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030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030A
KR20150087030A KR1020140007395A KR20140007395A KR20150087030A KR 20150087030 A KR20150087030 A KR 20150087030A KR 1020140007395 A KR1020140007395 A KR 1020140007395A KR 20140007395 A KR20140007395 A KR 20140007395A KR 20150087030 A KR20150087030 A KR 20150087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fastening
cabinet
holder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4005B1 (ko
Inventor
김진웅
서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4005B1/ko
Priority to EP15151710.9A priority patent/EP2896733B1/en
Priority to US14/601,346 priority patent/US9963816B2/en
Priority to CN201510030166.2A priority patent/CN104790173B/zh
Publication of KR20150087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9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the bearing of the rotary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저면과 지지부재 사이에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완충부재 설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 설치 단계는, 복수 개의 댐퍼 홀더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가 체결되는 댐퍼 홀더 배치단계; 및 상기 지지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댐퍼 홀더가 체결되되, 상기 댐퍼 홀더에 체결된 상기 댐퍼의 체결축 높이보다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의 높이가 더 낮도록 상기 지지부재가 배치되는 지지부재 배치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을 구현하여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의 위치에 상관없이 댐퍼를 용이하게 지지부재에 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진동저감장치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비닛에 고정된 터브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을 포함한다. 또한, 세탁기의 경우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를 더 포함하며, 드럼은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일 예로써,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21)와, 상기 터브(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3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캐비닛(11)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12) 및 도어(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닛(11)의 내부에는 스프링(22) 및 댐퍼(23)에 의해 상기 터브(21)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터브(21)는 일 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터브(21)의 내부에는 드럼(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드럼(31)은 전방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원주면에는 복수의 관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31)의 내면에는 세탁물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트(3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터브(21)의 후방부에는 상기 드럼(3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25)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31)의 저부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펌프(28)가 구비된 배수유로(2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터브(21)의 상측에는 세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세제투입장치(4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세제투입장치(41)에는 급수관(43)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43)에는 급수밸브(45)가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구동모터에 의해 드럼이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로 전달되므로 터브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스프링(22) 및 댐퍼(23)가 설치된다. 또한 드럼의 진동을 흡수하는 별도의 완충부재가 더 필요하게 된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이렇게 드럼 또는 터브에 완충부재가 연결되므로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공간이 커서 상대적으로 드럼 또는 터브의 크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부와 드럼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로 전달되지 않아 터브에 설치되는 진동저감을 위한 완충부재가 불필요한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댐퍼를 캐비닛의 저면과 지지부재 사이에 설치할 때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댐퍼를 설치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댐퍼를 하나의 댐퍼 홀더에 체결할 때 댐퍼 간에 조립이 방해되지 않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저면과 지지부재 사이에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완충부재 설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 설치 단계는 복수 개의 댐퍼 홀더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가 체결되는 댐퍼 홀더 배치단계; 및 상기 지지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댐퍼 홀더가 체결되되 상기 댐퍼 홀더에 체결된 상기 댐퍼의 체결축 높이보다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의 높이가 더 낮도록 상기 지지부재가 배치되는 지지부재 배치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의 높이에 상관없이 댐퍼를 지지부재에 용이하게 체결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댐퍼 홀더 배치단계는 제1 댐퍼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축을 갖도록 체결되는 제1 댐퍼 체결단계; 및 제2 댐퍼가 상기 캐비닛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축을 갖도록 체결되는 제2 댐퍼 체결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댐퍼 체결단계는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체결축이 삽입되어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부재 배치단계는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가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 배치단계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서 내측을 향해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 배치단계는 상기 제2 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서 상기 캐비닛의 후방을 향해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배치단계는 상기 댐퍼 홀더가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 체결되되, 체결 스크류가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댐퍼 홀더로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체결 스크류를 작업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상부에서 삽입할 수 있으므로 댐퍼 홀더와 지지부재의 체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저면과 지지부재 사이에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완충부재 설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 설치 단계는 댐퍼 홀더에 제1 댐퍼 및 제2 댐퍼가 체결되는 댐퍼 홀더 배치단계; 및 상기 댐퍼 홀더에 상기 지지부재가 체결되되, 상기 댐퍼 홀더와 체결되는 제1 댐퍼 및 제2 댐퍼 각각의 체결축 높이보다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의 높이가 더 낮도록 상기 지지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는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배치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댐퍼 홀더 배치단계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축을 갖도록 체결되되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체결축이 삽입되어 상기 제1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 체결되는 제1댐퍼 체결단계; 및 상기 제1 댐퍼가 체결된 상기 댐퍼 홀더에 상기 제2 댐퍼가 체결되되 상기 제2 댐퍼가 상기 캐비닛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축을 갖도록 체결되는 제2댐퍼 체결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제1 댐퍼와 제2 댐퍼가 하나의 댐퍼 홀더에 체결되는 경우에도 서로 조립공간이 간섭되지 않아 조립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제2 댐퍼 체결단계는 상기 캐비닛의 측방에서 내측을 향해 체결축이 삽입되어 상기 제 2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댐퍼 체결단계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서 내측을 향해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댐퍼 체결단계는 상기 제2 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서 상기 캐비닛의 후방을 향해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 배치단계는 상기 댐퍼 홀더가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 체결되되, 체결 스크류가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댐퍼 홀더로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체결 스크류를 작업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상부에서 삽입할 수 있으므로 댐퍼 홀더와 지지부재의 체결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베어링하우징에 복수 개의 지지부재가 좌우대칭으로 체결되는 베어링하우징 체결단계를 포함하는 지지부재-베어링하우징 조립체 제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 배치단계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체결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댐퍼 홀더에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베어링하우징에 의해 드럼의 중심방향으로 무게감이 있는 지지부재-베어링하우징 조립체를 완충부재와 조립하여 완충부재가 좌우로 균형있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베어링하우징 조립체 제조단계는,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에 중량체가 체결되는 중량체 체결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지지부재 하단부에 중량체가 체결되어 베이스와의 간격이 더 좁아지더라도 이의 방해를 받지 않고 복수의 댐퍼를 댐퍼 홀더에 의해 지지부재에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비닛 저면과 지지부재 사이에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를 설치할 때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에 방해받지 않고 완충부재를 지지부재에 연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완충부재 홀더에 두 개 이상의 완충부재가 체결되더라도 서로 조립이 간섭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의 터브와 후방가스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의 터브백과 결합된 베어링하우징이 지지부재, 복수 개의 댐퍼 및 탄성부재에 의해 캐비닛의 저면상에 설치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Ⅰ-Ⅰ방향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부분 분해 사시도로서, 제1 댐퍼 및 제2 댐퍼가 체결된 댐퍼 홀더가 지지부재와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의 제1 댐퍼 및 제2 댐퍼가 댐퍼 홀더에 체결되는 모습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도 4의 Ⅱ-Ⅱ 방향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이 중량체와 캐비닛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11은 도 10의 서스펜션 유닛 설치단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12는 도 11의 댐퍼 홀더 배치단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13은 도 11의 댐퍼 홀더 배치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14는 도 10의 서스펜션 유닛 설치단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대상으로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드럼이 회전하면서 진동이 발생하는 의류처리장치, 예를 들어 건조기나 세탁기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인 세탁기는 터브가 캐비닛에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터브는 그 전방부에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를 갖고 세탁물의 세탁시 세탁수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캐비닛의 베이스(600)에 고정된다. 이러한 터브는 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프론트(100)와 후방부를 구성하는 터브레어(120)를 포함한다.
터브프론트(100)와 터브레어(120)는 나사로 조립되며, 내부에 드럼(300)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터브레어는 드럼(300)을 둘러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전방은 개방되고, 후방부는 도넛 형상의 후면(128)을 갖는다. 터브레어(120)의 전방부는 터브프론트(100)와 실링결합된다.
상기 터브레어(120)에는 건조 겸용 세탁기를 위해 열풍아웃렛(1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터브레어(120)에는 터브 내부로 냉각수를 급수하기 위한 냉각수 주입구(122)가 형성된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써 세탁기능만이 있는 의류처리장치인 경우 열풍 아웃렛(121)과 냉각수 주입구(122)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터브레어(120)에는 캐비닛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기 위한 결합부들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레어의 후면(128)의 내주는 후방가스켓(250)의 외주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가스켓(250)의 내주부는 터브백(130)과 연결된다. 상기 터브백(130)은 중앙에 회전축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상기 터브백(130)의 진동이 상기 터브레어(120)로 전달되지 않도록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상기 터브백(130) 및 터브레어(120)와 각각 실링되도록 연결되어 터브 내의 세탁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터브백(130)은 드럼 회전시 드럼(300)과 함께 진동되는데, 이때 터브레어(1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간격으로 터브레어(120)와 이격되어 있다. 상기 후방가스켓(250)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터브백(130)이 터브레어(120)에 간섭되지 않고 상대 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후방가스켓(250)은 터브백(130)의 그러한 상대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충분한 길이로 연장될 수 있는 주름부를 가질 수 있다.
드럼(300)은 상술한 터브에 수용되고, 터브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드럼은 전방부 및 후방부에 볼밸런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후방부는 스파이더(350)와 연결되며, 상기 스파이더(350)는 회전축(351)과 연결된다. 상기 드럼(300)은 상기 회전축(351)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터브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351)은 상기 터브백(130)을 관통하여 구동모터(500)와 직결식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동모터(500)의 로터와 상기 회전축(351)이 직결된다. 상기 터브백(130)의 후면에는 베어링하우징(400)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터브백(130) 사이에서 상기 회전축(35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에는 구동모터(500)의 스테이터가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터를 둘러싸고 상기 로터가 위치된다. 상기 구동모터(500)는 아우터로터 타입의 모터로서 상기 회전축(351)과 직결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400)은 캐비닛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600)로부터 서스펜션유닛을 통해 지지된다. 상기 서스펜션유닛은 베어링하우징(400)과 연결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와 베이스(600)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댐퍼 및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서스펜션유닛은 상기 지지부재, 복수 개의 댐퍼, 탄성부재가 드럼(3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다른 실시예로써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중량체 역시 드럼(3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서스펜션 유닛은 드럼(3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하에서는 도면을 중심으로 좌측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지지부재는 베어링하우징(400)과 연결되며, 베어링하우징(400)을 매개로 터브 후방에서 터브백(130)과 연결된다. 지지부재는 터브 후방에서 베이스(600)를 향해 연장되되 베이스(600)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캐비닛 측방을 향해 연장된다. 지지부재는 이렇게 하방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터브와 베이스(600) 사이로 절곡되어 캐비닛 전방을 향해 계속 연장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가 터브 후방과 캐비닛 사이를 지나 상기 터브와 베이스(600) 사이로 절곡되면서 형성되는 절곡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가 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는 절곡부에서 베이스(600)와의 거리가 가장 가깝고, 상기 지지부재의 절곡부에서 캐비닛의 전방으로 더 연장되면서 베이스(600)와의 거리가 점점 더 멀어지도록 약간 상방을 향해 연장된다. 이렇게 캐비닛의 후방에 지지부재의 최하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베어링하우징 및 드럼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부재는 캐비닛의 전방을 향해 약간 상방으로 연장되되 댐퍼 홀더가 안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전방부가 대략적인 아치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재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드럼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좌우에 하나씩 배치되며, 제1 브라켓(710a, 710b)과 제2 브라켓(730a, 730b)을 포함한다. 왼쪽에 배치되는 지지부재와 오른쪽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는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이하에서는 드럼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측에 있는 지지부재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브라켓(710a)은 베어링하우징(400)의 브라켓연결부(410a)에 연결되며, 터브백(130) 후방에서 베이스(600)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다가 터브와 베이스(600) 사이로 절곡된다. 또한, 제1 브라켓(710a)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그 너비가 좁아진다. 즉, 브라켓연결부(410a)와 연결되는 제1 브라켓(710a)의 상부측 폭이 제1 브라켓(710a)의 하부측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1 브라켓(710a)의 상부는 체결공이 복수 개 형성되어 베어링하우징(400)의 브라켓 연결부(410a)와 체결된다. 또한 제1 브라켓(710a) 상부 우측에는 후술할 제3 댐퍼(780a)가 힌지결합되는 댐퍼 체결부(7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3 댐퍼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댐퍼 체결부(714)는 형성되지 않는다. 댐퍼 체결부(714)는 힌지 체결공이 형성된 돌출부가 제1 브라켓(710a)의 상부 우측에서 측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 브라켓(710a)의 하부인 절곡부(713)는 후술할 제2 브라켓(730a)과 연결되고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서스펜션유닛의 다른 실시예로써 중량체가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절곡부(713)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 중량체(750a)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브라켓의 하부인 절곡부(713)는 코킹을 위한 관통공이 4개 이상 형성된다.
제1 브라켓(710a)은 드럼(300)이 처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 측벽(711, 712)과 비드(715)를 더 포함한다. 제1 브라켓(710a)의 너비방향 양단에 형성되는 측벽(711, 712)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그 높이가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비드(715)는 제1 브라켓(710a)의 상부와 절곡부(713) 사이에 형성되며, 제1 브라켓(710a)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두 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다만, 비드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구되는 강성을 만족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좋다.
이러한 제1 브라켓(710a)은 프레스성형되어 측벽(711, 712)과 비드(715)가 형성된다. 후술할 제2 브라켓(730a) 역시 프레스성형되어 형성되며, 제1 브라켓(710a)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브라켓(730a)은 상기 터브 아래에 배치되고 제1 브라켓(710a)에서 캐비닛의 전방을 향해 터브와 베이스(600) 사이를 따라 연장된다. 이때 제2 브라켓은 후단부에서 중앙부까지는 약간 상방을 향해 연장되고, 중앙부부터 전단부까지는 대략적인 아치형으로 구부러져 하면에 댐퍼홀더 안착부가 형성된다.
제2 브라켓(730a)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그 너비가 좁아진다. 즉, 제1 브라켓(710a)과 연결되는 부분인 제2 브라켓(730a)의 후단부의 폭이 제2 브라켓(730a)의 전단부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제2 브라켓(730a)의 후단부는 제1 브라켓(710a)의 절곡부(713)와 코킹 방식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4개의 연결점에서 코킹된다. 다만 결합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고 코킹방식에 더하여 체결수단이 더 사용될 수도 있다.
제2 브라켓(730a)의 전단부는 전방탄성부재(740a)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중앙부는 제2 댐퍼(770a)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제2 브라켓(730a)의 전단부와 중앙부 사이는 제1 댐퍼(760a)에 의해 지지되고, 제2 브라켓(730a)의 후단부는 후방탄성부재(720a)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이를 위해, 전방탄성부재(740a)를 상기 제2 브라켓에 연결하기 위한 전방스프링홀더(701a), 제1 댐퍼(760a)와 제2 댐퍼(770a)를 상기 제2 브라켓에 연결하기 위한 댐퍼 홀더(702a), 후방탄성부재(720a)를 상기 제2 브라켓에 연결하기 위한 후방스프링홀더(703a)가 더 구비된다. 제2 브라켓(730a)은 전단부 측벽에 체결공이 형성되어 전방스프링홀더(701a)와 볼트(820a)로 체결된다. 또한 제2 브라켓(730a)은 댐퍼홀더 안착부(734) 및 상기 댐퍼홀더 안착부를 관통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댐퍼 홀더(702a)와 체결 스크류(830a)로 체결된다. 후방스프링홀더(703a)는 지지부재의 절곡부 하부에 체결된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의 절곡부에 중량체(750a)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후방스프링홀더(703a)는 상기 중량체(750a)의 하면에 체결된다.
전방스프링홀더(701a)는 제2 브라켓(730a)의 전단부와 볼트(820a)로 체결되는 상부(7011a) 및 전방탄성부재(740a)가 끼움결합되는 하부(7012a)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스프링홀더의 상부(7011a)는 제2 브라켓(730a)의 전단부 하면과 전단부 양 측벽면에 접하는 각진 U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방스프링홀더의 하부(7012a)는 대략적인 원통 형상이며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스프링홀더의 하부(7012a)는 원통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전방탄성부재(740a)가 끼움결합되며, 나사산 끝에는 돌출형성된 스토퍼가 구비되어 전방탄성부재(740a)의 단부를 막는다.
한 쌍의 탄성부재는 제2 브라켓(730a)의 양단부를 각각 탄성지지하며, 전방탄성부재(740a)와 후방탄성부재(720a)를 포함한다. 전방탄성부재(740a)와 후방탄성부재(720a)는 스프링이며, 베이스(60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다. 탄성부재로 사용되는 스프링은 측면에서 바라본 실루엣이 종형 내지 항아리 형상이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로 사용되는 스프링은 상기 전방스프링홀더의 하부(7012a)와 체결되는 단부의 직경이 작고 베이스(600)를 향해 연장될수록 그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탄성부재의 직경이 상기 베이스를 향해 점차 증가하므로 드럼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탄성부재가 변형될 때에도 상기 전방스프링홀더의 하부(7012a)와 스프링이 부딪히지 않아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드럼(3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 구비되어 총 4점에서 드럼(300) 및 이와 연결되는 각종 부품을 탄성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전방탄성부재(740a, 740b)가 좌우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고, 후방탄성부재(720a, 720b)가 좌우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다.
베이스(600)에는 탄성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부재 고정부(620a, 620b, 640a, 640b)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탄성부재(720a, 720b, 740a, 740b)를 베이스(600)에 고정한다.
또한 베이스(600)에는 복수의 댐퍼가 상기 베이스에 힌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댐퍼 고정부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댐퍼 고정부는 제1 댐퍼 고정부(660a, 660b), 제2 댐퍼 고정부(670a, 670b) 및 제3 댐퍼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댐퍼 고정부(660a, 660b)는 제1 댐퍼(760a, 760b)를 베이스(6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체결공이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댐퍼 고정부는 제1 댐퍼(760a, 760b)의 끝이 캐비닛의 내측방향으로 밀리지 않고 상기 베이스에 잘 고정되도록 가로막는 판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1 댐퍼 고정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는 핀에 의해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다.
상기 제2 댐퍼 고정부(670a, 670b)는 제2 댐퍼(770a, 770b)를 베이스(6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체결공이 캐비닛의 좌우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댐퍼 고정부는 제2 댐퍼(770a, 770b)의 끝이 캐비닛의 후방으로 밀리지 않고 상기 베이스에 잘 고정되도록 가로막는 판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2 댐퍼 고정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는 핀에 의해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된다.
상기 제3 댐퍼 고정부는 제3 댐퍼(780a, 780b)를 베이스(600)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체결공이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댐퍼 고정부는 제3 댐퍼(780a, 780b)의 끝이 캐비닛의 측방으로 밀리지 않고 상기 베이스에 잘 고정되도록 가로막는 판이 더 형성된다. 도면에는 좌측에 설치된 제3 댐퍼 고정부(680a)만 표시되어 있으나 한 쌍의 제3 댐퍼(780a, 780b)가 좌우 대칭으로 각각 설치되므로 우측에도 제3 댐퍼 고정부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다만, 상기 제3 댐퍼 고정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3 댐퍼(780a, 780b)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제2 브라켓(730a)의 후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710a)과 체결되고 제2 브라켓(730a)의 후단부와 베이스(600) 사이에 후방탄성부재(720a)가 구비되어 탄성지지된다. 다만, 서스펜션 유닛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량체가 더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부에 중량체(750a)가 더 결합된다. 그리고 중량체(750a)와 베이스(600) 사이에 후방탄성부재(720a)가 구비되어 제1 브라켓(710a), 제2 브라켓(730a) 및 중량체(750a)를 탄성지지한다.
제2 브라켓(730a)은 드럼(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 측벽(731, 732)과 비드(735)를 더 포함한다. 측벽(731, 732)은 제2 브라켓(730a)의 너비방향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제2 브라켓(730a)의 너비는 전단측보다 후단측이 더 넓게 형성된다. 제2 브라켓(730a)의 전단부과 후단부 사이에는 제2 브라켓(730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비드(735)가 형성된다. 또한, 제2 브라켓(730a)은 하면에 댐퍼 홀더(702a)가 체결되기 위한 댐퍼홀더 안착부(734)를 더 포함한다. 댐퍼홀더 안착부(734)는 제2 브라켓의 전단부부터 중앙부까지가 상단이 평평한 아치형으로 구부러져 그 하부에 댐퍼 홀더(702a)를 연결하기 위해 형성된 공간이다.
댐퍼 홀더(702a)에 의해 제1 댐퍼(760a) 및 제2 댐퍼(770a)는 제2 브라켓에 연결되며, 댐퍼 홀더(702a)는 제2 브라켓(730a)의 상면에서 댐퍼홀더 안착부(734)까지 관통하는 체결 스크류(830a)에 의해 댐퍼홀더 안착부(734)에 체결된다.
이러한 댐퍼 홀더(702a)는 댐퍼홀더 안착부(734)에 설치되어 스크류 체결되는 판(7021a), 판(7021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제1 댐퍼(760a)와 힌지체결되는 제1 댐퍼 연결부(7023a) 및 판(7021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제2 댐퍼(770a)와 힌지체결되는 제2 댐퍼 연결부(7027a)를 포함한다.
판(7021a)은 댐퍼홀더 안착부(734)의 양쪽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실루엣을 갖는 판 형상이며 복수의 관통공(7022a)이 형성되어 댐퍼홀더 안착부(734)와 체결 스크류(830a)로 체결된다. 판(7021a) 하면에는 제1 댐퍼 연결부(7023a) 및 제2 댐퍼 연결부(7027a)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댐퍼 연결부(7023a)는 캐비닛의 전방쪽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댐퍼 연결부(7027a)보다 더 캐비닛의 측방에 가깝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댐퍼 연결부(7027a)는 캐비닛의 후방쪽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댐퍼 연결부(7023a)보다 캐비닛의 내측에 가깝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댐퍼 연결부와 상기 제2 댐퍼 연결부는 제1 댐퍼 및 제2 댐퍼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도로 베이스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댐퍼 연결부(7023a)는 캐비닛의 내측방향과 베이스(600)를 향해 개방된 칸막이이다. 즉 상기 제1 댐퍼 연결부는 캐비닛의 전방, 측방 및 후방과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된 대략 U형상으로 각진 판이 상기 판(7021a)의 하면에서 베이스(600)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캐비닛의 전방을 향하는 면과 후방을 향하는 면에는 각각 관통공(7026a)이 형성되고, 제1 댐퍼 핀(840a)이 삽입되어 제1 댐퍼가 제1 댐퍼 연결부에 힌지 체결된다. 제1 댐퍼 핀(840a)에 의해 상기 제1 댐퍼는 체결축이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댐퍼 연결부에 체결된다.
상기 제2 댐퍼 연결부(7027a)는 캐비닛의 후방과 베이스(600)를 향해 개방된 칸막이이다. 즉 상기 제2 댐퍼 연결부는 캐비닛의 전방, 옆면 및 내측 방향과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된 대략 U 형상으로 각진 판이 상기 판(7021a)의 하면에서 베이스(600)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캐비닛의 옆면 및 내측을 향하는 면에는 각각 관통공(7024a)이 형성되고, 제2 댐퍼 핀(850a)이 삽입되어 제2 댐퍼가 제2 댐퍼 연결부에 힌지 체결된다. 제2 댐퍼 핀(850a)에 의해 상기 제2 댐퍼는 체결축이 캐비닛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2 댐퍼 연결부에 체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댐퍼 연결부와 제1 댐퍼를 연결하는 제1 댐퍼 핀(840a)의 축의 연장선은 상기 제2 댐퍼 연결부와 제2 댐퍼를 연결하는 제2 댐퍼 핀(850a)의 축의 연장선과 교차한다. 다시 말해, 제1 댐퍼 연결부의 관통공(7026a)과 제2 댐퍼 연결부의 관통공(7024a) 각각의 중심축이 교차하게 제1 댐퍼 연결부와 제2 댐퍼 연결부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 댐퍼 연결부의 한쪽 관통공(7024a)이 상기 제1 댐퍼 연결부의 관통공(7026a)의 중심축에 가깝게 배치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상기 안착부(734) 하부의 한정된 공간에 상기 제1 댐퍼 연결부와 상기 제2 댐퍼 연결부를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제1 댐퍼 및 제2 댐퍼를 상기 제2 브라켓에 안정적으로 연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판(7021a)에 의해 상기 제1 댐퍼 연결부와 상기 제2 댐퍼 연결부가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제1 댐퍼 핀(840a)은 캐비닛의 후방에서 전방쪽으로 제1 댐퍼 연결부의 관통공(7026a)에 삽입되고 제2 댐퍼 핀(850a)은 캐비닛의 측방에서 내측으로 제2 댐퍼 연결부의 관통공(7024a)에 삽입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댐퍼 연결부의 한쪽 관통공(7024a)이 제1 댐퍼 연결부의 관통공(7026a)의 중심축에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 제2 댐퍼 연결부에 체결된 제2 댐퍼 핀(850a)의 헤드에 의해 제1 댐퍼 연결부의 한쪽 관통공(7026a)이 가려져 제1 댐퍼 핀(840a)의 체결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제1 댐퍼 핀(840a)을 먼저 체결한 후 제2 댐퍼 핀(850a)을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순서는 제1 댐퍼 연결부 및 제2 댐퍼 연결부의 형상 및 배치, 제1,2 댐퍼 핀의 형상 및 체결되는 방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다르게 제1 댐퍼 연결부의 한쪽 관통공(7026a)이 제2 댐퍼 연결부의 관통공(7024a)의 중심축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2 댐퍼 핀을 먼저 체결한 후 제1 댐퍼 핀을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댐퍼 핀 및/또는 제2 댐퍼 핀이 도 7에 도시된 것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삽입되는 경우에는 순서에 구애받지 않게 된다. 복수의 댐퍼, 댐퍼 홀더 및 제2브라켓의 구제적인 조립방법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댐퍼 홀더(702a)는 상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댐퍼 연결부와 제2 댐퍼 연결부가 하나의 판으로 연결되지 않고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제2 브라켓에 각각 체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제1 댐퍼 핀과 상기 제2 댐퍼 핀의 조립시 서로 방해받지 않게 된다.
서스펜션 유닛의 다른 실시예로서 중량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중량체(750a, 750b)는 지지부재의 절곡부를 포함하여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연장된 대략적인 L 형상의 콘크리트 덩어리이다. 다만 상기 중량체는 콘크리트에 한정되지 않고 드럼(300)이 치우치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잡아줄 수 있는 중량을 제공하는 어떠한 재질이어도 좋다. 상기 중량체 역시 드럼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좌우에 하나씩 설치되므로 이하에서는 좌측에 설치되는 중량체를 설명한다.
중량체(750a)는 제1 브라켓(710a)과 제2 브라켓(730a)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그 주변의 제1 브라켓(710a) 후면과 제2 브라켓(730a) 하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중량체(750a)는 상기 제1 브라켓의 오른쪽 측벽(712) 일부분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오른쪽 측벽(732) 일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제1,2브라켓과 접하는 면이 움푹하게 형성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브라켓(710a)이나 제2 브라켓(730a)에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중량체(750a)는 무게중심이 캐비닛의 후방으로, 또 캐비닛의 내측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중량체(75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의 절곡부에 대응되는 부분, 즉 제1 브라켓(710a)과 제2 브라켓(730a)의 연결부에 대응되는 부분의 상하방향 두께가 가장 두껍고, 제2 브라켓(730a) 하면에서 전방을 향해 연장될수록 그 두께가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중량체(750a)는 상기 제2 브라켓의 오른쪽 측벽(712)을 감싸는 부분의 좌우 두께가 상기 제2 브라켓의 왼쪽 측벽(711)을 감싸는 부분의 좌우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이러한 중량체는 드럼(300)에 세탁물이 수용되어도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잡아주고, 드럼(300)이 진동시 매스(mass)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중량체(750a)에는 중량체(750a)를 캐비닛 후면(610)과 트랜싯 볼트(810)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관통공(751)이 더 형성된다. 트랜싯 볼트(810)는 캐비닛 후면에 형성된 볼트안착부(611)에서 중량체(750a)로 연장되고 일단이 관통공(751)에 삽입된다. 중량체(750a)의 하면에는 후방탄성부재(740a)를 고정하기 위한 후방스프링홀더(703a)가 볼트로 고정된다.
후방스프링홀더(703a)는 중량체(750a)와의 볼트체결을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고 중량체(750a) 하면의 형상에 따라 상방으로 일단이 절곡된 상부 및 후방탄성부재(720a)의 끼움삽입을 위한 나사산이 외면에 형성된 하부를 포함한다. 후방스프링홀더(703a)의 하부는 상술한 전방스프링홀더(701a)의 하부와 형상이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710a')과 트랜싯 볼트(810a')가 중량체(750a)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브라켓(710a')은 트랜싯 볼트(810a')의 일단과 나사결합되도록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체결부(716)를 더 포함한다. 트랜싯 볼트(810a')는 케비닛 후면(610)에서 중량체(750a)의 관통공(751)을 관통하여 연장되며, 일단이 제1 브라켓(710a')의 볼트체결부(716)에 나사결합된다. 도 8의 실시예에서는 트렌싯 볼트(810a)가 중량체(750a)와 연결되는 반면, 도 9의 실시예에서는 트렌싯 볼트(810a')가 중량체(750a)는 물론 제1 브라켓(710a)과도 연결되므로 지지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복수 개의 댐퍼는 피스톤이 실린더 내에서 움직이면서 발생하는 마찰저항에 의한 댐핑력을 제공하는 어떠한 댐퍼라도 좋다. 이러한 복수 개의 댐퍼는 드럼의 좌우진동을 주로 저감하는 한 쌍의 제1 댐퍼(760a, 760b), 드럼의 회전운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주로 저감하는 한 쌍의 제2 댐퍼(770a, 770b), 드럼의 상하진동을 주로 저감하는 한 쌍의 제3 댐퍼(780a, 780b)를 더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댐퍼(760a, 760b)는 드럼(30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도록 드럼의 좌측에 하나(760a), 우측에 하나(760b)가 구비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2 댐퍼(770a, 770b)와 한 쌍의 제3 댐퍼(780a, 780b) 역시 상기 드럼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드럼(300)의 좌측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댐퍼(760a, 770a, 780a)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댐퍼(760a)는 드럼(300)의 좌우진동을 주로 저감한다. 이러한 제1 댐퍼(760a)는 제2 브라켓(730a)의 전단부에서 내측으로 베이스(600)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1 댐퍼(760a)는 전방탄성부재(740a)와 제2 댐퍼(770a)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댐퍼(760a)의 제2 브라켓(730a)과 연결되는 단부가 전방탄성부재(740a)와 이웃한다.
또한 제1 댐퍼(760a)는 드럼(3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 댐퍼(760a)가 베이스(600) 면과 이루는 각도인 제1각도(θ1)는 약 30도이다. 다만, 상기 제1각도(θ1)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0도 내지 60도 사이에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3 댐퍼(780a)가 더 구비되는 경우 제3 댐퍼(780a)가 베이스(600) 면과 이루는 제3각도(θ3)보다 작은 범위에서 상기 제1각도(θ1)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댐퍼(760a)는 후술할 제2 댐퍼(770a)보다는 댐핑력이 작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댐퍼(760a)는 40N의 댐핑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댐퍼(760a)는 제3 댐퍼(780a)가 더 구비되는 경우 제3 댐퍼(780a)와 댐핑력이 동일할 수 있다.
제2 댐퍼(770a)는 드럼(300)이 연속적으로 회전할 때 발생하는 진동을 주로 저감한다. 이러한 제2 댐퍼(770a)는 제2 브라켓(730a)의 중심부에서 캐비닛의 후방으로 베이스(600)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2 댐퍼(770a)는 드럼(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때, 제2 댐퍼(770a)는 제1 댐퍼(760a)와 캐비닛의 후면(61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의 후면(610)은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2 댐퍼(770a)는 제1 댐퍼(760a)와 후방탄성부재(720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댐퍼(770a)가 제2브라켓(730a)에 힌지연결되는 단부는 제1 댐퍼(760a)에 이웃하고, 제2 댐퍼(770a)가 베이스(600)와 힌지연결되는 단부는 후방탄성부재(720a)에 이웃한다.
이러한 제2 댐퍼(770a)는 베이스(600) 면과 이루는 각도인 제2각도(θ2)가 상기 제1각도(θ1)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각도(θ2)는 약 30도이다. 그리고, 제2 댐퍼는 제1 댐퍼보다 댐핑력이 크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댐퍼(770a)는 40N 내지 80N 사이에서 제1 댐퍼(760a)보다 큰 댐핑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제2 댐퍼(770a)는 80N의 댐핑력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2 댐퍼(770a)의 댐핑력이 제1 댐퍼(760a)의 댐핑력보다 크기 때문에 베이스(600)로 전달되는 진동이 현저히 줄어들고 볼 발란서의 진동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서스펜션 유닛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3 댐퍼(780a)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3 댐퍼(780a)는 드럼(300)이 회전시 발생하는 상하 진동을 주로 저감한다. 이러한 제3 댐퍼(780a)는 제1 브라켓(710a)에서 베이스(600)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배치된다. 또한, 제3 댐퍼(780a)는 베이스(600)와 힌지연결되는 단부가 후방탄성부재(720a)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제3 댐퍼(780a)는 베이스(600)와 이루는 각도인 제3각도(θ3)가 약 65도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댐퍼(780a)는 제2 댐퍼(770a)보다는 댐핑력이 작게 형성된다. 또한, 제3 댐퍼(780a)는 1 댐퍼(760a)와 댐핑력이 동일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댐핑력이 40N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은 서스펜션 유닛 설치단계(S10) 및 터브와 드럼 설치 단계(S20)를 포함한다.
서스펜션유닛 설치단계(S10)는 지지부재-베어링하우징 조립체 제조단계(S100) 및 완충부재 설치단계(S200)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재-베어링하우징 조립체 제조단계와 완충부재 설치단계는 각각 별도로 진행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지지부재-베어링 하우징 조립체 제조단계가 진행된 후 서스펜션 유닛 설치단계가 진행될 수도 있다.
지지부재-베어링하우징 조립체 제조단계(S100)는, 지지부재 제조단계(S110) 및 지지부재와 베어링하우징 체결단계(S130)를 포함한다. 먼저 지지부재 제조단계(S110)에서는 프레스 성형을 통해 성형된 제1 브라켓(710a, 710b) 및 제2 브라켓(730a, 730b)이 준비되고, 상기 제1 브라켓의 절곡부와 제2 브라켓의 후단이 상술한 바와 같이 코킹 방식으로 체결되어 지지부재가 제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지지부재가 드럼(300)의 중심축에 대칭되는 형상으로 두 개가 제조된다.
지지부재와 베어링하우징 체결단계(S13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가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브라켓 연결부(410a, 710b)에 각각 체결되어 지지부재-베어링하우징 조립체가 제조된다.
완충부재 설치단계(S200)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베이스(600) 사이에 상기 드럼의 진동을 저감하는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단계로써, 완충부재 배치단계(S210, S220), 완충부재 홀더 배치단계(S230, S240) 및 지지부재 배치단계(S250)를 포함한다. 완충부재 설치단계에서는 완충부재, 완충부재 홀더 및 지지부재가 드럼(3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하에서는 드럼(300)의 좌측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완충부재 배치단계는 복수 개의 댐퍼가 상기 베이스에 체결되는 댐퍼 배치단계(S210)와 복수 개의 탄성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탄성부재 설치단계(S220)를 포함한다. 댐퍼 배치 단계(S210)에서는, 상기 제1 댐퍼(760a, 760b)의 일단이 상기 제1 댐퍼 고정부(660a, 660b)에 힌지 체결되고, 상기 제2 댐퍼(770a, 770b)의 일단이 상기 제2 댐퍼 고정부(670a. 670b)에 힌지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축을 갖도록 고정핀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캐비닛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축을 갖도록 고정핀이 삽입된다.
탄성부재 설치단계(S220)에서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720a, 720b, 740a, 740b)가 베이스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에 형성된 복수의 탄성부재 고정부(620a, 620b, 640a, 640b)에 각 탄성부재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된다.
완충부재 홀더 배치단계는 댐퍼가 댐퍼 홀더와 체결되는 댐퍼 홀더 배치단계(S230) 및 스프링 홀더가 탄성부재에 설치되는 스프링 홀더 설치단계(S240)를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댐퍼 홀더 배치단계(S230)는 제1 댐퍼 체결단계(S231) 및 제2 댐퍼 체결단계(S233)를 포함한다.
먼저 제1 댐퍼 체결단계(S231)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댐퍼 홀더(702a)의 제1 댐퍼 연결부(7023a)에 제1 댐퍼(760a)가 체결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댐퍼 연결부와 상기 제1 댐퍼를 연결하는 댐퍼 핀(840a)이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되어 댐퍼 홀더와 제1 댐퍼의 체결축이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체결된다. 또한 제1 댐퍼는 상기 댐퍼 홀더에서 상기 캐비닛의 내측을 향해 상기 베이스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다음으로 제2 댐퍼 체결단계(S233)에서는 제1 댐퍼와 체결된 댐퍼 홀더의 제2 댐퍼 연결부(7027a)에 제2 댐퍼(770a)가 체결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댐퍼 연결부와 상기 제2 댐퍼를 연결하는 댐퍼 핀(850a)이 상기 캐비닛의 측방에서 내측으로 삽입되어 댐퍼 홀더와 제2 댐퍼의 체결축이 상기 캐비닛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댐퍼 홀더에서 상기 캐비닛의 후방을 향해 상기 베이스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댐퍼 홀더에 협소한 간격으로 배치된 제1 댐퍼 연결부와 제2 댐퍼 연결부에 각각 댐퍼 핀을 체결할 때 제2 댐퍼 핀에 의해 제1 댐퍼 핀의 조립이 방해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댐퍼 핀 및 상기 제2 댐퍼 핀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되며, 도 7에서는 드럼(300)을 기준으로 좌측에 설치되는 제1 댐퍼 핀(840a) 및 제2 댐퍼 핀(850a)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드럼(300)을 기준으로 우측에도 좌측과 대칭되어 제1 댐퍼 핀 및 제2 댐퍼 핀이 설치됨은 물론이다.
지지부재 배치단계(S250)에서는 지지부재의 댐퍼홀더 안착부(737)와 상기 댐퍼 홀더의 판(7021a)이 대향하도록 지지부재가 배치된다. 또한 지지부재의 전단부가 상기 전방스프링홀더(701a)에 대응되고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인 절곡부가 캐비닛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방스프링홀더(703a)에 대응되도록 지지부재가 배치된다. 이때 상기 댐퍼 홀더(702a)와 제1 댐퍼의 체결축 및 상기 댐퍼 홀더(702a)와 제2 댐퍼의 체결축 각각의 높이보다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의 높이가 더 낮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의 전단부는 상기 전방스프링홀더와 볼트 체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절곡부는 상기 후방스프링홀더와 볼트 체결된다. 상기 지지부재의 댐퍼홀더 안착부(737)는 복수의 체결 스크류(830a)가 상기 안착부(737)를 관통하여 상기 판(7021a)의 체결공(7022a)으로 삽입되어 상기 댐퍼 홀더와 체결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체결 스크류(830a)가 상기 지지부재 위에서 삽입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상기 댐퍼 홀더에 상기 제1 댐퍼를 먼저 체결한 후 제1 댐퍼와 댐퍼홀더의 체결축보다 그 최하단부가 더 낮게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상기 댐퍼홀더에 체결하므로 상기 제1 댐퍼 핀이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에 의해 조립이 방해받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체결 스크류(830a)를 지지부재 위에서 삽입하므로 지지부재와 댐퍼 홀더의 조립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댐퍼홀더 배치단계는, 하나의 댐퍼 홀더에 제1 댐퍼와 제2 댐퍼가 함께 체결되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나,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댐퍼홀더에 체결되는 댐퍼 홀더와 제2 댐퍼 홀더에 체결되는 댐퍼홀더가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상술하였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댐퍼 홀더 배치단계(S230') 및 지지부재 배치단계(S250')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퍼 홀더 배치단계는 하나의 댐퍼 홀더에 제1 댐퍼가 체결되는 단계(S232)와 다른 하나의 댐퍼 홀더에 제2 댐퍼가 체결되는 단계(S234)를 포함한다. 이때에는 하나의 댐퍼에 하나의 댐퍼 홀더가 체결되므로 조립과정에서 제1 댐퍼와 제2 댐퍼가 서로 방해받지 않고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댐퍼 체결단계(S232)와 제2 댐퍼 체결단계(S234)는 어느 것이 먼저 진행되거나 동시에 진행되어도 좋다. 그리고 제1 댐퍼 체결단계(S232)에서는 체결축이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댐퍼 핀이 삽입되며, 캐비닛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댐퍼 체결단계(S234)에서는 체결축이 캐비닛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댐퍼 핀이 삽입되며, 캐비닛의 측방향에서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배치단계(S250')에서는 지지부재의 안착부(737)에 상기 댐퍼 홀더가 각각 체결된다. 제1 댐퍼가 체결된 댐퍼홀더와 제2 댐퍼가 체결된 댐퍼홀더가 별개의 부재이므로, 지지부재 배치단계에서 제1 댐퍼는 제1 댐퍼가 체결되는 댐퍼홀더에서 내측을 향해 상기 베이스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제2 댐퍼는 제2 댐퍼가 체결되는 댐퍼 홀더에서 캐비닛의 후방을 향해 상기 베이스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게 된다. 그 외에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구성의 측면은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상기 제1 댐퍼 및 상기 제2 댐퍼를 지지부재에 설치하는 효과가 있다. 제1 댐퍼 핀은 캐비닛의 후방에서 삽입되어 제1 댐퍼 및 댐퍼홀더에 체결되므로 지지부재를 먼저 배치할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에 의해 상기 제1 댐퍼 핀의 조립이 방해받을 수 있는데 상술한 구성에서는 이러한 방해 없이 조립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서스펜션 유닛이 드럼축에 좌우 대칭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터브와 드럼 설치 단계(S20)에서 터브가 상기 베이스에 경직되게 고정되고 터브에 상기 드럼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4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유닛 설치단계의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와 베어링하우징 체결단계(S100')는 중량체 장착단계(S120) 및 터브백 장착단계(S140)를 더 포함한다. 중량체 장착단계에서는 상기 지지부재의 절곡부, 즉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이음부에 상술한 중량체(750a, 750b)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가 설치된 지지부재가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브라켓 연결부(410a, 410b)에 체결되어 지지부재-베어링하우징 조립체가 제조된다. 그리고 터브백 장착단계(S140)에서 상기 베어링하우징 전면에 터브백(13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후방가스켓(250)이 외주에 형성된 터브백(130)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 설치단계(S200')는 완충부재 배치단계(S210', S220), 완충부재 홀더 배치단계(S230, S240) 및 지지부재 배치단계(S260)를 포함한다. 완충부재 설치단계에서는 완충부재, 완충부재 홀더 및 지지부재가 드럼(3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하에서는 드럼(300)의 좌측에 설치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완충부재 배치단계는 댐퍼 배치단계(S210')와 탄성부재 설치단계(S220)를 포함하는데 탄성부재 설치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댐퍼 설치단계(S210')에서는 제3 댐퍼가 더 설치된다. 제3 댐퍼(780a, 780b)는 상기 베이스의 제3 댐퍼 고정부에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체결축이 연장되도록 힌지 체결된다.
완충부재 홀더 배치단계(S230, S240)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재 배치단계(S260)는 후방스프링 홀더(703a)가 중량체(750a)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댐퍼(780a)가 제1브라켓의 댐퍼 체결부(714)와 힌지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댐퍼(780a)는 상기 댐퍼 체결부(714)에서 베이스(600)로 연장되되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 대해 비스듬히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댐퍼(780a)는 상기 댐퍼 체결부(714)와의 체결축이 캐비닛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체결된다. 이때 제3 댐퍼 핀이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터브프론트 120 : 터브레어
130 : 터브백 250 : 후방가스켓
300 : 드럼 351 : 회전축
400 : 베어링하우징 410a, 410b : 브라켓연결부
500 : 구동모터 600 : 캐비닛 베이스
701a, 701b : 전방스프링홀더 702a, 702b : 댐퍼 홀더
703a : 후방스프링홀더
710a, 710b : 제1 브라켓 720a, 720b : 후방탄성부재
730a, 730b : 제2 브라켓 740a, 740b : 전방탄성부재
750a, 750b : 중량체 760a, 760b : 제1 댐퍼
770a, 770b : 제2 댐퍼 780a, 780b : 제3 댐퍼

Claims (13)

  1.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저면과 지지부재 사이에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완충부재 설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 설치 단계는,
    복수 개의 댐퍼 홀더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의 댐퍼 중 적어도 하나가 체결되는 댐퍼 홀더 배치단계; 및
    상기 지지부재에 적어도 하나의 댐퍼 홀더가 체결되되, 상기 댐퍼 홀더에 체결된 상기 댐퍼의 체결축 높이보다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의 높이가 더 낮도록 상기 지지부재가 배치되는 지지부재 배치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홀더 배치단계는,
    제1 댐퍼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축을 갖도록 체결되는 제1 댐퍼 체결단계; 및
    제2 댐퍼가 상기 캐비닛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축을 갖도록 체결되는 제2 댐퍼 체결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 체결단계는,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체결축이 삽입되어 상기 제1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 체결되고,
    상기 지지부재 배치단계는,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가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배치단계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서 내측을 향해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배치단계는,
    상기 제2 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서 상기 캐비닛의 후방을 향해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6.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 저면과 지지부재 사이에 드럼의 진동을 완충하는 복수 개의 완충부재가 설치되는 완충부재 설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 설치 단계는,
    댐퍼 홀더에 제1 댐퍼 및 제2 댐퍼가 체결되는 댐퍼 홀더 배치단계; 및
    상기 댐퍼 홀더에 상기 지지부재가 체결되되, 상기 댐퍼 홀더와 체결되는 제1 댐퍼 및 제2 댐퍼 각각의 체결축 높이보다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의 높이가 더 낮도록 상기 지지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는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재 배치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홀더 배치단계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축을 갖도록 체결되되 상기 캐비닛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체결축이 삽입되어 상기 제1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 체결되는 제1댐퍼 체결단계; 및
    상기 제1 댐퍼가 체결된 상기 댐퍼 홀더에 상기 제2 댐퍼가 체결되되 상기 제2 댐퍼가 상기 캐비닛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축을 갖도록 체결되는 제2댐퍼 체결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댐퍼 체결단계는,
    상기 캐비닛의 측방에서 내측을 향해 체결축이 삽입되어 상기 제 2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 체결단계는,
    상기 제1 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서 내측을 향해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댐퍼 체결단계는,
    상기 제2 댐퍼가 상기 댐퍼 홀더에서 상기 캐비닛의 후방을 향해 상기 캐비닛의 저면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배치단계는,
    상기 댐퍼 홀더가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에 체결되되, 체결 스크류가 상기 지지부재에서 상기 댐퍼 홀더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베어링하우징에 복수 개의 지지부재가 좌우대칭으로 체결되는 베어링하우징 체결단계를 포함하는 지지부재-베어링하우징 조립체 제조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배치단계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과 체결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댐퍼 홀더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베어링하우징 조립체 제조단계는, 상기 지지부재의 최하단부에 중량체가 체결되는 중량체 체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40007395A 2014-01-21 2014-01-21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04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395A KR102204005B1 (ko) 2014-01-21 2014-01-21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EP15151710.9A EP2896733B1 (en) 2014-01-21 2015-01-20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4/601,346 US9963816B2 (en) 2014-01-21 2015-01-21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201510030166.2A CN104790173B (zh) 2014-01-21 2015-01-21 衣物处理装置及衣物处理装置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395A KR102204005B1 (ko) 2014-01-21 2014-01-21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30A true KR20150087030A (ko) 2015-07-29
KR102204005B1 KR102204005B1 (ko) 2021-01-18

Family

ID=5235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395A KR102204005B1 (ko) 2014-01-21 2014-01-21 의류처리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63816B2 (ko)
EP (1) EP2896733B1 (ko)
KR (1) KR102204005B1 (ko)
CN (1) CN1047901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2328A (zh) * 2017-07-14 2019-01-2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波轮洗衣机
KR102628099B1 (ko) 2019-02-01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1058238A (zh) * 2019-12-16 2020-04-2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减震座及滚筒洗衣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732A (ko) * 2006-04-12 2007-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20100080415A (ko) * 2008-12-30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9210A1 (de) * 1991-03-21 1992-09-24 Bauknecht Hausgeraete Waschmaschine
IT1261350B (it) * 1993-11-30 1996-05-14 Merloni Elettrodomestici Spa Macchina lavabiancheria a caricamento frontale agevolato.
JP3699855B2 (ja) * 1999-03-15 2005-09-28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EP1201810B1 (en) 2000-10-31 2005-01-19 CANDY S.p.A. Inclined washing machine with shock absorbing device
KR100464054B1 (ko) 2002-12-27 2005-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캐비넷/터브를 구비한 드럼 세탁기
US20050005650A1 (en) * 2003-07-08 2005-01-13 Kim Kwang Soo Bracket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0637668B1 (ko) * 2005-09-01 2006-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US7536882B2 (en) * 2006-03-29 2009-05-26 Lg Electronics Inc.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0786083B1 (ko) * 2006-03-29 2007-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탑 로딩 드럼 세탁기
KR100777299B1 (ko) * 2006-06-09 2007-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또는 건조를 위한 기계장치
KR101356496B1 (ko) 2007-04-25 2014-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WO2010077090A2 (en) 2008-12-31 2010-07-08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KR102087139B1 (ko) 2013-07-16 202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732A (ko) * 2006-04-12 2007-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20100080415A (ko) * 2008-12-30 201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4005B1 (ko) 2021-01-18
EP2896733B1 (en) 2016-10-12
CN104790173A (zh) 2015-07-22
EP2896733A1 (en) 2015-07-22
US9963816B2 (en) 2018-05-08
US20150204002A1 (en) 2015-07-23
CN104790173B (zh)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885B1 (ko) 세탁장치
EP2826907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9752266B2 (en) Supporting structure of tub for a laundry machine
US9051678B2 (en) Laundry machine
KR101689604B1 (ko) 세탁장치
US20120006067A1 (en) Laundry machine
KR20100129157A (ko) 세탁장치
KR101698854B1 (ko) 세탁장치의 제조방법
US20120104912A1 (en) Laundry machine
KR20150087030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조립방법
KR101660729B1 (ko) 세탁장치
KR20100129169A (ko) 세탁장치
EP2435610B1 (en) Laundry machine
KR102229974B1 (ko) 세탁장치
KR101854824B1 (ko) 미니 드럼세탁기
KR20100129178A (ko) 세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