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817A -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디지타이저 모듈 - Google Patents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디지타이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817A
KR20150092817A KR1020140013245A KR20140013245A KR20150092817A KR 20150092817 A KR20150092817 A KR 20150092817A KR 1020140013245 A KR1020140013245 A KR 1020140013245A KR 20140013245 A KR20140013245 A KR 20140013245A KR 20150092817 A KR20150092817 A KR 20150092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disposed
sensor substrate
loop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지현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2817A/ko
Priority to US14/454,269 priority patent/US20150220192A1/en
Publication of KR2015009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quid Crystal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공급하는 광원 유닛, 및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유닛을 위한 전원 배선이 배치되어 있는 디지타이저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디지타이저 모듈{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GITIZER MODUL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및 디지타이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타이저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디지타이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휴대용 액정 표시 장치에 디지타이저(digitizer)가 장착되면 세밀한 터치가 구현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는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와 달리,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지시한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장치로서, 직관적이고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디지타이저의 한 형태로 전자기 공명(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방식이 있다. EMR 방식은 복수의 코일을 포함한 디지타이저 센서 기판을 이용하며, 사용자가 펜을 움직임에 따라 펜의 자기장에 의해 코일에 유도된 신호를 읽어서 펜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식이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 디지타이저는 별도로 마련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후면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는 더 두꺼워질 수밖에 없다. 디지타이저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은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최근 경향에 역행하는 것이다.
디지타이저에 의해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다지타이저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디지타이저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디지타이저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공급하는 광원 유닛, 및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유닛을 위한 전원 배선이 배치되어 있는 디지타이저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타이저 모듈은 상기 도광판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 모듈은 상기 도광판과 겹치는 제1 영역 및 상기 도광판과 겹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디지타이저 모듈의 상기 제2 영역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과 상기 디지타이저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 모듈의 전면에 코딩되어 백색으로 빛을 반사하는 반사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지타이저 모듈은, 복수의 루프 코일이 배열되어 있는 EMR 센서 기판, 및 상기 EMR 센서 기판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EMR 센서 기판의 전자기장 형성을 유도하는 자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마그네틱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R 센서 기판은, 제1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제1 루프 코일,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제2 루프 코일, 및 상기 전원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루프 코일 및 상기 제2 루프 코일은 상기 도광판과 겹치는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도광판과 겹치지 않는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제2 영역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EMR 센서 기판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기 EMR 센서 기판은, 상기 제1 루프 코일, 상기 제2 루프 코일 및 상기 전원 배선에 연결되어 외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 모듈은 복수의 루프 코일이 배열되어 있는 EMR 센서 기판, 상기 EMR 센서 기판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EMR 센서 기판의 전자기장 형성을 유도하는 자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마그네틱 시트,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 유닛을 위한 전원 배선을 포함한다.
상기 EMR 센서 기판 위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R 센서 기판은 상기 도광판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EMR 센서 기판은 상기 도광판과 겹치는 제1 영역 및 상기 도광판과 겹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제2 영역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과 상기 EMR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R 기판의 전면에 코딩되어 백색으로 빛을 반사하는 반사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R 센서 기판은, 제1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제1 루프 코일, 및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제2 루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루프 코일 및 상기 제2 루프 코일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EMR 센서 기판은, 상기 제1 루프 코일, 상기 제2 루프 코일 및 상기 전원 배선에 연결되어 외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MR 센서 기판은 FPCB일 수 있다.
디지타이저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그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디지타이저 모듈의 일체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EMR 센서 기판의 배선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디지타이저 모듈의 일체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마찬가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디지타이저 모듈의 일체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EMR 센서 기판의 배선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10), 액정 패널(10)의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스크린 패널(60), 액정 패널(10)의 후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 및 액정 패널(10)의 후면에 배치되는 디지타이저 모듈(50)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터치스크린 패널(60), 액정 패널(10), 백라이트 어셈블리(20) 및 디지타이저 모듈(50)의 측면을 감싸는 몰드 프레임(mold frame)(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액정 표시 장치는 몰드 프레임(30)의 외부 측면을 감싸고 몰드 프레임(30)과 디지타이저 모듈(50)의 하부면을 지지하며 감싸는 바텀 새시(bottom chassi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정 패널(10)은 서로 마주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 및 컬러 필터 기판(12),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과 컬러 필터 기판(12)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액정층(미도시), 컬러 필터 기판(12)과 터치스크린 패널(6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편광판(13),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과 백라이트 어셈블리(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편광판(14)을 포함한다. 액정 패널(10)은 화소 단위를 이루는 복수의 액정 셀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영상 신호에 따라 복수의 액정 셀의 광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에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점에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에는 화소 전극이 연결되어 있으며,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화소 전극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다.
컬러 필터 기판(12)에는 통과하는 빛을 소정의 색으로 발현하는 컬러 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컬러 필터 기판(12)에는 화소 전극에 대향하는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공통 전극에는 일정한 레벨의 공통 전압이 인가되고,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전기장이 생성된다. 전기장에 따라 액정층의 액정 분자가 정렬되어 광투과율이 조절된다.
컬러 필터 기판(12)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에 비해 면적이 작을 수 있으며, 컬러 필터 기판(12)과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1)이 겹치는 부분은 액정 패널(10)의 표시 영역이 되고, 겹치지 않는 부분은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이 된다.
제1 편광판(13)과 제2 편광판(14)은 서로 교차 편광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편광판(14)은 액정 패널(10)에 입사되는 빛을 편광하고, 제1 편광판(13)은 검광자(analyser)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백라이트 어셈블리(20)는 액정 패널(10)의 후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도광판(22), 도광판(22)의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도광판(22)으로 빛을 공급하는 광원 유닛(24), 광원 유닛(24)을 수용하며 광원 유닛(24)에서 조사되는 빛을 도광판(22)으로 반사하는 광원 반사부(25), 도광판(22)의 전면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10)로 향하는 빛을 확산 및 집광하는 광학 시트류(21) 및 도광판(22)의 후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23)를 포함한다.
도광판(22)은 광원 유닛(24)으로부터 빛이 입사되는 입사면, 입사면과 직각을 이루며 액정 패널(10)에 평행한 출사면, 입사된 광이 출사면으로 진행하도록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배면을 포함한다. 도광판(22)은 광원 유닛(24)으로부터 입사된 빛을 평면광으로 바꾸어 출사면을 통해 액정 패널(10)로 균일하게 조사한다. 도광판(22)으로는 투과율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은 PMMA(Polymethylmethacrylate)가 사용될 수 있다.
광학 시트류(21)는 확산 시트(211), 프리즘 시트(212) 및 보호 시트(213)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211)는 도광판(22)으로부터 액정 패널(10)로 조사되는 빛의 부분적인 밀집으로 액정 패널(10)에 얼룩이 발생되지 않도록 빛을 확산시켜 빛의 균일성을 향상시킨다. 프리즘 시트(212)는 확산 시트(211)를 통과한 빛이 수직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휘도를 향상시킨다. 보호 시트(213)는 확산 시트(211) 및 프리즘 시트(212)를 보호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확산 시트(211), 프리즘 시트(212), 보호 시트(213) 이외에도 광학 시트류(21)에는 다양한 종류의 광학 시트가 포함될 수 있다.
반사 시트(23)는 도광판(22)을 통해 액정 패널(10)의 반대 방향으로 투과되는 빛을 도광판(22)으로 반사시킨다. 반사 시트(23)를 이용하여 빛의 손실을 줄이고 액정 패널(10) 방향으로 투과되는 빛의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디지타이저 모듈(50)은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센서 기판(51) 및 EMR 센서 기판(51)의 후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틱 시트(52)를 포함한다. EMR 센서 기판(51)에는 복수의 루프 코일이 배열된다. 예를 들어, EMR 센서 기판(51)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복수의 루프 코일이 한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이에 직교한 방향으로 동일한 형태의 복수의 루프 코일이 중복 배열될 수 있다. 마그네틱 시트(52)는 EMR 센서 기판(51)의 전자기장 형성을 유도하기 위한 자성 물질로 구성된다. 마그네틱 시트(52)는 대략 25um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자성이 우수한 비결정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EMR 센서 기판(51)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로 마련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 모듈(50)은 백라이트 어셈블리(20)의 도광판(22)의 후면에 배치되고, 도광판(22)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된다. 디지타이저 모듈(50)에서 도광판(22)과 겹치는 영역(B)에는 복수의 루프 코일이 배치되고, 도광판(22)과 겹치지 않는 영역(A)에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의 광원 유닛(24)을 위한 전원 배선이 배치된다. 광원 유닛(24)은 디지타이저 모듈(50)의 전원 배선이 배치된 영역(A)에 실장된다. 즉, 광원 유닛(24)과 디지타이저 모듈(50)이 동일한 FPCB에 함께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광원 유닛(24)을 위한 별도의 FPCB가 필요하지 않게 되고, 액정 표시 장치의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액정 표시 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디지타이저 모듈(50)에서 도광판(22)과 겹치는 영역(B)은 표시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디지타이저 모듈(50)에서 도광판(22)과 겹치지 않는 영역(A)은 비표시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30)은 액정 패널(10), 백라이트 어셈블리(20) 및 디지타이저 모듈(50)을 측면을 감싸며, 상하부면이 뚫려 있다. 몰드 프레임(30)의 일 측면에는 광원 유닛(24)과 광원 반사부(25)가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텀 새시(40)는 액정 패널(10), 백라이트 어셈블리(20), 디지타이저 모듈(50) 및 몰드 프레임(30)을 지지하고, 몰드 프레임(30)의 측면을 감싸고 디지타이저 모듈(50)과 몰드 프레임(30)의 전체 하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바텀 새시(40)는 마그네슘, 알루미늄, 비자성 SUS(Steel Use Stainless) 등의 비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보면, EMR 센서 기판(51)은 제1 루프 코일(510), 제2 루프 코일(510), 전원 배선(530) 및 연결부(540)를 포함한다.
제1 루프 코일(510) 및 제2 루프 코일(520)은 도광판(22)과 겹치는 영역(B)에 배치된다. 전원 배선(530)은 도광판(22)과 겹치지 않는 영역(A), 즉 EMR 센서 기판(51) 위의 일 영역에 배치된다.
제1 루프 코일(510)은 제1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다. 제2 루프 코일(520)은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된다. 제1 루프 코일(510) 및 제2 루프 코일(520)은 서로 겹쳐서 배치된다. 제1 루프 코일(510) 및 제2 루프 코일(520) 중 어느 하나는 자기장 필드 형성을 위한 구동 채널이 되고, 다른 하나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수신 채널이 될 수 있다.
제1 루프 코일(510)은 제1 전극층에 배치되고, 제2 루프 코일(520)은 제1 전극 위에 위치하는 제2 전극층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층과 제2 전극층 사이에는 제1 절연층이 형성되어 제1 루프 코일(510)과 제2 루프 코일(520)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제2 전극층 위에는 제2 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연층 위에 전원 배선(530)이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배선(530)이 배치된 영역에 광원 유닛(24)을 실장함으로써 광원 유닛(24)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제1 루프 코일(510), 제2 루프 코일(520) 및 전원 배선(530)은 구리(Cu),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은(Ag) 등의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EMR 센서 기판(51)은 액정 패널(10)의 투과율과 무관하므로, 제1 루프 코일(510), 제2 루프 코일(520) 및 전원 배선(530)의 선폭, 두께, 위치 등의 제약이 거의 없으며, EMR 방식이 요구하는 낮은 저항을 포함하는 설계 자유도가 주어진다.
제1 루프 코일(510), 제2 루프 코일(520) 및 전원 배선(530)은 연결부(540)에 연결되고, 연결부(540)는 제1 루프 코일(510), 제2 루프 코일(520) 및 전원 배선(530)에 외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연결부(540)를 통해 제1 루프 코일(510) 및 제2 루프 코일(520)은 디지타이저 모듈(50)의 구동을 제어하는 EMR IC(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고, 전원 배선(530)은 광원 유닛(24)을 구동을 제어하는 전원 IC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타이저 모듈(50)의 일 측면의 가장자리 일부에 백라이트 어셈블리(20)의 광원 유닛(24)을 위한 전원 배선을 배치함으로써, 광원 유닛(24)이 디지타이저 모듈(50)에 실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원 유닛(24)을 위한 별도의 FPCB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타이저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디지타이저 모듈의 일체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4의 액정 표시 장치와의 차이점으로, 디지타이저 모듈(50)의 전면이 반사 코팅층(23')으로 코팅되고, 도광판(22)의 후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23)가 생략된다. 반사 코팅층(23')으로는 백색으로 빛을 반사할 수 있는 다양한 코팅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사 코팅층(23')의 코팅 재료로는 ZrO2, SiO2, Al2O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반사 코팅층(23')은 디지타이저 모듈(50)과 도광판(22)이 겹치는 영역(B)에만 코딩될 수 있다. 또는 반사 코팅층(23')은 디지타이저 모듈(50)과 도광판(22)이 겹치는 영역(B)뿐만 아니라 겹치지 않는 영역(A)에도 코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광원 유닛(24)을 위한 전원 배선은 반사 코팅층(23')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 코팅층(23') 이외의 구성은 도 1 내지 4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디지타이저 모듈(50)의 표면에 반사 코팅층(23')이 형성됨으로써 디지타이저 모듈(50)이 반사 시트(23)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지타이저 모듈(50)과 백라이트 어셈블리(20)가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액정 패널 11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12 : 컬러 필터 기판 13 : 제1 편광판
14 : 제2 편광판 20 : 백라이트 어셈블리
21 : 광학 시트류 22 : 도광판
23 : 반사 시트 23' : 반사 코팅층
24 : 광원 유닛 25 : 광원 반사부
30 : 몰드 프레임 40 : 바텀 새시
50 : 디지타이저 모듈 51 : EMR 센서 기판
52 : 마그네틱 시트

Claims (20)

  1.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일 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으로 빛을 공급하는 광원 유닛; 및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유닛을 위한 전원 배선이 배치되어 있는 디지타이저 모듈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 모듈은 상기 도광판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액정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 모듈은 상기 도광판과 겹치는 제1 영역 및 상기 도광판과 겹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디지타이저 모듈의 상기 제2 영역에 실장되는 액정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과 상기 도광판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시트류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디지타이저 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 모듈의 전면에 코딩되어 백색으로 빛을 반사하는 반사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 모듈은,
    복수의 루프 코일이 배열되어 있는 EMR 센서 기판; 및
    상기 EMR 센서 기판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EMR 센서 기판의 전자기장 형성을 유도하는 자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마그네틱 시트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센서 기판은,
    제1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제1 루프 코일;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제2 루프 코일; 및
    상기 전원 배선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코일 및 상기 제2 루프 코일은 상기 도광판과 겹치는 제1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도광판과 겹치지 않는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제2 영역에 실장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센서 기판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인 액정 표시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센서 기판은,
    상기 제1 루프 코일, 상기 제2 루프 코일 및 상기 전원 배선에 연결되어 외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복수의 루프 코일이 배열되어 있는 EMR 센서 기판;
    상기 EMR 센서 기판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EMR 센서 기판의 전자기장 형성을 유도하는 자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마그네틱 시트; 및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광원 유닛을 위한 전원 배선을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모듈.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센서 기판 위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모듈.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센서 기판은 상기 도광판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디지타이저 모듈.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센서 기판은 상기 도광판과 겹치는 제1 영역 및 상기 도광판과 겹치지 않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 배선은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유닛은 상기 제2 영역에 실장되는 디지타이저 모듈.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EMR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모듈.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EMR 기판의 전면에 코딩되어 백색으로 빛을 반사하는 반사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모듈.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센서 기판은,
    제1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제1 루프 코일; 및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제2 루프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루프 코일 및 상기 제2 루프 코일은 상기 제1 영역에 배치되는 디지타이저 모듈.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센서 기판은,
    상기 제1 루프 코일, 상기 제2 루프 코일 및 상기 전원 배선에 연결되어 외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타이저 모듈.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EMR 센서 기판은 FPCB인 디지타이저 모듈.
KR1020140013245A 2014-02-05 2014-02-05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디지타이저 모듈 KR20150092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245A KR20150092817A (ko) 2014-02-05 2014-02-05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디지타이저 모듈
US14/454,269 US20150220192A1 (en) 2014-02-05 2014-08-07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igitizer module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245A KR20150092817A (ko) 2014-02-05 2014-02-05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디지타이저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817A true KR20150092817A (ko) 2015-08-17

Family

ID=5375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245A KR20150092817A (ko) 2014-02-05 2014-02-05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디지타이저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50220192A1 (ko)
KR (1) KR2015009281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584A (ko) 2018-02-23 2019-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Oled 일체형 디지타이저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03872A (ko) 2018-02-28 2019-09-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0059907A1 (ko) * 2018-09-20 2020-03-26 아크로웰 주식회사 Fpcb형 인덕티브 센서를 이용한 보안용지 식별장치
KR20210135855A (ko) * 2020-05-06 2021-11-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Emr 센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2211401A1 (ko) * 2021-03-29 2022-10-06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22211410A1 (ko) * 2021-03-31 2022-10-06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2479A1 (en) * 2014-03-31 2015-10-08 Lg Innotek Co., Ltd. Touch panel for improving cross structure of sensing pattern
KR20220039920A (ko) * 2020-09-21 2022-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WO2022249495A1 (ko) * 2021-05-28 2022-12-01
WO2023121068A1 (ko) * 2021-12-21 2023-06-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71161B (en) * 2002-07-30 2004-01-11 Au Optronics Corp A flat panel display in which a digitizer is integrated
KR100510728B1 (ko) * 2003-03-28 2005-08-30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Em 센서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JP4968658B2 (ja) * 2005-08-02 2012-07-04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545461B2 (en) * 2006-07-25 2009-06-09 Kyocera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392927B (zh) * 2009-08-11 2013-04-11 Au Optronics Corp 低電磁式觸控感應干擾之背光模組及顯示裝置
KR20140132879A (ko) * 2013-05-08 2014-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1584A (ko) 2018-02-23 2019-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Oled 일체형 디지타이저 및 그 제조 방법
US11094756B2 (en) 2018-02-23 2021-08-17 Dongwoo Fine-Chem Co., Ltd. OLED integrated digitizer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90103872A (ko) 2018-02-28 2019-09-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0059907A1 (ko) * 2018-09-20 2020-03-26 아크로웰 주식회사 Fpcb형 인덕티브 센서를 이용한 보안용지 식별장치
KR20210135855A (ko) * 2020-05-06 2021-11-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Emr 센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2211401A1 (ko) * 2021-03-29 2022-10-06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22211410A1 (ko) * 2021-03-31 2022-10-06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20192A1 (en)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2817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디지타이저 모듈
EP2474889B1 (en) Digitizer-integrated display module
JP5085882B2 (ja) 液晶表示装置
CN106371245B (zh) 背光单元和包括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装置
US966495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132879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125906B1 (ko) 액정 표시 장치
US20070012489A1 (en) Display device and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US10019114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digitizer
US2016025573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81726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60334560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ccommodating member
US9874676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961942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5942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JP2018147051A (ja) 表示装置
JP5518536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971177B2 (en) Display device
US9395477B2 (en) Display apparatus
US954718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037298A (ko) 터치 표시장치
KR2015006974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14295A (ko) Emr 센서 필름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40094879A (ko) 백라이트 조립체 및 표시 장치
KR20060022118A (ko)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