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5335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5335A
KR20150095335A KR1020140016511A KR20140016511A KR20150095335A KR 20150095335 A KR20150095335 A KR 20150095335A KR 1020140016511 A KR1020140016511 A KR 1020140016511A KR 20140016511 A KR20140016511 A KR 20140016511A KR 20150095335 A KR20150095335 A KR 20150095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ub
drum
cabine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404B1 (ko
Inventor
이진호
김진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6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04B1/ko
Priority to CN201580008234.3A priority patent/CN105980621B/zh
Priority to PCT/KR2015/001331 priority patent/WO2015122673A1/ko
Priority to EP15749317.2A priority patent/EP3106559B1/en
Priority to US15/119,123 priority patent/US20170051446A1/en
Publication of KR20150095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일측면에 세탁물이 출입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전면에 상기 캐비닛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전면에 상기 터브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및 일측이 상기 터브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캐비닛의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을 포함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를 사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로서,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서 세탁이 이루어지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드럼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세탁기의 종류에는 드럼을 수평으로 배치해서 이 드럼이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 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드럼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드럼이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수직축 세탁기가 있다.
드럼 세탁기는 탈수 단계에서 세탁물이 드럼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세탁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어프램에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차단 방지부를 제공하고 있으나, 다이어프램이 강도가 약한 재질을 포함하여 파손의 가능성이 높고 세탁물의 이탈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물이 탈수되는 동안에 세탁물이 드럼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세탁물이 탈수되는 동안에 드럼의 회전으로 인하여 다이어프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일측면에 세탁물이 출입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전면에 상기 캐비닛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전면에 상기 터브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및 일측이 상기 터브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캐비닛의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기 터브의 개구부 상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제1 각도 이격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는 예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탈수시에 상기 드럼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기 터브의 개구부 상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제1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기 터브의 개구부 상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제2 각도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예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면, 상기 상면과 제1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경사면, 그리고 상기 상면과 제2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1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각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상면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양 측면의 거리가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일측이 상기 터브의 개구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캐비닛의 개구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다이어프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다이어프램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일측면에 세탁물이 출입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전면에 상기 캐비닛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전면에 상기 터브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일측이 상기 터브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다이어프램, 그리고 상기 드럼의 전면부와 상기 다이어프램의 사이에서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드럼의 전면부보다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다이어프램보다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터브의 전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일측면에 세탁물이 출입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전면에 상기 캐비닛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전면에 상기 터브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일측이 상기 터브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다이어프램, 상기 터브와 결합되고, 상기 세탁물이 상기 드럼의 내측에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은
일측이 상기 터브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기 터브의 개구부 상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제1 각도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세탁기는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탈수시에 상기 드럼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면, 상기 상면과 제1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경사면, 그리고 상기 상면과 제2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1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각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상면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양 측면의 거리가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다이어프램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은 상기 드럼의 전면부와 상기 다이어프램의 사이에서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드럼의 전면부보다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래킷은 상기 터브의 전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물이 탈수되는 동안에 세탁물이 드럼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이 탈수되는 동안에 드럼의 회전으로 인하여 다이어프램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에서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의 일 실시예가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을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이 결합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가이드 부재의 제1 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가이드 부재의 제2 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가이드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가이드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세탁기(1)는 캐비닛(10), 터브(20), 드럼(30), 다이어프램(40), 구동 장치(50), 제어기(미도시) 그리고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10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한다. 캐비닛(10)은 복수의 프레임(10a, 10b, 10c)을 포함하며, 프레임(10a, 10b, 10c)은 캐비닛(10)의 전면을 이루는 전면프레임(10a)과, 측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측면프레임(10b)과, 하면을 이루는 하면프레임(10c)으로 구성된다.
캐비닛(10)은 전면부에 세탁물이 드럼(30)의 내부로 출입하는 개구(11)가 설치된다. 개구(11)는 캐비닛(10)의 전면에 설치된 도어(15)에 의하여 개폐된다. 도어(15)는 일측이 캐비닛(10)에 고정 설치되고,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개구(11)를 개폐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미도시)은 캐비닛(10)의 전방 상측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미도시)은 세탁 또는 헹굼, 탈수 행정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미도시)은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세탁시간 또는 세탁코스 등 세탁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터브(2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된다. 터브(20)는 캐비닛(10)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터브(20)는 탄성 부재(미도시)와 댐핑 부재(22)에 의하여 캐비닛(10)에 지지될 수 있다. 탄성 부재(미도시)와 댐핑 부재(22)는 터브(20)의 진동 및 충격이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미도시)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댐핑 부재(22)는 오일 댐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터브(20)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터브(20)는 전면부에 캐비닛(10)의 개구(11)에 대응하는 개구부(21)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20)는 전면의 개구부(21)가 캐비닛(10)의 개구(1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3)이 설치된다. 급수관(23)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23)의 타측은 세제 공급 장치(24)와 연결된다.
세제 공급 장치(24)는 연결관(25)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급수관(23)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 장치(24)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펌프(26)와 배수관(27)이 설치된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배치된다. 드럼(30)은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32)과, 원통부(3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판(32)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34)가 형성되고, 후면판(33)에는 구동 장치(5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축(51)이 연결된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드럼(30)은 터브(20)에 지지되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교반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드럼(30)은 회전 속도를 달리하여 회전할 수도 있다.
드럼(30)의 개구부(34)는 터브(20)의 개구부(21)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드럼(30)의 개구부(34)는 터브(20)의 개구부(2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드럼(30)은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5)이 형성된다. 통공(35)을 통하여 드럼(30)의 내부 공간과 터브(20)의 내부 공간이 연통된다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가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6)가 설치된다.
다이어프램(40)은 캐비닛(10)과 터브(20) 사이에 위치한다. 다이어프램(40)은 일측이 터브(20)의 개구부(21)와 연결되고 타측이 캐비닛(10)의 개구(11)에 연결된다. 다이어프램(40)은 캐비닛(10)의 개구(11)와 터브(20)의 개구부(2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한다. 다이어프램(40)은 터브(20)의 세탁수가 캐비닛(1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이어프램(40)은 탄성이 강하고 신축이 자유로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40)은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다이어프램(40)은 드럼(30)의 회전시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드럼(30)과 구동 장치(50) 사이에는 구동축(51)이 배치된다. 구동축(51)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33)에 연결되고, 구동축(51)의 타단은 터브(20)의 후벽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구동 장치(50)가 구동축(51)을 구동하면, 구동축(51)에 연결된 드럼(30)가 구동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터브(20)의 후벽에는 구동축(5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52)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52)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벽에 인서트될 수 있다. 베어링 하우징(52)과 구동축(51) 사이에는 구동축(51)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복수의 베어링(53)이 설치된다.
세탁 단계 시에 구동 장치(50)는 드럼(30)를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저속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드럼(30)의 내부의 세탁물이 상승, 낙하하는 운동을 반복하면서 세탁물로부터 오염물이 제거된다.
탈수 단계 시에 구동 장치(50)가 드럼(30)를 일방향으로 고속 회전시키면 세탁물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로부터 물이 분리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100)을 설명한다.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100)은 탈수시에 세탁물이 드럼(3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세탁기에서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의 일 실시예가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을 전방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이 결합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는 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100)은 가이드 부재(110) 및 브래킷(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110)는 일측이 터브(20)의 전면부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이 캐비닛(10)의 개구(1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10)는 개구(11)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터브(20)의 개구부(21)의 상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제1 각도(α)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각도(α)는 예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1 각도(α)는 45° 내지 60°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110)는 제1 가이드부(111) 및 제2 가이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11)는 터브(20)로부터 캐비닛(10)의 개구(11)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111)는 드럼(30)의 전면부(30a)보다 개구(11)의 중심 방향으로 제3 길이(d3)만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3 길이(d3)는 15mm 내지 20mm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11)는 일측이 터브(20)의 전면부 외측면에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11)는 터브(20)의 전면부 외측면과 나사 결합(115)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가이드 부재의 제1 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가이드부(111)는 상면(113), 상면(113)과 제1 경사각(θ1)을 형성하고 상면(11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경사면(114), 그리고 상면(113)과 제2 경사각(θ2)을 형성하고 상면(113)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경사면(114)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상면(113)은 제1 가이드부(111)에서 개구(11)의 중심에 대향하는 면으로 정의한다. 일 예에 의하면, 제1 경사면(114)은 개구(11)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면(113)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면(113)과 제1 경사면(114)이 형성하는 제1 경사각(θ1)은 상면(113)과 제2 경사면이 형성하는 제2 경사각(θ2)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경사각(θ1)는 140°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2 경사면(115)은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면(113)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면(113)과 제2 경사면(115)이 형성하는 제2 경사각(θ2)은 상면(113)과 제1 경사면(114)이 형성하는 제1 경사각(θ1)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면(113)과 제2 경사면(115)이 형성하는 제2 경사각(θ2)은 11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경사면(114)의 제1 경사각(θ1)이 제2 경사면(115)의 제2 경사각(θ2)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110)는 개구(11)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터브(20)의 개구부(21)의 상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제1 각도(α)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기(미도시)는 탈수시에 드럼(30)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가이드 부재의 제2 가이드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 가이드부(112)는 제1 가이드부(111)의 일측으로부터 드럼(30)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2 가이드부(112)는 개구(11)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드럼(30)의 개구부(34)와 일정 부분 겹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이드부(112)는 개구(11)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드럼(30)의 전단부(30a)로부터 후방으로 제4 길이(d4)만큼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4 길이(d4)는 10mm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2 가이드부(112)는 제1 가이드부(111)의 일측으로부터 드럼(30)의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양 측면의 거리가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12)는 좌측면이 제1 가이드부(111)와 제3 경사각(θ3)을 가지고, 우측면이 제1 가이드부(111)와 제4 경사각(θ4)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3 경사각(θ3)과 제4 경사각(θ4)은 동일한 각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3 경사각(θ3)과 제4 경사각(θ4)은 130°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가이드 부재(110)를 포함한 세탁기(1)에서, 제어기(미도시)는 탈수시에 드럼(30)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110)는 다이어프램(40)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0)는 탈수시에 회전하는 세탁물과의 접촉에도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브라켓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120)은 중공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브래킷(120)은 터브(20)의 일측과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브래킷(120)은 터브(20)의 전면의 후방에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브래킷(120)은 돌출부(121)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1)는 드럼(30)의 전면부(30a)와 다이어프램(40)의 사이에서 개구(1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돌출부(121)는 드럼(30)의 전면부(30a)보다 개구(11)의 중심 방향으로 제1 길이(d1)만큼 연장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거리(d1)는 3mm 이하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돌출부(121)는 드럼(30)의 전면부(30a)보다 제2 거리(d2)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거리(d2)는 3mm 내지 6 mm로 제공될 수 있다. 돌출부(121)는 세탁 또는 탈수 과정 중에도 드럼(30)과의 간격이 제2 거리(d2)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브래킷(120)은 드럼(30)이 회전하는 경우에 다이어프램(40)과 드럼(30)이 접촉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가이드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130)는 제1 가이드부(131) 및 제2 가이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는 도 3의 가이드 부재(110)와 비교할 때 제1 가이드부(131) 만이 상이한 구성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 3의 가이드 부재(11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가이드부(131)는 상면(133), 제1 경사면(134), 그리고 제2 경사면(13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제1 경사면(134)은 상면(133)과 제5 경사각(θ5)을 형성하고, 상면(13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면(135)은 상면(133)과 제5 경사각(θ5)을 형성하고, 상면(133)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31)는 도 3의 가이드 부재(110)와 달리, 상면(133)의 양측의 경사면이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가이드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71)는 터브(70)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터브(70)는 터브(70)의 전면부 일측에 가이드 부재(71)가 포함된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71)는 도 3의 가이드 부재(110)와 달리, 나사 등에 의한 결합 없이도 기설정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71)는 상술한 차이점 외에는 도 3의 가이드 부재(110)와 그 형상, 위치, 그리고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도 1의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의 제1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100)은 가이드 부재(110, 140)와 브라켓(120)을 포함한다.
일 예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110, 140)는 복수개 제공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10, 140)는 제1 가이드 부재(110) 및 제2 가이드 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110)는 도 3의 가이드 부재(11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가이드 부재(140)는 개구(11)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터브(20)의 개구부(21)의 상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제2 각도(β)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 각도(β)는 예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각도(β)는 45° 내지 60°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각도(β)는 제1 각도(α)와 동일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100)을 포함한 세탁기(1)가 탈수 과정에서 세탁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세탁기(1)는 세탁 단계가 종료된 이후에 탈수 단계가 진행된다. 탈수 단계가 진행되기 전에 드럼(30)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방향을 변환하면서 저속 회전된다. 이때 세탁물이 회전되면서 세탁물 중 일부가 드럼(30)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100)은 세탁물과 접촉되면서 세탁물이 드럼(30)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탈수 단계는 드럼(30)이 일 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면서 진행된다. 상술한 세탁기(1)에서는 가이드 부재(110)가 개구(11)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터브(20)의 개구부 상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므로, 드럼(3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탈수할 수 있다.
탈수 단계 중에 세탁물의 일부가 드럼(30)의 개구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드럼(30)의 개구부에 위치하는 세탁물은 드럼(30)과 함께 회전하다 가이드 부재(110)와 접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세탁물은 가이드 부재(110)의 제1 가이드부(111)와 접촉하여 제1 경사면(114)과 제2 가이드부(112)를 순차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때 세탁물은 제1 가이드부(111)와 제2 가이드부(112)로부터 받는 충격으로 인하여 드럼(30)의 내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제1 가이드부(111)의 제1 경사면(114)이 상면(113)과 제1 경사각(θ1)을 형성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세탁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드럼(30)의 외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세탁물이 반시계 방향으로 탈수되는 과정에서, 세탁물이 드럼(30)의 상단을 지나면서 중력으로 인하여 드럼(30)의 내측면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11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세탁물이 드럼(30)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세탁물을 드럼(30)의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120)의 돌출부(121)는 상술한 가이드 부재(110)가 차단하는 세탁물보다 부피가 적은 세탁물이 드럼(30)의 개구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물이 드럼(30)과 함께 회전하는 중에 일부가 드럼(30)의 개구부 외측으로 이동하여 터브(20)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120)의 돌출부(121)와 접촉될 수 있다. 회전하는 세탁물이 정지된 브라켓(120)의 돌출부(121)와 접촉되면 그 충격으로 인하여 세탁물이 드럼(3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100)은 가이드 부재(110)와 브라켓(120)을 이용하여 탈수 단계에서 세탁물이 드럼(30)의 개구부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세탁기 10 : 캐비닛
11 : 개구 15 : 도어
20 : 터브 23 : 급수관
24 : 세제 공급 장치 26 : 배수 펌프
27 : 배수관 30 : 드럼
40 : 다이어프램 50 : 구동 장치
100 :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 110 : 가이드 부재
111 : 제1 가이드부 112 : 제2 가이드부
120 : 브라켓 121 : 돌출부

Claims (27)

  1. 일측면에 세탁물이 출입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전면에 상기 캐비닛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전면에 상기 터브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및
    일측이 상기 터브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캐비닛의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기 터브의 개구부 상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제1 각도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예각으로 제공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탈수시에 상기 드럼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기 터브의 개구부 상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제1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기 터브의 개구부 상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제2 각도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예각으로 제공되는 세탁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면, 상기 상면과 제1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경사면, 그리고 상기 상면과 제2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1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각보다 크게 제공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상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세탁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양 측면의 거리가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세탁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일측이 상기 터브의 개구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캐비닛의 개구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다이어프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다이어프램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을 포함하는 세탁기.
  12. 일측면에 세탁물이 출입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전면에 상기 캐비닛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전면에 상기 터브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일측이 상기 터브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드럼의 전면부와 상기 다이어프램의 사이에서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드럼의 전면부보다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세탁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다이어프램보다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세탁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터브의 전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공되는 세탁기.
  16. 일측면에 세탁물이 출입하는 개구를 가지는 캐비닛;
    전면에 상기 캐비닛의 개구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전면에 상기 터브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터브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
    일측이 상기 터브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와 상기 캐비닛 사이 공간을 밀폐하는 다이어프램; 및
    상기 터브와 결합되고, 상기 세탁물이 상기 드럼의 내측에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하는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은
    일측이 상기 터브의 전면부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터브로부터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기 터브의 개구부 상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제1 각도 이격되어 위치하는 세탁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상기 드럼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탈수시에 상기 드럼이 전방에서 바라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세탁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면, 상기 상면과 제1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제1 경사면, 그리고 상기 상면과 제2 경사각을 형성하고 상기 상면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1 경사각은 상기 제2 경사각보다 크게 제공되는 세탁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개구의 중심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상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세탁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양 측면의 거리가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세탁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다이어프램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을 포함하는 세탁기.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물 이탈 방지 유닛은
    상기 드럼의 전면부와 상기 다이어프램의 사이에서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가지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세탁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돌출부가 상기 드럼의 전면부보다 상기 개구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는 세탁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터브의 전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공되는 세탁기.
KR1020140016511A 2014-02-13 2014-02-13 세탁기 KR102201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511A KR102201404B1 (ko) 2014-02-13 2014-02-13 세탁기
CN201580008234.3A CN105980621B (zh) 2014-02-13 2015-02-10 洗衣机
PCT/KR2015/001331 WO2015122673A1 (ko) 2014-02-13 2015-02-10 세탁기
EP15749317.2A EP3106559B1 (en) 2014-02-13 2015-02-10 Washing machine
US15/119,123 US20170051446A1 (en) 2014-02-13 2015-02-10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511A KR102201404B1 (ko) 2014-02-13 2014-02-13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335A true KR20150095335A (ko) 2015-08-21
KR102201404B1 KR102201404B1 (ko) 2021-01-12

Family

ID=53800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511A KR102201404B1 (ko) 2014-02-13 2014-02-13 세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051446A1 (ko)
EP (1) EP3106559B1 (ko)
KR (1) KR102201404B1 (ko)
CN (1) CN105980621B (ko)
WO (1) WO20151226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162B1 (ko) * 2018-06-14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11761134B2 (en) 2019-05-23 2023-09-19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US11377772B2 (en) 2019-05-23 2022-07-0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DE102019209205A1 (de) * 2019-06-26 2020-12-31 BSH Hausgeräte GmbH Manschette für ein Wäschebehandlungsgerät, Wäschebehandlungsgerät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s Spaltmaß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0253A (ja) * 2006-06-21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2008307430A (ja) * 2008-09-30 2008-12-25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洗濯機
JP2012143613A (ja) * 2012-04-04 2012-08-02 Sharp Corp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644B1 (ko) * 1999-02-18 2001-11-17 윤종용 드럼세탁기의 세탁포 이탈방지장치 및 운전방법
DE10237017B3 (de) * 2002-08-13 2004-01-08 Whirlpool Corp., Benton Harbor Wäschebehandlungsmaschine
KR101016306B1 (ko) * 2004-02-13 2011-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개스킷
DE202004012221U1 (de) * 2004-08-04 2004-09-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behandlungsgerät mit einem Wäscheabweiser
DE102004043671B4 (de) * 2004-09-07 2008-04-10 Miele & Cie. Kg Frontbeschickbare Trommelwaschmaschine mit Wäscheabweiser an der Faltenbalgdichtung
EP1690969A1 (en) * 2005-02-10 2006-08-1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Improvement in the front flange of a household-type clothes washing machine
KR101175731B1 (ko) * 2005-06-10 2012-08-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의 세탁물 이탈 감지장치
ITTO20050117U1 (it) * 2005-08-08 2007-02-09 Indesit Co Spa Macchina lavabiancheria o lavasciuga con dispositivo respingente
DE102007009509B4 (de) * 2007-02-27 2016-06-02 BSH Hausgeräte GmbH Wäscheabweiservorrichtung für ein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sowie ein derartiges Hausgerät
EP1995366B1 (en) * 2007-05-21 2015-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maintaining a balanced state of laundry thereof
TR200909579A2 (tr) * 2009-12-20 2011-07-21 Bsh Ev Aletler� San. Ve T�C. A.�. Önden yüklemeli bir çamaşir makinesi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0253A (ja) * 2006-06-21 2008-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JP2008307430A (ja) * 2008-09-30 2008-12-25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洗濯機
JP2012143613A (ja) * 2012-04-04 2012-08-02 Sharp Corp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06559B1 (en) 2019-12-11
KR102201404B1 (ko) 2021-01-12
CN105980621B (zh) 2018-12-07
US20170051446A1 (en) 2017-02-23
WO2015122673A1 (ko) 2015-08-20
EP3106559A1 (en) 2016-12-21
CN105980621A (zh) 2016-09-28
EP3106559A4 (en)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9179B1 (en) Washing machine
EP3239386B1 (en) Washing machine
US9598811B2 (en) Washing machine
US7634926B2 (en) Mechanism for mounting motor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US8789395B2 (en) Washing machine and balancer thereof
US20180266040A1 (en) Washing machine
KR20150095335A (ko) 세탁기
US10968557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00070707A (ko) 드럼세탁기
KR20150112386A (ko) 드럼세탁기
KR102009186B1 (ko) 드럼 세탁기
KR20080002475A (ko) 세탁기의 떨림 방지 장치
KR101362379B1 (ko)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US20220127776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20130269396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amping apparatus
KR100826206B1 (ko) 드럼세탁기
KR20100044153A (ko)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KR10191643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WO2015188683A1 (zh) 滚筒式洗衣机
KR101517868B1 (ko) 세탁효율을 증대시킨 드럼세탁기
JP2014004274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70115298A (ko)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JP2011024847A (ja) 洗濯機
KR20130132714A (ko) 밸런서를 구비한 세탁기
KR20040058997A (ko) 일체형 캐비넷/터브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