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550A -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550A
KR20150089550A KR1020140010309A KR20140010309A KR20150089550A KR 20150089550 A KR20150089550 A KR 20150089550A KR 1020140010309 A KR1020140010309 A KR 1020140010309A KR 20140010309 A KR20140010309 A KR 20140010309A KR 20150089550 A KR20150089550 A KR 2015008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pacitor
energy harvesting
leakage curren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욱
김성은
박경환
강성원
형창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10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9550A/ko
Publication of KR2015008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하여, 수 μA~ 수 mA로 규정되어 있는 낮은 누설 전류 값에 대한 에너지 취합 및 배터리로의 전달 효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한다.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은 접촉부가 누설 전류가 발생하는 전자 장치에 연결되면 전극을 통해 누설 전류가 커패시터를 충전시키고 커패시터의 충전 전압이 일정한 값 이상이 되었을 때 인터페이스 장치가 커패시터와 배터리를 연결함으로써 커패시터의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로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 및 장치{ENERGY HARVEST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LEAKAGE POWER}
아래의 설명은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자장치에 흐를 수 있는 국제 안전 기준 이하의 누설 전류에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하여 재사용 가능한 에너지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Protective Ground 금속으로부터 대지면 또는 인체 접촉 시 인체로 흐르는 누설 전류는 국제 안전 표준에 의해 전자장치의 종류에 따라 수 μA~ 수 mA로 규정되어 있다. 누설 전류는 사용하지 않고 버려지는 전력으로써 사용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변환 한다면 전체 에너지 효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 이다. 에너지 하베스팅이란 빛, 열, 진동 등 주변의 버려지는 에너지를 다시 재수확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로서, 친환경이 대두되고 있는 요즘 더욱 주목 받고 있다. 예를 들면, 외부의 전력 공급 없이 태양광 소자 (photovoltaic or solar), 압전 소자 (piezoelectric), 열에너지(thermal) 변환기 등의 다양한 에너지원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누설되는 전류에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하여 누설되는 전력을 배터리와 같은 전력 저장장치에 저장하여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국제 안전 기준 이하의 누설 전류에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한 에너지원으로 변환하고 전체 에너지의 효용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누설 전류가 흐르는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전도성 접촉부;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 흐르는 상기 누설 전류를 수집하는 임시 전력 저장 장치;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로부터 상기 배터리로 상기 전력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의 전압이 문턱 전압보다 높은 경우 상기 배터리와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의 전력을 상기 배터리로 충전시키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로 최대의 전력이 전달되도록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를 수행하는 MPPT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누설 전류의 크기가 일정 기준의 전력보다 작으면 상기 MMPT장치를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와 내부 커패시터를 연결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으로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MPPT 장치 및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를 연결하는 아날로그 스위치; 및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가 온(on) 된 경우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의 동작의 시작과 상기 배터리의 유형에 따른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상기 전압 값 또는 상기 전류 값을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에 전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MPPT 장치와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의 사이에 연결되는 내부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문턱 값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내부 커패시터와 상기 배터리 충전 회로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로 연결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가 온(on) 된 경우 상기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1 전압 값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 후에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를 오프(off)로 하거나, 상기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2 전압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를 오프(off)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접촉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누설 전류의 전기 에너지를 임시 전력 저장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의 전압이 문턱 전압보다 높은 경우 배터리와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를 연결하여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의 전력을 상기 배터리로 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은, 임시 전력 저장 장치의 전압이 상승하는 속도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의 전력이 MPPT 회로가 동작할 수 있는 전력보다 크면, 상기 MPPT 회로를 이용하여 부하 정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의 전력이 상기 MPPT 회로가 동작할 수 있는 전력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와 내부 커패시터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MPPT 장치는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와 상기 내부 커패시터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아날로그 스위치가 온(on) 된 경우 상기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1 전압 값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 후에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를 오프(off)로 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2 전압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를 오프(off)로 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는, 상기 내부 커패시터와 상기 배터리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수 μA~ 수 mA의 누설 전류를 버리지 않고 높은 효율로 취합함으로써 에너지를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누설 전류에 대한 국제 안전 표준을 제시한 표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100)는 버려지는 에너지를 재수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도성 접촉부(110), 임시 전력 저장 장치(120), 배터리(130), 인터페이스부(140) 및 접지(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접촉부(110)는 누설 전류가 흐르는 전자 장치에 연결될 수 있고, 누설 전류를 효율적으로 취합하기 위해서 전극과 같은 전도성을 지닌 접촉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임시 전력 저장 장치(120)는 전도성 접촉부(110)를 통해 전자 장치에 흐르는 누설 전류를 수집할 수 있다. 임시 전력 저장 장치(120)는 전도성 접촉부(110)로부터 전류를 수집할 수 있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30)는 재사용이 가능한 형태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임시 전력 저장 장치(120)로부터 배터리(130)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고,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가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40)는 제어부, MPPT 장치, 내부 커패시터, 아날로그 스위치 및 배터리 충전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접지(도시되지 않음)는 AC 및 DC 전원 공급원의 접지, 전자 장치의 접지와 같은 접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원은 전원 콘센트 또는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접지가 없는 형식의 전자 장치 같은 경우 접지를 연결하지 않는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국제 안전 표준에 의해 수 μA~ 수 mA의 누설 전류(230)가 발생할 수 있는 전자 장치(220)에 전도성 접촉부(240)를 연결하면 도체로 이루어진 전도성 접촉부에 누설 전류(230)가 흐를 수 있다. 전도성 접촉부(240)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는 임시 전력 저장 장치(2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임시 전력 저장 장치(250)는, 예를 들면, 외부 커패시터와 같이 임시로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임시 전력 저장 장치(250)의 전하가 일정 기준 이상의 전압이 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260)는 아날로그 스위치를 온(on)함으로써 임시 전력 저장 장치(250)와 배터리(270)를 연결할 수 있고, 전기 에너지를 임시 전력 저장 장치(250)로부터 배터리(2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인터페이스부(260)는 전도성 접촉부(240)로부터 최대의 전력을 얻기 위해 MPPT를 수행할 수 있는 MPPT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충전을 위한 배터리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280)는 AC 또는 DC 전원 공급원의 접지,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접지와 같은 접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전원 공급원은 전원 콘센트(210) 또는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다른 장치, 예를 들면, 자동차 같은 경우, 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또한, 접지가 없는 형식의 전자 장치 같은 경우 접지를 연결하지 않는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인터페이스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력은 외부 커패시터(320), MPPT 장치(330), 내부 커패시터(340), 아날로그 스위치(350) 및 배터리 충전 회로(360)를 통하여 흐름으로써 배터리(37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1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MPPT 장치(330), 아날로그 스위치(350) 및 배터리 충전 회로(36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00)는 임시 저장 장치로부터 배터리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310), MPPT 장치(330), 내부 커패시터(340), 아날로그 스위치(350), 배터리 충전 회로(3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예를 들면, 저전력 마이크로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누설 전류의 크기가 일정 기준의 전력보다 작으면 MPPT 장치(330)를 동작시키지 않고 임시 전력 저장 장치(예를 들면, 외부 커패시터)(320)와 내부 커패시터(34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누설 전류의 크기가 일정 기준의 전력보다 크다면, 예를 들면, MPPT가 동작할 수 있을 만큼의 전력이라면, MPPT 장치(330)를 사용하여 부하 정합을 수행한 후에 임시 전력 저장 장치(예를 들면, 외부 커패시터)(320)와 내부 커패시터(34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제어부(310)는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압 이상이 되는 경우, 내부 커패시터와 배터리 충전 회로를 아날로그 스위치로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아날로그 스위치(350)가 온(on) 된 경우 배터리 충전 회로의 동작의 시작과 배터리의 유형에 따른 배터리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 값을 배터리 충전 회로(3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아날로그 스위치가 온(on) 된 경우 내부 커패시터(340)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1 전압 값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 후에 아날로그 스위치(350)를 오프(off)로 하거나,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내부 커패시터(340)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2 전압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아날로그 스위치(350)를 오프(off)로 할 수 있다.
MPPT 장치(330)는 전자 장치로부터 임시 전력 저장 장치(320)로 최대의 전력이 전달되도록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를 수행할 수 있고, 제어부(310)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MPPT 장치(330)는DC-DC 컨버터 회로를 사용할 수 있고, 최대의 전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적응적으로 부하를 조절하거나 내부 저항 등을 사용하여 입력 부하와 출력 부하가 같은 부하 값을 갖도록 부하 정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부하 정합이란 부하 회로의 출력 임피던스를 조정하여 전원에서 부하로 공급되는 전력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내부 커패시터(340)는 MPPT 장치(330)와 아날로그 스위치(35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아날로그 스위치(350)는 MPPT 장치(330) 및 배터리 충전 회로(36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임시 전력 저장 장치(320)의 전압이 문턱 전압보다 높은 경우 배터리와 임시 전력 저장 장치(320)를 연결하여 임시 전력 저장 장치(320)의 전력을 배터리로 충전시킬 수 있다.
배터리 충전 회로(360)는 배터리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으로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누설 전류에 대한 국제 안전 표준을 제시한 표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누설 전류에 대한 국제 안전 표준을 제시한 것으로, 비 의료 장비의 안전레벨인 IEC950 안전 표준에 따르면 이중 절연 장치의 모든 형식은 0.25mA의 최대 누설 전류를 허용하고 있고, 접지 연결 장비에 있어서 휴대형은 0.75mA, 이동형 및 고정형은 3.5mA의 최대 누설 전류를 허용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IEC950 안전 표준에 따르면 형식에 따라 0.25mA~3.5mA의 최대 누설 전류를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사용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누설 전력을 유용한 에너지로 재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 에너지 효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누설 전류가 발생(510)하면, 외부 커패시터에 전하가 차게 되어 전압이 올라간다. 발생된 누설 전류는 외부 커패시터에 충전(520)될 수 있다. 이때, 커패시터의 전압이 올라가는 속도를 모니터링하여 MPPT 장치를 사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530).
MPPT 장치가 동작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큰 전력인 경우, MPPT 장치를 사용하여 부하 장합을 수행하고, 외부 커패시터와 내부 커패시터를 충전할 수 있다(531). MPPT 장치가 동작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전력이 아닌 경우, MPPT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 커패시터와 내부 커패시터를 연결하고, 외부 커패시터와 내부 커패시터를 충전할 수 있다(532).
이때,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압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압 이상이라면(540, 541), 아날로그 스위치는 일정 시간 동안 배터리와 커패시터를 연결(542)하여 커패시터의 전력을 배터리로 충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날로그 스위치가 온(on) 된 경우 배터리 충전 회로의 동작의 시작과 배터리의 유형에 따른 배터리를 충전하기에 적합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배터리 충전 회로에 전달할 수 있으며, 전달된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은 배터리 충전 회로에 의하여 배터리로 충전될 수 있다.
아날로그 스위치가 온(on) 된 경우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1 전압 값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 후에 아날로그 스위치를 오프(off)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제1 전압 값이 100V라면, 아날로그 스위치가 온 된 경우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100V 이하로 떨어지는 시간 후에 아날로그 스위치를 오프할 수 있다.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제2 전압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아날로그 스위치를 오프(off)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된 제2 전압 값이 220V라면,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는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220V이하로 떨어지면 아날로그 스위치를 오프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커패시터의 전압이 미리 정해진 문턱 전압 이하라면, MPPT 장치에 의해 부하 정합을 수행한 후, 외부 커패시터와 내부 커패시터를 충전(531)시킬 수 있고, MPPT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 커패시터와 내부 커패시터를 연결한 후 외부 커패시터와 내부 커패시터를 충전(532)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 의해 수 μA~ 수 mA의 누설 전류를 버리지 않고 높은 효율로 취합함으로써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110: 전도성 접촉부
120: 임시 전력 저장 장치
130: 인터페이스부
140: 배터리

Claims (1)

  1.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 있어서,
    누설 전류가 흐르는 전자 장치에 연결되는 전도성 접촉부;
    상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에 흐르는 상기 누설 전류를 수집하는 임시 전력 저장 장치;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상기 임시 전력 저장 장치로부터 상기 배터리로 상기 전력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
KR1020140010309A 2014-01-28 2014-01-28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 및 장치 KR20150089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309A KR20150089550A (ko) 2014-01-28 2014-01-28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309A KR20150089550A (ko) 2014-01-28 2014-01-28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550A true KR20150089550A (ko) 2015-08-05

Family

ID=53885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309A KR20150089550A (ko) 2014-01-28 2014-01-28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95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394B1 (ko) 2015-11-27 2017-04-12 김재범 에너지 하베스팅 모듈과 무선 충전용 송신기가 구비된 가구
KR101882136B1 (ko) 2017-03-16 2018-07-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에너지 인베스팅 기반의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서 전압 제어 지연 라인을 이용하여 에너지 인베스팅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394B1 (ko) 2015-11-27 2017-04-12 김재범 에너지 하베스팅 모듈과 무선 충전용 송신기가 구비된 가구
KR101882136B1 (ko) 2017-03-16 2018-07-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배터리 에너지 인베스팅 기반의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서 전압 제어 지연 라인을 이용하여 에너지 인베스팅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05356B (zh) 利用升压旁路的多相电池充电
KR102257902B1 (ko) 이종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팩 및 그 충전 방법
JP2014524232A (ja) 電力供給の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ユーザ装置
US20130234677A1 (en) Battery Charger Voltage Control Method For Instant Boot-Up
CN106207296B (zh) 充电方法
CN112913106A (zh) 充电控制方法、充电器、充电系统及存储介质
CN104577231A (zh) 一种实现快速充电的方法、适配器、终端及系统
JP2018121516A (ja) バッテリへの電力供給の制御
CN102222956A (zh) 一种可根据系统状况智能调节充电电流的装置及方法
CN104505890A (zh) 一种移动终端
CN110829509A (zh) 一种简易型电场感应取能电源
CN110888085A (zh) 逆变器短路检测方法、装置及逆变器
EP2709236B1 (en) Uninterrupted power supply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6185536A1 (ja) 蓄電装置及び接続制御方法
CN109494819A (zh) 一种充电器和充电方法
JP4413244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装置の給電方法
KR20150089550A (ko) 누설 전력을 이용한 에너지 하베스팅 방법 및 장치
KR20210007719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전원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89492B1 (ko) 슬립 모드의 mcu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
WO2021031842A1 (zh) 充电电路、充电芯片、终端和电路控制方法
CN109194110A (zh) 大功率电机驱动控制器充电与上电时序电路
CN106200763A (zh) 基于脉宽调制的实时时钟系统以及方法
CN102957177A (zh) 充电管理系统
CN104901358A (zh) 一种供电电路、供电方法及终端
JP6481199B2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