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730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0730A KR20150090730A KR1020140011700A KR20140011700A KR20150090730A KR 20150090730 A KR20150090730 A KR 20150090730A KR 1020140011700 A KR1020140011700 A KR 1020140011700A KR 20140011700 A KR20140011700 A KR 20140011700A KR 20150090730 A KR20150090730 A KR 201500907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display device
- interest
- display
- degre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게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와;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와;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며, 식별된 사용자가 외부장치의 사용자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장치 및 외부장치 중에서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느 하나에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도록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컨텐츠의 영상데이터를 컨텐츠 영상으로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외부장치와 함께 사용할 때에 이 장치들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에 대응하여 컨텐츠 영상을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신호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구조와, 패널을 구비한 타 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이 처리된 영상신호를 해당 장치에 출력하는 구조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패널을 구비함으로써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 가능한 구조의 영상처리장치를 디스플레이장치로 통칭하는 바, 디스플레이장치의 일반적인 예시로는 TV가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의 추가 및 확장이 계속적으로 반영되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종류로 구현된 장치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 명의 사용자가 TV,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바일 폰 등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여러 종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개발과 다양한 컨텐츠의 제공 환경에 따라서, 사용자는 가정 내에서 TV를 통해서 컨텐츠 영상을 시청하는 것 뿐만이 아닌, 개인 사용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특화된 구조의 태블릿 PC,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모바일 폰 등을 통해 컨텐츠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만일, 사용자가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인 외부장치를 통해 동일 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에, 종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외부장치에서 해당 컨텐츠의 취득 및 재생이 수행되도록 해당 외부장치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일일이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만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보는 컨텐츠 영상을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외부장치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환경이 제공된다면,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게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와;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와;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느 하나에 상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자세 및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가 향하는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향하는 방향의 축선이 형성하는 각도값을 상기 관심도로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도가 0에 근접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가 높고, 상기 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장치의 상기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외부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가 모두 기 설정된 제1수치 이상으로 높거나, 또는 모두 기 설정된 제2수치 이하로 낮다고 판단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ID 및 상기 ID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기준 생체정보가 저장된 스토리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기 기준 생체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생체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기준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ID를 인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 및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복수 명인 경우에, 상기 복수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의해 특정된 어느 하나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관심도를 판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컨텐츠 데이 터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 상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자세 및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가 향하는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마련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향하는 방향의 축선이 형성하는 각도값을 상기 관심도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도가 0에 근접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가 높고, 상기 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지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장치의 상기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외부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가 모두 기 설정된 제1수치 이상으로 높거나, 또는 모두 기 설정된 제2수치 이하로 낮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ID 및 상기 ID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기준 생체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생체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기준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ID를 인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복수 명인 경우에, 상기 복수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의해 특정된 어느 하나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관심도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각각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각기 사용자가 동일하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영상이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 환경의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데이터처리부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 수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도 2의 제1디스플레이장치, 제2디스플레이장치 및 서버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도 2의 서버가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데이터 송수신 관계의 예시도,
도 7은 도 2의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도 2의 서버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데이터처리부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도 2의 제1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 수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도 2의 제1디스플레이장치, 제2디스플레이장치 및 서버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도 2의 서버가 제2디스플레이장치에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데이터 송수신 관계의 예시도,
도 7은 도 2의 제1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8은 도 2의 서버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한 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를 사용하는 환경을 고려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는 컨텐츠 영상을 표시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의 구현 형태는 TV,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태블릿 PC, 모바일 폰 등이 가능하며 이 외에도 다양한 구현 예시가 적용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는 동일한 구현 형태를 가지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구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TV이며, 제2디스플레이장치(200)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각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의 구현 형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대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에 의한 환경을 예로 들지만, 세 대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에 의한 환경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 구별을 위해 이들 두 대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를 각각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로 구분하나, 이러한 용어는 편의상 지칭된 것에 불과하며,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에서 수행되는 동작 및 구조는 다른 한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의 경우에도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는 각각 카메라(142, 242)를 가지고 있는 바, 이 카메라(142, 242)들을 통해 사용자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는 통신 네트워크에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조 하에서, 사용자는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어느 컨텐츠 영상을 시청하고 있을 때에 해당 컨텐츠 영상을 제2디스플레이장치(200)가 아닌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미러링(mirroring)이나 컨텐츠 쉐어링(content sharing) 등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미러링은 제2디스플레이장치(200)가 IP 주소 및 패스워드의 입력을 통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를 특정하여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고,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되는 영상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표시되도록 해당 영상의 데이터를 제2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전송하는 방법이다.
컨텐츠 쉐어링은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쉐어링 관련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컨텐츠 공유를 위한 서버(미도시)에 컨텐츠를 업로드하고,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해당 서버(미도시)로부터 컨텐츠를 수신 및 재생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방법들은 USB 메모리와 같은 물리적인 저장매체를 통해 사용자가 컨텐츠 데이터를 직접 제2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 옮기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도 사용자가 직접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 사이의 연결과정, 서버(미도시)에 대한 컨텐츠의 업로드 과정 등을 위한 조작 입력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또는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대한 입력 조작을 최소화하면서도,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시청하던 컨텐츠 영상을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시청하거나 또는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시청하던 컨텐츠 영상을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시청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구조 또는 방법이 제안된다. 이에 관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하,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의 구조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의 구성 또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경우를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바,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와 데이터/신호를 송수신 가능하게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interface)(110)와,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 설정된 프로세스(process)에 따라서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data processor)(120)와, 데이터처리부(1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가 영상데이터인 경우에 해당 영상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130)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동작이 수행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와, 데이터/정보가 저장되는 스토리지(storage)(150)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controller)(16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서버(10) 또는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기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서, 유선/무선을 통한 광역/근거리 네트워크 또는 로컬 접속 방식으로 서버(1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접속한다.
본 도면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110)가 서버(10)를 경유하여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통신 접속하는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르는 경우에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서버(10)를 경유하지 않고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다이렉트로 접속하는 형태도 가능하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각 장치 별 접속 포트(port) 또는 접속 모듈(module)의 집합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 접속 프로토콜 또는 접속 대상이 어느 하나의 종류 또는 형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접속된 각 장치 별로 지정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바, 접속된 각 장치에 대해 개별적인 접속 프로토콜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영상데이터의 경우를 예로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RF(radio frequency)신호, 컴포지트(composite)/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UDI(unified display interface), 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 HD 등 다양한 규격을 기반으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데이터처리부(12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수신되는 데이터/신호에 대해, 각 데이터/신호의 특성에 맞도록 설정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컨텐츠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처리부(120)는 영상데이터에 대해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130)에 해당 영상데이터에 기초하는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데이터처리부(120)는 특정 채널로 튜닝된 방송신호로부터 영상, 음성 및 부가데이터를 추출하고, 영상을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여 디스플레이(130)에 표시되게 한다.
데이터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영상데이터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데이터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데이터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처리 대상인 데이터의 종류, 특성에 따라서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바, 데이터처리부(120)가 수행 가능한 프로세스를 영상처리 프로세스로 한정할 수 없다. 또한, 데이터처리부(120)가 처리하는 데이터가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수신되는 것만으로 한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데이터처리부(12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사용자의 발화가 입력되면 음성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해당 발화를 처리하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에 의해 사용자의 제스쳐(gesture)가 감지되면 제스쳐 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해당 감지 결과를 처리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부(120)는 이러한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칩셋(chip-set)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되며,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내장된다.
디스플레이(130)는 데이터처리부(120)에 의해 처리 및 출력되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영상 표시를 위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방식의 패널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command) 또는 정보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정보화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는 여러 가지 형태가 가능한 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조작, 발화, 제스쳐 등이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제어부(160)에 전달함으로써, 제어부(160)가 사용자의 의도에 맞는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환경을 통칭한다. 따라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에 대응하여, 해당 방식으로 입력되는 정보를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즉,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는 다양한 사용자의 입력 방식에 각기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들의 집합체로 구현되는 바, 예를 들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와 이격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141), 카메라(142), 마이크로폰(143)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스토리지(150)는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스토리지(150)는 제어부(160)에 의해 억세스(access)됨으로써, 기 저장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이 수행된다.
제어부(160)는 CPU로 구현되며, 소정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서 데이터처리부(120)를 비롯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소정 컨텐츠의 영상데이터가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수신되면, 제어부(160)는 데이터처리부(120)를 제어함으로써 영상데이터가 디스플레이(130)에 영상으로 표시되게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동작이 실행되도록 데이터처리부(120)를 비롯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또한, 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버(10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와 통신하는 서버측 통신 인터페이스(미도시)와, 서버(10)의 제반 동작을 제어 및 실행하는 서버측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부(120)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데이터처리부(12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처리부(12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취득하는 데이터 취득모듈(121)과, 데이터 취득모듈(121)이 취득한 생체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모듈(122)과, 사용자 인식모듈(122)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에 대응하는 ID를 검색 및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모듈(123)과, 사용자 인식모듈(122)에 의해 인식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에 기초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산출하는 관심도 측정모듈(124)과, 각 모듈(121, 122, 123, 124, 125)에서 도출된 정보/데이터를 서버(10)로 전달하거나 또는 서버(10)로부터 정보/데이터를 전달받도록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하는 데이터 통신모듈(125)을 포함한다.
이들 블록 또는 모듈(121, 122, 123, 124, 125)은 편의상 수행하는 기능에 따라서 분류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처리부(120)의 구현 방식을 어느 한 가지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 모듈(121, 122, 123, 124, 125)은 하드웨어적인 구성일 수 있고, 또는 일부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처리부(120)를 구성하는 각 모듈(121, 122, 123, 124, 125)들이 각각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또는 모듈(121, 122, 123, 124, 125) 단위로 구분되지 않고 데이터처리부(120)가 전체적인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생체정보(biometrics)는, 어떤 사람의 신분에 대한 식별(identification)이나 인증(verification)을 해당 사람의 신체적 또는 행동적 특성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특정인으로부터 이전에 추출된 고유한 특성 정보와, 해당 특정인으로부터 새로이 추출한 생체정보를 비교해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특성 정보는 해당인을 증명(authenticate) 또는 인증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특성 정보는 특정인의 식별이나 색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생체정보와 관련된 기술은 이러한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생체정보의 일반적인 예로는 지문, 홍채, 손 모양, 음성인식, 디지털 영상 등이 있다. 정부와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이에서 생체정보 관련 기술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생체정보는 문서나 카드 등의 타 종류의 신분확인증보다 위조가 어렵기 때문이다. 생체정보 인식 시스템은 핵 시설, 은행 등과 같은 보안이 중요한 이슈가 되는 장소의 접근 통제에 사용되고 있는 것에 그치지 않으며, 근래에는 경찰서, 자동판매기, 정부기관 등으로 사용처가 확산되고 있다.
생체정보 중의 하나의 예시로는 DNA가 있는데, DNA를 적용하는 경우에 거대한 데이터베이스 내에서도 단시간 내에 비교 검색을 끝낼 수 있다. 현재 몇 개의 국가에서 국가적인 DNA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는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DNA 샘플들은 다양한 그룹의 사람을 대상으로 소정의 절차를 거쳐서 추출 및 수집된다.
이하, 각 모듈(121, 122, 123, 124, 125)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데이터 취득모듈(121)은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취득한다.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사용자 각각을 구별 가능한 사용자의 생체적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하는 바, 생체정보의 예시로는 카메라(142)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영상정보와, 마이크로폰(143)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정보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취득모듈(121)이 카메라(142)로부터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데이터 취득모듈(121)은 마이크로폰(143)으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 모두를 취득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식모듈(122)은 데이터 취득모듈(121)로부터 전달받은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특징값을 도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식모듈(122)은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특징벡터값을 도출하는 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된 영상프레임 내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의 특징벡터값을 도출한다. 사용자 인식모듈(122)이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특징값을 도출하는 방법은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방법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 인증모듈(123)은 사용자 인식모듈(122)에 의해 도출된 사용자의 특징값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를 식별 및 인증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증모듈(123)은 사용자의 영상정보로부터 도출된 특징벡터값에 대응하는 사용자 ID를 스토리지(150)에 기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151)로부터 검색한다. 사용자 프로파일(151)은 사용자 ID와, 각 사용자 ID에 대응하는 특징벡터값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모듈(123)은 특징벡터값에 대응하는 ID가 사용자 프로파일(151)에서 검색되면, 이 검색된 ID에 대한 로그인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를 특정 및 인증한다.
여기서, 사용자 프로파일(151)에 저장된 사용자 ID 및 이에 대응하는 특징벡터값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사용자 ID를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UI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UI 환경을 통해 사용자는 ID의 지정과, 지정된 ID에 대응하는 생체정보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입력된 생체정보는 ID에 대응하는 기준 생체정보가 되며, 특징벡터값으로 변환된 이후에 사용자 프로파일(151)에 등록된다.
결국, 사용자 인증모듈(123)은 사용자 프로파일(151) 중에서, 데이터 취득모듈(121)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동일한 기준 생체정보를 검색한다. 여기서, 동일하다는 의미는 양자간의 동일성 또는 유사도가 기 설정된 오차범위 내에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모듈(123)은 검색 결과 동일하다고 판단된 기준 생체정보를 선택하고, 선택한 기준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ID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관심도 측정모듈(124)은 사용자 인증모듈(123)에 의해 사용자가 인증되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몰입도 또는 관심도를 측정한다. 몰입도 또는 관심도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해 사용자가 어느 정도로 몰입해 있는지 또는 관심을 가지고 보고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수치화한 패러미터이다. 여기서, 관심도 측정모듈(124)은 사용자 인식모듈(122)에 의해 도출된 사용자의 특징벡터값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관심도를 산출한다.
관심도 측정모듈(124)이 사용자의 관심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데이터 통신모듈(125)은 데이터처리부(1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통신 인터페이스(110)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데이터가 서버(10)에 전달되도록 한다. 또는, 데이터 통신모듈(125)은 통신 인터페이스(110)에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 통신모듈(125)은 사용자 인증모듈(123)에 의해 인증된 ID를 서버(10)에 전송하고, 또한 관심도 측정모듈(124)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관심도 수치를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하, 관심도 측정모듈(124)이 사용자의 관심도를 측정하는 방법의 예시에 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 수치를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관심도는 사용자의 얼굴의 자세, 사용자의 눈동자가 향하는 방향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사용자의 동작 상태를 수치화함으로써 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사용자의 관심도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의 동작 상태로부터 산출되지만, 사용자의 관심도가 복수의 동작 상태로부터 산출되는 경우에는 각 동작 상태에 관한 관심도 수치가 기 설정된 함수로 연산됨으로써 최종 수치가 산출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얼굴의 자세를 예로 들면, 사용자의 얼굴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를 정면으로 마주하는 경우에 가장 관심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카메라(142)와 사용자의 얼굴 사이를 잇는 직선 L1에 대해, 사용자의 얼굴이 향하는 방향의 축선 L2가 형성하는 각도 D1이 관심도 수치로 지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도 D1이 0이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매우 높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각도 D1의 값이 증가할수록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슷한 원리가 사용자의 눈동자가 향하는 방향의 경우에도 응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의 눈동자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를 향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전방 방향의 축선에 대해 사용자의 눈동자가 향하는 방향의 축선이 형성하는 각도가 관심도 수치로 지정될 수 있다. 이 각도가 작을수록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고, 이 각도가 클수록 사용자의 관심도가 낮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 관심도 측정모듈(124, 도 3 참조)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상 설명한 관심도 측정 방법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관심도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측정된 관심도는 수치상으로 정량화된 값이므로 둘 이상의 관심도를 상호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D1이 30도인 경우의 제1케이스와 D1이 40도인 경우의 제2케이스를 비교할 때, 제1케이스의 각도 수치가 제2케이스의 각도 수치보다 작다. 이에, 제1케이스가 제2케이스보다 높은 관심도를 나타낸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의 디스플레이 시스템 환경 하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 각각의 관심도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 중 어느 하나에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실시예에 관해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제2디스플레이장치(200) 및 서버(10) 사이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초기상태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S100 단계에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ID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S110 단계에서, 인증된 ID를 서버(10)에 전송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200) 또한 S120 단계에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ID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200)는 S130 단계에서, 인증된 ID를 서버(10)에 전송한다.
서버(1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의 ID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의 ID를 상호 비교한다. 서버(10)는 두 ID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면, 즉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사용자와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의 사용자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면, 다음과 같은 컨텐츠 공유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서버(10)는 S140, S15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각각 사용자의 관심도를 요청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S160 단계에서 사용자의 관심도를 측정하며, S170 단계에서 이 측정한 관심도를 서버(10)에 전송한다. 또한, 제2디스플레이장치(200)는 S180 단계에서 사용자의 관심도를 측정하며, S190 단계에서 이 측정한 관심도를 서버(10)에 전송한다.
서버(10)는 S20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의 관심도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로부터의 관심도를 상호 비교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 중에서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높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보다 높은 경우에, 서버(10)는 S210 단계에서 현재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서버(10)는 S220 단계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제2디스플레이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서버(10)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S210 단계는 컨텐츠 공유 프로세스를 개시하는 시점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제2디스플레이장치(200)는 S230 단계에서 이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에,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지 않거나 또는 컨텐츠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동작은 서버(10)가 S200 단계의 시점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에 제어 커맨드를 전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 중에서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는 S20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보다 높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 영상이 그대로 표시되도록 한다.
또는, 이러한 경우에 서버(10)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재전송함으로써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재전송된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처리하는 이유는, 컨텐츠 데이터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처리 및 표시되는 경우와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서 처리 및 표시되는 경우에서, 영상 표시의 타이밍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경우에, 서버(10)는 기본적으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며, 관심도의 판단 결과에 따라서 특정한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에 이 수신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전송한다.
서버(10)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재전송하지 않더라도,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컨텐츠 데이터의 처리 시에 기 설정된 시간의 지연값을 반영함으로써 영상 표시의 타이밍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는, 서버(10)는 S20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가 모두 기 설정된 수치 이상으로 높다고 판단하거나, 또는 모두 기 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컨텐츠 영상이 그대로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또는 저장되어 있을 때에, 서버(10)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예시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관심도가 높다고 판단된 디스플레이장치(100, 200)가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바, 이러한 실시예에 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6은 서버(10)가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데이터 송수신 관계의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되는 것을 초기상태로 하며, 본 실시예의 단계들은 앞선 도 5 관련 S100 단계 내지 S200 단계 이후에 실행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는 S300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다고 판단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별도의 컨텐츠 제공 서버(2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서버(10)는 S310 단계에서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의 주소 정보를 요청하고, S320 단계에서 해당 주소 정보를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
서버(10)는 S330 단계에서 해당 주소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S340 단계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송한다.
또는, 서버(10)는 S330 단계의 시점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주소 정보를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2디스플레이장치(200)는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주소 정보에 따라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에 따라서 제2디스플레이장치(200)에 컨텐츠 데이터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가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초기상태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S400 단계에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취득하고, S410 단계에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를 식별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S420 단계에서 서버(10)로부터 사용자의 관심도를 요청받으면, S430 단계에서 사용자의 생체정보 중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제1디스플레이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측정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S440 단계에서 사용자의 관심도를 서버(10)에 전송한다.
이상의 과정에서, 사용자의 식별을 위한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영상정보도 가능하지만 사용자의 음성정보도 가능하다. 다만, 사용자의 관심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영상정보가 필요한 바, S400 단계에서 취득하는 생체정보는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S410 단계에서 사용자의 음성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S420 단계에서 서버(1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취득할 수도 있다.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S450 단계에서 서버(10)에 의해 관심도가 높은 장치로 선택되면, S460 단계에서 컨텐츠 영상의 표시를 유지한다. 반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는 S450 단계에서 서버(10)에 의해 관심도가 높은 장치로 선택되지 않았다면, S470 단계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서버(10)에 전송하고, S480 단계에서 컨텐츠 영상의 표시를 정지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1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서버(1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는 S500 단계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로부터 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서버(10)는 각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로부터 수신된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S510 단계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의 사용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의 사용자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서버(10)는 S520 단계에서 사용자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각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로부터 사용자의 관심도를 수신한다. 서버(10)는 각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로부터의 관심도를 비교하여, S530 단계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 중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를 선택한다.
서버(10)는 S540 단계에서, 선택한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에서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게 제어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 각각에서 인식된 사용자가 1명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만일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 각각에서 동일한 복수의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에, 서버(10)는 기본적으로 컨텐츠 공유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특정 이벤트에 따라서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한 사용자가 특정되는 경우에, 서버(10)는 특정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컨텐츠 공유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버(1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0)는 S600 단계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로부터 각기 사용자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서버(10)는 S610 단계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에서 동일한 사용자가 인식되는지 판단한다.
동일하게 인식되는 사용자가 있으면, 서버(10)는 S620 단계에서 해당 사용자가 복수 명인지 판단한다. 동일하게 인식되는 사용자가 복수 명이 아니면, 서버(10)는 S630 단계에서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컨텐츠 공유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동일하게 인식되는 사용자가 복수 명이면, 서버(10)는 S640 단계에서 복수의 동일하게 인식되는 사용자 중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어느 한 사용자를 특정하는 이벤트를 수신한다. 이러한 이벤트는 다양한 형태로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어느 한 디스플레이장치(100, 200)의 마이크로폰(미도시)을 통해 어느 한 사용자가 기 설정된 명령을 발화하는 경우가 가능하다.
이러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서, 서버(10)는 S650 단계에서 이벤트에 의해 특정된 사용자를 대상으로 컨텐츠 공유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어느 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프로세스는 앞선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서버(10)가 컨텐츠 공유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구성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 사이에 다이렉트로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서버(10)의 개입 없이 제1디스플레이장치(1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200) 중 어느 하나가 앞선 실시예들에서의 서버(1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서 제1디스플레이장치(3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4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장치(300)는 S700 단계에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ID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300)는 S710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400)에게 사용자 ID를 요청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400)는 S720 단계에서 사용자의 영상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ID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를 식별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400)는 S730 단계에서, 인증된 ID를 제1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전송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300)는 자체적으로 인증한 ID와 제2디스플레이장치(400)로부터 수신된 ID를 상호 비교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300)는 S740 단계에서, 두 ID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하면, 컨텐츠 공유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300)는 S750 단계에서 사용자의 관심도를 측정하며, S760 단계에서 제2디스플레이장치(400)에 관심도를 요청한다.
제2디스플레이장치(400)는 S770 단계에서 사용자의 관심도를 측정하며, S780 단계에서 관심도를 제1디스플레이장치(300)에 전송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300)는 S790 단계에서 두 관심도를 상호 비교함으로써, 제1디스플레이장치(300) 및 제2디스플레이장치(400) 중에서 상대적으로 관심도가 높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한다. 제1디스플레이장치(300)는 S800 단계에서, 앞서 선택된 디스플레이장치(300, 400)에서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게 제어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10) 없이 디스플레이장치(300, 400)들 사이에서 다이렉트 통신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서버
100, 200, 300, 4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데이터처리부
121 : 데이터 취득모듈
122 : 사용자 인식모듈
123 : 사용자 인증모듈
124 : 관심도 측정모듈
125 : 통신모듈
130 : 디스플레이
140 :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141 : 리모트 컨트롤러
142 : 카메라
143 : 마이크로폰
150 : 스토리지
160 : 제어부
100, 200, 300, 4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통신 인터페이스
120 : 데이터처리부
121 : 데이터 취득모듈
122 : 사용자 인식모듈
123 : 사용자 인증모듈
124 : 관심도 측정모듈
125 : 통신모듈
130 : 디스플레이
140 :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
141 : 리모트 컨트롤러
142 : 카메라
143 : 마이크로폰
150 : 스토리지
160 : 제어부
Claims (19)
-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게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와;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와;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상기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며,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느 하나에 상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자세 및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가 향하는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향하는 방향의 축선이 형성하는 각도값을 상기 관심도로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도가 0에 근접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가 높고, 상기 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장치의 상기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외부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가 모두 기 설정된 제1수치 이상으로 높거나, 또는 모두 기 설정된 제2수치 이하로 낮다고 판단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ID 및 상기 ID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기준 생체정보가 저장된 스토리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토리지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상기 기준 생체정보 중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상기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생체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기준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ID를 인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 및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복수 명인 경우에, 상기 복수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의해 특정된 어느 하나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관심도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서 상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도록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얼굴의 자세 및 상기 사용자의 눈동자가 향하는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도록 마련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카메라와 상기 사용자의 얼굴 사이를 잇는 직선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향하는 방향의 축선이 형성하는 각도값을 상기 관심도로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가 0에 근접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가 높고, 상기 각도가 증가할수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가 낮은 것으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컨텐츠 데이터가 수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장치의 상기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외부장치에서 상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 및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상기 관심도가 모두 기 설정된 제1수치 이상으로 높거나, 또는 모두 기 설정된 제2수치 이하로 낮으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ID 및 상기 ID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기준 생체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입력되는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 생체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기준 생체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ID를 인증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얼굴 영상 및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마이크로폰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생체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 및 상기 외부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장치의 사용자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상기 식별된 사용자가 복수 명인 경우에, 상기 복수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 중 어느 하나를 특정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이벤트에 의해 특정된 어느 하나의 상기 식별된 사용자를 기준으로 상기 관심도를 판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 서버에 있어서,
컨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 가능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각각의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각기 사용자가 동일하면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선택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어느 하나에서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 영상이 상기 선택된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상기 컨텐츠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1700A KR102163850B1 (ko) | 2014-01-29 | 2014-01-29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EP15151235.7A EP2913740B1 (en) | 2014-01-29 | 2015-01-15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4/609,070 US9602872B2 (en) | 2014-01-29 | 2015-01-29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201510046492.2A CN104811756B (zh) | 2014-01-29 | 2015-01-29 | 显示装置和及其控制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11700A KR102163850B1 (ko) | 2014-01-29 | 2014-01-29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0730A true KR20150090730A (ko) | 2015-08-06 |
KR102163850B1 KR102163850B1 (ko) | 2020-10-12 |
Family
ID=5246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11700A KR102163850B1 (ko) | 2014-01-29 | 2014-01-29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602872B2 (ko) |
EP (1) | EP2913740B1 (ko) |
KR (1) | KR102163850B1 (ko) |
CN (1) | CN10481175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6212819A1 (de) | 2016-07-13 | 2018-01-18 | Audi Ag |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r Zugangseinrichtung zu einer persönlichen Datenquelle |
KR20180027917A (ko) * | 2016-09-07 | 2018-03-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US10390096B2 (en) * | 2016-09-16 | 2019-08-20 | DISH Technologies L.L.C. | Collecting media consumer data |
KR20180071589A (ko) * | 2016-12-20 | 2018-06-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홍채 인식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JP7022622B2 (ja) * | 2018-03-08 | 2022-02-18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CN109710080B (zh) * | 2019-01-25 | 2021-12-03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屏幕控制和语音控制方法及电子设备 |
US20230360079A1 (en) * | 2022-01-18 | 2023-11-09 | e-con Systems India Private Limited | Gaze esti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0713A (ko) * | 2009-08-24 | 2011-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
KR20110118808A (ko) * | 2009-02-12 | 2011-11-01 | 디지맥 코포레이션 | 미디어 처리 방법 및 절차 |
US20130212606A1 (en) * | 2012-02-14 | 2013-08-15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cial interaction with programming content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50928A (en) * | 1992-12-15 | 1996-08-27 | A.C. Nielsen Company | Audienc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
GB9703193D0 (en) * | 1997-02-15 | 1997-04-02 | Philips Electronics Nv | Television |
US6118888A (en) * | 1997-02-28 | 2000-09-12 | Kabushiki Kaisha Toshiba | Multi-modal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
EP1646240B1 (en) * | 2003-07-11 | 2009-09-16 | Hitachi, Ltd. | Image processing camera system and image processing camera control method |
US20060028398A1 (en) * | 2004-07-23 | 2006-02-09 | Willmore Charles E | Wireless interactive multi-user display system and method |
KR100792293B1 (ko) * | 2006-01-16 | 2008-01-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고려한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장치 |
US9319741B2 (en) * | 2006-09-07 | 2016-04-19 | Rateze Remote Mgmt Llc | Finding devices in an entertainment system |
US8253770B2 (en) * | 2007-05-31 | 2012-08-28 | Eastman Kodak Company | Residential video communication system |
JP2009171259A (ja) * | 2008-01-16 | 2009-07-30 | Nec Corp | 顔認証による画面切替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電話機 |
JP5464823B2 (ja) * | 2008-06-17 | 2014-04-09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9104408B2 (en) * | 2008-08-22 | 2015-08-11 | Sony Corporation | Image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US20100107184A1 (en) * | 2008-10-23 | 2010-04-29 | Peter Rae Shintani | TV with eye detection |
KR20100072411A (ko) | 2008-12-22 | 2010-07-01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Iptv와 이동통신 단말기간 컨텐츠 공유 브리지 서버와 시스템 및 방법 |
JP5286371B2 (ja) * | 2009-02-05 | 2013-09-1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
JP5299866B2 (ja) * | 2009-05-19 | 2013-09-25 |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映像表示装置 |
KR101657168B1 (ko) * | 2009-12-01 | 2016-09-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용자 위치 기반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
US9159298B2 (en) | 2010-09-08 | 2015-10-13 | Lg Electronics Inc. | Terminal and contents sharing method for terminal |
KR101752721B1 (ko) | 2010-09-15 | 2017-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 및 단말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
US20120062471A1 (en) * | 2010-09-13 | 2012-03-15 | Philip Poulidis | Handheld device with gesture-based video interac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
CN103238311A (zh) * | 2011-01-13 | 2013-08-07 | 株式会社尼康 | 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控制程序 |
US20130215250A1 (en) * | 2012-02-16 | 2013-08-22 | Research In Motion Limited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
KR20130097591A (ko) | 2012-02-24 | 2013-09-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홈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간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US20130326555A1 (en) * | 2012-06-04 | 2013-12-05 | Microsoft Corporation | User preferences for content |
US20150020086A1 (en) * | 2013-07-11 | 2015-01-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user feedback to media content |
-
2014
- 2014-01-29 KR KR1020140011700A patent/KR10216385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1-15 EP EP15151235.7A patent/EP2913740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5-01-29 CN CN201510046492.2A patent/CN10481175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5-01-29 US US14/609,070 patent/US960287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18808A (ko) * | 2009-02-12 | 2011-11-01 | 디지맥 코포레이션 | 미디어 처리 방법 및 절차 |
KR20110020713A (ko) * | 2009-08-24 | 2011-03-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
US20130212606A1 (en) * | 2012-02-14 | 2013-08-15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ocial interaction with programming cont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811756A (zh) | 2015-07-29 |
US20150215672A1 (en) | 2015-07-30 |
EP2913740B1 (en) | 2020-07-08 |
CN104811756B (zh) | 2019-11-19 |
KR102163850B1 (ko) | 2020-10-12 |
US9602872B2 (en) | 2017-03-21 |
EP2913740A1 (en) | 2015-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63850B1 (ko)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CN109690607B (zh) | 基于视频的数据收集、图像捕获以及分析配置 | |
WO2019136066A1 (en) | Camera enhanced ride sharing | |
US10579783B1 (en) | Identity authentication verification | |
US20150254062A1 (en)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846756B1 (ko) | Tv 프로그램 식별 방법, 장치, 단말기, 서버, 및 시스템 | |
US10931836B2 (en) | Communication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US20160149905A1 (en) |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airing of Electronic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 |
KR101884291B1 (ko)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10528835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12997141B (zh) |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 |
US1047726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questing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data | |
US1053105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ovisioning of an imaging system | |
KR20160053601A (ko) |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
WO2017201874A1 (zh) | 终端丢失提示方法及装置 | |
US10405034B1 (en) | Biometric access to personalized services | |
US20180182393A1 (en) | Security enhanced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 |
US11222494B2 (en) | Indexing a video surveillance stream to match an access control credential or token with best facial image detected at a security portal method of operation and system | |
TW202113639A (zh) | 裝置安全性之增強 | |
KR102467041B1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방송 콘텐트와 관련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 |
KR20190124597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062647A (ko) |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2585875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EP4386621A1 (en) |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 |
US20230259594A1 (en) | Control systems and techniques for secure object authentic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