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203A - 척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척추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203A
KR20150084203A KR1020140003974A KR20140003974A KR20150084203A KR 20150084203 A KR20150084203 A KR 20150084203A KR 1020140003974 A KR1020140003974 A KR 1020140003974A KR 20140003974 A KR20140003974 A KR 20140003974A KR 20150084203 A KR20150084203 A KR 20150084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uxiliary plate
vertebrae
auxiliary
fix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3415B1 (ko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3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3415B1/ko
Publication of KR20150084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59Cortical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85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pliable or malleable elements or having a mesh-like structure, e.g. small strips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는, 척추 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척추에 고정을 위한 스크류 홀이 마련되는 보조 플레이트 및 상기 보조 플레이트 상에 체결 가능한 고정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 플레이트 사이의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척추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VERTEBRA}
본 발명은 척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척추 수술 시 골극의 제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척추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척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체는 몸통을 이루는 32~35개의 척추골(vertebra)과 척추골 사이의 추간원판(intervertebral disk) 즉, 디스크로 이루어지며, 체간의 지주를 이루면서 상단의 두개골과 하단의 골반을 연결하는 우리 몸의 중추를 이루는 부분이다.
척추골은 위로부터 7개의 경추(cervical), 12개의 흉추(thoracic), 5개의 요추(lumber), 5개의 천추(sacrum), 3~5개의 미추(coccyx)로 이루어지는데, 성인에서는 5개의 천추가 유합하여 1개의 천골이 되고, 3~5개의 미추가 유합하여 1개의 미골이 된다.
일반적으로 경추(cervical)는 상기 척추체의 맨 윗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 7개의 뼈마디로 이루어져 있는데, 위에서부터 제1경추는 환추라고도 하며 둥근모양으로 두개골을 받치고 있는 관절면이 있으나 추체와 극돌기가 없고, 제2경추는 축추라고도 하며 목의 회전을 돕는 것으로 추체에서 위로 솟아로은 추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3경추에서 제6경추까지는 작고 넓은 추체와 삼각형의 추공과 끝이 둘로 갈라진 극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7경추는 융추라고도 하며 길고 끝이 둘로 갈라지지 않은 극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갖는 경추는 사고로 인한 외부의 충격이나 비뚤어진 자세가 장기간 지속됨에 따라 손상을 입거나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한 경추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플레이트와 스크류로 이루어진 경추 플레이트(경추 고정장치)를 경추에 삽입 고정하는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시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연구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2000년 7월 26일에 출원된 KR2000-0021344호에서는 경추 고정 장치에 대하여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골극의 제거를 최소화할 수 있고, 척추의 강도를 유지하여 케이지 함몰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척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추가적인 고정요소에 의해 척추에 대한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하고, 척추에 체결된 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척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보조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에 형성된 절단부에 의해 보조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운동 각도에 대한 제한점을 형성할 수 있는 척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마련되고, 기존의 척추 고정 장치에 대체하여 사용 가능하고 안전한 척추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는, 척추 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척추에 고정을 위한 스크류 홀이 마련되는 보조 플레이트 및 상기 보조 플레이트 상에 체결 가능한 고정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 플레이트 사이의 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 상에 돌출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플레이트 내에 체결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반구 부분과 원기둥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기둥 부분의 표면에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는 구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요소가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체결되면, 상기 반구 부분과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는 점 접촉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요소의 체결을 위한 체결 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요소의 헤드는 상기 스크류 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체결 홈과 상기 스크류 홀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 홈과 상기 스크류 홀은 쌍을 이뤄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단부는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보조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2 보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 결합된 부분은 상기 척추의 골극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에 의하면 골극의 제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척추의 강도를 유지하여 케이지 함몰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에 의하면 추가적인 고정요소에 의해 척추에 대한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척추에 체결된 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에 의하면 보조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에 형성된 절단부에 의해 보조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운동 각도에 대한 제한점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마련되고, 기존의 척추 고정 장치에 대체하여 사용 가능하고 안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가 척추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에서 고정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고정요소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5(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가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고정요소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6(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에 형성된 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가 척추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에서 고정요소의 사시도이고, 도 4(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가 구부러진 상태에서 고정요소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5(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가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 고정요소가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6(a) 및 (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에 형성된 절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10)는 척추 수술 시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척추 수술 시 병변이 생긴 척추와 척추 위아래의 디스크를 제거하고 그 사이에 인공 보형물 또는 케이지(cage; C)를 삽입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척추(B)와 케이지(C)의 외측에 척추 고정 장치(10)를 배치하여, 스크류(400)를 이용하여 척추(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류(400)는 디스크(미도시)와 대체로 평행한 방향으로, 척추 내에 깊숙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척추 고정 장치(10)의 양단은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척추 고정 장치(10)의 양단은 척추(B) 상에서 a의 각도만큼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10)의 경우, 척추(B)의 골극, 즉 척추 끝에 새부리처럼 돌출된 부분을 제거하지 않고, 척추(B)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척추(B)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어, 척추 고정 장치(10)는 훨씬 더 안정된 고정력을 얻을 수 있으며, 척추(B) 사이에 끼운 케이지(C)가 척추(B) 안으로 함몰되는 현상(cage subsidence)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1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10)는 플레이트(100), 보조 플레이트(200) 및 고정요소(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척추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0)는 상기 케이지(C)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플레이트(100)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플레이트(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00)의 양단에는 보조 플레이트(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플레이트(200)는 플레이트(100)의 일단에 배치된 제1 보조 플레이트(210)와 플레이트(100)의 타단에 배치된 제2 보조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 플레이트(210)와 제2 보조 플레이트(220)는 플레이트(10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100)의 양단에는 오목한 부분(102)이 마련되고, 오목한 부분에는 봉(104)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보조 플레이트(200)의 단부는 플레이트(100)의 오목한 부분(102)에 맞춰지도록 형성되고, 보조 플레이트(200)의 단부는 봉(104)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결합된 부분(H)은 척추(B)의 골극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척추의 골극은 일반적인 척추 수술 시에 제거되는 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장치(10)에서는 제거되지 않아도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100)와 보조 플레이트(200)의 힌지 결합에 의해, 플레이트(100)의 양단에서 제1 보조 플레이트(210)와 제2 보조 플레이트(220)는 자유자재로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10)는 척추의 형상에 의한 제약을 덜 받으면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100)와 마찬가지로 보조 플레이트(200) 또한 척추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0)는 케이지(C)의 외측에 배치되는 반면, 보조 플레이트(200)는 척추(B)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 플레이트(210)는 상부 척추의 외측에 배치되고, 제2 보조 플레이트(220)는 하부 척추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플레이트(200) 상에는 척추에 고정을 위한 스크류 홀(202)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10)에는 스크류(4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400)는 스크류 홀(202)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체결되는 스크류(400)의 크기에 의해 스크류 홀(202)의 크기가 변화될 수 있으며, 스크류(400)의 개수에 의해 스크류 홀(202)의 개수 또한 변화될 수 있다.
도 2에는 스크류 홀(202)이 두 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스크류(400)의 크기 또는 보조 플레이트(200)의 크기 등에 의해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400)는 보조 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스크류 홀(202)을 관통하여 척추(B)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보조 플레이트(210)와 제2 보조 플레이트(220)가 척추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보조 플레이트(200)에는 고정요소(300)의 체결을 위한 체결 홈(204)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 홈(204)은 스크류 홀(202)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고, 플레이트(100)와 보조 플레이트(200)가 힌지 결합된 부분(H)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홈(204)은 두 개의 스크류 홀(202)의 중간 위치에서 플레이트(100)를 향하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체결 홈(204)은 스크류 홀(202)의 개수보다 한 개 적은 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체결 홈(204)은 두 개의 스크류 홀(202)에서 플레이트(100)를 향하여 각각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체결 홈(204)은 스크류 홀(202)의 개수와 동일한 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 홈(204)에는 고정요소(300)가 체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고정요소(300)는 헤드(310)와 몸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310)는 보조 플레이트(200)의 체결 홈(204)에 체결되었을 때, 보조 플레이트(200) 상에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헤드(310)는 스크류 홀(202) 또는 스크류(4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크류(400)에 의해 보조 플레이트(200)가 척추(B)에 고정된 후에, 고정요소(300)가 체결 홈(204)에 체결되어, 헤드(310)가 스크류 홀(202) 또는 스크류(4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스크류 홀(202)과 척추(B)에 고정된 스크류(400)가 보조 플레이트(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정요소(300)의 헤드(3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10)의 척추(B)에 대한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헤드(310)에는 몸체(3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몸체(320)는 반구 부분(322)과 원기둥 부분(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기둥 부분(324)의 표면에는 보조 플레이트(200)에 체결 홈(204)에 체결을 위한 나사산(324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체결 홈(204)에는 나사산(3242)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구 부분(322)은 보조 플레이트(200)의 체결 홈(204) 내에 삽입되어, 플레이트(100)의 단부와 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100)의 단부 또한 구형을 포함하므로, 플레이트(100)의 단부는 반구 부분(322)과 점 접촉하면서 반구 부분(322)이 체결 홈(204)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구 부분(322)은 플레이트(100)의 봉(104)과 점 접촉을 통해 체결 홈(204)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도 4(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 플레이트(200)가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약간 구부러져 있는 경우, 고정요소(300)는 다음과 같이 체결 홈(204)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a)와 같이, 고정요소(300)가 체결 홈(204) 내에 덜 조여진 상태에서, 반구 부분(322)과 봉(104)는 제1 접촉점(C1)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봉(104)의 중심점(P)과 제1 접촉점(C1)을 연결한 직선과 상기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고, 반구 부분(322)의 중심점(O)을 지나는 직선 사이의 거리는 L1이 된다.
이후, 고정요소(300)를 체결 홈(204) 내로 전진시키면, 반구 부분(322)은 봉(104)과 점 접촉을 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고정요소(300)가 체결 홈(204) 내에 완전히 조여진 상태가 되면, 반구 부분(322)과 봉(104)는 제2 접촉점(C2)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봉(104)의 중심점(P)과 제2 접촉점(C2)을 연결한 직선과 상기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고, 반구 부분(322)의 중심점(O)을 지나는 직선 사이의 거리는 L2가 된다.
만약 봉(104)의 중심점(P)과 제2 접촉점(C2)을 연결한 직선과 상기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고, 반구 부분(322)의 중심점(O)을 지나는 직선이 일치하게 될 경우, 예를 들어 L2가 0이 될 경우, 고정요소(300)의 반구 부분(322)이 봉(104) 상에서 미끄러져 넘어갈 수 있다. 그러므로, L2는 0보다 커야 한다.
도 4(a)에서의 L1과 도 4(b)에서의 L2를 비교했을 때, L1과 L2 사이에는 미세한 차이가 존재하고, L1은 L2 보다 약간 크다(L1 > L2).
결국, 전술된 L1과 L2 사이의 차이에 의해 고정요소(300)의 반구 부분(322)이 봉(104)을 미는 힘이 발생하며, 이에 의해 플레이트(100)와 보조 플레이트(200) 사이의 고정력이 발생하고, 보조 플레이트(200)가 플레이트(100)에 대해 구부러진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보조 플레이트(200)가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완전히 펴진 경우, 고정요소(300)는 다음과 같이 체결 홈(204)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고정요소(300)가 체결 홈(204) 내에 덜 조여진 상태에서, 반구 부분(322)과 봉(104)는 제3 접촉점(C3)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봉(104)의 중심점(P)과 제3 접촉점(C3)을 연결한 직선과 상기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고, 반구 부분(322)의 중심점(O)을 지나는 직선 사이의 거리는 L3이 된다.
이후, 고정요소(300)를 체결 홈(204) 내로 전진시키면, 반구 부분(322)은 봉(104)과 점 접촉을 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도 5(b)와 같이, 고정요소(300)가 체결 홈(204) 내에 완전히 조여진 상태가 되면, 반구 부분(322)과 봉(104)는 제4 접촉점(C4)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봉(104)의 중심점(P)과 제4 접촉점(C4)을 연결한 직선과 상기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고, 반구 부분(322)의 중심점(O)을 지나는 직선 사이의 거리는 L4가 된다.
만약 봉(104)의 중심점(P)과 제4 접촉점(C4)을 연결한 직선과 상기 직선에 대하여 평행하고, 반구 부분(322)의 중심점(O)을 지나는 직선이 일치하게 될 경우, 예를 들어, L4가 0이 될 경우, 고정요소(300)의 반구 부분(322)이 봉(104) 상에서 미끄러져 넘어갈 수 있다. 그러므로, L4는 0보다 커야 한다.
상기 도 5(a)에서의 L3과 도 5(b)에서의 L4를 비교했을 때, L3과 L4 사이에는 미세한 차이가 존재하고, L3은 L4 보다 약간 크다(L3 > L4).
결국, 전술된 L3과 L4 사이의 차이에 의해 고정요소(300)의 반구 부분(322)이 봉(104)을 미는 힘이 발생하며, 이에 의해 플레이트(100)와 보조 플레이트(200) 사이의 고정력이 발생하고, 보조 플레이트(200)가 플레이트(100)에 대해 완전히 펴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a)의 L1과 도 5(a)의 L3는 동일하고(L1 = L3), 도 4(b)의 L2과 도 5(b)의 L4는 동일하다(L2 = L4). 이는 반구 부분(322)이 봉(104)의 중심점(P)을 기준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L1 L2 사이의 차이와 L3 L4 사이의 차이가 동일하므로, 도 4(a) 및 (b)에서 반구 부분(322)이 봉(104)을 미는 힘과 도 5(a) 및 (b)에서 반구 부분(322)이 봉(104)을 미는 힘은 동일하다. 이것은 보조 플레이트(200)와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다른 각도로 구부러질 경우, 비록 반구 부분(322)과 봉(104)의 접촉점은 달라질지라도, 고정요소(300)에 의한 고정력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고정요소(300)는 보조 플레이트(200)에 체결된 스크류(400)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고, 보조 플레이트(200)와 플레이트(100) 사이의 각도를 고정하여 훨씬 안정된 고정력을 얻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b)를 참조하여, 플레이트(100) 또는 보조 플레이트(200)에는 경사지게 절단된 부분, 즉 절단부(206)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0)와 보조 플레이트(200)는 일 측에서 접촉하고, 타 측에서 플레이트(100)와 보조 플레이트(200) 사이의 각도가 b가 되도록, 보조 플레이트(200)가 b만큼 경사지게 절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플레이트(200)에 절단부(206)가 마련되어, 보조 플레이트(200)의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00)에 대해 보조 플레이트(200)는 b의 각도만큼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0)와 보조 플레이트(200)는 힌지 결합되어 있으므로, 본질적으로 보조 플레이트(200)는 플레이트(100)에 대해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절단부(206)에 의해 플레이트(100)에 대한 보조 플레이트(200)의 구부러짐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단부(206)의 b와 같은 각도 범위 내에서 플레이트(100)에 대한 보조 플레이트(200)의 구부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b가 1도라면, 보조 플레이트(200)가 플레이트(100)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는 각도 범위는 1도를 초과할 수 있으며, 0 내지 1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부(206)를 구비하여, 플레이트(100)와 보조 플레이트(200)의 운동 각도에 대한 제한점을 구비할 수 있으며, 스크류(400) 또는 고정요소(300)가 보조 플레이트(200)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 대하여 대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 고정 장치는 척추의 골극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척추의 강도를 유지하여 척추의 골극을 제거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케이지 함몰 현상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요소에 의해 척추에 대한 향상된 고정력을 제공하고, 척추에 체결된 스크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에 형성된 절단부에 의해 보조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운동 각도에 대한 제한점을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마련되고, 기존의 척추 고정 장치에 대체하여 사용 가능하며 더욱 안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척추 고정 장치
100: 플레이트
200: 보조 플레이트
202: 스크류 홀
204: 체결 홈
206: 절단부
210: 제1 보조 플레이트
220: 제2 보조 플레이트
300: 고정요소
310: 헤드
320: 몸체
322: 반구 부분
324: 원기둥 부분
3242: 나사산
400: 스크류
B: 척추
C: 케이지
H: 힌지 결합된 부분

Claims (9)

  1. 척추 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척추에 고정을 위한 스크류 홀이 마련되는 보조 플레이트; 및
    상기 보조 플레이트 상에 체결 가능한 고정요소;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요소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 플레이트 사이의 각도가 고정될 수 있는 척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요소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 상에 돌출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에 연결되고, 상기 보조 플레이트 내에 체결되는 몸체;
    를 포함하는 척추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반구 부분과 원기둥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기둥 부분의 표면에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척추 고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는 구형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요소가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 체결되면, 상기 반구 부분과 상기 플레이트의 단부는 점 접촉되는 척추 고정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는 상기 고정요소의 체결을 위한 체결 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요소의 헤드는 상기 스크류 홀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척추 고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홈과 상기 스크류 홀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 홈과 상기 스크류 홀은 쌍을 이뤄 인접하게 형성되는 척추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에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단부는 상기 플레이트 또는 상기 보조 플레이트의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척추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에 배치되는 제1 보조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2 보조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척추 고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보조 플레이트는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 결합된 부분은 상기 척추의 골극 상에 위치되는 척추 고정 장치.
KR1020140003974A 2014-01-13 2014-01-13 척추 고정 장치 KR101563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974A KR101563415B1 (ko) 2014-01-13 2014-01-13 척추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974A KR101563415B1 (ko) 2014-01-13 2014-01-13 척추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203A true KR20150084203A (ko) 2015-07-22
KR101563415B1 KR101563415B1 (ko) 2015-10-26

Family

ID=5387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974A KR101563415B1 (ko) 2014-01-13 2014-01-13 척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34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32A (ko) * 2019-06-03 2020-12-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고정장치
KR20200139065A (ko) * 2019-06-03 2020-12-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고정장치
KR20200140429A (ko) * 2019-06-05 2020-12-16 박 다니엘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자가 잠금 기능이 구비된 전방 경추 고정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7041A1 (en) * 2008-04-14 2009-10-22 Howard Joeseph Ginsberg Spinous process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9032A (ko) * 2019-06-03 2020-12-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고정장치
KR20200139065A (ko) * 2019-06-03 2020-12-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고정장치
US11141200B2 (en) 2019-06-03 2021-10-12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Spinal fixation device
KR20200140429A (ko) * 2019-06-05 2020-12-16 박 다니엘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한 자가 잠금 기능이 구비된 전방 경추 고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3415B1 (ko) 201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68184B2 (ja) 脊柱支持用の前部板を含む装置
US7862591B2 (en) Intervertebral prosthetic device for spinal stabilization and method of implanting same
EP3254634B1 (en) Paraxial revision rod-to-rod connector
JP4988735B2 (ja) 融合構造体を伸長させるためのロッド伸長体
JP4909995B2 (ja) 椎骨の整骨と体間固定のためのケージ
CA2562949C (en) Head-to-head connector spinal fixation system
US8100946B2 (en) Polyaxial bone anchors with increased angulation
CN101389279B (zh) 多轴线骨附连组合件
US20150081026A1 (en) Spinal Spacer
US20080281361A1 (en) Posterior stabilization and spinous process systems and methods
CA2721324A1 (en) Spinous process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US20140228960A1 (en) Cervical implant for dogs
US20150088202A1 (en) Bone screw systems with pressure caps having biasing members
KR20000005454A (ko) 가변 길이 및 각 교차 결합 장치
KR101563415B1 (ko) 척추 고정 장치
JP2010506672A (ja) 整形外科用インプラント組立体
US20130261666A1 (en) Interspinous fixation device
US11911076B2 (en) Pedicle screws
US8512382B2 (en) Monoaxial and polyaxial pedicle screw
EP3437576B1 (en) Stabilization device for bones or vertebrae
KR200443999Y1 (ko) 다축성 척추경고정장치
EP2638874B1 (en) Transpedicular polyaxial screw
KR100980459B1 (ko) 경추 나사못
EP3691552B1 (en) Multi-axis internal spinal fixation
KR101324534B1 (ko) 척추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