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109A - 가스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109A
KR20150087109A KR1020150002620A KR20150002620A KR20150087109A KR 20150087109 A KR20150087109 A KR 20150087109A KR 1020150002620 A KR1020150002620 A KR 1020150002620A KR 20150002620 A KR20150002620 A KR 20150002620A KR 20150087109 A KR20150087109 A KR 20150087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ipe
unit
charg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0590B1 (ko
Inventor
아츠시 타카세
키요시 키무라
마사토시 도이
타쿠 카미코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Publication of KR2015008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2Hyd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07Single phase
    • F17C2223/0123Single phase gaseous, e.g. CNG, GN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6Very high pressure (>80 b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07Single phase
    • F17C2225/0123Single phase gaseous, e.g. CNG, GN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3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5/036Very high pressure, i.e. above 80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37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 F17C2227/0341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cooling using anoth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67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 F17C2227/0388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 F17C2227/039Localisation of heat exchange separate on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50/00Accessories; Control means;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of parameters
    • F17C2250/04Indicating or measuring of parameters as input values
    • F17C2250/0404Parameters indicated or measured
    • F17C2250/0443Flow or movement of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2Improving properties related to fluid or fluid transfer
    • F17C2260/023Avoiding over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4Reducing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
    • F17C2260/042Reducing risk of explo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6Fluid distribution
    • F17C2265/065Fluid distribution for refueling vehicle fuel ta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65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the road
    • F17C2270/0184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현장에서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가스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가스 충전장치(2)는 가스반송관(31)을 통하여 가스를 반송하는 충전기구와, 충전기구로부터 도입되는 가스반송관(31)을 냉각하는 가스관로냉각부(11)를 갖는 본체 유닛(10)과, 가스관로냉각부(11)로부터 도출된 가스반송관(32)에 접속되는 충전 호스(21)와, 충전 호스(21)의 선단에 설치된 충전 노즐(22)을 갖는 호스 유닛(20)을 구비하며, 가스반송관(31,32)을 가스관로냉각부(11)에 연결하는 관로연결수단을 구비한다. 관로연결수단은 본체 유닛(10)에 설치되어 가스관로냉각부(11)의 이동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홈(41a)을 갖는 상부 레일 유닛(41)과, 본체 유닛(10)에 설치되어 가이드홈(41a)에 평행한 레일(42a)을 갖는 하부 레일 유닛(42)과, 가스관로냉각부(11)가 재치되어 레일(42a)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34)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스 충전장치{Gas 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CNG, 수소 가스 등을 연료로 하는 CNG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수소 자동차 등의 차량의 연료 탱크에 가스를 충전하는 가스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차량으로서, CNG(Compressed Natural Gas), 수소 등의 가스 연료를 이용한 CNG 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 수소 자동차 등의 개발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이처럼 가스 연료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차량의 보급을 촉진하는 것에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연료탱크에 안정하면서도 효율 좋게 가스 연료를 충전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여기서, 본 출원인은 차량에 탑재된 연료탱크에 효율적으로 가스 연료를 충전하기 위한 가스 충전장치를 제안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일반적으로 수소 가스 자동차 등에는 가스를 연료 탱크에 고압으로 충전하는 것이 요구되어 가스를 연료 탱크에 충전할 때에는 단열압축에 의한 온도 상승이 일어난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충전장치에서는 축압기에서 공급된 가스를 반송하는 가스 반송관을 냉매냉각장치에서 공급된 냉매에 의해 냉각되어 냉각된 가스를 연료탱크에 충전한다. 이에 의해, 가스를 차량 연료 탱크에 충전할 때의 가스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1] 특원2012-265125호
그런데, 충전시설에 가스 충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특히 본체 유닛 내에 설치공간을 힘껏 눌러서(極力抑えて) 200kg 정도의 가스관로 냉각부를 수납한 경우에는 여러 명이 가스관로 냉각부를 이동시켜 배관의 접속을 행할 필요가 있다.
배관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접속하는 배관이 1차측배관과 2차측배관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배관을 정확하게 가스배관 냉각부에 접속할 필요가 있어 배관의 메탈 시일(metal seal)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연결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접속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가 필요하게 된다. 이때, 접속부에 대한 손상이 발생하면, 수소 가스가 누출되어 폭발 등의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현장에서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가스 충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의 공급원으로부터 가스의 유량을 계측하면서 제1 가스반송관을 통하여 상기 가스를 반송하는 충전기구와, 그 충전기구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제1 가스반송관을 냉각하는 가스관로 냉각부를 구비하는 본체 유닛과, 상기 가스관로 냉각부로부터 도출되는 제2 가스반송관에 접속되는 충전 호스와, 그 충전 호스의 선단에 설치된 충전 노즐을 마련하는 호스 유닛을 구비하는 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스반송관을 상기 가스관로 냉각부에 연결하는 관로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관로연결수단에 의해 제1 및 제2 가스반송관과 가스관로 냉각부를 연결하기 위하여 가스반송관과 가스관로 냉각부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체 유닛과 가스관로 냉각부를 개별로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콤팩트하면서 운반에 관한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로연결수단을 상기 본체 유닛의 프레임에 설치하여 상기 가스관로 냉각부의 이동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상부 레일 유닛과, 상기 본체 유닛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평행한 레일을 구비하는 하부 레일 유닛과, 상기 가스관로 냉각부가 탑재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가스관로 냉각부를 용이하게 이동하여 본체 유닛 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를 상기 레일 위를 이동하는 복수의 차바퀴와, 그 차바퀴의 이동방향에 위치하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바퀴의 상기 레일로부터 바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탈륜방지 가이드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를 상기 레일 위를 이동하는 복수의 차바퀴와, 그 차바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바퀴의 상기 레일로부터 바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앵커 브라켓으로 구성하며, 상기 레일을 상기 차바퀴가 들어가도록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반송관에 가스를 차단하는 차단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제1 가스반송관에 차단밸브를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탈압시의 대기에 방출하는 가스를 보다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반송관의 주위에 제2 가스반송관을 흐르는 가스의 온도를 유지하는 단열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가스관로 냉각부에서 냉각된 가스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로 가스를 차량의 연료탱크에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여, 연료탱크 내에서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현장에서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충전장치를 적용가능한 가스 충전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충전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전체구성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부의 가스관로 냉각부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며,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이다.
도 4는 가스관로 냉각부와 냉매반송관과의 접속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충전부의 가스관로 냉각부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스 충전장치가 수소 가스 충전장치이며, 수소 가스 자동차에 수소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스 충전장치를 적용가능한 가스 충전시스템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가스 충전시스템(1)은 트럭(6)에 적재된 차체(7)에 충전된 수소 가스 등의 연료 가스(F)를 압축기(4), 축압기(5) 및 가스 충전장치(2)를 통하여 냉각하면서 차량에 탑재된 연료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충전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한, 차체(7)에 충전된 연료 가스(F)는 축압기(5)를 통하지 않고 압축기(4)로부터 직접 가스 충전장치(2)에 공급되는 경우도 있다.
또, 이 가스 충전시스템(1)에는 집중제어판(8)이 설치되며, 집중제어판(8)은 각부에 설치된 온도 센서(61, 62)나 압력 센서(63), 가스 검지기(64~66), 화재검지기(67) 등으로부터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스 충전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가스 충전장치(2)는 본체 유닛(10)과, 호스 유닛(20)으로 되며, 본체 유닛(10)에는 냉매반송관(9A, 9B)을 통하여 냉매냉각장치(3)가 접속된다.
본체 유닛(10)은 수소 가스 공급원으로서의 축압기(5)로부터 수소 가스(이하 "가스"라고 한다)의 유량을 계측하면서 가스를 반송하는 충전기구 및 가스반송관(31)을 냉각하는 가스관로 냉각부(11)를 구비하는 충전부(10a)와, 충전부(10a)의 천정부 등에 재치되어 가스의 충전량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0b)로 구성된다.
충전부(10a)는 가스관로 냉각부(11), 가스반송관(31,32)을 흐르는 축압기(5)로부터의 가스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절밸브(12), 가스를 차단하는 차단밸브(13), 가스의 충전종료 후에 가스반송관(32) 내의 압력을 낮추기 위한 압력배출밸브(14), 가스 유량을 계측하는 유량계(15) 등을 구비한다.
가스관로 냉각부(11)는 냉매냉각장치(3)로부터 냉매반송관(9A, 8B)을 통하여 공급된 냉매에 의해 가스반송관(31)을 흐르는 가스를 냉각한다. 냉매로서는 액체질소, 프레온 가스, 이산화탄소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냉매를 냉매냉각장치(3)에서 냉각하여 순환사용한다.
또, 가스관로 냉각부(11)의 저면에는 가스관로 냉각부(11)를 이동가능하며, 가스관로 냉각부(11)를 가스반송관(31,32)과 연결하기 위한 관로연결수단으로서의 이동부(34)가 설치되며, 가스관로 냉각부(11)와 이동부(34)와의 사이에 단열재(35)가 설치된다. 또한, 이동부(34)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가스반송관(32)은 차단밸브(13)보다 하류 측(후술하는 충전 호스(21)가 접속되는 측)에 있어서, 가스반송관(32A,32B)으로 분기된다. 가스반송관(32A)은 가스관로 냉각부(11)에서 냉각된 가스를 수소 가스 자동차(이하 "자동차"라고 한다)의 연료 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다. 가스반송관(32B)은 가스의 충전종료 후에 가스반송관(32A)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배관이며, 압력배출밸브(14)가 설치된다.
압력배출밸브(14)는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의 가스 충전종료 후에 가스반송관(32) 내의 압력을 낮추기 위한 밸브이며, 후술하는 탈압스위치(29)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개폐한다. 압력배출밸브(14)가 열리면, 가스반송관(32A) 내의 가스가 가스반송관(32B)을 통하여 방산관(방출 및 확산관)에 방출되어 가스반송관(32A) 내의 압력이 저하한다.
표시부(10b)는 가스반송관(32,32)을 흐르는 가스 유량(후술하는 충전 노즐(22)로부터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의 가스 공급량) 등을 표시하는 표시기(16)와, 가스 누출을 검지하는 가스검지기(17)와, 가스검지기(17)에서 가스 누출을 검지한 때에 경고를 시작하는 경보기(18)와,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9)를 구비한다.
제어장치(19)에는 각종 조작 스위치가 접속됨과 동시에 충전 노즐(22)의 노즐걸이(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된 노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ON/OFF신호나, 유량계(도시하지 않음)의 펄스신호기로부터의 신호, 각종 계측기로부터의 신호가 각각 입력되며, 유량조정밸브(12)~압력배출밸브(14) 등에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호스 유닛(20)은 충전부(10a) 내의 가스반송관(32)의 출구배관(충전기구의 가스출구배관)에 접속되는 충전 호스(21)와, 충전 호스(21)의 선단에 구비되는 충전 노즐(22)과, 축압기(5)로부터 가스반송관(31)(32)의 각각의 내부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계(23)(24)와, 가스 누출을 검지하는 가스검지기(25)와, 충전 호스(21)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계(26)와, 자동차에의 가스 공급을 개시하는 스타트 스위치(27)와, 가스의 공급을 정지하는 정지스위치(28)와, 가스반송관(32A) 내의 압력을 저하시키는 탈압스위치(29)와, 스톱밸브(元弁)(30) 등을 구비한다.
가스반송관(32)의 주위에는 가스관로냉각부(11)에서 냉각된 가스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공급하며, 연료 탱크 내에서의 가스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부재(33)가 설치된다. 단열부재(33)로서는 예를 들면 단열 효과를 갖는 부재를 사용하고, 이 단열부재(33)를 가스반송관(32)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붙여도 좋다. 또 예를 들면 냉매냉각장치(3)로부터 냉매반송관(9A)(9b)을 통해 가스관로냉각부(11)에 공급된 냉매를 가스반송관(32)의 주위에 순환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충전부(10a)에 있어서 가스관로냉각부(11)의 주변 구조를 나타내며, 충전부(10a)의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 레일 유닛(41) 및 하부 레일 유닛(42)이 설치된다. 또한, 이 상부 레일 유닛(41), 하부 레일 유닛(42) 및 후술하는 이동부(34)에 의해 관로연결수단이 구성된다.
상부 레일 유닛(41)에는 가스관로냉각부(11)의 이동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홈(42a)이 수평방향(도 3의 정면에서 볼 때 좌우방향)으로 설치된다. 하부 레일 유닛(42)에는 상부 레일 유닛(41)의 가이드홈(41a)과 평행으로 레일(42a)이 설치된다.
한편, 가스관로냉각부(11)는 이동부(34)에 재치된다. 이동부(34)의 하부에는 하부 레일 유닛(42)의 레일(42a) 위를 이동가능하도록 복수의 차바퀴(43)가설치되며, 차바퀴(43)의 이동방향에 위치하는 측면에는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이동시킬 때에 차바퀴(43)가 레일(42a)로부터 탈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륜방지 가이드(44)가 설치된다.
탈륜방지 가이드(44)에는 이동부(34)를 하부 레일 유닛(4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볼트구멍(44a)이 설치되며,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이동시켜 위치가 결정된 후, 이 고정용 볼트구멍(44a)에 볼트를 삽통하여 체결하는 것에 의해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가스관로냉각부(11)의 상부에는 복수의 이동용 볼트(45)가 설치되며, 이 이동용 볼트(45)가 상부 레일 유닛(41)의 가이드홈(41a)에 삽통된다.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이동시켜 위치가 결정된 후, 이동용 볼트(45)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부(34)의 차바퀴(43)가 하부 레일 유닛(42)의 레일(42a)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이동용 볼트(45)가 상부 레일 유닛(41)의 가이드홈(41a)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스관로냉각부(11)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가스관로냉각부(11)에는 도 4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가스반송관(31)(32)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구(11a)가 설치된다. 가스관로냉각부(11)와 가스반송관(31)(32)과의 접속에는 고압 하에서도 배관 내의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접속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콘(cone) 및 나사(thread) 접속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가스관로냉각부(11)와 가스반송관(31)(32)을 접속하는 경우에는 차바퀴(43)를 이용하여 가스관로냉각부(11)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갖는 가스 충전장치(2)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동차에 가스를 충전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차에 가스를 공급하는 경우, 사용자가 충전 노즐(22)을 노즐걸이에서 빼어 자동차의 연료 탱크의 충전구에 삽입하여 스타트 스위치(27)를 누르면, 노즐걸이에 설치된 노즐 스위치에서 ON 신호가 제어장치(19)에 입력되어 제어장치(19)는 표시기(16)에 표시된 전회의 충전량을 0으로 복귀시키고 차단밸브(13)를 연다.
다음으로, 축압기(5)로부터 고압 가스는 가스반송관(31), 유량계(15), 유량조정밸브(12), 가스관로냉각부(11), 가스반송관(32), 차단밸브(13), 충전 호스(21)를 통해 충전 노즐(22)로부터 자동차의 연료 탱크에 충전된다. 이때, 제어장치(19)는 유량계(15)로부터의 유량신호를 계수 연산하여 표시기(16)에 충전량을 표시한다.
자동차에의 충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정지 스위치(28)를 누른다. 정지 스위치(28)가 눌려지면, 노즐 스위치로부터 제어장치(19)에 OFF 신호가 입력되어 제어장치(19)는 유량조정밸브(12) 및 차단밸브(13)를 닫는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탈압 스위치(29)를 누르면, 탈압 스위치(29)로부터 탈압 신호가 제어장치(19)에 입력되고, 제어장치(19)는 압력배출밸브(14)를 연다. 압력배출밸브(14)가 열리면, 차단밸브(13)의 하류측(차단밸브(13)에서 충전 호스(21)의 사이)의 가스반송관(32A) 내의 가스가 방산관(방출 및 확산관)으로 방출된다. 가스반송관(32A) 내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등하게 되고 압력계(24)로부터의 압력 신호가 대기압을 나타내는 상태가 되면, 제어장치(19)는 압력배출밸브(14)를 닫는다.
그리고, 사용자는 압력계(24)에 의해 가스반송관(32A) 내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등한 것을 확인하면, 충전 노즐(22)을 노즐걸이에 걸고, 표시기(16)에 표시된 충전량에 기초하여 정산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탈압이 종료된 것을 경보기(18)를 사용하여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통지하여도 좋다. 또 예를 들면, 탈압이 종료한 것을 표시기(16)에 표시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가스 충전장치(2) 내에 가스관로냉각부(11)를 설치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스 충전장치(2) 내에 가스관로냉각부(11)를 설치하는 경우, 먼저 작업자는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이동부(34)에 설치된 차바퀴(43)가 하부 레일 유닛(42)의 레일(42a) 위에 되도록 재치시킨다.
다음으로, 차바퀴(43)를 사용하여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이동시켜 고정 위치를 이동한 후, 탈륜방지 가이드(44)의 고정용 볼트구멍(44a)을 통하여 볼트를 체결함과 동시에 이동용 볼트(45)를 체결하여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고정한다. 이 경우, 가스반송관(31)(32)은 가스관로냉각부(11)에 설치된 접속구(11a)에 끼워져 접속된다. 그리고, 접속구(11a)에 접속된 가스반송관(31)(32)을 가스관로냉각부(11)에 접속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가스 충전장치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가스관로냉각부(11)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다르다. 도 5는 충전부(10a)에 있어서 가스관로냉각부(11)의 주변 구조를 나타내며, 충전부(10a)의 프레임 상부 및 하부에는 제1 실시예와 같이 상부 레일 유닛(51) 및 하부 레일 유닛(52)이 설치된다. 또한, 이 상부 레일 유닛(51), 하부 레일 유닛(52) 및 후술하는 이동부(34)에 의해 관로연결수단이 구성된다.
상부 레일 유닛(51)에는 가스관로냉각부(11)의 이동방향을 규제하기 위한 가이드홈(51a)이 수평방향(도 5의 정면에서 볼 때 좌우방향)에 설치된다. 하부 레일 유닛(52)에는 상부 레일 유닛(51)의 가이드홈(51a)과 평행으로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된 레일(52a)이 설치된다.
한편, 가스관로냉각부(11)는 이동부(34)에 재치된다. 이동부(34)의 하부에는 하부 레일 유닛(52)의 레일(52a) 위를 이동가능하도록 복수의 차바퀴(53)가 설치된다.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는 하부 레일 유닛(52)의 레일(52a)의 오목부에 차바퀴(53)가 들어가도록 재치된다.
또, 이동부(34)에 있어서 차바퀴(53)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에 위치하는 측면에는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이동시키면서 차바퀴(53)가 레일(52a)로부터 탈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앵커 브라켓(54)이 설치된다.
앵커 브라켓(54)에는 이동부(34)를 하부 레일 유닛(5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볼트구멍(54a)이 설치되며,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이동시켜 위치가 결정된 후, 이 고정용 볼트구멍(54a)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하는 것에 의해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가스관로냉각부(11)의 상부에는 복수의 이동용 볼트(55)가 설치되며, 이 이동용 볼트(55)가 상부 레일 유닛(51)의 가이드홈(51a)에 끼워져 가이드 된다.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이동시켜 위치가 결정된 후, 이동용 볼트(55)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가스관로냉각부(11) 및 이동부(34)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동부(34)의 차바퀴(53)가 하부 레일 유닛(52)의 레일(52a)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이동용 볼트(55)가 상부 레일 유닛(51)의 가이드홈(51a)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스관로냉각부(11)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스관로냉각부를 차바퀴가 설치된 이동부에 재치하여 이 차바퀴를 이용하여 가스관로냉각부를 하부 레일 유닛의 레일 위를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가스관로냉각부와 가스반송관을 확실하게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가스 충전장치의 조립공정을 간소화하여 현장에서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스 충전장치의 일면에 충전 라인을 설치하여 충전 라인을 1계통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든 설명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가스 충전장치의 양면에 충전 라인을 설치하여 2계통으로 하여 전후면의 충전 구역에서 동시에 충전을 가능하게 해도 좋다.
1 : 가스 충전시스템 2 : 가스 충전장치
3 : 냉매 냉각장치 4 : 압축기
5 : 축압기 6 : 트럭
7 : 차체 8 : 집중제어판
9(9A,9B) : 냉매반송관 10 : 본체 유닛
10a : 충전부 10b : 표시부
11 : 가스관로냉각부 11a : 접속구
12 : 유량조정밸브 13 : 차단밸브
14 : 압력배출밸브 15 : 유량계
16 : 표시기 17 : 가스검지기
18 : 경보기 19 : 제어장치
20 : 호스 유닛 21 : 충전 호스
22 : 충전 노즐 23,24 : 압력계
25 : 가스검지기 26 : 온도계
27 : 스타트 스위치 28 : 정지 스위치
29 : 탈압 스위치 30 : 스톱 밸브(元弁)
31,32(32A, 32B) : 가스반송관 33 : 단열부재
34 :이동부 35 : 단열재
41,51 : 상부 레일 유닛 41a,51a : 가이드홈
42,52 : 하부 레일 유닛 42a,52a : 레일
43,53 : 차바퀴 44 : 탈륜방지 가이드
44a,54a : 고정용 볼트구멍 45,55 : 이동용 볼트
54 : 앵커 브라켓 61,62 : 온도 센서
63 : 압력 센서 64,65,66 : 가스검지기
67 : 화재검지기

Claims (6)

  1. 가스의 공급원으로부터의 유량을 계측하면서 제1 가스반송관을 통하여 상기 가스를 반송하는 충전기구와, 그 충전기구로부터 도입되는 상기 제1 가스반송관을 냉각하는 가스관로냉각부를 갖는 본체 유닛과,
    상기 가스관로냉각부로부터 도출된 제2 가스반송관에 접속되는 충전 호스와, 그 충전 호스의 선단에 설치된 충전 노즐을 갖는 호스 유닛을 구비하는 가스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스반송관을 상기 가스관로냉각부에 연결하는 관로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연결수단은,
    상기 본체 유닛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관로냉각부의 이동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홈을 갖는 상부 레일 유닛과,
    상기 본체 유닛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평행한 레일을 갖는 하부 레일 유닛과,
    상기 가스관로냉각부가 재치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 위를 이동하는 복수의 차바퀴와,
    그 차바퀴의 이동방향에 위치하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바퀴의 상기 레일로부터의 탈륜을 방지하는 탈륜방지 가이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 위를 이동하는 복수의 차바퀴와,
    그 차바퀴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에 위치하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바퀴의 상기 레일로부터의 탈륜을 방지하는 앵커 브라켓을 가지며,
    상기 레일은 상기 차바퀴가 들어가도록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반송관에는, 가스를 차단하는 차단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스반송관의 주위에는 그 제2 가스반송관을 흐르는 가스의 온도를 유지하는 단열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충전장치.
KR1020150002620A 2014-01-21 2015-01-08 가스 충전장치 KR1016805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08395A JP5821976B2 (ja) 2014-01-21 2014-01-21 ガス充填装置
JPJP-P-2014-008395 2014-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109A true KR20150087109A (ko) 2015-07-29
KR101680590B1 KR101680590B1 (ko) 2016-11-29

Family

ID=53768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620A KR101680590B1 (ko) 2014-01-21 2015-01-08 가스 충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821976B2 (ko)
KR (1) KR1016805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3044A (zh) * 2016-02-17 2016-05-04 陆玉正 一种基于天然气的一体化充气站与充电站装置
JP6738561B2 (ja) 2017-06-21 2020-08-12 株式会社タツノ 充填装置
JP7203858B2 (ja) * 2018-03-02 2023-01-13 エア・リキード・アドバンスド・テクノロジーズ・ユー.エス.・エルエルシー 燃料電池自動車のための移動式水素ディスペンサ
KR102094023B1 (ko) * 2019-04-22 2020-03-26 샘찬에너지(주) 가스 충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94963B2 (ja) * 2003-11-28 2007-10-24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ガス充填装置
US7938150B2 (en) * 2007-06-11 2011-05-10 Honda Motor Co, Ltd Station side cooling for refueling vehicle storage tanks with high pressure fu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590B1 (ko) 2016-11-29
JP2015137671A (ja) 2015-07-30
JP5821976B2 (ja)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590B1 (ko) 가스 충전장치
JP5967439B2 (ja) ガス充填装置
CA2787670C (en) Fuel gas station, fuel gas filling system, and fuel gas supplying method
US7178565B2 (en) Self-contained mobile fueling station
JP6268499B2 (ja) ガス充填装置
JP2007239956A (ja) 水素ガスの充填方法及び装置
JP6265166B2 (ja) 導管からの水素漏洩監視システム
CN204479278U (zh) 一种超高压大口径阀门耐火性能试验系统
CN102472432A (zh) 气体充填系统和气体充填装置
JP2015092108A (ja) 燃料ガスの充填制御方法とその装置
JP5679367B2 (ja) バッテリーボックス気密検査装置
KR101620262B1 (ko) 천연가스 배관용 볼밸브의 누설 시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연가스 배관용 볼밸브의 누설 시험 방법
US20220034453A1 (en) Method for checking the leakproofness of a leakproof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for storing a fluid
KR102519974B1 (ko) 가스 충전장치
Cebolla et al. GASTEF: The high pressure gas tank testing facility of the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JP2019525097A (ja) ガス量の較正可能な検出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6207914B2 (ja) ガス供給装置
Cho et al. Application of PET as a non-metallic liner for the 6.8 L type-4 cylinder based on the hydrogen cycling test
RU2657841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баллонов с компримированным природным газом
WO2021200070A1 (ja) 水素ガス充填装置
KR20180000181U (ko) 볼 밸브의 차압식 누설 검사 장치
JP2012078225A (ja) バッテリーボックス気密検査装置
RU2670861C9 (ru) Контейнер
Paulina Hydrogen fuel cell vehicle fuel economy testing at the US EPA National Vehicle and Fuel Emissions Laboratory
Kim et al. Overview of the KSTAR vacuum pump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