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720A -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 - Google Patents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720A
KR20150091720A KR1020140012295A KR20140012295A KR20150091720A KR 20150091720 A KR20150091720 A KR 20150091720A KR 1020140012295 A KR1020140012295 A KR 1020140012295A KR 20140012295 A KR20140012295 A KR 20140012295A KR 20150091720 A KR20150091720 A KR 20150091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rightness
power
unit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451B1 (ko
Inventor
이윤희
전상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토텍
Priority to KR1020140012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45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AC 전원이 필터와 정류부룰 거쳐 트랜스의 1차측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트랜스의 2차측의 제1 탭에서 정전압부를 거친 DC 전원을 공급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PFC와 스위칭부를 통하여 상기 트랜스의 1차측 전류값을 변화시키면서 트랜스의 2차측의 제2 탭에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를 20W, 30W, 40W 및 50W 중 선택된 밝기로 점등하도록 하고,
상기 정전압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팬구동부을 통하여 냉각용 팬을 구동하는 중에 팬구동 인식부를 통하여 냉각용 팬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가를 인지하여 구동하지 않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를 15W의 최소 밝기로 점등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리모콘의 업 스위치로 선택하면서 세팅스위치로 설정한 밝기의 상태를 적외선 송신부 및 적외선 수신부를 통하여 전달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밝기의 제어신호를 상기의 PFC로 출력하면서 선택된 경우 세팅하도록 함으로써 주위 환경에 따라 밝기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LED security light}
본 발명은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필터와 정류부와 트랜스 및 정전압부를 거친 DC 전원을 공급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사용자가 리모콘의 업 스위치와 세팅스위치로 선택한 밝기를 인식한 후, PFC와 스위칭부를 통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를 20W, 30W, 40W 및 50W 중 선택된 밝기로 점등하도록 하고, 상기 정전압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팬구동부을 통하여 냉각용 팬을 구동하는 중에 팬구동 인식부를 통하여 냉각용 팬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가를 인지하여 구동하지 않는 경우 15W의 최소 밝기로 점등하도록 한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안등을 비롯한 램프는 도로상 또는 골목길, 공원 등 필요한 지역에 설치되어 야간 통행자가 불편함 없이 다닐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명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보안등을 비롯한 램프는 대부분 고전력을 사용하는 나트륨등, 수은등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근에는 소비전력이 낮은 LED를 이용한 가로등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종래의 절전기능을 갖는 보안등(2013년 07월 19일자 특허등록 제10-1289748호)은 도 및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중앙부에 힌지(51)가 형성되어 힌지(51)를 기점으로 상부가 회동되도록 구성된 지주(50);
지주(50)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에 조명등이 수용되는 케이스(100);
일반용 전구(310)와 절전용 전구(330)로 구성되되,
타이머(550)에 정해진 시간이 되거나, 통행인 또는 차량이 센서(500)에 감지되거나, 고장으로 인해 절전용 전구(330)가 점등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용 전구(310)가 점등되고,
타이머(550)에 정해진 시간이 되거나, 통행인 또는 차량이 센서(500)에 감지되지 않거나, 고장으로 인해 일반용 전구(310)가 점등되지 않는 경우에는 절전용 전구(330)가 점등되도록 전원이 절체되는 조명등(300);
안정기(600), 일반용 전구(310) 및 절전용 전구(330) 사이에 위치하며, 안정기(600)로부터 일반용 전구(310)로 전원을 절체하는 제1절체부(721), 안정기(600)로부터 절전용 전구(330)로 전원을 절체하는 제2절체부(722)로 이루어진 절체부(720),
제1절체부(721)와 일반용 전구(310)사이에 위치하는 제1LED(711), 제2절체부(722)와 절전용 전구(330)사이에 위치하는 제2 LED(712), 일반용 전구(310)의 고장을 감지하는 감지부(730) 및 제어부(740)로 구성된 고장식별장치(700);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안등은 설치된 위치에 따라 보안등을 비롯한 램프가 너무 밝게 비추는 상태이거나 너무 흐린 상태로 비추게 되므로 주위의 환경에 따라 밝기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시킬 필요가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와 정류부와 트랜스 및 정전압부를 거친 DC 전원을 공급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사용자가 리모콘의 업 스위치와 세팅스위치로 선택한 밝기를 인식한 후, PFC와 스위칭부를 통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는 20W, 30W, 40W 및 50W 중 선택된 밝기로 점등하도록 한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전압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팬구동부을 통하여 냉각용 팬을 구동하는 중에 팬구동 인식부를 통하여 냉각용 팬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가를 인지하여 구동하지 않는 경우 15W의 최소 밝기로 점등하도록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는,
AC 전원이 필터와 정류부룰 거쳐 트랜스의 1차측에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트랜스의 2차측의 제1 탭에서 정전압부를 거친 DC 전원을 공급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PFC와 스위칭부를 통하여 상기 트랜스의 1차측 전류값을 변화시키면서 트랜스의 2차측의 제2 탭에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를 20W, 30W, 40W 및 50W 중 선택된 밝기로 점등하도록 하고,
상기 정전압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팬구동부을 통하여 냉각용 팬을 구동하는 중에 팬구동 인식부를 통하여 냉각용 팬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가를 인지하여 구동하지 않는 경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를 15W의 최소 밝기로 점등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리모콘의 업 스위치로 선택하면서 세팅스위치로 설정한 밝기의 상태를 적외선 송신부 및 적외선 수신부를 통하여 전달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밝기의 제어신호를 상기의 PFC로 출력하면서 선택된 경우 세팅하도록 함으로써 주위 환경에 따라 밝기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에 의하여서는 AC 전원이 필터와 정류부와 트랜스 및 정전압부를 거쳐 5V DC전원으로 공급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점등과 전력 조절에 따른 내부 동작을 제어하는 중에 전력 세팅부와 정전류부와 PFC 및 스위칭부를 통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를 20W, 30W, 40W 및 50W 중 선택된 밝기로 점등하거나 소등하도록 한다.
상기 정전압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팬구동부을 통하여 냉각용 팬을 구동하는 중에 팬구동 인식부를 통하여 냉각용 팬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가를 인지하여 구동하지 않는 경우 15W의 최소 밝기로 점등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리모콘의 업 스위치로 선택하면서 세팅스위치로 설정한 밝기의 상태를 적외선 송신부 및 적외선 수신부를 통하여 전달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밝기로 세팅하도록 함으로써 주위 환경에 따라 밝기를 조절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등회로 및 전등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등회로 및 전등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의 스위칭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입력되는 AC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noise)를 제거하여 내부의 소자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필터(1)와,
상기의 필터(1)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2)와,
상기의 정류부(2)를 통한 DC 전원이 1차측으로 인가되는 상태가 제어되면서 2차측에 유기되는 DC 전원도 달라지도록 하는 트랜스(3)와,
상기의 트랜스(3)의 2차측의 제1 탭을 통하여 유기되는 DC 전원으로부터 내부의 동작에 필요한 5V DC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정전압부(4)와,
상기 정전압부(4)로부터의 5V DC전원을 공급받아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점등과 전력 조절에 따른 내부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선택적으로 온 시키면서 램프의 밝기의 조절을 위한 전력 세팅신호를 출력하는 전력 세팅부(6)와,
상기 전력 세팅부(6)로부터의 전력 세팅신호에 의한 기준 전류값을 입력받으면서 램프에 현재 흐르고 있는 전류값에 해당하는 비교전류값을 입력받아 항상 정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정전류부(7)와,
상기의 장전류부(7)를 통하여 전달되는 전류값에 의하여 파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FC(8)와,
상기 PFC(8)의 파형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트랜스(3)의 1차측에 인가되는 전원을 변화시켜 트랜스(3)의 2차측의 제2 탭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원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렘프(10)를 15W, 20W, 30W, 40W 및 50W 중 선택된 밝기로 점등하도록 하는 스위칭부(9)와,
상기 정전압부(4)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냉각용 팬(12)을 구동하는 팬구동부(11)와,
상기의 팬구동부(11)를 통하여 냉각용 팬(12)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가를 인지하여 냉각용 팬(12)이 정상적으로 구동하지 않는 경우 15W의 최소 밝기로 점등하도록 "H"를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 출력하는 팬구동 인식부(13)와,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밝기에 따른 선택신호를 전달받아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 출력하는 적외선 수신부(14)와,
사용자가 한 번씩 온 시킬 때마다 그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현재 밝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리모콘(20)의 업 스위치(21)와,
사용자가 온 시키면 현재 선택된 밝기로 세팅하도록 하면서 3 내지 10초 이내에 온 시키지 않으면 먼저 세팅된 밝기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를 점등하도록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20)의 세팅스위치(22)와,
사용자가 상기의 업 스위치(21)와 세팅스위치(22)를 온 시키는 상태에 따른 선택신호를 적외선 수신부(12)로 무선 전송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리모콘(20)의 적외선 송신부(23)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의 전력 세팅부(6)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부터 다수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서 15W, 20W, 30W, 40W 및 50W의 종류에 따라 점차 작아지는 저항값을 갖는 저항(R1)(R2)(R3)(R4)(R5)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1)(Q2)(Q3)(Q4)(Q5)를 선택적으로 온 시키면서 전력 세팅신호를 정전류부(7)로 출력함으로써 그 출력에 의하여 PFC(8)와 스위칭부(9)를 통하여 트랜스(3)의 1차측에 인가되는 전원을 변화시켜 트랜스(3)의 2차측의 제2 탭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원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8)를 15W, 20W, 30W, 40W 및 50W 중 선택된 밝기로 점등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는,
필터(1)에서는 입력되는 AC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noise)를 제거하여 내부의 소자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의 필터(1)를 경유하여 AC 전원을 공급받는 정류부(2)에서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상기의 정류부(2)를 통한 DC 전원이 1차측으로 인가되는 트랜스(3)에서는 1차측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상태에 의하여 2차측에 유기되는 DC 전원도 달라지면서 내부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의 트랜스(3)의 2차측의 제1 탭을 통하여 유기되는 DC 전원을 공급받는 정전압부(4)에서는 DC 전원으로부터 내부의 동작에 필요한 5V DC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정전압부(4)로부터의 5V DC전원을 공급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에서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점등과 전력 조절에 따른 내부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의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전력 세팅부(6)에서 다수의 트랜지스터를 선택적으로 온 시키면서 램프의 밝기의 조절을 위한 전력 세팅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전력 세팅부(6)로부터의 전력 세팅신호에 의한 기준 전류값을 입력받는 정전류부(7)에서는 램프에 현재 흐르고 있는 전류값에 해당하는 비교전류값을 입력받아 항상 램프의 밝기에 따른 정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상기의 장전류부(7)를 통하여 정전류가 흐르도록 전류값을 전달받는 PFC(8)에서는 전달되는 전류값에 의하여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파형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PFC(8)의 파형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스위칭부(9)에서는 상기 트랜스(3)의 1차측에 인가되는 전원을 변화시켜 트랜스(3)의 2차측의 제2 탭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원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렘프(10)를 15W, 20W, 30W, 40W 및 50W 중 선택된 밝기로 점등하도록 한다.
상기 정전압부(5)를 통하여 DC 전원을 공급받는 팬구동부(11)에서는 냉각용 팬(12)을 구동하도록 한다.
상기의 팬구동부(11)를 통하여 냉각용 팬(12)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가를 인지하는 팬구동 인식부(13)에서는 냉각용 팬(12)이 정상적으로 구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15W의 최소 밝기로 램프(10)를 점등하도록 "H"를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 출력하여 전력 세팅부(6)의 두 저항(R1)(R6)에 의해 분압된 전압에 의한 전력 세팅신호에 의해 15W의 최소 밝기로 램프(10)를 점등하도록 한다.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밝기에 따른 선택신호를 전달받는 적외선 수신부(14)에서는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리모콘(20)의 업 스위치(21)를 한 번씩 온 시킬 때마다 그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현재 밝기를 조절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리모콘(20)의 세팅스위치(22)를 온 시키면 현재 선택된 램프의 밝기로 세팅하도록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3 내지 10초 이내에 세팅스위치(22)를 온 시키지 않으면 먼저 세팅된 밝기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를 점등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기의 업 스위치(21)와 세팅스위치(22)를 온 시키면 리모콘(20)의 적외선 송신부(23)에서 그 상태에 따른 선택신호를 적외선 수신부(12)로 무선 전송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의 전력 세팅부(6)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부터 다수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서 20W, 30W, 40W 및 50W의 종류에 따라 점차 작아지는 저항값을 갖는 저항(R2)(R3)(R4)(R5)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2)(Q3)(Q4)(Q5)를 선택적으로 온 시키면서 저항(R6)과의 분압된 전압에 의한 전력 세팅신호가 정전류부(7)와 PFC(8) 및 스위칭부(9)를 경유하여 트랜스(3)의 1차측에 인가되는 전원을 변화시켜 트랜스(3)의 2차측의 제2 탭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원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10)를 20W, 30W, 40W 및 50W 중 선택된 밝기로 점등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로 기술한다.
필터(1)에서는 입력되는 AC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noise)를 제거하여 내부의 소자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상기의 필터(1)를 경유하여 AC 전원을 공급받는 정류부(2)에서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상기의 정류부(2)를 통한 DC 전원이 1차측으로 인가되는 트랜스(3)에서는 1차측으로 인가되는 전원의 상태에 의하여 2차측에 유기되는 DC 전원도 달라지면서 내부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의 트랜스(3)의 2차측의 제1 탭을 통하여 유기되는 DC 전원을 공급받는 정전압부(4)에서는 DC 전원으로부터 내부의 동작에 필요한 5V DC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상기 정전압부(4)로부터의 5V DC전원을 공급받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에서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점등과 전력 조절에 따른 내부 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의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펄스 폭 변조부(15)에서 DC 전원의 펄스 폭이 변화면서 램프의 밝기의 조절을 위한 전력 세팅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펄스 폭 변조부(15)로부터의 전력 세팅신호에 의한 기준 전류값을 입력받는 정전류부(7)에서는 램프에 현재 흐르고 있는 전류값에 해당하는 비교전류값을 입력받아 항상 램프의 밝기에 따른 정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상기의 장전류부(7)를 통하여 정전류가 흐르도록 전류값을 전달받는 PFC(8)에서는 전달되는 전류값에 의하여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파형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PFC(8)의 파형 제어신호를 전달받는 스위칭부(9)에서는 상기 트랜스(3)의 1차측에 인가되는 전원을 변화시켜 트랜스(3)의 2차측의 제2 탭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원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렘프(10)를 15W, 20W, 30W, 40W 및 50W 중 선택된 밝기로 점등하도록 한다.
상기 정전압부(5)를 통하여 DC 전원을 공급받는 팬구동부(11)에서는 냉각용 팬(12)을 구동하도록 한다.
상기의 팬구동부(11)를 통하여 냉각용 팬(12)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가를 인지하는 팬구동 인식부(13)에서는 냉각용 팬(12)이 정상적으로 구동하지 않는 경우 15W의 최소 밝기로 램프(10)를 점등하도록 "H"를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 출력한다.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밝기에 따른 선택신호를 전달받는 적외선 수신부(14)에서는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리모콘(20)의 업 스위치(21)를 한 번씩 온 시킬 때마다 그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현재 밝기를 조절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리모콘(20)의 세팅스위치(22)를 온 시키면 현재 선택된 램프의 밝기로 세팅하도록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한편, 3 내지 10초 이내에 세팅스위치(22)를 온 시키지 않으면 먼저 세팅된 밝기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를 점등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상기의 업 스위치(21)와 세팅스위치(22)를 온 시키면 리모콘(20)의 적외선 송신부(23)에서 그 상태에 따른 선택신호를 적외선 수신부(12)로 무선 전송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필터 2 : 정류부
3 : 트랜스 4 : 정전압부
5 : 마이크로 프로세서 6 : 전력 세팅부
7 : 정전류부 8 : PFC
9 : 스위칭부 10 : 램프
11 : 팬구동부 12 : 냉각용 팬
13 : 팬구동 인식부 14 : 적외선 수신부
20 : 리모콘 21 : 업 스위치
22 : 세팅스위치 23 : 적외선 송신부

Claims (3)

  1. 입력되는 AC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noise)를 제거하여 내부의 소자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필터(1)와,
    상기의 필터(1)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류부(2)와,
    상기의 정류부(2)를 통한 DC 전원이 1차측으로 인가되는 상태가 제어되면서 2차측에 유기되는 DC 전원도 달라지도록 하는 트랜스(3)와,
    상기의 트랜스(3)의 2차측의 제1 탭을 통하여 유기되는 DC 전원으로부터 내부의 동작에 필요한 5V DC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정전압부(4)와,
    상기 정전압부(4)로부터의 5V DC전원을 공급받아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점등과 전력 조절에 따른 내부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5)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파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FC(6)와,
    상기 PFC(6)의 파형 제어신호에 의하여 다수의 트랜지스터가 선택적으로 온 되면서 트랜스(3)의 1차측에 인가되는 전원을 변화시켜 트랜스(3)의 2차측의 제2 탭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원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8)를 10W, 20W, 30W, 40W 및 50W 중 선택된 밝기로 점등하도록 하는 스위칭부(7)와,
    상기 정전압부(5)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냉각용 팬(10)을 구동하는 팬구동부(9)와,
    상기의 팬구동부(9)를 통하여 냉각용 팬(10)이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가를 인지하여 냉각용 팬(10)이 정상적으로 구동하지 않는 경우 15W의 최소 밝기로 점등하도록 "H"를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 출력하는 팬구동 인식부(11)와,
    외부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램프의 밝기에 따른 선택신호를 전달받아 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 출력하는 적외선 수신부(12)와,
    사용자가 한 번씩 온 시킬 때마다 그에 따른 선택신호를 출력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현재 밝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리모콘(20)의 업 스위치(21)와,
    사용자가 온 시키면 현재 선택된 램프의 밝기로 세팅하도록 하면서 3 내지 10초 이내에 온 시키지 않으면 먼저 세팅된 밝기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를 점등하도록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리모콘(20)의 세팅스위치(22)와,
    사용자가 상기의 업 스위치(21)와 세팅스위치(22)를 온 시키는 상태에 따른 선택신호를 적외선 수신부(11)로 무선 전송하여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리모콘(20)의 적외선 송신부(23)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스위칭부(6)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5)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면서 20W, 30W, 40W 및 50W의 종류에 따라 점차 작아지는 저항값을 갖는 저항(R1)(R2)(R3)(R4)(R5)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1)(Q2)(Q3)(Q4)(Q5)를 선택적으로 온 시키면서 파형 제어신호를 PFC(7)으로 출력함으로써 그 출력에 의하여 트랜스(3)의 1차측에 인가되는 전원을 변화시켜 트랜스(3)의 2차측의 제2 탭으로부터 유기되는 전원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8)를 20W, 30W, 40W 및 50W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밝기로 점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의 업 스위치(21)와 세팅스위치(22)를 온 시키는 상태에 따른 선택신호를 적외선 송신부(23)와 적외선 수신부(12)를 통하여 전달받은 마이크로 프로세서(5)의 제어에 의해 펄스 폭 변조부(15)에서 출력되는 DC 전원의 펄스 폭이 변화되면서 정전류부(7)로 전력 세팅신호를 출력하여 출력되는 전류에 위하여 PFC(8)와 스위칭부(9)에서 트랜스(3)를 거쳐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램프(10)의 밝기를 조절하면서 점등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
KR1020140012295A 2014-02-03 2014-02-03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 KR101727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295A KR101727451B1 (ko) 2014-02-03 2014-02-03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295A KR101727451B1 (ko) 2014-02-03 2014-02-03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720A true KR20150091720A (ko) 2015-08-12
KR101727451B1 KR101727451B1 (ko) 2017-06-15

Family

ID=5405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295A KR101727451B1 (ko) 2014-02-03 2014-02-03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4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8842A (zh) * 2017-11-07 2018-03-13 北京科技大学 一种电流信号远程无线传输方法及其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7234B1 (ja) 1999-12-15 2001-06-18 株式会社山陽ハイテック 照明装置
JP5560217B2 (ja) 2011-02-24 2014-07-23 株式会社サンレール Led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342245B1 (ko) 2012-10-18 2013-12-16 김남규 Led 전원 공급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8842A (zh) * 2017-11-07 2018-03-13 北京科技大学 一种电流信号远程无线传输方法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451B1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8704B2 (en) Two-level LED security light with motion sensor
CN103636292B (zh) 照明器的控制装置和方法
JP2010092776A (ja) Led駆動回路、led照明灯具、led照明機器、及びled照明システム
JP2014110244A (ja) Led照明装置、その電流レギュレータおよび電流レギュレーティング方法
WO2011016289A1 (ja) 照明装置
US20130271012A1 (en) Illumination system
US9516717B2 (en) Dimmable LED illuminating system, driver of the illuminating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the illuminating system
KR101007235B1 (ko) 조도 조절 조명 시스템
TWI462643B (zh) 螢光燈之調光發光系統及其感測裝置
KR101594699B1 (ko) 교류 전력선 통신 장치
JP2014176295A (ja) 照明装置
CN104394618A (zh) 一种实现多种照明功能的led发光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237034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
KR101727451B1 (ko) 램프의 전력 세팅장치
KR101844460B1 (ko) 호환형 엘이디 램프 제어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엘이디 램프 등기구
JP2014127426A (ja) 標識灯制御装置
US7633239B2 (en) Dimming circuit for controlling electrical power
US20150028757A1 (en) Single wire lighting driver control
KR20170038470A (ko) 원격 led 램프의 통합 제어 시스템
JP2010530731A (ja) 局所的レシーバを有する電気負荷制御装置
KR101698346B1 (ko) 별도의 배선없이 led 조명 제어를 수행하는 교류전원 벽스위치
JP2018106931A (ja) センサ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KR101823827B1 (ko) 엘이디 조명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시스템
JP5358605B2 (ja) 視線誘導灯及びこれを用いた自発光視線誘導システム
KR101117210B1 (ko) 엘이디 교통신호등 제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