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590A -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 Google Patents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590A
KR20150089590A KR1020140010391A KR20140010391A KR20150089590A KR 20150089590 A KR20150089590 A KR 20150089590A KR 1020140010391 A KR1020140010391 A KR 1020140010391A KR 20140010391 A KR20140010391 A KR 20140010391A KR 20150089590 A KR20150089590 A KR 20150089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module
led
upward
downward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849B1 (ko
Inventor
박인규
최승진
Original Assignee
박인규
최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규, 최승진 filed Critical 박인규
Priority to KR1020140010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484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29Spatial arrangement
    • B60Q1/0041Spatial arrangement of several lamps in relation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반사 갓에 끼워진 벌브 본체에 상향광과 하향광을 조사하기 위해 설치하는 LED 모듈이 미리 정해진 각도에 따라 한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반대쪽 공간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처럼 불필요한 공간의 크기만큼 작게 전조등을 제작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씩 설치하는 상향등용 LED 모듈과 하향등용 LED 모듈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워 서플라이를 구성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LED 모듈이 고장이 나거나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전조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야간에서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처럼 상향과 하향의 조사 방향이 어느 한쪽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전조등을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전조등뿐만 아니라 전조등을 설치하는 차량이나 운송장치의 전체 디자인과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향등용 LED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자리면이 하향등용 LED 모듈을 장착하는 자리면과 이루는 각도가 앞쪽과 뒤쪽이 다르게 구성하여, 이 상향등용 LED 모듈의 조사 각도를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어 차종이 다르거나 반사 갓의 형태가 다르더라도 이에 맞게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STRUCTURE OF HIGH AND LOW BEAMS HEAD LIGHT}
본 발명은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향등용 LED 모듈과 하향등용 LED 모듈을 한 면에 설치하여 조사가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게 하여 벌브의 조사 범위를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게 하여 반사 갓을 포함하여 전조등 전체를 소형으로 치밀하게 제작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같은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에는 야간에 운전자나 조작자의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전조등이 장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조등은, 도 1과 같이, 할로겐램프(B)를 이용하여 반사 갓(R)에서 반사가 이루어진다. 하지만, 할로겐램프는 전원 소비가 많고 수명이 짧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이 방출하여 전조등과 그 주변의 플라스틱을 변색시키는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킨다. 도면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상향 조사 방향을,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하향 조사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이에 할로겐램프보다 수명이 길고 전원 소비가 적으면서도 야간에 멀리 볼 수 있는 LED 모듈을 적용한 전조등이 많이 개발하여 시판하고 있다.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종래의 전조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다수의 LED 칩을 사용하더라도 도광관을 이용하여 반사판의 전면에 집광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반사판으로도 종래 필요로 하던 다수의 반사판을 대체할 수 있으며, 도광관의 사용에 따라 LED 광원모듈의 설치 위치를 탄력적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자유도가 증가한다
특허문헌 2는 LED 광원으로부터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출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배광 패턴에서의 확산 영역을 형성하기 때문에, LED 광원으로부터 대략 수평 방향으로 출사되는 광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확산 영역에 요구되는 조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특허문헌 3은 자동차용 LED 조명 램프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전조등 또는 안개등에서 사용되는 LED 조명 램프에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된 방열수단을 갖춤에 따라 고온으로 발열하는 LED의 열을 냉각시켜 LED 조명 램프의 수명을 증대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LED 조명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처럼 종래의 LED 전조등은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도 2와 같이, 상향등 모듈(1)과 하향등 모듈(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조사가 이루어지게 한 LED 모듈(M)을 적용한 전조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R"은 LED 모듈(M)이 설치되는 반사경을, 실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상향 조사 방향을, 점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하향 조사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하지만, 종래의 LED를 이용한 전조등이나 조명 램프는 단순히 할로겐램프를 LED 모듈로 대체하는 구성으로, 상향등과 하향등용의 LED 모듈이 일체형으로 제작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전조등을 구성하는 벌브(할로겐램프)를 LED 모듈로 대체함에 따라 그 수명이나 전원 소비량을 줄일 수는 있으나, 전조등의 크기나 디자인 그리고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2) 즉, LED 모듈에서 조사한 빛이 반사 갓을 통해 이루어지는 반사 범위가 넓어서 이러한 반사 범위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전조등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
(3) 특히, 소형 차량의 경우 한정된 공간에 많은 구성을 장착해야 하므로 이런 공간 활용도 측면에서 불리하였다.
(4) 이처럼 반사 범위를 고려하여 전조등을 제작함에 따라 자동차와 같이 전조등을 장착하는 장비에 있어서 이 장비의 외관 즉 디자인과 설계에서도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3106호(공개일 : 2011.09.20) 한국등록특허 제1201614호(등록일 : 2012.11.08) 한국등록특허 제1296191호(등록일 : 2013.08.07)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반사 갓에 끼워진 벌브 본체에 상향광과 하향광을 조사하기 위해 설치하는 LED 모듈이 미리 정해진 각도에 따라 한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반대쪽 공간에 대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처럼 불필요한 공간의 크기만큼 작게 전조등을 제작할 수 있게 한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씩 설치하는 상향등용 LED 모듈과 하향등용 LED 모듈에 각각 독립적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파워 서플라이를 구성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LED 모듈이 고장이 나거나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전조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야간에서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한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처럼 상향과 하향의 조사 방향이 어느 한쪽으로만 이루어지므로 전조등을 컴팩트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전조등뿐만 아니라 전조등을 설치하는 차량이나 운송장치의 전체 디자인과 설계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한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향등용 LED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자리면이 하향등용 LED 모듈을 장착하는 자리면과 이루는 각도가 앞쪽과 뒤쪽이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이 상향등용 LED 모듈의 조사 각도를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어 차종이 다르거나 반사 갓의 형태가 다르더라도 이에 맞게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는, 반사 갓(200)에 끼워져서 고정하여 사용하는 벌브 본체(100)에 적어도 하나의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적어도 하나의 하향등용 LED 모듈(20)을 장착한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벌브 본체(100)에는 반사 갓(200)에 끼워진 부분에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자리면(110,120)을 형성하되,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 모든 자리면(110,120)은 그 사이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게 형성하고, 상기 자리면(110,120)에 설치한 상향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벌브 본체(100)를 기준으로 한 방향으로 조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상향등용 LED 모듈(10)이 점등될 때에 함께 점등하여 집광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자리면(110,120)은 총 개수가 3개인 경우, 중앙에 하향등용 LED 모듈(20)을 설치하기 위한 하나의 자리면(120)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상향등용 LED 모듈(10)을 설치하기 위한 2의 자리면(110)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리면(110,120)은, 총 개수가 4개인 경우, 중앙에 하향등용 LED 모듈(20)을 설치하기 위하여 2개의 자리면(120)을 둔각으로 설치하고, 이 둔각을 이루는 자리면(120)의 양측에 각각 상향등용 LED 모듈(10)을 설치하기 위한 2개의 자리면(110)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2개의 자리면(120)이 이루는 내부의 각도(θ2)와, 자리면(110,120) 사이의 각도(θ1)가 서로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 각도는 θ2>θ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각 자리면(110,120)에 장착할 때에 벌브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 위치를 다르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는, 상기 자리면(110)은 다른 자리면(120)과 이루는 각도(θ1) 중에서, 이 자리면(120)을 기준으로 벌브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 자리면(110)의 양쪽 끝단 중에서 어느 한쪽과 이루는 각도(θ3)를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11,21)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에 사용하는 LED 소자는 가로 세로가 각각 2~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상향등과 하향등용의 조사(照射) 방향이 한쪽으로 구성하므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범위에 구간이 형성된다.
(2) 특히, LED 모듈을 자리면에 장착할 때에 벌브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한 자리면의 장착 위치에 따라 조사 각도가 달라지므로 차종이나 반사 갓의 형태가 달라지더라도 LED 모듈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원하는 조사 각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3) 또한, 상향용 LED 모듈을 설치하는 자리면은 벌브 본체의 선단 쪽과 안쪽이 하향용 LED 모듈을 설치하는 자리면과 이루는 각도를 다르게 제작함으로써, 이러한 LED 모듈의 위치 변경을 통하여 조사 각도를 더욱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4) 따라서, 벌브 본체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어느 한쪽, 도 3의의 경우 상향등과 하향등용 LED 모듈에서 벌브 본체의 위쪽으로만 조사가 이루어지므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벌브 본체를 기준으로 아래쪽의 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5) 이에, 전조등의 크기를 기존의 절반으로 제작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을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 활용도를 넓히거나, 기존 전조등에 본 발명에 따른 벌브 본체를 장착하는 경우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전조등 내에 램프나 퓨즈 등을 보관하는 장소로 활용할 수 있다.
(6) 이처럼 전조등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공간 활용도가 작은 차량이나 운반 장치에 대하여 그 외관이나 디자인 그리고 설계를 하는 데에 따른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7) 적어도 하나씩 설치하는 각각의 상향등과 하향등용 LED 모듈에 파워 서플라이를 독립적으로 장착하여 외부 전원을 공급하므로, 어느 하나의 LED 모듈이 파손되거나 전원공급이 차단되더라도 그 하나의 LED 모듈만 오프 되어 전조등의 기능을 잃지 않고 주행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할 수 있다.
(8) 상향등을 점등할 때 하향등의 LED 모듈도 함께 점등시켜 주므로 상향등의 조도를 높일 수 있어 안전운행에 필요한 조도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할로겐 벌브를 이용한 전조등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LED 모듈을 이용한 전조등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벌브 본체를 적용한 전조등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벌브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벌브 본체의 사시도이고 (b)는 벌브 본체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벌브 본체에 LED 모듈을 장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벌브 본체에 LED 모듈을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a)와 빛이 조사하는 방향을 보여주기 위한 벌브 본체의 정면도(b)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LE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LED 모듈을 장착하는 자리면의 형성 각도를 달리한 예를 보여주기 위한 벌브 본체의 정면도.
도 9는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LED 모듈을 장착하는 자리면의 형성 각도를 달리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LED 모듈에서 자리면의 형성 위치를 보여주기 위한 벌브 본체의 정면도.
도 11은 할로겐 램프와 본 발명에 따라 3개와 4개의 LED 모듈을 적용한 각 전조등을 3M 거리에서 조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는,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적어도 하나의 하향등용 LED 모듈(20)을 갖는 벌브 본체(1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벌브 본체(100)의 어느 한 면에서 바깥쪽을 향해 서로 정해진 각도로 조사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각도로 형성한 자리면(110,120)에 설치함으로써, 도 3과 도 6(b)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상향등용 LED 모듈(10)의 조사 방향(실선 화살표)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의 조사 방향(점선 화살표)이 한 방향으로만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여기서, 하향등은 주행을 위한 광을 조사하기 위한 주행등이고, 상향등은 반대쪽 차선에 대향차가 오는 경우와 같이 하향등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변환하기 위한 광을 조사하기 위한 변환등을 말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는,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반사 갓(200)에 장착하여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조사시켜 주는 벌브 본체(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반사 갓(200)은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전조등에 사용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서 "H4"로 많이 알려진 상향과 하향이 일체로 들어간 전조등의 반사 갓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벌브 본체(10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일부가 반사 갓(200) 안으로 끼워지도록 고정 설치한다. 특히, 이 반사 갓(200)의 안으로 끼워지는 부분에는 한 면에 LED 모듈을 장착할 수 있도록 4개의 자리면(110,120) 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자리면(110,120)은 이웃한 다른 자리면과 미리 정해진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데, 도 4에서는 4개의 자리면(110,120)이 서로 테두리가 맞닿게 제작하여 자리면을 형성하기 위한 한 면이 마치 파형이 형성된 것과 같이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자리면(110,120)은 평면상에 미리 정해진 각도를 갖도록 골 형태로 제작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리면(110,120)은 벌브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리면(110,120)에 장착하는 LED 모듈을 자리면(110,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른 위치에 장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LED 모듈에서 조사한 광의 각도가 달라지며 이는 차종이나 반사 갓 등의 형상에 따라 원하는 조사 범위를 얻을 수 있도록 조절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자리면(110,120) 중에서, 도 4(b)와 같이, 가운데 두 개의 자리면(120) 사이의 각도(θ2)와 이웃한 2개의 자리면(110,120) 사이의 각도(θ1)는 모두 둔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6(b)의 화살표와 같이 LED 모듈에서 조사하는 광이 서로 중첩하는 것을 가능한 최소화하여 간섭을 줄일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의 각도(θ1,θ2)는 LED 모듈의 조사 각도를 결정하는 데, 상술한 바와 같이 차종이나 반사 갓 등의 형상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처럼 차종이나 반사 갓 등의 형상에 따라서 이들 각도(θ1,θ2)를 결정하는 데, 이 각도는 그 둔각의 크기가 서로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상기 각 자리면(110,120)에는, 양쪽에 각각 하나씩 2개의 체결 구멍(111,121)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도 5와 같이, 이들 자리면(110,120)에 각각 LED 모듈을 탑재한 다음 스크루(111)로 LED 모듈을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통상적으로 전조등이 속하는 분야에서 상향과 하향에서 요구하는 밝기로 조사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특히, 이러한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도 5 및 도 6(a)와 같이 상술한 각 자리면(110,120)에 각각 장착한다. 이때의 장착은 상향등용 LED 모듈(10)을 자리면(110)에 놓고 그 양쪽의 체결 구멍(112)에 스크루(111)로 체결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향등용 LED 모듈(20)을 자리면(120)에 놓고 그 양쪽의 체결 구멍에 스크루로 체결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스크루를 이용하여 체결고정하는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스냅 핏과 같이 원터치 방식으로 LED 모듈을 누름에 따라 해당 자리면에 장착과 탈착이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도 4 내지 도 6에서 각각 2개씩을 설치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때, 2개의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광이 서로 중첩이 최소화되게 조사하고, 2개의 상향등용 LED 모듈(10)은 광이 서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하향등용 LED 모듈(20)에서 조사한 광과도 중첩하지 않게 하여 상향에서 요구하는 조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각각 도 7과 같이, 별도의 파워 서플라이(11,21)를 통해 독자적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여러 개로 구성하는 LED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의 LED 모듈이 파손되거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전조등은 점멸이 가능하게 하여 야간에도 안전운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파워 서플라이(11,21)는 LED 모듈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하기 위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상향등용 LED 모듈(10)을 점등할 때 함께 점등하게 하여 상향등의 조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상향등용 LED 모듈(10)에 사용하는 LED 소자는 가로 세로가 각 2~5㎜인 것을 사용하여 직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3 및 도 6의 (b)와 같이, 각각 2개씩의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이 하나씩 조사하거나 동시에 조사하더라도 상부 측으로 조사가 이루어지나 하부 측으로는 조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벌브 본체(100)가 도면과 같이 장착하면, 이 벌브 본체(100)를 기준으로 하부는 전조등을 켜고 끄는 것과 전혀 상관없는 공간으로 이 공간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이만큼의 공간을 없애고 전조등을 컴팩트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하향등용 LED 모듈을 장착하는 자리면(120)을 기준으로 그 한 쪽에 형성하는 상향등용 LED 모듈을 장착하는 다른 자리면(110',110")과의 각도(θ1,θ3)를 달리한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자리면(110',11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1에 따른 자리면(110)은, 도 4(b) 및 도 9(a)와 같이, 다른 자리면(120)을 기준으로 양쪽 끝, 즉 벌브 본체(100)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 자리면(120)의 양쪽 끝과 같은 각도(θ1)로 형성한 것이다.
하지만, 실시예 2에 따른 자리면(110')은, 도 8 및 도 9(b)와 같이, 다른 자리면(120)을 기준으로 양쪽 끝의 각도가 다르게 형성한 것이다. 도면에서는, 자리면(120)의 뒤쪽과 이루는 각도를 "θ1"로 하고 그 앞쪽과 이루는 각도를 "θ3"로 제작한 예를 보여준다.
이처럼 자리면(110')의 형성 각도를 달리함에 따라, 실시예 1의 자리면과 같은 자리에 있더라도 자리면의 경사면이 달라지므로, 이는 LED 모듈의 조사각이 달라진다. 따라서, 반사 갓의 형상이나 차종에 따라 다른 디자인으로 제작하는 전조등에서 요구하는 조사 각도에 맞춰 LED 모듈의 장착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9(c)는, 상술한 도 9(b)와 같은 구성이나, 그 형성 각도(θ3)가 9(b)와 반대로 자리면(110")의 뒤쪽에 형성한 상태를 보여준다.
따라서, 실시예 2에 따른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는 LED 모듈의 장착 위치에 따라서 조사 각도를 더욱 넓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는, 도 10과 같이,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자리면(110a,120a)의 개수와 그 형태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여기서는 이들 자리면(110a,120a)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3에 따른 자리면(110a,120a)은, 도 10과 같이, 모두 3개로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특히, 이들 3개의 자리면(110a,120a)은 어느 하나의 자리면(120a)을 기준을 다른 2개의 자리면(110a)이 서로 대칭인 위치에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들 3개의 자리면(110a,120a)에 장착하는 각 LED 모듈에서 조사하는 조사광은 서로 중첩이 이루어지지 않게 한 것이다.
이처럼 이루어진 실시예 3에서, 중앙에 형성한 자리면(120a)에는 하향등용 LED 모듈을 장착하고, 그 양쪽에 형성한 2개의 자리면(110a)에는 상향등용 LED 모듈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조사광의 중첩이 전혀 없고, 상향등을 점등할 때, 이처럼 중첩이 없는 상향 조사광과 하향 조사광이 서로 집광하여 더욱 높은 조사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조도 비교)
도 11은 할로겐 램프와 본 발명에 따라 3개와 4개의 LED 모듈을 적용한 각 전조등을 3M 거리에서 조사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1에서, 상부의 사진은 로우 빔 상태를, 하부의 사진은 하이 빔으로 조사한 상태를 보여준다. 그리고, 왼쪽 2개의 사진은 할로겐 벌브를, 중앙 2개의 사진은 4개의 LED 램프를 적용한 실시예를, 오른쪽 2개의 사진은 3개의 LED 램프를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도 11에서와 같이, 할로겐 벌브를 적용한 왼쪽 2개의 경우 약간 붉은 색을 포함하고 있으나, LED 모듈을 적용한 경우 할로겐보다 밝기도 밝을 뿐만 아니라 선명하게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0 : 상향등용 LED 모듈
20 : 하향등용 LED 모듈
100 : 벌브 본체
110, 120 : 자리면

Claims (9)

  1. 반사 갓(200)에 끼워져서 고정하여 사용하는 벌브 본체(100)에 적어도 하나의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적어도 하나의 하향등용 LED 모듈(20)을 장착한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벌브 본체(100)에는 반사 갓(200)에 끼워진 부분에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의 자리면(110,120)을 형성하되,
    서로 이웃하게 설치한 모든 자리면(110,120)은 그 사이의 각도가 둔각을 이루게 형성하고,
    상기 자리면(110,120)에 설치한 상향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벌브 본체(100)를 기준으로 한 방향으로 조사가 이루어지며,
    상기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상향등용 LED 모듈(10)이 점등될 때에 함께 점등하여 집광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리면(110,120)은 총 개수가 3개인 경우,
    중앙에 하향등용 LED 모듈(20)을 설치하기 위한 하나의 자리면(120)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상향등용 LED 모듈(10)을 설치하기 위한 2의 자리면(110)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리면(110,120)은, 총 개수가 4개인 경우,
    중앙에 하향등용 LED 모듈(20)을 설치하기 위하여 2개의 자리면(120)을 둔각으로 설치하고, 둔각을 이루는 자리면(120)의 양측에 각각 상향등용 LED 모듈(10)을 설치하기 위한 2개의 자리면(110)이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자리면(120)이 이루는 내부의 각도(θ2)와, 자리면(110,120) 사이의 각도(θ1)가 서로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각도는 θ2>θ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각 자리면(110,120)에 장착할 때에 벌브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장착 위치를 다르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리면(110)은 다른 자리면(120)과 이루는 각도(θ1) 중에서, 이 자리면(120)을 기준으로 벌브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 자리면(110)의 양쪽 끝단 중에서 어느 한쪽과 이루는 각도(θ3)를 다르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은 각각의 파워 서플라이(11,21)를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등용 LED 모듈(10)과 하향등용 LED 모듈(20)에 사용하는 LED 소자는 가로 세로가 각각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KR1020140010391A 2014-01-28 2014-01-28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KR101614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391A KR101614849B1 (ko) 2014-01-28 2014-01-28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391A KR101614849B1 (ko) 2014-01-28 2014-01-28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590A true KR20150089590A (ko) 2015-08-05
KR101614849B1 KR101614849B1 (ko) 2016-04-22

Family

ID=5388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391A KR101614849B1 (ko) 2014-01-28 2014-01-28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48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2946A (zh) * 2017-03-10 2019-10-25 亮锐控股有限公司 Led灯
CN111322579A (zh) * 2018-12-17 2020-06-23 诚益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高光利用率的光线投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3917A (ja) 2000-10-26 2002-05-10 Ichikoh Ind Ltd 発光構造体
JP4044024B2 (ja) 2003-09-29 2008-02-0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前照灯
JP4808550B2 (ja) 2006-06-05 2011-11-02 株式会社フジクラ 発光ダイオード光源装置、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交通信号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2946A (zh) * 2017-03-10 2019-10-25 亮锐控股有限公司 Led灯
CN111322579A (zh) * 2018-12-17 2020-06-23 诚益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高光利用率的光线投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4849B1 (ko) 2016-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9437B2 (en) Vehicular lamp unit
JP5607634B2 (ja) 照明ユニット及び車両ヘッドランプ
KR101845846B1 (ko) 주간 주행등을 갖는 조명 시스템
JP4836209B2 (ja) Ledヘッドランプシステム
US9243768B2 (en) Light source for headlight and headlight
US8851726B2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CN108375048B (zh) 车载灯具
US20140063832A1 (en) Led lamp for car use
US10184634B2 (en) Headlamp including matrix static bending lights optical system
KR100765995B1 (ko) 발광다이오드 광원 헤드 램프
EP2075500B1 (en) Vehicle headlamp
EP2075501B1 (en) Vehicle headlamp
KR102099792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614849B1 (ko)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구조
JP2019012623A (ja) 車両用灯具
KR10198600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1486817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JP6244614B2 (ja) 車両用前照灯
KR102122412B1 (ko) 차량용 램프
KR101713117B1 (ko) 상·하향 일체형 led 전조등
KR10180712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50068118A (ko) 차량용 헤드 램프
CN219530639U (zh) 发光装置、机动车辆前照灯和机动车辆
EP2587123B1 (en) Automotive headlamp
JP6923579B2 (ja) 車両のヘッ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