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8536A -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 Google Patents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8536A
KR20150088536A KR1020140008984A KR20140008984A KR20150088536A KR 20150088536 A KR20150088536 A KR 20150088536A KR 1020140008984 A KR1020140008984 A KR 1020140008984A KR 20140008984 A KR20140008984 A KR 20140008984A KR 20150088536 A KR20150088536 A KR 20150088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valve
current
spring
jig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8719B1 (ko
Inventor
구창모
Original Assignee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8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71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8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9/00Testing; Calibrating; Fault detection or monitor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fluid-pressure system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는: 상기 스풀밸브를 수용하고 고정하는 지그와, 상기 지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밸브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기와, 상기 지그에 설치되어 상기 전류 공급기를 통하여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게이지와, 상기 게이지를 통하여 상기 스프링의 이동 거리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전류 공급기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APPARATUS FOR OPERABILITY OF THE SPOOL VALV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풀밸브에 설치된 스프링의 작동성을 테스트하여 스풀밸브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풀밸브(Spool Valve)는 자동변속기 내 밸브 바디(Valve Body)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의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밸브 바디는 자동 변속기에서 유압 제어를 위해 유로(油路)를 전환하거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밸브가 내장된 유압 제어 장치의 본체를 말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가 올라가 밸브가 열리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랜지 무게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밸브가 닫히는 전자 밸브의 일종이다.
이러한 스풀밸브는, 전류 제어 따른 유압 거동 변화로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55544호(1999.06.03. 등록, 고안의 명칭: 유압제어용 스풀밸브)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에는 스풀밸브의 작동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스풀밸브를 밸브 바디 또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조립된 상태로 유압 시험기에 장착한 후, 전류 제어에 따른유압 거동을 통하여 간접 확인하고 있었다.
그러나, 스풀밸브에 이상 발생시 정확한 원인 파악까지는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스풀밸브의 조도, 동심도 등의 특성이 유압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하여 정량적인 데이터로 분석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밸브의 작동성 및 스풀밸브의 거동을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는: 상기 스풀밸브를 수용하고 고정하는 지그와, 상기 지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밸브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기와, 상기 지그에 설치되어 상기 전류 공급기를 통하여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게이지와, 상기 게이지를 통하여 상기 스프링의 이동 거리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전류 공급기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방법은: 스프링이 구비된 스풀밸브를 지그에 고정하는 스풀밸브 지그 장착 단계와, 상기 스프링에 일정 범위의 전류를 인가하는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와, 상기 스프링의 이동 거리를 계측한 게이지의 값을 측정하는 계측 단계와, 상기 게이지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스풀밸브의 성능을 분석하는 결과 분석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는, 상기 스풀밸브에 일정 전류를 일정 시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는, 상기 스풀밸브에 공급하는 전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스텝 업 테스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는, 상기 스풀밸브에 공급하는 전류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스텝 다운 테스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은 다양한 스풀밸브의 샘플을 단시간에 성능 평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스풀밸브 개발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풀밸브의 이상 작동 발생시 해당 스풀밸브의 단품에 대한 원인 조사 시험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의 일정 전류 공급하는 테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의 스텝 업 테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의 스텝 다운 테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는, 스풀밸브(10), 지그(20), 게이지(30), 제어장치(40), 및 전류 공급기(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풀밸브(10)는 작동성을 시험하고자 하는 단품으로서, 일측에 스프링(11)이 설치된다.
지그(20)는 스풀밸브(10)를 수용할 수 있는 일정 크기의 몸체로서, 수용된 스풀밸브(1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고정 수단이 구비된다.
지그(20)의 일측에는 스풀밸브(1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기(50)가 설치되고, 지그(20)의 타측에는 스풀밸브(10)의 스프링(11)이 이동한 거리(압축된 거리)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 및/또는 분석하는 제어장치(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어장치(40)는 PC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40)는 상기 전류 공급기에 연결되어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어장치(40)는 게이지(30)를 통하여 스프링(11)의 이동 거리 데이터를 획득하고, 전류 공급기(50)에서 스풀밸브(10)에 공급하는 전류량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일측', '타측'은 방향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측은 지그(20)의 좌측을, 타측은 지그(20)의 우측을 나타낸다.
게이지(30)는 지그(20)의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스풀밸브(10)의 스프링(11)에 전류가 인가되어, 스프링(11)이 측정 기준점(A)을 기준으로 이동한 거리(압축된 거리)를 측정하는 계측장치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방법을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방법은, 스풀밸브 지그 장착 단계(S101),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S102), 계측 단계(S103), 및 결과 분석 단계(S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풀밸브 지그 장착 단계(S101)는, 스프링(11)이 구비된 스풀밸브(10)를 지그(20)에 고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지그(20)는 다양한 스풀밸브(10)을 각각 수용하고 고정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가용 전류 제어 범위 제어 단계(S102)는, 전류 공급기(50)에 의하여 스풀밸브(10)에 전류가 공급되고, 스프링(11)에 일정 범위의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일정 범위의 전류가 인가된 스프링(11)은 측정 기준점(A)을 기준으로 일정 거리 압축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가용 전류 제어 범위 제어 단계(S102)에 대해서, 전류 공급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계측 단계(S103)는, 스프링(11)의 이동 거리(압축 거리)를 게이지(30)를 통하여 계측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게이지(30)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 방식으로 스프링(11)의 이동 거리를 외부에 나타내는 것이다.
또는, 게이지(30)는 제어장치(40)에 스프링(11)의 이동 거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결과 분석 단계(S104)는, 게이지(30)로부터 얻은 스프링(11)의 이동 거리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스풀밸브(10)의 성능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결과 분석 단계(S104)는 제어장치(40)의 PC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스풀밸브의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즉, 스프링(11)의 이동 거리(압축 거리)가 설정된 범위 이상 또는 미만으로 이동하게 되면, 분석자는 해당 스풀밸브(10)가 이상 상태임을 감지하고 원인 파악 등을 하기 위하여 정밀 분석하게 된다.
다음으로,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S102)의 다양한 실시예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의 일정 전류 공급하는 테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의 스텝 업 테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의 스텝 다운 테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S102)의 일 실시예는, 스풀밸브(10)에 일정 전류(I)를 일정 시간(t) 동안 공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S102)의 다른 실시예는, 스풀밸브(10)에 공급하는 전류(I)를 균등 시간(t) 간격을 두고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스텝 업 테스트(Step-Up Test)를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S102)의 또 다른 실시예는, 스풀밸브(10)에 공급하는 전류(I)를 균등 시간(t) 간격을 두고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스텝 다운 테스트(Step-Down Test)를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스풀밸브의 샘플을 단시간에 성능 평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스풀밸브 개발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스풀밸브(Spool Valve) 11: 스프링
20: 지그 30: 게이지(Gauge)
40: 제어장치 50: 전류 공급기
A: 측정 기준점 I: 전류
t: 시간

Claims (5)

  1. 스프링이 구비된 스풀밸브;
    상기 스풀밸브를 수용하고 고정하는 지그;
    상기 지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밸브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기;
    상기 지그에 설치되어 상기 전류 공급기를 통하여 인가된 전류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의 이동 거리를 계측하는 게이지; 및
    상기 게이지를 통하여 상기 스프링의 이동 거리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전류 공급기의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2. 스프링이 구비된 스풀밸브를 지그에 고정하는 스풀밸브 지그 장착 단계;
    상기 스프링에 일정 범위의 전류를 인가하는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
    상기 스프링의 이동 거리를 계측한 게이지의 값을 측정하는 계측 단계; 및
    상기 게이지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스풀밸브의 성능을 분석하는 결과 분석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는,
    상기 스풀밸브에 일정 전류를 일정 시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는,
    상기 스풀밸브에 공급하는 전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스텝 업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 전류 범위 제어 단계는,
    상기 스풀밸브에 공급하는 전류를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는 스텝 다운 테스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방법.
KR1020140008984A 2014-01-24 2014-01-24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KR101628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984A KR101628719B1 (ko) 2014-01-24 2014-01-24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8984A KR101628719B1 (ko) 2014-01-24 2014-01-24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536A true KR20150088536A (ko) 2015-08-03
KR101628719B1 KR101628719B1 (ko) 2016-06-09

Family

ID=53872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8984A KR101628719B1 (ko) 2014-01-24 2014-01-24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71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4667A (ja) * 1993-10-27 1995-07-14 Unisia Jecs Corp バルブの作動確認装置
KR20030020535A (ko) * 2001-09-01 2003-03-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유공압 솔레노이드밸브 성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34788A (ko) * 2003-10-10 2005-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지알 밸브의 성능시험장치
JP2008002847A (ja) * 2006-06-20 2008-01-10 Toyota Motor Corp 車載機器試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4667A (ja) * 1993-10-27 1995-07-14 Unisia Jecs Corp バルブの作動確認装置
KR20030020535A (ko) * 2001-09-01 2003-03-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유공압 솔레노이드밸브 성능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34788A (ko) * 2003-10-10 2005-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지알 밸브의 성능시험장치
JP2008002847A (ja) * 2006-06-20 2008-01-10 Toyota Motor Corp 車載機器試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719B1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88001B (zh) 用于阀特征测试的设备和方法
KR101527315B1 (ko) 공기구동기의 스프링 성능 시험 장치
CN102155470B (zh) 一种液压阀的自动检测调试系统及方法
RU2678242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диагностирования поле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RU2014151219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и/или наблюдения за пневматическим приводом
WO2006135905A3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firmware verification on a wireless device
US20200355295A1 (en) Valve-diagnostic system and device
MX2013006112A (es) Prueba automatica de integridad del asiento de una valvula.
CN104236923B (zh) 汽车制动部件多功能耐久性检测装置
US9140675B2 (en) Test system
CN108351640A (zh) 阀门监视
KR101282600B1 (ko) 원자력발전소의 안전밸브 밸브성능 시험장치용 제어밸브 개폐장치
CN112393896A (zh) 调节阀气缸弹簧状态确定方法、终端、介质及阀门定位器
CN116678611B (zh) 一种阀门分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628719B1 (ko) 스풀밸브 작동성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CN105651469B (zh) 比例阀自动泄漏测试方法
CN105785263A (zh) 检测压力开关切换值的方法及装置
CN105091923A (zh) 用于操作测量点的方法
KR101381461B1 (ko) 압축기용 전자제어밸브 기동압력 측정장치
JP2013118185A (ja) 電磁接触器の温度の評価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接触器
EP4028741A4 (en) TEST UNIT AND METHOD FOR TESTING AN INLET-OUTLET VALVE
EP2485030A1 (en) Device for detetcting gas leaks, particualrly for joints of pipes and the like
KR101614303B1 (ko) 가스 레귤레이터 성능시험 장치, 이를 이용한 히스테리시스, 유량변화 응답 및 설정 값 안정성 시험방법
KR20160137784A (ko) 피코 암페어 미터 신뢰성 평가 장치 및 평가 방법
US202102227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ecuting Online Tests of Valve Seating Integrity for Control Va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