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207A - 선형 전동기 - Google Patents

선형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207A
KR20150094207A KR1020140015220A KR20140015220A KR20150094207A KR 20150094207 A KR20150094207 A KR 20150094207A KR 1020140015220 A KR1020140015220 A KR 1020140015220A KR 20140015220 A KR20140015220 A KR 20140015220A KR 20150094207 A KR20150094207 A KR 20150094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mounting
linear motor
support
pie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6736B1 (ko
Inventor
김홍중
Original Assignee
김홍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중 filed Critical 김홍중
Priority to KR1020140015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73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자성체인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편과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절곡된 비자성체인 설치편; 상기 설치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복수의 영구 자석이 각각 장착되는 장착홀; 및 상기 설치편에 관통된 상기 장착홀의 상부에 대하여 상기 장착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편의 상면과 상기 지지편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는 상기 영구 자석 각각의 하부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단턱;을 포함하여, 저렴한 비용에 조립이 간편함은 물론, 경량화 및 컴팩화 구현이 가능하며 더욱 고속의 가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형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형 전동기{LINEAR MOTOR}
본 발명은 선형 전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렴한 비용에 조립이 간편함은 물론, 경량화 및 컴팩화 구현이 가능하며 더욱 고속의 가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형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는 에너지를 변환하는 것으로, 특히 전기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은 모터가 되고, 기계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은 발전기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코일이 권취된 철심은 1차측이 되며, 1차측은 외부로부터 에너지를 받는 부분이 되고, 영구자석과 같이 에너지를 전달받아 1차측과 상호 작용을 하는 부분은 2차측이 되는 것이다.
이때, 영구자석을 철판에 N극과 S극을 번갈아 일렬로 부착한 2차측이 1차측에 대하여 상호 상대 운동하면서 전동기의 역할을 하는 것이 선형 전동기이다.
그러나, 통상 철판은 강자성체이며, 영구자석 주위에 철판과 같은 강자성체가 존재하면 자로(磁路)가 강자성체측으로 누설되는, 즉 자로의 왜곡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불필요한 강자성체의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없애면서 부품수를 절감하여 저렴한 비용에 간단한 구조로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이 가능한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8-00471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저렴한 비용에 조립이 간편함은 물론, 경량화 및 컴팩화 구현이 가능하며 더욱 고속의 가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형 전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자성체인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편과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절곡된 비자성체인 설치편; 상기 설치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복수의 영구 자석이 각각 장착되는 장착홀; 및 상기 설치편에 관통된 상기 장착홀의 상부에 대하여 상기 장착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편의 상면과 상기 지지편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는 상기 영구 자석 각각의 하부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단턱;을 포함하는 선형 전동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선형 전동기는,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장착홀 각각이 경사지게 일렬로 상기 설치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상기 선형 전동기는,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장착홀 각각이 직교를 이루며 일렬로 상기 설치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선형 전동기는,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상기 설치편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편 각각과 평행을 이루는 제1 간격유지편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형 전동기는, 대면하고 상호 접촉되게 배치한 한 쌍의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상기 설치편이 연장되어 상호 이격하여 상호 대면되게 평행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선형 전동기는, 대면하고 상호 접촉되게 배치한 한 쌍의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상기 설치편이 연장되어 상호 이격하여 상호 대면되게 평행을 이루고, 상기 한 쌍의 설치편 중 하나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한 쌍의 설치편 중 하나와 상호 대면하는 설치편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편들 각각과 평행을 이루는 제2 간격유지편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간격유지편의 폭은, 상기 대면하고 상호 접촉되게 배치한 한 쌍의 상기 지지편이 형성하는 폭과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선형 전동기는, 상기 설치편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지지편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설치편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받침편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선형 전동기는, 상기 설치편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형 전동기는, 자성체인 코어와, 상기 코어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자극(磁極) 각각에 복수회 권취된 코일을 포함하는 전기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이웃하는 자극의 극성이 서로 다르게 권취되고, 상기 전기자 모듈을 복수로 일렬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1차 부재와, 복수의 영구 자석이 상기 설치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영구 자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영구 자석 모듈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자극 중 한 자극과 이웃한 자극 사이에 배치되는 2차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지지편과 설치편을 비자성체로 구성하고 설치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관통된 장착홀에 복수의 영구 자석이 각각 장착되는 매우 간단한 구조로 저렴하게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불필요한 강자성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자로의 누설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철판과 같이 중량체인 강자성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홀 하단부에 걸림단턱을 형성하여 영구 자석 각각의 정확한 장착 고정 위치를 미리 결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의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 중 2차 부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 부재와 1차 부재로 이루어진 선형 전동기의 다양한 적용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 중 2차 부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2차 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 부재와 1차 부재로 이루어진 선형 전동기의 다양한 적용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 중 2차 부재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 중 2차 부재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100)과 설치편(200)과 장착홀(300) 및 걸림단턱(4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지지편(100)은 비자성체인 것으로, 고정 대상물이나 작동 대상물에 고정되어 후술할 1차 부재(I)와의 상대 운동을 하는 2차 부재(II)의 지지 수단으로 기능하는 것이다.
설치편(200)은 지지편(10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지지편(100)과 일체를 이루며, 지지편(100)에 대하여 절곡된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이다.
장착홀(300)은 설치편(2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복수의 영구 자석(500)이 각각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걸림단턱(400)은 설치편(200)에 관통된 장착홀(300)의 상부에 대하여 장착홀(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지지편(100)의 상면과 지지편(100)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져 장착홀(300)에 장착되는 영구 자석(500) 각각의 하부가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편(100)과 설치편(200)을 비자성체로 구성하여, 기존의 제품과 같이 철판과 같은 불필요한 강자성체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자로의 왜곡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철판과 같이 중량체인 강자성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경량화 및 컴팩트화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장착홀(300) 하단부에 걸림단턱(400)을 형성하여 영구 자석(500) 각각의 정확한 장착 고정 위치를 미리 결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의 편의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도 1(a)와 같이 지지편(100)에 대하여 복수의 장착홀(300) 각각이 경사지게 일렬로 설치편(2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거나, 도 1(b)와 같이 지지편(100)에 대하여 복수의 장착홀(300) 각각이 직교를 이루며 일렬로 설치편(2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는 정도의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요철이 상면에 형성된 베이스 상에 지지편(100)을 고정 장착하는 등의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도 1(a)의 확대 단면도와 같이 설치편(200)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며, 장착홀(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410, 4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이퍼부(410, 420)는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 1(a)의 확대 단면도와 같이 영구 자석(500)의 가장자리 측면들이 장착홀(300)에 정확하게 안내되면서 강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영구 자석(500)과 테이퍼부(410, 420)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접착제(430)로 충진되어 영구 자석(500)이 설치편(200)에 더욱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1차 부재(I)와 2차 부재(II) 상호간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하여 추력을 발생시켜 가동되는 것이다.
1차 부재(I)는 자성체인 코어(I1)와, 코어(I1)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자극(I2, 磁極) 각각에 복수회 권취된 코일(이하 미도시)을 포함하는 전기자 모듈을 포함하며, 코일은 이웃하는 자극(I2)의 극성이 서로 다르게 권취되고, 전기자 모듈을 복수로 일렬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2차 부재(II)는 복수의 영구 자석(500)이 설치편(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영구 자석 모듈을 포함하며, 영구 자석 모듈이 적어도 둘 이상의 자극(I2) 중 한 자극(I2)과 이웃한 자극(I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설치편(200)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한 쌍의 지지편(100) 각각과 평행을 이루는 제1 간격유지편(610)을 더 포함하여, 세 개의 자극(I2) 사이에 두 개의 2차 부재(II)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대 운동에 따른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대면하고 상호 접촉되게 배치한 한 쌍의 지지편(100)으로부터 설치편(200)이 연장되어 상호 이격하여 상호 대면되게 평행을 이루게 하여, 세 개의 자극(I2) 사이에 두 개의 2차 부재(II)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대 운동에 따른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4와 같이 대면하고 상호 접촉되게 배치한 한 쌍의 지지편(100)으로부터 설치편(200)이 연장되어 상호 이격하여 상호 대면되게 평행을 이루고, 한 쌍의 설치편(200) 중 하나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한 쌍의 설치편(200) 중 하나와 상호 대면하는 설치편(200)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지지편(100)들 각각과 평행을 이루는 제2 간격유지편(620)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도 4의 실시예는 더욱 더 큰 추력이 필요한 용도에 활용될 수 있도록 네 개의 자극(I2) 사이에 세 개의 2차 부재(II)가 배치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제2 간격유지편(620)의 폭은 대면하고 상호 접촉되게 배치한 한 쌍의 지지편(100)이 형성하는 폭과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설치편(200)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지지편(100)과 평행을 이루며 설치편(2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받침편(630)을 더 포함함으로써, 두 개의 자극(I2) 사이에 단일 2차 부재(II)가 배치되도록 하는 변형 및 응용 설계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받침편(630)은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초기부터 설치편(200)의 하단부에 연장되어 지지편(100)과 평행을 이루는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받침편(630)이 설치편(200)에 탈착 결합되는 경우에는 장착홀(300, 이하 도 1 참조)에 채워지는 영구 자석(500)의 체결 과정에 지장이 없도록, 받침편(630)의 두께는 장착홀(300)의 최하단부보다 낮거나 같은 정도로 제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받침편(630)이 설치편(200)에 탈착 결합되는 경우에는 장착홀(300)에 채워지는 영구 자석(500)의 체결 과정에 지장이 없도록, 받침편(630)의 상면에는 장착홀(300)의 하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돌기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도 2 내지 도 5의 실시예에서 지지편(100)들과 제1 간격유지편(610)과의 결합, 한 쌍의 지지편(100)끼리의 결합, 지지편(100)과 제2 간격유지편(620)과 한 쌍의 지지편(100)끼리의 결합, 그리고 지지편(100)과 받침편(630)끼리의 결합은 일측에서부터 전술한 각 부재들을 관통하는 볼트로 체결 고정하거나, 접착제 등으로 상호 고정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지지편(100)과 설치편(200)의 구조를 생략하고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지지부재(700) 상에 고정부(800)를 형성하여, 고정부(800)에 영구 자석(500)을 고정하는 극단적인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하다.
즉, 지지부재(700)는 비자성체로 이루어진 것이며, 고정부(800)는 지지부재(700) 상에 복수로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을 이루며, 복수의 영구 자석(500) 각각의 하단부가 장착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복수의 영구 자석(500) 각각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물을 제외하고는 불필요한 중량물을 배제하여 선형 전동기의 초경량화를 구현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자성체인 코어(I1)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자극(I2, 磁極) 각각에 복수회 권취된 코일을 포함하며, 코일은 이웃하는 자극(I2)의 극성이 서로 다르게 권취되는 전기자 모듈을 복수로 일렬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1차 부재(I)와, 적어도 둘 이상의 자극(I2) 중 한 자극(I2)과 이웃한 자극(I2) 사이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 모듈인 2차 부재(II)를 포함하여 선형 전동기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고정부(80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지지부재(700) 상에 함몰된 고정홈이거나, 도 9와 같이 지지부재(700)를 관통하여 형성된 고정홀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홈 또는 고정홀에 복수의 영구 자석(500) 각각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복수의 영구 자석(500)이 지지부재(7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2차 부재(II)인 영구 자석 모듈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고정부(800)는 도 7과 같이 평판 형상인 지지부재(70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홈이며, 고정홈 각각에 하단부가 장착 고정된 복수의 영구 자석(500) 각각은 지지부재(700)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룬다.
그리고, 고정부(800)는 도 8과 같이 평판 형상인 지지부재(700)의 상면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게 함몰된 고정홈이거나, 도 9와 같이 평판 형상인 지지부재(700)의 상면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게 관통된 고정홀이며, 고정홈 또는 고정홀 각각에 하단부가 장착 고정된 복수의 영구 자석(500) 각각은 지지부재(700)의 상면에 대하여 직교를 이룬다.
이러한 복수의 영구 자석(500)이 지지부재(7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2차 부재(II)인 영구 자석 모듈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0과 같이 설치판(2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상호 맞대어 같은 각도를 이루게 복수의 영구 자석(500)을 배치하며, 복수의 영구 자석(500)이 설치판(2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2차 부재(II)인 영구 자석 모듈을 형성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원 기둥 형상인 지지부재(7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복수의 고정부(800)를 복수의 열로 형성하며, 복수의 열 중 한 열과 이웃한 열은 상호 등간격을 이루고, 복수의 영구 자석(500)이 지지부재(7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2차 부재(II)인 영구 자석 모듈을 형성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2와 같이 평판 형상인 지지부재(700)의 양측 가장자리를 상호 맞대어 다각 기둥을 이루게 복수의 지지부재(700)를 배치하고, 복수의 영구 자석(500)이 지지부재(7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2차 부재(II)인 영구 자석 모듈을 형성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3과 같이 다각 기둥 형상인 양단 관통의 코어부재(C)를 더 포함하며, 코어부재(C)를 이루는 복수의 측면에 각각 평판 형상인 지지부재(700)를 고정하여 배치하고, 복수의 영구 자석(500)이 지지부재(7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2차 부재(II)인 영구 자석 모듈을 형성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영구 자석(500)이 지지 부재(70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된 구조의 2차 부재(II)는 도 14와 같이 간단히 제작할 수 있다.
우선, 작업자는 일정 깊이와 폭과 넓이를 지닌 용기(T)에 용융수지(R)를 붓고, 용융수지(R)의 표면이 평탄화되면 도 14(a)와 같이 임시고정 부재(J)에 임시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 복수의 영구 자석(500)들 각각의 하단부를 용융수지(R)에 담근다.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용융수지(R)가 응고되면, 작업자는 도 14(b)와 같이 임시고정 부재(J)를 복수의 영구 자석(500)들 각각의 상단부로부터 분리하고, 응고된 용융수지(R)는 지지부재(700)가 되므로, 지지부재(700)를 용기(T)로부터 분리하면 간단히 2차 부재(II)인 영구 자석 모듈의 제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저렴한 비용에 조립이 간편함은 물론, 경량화 및 컴팩화 구현이 가능하며 더욱 고속의 가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형 전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지지편
200...설치편
300...장착홀
400...걸림단턱
500...영구 자석
610...제1 간격유지편
620...제2 간격유지편
630...받침편
700...지지부재
800...고정부
900...고정 대상물
I...1차 부재
I1...코어
I2...자극
II...2차 부재
J...임시고정 부재
R...용융수지
T...용기

Claims (10)

  1. 비자성체인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편과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절곡된 비자성체인 설치편;
    상기 설치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복수의 영구 자석이 각각 장착되는 장착홀; 및
    상기 설치편에 관통된 상기 장착홀의 상부에 대하여 상기 장착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편의 상면과 상기 지지편의 일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는 상기 영구 자석 각각의 하부가 걸림 고정되는 걸림단턱;을 포함하는 선형 전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전동기는,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장착홀 각각이 경사지게 일렬로 상기 설치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선형 전동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전동기는,
    상기 지지편에 대하여 복수의 상기 장착홀 각각이 직교를 이루며 일렬로 상기 설치편의 형성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선형 전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전동기는,
    상호 대면하는 한 쌍의 상기 설치편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편 각각과 평행을 이루는 제1 간격유지편을 더 포함하는 선형 전동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전동기는,
    대면하고 상호 접촉되게 배치한 한 쌍의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상기 설치편이 연장되어 상호 이격하여 상호 대면되게 평행을 이루는 선형 전동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전동기는,
    대면하고 상호 접촉되게 배치한 한 쌍의 상기 지지편으로부터 상기 설치편이 연장되어 상호 이격하여 상호 대면되게 평행을 이루고,
    상기 한 쌍의 설치편 중 하나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상기 한 쌍의 설치편 중 하나와 상호 대면하는 설치편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편들 각각과 평행을 이루는 제2 간격유지편을 더 포함하는 선형 전동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간격유지편의 폭은,
    상기 대면하고 상호 접촉되게 배치한 한 쌍의 상기 지지편이 형성하는 폭과 대응되는 선형 전동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전동기는,
    상기 설치편의 하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지지편과 평행을 이루며 상기 설치편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받침편을 더 포함하는 선형 전동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전동기는,
    상기 설치편의 양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영구 자석이 장착되는 상기 장착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부를 더 포함하는 선형 전동기.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전동기는,
    자성체인 코어와, 상기 코어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둘 이상의 자극(磁極) 각각에 복수회 권취된 코일을 포함하는 전기자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코일은 이웃하는 자극의 극성이 서로 다르게 권취되고, 상기 전기자 모듈을 복수로 일렬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1차 부재와,
    복수의 영구 자석이 상기 설치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영구 자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영구 자석 모듈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자극 중 한 자극과 이웃한 자극 사이에 배치되는 2차 부재를 포함하는 선형 전동기.
KR1020140015220A 2014-02-11 2014-02-11 선형 전동기 KR101556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20A KR101556736B1 (ko) 2014-02-11 2014-02-11 선형 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220A KR101556736B1 (ko) 2014-02-11 2014-02-11 선형 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07A true KR20150094207A (ko) 2015-08-19
KR101556736B1 KR101556736B1 (ko) 2015-10-13

Family

ID=5405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220A KR101556736B1 (ko) 2014-02-11 2014-02-11 선형 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7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736B1 (ko)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5010B2 (en) Linear motor with patterned magnet arrays
JP5294762B2 (ja) リニアモータ
CN102948053B (zh) 线性电机
JP4811785B2 (ja) 周期磁界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リニアモータ
US20200044544A1 (en) Linear vibration motor
US2014015213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gnetic pole retention in electromagnetic machines
US2014004286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agnetic pole and back iron retention in electromagnetic machines
TW201223086A (en) Linear motor
KR101751356B1 (ko) 이중 티스 구조의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
US8320065B2 (en) Lens driving device
JP5648873B2 (ja) リニアモータ
JP2013506394A (ja) リニアモータ
KR101556736B1 (ko) 선형 전동기
JPH11136915A (ja) 永久磁石型発電機
JP5589507B2 (ja) リニア駆動装置の可動子及び固定子
JP2020028185A (ja) 磁石構造体、磁石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回転電機の製造方法
KR101163516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고정자
JP6056571B2 (ja) リニアモータ
KR20120080021A (ko) 선형 동기 전동기
JP6346385B2 (ja) 回転発電機
JP2013225985A (ja) リニアスライダ
JP5874246B2 (ja) リニア駆動装置の可動子
JP2017093222A (ja) コアレスリニアモータ
JP5849415B2 (ja) リニア駆動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953688B2 (ja) リニア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