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286A -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286A
KR20150094286A KR1020140015382A KR20140015382A KR20150094286A KR 20150094286 A KR20150094286 A KR 20150094286A KR 1020140015382 A KR1020140015382 A KR 1020140015382A KR 20140015382 A KR20140015382 A KR 20140015382A KR 20150094286 A KR20150094286 A KR 20150094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related card
service provi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8065B1 (ko
Inventor
이한호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5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0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5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an additional device, e.g. smartcard, SIM or a different communication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에 발급된 해당 단말의 명의자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다른 명의자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해당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명의자 기반 서비스뿐만 아니라 실명 사용자 기반 서비스 모두를 제공하고, 관리의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Terminal and affiliated store server, electronic walle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본 발명은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에서 명의자 기반의 서비스뿐만 아니라 실명 사용자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지갑 시스템은 USIM 카드 등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통해 신용카드, 교통카드, 멤버십 카드, 쿠폰 등을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과 제휴 단말 간을 통해 결제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전자 지갑 시스템은 명의자 기반 서비스로 A 명의자가 각각 제 1 단말과 제 2 단말을 구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단말에는 A 명의자와 관련한 결제관련 카드를 발급받고, 제 2 단말에는 B 명의자와 관련한 결제관련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A 명의자 소유의 제 2 단말에서 B 명의자와 관련한 결제관련 카드가 발급되어 있어 실명 사용자가 해당 결제관련 카드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92186호 [명칭: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기반 오티피 생성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과 이를 이용한 오티피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에 발급된 해당 단말의 명의자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다른 명의자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해당 단말에 제공하는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의 명의자와 실명 사용자가 해당 단말에 발급받은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이 설치된 단말에서 특정 앱을 통한 명의자 기반 서비스와 실명 사용자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특정 앱이 실행될 때,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고, 전송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수신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식별 정보는 단말의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 카드 고유정보 및 시리얼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연계 정보는 본인 확인 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정보를 식별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어부는 수신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명의자 정보로 정렬하고, 명의자 정보로 정렬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휴사 서버는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를 경유하여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중에서 수신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를 경유하여 단말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제어 방법은 통신부를 통해, 특정 앱이 실행될 때,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전송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부를 통해 수신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명의자 정보로 정렬하는 과정; 및 제어부를 통해 명의자 정보로 정렬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휴사 서버의 제어 방법은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중에서 수신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통신부를 통해 확인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은 단말과 제휴사 서버를 중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중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제휴사 서버; 및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제휴사 서버에 전송하고, 전송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응답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에 발급된 해당 단말의 명의자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다른 명의자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해당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명의자 기반 서비스뿐만 아니라 실명 사용자 기반 서비스 모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의 명의자와 실명 사용자가 해당 단말에 발급받은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명의자 또는 실명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편리하게 확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이 설치된 단말에서 특정 앱을 통한 명의자 기반 서비스와 실명 사용자 기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결제관련 카드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고, 실명 사용자의 결제관련 카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휴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지갑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지갑 시스템(10)은 단말(11), 웹서버(Web Server, 12), WAS(Web Application Server, 13), 서비스 제공 장치(14), 제휴사 서버(15), DB서버(Database Server, 16)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전자지갑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지갑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지갑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또는 사용자 장치)(11)은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subscribe identity module: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와 같은 고유의 식별정보를 통해 식별되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웹서버(12)와 통신한다. 이때, 단말(11)은 웹서버(12)로부터 결제관련 카드 정보, 쿠폰 관련 정보, 상품권 관련 정보 등을 수신 및 저장하며, 특정 앱 실행 또는 특정 메뉴 선택 시 해당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결제관련 카드 정보는 카드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제휴사 이름, 카드 이름, 카드번호, 유효기간, 혜택, 연회비, 해당 카드와 연동하는 바코드 정보/QR 코드 정보/NFC 태그 정보/스마트 태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쿠폰 관련 정보는 제휴사 이름, 쿠폰 이름, 쿠폰 번호, 혜택, 사용처, 사용기간, 사용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품권 관련 정보는 제휴사 이름, 상품권 이름, 상품권 번호, 금액, 사용처, 사용 기간, 사용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11)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결제관련 카드, 쿠폰, 티켓, 상품권 등과 관련된 정보를 웹서버(12)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4)로부터 수신한다.
웹서버(12)는 단말(11)로부터 전송되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11)과 관련되어 DB서버(16)에 저장된 정보를 WAS(13)를 통해 확인하고 이를 단말(11)에 제공한다.
또한, 웹서버(12)는 단말(11)로부터 결제관련 카드, 쿠폰, 티켓, 상품권 등에 대한 발급 요청이 전송되면, 해당 요청을 서비스 제공 장치(14)에 전달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4)가 제휴사 서버로부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은 후, 단말(11)에 제공(또는 발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웹서버(12)는 단말(11)의 요청에 응답하여, WAS(13)를 통해 DB서버(16)에 저장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거나, 서비스 제공 장치(14)를 통해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단말(11)에 제공한다.
WAS(Web Application Server)(또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13)는 웹서버(12)로부터 전송된 단말(11)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DB서버(16)에 저장된 정보를 웹서버(12)를 통해 단말(11)에 제공하며, 나아가, 웹서버(12)의 기능을 분산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웹서버(12)로부터 전송된 단말(11)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단말(11)의 요청에 따른 정보를 단말(11)에 제공하거나, 필요시 해당 정보를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전송받은 후 이를 단말(11)에 제공한다.
일예로, 단말(11)로부터 결제관련 카드, 쿠폰, 티켓, 상품권 등에 대한 발급 요청을 웹서버(12)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해당 요청에 응답하여 관련 정보를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전송받은 후 단말(11)에 전송한다.
즉, 웹서버(12)는 단말(11)로부터 특정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발급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 발급 요청을 단말의 식별정보와 함께 서비스 제공 장치(14)에 전송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전송된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발급 요청 정보에 응답하여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단말(11)에 해당 결제관련 카드를 발급(또는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결제관련 카드를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전달받아 단말(11)에 제공(또는 전송)할 수 있다.
제휴사 서버(또는 제휴사 서비스 장치)(15)는 서비스 제공 장치(14)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며, 서비스 제공 장치(14)로부터 제휴사 서버(15)와 관련된 카드의 발급 요청이 전달되면, 해당 요청에 응답하여 관련된 결제관련 카드를 서비스 제공 장치(14)를 통해 단말(11)에 발급한다.
DB서버(데이터베이스 서버)(16)는 WAS(13)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단말(11)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정보(예를 들어 결제관련 카드 발급 정보, 결제관련 카드 사용 정보, 바코드/QR 코드/NFC 태그/스마트 태그의 발급 정보, 바코드/QR 코드/NFC 태그/스마트 태그의 사용 정보, 포인트 적립/사용 정보, 쿠폰 발급/사용 정보 등 포함)를 저장한다.
또한, DB서버(16)는 특정 단말(11)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웹서버(12)의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단말(11)에 대한 정보를 WAS(13)를 통해 웹서버(12)에 전송한다.
또한, 전자지갑 시스템(10)은 서비스 제공 장치(14) 내지 제휴사 서버(15)와 통신하는 쿠폰 서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11)로부터 쿠폰 발급 요청이 있는 경우, 웹서버(12)는 해당 요청을 단말(11)로부터 전송받은 후 서비스 제공 장치(14)에 전송하며, 서비스 제공 장치(14)는 전송받은 요청에 대응되는 쿠폰을 쿠폰 서버(또는 쿠폰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후 단말(11)에 직접 발급하거나 웹서버(12)를 통해 단말(11)에 발급한다. 이때, 쿠폰 서버는 해당 쿠폰을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제공(또는 발급)받을 수 있다.
또한, 쿠폰 서버는 웹서버(12)의 쿠폰 발급 요청에 응답하여, 쿠폰 발급 요청에 대응되는 해당 쿠폰을 생성하고(또는 제휴사 서버(15)로부터 제공되는 해당 쿠폰을 제공받고), 쿠폰 발급 요청에 포함된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단말(11)에 해당 쿠폰을 발급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지갑 시스템(100)은 단말(110), 서비스 제공 장치(120) 및 제휴사 서버(13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전자 지갑 시스템(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지갑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 지갑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110)에 미리 설치된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 실행 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서는 해당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휴사 서버(130)에 전송한다. 이후, 제휴사 서버(130)에서는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11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20)를 통해 단말(110)에 전송한다. 이후, 단말(110)은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표시하여, 실명 사용자가 해당 결제관련 카드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0)은 통신부(111), 저장부(112), 표시부(113) 및 제어부(114)로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단말(1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단말(1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단말(1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111)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한다. 이때, 외부의 단말은 서비스 제공 장치(120), 제휴사 서버(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1)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수신한다.
저장부(1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12)는 단말(11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표시부(113)는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12)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메뉴 화면 등과 같은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13)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113)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제어부(114)는 단말(1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단말(110)에 설치된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이 실행되면, 제어부(114)는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부(113)에 표시한다. 여기서, 특정 앱 실행 결과 화면은 내지갑 메뉴, 추가 메뉴, 이벤트/소식 메뉴, 더보기 메뉴 등을 포함한다. 이때, 더보기 메뉴는 활동 포인트 메뉴, 가계부 메뉴, 포인트통합조회 메뉴,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뉴 등을 포함한다. 이때, 내지갑 메뉴는 특정 앱을 통해 단말(110)에 설치되거나 등록된 결제관련 카드, 쿠폰, 티켓, 상품권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뉴이다. 또한, 추가 메뉴는 특정 앱을 통해 결제관련 카드, 쿠폰, 티켓, 상품권 등을 새로 발급받기 위한 메뉴이다. 또한, 이벤트/소식 메뉴는 서비스 제공 장치(120)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또는 공지 사항 정보 등을 확인하기 위한 메뉴이다. 또한, 활동 포인트 메뉴는 복수의 미리 설정된 앱과 연동한 활동 포인트 및 관련된 활동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앱 또는 관련 업체 정보를 제공하는 메뉴이다. 또한, 가계부 메뉴는 내지갑 메뉴의 멤버십 항목에 등록된 카드의 사용 내역, 포인트 사용 내역 등의 정보를 가계부 형태로 제공하는 메뉴(또는 가계부 전용 앱)이다. 또한, 포인트통합조회 메뉴는 내지갑 메뉴의 멤버십 항목에 등록된 카드의 포인트 정보를 나타내는 메뉴이다. 또한, SNS 메뉴는 특정 앱과 연동하는 페이스북 사이트 관련 메뉴이다.
또한, 특정 앱이 실행될 때, 제어부(114)는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와 같은 고유의 식별 정보를 통해 식별되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통신한다. 이때, 제어부(114)는 백그라운드 상태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Connecting Information: CI)를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식별 정보를 근거로 단말(110)을 식별하며 단말(110)과 통신한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단말(110)의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연계 정보는 본인 확인 기관(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정보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또한, 표시부(113)에 표시되는 특정 앱 실행 결과 화면 중에서 미리 설정된 메뉴(예를 들어 내지갑 메뉴의 멤버십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14)는 선택된 미리 설정된 메뉴에 대응되는 제 1 화면을 표시부(113)에 표시하고, 통신부(111)를 통해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14)는 전송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응답하여 제휴사 서버(130)로부터 서비스 제공 장치(120)를 통해 전송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표시부(113)에 표시한다.
즉, 제 1 화면을 표시부(113)에 표시할 때, 제어부(114)는 미리 설정된 하위 메뉴인 멤버십 메뉴에 수신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연계하여 표시부(113)에 표시한다.
또한, 제 1 화면을 표시부(113)에 표시할 때, 제어부(114)는 수신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명의자 정보로 정렬하고, 명의자 정보로 정렬된 결제 관련 카드 정보를 표시부(113)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특정 명의자가 구비한 단말(110)에 대해서 복수의 명의자가 결제관련 카드를 발급받은 경우, 복수의 명의자가 발급받은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명의자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명의자 기반 서비스 및 실명 사용자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 중에서 특정 결제관련 카드(또는 특정 결제관련 카드 정보)가 선택되면, 제어부(114)는 서비스 제공 장치(120) 및 제휴사 서버(130)와의 연동에 의해, 선택된 결제관련 카드를 통한 결제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제 1 통신부(121), 제 1 저장부(122), 제 1 표시부(123) 및 제 1 제어부(124)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장치(12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치(12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서비스 제공 장치(12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제 1 통신부(121)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한다. 이때, 외부의 단말은 단말(110), 제휴사 서버(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부(121)는 제 1 제어부(124)의 제어에 의해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 1 통신부(121)는 제 1 제어부(124)의 제어에 의해 제휴사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단말(11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또는 결제관련 카드) 및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저장부(12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제 1 저장부(122)는 서비스 제공 장치(1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제 1 저장부(122)는 제 1 제어부(124)의 제어에 의해 제 1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제 1 저장부(122)는 제 1 제어부(124)의 제어에 의해 제 1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된 해당 단말(11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또는 결제관련 카드) 및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저장한다.
제 1 표시부(123)는 제 1 제어부(124)의 제어에 의해 제 1 저장부(122)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메뉴 화면 등과 같은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표시부(123)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표시부(123)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제 1 제어부(124)는 서비스 제공 장치(12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4)는 제 1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제 1 통신부(121)를 통해 제휴사 서버(130)에 전송한다.
또한, 제 1 제어부(124)는 제 1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된 제휴사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단말(11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제 1 통신부(121)를 통해 해당 단말(110)에 전송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휴사 서버(130)는 제 2 통신부(131), 제 2 저장부(132), 제 2 표시부(133) 및 제 2 제어부(134)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제휴사 서버(13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제휴사 서버(13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제휴사 서버(13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제 2 통신부(131)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과 통신한다. 이때, 외부의 단말은 단말(110), 서비스 제공 장치(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통신부(131)는 제 2 제어부(134)의 제어에 의해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수신한다.
제 2 저장부(13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제 2 저장부(132)는 제휴사 서버(13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제 2 저장부(132)는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로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제 2 저장부(132)는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별로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저장한다.
제 2 표시부(133)는 제 2 제어부(134)의 제어에 의해 제 2 저장부(132)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메뉴 화면 등과 같은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표시부(133)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표시부(133)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제 2 제어부(134)는 제휴사 서버(13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제 2 제어부(134)는 수신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11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또는 결제관련 카드) 및 해당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확인한다.
즉, 제 2 제어부(134)는 제 2 저장부(132)에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해당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확인한다.
또한, 제 2 제어부(134)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명의자 정보(또는 해다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제 2 통신부(131)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휴사 서버(130)에서 단말(11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명의자 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서도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서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또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 중에서 수신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해당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확인하고, 수신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응답하여 확인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해당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해당 단말(1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에 발급된 해당 단말의 명의자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다른 명의자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해당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단말의 명의자와 실명 사용자가 해당 단말에 발급받은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이 설치된 단말에서 특정 앱을 통한 명의자 기반 서비스와 실명 사용자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지갑 시스템의 통신 과정을 보인 신호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110) 내에 설치된 전자 지갑(Electronic Wallet 또는 Digital wallet) 앱과 같은 특정 앱이 실행되면, 단말(110)은 실행 결과 화면을 표시부(113)에 표시하며, 백그라운드 상태로 서비스 제공 장치(12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한다. 이때, 단말(110)은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단말(110)의 MDN,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 카드 고유정보, 시리얼번호 등을 포함한다. 또한, 연계 정보는 본인 확인 기관(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정보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일 예로, 미리 설치된 전자 지갑 앱이 실행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0)은 표시부(113)에 전자 지갑 앱 실행 결과 화면(710)을 표시한다. 여기서, 전자 지갑 앱 실행 결과 화면(710)은 내지갑 메뉴(또는 카테고리)(711), 추가 메뉴(712), 이벤트/소식 메뉴(713), 더보기 메뉴(714) 등을 포함한다. 이때, 더보기 메뉴는 활동 포인트 메뉴, 가계부 메뉴, 포인트통합조회 메뉴, SNS 메뉴 등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110)은 단말(110)의 식별 정보와 연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20)에 전송한다(S610).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단말(11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20)는 수신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제휴사 서버(130)에 전송한다(S620).
이후, 제휴사 서버(130)는 서비스 제공 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제휴사 서버(130)는 수신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110)에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또는 결제관련 카드) 및 해당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확인한다.
즉, 제휴사 서버(13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해당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확인한다.
일 예로, 제휴사 서버(130)는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수신된 단말(110)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제 1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A 정보, 제 2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제 2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A 정보 및 제 3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제 3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B 정보를 확인한다(S630).
이후, 제휴사 서버(130)는 확인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명의자 정보(또는 해당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20)를 통해 단말(11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제휴사 서버(130)는 확인된 제 1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제 1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A 정보, 제 2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제 2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A 정보 및 제 3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제 3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B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20)를 통해 단말(110)에 전송한다(S640).
이후, 단말(110)은 서비스 제공 장치(120)를 통해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명의자 정보(또는 해당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단말(110)은 수신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명의자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단말(110)은 해당 결제관련 카드에 대응되는 명의자 정보를 해당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함께 표시하여, 해당 단말(110)의 실명 사용자의 결제관련 카드와 타사용자의 결제관련 카드를 구분하여 표시한다.
또한, 표시되는 결제관련 카드 중에서 선택되는 결제관련 카드를 통해 결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0)은 제 1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제 1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A 정보(810), 제 2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제 2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A 정보(820) 및 제 3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해당 제 3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B 정보(830)를 각각 분리하여 표시부(113)에 표시한다.
다른 일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10)은 수신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명의자 정보(예를 들어 명의자 A와 명의자 B)로 정렬하고, 명의자 정보로 정렬된 명의자 A에 대응되는 제 1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제 2 결제관련 카드 정보(910)를 표시부(113)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고, 명의자 B에 대응되는 제 3 결제관련 카드 정보(920)를 표시부(113)의 다른 일부 영역에 각각 표시한다(S65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제휴사 서버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제휴사 서버 등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단말과 제휴사 서버의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제휴사 서버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제휴사 서버 등의 내장 메모리에 저장 및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과 제휴사 서버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 및 설치한 스마트 카드 등의 외장 메모리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단말, 서비스 제공 장치, 제휴사 서버 등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에 발급된 해당 단말의 명의자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다른 명의자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해당 단말에 제공하여, 명의자 기반 서비스뿐만 아니라 실명 사용자 기반 서비스 모두를 제공하고, 관리의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의 명의자와 실명 사용자가 해당 단말에 발급받은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제공하여, 명의자 또는 실명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결제관련 카드를 편리하게 확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자 지갑 앱과 같은 특정 앱이 설치된 단말에서 특정 앱을 통한 명의자 기반 서비스와 실명 사용자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여, 결제관련 카드의 부정 사용을 방지하고, 실명 사용자의 결제관련 카드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의 식별 정보와 연계 정보를 근거로 해당 단말에 발급된 해당 단말의 명의자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와 다른 명의자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해당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명의자 기반 서비스뿐만 아니라 실명 사용자 기반 서비스 모두를 제공하고, 관리의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전자상거래 분야, 마케팅 분야, 금융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100: 전자 지갑 시스템 11, 110: 단말
12: 웹서버 13: WAS
14, 120: 서비스 제공 장치 15, 130: 제휴사 서버
16: DB서버 111: 통신부
112: 저장부 113: 표시부
114: 제어부 121: 제 1 통신부
122: 제 1 저장부 123: 제 1 표시부
124: 제 1 제어부 131: 제 2 통신부
132: 제 2 저장부 133: 제 2 표시부
134: 제 2 제어부

Claims (10)

  1.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특정 앱이 실행될 때,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단말의 MDN(Mobile Directory Number), 모바일 IP, 모바일 MAC, Sim 카드 고유정보 및 시리얼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계 정보는 본인 확인 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개인 정보를 식별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상기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명의자 정보로 정렬하고, 상기 명의자 정보로 정렬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5.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서비스 제공 장치를 경유하여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상기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휴사 서버.
  6. 통신부를 통해, 특정 앱이 실행될 때,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송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수신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상기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명의자 정보로 정렬하는 과정;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명의자 정보로 정렬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제어 방법.
  8. 통신부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를 통해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중에서 상기 수신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상기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휴사 서버의 제어 방법.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0. 단말과 제휴사 서버를 중개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미리 저장된 복수의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별 발급된 결제관련 카드 정보 중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대응되는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상기 결제관련 카드의 명의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전송하는 제휴사 서버; 및
    상기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상기 제휴사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연계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결제관련 카드 정보 및 결제관련 카드에 대한 명의자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KR1020140015382A 2014-02-11 2014-02-11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58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82A KR102258065B1 (ko) 2014-02-11 2014-02-11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82A KR102258065B1 (ko) 2014-02-11 2014-02-11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86A true KR20150094286A (ko) 2015-08-19
KR102258065B1 KR102258065B1 (ko) 2021-05-28

Family

ID=5405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382A KR102258065B1 (ko) 2014-02-11 2014-02-11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0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6011A (ko) * 2011-06-30 2011-08-26 정영선 모바일 아이디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서비스 제공방법
KR101092186B1 (ko) 2009-11-18 2011-12-13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기반 오티피 생성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과 이를 이용한 오티피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20020807A (ko) * 2010-08-31 2012-03-08 비씨카드(주)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186B1 (ko) 2009-11-18 2011-12-13 사단법인 금융결제원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기반 오티피 생성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과 이를 이용한 오티피 생성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20020807A (ko) * 2010-08-31 2012-03-08 비씨카드(주) 모바일 카드 관리 서버 및 이것의 모바일 카드 관리 방법
KR20110096011A (ko) * 2011-06-30 2011-08-26 정영선 모바일 아이디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용카드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065B1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9956A (ko) 카드 약관 동의 및 발급을 제공하는 단말과 서비스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04915829A (zh) 基于nfc技术的应用交互方法及装置
KR20160145962A (ko) 역방향 nfc 결제를 위한 사용자 장치, nfc 결제 단말기, 그를 포함하는 역방향 nfc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63749B1 (ko) 쿠폰을 제공하는 단말과 쿠폰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32795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354802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35736B1 (ko) 제휴사 서버와 서비스 제공 장치와 단말,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63747B1 (ko) 쿠폰 전송을 위한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쿠폰 전송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101600A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101337A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98211B1 (ko) 단말,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94889A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21246A (ko) 카드 약관 동의 및 발급을 제공하는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58065B1 (ko)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243961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와 서드 파티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63750B1 (ko) 카드/쿠폰 발급을 제공하는 단말과 제휴사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11620B1 (ko)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2141057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인증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67662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44618A (ko) 사용자 장치와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101003A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399319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와 쿠폰 서버.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170817B1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312352B1 (ko) 단말과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97833A (ko)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전자 지갑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