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943A -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943A
KR20170004943A KR1020160183662A KR20160183662A KR20170004943A KR 20170004943 A KR20170004943 A KR 20170004943A KR 1020160183662 A KR1020160183662 A KR 1020160183662A KR 20160183662 A KR20160183662 A KR 20160183662A KR 20170004943 A KR20170004943 A KR 20170004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yment
card
user
merch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진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943A/ko
Publication of KR2017000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9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사용자 식별정보, 보유카드 정보, 부가 결제 정보 및 카드 사용 조건을 저장된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가맹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결제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수신된 경우,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 및 적용 가능한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가맹점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결제요청정보 생성부;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결제 승인 내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가맹점 장치로 결제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요청정보 생성부는 상기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추천하고, 상기 목표 사용 금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 카드를 추천 카드로 선정하여, 추천 카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FFLINE PAYMENT SERVICE}
본 발명은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시,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플라스틱 카드 한 장만으로 본인이 보유한 모든 신용카드, 모바일 쿠폰, 멤버십 혜택, 가맹점 프로모션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라는 본연의 기능 외에도 다양한 휴대용 디지털 기기들(portable digital devices)(예컨대, 카메라, 엠피쓰리(MP3), 메모 기능 등)의 기능들을 부가기능으로 포함한 형태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위와 같은 부가기능 중 하나로 지갑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에게 항상 휴대되는 기기라는 특성에 기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기능이 개발되었다. 즉, 물품의 구매에 따른 결제 시 스마트 카드(smart card) 기반의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식의 신용결제와 신용카드 정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오프라인용 모바일 결제 수단은 인프라 확산 속도가 지지부진하여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USIM 내장형 모바일 카드를 포괄함)를 이용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NFC를 켜야 하고, 가맹점은 리더기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BLE(Bluetooth Low Energy)를 이용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를 켜야 하고, BLE 비콘류가 가맹점에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오프라인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결제 수단인 신용카드는 카드의 종류가 많고, 무슨 혜택이 있는지 알기 어려우며, 복합 결제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1: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2594호: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추천 결제 방법, 모바일 추천 결제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시,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플라스틱 카드 한 장만으로 본인이 보유한 모든 신용카드, 모바일 쿠폰, 멤버십 혜택, 가맹점 프로모션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하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플라스틱 카드를 분실한 경우에도 최종 결제 승인 행위를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장치에서 시행하도록 하여, 보안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식별정보, 보유카드 정보, 부가 결제 정보 및 카드 사용 조건을 저장된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가맹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결제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수신된 경우,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 및 적용 가능한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가맹점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결제요청정보 생성부;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결제 승인 내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가맹점 장치로 결제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사용 조건은 해택 우선 순위, 카드 우선순위, 및 카드별 목표 사용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요청정보 생성부는 상기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추천하고, 상기 목표 사용 금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 카드를 추천 카드로 선정하여, 추천 카드 정보를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다수의 카드 정보 또는 카드 사용 조건이 수신된 경우, 상기 카드 정보 또는 카드 사용조건을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요청 정보 생성부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용 패턴 잠금, PIN 번호 인증, 지문 인증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방식으로 결제처리되도록 푸시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는 상품명, 가맹점명, 결제금액, 상기 적용 가능한 부가혜택정보에서 선택된 부가혜택정보, 추천 카드 정보에서 선택된 카드정보, 프로모션 적용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오프라인에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시, 사용자의 카드를 읽어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정보, 결제금액,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가맹점 장치; 상기 결제 정보를 근거로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과 적용 가능한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가맹점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를 근거로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결제 승인 내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표시된 결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결제화면에서 승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결제 승인 내역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사용 조건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추천하고, 상기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설정된 목표 사용 금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 카드를 추천 카드로 선정하여, 추천 카드 정보를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에 제공된다.
상기 결제요청정보는 상품명, 가맹점명, 결제금액, 적용 가능한 부가혜택정보, 프로모션 정보, 추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품명, 가맹점명, 결제금액, 상기 적용 가능한 부가혜택정보에서 선택된 부가혜택정보, 상기 추천 카드 정보에서 선택된 카드정보, 프로모션 적용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승인 내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서비스 장치가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가맹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결제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수신된 경우,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가맹점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 사용 조건이 설정된 경우, 상기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금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 카드를 추천 카드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카드 정보를 상기 조회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결제 승인 내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가맹점 장치로 결제 완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방법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가맹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결제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수신된 경우,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가맹점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별 목표 사용 금액을 포함하는 카드 사용 조건이 설정된 경우, 상기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추천하고, 상기 목표 사용 금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 카드를 추천 카드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카드 정보를 상기 조회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결제 승인 내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가맹점 장치로 결제 완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가맹점 장치가 오프라인에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시, 사용자의 카드를 읽어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정보, 결제금액,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는 상기 결제 정보를 근거로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과 적용 가능한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가맹점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별 목표 사용 금액을 포함하는 카드 사용 조건이 설정된 경우, 상기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금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 카드를 추천 카드로 선정하고, 상기 추천 카드 정보 및 그 조회 결과를 근거로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표시된 결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결제화면에서 승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결제 승인 내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는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가맹점 장치로 결제 완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시,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플라스틱 카드 한 장만으로 본인이 보유한 모든 신용카드, 모바일 쿠폰, 멤버십 혜택, 가맹점 프로모션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플라스틱 카드를 분실한 경우에도 최종 결제 승인 행위를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장치에서 시행함으로써, 보안 수준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카드와 단말장치를 모두 분실한 경우에도 결제용 패턴 잠금, PIN 번호 인증, 지문 인증 등을 통해 단말장치에서 인증을 수행해야 하므로, 타인에 의해 도용될 가능성이 낮아 안전하다.
또한, 일반적인 플라스틱 신용카드 수준의 간편함을 원하는 사용자의 경우 결제 요청 내역이 도착할 때 패턴 잠금 해제나 원클릭만으로 결제 승인을 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적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화면의 예시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장치(100), 가맹점 장치(200), 서비스 장치(3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100)는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된 경우, 결제 요청 정보가 표시된 결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결제화면에서 승인 명령이 입력되면, 결제 승인 내역 정보를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한다. 즉, 단말장치(100)는 상품명, 가맹점명, 결제금액, 적용 가능한 부가혜택정보, 프로모션 정보, 추천 카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결제 요청 정보가 표시되는 결제 요청 정보 표시 영역, 승인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승인 명령 입력 영역으로 구성된 결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승인 명령 입력 영역은 스와이프(SWIPE) 방식, 결제용 패턴 잠금 방식, PIN 번호 방식 등의 다양한 인증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가맹점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구비한 단말로, 서비스 장치(3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도 가능하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패드, 랩톱(laptop) 컴퓨터, 태플릿(tablet) 컴퓨터 등의 모든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하다면 어느 특정한 단말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단말장치(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가맹점 장치(200)는 오프라인에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시, 사용자가 결제를 위해 제시한 카드를 읽어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된 사용자 정보, 결제금액,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등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카드 식별정보일 수 있고, 가맹점 정보는 가맹점 식별정보일 수 있으며, 상품정보는 구매한 상품명, 상품가격, 상품 수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맹점 장치(200)는 가맹점 직원이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로부터 넘겨받은 플라스틱 카드를 읽어 그 플라스틱 카드에 담겨있는 사용자 정보를 인식한다. 여기서, 플라스틱 카드는 사용자의 신원 인증용으로 사용되는 카드로, 신용카드, 체크카드, 멤버십 카드 등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있다면 어느 특정한 카드로 국한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가맹점 장치(200)는 가맹점에 설치된 POS(Point of sale), 신용카드 리더기,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리더기, 단말기(컴퓨터, 휴대폰, 스마트 폰 등)일 수 있다.
가맹점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서비스 장치(300)는 가맹점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정보, 결제금액,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등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그 결제 정보를 근거로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과 적용 가능한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를 근거로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즉, 서비스 장치(300)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의 멤버십, 쿠폰 등의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멤버십, 쿠폰 등의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한다. 그런 후, 서비스 장치(300)는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가맹점에서 적용 가능한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조회된 부가 혜택 정보를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 정보와 함께 단말장치(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결제 요청 정보는 상품명, 가맹점명, 결제금액, 부가혜택정보, 해당 가맹점의 프로모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300)는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카드 사용 조건이 설정된 경우, 그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고, 추천 카드 정보를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단말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장치(300)는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시,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사용하도록 유도, 사용자가 설정한 금액만큼 사용했을 때 다음 우선순위의 카드를 선택하도록 유도 등을 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3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결제 승인 내역 정보가 수신된 경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가 완료되면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단말장치(100)로 전송하며, 가맹점 장치(200)로 결제 완료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300)는 다양한 통신 규격을 통해 다른 전자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300)는 서버(Server)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버 장치의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300)는 단일의 전자 장치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둘 이상의 전자 장치가 결합 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장치(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단말 장치(100), 가맹점 장치(200), 서비스 장치(300)는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은 서비스 장치(3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결제 앱 구동 처리부(150),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단말장치(100)와 서비스 장치를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숫자, 텍스트, 음성, 움직임, 촉각, 시각 등을 입력받는 입력 수단으로 예컨대, 입력 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터치 스크린, 시각 감지 수단, 촉각 감지 수단, 움직임 감지 수단, 음성 입력 수단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결제 승인 명령, 카드 사용 조건 등을 입력받는데 활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형태가 될 수다.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에는 결제 요청 정보 수신 시, 결제 요청 정보가 표시된 결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30)상에 디스플레이하고, 결제화면에서 승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결제 승인 내역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결제 앱이 저장되어 있다.
결제 앱 구동 처리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결제 앱을 구동시켜 결제 요청 정보가 표시된 결제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30)상에 표시한다. 결제 화면은 결제 요청 정보가 표시되는 결제 요청 정보 표시 영역, 승인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승인 명령 입력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요청 정보는 상품명, 가맹점명, 결제금액, 부가혜택정보, 해당 가맹점의 프로모션 정보, 추천 카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결제 요청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된 부가 혜택 정보 중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 혜택 정보를 선택하고, 추천 카드 정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 후, 사용자가 승인 명령 입력 영역에서 승인 명령을 입력하면, 결제 앱 구동 처리부(150)는 선택된 부가 혜택 정보, 선택된 카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결제 승인 내역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 승인 명령 입력 영역은 스와이프(swipe) 방식, 결제용 패턴 잠금, PIN 번호 인증, 지문 인증 등의 다양한 인증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스와이프(swipe) 방식에 의한 인증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 결제 화면(600)은 ㈜Spoon/분식점(가맹점명), 35,000원(결제금액), 신진철님(사용자명)이 표시된 결제 요청 정보 표시 영역(610), swipe에 의한 승인 명령 입력을 위한 승인 명령 입력 영역(620)으로 구성되고, 사용자는 승인 명령 입력 영역(620)에서 swipe만으로 결제를 승인한다. 즉, 결제 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푸시 메시지가 수신되면, 결제 앱 구동 처리부(150)는 도 6과 같은 결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는 해당 메시지를 끌어내림하거나 중앙에 나타난 팝업 메시지에 표시된 결제 금액을 보고 승인 버튼을 누른다.
결제용 패턴 잠금에 의한 인증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 결제 화면(700)은 ㈜Spoon/분식점(가맹점명), 35,000원(결제금액), 신진철님(사용자명)이 표시된 결제 요청 정보 표시 영역(710), 패턴으로 승인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승인 명령 입력 영역(720)으로 구성되고, 사용자는 패턴 표시 영역(720)에서 패턴 잠금 해제를 수행하여 결제를 승인한다. 즉, 결제 요청 정보가 푸시(push)로 수신된 경우, 결제 앱 구동 처리부(150)는 결제 요청이 왔음을 팝업 화면을 통해서 알리고, 기 설정된 특정 패턴을 통해 잠금 해제를 실시하면 결제 앱을 실행시킨 후 즉시 결제 승인을 내릴 수 있다.
PIN 번호 인증에 대해 도 8을 참조하면, 결제 화면(800)은 ㈜Spoon/분식점(가맹점명), 35,000원(결제금액), 신진철님(사용자명)이 표시된 결제 요청 정보 표시영역(810), PIN 번호 입력으로 승인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승인 명령 입력 영역(820)으로 구성되고, 사용자는 승인 명령 입력 영역(820)에서 PIN 번호를 입력하여 결제를 승인한다.
이처럼 사용자는 자신이 선호하는 보안 수준에 따라 단순 swipe에 의한 승인, 패턴 잠금 해제, PIN 번호 인증, 지문 인증 등의 간편 결제를 통해 승인을 내릴 수 있다.
또한, 결제 앱 구동 처리부(150)는 오프라인 결제를 위한 카드 사용 조건을 입력받은 경우, 카드 사용 조건을 서비스 장치(300)에 등록한다. 그러면, 사용자가 결제를 취할 때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사용하도록 유도, 사용자가 설정한 금액만큼 사용했을 때 다음 우선순위의 카드를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결제 앱이 제공하는 메뉴 중에서 카드 사용 조건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결제 앱 구동 처리부(150)는 카드 사용 조건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30)상에 표시한다. 사용자가 카드 사용 조건 설정 화면에서 혜택 우선 모드, 카드 우선순위, 카드별 목표 사용금액 등의 카드 사용 조건을 입력하면, 결제 앱 구동 처리부(150)는 입력된 카드 사용 조건을 통신부(110)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카드 사용자가 카드를 일정 금액 이상 사용해야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우, 해당 금액을 목표 금액으로 설정하고, 목표 금액을 사용한 경우 다른 카드를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할인, 적립, 포인트 사용이 가장 큰 카드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혜택 우선 모드를 카드 사용 조건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카드별 목표 사용금액과 각 카드의 우선순위를 카드 사용 조건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무이자 할부 개월 수가 높은 카드별 우선순위, 할인 비율이 높은 카드별 우선순위, 멤버쉽 카드를 이용한 할인 여부, 쿠폰 및 포인트를 이용한 통합 결제 여부에 따른 우선 순위 등과 같이 특정 혜택 우선순위 정보를 카드 사용 조건으로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단말장치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된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말장치(10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결제 앱 구동 처리부(150) 등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연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연산장치로는 범용적인 중앙연산장치(CPU), 특정 목적에 적합하게 구현된 프로그래머블 디바이스 소자(CPLD, FPGA), 주문형 반도체 연산장치(ASIC)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칩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맹점 장치(200)는 카드 리더부(210), 입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제어부(240), 통신부(250)를 포함한다.
카드 리더부(210)는 상품을 구매한 사용자가 결제를 위해 제시한 카드의 마그네틱 부에 저장된 정보, 전후면에 인쇄된 바코드 정보, IC부에 저장된 정보, RFID부에 저장된 정보 등을 취득하는 것으로, 예컨대, 마그네틱 카드 리더, 바코드 리더, IC 카드 리더, RFID 카드 리더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카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멤버십 카드 등으로, 신원 인증용으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기존에 발급한 플라스틱 카드 인프라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신규 카드 발급을 통해 보유한 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이미 보유한 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규 카드 발급 행위가 거의 필요 없다.
제어부(240)는 카드 리더부(210)를 통해 사용자 정보가 인식된 경우, 사용자 정보, 상품정보, 결제금액, 가맹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결제 정보를 통신부(250)를 통해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240)는 결제 정보를 암호화하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 사용자 정보는 카드 식별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품정보는 상품명, 상품가격, 상품수량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가맹점 정보는 가맹점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카드 리더부(210), 입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통신부(250) 등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가맹점 장치(200)가 포함할 수 있는 이러한 구성부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300)는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 통신부(330), 등록부(340), 결제요청정보 생성부(350), 결제 처리부(360), 제어부(370)를 포함한다.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에는 가맹점 식별정보, 프로모션 정보, 혜택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혜택 정보는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멤버십, 쿠폰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는 각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신용카드별 혜택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는 사용자 식별정보, 단말장치 식별정보, 보유 카드 정보, 부가 결제 정보, 카드 사용 조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식별정보는 사용자 ID/비밀번호, 단말장치 식별정보, 카드 식별정보 등을 포함하고, 보유 카드 정보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카드들의 카드명, 카드 번호, 유효기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 결제 정보는 멤버십 카드 정보, 쿠폰, 포인트, 상품권, 티머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등록부(340)는 통신부(330)를 통해 다수의 카드 정보 또는 카드 사용 조건이 수신된 경우, 상기 카드 정보 또는 카드 사용조건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등록한다.
결제요청정보 생성부(350)는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결제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수신된 경우, 결제 정보를 근거로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과 적용 가능한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를 근거로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즉, 결제 요청 정보 생성부(350)는 암호화된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암호화된 결제 정보를 복호화하여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결제금액 등을 식별한다. 그런 다음, 결제요청 정보 생성부(350)는 가맹점 정보로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를 검색하여, 해당 가맹점의 멤버십, 쿠폰 등의 혜택 정보와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을 조회한다. 또한, 결제 요청 정보 생성부(350)는 사용자 정보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멤버십, 쿠폰 등의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한다. 그런 후, 결제요청 정보 생성부(350)는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 중에서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부가결제정보, 가맹점의 혜택정보 중에서 상기 상품정보에 적용 가능한 혜택정보 등을 조회한다. 결제요청정보 생성부(350)는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부가결제정보, 상품정보에 적용 가능한 혜택 정보 등을 부가 혜택 정보로 생성하고, 생성된 부가혜택정보와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 정보를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결제요청 정보 생성부(350)는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용 패턴 잠금, PIN 번호 인증, 지문 인증 등의 다양한 인증 방식으로 결제 처리되도록 푸시한다.
또한, 결제요청정보 생성부(35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사용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카드 사용 조건이 설정된 경우, 그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고, 추천 카드 정보를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인, 적립, 포인트 사용이 가장 큰 카드를 우선적으로 선택하도록 하는 혜택 우선 모드가 카드 사용 조건으로 설정된 경우, 결제요청정보 생성부(35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등록된 해당 사용자의 보유 카드 중에서 해당 가맹점에서 할인, 적립, 포인트 등의 사용이 가장 큰 카드를 추천 카드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카드 우선순위(예컨대, A카드, B카드, C카드 순임)와 카드별 목표 사용금액이 카드 사용 조건으로 설정된 경우, 결제요청정보 생성부(350)는 A카드의 누적 사용금액을 목표 사용금액과 비교하여, 사용 가능한 금액이 존재하는 경우 A카드를 우선적으로 N금액만큼 결제하도록 하고, N금액만큼 소진한 경우 B카드를 M금액만큼 결제하도록 추천 카드로 선정할 수 있다.
또한, 결제요청정보 생성부(350)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서 조회된 보유카드 정보 및 부가 결제 정보를 토대로 해당 가맹점의 신용카드별 최적의 혜택 정보 및 적용 가능한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그 조회된 정보를 최적의 통합 결제 정보로 선정하여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즉, 결제요청정보 생성부(350)는 해당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멤버쉽 카드, 쿠폰, 포인트 등의 부가 결제 정보, 신용카드 혜택 정보를 토대로 추천 결제 방식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결제 요청 정보로 생성하여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추천 결제 방식의 분석에 사용되는 기준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특정 혜택 우선순위 정보로서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어 있다. 다만, 특정 혜택 우선 순위 정보가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결제 요청 정보 생성부(350)는 기 설정된 기준 정보를 토대로 추천 결제 방식을 분석할 수 있다.
결제 요청 정보 생성부(350)는 해당 가맹점의 신용카드별 추천 우선순위 정보 또는 부가 결제 정보를 토대로 최적의 통합 결제 혜택이 적용될 수 있는 통합 결제 방식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결제 혜택 정보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가장 좋은 조건의 혜택이 적용되는 결제 방식이 선택되어 최적의 결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결제 처리부(360)는 단말장치로부터 결제 승인 내역 정보가 수신된 경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해당 가맹점 장치로 결제 완료정보를 전송한다. 즉, 결제 처리부(360)는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포함된 가맹점의 프로모션, 부가 혜택 정보, 추천 카드 등을 적용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결제 처리부(360)는 가맹점이 실시 중인 프로모션을 적용하여 할인된 금액으로 결제를 수행하고, 적립, 보너스 등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처리부(360)는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카드들 중에서 추천 카드로 선정된 카드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처리부(360)는 신용결제 전에 멤버쉽 카드, 쿠폰을 이용한 할인, 포인트를 이용한 일정 금액의 결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능한 경우에는 이러한 부가 결제 방식을 이용한 결제 후, 신용결제를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결제 처리부(360)는 결제 승인 내역 정보를 기초로 프로모션 할인, 멤버십 적립, 복합 결제를 수행하고, 결제 완료를 고객과 가맹점으로 알린다.
제어부(370)는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310),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320), 통신부(330), 등록부(340), 결제요청정보 생성부(350), 결제 처리부(360) 등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서비스 장치(300)가 포함할 수 있는 이러한 구성부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둘 이상의 구성부들이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맹점 장치는 오프라인에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시 사용자가 제시한 카드를 읽어 사용자 정보가 인식되면(S502), 사용자 정보, 결제금액,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등을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생성하고(S504), 생성된 결제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S506).
서비스 장치는 결제 정보를 근거로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과 적용 가능한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S508), 그 조회 결과를 근거로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S510)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한다(S512). 이때,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 사용 조건이 설정된 경우, 서비스 장치는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고, 추천 카드를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S512 단계의 수행으로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단말장치는 결제 요청 정보가 표시된 결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514). 결제화면은 결제 요청 정보가 표시되는 결제 요청 정보 표시 영역, 승인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승인 명령 입력 영역으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결제화면에서 승인 명령을 입력하면(S516), 단말장치는 결제 승인 내역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S518). 즉, 결제 요청 정보는 상품명, 가맹점명, 결제금액, 부가혜택정보, 해당 가맹점의 프로모션 정보, 추천 카드 정보 등을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결제 요청 정보 표시 영역에 표시된 부가 혜택 정보 중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부가 혜택 정보를 선택하고, 추천 카드 정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카드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 후, 사용자가 승인 명령 입력 영역에서 승인 명령을 입력하면, 단말장치는 선택된 부가 혜택 정보, 선택된 카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결제 승인 내역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
서비스 장치는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한다(S520). 서비스 장치는 결제가 완료되면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고(S522), 생성된 전자 영수증을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가맹점 장치로 결제 완료정보를 전송한다(S524a, S524b).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비스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가맹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결제금액, 상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수신된 경우,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조회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결제 승인 내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가맹점 장치로 결제 완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이러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시, 사용자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플라스틱 카드 한 장만으로 본인이 보유한 모든 신용카드, 모바일 쿠폰, 멤버십 혜택, 가맹점 프로모션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
100 : 단말장치 110, 250, 33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저장부 150 : 결제 앱 구동 처리부
160, 240, 370 : 제어부 200 : 가맹점 장치
300 : 서비스 장치 310 : 가맹점 정보 데이터베이스
320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340 : 등록부
350 : 결제요청정보 생성부 360 : 결제 처리부

Claims (9)

  1. 사용자 식별정보, 보유카드 정보, 부가 결제 정보 및 카드 사용 조건을 저장된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가맹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결제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수신된 경우,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 및 적용 가능한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가맹점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조회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결제요청정보 생성부;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결제 승인 내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가맹점 장치로 결제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드 사용 조건은 해택 우선 순위, 카드 우선순위, 및 카드별 목표 사용금액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결제요청정보 생성부는 상기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추천하고, 상기 목표 사용 금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 카드를 추천 카드로 선정하여, 추천 카드 정보를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다수의 카드 정보 또는 카드 사용 조건이 수신된 경우, 상기 카드 정보 또는 카드 사용조건을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요청 정보 생성부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를 결제용 패턴 잠금, PIN 번호 인증, 지문 인증 중 적어도 하나의 인증 방식으로 결제처리되도록 푸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는 상품명, 가맹점명, 결제금액, 상기 적용 가능한 부가혜택정보에서 선택된 부가혜택정보, 추천 카드 정보에서 선택된 카드정보, 프로모션 적용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5. 오프라인에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시, 사용자의 카드를 읽어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정보, 결제금액,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가맹점 장치;
    상기 결제 정보를 근거로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과 적용 가능한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가맹점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그 조회 결과를 근거로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결제 승인 내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표시된 결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결제화면에서 승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결제 승인 내역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카드 사용 조건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추천하고, 상기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설정된 목표 사용 금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 카드를 추천 카드로 선정하여, 추천 카드 정보를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요청정보는 상품명, 가맹점명, 결제금액, 적용 가능한 부가혜택정보, 프로모션 정보, 추천 카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품명, 가맹점명, 결제금액, 상기 적용 가능한 부가혜택정보에서 선택된 부가혜택정보, 상기 추천 카드 정보에서 선택된 카드정보, 프로모션 적용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승인 내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7. 서비스 장치가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가맹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결제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수신된 경우,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가맹점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 사용 조건이 설정된 경우, 상기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금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 카드를 추천 카드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카드 정보를 상기 조회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결제 승인 내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가맹점 장치로 결제 완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방법.
  8. 서비스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가맹점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 가맹점 정보, 결제금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가 수신된 경우,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가맹점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별 목표 사용 금액을 포함하는 카드 사용 조건이 설정된 경우, 상기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추천하고, 상기 목표 사용 금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 카드를 추천 카드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추천 카드 정보를 상기 조회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정보와 함께 해당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결제 승인 내역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가맹점 장치로 결제 완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가맹점 장치가 오프라인에서 상품 구매에 따른 결제 시, 사용자의 카드를 읽어 사용자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사용자 정보, 결제금액, 가맹점 정보, 상품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장치는 상기 결제 정보를 근거로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에서 현재 진행중인 프로모션과 적용 가능한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부가 결제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의 부가 결제 정보와 가맹점의 혜택 정보를 비교하여 가맹점에서 적용 가능한 프로모션 및 부가 혜택 정보를 조회하고,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별 목표 사용 금액을 포함하는 카드 사용 조건이 설정된 경우, 상기 카드 사용 조건에 따라 추천 카드를 선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우선 순위에 있는 카드를 추천하고,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금액을 사용한 경우에는 다음 우선 순위 카드를 추천 카드로 선정하고, 상기 추천 카드 정보 및 그 조회 결과를 근거로 결제 요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결제 요청 정보가 표시된 결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결제화면에서 승인 명령이 입력된 경우 결제 승인 내역 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장치는 상기 결제 승인 내역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전자 영수증을 생성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가맹점 장치로 결제 완료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방법.
KR1020160183662A 2016-12-30 2016-12-30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4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662A KR20170004943A (ko) 2016-12-30 2016-12-30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662A KR20170004943A (ko) 2016-12-30 2016-12-30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4720A Division KR20150138442A (ko) 2014-05-28 2014-05-28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943A true KR20170004943A (ko) 2017-01-11

Family

ID=57833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662A KR20170004943A (ko) 2016-12-30 2016-12-30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9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219B1 (ko) * 2018-10-11 2019-06-05 최우 포인트 관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594A (ko) 2010-04-07 2011-10-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추천 결제 방법, 모바일 추천 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594A (ko) 2010-04-07 2011-10-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추천 결제 방법, 모바일 추천 결제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219B1 (ko) * 2018-10-11 2019-06-05 최우 포인트 관리 방법
WO2020075940A1 (ko) * 2018-10-11 2020-04-16 최우 포인트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073B1 (ko) 스케쥴링 방식으로 모바일 결제를 수행 및 지원하기 위한 방법, 카드사 서버 및 애플리케이션
US20180114260A1 (en) System,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facing a multi-card radio frequency (rf) device with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WI599970B (zh) 行動結帳系統及方法
US1029001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andard approach to coupon selection
US10083427B2 (en) Method for receiving an electronic receipt of an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into a mobile device
US2017006894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actless payments at a merchant
US20160247149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xecuting a mobile transaction
US10984404B2 (en) Retail card application
KR20190017746A (ko) 스마트워치를 이용한 인증
KR101775298B1 (ko) 모바일 체크아웃 시스템 및 방법
US10417635B1 (en) Authorizing a purchase transaction using a mobile device
KR20130050961A (ko)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로 거래들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EP3471039A1 (en) Personal point of sale (ppos) with dynamic payment kernel configuration for card present e-commerce and in vehicle transaction
US9619792B1 (en) Associating an account with a card based on a photo
TW201705055A (zh) 使用行動裝置執行交易之方法與交易系統
US201601714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member customers of a retail enterprise membership service at enterprise point-of-sale systems
JP2017174047A (ja) 決済支援システム
KR102353281B1 (ko) 코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TWM524959U (zh) 提供以行動裝置執行交易之交易系統
JP2014002682A (ja) 電子クーポンの使用方法およびクーポン配布サーバ、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60083830A (ko) 스마트멀티카드의 결제 및 적립 서비스 방법 및 스마트멀티카드용 어플리케이션
KR102245608B1 (ko)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판기 상품 구매 시스템
KR101339661B1 (ko) Nfc태그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 결제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KR20120020804A (ko) 카드 결제 방법,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20170004943A (ko) 오프라인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