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384A - 이중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384A
KR20150090384A KR1020140010931A KR20140010931A KR20150090384A KR 20150090384 A KR20150090384 A KR 20150090384A KR 1020140010931 A KR1020140010931 A KR 1020140010931A KR 20140010931 A KR20140010931 A KR 20140010931A KR 20150090384 A KR20150090384 A KR 20150090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cylindrical body
paper cup
present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섭
조정용
조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섭
조영철
조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조영철, 조정용 filed Critical 이상섭
Priority to KR1020140010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384A/ko
Publication of KR20150090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은 원통형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스푼 대용의 젓개 또는 티백 손잡이부 고정장치로 사용되는 제1 테두리 및 음료 음용 시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제2 테두리를 포함하는 이중 테두리를 포함함으로써, 일회용 음료를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음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중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Paper cup containing dual bord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중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종이컵 상단에 이중 테두리를 포함함으로써, 일회용 음료의 형태에 상관없이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이컵은 자판기나 사무실 또는 야외에서 분말 형태의 커피 믹스나, 홍차, 녹차 등의 일회용 티백(tea bag)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를 마실 때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사무실 또는 야외에서 종이컵에 분말 형태의 일회용 커피 믹스로 제조되는 음료를 마실 경우, 별도의 스푼이 마련되지 않아 커피믹서 포장지를 접어 스푼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하나의 스푼으로 다수의 사람들이 공용으로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제조되는 음료는 비위생적이며, 특히, 스푼 대용으로서 커피믹서 포장지를 사용할 경우, 커피 믹스 포장지로부터 유래되는 환경 호르몬이 음료에 침투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종이컵에 각종 차류(녹차, 홍차, 우롱차, 구기자차, 생강차, 인삼차, 매실차 등)가 적당량 포장된 티백 형태의 일회용 차를 뜨거운 물(또는 찬물)에 넣어 우려내어 마실 경우, 티백에 연결된 실과 손잡이부가 종이컵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커피 믹스의 경우와 같이, 손잡이부로부터 유래되는 환경 호르몬의 위협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음용자는 이 경우 손잡이부를 꺼내려고 하는데, 종이컵에 담긴 물이 뜨거운 물이라면 손가락에 화상을 입을 수가 있는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종이스푼이 부착된 종이컵이 개발된 바 있다(특허문헌 1 내지 4). 또한, 일회용 티백의 손잡이부를 컵에 고정시킬 수 있는 종이컵 또는 티백 포장지가 개발된 바 있다(특허문헌 5 및 6).
그러나, 종이스푼이 부착된 종이컵의 경우, 분말 형태의 일회용 음료만을 대상으로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고, 티백의 손잡이부를 고정시키는 종이컵 또는 티백 포장지는 티백 형태의 일회용 음료만을 대상으로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므로, 아직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일회용 음료의 형태에 제한이 없는 위생적이고, 안전적으로 사용 가능한 종이컵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 실용신안 제20-2008-0002513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418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21090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0630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891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018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일회용 음료의 형태에 상관없이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음료를 음용할 수 있는 종이컵을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종이컵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광하협의 원통형 몸체;
원통형 몸체 상단에 위치하는 이중 테두리부; 및
원통형 몸체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 테두리부는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부채꼴 형상을 갖는 코팅종이의 양끝단을 접합하여 원통형 몸체를 제조하는 단계;
원통형 몸체의 하단에 원형 코팅종이를 밀어 올려 삽입하는 단계;
삽입된 원형 코팅종이를 열 접착하여 바닥면을 제조하는 단계;
원통형 몸체의 하단을 바닥면의 테두리 내측으로 꺾어 올려붙이는 리이밍 단계;
원통형 몸체 상단을 내측으로 말아 제1 테두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테두리의 경계선을 시작으로, 원통형 몸체 상단을 외측으로 말아 제2 테두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컵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은 원통형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스푼 대용의 젓개 또는 티백 손잡이부 고정장치로 사용되는 제1 테두리 및 음료 음용 시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제2 테두리를 포함하는 이중 테두리를 포함함으로써, 일회용 음료를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음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제1 테두리의 분리가 가능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을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2는 티백 형태의 일회용 음료 음용 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의 이중 테두리 사용방법을 예시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분말 형태의 일회용 음료 음용 시,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의 이중 테두리 사용방법을 예시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의 단면도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의 이중 테두리 단면도를 확대 도시한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을 제조하기 위한 원통형 몸체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은 이중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 또는 야외에서 종이컵에 분말 형태의 일회용 커피 믹스 또는 티백 형태의 일회용 차로 제조되는 음료를 마실 경우, 별도의 스푼이 마련되지 않아 커피믹서 포장지를 접어 스푼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하나의 스푼으로 다수의 사람들이 공용으로 사용하므로, 제조되는 음료는 비위생적이다. 또한, 스푼 대용으로서 커피믹서 포장지를 사용하거나, 티백의 손잡이부가 종이컵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 커피 믹스 포장지 또는 손잡이부로부터 유래되는 환경 호르몬이 음료에 침투되어 건강에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중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은 원통형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스푼 대용의 젓개 또는 티백 손잡이부 고정장치로 사용되는 제1 테두리 및 음료 음용 시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제2 테두리를 포함하는 이중 테두리를 포함함으로써, 일회용 음료를 위생적이고, 안전하게 음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광하협의 원통형 몸체(101);
원통형 몸체(101) 상단에 위치하는 이중 테두리부; 및
원통형 몸체(101)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부(104)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 테두리부는 제1 테두리(102)와 제2 테두리(103)를 포함하는 종이컵(100)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종이컵(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이미지이다.
상기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100)의 각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몸체(101)는 상광하협의 형태를 가지며, 물에 대한 방수 효과를 갖는 방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수 소재로는 특별히 제한하는 것은 아니나, 방수 코팅된 종이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중 테두리부는 원통형 몸체(101)의 상단에 위치하며, 제1 테두리(102) 및 제2 테두리(103)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 테두리(102)는 티백 형태의 일회용 음료를 음용할 경우, 티백 손잡이부 고정장치로 사용될 수 있으며, 분말 형태의 일회용 음료를 음용하는 경우에는, 원통형 몸체(101)로부터 분리되어 스푼 대용의 젓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테두리(103)는 원통형 몸체(101)의 상단에 외측으로 말린 형태로 위치하여, 종이컵(100)에 접촉되는 신체의 손상 없이 음료를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1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이컵의 테두리에 대응하는 제2 테두리(103)의 하단에 원통형 몸체(101)와 분리 가능한 제1 테두리(102)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조는 제1 테두리(102)가 제2 테두리(103)의 상단에 존재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그 사용 및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음료 음용 시, 종이컵(100)에 접촉되는 신체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종이컵(100)의 제1 테두리(102) 및 제2 테두리(103)는 그 내경이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1]
0.1 mm ≤ r2 - r1 ≤ 5.0 mm
여기서, r1은 제1 테두리(102)의 내경이고, r2는 제2 테두리(102)의 내경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100)은 상광하협의 원통형 몸체(101)를 가지므로, 제1 테두리(102) 및 제2 테두리(103) 사이에 0.1 mm 내지 5.0 mm의 내경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1 테두리(102)가 제2 테두리(103)의 하단에 존재하므로, 제2 테두리(103)의 내경을 기준으로 제1 테두리(102)의 내경 편차를 구하면 그 값은 양의 값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중 테두리부는 제1 테두리(102)와 제2 테두리(103)의 경계에 타공구를 포함하는 절취선(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테두리(102)는 일회용 음료 음용 시, 원통형 몸체(101)로부터 분리하여 스푼 대용의 젓개 또는 티백 손잡이부 고정장치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1 테두리의 분리를 위한 절취선(10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취선(105)은 도 5의 전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테두리(102)와 제2 테두리(103)의 경계를 따라 일정하게 형성된 타공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104)는 상기 원통형 몸체(101)의 내부 하단에 위치하여, 하단을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바닥부(104)는 원통형 몸체(101)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에서, 부채꼴 형상을 갖는 코팅종이의 양끝단을 접합하여 원통형 몸체(101)를 제조하는 단계;
원통형 몸체(101)의 하단에 원형 코팅종이를 밀어 올려 삽입하는 단계;
삽입된 원형 코팅종이를 열 접착하여 바닥면을 제조하는 단계;
원통형 몸체(101)의 하단을 바닥면의 테두리 내측으로 꺾어 올려붙이는 리이밍 단계;
원통형 몸체(101) 상단의 말단을 내측으로 말아 제1 테두리(102)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테두리(102)의 경계선을 시작으로, 원통형 몸체(101) 상단을 외측으로 말아 제2 테두리(103)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컵(100)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종이컵(100)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에 도시한 부채꼴 형상의 방수 코팅된 코팅종이를 원통형으로 말고, 코팅종이의 양끝단을 접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은 코팅종이의 양끝단이 접합할 수 있도록 접합부(106)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하거나, 또는 접합부(106)에 열을 가하여 열 접착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종이컵(100)의 바닥면이 될 원형 코팅종이를 마름하고, 이를 원통형 몸체(101)의 하단으로 밀어올려 하단을 밀폐시킬 수 있다. 그 후, 원통형 몸체(101) 하단에 삽입된 원형 코팅종이를 열 접착하여 원통형 몸체(101)와 바닥면을 완전히 접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 접착은 원통형 몸체(101)와 바닥면의 접착을 위하여 수행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바닥면이 원통형 몸체(101)에 완전히 접합하면, 원통형 몸체(101)의 하단을 바닥면의 테두리 안쪽으로 꺾어 올려붙이는 리이밍(reamming) 처리하여 바닥부(104)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바닥부(104)가 형성된 원통형 몸체(101) 상단을 원통형 몸체(101)의 내측으로 컬링(coring) 처리하여 제1 테두리(102)를 형성할 수 있다. 그 후, 상기에서 형성된 제1 테두리(102)와 원통형 몸체(101)의 경계선을 시작으로, 원통형 몸체(101) 상단을 외측으로 컬링(coring) 처리함으로써, 제2 테두리(103)를 포함하는 이중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종이컵(100)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100)의 제조방법은,
제1 테두리(102)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
제1 테두리(102)와 제2 테두리(103)의 경계선을 타공하여 절취선(105)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컵(100)은 일회용 음료 음용 시, 제1 테두리(102)를 원통형 몸체(101)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1 테두리(102) 형성 이전 또는 이후에, 제1 테두리(102)와 제2 테두리(103)의 경계선에 일정한 간격으로 타공함으로써, 제1 테두리(102) 분리를 위한 절취선(105)을 원통형 몸체(101)에 형성할 수 있다.
100: 종이컵
101: 원통형 몸체
102: 제1 테두리
103: 제2 테두리
104: 바닥부
105: 절취선
106: 접합부

Claims (5)

  1. 상광하협의 원통형 몸체;
    원통형 몸체 상단에 위치하는 이중 테두리부; 및
    원통형 몸체 하단을 밀폐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중 테두리부는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테두리 및 제2 테두리의 내경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종이컵:
    [수학식 1]
    0.1 mm ≤ r2 - r1 ≤ 5.0 mm
    여기서, r1은 제1 테두리의 내경이고, r2는 제2 테두리의 내경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이중 테두리부는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의 경계에 타공구를 포함하는 절취선을 더 포함하는 종이컵.
  4. 부채꼴 형상을 갖는 코팅종이의 양끝단을 접합하여 원통형 몸체를 제조하는 단계;
    원통형 몸체의 하단에 원형 코팅종이를 밀어 올려 삽입하는 단계;
    삽입된 원형 코팅종이를 열 접착하여 바닥면을 제조하는 단계;
    원통형 몸체의 하단을 바닥면의 테두리 내측으로 꺾어 올려붙이는 리이밍 단계;
    원통형 몸체 상단을 내측으로 말아 제1 테두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제1 테두리의 경계선을 시작으로, 원통형 몸체 상단을 외측으로 말아 제2 테두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종이컵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제1 테두리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 또는 이후,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의 경계선을 타공하여 절취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종이컵의 제조방법.
KR1020140010931A 2014-01-28 2014-01-28 이중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90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931A KR20150090384A (ko) 2014-01-28 2014-01-28 이중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931A KR20150090384A (ko) 2014-01-28 2014-01-28 이중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384A true KR20150090384A (ko) 2015-08-06

Family

ID=5388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931A KR20150090384A (ko) 2014-01-28 2014-01-28 이중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03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24435A1 (en) Single cup brewer disposable filter and beverage system
BRPI0318217B1 (pt) cápsula de dose única para a preparação de uma bebida percolada
US9113742B2 (en) Beverage brewing platform
US20120210880A1 (en) Disposable device for making beverages from soluble products
KR20160085565A (ko) 간단한 구조의 원두 커피 드립 백
US20170121065A1 (en) Disposable coffee filter and cup
CN204071527U (zh) 杯子
US20150307267A1 (en) Permeable disposable filter and beverage system
KR20150090384A (ko) 이중 테두리를 포함하는 종이컵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6232296A (ja) スプーンが付着された一回用紙コップ
CN207956636U (zh) 一次性饮料内置冲泡杯
KR20170000464U (ko) 간단한 구조의 원두 커피 드립 백
JP2017512161A (ja) 折り畳み式コップ
CN209826135U (zh) 一种便携式手冲饮品杯
KR200470505Y1 (ko)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JP3200328U (ja) 受け口の大きさを変更可能なドリップ補助具
US20200140180A1 (en) Coffee cup sleeve with outside pouch
CN206427539U (zh) 一种带有速溶饮料的方便食品
GB2517182A (en) Tea Brewing Equipment
KR20160016063A (ko) 일회용 다기 세트
CN204245799U (zh) 一次性杯子
CN203576255U (zh) 具有可携行容器的果汁机
CN203987333U (zh) 便携纸杯
JP3179688U (ja) 着色支持シート付嗜好性飲料抽出用バッグ
CN203934983U (zh) 纸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