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472A - 터치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472A
KR20150094472A KR1020140065322A KR20140065322A KR20150094472A KR 20150094472 A KR20150094472 A KR 20150094472A KR 1020140065322 A KR1020140065322 A KR 1020140065322A KR 20140065322 A KR20140065322 A KR 20140065322A KR 20150094472 A KR20150094472 A KR 20150094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attern
pattern
period
unit mesh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빅토르 유로프
오상환
오윤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502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5153425A/ja
Priority to US14/619,031 priority patent/US20150227238A1/en
Publication of KR20150094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4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베이스기판, 상기 베이스기판 일면에 형성되는 전극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패턴은 복수개의 단위메쉬패턴을 포함하는 메쉬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위메쉬패턴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변 및 제2 변을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메쉬패턴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상기 제1 변이 이루는 예각 θ1과 상기 단위메쉬패턴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상기 제2 변이 이루는 예각 θ2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센서(Touch Sensor)가 개발되었다.
한편, 터치센서는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특허문헌과 같이, 금속을 이용하여 전극패턴을 형성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금속으로 전극패턴을 형성하면, 전기전도도가 우수하며, 수급이 원활하다는 장점이 있다.
KR 2011-0120157 A
본 발명의 일측면은 터치센서를 이루는 전극패턴의 시인성을 저감시켜 터치센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극패턴을 이루는 메쉬패턴을 형성하는 각 변의 각도, 메쉬패턴을 이루는 각 변들이 연속하여 형성되는 이격거리에 의한 주기값을 조절함으로써 터치센서의 전극패턴 시인성을 저감시키고, 투과율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터치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터치센서를 이루는 전극패턴의 시인성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전극패턴내에 포함된 메쉬패턴의 형성각도, 일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형성주기 및 터치센서와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픽셀 등과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설계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극패턴에 포함된 메쉬패턴을 이루는 다각형의 형성되는 각도나, 다각형이 일정방향으로 배열되는 기준을 조절하여 메쉬패턴의 시인성 저감과 최종 전극패턴을 통한 모아레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극패턴간 또는 전극패턴과 디스플레이부와 중첩되어 시인되는 영역에서의 모아레 방지 및 전극패턴 자체의 시인성을 저감시키기 위해 전극패턴 및 디스플레이부의 픽셀패턴의 형태를 형성각도와 주기를 통해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쉬패턴의 전극패턴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픽셀의 일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전극패턴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일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측면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쉬패턴의 전극패턴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픽셀의 일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베이스기판(10), 상기 베이스기판(10) 일면에 형성되는 전극패턴(20)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패턴(20)은 복수개의 단위메쉬패턴(20a)을 포함하는 메쉬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위메쉬패턴(20a)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변 및 제2 변을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메쉬패턴(20a)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상기 제1 변이 이루는 예각 θ1과 상기 단위메쉬패턴(20a)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상기 제2 변이 이루는 예각 θ2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터치센서의 베이스기판(10)은 소정강도 이상을 보유한 재질로써 투과율이 85%이상을 갖는 것으로 디스플레이부(50)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P),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기판(10)의 일면에는 전극패턴(20)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기판(10)과 전극패턴(20)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베이스기판(10)의 일면에 고주파 처리 또는 프라이머(primer) 처리 등을 수행하 여 표면처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전극패턴(20)은 베이스기판(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는 베이스기판(10) 일면상에서 상호 교차되는 제1 전극패턴(21)과 제2 전극패턴(22)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기판(10) 일면 및 타면에 각각 제1 전극패턴(21)과 제2 전극패턴(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기판(11)의 일면에 제1 전극패턴(21)을 형성하고, 별도의 제2 베이스기판(12)상에 제2 전극패턴(22)을 형성함으로써 터치센서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 . 여기서, 전극패턴(20)은 금속세선(30)으로 형성되는 메쉬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그 메쉬패턴을 이루는 형상은 사각형 등의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단위메쉬패턴(20a)으로 형성된 전극패턴(2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극패턴(20)은 구리(Cu), 알루미늄(Al), 금(Au), 은(Ag), 티타늄(Ti), 팔라듐(Pd), 크롬(Cr), 니켈(Ni) 또는 이들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한 것으로 메쉬패턴(Mesh Pattern)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극패턴(20)은 상술한 금속 이외에도 은염(銀鹽) 유제층을 노광/현상하여 형성된 금속 은, ITO(Indium Thin Oxide) 등의 금속산화물이나, 유연성이 뛰어나고 코팅 공정이 단순한 PEDOT/PSS 등의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전극패턴(20)의 형성방법은 건식 공정, 습식 공정 또는 다이렉트(direct) 패터닝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건식공정은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Evaporation) 등을 포함하고, 습식 공정은 딥 코팅(Dip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등을 포함하며, 다이렉트 패터닝 공정은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기판상에 전극패턴(20)상에 감광물질을 도포하고, 원하는 패턴으로 형성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빛을 조사한다. 이때 빛을 받은 감광물질부분을 현상액으로 제거하거나, 빛을 받지 않은 부분을 현상액으로 제거하는 등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공정을 진행한다 이후에, 감광물질이 특정 패턴으로 형성되고, 감광물질을 레지스트로 하여 에칭액으로 나머지 부분을 제거한 후, 감광물질을 제거하면, 원하는 패턴의 전극패턴(20)을 제작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패턴(20)은 복수개의 단위메쉬패턴(20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위메쉬패턴(20a)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변(a1) 및 제2 변(a2)을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메쉬패턴(20a)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선(도면상의 X축방향을 수평선으로 정의함)과 상기 제1 변이 이루는 예각 θ1과 상기 단위메쉬패턴(20a)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상기 제2 변이 이루는 예각 θ2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각각 서로 다른 예각을 갖는 두 변(a1, b1)으로 각각 마주보는 사각형 형태의 메쉬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금속세선(30)이 교차하는 지점에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전극패턴(20) 시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θ1, θ2가 30도 이하 또는 60도 이상이 되었을 때, 메쉬패턴의 금속세선(30)이 교차되는 패턴상에 교차점이 커져 시인성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나, θ1, θ2의 각도를 달리하여 메쉬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θ1과 θ2의 합은 60도 내지 120도로 형성할 수 있다. 그 합이 60도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교차점에 의한 시인에 의한 전극패턴(20)의 시인성의 저감이 문제될 수 있고, 그 각도의 합이 12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전극패턴(20)의 투과율의 저감으로 효과적인 터치센서의 구현이 문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극패턴(20)을 형성하고 있는 메탈의 시인성은 CSF(contrast sensitivity function)에 의해 고주파(high frequency)일수록 사람눈의 인지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어느 한 측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단위메쉬패턴(20a)을 고주파로 하고, 이때 주기(T; 피치)가 좋아지면서 발생하게 되는 투과율 개선을 위해 다른 측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단위메쉬패턴(20a)을 저주파(low frequency)로 조합할 수 있어 메탈 라인의 시인성과 투과율 모두를 고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기(T)와 각도(θ)를 다음과 같은 실시예로 구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전극패턴(20)을 형성할 수 있다.
T1(㎛) T2(㎛) θ1(˚) θ2(˚)
118.3 118.3 18.7 63.5
105.1 120.7 15.82 63.46
181.8 83.3 33 53
181.8 87 55 30
181.8 91.7 55 20
구체적으로, 단위메쉬패턴(20a)상에 일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 변 사이의 간격 주기 T1과 타측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2 변 사이의 간격 주기 T2는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즉, 각 주기가 서로 다르게 설계됨으로써 전체적인 메쉬패턴의 시인성을 저감시키고, 전극패턴간 또는 전극패턴과 중첩되어 시인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의 픽셀패턴 등과의 모아레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단위메쉬패턴(20a)상에 일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1 변 사이의 간격 주기 T1과 타측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제2 변 사이의 간격 주기 T2의 각각의 역수를 각각 F1, F2라고 정의할 때,
터치센서의 전극패턴은 15 < F1, 15 < F2를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F1이 15이하의 값으로 형성되고 F2값이 15이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단위메쉬패턴(20a)과 결합되는 후술할 디스플레이부(40)의 픽셀사이에서 모아레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전극패턴(20)의 시인 및 투과율의 저하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서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40)상에 형성된 픽셀의 주기를 Ts, 주기 Ts의 역수를 Fs라고 정의할 때,
F1 > Fs/3, F2 > Fs/3을 만족한다.
또한, 15 < F1, 15 < F2 와 F1 > Fs/3, F2 > Fs/3를 동시에 만족하도록 전극패턴(20)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각 경우의 관계식에 따라, 수평선(도 2의 X축 방향의 수평선으로 정의함)과 이루는 서로 상이한 예각(θ1, θ2)을 통한 패턴과 더불어, 단위메쉬패턴(20a)의 일방향으로 연속되는 각 금속세선(30)의 간격 주기(T1, T2) 및 결합되는 디스플레이부(40)의 단위 픽셀이 배열되는 간격 주기(Ts)를 효과적으로 상응되도록 설계함으로써, 터치센서의 전극패턴(20)의 시인성 저감과 함게 디스플레이부(40)와 결합시에 발생될 수 있는 모아레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터치센서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위메쉬패턴(20a)상의 각 변이 수평선과 이루는 예각((θ1, θ2) 또는 주기(T1, T2)의 각각의 요건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거나, 모든 요건을 함께 구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메쉬패턴으로 형성된 전극패턴(20)의 시인성의 저감과 모아레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전극패턴(20)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베이스기판(10)의 일면 및 타면에 제1 전극패턴(21)과 제2 전극패턴(2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패턴(21)과 제2 전극패턴(22)은 각각 센싱전극과 구동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패턴(21)은 복수개의 제1 단위메쉬패턴(21a)으로 형성되며, 제2 전극패턴(22)은 복수개의 제2 단위메쉬패턴(22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1 단위메쉬패턴과 제2 단위메쉬패턴(22a)의 형상 및 배열의 관계는 상술한 단위메쉬패턴(20a)의 주기 및 수평선과 이루는 각도의 조건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위메쉬패턴(21a)과 상기 제2 단위메쉬패턴(22a)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패턴(21)과 상기 제2 전극패턴(22)이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패턴(21)과 상기 제2 전극패턴(22)에 포함된 제1 단위메쉬패턴(21a)과 상기 제2 단위메쉬패턴(22a)이 상호 대응되도록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전극패턴(21)과 제2 전극패턴(22)이 교차되는 영역의 양 패턴이 중첩되는 부분에서의 시인성 저감 및 모아레현상을 방지하도록 중첩영역에서의 패턴을 동일하게 정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베이스기판(10)의 양면에 제1 전극패턴(21)과 제2 전극패턴(22)이 형성되고, 베이스기판(10)의 일측방향으로 디스플레이가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베이스기판(10) 타측방향으로 윈도우기판(10a)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윈도우기판(10a)은 상술한 베이스기판(10)과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전극패턴의 보호 및 터치센서의 강성을 고려하여 강화유리 등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선택적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영상장치로써 LCD, OLED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별한 종류의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여기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복수개의 픽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서 설명되었으며, 관련 구성 및 설명은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에 당업자로부터 용이한 범위까지 설계변경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터치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윈도우기판(10a)상에 전극패턴(20)을 형성하여 터치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해 시인되는 윈도우기판(10a)의 일면의 반대면에 제1 전극패턴(21)을 형성하고, 별도의 베이스기판(10)상에 제1 전극패턴(21)과 교차되는 제2 전극패턴(2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패턴(21)이 형성된 윈도우기판(10a)과 제2 전극패턴(22)이 형성된 베이스기판(10)은 각각 접착층(40)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전극패턴(22)상에는 접착층(40)으로 디스플레이부(40)를 결합할 수 있다. 접착층(40)은 터치센서의 투과율을 고려하여 투명접착층(40)인 OCA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그러한 접착층(40)의 재질적 특징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여기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센서 및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베이스기판(11)의 일면에 제1 전극패턴(21)을 형성하고, 별도의 제2 베이스기판(12)의 일면에 제1 전극패턴(21)과 교차되는 제2 전극패턴(22)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전극패턴(21)이 형성된 제1 베이스기판(11)의 일측방향으로 접착층(40)에 의한 윈도우기판(10a)을 결합하며, 제2 전극패턴(22)이 형성된 제2 베이스 기판의 타측방향으로 디스플레이부(40)를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는 터치센서의 구조적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 적용되는 제1 전극패턴(21) 및 제2 전극패턴(22)과, 제1 전극패턴(21)을 이루는 복수개의 제1 단위메쉬패턴(21a) 및 제2 전극패턴(22)을 이루는 제2 단위메쉬패턴(22a)은 상술한 전극패턴(20) 및 단위메쉬패턴(20a)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측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베이스기판 10a: 윈도우기판
11: 제1 베이스기판 12: 제2 베이스기판
20: 전극패턴 21: 제1 전극패턴
22: 제2 전극패턴 20a: 단위메쉬패턴
21a: 제1 단위메쉬패턴 22a: 제2 단위메쉬패턴
30: 금속세선 a1: 제1 변
b1: 제2 변 40: 접착층
50: 디스플레이부

Claims (11)

  1. 베이스기판;
    상기 베이스기판 일면에 형성되는 전극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패턴은 복수개의 단위메쉬패턴을 포함하는 메쉬패턴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위메쉬패턴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변 및 제2 변을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단위메쉬패턴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상기 제1 변이 이루는 예각 θ1과 상기 단위메쉬패턴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상기 제2 변이 이루는 예각 θ2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변이 상기 전극패턴상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를 T1,
    상기 제2 변이 상기 전극패턴상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를 T2라고 정의할 때,
    상기 주기 T1의 값과 T2의 값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터치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θ1과 θ2의 합이 60도 내지 120도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이 상기 전극패턴상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 T1의 역수를 F1,
    상기 제2 변이 상기 전극패턴상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 T2의 역수를 F2라고 정의할 때,
    15 < F1, 15 < F2
    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터치센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위메쉬패턴을 이루는 금속세선의 폭(d)는 1㎛ 내지 10㎛ 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5. 청구항 1에 의한 터치센서;
    상기 터치센서의 베이스기판 타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된 픽셀이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 Ts의 역수를 Fs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1 변이 상기 전극패턴상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 T1의 역수를 F1,
    상기 제2 변이 상기 전극패턴상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 T2의 역수를 F2라고 정의할 때,
    15 < F1, 15 < F2 및 F1 > Fs/3, F2 > Fs/3
    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베이스기판;
    상기 베이스기판 일면에 형성된 제1 전극패턴; 및
    상기 베이스기판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패턴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 전극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패턴은 복수개의 제1 단위메쉬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패턴은 복수개의 제2 단위메쉬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메쉬패턴 및 상기 제2 단위메쉬패턴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변 및 제2 변을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단위메쉬패턴 및 제2 단위메쉬패턴의 중심점을 지나는 수평선과 상기 제1 변이 이루는 예각 θ1과 상기 수평선과 상기 제2 변이 이루는 예각 θ2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변이 상기 제1 전극패턴 또는 상기 제2 전극패턴상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를 T1,
    상기 제2 변이 상기 제1 전극패턴 또는 상기 제2 전극패턴상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를 T2라고 정의할 때,
    상기 주기 T1의 값과 T2의 값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는 터치센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메쉬패턴과 상기 제2 단위메쉬패턴은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터치센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패턴과 상기 제2 전극패턴이 교차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 전극패턴과 상기 제2 전극패턴에 포함된 제1 단위메쉬패턴과 상기 제2 단위메쉬패턴이 상호 대응되도록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9. 청구항 6 있어서,
    상기 θ1과 θ2의 합이 60도 내지 120도로 형성되는 터치센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변이 상기 제1 전극패턴 또는 상기 제2 전극패턴상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 T1의 역수를 F1,
    상기 제2 변이 상기 제1 전극패턴 또는 상기 제2 전극패턴상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 T2의 역수를 F2라고 정의할 때,
    15 < F1, 15 < F2
    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터치센서.
  11. 청구항 6에 의한 터치센서;
    상기 터치센서의 베이스기판 타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된 픽셀이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 Ts의 역수를 Fs라고 정의하고,
    상기 제1 변이 상기 제1 전극패턴 또는 상기 제2 전극패턴상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 T1의 역수를 F1,
    상기 제2 변이 상기 제1 전극패턴 또는 상기 제2 전극패턴상에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격의 주기 T2의 역수를 F2라고 정의할 때,
    15 < F1, 15 < F2 및 F1 > Fs/3, F2 > Fs/3
    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140065322A 2014-02-11 2014-05-29 터치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500944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3231A JP2015153425A (ja) 2014-02-11 2015-02-09 タッチセンサおよびこれ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US14/619,031 US20150227238A1 (en) 2014-02-11 2015-02-10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5682 2014-02-11
KR1020140015682 2014-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472A true KR20150094472A (ko) 2015-08-19

Family

ID=54057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322A KR20150094472A (ko) 2014-02-11 2014-05-29 터치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4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232A (ko) * 2017-05-17 2018-11-27 백상화 글래스 표면의 저반사 가공을 위한 인쇄용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표면의 저반사 가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232A (ko) * 2017-05-17 2018-11-27 백상화 글래스 표면의 저반사 가공을 위한 인쇄용 스크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표면의 저반사 가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33555A1 (en) Touch sens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9519366B2 (en) Touch sensor
US9952713B2 (en)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 manufacturing method
JP5795038B2 (ja) 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用電極シート
KR101521681B1 (ko) 터치패널
US20120113014A1 (en) Touch position-sensing panel and method
KR20150082939A (ko) 터치센서
US20150212617A1 (en) Touch sensor
US20150185887A1 (en) Touch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50205422A1 (en) Touch sensor
US11079887B2 (en) Conductive member for touch panel and touch panel
US20150346874A1 (en) Touch sensor
US10768764B2 (en) Touch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ouch device
US20140293143A1 (en)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277485A1 (en)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2202975B1 (ko) 후막 패턴 구조 및 그의 형성 방법
US20150227238A1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50094472A (ko) 터치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140133413A (ko) 터치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20150370394A1 (en) Sensing structure of one-glass solution (ogs) touch panel
JP2017157184A (ja) 静電容量センサーとその製造方法、静電容量センサー付き成形品
US20150253909A1 (en) Touch sensor
KR20160086697A (ko) 터치센서모듈
US20140176506A1 (en) Touch sensor
KR102212674B1 (ko) 후막 패턴 구조 및 그의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