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326A -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326A
KR20150090326A KR1020140009901A KR20140009901A KR20150090326A KR 20150090326 A KR20150090326 A KR 20150090326A KR 1020140009901 A KR1020140009901 A KR 1020140009901A KR 20140009901 A KR20140009901 A KR 20140009901A KR 20150090326 A KR20150090326 A KR 20150090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erminal device
information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제호
허재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0326A/ko
Publication of KR20150090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5Transfer to or from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부분의 단말장치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예 : NFC)을 활용하여, 단말장치를 개통한 판매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태그를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신규 개통한 단말장치에 무료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장치의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PROVIDING SERVICE,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장치를 개통한 판매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태그를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신규 개통한 단말장치에 무료의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장치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 통신사에서는 통신서비스 가입자를 유치하기 위해서, 새롭게 단말장치를 개통하는 가입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부가적인 혜택을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신규 가입자에 한해서 무료로 일정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헌데, 기존에는, 무료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서, 신규 가입자가 새롭게 개통한 단말장치를 조작하여 지정된 웹페이지에 접속한 후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신규 가입자로서 등록을 하고, 이 후 무료 컨텐츠 제공을 위한 항목을 찾아 선택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에, 신규 가입자 입장에서는, 아무리 무료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한 일일지라도 번거로운 과정 때문에 불만을 느끼게 되거나, 이로 인해 무료 컨텐츠를 제공받기를 포기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한편, 최근, 결제 및 도어 잠금(Door-lock) 등과 같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서비스의 보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 출시되는 단말장치에는 이러한 NFC 기능이 탑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NFC 기능은, NFC 카드 모드 및 NFC 리더기 모드가 존재한다. NFC 리더기 모드는 특정 근거리 이내로 접근되는 NFC 카드 모드의 상대방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드이며, NFC 카드 모드는 특정 근거리 이내로 접근되는 NFC 리더기 모드의 상대방에게 인식될 수 있는 모드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대부분의 단말장치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예 : NFC)을 활용하여, 단말장치를 개통한 판매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태그를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신규 개통한 단말장치에 무료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한 단말장치가, 상기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면,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을 기초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되면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함으로써, 단말장치를 개통한 판매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태그를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신규 개통한 단말장치에 무료의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하는 판매점정보획득부; 상기 특정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말식별정보획득부; 및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에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제공요청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식별정보는,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태그는,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개통시킨 상기 판매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는,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서비스대상인증부;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대상인증부는, 각 판매점 별로 개통시킨 단말장치의 정보가 저장되는 판매점별 개통 단말장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가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에서 개통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 인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컨텐츠는,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와 관련된 특정 통신사에서 기 등록한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목록에서 선택된 벨소리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통신사의 온라인마켓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한 단말장치가, 상기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을 기초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는 태그정보획득단계; 상기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하는 판매점정보획득단계; 상기 특정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말식별정보획득단계; 및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에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제공요청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식별정보는,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태그는,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개통시킨 상기 판매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서비스대상인증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서비스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대상인증단계는, 각 판매점 별로 개통시킨 단말장치의 정보가 저장되는 판매점별 개통 단말장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가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에서 개통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 및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장치의 방법에 의하면, 대부분의 단말장치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예 : NFC)을 활용하여, 단말장치를 개통한 판매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태그를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신규 개통한 단말장치에 무료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장치(100) 및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는, 특정 근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상대방장치를 인지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지원하는 단말로서, 예컨대 이동전화단말(예 : 스마트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은, 앤에프씨(NFC : Near Field Communications)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장치(100)는, 전술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즉 NFC 방식을 지원하는 NFC모듈(미도시)가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NFC 기능은, NFC 카드 모드 및 NFC 리더기 모드가 존재한다. NFC 리더기 모드는 특정 근거리 이내로 접근되는 NFC 카드 모드의 상대방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드이며, NFC 카드 모드는 특정 근거리 이내로 접근되는 NFC 리더기 모드의 상대방에게 인식될 수 있는 모드이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NFC 카드 모드 및 NFC 리더기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NFC 리더기 모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즉 NFC 방식을 통해 상대방 즉 특정 태그(10)를 인식하여,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특정 태그(10)는, 단말장치(100)가 개통된 판매점(예 : 판매점A)에 설치되어 있는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며, NFC 카드 모드를 갖는 상대방에 해당될 것이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획득한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단말장치(100)는, 획득한 태그정보에 포함된 접속정보(예 : ULR)에 따른 판매점정보관리서버(300)에 접속하고, 획득한 태그정보에 포함된 판매점식별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예 : 판매점이름, 판매점등록번호, 판매점계좌정보 등)를 판매점정보관리서버(3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더불어,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면, 단말장치(100) 내부 저장영역(예 : USIM)에 기록되어 있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는, 전화번호(예 : Mobile Directory Numb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한 후, 자동으로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 전술의 획득한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다.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전술과 같이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 즉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한다.
예컨대,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제휴를 맺은 여러 통신사서버와의 연동이 가능하다.
이에,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통신사서버(400) 즉 단말장치(100)가 가입된 통신사의 통신사서버(400)와의 연동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이에,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단말장치(100)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한다.
예컨대,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되면,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통신사서버(400)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100)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단말장치(100)로 제공한 특정 컨텐츠의 비용에 대해서는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청구할 수 있다.
결국,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된 단말장치(100)에 한해서 단말장치(100)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한편 그에 따른 비용은 단말장치(100)를 개통시킨 판매점에 청구함으로써, 단말장치(100) 측에서는 판매점에 설치된 태그(10)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NFC)을 통해 터치(특정 근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무료의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및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단말장치(100)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110)와, 상기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하는 판매점정보획득부(120)와, 상기 특정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말식별정보획득부(130)와,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에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제공요청부(140)를 포함한다.
근거리무선통신부(110)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예컨대 전술의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무선통신부(110)은, 근거리 무선통신기능 즉 NFC 기능을 지원하는 NFC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특정 태그(10)는, 단말장치(100)가 개통된 판매점(이하, 판매점A 라고 함)에 설치되어 있는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가 판매점A에서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예 : MDN)를 기초로 특정 통신사(예 : 통신사A)에 가입되어 통신사A를 통해 개통되는 것을 가정하면, 특정 태그(10)는 단말장치(100)가 개통된 판매점A에 설치되어 있는 태그여야만, 단말장치(100)는 후술에서 설명하게 될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서 인증될 수 있다.
판매점정보획득부(120)는, 전술과 같이 근거리무선통신부(110)에서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가 획득되면,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판매점정보획득부(120)는, 근거리무선통신부(110)에서 획득한 태그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접속정보(예 : ULR)에 따른 판매점정보관리서버(300)에 접속하고, 획득한 태그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판매점식별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예 : 판매점이름, 판매점등록번호, 판매점계좌정보 등)를 판매점정보관리서버(3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단말식별정보획득부(130)는, 전술과 같이 근거리무선통신부(110)에서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가 획득되면,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한다.
예컨대, 단말식별정보획득부(130)는, 단말장치(100) 내부 저장영역(예 : USIM)에 기록되어 있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는, 전화번호(예 : MD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근거리무선통신부(110)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즉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면, 자동으로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제공요청부(140)는,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 전술의 획득한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여,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에서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100)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컨텐츠제공요청부(140)는, 전술의 판매점정보획득부(120) 및 단말식별정보획득부(130)에서 판매점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획득되면,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 전술의 획득한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는 것이다.
이후, 컨텐츠제공요청부(140)는, 컨텐츠 제공을 요청함에 따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부터 특정 컨텐츠(예 : 벨소리컨텐츠, 포인트컨텐츠)가 제공되면 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단말장치(100)에서 필요 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컨텐츠제공요청부(140)는, 컨텐츠 제공을 요청함에 따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부터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이 제공되면 이를 단말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하여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벨소리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벨소리컨텐츠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 알려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부터 선택된 벨소리컨텐츠를 특정 컨텐츠로서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제공요청부(140)는, 컨텐츠 제공을 요청함에 따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부터 포인트컨텐츠를 특정 컨텐츠로서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판매점정보획득부(120), 단말식별정보획득부(130) 및 컨텐츠제공요청부(140)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성되어, 단말장치(100)에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처럼 단말장치(100)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단말장치(100)가 개통된 후 정상적으로 전원 온(On)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구동된 후, 근거리무선통신부(110)를 자동 활성화시킴으로써, 단말장치(100)를 구매/개통시킨 대리점(예 : 대리점A)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즉시 태그(10)를 터치하여 무료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210)와,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서비스대상인증부(220)와,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서비스제어부(230)을 포함한다.
요청수신부(210)는,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
즉, 요청수신부(210)는, 전술의 도 2를 참조한 설명과 같이, 판매점에 설치된 태그(10)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NFC)을 통해 터치한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서비스대상인증부(220)는, 전술과 같이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 즉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한다.
예컨대, 서비스대상인증부(220)는,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통신사서버(400)와의 연동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대상인증부(220)는, 각 판매점 별로 개통시킨 단말장치의 정보가 저장되는 판매점별 개통 단말장치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 즉 단말장치(100)가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에서 개통된 것으로 확인되면, 단말장치(100)를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 인증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전술의 예와 같이, 단말장치(100)가 판매점A에서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예 : MDN)를 기초로 특정 통신사(예 : 통신사A)에 가입되어 통신사A를 통해 개통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가 자신이 개통된 판매점A에 설치된 특정 태그(10)를 터치하였다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공 요청에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A의 판매점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만약, 단말장치(100)가 자신이 개통된 판매점A가 아닌 다른 판매점B에 설치된 태그(미도시)를 터치하였다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공 요청에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B의 판매점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한편, 여러 통신사서버에는, 각 판매점 별로 개통시킨 단말장치의 정보가 저장되는 판매점별 개통 단말장치정보가 관리될 수 있다.
이에, 여러 통신사서버 중에서 단말장치(100)가 가입한 통신사A의 통신사서버(400)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통신사서버(400)에는 각 판매점 별로 개통시킨 단말장치의 정보가 저장되는 판매점별 개통 단말장치정보가 관리되는 것이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판매점A의 컴퓨터장치(미도시)와 통신사A의 통신사서버(400) 간 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판매점A에서 가입 및 개통을 위한 제반 절차를 통해 단말장치(100)를 통신사A에 가입시켜 개통시켰다면, 통신사서버(400)에서는 판매점별 개통 단말장치정보 중 판매점A의 개통 단말장치정보에 단말장치(100)의 정보를 추가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대상인증부(220)는, 제휴를 맺은 여러 통신사서버와 연동할 수 있다.
이에, 서비스대상인증부(220)는, 전술과 같이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 즉 단말장치(100)가 가입한 통신사A의 통신사서버(400)와 연동하여, 통신사서버(400)에서 관리되는 판매점별 개통 단말장치정보를 기초로, 단말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에서 개통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결국, 서비스대상인증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공 요청에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A의 판매점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단말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A에서 개통된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를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 인증할 수 있다.
물론, 서비스대상인증부(2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공 요청에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B의 판매점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단말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B에서 개통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를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 인증하지 않을 것이다.
더 나아가, 서비스대상인증부(220)는, 단말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A에서 개통된 것으로 확인되더라도, 이미 이전에 컨텐츠 제공 요청에 따른 무료 컨텐츠를 제공받은 이력이 있다면 단말장치(100)를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 인증하지 않을 수 있고, 또는 단말장치(100)가 개통된 시점으로부터 기 지정된 서비스기간(예 : 1개월)이 경과하였다면 단말장치(100)를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 인증하지 않을 수도 있다.
서비스제어부(230)는,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단말장치(100)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한다.
예컨대, 서비스제어부(230)는, 단말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되면, 단말장치(100)가 가입한 통신사A의 통신사서버(400)와 연동하여, 단말장치(100)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단말장치(100)로 제공한 특정 컨텐츠의 비용에 대해서는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청구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컨텐츠는,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서비스제어부(230)는,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특정 통신사 즉 단말장치(100)가 가입된 통신사A에서 기 등록한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단말장치(100)에서는, 컨텐츠 제공을 요청함에 따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부터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이 제공되면 이를 단말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하여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벨소리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벨소리컨텐츠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 알릴 것이다.
이에, 서비스제어부(230)는, 단말장치(100)로 제공한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에서 선택된 벨소리컨텐츠를 특정 콘텐츠로서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고, 제공한 벨소리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은 금번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청구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제어부(230)는,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특정 통신사 즉 단말장치(100)가 가입된 통신사A의 온라인마켓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고, 제공한 포인트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은 금번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청구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제어부(230)는, 단말장치(100)로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를 모두 제공하고, 제공한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에 대한 비용을 금번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청구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제어부(230)는, 개통된 단말장치(100)의 가입자가 신규 가입자인지 또는 기기를 변경한 기존 가입자가 인지에 따라서,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 모두 제공하거나 또는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 중 하나만 제공하는 등 차별화시킬 수도 있고, 제공하는 벨소리컨텐츠의 개수 또는 포인트컨텐츠의 포인트수치를 차별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제어부(230)는, 또는 단말장치(100) 개통 시 가입한 요금제에 따라서,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 모두 제공하거나 또는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 중 하나만 제공하는 등 차별화시킬 수도 있고, 제공하는 벨소리컨텐츠의 개수 또는 포인트컨텐츠의 포인트수치를 차별화시킬 수도 있다.
결국,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된 단말장치(100) 즉, 자신이 개통된 판매점(예 : 판매점A)에 설치된 태그(10)를 터치하여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 신규 개통 단말장치(100)에 한해서만, 단말장치(100)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한편 그에 따른 비용은 단말장치(100)를 개통시킨 판매점에 청구함으로써, 단말장치(100) 측에서는 판매점에 설치된 태그(10)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NFC)을 통해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무료의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장치 및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가 포함한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대부분의 단말장치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예 : NFC)을 활용하여, 단말장치를 개통한 판매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태그를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신규 개통한 단말장치에 무료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신규 개통 단말장치의 사용자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판매점을 방문하여 단말장치를 구매/개통하는 고객을 유치하는 효과 및 무료 컨텐츠 사용을 통해 유료 컨텐츠 구매까지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술의 도 1 내지 도 3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100)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즉 NFC 방식을 통해 상대방 즉 특정 태그(10)를 인식하여,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20). 이때, 특정 태그(10)는, 단말장치(100)가 개통된 판매점(예 : 판매점A)에 설치되어 있는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획득한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한다(S30).
더불어, 단말장치(100)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한다(S40).
예컨대,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면, 단말장치(100) 내부 저장영역(예 : USIM)에 기록되어 있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는, 전화번호(예 : MD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한 후, 자동으로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후, 단말장치(100)는,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 전술의 획득한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다(S50).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전술과 같이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 즉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한다(S60).
이에,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S60 Yes), 단말장치(100)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한다(S70).
이에, 단말장치(100)는, 컨텐츠 제공을 요청함에 따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부터 특정 컨텐츠(예 : 벨소리컨텐츠, 포인트컨텐츠)가 제공되면 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단말장치(100)에서 필요 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S80).
한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 제공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비용에 대해서는,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청구한다(S90).
즉, 예를 들어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되면,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통신사서버(400)와의 연동을 통해 단말장치(100)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단말장치(100)로 제공한 특정 컨텐츠의 비용에 대해서는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청구할 수 있다.
결국,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된 단말장치(100)에 한해서 단말장치(100)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한편 그에 따른 비용은 단말장치(100)를 개통시킨 판매점에 청구함으로써, 단말장치(100) 측에서는 판매점에 설치된 태그(10)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NFC)을 통해 터치(특정 근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무료의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예컨대 전술의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이때, 특정 태그(10)는, 단말장치(100)가 개통된 판매점(이하, 판매점A 라고 함)에 설치되어 있는 태그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가 판매점A에서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예 : MDN)를 기초로 특정 통신사(예 : 통신사A)에 가입되어 통신사A를 통해 개통되는 것을 가정하면, 특정 태그(10)는 단말장치(100)가 개통된 판매점A에 설치되어 있는 태그여야만, 단말장치(100)는 후술에서 설명하게 될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서 인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00단계에서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가 획득되면,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한다(S110).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00단계에서 획득한 태그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접속정보(예 : ULR)에 따른 판매점정보관리서버(300)에 접속하고, 획득한 태그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판매점식별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예 : 판매점이름, 판매점등록번호, 판매점계좌정보 등)를 판매점정보관리서버(3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00단계에서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가 획득되면,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한다(S120).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00단계에서 단말장치(100) 내부 저장영역(예 : USIM)에 기록되어 있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는, 전화번호(예 : MDN)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00단계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즉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면, 자동으로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 및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S110단계 및 S120단계의 수행 순서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이 후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 전술의 획득한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다(S130).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S110단계에서 판매점정보가 획득되고 및 S120단계에서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가 획득되면,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 전술의 획득한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는 것이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30단계에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함에 따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부터 특정 컨텐츠(예 : 벨소리컨텐츠, 포인트컨텐츠)가 제공되면 이를 지정된 저장영역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단말장치(100)에서 필요 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S140).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 제공을 요청함에 따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부터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이 제공되면 이를 단말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하여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벨소리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벨소리컨텐츠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 알려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부터 선택된 벨소리컨텐츠를 특정 컨텐츠로서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 제공을 요청함에 따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부터 포인트컨텐츠를 특정 컨텐츠로서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S200).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의 도 2를 참조한 설명과 같이, 판매점에 설치된 태그(10)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NFC)을 통해 터치한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 즉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한다(S210).
설명에 앞서, 전술의 예와 같이, 단말장치(100)가 판매점A에서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예 : MDN)를 기초로 특정 통신사(예 : 통신사A)에 가입되어 통신사A를 통해 개통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가 자신이 개통된 판매점A에 설치된 특정 태그(10)를 터치하였다면,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공 요청에는,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A의 판매점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200단계에서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 즉 단말장치(100)가 가입한 통신사A의 통신사서버(400)와 연동하여, 통신사서버(400)에서 관리되는 판매점별 개통 단말장치정보를 기초로, 단말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에서 개통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공 요청에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A의 판매점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단말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A에서 개통된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를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 인증할 수 있다(S210 Yes).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공 요청에 단말장치(100)의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B의 판매점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단말장치(100)가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B에서 개통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함으로써, 단말장치(100)를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 인증하지 않을 것이다(S210 No).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210단계에서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S210 Yes), 단말장치(100)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S230)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한다(S240).
예컨대, 특정 컨텐츠는,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특정 통신사 즉 단말장치(100)가 가입된 통신사A에서 기 등록한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을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단말장치(100)에서는, 컨텐츠 제공을 요청함에 따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부터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이 제공되면 이를 단말장치(100)의 화면에 표시하여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벨소리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에서 선택되는 벨소리컨텐츠를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로 알릴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 제공한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에서 선택된 벨소리컨텐츠를 특정 콘텐츠로서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고(S230), 제공한 벨소리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은 금번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청구할 수 있다(S240).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특정 통신사 즉 단말장치(100)가 가입된 통신사A의 온라인마켓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컨텐츠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고(S230), 제공한 포인트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은 금번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청구할 수 있다(S24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를 모두 제공하고, 제공한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에 대한 비용을 금번 컨텐츠 제공 요청에 포함된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예 : 판매점A)으로 청구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개통된 단말장치(100)의 가입자가 신규 가입자인지 또는 기기를 변경한 기존 가입자가 인지에 따라서,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 모두 제공하거나 또는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 중 하나만 제공하는 등 차별화시킬 수도 있고, 제공하는 벨소리컨텐츠의 개수 또는 포인트컨텐츠의 포인트수치를 차별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또는 단말장치(100) 개통 시 가입한 요금제에 따라서,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 모두 제공하거나 또는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 중 하나만 제공하는 등 차별화시킬 수도 있고, 제공하는 벨소리컨텐츠의 개수 또는 포인트컨텐츠의 포인트수치를 차별화시킬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된 단말장치(100) 즉, 자신이 개통된 판매점(예 : 판매점A)에 설치된 태그(10)를 터치하여 컨텐츠 제공을 요청한 신규 개통 단말장치(100)에 한해서만, 단말장치(100)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한편 그에 따른 비용은 단말장치(100)를 개통시킨 판매점에 청구함으로써, 단말장치(100) 측에서는 판매점에 설치된 태그(10)를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예 : NFC)을 통해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무료의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은, 대부분의 단말장치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예 : NFC)을 활용하여, 단말장치를 개통한 판매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태그를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신규 개통한 단말장치에 무료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및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대부분의 단말장치에 탑재된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예 : NFC)을 활용하여, 단말장치를 개통한 판매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태그를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신규 개통한 단말장치에 무료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장치의 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를 개통한 판매점에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태그를 터치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신규 개통한 단말장치에 무료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태그 100 : 단말장치
200 :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 300 : 판매점관리서버
400 : 통신사서버

Claims (12)

  1. 단말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는 근거리무선통신부;
    상기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하는 판매점정보획득부;
    상기 특정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말식별정보획득부; 및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에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제공요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식별정보는,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태그는,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개통시킨 상기 판매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부;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서비스대상인증부;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서비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대상인증부는,
    각 판매점 별로 개통시킨 단말장치의 정보가 저장되는 판매점별 개통 단말장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가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에서 개통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컨텐츠는, 벨소리컨텐츠 및 포인트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제어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와 관련된 특정 통신사에서 기 등록한 벨소리컨텐츠의 목록을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목록에서 선택된 벨소리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특정 통신사의 온라인마켓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
  6.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한 단말장치가, 상기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가,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을 기초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가,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방법.
  7.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는 태그정보획득단계;
    상기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하는 판매점정보획득단계;
    상기 특정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말식별정보획득단계; 및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에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제공요청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식별정보는,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태그는,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단말장치의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개통시킨 상기 판매점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9. 단말식별정보 및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요청수신단계;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서비스대상인증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서비스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대상인증단계는,
    각 판매점 별로 개통시킨 단말장치의 정보가 저장되는 판매점별 개통 단말장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단말장치가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에서 개통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단말장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획득된 태그정보를 기초로, 상기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특정 태그로부터 상기 태그정보를 획득한 단말장치의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여, 상기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에서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12.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태그정보와 매핑된 판매점정보 및 단말식별정보를 획득하여, 기 설정된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로 상기 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판매점정보에 기초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에 대하여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대상인 것으로 인증하는 경우, 상기 단말식별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장치로 특정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판매점정보에 따른 판매점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비용을 청구하는 컨텐츠제공서비스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1020140009901A 2014-01-27 2014-01-27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50090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01A KR20150090326A (ko) 2014-01-27 2014-01-27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901A KR20150090326A (ko) 2014-01-27 2014-01-27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326A true KR20150090326A (ko) 2015-08-06

Family

ID=53885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901A KR20150090326A (ko) 2014-01-27 2014-01-27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032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594B1 (ko) 식별 수단을 이용한 안전 출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20110012715A1 (en) Provision of a tag-based service using a broker server
JP6075371B2 (ja) 情報処理装置、無線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94625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imited communication services to unprovision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445137B1 (ko) 근거리 통신 기반 스마트 카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KR20140009684A (ko) 무인 임대 시스템 및 방법
JP5626102B2 (ja) 端末装置、及び端末装置における使用制限解除方法
KR101439136B1 (ko) 결제 채널 관리 시스템
KR20120019964A (ko) 바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휴대폰 결제 시스템 및 휴대폰 결제 방법
KR20090041810A (ko)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을 활용한 동의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20120150741A1 (en) Mobile device for providing smart wallet service and layer structure for operating smart wallet service
KR101109928B1 (ko) 금융서비스 보안강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JP4979723B2 (ja)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基盤アクセス方法
KR101454835B1 (ko) Nfc 기반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쿠폰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101151298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모바일 신용 결제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KR20150107125A (ko) ''url-nfc카드''의 인터넷 전용사이트를 제공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시스템과 사업방법
CN105099511A (zh) 基于移动网络实现近场服务的方法和装置
KR20140122466A (ko) 멤버십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98000B1 (ko) 환자 관리 서버 노드 및 통신 서비스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환자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90326A (ko)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30033507A (ko)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101360792B1 (ko)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구매자 인증 방법, 인증서버 및 이를 이용한 신용카드 전자 결제 시스템
KR101363109B1 (ko) 무선 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373234B1 (ko) 접속시설정보를 이용한 인터넷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1264A (ko) 모바일 디바이스 판매 키오스크 및 모바일 디바이스 판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