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023A - 감성음성 합성장치,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감성음성 합성장치,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023A
KR20150087023A KR1020140007381A KR20140007381A KR20150087023A KR 20150087023 A KR20150087023 A KR 20150087023A KR 1020140007381 A KR1020140007381 A KR 1020140007381A KR 20140007381 A KR20140007381 A KR 20140007381A KR 20150087023 A KR20150087023 A KR 20150087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tence
word
unit
emotion
probability v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2122B1 (ko
Inventor
김재민
양종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122B1/ko
Priority to US15/110,034 priority patent/US9881603B2/en
Priority to PCT/KR2014/008711 priority patent/WO2015111818A1/en
Publication of KR20150087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10L13/10Prosody rules derived from text; Stress or into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33Voice editing, e.g. manipulating the voice of the synthesiser
    • G10L13/0335Pitch contro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6Elementary speech units used in speech synthesisers; Concatenation rules
    • G10L13/07Concatenation ru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10L13/10Prosody rules derived from text; Stress or intonation
    • G10L2013/105D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감성 음성 합성 장치 및 이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가 본 발명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음성 합성 장치는, 입력된 문장을 인식하는 문장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문장의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에 대한 확률벡터를 계산하고,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상기 단어별로 감성 및 운율을 추정하는 단어 감성 판단부와, 감성 음성 합성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감성 음성 합성부는,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단어의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를 단계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유사 정도와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각 단어에 대응되는 음소 후보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음소 후보 중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 후보를 선택하여, 최적의 단위로 상기 인식된 문장에 대응되는 감성 음성을 합성한다.

Description

감성음성 합성장치,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양한 감성이 표현된 음성을 합성하는 것이 가능한 감성음성 합성장치,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 등으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서 인간의 다양한 감성이 표현된 음성 합성 기능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종래, 음성 합성 기술은 디바이스의 발전과 함께 소용량의 합성기술에서 제공하기 못한 명료한 합성음을 제공하기 위해 점점 대용량의 합성기술로 발전해왔다. 또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을 표현해주는 합성기술로 발전해왔다.
그러나, 종래에는 하나의 문장을 하나의 감성으로 음성 합성하거나, 또는 특정 단어에 대해 획일적인 감성을 표현하여 음성 합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감성을 자연스럽게 표현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장단위가 아닌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의 확률벡터를 계산하고, 계산된 확률벡터와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선택가능한 음소 후보들에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최적의 단위로 감성 음성을 합성하는 것이 가능한 감성음성 합성장치,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음성 합성장치는, 입력된 문장을 인식하는 문장인식부와; 상기 인식된 문장의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에 대한 확률벡터를 계산하고,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상기 단어별로 감성 및 운율을 추정하는 단어 감성 판단부와;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단어의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를 단계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유사 정도와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각 단어에 대응되는 음소 후보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음소 후보 중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 후보를 선택하여, 최적의 단위로 상기 인식된 문장에 대응되는 감성 음성을 합성하는 감성 음성 합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음성 합성부에 의해 합성된 감성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식된 문장을 분석하여, 언어적 특성에 따라 음소 기반으로 변환하는 음소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는, 상기 음소 기반으로 변환된 문장의 각 단어에 대하여 미리정의된 감성의 확률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는, 상기 확률벡터의 계산시, 실제 환경에서 사용되는 각 단어의 감성 확률벡터의 가중치를 더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는, 상기 확률벡터의 계산시, 반복된 확률벡터의 계산을 통해 학습된 결과를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는,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확률벡터의 최종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는, 상기 단어별 운율 추정시,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통합된 하나의 운율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문맥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 단어에 대하여, 적어도 복수의 미리정의된 감성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분류하여 감성 단어 사전으로 저장하는 감성 단어 사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은, 입력된 문장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문장의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에 대한 확률벡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상기 단어별로 감성 및 운율을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단어의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를 단계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유사 정도와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각 단어에 대응되는 음소 후보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와; 가중치가 적용된 음소 후보 중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 후보를 선택하여, 최적의 단위로 상기 인식된 문장에 대응되는 감성 음성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동작방법은, 상기 합성된 감성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된 문장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문장을 분석하여, 언어적 특성에 따라 음소 기반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확률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확률벡터의 계산시, 실제 환경에서 사용되는 각 단어의 감성 확률벡터의 가중치를 더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감성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문장의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에 대한 확률벡터를 계산하고, 확률벡터를 기초로 단어별로 감성 및 운율을 추정하고,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단어의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를 단계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유사 정도와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각 단어에 대응되는 음소 후보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음소 후보 중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 후보를 선택하여, 최적의 단위로 상기 인식된 문장에 대응되는 감성 음성을 합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음성 합성부에 의해 합성된 감성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문장을 텍스트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 변환된 문장을 상기 감성 음성의 출력과 일치되는 속도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문장을 분석하여, 언어적 특성에 따라 음소 기반으로 변환하는 음소변환모듈과; 상기 단어별 운율 추정시,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통합된 하나의 운율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문맥정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률벡터의 계산시, 실제 환경에서 사용되는 각 단어의 감성 확률벡터의 가중치를 더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률벡터의 계산시, 반복된 확률벡터의 계산을 통해 학습된 결과를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확률벡터의 최종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문맥정보는, 문장의 끊어읽기 정보, 품사정보, 및 문장 구조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 단어에 대하여, 적어도 복수의 미리정의된 감성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분류하여 감성 단어 사전으로 저장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문장단위가 아닌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의 확률벡터를 계산하고, 계산된 확률벡터와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선택가능한 음소 후보들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음소 후보들 중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를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단위로 감성 음성을 합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나의 문장에서 다양한 감성들을 자연스럽게 표현된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감성음성 합성장치에서 문장의 단어별로 감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음성 합성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b 및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음성 합성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어별로 감성을 판단하여 통합된 감성 운율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장의 문맥정보와 감성의 확률벡터에 기초하여 합성할 음소 후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음성 합성장치(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장 인식부(20)와, 단어 감성 판단부(30)와, 감성 음성 합성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2는 문장의 단어별로 감성을 판단하는 단어 감성 판단부(3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연결된 감성 단어 데이터베이스(60)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에는 하나의 문장에 대해 하나의 감성으로 음성을 합성하였다. 예를 들어, '안타깝지만 좋은 일도 있겠죠, 힘내세요!' 라는 문장의 경우, 기쁜감성 TTS(Text-To-Speeach)로 음성합성 및 출력하여, 하나의 문장에 다양한 감성을 자연스럽게 표현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하에 보다 자세히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문장에 대해 단어별로 적절한 감성이 표현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위의 예시 문장에서, '안타깝지만'은 슬픈감성TTS(Text-To-Speeach)로, '좋은'은 기쁜감성TTS(Text-To-Speeach)로, '일도'와 '있겠죠'는 기쁜감성TTS(Text-To-Speeach)로, '힘내세요!'는 사랑감성TTS(Text-To-Speeach)로 음성합성 및 출력할 수 있으며, 각 단어간의 감성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합성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의 구체적인 기능 및 동작은 이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감성음성 합성장치(5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스마트 폰 등과 같은 클라이언트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감성 음성합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감성음성 합성장치(50)는 전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비한 전자기기,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감성음성 합성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음성 합성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b 및 3c는 그러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촬영부(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촬영부(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다른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또는 기저장된 단어에 대하여, 적어도 복수의 미리정의된 감성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분류하여 감성 단어 사전으로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3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3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입력부(12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 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촬영부(121)는 카메라 센서의 일종으로, 이러한 카메라 센서는, 카메라, 포토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촬영부(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세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 b 및 3 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3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3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3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3a, 123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3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3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은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3a)와 윈도우(153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3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3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3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3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3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3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3b)는 제1카메라(123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3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3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3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3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3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3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를 포함할 수 있다. MSC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및 BSCs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 및 적어도 하나의 BS를 합하여 '기지국'이라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 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3a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이 연계될 수 있다. 상기 위성(30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음성 합성장치(50)는, 문장이 입력되면(10), 문장 인식부(20)를 통해 상기 입력된 문장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성음성 합성장치(50)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문장 인식부(20)를 통해 인식된 문장을 분석하여, 언어적 특성에 따라 음소 기반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소 기반으로 변환된 문장의 각 단어를, 단어 감성 판단부(30)에 출력한다.
그리고, 단어 감성 판단부(30)는 인식된 문장의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에 대한 확률벡터를 계산하고, 계산된 확률벡터를 기초로 문장의 단어별로 감성 및 운율을 추정한다.
또한,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30)는, 확률벡터의 계산시, 실제 환경에서 사용되는 각 단어의 감성 확률벡터의 가중치를 더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수학식 1은 이와 같이 실제 감성 환경을 반역한 확률벡터의 계산 방법을 보여주는 함수이다.
[수학식 1]
Pei(x) = Wi(x)Pdbi(x)
여기서, Pei(는 확률벡터값을, x는 입력된 단어를 나타내고, i=1~n이고, ㄸ한 여기서 n은 각 단어에 대한 감성개수를 나타낸다. 또한, Pdbi는 데이터에비스(DB) 환경에서의 감성 확률벡터를 의미하며, Wi는 실제환경에서의 감성 확률벡터의 가중치를 의미하다.
또한,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30)는, 확률벡터의 계산시, 반복된 확률벡터의 계산을 통해 학습된 결과를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30)는, 동일한 단어라도 확률벡터의 계산시점에 따라, 서로 다른 감성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30)는, 문장 인식부(20)를 통해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에 근거하여, 확률벡터의 최종값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문맥정보란, 문장의 끊어읽기 정보, 품사정보, 및 문장 구조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수학식 2는, 이와 같이 문장의 문맥정보에 근거하여 재조정된 확률벡터의 최종값을 구하기 위한 함수이다.
[수학식 2]
Pemi(x) = f(Pei(x))
여기서, Pemi는 조정된 확률벡터의 최종값이고, Pei는 추정된 확률벡터 값이고, f()는 문장의 문맥정보를 이용한 확률 조정 함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단어 감성 판단부(30)에서 문장의 단어별로 감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어 감성 판단부(30)는, 문장의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에 대한 확률벡터를 계산한 결과, 대응되는 감성 단어를 감성 단어 데이터베이스(60)(이하에서는, '감성 단어 사전부' 또는 '메모리'로 명명될 수 있다)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감성 단어 데이터베이스(60)는, 각 단어에 대하여, 복수의 미리정의된 감성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분류한 감성 단어 사전을 저장할 수 있다.
감성은 자극이나 자극의 변화를 느끼는 성질로서, 놀람, 공포, 혐오, 노여움, 기쁨, 행복, 슬픔 등과 같은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그런데, 동일한 자극에 대해서도 개인마다 느끼는 감성이 다를 수 있으며, 감성의 강도 또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질을 감안하여 상기 감성 단어데이터베이스(60)는, 각 단어에 대하여 각각의 감성 클래스를 분류하고, 분류된 감성 클래스에 대한 유사성, 긍정/부정성, 감성의 강도 등을 분류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감성 클래스란, 기쁨, 슬픔, 만족, 그리움, 행복 중립 등과 같은 인간의 내적 감정상태들을 분류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감성 클래스의 개수는 분류 가능한 감성의 종류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유사성은 해당 단어와 감성 클래스의 항목 간의 유사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감성 강도는 해당 단어의 속성 중 감성에 대한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유사성과 감성 강도는 일정한 수치범위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맥 정보 필드(35)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단어별로 운율을 추정할 때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하여 통합된 하나의 운율 모델을 생성한다. 여기서, 통합된 하나의 운율 모델을 생성한다는 것은, 단어별로 판단된 감성마다 별도의 운율 모델을 추정하는 것이 아니라,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하나의 통합된 운율 모델을 추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계속해서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감성 음성 합성부(40)는,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상호 인접한 단어의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를 단계적으로 산출한다. 그에 따라, 단어별로 추정된 감성은 최대한 맞추면서 단어와 단어간의 연결이 자연스럽게 느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성 음성 합성부(40)는, 단어간의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와 단어 감성 판단부(30)에 의해 계산된 확률벡터를 기초로 각 단어에 대응되는 음소 후보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사랑'이라는 단어는 'ㅅ, ㅏ, ㄹ, ㅏ, ㅇ'의 음소들로 이루어지며, 각 음소마다 서로 다른 감성을 갖는 음소 후보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감성 음성 합성부(40)는 단어 감성 판단부(30)에 의해 판단된 감성과 인접한 단어 및 문장 전체의 문맥을 기초로 'ㅅ, ㅏ, ㄹ, ㅏ, ㅇ'에서 각 음소마다 서로 다른 감성을 갖는 음소 후보들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그러면, 상기 감성 음성 합성부(40)는, 이와 같이 가중치가 부여된 음소 후보들에서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 후보를 선택한다. 이하의 수학식 3은 음소 후보들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을 계산하기 위한 함수이다.
[수학식 3]
ECostij(x) = Wij(x)Cost(x)
여기서, ECostij는 각 후보 음소에 대한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고, i,j=1~n이고, 여기서 n는 감성개수를 나타낸다. 또한, W는 감성 확률벡터의 가중치로서, Wi는 추정된 감성의 확률벡터의 가중치이고, Wj는 데이터베이스(DB)의 감성의 확률벡터의 가중치를 의미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감성 음성 합성부(40)는, 최적의 단위로 상기 인식된 문장에 대응되는 감성 음성을 합성한다.
이와 같이 합성된 감성 음성은, 감성음성 합성장치내에 구비된 또는 외부에 별도 구비된 감성 음성 출력부(7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 음성 합성 장치에 의하면,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다양한 감성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표현된 음성을 합성 및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의 흐름도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음성 합성장치(50, 도 1)는, 입력된 문장을 인식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410).
그런 다음, 인식된 문장의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에 대한 확률벡터를 계산한다(S420).
계속해서, 계산된 확률벡터를 기초로 문장의 단어별로 감성 및 운율을 추정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430).
이와 같이 단어별로 감성 및 운율이 추정되면, 문장의 문맥 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단어의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를 단계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유사 정도와 계산된 확률벡터를 기초로 각 단어에 대응되는 음소 후보에 가중치를 적용한다(S440).
그리고, 가중치가 적용된 음소 후보 중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 후보를 선택하여, 최적의 단위로 상기 인식된 문장에 대응되는 감성 음성을 합성한다(S450).
이하에서는, 문장의 단어별로 감성 및 운율을 추정하는 과정의 예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어별로 감성을 판단하여 통합된 감성 운율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흐름도이다.
먼저, 입력된 문장을 인식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510). 그리고, 인식된 문장을 분석하여, 언어적 특성에 따라 음소 기반으로 변환한다(520).
즉, 음소 변환부(미도시)는 문장의 구문분석을 통해 분석된 언어적 특성에 따라, 인식된 문장을 정의된 음소 기반의 형태로 변환하게 된다. 여기서, 언어적 특성이란 예를 들어, 한국어의 경우, 구문이 주어, 목적어, 동사, 조사, 부사 등이 있으며, 나열하는 순서가 있는데 이를 언어적 특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영어, 일본어, 불어, 중국어 등 모든 언어가 각 나라의 언어마다 언어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상기 정의된 형태는 언어의 형태소로 구분하는 것을 의미하며, 형태소는 언어에서 뜻을 가진 최소의 단위이다.
예를 들어, '나랑 내일 만나자’라는 문장은 '나’+ '랑', '내일’+‘만나’+‘자'로 형태소 구분이 된다. 이와 같이, 형태소로 구분한 후, 문장 성분을 분석하는데, 예를 들어 ‘나’= 대명사, ‘랑’=조사, ‘내일’=명사 등과 같이 명사, 조사, 부사, 형용사, 동사 등으로 문장 성분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음소 변환부(미도시)는 문장 특성에 따라 선택된 최적의 음소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최적의 음소들을 연결하여 합성할 때, 그 길이와 피치가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문장 특성이란, 연음법칙, 구개음화와 같은 문장을 발음으로 변환할 때 적용되는 법칙 즉, 문자로 표현하는 표현기호와 발음기호가 달라지는 언어 규칙을 의미한다.
그런 다음, 음소 기반으로 변환된 문장의 각 단어에 대하여 미리정의된 감성의 확률벡터를 계산한다(S530). 또한, 상기 확률벡터에 실제 환경에서 사용되는 각 단어의 감성 확률벡터의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확률벡터의 최종값을 조절한다(S540).
계속해서, 최종 확률벡터의 값에 근거하여, 각 단어의 운율을 추정하고,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통합된 하나의 감성 운율 모델을 생성한다(S550). 이에 의하면, 문장단위가 아닌 단어별로 감성의 확률벡터를 계산하여서,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고려하여 각 단어의 자연스러운 감성 및 운율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운율은, 동일한 단어에 대하여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운율이란, 음성 중에서 발화(發話) 내용을 나타내는 음운 정보 이외의 억양(intonation)이나 강세(accent) 등을 말하며, 소리의 크기(에너지), 소리의 높이(주파수), 소리의 길이(지속시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운율이란, 피치, 음성의 크기, 음절의 길이(지속시간) 등의 음성학적 변화 측면의 신호적인 특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운율을 모델링하기 위해 운율 전사 규약인 한국어 TOBI를 사용할 수 있다. 한국어 TOBI에는 다양한 톤과 경계색인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단순화하여 억양 구(Intonational Phrase)의 경계 톤 4가지(L%,H%, HL%, LH%), 악센트 구(Accentual Phrase)의 경계 톤 2가지(La, Ha)와 운율 경계 3가지(B0-경계없음, B2-소운율 경계, B3-대운율 경계)만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운율 경계는 문장의 운율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잘못 추정되었을 경우 본래 문장이 가지는 의미가 바뀔 수 있으므로 TTS 시스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문장의 문맥정보와 감성의 확률벡터에 기초하여 최적의 단위로 감성 음성을 합성하는 과정의 예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장의 문맥정보와 감성의 확률벡터에 기초하여 합성할 음소 후보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흐름도이다.
먼저, 도 5에서 생성된 통합된 감성 운율 모델을 기초로,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고려하여, 서로 인접한 단어의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를 단계적으로 계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610).
계속해서,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와 각 단어의 감성 확률벡터에 따라, 대응되는 음소 후보들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한다(S620). 그런 다음, 모든 음소 후보들에 대해 가중치가 적용될 때까지 상기 단계(S620)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630).
그런 다음, 가중치가 적용된 음소 후보 중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 후보를 선택하여, 최적의 단위로 상기 인식된 문장에 대응되는 감성 음성을 합성한다(S640). 최적의 합성단위는 비용함수(cost function)에 근거한 비터비 탐색(Viterbi search)을 통해 가중 거리가 가까운 음소 후보를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목표 피치(pitch)와 지속시간(음의 길이)이 최소가 되고,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 후보란, 추정된 감성 확률벡터에 가까우면서, 합성될 음소들의 연결이 보다 자연스럽게 되는 음소 후보들을 의미한다. 즉, 인식된 문장에서 감성 변화가 다양해지면서 그러한 감성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음소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인식된 문장에 대응되는 감성 음성이 합성되면, 합성된 감성 음성을 출력한다(S650).
이에 의하면, 계산된 확률벡터와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선택가능한 음소 후보들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음소 후보들 중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를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단위로 감성 음성을 합성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음성 합성기술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 도 3a)는 입력부(120, 도 3a)를 통해 감성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180, 도 3a)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인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인식된 문장을 분석하여, 언어적 특성에 따라 음소 기반으로 변환하는 음소변환모듈(미도시)과, 단어별 운율 추정시,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통합된 하나의 운율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문맥정보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인식된 문장의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에 대한 확률벡터를 계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70, 도 3a)로부터 계산된 확률벡터에 대응되는 감성 단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모리(170)는 각 단어에 대하여, 적어도 복수의 미리정의된 감성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분류된 감성 단어 사전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확률벡터의 계산시, 상기 제어부(180)는, 실제 환경에서 사용되는 각 단어의 감성 확률벡터의 가중치를 더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확률벡터의 계산시, 반복된 확률벡터의 계산을 통해 학습된 결과를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확률벡터의 최종값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문맥정보란, 문장의 끊어읽기 정보, 품사정보, 및 문장 구조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부(180)는, 계산된 확률벡터를 기초로 문장의 단어별로 감성 및 운율을 추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단어의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를 단계적으로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유사 정도와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각 단어에 대응되는 음소 후보에 가중치를 적용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부(180)는 가중치가 적용된 음소 후보 중에서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 후보를 선택한다. 그리고, 최적의 단위로 상기 인식된 문장에 대응되는 감성 음성을 합성한다.
이와 같이 합성된 감성 음성은 이동 단말기(100)의 음향 출력부(152, 도 3a)를 통해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인식된 문장을 텍스트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텍스트 변환된 문장을 상기 감성 음성의 출력과 일치되는 속도로 디스플레이부(151, 도 3a)에 출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성음성 합성장치,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문장단위가 아닌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의 확률벡터를 계산하고, 계산된 확률벡터와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선택가능한 음소 후보들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음소 후보들 중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를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단위로 감성 음성을 합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나의 문장에서 다양한 감성들을 자연스럽게 표현된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입력된 문장을 인식하는 문장인식부;
    상기 인식된 문장의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에 대한 확률벡터를 계산하고,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상기 단어별로 감성 및 운율을 추정하는 단어 감성 판단부; 및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단어의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를 단계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유사 정도와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각 단어에 대응되는 음소 후보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음소 후보 중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 후보를 선택하여, 최적의 단위로 상기 인식된 문장에 대응되는 감성 음성을 합성하는 감성 음성 합성부를 포함하는 감성음성 합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합성부에 의해 합성된 감성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음성 합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문장을 분석하여, 언어적 특성에 따라 음소 기반으로 변환하는 음소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는, 상기 음소 기반으로 변환된 문장의 각 단어에 대하여 미리정의된 감성의 확률벡터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음성 합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는,
    상기 확률벡터의 계산시, 실제 환경에서 사용되는 각 단어의 감성 확률벡터의 가중치를 더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음성 합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는,
    상기 확률벡터의 계산시, 반복된 확률벡터의 계산을 통해 학습된 결과를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음성 합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는,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확률벡터의 최종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음성 합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 감성 판단부는,
    상기 단어별 운율 추정시,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통합된 하나의 운율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문맥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음성 합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각 단어에 대하여, 적어도 복수의 미리정의된 감성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분류하여 감성 단어 사전으로 저장하는 감성 단어 사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음성 합성장치.
  9. 입력된 문장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문장의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에 대한 확률벡터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상기 단어별로 감성 및 운율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단어의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를 단계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유사 정도와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각 단어에 대응되는 음소 후보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및
    가중치가 적용된 음소 후보 중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 후보를 선택하여, 최적의 단위로 상기 인식된 문장에 대응되는 감성 음성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된 감성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문장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인식된 문장을 분석하여, 언어적 특성에 따라 음소 기반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확률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확률벡터의 계산시, 실제 환경에서 사용되는 각 단어의 감성 확률벡터의 가중치를 더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13. 감성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문장의 단어별로 미리정의된 감성에 대한 확률벡터를 계산하고, 확률벡터를 기초로 단어별로 감성 및 운율을 추정하고,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인접한 단어의 감성 및 운율의 유사 정도를 단계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유사 정도와 상기 확률벡터를 기초로 각 단어에 대응되는 음소 후보에 가중치를 적용하고, 가중치가 적용된 음소 후보 중 목표 피치, 지속시간, 목표 피치 곡선(pitch contour)의 거리값이 최소가 되는 음소 후보를 선택하여, 최적의 단위로 상기 인식된 문장에 대응되는 감성 음성을 합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음성 합성부에 의해 합성된 감성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문장을 텍스트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 변환된 문장을 상기 감성 음성의 출력과 일치되는 속도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문장을 분석하여, 언어적 특성에 따라 음소 기반으로 변환하는 음소변환모듈과;
    상기 단어별 운율 추정시,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를 기초로 통합된 하나의 운율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문맥정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률벡터의 계산시, 실제 환경에서 사용되는 각 단어의 감성 확률벡터의 가중치를 더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률벡터의 계산시, 반복된 확률벡터의 계산을 통해 학습된 결과를 반영하도록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문장의 문맥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확률벡터의 최종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문맥정보는, 문장의 끊어읽기 정보, 품사정보, 및 문장 구조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3항에 있어서,
    각 단어에 대하여, 적어도 복수의 미리정의된 감성을 포함하는 항목으로 분류하여 감성 단어 사전으로 저장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40007381A 2014-01-21 2014-01-21 감성음성 합성장치,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22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381A KR102222122B1 (ko) 2014-01-21 2014-01-21 감성음성 합성장치,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US15/110,034 US9881603B2 (en) 2014-01-21 2014-09-18 Emotional-speech synthesizing devic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PCT/KR2014/008711 WO2015111818A1 (en) 2014-01-21 2014-09-18 Emotional-speech synthesizing device,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381A KR102222122B1 (ko) 2014-01-21 2014-01-21 감성음성 합성장치,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23A true KR20150087023A (ko) 2015-07-29
KR102222122B1 KR102222122B1 (ko) 2021-03-03

Family

ID=53681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381A KR102222122B1 (ko) 2014-01-21 2014-01-21 감성음성 합성장치,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81603B2 (ko)
KR (1) KR102222122B1 (ko)
WO (1) WO2015111818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49953A1 (en) * 2014-04-15 2017-08-31 Speech Morphing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emplary morphing computer system background
CN107705782A (zh) * 2017-09-29 2018-02-1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确定音素发音时长的方法和装置
KR20190108523A (ko) * 2019-05-13 2019-09-24 윤준호 음성신호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정분석을 제공하는 감성일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CN110288973A (zh) * 2019-05-20 2019-09-27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语音合成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0145439A1 (ko) * 2019-01-11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정 정보 기반의 음성 합성 방법 및 장치
WO2020190050A1 (ko) * 2019-03-19 2020-09-24 휴멜로 주식회사 음성 합성 장치 및 그 방법
WO2020218635A1 (ko) * 2019-04-23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을 이용한 음성 합성 장치, 음성 합성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20230924A1 (ko) * 2019-05-15 202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을 이용한 음성 합성 장치, 음성 합성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2580366A (zh) * 2020-11-30 2021-03-30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情绪识别方法以及电子设备、存储装置
CN113449087A (zh) * 2020-03-25 2021-09-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761186A (zh) * 2021-01-19 2021-12-07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文本情感分类方法和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71993B2 (en) 2013-03-14 2022-03-08 Aperture Investments, Llc Streaming music categorization using rhythm, texture and pitch
US10623480B2 (en) 2013-03-14 2020-04-14 Aperture Investments, Llc Music categorization using rhythm, texture and pitch
US10061476B2 (en) 2013-03-14 2018-08-28 Aperture Investment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earching, organizing, selecting and distributing content based on mood
US10242097B2 (en) * 2013-03-14 2019-03-26 Aperture Investments, Llc Music selection and organization using rhythm, texture and pitch
US10225328B2 (en) 2013-03-14 2019-03-05 Aperture Investments, Llc Music selection and organization using audio fingerprints
US20220147562A1 (en) 2014-03-27 2022-05-12 Aperture Investments, Llc Music streaming, playlist creation and streaming architecture
US10332520B2 (en) * 2017-02-13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speech generation
US10170100B2 (en) * 2017-03-24 2019-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nsor based text-to-speech emotional conveyance
US20200286603A1 (en) * 2017-09-25 2020-09-1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Mood sensitive, voice-enabled medical condition coaching for patients
CN110720104B (zh) * 2017-10-09 2021-11-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信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7808655B (zh) * 2017-10-27 2021-02-12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音频信号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0565994B2 (en) * 2017-11-30 2020-02-18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lligent human-machine conversation framework with speech-to-text and text-to-speech
US10621983B2 (en) * 2018-04-20 2020-04-14 Spotify Ab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responsiveness to utterances having detectable emotion
US10622007B2 (en) * 2018-04-20 2020-04-14 Spotify Ab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responsiveness to utterances having detectable emotion
US10860807B2 (en) * 2018-09-14 2020-12-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channel customer sentiment determination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1192568B (zh) * 2018-11-15 2022-12-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合成方法及语音合成装置
US11670292B2 (en) 2019-03-29 2023-06-06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1862984B (zh) * 2019-05-17 2024-03-29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信号输入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0390015B (zh) * 2019-07-23 2022-03-22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信息处理方法、装置及系统
JPWO2021106080A1 (ko) * 2019-11-26 2021-06-03
CN110933330A (zh) * 2019-12-09 2020-03-27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视频配音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899717A (zh) * 2020-07-29 2020-11-06 北京如影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回复方法及装置
CN112185389B (zh) * 2020-09-22 2024-06-18 北京小米松果电子有限公司 语音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2151005B (zh) * 2020-09-28 2022-08-19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中英文混合的语音合成方法及装置
CN112489620B (zh) * 2020-11-20 2022-09-09 北京有竹居网络技术有限公司 语音合成方法、装置、可读介质及电子设备
EP4254401A4 (en) * 2021-02-17 202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3192483B (zh) * 2021-03-22 2024-02-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文本转换为语音的方法、装置、存储介质和设备
CN113257218B (zh) * 2021-05-13 2024-01-30 北京有竹居网络技术有限公司 语音合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241095B (zh) * 2021-06-24 2023-04-11 中国平安人寿保险股份有限公司 通话情绪实时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O2023102929A1 (zh) * 2021-12-10 2023-06-15 清华大学深圳国际研究生院 音频合成方法、电子设备、程序产品及存储介质
CN114242045A (zh) * 2021-12-20 2022-03-25 山东科技大学 一种自然语言对话系统意图深度学习方法
CN114089642B (zh) * 2022-01-24 2022-04-05 慕思健康睡眠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系统的数据交互方法及系统
US20230252972A1 (en) * 2022-02-08 2023-08-10 Snap Inc. Emotion-based text to speec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021A (ko) * 2001-03-09 2002-12-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음성 합성 장치
KR20120044809A (ko) * 2010-10-28 2012-05-08 (주)엠씨에스로직 감성적 음성합성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262096A1 (en) * 2011-09-23 2013-10-03 Lessac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aligning expressive speech utterances with text and system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4282A (ja) 1999-07-21 2001-02-09 Konami Co Ltd 音声合成方法、音声合成のための辞書構築方法、音声合成装置、並びに音声合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媒体
EP1256931A1 (en) * 2001-05-11 2002-11-13 Sony France S.A.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synthesis and robot apparatus
US7401020B2 (en) * 2002-11-29 2008-07-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lication of emotion-based intonation and prosody to speech in text-to-speech systems
DE60215296T2 (de) 2002-03-15 2007-04-05 Sony France S.A.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prachsyntheseprogramm, Aufzeichnungsmediu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Zwangsinformation und Robotereinrichtung
US7881934B2 (en) * 2003-09-12 2011-02-01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the voice prompt of an interactive system based upon the user's state
US8886538B2 (en) * 2003-09-26 2014-11-11 Nuance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ext-to-speech synthesis using spoken example
JP4661074B2 (ja) * 2004-04-07 2011-03-3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並びにロボット装置
US7983910B2 (en) * 2006-03-03 2011-07-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municating across voice and text channels with emotion preservation
BRPI0809759A2 (pt) * 2007-04-26 2014-10-07 Ford Global Tech Llc "sistema informativo emotivo, sistemas de informações emotivas, métodos de condução emotiva de informações, sistemas informativos emotivos para um veículo de passageiro e método implementado por computador"
CN101452699A (zh) * 2007-12-04 2009-06-10 株式会社东芝 韵律自适应及语音合成的方法和装置
US8954328B2 (en) * 2009-01-15 2015-02-10 K-Nfb Reading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ocument narration with multiple characters having multiple moods
US8682649B2 (en) * 2009-11-12 2014-03-25 Apple Inc. Sentiment prediction from textual data
US8412530B2 (en) * 2010-02-21 2013-04-02 Nice System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sentiment in automated transcriptions
CN102385858B (zh) * 2010-08-31 2013-06-05 国际商业机器公司 情感语音合成方法和系统
GB2505400B (en) * 2012-07-18 2015-01-07 Toshiba Res Europ Ltd A speech processing system
US9489679B2 (en) * 2012-10-22 2016-11-08 Douglas E. Mays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active query utilizing a simulated personality
GB2517503B (en) * 2013-08-23 2016-12-28 Toshiba Res Europe Ltd A speech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WO2015092936A1 (ja) * 2013-12-20 2015-06-25 株式会社東芝 音声合成装置、音声合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073830B2 (en) * 2014-01-10 2018-09-11 Cluep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automatic detection of feelings in tex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4021A (ko) * 2001-03-09 2002-12-1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음성 합성 장치
KR20120044809A (ko) * 2010-10-28 2012-05-08 (주)엠씨에스로직 감성적 음성합성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262096A1 (en) * 2011-09-23 2013-10-03 Lessac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aligning expressive speech utterances with text and systems therefor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8216B2 (en) * 2014-04-15 2018-06-26 Speech Morphing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emplary morphing computer system background
US20170249953A1 (en) * 2014-04-15 2017-08-31 Speech Morphing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emplary morphing computer system background
CN107705782A (zh) * 2017-09-29 2018-02-1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确定音素发音时长的方法和装置
WO2020145439A1 (ko) * 2019-01-11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정 정보 기반의 음성 합성 방법 및 장치
US11514886B2 (en) 2019-01-11 2022-11-29 Lg Electronics Inc. Emo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based text-to-speech (TTS) method and apparatus
KR20210103002A (ko) * 2019-01-11 2021-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정 정보 기반의 음성 합성 방법 및 장치
WO2020190050A1 (ko) * 2019-03-19 2020-09-24 휴멜로 주식회사 음성 합성 장치 및 그 방법
WO2020218635A1 (ko) * 2019-04-23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을 이용한 음성 합성 장치, 음성 합성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417313B2 (en) 2019-04-23 2022-08-16 Lg Electronics Inc. Speech synthesiz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 of operating speech synthesiz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90108523A (ko) * 2019-05-13 2019-09-24 윤준호 음성신호 기반 인공지능을 이용한 감정분석을 제공하는 감성일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US11227578B2 (en) 2019-05-15 2022-01-18 Lg Electronics Inc. Speech synthesiz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 of operating speech synthesizer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20230924A1 (ko) * 2019-05-15 2020-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을 이용한 음성 합성 장치, 음성 합성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0288973A (zh) * 2019-05-20 2019-09-27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语音合成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288973B (zh) * 2019-05-20 2024-03-29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语音合成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449087A (zh) * 2020-03-25 2021-09-2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449087B (zh) * 2020-03-25 2024-03-0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580366A (zh) * 2020-11-30 2021-03-30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情绪识别方法以及电子设备、存储装置
CN112580366B (zh) * 2020-11-30 2024-02-13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情绪识别方法以及电子设备、存储装置
CN113761186A (zh) * 2021-01-19 2021-12-07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文本情感分类方法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81603B2 (en) 2018-01-30
KR102222122B1 (ko) 2021-03-03
US20160329043A1 (en) 2016-11-10
WO2015111818A1 (en)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122B1 (ko) 감성음성 합성장치, 감성음성 합성장치의 동작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N110288077B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合成说话表情的方法和相关装置
CN108461082B (zh) 控制执行多语音处理的人工智能系统的方法
US10462568B2 (en) Terminal and vehicle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using machine learning
US11164581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device
KR101061443B1 (ko) 전자 기기,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기능 수행 방법
KR10146293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수정방법
KR10151361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음성 인식 방법
CN111524501B (zh) 语音播放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992927B (zh) 音频生成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计算设备
KR201500860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84320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70000722A (ko) 전자기기 및 그의 음성 인식 방법
KR2015010227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44475A (ko) 대명사가 가리키는 객체 판단 방법 및 장치
CN109686359B (zh) 语音输出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6009058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50815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2712788B (zh) 语音合成方法、语音合成模型的训练方法及装置
KR201500897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31754B1 (ko) 이동 단말기
CN111028823B (zh) 音频生成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计算设备
KR2016007263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25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200003529A (ko) 음성 인식이 가능한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