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289A - 오미자 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미자 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1289A
KR20150091289A KR1020150105538A KR20150105538A KR20150091289A KR 20150091289 A KR20150091289 A KR 20150091289A KR 1020150105538 A KR1020150105538 A KR 1020150105538A KR 20150105538 A KR20150105538 A KR 20150105538A KR 20150091289 A KR20150091289 A KR 20150091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itable amount
composition
skin
root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9711B1 (ko
Inventor
모상현
이정훈
오승택
조승희
김지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에프디엔씨
Priority to KR102015010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71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련목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면서도 피부 콜라겐 합성능이 탁월하며, 모공축소, 미백, 피지분비억제, 보습, 항염, 여드름개선 효능 등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오미자 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Anti-aging Composition for Skin External Application Comprising Schizandra chinensis Placenta Culture Extracts}
본 발명은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햇빛은 우리의 삶에 꼭 필요한 반면 피부암이나 노화 등의 피부 장애, 백내장, 전신 면역 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자외선에 오래 노출되면 인체의 피부에서는 생체반응으로 염증 및 조직손상, 암의 발생, 노화의 촉진 등 다양한 피부변화를 일으킨다. 자외선에 의한 피부 반응 중 일광화상은 주로 UVB가 관여하며 홍반 형성 능력이 UVA에 비해 1,000배 정도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의 피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어 생기는 내인성 노화 (intrinsic aging)와, 외적으로는 각종 오염물질과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photoaging)에 의해, 피부가 얇아지며 (내인성 노화의 경우), 탄력이 감소하게 되며 자외선 조사에 노출됨에 따라 표피 내 각질형성세포와 멜라닌세포가 UVB에 의해 세포손상을 받게 된다. 피부 노화는 태양광선에 노출되지 않는 부위에서 나타나는 연대학적 노화 (chronologic aging)와 태양광선의 노출부에서 일어나는 퇴행성 변화가 연대학적 노화와 복합되어 일어나는 광인성 노화 (actinic ageing) 로 구분된다. 연대학적 노화에서는 특징적인 임상 피부소견으로 미세한 주름, 진피의 위축, 피하지방층의 감소 등이 관찰된다. 광노화 과정에서는 거칠고 깊은 주름(coatse wrinkling and furrowing)이 나타나고 비정상적인 탄력질양 물질 (elastotic material)이 축적되어 피부가 가죽같이 두터워지며 느슨해진다. 만성적 일광손상을 입은 피부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은 진피의 상부 쪽 교원질의 비정상적인 탄력질양 물질의 침착 (solar elastosis)과 프로테오글리칸 (proteoglycan)이 증가 되고 진피의 주단백질인 콜라겐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피층은 대다수의 제 1형 콜라겐 (type I collagen)과 약간의 제 2형 콜라겐(type II collagen), 엘라스틴 (elastin), 프로테오글리칸 (proteoglycan), 피브로넥틴 (fibronectin)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콜라겐은 피부에 강도와 장력을 부여하며 이로 인해 외부의 자극이나 힘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진피층의 90%를 차지하고 있어 콜라겐의 감소는 피부와 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에서는 내인성 노화나, 광노화에 의해 세포활성이 떨어지고, 신호전달체계가 불완전해지면서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MMPs (matrix metalloproteinases)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콜라겐의 생합성이 감소하여 주름살이 생기고 탄력이 감소하고, 피부흑화를 초래하는 멜라닌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피부 세포를 증식시키거나, 피부를 구성하는 기질물질을 증가시킴 으로써 피부를 두껍게 할 수 있는 물질, 피부를 구성하는 기질 물질인 콜라겐을 분해하는 MMPs의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 등이 주름, 탄력 상실, 피부흑화 등의 피부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밝혀져있다.
전 세계적으로 약 30만종의 식물이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유용성분들이 식물에 함유되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그 유용성분들은 세포의 정상적인 대사과정에서 부차적으로 생산되어 세포 내 특수한 장소에 축적되는 2차 대사산물로서, 생화학적,생태학적 관점에서 볼 때 미생물이나 외부 동물들로부터 식물체 자신을 방어하거나 생리활성 면에서 유리한 물질이라는 점에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식물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로는 알칼로이드(alkalo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 글리코사이드(glycosides), 테르페노이드(terpenoids) 등이 있다. 이러한 2차 대사산물에는 보습, 피부진정 및 수렴, 자외선차단, 미백, 각질제거, 피부노화 방지, 항산화, 피부주름 개선, 항균, 항염, 항암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들이 많다.
한편, 캘러스는 식물체에 상처가 났을 때, 상처의 세포가 분열 능력을 회복하여 상처를 막고 비대하여 지는 유상조직으로, 식물체에서 잘라낸 조직을 옥신을 함유한 배지에서 배양하는 방법 등에 의해 생기는 특수한 조직덩어리를 의미하며, 이러한 캘러스의 이용에 관해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중에 있다.
최근 들어 phytochemical 등 식물성 자원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 및 활용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목련에 관해서는 목련 줄기 추출물에 관한 화장료 조성물(특허문헌 1)에 관한 연구가 있었을 뿐, 목련 캘러스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수준이다.
따라서, 천연 유래 이면서도 부작용이 적은 안전한 대체 항노화, 미백, 항여드름, 항균, 항염, 항산화, 모공수축 등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9551호
본 발명자들은 항노화능이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노력하던 중, 목련목 식물의 태좌조직을 분리하고, 식물조직배양을 통해 배양하여 목련목 식물의 태좌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이 피부 세포의 성장 및 증식을 활성화시키고, 미백, 주름개선효능을 비롯한 항노화, 항염 및 항산화 효능 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목련목은 포포나무과(Annoaceae), 데게네리아과 (Degeneriaceae), 에우포마티아과 (Eupomatiaceae), 히만탄드라과 (Himantandraceae), 목련과 (Magnoliaceae), 오미자나무과(Schisandraceae), 녹나무과(Lauraceae) 또는 육두구과 (Myristicaceae)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목련목은 반려지(Annona squamosa),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목련(Magnolia),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 튤립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오미자 나무(Schizandra chinensis), 생달나무(Cinnamomum japonicum)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방지 또는 개선용, 항염용, 모공 축소용, 피지분비억제용, 여드름개선용, 피부보습용, 미백용, 또는 항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목련목 식물의 씨방내의 태좌조직을 분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세포에 독성이 없으면서도 피부 콜라겐 합성능이 탁월하며, 미백, 피부주름개선을 비롯한 항노화, 피부 보습, 항염, 모공 축소, 피지분비 억제, 여드름 개선 효능, 항균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목련목은 포포나무과(Annoaceae), 데게네리아과 (Degeneriaceae), 에우포마티아과 (Eupomatiaceae), 히만탄드라과 (Himantandraceae), 목련과 (Magnoliaceae), 오미자나무과(Schisandraceae), 녹나무과(Lauraceae) 또는 육두구과 (Myristicaceae)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목련목에 속하는 대표군으로, 반려지(Annona squamosa),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목련(Magnolia),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 튤립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오미자 나무(Schizandra chinensis), 생달나무(Cinnamomum japonicum), 더 구체적으로는, 반려지(Annona squamosa),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목련(Magnolia kobus), 백목련(Magnolia denudata), 태산목(Magnolia grandiflora), 튤립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함박꽃나무(Magnolia sieboldii), 자목련(Magnolia liliiflora), 일본목련(Magnolia obovata), 자주목련(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 오미자 나무(Schisandra chinensis), 생달나무(Cinnamomum japonicum)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고, 이러한 비율은 단지 바람직한 범위일 뿐이며, 예컨대, 하기 실시예에서는 1 중량%, 또는 2중량%의 경우를 실험한 결과를 포함하고 있으나, 0.1%, 0.5%, 5%, 10%에서도 우수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세포 생존율 또한 10%에서도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 이외에 20%, 30% 이상 경우도, 우수한 피부개선효과, 미백, 항염, 주름개선 기능 등을 가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배양체) 자체를 사용하거나, 배양물을 여과하여 사용하거나, 배양물을 파쇄하여 사용하거나, 배양물을 건조시켜 분말화한 다음, 정제수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상기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분말화하거나, 냉수추출법,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추출, 열수 추출 등이 있다. 여기서, 열수추출의 경우, 열탕증류기에서 8∼ 48시간동안, 80∼ 100℃ 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는다.
냉수 추출의 경우, 예컨대, 냉수 (15-25℃)에 상기 태좌조직 배양물 자체 또는 그것의 건조된 분말을 혼합하여 3일동안 추출하여 냉수추출물을 얻는다.
또는, 물, 유기 용매, 또는 이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추출한 액은 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생약의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약제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탄올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20-50% 에탄올 추출물, 일 구체예로써 50% 에탄올 추출물이 바람직하며, 추출방법은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50% 에탄올에 섞은 후 3일동안 교반하여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농축, 또는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추출물의 증류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노화란, 피부 보호 및 피부 상태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모공 수축, 축소,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면역질환 개선능,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피부자극 완화, 피부 세포 증식 및 재생능, 항산화능, 콜라겐 합성 증진능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의 의미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써 항노화에 따른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써 주름개선효능과 관련된 콜라겐 합성, melanogenesis 저해에 따른 미백 효능, 피부보습, 모공 수축 또는 iNOS 억제 활성, 피지억제, 항균력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특히, 프로콜라겐 증가, 콜라겐 생합성 증가능을 가지고 있어,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방지용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미백, 모공수축, 피지억제, 항균, iNOS 억제 활성을 통한 항염, 피부 염증 예방, 완화, 경감, 치료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여러 유인제들 중, 100~300 M 메틸자스몬산(methyl jasmonic acid) 유인제 처리 및 고주파 처리 (하루동안 고주파를 240~270 kHz로 5~10분 간격으로 3~5번 처리), 2-4주 반복하는 경우, 유인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우수한 효능을 가진다.
이러한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의 효능은, 실험예들에서 구체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이 다른 부위, 예컨대, 꽃, 잎, 줄기, 뿌리 조직 유래 세포 배양물의 추출물에 비해 항염, 항산화, 보습, 주름방지, 미백, 모공수축, 피지억제, 여드름개선, 항균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폴리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탁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미백용, 주름 개선, 방지용, 항염, 피부보습용, 모공수축용, 피지분비억제용, 여드름 개선/방지용,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특히, 항균용 조성물의 경우,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포도상구균, 녹농균, 대장균, 캔디다효모, 사상균에 대한 항균 효능을 가진 조성물일 수 있다.
식물조직배양은 살아있는 작은 식물 조직을 기내(in vitro)에서 무균적으로 배양하여 배양 목적에 따라서 식물 세포, 기관 및 식물체를 증식 시키는 기술이다. 식물조직배양에는 식물이 지니는 기본적인 특성을 이용한다고 볼 수 있다. 식물조직배양 기술은 식물이 지니는 독특한 특징인 식물의 체세포로부터 식물체를 재생시킬 수 있는 분화전능성(totipotency)을 이용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이다. 즉, 식물의 단세포(원형질체 포함), 잎 및 뿌리 절편을 특정 영양물질 및 생장 조절제가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면 이들 세포 및 조직으로부터 식물체가 재생될 수 있다. 이러한 식물이 분화전능성(totipotency)을 지니는 능력은 식물이 지니는 특성인 고착 생활과 장기간 생존을 위하여 열악한 환경 및 초식동물의 피해로부터 생존을 하기 위한 전략이다. 따라서 식물은 잃어버린 기관을 다시 재생시키기 위한 능력을 갖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모식물체로부터 분리된 식물조직세포는 적정배양환경에서 배양하면 완전한 식물체로 재생될 수 있는 잠재력 즉, 전형성능을 가지고 있는 식물은 발생학 등의 학술적인 중요성은 물론이지만 화장품 원료 등의 실용화를 위해서도 활용가치가 크다.
식물의 태좌(胎座, Placenta)는 동물 유래의 태반과 같이, 종자 육성을 주관하는 중요한 부위로, 암술의 씨방(자방, 子房, Ovary)안에서 밑씨가 붙는 부분이다. 보통 씨방을 형성하는 심피(心皮, carpel)의 가장자리에 있는데, 때로는 심피의 중맥에도 있다. 또 씨방의 기저나, 기저로부터 씨방 안에 직립하는 기둥 모양으로 생길 때도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목련목 식물의 태좌조직을 분리하여 배양하는 단계; 및 (b) 상기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a)단계에서, 구체적으로는 목련목 태좌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 적절한 배지를 선택할 수 있다. 기술 분야에서 식물조직배양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배지가 있다면,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다. 식물에서는 일반적으로 MS배지, B5배지 등을 주로 사용하고, 일 예로, MS배지의 조성(1L기준시)은 NH4NO3 1650 mg, KNO3 1900 mg, CaCl2.2H2O 440 mg, MgSO4.7H2O 370 mg, KH2PO4 170 mg, KI 0.83 mg, H3BO3 6.2 mg, MnSO4.4H2O 22.3 mg, ZnSO4.7H2O 8.6 mg, Na2MoO4.2H2O 0.25 mg, CuSO4,5H2O 0.025 mg, CoCl2.6H2O 0.025 mg, FeSO4.7H2O 27.8 mg, Na2EDTA.2H2O 37.3 mg, Myoinositol 100 mg, Nicotinic acid 0.5 mg, Pyridoxine-HCl 0.5 mg, Thiamine-HCl 0.5 mg, Glycine 2 mg, Sucrose 30000 mg 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있어서, (a)단계의 배양을 통해 얻어진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그대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적절한 형태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배양물을 공지된 추출 방법을 통해 추출물 형태로 수득하여 적절한 형태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b)단계는, (a)단계에서 얻어진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을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정제수에 혼합시켜 조성물을 제조하거나,
(a)단계에서 얻어진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을 건조하고, 분말화하여 정제수에 혼합시킨 다음, 냉수 추출, 열수 추출 또는 에탄올 추출하여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진 배양물을 열풍 건조후 분말화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얻어지는 배양물에 있어서, 200 M 메틸자스몬산(methyl jasmonic acid)을 MS배지에 넣어서 배양하거나, 목련목(Magnoliales) 태좌 세포배양체를 고주파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면서 하루동안 고주파를 240~270 kHz로 5~10분 간격으로 3~5번 처리하고 이를 일주일 또는 이주일간 반복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MS배지에 1mg/L 6-Benzylaminopurine, 0.3mg/L 2,4-D가 함유된 배지에서 25, 습도 70% 조건으로 20L 풍선형 생물반응기에 공기공급량 0.1 vvm 정도로 5주간 배양할 수 있다. 물리적 유인제의 한 종류인 고주파를 풍선형 생물반응기(예컨대, 특허출원번호, 10-2012-0127017)와 연결하여 배양하면서 5주후 하루 동안 고주파를 240 kHz로 하여 5분 간격으로 3번 처리하고 이를 이주일간 반복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인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우수한 항염, 항산화, 보습, 주름방지, 미백, 모공수축, 피지억제, 여드름개선, 항균 등의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품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품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90 중량% 내지 약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비율은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이 제조되는 후술한 바의 제형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산란제, 자외선흡수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키롤,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방부제, 항료, 착색료, 정제수 등을 필요에 따라 미량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화장수, 에센스, 젤,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또는 젤라틴 등의 피막이 있는 캅셀 (소프트 캅셀, 하드 캅셀) 제형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피부는 얼굴 뿐만 아니라, 두피, 전신도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러한 두피에 적용될 수 있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써,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발모제 등이 있고, 전신에 적용될 수 있는 바디클렌져 등의 용도로써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전술한 제조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제조방법을 일부 변형시킨 방법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본 발명에 특별히 개시된 제조방법 이외에도,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될 경우,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화장품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 증진능에 따른 피부 노화 방지, melanogenesis 저해에 따른 미백, 피부보습 iNOS 활성 저해를 통한 염증의 완화/예방 등을 비롯한 면역질환 치료/예방의 기능, 피지분비억제, 여드름 방지, 항균 기능을 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 조성물의 경우, 하기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iNOS 활성저해능을 가지고 있어, 면역질환 치료, 예방용 약제학적 조성물로써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 향료, 비타민, 및 항산화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모두 가능하며, 예를 들면, 희석제로는 유당, 덱스트린, 타피오카(tapioca) 녹말,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탈크,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폴라크릴린칼륨, 또는 크로스포비돈,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솔비톨, 또는 아스파탐,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잔탄검,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또는 솔빈산칼륨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제제, 주사제, 좌제, 경피 투여제제, 및 경비 투여제제의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형은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엑스제와 같은 경구 투여용 제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특히,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에 관한 효능을 확인하였으나, 추출물이 아닌 배양물 자체에 대해서도 이러한 효과가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련목 ( Magnoliales ) 부위별 추출물의 제조
(1) 세포 분리
1.1 목련목(Magnoliales) 태좌세포의 분리
배양을 위해서, 목련목(Magnoliales) 대표적으로, 반려지(Annona squamosa),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목련, 태산목, 튤립나무, 함박꽃나무, 오미자 나무, 생달나무의 꽃봉오리를 70 % 에탄올 및 0.5 % sodium hypochlorite로 5분간 멸균 소독하고, 멸균수로 여러 차례 씻어줬다. 조심스럽게 핀셋을 이용하여 씨방벽을 벗겨내고, 태좌세포를 분리하여 5% Sucrose가 포함된 MS 배지(Duchefa, Cat# M0256)에서 2~ 3주간 배양하였다.
1.2 목련목(Magnoliales) 꽃 세포의 분리
배양을 위해서, 목련목(Magnoliales) 대표적으로, 반려지(Annona squamosa),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목련, 태산목, 튤립나무, 함박꽃나무, 오미자 나무, 생달나무의 꽃잎을 70 % 에탄올 및 0.5 % sodium hypochlorite로 1분간 멸균 소독하고, 멸균수로 여러 차례 씻어줬다. 조심스럽게 핀셋과 날카로운 칼을 이용하여 단번에 잘라, 잘라진 꽃 부분이 5% Sucrose가 포함된 MS 배지(Duchefa, Cat# M0256)에 치상하여 2~ 3주간 배양하였다.
1.3 목련목(Magnoliales) 잎 세포의 분리
배양을 위해서, 목련목(Magnoliales) 대표적으로, 반려지(Annona squamosa),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목련, 태산목, 튤립나무, 함박꽃나무, 오미자 나무, 생달나무의 잎을 70 % 에탄올 및 0.5 % sodium hypochlorite로 1분간 멸균 소독하고, 멸균수로 여러 차례 씻어줬다. 조심스럽게 핀셋과 날카로운 칼을 이용하여 단번에 잘라, 잘라진 잎 부분이 5% Sucrose가 포함된 MS 배지(Duchefa, Cat# M0256)에 치상하여 2~ 3주간 배양하였다.
1.4 목련목(Magnoliales) 줄기 세포의 분리
배양을 위해서, 목련목(Magnoliales) 대표적으로, 반려지(Annona squamosa),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목련, 태산목, 튤립나무, 함박꽃나무, 오미자 나무, 생달나무의 잎을 70 % 에탄올 및 0.5 % sodium hypochlorite로 1분간 멸균 소독하고, 멸균수로 여러 차례 씻어줬다. 조심스럽게 핀셋과 날카로운 칼을 이용하여 단번에 잘라, 잘라진 줄기 부분이 5% Sucrose가 포함된 MS 배지(Duchefa, Cat# M0256)에 치상하여 2~ 3주간 배양하였다.
1.5 목련목(Magnoliales) 뿌리 세포의 분리
배양을 위해서, 목련목(Magnoliales) 대표적으로, 반려지(Annona squamosa),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목련, 태산목, 튤립나무, 함박꽃나무, 오미자 나무, 생달나무의 잎을 70 % 에탄올 및 0.5 % sodium hypochlorite로 1분간 멸균 소독하고, 멸균수로 여러 차례 씻어줬다. 조심스럽게 핀셋과 날카로운 칼을 이용하여 단번에 잘라, 잘라진 뿌리 부분이 5% Sucrose가 포함된 MS 배지(Duchefa, Cat# M0256)에 치상하여 2~ 3주간 배양하였다.
(2) 분리된 목련목(Magnoliales) 태좌, 꽃, 잎, 줄기 및 뿌리세포의 배양 및 대량생산
무균적으로 분리된 목련목(Magnoliales) 태좌, 꽃, 잎, 줄기 및 뿌리세포를 5% Sucrose가 포함된 MS배지에서 2~ 3주의 일정기간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였고, 이후, 풍선형 생물반응기(삼성과학)를 이용하여 Agar를 제외한 동일한 조성의 액체 배지에서 온도 25 , 공기공급량을 0.1vvm으로 일정하게 조절하며 14일 간격으로 배양증식하여 대량생산하였다.
(3) 목련목(Magnoliales) 태좌, 꽃, 잎, 줄기 및 뿌리세포 배양추출물의 제조
증식된 목련목(Magnoliales) 대표적으로, 반려지(Annona squamosa),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목련, 태산목, 튤립나무, 함박꽃나무, 오미자 나무, 생달나무의 태좌, 꽃, 잎, 줄기 및 뿌리세포를 수확하여 깨끗한 티슈로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후 60℃로 2일 동안 건조기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목련목(Magnoliales)의 태좌, 꽃, 잎, 줄기 및 뿌리세포분말 100g을 용기에 담고, 정제수 10 L를 넣은 후, 열탕증류기에서 8 ~ 48시간동안, 80 ~100℃ 로 가열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추출 후, mesh로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목련목(Magnoliales) 대표적으로, 반려지(Annona squamosa),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목련, 태산목, 튤립나무, 함박꽃나무, 오미자 나무, 생달나무 세포배양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목련목 ( Magnoliales ) 부위별 세포배양추출물의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시험
본 발명에 따른 목련목(Magnoliales) 부위별 세포배양추출물의 피부 세포의 증식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각질형성 세포(Human Skin Keratinocyte, HaCaT)는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서 분주 받아서 배양하였다. 세포를 1×104cells/ml의 농도로 하여 24 well 배양판에 접종하였다. 배지는 10 % FBS를 함유한 DMEM(Dubelcco'S Modified Eagle Medium, BRL,USA)을 사용하였다. 10% FBS를 함유하는 DMEM에서 48시간 배양하여 배양용기 표면적의 25 ~ 30%만큼 배양되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목련목(Magnoliales) 태좌 세포 배양추출물이 10 % 함유된 FBS-free DMEM으로 교체하여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 테트라졸리움 브롬화물 (MTT, Sigma M5655, USA) 용액 (2.5 mg/ml)을 50㎕ 첨가하고 3시간동안 추가로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각 well 당 200 의 Dimethylsulfoxide (DMSO, Sigma D2650, USA)용액을 가한 후 20분간 교반하여 형성된 포르마잔(formazan) 결정을 녹인 다음, 100㎕ 씩을 96 well 로 취하여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로 570 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피부 세포의 증식 활성 정도는 순수한 물을 사용한 대조군의 흡광 강도를 기준으로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여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수학식 1]
세포생존율(Viability)효과(%) = (추출물 처리시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 100
처리농도 부위 세포생존율 효과(%)
(Cell Viability)
대조군 100
1 % 반려지(Annona squamosa) 태좌 107
100
95
줄기 98
뿌리 102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태좌 96
82
80
줄기 75
뿌리 80
목련 태좌 90
70
75
줄기 72
뿌리 78
태산목 태좌 110
99
100
줄기 102
뿌리 100
튤립나무 태좌 120
110
100
줄기 120
뿌리 99
함박꽃나무 태좌 109
106
100
줄기 99
뿌리 97
오미자 나무 태좌 90
87
89
줄기 85
뿌리 80
생달나무 태좌 115
105
102
줄기 108
뿌리 110
인간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를 이용하여, 목련목(Magnoliales) 대표적 식물의 부위별 세포배양추출물을 처리하여 피부에 쓰기 적합한 범위를 알아본 결과, 즉, Cell Viability 세포생존율효과를 확인하였다. 1 % 농도의 목련목 부위별 세포배양추출물이 함유된 경우, 반려지(Annona squamosa),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목련, 태산목, 튤립나무, 함박꽃나무, 오미자 나무, 생달나무의 부위별 세포배양 추출물이 cell viability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추출물별 성분 확인 및 함량 시험
본 발명의 목적은 목련목(Magnoliales)에 속하는 식물을 부위별로 세포배양하여 증식시키고 증식된 부위별 세포에서 이차대사산물인 폴리페놀 화합물(polyphenolic compounds)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물리적 및 화학적 유인제(elicitor)를 이용하였다.
목련목(Magnoliales)에 속하는 식물세포의 부위별로 이차대사산물인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높이기 위한 방법에는
1. 200 M 메틸자스몬산(methyl jasmonic acid)을 MS배지에 넣어서 배양한다.
2. 목련목(Magnoliales)에 속하는 식물 부위별 세포배양체를 고주파 세포 배양기에서 배양하면서 하루동안 고주파를 240 또는 270kHz로 하여 5분 간격으로 3번 처리하고 이를 일주일 또는 이주일간 반복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목련목(Magnoliales) 부위별 세포배양추출물의 주요성분 중 항산화 효과와 관련된 페놀성 물질, 플라보노이드에 대한 총 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페놀 함량 측정
추출액 1에 증류수 10ml을 첨가한 후, 2ml의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Sigma)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물에 20% 소듐 카보네이트를 2ml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UVT-06685, Thermo max, USA)를 이용하여 6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갈릭산(gallic acid, Sigma, USA)을 사용하였으며, 지표 물질의 농도별 검정곡선을 만들어 각 시료의 흡광도 값을 대입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목련목(Magnoliales) 부위별 세포배양추출물 1.5ml에 동량의 메탄올에 용해된 2% AlCl36H2O을 혼합한 다음 상온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UVT-06685, Thermo max, USA)를 이용하여 36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지표물질은 카테킨(catechin, Sigma, USA)을 사용하였으며, 지표 물질의 농도별 검정곡선을 만들어 각 시료의 흡광도 값을 대입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처리
농도
유인제 부위 총 페놀함량
(mgg-1)
(gallic acid equivalents)
총 플라보노이드함량(mgg-1)
(catechin equivalents)
대조군
1 % 반려지(Annona squamosa) - 태좌 267 160
134 73
27 15
줄기 16 9
뿌리 182 99
MeJA 태좌 401 218
214 116
134 73
줄기 134 73
뿌리 267 145
RF 태좌 294 145
107 58
16 9
줄기 16 9
뿌리 107 58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 태좌 331 180
27 15
53 29
줄기 37 20
뿌리 11 6
MeJA 태좌 321 175
27 15
43 23
줄기 27 15
뿌리 27 15
RF 태좌 428 233
134 73
150 81
줄기 134 73
뿌리 134 73
목련 - 태좌 321 175
27 15
32 17
줄기 32 17
뿌리 43 23
MeJA 태좌 294 160
27 15
32 17
줄기 32 17
뿌리 43 23
RF 태좌 283 154
32 17
27 15
줄기 32 17
뿌리 32 17
태산목

- 태좌 380 207
64 35
32 17
줄기 27 15
뿌리 203 111
MeJA 태좌 310 169
53 29
16 9
줄기 16 9
뿌리 96 52
RF 태좌 481 262
160 87
139 76
줄기 150 81
뿌리 310 169
튤립나무 - 태좌 385 209
294 160
176 96
줄기 182 99
뿌리 374 204
MeJA 태좌 321 175
278 151
160 87
줄기 150 81
뿌리 267 145
RF 태좌 481 262
315 172
283 154
줄기 289 157
뿌리 374 204
함박꽃나무 - 태좌 267 145
225 122
32 17
줄기 21 12
뿌리 187 102
MeJA 태좌 160 87
118 64
32 17
줄기 21 12
뿌리 53 29
RF 태좌 321 175
294 160
80 44
줄기 75 41
뿌리 160 87
오미자 나무 - 태좌 449 244
11 6
27 15
줄기 32 17
뿌리 91 49
MeJA 태좌 428 233
16 9
27 15
줄기 27 15
뿌리 53 29
RF 태좌 374 204
16 9
21 12
줄기 21 12
뿌리 27 15
생달나무 - 태좌 385 209
331 180
32 17
줄기 64 35
뿌리 246 134
MeJA 태좌 363 198
321 175
27 15
줄기 53 29
뿌리 160 87
RF 태좌 470 256
417 227
86 47
줄기 102 55
뿌리 299 163
상기 표 2의 결과 목련목 중 MeJA(메틸자스몬산) 유인제 처리에 의하여 반려지(Annona squamosa)에서 부위별로 유도된 세포 배양 추출물이 폴리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내었고, Radiofrequency 유인제 처리에 의하여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태산목, 튤립나무, 함박꽃나무, 생달나무에서 부위별로 유도된 세포배양 추출물이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목련, 오미자나무의 경우에는, 유인제를 처리하지 않은 태좌세포배양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폴리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보여주었다.
실험예 3: 목련목 태좌세포배양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능의 측정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 free radical이 추출물 내의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radical 특유의 색인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한 방법으로 Van den Berg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1.0 mM의 AAPH(2,2'-azo-bis 2-amidinopropanedeihydrochloride)는 100 mM PBS buffer에 녹인 2.5 mM ABTS(2,2'-azino-bis 3-ethylbenzenothiazolin-6-sulfonic acid)와 혼합한 후 68℃ 의 항온조에서 12분 동안 반응시켰다. 1% 농도 실시예1의 추출물 20㎕ 와 980㎕ ABTS 용액을 37℃ water bath에서 10분간 반응시키면서 734 nm에서 감소하는 흡광도의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양성대조군은 Trolox 0.1 % 을 사용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다음의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결과는 표 3와 같았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1
처리
농도
유인제 부위 ABTS 라디컬 소거 활성
(% of control)
대조군 0
1 % 반려지(Annona squamosa) - 태좌 40
25
5
줄기 3
뿌리 34
MeJA 태좌 75
40
25
줄기 25
뿌리 50
RF 태좌 50
20
3
줄기 3
뿌리 20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 태좌 30
5
10
줄기 7
뿌리 2
MeJA 태좌 60
5
8
줄기 5
뿌리 5
RF 태좌 80
25
28
줄기 25
뿌리 25
목련 - 태좌 20
5
6
줄기 6
뿌리 8
MeJA 태좌 55
5
6
줄기 6
뿌리 8
RF 태좌 53
6
5
줄기 6
뿌리 6


태산목
- 태좌 45
12
6
줄기 5
뿌리 38
MeJA 태좌 58
10
3
줄기 3
뿌리 18
RF 태좌 90
30
26
줄기 28
뿌리 58
튤립나무 - 태좌 45
55
33
줄기 34
뿌리 30
MeJA 태좌 60
52
30
줄기 28
뿌리 50
RF 태좌 90
59
53
줄기 54
뿌리 70
함박꽃나무 - 태좌 40
42
6
줄기 4
뿌리 35
MeJA 태좌 30
22
6
줄기 4
뿌리 10
RF 태좌 60
55
15
줄기 14
뿌리 30
오미자 나무 - 태좌 25
2
5
줄기 6
뿌리 17
MeJA 태좌 80
3
5
줄기 5
뿌리 10
RF 태좌 70
3
4
줄기 4
뿌리 5
생달나무 - 태좌 50
52
6
줄기 12
뿌리 46
MeJA 태좌 68
60
5
줄기 10
뿌리 30
RF 태좌 88
78
16
줄기 19
뿌리 56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조성물인 1 % 농도의 목련목 부위별 중 태좌세포배양추출물이 다른 부위에서 유도된 세포배양추출물보다 가장 우수한 항산화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B16F10 malanoma cell 을 이용한 melanogenesis 저해 측정
Melanin 생성 세포인 B16F10을 10% FBS, 1% antibiotics를 첨가한 DMEM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1% 의 목련목 태좌세포배양추출물에 의한 melanin 생성량 변화를 확인하기위해 B16F10 cell을 1.5×103 cells/well의 농도로 10% FBS을 포함하는 DMEM 배지에 현탁시켰다. 현탁세포 (5ml)를 tissue culture flask에 넣은 후 1일간 부착시킨다. 부착한 후에 검정 시료를 첨가한 후, 5% CO2 조건으로 37℃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 배양을 마친 B16F10 cell을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씻고 trypsinization 하였다. 세포를 corning tube에 모은 후 1×106 cell/ 당 1N NaOH 용액 1ml을 넣어 세포를 녹인 다음, microplate reader로 49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melanogenesis 저해율을 구하였다.
[수학식 3]
Inhibition of melanogenesis (%) = [1 - (Absample/Abcontrol)] × 100
처리농도 부위 Melanin Contents
( % of control)
대조군 100
1 % 반려지(Annona squamosa) 태좌 91
100
95
줄기 100
뿌리 98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태좌 86
100
101
줄기 100
뿌리 100
목련 태좌 75
100
99
줄기 95
뿌리 98
태산목 태좌 80
100
98
줄기 100
뿌리 100
튤립나무 태좌 75
90
100
줄기 85
뿌리 95
함박꽃나무 태좌 83
95
98
줄기 100
뿌리 100
오미자 나무 태좌 80
98
97
줄기 100
뿌리 100
생달나무 태좌 85
95
98
줄기 92
뿌리 90
본 발명에서 목련목 식물의 부위별 세포배양추출물이 B16/F10 melanoma cell의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1% 농도로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한 후 총 멜라닌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목련목 식물의 부위별 세포배양추출물에 의한 미백효과는 태좌부위에서만 멜라닌 합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고, 나머지 부위에서의 미백효과는 미비하였다.
또한, 200 M 메틸자스몬산(methyl jasmonic acid) 유인제 처리에 의해서 배양된 부위별 세포의 경우, 태좌세포배양 추출물은 유인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2배정도 멜라닌 합성을 감소시킴을 보였고, 다른 부위 세포배양 추출물은 1.2배정도의 멜라닌 합성을 감소시킴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5: Procollagen 합성 증진 시험
인간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를 37℃, 5% CO2배양기에서 일정한 습도를 유지하는 세포 배양기내에서 10% FBS, Penicillin(50U/ml), Streptomycin(50/ml)를 함유하는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 USA)으로 배양하여, 1×105개/ml로 24 well plate에 500㎕ 씩 분주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대조군(DMEM 배지)과 1%의 농도의 실시예 1에서 얻은 목련목 식물 부위별 세포배양추출물을 함유한 배지를 넣고 48시간동안 37℃, 5% CO2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후, 배지의 상층액을 각각 20㎕ 을 취해 Procollagen Type I C-Peptide EIA Kit(PICP, Takara, Cat No. MK101)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새로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다. PICP양은 ng/1×105세포로 환산하였으며, 하기 수학식에 따라 계산하여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2
처리농도 부위 콜라겐 생합성 증가율
(% of control)
대조군 100
1 % 반려지(Annona squamosa) 태좌 117
110
105
줄기 108
뿌리 112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태좌 106
92
90
줄기 85
뿌리 78
목련 태좌 140
80
85
줄기 82
뿌리 88
태산목 태좌 120
109
110
줄기 112
뿌리 110
튤립나무 태좌 130
120
110
줄기 130
뿌리 109
함박꽃나무 태좌 119
116
110
줄기 109
뿌리 107
오미자 나무 태좌 100
97
109
줄기 75
뿌리 70
생달나무 태좌 125
115
112
줄기 118
뿌리 120
상기 표 5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1의 1% 농도로 목련목 식물 부위별 중 태좌세포배양추출물을 처리함에 따라 Procollagen 생합성량을 크게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고, 나머지 추출 부위도 태좌세포만큼은 아니어도 부위별로 콜라겐 합성 증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200 M 메틸자스몬산(methyl jasmonic acid) 유인제 처리에 의해서 배양된 부위별 세포의 경우, 태좌세포배양 추출물은 유인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2.5배정도 Procollagen 생합성량 증가를 보였고, 다른 부위 세포배양 추출물은 대략 1.2배정도의 Procollagen 생합성량 증가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6: iNOS 활성 저해에 의한 항염효과 실험
Raw 264.7 세포주로부터 생성된 nitric oxide(NO)의 양은 세포 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2-형태로서 Griess시약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g LPS로 활성화된 Raw 264.7 cell에서 NO 생성 억제를 측정하기 위해, 1% 농도의 목련목 식물 부위별 세포배양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과 대조군을 24시간 세포배양 한 후 Griess reagent를 세포배양 상층액 100㎕와 Griess시약 (1% sulfanilamide in 5% phosphoric acid, 1% -naphthylamide in H2O)100㎕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s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O2-의 농도는 sodium nitrate를 희석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 곡선을 얻었다.
처리농도 부위 Cell Viability (%) NO Production (M)
LPS처리
(-)
- 대조군 - 100 1.5
대조군 65 3.5





LPS처리
(+)




1 %
반려지(Annona squamosa) 태좌 107 2.5
100 2.9
95 2.8
줄기 98 2.7
뿌리 102 2.3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태좌 96 2.0
82 3.5
80 3.4
줄기 75 3.5
뿌리 68 3.5
목련 태좌 101 1.9
70 3.0
75 3.2
줄기 72 3.2
뿌리 78 3.3
태산목 태좌 110 2.0
99 3.5
100 3.4
줄기 102 2.8
뿌리 100 3.5
튤립나무 태좌 120 1.5
110 2.3
100 2.0
줄기 110 2.0
뿌리 99 2.4
함박꽃나무 태좌 109 2.7
106 3.0
100 3.5
줄기 99 3.4
뿌리 97 3.5
오미자 나무 태좌 90 1.9
87 3.4
89 3.3
줄기 65 3.5
뿌리 60 3.4
생달나무 태좌 105 1.8
105 2.0
102 2.3
줄기 100 2.1
뿌리 100 2.3
상기 표 6에서와 같이, iNOS의 활성은 1 % 농도의 목련목 식물의 부위별 중 태좌세포배양추출물 처리에 의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NO 생산을 저해하며 가장 우수한 염증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유인제로 고주파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면서 하루동안 고주파를 240~270 kHz로 5분 간격으로 3번 처리하고, 이를 이주일간 반복처리하며 배양된 부위별 세포의 경우, 태좌세포배양 추출물은 유인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1.8배정도 iNOS 활성을 보였고, 다른 부위 세포배양 추출물은 효과가 미비하였다.
실험예 7: 피부 보습 효능 실험
1. 반려지(Annona squamosa)
원 료 명 중량 %(w/w)
비교
제조
예1
제조
예1-1
제조
예1-2
제조
예1-3
제조
예1-4
제조
예1-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1.0 1.0 1.0 1.0 1.0
밀납 0.5 0.5 0.5 0.5 0.5 0.5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3.0 3.0
디메틸실록산 0.3 0.3 0.3 0.3 0.3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0.5 0.5 0.5 0.5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8.0 8.0 8.0 8.0 8.0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프로필렌글리콜 0.2 0.2 0.2 0.2 0.2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0.22 0.22 0.22 0.22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0.25 0.25 0.25 0.2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색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반려지(Annona squamosa) 태좌 세포배양 추출물 - 2 - - - -
반려지(Annona squamosa) 꽃 세포배양 추출물 - - 2 - - -
반려지(Annona squamosa) 잎 세포배양 추출물 - - - 2 - -
반려지(Annona squamosa) 줄기 세포배양 추출물 - - - - 2 -
반려지(Annona squamosa) 뿌리 세포배양 추출물 - - - - -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원 료 명 중량 %(w/w)
비교
제조
예2
제조
예2-1
제조
예2-2
제조
예2-3
제조
예2-4
제조
예2-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1.0 1.0 1.0 1.0 1.0
밀납 0.5 0.5 0.5 0.5 0.5 0.5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3.0 3.0
디메틸실록산 0.3 0.3 0.3 0.3 0.3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0.5 0.5 0.5 0.5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8.0 8.0 8.0 8.0 8.0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프로필렌글리콜 0.2 0.2 0.2 0.2 0.2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0.22 0.22 0.22 0.22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0.25 0.25 0.25 0.2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색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태좌 세포배양 추출물 - 2 - - - -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꽃 세포배양 추출물 - - 2 - - -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잎 세포배양 추출물 - - - 2 - -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줄기 세포배양 추출물 - - - - 2 -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뿌리 세포배양 추출물 - - - - -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3. 목련
원 료 명 중량 %(w/w)
비교
제조
예3
제조
예3-1
제조
예3-2
제조
예3-3
제조
예3-4
제조
예3-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1.0 1.0 1.0 1.0 1.0
밀납 0.5 0.5 0.5 0.5 0.5 0.5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3.0 3.0
디메틸실록산 0.3 0.3 0.3 0.3 0.3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0.5 0.5 0.5 0.5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8.0 8.0 8.0 8.0 8.0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프로필렌글리콜 0.2 0.2 0.2 0.2 0.2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0.22 0.22 0.22 0.22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0.25 0.25 0.25 0.2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색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목련 태좌 세포배양 추출물 - 2 - - - -
목련 꽃 세포배양 추출물 - - 2 - - -
목련 잎 세포배양 추출물 - - - 2 - -
목련 줄기 세포배양 추출물 - - - - 2 -
목련 뿌리 세포배양 추출물 - - - - -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4. 태산목
원 료 명 중량 %(w/w)
비교
제조
예4
제조
예4-1
제조
예4-2
제조
예4-3
제조
예4-4
제조
예4-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1.0 1.0 1.0 1.0 1.0
밀납 0.5 0.5 0.5 0.5 0.5 0.5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3.0 3.0
디메틸실록산 0.3 0.3 0.3 0.3 0.3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0.5 0.5 0.5 0.5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8.0 8.0 8.0 8.0 8.0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프로필렌글리콜 0.2 0.2 0.2 0.2 0.2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0.22 0.22 0.22 0.22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0.25 0.25 0.25 0.2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색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태산목 태좌 세포배양 추출물 - 2 - - - -
태산목 꽃 세포배양 추출물 - - 2 - - -
태산목 잎 세포배양 추출물 - - - 2 - -
태산목 줄기 세포배양 추출물 - - - - 2 -
태산목 뿌리 세포배양 추출물 - - - - -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5. 튤립나무
원 료 명 중량 %(w/w)
비교
제조
예5
제조
예5-1
제조
예5-2
제조
예5-3
제조
예5-4
제조
예5-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1.0 1.0 1.0 1.0 1.0
밀납 0.5 0.5 0.5 0.5 0.5 0.5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3.0 3.0
디메틸실록산 0.3 0.3 0.3 0.3 0.3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0.5 0.5 0.5 0.5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8.0 8.0 8.0 8.0 8.0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프로필렌글리콜 0.2 0.2 0.2 0.2 0.2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0.22 0.22 0.22 0.22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0.25 0.25 0.25 0.2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색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튤립나무 태좌 세포배양 추출물 - 2 - - - -
튤립나무 꽃 세포배양 추출물 - - 2 - - -
튤립나무 잎 세포배양 추출물 - - - 2 - -
튤립나무 줄기 세포배양 추출물 - - - - 2 -
튤립나무 뿌리 세포배양 추출물 - - - - -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6. 함박꽃나무
원 료 명 중량 %(w/w)
비교
제조
예6
제조
예6-1
제조
예6-2
제조
예6-3
제조
예6-4
제조
예6-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1.0 1.0 1.0 1.0 1.0
밀납 0.5 0.5 0.5 0.5 0.5 0.5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3.0 3.0
디메틸실록산 0.3 0.3 0.3 0.3 0.3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0.5 0.5 0.5 0.5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8.0 8.0 8.0 8.0 8.0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프로필렌글리콜 0.2 0.2 0.2 0.2 0.2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0.22 0.22 0.22 0.22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0.25 0.25 0.25 0.2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색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함박꽃나무 태좌 세포배양 추출물 - 2 - - - -
함박꽃나무 꽃 세포배양 추출물 - - 2 - - -
함박꽃나무 잎 세포배양 추출물 - - - 2 - -
함박꽃나무 줄기 세포배양 추출물 - - - - 2 -
함박꽃나무 뿌리 세포배양 추출물 - - - - -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7. 오미자 나무
원 료 명 중량 %(w/w)
비교
제조
예7
제조
예7-1
제조
예7-2
제조
예7-3
제조
예7-4
제조
예7-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1.0 1.0 1.0 1.0 1.0
밀납 0.5 0.5 0.5 0.5 0.5 0.5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3.0 3.0
디메틸실록산 0.3 0.3 0.3 0.3 0.3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0.5 0.5 0.5 0.5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8.0 8.0 8.0 8.0 8.0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프로필렌글리콜 0.2 0.2 0.2 0.2 0.2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0.22 0.22 0.22 0.22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0.25 0.25 0.25 0.2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색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오미자 나무 태좌 세포배양 추출물 - 2 - - - -
오미자 나무 꽃 세포배양 추출물 - - 2 - - -
오미자 나무 잎 세포배양 추출물 - - - 2 - -
오미자 나무 줄기 세포배양 추출물 - - - - 2 -
오미자 나무 뿌리 세포배양 추출물 - - - - -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8. 생달나무
원 료 명 중량 %(w/w)
비교
제조
예8
제조
예8-1
제조
예8-2
제조
예8-3
제조
예8-4
제조
예8-5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1.0 1.0 1.0 1.0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1.0 1.0 1.0 1.0 1.0
밀납 0.5 0.5 0.5 0.5 0.5 0.5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3.0 3.0 3.0 3.0 3.0
디메틸실록산 0.3 0.3 0.3 0.3 0.3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0.5 0.5 0.5 0.5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8.0 8.0 8.0 8.0 8.0
글리세린 4.0 4.0 4.0 4.0 4.0 4.0
프로필렌글리콜 0.2 0.2 0.2 0.2 0.2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0.22 0.22 0.22 0.22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0.25 0.25 0.25 0.25 0.25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착색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생달나무 태좌 세포배양 추출물 - 2 - - - -
생달나무 꽃 세포배양 추출물 - - 2 - - -
생달나무 잎 세포배양 추출물 - - - 2 - -
생달나무 줄기 세포배양 추출물 - - - - 2 -
생달나무 뿌리 세포배양 추출물 - - - - - 2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1회 도포 시 피부 보습지속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조를 호소하거나, 건성 피부라고 생각되는 30~40대 성인남,녀 50명에게 상기의 화장료 조성물을 얼굴 및 전박 내측에 도포하도록한 후, 24시간 동안 코니오미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였다. 코니오미터는 피부의 표피내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센서를 이용하여 수분의 이온 정도를 측정하고 이를 수치화하여 수분의 양을 계산함으로써 보습력을 측정하는 것이며, 측정방법은 하기와 같다.
1)측정하고자 하는 피부 부위에 코니오미터 프로브를 올려놓았다.
2)프로브를 피부에 누르면 센서를 통하여 피부의 전기 전도도(capacitance)를 수치화하여 화면에 표시되었다.
3)측정부위를 달리하여, 측정을 반복하였다.
4)한번 측정 후, 킴와이프 같은 휴지로 센서를 닦은 후, 다시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코니오미터를 이용하여 피부 수분량을 측정하여 기본 값으로 삼고, 12시간, 24시간 경과 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피부 수분량(%)
시료 도포 전 12시간 후 24시간 후
비교제조예 1 30.9 38.5 31.4
제조예 1-1 30.5 41.4 37.7
제조예 1-2 30.3 39.9 36.3
제조예 1-3 29.9 39.9 35.9
제조예 1-4 30.2 40.3 36.5
제조예 1-5 30.5 41.5 35.6
비교제조예 2 30.7 38.5 31.4
제조예 2-1 30.4 45.1 43.3
제조예 2-2 30.8 40.1 37.9
제조예 2-3 30.1 41.2 37.8
제조예 2-4 30.2 41.5 37.5
제조예 2-5 30.3 40.3 37.1
비교제조예 3 30.9 38.4 31.2
제조예 3-1 30.5 46.2 42.2
제조예 3-2 30.3 43.1 39.1
제조예 3-3 29.9 42.8 38.2
제조예 3-4 30.2 42.1 38.7
제조예 3-5 30.5 42.5 37.9
비교제조예 4 30.6 38.6 31.6
제조예 4-1 30.1 44.1 40.7
제조예 4-2 30.1 42.1 36.3
제조예 4-3 30.1 41.9 36.9
제조예 4-4 30.2 40.9 36.5
제조예 4-5 30.3 40.5 37.7
비교제조예 5 30.6 38.2 31.2
제조예 5-1 30.2 48.9 44.5
제조예 5-2 30.3 43.2 42.1
제조예 5-3 30.9 45.1 41.2
제조예 5-4 30.2 44.9 41.9
제조예 5-5 30.5 45.0 41.1
비교제조예 6 30.7 38.4 31.5
제조예 6-1 30.4 45.2 43.1
제조예 6-2 30.8 44.4 42.9
제조예 6-3 30.1 43.2 41.9
제조예 6-4 30.2 44.5 40.8
제조예 6-5 30.3 43.4 41.5
비교제조예 7 30.9 38.3 31.8
제조예 7-1 30.5 46.0 41.0
제조예 7-2 30.3 41.2 42.1
제조예 7-3 30.1 41.3 40.0
제조예 7-4 30.2 42.5 39.9
제조예 7-5 30.5 42.6 41.1
비교제조예 8 30.7 38.2 31.0
제조예 8-1 30.4 49.0 44.0
제조예 8-2 30.8 43.2 42.1
제조예 8-3 30.1 46.1 41.2
제조예 8-4 30.2 45.9 41.9
제조예 8-5 30.3 46.0 41.1
상기의 결과에서, 비교제조예 1~8를 도포한 경우는 도포 후 12시간 경과 후에는 피부 수분량이 어느 정도 증가하였지만, 24시간 경과 후에는 도포 전의 상태로 되돌아감을 알 수 있다. 반면, 1% 농도 목련목 대표식물의 반려지(Annona squamosa),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목련, 태산목, 튤립나무, 함박꽃나무, 오미자 나무, 생달나무의 부위별 세포배양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인 제조예 1-1 ~ 제조예 8-5를 피부에 도포할 경우, 그 보습력이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피부 수분 함량 증가 효과 또한 비교제조예 1~8보다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00 M 메틸자스몬산(methyl jasmonic acid) 유인제 처리 및 고주파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면서 하루동안 고주파를 240~270 kHz로 5분 간격으로 3번 처리하고, 이를 이주일간 반복처리하며 배양된 부위별 세포의 경우, 태좌세포배양 추출물은 유인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1.5배정도 더 우수한 피부 수분 함량 증가를 보였고, 다른 부위 세포배양 추출물도 1.1배 정도 피부 수분 함량 증가를 보였다.
실험예 8: 모공수축효과 시험 ( In vitro Test )
본 발명의 조성물의 모공 수축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대상으로 피부를 대신할 단백질로 헤모글로빈을 사용하여 모공수축효과를 시험하였다. 0.9% Phosphate Buffer Saline (0.1mM, pH 7.4)으로 헤모글로빈 용액(0.05g/50ml)을 제조하여 헤모글로빈 용액 2 ml에, 상기 실시예에서 획득한 조성물 2 ml을 가한 후, 30초동안 진탕 혼합한 다음 3,5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그 상등액 1 ml에 정제수 2 ml을 가하여 407 nm에서 UV-Visible spectrum으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 대신 PBS(Phosphate Buffer Saline) 2 ml을 가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조성물을 함유한 실험군의 경우에, 헤모글로빈의 침전량을 측정하여 수축효과를 평가하였고, 헤모글로빈의 침전(%)가 높을수록 모공수축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별하였다.
헤모글로빈의 침전량을 측정하여 수축효과를 평가하였고, 헤모글로빈의 침전(%)가 높을수록 모공수축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별하였다. 표 16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 목련목 식물 부위별 세포배양추출물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모공수축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200 M 메틸자스몬산(methyl jasmonic acid) 유인제 처리 및 고주파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면서 하루동안 고주파를 240~270 kHz로 5분 간격으로 3번 처리하고, 이를 이주일간 반복처리하며 배양된 부위별 세포의 경우, 태좌세포배양 추출물은 유인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2.2배정도 더 우수한 모공수축효과를 보였고, 다른 부위 세포배양 추출물도 1.1배 정도 증가된 모공수축효과를 보였다.
처리농도 부위 헤모글로빈의 침전
(% of control)
대조군 2.9
1 % 반려지(Annona squamosa), 태좌 24.8
15.3
11.1
줄기 13.1
뿌리 7.9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태좌 19.3
12.3
15.7
줄기 13.0
뿌리 11.1
목련 태좌 5.1
2.9
3.5
줄기 3.0
뿌리 2.5
태산목 태좌 28.0
20.1
17.9
줄기 15.5
뿌리 13.1
튤립나무 태좌 33.0
30.4
25.8
줄기 21.1
뿌리 25.8
함박꽃나무 태좌 20.3
15.5
15.2
줄기 8.8
뿌리 7.9
오미자 나무 태좌 20.3
10.3
8.9
줄기 5.3
뿌리 7.9
생달나무 태좌 32.4
16.2
8.9
줄기 8.0
뿌리 5.5
실험예 9: 피지 억제효과 실험
피시험자 10명을 본 발명의 조성물인 1% 목련목 식물유래 부위별 세포배양 추출물 사용 4주 후에 피부 유분 측정기(Sebum meter SM810)를 이용하여 피부의 피지분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22±2℃, 40±5% humidity에서 이루어졌다. 지성 피부인 경우 측정값이 220㎍ /cm2이상이고, 정상 피부인 경우 100~220㎍ /cm2이다. 대조군으로 정제수를 사용하였고, 실험결과는 표 17과 같다.
처리농도 부위 피지 억제 효과
0 일 (사용 전) 28 일 (사용 후)
대조군 230 225
1 % 반려지(Annona squamosa) 태좌 231 175
229 200
230 205
줄기 232 201
뿌리 230 210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태좌 229 200
231 210
229 215
줄기 230 195
뿌리 232 199
목련 태좌 230 210
231 205
232 205
줄기 231 210
뿌리 231 190
태산목 태좌 230 190
232 195
231 205
줄기 231 210
뿌리 230 205
튤립나무 태좌 230 155
231 175
231 180
줄기 230 190
뿌리 231 185
함박꽃나무 태좌 231 175
230 178
230 180
줄기 231 190
뿌리 230 191
오미자 나무 태좌 230 179
231 199
231 205
줄기 230 200
뿌리 229 210
생달나무 태좌 229 170
231 185
230 190
줄기 229 190
뿌리 230 195
상기 표 17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1% 목련목 식물의 태좌세포배양 추출물에 의하여 가장 우수한 피지분비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200 M 메틸자스몬산(methyl jasmonic acid) 유인제 처리 및 고주파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면서 하루동안 고주파를 240~270 kHz로 5분 간격으로 3번 처리하고, 이를 이주일간 반복처리하며 배양된 부위별 세포의 경우, 태좌세포배양 추출물은 유인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2.5배정도 더 우수한 피지분비 억제 효과를 보였고, 다른 부위 세포배양 추출물도 1.3배 정도 증가된 피지분비억제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10: 항균력 측정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조성물인 1% 목련목 식물의 태좌세포배양 추출물에 대한 항균력 효과 검정시험으로 고체 배양 희석법에 의하여 항균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부터 분양받았으며, 그람양성균으로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KCTC 6910), 그람음성균으로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KCTC 1637), 대장균(E.Coli KCTC 1039), 효모로는 캔디다 효모(Candida albicans KCTC 7965), 사상균으로 흑국균(Aspergillus nigerKCTC 6910) 이상 총 4종의 균주를 사용하였다.
고체 배양 희석법(Agar Serial Dilution Method)
세균류는 트립틱 소이 배지를 사용하였고, 배지에 균을 접종하여 37℃ 진탕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전배양하여 사용하였다. 효모의 배양에는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배지를 사용하였고 배지에 균을 접종하여 25℃ 진탕 배양기에서 2일간 전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사상균의 배양에는 포테이토덱스트로스 한천배지를 사용하였고 배지에 균을 접종하여 25℃ 배양기에서 7일간 전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항균시험은 먼저 세균의 경우, 트립틱 소이 배지에 균을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전배양하여 준비하고, 효모의 경우,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배지에 균을 접종하여 25℃에서 2일간 전배양하며, 사상균은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한천배지에 균을 접종하여 25℃ 배양기에서 7일간 전배양한 후, 도말봉을 이용, 배지 표면에 형성된 사상균의 포자를 회수하여 멸균된 식염수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멸균된 패트리 디쉬에 시료 및 실험균종 별로 5% DMSO(Dimethylsulfoxide) 생리식염수용액에 적절한 농도로 희석한 각각의 추출물을 2ml씩 넣고, 대조군은 5% 생리식염수 용액에 적절한 농도로 희석한 각 시료 2ml씩 넣고, 대조군은 5% DMSO 생리식염수용액 2ml 을 넣은 후, 각 패트리 디쉬에 멸균하고 48℃로 냉각한 트립틱소이 한천배지 및 포테이토덱스트로스 한천배지를 18ml씩 첨가하여 교반 후 정치하여 응고시켰다. 이후 전배양시킨 각각의 시험균을 세균의 경우 최종농도 약 1 × 106 CFU/ 의 균농도로 각각의 페트리디쉬에 도말하고, 효모의 경우 1 × 105CFU/, 사상균의 경우 약 1 × 104 CFU/의 균농도로 각각의 페트리디쉬에 도말하였다. 각각의 페트리 디쉬는 세균은 37℃에서 24시간 배양하고 효모는 25℃에서 3일간 배양, 사상균은 25℃배양기에서 7일간 배양한 후 각 구획 안에 클로니 형성여부를 관찰하여 성장이 되지 않은 평판의 최소 시료 농도를 최소저해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로 하며, 그 결과를 표 18에 나타내었다. 이때, 최소저해농도는 값이 작을수록 항균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처리 농도 부위 최소저해농도(MIC, g/ml)
S. aureus P. aeruginosa E. Coli C. albicans A. niger
1 % 반려지(Annona squamosa) 태좌 315 276 122 271 39
350 289 132 273 40
325 302 125 277 42
줄기 370 310 130 276 46
뿌리 370 307 133 280 43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태좌 245 211 98 231 31
252 230 100 233 35
266 225 106 235 33
줄기 272 221 101 250 34
뿌리 280 238 103 251 39
목련 태좌 363 297 154 298 49
366 305 157 300 52
383 310 160 305 56
줄기 400 313 163 303 57
뿌리 403 316 169 301 59
태산목 태좌 281 231 132 255 38
286 232 133 259 41
290 235 135 261 39
줄기 310 238 140 263 39
뿌리 315 233 138 259 37
튤립나무 태좌 497 439 298 351 198
508 440 299 353 199
515 441 297 354 199
줄기 520 443 297 352 201
뿌리 525 439 296 353 198
함박꽃나무 태좌 377 298 169 401 121
380 299 169 418 120
400 300 172 405 121
줄기 460 301 172 405 121
뿌리 425 298 171 406 120
오미자 나무 태좌 534 513 331 399 273
550 515 331 400 273
558 513 333 405 275
줄기 500 512 335 399 279
뿌리 525 515 333 401 278
생달나무 태좌 433 319 197 436 151
463 319 197 436 151
460 330 190 433 153
줄기 450 320 190 436 152
뿌리 453 321 193 450 155
표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1% 목련목 대표 식물 유래 부위별 세포배양 추출물 모두 항균 효과를 보였고, 특히, 태좌유래 세포배양 추출물이 월등한 항균력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200 M 메틸자스몬산(methyl jasmonic acid) 유인제 처리 및 고주파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면서 하루동안 고주파를 240~270 kHz로 5분 간격으로 3번 처리하고, 이를 이주일간 반복처리하며 배양된 부위별 세포의 경우, 태좌세포배양 추출물은 유인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1.5배정도 더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고, 다른 부위 세포배양 추출물도 1.1배 정도 증가된 항균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11 : 여드름 개선 효과
여드름이 발생한 남녀 10명으로 대상으로 화장수를 아침, 저녁으로 4주간 얼굴 전체에 고루 바르도록 하였다. 여드름 개선 효과의 판정은 실험에 참가한 본인이 느끼는 정도에 따라 하기 판정기준을 참고로 1-3점으로 시험전 상태를 평가한 뒤 여드름 치유 효과를 평가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표에 나타내었다.
<시험전 상태의 평가>
1 = 여드름 조금 있음 2 = 여드름 약간 있음 3 = 여드름 심함
<여드름 효과 판정>
- : 효과 거의 없음, + : 약간의 효과 있음, ++ : 많이 완화, +++ : 완전히 치유됨
처리농도 부위 시험전 상태 여드름 효과 판정
2주 경과후 효과 4주 경과 후 효과
2 % 반려지(Annona squamosa) 태좌 피험자1 2 + +
피험자2 1 + ++
피험자3 1 - +
피험자4 2 - -
피험자5 2 + ++
피험자6 2 + +
피험자7 3 ++ +++
피험자8 2 - ++
피험자9 3 + +
피험자10 2 + ++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Eupomatia laurina) 태좌 피험자1 2 + ++
피험자2 1 + +
피험자3 1 ++ +++
피험자4 2 - ++
피험자5 2 + +
피험자6 2 + ++
피험자7 3 + +
피험자8 2 + ++
피험자9 3 - +
피험자10 2 - -
목련 태좌 피험자1 2 + ++
피험자2 1 + +
피험자3 1 + ++
피험자4 2 + ++
피험자5 2 - +
피험자6 2 - -
피험자7 3 + ++
피험자8 2 + +
피험자9 3 + ++
피험자10 2 + ++
태산목 태좌 피험자1 2 + ++
피험자2 1 + +
피험자3 1 ++ +++
피험자4 2 - ++
피험자5 2 + +
피험자6 2 + ++
피험자7 3 + +
피험자8 2 + ++
피험자9 3 - +
피험자10 2 - -
튤립나무 태좌 피험자1 2 + +
피험자2 1 + ++
피험자3 1 - +
피험자4 2 - -
피험자5 2 + ++
피험자6 2 + +
피험자7 3 ++ +++
피험자8 2 - ++
피험자9 3 + +
피험자10 2 + ++
함박꽃나무 태좌 피험자1 2 + ++
피험자2 1 + +
피험자3 1 ++ +++
피험자4 2 - ++
피험자5 2 + +
피험자6 2 + ++
피험자7 3 + +
피험자8 2 + ++
피험자9 3 - +
피험자10 2 - -
오미자 나무 태좌 피험자1 2 + +
피험자2 1 + ++
피험자3 1 + +
피험자4 2 + ++
피험자5 2 - +
피험자6 2 - -
피험자7 3 + +
피험자8 2 + ++
피험자9 3 + +
피험자10 2 + ++
생달나무 태좌 피험자1 2 + +
피험자2 1 + ++
피험자3 1 - +
피험자4 2 - -
피험자5 2 + ++
피험자6 2 + +
피험자7 3 ++ +++
피험자8 2 - ++
피험자9 3 + +
피험자10 2 + ++
상기의 표 19에서 알 수 있듯이, 2% 목련목태좌세포배양추출물이 함유된 유연 화장수를 4주간 사용한 후 대다수 피험자들에서 여드름의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00 M 메틸자스몬산(methyl jasmonic acid) 유인제 처리 및 고주파 세포배양기에서 배양하면서 하루동안 고주파를 240~270 kHz로 5분 간격으로 3번 처리하고, 이를 이주일간 반복처리하며 배양된 부위별 세포의 경우, 태좌세포배양 추출물은 유인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보다 2배정도 더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였고, 다른 부위 세포배양 추출물도 1.5배 정도 증가된 여드름 개선 효과를 보였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으로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의 유화 제형의 화장품 및 유연화장수 등의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1: 화장수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화장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글리세린 5.0
디프로필렌글리콜 3.0
히아루론산 0.5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0.1
폴리에틸렌 올레일에틸 0.1
에탄올 5.0
방부제 0.15
항료 적량
착색료 적량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 2.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2: 에센스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에센스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밀납 0.5
스쿠알란 5.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3.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8.0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0.2
카르복시폴리머 0.22
트리에탄올아민 0.2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 7.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3: 로션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로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8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0
밀납 0.5
스테아린산 0.5
유동파라핀 7.0
스쿠알란 5.0
마카데미아오일 3.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2.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4.0
베타인 4.0
카르복시폴리머 0.12
트리에탄올아민 0.15
방부제 0.25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 5.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4: 크림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크림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 료 명 중량 %(w/w)
세토스테아릴알코올 3.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 1.5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 1.5
밀납 0.5
유동파라핀 8.0
스쿠알란 7.0
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 4.0
정제호호바유 4.0
디메틸실록산 0.3
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 1.0
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 1.2
글리세린 6.0
프로필렌글리콜 4.0
베타인 4.0
산탄검 0.06
트리에탄올아민 0.10
방부제 0.25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 7.0
정제수 to 100
제조예 2-5: 젤
다음 처방에 따라 통상의 젤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 %(w/w)
글리세린 4.0
프로필렌글리콜 4.0
에탄올 10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0.1
카르복시폴리머 0.30
트리에탄올아민 0.30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착색료 적량
목련목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 1.0
정제수 to 100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오미자 나무(Schizandra chinensis) 태좌 세포 배양물, 또는 오미자 나무(Schizandra chinensis) 태좌 세포 배양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주름 방지 또는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염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공 축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지분비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여드름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50105538A 2015-07-27 2015-07-27 오미자 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19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538A KR101619711B1 (ko) 2015-07-27 2015-07-27 오미자 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538A KR101619711B1 (ko) 2015-07-27 2015-07-27 오미자 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326A Division KR101619571B1 (ko) 2013-12-03 2013-12-03 목련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289A true KR20150091289A (ko) 2015-08-10
KR101619711B1 KR101619711B1 (ko) 2016-05-11

Family

ID=5388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538A KR101619711B1 (ko) 2015-07-27 2015-07-27 오미자 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7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1477A3 (en) * 2018-12-20 2020-07-3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5600B2 (ja) 2002-08-12 2007-12-19 山川貿易株式会社 皮膚外用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1477A3 (en) * 2018-12-20 2020-07-30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711B1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097B1 (ko) 에델바이스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49299B1 (ko) 연꽃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947B1 (ko) 모란꽃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619571B1 (ko) 목련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02687B1 (ko) 두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61408B1 (ko) 작약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모공 축소, 미백,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3213B1 (ko) 아네모네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217B1 (ko) 수련화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21371A (ko) 수선화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02997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작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1619710B1 (ko) 튤립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38354B1 (ko) 동백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93923B1 (ko) 잘피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염 및 항노화 효과를 지닌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7033B1 (ko) 대두 태좌 조직 배양물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19711B1 (ko) 오미자 나무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34485B1 (ko) 맹그로브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27027B1 (ko) 모과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19712B1 (ko) 에우포마티아 라우리나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19709B1 (ko) 반려지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52252B1 (ko)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방법 및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33214B1 (ko) 노루귀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216B1 (ko) 크리스마스 로즈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215B1 (ko) 할미꽃 식물 태좌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항염,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6A (ko) 으름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43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