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455A -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455A
KR20150086455A KR1020150097802A KR20150097802A KR20150086455A KR 20150086455 A KR20150086455 A KR 20150086455A KR 1020150097802 A KR1020150097802 A KR 1020150097802A KR 20150097802 A KR20150097802 A KR 20150097802A KR 20150086455 A KR20150086455 A KR 20150086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payment
item
touch drag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지웅
정소연
송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97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6455A/ko
Publication of KR20150086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결제 수단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할인 쿠폰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쿠폰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멤버십 카드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멤버십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을 하는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의 제어방법은, 모바일 결제를 위해 상기 결제 수단 리스트, 상기 멤버십 리스트와, 상기 쿠폰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각 리스트의 세부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MOBILE PAYMENT REQUES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제 수단 리스트, 쿠폰 리스트, 멤버십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을 하는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는 경우 고객들은 현금으로 그 비용을 지불하기 보다는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신용카드 등은 현금보다는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각종 할인 혜택이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직접적인 결제 수단인 신용카드를 제외하고도 고객들은 할인혜택을 받거나 포인트 적립을 위해 멤버십 카드를 결제시 추가적으로 제시할 수 있고, 또한 소정의 할인 쿠폰을 보유한 경우에는 그 할인 쿠폰도 결제시 함께 제시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고객들은 신용카드나 멤버십 카드, 할인 쿠폰을 하나씩만 들고 다니는 것이 아니라 여러장씩을 소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멤버십 카드의 경우에는 할인 혜택이나 포인트 적립이 되는 매장이 서로 다르므로 여러장 소지하는 것이 보다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갑 등에 신용 카드나 멤버십 카드, 종이로 이루어진 할인 포인트를 여러 장 휴대하고 있는 것은 큰 불편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용카드, 멤버십 카드, 결제 쿠폰을 직접 소지하는 것이 아니라 스마트 폰에 저장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기술 역시 신용카드, 멤버십 카드, 할인 쿠폰을 매장에 각각 제시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즉, 여전히 고객들은 결제를 위해 신용카드를 제시하고, 필요한 멤버십 카드를 제시하며, 할인 쿠폰을 제시하는 행위를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즉, 신용카드만을 제시하는 것에 비해서 필요한 멤버십 카드를 제시하거나 할인 쿠폰을 추가로 제시하는 것은 결제시 번거롭게 하고 또한 시간도 더 많이 걸리게 하는 등 단점이 적지 않다.
공개특허 제10-2002-0065746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결제시 고객이 신용카드, 멤버십 카드, 할인 쿠폰을 순차적으로 제시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통합 결제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결제 수단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할인 쿠폰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쿠폰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멤버십 카드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멤버십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을 하는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는, 터치스크린과; 모바일 결제를 위해 상기 결제 수단 리스트, 상기 멤버십 리스트와, 상기 쿠폰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상에서의 터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부와; 상기 입력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각 리스트의 세부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통합 결제용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결제 수단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할인 쿠폰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쿠폰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멤버십 카드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멤버십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을 하는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는, 터치스크린과; 모바일 결제를 위해 상기 결제 수단 리스트, 상기 멤버십 리스트와, 상기 쿠폰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부와; 상기 입력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각 리스트의 세부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결제 처리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결제 처리 장치로 한 번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결제 수단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할인 쿠폰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쿠폰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멤버십 카드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멤버십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을 하는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의 제어방법은, 모바일 결제를 위해 상기 결제 수단 리스트, 상기 멤버십 리스트와, 상기 쿠폰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각 리스트의 세부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결제 수단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할인 쿠폰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쿠폰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멤버십 카드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멤버십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을 하는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의 제어방법은, 모바일 결제를 위해 상기 결제 수단 리스트, 상기 멤버십 리스트와, 상기 쿠폰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각 리스트의 세부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 결제 처리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결제 처리 장치로 한 번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은 매장 직원에게 한 번만 자신의 단말기를 제시하면 카드 결제는 물론이고, 멤버십 카드를 이용한 할인 또는 포인트 적립과, 할인 쿠폰을 이용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자신의 통신 단말기 화면상에 표시된 결제 수단 리스트, 쿠폰 리스트, 멤버십 리스트 중 간편하게 터치 드래그 입력만으로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의 세부 항목에 대응되는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터치 드래그 입력만으로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의 세부 항목에 대응되는 통합 결제 처리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결제 처리 장치로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에 적어도 하나의 리스트로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에서 사용자가 세로 방향의 터치 드래그 입력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에서 사용자가 가로 방향의 터치 드래그 입력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가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로써 QR 코드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의 제어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의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가 외부의 결제 처리 장치로 통합 결제 처리 신호를 전소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의 기능 블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는 저장부(160), 터치스크린(110), 표시 제어부(120), 입력 감지부(130), 통합 결제용 이미지 생성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부(160)에는 결제 수단 리스트, 쿠폰 리스트, 멤버십 리스트가 저장되어 있는데, 여기서 결제 수단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있는 리스트이고, 쿠폰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할인 쿠폰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리스트이며, 멤버십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멤버십 카드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리스트이다.
여기서 결제 수단 항목은 결제 금액을 지불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신용카드, 직불카드, 체크카드, 이체 계좌 등을 지칭할 수 있는데,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결제 수단 항목은 적어도 하나의 신용카드에 각각 대응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멤버십 카드 항목은 제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특정 가맹점과 연계되어 포인트를 적립하거나 할인 혜택을 고객들에 제공하는 카드에 해당할 수 있다.
할인 쿠폰 항목은 예를 들어 오프라인에서 발급되거나 온라인으로 발급된 할인 쿠폰을 지칭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디스플레이부와 터치 입력부가 함께 구비된 것으로서,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전력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될 수 있고, 터치 입력부는 디스플레이부의 윗면에 접촉 구비되는 터치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20)는 모바일 결제를 위해 결제 수단 리스트, 상기 멤버십 리스트와, 쿠폰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터치스크린(110)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표시 제어부(120)는 상기 언급한 3 개의 리스트를 모두 터치스크린(110)에 표시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결제 수단 리스트, 멤버십 리스트, 쿠폰 리스트가 표시된 예가 도 2(a)에 도시 되었다.
결제 수단 리스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 항목(일 예로 결제 신용 카드 이미지)이 표시되어 있고, 멤버십 리스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멤버십 카드 항목(일 예로 제휴 멤버십 카드 이미지)이 표시되어 있으며, 쿠폰 리스트에는 적어도 하나의 할인 쿠폰 항목(일 예로 온라인 할인 쿠폰 이미지)이 표시되어 있다.
입력 감지부(130)는 사용자의 터치스크린(110)상에서의 터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터치 드래그 입력이라는 것은 터치스크린(110)상의 특정 위치를 터치한 이후, 그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소정의 궤적을 그리는 입력을 의미한다.
앞서 언급한 표시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에 따라 화면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현재 터치스크린(110)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세부 항목 이외에 다른 세부 항목을 보기 위해서 터치 입력 후 좌우 방향으로 터치 드래그를 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2(b)에는 터치 드래그 이후 왼쪽으로 드래그를 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그에 따른 결과 화면은 도 2(c)에 나타나 있다.
이처럼 사용자의 좌우 방향의 터치 드래그에 따라 다른 세부 항목을 표시하는 것은 결제 수단 리스트, 멤버십 리스트, 쿠폰 리스트 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상술한 표시 제어부(120)는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각 리스트의 세부 항목을 다른 세부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각 리스트의 세부 항목을 다른 항목들보다 더 밝게 표시하거나 또는 해당 세부 항목 주변에 테두리가 나타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추출부(140)는 입력 감지부(130)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각 리스트의 세부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3(a)와 같이 현재 표시되고 있는 결제 수단 리스트의 세부 항목(212)을 터치한 후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여 멤버십 리스트의 세부 항목(222)을 경유하여 쿠폰 리스트의 세부 항목(233)에 도달하여 터치를 해제한 경우, 정보 추출부(140)는 그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결제 수단 리스트의 세부 항목(212)에 대한 정보, 멤버십 리스트의 세부 항목(222)에 대한 정보와, 쿠폰 리스트의 세부 항목(233)에 대한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술한 터치 드래그 경로는 터치 드래그 입력 시작 포인트, 터치 드래그 입력 종료 포인트는 물론이고, 터치 드래그 입력 시작 포인트와 터치 드래그 입력 종료 포인트 사이의 드래그 궤적에 대응되는 포인트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고, 정보 추출부(140)는 각 포인트에 대응되는 세부 항목에 대한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정보 추출부(140)에서 추출하는 결제 수단 리스트의 세부 항목(212)에 대한 정보는 결제를 위한 신용카드 번호일 수 있고, 멤버십 리스트의 세부 항목(222)에 대한 정보는 제휴 멤버십 카드 번호일 수 있으며, 쿠폰 리스트의 세부 항목(233)에 대한 정보는 할인 쿠폰 고유 번호일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세로 방향의 터치 드래그 입력을 일 예로 하였으나, 각 리스트가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도 4와 같이 가로 방향의 터치 드래그가 입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통합 결제용 이미지 생성부(150)는 정보 추출부(140)에서 추출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통합 결제용 이미지 생성부(150)는 정보 추출부(140)에서 추출한 신용카드 번호, 제휴 멤버십 카드 번호와, 할인 쿠폰 고유 번호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는 예를 들어 바코드나, QR(Quick Reference) 코드 등과 같이 소정의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도 5에는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의 일 예로써 정보 추출부(140)에서 추출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가 나타나 있다.
이처럼 신용카드 번호, 제휴 멤버십 카드 번호와, 할인 쿠폰 고유 번호를 모두 포함하는 QR 코드가 터치스크린(110) 상에 표시되는 경우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사용자는 이를 점원 등에게 제시하여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점원은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에 표시된 QR 코드를 포스 단말기에 연결된 스캐너로 읽게 되고, 포스 단말기는 한 번의 스캔만으로 그 QR 코드에 포함된 각 정보들 즉, 신용카드 번호, 제휴 멤버십 카드 번호와, 할인 쿠폰 고유 번호를 모두 획득하게 되는 것이다.
결제 카드, 멤버십 카드, 할인 쿠폰을 각각 별개로 제시하여 각각 스캔하는 종래의 번거로운 과정과 비교하면 상술한 본원발명에 따른 처리에 의해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함이 증대됨은 물론이고, 점원 입장에서도 신속하게 결제 처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포스 단말기 등이 통합 결제 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에서 각각의 세부 정보를 분리 및 획득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의 제어 흐름을 설명한다.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는 사용자가 결제 처리를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 결제 수단 리스트, 멤버십 리스트, 쿠폰 리스트를 하나의 화면에 표시한다(단계 S1).
예를 들어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는 도 3(a)와 같이 각 리스트를 세로 방향으로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의 세로 방향 터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단계 S3),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는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각 리스트의 세부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모두 추출한다(단계 S5).
즉,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는 결제 수단 리스트의 세부 항목들 중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세부 항목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멤버십 리스트의 세부 항목들 중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세부 항목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며, 쿠폰 리스트의 세부 항목들 중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세부 항목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어서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는 추출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QR코드 이미지를 생성하여 터치스크린(110)상에 표시한다(단계 S7).
이후 사용자는 그 표시된 QR코드 이미지를 점원 등에게 제시하여 결제가 한 번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사용자는 결제 카드, 멤버십 카드, 할인 쿠폰을 개별적으로 제시하는 대신에 한 번에 통합된 정보를 제시하므로 결제 과정이 간편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의 기능 블록도인데, 도 1과 비교할 때 통합 결제용 이미지 생성부(150)가 전송부(150')로 교체된 것만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 요소들의 기능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전송부(150')는 정보 추출부(140')에서 추출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결제 처리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결제 처리 장치로 한 번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송부(150')는 정보 추출부(140)에서 추출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결제 처리 데이터를 임시 저장해 놓고서, 외부와의 통신이 감지되는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NFC 태깅이 감지된 경우 그 임시 저장된 통합 결제 처리 데이터를 NFC 태깅이 이루어진 외부의 결제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8은 이러한 전송부(150')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장치가 외부의 결제 처리 장치에 해당하는 포스 단말기와 통신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결제 처리 장치가 세 개의 리스트 즉, 결제 수단 리스트, 멤버십 리스트, 쿠폰 리스트를 모두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세 개의 리스트 중 두 개의 리스트만을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결제 처리 장치는 결제 수단 리스트와 쿠폰 리스트만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고, 이때 결제 처리 장치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터치 드래그 입력을 하여 결제 수단 리스트에 포함된 결제 수단 항목과 쿠폰 리스트에 포함된 할인 쿠폰 항목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결제 처리 장치는 터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선택된 결제 수단 항목에 대한 정보와 할인 쿠폰 항목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통합 결제 처리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10,110' : 터치스크린 120,120' : 표시 제어부
130,130' : 입력 감지부 140,140' : 정보 추출부
150 : 통합 결제용 이미지 생성부
150' : 전송부 160,160' : 저장부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결제 수단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할인 쿠폰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쿠폰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멤버십 카드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멤버십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을 하는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모바일 결제를 위해 상기 결제 수단 리스트, 상기 멤버십 리스트와, 상기 쿠폰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와;
    (b)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각 리스트의 세부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 인식장치를 통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가맹점 단말기에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생성한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상기 터치 드래그 경로는 터치 드래그 입력 시작 포인트, 터치 드래그 입력 종료 포인트, 상기 터치 드래그 입력 시작 포인트와 상기 터치 드래그 입력 종료 포인트 사이의 드래그 궤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4.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결제 수단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할인 쿠폰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쿠폰 리스트, 적어도 하나의 멤버십 카드 항목을 세부 항목으로 가지는 멤버십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이용하여 결제 요청을 하는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에 있어서,
    터치스크린과;
    모바일 결제를 위해 상기 결제 수단 리스트, 상기 멤버십 리스트와, 상기 쿠폰 리스트 중 적어도 어느 두 개의 리스트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사용자의 상기 터치스크린상에서의 터치 드래그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 감지부와;
    상기 입력 감지부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해당 터치 드래그 경로 상에 위치한 각 리스트의 세부 항목에 대응되는 정보를 모두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와;
    상기 정보 추출부에서 추출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 인식장치를 통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가맹점 단말기에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생성한 통합 결제 다차원 코드 이미지를 표시하는 통합 결제용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드래그 경로는 터치 드래그 입력 시작 포인트, 터치 드래그 입력 종료 포인트, 상기 터치 드래그 입력 시작 포인트와 상기 터치 드래그 입력 종료 포인트 사이의 드래그 궤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KR1020150097802A 2015-07-09 2015-07-09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64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802A KR20150086455A (ko) 2015-07-09 2015-07-09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802A KR20150086455A (ko) 2015-07-09 2015-07-09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870A Division KR20150013368A (ko) 2013-07-25 2013-07-25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455A true KR20150086455A (ko) 2015-07-28

Family

ID=5387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802A KR20150086455A (ko) 2015-07-09 2015-07-09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64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5096B2 (en) Augmented reality card activation
AU2020203422B2 (en) Controlling access based on display orientation
US10127538B2 (en) Smart integrated point of sale system
US10223678B2 (en) Touch based asset transaction
AU2016203832A1 (e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systems and methods to generate mobile alerts
JPWO2016136110A1 (ja) 情報処理装置、精算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610220B1 (en) Payment using rewards points
KR102104576B1 (ko) 통합 결제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6941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kiosk or payment terminal-based touchless interactions using mobile electronic devices
KR102174567B1 (ko) 다수의 결제 아이템에 대한 결제 화면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593831B2 (en) Redeeming multiple redeemable codes in a single transaction
US2018015065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real-time feedback for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KR20150013368A (ko)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6455A (ko) 모바일 결제 요청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30125971A1 (en) Self-centering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information
KR20150005095A (ko) 통합 결제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30313898A1 (en) Augmented reality card activation
JP6852717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54469A1 (en) Store mobile terminal device, customer mobile terminal device,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240104546A1 (en) Store mobile terminal device, payment device, system,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70004943A (ko)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5816638B2 (ja) 接客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60171474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 Transaction
TWM519284U (zh) 一種多功能兌換行銷裝置
KR20150138442A (ko)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522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227

Effective date: 2019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