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05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을 위한 채널 구조와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을 위한 채널 구조와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051A
KR20150094051A KR1020140014853A KR20140014853A KR20150094051A KR 20150094051 A KR20150094051 A KR 20150094051A KR 1020140014853 A KR1020140014853 A KR 1020140014853A KR 20140014853 A KR20140014853 A KR 20140014853A KR 20150094051 A KR20150094051 A KR 20150094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ignal
resource
transmitted
up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245B1 (ko
Inventor
최형진
류현석
김대균
박승훈
이동준
황원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245B1/ko
Priority to US15/118,094 priority patent/US10111262B2/en
Priority to PCT/KR2015/001322 priority patent/WO2015119476A1/ko
Publication of KR2015009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Abstract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단말 간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탐색 채널의 특정 자원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것을 스케줄링받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을 알리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탐색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탐색 자원을 통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을 위한 채널 구조와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DISCORVERY CHANNEL AND POWER CONTRO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위한 탐색 채널의 구조와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물인터넷의 부각으로 인해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위한 통신방법 중 하나로 단말간 직접통신 또는 D2D(Device-to-Device) 통신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D2D 통신은 기지국 또는 AP(Access Point) 등과 같은 기존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인프라 구조(infrastructure)의 중계 없이 인접한 장치들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D2D 통신 환경에서 이동 단말을 비롯한 각 노드는 독자적으로 또는 기지국의 지원을 통하여 인접한 위치에 있는 다른 단말을 탐색하고, 탐색된 다른 단말과 통신 세션을 설정한 뒤 트래픽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D2D 통신은 기지국으로 집중되는 트래픽을 분산시켜 트래픽 과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단말 간 근접성에 기반하여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4G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의 요소 기술로써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IEEE 와 같은 표준화 단체는 LTE(Long-Term Evolution)-advanced 또는 무선 랜(Wi-Fi) 시스템에 기반한 D2D 통신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다. 3GPP에서는 LTE release-12 시스템의 요소 기술로서 D2D 통신 방식을 "ProSe (proximity service)"로 명명하였고 최근에는 TSG RAN1 표준 회의를 통해 ProSe를 위한 물리 계층 및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표준화가 논의되고 있다. 이 중 3GPP ProSe 시스템의 경우, 각 단말이 자신 주변에 위치한 다른 단말을 "탐색(Discovery)"하고 탐색된 인접 단말과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communication)"을 할 수 있도록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단말 탐색을 위한 채널의 구조 및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시각을 결정하는 방식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ProSe 시스템에서 단말은 D2D통신에서 다른 단말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다른 단말들과 “탐색 신호(Discorvery Signal)”를 송수신한다. 이때 단말은 상향 링크 대역에서 미리 정의된 탐색 채널 내에서 다른 단말들과의 경쟁 방식을 통하여 무선 자원을 획득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해 해당 단말에 스케줄링된 무선 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은 이렇게 획득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자신의 탐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시간을 제외한 다른 시간에서 주변의 다른 단말들이 송신하는 탐색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탐색 신호 내에 포함된 단말의 ID 정보를 이용하여 인접한 지역에 위치하는 다른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 PUCCH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거나 획득할 수 있는 탐색 신호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 탐색 신호로부터 획득한 PUCCH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들이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셀룰러 시스템 환경에서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 탐색을 수행할 때, PUCCH 신호와 탐색 신호 간의 송신 전력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지국에서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탐색 신호의 수신 성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 간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탐색 채널의 특정 자원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것을 스케줄링받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을 알리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탐색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탐색 자원을 통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특정 자원이 매핑된 상기 탐색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송신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특정 자원이 매핑된 하나의 탐색 자원은 복수 개의 특정 자원에 중첩되어 매핑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탐색 자원은,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 주기를 고려하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참조 신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고, 이때 상기 탐색 자원은, 심볼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탐색 채널의 대역 중앙부에 위치한 탐색 자원을 이용하여 송심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상기 탐색 자원은, 자원 블록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스케줄링된 상향링크 신호가 송신될 서브 프레임보다 하나 이전의 서브 프레임에 위치한 탐색 자원을 통하여 송신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송신되는 특정 자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단말 간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탐색 신호를 전력 제어하는 방법은, 탐색 채널의 특정 자원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됨을 알리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탐색 채널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가 송신되는 탐색 자원이 전제 탐색 채널의 중심부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있으면,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 간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탐색 채널의 특정 자원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것을 스케줄링받는 송수신부와,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을 알리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 생성하고,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탐색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탐색 자원을 통하여 송신하는 탐색 신호 생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단말 간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탐색 신호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 장치는, 탐색 채널의 특정 자원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됨을 알리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LTE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위한 탐색 채널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단말이 탐색 채널 내에서 PUCCH 신호와 탐색 신호를 서로 다른 시각에 서로 다른 전력으로 송신할 때에 기지국에서 간섭이 발생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설명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 의한 유발될 수 있는 문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PSI 송신을 위한 참조 신호 송신용 블록이 포함된 탐색 채널(400)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PSI 송신을 위한 참조 신호 송신용 블록이 포함된 탐색 채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PSI 송신을 위한 참조 신호 송신용 블록이 포함된 탐색 채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PSI를 송신하기 위한 PUCCH RB와 PSI RB 내의 OFDM 심볼들과의 매핑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CUE 전용 탐색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PSI를 송신하기 위한 탐색 채널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CUE 전용 탐색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PUCCH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탐색 채널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CUE 전용 탐색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PUCCH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탐색 채널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탐색 신호의 전력 제어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과의 거리를 고려한 탐색 신호의 전력 제어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DUE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4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CUE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성능 평가를 위한 모의 실험에 적용한 셀 환경, 단말의 배치 및 자원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기지국의 PUCCH 신호에 대한 수신 SINR 분포에 대하여 종래의 방식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식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단말의 탐색 신호에 대한 수신 SINR 분포에 대하여 종래의 방식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식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로 나타내었으며, 다음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3GPP LTE 기반 ProSe 시스템을 일 예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실시예가 ProSe 시스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말간(D2D) 직접 통신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주요 용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D2D 단말(DUE)”이란 탐색 채널 내의 PUCCH 자원 영역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상태에서 D2D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을 말한다. 즉, D2D 통신만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셀 룰러 단말(Celluler UE: CUE)”이란 탐색 채널 내의 PUCCH 자원 영역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상태에서 D2D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을 말한다. 즉,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수행하는 단말이다. 이는 상기 D2D 단말과 상대되는 차원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기본 개념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이 가능한 탐색 채널 내에서 셀룰러 PUCCH 신호가 할당된 서브 프레임과 PUCCH 신호가 할당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을 단말이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PUCCH 신호가 할당된 서브 프레임에서 전력 제어를 수행하고, PUCCH 신호가 할당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에서는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기지국에게 간섭을 주지 않는 위치에 있는 탐색 자원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탐색 신호에 대하여 불필요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게 되므로 탐색 신호에 대하여 불필요한 탐색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ProSe 시스템에서의 탐색 채널과 탐색 신호에 의하여 기지국이 받은 간섭에 대하여 설명한다.
ProSe시스템에서 단말은 D2D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들 간의 분산적 동작 또는 기지국의 지원을 기반으로 하여 해당 단말에 인접한 지역에 다른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탐색하고, 인접 단말이 탐색(discovery)되면 단말들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인접 단말을 탐색하기 위하여 각 단말은 미리 정의된 탐색 채널 영역 내의 무선 자원을 경쟁적으로 점유하거나 또는 기지국에 의하여 해당 단말에게 스케줄링된 무선 자원을 사용하여 인접한 단말을 탐색한다.
도 1은 LTE 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위한 탐색 채널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D2D 단말 탐색을 위하여 탐색 채널(101)은 셀룰러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신호 구간(103)과 시분할 다중화(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형태로 분리되어 다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을 사용하여 별도의 탐색 신호 송신을 위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D2D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이라도 셀룰러 제어 신호를 탐색 채널(101)을 통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탐색 채널(101) 내의 상부/하부 대역의 일부(105, 107)를 “PUCCH자원 영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PUCCH 자원 영역의 크기는 현재 상태에서 명확히 규정되지는 않았으나, 서브 프레임 당 상부/하부 대역에 각각 3개 RB(Resource Block)를 이용하는 방안이 일반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또한, PUCCH 신호는 1개 RB 크기로 슬롯 단위에서 호핑(hopping)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한편, 탐색 채널(101)에서PUCCH 자원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109)은 D2D 단말의 탐색을 위한 “탐색 자원 영역”으로서 각 단말들의 탐색 신호는 탐색 자원 영역 내에서 소정 개수의 RB에 할당되어 송신된다.
현재 고려되고 있는 탐색 채널 내의 PUCCH 신호의 운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PUCCH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자원과 관련하여, 기지국의 스케줄링에 의해 PUCCH 신호를 송신할 RB 자원이 단말에게 할당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기지국 스케줄링 방식에 하여 자원이 할당된다.
PUCCH 신호의 송신 시각과 관련하여, PUCCH 신호의 송신 시각은 기지국에서의 직교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RRC_CONNECTED 단말에 한하여 기지국과 단말 간의 거리 차에 따라 타이밍 어드밴스(TA: Timing Advance)가 적용된 시각이 고려될 수 있다.
PUCCH 신호의 송신 전력과 관련하여, PUCCH 신호에 대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하향 링크 전력 감쇄량을 고려하여 단말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개루프 전력 제어(open loop power control)가 수행된다. 이는 기지국이 셀 내의 모든 단말들로부터 동일한 수신 전력을 보장하기 위한 LTE 상향링크 내에 정의된 전력 제어 방안이다.
한편, 현재 고려되고 있는 탐색 신호의 운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단말이 탐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탐색 자원과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각각의 단말이 탐색 자원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방식이 고려되고 있다. 즉, 단말 스케줄링 방식이다. 다만, 단말의 탐색 환경에 따라 랜덤 방식뿐 아니라 적응적으로 탐색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형태가 고려될 수 있다.
단말이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시각과 관련하여, RRC_CONNECTED 단말과 RRC_IDLE 단말에게 탐색 신호의 송신 시각을 동일하게 설정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하향링크 수신 시각을 기준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이 대표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단말이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전력과 관련하여, 탐색 신호가 충분한 탐색 거리 확보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력 제어 과정 없이 항상 최대 전력으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형태가 일반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도 2는 단말이 탐색 채널 내에서 PUCCH 신호와 탐색 신호를 서로 다른 시각에 서로 다른 전력으로 송신할 때에 기지국에서 간섭이 발생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기존의 탐색 채널에서는 PUCCH 신호와 탐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하여, 동일한 서브 프레임 내에서 단말이 송신하는 신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송신 시각과 송신 전력을 갖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면 기지국 근처에 위치한 D2D 단말(D2D User Equipment: DUE)이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해당 D2D 단말이 송신하는 탐색 신호를 기지국에서 수신 시, 탐색 신호의 수신 전력은 PUCCH 신호의 수신 전력보다 매우 크다.
참고로 앞서 정의한 것처럼 “D2D 단말(DUE)”이란 탐색 채널 내의 PUCCH 자원 영역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상태에서 D2D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을 말한다. 즉, D2D 통신만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이와 상대되는 의미로, “셀 룰러 단말(Celluler UE: CUE)”이란 탐색 채널 내의 PUCCH 자원 영역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상태에서 D2D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을 말한다. 즉, D2D 통신과 셀룰러 통신을 모두 수행하는 단말이다.
이 경우 D2D 단말(203, 205)이 송신한 탐색 신호의 다중 경로 성분 중 기지국의 서브 프레임 내 보호 구간 길이를 초과하는 일부 성분의 직교성이 파괴된 상태로 높은 전력으로 기지국에 수신될 수 있다. 이는 매우 큰 ICI (Inter-Channel Interference)를 유발할 수 있고(207), 이는 기지국의 PUCCH 신호 수신 성능을 크게 열화시킨다. 특히, 주파수 축 상에서 PUCCH 자원 영역 위치에 가까운 탐색 자원(209, 211)을 사용하는 D2D 단말(203, 205)이 기지국과 가까운 위치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할 경우 상대적으로 더욱 큰 간섭을 유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설명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에 의한 유발될 수 있는 문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상술한 단말이 송신하는 탐색 신호가 기지국이 수신하는 PUCCH 신호에 간섭이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D 단말(303, 305)이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기지국에 가까이 위치한 D2D 단말이 송신하는 탐색 신호의 송신 전력은 전력 제어에 의하여 감소될 것이므로, 이로 인하여 탐색 신호에 의하여 기지국이 받는 간섭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나 탐색 신호 송신 시에도 전력 제어를 적용할 경우, 기지국에 가까운 단말의 탐색 신호 송신 전력이 낮아지므로 단말의 탐색 반경이 줄어든다. 또한, PUCCH 신호와 탐색 신호간의 ICI는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 내에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에도 전력 제어를 적용할 경우, PUCCH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탐색 신호에 대하여 불필요하게 송신 전력을 낮추게 된다. 따라서 탐색 신호의 송신에 전력 제어를 수행할 경우, 기지국에게 간섭을 미치지 않는 탐색 신호의 송신 전력을 낮추게 되므로 탐색 신호의 탐색 성능만 저하된다.
도 2와 도 3에서 상술한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탐색 채널에서 PUCCH 신호와 탐색 신호가 송신될 경우, 단말들 간에 송수신되기 위한 탐색 신호에 대해서는 전력 제어가 수행되지 않기 때문에 기지국이 수신하는 PUCCH 신호에 대하여 간섭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든 탐색 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할 경우 탐색 신호의 탐색 반경이 감소하고, PUCCH 신호에 간섭을 미치지 않는 탐색 신호에 대해서도 전력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D2D 단말이 송신하는 탐색 신호의 탐색 성능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기지국이 수신하는 PUCCH 신호가 탐색 신호에 의하여 받는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셀 내의 단말들이 탐색 채널 내의 어느 서브 프레임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PUCCH 신호를 스케줄링받은 CUE 단말은 PUCCH 스케줄링 사실을 이웃 단말들에게 알리기 위하여 “PUCCH 스케줄링 정보”를 탐색 자원을 통하여 송신한다. PUCCH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 이웃 단말들은 PUCCH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에서 전력 제어를 수행하고, PUCCH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에서는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PUCCH 신호는 상향링크 신호의 일 예로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PUCCH 스케줄링 정보”는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 또는 기지국으로 송신될 것임을 알리는 정보의 일 예로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탐색 채널 영역 내에서 셀룰러 단말(CUE: Cellular User Equipment)들이 자신의 PUCCH 스케줄링 정보(PUCCH Scheduling Information: PSI)를 다른 단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탐색 자원의 일부를 PSI 송신 송신을 위한 자원으로 사용하는 탐색 채널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안된 탐색 채널 구조에 기초하여 각 단말이 PSI를 획득하는 방안이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획득한 PSI에 기초하여 각 단말이 탐색 신호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방안이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하향 링크 신호의 수신 전력으로부터 기지국과의 거리를 추정하고, 기지국과의 거리가 충분히 멀 경우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탐색 자원 영역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는 방안이 설명될 것이다.
1. PSI를 송신하기 위한 방안
이하에서 설명되는 PSI를 할당 또는 송신하기 위한 방안은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에 기반하거나, CUE 전용 탐색 신호에 기반하거나, 기지국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운용 환경에 따라 적합한 방안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각 실시예들에 따른 탐색 채널의 구조를 설명한다.
<참조 신호 기반의 PSI 송신 >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PSI 송신을 위한 참조 신호 송신용 블록이 포함된 탐색 채널(400)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단말의 탐색 채널(400)의 대역 중앙에 위치한 일부 RB를 "PUCCH 스케줄링 정보 자원 블록(PSI RB: PUCCH Scheduling Information Resource Block)"(411) 또는 “PSIB”로 정의한다.
이러한 채널 구조 하에서 임의의 서브 프레임에서 PUCCH 신호를 송신하도록 스케줄링된 CUE는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의 이전에 위치한 서브 프레임(422) 내의 PSI RB 에서 복수 개의 OFDM 심볼들 중에서, 자신이 할당받은 PUCCH RB에 매핑된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참고로 LTE 시스템에서 시간축 상에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 대하여 주파수 축 상에서 12개의 서브 캐리어들의 집합을 RB라고 칭한다. 참조 신호가 PSI RB 내의 OFDM 심볼에 매핑되는 예는 도 7에서 후술될 것이다. 한편,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RB의 위치와 OFDM 심볼 간의 매핑 관계는 사전에 정의되어 단말에게 알려질 수 있다. 따라서 PSI를 다른 단말들에게 송신하고자 하는 단말은 미리 정의된 매핑 관계에 의하여 기지국에 의한 별도의 스케줄링 없이 참조 신호를 송신할 OFDM 심볼의 위치를 알 수 있다.
한편, PSI RB 내의 OFDM 심볼들을 수신하고 OFDM 심볼에서 참조 신호를 수신한 다른 단말들은 해당 OFDM 심볼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의 PUCCH RB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참조 신호를 상기 매핑 관계에 해당하는 OFDM 심볼을 통하여 다른 단말들에게 송신한 단말은 다른 단말들에게 OFDM 심볼에 매핑된 위치에 있는 PUCCH RB를 이용하여 PUCCH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할 것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이때의 참조 신호는 PSI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참조 신호는 상관 특성이 우수한 시퀀스를 이용해 구성할 수 있으며, LTE 시스템의 상향 링크 참조 신호 용도로 주로 활용되는 CAZAC (Constant-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PSI RB 내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할 때 단말은 가능한 최대 송신 전력으로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이는 현재 단말의 위치로부터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는 단말들에게도 정확한 PSI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4의 탐색 채널(400)은 PSI RB(401)에 대응되는 PUCCH RB(403, 405)의 비율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되는 주기를 고려하여 PSI RB의 할당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에서 PSI RB의 할당 주기는 1(TPSIB=1)로 설정한 것을 가정하였다.
일 예로, PUCCH를 통해 송신되는 정보 가운데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를 위한 응답(Acknowledgement, 즉, ACK/NACK) 신호의 경우, 상기 ACK/NACK 신호는 하향 링크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신호를 수신한 이후 약 4ms 이후에 송신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PSI RB의 할당 주기는 4ms 보다 짧은 주기로 설정되어야 하며, 일 예로, PSI RB의 할당 주기의 최대값은 3ms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도 4의 예에서는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 위치하는 총 6개의 PUCCH RB(A-F)가 하나의 PSI RB에 할당되는 구조가 도시되었다. 이때 전체 탐색 채널 자원이 NT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전체 PSI RB의 수는 NT-1개가 된다.
또한, LTE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OFDM 신호 구조를 고려할 때 OFDM 시스템에서 노멀 CP(Normal Cyclic Prefix)가 사용된다면, 하나의 PSI RB는 총 14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다. 이때 하나의 OFDM 심볼은 12개의 부반송파로 구성되며 하나의 PUCCH RB에 대응하여 2개의 OFDM심볼이 매핑될 수 있다. 즉, 서브 프레임 402에서 PUCCH RB 자원 A는 서브 프레임 401 내의 PIS RB(422) 내의 14개의 OFDM 심볼 중 2개의 OFDM 심볼에 매핑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PSI 송신을 위한 참조 신호 송신용 블록이 포함된 탐색 채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연속되는 2개의 서브 프레임에 위치하는 총 12개의 PUCCH가 하나의 PSI RB에 할당되는 예를 나타낸다. 즉, 2개의 서브 프레임(502, 503) 내의 12개의 PUCCH RB(A-L)가 하나의 PSI RB(501)에 할당되었다. 이때 전체 탐색 채널 자원이 NT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전체 PSI RB의 개수는 NT /2개가 된다. 이러한 PUCCH 및 PSI RB 할당 구조 하에서는 총 12개의 PUCCH RB가 각각 PIS RB(511) 내에 포함된 14개의 OFDM 심볼들 중 12개의 심볼들에 각각 1대 1로 매핑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PSI 송신을 위한 참조 신호 송신용 블록이 포함된 탐색 채널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연속되는 3개의 서브 프레임에 위치하는 총 18개의 PUCCH가 하나의 PSI RB에 할당되는 예를 나타낸다. 즉, 3개의 서브 프레임(602, 603, 604) 내의 18개의 PUCCH(A-R)가 하나의 PSI RB(601)에 할당되었다. 이때 전체 탐색 채널 자원이 NT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전체 PSI RB의 개수는 NT /3개가 된다. 이러한 PUCCH 및 PSI RB 할당 구조 하에서는 총 18개의 PUCCH RB가 PSI RB(611) 내의 12개의 OFDM 심볼들에 매핑된다. 이 경우 PUCCH RB의 개수가 OFDM 심볼의 개수보다 많기 때문에 18개의 PUCCH RB 중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 위치한 2개의 RB가 하나의 OFDM 심볼에 중첩되어 매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UCCH RB인 A와 C가 PSI RB(611)내의 하나의 동일한 심볼(예를 들어, 심볼 인덱스=1)에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PUCCH 신호를 스케줄링받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단말들은 모두, 예를 들어, 심볼 인덱스=1인 OFDM 심볼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이러한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단말들은 두 개의 서로 다른 단말들이 PSI RB(611) 내의 심볼 인덱스=1인 OFDM 심볼을 통하여 송신하는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게 된다. 이로 인해 해당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말은 동일한 참조 신호를 두 번 수신하게 되므로 송신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PSI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PSI는 어떤 단말이 송신하였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으며, 다른 단말들은 PSI를 어떤 단말이 송신하였는지는 중요하지 않으며 특정 PUCCH RB에서 (어떠한 단말이 송신하는지는 모르지만) PUCCH 신호가 해당 PUCCH RB를 통하여 송신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PSI RB 할당 방식 이외에도 PSI RB의 주파수 축의 위치 및/또는 RB의 개수를 조절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에서는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PUCCH RB가 포함된 서브 프레임 중 가장 앞선 위치에 있는 서브 프레임보다 하나 이전의 서브 프레임 내의 PSI RB에서 PSI들이 송신되었다. 그러나 설정에 따라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을 기준으로 N개 이전의 서브 프레임에 포함된 PSI RB에서 PSI가 송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들을 비롯하여 다양한 PSI RB 할당 구조를 가지는 탐색 채널에 대한 구성 정보(configuration information)들을 설정하고, 각 기지국은 자신의 셀 내 위치한 CUE 단말의 개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구성(configuration)을 선택하여 PUCCH RB 자원과 PSI RB자원을 적응적으로 할당 또는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단말은 탐색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각 단말은 자신이 탐색 신호 송신을 위해 선택한 서브 프레임의 바로 이전에 위치하는 PSI RB 내에서 송신되는 OFDM 심볼들로부터 참조 신호들을 검출하여 해당 참조 신호가 검출된 OFDM 심볼의 위치에 대응하는 PUCCH RB에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PSI RB 내에서 송신되는 참조 신호들의 상관 피크를 검출하고, 검출된 피크값이 노이즈(noise)와 구별되는 소정의 임계값 이상의 값을 가질 경우, 해당 참조 신호가 송신되는 OFDM 심볼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PUCCH RB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됨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상술한 것처럼 PSI RB 내의 참조 신호는 단말에서 가능한 최대 전력으로 송신되고 우수한 상관 특성을 가지는 시퀀스로 구성된다. 따라서 신호 전파 시 벽에 의한 관통 손실 (penetration loss) 및 경로 손실 (path-loss) 등으로 인하여 참조 신호의 수신 SNR(Signal-to-Noise power Ratio) 이 비교적 낮은 환경에서도 상대적으로 정확한 PSI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PSI를 송신하기 위하여, PSI RB 내에서 참조 신호의 위치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고, 단말은 사전에 정의된 매핑 규칙에 따라서 자신의 PUCCH RB 위치에 대응되는 PSI RB 내의 OFDM 심볼을 사용하여 참조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이때의 참조 신호가 PSI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PSI를 송신하기 위한 PUCCH RB와 PSI RB 내의 OFDM 심볼들과의 매핑에 대한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의 PSI RB 할당 구조는 제1 실시예에 대한 도 4를 기준으로 도시된 것으로, 여기서 하나의 서브 프레임 내의 하나의 PUCCH RB는 해당 서브 프레임에 할당된 PSI RB 내의 2개의 OFDM 심볼에 매핑된다. 예를 들어, PSI RB(701) 내의 2개의 심볼(711, 713)에서 참조 신호가 송신된다면, 이때의 참조 신호들은 서브 프레임 402 내의 PUCCH RB "A"의 위치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되었음을 나타낸다. 동일한 방식으로 PSI RB(701) 내의 2개의 심볼(715, 717)에서 참조 신호가 송신된다면, 이때의 참조 신호들은 서브 프레임 402 내의 PUCCH RB "B"의 위치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됨을 나타낸다. PSI RB(701) 내의 나머지 OFDM 심볼들도 각각 미리 정의된 매핑 규칙에 의하여 PUCCH RB들에 매핑되어 있음이 도시되었다.
이렇게 PUCCH RB의 위치와, PSI RB 내의 심볼 간의 매핑 규칙이 설정 정보에 의해 미리 정의되어서, 단말은 상기 설정 정보에 의하여 매핑 규칙을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기지국에 의한 추가적인 스케줄링 없이 PSI RB 내의 OFDM 심볼들 중에서 자신의 참조 신호가 송신될 OFDM 심볼의 위치(또는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PSI를 확인하는 다른 단말들도 상기 매핑 관계에 따라 참조 신호의 위치를 미리 알고 있으므로, 임계값 이상의 상관 피크치가 발생하는 PSI RB 내 OFDM 심볼의 위치를 지시하는 심볼 인덱스로부터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PUCCH RB의 위치를 알 수 있다.
한편, PUCCH RB와 PSI RB 내 참조 신호를 위한 심볼 인덱스 간의 매핑 규칙은 도 7의 예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주파수 축 상에서 탐색 채널 영역과의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간섭을 받을 확률이 가장 큰PUCCH RB의 위치(도 7에서 C 또는 D 위치)를 위하여, PSI RB 내의 OFDM 심볼들 중 C 또는 D에 매핑되는 OFDM 심볼을 더 많이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실제 PUCCH신호가 스케줄링된 단말의 개수만을 고려하여 기지국이 직접 PSI RB내의 참조 신호 심볼 인덱스를 할당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참조 신호에 기반하여 PCCCH 스케줄링 정보의 송신을 위한 탐색 채널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CUE 전용 탐색 신호에 기반한 탐색 채널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CUE 전용 탐색 신호 기반의 PSI 송신 >
앞서 설명된 참조 신호 기반의 PSI 송신 방식은 복수 개의 PUCCH RB를 하나의 PSI RB 내의 OFDM 심볼에 매핑하는 방식이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CUE 전용 탐색 신호 기반의 PSI 송신 방식은 이와 달리 CUE의 탐색 신호가 송신되는 탐색 자원에 CUE의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적어도 하나의 PUCCH RB를 매핑한 것이다.
즉, 기지국이 PUCCH 신호를 특정 PUCCH RB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임의의 단말에게 스케줄링하면, 상기 임의의 단말은 CUE가 되는데, 이 CUE는 탐색 신호를 송신할 때, 상기 스케줄링된 PUCCH RB의 위치에 매핑된 CUE 전용 탐색 자원을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이 CUE 전용 탐색 자원을 통하여 송신된 탐색 신호를 수신한 다른 단말들은 상기 탐색 신호가 송신된 탐색 자원의 위치에 대응하는 PUCCH RB의 위치에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CUE 전용 탐색 자원의 위치와 PUCCH RB의 매핑 관계에 따라 탐색 자원을 송신하고, 이것인 특정 자원을 통하여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되었음을 알리는 PSI로 기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CUE 전용 탐색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PSI를 송신하기 위한 탐색 채널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단말 탐색 채널(800)의 중앙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RB를 CUE 전용 탐색 자원(815)으로 할당하고, CUE는 해당 CUE 전용 탐색 자원(815)을 이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한다. 참고로, CUE 전용 탐색 자원(815)을 제외한 탐색 자원들은 DUE가 탐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사용되는 DUE 전용 탐색 자원(813)이 된다.
또한, 도 8은 하나의 CUE 전용 탐색 자원(815)에 하나의 PUCCH RB(811)가 매핑되도록 구성한 예이다. 이때 전체 탐색 채널(800)이 NT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면, 전체 탐색 채널(800)에서 CUE 전용 탐색 신호(815)가 할당된 서브 프레임 개수는 NT-1 개 이다. 이는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RB가 속한 서브 프레임 이전의 서브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가 송신됨을 가정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CUE가 탐색 신호 송신을 위해 사용하는 RB의 위치는 PUCCH 신호의 위치에 따라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서브 프레임 802에서 스케줄링된 PUCCH 신호들이 스케줄링된 RB의 위치(A-C)에 대응하여, CUE 전용 탐색 신호는 서브 프레임 802보다 하나 앞서 위치한 서브 프레임 801에 할당된 CUE 전용 자원에서 순차로 배치된 것이 도시되었다. 이렇게 CUE가 송신하는 탐색 신호를 위한 탐색 자원 RB의 위치가 미리 결정되어 단말들에게 알려지면, CUE 단말은 별도로 기지국에 의한 스케줄링 없이 PUCCH RB의 위치에 따라 자신의 탐색 신호를 송신한 RB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또한, PSI를 안정적으로 송신하기 위하여, CUE 탐색 신호는 해당 단말에서 전력 제어 없이 최대 송신 전력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때 CUE 전용 탐색 자원(811)이 전체 탐색 채널(800)의 중앙부에 위치하므로 CUE 탐색 신호를 최대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더라도 전체 대역(800)의 양단 영역에서 송수신되는 PUCCH 신호에 미치는 간섭은 크지 않게 된다.
한편, 앞서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CUE 전용 탐색 자원의 할당 주기는 최대 3ms로 제한될 수 있고, CUE 전용 탐색 자원(811)에 대응되는 PUCCH RB의 비율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CUE 전용 탐색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PUCCH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탐색 채널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탐색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의 주기(TDR-CUE)는 2로 설정된 것을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하나의 CUE 전용 탐색 자원(915)에 2 개의 PUCCH RB가 매핑된 것을 가정한 실시예이다. 즉,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PUCCH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로 다른 2개의 RB가 동일한 탐색 자원 RB에 매핑된 것이다. 이때, 전체 탐색 채널(900)이 NT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면, 전체 탐색 채널(900)에서 CUE 전용 탐색 신호가 할당된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T/2 개 이다.
예를 들어, 도 9는 서브 프레임 902의 상부에 위치한 3개의 PUCCH RB(A, B, C)와 하부에 위치한 PUCCH RB(A’, B’, C’)가 순서대로 CUE 전용 탐색 자원A(921), B(922), C(923)에 매핑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각 PUCCH RB와 CUE 전용 탐색 자원과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설정 정보 또는 제어 정보에 의하여 각 단말들에게 알려지거나, 기지국에 의한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하여 각 단말들에게 알려질 수 있다.
도 9에서는 서로 다른 2개의 PUCCH RB가 서로 다른 2개의 CUE에게 스케줄링 되었다면, 각각의 CUE들은 PUCCH 신호를 각각 서로 다른 PUCCH RB를 사용하여 송신함에도 불구하고 2개의 CUE들은 동일한 하나의 CUE 전용 탐색 자원을 사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할 것이다. 이 경우 2개의 CUE가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게 되므로 탐색 신호가 충돌 될 수 있다. 따라서 셀 내에 CUE의 수가 일정한 값 이상으로 많을 경우 탐색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서로 다른 CUE들의 탐색 신호가 중첩이 발생하여 다른 단말이 해당 탐색 신호를 복조하지 못한다 하여도, 해당 신호 전력으로부터 PSI를 획득할 수가 있다. 즉, 동일한 탐색 자원을 할당받은 2개의 CUE가 각각 탐색 신호를 해당 탐색 자원을 통하여 송신하였다면 2개의 탐색 신호는 중첩될 것이다. 이때 중첩된 탐색 신호를 수신한 다른 단말들은 해당 탐색 신호를 정확히 복조하지는 못하지만, 중첩된 탐색 신호의 전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는 있다. 측정된 전력의 크기는 잡음 이상의 크기가 될 것이다. 따라서 중첩된 탐색 신호를 수신한 다른 단말은 해당 탐색 신호가 수신된 탐색 자원의 위치에 매핑된 PUCCH 자원의 위치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2개의 단말이 하나의 동일한 탐색 자원을 할당받은 경우, 2개의 단말이 동일한 탐색 자원을 사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탐색 신호들의 중첩이 발생할 수는 있지만, 이를 수신하는 단말들은 해당 탐색 신호의 전력의 크기를 측정하고 전력의 크기가 소정 임계값 이상이 되면 그로부터 해당 탐색 신호에 대응하는 PUCCH RB 위치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9와 같은 탐색 채널의 구조에서 탐색 신호의 중첩이 발생할 수 있지만, 신호 중첩의 발생과 무관하게 이를 수신한 단말은 매핑 관계에 따른 PUCCH RB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됨을 알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PSI를 획득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CUE 전용 탐색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PUCCH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탐색 채널 구조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탐색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의 주기(TDR-CUE)는 3으로 설정된 것을 가정하였다. 이에 따라 하나의 CUE 전용 탐색 자원(1015)에 3 개의 PUCCH RB가 매핑된 것을 가정한 실시예이다. 즉,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서 PUCCH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로 다른 3개의 RB가 동일한 탐색 자원 RB에 매핑된 것이다. 이때, 전체 탐색 채널(1000)이 NT 개의 서브 프레임으로 구성되었다면, 전체 탐색 채널(1000)에서 CUE 전용 탐색 신호(1015)가 할당된 서브 프레임의 개수는 NT/3 개 이다.
예를 들어, 도 10은 서브 프레임 1001의 상부에 위치한 3개의 PUCCH RB(A, A', A'')가 모두 CEU 전용 탐색 자원 A(1021)에게 PUCCH 신호 자원으로 매핑되고, 동일한 방식으로 PUCCH RB(B, B', B'')는 CUE 전용 탐색 자원 B(1022)에 매핑된다. 상기 각 PUCCH RB 들과 탐색 자원과의 매핑 관계는 미리 정의된 설정 정보 또는 제어 정보에 의하여 각 단말들에게 알려지거나, 기지국에 의한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하여 각 단말들에게 알려질 수 있다.
상술한 차이점을 제외하고, 다른 내용은 도 9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즉, 탐색 신호의 중첩이 있을 수 있지만 신호 중첩의 발생과 무관하게 이를 수신한 단말은 PUCCH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탐색 채널 구조 외에도 CUE 전용 탐색 신호의 RB와 PUCCH RB를 매핑하는 규칙에 따라 여러 가지 설정(configuration)이 가능할 수 있다. 각 기지국은 자신의 셀 내 위치한 CUE 단말의 개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구성(configuration)을 선택하여 CUE 및 DUE가 사용할 수 있는 CUE 전용 탐색 자원을 적응적으로 할당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된 참조 신호에 기반한 PSI 송신 방식과 마찬가지로 셀 내에 CUE의 수를 고려하여 각 기지국이 설정 정보(configuration)을 정의함으로써 CUE 및 DUE가 사용할 수 있는 단말 탐색 자원을 적응적으로 할당 또는 활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단말 전용 탐색 신호 기반하여 PCCCH 스케줄링 정보의 송신을 위한 탐색 채널의 구조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기반한 탐색 채널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하향 링크 제어 정보 기반의 PSI 송신 방안 >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는 참조 신호 기반의 탐색 채널 구조였고, 제4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는 단말 전용 탐색 신호 기반의 탐색 채널 구조였다. 이 실시예들은 모두 기지국의 지원 없이 단말의 독립적으로 PUCCH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이었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PSI를 단말에게 송신하는 방식이다. 즉, 제7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직접 PUCCH 스케줄링 정보를 셀 내의 단말들에게 직접 송신한다. 일 예로, 기지국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내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통하여 PSI를 단말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이렇게 기지국이 PUCCH 스케줄링 정보를 단말들에게 직접 송신할 경우, 기지국은 하향 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오버헤드의 증가가 불가피하지만, 단말의 동작은 상대적으로 단순해지고 단말들에게 송신되는 PUCCH 스케줄링 정보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2. PSI에 기반한 탐색 신호의 전력 제어 방법
이하에서는 PUCCH 스케줄링 정보에 기반한 탐색 신호의 전력 제어 방안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의하여 PSI를 획득한 DUE는 PUCCH 신호가 할당된 RB가 위치한 서브 프레임을 통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면서 개루프 전력 제어를 수행하여 기지국에 미치는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안하는 전력 제어 방식은 기지국에게 간섭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PUCCH 신호가 할당된 서브 프레임에서는 전력 제어를 수행하고, PUCCH 신호가 할당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 영역에서는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탐색 신호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채널 구조에서 각 서브 프레임 내의 PUCCH RB는 해당 서브 프레임 바로 이전에 위치한 서브 프레임에 내의 PSI RB에 매핑되었다. 이는 PSI RB내에서 PUCCH 스케줄링 신호, 즉, PSI RB를 송신하여 다음 서브 프레임에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탐색 채널 내에서 첫 번째 서브 프레임의 경우, 첫 번째 서브 프레임의 바로 이전 서브 프레임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첫 번째 서브 프레임 내에 할당되는 PUCCH RB에 매핑되는 PSI RB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 할당되는 PUCCH 신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 할당되는 모든 탐색 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여 기지국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탐색 신호의 전력 제어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참조 신호 기반으로 PSI를 송신하는 방식을 전제로 하여 도시된 도면이고, 도 11에서는 PSI RB의 주기를 3으로 가정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첫 번째 서브 프레임(1101)에 할당된 모든 탐색 신호에 전력 제어가 수행되고, PUCCH 신호가 할당된 서브 프레임(1102, 1103, 1105, 1107)에서는 전력 제어가 수행되었고, PUCCH 신호가 할당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1104, 1106, 1108)에서는 전력 제어가 수행되지 않았음이 도시되었다.
한편, 셀 반경이 충분히 큰 경우 기지국과 충분히 멀리 떨어진 단말은 거리 차에 의한 신호 전력의 감쇄로 인하여 기지국에게 주는 간섭이 크지 않다. 또한, 전체 대역 중 중심부에 위치한 탐색 자원을 사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PUCCH 자원과 탐색 신호가 송신되는 대역 중심부의 RB들 간에 주파수 간격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도 기지국에게 미치는 간섭은 크지 않다. 따라서 단말과 기지국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과 기지국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전력 제어가 수행되는 탐색 신호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과 기지국과의 거리를 고려한 탐색 신호의 전력 제어 방식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도면은 도 11의 도면에 기초하였으나, 단말과 기지국 간의 거리를 고려하여 전력 제어가 수행되는 내용이 더 표현되었다. 단말은 소정의 방식으로 해당 단말과 기지국과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 DUE(1231)는 하향 링크 제1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의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Received Power)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해당 단말(1231)과 기지국(1233)과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추정 결과 해당 단말(1231)이 기지국(1233)과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즉, 해당 단말과 기지국과의 거리가 소정 기준 값 이상이라고 추정되고, 그때 해당 단말(1231)이 대역 중심부(1221)에 위치한 탐색 자원을 사용하여 탐색 신호를 송신할 때에는, 탐색 신호가 송신되는 서브 프레임과 동일한 서브 프레임에 PUCCH 신호가 할당되어 있더라도 해당 서브 프레임내의 탐색 신호 송신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도 12에서 서브 프레임 1207에서 PUCCH 신호가 할당되었다. 그러나 도 12에서 해당 서브 프레임(1207)의 대역 중심부의 탐색 자원을 통하여 탐색 신호가 송신되고 있으므로 서브 프레임 1207에 할당된 탐색 자원에서는 전력 제어가 수행되지 않는다. 도 11에서는 탐색 신호가 송신되는 탐색 자원의 위치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브 프레임 1107에서 전력 제어가 수행된 점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프레임 내의 대역 중앙에서 탐색 신호가 송신되면, 해당 서브 프레임에서 전력 제어가 수행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탐색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전력 제어의 결과에 따라서 감소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탐색 신호의 탐색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다만, 도 12에서 대역 중심부에 위치한 탐색 자원을 참조 번호 1221의 탐색 자원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중심부에 위치한 탐색 자원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중심부에 위치한 탐색 자원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여부에 따라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탐색 자원 영역(1215)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이는 탐색 자원의 위치에 따라 기지국에 미치는 간섭의 영향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해당 실험 결과를 반영하는 제어 정보(또는 제어 파라미터)가 각 단말들에게 미리 제공되고, 각 단말들은 그 제어 정보에 따라 전력 제어가 수행될 탐색 자원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직접 실험값의 결과에 따라 탐색 자원 영역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하여 알려줄 수도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DUE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301단계에서 DUE는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탐색을 위하여 자신의 탐색 신호 송신을 위한 RB의 위치(nt , nf )를 결정한다. 이때 RB의 위치는 탐색 자원 선택을 위한 소정의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전체 탐색 자원이 NT 개의 서브 프레임 과 NF 개의 주파수 축 RB 개수로 할당될 때, nt (0 ≤ nt < NT ) 및 nf (0 ≤ nf < NF )는 각각 선택된 탐색 자원의 서브 프레임 인덱스 및 주파수 축 RB 인덱스를 의미한다.
1303단계에서 DUE 는 기지국에 의해 송신되는 탐색 채널과 관련된 설정 정보를 확인하여 탐색 채널의 구조들 중 실제 탐색 채널에 적용된 채널 옵션값 및 PSI RB 또는 CUE 전용 탐색 자원의 할당 주기(각각 T PSI RB 또는 T DR-CUE)를 확인한다. 탐색 채널 관련 설정 정보에는 PUCCH의 스케줄링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한 정보인 PSI 송신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는 PSI 송신 관련 정보에 앞서 설명된 참조 신호에 기반한 방안 1, 단말 전용 탐색 신호에 기반한 방안 2, 기지국의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기반한 방안 3에 따른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다.
1303단계에서 설정 정보를 확인 후, 각 방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여 단말은 PSI를 획득할 수 있다. 방안 1의 경우 1305이하의 단계를 수행하고, 방안 2의 경우 1311이하의 단계를 수행하고, 방안 3의 경우 1317단계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동작을 다음과 같다.
방안 1 의 경우, 1305단계에서 nt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탐색 신호를 전송하는 DUE들이 nt 번째 서브 프레임에 대한 PSI가 할당된 위치인
Figure pat00001
번째 서브 프레임 내의 PSI RB 를 수신하고, 1307단계에서는 수신한 PSI RB 내에 포함된 OFDM 심볼 인덱스 별로 참조 신호들의 상관 피크값을 검출한다. 1309단계에서 각 심볼 별 상관 피크 검출값과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심볼 별 상관 피크 검출값이 임계값보다 크면 nt 번째 서브 프레임 에 PUCCH 신호의 스케줄링이 수행되었다고 판단한다.
방안 2 의 경우, 1311단계에서 DUE 는
Figure pat00002
번째 서브 프레임 에 할당되어 있는 CUE 전용 탐색 신호를 수신한다. 1313단계에서 해당 CUE 전용 탐색 신호의 RB 위치에서 전력을 측정한 후, 1315단계에서 측정된 전력 값과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한다. 전력 측정 값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nt 번째 서브 프레임 에 PUCCH 신호가 할당된 것으로 판단한다.
방안 3 의 경우, DUE 는 1317단계에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PSI를 단말이 직접 획득함으로써 nt 번째 서브 프레임 의 PSI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UE 는 각 방안을 통해 nt 번째 서브 프레임의 PSI를 알아낸 후, 1319단계에서 단말은 자신이 선택한 nt 번째 서브 프레임에 PUCCH 신호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PUCCH 신호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1323단계로 진행하여 DUE 는 자신의 탐색 신호 송신 전력(P Tx-discovery) 을 최대값(P max)으로 설정한다. 만일 nt 번째 서브 프레임 에 PUCCH 신호가 스케줄링 되었다면, DUE 는 1321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의 탐색 신호 송신 전력을 하기 <수학식 1>로 설정한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P 0 는 반 정적 기본 전력 레벨(semi-static base power level)이고,
α(0 ≤ α ≤ 1) 는 경로 손실 보상 인자(path-loss compensation factor)로서 기지국에 의해 결정되는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이다.
PL 은 하향링크 수신 전력으로부터 추정된 경로 손실 값이고,
M 은 단말에 할당된 RB 개수이다.
이후, 1325단계에서 단말은 상기 1321 단계 또는 1325단계에서 설정된 전력으로 nt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자신의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 nt 번째 서브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 프레임 에서는 다른 단말의 탐색 신호를 수신한다.
도 14a, 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CUE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앞서 CUE는 기지국에 의하여 PUCCH 신호를 스케줄링받은 단말이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1401단계에서 CUE(이하 도 14a, b의 설명에서 “단말”로 약칭할 수 있다.)는 해당 PUCCH 신호를 기지국에 의해 소정의 RB 위치 (nt1 , nf1 )에 스케줄링받았다고 가정한다. 또한, CUE는 D2D 통신을 위한 단말 탐색에 사용할 탐색 자원을 선택한다. 이때 탐색 자원 선택을 위한 소정의 규칙에 따라 전체 탐색 신호 자원 가운데 자신의 탐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RB 위치(nt1 , nf1 ) 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CUE 는 기지국에 의하여 스케줄링된 자신의 PUCCH 신호가 다른 단말들의 탐색 신호에 의한 간섭에 의하여 기지국에서 수신 전력이 약화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위의 단말들에게 자신의 PUCCH 신호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이를 위해 CUE 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하향 링크 제어 신호에 포함된 설정 정보로부터 탐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즉, 1403단계에서 CUE는 기지국이 송신한 설정 정보로부터 상술한 방안 1 내지 방안 3에 대한 PSI 송신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설정 정보에 포함된 상기 PSI RB의 할당 주기 또는 CUE 전용 탐색 자원의 할당 주기 (각각 T PSI RB 또는 TDR-CUE)를 확인하고, 수신한 PSI 송신 관련 정보에 포함된 방안들 각각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라 자신의 PSI를 송신한다. 방안 1의 경우 1405이하의 단계를 수행하고, 방안 2의 경우 1411이하의 단계를 수행하고, 방안 3의 경우 1317단계를 수행한다. 구체적인 동작을 다음과 같다.
방안 1 의 경우, 1405단계에서 CUE는 nt1 번째 서브 프레임에 대한 PSI가 송신되는 PSI RB 위치인
Figure pat00004
번째 서브 프레임 에 할당되어 있는 PSI RB를 수신하고, 1407단계에서 수신한 PSI RB 내에서 주파수 축 상 자신의 PUCCH RB 위치인 nf1 에 대응하는 OFDM 심볼을 인덱스를 선택하고, 1409단계에서 선택된 인덱스에 해당하는 OFDM 심볼을 통하여 최대 전력(Pmax)으로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방안 2의 경우, 1411단계에서 CUE 는 nt1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PUCCH 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이 자신의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위치인
Figure pat00005
번째 서브 프레임 내의 CUE 전용 탐색 자원 영역을 수신하고, 1413단계에서 해당 CUE 전용 탐색 자원에서 nf1 위치에 대응하는 RB 위치를 선택하고, 1415단계에서 해당 RB 를 통하여 탐색 신호를 최대 전력으로 송신한다.
방안 3의 경우, 방법 1, 2 와 달리 CUE 의 PSI를 기지국이 단말들에게 직접 전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CUE 는 PSI를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4에서는 방안 3에 대하여 점선으로 도시하였을 뿐이다. DUE의 동작인 도 13에서는 방안 3의 경우 DUE가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한 것과 비교할 수 있다. 이렇게 상술한 방안들에 따라 CUE 는 PSI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1421단계에서 CUE는 기지국에 의해 할당된 RB 위치(nt1 , nf1 ) 에서 PUCCH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CUE 는 PUCCH 신호를 송신하는 RB 위치(nt1 , nf1 )를 제외한 나머지 탐색 채널에서 탐색 신호의 송신 및 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방법 1 또는 방법 3의 경우, CUE는 DUE의 동작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신의 탐색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RB 위치 (nt2 , nf2 ) 를 선택한 후 선택된 RB위치가 속한 서브 프레임 위치에서 PUCCH 신호 스케줄링 여부에 따라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서브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 프레임에서는 다른 단말의 탐색 신호를 수신한다. 한편, 방안 2의 경우 CUE는 CUE 전용 탐색 자원을 통해 자신의 탐색 신호를 송신하게 되므로, 별도로 탐색 신호를 송신하지 않으며 다른 단말의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만을 수행한다. 따라서 도 14에서는 이를 점선으로만 도시하였다. 이러한 동작은 도 13의 1305단계 이하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며 도 14에서는 1423단계 내지 1439단계에서 도시되었다.
방안 1 의 경우, 1423단계에서 CUE는
Figure pat00006
번째 서브 프레임에 할당되어 있는 PSI RB 를 수신하고, 1425단계에서는 수신한 PSI RB 내에 포함된 OFDM 심볼 인덱스 별로 참조 신호들의 상관 피크값을 검출한다. 1427단계에서는 각 심볼 별 상관 피크 검출값과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심볼 별 상관 피크 검출값이 임계값보다 크면 nt 2 번째 서브 프레임 에 PUCCH 신호의 스케줄링이 수행되었다고 판단한다.
방안 3 의 경우, DUE 는 1429단계에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 포함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시스템 정보에 포함된 PSI를 단말이 직접 획득함으로써 nt 2 번째 서브 프레임 의 PSI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UE 는 방안 1 또는 방안 3을 통해 nt 2 번째 서브 프레임의 PSI를 알아낸 후, 1431단계에서 CUE 는 자신이 선택한 nt 2 번째 서브 프레임에 PUCCH 신호가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PUCCH 신호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1435단계로 진행하여 CUE 는 자신의 탐색 신호 송신 전력 (P Tx-discovery) 을 최대값(P max)으로 설정한다. 만일 nt 2 번째 서브 프레임 에 PUCCH 신호가 스케줄링 되었다면, CUE 는 1433단계로 진행하여 자신의 탐색 신호 송신 전력을 상술한 <수학식 1>에 의하여 설정한다.
이후, 1437단계에서 CUE 는 상기 1433 단계 또는 1435단계에서 설정된 전력으로 nt 2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자신의 탐색 신호를 송신하고, 1439단계로 진행하여 nt 2 번째 서브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서브 프레임 에서는 다른 단말의 탐색 신호를 수신한다. 다만, 상기 1439단계의 동작은 상기 방안 2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안과 종래의 방식에 대한 비교 결과를 설명한다. 비교 결과는 기지국에서 수신 SINR에 대한 CCDF (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분포에 대한 비교 결과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성능 평가를 위한 모의 실험에 적용한 셀 환경, 단말의 배치 및 자원 할당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능 평가를 위한 모의 실험을 위하여 정육각형 형태의 7개의 인접한 셀 환경을 고려하였다. 기지국 간 거리가 500 m일 때 셀 반경은 약 288 m 이고 각 셀은 셀 중심에 위치한 기지국을 기준으로 3개의 섹터로 분할된다. 기지국 간의 기준 시각은 동기식(synchronous)을 가정하여 모든 기지국이 시각은 동기화되어 동일하게 설정된다.
도 15의 셀 환경 하에서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Tx)-DUE는 전체 셀 영역 내에서 무작위로 배치하고, 탐색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Rx)-DUE는 가운데 셀 내에 무작위 배치함으로써 랩어라운드(wrap-around) 환경을 가정하였다.
CUE 및 DUE는 섹터당 150 개의 단말이 균일한 분포가 되도록 무작위로 배치한다. PUCCH 신호 및 탐색 신호를 송신하는 CUE 는 섹터당 25개, 탐색 신호만 송신하는 DUE는 섹터당 125 개로 설정하였다. CUE 및 DUE의 탐색 신호는 해당 서브 프레임 내 PUCCH 영역을 제외한 자원 중, 각각 하나의 RB를 랜덤하게 할당받아 통신한다고 가정하였다.
한편, 하기 <표 1>은 모의 실험에 적용된 주요 파라미터를 나타낸 것이다. <표 1>의 모의 실험 파라미터는 3GPP TSG RAN1 #73 표준화 회의에서의 결정 사항 및 LTE 시스템 표준에 근거한 것이다.
Parameter Value
The number of UEs 150 per sector
The number of Active UEs 25 per sector
Bandwidth 10 MHz
Carrier frequency 2 GHz
FFT size 1024
CP size 72/80 samples (Normal CP)
Path-loss model (UE-UE) WINNER+ B1 LOS/NLOS
Path-loss model (UE-eNB) ITU-R Uma
Channel model Extended Typical Urban
Inter-sight distance 500 m
Power control Open-loop power control
(full compensation of pathloss, α = 1)
Noise figure 9 dB
Max. Tx power 23 dBm
Shadow fading Standard deviation : 7 dB
Discovery resource size 44 RBs × 64 서브 프레임s
PUCCH zone size 6 RBs × 64 서브 프레임s
도 16은 기지국의 PUCCH 신호에 대한 수신 SINR 분포에 대하여 종래의 방식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식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존의 방식에서는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 위치에서 탐색 신호에 대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기지국의 PUCCH 수신 SINR이 크게 열화됨을 볼 수 있다(1603).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경우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 위치에서 탐색 신호의 전력 제어가 수행됨으로 인해 기지국이 받는 간섭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간섭이 없는 이상적인 성능과 대등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1605). 본 발명이 실시예의 결과값(1605)은 대략적인 복호 임계값을 0 dB로 가정할 때, 기존의 방식(1603)에 비하여 18.7 % 성능 개선 효과를 보였다.
도 17은 단말의 탐색 신호에 대한 수신 SINR 분포에 대하여 종래의 방식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식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탐색 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할 경우 송신 전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인해 탐색 신호의 수신 SINR이 열화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식의 경우,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 위치에서만 전력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에 섹터 당 CUE 수가 적은 경우에는 모든 단말들에 대해서 전력 제어를 수행한 경우에 대비하여 비교적 우수한 SINR 분포를 보임을 알 수 있다.
한편, 1707, 1709, 1711, 1713을 참조하면 각각 섹터당 CUE의 수가 1, 2, 3, 4인 경우의 결과값을 나타낸다. 섹터당 CUE가 증가하는 경우 탐색 신호에 대한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빈도가 높아지므로 SINR 분포가 열화되지만 이는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을 보호하기 위한 성능 열화로 볼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D2D 통신과 셀 룰러 통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서, 상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단말 장치는 탐색 채널 상에서 PUCCH 신호를 스케줄링받은 단말 장치는 CUE가 되고, 탐색 채널 상에서 PUCCH 신호를 스케줄링받지 않은 단말 장치는 DUE가 된다. 참고로 DUE는 물론 CUE도 모두 탐색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801)는 기지국 및 다른 단말과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특히, 기지국으로부터 PUCCH 신호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다른 단말들에게 탐색 신호와, 본 발명에서 제안한 PSI를 송신한다.
제어부(1803)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기능 블록들을 제어한다.
전력 제어부(1805)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탐색 신호에 대한 전력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PSI에 따라 상기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고,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탐색 채널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PUCCH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가 송신되는 탐색 자원이 전제 탐색 채널의 중심부에서 소정 범위 내에 있으면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다.
탐색 신호 생성부(1807)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탐색 신호 및 PSI를 생성하고 이를 다른 단말들에게 송신한다. PSI가 송신되는 방안들에 대해서는 앞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26)

  1. 단말 간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탐색 채널의 특정 자원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것을 스케줄링받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을 알리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탐색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탐색 자원을 통하여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특정 자원이 매핑된 상기 탐색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송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특정 자원이 매핑된 하나의 탐색 자원은 복수 개의 특정 자원에 중첩되어 매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탐색 자원은,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 주기를 고려하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참조 신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자원은,
    심볼임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탐색 채널의 대역 중앙부에 위치한 탐색 자원을 이용하여 송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자원은,
    자원 블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스케줄링된 상향링크 신호가 송신될 서브 프레임보다 하나 이전의 서브 프레임에 위치한 탐색 자원을 통하여 송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송신되는 특정 자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11. 단말 간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탐색 신호를 전력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탐색 채널의 특정 자원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됨을 알리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를 전력 제어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채널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를 전력 제어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가 송신되는 탐색 자원이 전제 탐색 채널의 중심부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있으면,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탐색 신호를 전력 제어하는 방법.
  14. 단말 간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탐색 채널의 특정 자원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할 것을 스케줄링받는 송수신부와,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을 알리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상기 탐색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탐색 자원을 통하여 송신하는 탐색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송신되는 상기 특정 자원이 매핑된 상기 탐색 자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송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16. 제15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특정 자원이 매핑된 하나의 탐색 자원은 복수 개의 특정 자원에 중첩되어 매핑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송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탐색 자원은, 상기 상향링크 신호의 스케줄링 주기를 고려하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참조 신호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자원은,
    심볼임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탐색 채널의 대역 중앙부에 위치한 탐색 자원을 이용하여 송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자원은,
    자원 블록임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스케줄링된 상향링크 신호가 송신될 서브 프레임보다 하나 이전의 서브 프레임에 위치한 탐색 자원을 통하여 송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송신되는 특정 자원에 대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셀 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24. 단말 간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탐색 신호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
    탐색 채널의 특정 자원을 통하여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됨을 알리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되지 않은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신호에 대하여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탐색 채널의 첫 번째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에 대하여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부는,
    상기 상향링크 신호가 스케줄링된 서브 프레임에서 송신되는 탐색 신호가 송신되는 탐색 자원이 전제 탐색 채널의 중심부로부터 소정 범위 이내에 있으면, 상기 전력 제어를 수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단말 장치.
KR1020140014853A 2014-02-10 2014-02-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을 위한 채널 구조와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96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853A KR102196245B1 (ko) 2014-02-10 2014-02-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을 위한 채널 구조와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118,094 US10111262B2 (en) 2014-02-10 2015-02-10 Channel structure for discovering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PCT/KR2015/001322 WO2015119476A1 (ko) 2014-02-10 2015-02-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을 위한 채널 구조와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853A KR102196245B1 (ko) 2014-02-10 2014-02-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을 위한 채널 구조와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051A true KR20150094051A (ko) 2015-08-19
KR102196245B1 KR102196245B1 (ko) 2020-12-29

Family

ID=5377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853A KR102196245B1 (ko) 2014-02-10 2014-02-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을 위한 채널 구조와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11262B2 (ko)
KR (1) KR102196245B1 (ko)
WO (1) WO20151194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9154B (zh) * 2014-05-14 2018-06-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配对方法及配对终端
US10778486B2 (en) * 2015-08-13 2020-09-15 Intel IP Corporation Discovery reference signal design for LTE in unlicensed bands
KR102284044B1 (ko) * 2015-09-10 2021-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추정 방법 및 장치
US10542558B2 (en) * 2016-09-30 2020-01-21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uplink control channel design in regular bursts for new radio (NR) networks
US10425900B2 (en) * 2017-05-15 2019-09-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contr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251A2 (ko) * 2011-08-30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007581A1 (ko) * 2012-07-05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64787B2 (en) 2011-06-17 2014-07-01 Aga Medical Corporation Occlusion device and associated deployment method
US8520650B2 (en) 2011-07-06 2013-08-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OFDM peer discovery
US20130010618A1 (en) 2011-07-07 2013-0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lexibility in peer discovery range and frequency of updates
US9277539B2 (en) 2011-10-26 2016-03-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inter-cell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101962142B1 (ko) * 2011-11-29 2019-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d2d 통신을 수행하거나 d2d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US9560574B2 (en) * 2014-01-31 2017-01-31 Intel IP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transmit power control for D2D tranmiss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251A2 (ko) * 2011-08-30 201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007581A1 (ko) * 2012-07-05 201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위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5804* *
3GPP R1-135808* *
3GPP R1-14057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11262B2 (en) 2018-10-23
US20160353500A1 (en) 2016-12-01
KR102196245B1 (ko) 2020-12-29
WO2015119476A1 (ko)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8888B2 (en)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cellular network using unlicensed band and device therefor
US11140681B2 (en) Uplink design for narrowband LTE (NB-LTE)
US113689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tracking channel
CN107925528B (zh) 共享通信介质上的基于争用的共存
KR101892121B1 (ko) 단말 간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간 통신을 조력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667565B (zh) 在使用非授权频带的蜂窝网络中分配资源的方法及其设备
US11979880B2 (en) Uplink procedur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medium
US9166717B2 (en) Uplink synchronization maintenance principles in wireless networks
US10440747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31085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link in unlicensed band
US20170118765A1 (en) Communication resource scheduling for device-to-device (d2d) communication in an unlicensed frequency band
KR20170015251A (ko) 비면허 대역 채널에서 클리어 채널 평가에 근거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동 통신 시스템
KR20170122195A (ko) 협대역 셀룰러 사물 인터넷 시스템에 대한 주파수 리소스 할당
US10362546B2 (en) Preamble synchronization signal in unlicensed frequency band
KR2016002173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d2d 탐색 신호 송신방법
KR20150128520A (ko) D2D(Device to Device)통신 단말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19624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탐색을 위한 채널 구조와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60024335A (ko) D2d 통신에서 단말의 자원 선택 방법 및 그 단말
KR20150143135A (ko)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