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713A -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713A
KR20110020713A KR1020100021951A KR20100021951A KR20110020713A KR 20110020713 A KR20110020713 A KR 20110020713A KR 1020100021951 A KR1020100021951 A KR 1020100021951A KR 20100021951 A KR20100021951 A KR 20100021951A KR 20110020713 A KR20110020713 A KR 20110020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broadcast
information
reproduced
broadcas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주연
추희정
이금구
박수홍
곽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RU2012111219/08A priority Critical patent/RU2012111219A/ru
Priority to BR112012001199A priority patent/BR112012001199A2/pt
Priority to PCT/KR2010/005597 priority patent/WO2011025199A2/en
Priority to JP2010186286A priority patent/JP2011045082A/ja
Priority to AU2010287262A priority patent/AU2010287262A1/en
Priority to EP10173871.4A priority patent/EP2293562A3/en
Priority to US12/861,893 priority patent/US20110046755A1/en
Priority to CN2010102609923A priority patent/CN101998157A/zh
Publication of KR2011002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713A/ko
Priority to JP2015133878A priority patent/JP2015216675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연속 재생 방법은,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면,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던 컨텐츠가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한다. 이에 의해, 디바이스의 거리에 기반한 연속 재생을 구현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Method for seamlessplay and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느 디바이스에서 재생하던 컨텐츠를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하는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들의 등장으로 인해,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도 많아지게 되었다. 사용자는 디지털 디바이스들 사이에 파묻혀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디지털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삶을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리고, 근자에 이르러 더욱 가속화된 디지털 디바이스의 고성능화와 다기능화는, 그 기여도를 한층 더 향상시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하며, 그 해법을 디지털 디바이스가 더욱 고성능화되고 다기능화되는 것에서 찾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수행하는 기능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털 디바이스들이 상호 융합하여 기능함으로서, 디지털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수행하지 못한 새로운 기능이 창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상황이 발생하면, 디바이스들 간의 컨텐츠 연속 재생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재생 방법은,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다른 디바이스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설정된 거리는, 사용자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를 휴대하여 외출한 것으로 추정되는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이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가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제목, 회수 및 재생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제1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는 제2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컨텐츠 제공자는, 지상파 방송 컨텐츠 제공자 또는 케이블 방송 컨텐츠 제공자이고, 상기 제2 컨텐츠 제공자는, DMB 방송 컨텐츠 제공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방송 컨텐츠를 상기 제2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채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EPG 정보일 수 있다.
상기 EPG 정보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방송 컨텐츠로서 상기 제2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에 나타난 방송사 로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방송사 로고를 인식하여 파악한 방송사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방송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이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여,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던 방송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저장된 컨텐츠이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재생 지점 이후 부터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던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연속 재생 방법은, 상기 다른 디바이스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가 되면, 상기 다른 디바이스는 자신이 재생하던 컨텐츠가 상기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재생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다른 디바이스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재생되는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재생 방법은,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파워-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이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가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이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여,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던 방송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는, 저장된 컨텐츠이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재생 지점 이후 부터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던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는, 재생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파워-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재생되는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재생 방법은,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한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던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재생함으로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던 컨텐츠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재생 방법은, 디바이스가, 파워-오프된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던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재생함으로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던 컨텐츠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들 간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진 경우나 어느 한 디바이스에서 재생된 컨텐츠를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으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컨텐츠를 재생하던 어느 디바이스가 파워-오프되면, 다른 디바이스에서 그 컨텐츠를 연속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가 단독으로 수행하지 못한 새로운 기능이 창출되어, 사용자의 삶을 보다 편리하고 풍요롭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의 연속 재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TV가 파워-오프된 경우의 연속 재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7 내지 도 10은, 사용자가 귀가한 경우의 연속 재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1은, 방송정보를 방송과 함께 제공되는 메타데이터로 구현한 경우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2는, 방송정보를 방송과 함께 제공되는 EPG 정보로 구현한 경우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3은, 방송정보를 방송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방송사 로고로 구현한 경우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14는, TV에 디스플레이된 방송 화면의 한 쪽 모서리에 방송사 로고가 나타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모바일-폰에 디스플레이된 방송 화면의 한 쪽 모서리에 방송사 로고가 나타난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6 및 도 17는, 연속 재생을 문의하기 위해 제공하는 GUI를 예시한 도면, 그리고,
도 18 내지 도 21은, 네트워크 구성하는 디바이스들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네트워크 구성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네트워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네트워크는 TV(110), 홈-서버(120), AP(Access Point)(130), 모바일-폰(140), 인터넷(I) 및 이동통신망(M)이 상호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는, 홈-서버(120)를 중심으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홈-서버(120)는,
1) TV(110) 및 AP(130)와 직접 연결되어 통신가능하고,
2) AP(130)를 통해 모바일-폰(140)과 통신가능하며,
3) 인터넷(I)과 이동통신망(M)을 통해서도 모바일-폰(140)과 통신가능할 뿐만 아니라,
4) 'TV(110)와 AP(130) 상호 간의 통신' 및 '인터넷(I)과 이동통신망(M)을 통해 TV(110)와 모바일-폰(140) 상호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에 의해 연속 재생(Seamless Play : 끊김 없는 재생)이 가능하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2.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의 연속 재생
2.1 실시간 방송 재생
도 2는 사용자가 TV(110)를 통해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모바일-폰(140)을 휴대한 상태로 외출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연속 재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재생이 시작되면(S205), TV(110)는 홈-서버(120)에 '방송 재생 알림' 메세지를 전송한다(S210). 그러면, TV(110)는 S210단계에서 수신한 '방송 재생 알림' 메세지를 AP(130)에 전달한다(S215).
S215단계에서 '방송 재생 알림' 메세지를 수신한 AP(130)는 스캔을 통해 모바일-폰(140)을 찾아내고 연결을 설정한다(S220). 그리고, AP(130)는 모바일-폰(140)과 자신의 거리를 측정한다(S225).
S225단계에서의 거리 측정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데, 주기를 매우 짧게 하는 경우에는 거의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225단계에서 측정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면(S230-Y), AP(130)는 '사용자 외출' 메세지를 홈-서버(120)에 전송한다(S235). S230단계에서의 기설정된 거리는, 모바일-폰(140)이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어 집 밖으로 나간 것으로 추정되는 거리로 기설정된다.
홈-서버(120)는 S235단계에서 수신한 '사용자 외출' 메세지를 TV(110)로 전달한다(S240).
S240단계에서 '사용자 외출' 메세지를 수신한 TV(110)는, '연속 재생 문의' 메세지를 생성하여 홈-서버(120)로 전송하고(S245), 홈-서버(120)는 수신한 '연속 재생 문의' 메세지를 인터넷(I)과 이동통신망(M)을 통해 모바일-폰(140)으로 전달한다(S250).
이후, 홈-서버(120)가 인터넷(I)과 이동통신망(M)을 통해 모바일-폰(140)으로부터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면(S255), 홈-서버(120)는 수신한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를 TV(110)로 전달한다(S260).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는 '연속 재생 문의' 메세지에 대한 응답으로, 사용자가 모바일-폰(140)에서 제공되는 GUI를 통해 연속 재생을 명령한 경우, 모바일-폰(140)이 생성하는 메세지이다.
S260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 TV(110)는 현재 재생 중인 방송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방송 정보' 메세지를 생성하여 홈-서버(120)로 전송하고(S265), 홈-서버(120)는 수신한 '방송 정보' 메세지를 인터넷(I)과 이동통신망(M)을 통해 모바일-폰(140)으로 전달한다(S270).
TV(110)에서 현재 재생 중인 방송에 대한 정보는, 1) 방송 채널, 2) 방송 제목, 3) 회수(시즌) 및 4) 현재 재생 시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폰(140)은 S270단계에서 수신한 '방송 정보' 메세지를 기초로, TV(110)를 통해 재생 중인 방송(즉, 사용자가 외출 전에 시청하였던 방송)을 파악한다(S275).
그리고, 모바일-폰(140)은 S275단계에서 파악된 방송과 동일한 내용의 DMB 방송을 선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DMB 방송을 재생한다(S280).
이에 의해, 사용자는 외출 전에 시청하던 방송을 외출 후에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2.2 지연된 녹화 방송 재생
도 3은 사용자가 TV(110)를 통해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모바일-폰(140)을 휴대한 상태로 외출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또 다른 연속 재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S305단계 내지 S340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 도시된 S205단계 내지 S240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S342단계부터 설명한다.
S340단계에서 '사용자 외출' 메세지를 수신한 TV(110)는, 현재 재생 중인 방송에 대한 녹화를 시작한다(S342). 이후에 수행되는 S345단계 내지 S360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 도시된 S245단계 내지 S260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S365단계부터 설명한다.
S360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 TV(110)는 S342에서부터 녹화하고 있는 방송을 홈-서버(120)로 전송하고(S365), 홈-서버(120)는 수신한 녹화 방송을 인터넷(I)과 이동통신망(M)을 통해 모바일-폰(140)으로 전달한다(S370).
그러면, 모바일-폰(140)은 S370단계에서 수신되는 녹화 방송을 재생한다(S380).
이에 의해, 사용자는 외출 전에 시청하던 방송을 외출 후에도 시청 가능함은 물론, '연속 재생 요청한 시점부터 모바일-폰(140)에 방송이 재생되기 전까지 방송된 부분'에 대해서도 빠짐없이 시청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TV(110)가 방송 녹화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TV(110) 대신 홈-서버(120)가 방송 녹화를 수행하는 것으로도 구현가능하다.
2.3 TV 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도 4은 사용자가 TV(110)에 저장된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모바일-폰(140)을 휴대한 상태로 외출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또 다른 연속 재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S405단계 내지 S440단계에서는 'TV(11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는 반면, 도 2에 도시된 S205단계 내지 S240단계에서는 'TV(110)에 수신되는 방송을 재생'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 점을 제외하고, 도 4에 도시된 S405단계 내지 S440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 도시된 S205단계 내지 S240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S442단계부터 설명한다.
S440단계에서 '사용자 외출' 메세지를 수신한 TV(110)는, 현재 재생 지점을 저장한다(S442). 이후에 수행되는 S445단계 내지 S460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에 도시된 S245단계 내지 S260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S465단계부터 설명한다.
S460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 TV(110)는 저장된 컨텐츠를 홈-서버(120)로 전송하되, S442에서 저장된 재생 지점부터 전송한다(S465). 홈-서버(120)는 S465단계에서 수신되는 컨텐츠를 인터넷(I)과 이동통신망(M)을 통해 모바일-폰(140)으로 전달한다(S470).
그러면, 모바일-폰(140)은 S470단계에서 수신되는 컨텐츠를 재생한다(S480).
이에 의해, 사용자는 외출 전에 시청하던 컨텐츠를 외출 후에도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2.4 홈-서버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도 5는 사용자가 홈-서버(1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모바일-폰(140)을 휴대한 상태로 외출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또 다른 연속 재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TV(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홈-서버(120)에 요청하기 위한 '컨텐츠 요청' 메세지를 전송하고(S501), 이에 대한 응답으로 홈-서버(12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컨텐츠를 수신한다(S503).
이후에 수행되는 S505단계 내지 S560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 도시된 S405단계 내지 S460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유추가능하므로, 이하에서는 S565단계부터 설명한다.
S560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 TV(110)는 S542에서 저장된 재생 지점에 대한 정보를 홈-서버(120)로 전송한다(S565).
그러면, 홈-서버(120)는 컨텐츠를 인터넷(I)과 이동통신망(M)을 통해 모바일-폰(140)으로 전송하되, S565단계에서 수신한 재생 지점부터 전송한다(S570).
그러면, 모바일-폰(140)은 S570단계에서 수신되는 컨텐츠를 재생한다(S580).
이에 의해, 사용자는 외출 전에 시청하던 컨텐츠를 외출 후에도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3. TV 가 파워- 오프된 경우의 연속 재생
도 6은 사용자가 TV(110)를 통해 방송 또는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외출하기 위해 TV(110)를 파워-오프 명령한 경우에 수행되는 연속 재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또는 컨텐츠 재생 중에(S610), TV(110)에 대한 파워-오프 명령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면(S620-Y), S630단계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1) 실시간 방송 재생의 경우, S620단계에서는 도 2의 S245단계 내지 S280단계가 수행되고,
2) 지연된 녹화 방송 재생의 경우, S620단계에서는 도 3의 S342단계 내지 S380단계가 수행되며,
3) TV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의 경우, S620단계에서는 도 4의 S442단계 내지 S480단계가 수행되고,
4) 홈-서버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의 경우, S620단계에서는 도 5의 S542단계 내지 S580단계가 수행된다.
S620단계에서 수행되는 다른 도면에 도시된 단계들은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TV(110)를 파워-오프 명령한 경우에도, 모바일-폰(140)을 통해 TV(110)에서 시청하던 방송 또는 컨텐츠를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4. 사용자가 귀가한 경우의 연속 재생
4.1 실시간 방송 재생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모바일-폰(140)을 통해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다가 귀가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연속 재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140)을 통해 실시간 방송이 재생되는 중에(S705), 모바일-폰(140)과 AP(130) 간에 통신 연결이 설정되면(S710), AP(130)는 모바일-폰(140)과 자신의 거리를 측정한다(S715).
모바일-폰(140)과 AP(130) 간에 통신 연결이 설정되는 시점은, 모바일-폰(140)을 휴대한 사용자가 집 근처에 도착한 시점이다.
한편, S715단계에서의 거리 측정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데, 주기를 매우 짧게 하는 경우에는 거의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715단계에서 측정된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이면(S720-Y), AP(130)는 '사용자 귀가' 메세지를 홈-서버(120)에 전송한다(S725). S720단계에서의 기설정된 거리는, 모바일-폰(140)을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가 집 안으로 들어왔다고 추정되는 거리로 기설정된다.
홈-서버(120)는 S725단계를 통해 AP(13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귀가' 메세지를 TV(110)로 전달한다(S730).
이후, 홈-서버(120)가 TV(110)로부터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면(S735), 홈-서버(120)는 수신한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를 AP(130)로 전달한다(S740). 그러면, AP(130)는 S740단계에서 수신한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를 모바일-폰(140)으로 전달한다(S745).
S745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 모바일-폰(140)은 현재 재생 중인 방송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방송 정보' 메세지를 생성하여 AP(130)로 전송한다(S750).
그러면, AP(130)는 S750단계에서 수신한 '방송 정보' 메세지를 홈-서버(120)로 전달하고(S755), 홈-서버(120)는 S755단계에서 수신한 '방송 정보' 메세지를 TV(110)로 전달한다(S760).
모바일-폰(140)에서 현재 재생 중인 방송에 대한 정보는, 1) 방송 채널, 2) 방송 제목, 3) 회수(시즌) 및 4) 현재 재생 시점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TV(110)는 S760단계에서 수신한 '방송 정보' 메세지를 기초로, 모바일-폰(140)을 통해 재생 중인 방송(즉, 사용자가 귀가 전에 시청하였던 방송)을 파악한다(S765).
그리고, TV(110)는 S765단계에서 파악된 방송과 동일한 내용의 지상파 방송 또는 케이블 방송을 선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을 재생한다(S770).
이에 의해, 사용자는 귀가 전에 모바일-폰(140)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청하던 방송을 귀가 후에 TV(110)를 통해 대형 화면으로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4.2 지연된 녹화 방송 재생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모바일-폰(140)을 통해 TV(110)에 녹화된 방송을 지연 시청하다가 귀가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연속 재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S805단계 내지 S845단계에서는 'TV(110)에 녹화된 방송을 지연 재생'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는 반면, 도 7에 도시된 S705단계 내지 S745단계에서는 'TV(110)에 수신되는 방송을 실시간 재생'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 점을 제외하고, 도 8에 도시된 S805단계 내지 S845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에 도시된 S705단계 내지 S745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S850단계부터 설명한다.
S845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 모바일-폰(140)은 현재 재생 중인 녹화 방송의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녹화 방송 재생 시점' 메세지를 생성하여 AP(130)로 전송한다(S850).
그러면, AP(130)는 S850단계에서 수신한 '녹화 방송 재생 시점' 메세지를 홈-서버(120)로 전달하고(S855), 홈-서버(120)는 S855단계에서 수신한 '녹화 방송 재생 시점' 메세지를 TV(110)로 전달한다(S860).
그러면, TV(110)는 자신에 저장되어 있는 녹화 방송을 재생하되, S860단계에서 수신한 녹화 방송 재생 시점부터 재생한다(S870).
이에 의해, 사용자는 귀가 전에 모바일-폰(140)을 통해 시청하던 녹화 방송을 귀가 후에 TV(110)를 통해 대형 화면으로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4.3 TV 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도 9는, 도 4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모바일-폰(140)을 통해 TV(110)에 저장된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귀가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연속 재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S905단계 내지 S945단계에서는 'TV(11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는 반면, 도 7에 도시된 S705단계 내지 S745단계에서는 'TV(110)에 수신되는 방송을 실시간 재생'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 점을 제외하고, 도 9에 도시된 S905단계 내지 S945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에 도시된 S705단계 내지 S745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S950단계부터 설명한다.
S945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 메세지를 수신한 모바일-폰(140)은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의 재생 시점에 대한 정보가 수록된 '컨텐츠 재생 시점' 메세지를 생성하여 AP(130)로 전송한다(S950).
그러면, AP(130)는 S950단계에서 수신한 '컨텐츠 재생 시점' 메세지를 홈-서버(120)로 전달하고(S955), 홈-서버(120)는 S955단계에서 수신한 '컨텐츠 재생 시점' 메세지를 TV(110)로 전달한다(S960).
그러면, TV(110)는 자신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재생하되, S960단계에서 수신한 컨텐츠 재생 시점부터 재생한다(S970).
이에 의해, 사용자는 귀가 전에 모바일-폰(140)을 통해 시청하던 커텐츠를 귀가 후에 TV(110)를 통해 대형 화면으로 연속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4.4 TV 에 저장된 컨텐츠 재생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모바일-폰(140)을 통해 홈-서버(1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시청하다가 귀가하는 경우에 수행되는 연속 재생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S1005단계 내지 S1070단계에서는 '홈-서버(1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는 반면, 도 9에 도시된 S905단계 내지 S970단계에서는 'TV(110)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이 점을 제외하고, 도 10에 도시된 연속 재생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에 도시된 연속 재생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5. 방송정보
도 2에서는 연속 재생을 위해, TV(110)에서 현재 재생 중인 방송에 대한 방송 정보가 모바일-폰(140)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그리고, 도 7에서는 연속 재생을 위해, 모바일-폰(140)에서 현재 재생 중인 방송에 대한 방송 정보가 TV(110)로 전달되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이하에서는, TV(110)와 모바일-폰(140) 간에 전달되는 방송 정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5.1 메타데이터
'방송정보'는 방송과 함께 제공되는 '메타데이터'로 구현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도 11에 도시된 네트워크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제공자-1(10)은 TV(110)에 방송을 제공할 때, '모바일-폰(140)이 컨텐츠 제공자-2(20)로부터 동일한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함께 제공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1(10)은 TV(110)에 S-방송을 제공하는데, 이 S-방송은 컨텐츠 제공자-2(20)에서 모바일-폰(140)으로 20번 채널을 통해 제공된다고 가정하면, 컨텐츠 제공자-1(10)은 TV(110)에 '채널 20'을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함께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도 2의 S260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을 수신한 TV(110)는 '모바일-폰(140)에서 동일한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폰(140)으로 전달한다(S265 및 S270).
모바일-폰(140)은 S270단계에서 수신한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자-2(20)로부터 방송을 선국하여 수신 및 재생하게 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제공자-2(20)도 모바일-폰(140)에 방송을 제공할 때, 'TV(110)가 컨텐츠 제공자-1(10)로부터 동일한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함께 제공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자-2(20)는 모바일-폰(140)에 S-방송을 제공하는데, 이 S-방송은 컨텐츠 제공자-1(10)에서 TV(110)로 10번 채널을 통해 제공된다고 가정하면, 컨텐츠 제공자-2(20)는 모바일-폰(140)에 '채널 10'을 메타데이터의 형태로 함께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도 7의 S745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을 수신한 모바일-폰(140)은 'TV(110)에서 동일한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는 채널에 대한 정보'를 TV(110)로 전달한다(S750 내지 S760).
TV(110)는 S760단계에서 수신한 채널 정보를 참조하여, 컨텐츠 제공자-1(10)로부터 방송을 선국하여 수신 및 재생하게 된다.
한편, 도 11에서 TV(110)에 방송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1(10)과 모바일-폰(140)에 방송을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2(20)를 별개로 구현하였으나, 이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5.2 EPG 정보
'방송정보'는 방송과 함께 제공되는 'EPG 정보'로 구현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도 12에 도시된 네트워크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제공자-1(10)은 TV(110)에 방송을 제공하고, EPG 제공자-1(15)은 TV(110)가 제공받고 있는 방송에 대한 EPG 정보를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10)와 EPG 제공자-1(15)은 동일한 제공자에 소속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양자를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TV(110)가 제공받고 있는 방송에 대한 EPG 정보'에는, '컨텐츠 제공자-2(20)가 제공하는 동일한 방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2의 S260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을 수신한 TV(110)는 EPG 정보를 모바일-폰(140)으로 전달한다(S265 및 S270).
그러면, 모바일-폰(140)은 S270단계에서 수신한 EPG 정보로부터 '컨텐츠 제공자-2(20)가 제공하는 동일한 방송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제공자-2(20)로부터 방송을 선국하여 수신 및 재생하게 된다.
한편, EPG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에만 EPG 제공자-1(15)에서 TV(110)로 제공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TV(110)가 제공받고 있는 방송에 대한 EPG 정보'에 '컨텐츠 제공자-2(20)가 제공하는 동일한 방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정보 제공자(미도시)가 '컨텐츠 제공자-2(20)가 제공하는 동일한 방송에 대한 EPG 정보'를 TV(110)에 제공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2의 S265단계 및 S270단계에서, TV(110)는 EPG 정보 중 '컨텐츠 제공자-2(20)가 제공하는 동일한 방송에 대한 정보'만을 모바일-폰(140)에 전달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네트워크에서, 컨텐츠 제공자-2(20)는 모바일-폰(140)에 방송을 제공하고, EPG 제공자-2(25)는 모바일-폰(140)이 제공받고 있는 방송에 대한 EPG 정보를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2(20)와 EPG 제공자-2(25)는 동일한 제공자에 소속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양자를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바일-폰(140)이 제공받고 있는 방송에 대한 EPG 정보'에는, '컨텐츠 제공자-1(10)이 제공하는 동일한 방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S745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을 수신한 모바일-폰(140)은 EPG 정보를 TV(110)로 전달한다(S750 내지 S760).
그러면, TV(110)는 S760단계에서 수신한 EPG 정보로부터 '컨텐츠 제공자-1(10)이 제공하는 동일한 방송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제공자-1(10)로부터 방송을 선국하여 수신 및 재생하게 된다.
한편, EPG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에만 EPG 제공자-2(25)에서 모바일-폰(140)으로 제공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폰(140)이 제공받고 있는 방송에 대한 EPG 정보'에 '컨텐츠 제공자-1(10)이 제공하는 동일한 방송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정보 제공자(미도시)가 '컨텐츠 제공자-1(10)이 제공하는 동일한 방송에 대한 EPG 정보'를 모바일-폰(140)에 제공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7의 S750단계 내지 S760단계에서, 모바일-폰(140)은 EPG 정보 중 '컨텐츠 제공자-1(10)이 제공하는 동일한 방송에 대한 정보'만을 TV(110)로 전달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5.3 방송사 로고( logo )
'방송정보'는 방송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방송사 로고'로 구현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110)에서 방송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방송 화면의 한 쪽 모서리에는 방송사 로고가 나타난다. TV(110)는 방송 화면에 나타난 방송사 로고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TV(110)는 인식한 방송사 로고를 정보 제공자-1(17)에게 전송하여 '모바일-폰(140)으로 제공되는 방송들 중 인식된 로고를 사용하는 방송사가 제공하는 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의 S260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을 수신한 TV(110)는 '인식된 로고를 사용하는 방송사가 모바일-폰(140)으로 제공하는 방송'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폰(140)으로 전달한다(S265 및 S270).
그러면, 모바일-폰(140)은 S270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제공자-2(20)로부터 방송을 선국하여 수신 및 재생하게 된다.
한편, 도 2의 S265단계 및 S270단계에서 TV(110)는 인식한 방송사 로고에 대한 정보를 모바일-폰(140)으로 제공하고, 모바일-폰(140)은 방송사 로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제공자-2(20)에게 전달하여, 전달한 로고를 사용하는 방송사의 방송을 바로 수신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폰(140)은 방송사 로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제공자-2(20)가 아닌 정보 제공자-2(27)에 전달하여, 전달한 로고를 사용하는 방송사의 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자-2(20)로부터 방송을 수신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140)에서 방송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방송 화면의 한 쪽 모서리에는 방송사 로고가 나타난다. 모바일-폰(140)은 방송 화면에 나타난 방송사 로고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폰(140)은 인식한 방송사 로고를 정보 제공자-2(27)에게 전송하여 'TV(110)로 제공되는 방송들 중 인식된 로고를 사용하는 방송사가 제공하는 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S745단계에서 연속 재생 요청을 수신한 모바일-폰(140)은 '인식된 로고를 사용하는 방송사가 TV(110)로 제공하는 방송에 대한 정보'를 TV(110)로 전달한다(S750 내지 S760).
그러면, TV(110)는 S760단계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 제공자-1(10)로부터 방송을 선국하여 수신 및 재생하게 된다.
한편, 도 7의 S750단계 내지 S760단계에서 모바일-폰(140)은 인식한 방송사 로고에 대한 정보를 TV(110)로 제공하고, TV(110)는 방송사 로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제공자-1(10)에게 전달하여, 전달한 로고를 사용하는 방송사의 방송을 바로 수신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TV(110)가 방송사 로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제공자-1(10)가 아닌 정보 제공자-1(17)에 전달하여, 전달한 로고를 사용하는 방송사의 방송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자-1(10)로부터 방송을 수신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6. GUI
도 16에는, 도 2의 S250단계, 도 3의 S350단계, 도 4의 S450단계 및 도 5의 S550단계에서 '연속 재생 문의' 메세지를 수신한 모바일-폰(140)이 사용자에게 연속 재생을 문의하기 위해 제공하는 GUI를 예시하였다.
그리고, 도 17에는, 도 7의 S730단계, 도 8의 S830단계, 도 9의 S930단계 및 도 10의 S1030단계에서 '사용자 귀가' 메세지를 수신한 TV(110)가 사용자에게 연속 재생을 문의하기 위해 제공하는 GUI를 예시하였다.
7. 네트워크의 변형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도시된 네트워크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TV(110)에 홈-서버(120)의 기능을 통합시키고 홈-서버(120)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나 도 1에 도시된 경우는, TV(110)와 모바일-폰(140)이 AP(130)를 통해 컨텐츠, 메세지, 기타 정보 등을 송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들은, TV(110)와 모바일-폰(140)이 기반 구조(Infra Structure) 네트워크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TV(110)와 모바일-폰(140)이 AP(130)의 중계 없이 직접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TV(110)와 모바일-폰(140) 간에 컨텐츠, 메세지, 기타 정보 등이 직접 송수신되도록 구현가능하다. 이 경우, TV(110)와 모바일-폰(140)은 애드 혹(Ad-hoc)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애드 혹 네트워크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한다고 할 수 있다.
8. 네트워크 구성하는 디바이스들의 상세 구성
8.1 TV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TV(11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110)는 방송 수신부(111), 디스플레이(112), 제어부(113), 저장부(11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5)를 구비한다.
방송 수신부(111)는 TV(110) 본연의 기능을 담당하는 블럭으로, 공중(Air), 케이블, 위성 등을 통해 방송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112)는 방송 수신부(111)에 수신된 방송과 전술한 GUI가 디스플레이된다.
저장부(114)는 TV(110)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컨텐츠와 녹화 방송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5)는 주변의 홈-서버(12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어부(113)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단계들 중 TV(11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이 수행되도록, 방송 수신부(111), 디스플레이(112), 저장부(11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5)를 제어한다.
8.2 홈-서버
도 19는, 도 1에 도시된 홈-서버(12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서버(120)는 디스플레이(121), 제어부(122), 저장부(123)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4)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121)는 홈-서버(120)의 동작 상태, 제어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저장부(123)는 홈-서버(120)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4)는 주변의 TV(110) 및 AP(13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인터넷(I)에 액세스한다.
제어부(122)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단계들 중 홈-서버(12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이 수행되도록, 디스플레이(121), 저장부(123)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24)를 제어한다.
8.3 AP
도 20은, 도 1에 도시된 AP(13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130)는 제어부(131), 저장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구비한다.
저장부(132)는 AP(130)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주변의 홈-서버(120) 및 모바일-폰(140)과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어부(131)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단계들 중 AP(13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이 수행되도록, 저장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제어한다.
8.4 모바일-폰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모바일-폰(14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140)은 이동 통신부(141), 터치 스크린(142), 제어부(143), 저장부(14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5)를 구비한다.
이동 통신부(141)는 모바일-폰(140) 본연의 기능과 부수적 기능을 담당하는 블럭으로, 이동 전화 통화, SMS, DMB 방송 수신, 촬영 등을 수행한다.
터치 스크린(142)은 이동 통신부(141)의 이동 전화 통화, SMS 제공에 필요한 화면, DMB 방송, 컨텐츠 및 전술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의 기능과, 터치를 통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수단의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저장부(114)는 모바일-폰(140)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및 컨텐츠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5)는 주변의 AP(13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제어부(143)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단계들 중 모바일-폰(140)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이 수행되도록, 이동 통신부(141), 터치 스크린(142), 제어부(143), 저장부(144)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45)를 제어한다.
8.5 다른 디바이스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다른 종류의 디바이스들로 구성되는 네트워크의 경우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TV 120 : 홈-서버
130 : AP 140 : 모바일-폰
I : 인터넷 M : 이동통신망

Claims (21)

  1.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다른 디바이스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거리는,
    사용자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를 휴대하여 외출한 것으로 추정되는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이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가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제목, 회수 및 재생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제1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는 제2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제공자는, 지상파 방송 컨텐츠 제공자 또는 케이블 방송 컨텐츠 제공자이고,
    상기 제2 컨텐츠 제공자는, DMB 방송 컨텐츠 제공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방송 컨텐츠를 상기 제2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는 채널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EPG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EPG 정보는,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방송 컨텐츠로서 상기 제2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에 나타난 방송사 로고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방송사 로고를 인식하여 파악한 방송사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제공하는 방송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이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여,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던 방송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저장된 컨텐츠이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재생 지점 이후 부터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던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가 되면, 상기 다른 디바이스는 자신이 재생하던 컨텐츠가 상기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14. 재생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다른 디바이스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재생되는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15. 디바이스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파워-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이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여,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상기 방송 컨텐츠가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이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라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여,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던 방송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저장된 컨텐츠이고,
    상기 처리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를 재생 지점 이후 부터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재생단계에서 재생되던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19. 재생된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파워-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재생되는 컨텐츠가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20.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와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를 초과한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던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재생함으로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던 컨텐츠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21. 디바이스가, 파워-오프된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던 컨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재생함으로서,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서 재생되던 컨텐츠를 연속하여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재생 방법.
KR1020100021951A 2009-08-24 2010-03-11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KR20110020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2111219/08A RU2012111219A (ru) 2009-08-24 2010-08-23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контента
BR112012001199A BR112012001199A2 (pt) 2009-08-24 2010-08-23 método para reproduzir contéudo em um dispositivo, dispositivo de exibição, e terminal móvel.
PCT/KR2010/005597 WO2011025199A2 (en) 2009-08-24 2010-08-23 Contents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JP2010186286A JP2011045082A (ja) 2009-08-24 2010-08-23 コンテンツ再生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そのコンテンツ再生方法
AU2010287262A AU2010287262A1 (en) 2009-08-24 2010-08-23 Contents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EP10173871.4A EP2293562A3 (en) 2009-08-24 2010-08-24 Contents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US12/861,893 US20110046755A1 (en) 2009-08-24 2010-08-24 Contents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CN2010102609923A CN101998157A (zh) 2009-08-24 2010-08-24 内容再现设备和方法
JP2015133878A JP2015216675A (ja) 2009-08-24 2015-07-02 コンテンツ再生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そのコンテンツ再生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8308 2009-08-24
KR1020090078308 2009-08-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713A true KR20110020713A (ko) 2011-03-03

Family

ID=4392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951A KR20110020713A (ko) 2009-08-24 2010-03-11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07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0730A (ko) * 2014-01-29 2015-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271770B2 (en) 2015-06-11 2022-03-0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0730A (ko) * 2014-01-29 2015-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271770B2 (en) 2015-06-11 2022-03-0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11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에서 방송 데이터 제공 장치및 방법
KR101343276B1 (ko) 휴대용 무선 디바이스에게로 τv 프로그램의 포터블 전달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τv 프로그램의 전달을 수신하는 휴대용 무선 디바이스 기기
CN113170227B (zh) 带有用于个人视频记录的外部调谐器和存储器的tv和电子设备
EP2293562A2 (en) Contents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US10200726B2 (en) System for exchanging media content between a media content processor and a communication device
KR101188925B1 (ko) 휴대용 비디오 프로그램
WO2015096648A1 (zh) 智能电视中的视频分享方法及系统
US20090013363A1 (en) Broadcast system and broadcast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N101945351A (zh) 视讯分享的方法、第一终端和终端
KR20150034794A (ko) 디지털 방송 tv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멀티-스크린 서비스 플랫폼
KR20100072411A (ko) Iptv와 이동통신 단말기간 컨텐츠 공유 브리지 서버와 시스템 및 방법
KR101303872B1 (ko) 서비스 로밍 시스템 및 방법
WO2015090161A1 (zh) 通过智能电视提供电视节目的方法及系统
WO2011130976A1 (zh) 一种实现多媒体在线播放的方法及终端
CN102223583A (zh) 一种电视机遥控方法、装置及系统
KR20110020713A (ko) 연속 재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
JP2015216675A (ja) コンテンツ再生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その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101403104B1 (ko) 주문형 방송영상 탐색시스템, 방송수신단말기 및 그 주문형 방송영상의 표시방법, 주문형 방송서버 및 그 주문형 방송영상의 전송방법, 방송영상 탐색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탐색방법
JP6271169B2 (ja) 番組関連プログラム
JP4591459B2 (ja) 携帯端末
KR101294149B1 (ko) 방송 함께 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05155A1 (en) Downloading and storing video content offline to manage video playback
JP5381010B2 (ja) テレビジョン録画方法、テレビジョン録画プログラム、テレビジョン録画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KR100710324B1 (ko) 채널연동을 위한 채널정보 접속장치 및 텔레비젼 수상기,그리고 그를 이용한 채널연동 시스템 및 방법
JP2005333408A (ja) チャンネル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携帯電話端末、端末プログラム、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