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231A -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231A
KR20150094231A KR1020140015272A KR20140015272A KR20150094231A KR 20150094231 A KR20150094231 A KR 20150094231A KR 1020140015272 A KR1020140015272 A KR 1020140015272A KR 20140015272 A KR20140015272 A KR 20140015272A KR 20150094231 A KR20150094231 A KR 20150094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over
input
portable terminal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5289B1 (ko
Inventor
원성준
오영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5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289B1/ko
Priority to US14/603,760 priority patent/US10075579B2/en
Priority to PCT/KR2015/001283 priority patent/WO2015122661A1/en
Priority to AU2015216023A priority patent/AU2015216023A1/en
Priority to JP2016551777A priority patent/JP2017511919A/ja
Priority to EP15154725.4A priority patent/EP2905681B1/en
Priority to CN201510072855.XA priority patent/CN104834353B/zh
Publication of KR20150094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5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small, e.g. for presenting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by connection of exchangeable hous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9Textured surface identifying touch areas, e.g. overlay structure for a virtual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실시 예들 중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커버가 휴대 단말에 결합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커버가 상기 휴대 단말에 결합된 상태이면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을 구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터치 입력을 제 1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른 실시 예들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AND COVER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휴대 단말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태블릿(Tablet) 등의 휴대 단말은 여러 가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러 가지 유용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은 다양한 기능의 제공을 통해 음성 통화 기능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기기로 변모해 가는 추세이다. 예컨대, 휴대 단말은 휴대 단말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커버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을 덮어서 사용함으로써 휴대 단말을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의 커버는 휴대 단말의 전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전체를 덮는 구조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커버가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전체를 덮는 구조에서는 휴대 단말이 커버에 의해 덮히면 디스플레이 화면이 커버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휴대 단말이 커버에 의해 덮힌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커버가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덮었을 때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 중 일부를 보여줄 수 있는 윈도우 영역을 제공하고 휴대 단말은 자신의 디스플레이 화면 중 어느 영역이 커버의 윈도우에 해당하는 영역인지 알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단말이 커버의 윈도우에 해당하는 영역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커버가 상기 휴대 단말에 결합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커버가 상기 휴대 단말에 결합된 상태이면,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입력을 제 1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에 있어서, 터치스크린과, 커버가 상기 휴대 단말에 결합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커버가 상기 휴대 단말에 결합된 상태이면,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입력을 제 1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입력을 제2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보호 커버를 갖는 휴대 단말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윈도우 영역과, 불투명한 비윈도우 영역을 포함하고,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커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갖는 상기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입력되는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전면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 상기 휴대 단말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윈도우 영역과, 불투명한 비윈도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커버의 상기 비윈도우 영역은 커버 입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휴대 단말의 상기 터치 스크린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입력 영역을 통해 상기 터치 스크린에 터치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가 형성됨으로써 커버가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덮더라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도우를 통해 터치 스크린에 의한 정보가 보일 수 있으므로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휴대 단말은 커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영역과 비윈도우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들을 판단할 수 있고,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으로 입력되는 입력에 따라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에 정보 표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버의 윈도우 영역이 아닌 비윈도우 영역을 통해 터치 스크린으로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비윈도우 영역을 통한 터치 입력에 따라 윈도우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의 정보 표시가 제어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이 커버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의 정보 표시를 제어할 수 있어서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버의 키패드를 통해 터치 스크린으로 텍스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 단말이 커버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도 텍스트 입력을 통해 휴대 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어서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휴대 단말의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커버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과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커버부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양한 타입의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커버의 덮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커버의 윈도우 영역과 커버 입력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흐름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양한 타입의 커버 각각에 해당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 구성 일예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입력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음악 플레이어 정보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음악 플레이어 정보 제어 화면 일예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카메라 프리뷰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카메라 프리뷰 제어 화면 일예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통화중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19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통화중 제어 화면 일예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22및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화면 일예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가 형성된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커버부에 형성된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커버부에 형성된 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풀 스크린과 미니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제5 타입의 미니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6 내지 제10 타입의 미니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1 및 제12 타입의 미니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3타입의 미니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 스크린 표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3및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전면 커버부의 키패드를 통한 텍스트 입력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서 전면 커버부의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 유형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전면 커버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미니 스크린에서의 입력 또는 전면 커버부의 키패드 입력에 따라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전면 커버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미니 스크린에서의 입력 또는 전면 커버부의 키패드 입력에 따라 메시지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전면 커버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미니 스크린의 어플리케이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 도면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전면 커버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커버 개방 요구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은 디스플레이 예컨대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에 커버가 덮힐 수 있는 전자 장치로서, 화상 전화기,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단말기, WCDMA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단말기, E-Book, 휴대용 컴퓨터(Notebook, Tablet 등) 또는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태블릿(tablet) 등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커버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및 2a및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커버(200)와 결합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전면에는 다양한 멀티기능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터치 스크린(14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전면에는 터치 스크린(14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베젤(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102) 내에는 홈 버튼(105), 스피커, 카메라, 센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는 휴대 단말(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70)는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 사용자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형성되거나, 휴대 단말(100) 내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착탈가능하지 않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는 후술하는 후면 커버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버부(220)의 내면에는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접속 단자(18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후면 커버부(220)는 상기 배터리(170)를 덮으면서,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200)는 휴대 단말(10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커버(200)가 휴대 단말(100)의 전면을 커버하는 경우, 전면 커버부(210)에 의해 터치 스크린(140)의 적어도 일부가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커버(200)가 휴대 단말의 전면을 커버하는 경우, 전면 커버부(210)에 의해 베젤(102)의 적어도 일부가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커버부(210)에 의해 터치 스크린(140)의 적어도 일부가 커버될 시, 터치 스크린(140)의 일부 영역은 상기 전면 커버부(210)에 형성된 윈도우 영역(201a)에 의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10)의 윈도우 영역(201a)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터치 스크린(140)의 일부 영역 상에 시계나 문자, 수, 발신 번호 또는 설정된 사용자 환경 등의 내용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커버(200)의 전면 커버부(210)는 플립(flip)되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커버(200)의 전면 커버부(210)가 개방될 시, 도 1의 (a)와 같이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40)의 전체 영역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반면, 커버(200)의 전면 커버부(210)가 폐쇄될 시, 도 1의 (b)와 같이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40)의 적어도 일부가 전면 커버부(210)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도 1 (b)을 참조하면, 커버(200)의 전면 커버부(210)가 폐쇄될 시, 전면 커버부(210)에 의해 터치 스크린(140)의 전체 영역 중 윈도우 영역(201a)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고, 나머지 영역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커버(200)의 전면 커버부(210)가 폐쇄될 시, 전면 커버부(210)에 형성된 개구(201b)에 의해 휴대 단말(100)의 베젤(102) 상에 형성된 부품(예를 들어, 스피커)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1의 (b)에서는 하나의 개구(201b) 만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전면 커버부(210) 상에 복수의 개구들이 형성됨으로써, 전면 커버부(210)가 폐쇄되더라도 휴대 단말(100)의 베젤(102) 상에 형성된 복수의 부품들(예를 들어, 스피커, 카메라 등)이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커버(200)는 전면 커버부(210)와 후면 커버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0)는 전면 커버부(210)와 후면 커버부(22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면 커버부(210)와 후면 커버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부(20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3)는 휴대 단말(100)의 측면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전면 커버부(210)는 휴대 단말(100)의 전면을 커버하며, 터치 스크린(140)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화면 투영부(이하 '윈도우 영역'이라고 함)(201a)가 구비될 수 있다. 윈도우 영역(201a)은, 커버(200)가 휴대 단말(100)의 전면을 커버할 시, 상기 윈도우 영역(201a)을 통하여 터치 스크린(140) 상에 표시된 정보가 시각적으로 확인 될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 또는 반투명한 물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전면 커버부(210)의 일부가 뚫려있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윈도우 영역(201a)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필름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전면 커버부(210)의 일부가 컷 아웃(cutout)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면 커버부(210)의 외측에서 윈도우 영역(201a)을 통해 전면 커버부(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터치 스크린(140)에 표시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터치 스크린(140)에 표시되면서 윈도우 영역(201a)을 통해 나타나는 정보는, 예를 들어 현재 시각, 날자, 날씨, 수신된 문자 메시지의 전부 또는 일부 내용, 멀티미디어 메시지 또는 이메일의 일부 내용, 착신자 또는 발신자 정보,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자 환경 정보 중 적어도 일부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커버부(210)가 닫힌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윈도우 영역(201a)을 통해 터치 스크린(140) 상에 표시된 간략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표시된 정보와 연관된 기능이 휴대 단말(1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 커버부(210)를 통하여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후면 커버부(220)는 배터리 커버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도 2b를 참조하면, 후면 커버부(220)는 휴대 단말(100)의 후면을 커버하며,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후면 커버부(220)는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170)는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고, 후면 커버부(220)는 상기 배터리(170) 및 휴대 단말(100)의 후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면 커버부(220)의 일 측면으로 전면 커버부(210)가 연결될 수 있. 후면 커버부(220)와 전면 커버부(210) 사이에는 연결부(20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면 커버부(220)의 일 측면에는 연결부(203)의 일 측면이 연결되고, 전면 커버부(210) 일 측면에는 상기 연결부(203)의 타 측면이 연결될 수 있다. 후면 커버부(220)와 전면 커버부(210)는 연결부(203)를 중심으로 벤딩(bending)될 수 있다. 후면 커버부(220)는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 결합되고 전면 커버부(210)가 플립되어 폐쇄될 시, 휴대 단말(100)의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커버(20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추가적으로, 후면 커버부(220)에는 커넥터부(20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202a)는 커버 타입 정보 제공부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커버(200)의 커버 타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타입 정보는 상기 커버(200)의 전면 커버부(210)에 형성된 윈도우 영역 및 입력 영역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202a)는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접속단자(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커버(200)의 타입 정보를 휴대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의 후면에는 복수개의 접속단자들(181,182)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0)의 커넥터부(202a)는 상기 복수개의 접속단자들(181,182)들 중 적어도 하나 맞물려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접속단자들(181,182) 중 어느 일부 또는 전부에 커버(200)의 커넥터부(202a)가 연결되는지에 따라 상기 커버(200)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접속단자들(181,182) 중 어느 곳에 커버(200)의 커넥터부(202a)는 연결되더라도, 휴대 단말(100)은 커버(200)의 타입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후면 커버부(220)가 후면 케이스(220b)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200)는 전면 커버부(210), 연결부(203), 및 후면 케이스(220b)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 케이스(220b) 내에는 휴대 단말(10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100)은 그 후면에 배터리 커버(220a)가 결합된 상태로 상기 후면 케이스(220b)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케이스(220b)는 저면부(221)와, 상기 저면부(221)의 가장자리에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222)와, 걸림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222)는 상기 저면부(221)에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벽부(222)의 하단은 저면부(221)에 연결되며, 상기 측벽부(222)의 상단에는 걸림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저면부(221)와 측벽부(222)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은 상기 휴대 단말(10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 공간에 휴대 단말(100)이 삽입 수용되면, 상기 휴대 단말(100)은 걸림부(223)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후면 케이스(220b)의 일 측면으로 전면 커버부(210)가 연결된다. 후면 케이스(220b)와 전면 커버부(210) 사이에는 연결부(20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면 케이스(220b)의 일 측면에는 연결부(203)의 일 측면이 연결되고, 전면 커버부(210) 일 측면에는 상기 연결부(203)의 타 측면이 연결될 수 있다. 후면 케이스(220b)와 전면 커버부(210)는 연결부(203)를 중심으로 벤딩(bending)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의 전면 커버부(210)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윈도우 영역 및 입력 영역이 형성될 경우, 휴대 단말(100)은 상기 커버(200) 커버 타입 정보를 알지 못하더라도 상기 커버(200)가 폐쇄될 시 미리 정해진 윈도우 영역 및 입력 영역을 통하여 정보를 표시하거나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0) 내에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휴대 단말(100)에 커버 타입 정보를 제공하는 커버 타입 정보 제공부의 일 실시예로서 커버 타입 정보 송신부(224)가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타입 정보 송신부(224)는 NFC, RFID, 블루투스, 와이파이 다이렉트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100)에 상기 커버(200)의 커버 타입 정보를 송신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100)은 커버(100)로부터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제공된 커버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200)의 타입을 식별할 수 있다.
도 3의 설명에서는 커버(200)의 후면 커버부(220)가 케이스 형태로 제공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전면 커버부(210)가 휴대 단말(10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플립 동작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면, 상기 후면 커버부(220) 및 연결부(203)의 형상은 변경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커버부(210)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전면 커버부(210)의 윈도우 영역(201a)이 투명한 물질 또는 반투명한 물질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b)는 전면 커버부(210)의 윈도우 영역(201a)이 컷 아웃 형태의 개구로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부(210)는 외측부재(211a)와, 내측부재(212a) 및 투명부재(213a)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재(211a)는 전면 커버부(210a)의 외측면을 형성하며, 폴리우레탄과 같은 재질을 포함하여 단단하나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측부재(211a)는 휴대 단말(10)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부재(211a)에는 윈도우 영역(201a)을 형성하도록 외측 홀(2111)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부재(202a)는 전면 커버부(210)의 내측면을 형성하며, 후술하는 투명부재(213a)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측부재(212a)의 하면은 터치 스크린(140)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내측부재(212a)는 터치 스크린(140)에 접촉될 시 터치 스크린(140)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부드러운 물질, 예를 들어 샤무드(Chamude)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부재(212a)에는 윈도우 영역(201a)을 형성하도록 외측 홀(21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 홀(2121)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부재(213a)는 외측부재(211a)와 내측부재(212a)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외측 홀(2111)과 내측 홀(2121)을 밀폐시킨다. 터치 스크린(140)의 소정 위치,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40)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영역은, 상기 투명부재(213a), 외측 홀(2111) 및 내측 홀(2121)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이 전면 커버부(210a)에 의해 커버되더라도, 사용자가 윈도우 영역(201a)을 통해 제1 영역에 표시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상기 투명부재(213a)는 투명 또는 반투명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부재(213a)는 투명 또는 반투명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투명부재(213a)의 크기는 윈도우 영역(201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4 (a)에서는 투명부재(213a)의 크기가 외측부재(211a) 및 내측부재(212a)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투명부재(203a)는 전도성 물질, 예를 들어 전도성 실리콘과 같은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측부재(211a)와, 내측부재(202a) 및 투명부재(203a)는 각각 정전기 방지 물질, 실버 나일론 패브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윈도우 영역(201a)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윈도우 영역(201a)에 해당하는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통화가 오는 경우, 윈도우 영역(201a) 위치의 터치 스크린(140) 상에 통화가 수신되고 있음이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윈도우 영역 (201a)이 접촉되거나 미리 정해진 키 예컨대 사이드 키 등의 조작이 있으면 바로 통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부(210)는 윈도우 영역(201a)을 형성하며 터치 스크린(140)를 커버하여 보호할 수 있는 외측부재(211a)와, 내측부재(202a)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부재(211a)는 전면 커버부(210)의 외측면을 형성한다. 외측부재(211a)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물질을 포함하여 단단하나 소정의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외측부재(211a)는 휴대 단말(100)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외측부재(211a)에는 윈도우 영역(201a)을 형성하도록 외측 홀(2111)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부재(212a)는 전면 커버부(210)의 내측면을 형성하며, 외측부재(211a)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측부재(212a)의 하면은 터치 스크린(140)과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내측부재(212a)는 터치 스크린(140)에 접촉될 시 터치 스크린(140)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부드러운 재질, 예를 들어 샤무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부재(212a)에는 윈도우 영역(201a)을 형성하도록 외측 홀(2111)과 대응되는 위치로 내측 홀(2121)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홀(2111)과 내측 홀(2121)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외측 홀(2111)과 내측 홀(2121)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는 윈도우 영역(201a)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이 전면 커버부(210)에 의해 커버되되더라도, 윈도우 영역(201a)의 개구를 통해 상기 터치 스크린(140)에 표시된 정보가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윈도우 영역(201a)을 통하여 터치 스크린(140)에 터치 입력이 입력될 수도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100)은 상기 윈도우 영역(201a)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 상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부(210)에서 윈도우 영역(201a)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비윈도우 영역일수 있다. 비윈도우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입력이 입력될 수 있는 입력 영역(이하 '커버 입력 영역'이라 칭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윈도우 영역은 전체가 커버 입력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비윈도우 영역의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에 커버 입력 영역일 수 있다. 커버 입력 영역은 전면 커버부(210)가 터치 스크린(140)을 덮은 상태에서 외측부재(211a)의 외측면에 터치 입력이 터치 스크린(14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하는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비윈도우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커버 입력 영역을 통해 이루어지는 사용자 제스쳐가 터치 스크린(14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면 커버부(210)의 커버 입력 영역 상에 사용자 제스쳐를 입력할 경우, 상기 커버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 상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제스쳐가 감지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면 커버부(210)상에 윈도우 영역(201a)은 전면 커버부(210)의 제1 커버 영역에 제공될 수 있고, 비윈도우 영역은 전면 커버부(210)의 상기 제1 커버 영역과 다른 제2 커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양한 타입의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타입의 커버는 전면 커버부(210)의 상측 일부에 윈도우 영역(511)이 형성되고, 윈도우 영역(511)을 제외한 전면 커버부(210)의 나머지 영역이 비윈도우 영역(521)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제1 타입의 커버에서 상기 비윈도우 영역(521)은 전체가 커버 입력 영역일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타입의 커버는 전면 커버부(210)의 상측 일부에 윈도우 영역(512)이 형성되고, 윈도우 영역(512)을 제외한 전면 커버부(210)의 나머지 영역이 비윈도우 영역(521)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제2 타입의 커버에서 상기 비윈도우 영역(521) 중 윈도우 영역(512) 하부의 일정 크기의 영역이 커버 입력 영역(522)일 수 있다. 도 5(b) 에서는 커버 입력 영역(522)의 가로 폭은 윈도우 영역(512)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커버 입력 영역(522)의 상단은 윈도우 영역(512)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그 하단은 전면 커버부(210) 하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상기 비윈도우 영역(521) 중 윈도우 영역(512) 하부의 대부분의 영역이 커버 입력 영역(522)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5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타입의 커버는 전면 커버부(210a)의 상측에 윈도우 영역(513)이 형성되고, 윈도우 영역(513)을 제외한 전면 커버부(210)의 나머지 영역이 비윈도우 영역(521)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제3 타입의 커버에서 커버 입력 영역(522)은 상기 비윈도우 영역(521) 중 윈도우 영역(513) 하부 중앙에 작은 크기의 형성될 수 있다. 제3 타입의 커버의 커버 입력 영역(522)은 제2 타입의 커버 입력 영역(522)보다 작게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타입의 커버는 전면 커버부(210a)의 우측에 전면 커버부(210)의 길이 방향으로 윈도우 영역(514)이 연장 형성되고, 윈도우 영역(514)을 제외한 전면 커버부(210)의 나머지 영역이 비윈도우 영역(521)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비윈도우 영역의 중 윈도우 영역(514)의 좌측의 일부 영역에 커버 입력 영역(5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타입의 커버에서 상기 비윈도우 영역(514) 중 윈도우 영역(514) 좌측의 일정 크기의 영역이 커버 입력 영역(524)일 수 있다.
도 5(a) 내지 (d)에서는, 전면 커버부(210) 내에 하나의 윈도우 영역(511,512,512,514)이 형성된 예를 보여지고 있으나, 윈도우 영역(511,512,512,514)의 위치나 개수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영역(511,512,512,514)은 전면 커버부(210)의 중앙 영역에 제공되거나, 하측에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위치는 얼마든지 다른 위치에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면 커버부(210) 내에 하나의 윈도우 영역(511,512,512,514)이 제공되는 것을 예를 들었지만,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전면 커버부(210) 내에 복수개의 윈도우 영역들로 제공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비윈도우 영역(521)의 적어도 일부가 커버 입력 영역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윈도우 영역(521) 전체가 커버 입력 영역일 수 있고, 비윈도우 영역 중 일부 영역이 커버 입력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커버 입력 영역 상으로 사용자 제스쳐(예를 들어 터치 입력)이 입력될 경우, 상기 커버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 상의 제2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제스쳐가 검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타입의 커버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10)의 윈도우 영역 및 커버 입력 영역을 구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상기 전면 커버부(210)의 윈도우 영역 및 커버 입력 영역에 각각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140)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의 전면 커버부(210)는 휴대 단말(100)의 전면의 터치 스크린(140)을 덮을 수 있으며,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10)에 의해 전면의 터치 스크린(140)의 덮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이 커버의 덮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200)는 전면 커버부(210)의 내측에 커버의 타입에 대응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커버 타입 정보 제공부의 일 실시 예인 자력 인가부(691)를 구비할 수 있다.
자력 인가부(691)는 예컨대 영구 자석일 수 있으며, 자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자력 인가부(691)는 커버 타입정보에 대응하는 자력을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전면 커버부(210)에 의해 휴대 단말(100)의 전면이 덮혀지면, 자력 인가부(691)에 의한 자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력 감지 센서(692)를 포함하는 센서부(160)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휴대 단말(100)은 센서부(160)에 포함된 자력 감지 센서(692) 각각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전면 커버부(210)가 전면부를 덮은 상태인지 덮지않은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커버부(210)에 의해 휴대 단말(100)의 전면이 덮혀지면, 자력 인가부(691)에 의한 커버 타입 정보에 대응된 자력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력 감지 센서(692)를 포함하는 센서부(160)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휴대 단말(100)은 센서부(160)에 포함된 자력 감지 센서(692) 각각의 감지 결과에 따라 커버(200)의 커버 타입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40)은 화면 표시 및 터치 센싱이 독립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10)가 터치 스크린(140)을 덮은 상태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터치 스크린(140)의 화면을 전체적으로 활성화 시키거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따라 부분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10)가 터치 스크린(140)을 덮은 상태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터치 스크린(140)의 터치 센싱 영역을 전체적으로 활성화시키거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 따라 부분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10)가 터치 스크린(140)을 덮지 않은 상태이면 터치 스크린(140)의 전체 화면을 활성화시키고, 터치 스크린(140)의 전체 터치 센싱 영역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반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10)가 터치 스크린(140)을 덮은 상태이면 터치 스크린(140)의 전체 화면 중 제1 영역에는 정보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터치 센싱이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고, 제2 영역에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고 터치 센싱만 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140)의 전체 화면 중 상기 제1 영역 및 제2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커버(200)의 커버 타입 정보 제공부(710)를 통해 커버 타입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커버 타입 정보 제공부(710)는 커넥터부(202a), 커버 타입 정보 송신부(224), 커넥터부(202a)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블록 구성도이다.
휴대 단말(100)은 제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터치 스크린(140), 입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CPU(Central Processor Unit)(111)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라고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112) 및 휴대 단말(1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휴대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위한 기억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113)을 포함할 수 있다. CPU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 롬 및 램은 내부버스(bus)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통신부(120), 저장부(130), 터치 스크린(140), 입출력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1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각 구성부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다양한 타입의 커버에 따라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10)의 윈도우 영역 및 커버 입력 영역을 구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기 전면 커버부(210)의 윈도우 영역 및 커버 입력 영역에 각각 대응하여 터치 스크린(140)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전면 커버부(210)가 폐쇄되어 터치 스크린(140)을 덮은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을 활성화하고 상기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제외한 다른 영역은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전면 커버부(210)를 통하여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40) 상의 일부 영역과 다른 영역의 터치 입력 인식 감도(sensitivity)를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의 터치 입력 인식 감도보다 제2 영역의 터치 입력 인식 감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커버부(210)가 폐쇄되어 있을 시, 제1 영역의 터치 입력 인식 감도보다 제2 영역의 터치 입력 인식 감도를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터치 입력 인식 감도 및 제2 영역의 터치 입력 인식 감도는, 전면 커버부(210)가 터치 스크린(140)을 덮고 있더라도, 상기 터치 스크린(140)이 상기 전면 커버부(210) 상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처를 검출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전면 커버부(210)가 상기 터치 스크린(140)을 덮었는지 여부에 따라,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검출되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터치 입력 인식 감도(sensitivity)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커버(200)가 터치 스크린(140)을 덮지 않은 경우에는 전체 터치 스크린의 터치 입력 인식 감도를 동일하게 제어하고, 전면 커버부(210)가 터치 스크린(140)을 덮은 경우에는 제1 영역의 터치 입력 인식 감도보다 제2 영역의 터치 입력 인식 감도가 높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윈도우 영역의 재질이 비윈도우 영역의 재질보다 두껍게 형성된 경우, 또는 윈도우 영역은 뚫린 상태인데 반해 비윈도우 영역은 뚫리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도 제2 영역의 터치 입력 인식에 문제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0)는 센서부(160) 또는 접속 단자(180) 또는 커버 타입 정보 수신부(190)를 통해 커버 타입 정보를 제공받아 커버 타입을 확인할 수 있고, 전면 커버부(210)가 터치 스크린(140)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덮혔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커버의 타입을 기반으로 터치 스크린(140) 상에 커버 예컨대 전면 커버부(210)의 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과 커버 예컨대 전면 커버부(210)의 비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들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10)는 커버 예컨대 전면 커버부(210)가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40) 화면에 덮힌 상태에서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고, 이벤트 발생에 따라 커버 예컨대 전면 커버부(210)의 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과 커버 예컨대 전면 커버부(210)의 비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는 미리 정해진 버튼 입력 이벤트, 수신 이벤트, 알림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이벤트는 예를 들면, 전화 수신 이벤트, 메시지 수신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이벤트는 예를 들면, 시간 알람 이벤트, 스케쥴 알람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있다. 이외에도 이벤트는 다양한 이벤트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들을 구성하도록 하기 위한 이벤트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휴대 단말(100)를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고,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도시되지 아니함) 및 서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이동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블루투스 모듈 등의 각종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NFC, 또는 블루투스 등의 각종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휴대 단말(100)에 입력된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도시되지 아니함), 스마트폰(도시되지 아니함), 태블릿PC 또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와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MS)를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는 NFC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20)는 NFC 모듈, 블루투스 모듈 외에도 무선랜 모듈(미도시)과 다른 근거리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무선랜 모듈과 다른 근거리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무선랜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무선 AP(access point)(미도시)가 설치된 장소에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무선랜 모듈은 미국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다른 근거리통신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휴대 단말(100)와 외부 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다른 근거리 통신방식은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이 포함될 수 있다.저장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제어부(110), 통신부(120), 터치 스크린(140), 입출력부(15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휴대 단말(100) 또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위한 복수의 프로그램 및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들과 각종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라는 용어는 제어부(110)내 롬(ROM)(112), 램(RAM)(113) 또는 단말(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일 수 있으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라는 용어는 기계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기계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매체로 정의될 수 있다.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비휘발성 매체(non-volatile media) 및 휘발성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매체는 상기 매체에 의해 전달되는 명령들이 상기 명령들을 상기 기계로 읽어 들이는 물리적 기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도록 유형의 것이어야 한다. 상기 기계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시디롬(compact disc read-only memory: CD-ROM), 광학 디스크,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램(RAM), 피롬(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M: EPROM) 및 플래시-이피롬(FLASH-EPRO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30)는 커버의 타입에 대응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40)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140)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유닛(148) 예컨대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근접 또는 터치 등의 각종 제스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140)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EMR(ElectroMagnetic Reso) 방식, 또는 이들을 결합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터치 스크린(14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화면들 및 메신저 화면, 메시지 생성 화면, 메시지 수신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40)은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전면 커버부(210)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덮혔는지 여부에 따라 전체 디스플레이 화면 중 미리 정해진 일부 영역 예컨대 터치스크린(140)의 윈도우 영역(201a)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다른 영역에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입출력부(150)는 버튼(152), 마이크(154), 스피커(156), 입력 유닛(158)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출력부(150)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마우스, 트랙볼, 조이스틱 또는 커서 방향 키들과 같은 커서 컨트롤(cursor control)이 제어부(110)와의 통신 및 터치 스크린(140) 상의 커서 움직임 제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버튼(152)은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휴대 단말(1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누름에 따른 각종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110)로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154)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음원에 의한 음성(voice) 또는 각종 소리(sound)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156)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의한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등)에 대응되는 소리를 휴대 단말(100)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유닛(158)은 휴대 단말(10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되거나 별도로 구성된 디바이스 또는 물체일 수 있으며,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100)로부터 인출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입력 유닛(148)은 스타일러스 펜(이하 '펜'이라 함)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140)에 근접 또는 직접 터치에 의한 사용자 제스쳐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수단이거나, 사용자 손가락 등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휴대 단말(100)은 센서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력 감지 센서(692)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60)는 커버의 영구 자석(691)에 의해 인가되는 자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접속 단자(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단자(180)는 커버(200)의 케넥터부(202a)와 연결될 수 있고, 커넥터부(202a)와 연결되면 커넥터부(202a)로부터 제공되는 커버(200)의 커버 타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커버 타입 정보 수신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타입 정보 수신부(190)는 커버(200)의 커버 타입 정보 송신부(224)로부터 커버 타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커버 타입 정보 수신부(190)가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된 경우, 전면 커버부(210)에 의해 휴대 단말(100)의 전면이 덮혀지면, 커버 타입 정보 송신부(224)에서 송신되는 커버 타입 정보가 커버 타입 정보 수신부(190)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커버 타입 정보 수신부(190)에 수신된 커버 타입 정보에 따라 전면 커버부(210)가 터치 스크린(140)을 덮은 상태인지 덮지 않은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커버(200)의 윈도우 영역과 커버 입력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810동작에서 커버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의 제어부(110)는 커버(200)로부터 인가되는 자력에 따라 자력을 감지하여 커버(200)의 커버 타입 정보를 확인할 수 있거나, 커버(200)로부터 송신되는 커버(200)의 커버 타입 정보를 수신하여 커버(200)의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커버(200)의 커버 타입 정보는 커버(200)에 형성된 윈도우 영역 및 커버 입력 영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커버 타입 정보는 커버ID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10)는 상기 커버 ID를 이용하여 커버(200)에 형성된 윈도우 영역 및 커버 입력 영역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부(130)에는 다양한 커버 ID들 별로 커버의 윈도우 영역 및 커버 입력 영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커버(200)의 크기 및 위치 정보, 및 커버(200)의 비윈도우 영역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820 동작에서 커버(200)의 커버 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터치 스크린(140)에서 커버(200)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커버(200)의 커버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830 동작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커버(200)의 전면 커버부(2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 커버부(210)를 통하여 상기 터치 스크린(140) 상에 사용자 제스쳐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830 동작에서 판단한 결과 전면 커버부(210)의 커버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의 제2 영역에서 사용자 제스쳐가 검출될 경우, 제어부(110)는 840 동작에서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휴대 단말(100) 내에서 실행시킨다.
반면, 상기 830 동작에서 판단한 결과 전면 커버부(210)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에서 사용자 제스쳐가 검출될 경우, 제어부(110)는 850 동작에서 상기 제1 영역에서 검출된 사용자 제스쳐에 대응되는 동작을 휴대 단말(100) 내에서 실행시킨다.
예를 들면, 전면 커버부(210)가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40)을 덮은 상태에서, 제어부(110)는 휴대 단말(100)에서의 이벤트 발생을 판단하고, 상기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전면 커버부(210)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커버(200)의 커버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의 제2 영역으로 입력되는 사용자 제스쳐에 따라 휴대 단말(100) 내에서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이벤트는,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버튼 입력 이벤트, 수신 이벤트, 알림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이벤트는 예를 들면, 전화 수신 이벤트, 메시지 수신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이벤트는 예를 들면, 시간 알람 이벤트, 스케쥴 알람 이벤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들은 예시에 불과하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고, 터치 스크린(140)의 제2 영역으로 사용자 제스쳐를 입력받을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들이 구현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제어부(110)은 커버(200)의 커버 타입 정보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40)의 디스플레이 화면 중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커버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판단하고, 제1 영역은 정보 표시 영역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고, 제2 영역은 터치 입력 영역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에서의 터치 입력 감지도 가능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다양한 타입의 커버 각각에 해당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 구성 일예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200)는 전면 커버부(210)의 상측에 윈도우 영역(910)이 형성되고, 윈도우 영역(9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비윈도우 영역(920)으로 형성되며, 비윈도우 영역(920)의 전체가 커버 입력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100)은 터치 스크린(140)의 화면에 윈도우 영역(910)에 해당하는 제1 영역(911)과 비윈도우 영역(920) 즉, 커버 입력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921)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1 영역(911)에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터치 입력 감지가 가능하고, 제2 영역(921)은 정보가 표시되지 않고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커버(200)는 전면 커버부(210)의 상측에 윈도우 영역(1010)이 형성되고, 윈도우 영역(1010)을 제외한 전면 커버부(210)의 나머지 영역이 비윈도우 영역(1020)으로 형성되며, 비윈도우 영역(1020) 중 윈도우 영역(1010)의 하측 일부 영역 커버 입력 영역(10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100)은 터치 스크린(140)의 화면에 윈도우 영역(1010)에 해당하는 제1 영역(1011)과 커버 입력 영역(1030)에 해당하는 제2 영역(1031)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1 영역(1011)에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제2 영역(1031)은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영역(1011)에서의 터치 입력 감지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라 커버(200)는 전면 전면 커버부(210)의 상측에 윈도우 영역(1110)이 형성되고, 윈도우 영역(1110)을 제외한 전면 커버부(210)의 나머지 영역이 비윈도우 영역(1120)으로 형성되며, 비윈도우 영역(1120)중 중 윈도우 영역(1110)의 하측의 일부 영역에 커버 입력 영역(1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100)은 터치 스크린(140)의 화면에 윈도우 영역(1110)에 해당하는 제1 영역(1111)과 커버 입력 영역(1130)에 해당하는 제2 영역(1131)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1 영역(1111)에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제2 영역(1131)은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영역(1111)에서의 터치 입력 감지도 가능할 수 있다.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라 커버(200)는 전면 커버부(210)의 우측에 윈도우 영역(1210)이 형성되고, 윈도우 영역(1210)을 제외한 전면 커버부(210)의 나머지 영역이 비 윈도우 영역(1220)으로 형성되며, 비 윈도우 영역(1220) 중 윈도우 영역(1210)의 좌측의 일부 영역에 커버 입력 영역(1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100)은 터치 스크린(140)의 화면에 윈도우 영역(1210)에 해당하는 제1 영역(1211)과 커버 입력 영역(1230)에 해당하는 제2 영역(1231)을 활성화할 수 있다. 제1 영역(1211)에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제2 영역(1231)은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영역(1211)에서의 터치 입력 감지도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입력은 다양한 방식의 입력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타입의 터치 입력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치 입력은 더블탭(Double tap), 스와이프업 또는 스와이프 다운(Swipe up or Swipe down), 스와이프 레프트 또는 스와이프 라이트(Swipe left or Swipe right), 터치앤홀드(Touch and hold) 등과 같은 타입의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다른 타입의 터치 입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휴대 단말(100)은 커버(200)의 커버 입력 영역(1330)에서 수신되어 터치 스크린(140)의 제2 영역에서 검출되는 제1 타입 터치 입력을 제1 제어 명령으로 처리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커버(200)의 윈도우 영역(1310)에서 수신되어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에서 검출되는 제1 타입 터치 입력을 제2 제어 명령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커버(200)의 윈도우 영역(1310)에서 수신되어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에서 검출되는 제2 타입 터치 입력을 제3 제어 명령으로 처리할 수 있고, 커버(200)의 비윈도우 영역(1320)에서 수신되어 터치 스크린(140)의 제2 영역에서 검출되는 제3 타입 터치 입력을 제4 제어 명령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내지 제4 제어명령은 다양한 제어 명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내지 제4 제어 명령은 음악 플레이어 정보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이거나, 카메라 프리뷰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이거나, 통화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이거나, 어플리케이션 관련 제어 명령일 수 있다. 이외에도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관련된 제어 명령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터치 스크린(140)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음악 플레이어 정보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터치 스크린(140)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음악 플레이어 정보 제어 화면 일예도이다.
도 14및 도 15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1410 동작에서 커버(200)가 덮힌 상태에서 커버(200)의 윈도우 영역(1510)에 대응하는 제1 영역(1511)에 음악 플레이어 정보 예컨대 재생음악 제목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는 1420 동작에서 커버(200)의 비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1520)에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커버(200)의 비윈도우 영역 또는 비윈도우 영역 중 커버 입력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1520)에 제1 타입 터치 입력 또는 제2 타입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제1 타입 터치 입력은 제1 방향의 스와이프 입력 예컨대 스와이프 레프트(1531) 입력일 수 있고,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제2 타입 터치 입력은 제2 방향의 스와이프 입력 예컨대 스와이프 라이트(1532) 입력일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제2 영역(1520)에 제1 타입 터치 입력(1531)이 있으면 1430 동작에서 제1 타입 터치 입력에 따라 다음 재생 음악 제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도 15의 (a)과 같이 제1 영역(1511)에 제1 노래 제목 Song 1 title을 표시하다가 제2 영역(1520)에 스와이프 레프트(1531)이 입력되면 도 15의 (b)과 같이 제1 영역(1511)에 제2 노래 제목 Song 2 title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제2 영역(1520)에 제2 타입 터치 입력(1532)이 있으면 1440 동작에서 제2 타입 터치 입력에 따라 이전 재생 음악 제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도 15의 (b)과 같이 제1 영역(1511)에 제2 노래 제목 Song 2 title을 표시하다가 제2 영역(1520)에 스와이프 라이트(1532)이 입력되면 도 15의 (a)과 같이 제1 영역(1511)에 제1 노래 제목 Song 1 title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터치 스크린(140)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카메라 프리뷰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터치 스크린(140)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카메라 프리뷰 제어 화면 일예도이다.
도 16및 도 17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1610 동작에서 커버(200)가 덮힌 상태에서 커버(200)의 윈도우 영역(1710)에 대응하는 제1 영역(1711)에 카메라 프리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는 1620 동작에서 커버(200)의 비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1720)에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커버(200)의 비윈도우 영역 도는 비윈도우 영역 중 커버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1720)에 제1 타입 터치 입력 또는 제2 타입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타입 터치 입력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스와이프 입력 예컨대 스와이프 업 또는 스와이프 다운(1731) 입력일 수 있고, 제2 타입 터치 입력은 제3 방향 또는 제4방향의 스와이프 입력 예컨대 스와이프 레프트 또는 스와이프 라이트(1732) 입력일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제2 영역(1720)에 제1 타입 터치 입력(1731)이 있으면 1630 동작에서 제1 타입 터치 입력에 따라 줌인 또는 줌 아웃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스와이프 업 입력이 있으면 카메라 프리뷰 줌 인을 수행하고, 스와이프 다운 입력이 있으면 카메라 프리뷰 줌 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제2 영역(1720)에 제2 타입 터치 입력(1732)이 있으면 1640동작에서 제2 타입 터치 입력에 따라 사진 촬영 제어 또는 비디오 촬영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스와이프 레프트 입력이 있으면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스와이프 라이트 입력이 있으면 비디오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터치 스크린(140)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통화중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및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터치 스크린(140)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통화중 제어 화면 일예도이다.
도 18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1810 동작에서 커버(200)가 덮힌 상태에서 커버(200)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통화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는 1820 동작에서 터치 입력이 검출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비윈도우 영역 또는 비윈도우 영역 중 커버 입력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제2 영역을 통해 검출할 수 있고, 윈도우 영역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제1 영역을 통해 검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1830 동작에서 통화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도 1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중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제1 영역(1911)에 스와이프 레프트 입력(1931)이 검출되면, 통화를 종료하고 도 19의 (b)와 같이 제1 영역(1911)에 통화 종료를 알리는 정보call ended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비윈도우 영역 또는 비윈도우 영역 중 커버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에서 터치 입력이 검출되면, 1840 동작에서 제1 영역에 이벤트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2020)에 스와이프 레프트(2031) 입력이 검출되면, 윈도우 영역(2010)에 대응하는 제1 영역(2011)에 통화중 정보 표시를 중단하고, 도 20의 (b)와 같이 제1 영역(2011)에 미리 정해진 이벤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이벤트 정보는 약속이나 스케쥴 등의 정보일 수 있다. 또한 도 20의 (b)와 같이 제1 영역(2011)미리 정해진 이벤트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2 영역(2020)에 스와이프 라이트(2032) 입력이 검출되면, 휴대 단말(100)은 다시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011)에 통화중 정보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터치 스크린(140)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2및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터치 스크린(140)상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제어 화면 일예도이다.
도 21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2110 동작에서 커버(200)가 덮힌 상태에서 커버(200)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리케이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리케이션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2120 동작에서 커버(200)의 비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에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커버(200)의 비윈도우 영역 또는 비윈도우 영역 중 커버 입력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에 제1 타입 터치 입력 또는 제2 타입 터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22및 도 23을 참조하면, 제1 타입 터치 입력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의 스와이프 입력 예컨대 스와이프 업(2232) 또는 스와이프 다운(2231) 입력일 수 있고, 제2 타입 터치 입력은 제3 방향 또는 제4방향의 스와이프 입력 예컨대 스와이프 레프트(2331) 또는 스와이프 라이트(2332) 입력일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제2 영역에 제1 타입 터치 입력이 있으면 2130 동작에서 제1 타입 터치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도 22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와이프 업(2231) 또는 도 22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와이프 다운(2232) 입력에 따라 제1 영역(2211)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제2 영역에 제2 타입 터치 입력이 있으면 2140 동작에서 제2 타입 터치 입력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도 2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311)에서 음악 플레이어가 선택된 상태에서 스와이프 레프트(2331) 입력에 따라 음악 플레이어를 실행하고 도 2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311)에 음악 플레이어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도 23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311)에 음악 플레이어 실행화면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스와이프 라이트(2332) 입력에 따라 음악 플레이어 실행을 중단하고 도 23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2311)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을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버(2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도우 영역이 형성됨으로써 커버(200)가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을 덮더라도 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터치 스크린(140)의 제1 영역에 의한 정보가 윈도우 영역을 통해 보일 수 있으므로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버(200)의 윈도우 영역이 아닌 비윈도우 영역 또는 비윈도우 영역 중 커버 입력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비윈도우 영역 또는 비윈도우 영역 중 커버 입력 영역을 통한 터치 입력에 따라 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의 정보 표시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커버(200)를 덮은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100)의 정보 표시를 제어할 수 있어서 편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200)에는 키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200)의 전면 커버부(210)의 비윈도우 영역 중 커버 입력 영역에 키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0)에 키패드가 형성된 경우 휴대 단말(100)은 커버(200)의 키패드를 통한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키패드가 형성된 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를 참조하면, 도 24의 (a)와 같이 커버(2400)의 전면 커버부(2410)는 플립(flip)되어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커버(2400)의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될 시, 전면 커버부(2410)에 형성된 개구(2401b)에 의해 휴대 단말(100)의 베젤(102) 상에 형성된 부품(예를 들어, 스피커)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24의 (b)에서는 하나의 개구(2401b) 만이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전면 커버부(2410) 상에 복수의 개구들이 형성됨으로써,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되더라도 휴대 단말(100)의 베젤(102) 상에 형성된 복수의 부품들(예를 들어, 스피커, 카메라 등)이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커버(2400)의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될 시, 도 24의 (b)와 같이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40)의 적어도 일부가 전면 커버부(2410)에 의해 덮혀질 수 있다. 도 24의 (b)을 참조하면, 커버(2400)의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될 시, 전면 커버부(2410)에 의해 터치 스크린(140)의 전체 영역 중 윈도우 영역(2401a)에 대응되는 일부 영역이 외부에 노출되고, 나머지 영역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전면 커버부(2400)가 개방될 시, 도 24의 (c)와 같이 휴대 단말(100)의 터치 스크린(140)의 전체 영역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커버부(2410)에 형성된 키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부(2410)에서 윈도우 영역(2401a)과 개구(2401b)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비윈도우 영역의 커버 입력 영역에 키패드(24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 입력 영역에는 키패드(2450)와 함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4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440)은 윈도우 영역(2401a)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440)은 메뉴(menu) 버튼(2441), 홈(home) 버튼(2442), 백(back) 버튼(2443), 검색(serch) 버튼(2444)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440)은 리센트(recent) 버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도 다른 기능의 버튼 예를 들면, 인터넷 버튼, 카메라 버튼, 메신저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440)은 휴대 단말(100)의 베젤(102) 상에 존재하는 버튼(예컨대 홈버튼(105) 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키패드(24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44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키들은 예컨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키(254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키(2452),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키는 백스페이스키(2453), 대소문자 변환키(2454), 기호숫자 변환키(2455), 한글영문 변환키(2406), 설정키(2457), 스페이스키(2458),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장부호키(2459), 엔터키(24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키 외에 다른 기능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2450) 상의 복수의 키들은 쿼티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쿼티 방식 배열이 아닌 3*4방식 배열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또한 키패드(2450)의 복수의 키들의 배열은 전면 커버부(2410)가 개방되었을 경우 터치 스크린(140)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패드와 동일한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면 커버부(2410)를 폐쇄한 상태에서도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사용할때와 마찬가지로 쉽게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440)과 키패드(2450)는 전면 커버부(2410)의 외측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440)과 키패드(2450)의 각 버튼 또는 각 키는 전면 커버부(2410)의 외측 표면에 각인되거나 인쇄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440)과 키패드(2450)의 각 버튼 또는 각 키는 전면 커버부(2410)의 외측 표면에 각인되거나 인쇄된 경우,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부(2410)의 표면에 각인되거나 인쇄된 각 버튼 또는 각 키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터치 가능한 물체가 접촉되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의 표면에 각 버튼 또는 각 키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의 표면에 각 버튼 또는 각 키의 접촉에 대응된 각 버튼 입력 또는 각 키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440)과 키패드(2450)의 각 버튼 또는 각 키는 조작 돌기와 작동 돌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면 커버부(2410)에 형성된 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키패드(2450)의 각 키는 조작 돌기와 작동 돌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2450)의 각 키(예컨대 K키)(2452-1)는 조작 돌기(2610)와 작동 돌기(26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돌기(2610)는 사용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의 조작 가능한 물체(2600)에 의해 조작되는 돌기일 수 있다. 작동 돌기(2620)는 사용자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의 조작 가능한 물체(2600)에 의해 조작 돌기(2610)가 조작됨에 따라 작동하는 돌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돌기(2610)는 접촉면을 가질 수 있고, 조작 가능한 물체(2600)에 의해 접촉면이 눌릴 수 있다. 조작 돌기(2610)의 눌림에 의해 작동 돌기(2620)에 가압될 수 있다. 작동 돌기(2620)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140)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조작 돌기(2610)의 눌림에 의해 탄성체가 눌렸다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작동 돌기(2620)에 가압되면 도 26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돌기(2620)는 터치 스크린(140)에 접촉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 돌기(2610)와 작동 돌기(26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키들은 사용자가 물리적 가압감을 느끼면서 입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돌기(2610) 가압에 따라 터치 스크린(140)에 작동 돌기(2620)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고, 작동 돌기(2620)의 접촉에 대응된 각 버튼 입력 또는 각 키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커버부(2410)가 개방된 경우 휴대 단말(100)은 터치 스크린(140)에 풀 스크린(full screen)을 표시할 수 있고,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경우 휴대 단말(100)은 터치 스크린(140) 영역 중 윈도우 영역(2401a)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미니 스크린(mini screen)을 표시할 수 있다. 풀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140) 전체에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고, 미니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140) 전체에 표시되는 화면을 축소한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니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140) 전체에 표시되는 잠금 화면을 축소한 축소된 잠금 화면 미니 스크린 또는 터치 스크린(140) 전체에 표시되는 홈 화면을 축소한 축소된 홈 미니 스크린, 또는 터치 스크린(140) 전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축소한 축소된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일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풀 스크린과 미니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도 2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부(2410)가 개방됨에 따라 터치 스크린(140)에 풀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도 2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되면, 터치 스크린(140)의 풀 스크린이 미니 스크린으로 전환되어 윈도우 영역(2401a)에 대응된 제1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도 2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됨에 따라 윈도우 영역(2401a)에 대응된 제1 영역에 미니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도 2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부(2410)가 개방되면, 미니 스크린이 풀 스크린으로 전환되어 터치 스크린(14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부(2410)의 윈도우 영역(2401a)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 상의 제1 영역에 다양한 타입의 미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내지 제5 타입의 미니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의 (a), (b), (c), (d), (e)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이 일반 모드인 경우 제1 내지 제5 타입의 미니 스크린을 나타내고 있다. 도 28의 (a)를 참조하면, 제1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상태바 영역(2811), 시간 정보 영역(28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의 (b)를 참조하면, 제2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상태바 영역(2821), 시간 정보 영역(2823), 날씨 정보 영역(282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의 (c)를 참조하면, 제3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상태바 영역(2831), 시간 정보 영역(2833), 달력 정보 영역(28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의 (d)를 참조하면, 제4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상태바 영역(2841), 시간 정보 영역(2843), 통화 정보 영역(2846), 이메일 정보 영역(284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8의 (e)를 참조하면, 제5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상태바 영역(2851), 시간 정보 영역(2853), 미니 어플리케이션 영역(2859)을 포함할 수 있다. 미니 어플리케이션 영역(2859)은 예를 들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나타내고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미니 음악 어플리케이션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른 기능의 미니 어플리케이션 영역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6 내지 제10 타입의 미니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의 (a), (b), (c), (d), (e)를 참조하면,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이 잠금 모드인 경우 잠금 화면이 축소된 미니 잠금 화면에 대응된 제6 내지 제10 타입의 미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9의 (a)를 참조하면, 제6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상태바 영역(2911), 시간 정보 영역(2913), 패스워드 입력 영역(2915)을 포함할 수 있다. 패스워드 입력 영역(2915)에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100)은 잠금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9의 (b)를 참조하면, 제7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상태바 영역(2921), 시간 정보 영역(2923),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입력 영역(2925)을 포함할 수 있다. PIN 입력 영역(2925)에 PIN이 입력되면 휴대 단말(100)은 잠금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9의 (c)를 참조하면, 제8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상태바 영역(2931), 시간 정보 영역(2933),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2935)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2935)에 잠금 해제 패턴이 입력되면 휴대 단말(100)은 잠금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29의 (d)를 참조하면, 제9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상태바 영역(2941), 시간 정보 영역(2943),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2945), 알림 내용 아이콘(2946)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 내용 아이콘(2946)은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내용이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일 수 있다. 도 29의 (e)를 참조하면, 제10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상태바 영역(2951), 잠금 해제 패턴 입력 영역(2955), 미니 어플리케이션 영역(2957)은 예를 들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경우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정보를 나타내고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미니 음악 어플리케이션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른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어플리케이션 영역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1 및 제12 타입의 미니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의 (a), (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홈 화면이 축소된 미니 홈 화면에 대응된 제11 타입 및 제12 타입의 홈 미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0의 (a)를 참조하면, 제11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상태바 영역(3011), 미니 홈 영역(3013), 단축 실행 아이콘 영역(3015)을 포함할 수 있다. 미니 홈 영역(3013)은 홈 스크린이 축소된 영역으로서, 홈 스크린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대응된 숏컷(shortcut) 이미지들이 표시될 수 있다. 숏컷 이미지가 선택되면 숏컷 이미지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단축 실행 아이콘 영역(301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실행 아이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실행 아이콘들은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025-1),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015-2)을 포함할 수 있다. 단축 실행 아이콘이 선택되면 단축 실행 아이콘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이때 제11 타입의 미니 스크린에서 단축 실행 아이콘들은 다른 단축 실행 아이콘들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0의 (b)를 참조하면, 제12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제11 타입의 미니 스크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축 실행 아이콘들이 변경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1 타입의 미니 스크린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015-2) 대신 검색 아이콘(3025-2)이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3타입의 미니 스크린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윈도우 영역(2401a)에 대응된 제1 영역에 사용자의 빠른 접근이 필요한 중요 기능에 해당하는 제13 타입의 미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3 타입의 미니 스크린은 리모트 컨트롤 미니 스크린(3110)일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 미니 스크린(3110)은 볼륨 제어 버튼(3111), 채널 제어 버튼(3113)을 포함할 수 있다. 볼륨 제어 버튼(3111)은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이고 채널 제어 버튼(3113)은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은 제1 영역에 표시되는 미니 스크린 상에 터치 입력에 따라 미니 스크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 스크린 표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도 3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미니 스크린(32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태바 영역(3211)에 터치 입력 예컨대 플릭 입력이 있으면 도 32의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패널(notification panel)에 대응된 알림 미니 스크린(32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알림 미니 스크린(32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빠른 설정 버튼(3221), 알림 정보(3223),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니 어플리케이션 영역(3225)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빠른 설정 버튼(3221)은 Wi-Fi 설정 버튼, GPS 설정 버튼, Mute 설정 버튼, All share 설정버튼, Bluetooth 설정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알림 정보(3223)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알림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니 어플리케이션 영역(3225)은 예를 들면, 이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미니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영역 또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미니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른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미니 어플리케이션 영역이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이 감지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3및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를 통한 텍스트 입력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3의 (a), (b), (c)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도 33의 (a)와 같이 전면 커버부(2410)의 윈도우 영역(2401a)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 상의 제1 영역에 시간 미니 스크린(33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33의 (b)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의 윈도우 영역(2401a)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 상의 제1 영역에 홈 미니 스크린(3320)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미니 스크린(3310,33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이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이용한 검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samsun의 텍스트가 입력된 경우(3301) 도 33의 (c)와 같이 samsun의 텍스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를 나타내는 검색 결과 미니 스크린(333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amsun의 텍스트를 이용하여 검색된 어플리케이션(apps 10:10개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Email 15:15개의 이메일)을 나타내는 검색 결과 미니 스크린(3330)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34의 (a), (b), (c), (d), (e)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도 34의 (a)와 같이 전면 커버부(2410)의 윈도우 영역(2401a)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 상의 제1 영역에 검색을 위한 검색 미니 스크린(3410)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검색 미니 스크린(34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이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이용한 검색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검색 미니 스크린(3410)에 samsun의 텍스트가 입력된 경우(3415) 도 33의 (b)와 같이 휴대 단말(100) 내에 저장된 정보들 중 samsun의 텍스트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 정보를 나타내는 미니 스크린(342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amsun의 텍스트를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 내에 저장된 정보들 중 검색된 어플리케이션(apps 10:10개의 어플리케이션), 이메일(Email 15:15개의 이메일)을 나타내는 검색 결과 미니 스크린(3420)을 표시할 수 있다. 검색 결과 미니 스크린(3420)은 검색 필드(3421)와 검색 결과 영역(3422)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필드(3421)에는 입력된 텍스트 예컨대 samsun이 표시될 수 있고, 검색 결과 영역(3422)에는 검색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검색 결과 영역(3422)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스크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색 결과 영역(3422)의 하단부에서 상단 방향으로 스크롤 입력(3431)에 따라 도 3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결과 영역(3422)의 검색 결과 정보들이 하단부에서 상단부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3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결과 영역(3422)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스크롤 입력(3432)에 따라 도 3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결과 영역(3422)의 검색 결과 정보들이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스크롤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도 34의 (a)와 같은 검색 미니 스크린(3410)에 키패드(2450)를 이용하여samsun의 텍스트가 입력된 경우(3315) 도 34의 (d)와 같이 검색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검색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3440)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검색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3440)은 검색 필드(3441)와 검색 어플리케이션 영역(3442)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필드(3421)에는 입력된 텍스트 예컨대 samsun이 표시될 수 있고, 검색 어플리케이션 영역(3422)에는 웹 검색 어플리케이션(예컨대 구글)이 표시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samsun의 텍스트에 g.com의 텍스트가 더 입력되어 samsung.com이 입력된 경우, samsung.com의 텍스트 유형을 URL로 판단하고, 도 34의 (e)와 같이 URL 미니 스크린(3450)을 표시할 수 있다. URL 미니 스크린(3450)은 URL 필드(3451), URL 실행 아이콘(3452), 검색 아이콘(3453)이 포함될 수 있다. URL 필드(3451)에는 입력된 텍스트 예컨대 samsung.com과 같은 URL이 표시될 수 있다. URL 실행 아이콘(3452)은 URL 필드(3451)의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검색 아이콘(3453)은 검색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를 통해 입력되는 텍스트의 유형을 판단하고, 텍스트의 유형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에서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 유형에 따른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5의 (a), (b), (c), (d)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도 35의 (a)와 같이 전면 커버부(2410)의 윈도우 영역(2401a)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 상의 제1 영역에 검색을 위한 검색 미니 스크린(351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홈 미니 스크린이 표시될 수도 있다. 휴대 단말(100)은 검색 미니 스크린(3510) 또는 홈 미니 스크린 또는 미리 정해진 다른 미니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를 통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이 감지되면, 적어도 하나의 키입력에 대응되는 텍스트를 입력(3501)받을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입력된 텍스트의 유형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된 텍스트가 전화번호 유형인지, 이메일 유형인지,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유형인지, 장문(Long text) 유형인지 판단할 수 있다.
입력된 텍스트의 유형이 전화번호 유형이면 휴대 단말(100)은 도 3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 미니 스크린(3520)을 표시할 수 있다. 전화 미니 스크린(3520)은 전화번호 필드(3521), 메시지 아이콘(3524), 전화 아이콘(3526), 전화번호 추가 아이콘(3528)이 포함될 수 있다. 전화번호 필드(3521)에는 입력된 텍스트 예컨대 012-3456-7890와 같은 전화번호가 표시될 수 있다. 메시지 아이콘(3524)은 전화번호 필드(3521)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전화번호 추가 아이콘(3528)은 전화번호 필드(3521)에 전화번호를 추가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입력된 텍스트의 유형이 이메일 유형이면 휴대 단말(100)은 도 3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메일 미니 스크린(353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메일 미니 스크린(3530)은 이메일 주소 필드(3531), 이메일 아이콘(3534), 이메일 주소 추가 아이콘(3536)이 포함될 수 있다. 이메일 주소 필드(3531)에는 입력된 텍스트 예컨대 tizen@samsung.com과 같은 이메일 주소가 표시될 수 있다. 이메일 주소 추가 아이콘(3536)은 이메일 주소 필드(3531)에 이메일 주소를 추가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입력된 텍스트의 유형이 URL 유형이면 휴대 단말(100)은 도 3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URL 미니 스크린(3540)을 표시할 수 있다. URL 미니 스크린(3540)은 URL 필드(3541), URL 실행 아이콘(3544), 검색 아이콘(3546)이 포함될 수 있다. URL 필드(3541)에는 입력된 텍스트 예컨대 samsung.com과 같은 URL이 표시될 수 있다. URL 실행 아이콘(3544)은 URL 필드(3441)의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검색 아이콘(3546)은 검색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일 수 있다.
입력된 텍스트의 유형이 장문 유형이면 휴대 단말(100)은 도 3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SNS(Socail Network Service) 미니 스크린(3550)을 표시할 수 있다. SNS 미니 스크린(3550)은 장문 필드(3551), 제1 SNS 아이콘(3554), 제2 SNS아이콘(3556), 메모 아이콘(3558)이 포함될 수 있다. 장문 필드(3551)에는 입력된 텍스트 예컨대 장문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SNS 아이콘(3554)은 예컨대 facebook 아이콘일 수 있다. 제2 SNS아이콘(3556)은 예컨대 twitter 아이콘일 수 있다. 메모 아이콘(3558)은 장문을 메모할 수 있는 아이콘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홈 미니 스크린 또는 검색 미니 스크린(3510)에서 텍스트 입력에 따라 SNS 미니 스크린(3550)을 표시하고, 입력된 텍스트를 SNS 미니 스크린(3550)에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은 텍스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팝 알림에 따라 SNS 미니 스크린(3550)이 자동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SNS 미니 스크린(3550)이 표시된 상태에서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미니 스크린에서의 입력 또는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 입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를 통한 텍스트 입력을 명령으로 인식하여 다양한 명령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키패드(2450)는 사용자와 휴대 단말(100) 사이에 정보를 주고 받는 구실을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명령어 라인 인터페이스(CLI:Command Line Interfac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이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미니 스크린에서의 입력 또는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 입력에 따라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6의 (a), (b), (c), (d)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도 36의 (a)와 같이 윈도우 영역(2401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440) 및 키패드(2450)이 형성된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윈도우 영역(2401a)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 상의 제1 영역에 홈 미니 스크린(3610)을 표시할 수 있다. 홈 미니 스크린(3610)은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611),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613)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도 36의 (a)와 같은 홈 미니 스크린(3610)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미니 스크린(3610)의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611)에 탭(tap) 입력이 있으면 도 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미니 스크린(3620)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도 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화 미니 스크린(362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면 도 3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가 입력된 통화 미니 스크린(365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도 36의 (a)와 같은 홈 미니 스크린(3610)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미니 스크린(3610)의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611)에 탭 앤 홀드(tap and hold) 입력이 있으면 도 3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기록 미니 스크린(3630)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도 3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화 기록 미니 스크린(3630)이 표시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통화 기록이 선택되면 도 3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통화 기록의 전화번호가 입력된 통화 미니 스크린(365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도 36의 (a)와 같은 홈 미니 스크린(36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를 통한 텍스트 입력이 있으면 전화번호부에서 텍스트에 대응된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고, 도 3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 검색 미니 스크린(3640)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도 3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 번호 검색 미니 스크린(3640)이 표시된 상태에서 검색 결과들 중 어느 하나의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도 3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전화번호가 입력된 통화 미니 스크린(365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도 36의 (a)와 같은 홈 미니 스크린(36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를 통한 전화번호 입력이 있으면 전화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고, 도 3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번호가 입력된 통화 미니 스크린(3650)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도 3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번호가 입력된 통화 미니 스크린(3650)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 버튼(3652)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화 걸기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이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미니 스크린에서의 입력 또는 전면 커버부(2410)의 키패드(2450) 입력에 따라 메시지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의 (a), (b), (c)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도 37의 (a)와 같은 홈 미니 스크린(3710)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미니 스크린(3710)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713)에 탭(tap) 입력이 있으면 도 3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리스트 미니 스크린(3720)을 표시할 수 있다. 메시지 리스트 미니 스크린(3720)은 대화 리스트(3721)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도 3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 리스트 미니 스크린(3720)이 표시된 상태에서 대화 리스트(3721) 중 어느 하나의 대화가 선택되면 도 3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미니 크스린(3730)을 표시할 수 있다. 대화 미니 스크린(3730)은 대화 내용(37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도 37의 (a)와 같은 홈 미니 스크린(3710)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미니 스크린(3710)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713)에 탭 앤 홀드(tap and hold) 입력이 있으면 도 3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미니 스크린(3730)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이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미니 스크린의 어플리케이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의 (a), (b), (c), (d), (e), (f), (g)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도 38의 (a)와 같이 윈도우 영역(2401a),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2440) 및 키패드(2450)이 형성된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윈도우 영역(2401a)에 대응하는 터치 스크린(140) 상의 제1 영역에 홈 미니 스크린(3810)을 표시할 수 있다. 홈 미니 스크린(3810)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3801~3808)과 통화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811),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실행 아이콘(3813)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도 38의 (a)와 같은 홈 미니 스크린(3810)이 표시된 상태에서 홈 미니 스크린(3810)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3801~3808)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이 선택되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응된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 단말(100)은 홈 미니 스크린(3810)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3801~3808) 중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아이콘(3801)이 선택되면 도 3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응된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382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홈 미니 스크린(3810)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3801~3808) 중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아이콘(3802)이 선택되면 도 3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응된 라디오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3830)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홈 미니 스크린(3810)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3801~3808) 중 보이스 리코더(voice recorder) 어플리케이션 아이콘(3803)이 선택되면 도 38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스 리코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응된 보이스 리코더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3840)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홈 미니 스크린(3810)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3801~3808) 중 알람 어플리케이션 아이콘(3805)이 선택되면 도 38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응된 알람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3850)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홈 미니 스크린(3810)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3801~3808) 중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아이콘(3806)이 선택되면 도 38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응된 계산기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3860)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홈 미니 스크린(3810)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들(3801~3808) 중 달력 어플리케이션 아이콘(3805)이 선택되면 도 38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달력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대응된 달력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3870)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휴대 단말(100)은 다양한 다른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키패드(2450)를 통한 텍스트 입력이 있으면, 바로 텍스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텍스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미니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텍스트 입력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9의 (a), (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도 3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키패드(2450)를 통한 텍스트 입력이 있으면, 바로 메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메모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391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은 도 3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키패드(2450)를 통한 텍스트 입력이 있으면, 바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미니 스크린(3920)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미니 스크린이 지원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전면 커버부(2410)을 개방하도록 하는 커버 개방 요구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이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커버 개방 요구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0의 (a), (b)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미니 스크린이 지원되지 않는 노트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도 4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커버부(2410)을 개방하도록 Open cover to use application(4010)을 표시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은 전면 커버부(2410)가 개방되면 도 40의 (b)에 도시? 바와 같이 노트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된 풀 스크린(4020)을 표시할 수 있다.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버의 일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가 형성됨으로써 커버가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덮더라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윈도우를 통해 터치 스크린에 의한 정보가 보일 수 있으므로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휴대 단말은 커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영역과 비윈도우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들을 판단할 수 있고,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으로 입력되는 입력에 따라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의 영역에 정보 표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버의 윈도우 영역이 아닌 비윈도우 영역을 통해 터치 스크린으로 터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고, 비윈도우 영역을 통한 터치 입력에 따라 윈도우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스크린의 제1 영역의 정보 표시가 제어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휴대 단말이 커버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도 휴대 단말의 정보 표시를 제어할 수 있어서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커버의 키패드를 통해 터치 스크린으로 텍스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 단말이 커버에 의해 커버된 상태에서도 텍스트 입력을 통해 휴대 단말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어서 편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전자 장치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Claims (72)

  1.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에 있어서,
    커버가 상기 휴대 단말에 결합된 상태인지 판단하는 과정;
    상기 커버가 상기 휴대 단말에 결합된 상태이면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을 구성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되는 제1 타입 입력을 제 1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입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 화면에 덮힌 상태에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미리 정해진 버튼 입력 이벤트, 수신 이벤트, 알림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입력을 제2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에서 검출된 제2 타입 입력을 제3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상기 제2 타입 입력을 제4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을 통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더블탭(Double tap), 스와이프업 또는 스와이프 다운(Swipe up or Swipe down), 스와이프 레프트 또는 스와이프 라이트(Swipe left or Swipe right), 터치앤홀드(Touch and hold)을 포함하는 복수의 터치 입력들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은 키입력이 가능한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의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검출 결과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입력에 따라 입력된 텍스트에 대응된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텍스트에 대응된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과정은,
    입력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검색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과정,
    입력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전화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과정,
    입력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메일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과정,
    입력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메시지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과정,
    입력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메모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이고,
    상기 제2 영역은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로부터 상기 커버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입 정보는,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은 투명 또는 반투명 영역이고, 상기 커버의 상기 비윈도우 영역은 불투명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각각에서 검출되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터치 입력 인식 감도(sensitivity)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덮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되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터치 입력 인식 감도(sensitivity)를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 화면 중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따른 일부 화면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 터치 센싱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따른 일부 터치 센싱 영역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덮은 상태이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 화면 중 제1 영역의 화면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 터치 센싱 영역 중 제2 영역의 터치 센싱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되는 제1 타입 입력을 제 1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되는 제1 타입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입력을 제 1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음악 플레이어 정보를 제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입력을 제 1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카메라 프리뷰를 제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입력을 제 1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1타입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통화중 정보를 제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입력을 제 1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1타입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27. 휴대 단말에 있어서,
    터치스크린과,
    커버가 상기 휴대 단말에 결합된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커버가 상기 휴대 단말에 결합된 상태이면,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을 구성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입력을 제 1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검출된 제1 타입 입력을 제2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의 타입을 확인하고,
    상기 커버의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가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 화면에 덮힌 상태에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커버의 타입을 기반으로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영역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미리 정해진 버튼 입력 이벤트, 수신 이벤트, 알림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에서 검출된 제2 타입 입력을 제3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된 제2 타입 입력을 제4 제어 명령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은 터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입력 영역을 통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은 각각 더블탭(Double tap), 스와이프업 또는 스와이프 다운(Swipe up or Swipe down), 스와이프 레프트 또는 스와이프 라이트(Swipe left or Swipe right), 터치앤홀드(Touch and hold)을 포함하는 복수의 터치 입력들 중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은 키입력이 가능한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검출 결과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입력에 따라 입력된 텍스트에 대응된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입력된 텍스트에 대응된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것은,
    입력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검색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것,
    입력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전화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것,
    입력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메일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것,
    입력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메시지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것,
    입력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메모 기능 수행을 제어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 스크린 화면에 커버가 덮혀있는 동안 상기 터치 스크린 화면의 상기 제1 영역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의 타입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커버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로부터 상기 커버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입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입 정보는,
    상기 커버의 상기 윈도우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커버의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윈도우 영역은 투명 또는 반투명 영역이고, 상기 커버의 상기 비윈도우 영역은 불투명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서 검출되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터치 입력 인식 감도(sensitivity)를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가 상기 터치 스크린를 덮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되는 터치 입력을 인식하기 위한 터치 입력 인식 감도(sensitivity)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6.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 화면 중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따른 일부 화면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7.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 터치 센싱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따른 일부 터치 센싱 영역이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가 상기 터치 스크린을 덮은 상태이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 화면 중 제1 영역의 화면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 터치 센싱 영역 중 제2 영역의 터치 센싱 영역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에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서 검출되는 제1 타입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에 음악 플레이어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수신되는 상기 제1 타입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음악 플레이어 정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에 카메라 프리뷰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수신되는 상기 제1 타입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카메라 프리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 상기 제1 영역에 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입력되는 상기 제1 타입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통화중 정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3.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상기 제2 영역에 입력되는상기 제1 타입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후면 내부에 수용되는 배터리 팩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휴대 단말의 전면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휴대 단말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팩을 보호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배터리 커버에 연결되며, 상기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5.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휴대 단말 단말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커버,
    상기 휴대 단말 단말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와 상기 후면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6. 제27항에 있어서,
    외부 자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력 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력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외부 자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7.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윈도우 영역과, 불투명한 비윈도우 영역을 포함하고, 휴대 단말의 터치 스크린을 커버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커버의 비윈도우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을 갖는 상기 터치 스크린;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이 상기 커버에 의해 덮혀진 상태에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제2 영역 상에 입력되는 입력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에 표시되는 정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갖는 휴대 단말.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커버로부터 상기 커버의 타입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갖는 휴대 단말.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커버의 타입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커버의 타입 정보에 따라 상기 터치 스크린의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갖는 휴대 단말.
  60.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입 정보는,
    상기 커버의 상기 윈도우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커버의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를 갖는 휴대 단말.
  61. 휴대 단말의 커버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전면에 형성된 터치 스크린을 커버하는 전면 커버;
    상기 휴대 단말의 후면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윈도우 영역과, 불투명한 비윈도우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커버의 상기 비윈도우 영역은 입력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가 상기 휴대 단말의 상기 터치 스크린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입력 영역을 통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입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커버.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입 정보를 제공하는 커버 타입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커버.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타입 정보는,
    상기 커버의 상기 윈도우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커버상의 상기 비 윈도우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커버.
  6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커버는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력인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커버.
  65.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입력 영역은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상기 일 영역과 다른 타 영역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커버.
  66.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입력 영역은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상기 일 영역과 다른 타 영역은 서로 시각적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커버.
  67.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전도성 실리콘, 정전기 방지 물질, 실버 나일론 패브릭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커버.
  68.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입력 영역은 상기 휴대 단말에 터치 입력이 가능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커버.
  69.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비윈도우 영역의 입력 영역은 키입력이 가능한 키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 상기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이 가능한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커버.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커버.
  71.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휴대 단말의 배터리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커버.
  7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는 상기 휴대 단말의 배터리 커버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의 커버.
KR1020140015272A 2014-02-11 2014-02-11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KR102245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72A KR102245289B1 (ko) 2014-02-11 2014-02-11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US14/603,760 US10075579B2 (en) 2014-02-11 2015-01-23 Mobile terminal, user interface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PCT/KR2015/001283 WO2015122661A1 (en) 2014-02-11 2015-02-09 Mobile terminal, user interface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AU2015216023A AU2015216023A1 (en) 2014-02-11 2015-02-09 Mobile terminal, user interface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JP2016551777A JP2017511919A (ja) 2014-02-11 2015-02-09 携帯端末、携帯端末における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及び携帯端末のカバー
EP15154725.4A EP2905681B1 (en) 2014-02-11 2015-02-11 Mobile terminal, user interface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over of the mobile terminal
CN201510072855.XA CN104834353B (zh) 2014-02-11 2015-02-11 移动终端、移动终端中的用户界面方法和移动终端的护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72A KR102245289B1 (ko) 2014-02-11 2014-02-11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31A true KR20150094231A (ko) 2015-08-19
KR102245289B1 KR102245289B1 (ko) 2021-04-27

Family

ID=5246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272A KR102245289B1 (ko) 2014-02-11 2014-02-11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75579B2 (ko)
EP (1) EP2905681B1 (ko)
JP (1) JP2017511919A (ko)
KR (1) KR102245289B1 (ko)
CN (1) CN104834353B (ko)
AU (1) AU2015216023A1 (ko)
WO (1) WO201512266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702A1 (en) * 2017-08-22 2019-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VER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WO2020017711A1 (ko) * 2018-07-17 2020-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24128544A1 (ko) * 2022-12-12 2024-06-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인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599A (ko) * 2013-06-07 2014-12-1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단말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27566A (ko) * 2013-09-04 2015-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45289B1 (ko) * 2014-02-11 202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KR102211092B1 (ko) * 2014-03-13 2021-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스,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50124710A (ko) * 2014-04-29 2015-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102293482B1 (ko) * 2014-05-30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전자 장치의 커버
USD739408S1 (en) * 2014-08-25 2015-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for electronic device
KR102264444B1 (ko) * 2014-09-04 202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서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AU360251S (en) * 2014-09-05 2015-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360296S (en) * 2014-09-05 2015-0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360249S (en) * 2014-09-05 2015-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5491184B (zh) * 2014-10-13 2018-09-25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键盘的手机套
TW201630503A (zh) * 2014-12-31 2016-08-16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保護套及應用該保護套的電子裝置組件
KR102307396B1 (ko) * 2015-02-27 2021-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호 커버 및 그것의 제조 방법
JP6479973B2 (ja) * 2015-05-21 2019-03-06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端末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WO2017030223A1 (ko) * 2015-08-20 2017-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드유닛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854074B2 (en) * 2015-08-24 2017-12-26 I-Blades, Inc. Case for electronic devices
CN106527780A (zh) * 2015-09-11 2017-03-22 宏碁股份有限公司 触控感测系统与触控感测方法
JP6542644B2 (ja) * 2015-11-13 2019-07-10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端末、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CN105405044B (zh) * 2015-12-07 2021-06-01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使用洗衣机快速购物的方法及洗衣机
JP6681740B2 (ja) * 2016-02-25 2020-04-15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超音波診断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WO2017169638A1 (ja) * 2016-03-31 2017-10-0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カバー
KR102498502B1 (ko) * 2016-04-20 2023-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와 상기 커버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5975588B (zh) * 2016-05-04 2019-11-19 杭州网易云音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媒体资源播放操作控制方法和装置
CN107632745B (zh) * 2016-07-18 2020-12-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保护壳及应用该保护壳的电子装置组件
KR101882198B1 (ko) * 2016-11-01 2018-07-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6878564A (zh) 2017-03-07 2017-06-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屏的控制方法及装置、显示屏和移动终端
TWI656823B (zh) * 2017-05-23 2019-04-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保護蓋及電子設備
US10937001B1 (en) 2017-11-17 2021-03-02 Charles Isgar Smartphone lock box system
US10277730B1 (en) * 2017-11-17 2019-04-30 Charles Isgar Smartphone lock box system
US10630832B1 (en) * 2017-11-17 2020-04-21 Charles Isgar Smartphone lock box system
US10609200B2 (en) 2018-05-07 2020-03-31 Star Co Scientific Technologies Advanced Research Co, Llc Mobile device cover for use with a host mobile device
US10852859B2 (en) * 2018-07-20 2020-12-01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of utilizing peripherals
KR20200100929A (ko) * 2019-02-19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필기 입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146301B2 (en) * 2019-05-09 2021-10-12 William James Scott Systems and methods for a cellular phone enclosure
JP7496265B2 (ja) 2020-09-03 2024-06-0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カード処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920A (ko) * 2009-01-12 201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KR20130057516A (ko) * 2011-11-24 2013-06-03 안성기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
US20130181935A1 (en) * 2012-01-18 2013-07-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and accessory with capacitive touch point pass-through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373B2 (ja) * 1992-03-12 2001-09-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GB2355146B (en) * 1999-10-08 2004-01-07 Nokia Mobile Phones Ltd Radio communications device
US20040248621A1 (en) * 2001-09-06 2004-12-09 Lennart Scho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with special input functionality
JP2006277739A (ja) 2005-03-03 2006-10-12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80108839A (ko) 2007-06-11 2008-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US9172134B2 (en) * 2008-11-06 2015-10-27 Antenna79, Inc. Protective cover for a wireless device
US20100238119A1 (en) * 2009-03-18 2010-09-23 Zivthan Dubrovsky Touchscreen Keyboard Overlay
KR20110028148A (ko) 2009-09-11 2011-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20110260980A1 (en) 2009-12-01 2011-10-27 Angel Palacios System for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touch screen devices
CN102073406A (zh) * 2010-12-31 2011-05-25 汕头超声显示器有限公司 触摸屏及手持式装置
KR101265220B1 (ko) 2011-02-18 2013-05-24 임덕주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JP5197813B2 (ja) * 2011-03-30 2013-05-1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274090B1 (ko) 2011-07-04 2013-06-12 이광조 휴대단말기용 양면케이스
US9729685B2 (en) * 2011-09-28 2017-08-08 Apple Inc. Cover for a tablet device
JP2013084246A (ja) * 2011-09-30 2013-05-09 Sony Corp 保護カバー及び情報処理装置
CN103207768A (zh) * 2012-01-11 2013-07-17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双屏幕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425443B1 (ko) * 2012-05-09 2014-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우치 및 이에 수납되는 휴대 전자기기
KR20120005719U (ko) 2012-06-25 2012-08-08 임동춘 외부 터치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KR200464076Y1 (ko) 2012-08-03 2012-12-10 주식회사 플래텍 터치 신호 전달이 가능한 투명창이 구비된 휴대폰 보호케이스
US20140073377A1 (en) * 2012-09-12 2014-03-13 David Chang Protective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2728762A2 (en) * 2012-11-02 2014-05-07 Newvit Co., Ltd. Protection cover for mobile device
KR102009744B1 (ko) * 2013-01-03 2019-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이의 커버장치
KR102051908B1 (ko) * 2013-01-16 2019-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장치 및 방법
KR102060153B1 (ko) * 2013-01-24 2020-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285669B1 (ko) * 2013-01-28 2013-07-11 주식회사 신해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2048727B1 (ko) * 2013-03-13 202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운영 모드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KR102002874B1 (ko) * 2013-03-28 2019-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US9307129B2 (en) * 2013-05-07 2016-04-05 Lg Electronics Inc. Terminal cas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including the terminal case and the mobile terminal
US20140357330A1 (en) * 2013-05-29 2014-12-04 Alan Nathan Lin Cell phone case with templates for photograph collage or melange
TWI492136B (zh) * 2013-10-11 2015-07-11 Aevoe Inc 可攜式行動裝置之保護裝置
MY171500A (en) * 2013-10-14 2019-10-15 Chee Tieng Wong A functional flip cover protective case with physical keypad for smart phone devices
US9680212B2 (en) * 2013-11-20 2017-06-13 Pulse Finland Oy Capacitive groun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e devices
US9531422B2 (en) * 2013-12-04 2016-12-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KR102245289B1 (ko) * 2014-02-11 2021-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KR20150114308A (ko) * 2014-04-01 201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의 플립커버 간의 데이터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920A (ko) * 2009-01-12 201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KR20130057516A (ko) * 2011-11-24 2013-06-03 안성기 키보드 형 단말기 케이스
US20130181935A1 (en) * 2012-01-18 2013-07-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Device and accessory with capacitive touch point pass-through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9702A1 (en) * 2017-08-22 2019-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COVER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KR20190021115A (ko) * 2017-08-22 2019-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장치, 및 커버 장치를 식별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10852858B2 (en) 2017-08-22 2020-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cover device
WO2020017711A1 (ko) * 2018-07-17 2020-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528056B2 (en) 2018-07-17 2022-12-1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24128544A1 (ko) * 2022-12-12 2024-06-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세서리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34353A (zh) 2015-08-12
KR102245289B1 (ko) 2021-04-27
WO2015122661A1 (en) 2015-08-20
US20150229754A1 (en) 2015-08-13
US10075579B2 (en) 2018-09-11
EP2905681B1 (en) 2022-09-28
AU2015216023A1 (en) 2016-09-15
EP2905681A1 (en) 2015-08-12
CN104834353B (zh) 2020-02-21
JP2017511919A (ja)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289B1 (ko)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KR10229348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전자 장치의 커버
KR102213899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커버와 전자 디바이스에서 기능 실행 방법
EP362967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760414B2 (en) Mobile terminal
US7966578B2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lating displayed content
US9619139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8072435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entering screen lock stat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9298368B2 (en)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serting a character from an alternate keyboard
US20080165145A1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preting a Finger Swipe Gesture
US20130055160A1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20100004017A (ko) 이동단말기 및 그의 키패드 표시방법
KR2009002400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KR20080068491A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80163112A1 (en) Designation of menu actions for applications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1419526A (zh) 使用手持移动通信设备的触摸屏进行文本选择
JP5480517B2 (ja) 電子機器
US9690391B2 (en) Keyboard and touch screen gesture system
KR20150081657A (ko)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1218820B1 (ko) 터치 방식 정보 입력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9011104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JP5748798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切替方法
CN107491251B (zh) 移动终端及指纹控制方法
JP5748799B2 (ja) 電子機器
KR201001328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스처 입력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