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359A -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359A
KR20150093359A KR1020140014013A KR20140014013A KR20150093359A KR 20150093359 A KR20150093359 A KR 20150093359A KR 1020140014013 A KR1020140014013 A KR 1020140014013A KR 20140014013 A KR20140014013 A KR 20140014013A KR 20150093359 A KR20150093359 A KR 20150093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hook
engagement pin
coupler body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혁규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to KR1020140014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3359A/ko
Publication of KR2015009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를 암의 하단부에 착탈시키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에 의한 건설기계용 퀵커플러는,
작업장치의 하단부에 어태치먼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건설기계용 퀵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커플러몸체;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에 로킹 및 언로킹가능하게 상기 커플러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후크;
상기 제1결합핀과 대향되는 위치의 제2결합핀에 로킹 및 언로킹가능하게 상기 커플러몸체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후크;
상기 커플러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후크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고정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제1후크를 상기 제1결합핀에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커플러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후크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1유압실린더가 신장구동되어 상기 제1후크를 상기 제1결합핀에 로킹시킨 후, 상기 제2후크를 상기 제2결합핀에 로킹시키기 위해 신장구동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퀵커플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용 퀵커플러{quick coupler for 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태치먼트(bucket, hammer 등)를 암의 하단부에 착탈시킬 수 있는 퀵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작업현장에서 암의 하단부에 버킷, 해머 등의 어태치먼트를 신속하게 교체시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용 퀵커플러(B)는,
작업장치(굴삭기의 암)의 하단부에 커플러몸체(1)가 연결된다.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2)에 로킹 및 언로킹되는 고정후크(3)가 상기 커플러몸체(1)에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핀(2)과 대향되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2결합핀(5)에 로킹 및 언로킹되는 이동후크(6)가 고정핀(4)에 의해 상기 커플러몸체(2)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이동후크(6)에 유압실린더(9)의 일단이 제1고정핀(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플러몸체(1)에 상기 유압실린더(9)의 타단이 제2고정핀(8)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1결합핀(2)에 상기 고정후크(3)를 로킹 및 언로킹시키기 위해, 잠금위치(F) 또는 해제위치(R)로 이동되는 잠금장치(10)가 상기 제2고정핀(8)에 의해 상기 커플러몸체(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이동후크(6)의 회동시 상기 잠금장치(10)를 회동시키는 해제로드(11)가 상기 유압실린더(9)에 부착된다.
종래 기술의 퀵커플러는, 상기 해제로드(11)는 상기 유압실린더(9)의 구동시 연동되어 상기 잠금장치(10)를 잠금위치(F) 또는 해제위치(R)로 회동시키게 된다. 즉 해제로드(11)는 상기 이동후크(6)가 제2결합핀(5)에 정상적으로 결합된 여부에 무관하게 동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유압실린더(9)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후크(6)가 제2결합핀(5)에 정상적으로 결합된 것으로 오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후크(6)가 상기 제2결합핀(5)에 비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장치를 동작시킬 경우 어태치먼트가 분리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은, 어태치먼트를 작업장치에 고정할 경우 운전자가 어태치먼트의 정상적인 결합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건설기계용 퀵커플러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에 의한 건설기계용 퀵커플러는,
작업장치의 하단부에 어태치먼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건설기계용 퀵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커플러몸체;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에 로킹 및 언로킹가능하게 상기 커플러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후크;
상기 제1결합핀과 대향되는 위치의 제2결합핀에 로킹 및 언로킹가능하게 상기 커플러몸체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후크;
상기 커플러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후크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제1후크를 상기 제1결합핀에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커플러몸체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후크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1유압실린더가 신장구동되어 상기 제1후크를 상기 제1결합핀에 로킹시킨 후, 상기 제2후크를 상기 제2결합핀에 로킹시키기 위해 신장구동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퀵커플러를 제공한다.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스몰챔버에 수용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라지챔버에 공급되는 작동유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제2유압실린더가 신장구동되도록 탄성지지하고, 상기 제2결합핀으로부터 상기 제2후크를 언로킹시킬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유압실린더를 수축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라지챔버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라지챔버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릴리프밸브, 상기 릴리프밸브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라지챔버에 공급되는 작동유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개방되어 상기 제2유압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신장구동시킴;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스몰챔버에 수용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결합핀으로부터 상기 제2후크를 언로킹시킬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유압실린더를 수축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라지챔버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파일럿 체크밸브, 상기 파일럿 체크밸브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스몰챔버에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개방상태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후크의 후크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식별용 돌출부, 상기 식별용 돌출부는 상기 제2후크를 제2결합핀에 로킹시킬 경우 운전자가 상기 제2결합핀에 대한 제2후크의 로킹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제2유압실린더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몸체의 외부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어태치먼트를 작업장치에 고정할 경우, 운전자가 어태치먼트를 고정시키는 보조후크의 결합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어태치먼트가 비정상적인상태로 고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기계용 퀵커플러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에 의한 건설기계용 퀵커플러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에 의한 건설기계용 퀵커플러에 적용되는 유압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에 의한 건설기계용 퀵커플러에 적용되는 또 다른 유압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에 의한 건설기계용 퀵커플러는,
작업장치(굴삭기의 암)(A)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커플러몸체(50);
어태치먼트(버킷, 해머 등)의 제1결합핀(51)에 로킹 및 언로킹되는 제1후크(52)가 상기 커플러몸체(50)의 일측에 고정핀(P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1결합핀(51)과 대향되는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2결합핀(53)에 로킹 및 언로킹되는 제2후크(54)가 상기 커플러몸체(50)의 타측에 고정핀(P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유압실린더(55)의 일단이 고정핀(P3)에 의해 상기 커플러몸체(5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타단이 고정핀(P4)에 의해 상기 제1후크(52)의 소정위치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압실린더(55)는 신축구동시 상기 제1후크(52)를 상기 제1결합핀(51)에 로킹 및 언로킹시키게 된다.
제2유압실린더(56)의 일단이 고정핀(P5)에 의해 상기 커플러몸체(5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타단은 고정핀(P6)에 의해 상기 제2후크(54)의 소정위치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제2유압실린더(56)는 신축구동시 상기 제2후크(54)를 상기 제2결합핀(53)에 로킹 및 언로킹시키게 된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라지챔버에 공급되는 작동유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제2유압실린더(56)가 신장구동되도록 탄성지지하고, 상기 제2결합핀(53)으로부터 상기 제2후크(54)를 언로킹시킬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유압실린더(56)를 수축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스몰챔버에 탄성부재(56a)(압축코일스프링)가 수용된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라지챔버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라지챔버를 연결하는 유로(57)에 릴리프밸브(58)를 설치하되, 상기 릴리프밸브(58)는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라지챔버에 공급되는 작동유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신장구동시키기 위해 개방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제2후크(54)를 제2결합핀(53)으로부터 언로킹시킬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유압실린더(56)를 수축구동시키도록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스몰챔버에 탄성부재(56a)(압축코일스프링)가 수용된다.
상기 유압펌프(P)의 작동유를 유로(64)를 통해 제1유압실린더(55)의 스몰챔버에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라지챔버로부터 작동유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라지챔버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로(60)에 파일럿 체크밸브(59)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파일럿 체크밸브(59)는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스몰챔버에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개방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제2후크(54)를 제2결합핀(53)에 로킹시킬 경우, 운전자가 상기 제2결합핀(53)에 대한 제2후크(54)의 로킹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제2유압실린더(56)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제2후크(54)의 후크부에 식별용 돌출부(61)가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개시된 내용에 의한 건설기계용 퀵커플러의 작동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2후크(52,54)를 상기 제1,2결합핀(51,53)에 로킹시키기 위해 굴삭기를 작업장 소정위치에 놓인 어태치먼트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커플러몸체(50)를 어태치먼트 위에 안착시킨다.
조작레버(미도시됨)의 조작에 의해 컨트롤밸브(C)의 스풀을 절환시킴에 따라 유압펌프(P)의 작동유 일부는 상기 컨트롤밸브(C) 및 파일럿 체크밸브(59)를 통과하여 제1유압실린더(55)의 라지챔버에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유압펌프(P)의 작동유 일부는 유로(57)를 따라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라지챔버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스몰챔버에 수용된 탄성부재(56a)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유압실린더(55)가 풀스트로크로 신장구동된 후, 상기 제2유압실린더(56)가 신장구동하게 된다.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신장구동시 상기 파일럿체크밸브(59)에 의해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라지챔버로부터 작동유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신장구동에 의해 상기 제1후크(52)를 고정핀(P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제1후크(52)를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51)에 로킹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스몰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컨트롤밸브(C)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에 드레인 된다.
한편,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신장구동에 의해 상기 제2후크(54)를 고정핀(P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2후크(54)를 어태치먼트의 제2결합핀(53)에 로킹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신장구동에 의해 상기 제1후크를 회동시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51)에 로킹시킨 후,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신장구동에 의해 상기 제2후크(54)를 회동시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2결합핀(53)에 로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51) 및 제2결합핀(53)에 상기 제1후크(52) 및 제2후크(54)를 로킹시킴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를 작업장치의 하단부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후크(54)를 제2결합핀(53)에 로킹시킬 경우, 운전자가 상기 제2후크(54)의 후크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식별용 돌출부(61)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2결합핀(53)에 상기 제2후크(54)의 후크부가 정확하게 안착된 후, 상기 제2후크(54)가 제2결합핀(53)에 정상적으로 로킹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제2유압실린더(56)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어태치먼트를 작업장치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컨트롤밸브(C)의 스풀을 절환시킴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P)의 작동유는 컨트롤밸브(C)를 통과하여 유로(64)를 따라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스몰챔버에 공급되어 수축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라지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스몰챔버에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개방상태로 전환된 파일럿 체크밸브(59)와 컨트롤밸브(C)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로 드레인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수축구동에 의해 상기 제1후크(52)를 고정핀(P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51)으로부터 상기 제1후크(52)를 언로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유압실린더(55)를 수축구동시킬 경우,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스몰챔버에 수용된 탄성부재(56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유압실린더(56)를 수축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라지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유로(57) 및 컨트롤밸브(C)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로 드레인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수축구동에 의해 상기 제2후크(54)를 고정핀(P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2결합핀(53)으로부터 상기 제2후크(54)를 언로킹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수축구동에 의해 상기 제1후크를 회동시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51)로부터 언로킹시킨 후,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수축구동에 의해 상기 제2후크(54)를 회동시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2결합핀(53)으로부터 언로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51) 및 제2결합핀(53)으로부터 상기 제1후크(52) 및 제2후크(54)를 언로킹시킴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를 작업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유압펌프(P)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상기 제1유압실린더(55)를 신장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후크(52)를 고정핀(P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51)에 로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압펌프(P)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상기 제1유압실린더(55)를 수축구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후크(52)를 고정핀(P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51)으로부터 제1후크(52)를 언로킹시키는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퀵커플러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55)를 신장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유압펌프(P)의 작동유를 제1유압실린더(55)의 라지챔버에 공급할 경우, 상기 유로(57)에 설치된 릴리프밸브(58)의 설정압력을 초과하기 전까지는 유압펌프(P)의 작동유는 제1유압실린더(55)에만 공급된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이 상기 릴리프밸브(58)의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릴리프밸브(58)가 개방상태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유압펌프(P)의 작동유는 제1유압실린더(55)에 더 이상으로 공급되지않고(이때 제1유압실린더(55)는 파일럿 체크밸브(59)에 의해 신장구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개방된 릴리프밸브(58)를 통과하여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라지챔버에 공급된다.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신장구동에 의해 상기 제2후크(54)를 고정핀(P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2결합핀(53)에 제2후크(54)를 로킹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압펌프(P)로부터 제1유압실린더(55)에 공급되는 작동유 압력이 릴리프밸브(58)의 설정압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릴리프밸브(58)는 개방상태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유압펌프(P)의 작동유는 개방된 릴리프밸브(58)를 통과해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라지챔버에 공급되어 신장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유압실린더(55) 및 제2유압실린더(56)의 신장구동에 의해 상기 제1후크(52) 및 제2후크(54)를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51) 및 제2결합핀(53)에 로킹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어태치먼트를 작업장치의 하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어태치먼트를 작업장치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유압펌프(P)의 작동유를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스몰챔버에 공급하여 수축구동시킬 경우,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라지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개방상태로 전환된 파일럿 체크밸브(59)와 컨트롤밸브(C)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로 드레인 된다.
상기 제1유압실린더(55)를 수축구동시킬 경우,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스몰챔버에 수용된 탄성부재(56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유압실린더(56)를 수축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라지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는 병렬유로(62)에 설치된 체크밸브(63) 및 컨트롤밸브(C)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T)로 드레인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압실린더(55)의 수축구동에 의해 상기 제1후크를 회동시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51)로부터 언로킹시키고, 상기 제2유압실린더(56)의 수축구동에 의해 상기 제2후크(54)를 회동시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2결합핀(53)으로부터 언로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51) 및 제2결합핀(53)으로부터 상기 커플러몸체(50)의 제1후크(52) 및 제2후크(54)를 언로킹시킴에 따라 상기 어태치먼트를 작업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50; 커플러몸체
51; 제1결합핀
52; 제1후크
53; 제2결합핀
54; 제2후크
55; 제1유압실린더
56; 제2유압실린더
56a; 탄성부재
57; 유로
58; 릴리프밸브
59; 파일럿 체크밸브
60; 유로
61; 식별용 돌출부

Claims (4)

  1. 작업장치의 하단부에 어태치먼트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건설기계용 퀵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작업장치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커플러몸체;
    상기 어태치먼트의 제1결합핀에 로킹 및 언로킹가능하게 상기 커플러몸체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후크;
    상기 제1결합핀과 대향되는 제2결합핀에 로킹 및 언로킹가능하게 상기 커플러몸체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후크;
    상기 커플러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1후크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고정되며, 신축구동시 상기 제1후크를 상기 제1결합핀에 로킹 및 언로킹시키는 제1유압실린더;
    상기 커플러몸체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2후크의 소정위치에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제1유압실린더가 신장구동되어 상기 제1후크를 상기 제1결합핀에 로킹시킨 후, 상기 제2후크를 상기 제2결합핀에 로킹시키기 위해 신장구동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스몰챔버에 수용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라지챔버에 공급되는 작동유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제2유압실린더가 신장구동되도록 탄성지지하고, 상기 제2결합핀으로부터 상기 제2후크를 언로킹시킬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유압실린더를 수축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라지챔버와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라지챔버를 연결하는 유로에 설치되는 릴리프밸브, 상기 릴리프밸브는 상기 제1유압실린더의 라지챔버에 공급되는 작동유 압력이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개방되어 상기 제2유압실린더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신장구동시킴;
    상기 제2유압실린더의 스몰챔버에 수용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2결합핀으로부터 상기 제2후크를 언로킹시킬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2유압실린더를 수축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후크의 후크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식별용 돌출부, 상기 식별용 돌출부는 상기 제2후크를 제2결합핀에 로킹시킬 경우 운전자가 상기 제2결합핀에 대한 제2후크의 로킹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제2유압실린더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몸체의 외부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KR1020140014013A 2014-02-07 2014-02-07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KR20150093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013A KR20150093359A (ko) 2014-02-07 2014-02-07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4013A KR20150093359A (ko) 2014-02-07 2014-02-07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359A true KR20150093359A (ko) 2015-08-18

Family

ID=5405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4013A KR20150093359A (ko) 2014-02-07 2014-02-07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335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0603A (ko) 2015-11-16 2015-12-16 (주) 대동이엔지 퀵 커플러
KR20170051643A (ko) * 2015-10-30 2017-05-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안전기능이 부가된 퀵 커플러
WO2018128385A1 (ko) * 2017-01-05 2018-07-1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퀵 커플러용 안전장치
KR20200062629A (ko) * 2018-11-27 2020-06-04 장수익 안전밸브장치
KR20220169029A (ko) * 2021-06-17 2022-12-27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어태치먼트 장착해제 식별 기능을 갖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643A (ko) * 2015-10-30 2017-05-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안전기능이 부가된 퀵 커플러
KR20150140603A (ko) 2015-11-16 2015-12-16 (주) 대동이엔지 퀵 커플러
WO2018128385A1 (ko) * 2017-01-05 2018-07-12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퀵 커플러용 안전장치
CN110088405A (zh) * 2017-01-05 2019-08-02 韩国大模技术株式会社 快速联结器用安全装置
EP3567163A4 (en) * 2017-01-05 2020-04-15 Daemo Engineering Co., Ltd. SECURITY LOCK DEVICE FOR QUICK ATTACHMENT DEVICE
US11261577B2 (en) 2017-01-05 2022-03-01 Daemo Engineering Co., Ltd. Safety device for quick coupler
KR20200062629A (ko) * 2018-11-27 2020-06-04 장수익 안전밸브장치
KR20220169029A (ko) * 2021-06-17 2022-12-27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어태치먼트 장착해제 식별 기능을 갖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3359A (ko)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US8281506B2 (en) Tool coupler assembly
EP2466015B1 (en) Attachment coupler for heavy machinery
EP3680393B1 (en) Coupler with power connection system
US9217235B2 (en) Tool coupler system having multiple pressure sources
US10113292B2 (en) Quick coupler control device for working machine
US9228314B2 (en) Quick coupler hydraulic control system
AU2017330165B2 (en) Quick hitch coupler
US8684623B2 (en) Tool coupler having anti-release mechanism
EP3052707B1 (en) A coupler device
US20140294497A1 (en) Locking system for quick coupler
KR101523072B1 (ko) 굴삭기용 퀵커플러
JP6105469B2 (ja) 結合装置
WO2018074937A1 (en) A coupling assembly and an attachment member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KR101737019B1 (ko) 백호 버킷용 퀵 히치 커플러
KR102073345B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링 장치
TW201516214A (zh) 利於磨損部件之提舉的連接器
JP5266060B2 (ja) 油圧式連結装置用の安全装置
WO2017079792A1 (en) A piston and cylinder system
US20160251820A1 (en) Work tool assembly and coupler
KR101478498B1 (ko) 굴착기의 퀵 커플러 안전장치
KR20150093360A (ko) 건설기계용 퀵커플러
EP4089236B1 (en) Quick release coupling with locking device for excavator bucket coupling
US20230417011A1 (en) Quick-change device having a control device with a mechanically and hydraulically controllable valve
KR101959009B1 (ko) 안전기능이 부가된 퀵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