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030A -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030A
KR20150093030A KR1020140013787A KR20140013787A KR20150093030A KR 20150093030 A KR20150093030 A KR 20150093030A KR 1020140013787 A KR1020140013787 A KR 1020140013787A KR 20140013787 A KR20140013787 A KR 20140013787A KR 20150093030 A KR20150093030 A KR 20150093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 exchange
exchange membrane
membrane
conductive polymer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택민
공지현
김정윤
고동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3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3030A/ko
Publication of KR20150093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7Ionic conductiv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 사용량을 감소시켜 가격 절감 효과가 뛰어난 술폰산기 또는 그 유도체를 덧입힌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을 이용한 이온교환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온교환막은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단일로 사용한 분리막 대비 30%의 가격 절감 효과를 가져 온다. 또한 다공성 분리막의 테두리 부분에는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덧입히지 않음으로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상기 다공성 분리막이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여 주기 때문에 양이온 교환층의 두께 또한 양이온 고분자막으로만 이온교환막을 구성할 때 보다 5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어 이온교환막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충방전 효율, 전압 효율, 에너지 효율의 향상을 가져온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Hybrid ion exchange membrane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박막에 술폰산기를 덧입혀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 사용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가격 절감 효과가 뛰어난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화환원 유동에너지 저장장치와 같은 이차전지는 충전과정을 통하여 저장된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저장하고, 방전과정을 통하여 상기 저장된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대표적인 산화환원 유동에너지 저장장치는 양극과 음극 전해질로 바나듐을 사용하며 전해질의 산화 및 환원 반응에 의해 충방전이 일어나는 이차전지이다. 일반적인 전지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스택에서 산화와 환원의 전기화학적인 반응으로 충방전이 일어나고, 발생된 전기는 별도의 탱크에 보관되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에 저장되게 된다는 점이다. 상기 산화환원 유동에너지 저장장치의 출력은 스택 개수 및 크기에 결정이 되고 에너지는 저장되는 전해질 양에 결정되어 출력과 에너지 용량이 분리 되어 있다. 따라서 용도에 따라 출력과 에너지 용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산화환원 유동에너지 저장장치의 이차전지에서 이온 교환막은 반응에 직접 참여하지 않으나 Cathod 전해액과 Anode 전해액에 녹아 있으며 반응에 직접 참여하는 전해액 활성이온들(electrolyte active ions)의 crossover를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온 교환막은 높은 선택성을 가져야 하며 용매 및 비 이온 용질의 낮은 투과성, 선택된 투과이온의 확산에 대한 낮은 저항, 높은 기계적 강도 및 내화학성을 필요로 한다. 특히 산화환원 유동에너지 저장장치의 이차전지에서 이온교환막은 기존의 막보다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내구성이 요구된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무기물을 첨가하여 하이브리드 복합막을 제조하는 방법, 촉매 혼합물을 가열 압착하는 핫프레스 방법, 경화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 결과물 중에는 이온 전도성 물질 및 수용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이온 교환막 충전용 조성물이 있으며, 대표적인 수용성 폴리머는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미드-co-아크릴산),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디알릴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소듐 4-스티렌술포네이트)가 있고 대표적인 이온 전도성 폴리머는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폴리(아크릴아미드-co-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폴리(디메틸아민-co-에피클로로히드린-co에틸렌디아민)이 있다. 유기계에서 최적화된 이온 이동 특성 및 막 물성을 가지고, 이러한 이온 교환막을 포함하는 산화환원 유동에너지 저장장치의 이차전지는 충방전 효율, 전압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이 높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2013-0049077호(2013.05.13공개)]
이에 본 발명자는 다공성 분리막에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 층을 덧입히는 방식의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과 같이 다공성 분리막에 이온교환기를 적용시킨 선행기술의 특허문헌으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210호의 이온 교환막 충전용 조성물, 이온 교환막의 제조방법, 이온 교환막 및 이차전지가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의 특허문헌은 다공성 분리막의 기공을 함침을 통해 충전용 조성물로 막아버리는 형태로, 원활한 함침을 위하여 할로겐화 알킬기 또는 4급 암모늄염기를 갖는 제1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포함한 이온교환막 충진용 조성물에 대한 것이 주 내용이다. 하지만 함침 처리를 통해 기공을 완벽히 충진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면에서 효과적이지 못하며, 모든 기공을 충진재를 통해 함침처리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더욱이 함침에 의해 충전물 조성물로 다공성 분리막의 기공 내부를 채우면서 양면을 덧입히면 이온이 통과하는 두께가 두꺼워져 이온교환의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9077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210호
이에 본 발명자는 고가인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막을 사용하지 않고, 공정과정이 단순하고 리튬이온 전지용으로 양산되어 가격이 저렴한 폴리올레핀이나 폴리프로필렌계 다공성 분리막의 가운데 부분인 하이드로늄 이온이 교환되는 부분에만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층을 덧입히는 방식의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을 제안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은, 바이폴라 플레이트, 막 가스켓 및 이온교환막 등으로 구성된 이차전지의 이온교환막에 있어서, 미세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분리막의 테두리를 제외한 가운데에만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덧입혀 이온교환막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다공성 분리막은 폴리올레핀계 박막으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중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한 것이며, 상기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박막은 건식법 및 습식법을 통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술폰산기 또는 그 유도체의 양이온 교환기를 포함한 것이며, 상기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닥터블레이드 방식이나 뜨임 방식으로 다공성 박막에 덧입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이차전지 제작 시 이온교환막의 비용이 전체 셀 가격의 30% 이상이므로, 본 발명으로 제조된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덧입힌 폴리올리핀계 다공성 이온교환막을 사용함으로써 제조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이는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단일로 사용하는 분리막 대비 30%의 가격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온교환막을 지지하기 위한 다공성 분리막 부분에는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덧입히지 않음으로써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다공성 분리막이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여 주기 때문에 양이온 교환층의 두께 또한 양이온 고분자막으로만 이온교환막을 구성할 때 보다 50% 이상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이온교환막의 저항을 감소시켜 충방전 효율, 전압 효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교환막과 종래 이온교환막을 비교한 비교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교환막과 종래 이온교환막의 이온 전도성 고분자의 사용량을 비교한 비교도면
도 3은 이온교환막 별 이온교환용량 측정 결과그래프
도 4는 이온교환막 별 막저항 측정 결과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온교환막과 종래 이온교환막을 비교한 비교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은 바이폴라 플레이트, 막 가스켓 및 이온교환막 등으로 구성된 이차전지의 상기 이온교환막으로써, 다공성 분리막 층 위에 이온교환막을 덧입히는 방식으로 이온교환막을 구성한 것으로 선행기술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종래 이온교환막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즉 다공성 분리막을 이용하는 종래 이온교환막은 이온교환을 위해 이온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합침처리에 의해 상기 다공성 분리막(1)의 양면에 덧입히고 분리막에 형성되는 기공(2) 내부까지 이온전도성 고분자 물질로 채워넣게 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두께방향으로 다공성 분리막(10)의 한쪽 면에만 이온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덧입히면서 전체면적에서 기공(20)이 위치하여 실제 이온이 교환되는 가운데 부분에만 이온전도성 고분자 덧입히는 것으로 이온교환막을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다공성 분리막의 두께방향으로 한쪽 면과 전체면적의 가운데 부분에만 이온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덧입히는 목적 및 효과에 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도 2는 다공성 분리막을 사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온교환막과 종래 이온교환막의 이온 전도성 고분자의 사용량을 비교한 비교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이온전도성 고분자막을 사용하는 이온교환막은 전체가 이온전도성 고분자로 되어 있는 막이지만, 테두리 부분은 이온교환막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일정면적을 차지하면서 막 가스켓 등으로 가려져 있기 때문에 그 면적만큼 이온전도성 고분자가 있지만 실제로는 이온이 통과하지 못하는 부분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온교환막에서는 다공성 분리막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온교환막을 지지하기 위한 테두리 부분은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덧입히지 않고, 기공이 위치하여 실제 이온이 교환되는 가운데 부분에만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덧힘음으로써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이 양이 그만큼 줄어들어 비용이 크게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다공성 분리막이 기계적 강도를 보완하여 주기 때문에, 양이온 교환층의 두께 또한 이온전도성 고분자막으로만 이온교환막을 구성할 때 보다 50% 이상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이온교환막의 저항을 감소시켜 충방전 효율, 전압 효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리튬이온 전지용 분리막으로 다수의 제품이 양산되고 있는 다공성 분리막은 폴리올리핀계의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박막을 제작하고 건식법 및 습식법으로 도 1에 도시한 기공과 같은 미세구멍을 형성시켜 만들게 된다.
이후 술폰산기 또는 그 유도체의 양이온 교환기를 갖는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상기 다공성 분리막의 가운데 부분에만 덧입히면, 이러한 기공과 같은 미세구멍들이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들로 막히게 되어 이차전지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덧입히는 방식으로는 고분자 수용액을 만들어 닥터 블레이드 방식이나 뜨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W-scope사의 Exable-122 모델의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에 나피온 솔루션으로 양이온 교환막을 코팅처리한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을 제조하여 이온교환 용량과 막 저항을 평가하여 보았다. 아래의 표 1 및 도 3은 상용 이온교환막들과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용량을 비교한 것이며, 도 3에 도시하고 표 1에서 나타나듯이 나피온 솔루션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나피온막과 비슷한 수준의 이온교환 용량을 보여준다.
이온교환막 별 이온교환용량 측정 결과
ITEM Nafion
117
YC
113
Nepem
115
Hybrid(본 발명)
2585
meq/㎠ 0.030 0.010 0.017 0.028
표 2 및 도 4는 상용 이온교환막들과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막의 막 저항을 비교한 것으로서, 표 2와 같이 두께 차이의 영향으로 막저항은 20% 이상 감소한 결과를 보여준다.
이온교환막 별 막저항 측정 결과
ITEM fion
117

113
pem
115
brid(본 발명)
2585
meq/㎠ 1.305 1.350 1.360 0.907

Claims (5)

  1. 바이폴라 플레이트, 막 가스켓 및 이온교환막 등으로 구성된 이차전지의 이온교환막에 있어서,
    미세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분리막의 테두리를 제외한 가운데에만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를 덧입혀 이온교환막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이온교환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분리막은 폴리올레핀계 박막으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중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이온교환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박막은 건식법 및 습식법을 통하여 미세구멍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이온교환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술폰산기 또는 그 유도체의 양이온 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이온교환막.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전도성 고분자는 닥터블레이드 방식이나 뜨임 방식으로 다공성 박막에 덧입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이온교환막.
KR1020140013787A 2014-02-06 2014-02-06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 KR20150093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787A KR20150093030A (ko) 2014-02-06 2014-02-06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787A KR20150093030A (ko) 2014-02-06 2014-02-06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030A true KR20150093030A (ko) 2015-08-17

Family

ID=54057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787A KR20150093030A (ko) 2014-02-06 2014-02-06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30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9142A (zh) * 2015-12-30 2016-03-30 吉林省聚科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含羧基结构聚酰亚胺/纳米二氧化硅复合多孔薄膜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49142A (zh) * 2015-12-30 2016-03-30 吉林省聚科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含羧基结构聚酰亚胺/纳米二氧化硅复合多孔薄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4306B2 (en) Composite membranes for flow batteries
Wang et al. Nafion/TiO 2 hybrid membrane fabricated via hydrothermal method for vanadium redox battery
Shin et al. A review of current developments in non-aqueous redox flow batteries: characterization of their membranes for design perspective
KR101265201B1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용 격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US10147957B2 (en)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designed flow field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US20050074653A1 (en) Redox cell with non-selective permionic separator
KR101389325B1 (ko) 연료전지용 음이온 교환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63726B1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
KR20150145046A (ko) 리튬 이차 전지용 리튬 전극의 표면 보호막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1549525B1 (ko) 레독스 흐름전지용 바나듐 이온 저투과성 양쪽성 이온 교환막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KR20180100457A (ko) 최대 물 영역 클러스터 크기를 갖는 수화 이온-교환막을 갖는 흐름 전지
KR20120130953A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
CN113169366A (zh) 氧化还原液流电池用隔膜及其制造方法
CN111201655B (zh) 隔膜复合体及氧化还原液流电池
KR20150093030A (ko) 이차전지용 하이브리드 이온교환막
Nonjola et al. Membrane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technologies
CN110326144B (zh) 聚合物电解质膜及其制备方法、电化学电池和液流电池、用于聚合物电解质膜的组合物
JP2003510791A (ja) 再充電できる改良Ni−Zn電池
JPS62226580A (ja) レドツクスフロ−電池
KR20100052104A (ko)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수용성 모노머에 의해 가교된 고분자 전해질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56941A (ko) 고내구성 레독스 흐름전지용 바나듐 이온 저투과성 음이온 교환막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전지
WO2021019497A1 (en) Zipped ion-exchange membrane
JPH06267522A (ja) 亜鉛−臭素電池の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