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642A - 구강관리기구 - Google Patents

구강관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642A
KR20150095642A KR1020157014438A KR20157014438A KR20150095642A KR 20150095642 A KR20150095642 A KR 20150095642A KR 1020157014438 A KR1020157014438 A KR 1020157014438A KR 20157014438 A KR20157014438 A KR 20157014438A KR 20150095642 A KR20150095642 A KR 20150095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are
head portion
rim
care implement
implement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빗 케이. 리
Original Assignee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filed Critical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50095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25Brushe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heads that change shape during use
    • A46B5/0029Head made of soft plastics, rubber or rubber inserts in plastics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 A46B5/0037Flexible resilience by plastic deformation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구강관리기구는: 앞면 및 뒷면을 갖는 헤드부분을 가진 본체, 상기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요소, 및 상기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는 하나 이상의 취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관리기구{ORAL CARE IMPLEMENT}
본 발명은 구강관리기구 및 구강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강관리기구, 특히 칫솔은 매일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기구이다. 전형적인 구강관리기구는 가늘고 긴 손잡이와 손잡이의 일 단부에 연결된 헤드를 포함한다. 손잡이는 구강관리기구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동안 그립 및 조작할 수 있게 이루어진 구조이다. 헤드는 일반적으로 치아 세척요소, 연조직 세척요소, 및/또는 구강 건강제와 같은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요소를 포함한다.
칫솔은 치아 표면으로부터 치석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치아를 세정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치아 세척요소를 구비하는 구강관리기구이다. 혀 스크레이퍼같은 연조직 클리너는, 그로부터 연장되는 다양한 돌기를 가진 블레이드 또는 표면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연조직 세척요소를 갖는 구강관리기구이며, 상기 구강관리기구는 박테리아와 미세 이물질(microdebris)이 모인 사용자의 혀의 유두와 같은 연조직에 틈 및 주름진 부위에 도달하여 사용자의 구강 내의 연조직을 세척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구강관리기구는 구강 관리를 하는 동안 기구의 기능이 구강 면에 따라 동작하는데 제약을 받는다. 예를 들어, 구강 관리를 하는 동안, 종래의 칫솔의 치아 세정요소는 단지 사용자의 치아의 전체 면의 일부만을 접촉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의 칫솔은 세정요소가 전체적으로 치아 사이의 공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치아의 전체 면 중 일부 면은 세정되지 않으며, 이것은 세척 효율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와 같은 현상은 칫솔 이외의 종래의 구강관리기구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종래의 혀 스크레이퍼는 사용자의 입의 연조직에 틈새 및 주름부위의 일부만을 접촉하고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부 사용자에게는 종래의 구강관리기구가 사용하기 불편한 것이었다.
수년에 걸쳐, 구강관리기구가 구강 관리를 하는 동안 사용자의 구강 공동의 개선된 세척동작을 전할 수 있고, 사용하기가 매우 편하게 구강관리기구를 개선하려는 설계를 이루려는 연구가 있어 왔다. 그런 연구에는 칫솔 헤드가 가요성으로 장착된 세척요소를 가진 개량을 포함하며, 그것은 양호하게 치아 사이의 공간에 도달하고 치아의 기복진 면에 부합하게 한다. 또한, 연구에는 혀 스크레이퍼가 연성 엘라스토머 재료로 제조되는 블레이드 또는 다른 돌기를 갖는 개량도 포함한다.
이런 연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구강관리기구를 사용하는 중에 개선된 방식으로 사용자의 구강 공동의 세척동작을 전하는 구조를 갖는 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예를 들어, 구강 면에 향상된 세척동작을 전하도록, 구강 면과 그곳에 복잡한 요철 및 기복 부위에 부합하는 기구의 헤드에 세척요소(들)를 갖는 구강관리기구가 필요하다. 또한,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사용하게 이루어진 구강관리기구에 대한 필요성도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서, 구강관리기구는: 앞면 및 뒷면의 헤드부분을 가진 본체, 상기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요소, 및 상기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테두리(rim)를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는 하나 이상의 취약한(weakened) 부분을 포함하고 본체의 헤드부분의 둘레 영역을 따라 연장되며; 탄성물질은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배치되며; 상기 테두리는 탄성물질의 적어도 일부분의 주위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테두리와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은 함께 얕은 오목부(basin)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탄성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얕은 오목부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모든 탄성물질이 상기 얕은 오목부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물질로 에워싸여진다(encased).
선택적으로, 헤드부분은 종축을 갖고, 테두리의 취약부는 헤드부분의 측면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본체의 헤드부분은 그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groove)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또는 각각의 요홈은 헤드부분의 반대 측에 배치된 테두리의 취약부과 정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또는 각각의 세정 요소는 본체의 헤드부분을 통해 연장되며,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서 말단부를 갖고,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서 기부근방 단부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세척요소가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은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의 말단부와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서 기부근방 단부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의 기부근방 단부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서 함께 융합(fuse)된다.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의 기부근방 단부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성물질은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와 접촉한다. 탄성물질은 상기 세척요소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성물질은 본체의 헤드부분에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탄성물질은 기구의 외부 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과 뒷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측정된 본체의 헤드부분의 두께는 동일한 방향으로 측정된 탄성물질의 두께보다 작거나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서, 구강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은 (a)앞면 및 뒷면을 갖는 헤드부분을 구비한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 (b)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서 연장되는 테두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테두리는 하나 이상의 취약부를 구비하며 본체의 헤드부분의 둘레 영역을 따라 연장되며; (c)본체의 헤드부분의 정면에 적어도 하나의 세척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d)테두리가 탄성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배치되도록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탄성물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c)단계는 (d)단계에 앞서 실행된다.
선택적으로, 테두리와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은 함께 얕은 오목부를 형성한다. (d)단계는 얕은 오목부 내에 탄성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탄성물질로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는(encasing)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본체의 헤드부분은 그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을 갖는다. (b)단계는 상기 또는 각각의 요홈이 헤드부분의 반대편에 배치된 테두리의 취약부과 정렬되도록 테두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c)단계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의 말단부가 배치되고,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가 배치되는 상태로, 본체의 헤드부분을 통해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가 연장하도록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c)단계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의 말단부가 배치되고,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의 기부근방 단부가 배치되는 상태로, 본체의 헤드부분을 통해 복수의 세척요소가 연장하게 위치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서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의 기부근방 단부를 함께 융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의 기부근방 단부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d)단계는 탄성물질과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와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d)단계는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에 탄성물질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본체의 헤드부분에 탄성물질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탄성물질로 기구의 외부 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테두리는 연속적이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는 취약부가 그 사이에 배치된 테두리의 2개의 인접한 부분들 각각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는 취약부가 그 사이에 배치된 테두리의 2개의 인접한 부분들 각각의 단면 형상이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테두리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으로부터 테두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변 높이를 갖는다.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는 취약부가 그 사이에 배치된 테두리의 2개의 인접한 부분에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테두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는 노치가 테두리의 높이를 부분적으로만 통해서 연장되는 테두리에 형성된 U자형, V자형 또는 병렬 측면형(parallel-sided)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테두리는 불연속적이다. 테두리는 복수의 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는 취약부가 그 사이에 배치된 테두리의 2개의 인접한 벽 사이의 틈을 포함할 수 있다. 벽은 서로 정렬되거나 또는 서로 정렬되어 있지 않다. 바람직하게, 벽은 테두리의 적어도 80%를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벽은 테두리의 적어도 90%를 구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벽은 테두리의 적어도 95%를 구성한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테두리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테두리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둘레로부터 오프셋된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본체는 단일체이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테두리는 본체의 헤드부분과 일체적이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본체의 헤드부분은 가요성이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본체의 헤드부분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된다. 다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아크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열가소성 물질.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탄성물질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세척요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요소는 적어도 1개 터프트의 칫솔모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양태의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2양태의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 요소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관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강관리기구의 헤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기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세척요소를 삽입하기에 앞서 도 2의 헤드의 헤드부분의 뒷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기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세척요소를 삽입한 후에 도 3의 헤드의 헤드부분의 뒷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기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가 함께 융합되어진 후에 도 4의 헤드의 헤드부분의 뒷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기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가 함께 융합되어진 후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관리기구의 헤드의 헤드부분의 뒷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완전하고 비굴곡된 상태에 있는 도 6의 헤드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굴곡된 상태에 있는 헤드를 나타내는 도 7의 헤드의 확대 사시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통한 이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본 발명을 예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용도 또는 사용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실시예를 통한 설명을 본원의 명세서의 일부로 판단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한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에서, 방향에 대한 임의적인 표현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표현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평하여", "하향하여", "상향하여" 등과 같은 표현으로부터 파생된 "하향", "상향", "수평", "수직", "위", "아래", "상부" 및 "하부"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는 이하의 설명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이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향을 참고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이런 상대적인 용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어서, 장치가 그와 같이 분명하게 나타낸 것 이외에 특별한 방향으로 장치를 구성하거나 작동할 필요는 없다. "부착", "고정", "연결", "계합", "결합", "상호 연결"과 같은 용어는, 다르게 표현된 것을 제외하고는 양쪽 이동성이나 단단한 부착 또는 상호관계와 같이, 구조가 개입 구조를 통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고정되거나 부착되는 상호관계로 표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과 이득이 양호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명의 특징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것과 조합하여 있을 수 있는 특징의 가능한 비-제한적인 조합을 설명하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수동적으로 조작되는 구강관리기구, 구체적으로는, 수동 조작식 칫솔에서 구현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기구의 헤드에 제공된 하나 이상의 세정 요소가 기구의 손잡이와 관련하여 동작하도록 운영할 수 있는 전동 칫솔에서 실시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연조직 클렌징 기구와 같은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용으로 설계된 다른 기구의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은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그리고 구조적 및 기능적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구강관리기구, 이 경우에는 칫솔(100)을 예시한다. 칫솔(100)의 본체(110)는 손잡이 부분(120), 헤드부분(140) 및 헤드부분(140)에 손잡이 부분(120)을 연결하는 목부(130)를 포함한다. 헤드부분(140)은 본체(110)의 끝 부분이며, 하나의 세척요소 세트(200)가 제공된다. 도 1 및 도 2에서, 세척요소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간단한 블록으로 예시되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세척요소 세트(200)는 개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다수의 세척요소를 포함하는 것임을 예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세척요소는 복수의 치아 세척요소, 바람직하게는 다발(tuft)로 배치된 복수의 가요성, 나일론 칫솔모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치아 세척요소가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서 다음과 같은 하나 이상의 것들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칫솔모, 단단한 칫솔모, 가요성 칫솔모, 필라멘트 칫솔모, 섬유 칫솔모, 나일론 칫솔모, 나선형 칫솔모, 고무 칫솔모, 엘라스토머 돌기, 엘라스토머 요소, 가요성 폴리머 돌기, 공-압출(co-extruded) 필라멘트, 플래그 칫솔모, 항균 칫솔모, 및 그 조합 및/또는 그런 물질을 함유한 구조 또는 조합물.
헤드부분(140)은 제1기부근방 단부(141)와 제2말단부(120)를 갖는다. 손잡이 부분(120)은 제1기부근방 단부(121) 및 제2말단부(122)를 갖는다. 목부(130)는 손잡이 부분(120)의 말단부(122)를 헤드부분(140)의 기부근방 단부(141)에 연결한다. 목부(130)는 일반적으로 손잡이 부분(120)의 적어도 말단부(122)보다 좁은 단면적이며, 특정 실시예에서는 목부(130)가 일반적으로 손잡이(120)의 모든 부분에 비해 좁은 단면적이다.
본체(110)의 손잡이 부분(120)은 사용자가 칫솔(100)을 용이하게 잡고 조작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편안함을 유지하면서 고도의 제어를 제공하는 인체 공학적인 특징부를 가질 수 있고, 많은 다른 모양 및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칫솔(100)은 종축(A-A)을 따라 기부근방 단부(101)(또한 손잡이 부분(120)의 말단부(121))로부터 말단부(102)(또한 헤드부분(140)의 말단부(142))까지 연장된다. 손잡이 부분(120)이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비선형 구조이지만, 기구(100)의 종축(A-A)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선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정 실시예에서, 기구(100)는 길이방향으로 기구(100)의 종축(A-A)을 따라 정렬되는 간단한 선형의 손잡이 부분(120)을 가질 수 있다.
헤드부분(140)은 목부(130)를 통해 손잡이 부분(120)에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헤드(140), 목부(130) 및 손잡이 부분(120)은 사출성형 공정을 사용하여 일체적 구조로 형성된다. 헤드(140), 손잡이(120), 목부(130)는 함께 하나의 단일 구조체이다. 즉, 본체(110)는 단일체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헤드(140)와 목부(130)는 손잡이 부분(120)과 별도의 부품으로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별도의 부품은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서 열 용접, 소닉 용접, 억지끼움 조립, 커플 링 슬리브, 접착, 고정 장치, 및 스냅 끼움 연결을 포함하는 당업계에서 알려진 적당한 기술로 제조 공정의 후단계에서 작동적으로 연결된다. 헤드(140)와 목부(130) 및 손잡이(120)가 모든 실시예에서 단일체 또는 (연결 기술을 포함하는) 다중 조립체로 구성되는 것은, 본 발명이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다른 제조 기술들이, 예를 들면 밀링 및/또는 머시닝 등이 손잡이(120) 및/또는 헤드(140)(또는 그의 구성부품) 및/또는 목부(130)를 생성하는데, 사출성형을 대신하여 및/또는 부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본체(110)는 헤드(140), 목부(130) 및 손잡이(120)의 각각을 포함하며, 폴리프로필렌(PP)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변형에서는 헤드부분(140)이 대신하거나 추가하여, 다음과 같은 물질, 즉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아크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및 열가소성 물질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변형에서, 손잡이(120) 및/또는 목부(130)는 대신하거나 추가하여 상기 물질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엄지 그립부(125)가 손잡이(120)의 앞면에 제공되고, 후방 그립부(127)는 손잡이(120)의 앞면과 반대편의 손잡이(120)의 뒷면에 제공된다. 엄지와 후방 그립부(125, 127)는 본체(110)와 단일체가 아니며, 탄성물질(160)용으로 아래에서 논의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헤드(140)는 일반적으로 헤드부분(140)의 앞면(143)상의 전방 면 및 앞면(143)에 대해 반대편의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상의 후방 면을 포함한다. 헤드(140)의 전방 면과 후방 면은 다양한 형상 및 윤곽을 취할 수 있으며, 그것은 본 발명이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전방 및 후방 면은 평면, 윤곽형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세척요소는 그 위에 제공되며, 그로부터 외향하여 연장되고, 세척용의 헤드(140)의 앞면(143)은 구강 면, 바람직하게는 치아와 접촉한다. 테두리(150)는 헤드(140)의 뒷면(144)으로부터 연장하고,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탄성물질(160)이 헤드(140)의 뒷면(144)에 배치된다. 함께, 헤드부분(140), 테두리(150), 탄성물질(160), 및 세척요소 세트(200)가 기구(100)의 헤드(180)를 형성한다. 세척요소가 헤드(183)의 앞면(183)에 제공되고, 그로부터 외향하여 연장되며, 그것은 헤드(140)의 앞면(143)에 의해 한정된다.
복수의 세척요소 세트(200)가 치아를 세정하는데 특히 적합하지만, 세척요소는 치아 대신에 또는 치아에 더하여, 혀, 잇몸, 뺨 등의 구강 연조직을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세척요소"의 용어는 상대 면 접촉을 통해, 치아 또는 연조직 등의 구강 면을 세정하거나, 닦거나 또는 마사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참조하는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실제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에서는 치아 세척요소의 세트(200) 대신에,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혀 스크레이퍼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연조직 세척요소가 제공되었다. 바람직하게, 상기 또는 각각의 블레이드는 헤드(180)의 앞면(180)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 종방향 길이부를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연조직 세척요소는 제1실시예에 대해 아래에서 논의된 복수의 치아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헤드의 레스트(rest)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기부근방 단부를 가질 수 있다.
헤드(180)의 뒷면(184)에는 탄성물질(160)로 형성된 연조직 클리너(170)가 배치된다. 연조직 클리너(170)는 복수의 가요성 돌기(17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돌기(172) 및 연조직 클리너(170)의 레스트는 단일체 부품이다. 바람직하게 연조직 클리너(170)와 돌기(172)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또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과 같은 엘라스토머로 제조된다. 헤드(180)의 앞면(183)과 뒷면(184)은 헤드(180)의 둘레 또는 측면(185)에 의해 연결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강관리기구(100), 특히 구강관리기구(100)의 헤드(180)의 제조를 추가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앞면(143)과 뒷면(144)을 갖는 헤드부분(140)을 구비하는 단일 본체(110)가 제공된다. 테두리(150)는 본체(110)의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으로부터 연장된다. 본체(110)의 헤드부분(140)과 테두리(150)는 단일체이다. 헤드부분(140)과 테두리(150)는 적절한 형상의 금형에서 폴리프로필렌(PP)을 성형(예를 들면 사출 성형)하여 함께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헤드부분(140)은 기구(100)의 목부(130) 및 손잡이 부분(120)과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테두리(150)는 기구(100)의 본체(110)의 헤드부분(140), 목부(130) 및 손잡이 부분(120)과 일체로 형성된다. 즉, 테두리(150), 헤드부분(140), 목부(130) 및 손잡이 부분(120)은 모두 금형에서 PP로 성형된다. 헤드부분(140)의 기부근방 단부(141)는 목부(130)에 헤드부분(140)을 연결하고, 헤드부분(140)의 말단부(142)는 목부(130)로부터 말단부에 배치된다.
주목할 점은, 본 실시예에서 PP가 사용되었더라도, 본 실시예의 변형에서는, 본체(110)가 그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물질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예, 성형)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폴리에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아크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및 열가소성 물질. 바람직하게는 본체(110)의 헤드부분(140)이 가요성 물질로 형성되거나, 본체(110)의 헤드부분(140)과 같이 매우 얇은 부품을 형성할 때 적어도 가요성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10)의 헤드부분(140)은 평판이며, 그 앞면과 뒷면(143, 144) 사이로 연장되는 복수의 홀(147)을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본체(110)의 헤드부분(140) (및 최종적으로 완성된 헤드(180))는 그 기부근방 단부와 말단부(141, 142) 사이로 연장되는 종축(H-H)을 갖고, 종축(H-H)은 기구(100)의 종축(A-A)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동일한 축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축(H-H)이 축(A-A)과 동일한 평면에 있다.
테두리(150)는 본체(110)의 헤드부분(140)의 둘레 영역을 따라 연장되며, 복수의 취약부(156)를 포함한다. 취약부(156)는 취약부(156) 옆의 테두리(150)의 강력한 부분보다 약하게 형성된 테두리(150)의 일부분이며, 강력한 부분 사이에 취약부(156)가 배치된다. 따라서, 취약부(156)는 테두리(150)와 헤드부분(140)이 굴곡지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테두리(150)가 헤드부분(140)의 둘레를 따라 연장하지만, 본 실시예의 변형에서는 테두리(150)가 헤드부분(140)의 둘레 영역을 따라 연장하며, 헤드부분(140)의 둘레로부터 오프셋 된다.
이 실시예에서, 테두리(150)는 복수의 벽(155)을 포함하며, 각각의 취약부는 취약부(156)가 그 사이에 배치된 테두리(150)의 2개의 인접한 벽(156) 사이의 V자형 갭 또는 공간(156)이다. 따라서, 테두리(150)는 불연속적인 테두리이다. 벽(155)은 타원형 경로에서 상호 정렬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변형에서는, 벽(155)이 상호 정렬되지 않거나 또는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벽(155) 중 하나 이상의 벽이 벽(155) 중 다른 하나 이상의 벽과 동일한, 예를 들면 타원형 경로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각각의 갭(156)은 헤드부분(140)의 기부근방 단부에서 정점을 갖고, 헤드부분(140)으로부터 말단부에서 개방 단부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테두리(150)의 갭(156)은 축(H-H)에 대해 헤드부분(140)의 측면에 배치된다. 테두리(150)의 갭(156)은 본체(110)의 헤드(140)의 기부근방 단부 또는 말단부(141, 142)에 형성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의 변형에서는, 테두리(150)가 본체(110)의 헤드(140)의 기부근방 단부(141) 및/또는 말단부(142)에서 갭(156)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분(140)의 일 측면에서의 갭(156)의 각각은, 헤드부분(140)의 다른 측면에서의 갭(156)과 정렬되어, 2개의 횡방향으로 마주하는 갭(156)의 정점이 본체(110)의 헤드부분(140)의 횡축(L1-L1, L2-L2, L3-L3, L4-L4)상에 위치한다. 얇은 헤드부분(140)의 성질에 따른 부분, 및 헤드부분(140)의 일 측면에 갭(156)이 헤드부분(140)의 타 측면에 갭(156)과 정렬되어 있는 부분으로 인해서, 헤드부분(140)은 헤드부분(140)의 횡축(L1-L1, L2-L2, L3-L3, L4-L4)에 대해 굴곡될 수 있게 한다. 헤드부분(140)의 테두리(150)와 뒷면(144)은 함께 불연속적인 면이라 하더라도, 얕은 오목부(148)를 형성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복수의 치아 세척요소(210)가 본체(110)의 헤드부분(140)의 앞면(143)에 배치된다. 완성된 기구(100)에서, 치아 세척요소(210)는 세척요소 세트(200)를 함께 포함한다. 각 치아 세척요소(210)는 기부근방 단부(211)와 말단부(212)를 가진 칫솔모이며, 특정하게는 각각의 치아 세척요소(210)는 본체(110)의 헤드부분(140)의 홀(147) 중 하나를 통해 연장되게 배치되어서, 그 말단부(212)가 헤드부분(140)의 앞면(143)에 배치되고, 기부근방 단부(211)는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에 배치된다. 복수의 치아 세척요소(210)는 각각의 홀(147)을 통해 연장되며, 강모 다발을 함께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나일론으로 칫솔모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성은 부가적으로 또는 대신하여, 아크릴, PP,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변형에서는, 하나 또는 일부 치아 세척요소(210)가 엘라스토머 치아 세척요소를 포함한다. 이런 변형에서, 엘라스토머 치아 세척요소(들)는 헤드부분(140)의 앞면(143)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술한 강모와 유사한 방식으로 헤드부분(140)에 홀(147)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치아 세척요소(210)는 임의 방식으로 홀(147)을 통해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목부(130) 및 손잡이 부분(120)과 함께) 본체(110)의 헤드부분(140)은 지그(jig)에 유지되며, 세척요소(210)의 픽(picks)(즉, 클러스터)은 푸셔(pusher)로 홀더(도시되지 않음) 내의 홀 안으로 밀어 넣어진다. 세척요소(210)는 이어서 동일한 또는 다른 푸셔에 의해 세척요소(210)를 밀어서 홀더로부터 본체(110)의 헤드부분(140)의 홀(147) 내로 전해진다. 세척요소(210)는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으로부터 홀(147)을 통해 삽입되어, 세척요소(210)의 말단부(212)가 홀(147)을 통과하여, 형성기(former)(도시되지 않음)와 접촉하게 전해지며, 상기 형성기는 완성된 기구(100)에서 세척요소(210)의 칫솔질 면의 원하는 최종 프로파일과 일치하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예를 들어, 세척요소(210)의 말단부(212)가 모두 동일한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형성기의 프로파일은 편평하거나 대체로 편평할 것이다. 다른 프로파일도 가능하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픽(pick)의 세척요소(210)는, 테이퍼링(tapering)과 같은, 세척요소(210)의 말단부(212)의 원하는 최종 길이 및/또는 형상으로 프리 컷(pre-cut) 공정이, 세척요소(210)가 홀(157) 내로 삽입되기 전에 수행된다.
세척요소(210)의 말단부(212)가 형성기와 접촉하면, 세척요소(210)는,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에서 노출되고 그로부터 연장된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를 가진 상태로 헤드부분(140)에 대한 정위치를 유지한다. 다음, 각각의 기부근방 단부(211)는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에서 (예를 들면 기부근방 단부(211)를 용융하여) 함께 융합된다. 특정적으로는, 동일한 홀(147)을 통해 연장되는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가 함께 융합되고, 또한 모든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도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에서 융합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질의 매스(mass)(220) 또는, 용융 매트(melt matte)를 형성한다. 용융 매트(220)의 재료의 흐름은 벽(155)에 의해 차단되어 헤드부분(140)이 유지되는 지그와 재료의 접촉이 없거나 최소로 된다. 이런 용융 매트의 형성은 세척요소(210)가 홀(147) 밖으로부터 당겨질 수 있는 경우를 제한하거나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벽(155)은 테두리(150)의 약 90%를 구성하며, 갭(156)이 테두리(150)의 나머지 부분을 구성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벽은 테두리(150)의 예를 들어 95% 이상, 또는 예를 들어 80 또는 85% 미만을 구성할 수 있다. 벽(155)에 의해 형성되는 테두리(150)의 비율이 높을수록, 용융 매트(220)의 재료의 흐름은 더욱 양호하게 테두리(150)에 의해 제한된다.
바람직하게,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 즉 용융 매트(220)는,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에 고정되어, 세척요소(210)를 본체(110)에 고정한다. 이런 고정동작은 부가로 세척요소(210)가 홀(147) 밖으로부터 당겨질 수 있는 동작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헤드부분(140) 및 세척요소(210)를 형성하는 재료에 따라, 이런 고정동작은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0)가 서로 융합될 때 자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는 접착과 같이 다른 방법으로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 탄성물질(160)이 본체(110)의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에 배치된다. 특정적으로, 탄성물질(160)은 테두리(150)가 탄성물질(160)의 일부분 주위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탄성물질(160)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변형에서, 탄성물질(160)은 대신하거나 또는 추가하여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탄성물질(160)은 용융상태로 얕은 오목부(148)에 주입되어, 매우 바람직하게 얕은 오목부(148)를 충전하며, 이어서 가요성 커버를 형성하도록 냉각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또한, 탄성물질(160)이 벽(155) 사이의 갭(156)을 채우지만, 헤드(180)의 측면(185)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덮이지 않은 벽(155)의 외부 면을 남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대한 변형에서는, 탄성물질(160)이 벽(155) 사이의 갭(156)을 채우지 않고, 테두리(150)는 모든 주위에 탄성물질(160)이 배치된다. 기술된 실시예에 대한 추가 변형에서, 탄성물질(160)은 테두리(150)의 적어도 일부분, 예를 들면 벽(155)의 적어도 일부분을 둘러싼다. 탄성물질(160)의 유동 범위는 벽(155)에 의해 제어되며, 적당한 형상의 금형에 헤드부분(140) 및 세척요소(210)의 조합하여 배치함으로써 제어된다(도 5에 도시됨).
바람직하게, 탄성물질(160)은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 즉 용융 매트(220)에 고정된다. 세척요소(210)의 물질과 탄성물질(160)에 따라서, 탄성물질(160)이 얕은 오목부(basin)(148)에 주입되고, 이어서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와 접촉하면서 냉각되는 동안, 고정동작이 자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경우에는 접착제가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에 제공되어 부차적으로 주입되는 탄성물질(160)이 접착제에 의해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탄성물질(160)은 헤드부분(140)에, 바람직하게는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에, 및/또는 벽(155)의 얕은 오목부의 대향 면에 고정될 수 있다. 헤드부분(140) 및/또는 벽(155)의 재료 및 탄성물질(160)에 따라, 이런 고정동작은 탄성물질(160)이 얕은 오목부(148)에 주입되고, 이어서 헤드부분(140) 및/또는 벽(155)과 접촉하는 동안 냉각되면서, 자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특정 경우에는 접착제가 헤드부분(140) 및/또는 벽(155)의 일부분에 제공되어 부차적으로 주입되는 탄성물질(160)이 접착제에 의해 헤드부분(140) 및/또는 벽(155)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의 각각에 대한 추가적인 변형에서, 탄성물질(160)은 얕은 오목부(148)에 용융상태로 주입되지 않는, 사전-형성된 가요성 커버(pre-formed flexible cover)이다. 커버는 예를 들어 적절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접착으로, 헤드부분(140), 벽(155) 및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 중 어느 하나, 둘 또는 모두에 고정될 수 있다.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에 탄성물질(160)을 배치하는 것은 탄성물질(160)로,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 즉 용융 매트(220)와 모두 접촉하여 덮는 동작을 포함한다. 또한,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에 탄성물질(160)을 배치하는 공정은 탄성물질(160)로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을 덮는 동작을 포함한다.
탄성물질(160)은, 일단 냉각 및 경화되었으면, (여전히 탄성적이더라도) 헤드(180)의 뒷면(184)상에서 복수의 가요성 돌기(172)를 포함하는 연조직 클리너(170)를 형성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제2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서는, 돌기(172)가 헤드(180)의 뒷면(184)에 제공되지 않는다. 즉, 연조직 클리너(170)가 제공되지 않는다. 그런 실시예에서, 탄성물질(160)은 바람직하게 매끄러운 또는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면을 갖는다. 여하튼, 바람직하게, 탄성물질(160)은 기구(100)의 헤드(180)의 외부 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헤드부분(140)의 앞면(143)이 노출되어 기구(100)의 헤드(180)의 앞면(183)을 형성하는 반면에,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은 탄성물질(160)에 의해 완성된 헤드(180)에 은폐되며, 그로부터 세척요소(210)의 앞면(183)은 연장된다.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변형에서, 헤드부분(140)은 바람직하게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 횡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상기 요홈(들)은 헤드부분(140)의 앞면(143) 및/또는 뒷면(144)에 형성될 수 있다. 매우 바람직하게, 상기 또는 각각의 요홈은 취약부와 정렬되어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서는 헤드부분(14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정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또는 각각의 요홈은 1쌍의 횡방향으로 마주한 취약부, 예를 들면 갭(156)과 정렬되어 위치한다. 이들 요홈(들)은 헤드부분(140)의 앞면과 뒷면(143, 144) 사이의 감소된 두께를 갖는 헤드(140)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따라서 헤드부분(140)에 활성 힌지부(living hinges)를 형성한다. 따라서 헤드부분(140)은 헤드부분(140)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횡축에 대해 양호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이런 요홈(들)이 제공되었을 때, 헤드부분(140)은 요홈(들)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헤드(140)의 일부 부위가 실질적으로 경성인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전히 헤드부분(140)의 앞면 및 뒷면(143, 144) 사이의 감소된 두께를 가진 헤드(140)의 일부 부위(들)에서는 가요성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탄성물질(160)은 탄성물질(160)과 본체(110)의 헤드부분(140)과의 결합된 용적의 적어도 70%를 점유한다. 본 실시예에 대한 변형에서, 탄성물질(160)은 탄성물질(160)과 헤드부분(140)과의 결합된 용적의 적어도 60% 또는 적어도 50%를 점유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탄성물질(160)은 탄성물질(160)과 헤드부분(140)과의 결합된 용적의 50% 미만을 점유한다.
또한, 상술 한 실시예에서, 헤드부분(140)의 두께는 테두리(150)의 내부방향으로 헤드(140)의 앞면 및 뒷면(143, 144) 사이의 최단거리에 걸쳐 측정되며, 상기 두께는 동일한 방향으로 측정되는 탄성물질(160)의 두께 미만의 두께이다. 이 실시예에서, 헤드부분(140)의 두께는 동일한 방향으로 측정된 탄성물질(160)의 두께의 약 20%이다. 본 실시예에 대한 변형에서, 이 수치는 50% 미만, 40% 미만, 30% 미만 또는 10% 미만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방향으로 측정된 헤드(180)의 두께는 단지 탄성물질(160)과 헤드부분(140) 만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헤드(180)의 두께의 대부분, 및 헤드부분(140)과 탄성물질(160)과의 결합된 용적의 대부분은 탄성물질(160)로 형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사실은 헤드부분(140)이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에 특히, 고도의 유연성을 헤드(180)에 제공한다.
또한, 벽(155)에 의해 형성된 테두리(150)의 비율이 높을수록, 마무리된 헤드(180)의 견고함은 커진다. 벽(155)에 의해 형성된 테두리(150)의 비율이 높을수록, 마무리된 헤드(180)의 가요성은 더 좋아진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유사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도 6 내지 도 8에 지칭되었다. 간결한 도시를 위해서, 2개의 실시예에서 공통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제1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가능한 모든 변형은 제2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탄성물질(160)은 기구(100)의 헤드(180)의 뒷면(184)에 복수의 가요성 돌기(172)를 포함하는 연조직 클리너(170)를 형성한 것인 반면에, 제2실시예에서는 돌기(172)가 헤드(180)의 뒷면(184)에 제공되지 않은 것이다. 즉, 연조직 클리너(170)가 제공되지 않는다. 오히려, 탄성물질(160)은 헤드(180)의 뒷면(184)을 형성하는 매끄러운 또는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다.
제1실시예에서, 벽(155)은 V자형 갭 또는 공간(156)으로 이격되어 떨어져 있는 것임에 반해, 제2실시예에서는 벽이 정사각형 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의 갭 또는 공간(156)으로 이격되어 떨어져 있는 것이다. 각각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에서, 갭 또는 공간(156)은 다른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특정 실시예에서, 갭 또는 공간(156)의 일부는 나머지 갭 또는 공간(156)과는 다른 형상 일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세척요소(210)의 말단부(212)는 모두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는 것임에 반해, 제2실시예에서는 헤드부분(140)의 말단부(142)에 있는 세척요소(210)의 말단부(212)는 헤드부분(140)의 기부근방 단부(141)에 세척요소(210)의 말단부(212)보다 헤드부분(140)의 앞면(143)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다. 헤드부분(140)의 말단부(142)에 세척요소(210)는 사용자의 치아 사이의 공간에 도달하기에 더 적합하다.
또한, 제1실시예에서, 모든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가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에서 함께 융합되어 용융 매트(220)를 형성하는 것임에 반해, 제2실시예는 동일한 홀(147)을 통해 연장되는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만이 함께 융합되어, 세척요소(210)의 물질의 매스(230)를 개별적으로 이격시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즉, 용융 공정 후, 하나의 홀(147)을 통해 연장되는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가, 다른 하나의 홀(147)을 통해 연장되는 세척요소(210)의 기부근방 단부(211)에 융합되지 않는다.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이것은 접촉 및 고정되는 탄성물질(160)에 대한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의 더 큰 영역을 노출시킨다.
도 7은 헤드부분(140)을 나타내며, 실질적으로 굴곡 안된 상태의 제2실시예의 완성된 헤드(180)이며, 도 8은 굴곡된 상태의 제2실시예의 헤드부분(140) 및 헤드(180)를 나타낸다. 헤드부분(140)의 뒷면(144)과 갭(156) 내의 탄성물질(160)은 헤드(180)가 굴곡되었을 때 압축되어 갭(156)의 크기를 감소하고, 벽(155)이 서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제1실시예의 헤드부분(140)과 헤드(180)에서도 유사한 굴곡도(degrees of flex)를 얻을 수 있다. 헤드부분(140)과 헤드(180)의 가요성은 기구(100)의 헤드(180)상의 요소(210)가 구강 면과 내부의 복잡한 요철 및 기복에 따를 수 있게 하여, 구강 면의 향상된 세정동작을 전하는 작동을 확실히 보장한다. 가요성은 또한 구강관리기구를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매우 편안하게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헤드부분(140)과 헤드(180)는 기구(100)의 종축(A-A)과 헤드부분(140)의 종축(H-H)에 직교하는 하나의 축 또는 다수의 축에 대한 가요성이 있는 것이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벽(155) 및/또는 요홈(들) 사이의 갭(156)은 헤드부분(140)과 헤드(180)가 하나의 축 또는 다수의 축과 같은 다른 축 또는 축들에 대해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굴곡지게 배치되며, 상기 축 또는 축들은 기구(100)의 종축(A-A) 및 헤드부분(140)의 종축(H-H)에 대해 평행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각각에서, 테두리(150)는 벽(들)(155) 및 갭(들)(156)을 포함하며, 따라서 테두리는 불연속적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변형에서, 테두리(150)의 높이를 완전히 통과하는 갭(156)이 생략된다면, 상기 테두리는 연속적이 된다. 테두리(150)의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156)는, 그 사이에 취약부(156)가 배치된 테두리(150)의 2개의 인접한 부분들 각각의 단면 형상 및/또는 영역과는 다른 단면 형상 및/또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테두리(150)는 테두리(150)가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으로부터 연장하는 방향으로 변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156)는 높이가 그 사이에 취약부(156)가 배치되는 테두리(150)의 2개의 인접한 부분에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서 테두리(150)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156)는 테두리(150)에 형성된 예를 들어 U자형, V자형 또는 병렬-양측 노치와 같은 노치를 포함할 수 있고, 노치는 테두리(150)의 높이를 부분적으로만 통해서 연장된다. 따라서, 그런 노치(들)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갭(156)과 유사할 수 있지만, 테두리(150)의 물질이 노치(들)와 헤드부분(140) 사이에 존재하도록 테두리(150)의 높이를 오직 부분적으로만 통해 연장하는 것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156)는 테두리(150)의 두께(테두리(150)가 헤드부분(140)의 뒷면(144)으로부터 연장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가 그 사이에 취약부(156)가 배치된 테두리(150)의 2개의 인접한 부분에서의 두께보다 작은 테두리(150)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테두리(150)는 테두리(150)의 전체 범위에 따라 있는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각각에서, 헤드부분(140)은 기구(100)의 목부(130) 및 손잡이 부분(120)과 일체형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변형에서, 헤드부분(140)은 기구(100)의 목부(130) 및/또는 손잡이 부분(120)과 일체가 아니다. 이런 실시예에서, 헤드부분(140)의 앞면(143)은 바람직하게 헤드(180)의 앞면(183)을 형성하지만, 헤드(180)는, 예를 들어 목부(130)를 통해 손잡이 부분(120)에 제거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목부(130)는 손잡이 부분(120) 또는 헤드부분(140)과 일체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이 발명을 수행하는 주어진 바람직한 모드를 포함하는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상술한 시스템들 및 기술들의 다수의 변형 및 치환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이 이용될 수 있고, 구조적 및 기능적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로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1)

  1. 구강관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강관리기구는:
    앞면 및 뒷면을 갖는 헤드부분을 가진 본체, 상기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세척요소, 상기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테두리, 및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배치되는 탄성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테두리는 하나 이상의 취약부를 구비하고, 본체의 헤드부분의 둘레 영역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테두리는 탄성물질의 적어도 일부분 주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과 테두리는 얕은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탄성물질의 적어도 일부는 얕은 오목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물질에 에워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헤드부분은 종축을 갖고, 테두리의 취약부는 헤드부분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의 헤드부분은 그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요홈은 헤드부분의 반대측에 배치된 테두리의 취약부와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는 본체의 헤드부분을 통해 연장되고,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서 말단부를 갖고,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서 기부근방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척요소가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은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서 말단부를 갖고,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서 기부근방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의 기부근방 단부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함께 용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의 기부근방 단부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물질은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탄성물질은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물질은 본체의 헤드부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물질은 기구의 외부 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과 뒷면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측정된 본체의 헤드부분의 두께는, 동일한 방향으로 측정된 탄성물질의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17. 구강관리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앞면 및 뒷면을 갖는 헤드부분을 구비한 본체를 제공하는 단계;
    (b)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서 연장되는 테두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테두리는 하나 이상의 취약부를 구비하며 본체의 헤드부분의 둘레 영역을 따라 연장되며;
    (c)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 적어도 하나의 세척요소를 배치하는 단계; 및
    (d)테두리가 탄성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배치되도록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탄성물질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c)단계는 (d)단계에 앞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테두리와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은 함께 얕은 오목부를 형성하며, (d)단계는 얕은 오목부 내에 탄성물질의 적어도 일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물질로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를 에워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의 헤드부분은 그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b)단계는 상기 또는 각각의 요홈이 헤드부분의 반대편에 배치된 테두리의 취약부와 정렬되도록 테두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23. 제17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단계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의 말단부가 배치되고,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가 배치되는 상태로, 본체의 헤드부분을 통해 연장하도록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c)단계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앞면에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의 말단부가 배치되고,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의 기부근방 단부가 배치되는 상태로, 본체의 헤드부분을 통해 복수의 세척요소가 연장하도록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서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의 기부근방 단부를 함께 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에 복수의 세척요소의 각각의 기부근방 단부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27.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단계는 탄성물질과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와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d)단계는 상기 또는 각각의 세척요소의 기부근방 단부에 탄성물질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29. 제17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의 헤드부분에 탄성물질을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30. 제1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물질로 기구의 외부 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31.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테두리는 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32. 제1항 내지 제16항 또는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는 그 사이에 취약부가 배치된 테두리의 2개의 인접한 부분들 각각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33. 제1항 내지 제16항 또는 제31항 및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는 그 사이에 취약부가 배치된 테두리의 2개의 인접한 부분들 각각의 단면 형상이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34. 제1항 내지 제16항 또는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테두리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뒷면으로부터 테두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35. 제34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34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는 취약부가 그 사이에 배치된 테두리의 2개의 인접한 부분에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테두리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36. 제35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35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는, 노치가 테두리의 높이를 부분적으로만 통해서 연장되는, 테두리에 형성된 U자형, V자형 또는 병렬 측면형 노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3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테두리는 불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38. 제37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37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테두리는 복수의 벽을 포함하며, 상기 또는 각각의 취약부는 그 사이에 취약부가 배치된 테두리의 2개의 인접한 벽 사이의 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39. 제38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38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벽은 서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40. 제38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38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벽은 서로 정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41.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벽은 테두리의 적어도 8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42. 제41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41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벽은 테두리의 적어도 9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43. 제42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42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벽은 테두리의 적어도 95%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44. 제1항 내지 제16항 또는 제3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테두리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45. 제1항 내지 제16항 또는 제3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테두리는 본체의 헤드부분의 둘레로부터 오프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46. 제1항 내지 제16항 또는 제31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본체는 단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47. 제1항 내지 제16항 또는 제31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테두리는 본체의 헤드부분과 일체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48. 제1항 내지 제16항 또는 제3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본체의 헤드부분은 가요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49. 제1항 내지 제16항 또는 제3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본체의 헤드부분은 다음과 같은 즉,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셀룰로오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SAN), 아크릴,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ABS), 열가소성 물질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50. 제1항 내지 제16항 또는 제3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탄성물질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및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으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51. 제1항 내지 제16항 또는 제31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또는 제17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세척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치아 세척요소 및/또는 적어도 1개 터프트의 칫솔모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엘라스토머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관리기구 또는 구강관리기구 제조방법.
KR1020157014438A 2012-12-10 2012-12-10 구강관리기구 KR201500956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68685 WO2014092674A1 (en) 2012-12-10 2012-12-10 Oral care impl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642A true KR20150095642A (ko) 2015-08-21

Family

ID=47430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438A KR20150095642A (ko) 2012-12-10 2012-12-10 구강관리기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681740B2 (ko)
EP (1) EP2928340B1 (ko)
JP (1) JP2015536756A (ko)
KR (1) KR20150095642A (ko)
CN (1) CN105007776B (ko)
AU (1) AU2012396865B2 (ko)
BR (1) BR112015013274A2 (ko)
CA (1) CA2888804A1 (ko)
IN (1) IN2015DN03317A (ko)
MX (1) MX361978B (ko)
PH (1) PH12015501143A1 (ko)
RU (1) RU2612653C2 (ko)
TW (1) TWI546035B (ko)
WO (1) WO2014092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1293B2 (en) 2014-12-23 2022-04-0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MX2017007850A (es) * 2014-12-23 2017-09-19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el cuidado bucal.
MX2018012073A (es) 2016-04-20 2019-05-22 Trisa Holding Ag Producto para cepillar y metodo para su produccion.
AT522622B1 (de) * 2019-06-04 2022-07-15 Andrea Lehner Gmbh Zungenreinig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532A (en) 1913-02-03 1915-01-19 Earl Himmel Tooth-brush.
GB673516A (en) 1950-06-05 1952-06-04 Louis Richard Bressler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ooth brushes
GB9106511D0 (en) 1991-03-27 1991-05-15 Lingner & Fischer Gmbh Novel article
US5355546A (en) 1992-12-11 1994-10-18 Scheier Paul A Toothbrush with resilient flexible bristle support
US5839149A (en) 1996-08-26 1998-11-24 Scheier; Paul A. Toothbrush with resilient flexible bristle support
EP0972465B1 (en) 1998-07-14 2003-04-02 Firma G.B. BOUCHERIE, naamloze vennootschap Method for manufacturing brushes and brush manufacturing machine applying this method
GB9815643D0 (en) * 1998-07-17 1998-09-16 Procter & Gamble A grooming implement
DE10221786A1 (de) 2002-05-15 2003-11-27 Schiffer Fa M & C Bürs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7725980B2 (en) * 2004-12-15 2010-06-0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US7273327B2 (en) * 2003-06-20 2007-09-25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BRPI0517855A (pt) * 2004-11-17 2008-10-21 Colgate Palmolive Co implemento para cuidado oral
CN200983953Y (zh) * 2006-04-28 2007-12-05 陈谦 一体化便携牙刷
DE602009000006D1 (de) 2008-01-10 2010-04-08 Gb Boucherie Nv Stempel zum Pressen von Faserbündeln
CN102892328B (zh) * 2009-12-10 2015-04-15 博朗有限公司 牙刷
US8500766B2 (en) * 2009-12-18 2013-08-06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multiple soft tissue cleaner components
US8398326B2 (en) 2010-03-04 2013-03-19 Colgate-Palmolive Company Fluid dispensing oral care implement
EP2377425B1 (de) 2010-04-13 2013-10-23 GB Boucherie N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ürsten
EP2377424B1 (de) 2010-04-13 2013-10-23 GB Boucherie NV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ürsten
DE202011109451U1 (de) 2011-12-22 2012-01-31 Gb Boucherie Nv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ürsten, insbesondere Zahnbürsten
DE202012002332U1 (de) 2012-03-05 2012-03-22 Gb Boucherie Nv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Bürsten, insbesondere Zahnbürsten
CN102726938B (zh) * 2012-06-28 2015-06-10 赵伟 方便牙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5013274A2 (pt) 2017-07-11
US9681740B2 (en) 2017-06-20
CN105007776A (zh) 2015-10-28
TWI546035B (zh) 2016-08-21
AU2012396865A1 (en) 2015-05-14
CN105007776B (zh) 2017-05-31
JP2015536756A (ja) 2015-12-24
TW201440690A (zh) 2014-11-01
RU2612653C2 (ru) 2017-03-13
AU2012396865B2 (en) 2015-11-19
CA2888804A1 (en) 2014-06-19
MX2015007383A (es) 2015-09-16
IN2015DN03317A (ko) 2015-10-09
MX361978B (es) 2018-12-19
EP2928340B1 (en) 2017-02-15
RU2015122105A (ru) 2017-01-12
PH12015501143A1 (en) 2015-08-10
WO2014092674A1 (en) 2014-06-19
US20150320192A1 (en) 2015-11-12
EP2928340A1 (en)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424B1 (ko) 가요성 요소를 구비하는 구강 위생 기구 및 그의 제조 방법
CN111067240B (zh) 具有多部件柄部的口腔护理器具
RU2647813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одержащее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ую ручку
RU26035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RU2606710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TW201427622A (zh) 具多組件握柄之口腔保健器具
KR20130114213A (ko) 구강 관리 기구
CN107105882A (zh) 口腔护理器具
RU266427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содержащее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ую ручку
KR20150095642A (ko) 구강관리기구
EP3160299B1 (en)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al care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