기 공기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고,
    상기 블랭크는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의 제어 요소의 상대 원주 위치가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요소에 의해 커버되는 통기 구역의 양이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직접 결정하는,
    블랭크.
  28. 끽연류의 제작 방법으로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로드 물품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로드 물품들 주위로 하나 이상의 블랭크를 랩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블랭크는 :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맞물림 표면,
    상기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 및
    상기 이동 가능한 제어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커버되도록 구성되는 통기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요소는 회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 1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1 제한 에지 및 제 2 맞물림 표면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제 2 제한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요소는 제 1 제한 에지와 제 2 제한 에지 사이의 통기 공기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이고,
    상기 블랭크는 제 1 맞물림 표면과 제 2 맞물림 표면 사이의 제어 요소의 상대 원주 위치가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 요소에 의해 커버되는 통기 구역의 양이 끽연류의 통기 레벨을 직접 결정하는,
    끽연류의 제작 방법.
  29. 첨부된 도면들 중 임의의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리고 이를 참조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은 끽연류.
KR1020157016179A 2012-12-21 2013-12-12 끽연류 KR201500964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223179.1A GB201223179D0 (en) 2012-12-21 2012-12-21 A smoking article
GB1223179.1 2012-12-21
PCT/GB2013/053268 WO2014096782A2 (en) 2012-12-21 2013-12-12 A smoking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415A true KR20150096415A (ko) 2015-08-24

Family

ID=4768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179A KR20150096415A (ko) 2012-12-21 2013-12-12 끽연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9795163B2 (ko)
EP (1) EP2934204A2 (ko)
JP (2) JP6154912B2 (ko)
KR (1) KR20150096415A (ko)
CN (1) CN104918505A (ko)
AR (1) AR094091A1 (ko)
AU (1) AU2013366074B2 (ko)
BR (1) BR112015014888B1 (ko)
CA (1) CA2891270A1 (ko)
CL (1) CL2015001743A1 (ko)
GB (1) GB201223179D0 (ko)
HK (1) HK1211185A1 (ko)
RU (1) RU2639639C2 (ko)
UA (1) UA115797C2 (ko)
WO (1) WO2014096782A2 (ko)
ZA (1) ZA20150388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9724B (zh) * 2016-03-15 2021-12-07 江苏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包含旋转可调节长度的滤嘴的卷烟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8902A (en) 1961-06-30 1963-10-09 Imp Tobacco Co Ltd Improvements in cigarettes
US3359988A (en) 1965-04-21 1967-12-26 Osborne M Thomson Filter cigarette
US3503406A (en) 1968-10-28 1970-03-31 Lawrence Murry Riegel Cigarettes
US3512537A (en) 1968-11-27 1970-05-19 U S Remedy Corp Adjustable aerated cigarette
US3577996A (en) 1969-06-30 1971-05-11 Reynolds Tobacco Co R Tobacco smoke filter
US3628540A (en) 1969-08-15 1971-12-21 Reynolds Tobacco Co R Filter cigarette
US3638661A (en) 1969-11-13 1972-02-01 Reynolds Tobacco Co R A method of forming filter cigarettes
US3789855A (en) 1971-06-22 1974-02-05 Liggett & Myers Inc High flavor impact, low smoke yield cigarette mouthpiece
CA1096737A (en) 1977-03-14 1981-03-03 Jan Van Tilburg Smoke filters
US4564030A (en) 1982-07-16 1986-01-14 Loew's Theatres, Inc. Cigarette filter assembly
US4527573A (en) 1982-11-05 1985-07-09 Philip Morris Incorporated Filter cigarette
AU2015583A (en) * 1982-10-25 1984-05-0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Adjustable air dilution filter for cigarette
EP0167863B1 (de) 1984-06-20 1988-01-07 H.F. & Ph.F. Reemtsma GmbH & Co Variabel ventilierbare Filterzigarette
US4576187A (en) 1984-10-22 1986-03-1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Variable air dilution cigarette filter
US4601298A (en) 1985-01-14 1986-07-22 Philip Morris Incorporated Filter cigarette
US4649943A (en) 1985-02-11 1987-03-17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oration Cigarette filt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0193670A1 (en) 1985-03-07 1986-09-10 Fabriques De Tabac Reunies S.A. Ventilated cigarette
US4649945A (en) 1985-12-05 1987-03-1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djustable air dilution cigarette exhibiting controlled pressure drop
GB8530362D0 (en) * 1985-12-10 1986-01-22 Gallaher Ltd Filter device
US4649941A (en) 1985-12-16 1987-03-1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Adjustable air dilution cigarette exhibiting controlled pressure drop
GB8531658D0 (en) 1985-12-23 1986-02-05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s
US4716912A (en) 1986-02-14 1988-01-05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 cigarette having adjustable air dilution
US4687009A (en) 1986-02-24 1987-08-18 Philip Morris Incorporated Adjustable filter cigarett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4700725A (en) * 1986-04-17 1987-10-20 Philip Morris Incorporated Adjustable filter cigarette
US4699158A (en) * 1986-04-17 1987-10-13 Philip Morris Incorporated Adjustable filter cigarette with tactile indicator
US4687008A (en) 1986-04-17 1987-08-18 Philip Morris Incorporated Filter cigarette
US4718438A (en) * 1986-08-11 1988-01-1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Filter cigarette having rotatable adjustment
GB8620109D0 (en) 1986-08-19 1986-10-01 Tabac Fab Reunies Sa Filter
US4809718A (en) 1987-05-06 1989-03-0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Variable air dilution cigarette filters
US4848375A (en) 1987-11-10 1989-07-18 Philip Morris Incorporated Filter cigarette
DE3904948C1 (en) 1989-02-17 1990-05-10 B.A.T. Cigarettenfabriken Gmbh, 2000 Hamburg, De Coaxial filter for a smokeable article
US5178166A (en) 1990-09-20 1993-01-12 Philip Morris Incorporated Filter cigarette
JPH0646821A (ja) * 1992-07-24 1994-02-22 Setsuo Kuroki たばこ煙香料吸入用パイプ型フィルター
JP2004236614A (ja) * 2003-02-07 2004-08-26 Sansauzando Ltd 紙巻タバコ
FR2873899B1 (fr) 2004-08-09 2006-10-13 Michel Ange Gimeno Embout filtrant ajustable pour fumee de tabac ou autre matiere a fumer
CN2807809Y (zh) 2005-07-07 2006-08-23 全传清 通风孔可开启、调节、关闭的卷烟
US7743773B2 (en) 2005-07-29 2010-06-29 Philip Morris Usa Inc. Over-wrap for smoking article
JP5171634B2 (ja) 2005-11-01 2013-03-27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手作業で放出可能な臭気物質を有する喫煙物品
EP2033531A1 (en) 2007-09-07 2009-03-11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with variable ventilation
JP2011072296A (ja) 2009-10-02 2011-04-14 British American Tobacco Japan Kk 添加剤を含むフィルター
ZA200907582B (en) 2009-10-28 2014-10-29 Tobacco Res And Dev Inst (Pty) Ltd Flow control device for a smoking article
EP2368448A1 (en) 2010-03-26 2011-09-28 Philip Morris Products S.A. Smoking article with variable ventilation
US9010337B2 (en) * 2010-03-26 2015-04-21 Philip Morris Usa Inc. Smoking article with flavor delivery system
JP2011205917A (ja) * 2010-03-29 2011-10-20 British American Tobacco Japan Kk 換気レベルを変えられる喫煙品
JP2011205916A (ja) 2010-03-29 2011-10-20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喫煙品および喫煙品の製造方法
GB201104232D0 (en) * 2011-03-14 2011-04-27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moking article
GB201113936D0 (en) 2011-08-12 2011-09-28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moking article
GB201116541D0 (en) 2011-09-26 2011-11-09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GB201116629D0 (en) 2011-09-27 2011-11-09 British American Tobacco Co Smoking articl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moking articles
GB201217893D0 (en) * 2012-10-05 2012-11-2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 smoking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L2015001743A1 (es) 2015-10-23
BR112015014888B1 (pt) 2021-12-21
RU2015129850A (ru) 2017-01-30
RU2639639C2 (ru) 2017-12-21
UA115797C2 (uk) 2017-12-26
US9795163B2 (en) 2017-10-24
EP2934204A2 (en) 2015-10-28
BR112015014888A2 (pt) 2017-07-11
WO2014096782A2 (en) 2014-06-26
HK1211185A1 (en) 2016-05-20
WO2014096782A3 (en) 2014-11-06
JP2017136078A (ja) 2017-08-10
JP6154912B2 (ja) 2017-06-28
JP6433528B2 (ja) 2018-12-05
GB201223179D0 (en) 2013-02-06
CA2891270A1 (en) 2014-06-26
AU2013366074A1 (en) 2015-06-04
AR094091A1 (es) 2015-07-08
US20150335067A1 (en) 2015-11-26
JP2016501541A (ja) 2016-01-21
CN104918505A (zh) 2015-09-16
AU2013366074B2 (en) 2016-01-28
ZA201503882B (en) 2018-11-28
US20180027871A1 (en)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26288B2 (en) A smoking article
AU2016202853B2 (en) A smoking article
KR20150096415A (ko) 끽연류
RU2629492C2 (ru) Курительное издел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