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058A -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058A
KR20150094058A KR1020140014868A KR20140014868A KR20150094058A KR 20150094058 A KR20150094058 A KR 20150094058A KR 1020140014868 A KR1020140014868 A KR 1020140014868A KR 20140014868 A KR20140014868 A KR 20140014868A KR 20150094058 A KR20150094058 A KR 20150094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witch
reception
receiver
frequency 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603B1 (ko
Inventor
최구영
김형곤
박성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603B1/ko
Priority to US14/211,946 priority patent/US9635443B2/en
Publication of KR2015009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2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91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D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는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제1 안테나와, 수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를 수신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다른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FREQUENCY DIVISION DUPLEX WIRELESS RECEIVER AND METHOD}
본 발명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장치는 하나의 공용 안테나를 송신 및 수신에 공용하거나 송신 및 수신 각각에 별도의 전용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다. 공용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는 RF(radio frequecy) 신호에 대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리해야 한다.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분리하는데 듀플렉서(duplexer)가 사용될 수 있다. 듀플렉서는 안테나와 송신부 및 수신부 간에 접속된다. 듀플렉서는 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안테나에 제공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신호를 수신부에 제공한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보이스,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은 FDD를 채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FDD 무선 통신 장치는 송신 및 수신에 하나의 공용 안테나를 공용하며, 듀플렉서를 사용하여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를 분리한다. FDD에 있어서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는 TDD(time division duplex)와 달리 동시에 공용 안테나를 통해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FDD에 있어서 듀플렉서를 사용한다고 해도 실제 구현에 있어서 송신단 및 수신단 간에 완전한 격리(isolation)가 실현되지는 않는다. 송신 신호가 방사되는 상태에서는 송신 신호로 인한 간섭(interference) 신호가 에어-커플링(air-coupling)을 통해 수신단에 전달되므로 수신 감도가 저하된다. 이뿐만 아니라 이러한 간섭은 송신 전력을 높이는 것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FDD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송신단 및 수신단 간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FDD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송신단 및 수신단 간의 불완전한 격리로 인한 송신 전력 제한을 개선할 수 있는 FDD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신부 전단에 LNA(low noise amplifier)를 사용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FDD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DD 무선 통신 장치는,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하도록 설정된 제1 안테나와, 수신에 사용하도록 설정된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를 수신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DD 무선 통신 방법은,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제1 안테나와 수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를 수신부에 연결하는 동작과, 상기 수신부에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안테나와 수신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스위칭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신 안테나로 사용한다.
송신 안테나와 별도로 수신 안테나를 분리 운용 가능하게 되므로 송신단 및 수신단 간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신 신호에 의한 수신 신호의 간섭이 감소되므로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신부 전단에 LNA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추가적인 수신 감도 향상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송신단 및 수신단 간의 불완전한 격리로 인한 송신 전력 제한을 개선할 수 있다.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고 송신 전력을 추가로 높일 수 있으므로 콜 드롭(call drop)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면서도 무선 통신 장치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장비가 연결될 수 있는 RF 스위치 커넥터에 수신부를 스위칭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RF 스위치 커넥터를 사용하여 송신부 및 수신부를 모두 테스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DD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스위칭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FDD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FDD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FDD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 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FDD 무선 통신 장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1 audio layer-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FDD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100)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1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버스(110)를 통해 다른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통신 인터페이스(160) 등)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는 프로세서(120)와 프로세서(120)에 의해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로서 전자 장치(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통신 인터페이스(16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커널(131), 미들웨어(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널(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미들웨어(132), API(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31)은 미들웨어(132), API(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32)는 API(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이 커널(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32)는 어플리케이션(134)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API(133)는 어플리케이션(134)이 커널(131) 또는 미들웨어(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버스(110)를 통해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통신 인터페이스(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40)의 입력장치는 터치 패널(touch panel),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키(key)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정전식의 경우, 물리적 접촉 또는 근접 인식이 가능하다. 터치 패널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터치 패널은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예를 들면, 버스(110)를 통해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통신 인터페이스(16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셀룰러(cellular) 통신(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FDD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physical layer protocol))은 어플리케이션(134), API(133), 미들웨어(132), 커널(1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DD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제2 안테나(200, 202), 스위치(206), RF 트랜시버(208), CP(Communication Processor)(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200)는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하도록 설정된 메인 안테나일 수 있다. 제2 안테나(202)는 수신에 사용하도록 설정된 안테나일 수 있다. 스위치(206)는 제1, 제2 안테나(200, 202) 중 하나의 안테나를 RF 트랜시버(208)의 수신부(212)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치(206)는 RF 스위치로서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RF 트랜시버(208)는 송신부(210) 및 수신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RF 트랜시버(208)는 CP(214)에 접속된다. RF 트랜시버(208)의 송신부(210)는 CP(214)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베이스밴드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송신부(210)로부터 출력되는 RF 송신 신호는 제1 안테나(200)를 통해 송신된다. RF 트랜시버(208)의 수신부(212)는 제1 안테나(200) 또는 제2 안테나(202) 중에 스위치(206)에 의해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CP(214)로 출력한다.
CP(214)는 송신 및 수신에 따른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가 LTE 방식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경우라면 CP(214)로서 퀄컴사의 MDM9615M과 같은 통신 모뎀 칩이 사용될 수 있다. CP(214)는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AP(Application Processor)와 같은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테나(200)와 송신부(210) 및 스위치(206) 간의 정션(junction)(204)은, T-정션과 송신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 및 수신 SAW 필터의 조합, 서큘레이터(circulator), 듀플렉서 중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스위치(206)의 스위칭은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스위치(206)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CP(214)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는 별도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AP와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도 1에 보인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구현할 수도 있다. CP(214)가 제어부로 사용되는 경우, CP(214)는 수신신호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스위치(206)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보이지 않았지만, 통상적인 무선 통신 장치와 마찬가지로 수신 경로에는 수신 신호를 수신 대역에 대해 대역통과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BPF(Band Pass Filter)가 추가될 수 있고, 송신 경로에는 송신 신호를 송신 대역에 대해 대역통과필터링하는 적어도 하나의 BPF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BPF들 중의 적어도 일부는 RF 트랜시버(208)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송신 경로에는 송신 신호를 전력증폭하는 전력증폭기가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스위칭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300)동작에서 수신신호 전력 레벨을 확인한다. 예를 들어 LTE인 경우 수신신호 전력 레벨은 RSRP(Reference Singnal Received Power)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CP(214)가 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3에 보인 안테나 스위칭 제어가 CP(214)에 의해 수행되는 예를 설명한다.
CP(214)는 (302)동작에서 수신신호 전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임계치는 무선 통신 장치의 수신 전계가 약전계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레벨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치는 RSRP의 경우 -115dBm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수신신호 전력 레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가 강전계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수신신호 전력 레벨이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무선 통신 장치가 약전계 지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302)동작에서 수신신호 전력 레벨이 임계치 이상이라면, (304)동작에서 CP(214)는 제1 안테나(200)를 선택하도록 스위치(206)를 제어하여 제1 안테나(200)를 수신부(212)에 연결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안테나(20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302)동작에서 수신신호 전력 레벨이 임계치보다 낮다면, (306)동작에서 CP(214)는 제2 안테나(202)를 선택하도록 스위치(206)를 제어하여 제2 안테나(202)를 수신부(212)에 연결한다. 무선 통신 장치는 제2 안테나(202)를 통해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CP(214)는 (304)동작 또는 (306)동작 이후 다시 (300)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무선 통신 장치가 사용 중에, 수신신호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제2 안테나(200,202)에 대한 스위칭이 계속될 수 있다. 그러므로 무선 통신 장치는, 강전계 지역에서는 제1 안테나(200)를 통해 송신 및 수신을 할 수 있게 되고, 약전계 지역에서는 제1 안테나(200)를 통해 송신함과 동시에 제2 안테나(202)를 통해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제1 안테나(200)와 수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202)가 스위치(206)의 스위칭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신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안테나(202)를 제1 안테나(200) 이외의 별도의 수신 안테나로 운용 가능하게 되므로 송신단 및 수신단 간의 격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송신 신호에 의한 수신 신호의 간섭이 감소되므로 약전계 지역에서도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송신단 및 수신단 간의 격리 문제로 인한 송신 전력 제한을 개선할 수 있다. 이처럼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고 송신 전력을 추가로 높일 수 있으므로 약전계 지역에서의 콜 드롭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수신 안테나를 사용하므로, 메인 안테나를 송신 대역에 집중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대역폭이 넓은 통신 대역을 커버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DD 통신 대역 중에 LTE 대역 4(AWS(Advanced Wireless Service))는 송신 대역이 1,710~1,755㎒이고 수신 대역은 2,110~2,155㎒로서,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 간의 대역 갭이 355㎒이다. 이처럼 넓은 대역폭을 단일의 안테나에 의해 커버하도록 구현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안테나(200, 202)를 각각 송신 안테나 및 수신 안테나로서 별도로 운용하게 되면, 제1 안테나(200)는 송신 대역에 집중하여 구현할 수 있고, 제2 안테나(202)는 수신 대역에 집중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대역 4의 경우, 수신 대역이 2,110~2,155㎒이므로 제2 안테나(202)의 사이즈는 2~3㎜의 작은 길이로 구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FDD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제2 안테나(400, 402), 스위치(414), RF 트랜시버(418), CP(4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는 무선 통신 장치가 수신 경로에 LNA(412)를 포함하며, 도 2의 정션(204)을 듀플렉서(404)로 구현한 예를 보인다. 또한 수신 경로에는 BPF들(410, 416)이 포함되고, 송신 경로에는 BPF(406) 및 전력 증폭기(408)가 포함된 예를 보인다. 제1, 제2 안테나(400, 402), 스위치(414), RF 트랜시버(418), CP(424)는 도 2의 제1, 제2 안테나(200, 202), 스위치(206), RF 트랜시버(208), CP(214)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구성요소들에 관해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듀플렉서(404)는 제1 안테나(400), RF 트랜시버(418)의 송신부(420), 스위치(414) 간에 접속되어, 제1 안테나(400)를 통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리한다. 듀플렉서(404) 및 송신부(420) 간에는 전력 증폭기(408)가 접속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408)는 송신부(42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듀플렉서(404)에 인가한다. 송신부(420) 및 전력 증폭기(406) 간에는 BPF(406)가 더 접속될 수 있다. BPF(406)는 송신부(420)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대역통과여파하여 전력 증폭기(408)에 인가한다. BPF(406)로서 SAW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안테나(402)와 LNA(412) 간에 접속되는 BPF(410)는 제2 안테나(402)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 대역에 대해 대역통과여파하여 LNA(412)에 인가한다. LNA(412)는 BPF(4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스위치(414)에 인가한다. BPF(416)는 스위치(414)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 대역에 대해 대역통과여파하여 RF 트랜시버(418)의 수신부(422)에 인가한다. BPF(410)는 LNA(412)에 의한 저잡음 증폭을 하기 전의 프리 필터로 사용된 것이다.
RF 트랜시버(418)는 송신부(420) 및 수신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RF 트랜시버(418)는 CP(424)에 접속된다. RF 트랜시버(418)의 송신부(420)는 CP(424)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베이스밴드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송신부(420)로부터 출력되는 RF 송신 신호는 BPF(406), 전력 증폭기(408), 및 듀플렉서(404)를 거쳐 제1 안테나(400)를 통해 송신된다. RF 트랜시버(418)의 수신부(422)는 제1 안테나(400) 또는 제2 안테나(402) 중에 스위치(414)에 의해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여 CP(424)로 출력한다.
전술한 도 2를 참조한 설명에서 밝힌 것과 유사하게, BPF들(406, 410, 416) 중의 적어도 일부는 RF 트랜시버(418)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치(414)의 스위칭은 전술한 도 2를 참조한 설명처럼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CP(42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므로 CP(424)는 수신신호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스위치(414)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CP(424)와 같은 제어부에 의한 스위치(414)의 스위칭 제어는 전술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CP(214)에 의한 스위치(206)의 스위칭 제어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제1 안테나(400)와 수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402)가 스위치(414)의 스위칭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신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2 안테나(402)가 수신부(422)에 연결되는 경우 제2 안테나(402)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LNA(412)에 의해 저잡음 증폭된 후 수신부(422)에 인가된다. 따라서 약전계 지역에서 수신 신호에 대해 LNA(412)를 사용함으로써 수신 감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별도의 수신 안테나없이 하나의 안테나 및 듀플렉서를 송신 및 수신에 공용하는 경우에도 수신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신부 전단에 LNA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수신 신호에 송신 신호가 간섭된 이후에 LNA를 사용하게 되면 이미 간섭된 수신 신호가 LNA에 의해 증폭된다. 그러므로 LNA는 듀플렉서에서 안테나에 연결하기 위한 안테나 포트의 전단에 위치되어야 LNA를 사용하여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듀플렉서의 안테나 포트는 수신 경로뿐만 아니라 송신 경로로도 사용되므로, 듀플렉서의 안테나 포트와 안테나 사이에 LNA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반하여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안테나(402)가 수신부(422)에 연결되는 경우 제2 안테나(402)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LNA(412)에 의해 저잡음 증폭된 후 수신부(422)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듀플렉서(404)와 무관하게 LNA(412)를 사용함으로써 약전계 지역에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가 강전계 지역에 있는 경우, 제2 안테나(402) 대신에 제1 안테나(40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스위치(414)를 통해 수신부(422)에 인가되므로, BPF(410), LNA(412)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CP(424)는 BPF(410), LNA(412)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BPF(410), LNA(412)의 전력 소모를 절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FDD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제2 안테나(500, 502), 스위치(506), 송신부(510) 및 수신부(512)를 포함하는 RF 트랜시버(508), CP(5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무선 통신 장치가 RF 스위치 커넥터(516)를 포함하는 예를 보인다. 제1, 제2 안테나(500, 502), 정션(504), 스위치(506), RF 트랜시버(508), CP(514)는 도 2의 제1, 제2 안테나(200, 202), 정션(204), 스위치(206), RF 트랜시버(208), CP(214)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구성요소들에 관해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RF 스위치 커넥터(516)는 무선 통신 장치에 대한 테스트를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테스트는 테스트 장비에 의해 무선 통신 장치의 송신 및 수신에 대해 테스트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는 무선 통신 장치의 생산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조정(calibration)도 포함할 수 있다.
RF 스위치 커넥터(516)는 제1 안테나(500)와 케이블(518) 중 하나에 송신부(510) 및 스위치(506) 간의 정션(504)을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통상적인 RF 스위치 커넥터와 마찬가지로 RF 스위치 커넥터(516)는 RF 스위치 커넥터(516)에 케이블(518)의 플러그의 삽입 여부에 따라 스위칭될 수 있다. 케이블(518)은 RF 스위치 커넥터(516)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에 테스트 장비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테스트 케이블일 수 있다. RF 스위치 커넥터(516)에 케이블(518)의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라면 RF 스위치 커넥터(516)는 정션(504)을 제1 안테나(500)에 연결한다. RF 스위치 커넥터(516)에 케이블(518)의 플러그가 삽입되면 RF 스위치 커넥터(516)는 정션(504)을 케이블(518)에 연결한다. 도 5는 RF 스위치 커넥터(516)에 케이블(518)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정션(504)이 케이블(518)에 연결된 예를 보인다.
RF 스위치 커넥터(516)에 케이블(518)의 플러그가 삽입되고 케이블(518)을 통해 테스트 장비가 정션(504)에 연결된 상태에서, CP(514)는 테스트에 대응되게 스위치(506)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테스트는, 예를 들어, 도 5에 보인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PC(Personal Computer)로부터 전달되는 명령(command)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PC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가 전술한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포함되는 경우, 전자 장치(101)의 통신 인터페이스(160)에 포함될 수 있는 USB 또는 직렬 포트(예: RS-232)로 전자 장치(101)에 연결될 수 있다. PC는 테스트 장비와 전자 장치(101)를 제어하면서 테스트 및 조정을 진행할 수 있다.
테스트 시에, CP(514)는 수신부(512)를 스위치(506)에 의해 RF 스위치 커넥터(516)에 연결할 수 있다. 그러면 케이블(518)이 RF 스위치 커넥터(516) 및 스위치(506)를 거쳐 수신부(512)에 연결되는 경로가 형성되므로 테스트 장비에 의해 수신 테스트를 할 수 있게 된다. RF 스위치 커넥터(516)는 정션(504)을 통해 송신부(510)에도 연결되므로 송신 테스트도 RF 스위치 커넥터(516)를 통해 가능하다.
만일 스위치(506)가 없다면, 송신부(510) 및 수신부(512)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서는 송신부(510)의 출력 경로와 수신부(512)의 입력 경로에 각각 별도의 RF 스위치 커넥터를 사용해야만 한다. 하지만 스위치(506)에 의해 수신부(512)를 RF 스위치 커넥터(516)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RF 스위치 커넥터(516)를 사용하여 송신부(510) 및 수신부(512)를 모두 테스트할 수 있다. 그러므로 테스트를 위한 RF 스위치 커넥터의 개수도 줄일 수 있고 RF 스위치 커넥터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FDD 무선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제2 안테나(600, 602), 스위치들(608, 610), 제1, 제2 송신부(614, 616) 및 제1, 제2 수신부(618, 620)를 포함하는 RF 트랜시버(612), CP(6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은 무선 통신 장치가 서로 다른 다중 통신 대역들, 예를 들어 2개의 인접한 통신 대역에 대해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안테나와 수신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스위칭에 의해 선택하여 수신 안테나로 사용하는 예를 보인다. 제1, 제2 안테나(600, 602), 정션들(604, 606), 스위치(610), RF 트랜시버(612), CP(622)는 도 2의 제1, 제2 안테나(200, 202), 정션(204), 스위치(206), RF 트랜시버(208), CP(214)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구성요소들에 관해 불필요하게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보인 무선 통신 장치는 2개의 통신 대역에 사용되는 예이므로 2개의 통신 대역 중 사용되는 통신 대역에 대응되게 제1 안테나(600)를 제1, 제2 송신부(614, 616)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스위치(608)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608)는 RF 스위치로서 SPDT(single pole double throw)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RF 트랜시버(612)는 2개의 통신 대역의 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2개의 송신부들, 즉, 제1, 제2 송신부(614, 616)와 2개의 수신부들, 즉 제1, 제2 수신부(618, 620)를 포함한다. 스위치(610)는 제1, 제2 안테나(600, 602) 중에 하나를 제1, 제2 수신부(618, 620)에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치(610)는 RF 스위치로서 DP4T(Double Pole Four Throw)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610)의 스위칭은 전술한 도 2를 참조한 설명처럼 무선 통신 장치 또는 전자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CP(62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므로 CP(622)는 수신신호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스위치(610)의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CP(622)에 의한 스위치(610)의 스위칭 제어는 전술한 CP(214)에 의한 스위치(206)의 스위칭 제어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제1 안테나(600)와 수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602)가 스위치(610)의 스위칭에 의해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통신 대역에 대해 수신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608)의 스위칭도 CP(62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CP(622)는 2개의 통신 대역 중 사용되는 통신 대역에 대응되게 스위치(608)를 제어하여 제1 안테나(600)를 제1, 제2 송신부(614, 616) 중 하나에 연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또는 무선 통신 장치의 전술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 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entity)로 구성됨으로써, 결합되기 이전의 해당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6을 참조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 많은 수의 다중 통신 대역에 대해서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안테나와 수신에 사용되는 안테나를 스위칭에 의해 선택적으로 수신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 6에 보인 무선 통신 장치도 도 4에 보인 것처럼 LNA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고, 도 5에 보인 것처럼 RF 스위치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여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는 것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 4에 보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도 5에 보인 것처럼 RF 스위치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여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는 것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보인 실시예에 있어서 BPF들(406, 410, 416)의 위치들이나 개수들도 설계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래밍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130)가 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12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래밍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모듈,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와,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그리고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예: 프로그래밍 모듈)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래밍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래밍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기재(describe)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도록 설정된 제1 안테나와,
    수신에 사용되도록 설정된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를 수신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스위치 간에 접속되는 LNA(Low Noise Amplifier)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와 송신부 및 상기 스위치 간의 정션은 T-정션과 송신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 및 수신 SAW 필터의 조합, 서큘레이터, 듀플렉서 중의 하나인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와 송신부 및 상기 스위치 간에 접속되는 듀플렉서와,
    상기 제2 안테나 및 상기 LNA 간에 접속되는 제1 BPF(Band Pass Filter)와,
    상기 스위치 및 상기 수신부 간에 접속되는 제2 BPF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수신신호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신호 전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안테나를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수신부에 연결하고, 상기 수신신호 전력 레벨이 상기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안테나를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수신부에 연결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수신 전계가 약전계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레벨로 설정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송신부 및 상기 스위치 간의 정션과 상기 제1 안테나 간에 접속되는 RF(Radio Frequency) 스위치 커넥터와,
    상기 송신부 및 상기 스위치 간의 정션에 상기 RF 스위치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테스트 장비에 의한 송신 및 수신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테스트를 위해 상기 수신부를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RF 스위치 커넥터에 연결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10.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다중 통신 대역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송신부들 및 수신부들과,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도록 설정된 제1 안테나와,
    수신에 사용되도록 설정된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 안테나를 상기 다중 통신 대역 중에 사용되는 통신 대역에 대응하는 송신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1 스위치를 통한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를 상기 사용되는 통신 대역에 대응하는 수신부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와 상기 송신부들 및 상기 제2 스위치 간의 정션은 T-정션과 송신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 및 수신 SAW 필터의 조합, 서큘레이터, 듀플렉서 중의 하나인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수신신호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스위치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신호 전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안테나를 상기 제1 스위치 및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해 상기 사용되는 통신 대역에 대응하는 수신부에 연결하고, 상기 수신신호 전력 레벨이 상기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안테나를 상기 제2 스위치에 의해 상기 사용되는 통신 대역에 대응하는 수신부에 연결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수신 전계가 약전계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레벨로 설정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15.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제1 안테나와 수신에 사용되는 제2 안테나 중 하나의 안테나를 선택하여 수신부에 연결하는 동작과,
    상기 수신부에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안테나를 상기 수신부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여 상기 수신부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동작은, 수신신호 전력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상기 제2 안테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수신부에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신호 전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 안테나를 상기 수신부에 연결하고, 상기 수신신호 전력 레벨이 상기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2 안테나를 상기 수신부에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수신 전계가 약전계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레벨로 설정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와 송신부 간에 접속되는 RF(Radio Frequency) 스위치 커넥터를 통해 연결되는 테스트 장비에 의한 수신 테스트를 위해 상기 수신부를 상기 RF 스위치 커넥터에 연결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방법.
KR1020140014868A 2014-02-10 2014-02-10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213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868A KR102130603B1 (ko) 2014-02-10 2014-02-10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US14/211,946 US9635443B2 (en) 2014-02-10 2014-03-14 Frequency division 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868A KR102130603B1 (ko) 2014-02-10 2014-02-10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058A true KR20150094058A (ko) 2015-08-19
KR102130603B1 KR102130603B1 (ko) 2020-07-06

Family

ID=5377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868A KR102130603B1 (ko) 2014-02-10 2014-02-10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35443B2 (ko)
KR (1) KR1021306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947A (ko) * 2015-12-10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17138A (ko) * 2017-08-10 201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증폭기를 제어하는 방법
KR20190060520A (ko) * 2017-11-24 201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안테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4065B2 (en) * 2015-06-30 2017-12-12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ing the reach of a message beacon device
KR102473191B1 (ko) 2016-03-10 2022-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0417377A (zh) * 2019-08-31 2019-11-0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研究所 一种开关滤波模块
KR20240050305A (ko) * 2021-08-19 2024-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 이중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N115021774B (zh) * 2022-05-17 2024-05-2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系统、天线选择方法和通信设备
CN115865125B (zh) * 2023-03-01 2023-06-30 成都九洲迪飞科技有限责任公司 双通道收发单元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418A (ja) * 1997-12-05 1999-06-22 Kokusai Electric Co Ltd アンテナ切換整合装置
KR100459615B1 (ko) * 2002-01-31 2004-12-04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휴대폰의 안테나 시스템
JP2009141916A (ja) * 2007-12-11 2009-06-25 Japan Radio Co Ltd 受信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6993B1 (ko) 1998-06-09 2001-01-15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에프디디 방식을 이용한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수신분리 장치
FI20001686A (fi) 2000-07-19 2002-01-20 Nokia Mobile Phones Ltd Multimoodietupõõ ja langaton viestintõlaite
US20060019712A1 (en) 2001-11-14 2006-01-26 Seung-Won Choi Calibration apparatus for smart antenna and method thereof
KR20090074812A (ko) * 2006-10-26 2009-07-0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빔 형성기를 이용한 다중 입력 다중 출력을 위한 중계기 기술
US20080316947A1 (en) 2007-06-21 2008-12-25 Bengt Lindoff METHOD AND APPARATUS FOR 3G LTE FDD and TDD DETECTION USING REFERENCE SIGNAL CORRELATION
JP5189828B2 (ja) 2007-11-20 2013-04-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チ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rf−icチップ
US8089906B2 (en) 2009-02-06 2012-01-03 Sige Semiconductor Inc. Dual mode transceiver
US9543661B2 (en) * 2009-11-09 2017-01-10 Tyco Electronics Services Gmbh RF module and antenna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418A (ja) * 1997-12-05 1999-06-22 Kokusai Electric Co Ltd アンテナ切換整合装置
KR100459615B1 (ko) * 2002-01-31 2004-12-04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휴대폰의 안테나 시스템
JP2009141916A (ja) * 2007-12-11 2009-06-25 Japan Radio Co Ltd 受信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947A (ko) * 2015-12-10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17138A (ko) * 2017-08-10 201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증폭기를 제어하는 방법
CN110915134A (zh) * 2017-08-10 2020-03-24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基于电子装置的状态来控制放大器的方法
CN110915134B (zh) * 2017-08-10 2024-04-19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基于电子装置的状态来控制放大器的方法
KR20190060520A (ko) * 2017-11-24 201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안테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30009A1 (en) 2015-08-13
KR102130603B1 (ko) 2020-07-06
US9635443B2 (en) 201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603B1 (ko)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US20240178579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KR102496907B1 (ko) 안테나 및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68952B1 (ko) 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6253941B (zh) 电子设备及其天线控制方法
US1113357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2516621B1 (ko) 안테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456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0453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WiFi channel of mobile device
EP3474456B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EP2991232B1 (en) Electronic device using multiple antennas
KR20170068088A (ko) 스위치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47289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grip recognition
US9660737B2 (en) Method of supporting multi-frequency bands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13956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KR102271044B1 (ko)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US11038547B2 (en) Method for improving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102301680B1 (ko) 다이버시티 증폭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60059342A (ko) 지문 센서를 구동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40430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transceiver performance by switching between a coupler path and receive path
KR20160022075A (ko) 전환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50121556A (ko) 화면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전자장치
KR20160025186A (ko) 전자 장치의 rf 신호 간섭 제거 방법 및 장치
KR20160046114A (ko) 데이터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