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878A -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878A
KR20150094878A KR1020140015639A KR20140015639A KR20150094878A KR 20150094878 A KR20150094878 A KR 20150094878A KR 1020140015639 A KR1020140015639 A KR 1020140015639A KR 20140015639 A KR20140015639 A KR 20140015639A KR 20150094878 A KR20150094878 A KR 20150094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sound absorbing
housing unit
blad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양기
조성빈
이열규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5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878A/ko
Publication of KR20150094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8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측면부 및 상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 및 상기 하우징 유닛의 전면에 배치되고, 가변적으로 흡음 면적을 제어할 수 있는 흡음 블레이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은 개구패턴을 포함하는 전면판, 및 다공성 재료를 포함하는 후면판의 결합체인 흡음 블레이드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흡음 블레이드들은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는 ,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ROMM ACOUSTIC MOTORIZED VARIABLE SOUND ABSORPTION SYSTEM}
본 기술은 건축학 및 음향공학 분야의 기술로서, 실내 공간의 건축음향 환경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공간의 활용률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연장, 강당, 체육관, 전시장 등의 건축공간을 다용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실내의 흡음력 등 음향 환경을 공간의 활용 목적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커튼식 흡읍 장치나 이동식 패널 등은 다루기가 힘들고, 무엇보다도 흡음 효과가 매우 낮아 효용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장치들은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음향만을 선택적으로 흡음하는 기능만을 수행함으로써, 공간의 다목적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공간의 적절한 활용을 위해서는 그 사용목적에 따라 명료도나 잔향감 등에 대한 각기 다른 음향 환경을 요구하게 된다. 잔향시간은 음이 발생한 위 60dB 감쇠될 때 까지의 시간을 의미하며 이는 공간내 마감면의 흡음재와 반사재의 면적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이 때 설치되는 흡음재는 설치면과의 거리(배우 공기층), 충진재(insulation)의 유무에 따라 흡음의 음역대별(frequency range) 성능이 변화된다. 흡음은 음이 면에 충돌하였을 때 발생하게 됨으로 흡음재의 노출 면적에 따라 잔향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면 흡음재의 노출 정도 변화가 용이하고, 설치 각도가 자유로우며, 표면 흡음재의 노출 정도를 공간의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흡음 모드에서는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고르게 높은 흡음성능을 나타내며, 반사 모드에서는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고르게 낮은 흡음성능(높은 반사성능)을 나타내는 가변흡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는 양 측면부 및 상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 및 상기 하우징 유닛의 전면에 배치되고, 가변적으로 흡음 면적을 제어할 수 있는 흡음 블레이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은 개구패턴을 포함하는 전면판, 및 다공성 재료를 포함하는 후면판의 결합체인 흡음 블레이드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흡음 블레이드들은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양 측면부는 각각 상기 측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모듈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은 상기 모듈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의 상면부에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음 블레이드모듈은 전동 방식에 의하여 개폐됨으로써 흡음면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음향 반사를 위한 후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과 상기 후면부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이 배치된 젼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개구 패턴은 원형, 각형, 타원형, 슬릿-슬랫형 등 다양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판의 표면은 방염처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 블레이드의 전면판은 복수의 절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개구패턴은 상기 절편들의 사이 공간에 의하여 형성된 것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의 흡음 방식, 상기 후면판의 기공패턴 및 상기 흡음 블레이드와 상기 후면부의 이격거리 조절을 통하여 흠음 특성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벽 구조는 전술한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복수개가 건물의 내벽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패턴화된 형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벽 구조.
본 발명에 따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는 흡음 블레이드의 전면판은 원형, 각형 혹은 타원형의 타공형(perforated), 슬릿-슬랫형(slit-slat)의 개구 패턴에 의한 헬름홀츠 공명체 흡음효과와 후면판의 다공질 충진재에 의한 다공질 흡음효과, 그리고 흡음 블레이드와 바탕벽 혹은 반사재 후면부 사이의 이격거리에 의한 중첩성 흡음효과에 의해 전대역 흡음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면판의 흡음방식, 후면판의 기공패턴, 그리고 후면부와의 이격 거리의 조절을 통해 다양한 흡음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음재의 노출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공간의 잔향시간을 연속적으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후면재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표면이 개방되었을 경우 실내공간에 필요한 확산반사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전동방식의 구동으로 채광 조절용 베네시안 블라인드와 같이 흡음 블레이드의 설치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모듈 가이드부가 있어 설치각도가 자유롭다. 상기 시스템은 빠르고 편하게 다양한 음향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구간별로 모듈화 되어 공간의 전체 혹은 원하는 부분만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사전 제작될 수 있어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공사 뿐만 아니라 리모델링 단계에서 본 시스템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큰 장점 중 하나는 공간 활용자의 의도나 목적에 따라 상기 시스템을 다양한 스타일로 조절함으로써, 활용 목적에 따른 무궁무진한 공간 음향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 블레이드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개구패턴을 평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개구패턴을 평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패턴을 평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를 경사진 벽면에 설치한 구조를 도시한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를 벽면에 패턴화한 내벽 구조를 도시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체화하여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후술할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질 뿐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주로 개념적으로 그려진 것이기에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발명의 기술사상이 제한되는 것도 역시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1000)는 하우징 유닛(1100) 및 흡음 블레이드 모듈(12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유닛(1100)은 양 측면부(1110), 상면부(1120) 및 바닥부(1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유닛(1100)은 후면이 개방되어 있어, 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1000)는 건물의 내벽에 설치할 경우, 건물 내벽면을 반사면인 후면부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유닛(1100)의 전면부에는 흡음 블레이드 모듈(1200)이 배치된다.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1200)은 하우징 유닛(1100)의 측면부(1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접혀졌다가 필요시 펼쳐짐으로써 상기 하우징 유닛(1100)의 전면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1200)은 복수의 흡음 블레이드(1210)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흡음 블레이드(1210)들은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1200)이 접혀질 경우, 상기 흡음 블레이드(1210)들은 서로 중첩 되면서 접혀 걷어지게 된다. 따라서 측면부(1110)의 두께는 상술한 접힘 구조가 가능한 최소한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흡음 블레이드(1210)들의 연결구조는 다양할 수 있으며, 다만 흡음 블레이드(1210)들이 공간을 줄이면서 접혀질 수 있는 연결구조이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구조로는 지그재그형 힌지구조체(1220)가 활용된다. 이외에도, 접힘이 가능한 다양한 연결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힌지구조체(1220)의 일 영역에는 각 블레이드(1210) 당 하나씩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측면부(1110)의 내측에 형성된 길이 방향의 홈 구조를 갖는 모듈 가이드부(1112)에 삽입되어 상기 흡음 블레이드(1210)가 상기 측면부(1110)를 이탈하지 않고 상기 측면부(1110)의 모듈 가이드부(111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흡음 블레이드 모듈(1200)은, 경사진 벽면 등에 본 장치(1000)가 적용되어도 상기 하우징 유닛(1100)의 전면부에 평행하게 이송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면부(1120)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1200)이 전동 방식으로 높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은 예를 들면, 힌지구조체(1220)의 중심부를 따라 형성된 축 구조체 등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전자식 조절 수단, 리모콘의 활용 등에 대해서는 공지기술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2000)는 하우징 유닛(2100)이 후면부(2140)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장치(1000)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흡음 블레이드 모듈(2200)이 어느 정도 접힌 모습을 보여준다. 즉, 본 실시예는 흡음 면적이 감소된 형태의 활용양상을 보여준다.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2000)는 하우징 유닛(2100) 및 흡음 블레이드 모듈(22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유닛(2100)은 양 측면부(2110), 상면부(2120), 바닥부(2130) 및 후면부(2140)를 포함한다.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2200)은 서로 연결된 복수의 흡음 블레이드(2210)들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측면부(2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흡음 블레이드(2210)들의 이동을 위한 모듈 가이드부(2112)가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2200)은 지그재그형 힌지구조체(2220)에 의하여 접힘 구조를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후면부(2140)와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2200) 사이에는 배후 공간이 존재하여,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2200)을 통하여 유입된 소리의 잔향 효과 등 음향효과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배후 공간은 다양한 음향효과 창출을 위한 중요한 하나의 인자로서 작용될 수 있다. 상기 배우 영역의 두께나 부피는 제품 활용자의 니즈에 부합하도록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배후 효과를 용이하게 구현하기 위해서는 흡음 블레이드 모듈(2200)에 의하여 개폐되는 전면부를 제외한 내부 공간은 폐쇄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하우징 유닛(1100 2100)은 모두 바닥면(1130, 21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장치(1000, 2000)가 설치되는 장소의 특성에 따라서는 상기 하우징 유닛(1100, 2100)은 바닥면(1130, 1140)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후면부(2140)는 소리의 반사면으로서 작용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후면부(2140)의 재질은 고밀도의 평탄면이나 요철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기존 벽면의 콘크리트 면도 도 1의 장치(1000)의 경우에는 후면부(반사부)(214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흡음 블레이드(1210)의 측면에는 상기 흡음 블레이드(1210)의 이동 수단으로서 지그재그형 힌지구조체(112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구조체(1120)의 일부로부터 돌출부(12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 유닛(1100)의 측면부(1112)의 내측면에는 상기 돌출부(1212)를 수용하기 위한 길이방향의 홈으로 이루어진 모듈 가이드부(1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212)와 모듈 가이드부(1112)의 대응에 의하여 흡음 모듈(1200)이 하우징 유닛(1100)을 이탈하지 않고 하우징 유닛(1100)의 전면부에 평행하게 인출되어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 블레이드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흡음 블레이드(400)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개구패턴을 포함하는 전면판(410), 이와 결합되는 후면판(420) 및 이들을 체결 또는 결합시키는 결합부재(43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판(410)에는 후술하겠으나, 다양한 타공 패턴 또는 개구 패턴을 포함한다. 다양한 개구패턴을 통하여 전면판(410)이 일차적으로 흡음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후면판(420)은 다양한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다공질 재료로는 공지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공질 재료는 다공 내에 음파를 산란시키되, 상기 후면판(420) 후면의 배후 공간으로 통과시킬 수 있어, 배후 공간에 의한 음향효과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전면판(410)과 후면판(420)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리적인 결합부재(430)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고, 접착 스프레이 등을 전면부에 분사함으로써도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 스프레이 등은 방염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개구패턴을 평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개구패턴을 평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판(510)에 원형 형상의 개구패턴(512)이 형성될 수 도 있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면판(610)에는 슬릿형의 개구 패턴(6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개구패턴은 이 외에도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상기 전면판(510, 610)으로는 일체형 부재를 사용해도 되지만, 복수의 절편들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불연속 판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판(510, 610)이 복수의 절편들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개구패턴은 결합 또는 체결된 절편들 사이의 틈새 공간에 대응한다.
도 7은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구패턴을 평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판(610)은 복수의 수평 절편들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수평 절편들은 연결수단(62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절편 사이에는 소정의 슬릿(612)이 형성된다. 즉, 도 7의 개구패턴은 일종의 슬릿-슬랫(slit-slat)형 패턴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절편 사이에 형성된 슬릿(6123)은 개구된 영역에 대응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를 경사진 벽면에 설치한 구조를 도시한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는 경사진 벽면(5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는 측면부(7110), 측면부(7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흡음 블레이드 모듈(7200)을 포함한다.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7200)은 지그재그 형태의 힌지구조체(7220)에 의하여 이동하며, 구체적으로는 측면부(7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모듈 가이드부(7112)를 상기 힌지구조체(7220)의 돌출부(7212)가 이동하면서 흡음 모듈(7200)이 개폐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사진 벽면(50)에도 본 발명에 따른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가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흡음 블레이드 모듈(7220)은 하우징 유닛을 이탈하지 않고 하우징 유닛의 전면부에 평행하게 이동하면서 작동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들을 벽면에 패턴화한 내벽 구조를 도시한 개념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벽면 구조(10000)는 복수의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14000, 15000, 16000)들이 패턴화되어 건물의 내벽(70)에 배치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벽(70) 상에는 다양한 시스템 조합으로 음향 설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4000)의 경우 흡음 모듈이 거의 접힌 모습을 취하고 있고, 반면에 장치(15000)의 경우에는 흡음 모듈이 닫혀진 모습을 취하고 있다. 이처럼, 각 장치(14000, 15000, 16000)의 흡음 면적을 획일화하지 않고 다양한 조합으로 설계함으로써 다양한 음향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장치(15000)는 원형의 개구패턴(C)를 갖는 흡음 블레이드 모듈을 포함하고, 장치(16000)의 경우 슬릿 형상의 개구패턴(D)을 포함한다. 이처럼 개구 패턴이 서로다른 시스템 조합을 구현함으로써 미세한 음향 효과를 가변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장치(14000, 15000, 16000)의 크기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각의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만을 설명하였으나, 장치의 형상은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의 위치나 형상 등에 따라 사각이 아닌 다른 형상의 시스템을 제조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11)

  1. 양 측면부 및 상면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유닛; 및
    상기 하우징 유닛의 전면에 배치되고, 가변적으로 흡음 면적을 제어할 수 있는 흡음 블레이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은 개구패턴을 포함하는 전면판, 및 다공성 재료를 포함하는 후면판의 결합체인 흡음 블레이드를 복수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흡음 블레이드들은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는 ,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면부는 각각 상기 측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모듈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은 상기 모듈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의 상면부에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음 블레이드모듈은 전동 방식에 의하여 개폐됨으로써 흡음면적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음향 반사를 위한 후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과 상기 후면부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흡음 블레이드 모듈이 배치된 젼면을 제외한 모든 면이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패턴은 원형, 각형, 타원형 및 슬릿-슬랫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의 표면은 방염처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블레이드의 전면판은 복수의 절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개구패턴은 상기 절편들의 사이 공간에 의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흡음 방식, 상기 후면판의 기공패턴 및 상기 흡음 블레이드와 상기 후면부의 이격거리 조절을 통하여 흠음 특성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11. 제1항의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복수개가 건물의 내벽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패턴화된 형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내벽 구조.
KR1020140015639A 2014-02-11 2014-02-11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KR201500948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639A KR20150094878A (ko) 2014-02-11 2014-02-11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639A KR20150094878A (ko) 2014-02-11 2014-02-11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878A true KR20150094878A (ko) 2015-08-20

Family

ID=5405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639A KR20150094878A (ko) 2014-02-11 2014-02-11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8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5516B2 (en) Acoustically absorbing room divider
US9714508B2 (en) Structures formed with sheet material configured with at least one sound absorbing layer
CN101826323B (zh) 声学结构
ES2609411T3 (es) Absorbente acústico
US20180112396A1 (en) Apparatus for improving the acoustics of an interior space, a system incorporating said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id apparatus
WO2018051780A1 (ja) 防音構造、及び防音システム
KR20190093989A (ko) 흡음기능을 개선한 흡음패널
Kang et al. Numerical simulation of an acoustic window system using finite element method
KR101955591B1 (ko) 실내용 가변형 흡음장치
CN109312563A (zh) 吸音器设施以及隔音的房间
KR20150094878A (ko) 실내음향 전동 가변흡음장치
EP3489427B1 (en) Acoustic panel device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
JP2022061512A (ja) 音響調整パネルの設計方法及び製造方法
EP2990557B1 (en) Panel for walls, ceilings, false ceilings, floor surfaces, furnishing elements and the like
JP2606534B2 (ja) 低音吸音部材および音響室構造
JP5666784B2 (ja) 全音響透過板並びにそれを用いたハードスクリーン及び音響透過量調整板
US10280614B2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and acoustic room
FI110896B (fi) Ääntä aktiivisesti vaimentava rakenne
KR101765993B1 (ko) 주파수 선택과 확산 기능을 갖는 가변 잔향장치
JP7033055B2 (ja) 防音構造体、及び防音パネル
CN207852306U (zh) 一种宽频带室内吸声装置及其降噪家具
JP6476298B2 (ja) 共鳴音吸収のための乾式壁構造物
EP2100292A1 (en) Method for absorbing sound waves
JPS6313283Y2 (ko)
KR20230094515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잔향 시간 가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