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109B1 - 무선 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109B1
KR101363109B1 KR1020120034734A KR20120034734A KR101363109B1 KR 101363109 B1 KR101363109 B1 KR 101363109B1 KR 1020120034734 A KR1020120034734 A KR 1020120034734A KR 20120034734 A KR20120034734 A KR 20120034734A KR 101363109 B1 KR101363109 B1 KR 101363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cont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392A (ko
Inventor
임종호
Original Assignee
(주)에어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패스 filed Critical (주)에어패스
Priority to KR102012003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109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선AP(Access Point)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구현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N(N≥1)개의 무선AP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AP 관리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n(1≤n≤N)개의 무선AP 정보를 확인하는 무선AP 확인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에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무선링크 시키기 위한 상기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하는 무선AP 매핑부와 상기 매핑된 n개의 무선AP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등록시키는 정보 제공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되는 단말링크 정보에 일정한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유효기간 설정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로부터 상기 매핑된 단말링크 정보에 대한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을 수신하는 내역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내역을 근거로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1회 이상의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는 단말링크 정보의 유효기간이 자동으로 연장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상기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지 않는 단말링크 정보가 상기 무선AP로부터 소거되도록 제어하는 무선AP 운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Distributed Contents by using Mobile Access Point}
본 발명은 무선AP(Access Point)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구현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N(N≥1)개의 무선AP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AP 관리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n(1≤n≤N)개의 무선AP 정보를 확인하는 무선AP 확인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에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무선링크 시키기 위한 상기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하는 무선AP 매핑부와 상기 매핑된 n개의 무선AP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등록시키는 정보 제공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되는 단말링크 정보에 일정한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유효기간 설정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로부터 상기 매핑된 단말링크 정보에 대한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을 수신하는 내역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내역을 근거로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1회 이상의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는 단말링크 정보의 유효기간이 자동으로 연장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상기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지 않는 단말링크 정보가 상기 무선AP로부터 소거되도록 제어하는 무선AP 운영부를 포함하는 무선 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이 활성화되면서 무선AP(Access Point)가 급격한 속도로 보급되었다. 무선AP는 망 사업자가 전략적 거점에 설치하여 운영하는 공용AP와, 개인 운영자가 개인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는 사설AP로 구분된다.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자신이 가입된 망 사업자의 공용AP를 통해 통신망 접속이 가능하나, 사설AP에 비해 공용AP의 수가 지나치게 적기 때문에 공용AP를 통한 통신망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대부분의 개인 운영자들은 자신이 운영하는 사설AP의 보안 문제와 통신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등록된 단말기를 제외한 임의 단말기의 접근을 차단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사용자로 하여금 근처에 검출되는 무수히 많은 무선AP가 존재함에도 실제로 이용 가능한 무선AP는 단 한 개도 존재하지 않는 불편함을 주고 있다.
게다가 대부분의 사설AP는 망 사업자가 운영하는 공용AP에 비해 통신 출력도 낮고 수용 가능한 세션수도 제한되기 때문에, 상기 사설AP에 대한 보안 문제를 접어두고라도 무작정 사설AP에 임의 단말기 접근을 허용하기에는 통신품질 저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없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AP(Access Point)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구현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N(N≥1)개의 무선AP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AP 관리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n(1≤n≤N)개의 무선AP 정보를 확인하는 무선AP 확인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에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무선링크 시키기 위한 상기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하는 무선AP 매핑부와 상기 매핑된 n개의 무선AP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등록시키는 정보 제공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되는 단말링크 정보에 일정한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유효기간 설정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로부터 상기 매핑된 단말링크 정보에 대한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을 수신하는 내역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내역을 근거로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1회 이상의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는 단말링크 정보의 유효기간이 자동으로 연장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상기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지 않는 단말링크 정보가 상기 무선AP로부터 소거되도록 제어하는 무선AP 운영부를 포함하는 무선 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은, 무선AP(Access Point)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구현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N(N≥1)개의 무선AP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AP 관리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n(1≤n≤N)개의 무선AP 정보를 확인하는 무선AP 확인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에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무선링크 시키기 위한 상기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하는 무선AP 매핑부와 상기 매핑된 n개의 무선AP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등록시키는 정보 제공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되는 단말링크 정보에 일정한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유효기간 설정부와 상기 n개의 무선AP로부터 상기 매핑된 단말링크 정보에 대한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을 수신하는 내역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내역을 근거로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1회 이상의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는 단말링크 정보의 유효기간이 자동으로 연장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상기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지 않는 단말링크 정보가 상기 무선AP로부터 소거되도록 제어하는 무선AP 운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는 상기 무선AP와 상기 단말링크 정보를 통한 무선링크가 연결된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조건과 상기 연결된 무선링크를 통해 통신망 접속이 확인되는 조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이 만족되는 무선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무선AP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제공/사용 가능한 컨텐츠를 상기 단말링크 정보와 함께 상기 무선AP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AP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제공/사용 가능한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값을 상기 단말링크 정보와 함께 상기 무선AP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제공/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상기 무선AP로 제공하거나 또는 갱신시키는 컨텐츠 관리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링크 정보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할당된 MAC주소, IP주소, 장치고유코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는 쿠폰 컨텐츠, 광고 컨텐츠, 음악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분산형 컨텐츠 운영 방법은, 무선AP(Access Point)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N(N≥1)개의 무선AP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n(1≤n≤N)개의 무선AP 정보가 확인되는 단계와 상기 n개의 무선AP에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무선링크 시키기 위한 상기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하는 단계와 상기 매핑된 n개의 무선AP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등록시키는 단계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되는 단말링크 정보에 일정한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n개의 무선AP로부터 상기 매핑된 단말링크 정보에 대한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내역을 근거로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1회 이상의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는 단말링크 정보의 유효기간이 자동으로 연장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상기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지 않는 단말링크 정보가 상기 무선AP로부터 소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주요 거점에 구비되는 무선AP와 무선링크를 형성하여 통신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거점은 상기 무선AP의 통신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무선링크가 형성되는 무선단말 사용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무선AP에 무선단말의 단말링크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무선AP를 통해 무선단말로 컨텐츠를 제공/사용되도록 운영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무선AP(160)와 연동하여 상기 무선AP(160)와 무선링크가 형성되는 사용자의 무선단말(170)로 지정된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운영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65)과 통신하여 각 지역/위치 별 하나 이상의 거점에 구비된 무선AP(160) 중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165)로 컨텐츠를 제공할 무선AP(160)를 선택받고,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70)과 상기 선택된 무선AP(160) 사이에 무선링크가 형성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AP(160)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70)로 지정된 컨텐츠가 제공되도록 운영하는 하드웨어적/소프트웨어적 시스템의 총칭으로서, 독립된 서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서버 조합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기 구비된 서버(또는 장치)에 구현되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을 구현하는 하드웨어적/소프트웨어적 구현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N(N≥1)개의 무선AP 정보와 거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무선AP 관리부(105)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은 상기 무선AP(160)를 통해 통신망 접속이 가능한 무선통신기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파이 연결이 가능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점은, AP가 설치된 상점, 교육기관, 공공기관, 공공시설, 박람회장, 전시회장, 경기장 또는 AP가 설치된 개별 부스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AP 관리부(105)는 각 지역/위치 별 하나 이상의 거점에 구비되거나 위치하는 단말 또는 거점에 관련되는 운영자가 이용하는 단말로부터 해당 거점에 구비된 무선AP(160)에 대한 무선AP 정보를 등록받거나, 또는 운영자 단말로부터 제휴된 거점에 구비된 무선AP 정보를 등록 받는다. 또는 상기 무선AP 관리부(105)는 제휴된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무선AP(160)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통신채널의 프로토콜 정보(예컨대, IP주소, MAC 주소)를 판독하여 상기 거점에 구비된 무선AP(160)에 대한 무선AP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무선AP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무선AP 관리부(105)는 상기 확인된 무선AP(16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무선AP(160)인지 판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AP 관리부(105)는 상기 등록된 무선AP 정보를 근거로 해당 무선AP(160)의 모델명/제조사를 식별하고, 이를 근거로 상기 무선AP(16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무선AP(160)인지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무선AP(160)는, 본 발명의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에 의해 원격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예컨대, 무선단말(170)의 와이파이(WiFi)용 MAC주소, IP주소, 장치고유코드 등)를 등록 가능한 무선AP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AP(160)가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무선AP(160)로 판별되면, 상기 무선AP 관리부(105)는 상기 무선AP(160)가 구비된 거점에 대한 거점 정보(예컨대, 거점이 상점이 경우, 상점 명칭, 상점 주소, 상점주 등)를 확인하고, 상기 무선AP 정보와 거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30)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AP 정보는, 본 발명의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이 원격으로 상기 무선AP(160)에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의 총칭으로서, 하기의 정보 제공부(140)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무선AP(16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무선AP 주소 정보(예컨대, 무선AP(160)의 통신망 연결용 MAC주소, IP주소, 장치고유코드 등)와, 상기 무선AP(160)에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계정 정보(예컨대, 단말링크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권한이 할당된 ID/PW)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상기 무선AP(160)를 통해 각 지역/위치 별 거점으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165)과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부(110)와, 상기 사용자 단말(165)로부터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 중 컨텐츠를 제공/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무선AP(160)를 선택하기 위한 무선AP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15)와, 상기 사용자 단말(165)로부터 수신된 무선AP 선택 정보를 근거로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n(1≤n≤N)개의 무선AP 정보를 확인하는 무선AP 확인부(120)와, 상기 n개의 무선AP(160)에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을 무선링크 시키기 위한 상기 무선단말(170)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하는 무선AP 매핑부(125)를 구비한다.
상기 저장매체(130)에 N개의 거점 정보와 무선AP 정보가 등록된 상태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무선AP(160)를 통해 각 지역/위치 별 거점으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165)과 상기 컨텐츠를 제공/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무선AP(160)를 선택 받기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무선AP(160)를 선택받기 위한 웹사이트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165)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 관리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65)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의 총칭으로서, 상기 사용자의 유선단말과 무선단말(170)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정보 수신부(115)는 상기 사용자 단말(165)로부터 저장매체(130)에 저장된 N개의 무선AP 정보 중 컨텐츠를 제공/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무선AP(160)를 선택하기 위한 무선AP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무선AP 선택 정보는, 특정 거점 정보 또는 거점 카테고리 정보(예컨대, 업종, 업태 등)를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거점이 위치한 특정 지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AP 선택 정보는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된 N개의 무선AP 정보 중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AP(160)를 선별하기 위한 조건 정보(예컨대, 인기도, 주거래 고객층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AP 선택 정보는 상기 거점의 무선AP(160)를 통해 통신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일시, 요일, 시간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거점의 무선AP(160)에는 상기 일시, 요일, 시간대에 상기 무선단말(170)과 무선링크가 형성되도록 상기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상기 무선AP 확인부(120)는 상기 사용자 단말(165)로부터 수신된 무선AP 선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130)에 저장된 N개의 무선AP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n개의 무선AP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무선AP 매핑부(125)는 상기 n개의 무선AP(160)에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을 무선링크 시키기 위한 상기 무선단말(170)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165)이 상기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무선단말(170)인 경우, 상기 무선단말(170)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165)과 연결된 통신채널의 통신 프로토콜을 판독하여 자동으로 확인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무선단말(170)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165)로부터 입력되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65)이 무선단말(170)인 경우에 상기 단말링크 정보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링크 정보는 상기 무선AP(160)와 무선링크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에 할당된 MAC주소, IP주소, 장치고유코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AP 매핑부(125)는 상기 확인된 단말링크 정보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3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무선AP 매핑부(125)는 상기 무선AP 확인부(120)에 의해 확인된 n개의 무선AP 정보와 상기 확인된 사용자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30)에 저장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상기 무선AP(160)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170)로 제공될 컨텐츠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135)를 구비한다.
상기 컨텐츠 관리부(135)는 상기 무선AP(160)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170)로 제공될 컨텐츠를 획득/생성하여 지정된 데이터베이스(도시생략)를 통해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는 쿠폰 컨텐츠, 광고 컨텐츠, 음악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관리부(135)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70)로 제공될 컨텐츠를 상기 무선AP(160)로 제공하여 상기 무선AP(160)의 메모리부에 등록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무선AP(160)는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단말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70)과 무선링크가 연결되는 시점에 상기 무선단말(170)로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관리부(135)는 상기 N개의 무선AP(160)와 컨텐츠 제공을 위한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유지 및 관리하며, 상기 무선AP(160)로부터 요청되는 컨텐츠를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AP(16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무선AP(160)는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단말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70)과 무선링크가 연결되는 시점에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컨텐츠 관리부(135)가 관리하는 컨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무선단말(17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관리부(135)는 상기 무선AP(160)를 경유하여 무선단말(170)로부터 요청되는 컨텐츠 사용 요청을 승인하고, 지정된 규칙에 따라 사용되도록 관리한다. 예를들어, 상기 컨텐츠가 쿠폰 컨텐츠인 경우에, 상기 무선AP(160)를 경유하여 무선단말(170)로부터 쿠폰 사용이 요청되면, 상기 컨텐츠 관리부(135)는 상기 쿠폰 사용을 승인하고, 상기 쿠폰에 대응되는 할인율/할인금액이 할인되도록 관리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상기 매핑된 n개의 무선AP(160)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등록시키는 정보 제공부(140)와, 상기 n개의 무선AP(160)로부터 상기 매핑된 단말링크 정보에 대한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을 수신하는 내역 수신부(150)와, 상기 수신된 내역을 근거로 상기 n개의 무선AP(160)에 등록된 단말링크 정보가 유지 또는 소거되도록 제어하는 무선AP 운영부(155)를 구비하며,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되는 단말링크 정보에 일정한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유효기간 설정부(145)를 더 구비한다.
상기 무선AP 매핑부(125)에 의해 n개의 무선AP 정보와 사용자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가 매핑된 경우에, 상기 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매핑된 n개의 무선AP(16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n개의 무선AP(160)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무선AP(160)에 등록시키며, 이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은 상기 n개의 무선AP(160)를 통해 통신망 접속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무선AP(160)를 통해 지정된 컨텐츠를 제공/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70)로 제공 가능한 컨텐츠가 상기 무선AP(160)로 제공 및 등록된 경우, 상기 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무선AP(160)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을 대상으로 제공/사용 가능한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값을 상기 단말링크 정보와 함께 상기 무선AP(16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컨텐츠 식별값을 상기 단말링크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한 후에, 상기 매핑된 단말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70)이 무선링크 연결을 요청하는 시점에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등록된 컨텐츠 중에서 상기 컨텐츠 식별값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상기 무선단말(17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링크 정보와 함께 컨텐츠 식별값 상기 무선AP(160)로 제공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 경우에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등록된 컨텐츠 중에서 지정된 컨텐츠 제공 규칙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자체적으로 선별하여 상기 무선링크가 연결되는 무선단말(17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70)로 제공 가능한 컨텐츠가 상기 무선AP(160)로 제공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정보 제공부(140)는 무선단말(170)을 대상으로 제공/사용 가능한 컨텐츠를 상기 단말링크 정보와 함께 상기 무선AP(16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단말링크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한 후에, 상기 매핑된 단말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70)이 무선링크 연결을 요청하는 시점에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매핑된 컨텐츠를 상기 무선단말(17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링크 정보와 함께 컨텐츠가 상기 무선AP(160)로 제공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이 경우에 상기 무선AP(160)는 지정된 규칙에 다라 상기 무선단말(170)과 무선링크가 연결되는 시점에 상기 컨텐츠 관리부(135)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아 상기 무선단말(170)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무선AP(160)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170)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규칙은, 상기 무선AP(160) 내에 설정되거나 또는 상기 컨텐츠 관리부(135)에 설정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예를들어, 상기 규칙은 상기 무선AP(160)와 지정된 기준 시간 이상 무선링크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무선단말(170)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AP(160)를 통해 통신망 접속을 시도하는 무선단말(170)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규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관리부(135) 또는 정보 제공부(140)는 지정된 규칙에 따라 상기 무선AP(160)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170)을 대상으로 제공/사용 가능한 신규 컨텐츠를 갱신시킬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컨텐츠 관리부(135) 또는 정보 제공부(140)는 신규 컨텐츠가 생성/획득됨에 따라 이를 상기 무선AP(160)로 갱신시키거나, 또는 상기 무선AP(160)에 등록된 컨텐츠 중에서 유효기간이 만료된 컨텐츠를 신규 컨텐츠로 갱신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효기간 설정부(145)는 상기 무선AP(160)로 제공되어 등록된 단말링크 정보에 대하여 일정한 유효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무선AP(160)에 등록된 단말링크 정보는 상기 유효기간 동안 활성화된 상태(예컨대, 무선단말(170)과 무선링크를 연결 가능한 상태)로 등록되며, 상기 유효기간이 경과한 단말링크 정보는 상기 무선AP(160)로부터 소거되거나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유효기간은 지정된 횟수만큼 자동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n개의 무선AP(160)는 상기 단말링크 정보를 근거로 무선링크가 연결된 무선단말(170)에 대한 무선링크 내역과, 상기 무선링크가 연결된 무선단말(170)로 제공된 컨텐츠와 상기 무선단말(170)에 의해 사용된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을 생성하여 관리하며, 상기 내역 수신부(150)는 상기 n개의 무선AP(160)로부터 단말링크 정보에 대한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역을 수신한다.
상기 무선AP(160)로부터 상기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관리부(135) 또는 정보 제공부(140)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을 근거로 컨텐츠 제공/사용 비율이 지정된 기준 값 이하인 컨텐츠를 신규 컨텐츠로 갱신시켜 상기 무선AP(16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AP 운영부(155)는 상기 내역 수신부(150)에 의해 수신된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의 내역을 근거로 상기 n개의 무선AP(160)에 등록된 단말링크 정보가 유지 또는 소거되도록 제어한다. 예를들어, 상기 무선AP 운영부(155)는 일정 기간(예컨대, 상기 유효기간 설정부(145)에 의해 설정된 유효기간, 또는 상기 무선AP(160)의 메모리부에 지정된 개수 이상의 단말링크 정보가 등록된 기간) 동안 상기 내역이 적어도 1회 이상 존재하지 않는 단말링크 정보는 상기 무선AP(160)에서 소거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반대로 일정 기간 동안 상기 내역이 1회 이상 존재하는 단말링크 정보는 상기 무선AP(160)에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일정 기간 동인 지정된 기준 횟수 이상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는 단말링크 정보는 상기 무선AP(160)의 무선링크 연결에 우선권이 부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무선AP(160)에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N개의 무선AP(160)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n개의 무선AP(160)에 사용자의 무선단말(170)과 무선링크 연결을 처리하기 위한 단말링크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링크 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통신망을 통한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를 원격 등록 가능한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N개의 무선AP 정보를 저장매체(130)에 저장하여 관리하며(200), 사용자 단말(165)이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상기 N개의 무선AP(160) 중에서 n개의 무선AP(160)를 선택하기 위한 무선AP 선택 정보를 입력하여(205),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전송하면(2100,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165)로부터 상기 무선AP 선택 정보를 수신한 후(215),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 중에서 상기 무선AP 선택 정보에 대응하는 n개의 무선AP 정보를 확인한다(220).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상기 N개의 무선AP(160)와 무선링크를 연결하기 위한 사용자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를 확인하고(225), 상기 확인된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30)에 저장한 후(230), 상기 n개의 무선AP(16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상기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를 제공한다(235).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를 수신하고(2400, 무선링크 연결을 허용할 대상에 상기 수신된 단말링크 정보를 등록한다(245).
한편,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상기 n개의 무선AP(160)에 등록된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에 대한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250), 이 경우에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등록된 단말링크 정보에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으로부터 요청된 유효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링크 정보가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을 경과하는지 확인한다(255). 만약 상기 단말링크 정보의 유효기간이 경과한다면,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유효기간이 경과한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를 소거하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킨다(260).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무선AP(160)를 통해 무선단말(170)로 컨텐츠를 제공/사용되도록 운영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N개의 무선AP(160) 중에서 사용자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가 등록된 n개의 무선AP(160)를 통해 상기 사용자 무선단말(170)로 컨텐츠가 제공/사용되도록 운영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사용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무선AP(160)를 통해 사용자의 무선단말(170)로 제공될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획득/생성하며(300), 상기 무선AP(160)와 통신채널을 연결한 후에 상기 획득/생성된 컨텐츠를 상기 무선AP(160)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AP(160)에 기 등록된 컨텐츠를 신규 컨텐츠로 갱신한다(305).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31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컨텐츠는 상기 무선AP(160)가 무선단말(17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점에 상기 무선AP(160)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무선단말(170)은 지정된 규칙에 따라 근거리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AP(160)를 탐색하며, 만약 무선AP(160)가 탐색되면 해당 무선AP(160)로 무선링크 연결을 요청하는데(320),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무선링크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단말(170)의 단말링크 정보를 확인하고(325), 상기 확인된 단말링크 정보와 상기 등록된 단말링크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무선단말(170)이 요청한 무선링크를 연결할 지 결정한다(330).
만약 상기 무선단말(170)이 요청한 무선링크를 연결하기로 결정된다면,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무선단말(170)과 무선링크를 연결한 후에 상기 무선단말(170)에 대한 무선링크 내역을 저장하며(335), 이에 의해 상기 무선단말(170)은 상기 무선AP(160)와 무선링크가 연결되어 상기 무선AP(160)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된다(340).
한편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무선단말(170)과 연결된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70)로 컨텐츠 제공/사용 여부를 결정한다(345). 만약 상기 컨텐츠 제공/사용이 결정되면,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무선단말(170)로 컨텐츠가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무선단말(170)로부터 요청된 컨텐츠가 사용되도록 처리한 후에 이에 대한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을 저장하며(350), 상기 무선단말(170)은 상기 무선링크를 통해 상기 무선AP(16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또는 기 구비된 컨텐츠를 사용한다(35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컨텐츠 제공/사용 과정에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으로부터 상기 무선단말(170)로 제공할 컨텐츠를 제공받거나 또는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과 연동하여 상기 무선단말(170)로부터 요청된 컨텐츠가 사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저장된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역을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으로 제공하며(360),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상기 무선AP(160)로부터 상기 도면2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단말링크 정보에 대한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 중 적어도 하나의 내역을 수신하고(365), 상기 수신된 내역을 근거로 상기 무선AP(160)에 등록된 단말링크 정보의 유지하거나 또는 소거/비활성화 여부를 결정한다(370). 만약 상기 무선AP(160)에 등록된 단말링크 정보를 소거/비활성화한다면, 상기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100)은 상기 무선AP(160)와 연결된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무선AP(160)로 상기 소거/비활성화 대상 단말링크 정보의 소거/비활성화를 요청하며(375), 상기 무선AP(160)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단말링크 정보를 소거하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킨다(260).
105 : 무선AP 관리부 110 : 인터페이스부
115 : 정보 수신부 120 : 무선AP 확인부
125 : 무선AP 매핑부 130 : 저장매체
135 : 컨텐츠 관리부 140 : 정보 제공부
145 : 유효기간 설정부 150 : 내역 수신부
155 : 무선AP 운영부 160 : 무선AP

Claims (9)

  1. 무선AP(Access Point)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구현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N(N≥1)개의 무선AP 정보를 저장하는 무선AP 관리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n(1≤n≤N)개의 무선AP 정보를 확인하는 무선AP 확인부;
    상기 n개의 무선AP에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무선링크 시키기 위한 상기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하는 무선AP 매핑부;
    상기 매핑된 n개의 무선AP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등록시키는 정보 제공부;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되는 단말링크 정보에 일정한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유효기간 설정부;
    상기 n개의 무선AP로부터 상기 매핑된 단말링크 정보에 대한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을 수신하는 내역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내역을 근거로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1회 이상의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는 단말링크 정보의 유효기간이 자동으로 연장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상기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지 않는 단말링크 정보가 상기 무선AP로부터 소거되도록 제어하는 무선AP 운영부;를 포함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무선AP와 상기 단말링크 정보를 통한 무선링크가 연결된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는 조건과 상기 연결된 무선링크를 통해 통신망 접속이 확인되는 조건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건이 만족되는 무선단말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부는,
    상기 무선AP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제공/사용 가능한 컨텐츠를 상기 단말링크 정보와 함께 상기 무선AP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AP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제공/사용 가능한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값을 상기 단말링크 정보와 함께 상기 무선AP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제공/사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상기 무선AP로 제공하거나 또는 갱신시키는 컨텐츠 관리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링크 정보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쿠폰 컨텐츠, 광고 컨텐츠, 음악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링크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할당된 MAC주소, IP주소, 장치고유코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9. 무선AP(Access Point)와 통신 가능한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대상으로 컨텐츠 제공/사용이 가능한 각 지역/위치 별 거점에 구비된 N(N≥1)개의 무선AP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n(1≤n≤N)개의 무선AP 정보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n개의 무선AP에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을 무선링크 시키기 위한 상기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하는 단계;
    상기 매핑된 n개의 무선AP로 상기 사용자의 무선단말에 대한 단말링크 정보를 제공하여 등록시키는 단계;
    상기 n개의 무선AP 정보와 매핑되는 단말링크 정보에 일정한 유효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n개의 무선AP로부터 상기 매핑된 단말링크 정보에 대한 무선링크 내역과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내역을 근거로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1회 이상의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는 단말링크 정보의 유효기간이 자동으로 연장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설정된 유효기간 동안 상기 무선링크 내역 또는 컨텐츠 제공/사용 내역이 존재하지 않는 단말링크 정보가 상기 무선AP로부터 소거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방법.
KR1020120034734A 2012-04-04 2012-04-04 무선 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363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734A KR101363109B1 (ko) 2012-04-04 2012-04-04 무선 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734A KR101363109B1 (ko) 2012-04-04 2012-04-04 무선 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392A KR20130112392A (ko) 2013-10-14
KR101363109B1 true KR101363109B1 (ko) 2014-02-14

Family

ID=4963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734A KR101363109B1 (ko) 2012-04-04 2012-04-04 무선 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1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8873A1 (en) * 2014-03-25 2015-10-01 Richard S. Sylvester Local advertisement via mobile device
US9591676B1 (en) * 2015-09-22 2017-03-07 Veniam,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obility in a network of moving thing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053A (ko) * 2008-03-13 2009-09-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위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가입자 위치정보 관리를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및사용이력 데이터 수집 서버
JP2009246875A (ja) 2008-03-31 2009-10-22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通信管理装置
KR20090118460A (ko) * 2008-05-14 2009-11-18 (주) 후인텔레콤 위치정보를 이용한 광고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8053A (ko) * 2008-03-13 2009-09-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에서의 가입자 위치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가입자 위치정보 관리를 위한 콘텐츠 제공 장치 및사용이력 데이터 수집 서버
JP2009246875A (ja) 2008-03-31 2009-10-22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通信方法、通信管理装置
KR20090118460A (ko) * 2008-05-14 2009-11-18 (주) 후인텔레콤 위치정보를 이용한 광고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392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2511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5884827B2 (ja) Id管理装置、プログラム、利用者端末、およびid管理システム
US20160078095A1 (en) Location-based updating of profile data
CN109983790A (zh) 通过有限网络连接的网络服务
CN103140869A (zh) 创建和加入社交群组的方法、用于执行该方法的用户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WO2013046876A1 (ja) 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20050227677A1 (en) Downloadable profiles for mobile terminals
JP2017005735A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63109B1 (ko) 무선 ap를 이용한 분산형 컨텐츠 운영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47690A1 (en) Information provision apparatus, terminal,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WO2013129956A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лояльности клиентов
KR20160031769A (ko) 레터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5601798B2 (ja) 位置管理サーバ、位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位置管理方法
KR101947755B1 (ko) 원스톱 실시간 경호제공 시스템 및 경호제공 방법
KR20100057761A (ko) 신용카드 발급 신청 장치 및 방법
JP5893095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JP6964842B2 (ja) 位置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携帯情報端末、位置情報サービス方法及び端末プログラム
KR2022006621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방문기록 등록방법
JP2017028588A (ja) 代理認証方法、および通信装置
KR20130033507A (ko)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KR20110086411A (ko) 실시간 평가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34927B1 (ko) 근거리 내 상대방의 실제 위치 및 신상정보를 이용한 모바일채팅 방법 및 장치
KR101528330B1 (ko) 통신 관리 장치 및 방법
US20200314605A1 (en) Assistance to mobile operators in the provision of data services in the visited mobile network
KR101621691B1 (ko) 비콘 장치의 식별자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