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057A -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통신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 처리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통신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057A
KR20150089057A KR1020157016859A KR20157016859A KR20150089057A KR 20150089057 A KR20150089057 A KR 20150089057A KR 1020157016859 A KR1020157016859 A KR 1020157016859A KR 20157016859 A KR20157016859 A KR 20157016859A KR 20150089057 A KR20150089057 A KR 20150089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ptcp
node
proxy function
access network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583B1 (ko
Inventor
디난드 로엘랜드
군나르 밀드히
스테판 로메르
야리 타피오 비크보리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5008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4Multi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04W76/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에서 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그러한 통신 네트워크는 MPTCP 프록시 기능을 호스팅하는 제1노드, 및 제2액세스 네트워크의 제2노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2노드는 어태치먼트 요청을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에 메세지를 원격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고 제1노드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다. MPTCP 데이터 경로는 제2액세스 네트워크에서 MPTCP 프록시 기능으로 리다이렉트될 수 있다. MPTCP 프록시 기능이 PDN 게이트웨이와 이동 단말기에 위치되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에서 조차, 제2액세스는 MPTCP 프록시 기능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MPTP 데이터 트래픽을 라우트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통신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 처리{HANDLING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SIGNALL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록시 기능(proxy function)을 통해 전송된 다중경로 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세션은 "프로토콜로서 TCP를 이용하여, 2개의 애플리케이션간 "논리적 엔드-투-엔드(end-to-end) 데이터 통신 링크"로 규정될 수 있다. 정규 TCP는 세션당 단일 경로로 통신을 제한한다.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는 정규 TCP 세션에 동시에 다중 경로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부가하기 위한 메카니즘을 현재 개발하고 있다. "다중-경로 TCP"(MPTCP)라고 부르는 TCP에 대한 확장은 인터넷-드레프트(Internet-Draft) "draft-ietf-mptcp-multiaddressed"에 기술되어 있다. 다중경로 TCP 개발을 위한 아키텍처 가이드라인이 RFC 6182에 개시되어 있다. RFC 6182는 "소스 및 목적지 어드레스 쌍에 의해 이러한 콘텍스트에 규정된 전송기 및 수신기간 링크의 시퀀스"로서 "경로"를 규정한다.
많은 경우, 피어(peer)들간 다중경로가 존재한다. 이러한 예로는 단부-장치 모두 또는 그 어느 하나가 다중-홈화되고 그리고/또 하나 이상의 액세스 기술을 통한 연결성을 갖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GPP) 다중-액세스 시나리오에서, 사용자 장비(UE) 장치는 동시에 3GPP 액세스(GERAN, UTRAN, E-UTRAN과 같은) 및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액세스 모두를 통해 연결될 것이다. TCP 세션에 대한 이들 다중경로의 동시 사용은 그러한 네트워크 내에서의 리소스 사용을 향상시키고, 네트워크 장애에 대한 향상된 복원력 및 보다 높은 수율을 통한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다중 액세스를 통한 MPTCP의 사용은 사용자 트래픽이 하나의 액세스를 통해서만 라우트되거나 또는 다중 액세스를 통해 동시에 라우트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그러한 트래픽이 커버리지, 무선 링크 품질 또는 다른 요인들에 따른 액세스들간 심리스 방식(seamless fashion )으로 이동되게 할 수도 있다.
정규 TCP에 있어서, 2개의 호스트들간 하나의 TCP 세션은 단일 경로를 통해 전송된 이들 호스트들간 하나의 TCP 플로우(flow)에 대응한다. 본원의 도 1에 따르면, MPTCP에서, 2개의 호스트(1, 2)들간 하나의 TCP 세션은 각각 하나의 경로를 통해 전송된 이들 호스트들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MPTCP 서브플로우(subflow)에 대응한다. 서브플로우는 5-튜플(tuple)(소스 어드레스, 소스 포트, 목적지 어드레스, 목적지 포트, 프로토콜)로 규정된다.
도 1에 나타낸 모델은 호스트 모두가 MPTCP-가능한 것을 요구하고 있다. 실제로, MPTCP가 네트워크에 도입될 경우 증분 형태로 도입될 것이다. 따라서, 단지 하나의 호스트만이 MPTCP를 지지할 높은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PTCP 프록시(3)가 사용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한가지 사용의 경우로는 그 MPTCP 프록시가 오퍼레이터의 네트워크에 위치되고, MPTCP-가능 호스트가 그 오퍼레이터에 의해 제어된 UE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스트 A(1)와 호스트 B(2)간 단일의 TCP 세션은 호스트 A(1)와 프록시 노드(3)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MPTCP 서브플로우, 및 프록시 노드(3)와 호스트 B(2)간 단일의 TCP 플로우에 대응한다. 그러한 프록시 노드(3)는 단일의 TCP 플로우로 호스트 B(2) 쪽으로 MPTCP 서브플로우를 멀티플렉스하고, 서브플로우로 호스트 A(1) 쪽으로 단일의 플로우를 디멀티플렉스한다. MPTCP 프록시 기능(3)은 일반적으로 인터넷-드레프트 "draft-hampel-mptcp-proxies-anchors"로서 규정된다.
RFC 6182는 단일 쌍의 IP 어드레스와 포트간 동작하는 사용중의 TCP의 표준 버전으로 정규/단일-경로 TCP를 규정한다. 다중경로 TCP는 호스트들간 다중경로의 동시 사용을 지지하는 TCP 프로토콜의 수정된 버전으로서 규정된다. 경로는 소스 및 목적지 어드레스 쌍에 의해 이러한 콘텍스트에 규정된 전송기와 수신기간 링크의 시퀀스로서 규정된다. 호스트는 다중경로 TCP 커넥션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는 종단 호스트(end host)로서 규정된다. 서브플로우는 좀더 큰 다중경로 TCP 커넥션의 일부를 형성하는 개별 경로를 통해 동작하는 TCP 세그먼트들의 플로우로서 규정된다. MPTCP 커넥션은 호스트의 애플리케이션에 단일의 다중경로 TCP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브플로우 세트로서 규정된다. RFC 6182는 또한 경로마다 기본적인 전송을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원하는 네트워크 호환성을 유지하도록 "서브플로우"라 칭하는 표준 TCP 세션(네트워크에 무엇이 표시되는지)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MPTCP-특정 정보는, 비록 이러한 메카니즘이 전송되는 실제 정보와 분리될 지라도, TCP-호환가능 형태로 전송된다.
네트워크에서 MPTCP 프록시(3)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옵션을 갖는다.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GW) 아래에 또는 그 내에", 즉 PGW와 호스트 A 사이에, 또는 예로서 호스트 A(1)의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 MPTCP 프록시(3)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는, 즉 어떻게 공통 MPTCP 프록시(3)가 양 액세스 네트워크(예컨대, 3GPP 및 WLAN 액세스)에 의해 찾아질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양 액세스 네트워크가 그 공통 MPTCP 프록시로 MPTCP 트래픽을 라우트할 수 있는지?와 같은 2가지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2개의 액세스 네트워크에 공통인 MPTCP 프록시 기능이, 이 MPTCP 프록시 기능이 PGW에 위치되거나 또는 그 아래에 위치되는 경우에, 그 액세스 네트워크 모두에 의해 위치될 수 있는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형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는 MPTCP 프록시 기능을 호스팅하는 제1노드, 및 제2액세스 네트워크의 제2노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2노드는 어태치먼트 요청(attachment request)을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다음에 메시지를 원격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고 제1노드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응답을 수신한다. 다음에 MPTCP 데이터 경로는 제2액세스 네트워크에서 MPTCP 프록시 기능으로 리다이렉트(redirect)될 수 있다. 이는, MPTCP 프록시 기능이 PDN 게이트웨이와 이동 단말기에 위치되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위치될 경우에서 조차, 제2액세스가 MPTCP 프록시 기능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MPTP 데이터 트래픽을 라우트할 수 있다.
옵션으로서, 상기 제2노드는 MPTCP 데이터를 수신하고, 적어도 그 수신된 MPTCP 데이터를 MPTCP 프록시 기능을 통해 라우트한다. 그러나, 상기 제2노드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가 아니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른 옵션으로서, 상기 제2노드로 전송된 데이터가 MPTCP 데이터를 포함하는지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만약 그 데이터가 MPTCP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데이터를 그 목적지로 직접 전송한다. 이는 비-MPTCP 데이터가 불필요하게 재라우트(reroute)되지 않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옵션으로서, 원격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콘텍스트 데이터베이스(UCD)이고, 그 메시지는 MPTCP 프록시 기능을 호스팅하는 제1노드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쿼리(query)를 포함한다. 다른 대안의 옵션으로서, 원격 데이터베이스는 홈 가입자 서버를 포함하는 저장 기능이다.
상기 방법은 옵션으로 제2노드와 MPTCP 프록시 기능간 터널을 구축하는 것을 포함하며, 그러한 터널은 적어도 MPTCP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다른 대안으로, 상기 제2노드는 MPTCP 데이터를 자체 처리하지 못하며, 상기 방법은 옵션으로 MPTCP 프록시 기능과 MPTCP 노드간 터널을 구축하도록 제2액세스 네트워크의 MPTCP 노드로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터널은 적어도 MPTCP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어태치먼트 요청은 옵션으로 이동 단말기가 MPTCP 세션을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MPTCP 어태치먼트 타입 표시자를 포함한다.
옵션으로, 상기 MPTCP 프록시 기능은 제1액세스 네트워크에 위치된다.
옵션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액세스 네트워크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진보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 및 고속 패킷 액세스 네트워크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제2노드는 옵션으로 액세스 콘트롤러, eNodeB, 무선 네트워크 콘트롤러, 서빙 GPRS 서포트 노드, 이동성 관리 엔티티 및 서빙 게이트워이 중에서 선택된다.
MPTCP 프록시 기능을 호스팅하는 제1노드는 옵션으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액세스 콘트롤러, eNodeB, 무선 네트워크 콘트롤러 및 서빙 게이트웨이 중에서 선택된다.
제2형태에 따르면, MPTCP 프록시 기능을 통해 전송된 통신 네트워크의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1액세스 네트워크의 제1노드는 어태치먼트 요청을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한다. 메시지를 원격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고 제1노드가 MPTCP 프록시 기능을 호스트하는 것을 표시하는 응답을 수신한다. 다음에 제2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라우트된 MPTCP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는 MPTCP 데이터가 2개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고, 하나의 MPTCP 프록시 기능을 통해 라우트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제1노드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액세스 콘트롤러, eNodeB, 무선 네트워크 콘트롤러 및 서빙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다른 옵션으로서, 메시지는 MPTCP 프록시 기능을 호스팅하는 제1노드의 아이덴티티를 저장하도록 원격 데이터베이스에 명령을 포함한다. 이는 데이터베이스가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의 노드에 그 정보를 제공하게 한다.
제3형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의 MPTCP 프록시 기능의 아이덴티티를 결정하기 위한 노드를 제공한다. 상기 노드에는 어태치먼트 요청을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1수신기, 메시지를 원격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제1전송기, 및 MPTCP 프록시 기능을 호스팅하는 제1노드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응답을 원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2수신기가 제공된다. 이는 노드가 MPTCP 프록시 기능의 아이덴티티를 찾아 MPTCP 프록시 기능으로 MPTCP 트래픽을 라우트(또는 그 트래픽의 라우팅을 명령)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옵션으로, 상기 노드에는 MPTCP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3수신기, 및 수신된 MPTCP 데이터를 MPTCP 프록시 기능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2전송기가 제공된다.
제4형태에 따르면, MPTCP 프록시 기능을 통해 전송된 통신 네트워크의 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도록 배열된 노드가 제공된다. 상기 노드에는 어태치먼트 요청을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1수신기가 제공된다. 제1전송기는 메시지를 원격 데이터베이스로 전송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2수신기는 노드가 MPTCP 프록시 기능을 호스트하는 것을 표시하는 응답을 원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3수신기는 제2액세스 네트워크의 노드로부터 라우트된 MPTCP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5형태에 따르면, 통신 네트워크에 사용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는 이 이동 단말기가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세션을 처리할 수 있다는 표시자를 포함하는 어태치하기 위한 제1요청을 제1액세스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제1전송기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또한 상기 표시자를 포함하는 어태치하기 위한 제2요청을 제2액세스 네트워크로 전송하기 위한 제2전송기가 제공된다.
제6형태에 따르면, 노드에 프로세서에서 메모리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구동될 때 상기 노드가 상기 제1형태 또는 제2형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제7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6형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다.
제8형태에 따르면, 선박 또는 차량에서 작동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형태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방법이 제공된다.
제9형태에 따르면, 선박 또는 차량에 적용되는 상기 제3, 제4 또는 제5형태 중 어느 하나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노드 또는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2개의 호스트들간 다수의 MPTCP 서브플로우(subflow)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프록시를 이용하는 2개의 호스트들간 다수의 MPTCP 서브플로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예시의 네트워크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시그널링도이고;
도 5는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MPTCP 프록시 기능을 통한 UE 제1어태치가 eNodeB에 위치되는 예시의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시그널링도이고;
도 6은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MPTCP 프록시 기능을 통한 UE 제1어태치가 SGW에 위치되는 예시의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시그널링도이고;
도 7은 WLAN 액세스 네트워크 및 MPTCP 프록시 기능을 통한 UE 제1어태치가 AC에 위치되는 예시의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시그널링도이고;
도 8은 WLAN 액세스 네트워크 및 MPTCP 프록시 기능을 통한 UE 제1어태치가 AC에 위치되는 다른 예시의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시그널링도이고;
도 9는 WLAN 액세스 네트워크 및 MPTCP 프록시 기능을 통한 UE 제1어태치가 AC에 위치되는 또 다른 예시의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시그널링도이고;
도 10은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MPTCP 프록시 기능을 통한 UE 제1어태치가 PGW에 위치되는 예시의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시그널링도이고;
도 11은 WLAN 액세스 네트워크 및 MPTCP 프록시 기능을 통한 UE 제1어태치가 PGW에 위치되는 예시의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시그널링도이고;
도 12는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및 MPTCP 프록시 기능을 통한 UE 제1어태치가 eNodeB에 위치되고, MPTCP의 브레이크아웃(breakout)이 수행되는 예시의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시그널링도이고;
도 13은 실시예들의 원리를 기술하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4는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노드에서의 단계를 기술하는 흐름도이고;
도 15는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2노드에서의 단계를 기술하는 흐름도이고;
도 16은 예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노드에서의 단계를 기술하는 흐름도이고;
도 17은 예시의 제2노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8은 예시의 제1노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19는 예시의 이동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20은 예시의 선박 또는 차량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원의 도 3에 따르면, 예시의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기술하고 있다. 이는 3GPP TS 23.401 및 3GPP TS 23.402에 기술된 아키텍처의 간단한 도면이며, 주로 사용자 플랜(user plane) 파트를 나타낸다. 도 3이 3GPP 측에서 롱 텀 에볼루션(LTE) 아키텍처를 기술하고 있지만, 유사한 기술들이 WCDMA/HSPA와 같은 다른 타입의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는 알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 eNB(6)에 대응하는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 콘트롤러(RNC), 또는 결합된 NodeB/RNC가 될 것이다.
사용자 장비 UE(4)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듀얼 라디오, 하나의 3GPP 라디오(예컨대, LTE 또는 WCDMA/HSPA) 및 하나의 WLAN 라디오를 갖춘다. 3GPP 액세스 네트워크(5)를 이용할 경우, 상기 UE(4)는 eNodeB(6) 및 서빙 게이트웨이 SGW(7)를 통해, 이후 PGW(8)를 통해 PDN 네트워크의 피어(9)와 통신한다. WLAN 액세스 네트워크(10)를 이용할 경우, PGW(8)와 UE(4)간 통신은 액세스 라우터인 액세스 콘트롤러 AC(11)를 통과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상기 UE(4)는 WiFi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AC(11)와 연결된다.
액세스 네트워크(5, 10)는 UE(4)에게 PDN의 피어(9)에 대한 연결을 제공한다. 그와 같은 PDN 커넥션은 상기 UE(4)와 PDN간 가상 (IP) 터널로 생각될 수 있다. 상기 PGW(8)는 PDN 커넥션을 종결시킨다.
도 3에 나타낸 아키텍처는 기능적이라는 것을 염두해 두자. 몇몇 기능들이 단일 노드에 공동-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기능들이 각기 다른 노드에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단일 노드에 상기 SGW(7) 및 PGW(8)를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AC(11)를 RNC(나타내지 않음)와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4의 시그널링도는 2개의 액세스 네트워크(5, 10)에 어태치(attach)하기 위한 UE(4)에 대한 예시의 시그널링을 나타낸다. 단계 S401 내지 S411은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에 대한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나타내고, 단계 S412 내지 S417은 WLA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0)에 대한 어태치먼트를 나타낸다. 이는 3GPP TS 23.402(섹션 6.2/16.2)에 기술된 절차와 결합된 3GPP TS 23.401(섹션 5.3.2)에 기술된 어태치먼트 절차의 간단한 버전이다. 예컨대, 단계 S412는 통상 인증 및 DHCP와 같은 다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MPTCP 프록시(3)의 개념은 단지 UE(4) 트래픽이 공통 포인트를 통해 라우트될 경우에만 작업할 수 있다. 이때 MPTCP 프록시(3)는 그러한 공통 포인트에 위치될 수 있다. 거기에는 MPTCP 프록시(3)의 구조적 배치를 위한 몇 가지 옵션들이 있다. 하나의 옵션은 PGW의 "우측에", 즉 IETF 인터넷-드레프트 "MPTCP proxies and anchors"에 기술된 바와 같이 PDN 내에 MPTCP 프록시(3)를 배치하는 것이다. 다른 옵션은 PGW(8)에 또는 PGW(8)와 UE(4) 사이에, 예컨대 SGW(7), RNC, eNB(6) 또는 Wi-Fi AC(11)에 MPTCP 프록시(3)를 배치하는 것이다.
MPTCP-가능 단부-호스트(UE(4) 또는 피어(9)와 같은)는 네트워크가 MPTCP 프록시(3)를 채용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모델은 "트랜스페어런트 프록시(transparent proxy)"로 알려져 있다. 그러한 네트워크는 각기 다른 액세스를 통한 MPTCP 서브플로우가 동일한 MPTCP 프록시(3)를 통해 라우트되는 것을 보장할 책임이 있다.
다른 대안으로, MPTCP-가능 단부-호스트는 제1 MPTCP 서브플로우의 셋업에서 MPTCP 프록시(3)의 존재를 발견할 것이다. 그러한 셋업의 일부로서, MPTCP 프록시(3)는 단부-호스트에 그 IP 어드레스를 시그널링한다. 상기 단부-호스트는 추가의 서브플로우를 셋업할 때 그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이러한 모델에 있어서, 추가의 MPTCP 서브플로우는 2개의 단부-호스트들간 라우팅 경로 상에 존재할 필요는 없다.
다른 대안의 모델은 명백한 MPTCP 프록시를 사용한다. 이러한 모델에 있어서, MPTCP-가능 단부-호스트는 제1 MPTCP 서브플로우의 셋업으로 MPTCP 프록시(3)를 어드레스한다. 이는 그러한 단부-호스트가 MPTCP 프록시(3)의 어드레스로 미리-구성될 것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암시적인 그리고 명백한 프록시는 현재 인터넷-드레프트 "MPTCP proxies and anchors"로 IETF에 의해 표준화되어 있다. 트랜스페어런트 모델의 장점은 오퍼레이터가 그들 자신 소유의 솔루션을 제공해야 하는 IETF 표준화가 필요치 않다는 것이다.
제1예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UE(4) 트래픽은 각기 다른 액세스로부터 PDN 커넥션이 공통 포인트를 통해 라우트되도록 셋업되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공통 포인트를 통해 라우트된다. PDN 커넥션 셋업은 어태치먼트 시간에 행해진다. 이는 모든 UE(4) 트래픽, TCP 트래픽 뿐만 아니라 다른 트래픽이 공통 포인트를 통해 라우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예에서, 그러한 공통 포인트는 PGW(8), eNB(6), SGW(7) 또는 AC(11)가 될 것이다. 양 액세스는 공통 포인트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한가지 방식은 UE 콘텍스트가 저장될 수 있는 사용자 콘텍스트 데이터베이스 UCD(14)라고 칭하는 공통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양 액세스의 노드들은 PDN 커넥션 셋업 절차의 일부로서 그 데이터베이스(14)에 쿼리할 수 있다. 그러한 UCD(14)는 홈 가입자 서버(HSS)와 병치(collocate)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HSS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작업에 대한 UCD 개념에 있어서, UE는 양 액세스 네트워크(5, 10)에 대한 동일한 UE로서 식별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IMSI가 이용가능하면 공동 식별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0)에서, IMSI가 이용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다른 식별자가 사용되어야 한다.
PDN 커넥션 셋업은 소정의 UE(4) 사용자 데이터가 시그널링되기 전에 수행된다. 이러한 솔루션은 MPTCP 프록시(3)가 어떻게 어드레스되는냐에 상관없이 행해진다. 상기 MPTCP 프록시(3)는 완전히 트랜스페어런트될 수 있으며, 그 경우 MPTCP 프록시(3)는 이러한 통과의 트래픽이 MPTCP 트래픽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그 TCP 옵션들을 검사한다. MPTCP 프록시(3)가 명백한 프록시인 경우, MPTCP 프록시(3)는 단지 트래픽이 MPTCP 트래픽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패킷의 타겟 IP 어드레스를 검사해야 할 것이다. 암시적인 MPTCP 프록시(3)는 첫번째 서브플로우에 대해 상기 전자를 행할 필요가 있고 추가의 서브플로우에 대해 상기 후자를 행할 필요가 있다.
다음의 예들에서, 제일 먼저 UE(4)가 어태치되는 액세스에 MPTCP 프록시 기능(3)이 있다고 가정한다. 만약 그러한 액세스에 MPTCP 프록시 기능(3)이 없다면 MPTCP 프록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없다. MPTCP 프록시(3)는 양 액세스 네트워크(5, 10)에 제공되거나, 또는 UE(4)가 항상 제일 먼저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에 정상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추정될 것이다.
도 5로 되돌아 가면, 도 5에는 UE(4)가 제일 먼저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를 통해 어태치되고, MPTCP 프록시(3)가 eNB(6)에 위치되는 경우를 기술하는 시그널링도가 나타나 있다(RNC에 위치될 MPTCP 프록시 노드(3)에 대한 또 다른 변형이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자). 이후 UE는 WLA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0)를 통해 어태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WLAN PDN 커넥션 또한 MPTCP 프록시 기능(3)을 포함하는 eNB(6)를 통해 라우트되도록 UE(4)와 피어(9)간 PDN 커넥션 셋업이 구축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하의 넘버링은 도 5에 대응한다:
S501. UE(4)는 eNB(6)로 어태치 요청을 전송한다.
S502. eNB/프록시(6/3)는 UCD(14)에 쿼리(query)한다. 그러한 UCD(14)는 그 UE(4)가 또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의 MPTCP 프록시 기능(3)을 통해 이미 라우트되었는지에 응답한다. 이러한 예에서는 아직 포함된 다른 MPTCP 프록시 기능(3)이 없다. eNB(6)는 이러한 UE(4)에 대해 MPTCP 프록시(3)로서 작용한다는 것을 UCD(4)에 알린다.
S503. eNB(6)는 MME(12)를 선택한다.
S504. 어태치 요청이 eNB에서 MME(12)로 전송된다.
S505. MME(12)는 SGW(7) 및 PGW(8)를 선택한다.
S506. MME(12)는 "생성 세션 요청(Create Session Request)"을 그 선택된 SGW(7)로 전송한다.
S507. SGW(7)는 생성 세션 요청을 그 선택된 PGW(8)로 전송한다.
S508. PGW(8)는 생성 세션 확인(create session acknowledgement)을 SGW(7)로 전송한다.
S509. SGW(7)는 생성 세션 확인(Ack)을 MME(12)로 전송한다.
S510. MME는 어태치 확인(attach acknowledgement)을 eNB(6)로 전송한다.
S511. eNB(6)는 어태치 확인(Ack)을 UE(4)로 전송한다.
S512. 이러한 지점에서, PDN 커넥션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5)를 통해 PGW(8)와 UE(4)간에 구축된다.
S513. 또한 WLA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해, UE(4)는 어태치 요청을 AC(11)로 전송한다.
S514. AC(11)는 UE(4)가 이미 3GPP 액세스 네트워크(5)의 MPTCP 프록시 기능(3)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AC(11)에 알리는 것에 응답하는 UCD(14)에 쿼리를 전송한다. AC(11)는 MPTCP 프록시 기능(3)의 IP 어드레스를 수신한다.
S515. AC(11)는 PGW(13; eNB(6)에 의해 선택된 PGW(8)와 다른)를 선택한다.
S516. AC(11)는 리다이렉트 요청을 eNB(6)의 MPTCP 프록시(3)로 전송한다. 그러한 리다이렉트 요청은 일반적으로 선택된 다른 PGW(13)로 진행되는 생성 세션 요청을 캡슐화한다.
S517. eNB(6)는 생성 세션 요청을 그 선택된 다른 PGW(13)로 전송한다.
S518. 다른 PGW(13)는 생성 세션 확인을 eNB(6)로 전송한다.
S519. eNB(6)는 리다이렉트 확인(Ack)을 AC(11)로 전송한다.
S520. AC(11)는 어태치 확인을 UE(4)로 전송한다.
S521. 이러한 지점에서, PDN 커넥션은 WLAN 액세스 네트워크(10)를 통해 다른 PGW(13)와 UE(4)간에 구축된다. 이러한 경우, PDN 커넥션은 MPTCP 프록시(3)를 호스팅하는 eNB(6)를 통한다.
상기 UCD(14)는 몇가지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이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자. 예컨대 HSS와 같은 또 다른 기존의 기능과 공동-위치될 수 있다. 또한 UCD에 대한 시그널링이 몇가지 방식들 중 어느 하나로 실시될 것이다. 도 5에 그러한 시그널링이 예시되어 있다. 다른 대안은 eNB(6)와 UCD(14) 사이를 이미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에 의해 MME(12)를 통과하는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단계 S502에 나타낸 UE 콘텍스트(MPTCP 프록시 기능(3)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의 쿼리/저장은 분리된 쿼리 및 저장 단계로 분할된다. 예컨대, 상기 쿼리는 상기와 같은 단계 S502에서 일어나지만 상기 저장은 단계 S501에 의해 행해진다. 어떠한 경우, 상기 UCD(14)는 잠재적인 레이스 컨디션(race condition)을 처리할 필요가 있다(즉, 만약 UE(4)가 동시에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10)에 어태치되면, 그리고 그러한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10)로부터의 쿼리가 제1액세스 네트워크(5)의 MPTCP 프록시 기능(3) 아이덴티티의 저장 전에 오면).
이제 도 6으로 되돌아 가면, UE(4)가 제일 먼저 3GPP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5)를 통해 어태치되고, MPTCP 프록시 기능(3)이 SGW(7)에 위치되는 시그널링도가 나타나 있다.
단계 S601 내지 S621는 아래의 예외적인 것과 함께 S501 내지 S521에 대응한다:
S606는 이제 SGW/프록시(7/3)로부터 시작된다(도 5의 단계 S502 대신). 그 결과, SGW(7)에 위치된 MPTCP 프록시 기능(3)의 아이덴티티는 UCD(14)에 저장된다.
S616. 리다이렉트 요청은 여전히 MPTCP 프록시 기능(3) 쪽으로 전송되지만, 이러한 예에서 그 MPTCP 프록시 기능(3)은 SGW(7)에 위치된다.
도 7은 UE(4)가 제일 먼저 WLAN 액세스 네트워크(10)에서 어태치되고 MPTCP 프록시 기능(3)이 AC(11)에 위치되는 경우를 기술한다. 다음의 넘버링은 도 7의 것에 대응한다:
S701. UE(4)는 어태치 요청을 AC(11)로 전송한다.
S702. AC(11)는 메시지를 UCD(14)로 전송한다. 만약 MPTCP 프록시 노드가 이미 UE(4)에 제공되어 있다면 그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예에 있어서, MPTCP 프록시 기능은 아직 제공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그 UCD(14)는 MPTCP 프록시 기능(3)이 AC(11)에 위치되었다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S703. AC(11)는 다른 PGW(13)를 선택한다.
S704. 생성 세션 요청은 다른 PGW(13)로 전송된다.
S705. 생성 세션 확인은 다른 PGW(13)에서 AC(11)로 전송된다.
S706. 어태치 확인은 AC(11)에서 UE(4)로 전송된다.
S707. 이러한 지점에서, UE(4)는 WLAN 액세스 네트워크(10)를 통해 다른 PGW(13)와 PDN 커넥션을 구축한다.
S708. UE(4)는 어태치 요청을 3GPP 액세스 네트워크(5)의 eNB(6)로 전송한다.
S709. eNB(6)는 MPTCP 프록시 기능(3)이 WLAN 액세스 네트워크(10)의 AC(11)에 위치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UCD(14)로 쿼리를 전송한다.
S710. eNB(6)는 MME(12)를 선택한다.
S711. 어태치 요청을 MME(12)로 직접 전송하는 대신, eNB(6)는 리다이렉트 요청으로 캡슐화된 AC(11)로 그 요청을 리다이렉트한다.
S712. AC(11)는 어태치 요청을 MME(12)로 전송한다.
S713. MME(12)는 SGW(7) 및 PGW(8)를 선택한다.
S714. MME(12)는 생성 세션 요청을 SGW(7)로 전송한다.
S715. SGW는 생성 세션 요청을 PGW(8)로 전송한다.
S716. PGW(8)는 생성 세션 확인을 SGW(7)로 전송한다.
S717. SGW(7)는 생성 세션 확인을 MME(12)로 전송한다.
S718. MME(12)는 S1AP 초기 콘텍스트 셋업 요청을 AC(11)로 전송한다.
S719. AC(11)에 MPTCP 프록시(3)는 리다이렉트 확인을 eNB(6)로 전송한다.
S720. eNB(6)는 S1AP 초기 콘텍스트 셋업 응답을 갖는 AC(11)의 MPTCP 프록시 기능(3)에 응답한다.
S721. AC(11)에 MPTCP 프록시 기능(3)은 S1AP 초기 콘텍스트 셋업 응답을 MME(12)로 전송한다.
S723. MME(12)는 변경 베어러 요청(modify bearer request)을 SGW(7)로 전송한다.
S726. SGW(7)는 변경 베어러 응답(modify bearer response)을 MME(12)로 전송한다.
S727. 이러한 지점에서, PDN 커넥션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UE(4)와 PGW(8) 사이에 구축되고, 패킷은 WLAN 액세스 네트워크(10)의 AC(11)에 위치된 MPTCP 기능(3)을 통해 전송될 것이다.
단계 S712에서, eNB(6)와 MME(12)간 S1-MME 인터페이스 시그널링은 AC(11)를 통해 UE(4)에 대한 GTP-U 터널을 리다이렉팅의 목적을 위해 AC(11)를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리다이렉팅을 달성하기 위해, AC(11)는 아래와 같이 S1AP 초기 콘텍스트 셋업 요청/응답 메시지(또는 eNB와 SGW간 GTP-터널을 셋업하는데 사용된 소정의 다른 메시지)를 변경한다:
·AC(11)가 MME(12)로부터 S1AP 초기 콘텍스트 셋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 그 전송 계층 어드레스 및 GTP-TEID IE는 SGW(7)에 의해 설정된 값들을 포함한다. 상기 AC(11)는 eNB(6)가 업링크 트래픽을 AC(11)로 전송하게 하기 위해 그 자신의 IP 어드레스 및 (선택된)TEID를 갖는 IE를 오버라이트(overwrite)한다. 또한 상기 AC(11)는 SGW(7) 쪽으로 올바른 GTP-U 터널 상에 업링크 트래픽을 전송할 목적을 위해 초기 전송 계층 어드레스 및 GTP-TEID IE를 저장한다.
·AC(11)가 eNB(6)로부터 S1AP 초기 콘텍스트 셋업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 전송 계층 어드레스 및 GTP-TEID IE는 eNB(6)로 설정된 값들을 포함한다. AC(11)는 SGW(7)가 다운링크 트래픽을 AC(11)로 전송하게 하기 위해 그 자신의 IP 어드레스 및 (선택된)TEID를 갖는 이들 IE를 오버라이트한다. 또한 상기 AC(11)는 eNB(7) 쪽으로 올바른 GTP-U 터널 상에 다운링크 트래픽을 전송할 목적을 위해 초기 전송 계층 어드레스 및 GTP-TEID IE를 저장한다.
또 다른 변형은 eNB(6)와 MME(12)간 S1-MME 인터페이스를 본래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대신, 단계 S709의 결과(UE(4)에 대한 MPTCP-프록시 노드(3)가 AC(11)에 위치되는)에 기초하여, 아래와 같이 새로운 시그널링이 eNB(6)와 AC(11) 사이에 부가된다:
1. eNB(6)가 GTP-U 터널 식별자, 즉 SGW IP 어드레스 및 터널 엔드포인트 식별자(TEID)를 포함하는 소정의 메시지를 수신할 때, 다음과 같은 액션들을 수행한다:
·2개의 로컬 식별자, UE ID 및 베어러(Bearer) ID를 생성하고 이들을 이러한 베어러를 위한 로컬 UE 콘텍스트에 저장한다. 상기 UE ID는 예컨대 eNB UE S1AP ID가 되고, 상기 베어러 ID는 예컨대 ERAB-ID가 될 것이다.
·또한 로컬 GTP-U 터널 식별자, 즉 eNB IP 어드레스 및 TEID를 선택한다.
·업링크를 위한 SGW IP 어드레스 및 TEID, 다운링크를 위한 eNB IP 어드레스 및 TEID, UE ID 및 베어러 ID를 포함하는 첫번째 새로운 메시지를 생성한다.
·첫번째 새로운 메시지는 AC(11)로 전송된다.
·또한, eNB(6)는 로컬적으로 상기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2. AC(11)가 첫번째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할 때, 다음과 같은 액션들을 수행한다:
·그 수신된 정보는 2개의 다른 GTP-U 터널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며, 그 하나는 eNB와 AC간 GTP-U 터널, 그리고 또 다른 하나는 AC(11)와 SGW(7)간 GTP-U 터널.
·그 AC(11)와 SGW(7)간 GTP-U 터널에 있어서, AC(11)는 SGW(7) 쪽의 GTP-U 터널을 위한 목적지 정보로서 그 수신된 SGW IP 어드레스 및 TEID를 이용하여 시작한다. 또한 AC(11)는 로컬 GTP-U 터널 식별자, 즉 AC(11) 쪽에서 사용하기 위한 SGW(7)에 대한 AC IP 어드레스-2 및 TEID-2를 선택한다.
·AC(11)와 eNB(6)간 GTP-U 터널에 있어서, AC(11)는 eNB(6) 쪽의 GTP-U 터널을 위한 목적지 정보로서 그 수신된 eNB IP 어드레스 및 TEID를 이용하여 시작한다. 또한 AC(11)는 로컬 GTP-U 터널 식별자, 즉 AC(11) 쪽에서 사용하기 위한 eNB(6)에 대한 AC IP 어드레스-1 및 TEID-1을 선택한다.
·AC(11)는 첫번째 새로운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두번째 새로운 메시지를 생성하며, UE ID 및 베어러 ID, AC IP 어드레스-1 및 TEID-1, 및 AC IP 어드레스-2 및 TEID-2를 포함한다.
·메시지는 eNB(6)로 다시 전송된다.
3. eNB(6)가 AC(11)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때, 다음과 같은 액션들을 수행한다:
·AC IP 어드레스-1 및 TEID-1에 대한 그 수신된 정보는 AC(11) 쪽의 GTP-U 터널을 위한 eNB에 의해 사용된다.
·AC IP 어드레스-2 및 TEID-2에 대한 그 수신된 정보는 RAN의 목적지 GTP-U 터널 정보로서 코어 네트워크(즉, MME) 쪽으로 응답하기 위해 eNB(6)에 의해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그 IP-어드레스는 AC(11) 쪽으로 향한다.
상기 단계들은 도 8DP 단계 S801 내지 S828로 좀더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다른 대안의 실시예로서, 쿼리를 UCD(14)로 전송하는 eNB(6) 대신, MME(12)는 도 9의 단계 S901 내지 S926에 나타낸 시그널링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단계를 수행할 것이다. 그러한 결과의 PDN 커넥션의 라우트는 다음과 같이 동일하다: UE-eNB-AC-SGW-PGW.
UCD(14) 쿼리/저장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SGW(7)에 대한 다른 변형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그러한 결과의 PDN 커넥션은 다음과 같이 라우트된다: UE-eNB-SGW-AC-PGW.
상기 기술되고 도 5 내지 9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네트워크-기반 PDN 커넥션 셋업 리다이렉트가 실행되는 경우이다. 도 5 내지 9에 나타낸 과정들은 네트워크에서 충분히 실시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UE(4)는 PDN 커넥션 셋업 시 영향받지 않는다. 그러나, 어태치먼트 시간에 UE(4)에서 네트워크로 시그널링을 확대시킬 수 있다.
MPTCP 프록시 기능(3)이 PGW(8)에 위치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UE(4)는 그 어태치 요청에 "MPTCP"를 표시한다. APN(액세스 포인트 이름, PDN의 이름)과 함께, 상기 네트워크는 각기 다른 액세스에 대한 2개의 PDN 커넥션이 동일한 PGW(8)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그러한 과정은 3GPP 무선 액세스와 WLAN 무선 액세스간 핸드오버(handover)의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
도 10의 시그널링은 UE(4)가 제일 먼저 3GPP 무선에 어태치될 때의 과정을 나타내며, 아래의 넘버링은 도 10의 넘버링에 대응한다:
S1001. UE(4)는 어태치 요청을 eNB(6)로 전송한다. 그러한 어태치 요청은 새로운 "요청 타입"을 나타낸다. 기존의 요청 타입은 "초기 어태치" 및 "핸드오버 어태치"를 포함한다. "MPTCP 어태치"와 같은 새로운 요청 타입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요청 타입은 옵션의 APN과 함께 단계 S1001에 포함된다.
S1002. eNB(6)는 MME(12)를 선택한다.
S1003. eNB(6)는 요청 타입을 MME(12)로 전송한다. MME는 캐시 가입 데이터를 갖추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UE(4)가 이미 다른 어딘가(즉, 비-3GPP 액세스)에 어태되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 HSS(15)에 쿼리한다(단계 S1004 및 S1005). 이러한 예에 있어서, 이는 그러한 경우가 아니며, 어태치 과정을 계속한다.
S1006-S1012. 3GPP 액세스 네트워크(5)에 대한 어태치먼트의 완료.
S1013. MME(12)는 이러한 UE(4)를 위한 선택된 PGW(8), APN 및 어태치먼트 타입에 대해 HSS(15)에 통지한다.
S1014. 이러한 지점에서, UE(4)는 3GPP 액세스 네트워크(5)를 통해 PGW(8)와의 PDN 커넥션을 갖는다.
S1015. UE(4)는 또한 WLAN 액세스 네트워크(10)를 통해 어태치한다. 이러한 경우, UE(4)는 어태치 요청을 AC(11)로 전송하며, 그러한 어태치 요청은 요청 타입의 "MPTCP 어태치"를 표시한다.
S1016-S1017. AC(11)는 그 인증의 일부로서 UE(4) 프로파일을 수신한다. 그러한 UE(4) 프로파일로부터, AC(11)는 그 UE(4)가 3GPP 액세스 네트워크(5)를 통해 이미 "MPTCP 어태치"되었다는 것을 결정한다.
S1018. PGW ID는 UE 프로파일에 포함되며, AC(11)는 선택된 3GPP 액세스 네트워크(5)로서 그 동일한 PGW를 선택한다. 결과적으로, 양 PDN 커넥션은 어느 하나를 통해 그리고 그 동일한 PGW(8)를 통해 라우트된다. 따라서 이는 MPTCP 프록시 기능(3)을 위한 최상의 위치이다.
S1019-S1022. 그러한 어태치먼트 과정은 PDN 커넥션이 UE(4)와 PGW(8) 사이에 구축될 때까지 계속된다.
만약 UE(4)가 제일 먼저 WLAN 액세스 네트워크(10)DP 어태치되면 유사한 콜 흐름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이는 도 11의 단계 S1101 내지 S1122에 나타나 있다. HSS(15)에 대한 통지는 이제 PGW(8)로부터 전송된다(단계 S1106). MME(12)는 업데이트 위치 ack의 일부로서 UE(4) 프로파일을 수신한다(단계 S1114).
도 10 및 11의 콜 흐름이 갖는 잠재적인 문제는 UE(4)가 분리(detach)될 때 HSS의 사용자 프로파일이 클린 업(cleaned up)되는 것을 3GPP 명세서(3GPP Rel 11)가 요구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초래된다. UE(4)가 항상 "MPTCP 어태치"를 표시하면, 업데이트 위치 Ack(3GPP 액세스 네트워크(5)) 또는 인증 Ack(WLAN 액세스 네트워크(10))에서 수신된 이러한 UE(4) 및 APN에 대한 프로파일은 항상 선택된 PGW ID를 표시한다. 이는 UE(4)가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이미 분리되었을 지라도 발생할 것이다. 그러한 결과는 UE(4)가 그 전체 라이프타임에 있어 어느 하나 및 그 동일한 PGW(8)에 "고정"될 것이다. 이는 전체 시스템의 확장성을 극히 제한한다. 상기 작업에 대한 콜 흐름에 있어서, HSS(15) 클린-업 기능이 필요하다. 이는 예컨대 UE(4)가 분리될 때 PGW(8)에서 HSS(15)까지 명백한 클린-업 신호의 형태를 나타낼 것이다. UE(4)가 여전히 어태치되고 있는지를 HSS(15)가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또 다른 예가 있을 수 있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HSS(15)는 UE(4) 프로파일을 클린 업한다.
제1액세스 네트워크를 액세스할 때 MPTCP 프록시 기능(3)의 어드레스를 알려주기 위한 UE(4)에 대한 다른 변형이 있으며, 이 때 상기 UE(4)는 제1액세스 시에 MPTCP 프록시 기능의 어드레스/위치에 대해 제2액세스 네트워크에 알린다. 이는 양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한 동일한 APN에 대한 어태치의 필요성을 없앤다(3GPP Rel 11에 지지되지 않는). 또한 상기 언급한 클린 업 문제를 해결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UE-어시스트 및 네트워크-기반 셋업의 조합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경우, UE(4)는 PDN 커넥션 구축 시그널링에 "MPTCP 어태치" 표시를 제공하고, 네트워크는 도 5 내지 9 중 어느 하나와 관련하여 상기 기술한 네트워크-기반 PDN 커넥션 셋업 리다이렉트가 수행될지를 결정하기 위해 그러한 표시를 이용한다. 그와 같은 접근방식의 이점은 UE(4)가 MPTCP의 사용을 명확히 요청하는 시나리오에서 그 네트워크만이 그러한 네트워크-기반 PDN 커넥션 셋업 리다이렉트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MPTCP 어태치" 요청이 NAS 시그널링으로 전송되고(3GPP 액세스 네트워크(5)에서) 이에 따라 MME(12)에 의해 분석되므로, 이러한 접근방식은 적어도 MPTCP 프록시 기능(3)이 SGW(7) 또는 AC(11)에 위치되는 경우에 행해질 것이다. 만약 MPTCP 프록시 기능(3)이 eNB(6)에 위치되면, MME(12)에서 eNB(6)까지 추가의 시그널링이 예컨대 UE(4) 요청을 eNB(6)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다.
도 5 내지 11과 관련하여 상기 기술한 실시예들은 제2액세스를 통한 전체 연결이 MPTCP 프록시 기능(3)을 통해 라우트되는 솔루션을 제안하고 있다. 대안의 다른 솔루션은 제2액세스 네트워크에서도 정상적인 PDN 커넥션을 셋업하고, 제1액세스 네트워크에서 MPTCP 프록시 기능(3)에 대한 PDN 커넥션으로부터 MPTCP 트랙픽만을 브레이크-아웃(break-out)시킬 수 있다.
도 12는 UE(4)가 제일 먼저 3GPP 액세스 네트워크에 어태치되고 MPTCP 프록시 기능(3)이 eNB(6)에 위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SGW(7) 또는 AC(11)이 MPTCP 프록시 기능을 포함할 경우 유사한 개념들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사상은 또한 MPTCP 프록시 기능(3)이 PGW(8)에 공동-위치될 경우 적용될 수 있다. UE가 제일 먼저 어태치되는 액세스의 MPTCP 프록시 기능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만약 그러한 액세스의 MPTCP 프록시 기능이 없다면 MPTCP 프록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없다. 오퍼레이터는 양 액세스 네트워크에 MPTCP 프록시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UE(4)가 제일 먼저 3GPP 무선 액세스에 항상 연결된다고 가정한다. 아래의 넘버링은 도 12의 넘버링에 대응한다:
S1201. UE(4)는 어태치 요청을 eNB(6)로 전송한다.
S1202. eNB/프록시(6/3)는 UCD(14)에 쿼리한다. UCD(14)는 UE(4)가 이미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의 MPTCP 프록시 기능(3)을 통해 라우트되었는지를 응답한다. 이러한 예에서는 아직 포함된 다른 MPTCP 프록시 기능(3)이 없다. eNB(6)는 이러한 UE(4)를 위한 MPTCP 프록시 기능(3)을 제공할지를 UCD(4)에 알린다.
S1203. eNB(6)는 MME(12)를 선택한다.
S1204. 어태치 요청은 eNB(6)에서 MME(12)로 전송된다.
S1205. MME(12) SGW(7) 및 PGW(8)를 선택한다.
S1206. MME(12)는 "생성 세션 요청"을 선택된 SGW(7)로 전송한다.
S1207. SGW(7)는 생성 세션 요청을 선택된 PGW(8)로 전송한다.
S1208. PGW(8)는 생성 세션 확인을 SGW(7)로 전송한다.
S1209. SGW는 생성 세션 확인을 MME(12)로 전송한다.
S1210. MME는 어태치 확인을 eNB(6)로 전송한다.
S1211. eNB(6)는 어태치 확인을 UE(4)로 전송한다.
S1212. 이러한 지점에서 PDN 커넥션은 3GPP 액세스 네트워크(5)를 통해 PGW(8)와 UE(4) 사이에 구축된다.
S1213. 또한 WLA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0)를 통해 연결하기 위해, UE(4)는 어태치 요청을 AC(11)로 전송한다.
S1214. AC(11)는 UCD(14)에 쿼리를 전송하는데, 이에 응답하여 UE(4)가 이미 3GPP 액세스 네트워크(5)의 MPTCP 프록시 기능(3)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AC(11)에게 알린다. 상기 AC(11)는 MPTCP 프록시 기능(3)의 IP 어드레스를 수신한다. 그 AC는 MPTCP 프록시 기능(3)에 대한 터널을 셋업한다(흐름도에는 나타내지 않음). 이후 그 터널은 MPTCP 패킷을 AC(11)에서 MPTCP 프록시 기능(3)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1215. AC(11)는 다른 PGW(13)를 선택한다(eNB(6)에 의해 선택된 PGW(8)와 다른).
S1216. AC(11)는 생성 요청을 그 선택된 다른 PGW(13)로 전송한다.
S1217. 그 다른 PGW(13)는 생성 세션 확인을 AC(11)로 전송한다.
S1218. AC(11)는 어태치 확인을 UE(4)로 전송한다.
S1219. 이러한 지점에서 PDN 커넥션은 WLAN 액세스 네트워크(10)를 통해 상기 다른 PGW(13)와 UE(4) 사이에 구축된다.
S1220 내지 S1225. 제1 MPTCP 서브플로우는 IETF 인터넷-드레프트 "draft-ietf-mptcp-multiaddressed"로 규정된 바와 같이 셋업된다.
S1226 내지 S1230. 제2 MPTCP 서브플로우는 그 인터넷-드레프트에 규정된 바와 같은 "결합(join)" 메시지에 의해 셋업된다. 그러나, 상기 AC(11)는 "MPTCP 브레이크-아웃 기능(MBF; MPTCP Break-out Function)"을 포함한다. 그러한 MBF는 WLAN PDN 커넥션을 통해 전송된 패킷의 TCP 헤더를 검사한다. 비-MPTCP 패킷은 다른 PGW(13)로 PDN 커넥션을 통해 간단히 전송된다. 그러나, MPTCP 패킷은 PDN 커넥션으로부터 브레이크 아웃되고 단계 S1214의 터널 셋업을 통해 MPTCP 프록시 기능(3)으로 라우트된다. 만약 MPTCP 프록시 기능(3)이 비-트랜스페어런트(non-transparent)이면, 상기 UE(4)는 단계 S1226에서 MPTCP 프록시 기능(3)의 IP 어드레스를 이용할 것이다. 이때 TCP 헤더의 MPTCP 옵션은 검사할 필요가 없다.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는 브레이크-아웃 기능이 AC(11)에 위치되는 시나리오와 관련된다는 것을 염두해 두자. 그러한 브레이크-아웃 기능은 PGW(8), eNB(6) 또는 SGW(7)와 같은 다른 기능에 위치될 수 있다는 알아야 할 것이다.
도 13으로 되돌아 가서, 상술한 원리들을 기술하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를 기술한다. UE(4)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PGW(8)와 PDN 커넥션을 구축하기 위해 제1액세스 네트워크(17)의 제1노드(16)를 통해 어태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노드(16)는 MPTCP 프록시 기능(3)에 대한 호스트가 된다. 또한 UE(4)는 PGW(8; 또는 다른 PGW 13)와 다른 PDN 커넥션을 구축하기 위해 제2액세스 네트워크(19)의 제2노드(18)를 통해 어태치한다. 제2액세스 네트워크(19)의 제2노드(18)가 MPTCP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 MPTCP 데이터가 분리된 MPTCP 노드(18a)에 의해 제2액세스 네트워크(19)에서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해 두자. 이러한 경우, 상기 제2노드(18)는 MPTCP 노드(18a)가 제1노드에 위치된 MPTCP 프록시 기능(3)으로 MPTCP 데이터를 리다이렉트하도록 지시하거나 아니면 그것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노드(16, 18)는 원격 데이터베이스(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UCD(14), HSS(15), 또는 다른 타입의 데이터베이스가 되는)에 액세스한다. 제1액세스 네트워크(17) 및 제2액세스 네트워크(19)는 소정의 WLAN 액세스 네트워크, 3GPP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소정의 다른 타입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될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제1노드는 eNB(6)이고, 제2노드는 AC(11)이다. 도 6의 예에 있어서, 제1노드는 SGW(7)이고, 제2노드는 AC(11)이다. 도 7 및 8의 예에 있어서, 제1노드는 AC(11)이고, 제2노드는 eNB(6)이다. 도 9의 예에 있어서, 제1노드는 AC(11)이고, 제2노드는 MME(12)이다. 도 10의 예에 있어서, 제1노드는 eNB(6)이고, 제2노드는 AC(11)이다. 도 11의 예에 있어서, 제1노드는 AC(11)이고, 제2노드는 eNB(6)이다. 도 12의 예에 있어서, 제1노드는 eNB(6)이고, 제2노드는 AC(11)이다.
도 14, 15 및 16으로 되돌아 가서,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단계들을 기술하는 흐름도가 나타나 있다. 아래의 넘버링은 도 14 내지 16의 넘버링에 대응한다:
S1401. 제1액세스 네트워크(17)의 제1노드(16)는 UE(4)로부터 어태치먼트 요청을 수신한다.
S1402. 제1노드(16)는 원격 데이터베이스(14; 15) 쪽으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S1403. 원격 데이터베이스가 응답하고 제1노드는 MPTCP 프록시 기능(3)과 공동-위치된다. 상기 원격 데이터베이스에는 제1노드(16)의 아이덴티티가 제공된다.
S1501. 제2액세스 네트워크(19)의 제2노드(18)는 UE(4)로부터 어태치먼트 요청을 수신한다.
S1502. 제2노드(18)는 원격 데이터베이스(14; 15)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S1503. 원격 데이터베이스는 MPTCP 프록시 기능(3)과 공동-위치된 제1노드(16)의 아이덴티티에 의해 제2노드(18)에 응답한다.
S1504. 제2액세스 네트워크(19)는 MPTCP 데이터를 수신한다(이는 제2액세스 네트워크(19)의 제2노드(18) 또는 MPTCP 노드(18a)에서 있을 수 있다).
S1505. 제2액세스 네트워크(19)로 전송된 MPTCP 서브플로우는 제1노드(16)에 위치된 MPTCP 프록시 기능(3)을 통해 라우트된다.
S1404. 제1노드(16)에 MPTCP 기능(3)은 제2액세스 네트워크(19)로부터 리다이렉트된 MPTCP 트래픽을 수신한다.
이런 식으로, 세션과 관련된 모든 MPTCP 서브플로우는 MPTCP 프록시 기능(3)을 통과한다.
도 17은 제2노드(18)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제2노드(18)는 예컨대 PDN, AC, eNodeB(eNB), RNC, SGW, MME, SGSN 등이 될 것이다. 상기 제2노드(18)에는 UE(4)로부터 어태치먼트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제1수신기(20)가 제공된다. 제1전송기(21)는 UCD/HSS(14; 15)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제공된다. 제2수신기(22)는 또한 UCD/HSS(14; 15)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한 응답은 MPTCP 프록시 기능(3)을 호스팅하는 노드(16)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한다. 노드(18)가 MPTCP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그러한 노드에는 또한 MPTCP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3수신기(23) 및 MPTCP 프록시 기능(3) 쪽으로 그 수신된 MPTCP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제2전송기(24)가 제공된다.
도 17에 기술된 다양한 전송기 및 수신기들은 단지 기능적인 용어, 즉 물리적인 용어로만 기술된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그러한 동일한 전송기는 각기 다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되고, 그러한 동일한 수신기는 각기 다른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것이다. 상기 제2노드(18)에는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소정 다수의 물리적인 전송기, 수신기 또는 송수신기가 제공된다.
프로세스(25)는 제2노드(18) 및 그러한 시그널링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메모리(16)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될 것이다. 이는 그러한 프로세서(25)가 실행될 때 노드(18)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게 하는 프로그램(27)을 저장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도 18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1액세스 네트워크(17)의 제1노드(16)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제1노드(16)에는 UE(4)로부터 어태치먼트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제1수신기(28)가 제공된다. 제1전송기(29)는 UCD/HSS(14; 15)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제2수신기(30)는 UCD/HSS(14; 15)로부터 응답을 수신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한 응답은 제1노드(16)가 MPTCP 프록시 기능(3)을 호스트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1노드에는 또한 제2액세스 네트워크(19)로부터 전송된 MPTCP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3수신기(31)가 제공된다.
도 18에 기술된 다양한 전송기 및 수신기들은 단지 기능적인 용어, 즉 물리적인 용어로만 기술된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그러한 동일한 전송기는 각기 다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되고, 그러한 동일한 수신기는 각기 다른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될 것이다. 상기 제1노드(16)에는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소정 다수의 물리적인 전송기, 수신기 또는 송수신기가 제공된다.
프로세스(33)는 제1노드(16) 및 그러한 시그널링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메모리(34)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될 것이다. 이는 그러한 프로세서(33)가 실행될 때 노드(16)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게 하는 프로그램(35)을 저장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도 19는 UE(4)와 같은 이동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그러한 UE(4)에는 제1액세스 네트워크(17)에 어태치하기 위한 제1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제1전송기(36)가 제공된다. 그러한 요청은 UE(4)가 MPTCP 세션을 처리할 수 있다는 표시자를 포함한다. 또한 제2전송기(37)는 제2액세스 네트워크(19)에 어태치하기 위한 제2요청을 전송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한 요청은 또한 표시자를 포함한다. 이는 액세스 네트워크(또는 PGW에서)들 중 어느 하나의 단일의 MPTCP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UE(4)가 MPTCP 세션을 처리하고 조정할 수 있다는 것을 양 액세스 네트워크가 인식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 19에 기술된 전송기들은 단지 기능적인 용어, 즉 물리적인 용어로만 기술된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그러한 동일한 전송기는 각기 다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것이다. 상기 UE(4)에는 메시지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소정 다수의 물리적인 전송기, 수신기 또는 송수신기가 제공된다.
프로세스(38)는 UE(4) 및 그러한 시그널링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메모리(39)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제공될 것이다. 이는 그러한 프로세서(38)가 실행될 때 UE(4)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게 하는 프로그램(40)을 저장하는데 이용될 것이다.
도 20과 관련하여, 배, 기차, 자동차, 트럭 등과 같은 차량 또는 선박(41)의 블록도가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러한 선박 또는 차랑(41)은 이들 상에 위치된 소정의 제1노드(16), 제2노드(18) 또는 UE(4)를 구비할 것이다.
상술한 기술들은 MPTCP 프록시의 아이덴티티가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결정되게 한다. 또한 그러한 기술들은 MPTCP 프록시 기능(3)의 존재의 인식이 필요한 다른 노드들이 MPTCP 프록시 기능의 존재를 인식하게 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들이 단일 노드로 실시되는 것으로 기술되지만, 다른 기능들이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더욱이, 상기의 설명은 UE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있지만, 이동 단말기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에 액세스되는 MPTCP를 이용한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 및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소정 타입의 통신 액세스 네트워크에 그러한 동일한 기술들이 사용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아래의 약어들이 상기의 설명에 사용되었다:
3GPP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AC 액세스 콘트롤러
AP 액세스 포인트
eNB eNodeB
E-UTRAN 진보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GERAN 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HSPA 고속 패캣 액세스
HSS 홈 가입자 서버
IETF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
IMSI 인터넷 모바일 가입자 아이덴티티
IP 인터넷 프로토콜
LAN 근거리 네트워크
LTE 롱 텀 에볼루션
MBF MPTCP 브레이크-아웃 기능
MME 이동성 관리 엔티티
MPTCP 다중경로 TCP
PDN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PGW PDN 게이트웨이
RAN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RNC 무선 네트워크 콘트롤러
SGSN 서빙 GPRS 서포트 노드
SGW 서빙 게이트웨이
TCP 전송 제어 프로토콜
UE 사용자 장비
UTRAN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W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WLAN 무선 LAN

Claims (24)

  1. MPTCP 프록시 기능(3)을 호스팅하는 제1노드(16), 및 제2액세스 네트워크(19)의 제2노드(18)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노드(18)에서:
    어태치먼트 요청(attchment request)을 이동 단말기(4)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501);
    상기 제1노드(16)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응답을 원격 데이터베이스(14; 15)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503); 및
    상기 제2액세스 네트워크(19)에서 상기 MPTCP 프록시 기능(3)으로 MPTCP 데이터를 리다이렉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MPTCP 프록시 기능(3)은 PDN 게이트웨이(8) 및 이동 단말기(4)에 위치되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위치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2노드(18)에서:
    MPTCP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504); 및
    MPTCP 프록시 기능(3)을 통해 적어도 상기 수신된 MPTCP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단계(S1505)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노드(18)로 전송된 데이터가 MPTCP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데이터가 MPTCP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데이터를 목적지로 직접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콘텍스트 데이터베이스(14)이고, 메시지는 MPTCP 프록시 기능(3)을 호스팅하는 제1노드(16)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쿼리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데이터베이스는 홈 가입자 서버(15)를 포함하는 저장 기능인,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노드(18)와 MPTCP 프록시 기능(3)간 터널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널은 적어도 MPTCP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8.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PTCP 프록시 기능(3)과 MPTCP 노드(18a)간 터널을 구축하도록 제2액세스 네트워크(19)의 MPTCP 노드(18a)에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널은 적어도 MPTCP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태치먼트 요청은 이동 단말기(4)가 MPTCP 세션을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MPTCP 어태치먼트 타입 표시자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PTCP 프록시 기능(3)은 제2액세스 네트워크(17)에 위치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액세스 네트워크(19)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진보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 및 고속 패킷 액세스 네트워크 중에서 선택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노드(18)는 액세스 콘트롤러(11), eNodeB(6), 무선 네트워크 콘트롤러, 서빙 GPRS 서포트 노드, 이동성 관리 엔티티 및 서빙 게이트웨이(7) 중에서 선택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PTCP 프록시 기능(3)을 호스팅하는 제1노드(16)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8), 액세스 콘트롤러(11), eNodeB(6), 무선 네트워크 콘트롤러 및 서빙 게이트웨이(7) 중에서 선택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14. MPTCP 프록시 기능(3)을 통해 전송된 통신 네트워크의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액세스 네트워크(17)의 제1노드(16)에서:
    어태치먼트 요청을 이동 단말기(4)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401);
    메시지를 원격 데이터베이스(14; 15)로 전송하는 단계(S1402);
    제1노드(16)가 MPTCP 프록시 기능(3)을 호스트하는 것을 표시하는 응답을 원격 데이터베이스(14; 15)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1403); 및
    제2액세스 네트워크(19)로부터 라우트된 MPTCP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404)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노드(16)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게이트웨이(8), 액세스 콘트롤러(11), eNodeB(6), 무선 네트워크 콘트롤러 및 서빙 게이트웨이(7)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16. 청구항 14 또는 15에 있어서,
    메시지는 MPTCP 프록시 기능(3)을 호스팅하는 제1노드의 아이덴티티를 저장하도록 원격 데이터베이스에 명령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17.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프록시 기능(3)의 아이덴티티를 결정하는 노드(18)로서, 상기 노드(18)는:
    어태치먼트 요청을 이동 단말기(4)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1수신기(20);
    메시지를 원격 데이터베이스(14; 15)로 전송하기 위한 제1전송기(21); 및
    MPTCP 프록시 기능(3)을 호스팅하는 제1노드(16)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응답을 원격 데이터베이스(14; 15)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2수신기(22)를 포함하는, 노드(18).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노드는:
    MPTCP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3수신기(23); 및
    수신된 MPTCP 데이터를 MPTCP 프록시 기능(3)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2전송기(24)를 더 포함하는, 노드(18).
  19. MPTCP 프록시 기능(3)을 통해 전송된 통신 네트워크의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시그널링을 처리하도록 배열된 노드(16)로서, 상기 노드는:
    어태치먼트 요청을 이동 단말기(4)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1수신기(28);
    메시지를 원격 데이터베이스(14; 15)로 전송하기 위한 제1전송기(29);
    상기 노드(16)가 MPTCP 프록시 기능(3)을 호스트하는 것을 표시하는 응답을 원격 데이터베이스(14; 15)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제2수신기(30); 및
    제2액세스 네트워크(19)의 노드(18; 18a)로부터 라우트된 MPTCP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3수신기(32)를 포함하는, 노드(16).
  20. 통신 네트워크에 사용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4)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4)가 다중경로 전송 제어 프로토콜(MPTCP) 세션을 처리할 수 있다는 표시자를 포함하는 어태치하기 위한 제1요청을 제1액세스 네트워크(17)로 전송하기 위한 제1전송기(36); 및
    상기 표시자를 포함하는 어태치하기 위한 제2요청을 제2액세스 네트워크(19)로 전송하기 위한 제2전송기(37)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4).
  21. 노드(16; 18) 상의 프로세서(25; 33)에서 메모리(26; 34)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구동될 때 상기 노드(16; 18)가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27; 35).
  22. 청구항 21에 청구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26; 34) 및 컴퓨터 프로그램(27; 35)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27; 35)은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23. 선박 또는 차량(41)에서 작동하는 청구항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24. 선박 또는 차량(41)에 적용되는 청구항 17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노드.
KR1020157016859A 2012-12-14 2012-12-14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통신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 처리 KR1018205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2/075619 WO2014090335A1 (en) 2012-12-14 2012-12-14 Handling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signall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057A true KR20150089057A (ko) 2015-08-04
KR101820583B1 KR101820583B1 (ko) 2018-01-19

Family

ID=47469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859A KR101820583B1 (ko) 2012-12-14 2012-12-14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통신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 처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98569B2 (ko)
EP (1) EP2932675B1 (ko)
JP (1) JP6301358B2 (ko)
KR (1) KR101820583B1 (ko)
CN (1) CN104854837B (ko)
WO (1) WO20140903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4161A (zh) * 2016-06-30 2019-04-16 网络视觉电信公司 多路径环境中的按服务流划分的mp-gw端口映射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54357A1 (en) * 2013-09-30 2015-04-01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connecting a first host and a second host within at least on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relay module, corresponding relay module
EP3127392A1 (en) * 2014-04-04 2017-02-08 Nokia Technologies OY Access management with multipath transport
WO2016018183A1 (en) * 2014-07-31 2016-02-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outing of mptcp subflows
EP3195683A1 (en) * 2014-08-25 2017-07-26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nnection management
WO2016066210A1 (en) * 2014-10-30 2016-05-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ling of backup path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81481B2 (en) 2014-12-19 2017-06-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obility management of wireless networks based on multipath transfer control protocol
EP3269109B1 (en) 2015-03-12 2019-0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multipath traffic aggregation
GB2539677A (en) * 2015-06-23 2016-12-28 Vodafone Ip Licensing Ltd Multi-path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10602560B2 (en) * 2015-06-26 2020-03-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irst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determining whether a second multi 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connection is to be initiated
FR3038475A1 (fr) * 2015-07-01 2017-01-06 Orange Procede d' optimisation de la charge d' un concentrateur de connexions reseau
JPWO2017017883A1 (ja) * 2015-07-28 2018-05-10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KR102411188B1 (ko) * 2015-11-30 202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혼잡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7129229A1 (en) * 2016-01-26 2017-08-03 Nec Europe Ltd. Method and server for establishing a tcp connection
US9992786B2 (en) 2016-03-31 2018-06-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multipath scheduling
US10193781B2 (en) 2016-04-14 2019-01-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Facilitation of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s
FR3053196A1 (fr) * 2016-06-24 2017-12-29 Orange Procede de communication udp via des chemins multiples entre deux terminaux
CN112995050A (zh) * 2016-11-17 2021-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路径数据传输方法及设备
DE102016225892A1 (de) * 2016-12-21 2018-06-2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aten
GB2563251A (en) 2017-06-07 2018-12-12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Terminal device, data processing apparatuses and methods
CN109218186B (zh) * 2017-07-05 2021-02-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路径数据传输处理方法及网络设备
CN110915290B (zh) * 2017-07-07 2023-09-01 诺基亚通信公司 支持多供应方4g/5g网络的多空中接口聚合
BR112020000662A2 (pt) * 2017-07-10 2020-07-14 Motorola Mobility Llc conexão de dados de acesso múltiplo em uma rede móvel
CN108540519B (zh) * 2018-01-29 2021-05-25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均衡下载控制方法和装置
CN110120932B (zh) * 2018-02-06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多路径建立方法及装置
US11316871B2 (en) 2018-02-08 2022-04-26 Cisco Technology, Inc. Encrypted traffic analytics over a multi-path TCP connection
CN112005533B (zh) * 2018-02-22 2023-11-07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代理多路径协议连接的方法和设备
US10979355B2 (en) 2018-04-02 2021-04-13 Apple Inc.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proxy use in a cellular network
US11191121B2 (en) * 2018-07-23 2021-11-30 Parallel Wireless, Inc. Multipath TCP with mesh access
CN109144032B (zh) * 2018-09-05 2021-02-05 中国铁路昆明局集团有限公司昆明车辆段 客车网络控制部件通信试验装置
CN110650089B (zh) * 2019-10-24 2020-06-30 北京大学 一种支持多路聚合通信的中间设备
US20230112305A1 (en) * 2021-10-08 2023-04-1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Diverse pathway integr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8399A1 (en) 2006-10-18 2008-06-19 Microsoft Corporation Protection against stack buffer overrun exploitation
US9455897B2 (en) * 2010-04-06 2016-09-27 Qualcomm Incorporated Cooperative bandwidth aggregation using multipath transport
CN101925125B (zh) * 2010-04-23 2013-01-30 清华大学 一种与移动ip结合的具有移动性的多路径tcp的方法
US8566944B2 (en) 2010-04-27 2013-10-22 Microsoft Corporation Malware investigation by analyzing computer memory
US20120144062A1 (en) 2010-06-04 2012-06-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PTCP And Mobile IP Interworking
US8400923B2 (en) * 2010-10-15 2013-03-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path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proxy
EP2495927B1 (en) 2011-03-02 2014-10-08 Alcatel Lucent Concep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data packet association and for forwarding a data packet
US20130007286A1 (en) * 2011-06-29 2013-01-03 Juniper Networks, Inc. User session routing between mobile network gateways
WO2014087042A1 (en) * 2012-12-07 2014-06-12 Nokia Corporation Packet measurements and reporting in wireless networ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4161A (zh) * 2016-06-30 2019-04-16 网络视觉电信公司 多路径环境中的按服务流划分的mp-gw端口映射方法及系统
CN109644161B (zh) * 2016-06-30 2021-08-13 网络视觉电信公司 多路径环境中的按服务流划分的mp-gw端口映射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01358B2 (ja) 2018-03-28
KR101820583B1 (ko) 2018-01-19
EP2932675B1 (en) 2017-11-01
WO2014090335A1 (en) 2014-06-19
US9998569B2 (en) 2018-06-12
EP2932675A1 (en) 2015-10-21
JP2016508308A (ja) 2016-03-17
US20150312383A1 (en) 2015-10-29
CN104854837B (zh) 2017-10-20
CN104854837A (zh)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583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다중경로 통신 제어 프로토콜 시그널링 처리
EP2250827B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route optimisation
EP2286615B1 (en) Data forwarding during handover in a self-backhauled cell
JP5795440B2 (ja) 4g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のipフローモビリティの方法および装置
EP2201799B1 (en) Session continuation for the handover of a local breakout service from a local internet protocol gateway
US10554793B2 (en) Routing of MPTCP subflows
WO2014077352A1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と方法と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EP2919528B1 (en) Mobile network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7211331B (zh) 用于在通信系统中配置断开连接的tcp连接的方法和装置、切换支持方法及其装置
JP2013502121A (ja) (e)NodeBに対するローカルIP接続性をサポート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488312B1 (ko) 이동 관리 시스템, 이동 관리 방법, 액세스 gw 장치, 이동 관리 제어 장치, 및 컴퓨터 가독 매체
KR101588241B1 (ko) 통신 시스템 및 경로 제어 방법
WO2017000866A1 (zh) 一种节点间数据传输的方法、网关节点及节点
EP3214805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ling
CN109561452B (zh) 数据交互的方法和装置
EP3110187A1 (en) Method for selecting shunt gateway and controller
EP3142414B1 (en) Service path changing method and device
CN104125608A (zh) 一种网络控制分流的方法和系统及其网络设备
JP5655018B2 (ja) ハンドオーバ処理システム、及びゲートウェイルータ
JP2011509611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ルートを最適化するためのテクニック
EP3454588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messages
KR20150123678A (ko) 분산 이동성 관리를 통한 cdn 서비스 시스템 및 제공방법
CN114071606B (zh) 一种切换方法、装置及控制设备
CN106233759A (zh) 互联网协议报文的转发方法、移动网关和无线网络控制器
EP3895475A1 (en) Managing radio bearer traffic between radio network n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