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4178A - 볼어레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볼어레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4178A
KR20150084178A KR1020140003913A KR20140003913A KR20150084178A KR 20150084178 A KR20150084178 A KR 20150084178A KR 1020140003913 A KR1020140003913 A KR 1020140003913A KR 20140003913 A KR20140003913 A KR 20140003913A KR 20150084178 A KR20150084178 A KR 20150084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ball rollers
shaft
rollers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경본
김용훈
Original Assignee
구경본
김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경본, 김용훈 filed Critical 구경본
Priority to KR1020140003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4178A/ko
Publication of KR2015008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4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25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having spherical roll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물품, 사람 등을 다양한 이송방향으로 안정되게 이송할 수 있는 볼어레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볼어레이 이송장치는, 복수의 볼롤러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행/열 구조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볼어레이; 상기 복수의 볼롤러를 제1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유닛; 및 상기 복수의 볼롤러를 제2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유닛은 열단위의 볼롤러들을 회전구동시키도록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제1구동축을 포함하며, 상기 제2구동유닛은 행단위의 볼롤러들을 회전구동시키도록 제2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제2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볼어레이 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USING BALL ARRAY}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물품, 사람 등을 다양한 이송방향으로 안정되게 이송할 수 있는 볼어레이를 이용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 사람 등과 같은 피이송물을 목적하는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는 다양한 형태가 출시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송장치에는 실린더, 컨베이어 벨트, 이송로봇 등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다.
실린더를 이용한 이송장치는 피이송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데 있어서는 큰 문제점이 없지만, 이송거리가 짧고, 가로/세로/사선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실린더가 조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구성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고, 여러 개의 실린더를 시설함에 따라 시설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지적된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한 이송장치는 피이송물을 원거리로 이송하는 데는 적합하지만, 이 또한 피이송물을 가로/세로/사선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그 이송방향에 맞게 컨베이어 벨트를 시설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질 수밖에 없고, 여러개의 컨베이어 벨트를 설치함에 따라 시설비용이 증가하며, 시설점유면적도 넓게 차지하게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또한, 이송로봇을 이용하는 이송장치는 하나의 로봇에 의해 x,y,z방향으로 피이송물을 비교적 여러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이송로봇의 설치공간을 확보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송로봇의 오작동으로 인한 위험방지를 위한 안전공간(dead zone) 등을 확보하여야 관계로 경제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이송로봇은 복잡한 기계장치와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세심한 유지관리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도 지적된다.
그외에도, 롤러 등과 같은 구름부재를 이용한 이송장치가 있으며, 이러한 구름부재들에 의해 이송방향의 자유로운 제어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구름부재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메커니즘, 구름부재의 장착구조 등이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그 제조비용 및 설치비용 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구름부재들의 구동 제어가 매우 어려워 유지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US 8567587 B2(2013. 10. 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단점들을 일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연구 및 개발된 것으로, 일정한 행/열 구조로 배열된 복수의 볼롤러에 대한 정밀하고 안정된 구동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복수의 볼롤러에 대한 구동을 매우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볼어레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볼어레이 이송장치는, 복수의 볼롤러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행/열 구조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볼어레이; 상기 복수의 볼롤러를 제1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유닛; 및 상기 복수의 볼롤러를 제2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유닛은 열단위의 볼롤러들을 회전구동시키도록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제1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유닛은 행단위의 볼롤러들을 회전구동시키도록 제2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제2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구동유닛은 각 볼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제1구동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각 볼롤러를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제1아이들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축은 제1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구동유닛은 각 볼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제2구동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각 볼롤러를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제2아이들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축은 제2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구동축 및 제1아이들축의 외주면은 볼롤러와 회전접촉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축 및 제2아이들축의 외주면은 볼롤러와 회전접촉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구동축 및 제1아이들축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회전접촉부가 볼롤러와 회전접촉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접촉부는 제1구동축 및 제1아이들축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구동축 및 제2아이들축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회전접촉부가 볼롤러와 회전접촉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접촉부는 제2구동축 및 제2아이들축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어레이의 볼롤러들은 수용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하우징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프레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회전하는 볼롤러의 하부를 개별적으로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하부 회전지지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각 하부 회전지지구조는 각 볼롤러의 하부 중앙영역을 지지하는 중앙영역 지지면과, 각 볼롤러의 하부 좌우 양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영역 지지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 프레임에는 복수의 볼롤러의 상부가 관통하여 노출되는 관통공을 가지고, 각 관통공의 하부에는 상부 회전지지면이 형성되며, 상부 회전지지면은 회전하는 볼롤러의 상부를 개별적으로 회전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회전지지구조와 볼롤러는 소정틈새 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회전지지면과 볼롤러는 소정틈새 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제1설치홈 및 제2설치홈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설치홈에는 상기 제1구동축 및 제1아이들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설치홈에는 상기 제2구동축 및 제2아이들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볼롤러는 복수의 수용유닛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수용유닛이 베이스플레이트에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며, 각 수용유닛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에는 회전지지구가 돌출되고, 상기 회전지지구에는 볼롤러의 상부가 관통하여 노출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하부 내면에는 상부 회전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는 회전하는 볼롤러의 하부를 개별적으로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하부 회전지지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회전지지구조는 볼롤러의 하부 중앙영역을 지지하는 중앙영역 지지면과, 볼롤러의 하부 좌우 양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영역 지지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의 중앙영역 지지면에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에는 제1체결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스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체결공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체결공과 하부케이스의 제2체결공에는 제2체결구가 체결됨으로써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제1 및 제2 설치홈이 서로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설치홈에는 제1구동축 및 제1아이들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설치홈에는 제제2구동축 및 제2아이들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한 행/열 구조로 배열된 복수의 볼롤러를 제1구동유닛 및 제2구동유닛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구동시킴으로써 복수의 볼롤러에 대한 정밀하고 안정된 구동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복수의 볼롤러에 대한 구동을 매우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로서, 피이송물이 볼롤러의 상부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무부하 상태)에서 볼롤러와 제1구동유닛의 회전접촉부가 선접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화살표 C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로서, 피이송물이 볼롤러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부하 상태)에서 볼롤러와 제1구동유닛의 회전접촉부가 면접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화살표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로서, 피이송물이 볼롤러의 상부에 안착되지 않은 상태(무부하 상태)에서 볼롤러와 제2구동유닛의 회전접촉부가 선접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화살표 D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로서, 피이송물이 볼롤러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부하 상태)에서 볼롤러와 제2구동유닛의 회전접촉부가 면접촉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의 베이스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의 베이스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F-F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G-G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H-H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의 커버 프레임을 뒤집은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의 각 수용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의 각 수용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I-I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J-J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K-K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0의 L-L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는, 복수의 볼롤러(11)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행/열 구조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볼어레이(10)와, 복수의 볼롤러(11)를 제1방향으로 구동시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유닛(20)과, 복수의 볼롤러(11)를 제2방향으로 구동시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유닛(30)을 포함한다.
볼어레이(10)는 복수의 볼롤러(11)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행/열 구조로 배열되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수용하우징(5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볼롤러(11)의 상단에 피이송물이 안착되도록 볼롤러(11)의 상단이 수용하우징(50)의 상부에서 노출되게 설치된다.
제1구동유닛(20)은 제1방향(도 3의 화살표 X방향 참조)으로 볼롤러(11)들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유닛(20)은 열단위(in column, 도 3의 화살표 Y방향 참조)로 배열된 볼롤러(11)들을 제1방향(화살표 X방향 참조)으로 회전구동시켜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제1구동축(21)과, 각 볼롤러(11)를 기준으로 제1구동축(21)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각 볼롤러(11)를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제1아이들축(22)를 포함하고, 제1방향과 제2방향은 서로 직교하도록 이루어진다.
각 제1구동축(21)은 1열(C1), 2열(C2), 3열(C3), 4열(C4) 등과 같은 각 열단위에 배열된 볼롤러(11)들을 직접적으로 회전구동시키도록 설치되고, 이에 복수의 제1구동축(21)은 열단위(C1, C2, C3, C4)들 사이에서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도 3의 화살표 Y방향 참조)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제1구동축(21, the first driving shaft)은 제1구동모터(25) 및 제1전동기구(26)에 의해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전동기구(26)는 제1구동모터(25)의 출력축 및 각 제1구동축(21)의 단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1풀리(27)들과, 인접한 제1구동축(21)들의 제1풀리(27)들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제1감기 전동절(28)로 이루어진다. 이에, 제1구동모터(25)의 동력이 제1전동기구(26)를 통해 복수의 제1구동축(21)에 전달되어 복수의 제1구동축(21)은 동시에 동일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그리고, 제1감기 전동절(28)은 타이밍벨트, 벨트, 체인 등으로 이루어져 인접한 제1풀리(27)들 사이에 감겨져 설치된다.
한편, 도 3에서는 제1전동기구(26)는 복수의 제1풀리(27) 및 복수의 제1감기 전동절(28) 등으로 이루어져 복수 열단위(C1, C2, C3, C4 등)의 볼롤러(11)들을 모두 함께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각 열단위의 볼롤러(11)들에 개별적으로 제1전동기구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각 열단위의 볼롤러(11)들을 독립적으로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전동기구(26)는 감기 전동기구를 예시하고 있지만, 그외 기어전동기구 등과 같이 다양한 전동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제1아이들축(22)과 제1구동축(21)은 하나의 볼롤러(11)에 대해 상호 대칭되게 짝을 이루도록 설치됨으로써 제1아이들축(22)은 제1구동축(21)에 의해 구동하는 볼롤러(11)의 맞은편을 회전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제1아이들축(22)은 제1구동축(21)과 마찬가지로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도 3에서 화살표 Y방향 참조)을 따라 설치되어 제1구동축(2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특히, 제1아이들축(22, the first idle shaft)은 제1구동모터(25) 및 제1전동기구(26)에 연결되지 않아 볼롤러(11)로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으며, 단지 제1구동축(21)의 맞은편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볼롤러(11)를 안정적으로 회전지지하여 볼롤러(11)의 동적인 평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제1아이들축(22)의 양단부는 수용하우징(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게 설치된다.
제1구동축(21)의 외주면 및 제1아이들축(2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회전접촉부(23)가 각 볼롤러(11)와 직접적으로 회전접촉가능하게 형성되고, 제1회전접촉부(23)는 제1구동축(21) 및 제1아이들축(22)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제1회전접촉부(23)는 제1구동축(21) 및 제1아이들축(22)의 외주면에 볼롤러(11)와 직접적으로 회전접촉할 수 있는 곡면진 홈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회전접촉부(23)와 볼롤러(11)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양자 모두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제1회전접촉부(23)와 볼롤러(11) 중에서 어느 하나가 탄력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제1회전접촉부(23)와 볼롤러(11)는 상호 밀착된 상태로 회전접촉함에 따라 제1구동유닛(20)의 구동력이 볼롤러(11)에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볼롤러(11)들의 구동이 안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접촉부(23)가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볼롤러(1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 볼롤러(11)와 접촉하는 제1회전접촉부(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변형되고, 이에 볼롤러(11)와 제1회전접촉부(23)는 기밀한 면접촉을 이루면서 회전접촉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회전접촉부(23)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볼롤러(11)가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 제1회전접촉부(23)와 접촉하는 볼롤러(11)가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볼롤러(11)와 제1회전접촉부(23)는 기밀한 면접촉을 이루면서 회전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접촉부(23) 및 볼롤러(11) 양자 모두가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제1회전접촉부(23)와 볼롤러(11)는 서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볼롤러(11)와 제1회전접촉부(23)는 보다 기밀한 면접촉을 이루면서 회전접촉할 수 있다.
제1회전접촉부(23)와 볼롤러(11) 사이의 회전접촉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볼롤러(11)들의 상부에 물품, 사람 등과 같은 피이송물이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접촉부(23)는 볼롤러(11)의 외면에 단순히 선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피이송물이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접촉부(23)는 볼롤러(11)의 외면과 회전접촉함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기밀하게 면접촉할 수 있다. 즉, 피이송물이 안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1회전접촉부(23)와 볼롤러(11)는 단순히 선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며, 피이송물이 안착되는 경우에는 피이송물의 하중으로 인해 제1회전접촉부(23) 및 볼롤러(11)는 서로 기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접촉함으로써 회전력의 전달효율 및 피이송물의 이송효율 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구동축(21)의 외주면 및 제1아이들축(22)의 외주면에는 제1회전접촉부(23)가 형성되지 않고, 제1구동축(21)의 외주면 및 제1아이들축(22)의 외주면이 볼롤러(11)과 직접적으로 회전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구동유닛(30)은 제2방향(도 3의 화살표 Y방향 참조)을 따라 볼롤러(11)들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유닛(30)은 행단위(R1, R2, R3, R4)로 배열된 볼롤러(11)들을 제2방향(화살표 Y방향 참조)으로 회전구동시켜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제2구동축(31)과, 각 볼롤러(11)를 기준으로 제2구동축(31)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각 볼롤러(11)를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제2아이들축(32)를 포함하고, 제1방향(X)과 제2방향(Y)은 서로 직교하도록 이루어진다.
각 제2구동축(31)은 1행(R1), 2행(R2), 3행(R3), 4행(R4) 등과 같은 각 행단위에 배열된 볼롤러(11)들을 직접적으로 회전구동시키도록 설치되고, 이에 복수의 제2구동축(31)은 행단위의 볼롤러(11)들 사이에서 제2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도 3의 화살표 X방향 참조)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제2구동축(31, the second driving shaft)는 제2구동모터(35) 및 제2전동기구(36)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회전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제2전동기구(36)는 제2구동모터(35)의 출력축 및 각 제2구동축(31)의 단부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제2풀리(37)들과, 인접한 제2구동축(31)들의 제2풀리(37)들 사이에 설치된 제2감기 전동절(38)로 이루어진다. 이에, 제2구동모터(35)의 동력이 제2전동기구(36)를 통해 복수의 제2구동축(31)에 전달되어 복수의 제2구동축(31)는 동일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그리고, 제2감기 전동절(38)은 타이밍벨트, 벨트, 체인 등으로 이루어져 인접한 제1풀리(37)들 사이에 감겨져 설치된다.
한편, 도 3에는 제2전동기구(36)가 복수의 제2풀리(37) 및 복수의 제2감기 전동절(38) 등으로 이루어져 복수 행단위(R1, R2, R3, R4 등)의 볼롤러(11)들을 모두 함께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각 행단위의 볼롤러(11)들에 개별적으로 제2전동기구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각 행단위의 볼롤러(11)들을 독립적으로 동시에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전동기구(36)는 감기 전동기구를 예시하고 있지만, 그외 기어전동기구 등과 같이 다양한 전동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제2아이들축(32)과 제2구동축(31)은 하나의 볼롤러(11)에 대해 상호 대칭되게 짝을 이루도록 설치됨으로써 제2아이들축(32)은 제2구동축(31)에 의해 구동하는 볼롤러(11)의 맞은편을 회전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제2아이들축(32)은 제2구동축(31)과 마찬가지로 제2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도 3에서 화살표 X방향 참조)을 따라 설치되어 제2구동축(3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특히, 제2아이들축(32, the second idle shaft)은 제2구동모터(35) 및 제2전동기구(36)에 연결되지 않아 볼롤러(11) 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지 않으며, 단지 제2구동축(31)의 맞은편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볼롤러(11)와 회전접촉하면서 볼롤러(11)를 안정적으로 회전지지하여 볼롤러(11)의 동적인 평형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제2아이들축(32)의 양단부는 수용하우징(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게 설치된다.
제2구동축(31)의 외주면 및 제2아이들축(3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회전접촉부(33)가 볼롤러(11)와 회전접촉가능하게 형성되고, 제2회전접촉부(33)는 제2구동축(31) 및 제2아이들축(32)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제2회전접촉부(33)는 제2구동축(31) 및 제2아이들축(32)의 외주면에 볼롤러(11)와 직접적으로 회전접촉할 수 있는 곡면진 홈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회전접촉부(33)와 볼롤러(11)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양자 모두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 제2회전접촉부(33)와 볼롤러(11) 중에서 어느 하나가 탄력적으로 변형됨에 따라 제2회전접촉부(33)와 볼롤러(11)는 상호 밀착된 상태로 회전접촉함에 따라 제2구동유닛(30)의 구동력이 볼롤러(11)에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의 볼롤러(11)의 구동이 안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회전접촉부(33)가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볼롤러(1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 볼롤러(11)와 접촉하는 제2회전접촉부(3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력적으로 변형되고, 이에 볼롤러(11)와 제2회전접촉부(33)는 기밀한 면접촉을 이루면서 회전접촉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2회전접촉부(33)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볼롤러(11)가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 제2회전접촉부(33)와 접촉하는 볼롤러(11)가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볼롤러(11)와 제2회전접촉부(33)는 기밀한 면접촉을 이루면서 회전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회전접촉부(33) 및 볼롤러(11) 양자 모두가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탄력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제2회전접촉부(33)와 볼롤러(11)는 서로 탄력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볼롤러(11)와 제2회전접촉부(33)는 보다 기밀한 면접촉을 이루면서 회전접촉할 수 있다.
제2회전접촉부(33)와 볼롤러(11) 사이의 회전접촉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볼롤러(11)들의 상부에 물품, 사람 등과 같은 피이송물이 안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접촉부(33)는 볼롤러(11)의 외면에 단순히 선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피이송물이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접촉부(33)는 볼롤러(11)의 외면과 회전접촉함에 따라 탄력적으로 변형되어 기밀하게 면접촉할 수 있다. 즉, 피이송물이 안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2회전접촉부(33)와 볼롤러(11)는 단순히 선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며, 피이송물이 안착되는 경우에는 피이송물의 하중으로 인해 제2회전접촉부(33) 및 볼롤러(11)는 서로 기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접촉함으로써 회전력의 전달효율 및 피이송물의 이송효율 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구동축(31)의 외주면 및 제2아이들축(32)의 외주면에는 제2회전접촉부(33)가 형성되지 않고, 제2구동축(31)의 외주면 및 제2아이들축(32)의 외주면이 볼롤러(11)과 직접적으로 회전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구동유닛(20)의 제1구동축(21)과 제1아이들축(22)은 제2구동유닛(30)의 제2구동축(31) 및 제2아이들축(32)에 대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도 4 내지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유닛(20)의 제1구동축(21)과 제1아이들축(22)은 제2구동유닛(30)의 제2구동축(31)과 제2아이들축(32)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구성도 가능하다.
수용하우징(50)은 볼어레이(10)의 볼롤러(11)들과, 제1구동유닛(20)의 제1구동축(21) 및 제1아이들축(22), 제2구동유닛(30)의 제1구동축(31) 및 제2아이들축(32) 등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수용하우징(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51)과, 베이스 프레임(51)의 상부에 조립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프레임(52)을 가진다.
베이스 프레임(51)에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볼롤러(11)의 하부를 개별적으로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하부 회전지지구조(53a, 53b, 53c)가 형성된다.
각 하부 회전지지구조(53a, 53b, 53c)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볼롤러(11)의 하부 중앙영역을 지지하는 중앙영역 지지면(53a)과, 각 볼롤러(11)의 하부 좌우 양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영역 지지면(53b, 53c)으로 이루어진다. 중앙영역 지지면(53a)과 하부 측면영역 지지면(53b, 53dc)은 볼롤러(11)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회전지지구조(53a, 53b, 53c)와 볼롤러(11)는 소정틈새(t2)만큼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볼롤러(11)는 피이송물의 안착여부에 따라 하부 회전지지구조(53a, 53b, 53c)에서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다.
커버 프레임(52)에는 도 2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볼롤러(11)의 상부가 관통하여 노출되는 관통공(55)을 가지고, 각 관통공(55)의 하부에는 상부 회전지지면(54)이 형성되며, 상부 회전지지면(54)은 회전하는 볼롤러(11)의 상부를 개별적으로 회전지지한다. 각 상부 회전지지면(54)는 볼롤러(11)의 노출된 상단을 제외한 상부를 회전지지하도록 곡면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회전지지면(54)과 볼롤러(11)는 소정틈새(t1)만큼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볼롤러(11)는 피이송물의 안착여부에 따라 상부 회전지지면(54)에서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다.
베이스 프레임(51)에는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회전지지구조(53a, 53b, 53c)에 인접하여 제1설치홈(61) 및 제2설치홈(62)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설치홈(6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화살표 Y방향 참조)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제1설치홈(61)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유닛(20)의 제1구동축(21) 및 제1아이들축(2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1,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설치홈(61)의 도중에는 제1구동축(21) 및 제1아이들축(22)의 제1회전접촉부(23)들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제1확장홈(63)이 형성된다. 제1확장홈(63)에 제1구동축(21) 및 제1아이들축(22) 보다 큰 직경의 제1회전접촉부(23)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야 하므로, 제1확장홈(63)은 제1설치홈(61)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된다.
제2설치홈(6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방향(화살표 X방향 참조)을 따라 연장된다. 그리고, 제2설치홈(62)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유닛(30)의 제2구동축(31) 및 제2아이들축(3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1,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설치홈(62)의 도중에는 제2구동축(31) 및 제2아이들축(32)의 제2회전접촉부(33)가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제2확장홈(64)이 형성된다. 제2확장홈(64)에 제2구동축(31) 및 제2아이들축(32) 보다 큰 직경의 제2회전접촉부(33)가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야 하므로, 제2확장홈(64)은 제2설치홈(62) 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10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51)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조립리브(51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도 2 및 도 16과 같이 커버 프레임(52)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조립홈(52b)이 형성된다. 이에, 베이스 프레임(51)과 커버 프레임(52)이 조립될 때 베이스 프레임(51)의 조립리브(51a)는 커버 프레임(52)의 조립홈(52b)에 끼워짐으로써 수용하우징(50)의 견고한 조립구조를 구현함과 더불어 수용하우징(50)의 가장자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2와 같이 커버 프레임(52)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조립리브(52a)가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51)과 커버 프레임(52)이 조립될 때 커버 프레임(52)의 조립리브(52a)들은 베이스 프레임(51)의 제1 및 제2 설치홈(61, 62)에 끼워짐으로써 수용하우징(50)의 견고한 조립구조를 구현함과 더불어 수용하우징(50)의 가장자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볼어레이 이송장치는 제1구동유닛(20)에 의해 볼어레이(10)의 볼롤러(11)들이 제1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구동함과 더불어, 제2구동유닛(30)에 의해 볼어레이(10)의 볼롤러(11)들이 제2방향(화살표 Y방향)으로 구동한다. 이에, 볼롤러(11)들의 회전력은 제1방향(X)과 제2방향(Y)의 벡터합을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고, 이에 볼어레이(10)의 상부에 안착된 피이송물은 다양한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볼어레이(10)의 볼롤러(11)들이 제1구동축(21) 및 제2구동축(22)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구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볼롤러(11)들의 회전력이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볼어레이(10)에 의한 피이송물의 이송효율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볼롤러(11)가 제1구동유닛(20) 및 제2구동유닛(30)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구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일부의 볼롤러(11)가 파손되거나 위치 이탈 등으로 인해 오동작하더라도 나머지 볼롤러(11)들은 제1구동축(21) 및 제2구동축(31)에 의해 회전구동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볼롤러(11)들의 회전력을 적절히 보상하면서 전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일부의 볼롤러가 오동작하더라도 적절한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7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볼어레이 이송장치는 행/열 구조로 배열된 복수의 볼롤러(11)를 개별적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유닛(70)이 베이스플레이트(80)에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수용하우징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각 볼롤러(11)를 각 수용유닛(70)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용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일부의 볼롤러(11)들을 수리 내지 교체할 경우에는 그 교체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용유닛(70)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케이스(71)와 하부케이스(72)로 이루어진다.
상부케이스(71)의 상면에는 평탄면(73)이 형성되고, 이 평탄면(73)의 상부로 회전지지구(75)가 돌출한다. 이러한 회전지지구(75)는 그 외면이 곡면진 구조로 형성되고, 이와 같이 회전지지구(75)가 상부케이스(71)의 상면에서 돌출된 구조에 의해 피이송물이 볼롤러(11)의 상부와 접촉할 때 볼롤러(11) 이외의 상부케이스(71)의 평탄면(73)과 접촉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이송물이 볼롤러(11)에 의해 이송될 때 그 간섭이 최소화되어 그 이송효율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이러한 회전지지구(75)의 구성은 선행하는 제1실시예의 커버 프레임(52)의 관통공(55)이 형성된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제1실시예의 커버 프레임(52)에서도 상술한 회전지지구(75)에 의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회전지지구(75)에는 볼롤러(11)의 상부가 관통하여 노출되는 관통공(75a)이 형성되고, 관통공(75a)의 하부 내면에는 상부 회전지지면(76)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회전지지면(76)은 회전하는 볼롤러(11)의 상부를 회전지지하고, 상부 회전지지면(76)는 볼롤러(11)의 노출된 상단을 제외한 상부를 회전지지하도록 곡면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회전지지면(76)과 볼롤러(11)는 미세한 틈새만큼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볼롤러(11)는 피이송물의 안착여부에 따라 상부 회전지지면(76)에서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다.
하부케이스(72)의 내부에는 도 21 내지 도 24와 같이, 회전하는 볼롤러(11)의 하부를 개별적으로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하부 회전지지구조(74a, 74b, 74c)가 형성된다.
각 하부 회전지지구조(74a, 74b, 74c)는 도 19,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롤러(11)의 하부 중앙영역을 지지하는 중앙영역 지지면(74a)과, 볼롤러(11)의 하부 좌우 양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영역 지지면(74b, 74c)으로 이루어진다. 중앙영역 지지면(74a)과 하부 측면영역 지지면(74b, 74dc)은 볼롤러(11)의 외면에 대응하는 곡면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선행하는 실시예와 유사하게 하부 회전지지구조(74a, 74b, 74c)와 볼롤러(11)는 소정틈새만큼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볼롤러(11)는 피이송물의 안착여부에 따라 하부 회전지지구조(74a, 74b, 74c)에서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21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72)의 중앙영역 지지면(74a)에는 제1체결공(85)이 형성되고, 특히 제1체결공(85)은 하부케이스(72)의 중앙영역 지지면(74a)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체결공(85)에는 제1체결구(81)가 체결됨으로써 하부케이스(72)는 베이스플레이트(8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외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체결공(85)은 하나 이상의 갯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1하부케이스(72)의 중앙영역 지지면(74a)의 중심부 이외에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71)의 회전지지구(75)의 주변에는 복수의 제2체결공(86)이 형성되고, 하부케이스(72)의 상면에는 상부케이스(71)의 제2체결공(86)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제2체결공(87)이 형성된다. 즉, 상부케이스(71)와 하부케이스(72)에는 상호 대응하는 제2체결공(86, 87)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상부케이스(71)의 제2체결공(86)과 하부케이스(72)의 제2체결공(87)에 제2체결구(82)가 체결됨에 따라 상부케이스(71) 및 하부케이스(72)는 서로 결합된다. 그외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케이스(71)의 제2체결공(86)과 하부케이스(72)의 제2체결공(87)은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갯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2 및 도 24와 같이 제2체결구(82)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제2체결구(82)가 상부케이스(71)의 가장자리 체결공(86) 및 하부케이스(72)의 가장자리 체결공(87)을 관통한 후에 제2체결구(82)의 하단이 베이스플레이트(80)에 체결됨으로써 상부케이스(71)와 하부케이스(72)이 함께 베이스플레이트(80)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하부케이스(72)의 하부 회전지지구조(74a, 74b, 74c)에 인접하여 제1 및 제2 설치홈(61, 62)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설치홈(61, 62)은 선행하는 실시예의 베이스 프레임(51)의 제1 및 제2 설치홈(61, 62)과 동일하게 제1구동축(21), 제1아이들축(22), 제2구동축(31), 제2아이들축(32)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1설치홈(61)의 도중에는 제1구동축(21) 및 제1아이들축(22)의 제1회전접촉부(23)들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제1확장홈(63)이 형성되고, 제2설치홈(62)의 도중에는 제2구동축(31) 및 제2아이들축(32)의 제2회전접촉부(33)가 개별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복수의 제2확장홈(6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 확장홈(63, 64)은 선행하는 실시예의 베이스 프레임(51)의 제1 및 제2 확장홈(63, 64)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부케이스(72)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조립리브(72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케이스(71)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조립홈(71b)이 형성된다. 이에, 상부케이스(71)와 하부케이스(72)가 조립될 때 하부케이스(72)의 조립리브(72a)는 상부케이스(71)의 조립홈(71b)에 끼워짐으로써 각 수용유닛(70)의 견고한 조립구조를 구현함과 더불어 수용유닛(70)의 가장자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71)의 가장자리에는 조립홈(71b)들 사이에 복수의 조립리브(71a)가 형성되고, 상부케이스(71)와 하부케이스(72)가 조립될 때 상부케이스(71)의 조립리브(71a)들은 하부케이스(72)의 제1 및 제2 설치홈(61, 62)에 끼워짐으로써 각 수용유닛(70)의 견고한 조립구조를 구현함과 더불어 수용유닛(70)의 가장자리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됨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외의 나머지 구성들 예컨대, 볼어레이(10), 제1구동유닛(20), 제2구동유닛(30) 등은 선행하는 제1실시예와 유사 내지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볼어레이 11: 볼롤러
20: 제1구동유닛 21: 제1구동축
22: 제1아이들축 30: 제2구동유닛
31: 제2구동축 32: 제2아이들축
50: 수용하우징 51: 베이스 프레임
52: 커버 프레임 61: 제1설치홈
62: 제2설치홈 70: 수용유닛
71: 상부케이스 72: 하부케이스
80: 베이스플레이트

Claims (17)

  1. 복수의 볼롤러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행/열 구조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볼어레이;
    상기 복수의 볼롤러를 제1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1구동유닛; 및
    상기 복수의 볼롤러를 제2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2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유닛은 열단위의 볼롤러들을 회전구동시키도록 제1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제1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유닛은 행단위의 볼롤러들을 회전구동시키도록 제2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제2구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유닛은 각 볼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제1구동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각 볼롤러를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제1아이들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축은 제1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2구동유닛은 각 볼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제2구동축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되어 각 볼롤러를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제2아이들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축은 제2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축 및 제1아이들축의 외주면은 볼롤러와 회전접촉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구동축 및 제2아이들축의 외주면은 볼롤러와 회전접촉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축 및 제1아이들축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회전접촉부가 볼롤러와 회전접촉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접촉부는 제1구동축 및 제1아이들축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구동축 및 제2아이들축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회전접촉부가 볼롤러와 회전접촉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회전접촉부는 제2구동축 및 제2아이들축 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어레이의 볼롤러들은 수용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용하우징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 프레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회전하는 볼롤러의 하부를 개별적으로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하부 회전지지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각 하부 회전지지구조는 각 볼롤러의 하부 중앙영역을 지지하는 중앙영역 지지면과, 각 볼롤러의 하부 좌우 양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영역 지지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에는 복수의 볼롤러의 상부가 관통하여 노출되는 관통공을 가지고, 각 관통공의 하부에는 상부 회전지지면이 형성되며, 상부 회전지지면은 회전하는 볼롤러의 상부를 개별적으로 회전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부 회전지지구조와 볼롤러는 소정틈새 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지지면과 볼롤러는 소정틈새 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제1설치홈 및 제2설치홈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설치홈에는 상기 제1구동축 및 제1아이들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설치홈에는 상기 제2구동축 및 제2아이들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볼롤러는 복수의 수용유닛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용유닛이 베이스플레이트에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며, 각 수용유닛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면에는 회전지지구가 돌출되고, 상기 회전지지구에는 볼롤러의 상부가 관통하여 노출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하부 내면에는 상부 회전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는 회전하는 볼롤러의 하부를 개별적으로 회전지지하는 복수의 하부 회전지지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회전지지구조는 볼롤러의 하부 중앙영역을 지지하는 중앙영역 지지면과, 볼롤러의 하부 좌우 양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영역 지지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중앙영역 지지면에는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공에는 제1체결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하부케이스는 베이스플레이트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가장자리에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체결공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제2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의 제2체결공과 하부케이스의 제2체결공에는 제2체결구가 체결됨으로써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는 제1 및 제2 설치홈이 서로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설치홈에는 제1구동축 및 제1아이들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설치홈에는 제제2구동축 및 제2아이들축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KR1020140003913A 2014-01-13 2014-01-13 볼어레이 이송장치 KR20150084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913A KR20150084178A (ko) 2014-01-13 2014-01-13 볼어레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913A KR20150084178A (ko) 2014-01-13 2014-01-13 볼어레이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4178A true KR20150084178A (ko) 2015-07-22

Family

ID=5387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913A KR20150084178A (ko) 2014-01-13 2014-01-13 볼어레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41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3015A (zh) * 2017-09-24 2018-02-09 昆明瑞丰印刷有限公司 一种托盘输送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3015A (zh) * 2017-09-24 2018-02-09 昆明瑞丰印刷有限公司 一种托盘输送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360B1 (ko) 옴니휠을 가지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US9676563B2 (en) Transfer apparatus
JP4911533B2 (ja) 基板搬送装置及び前記装置に使用される基板ガイドユニット
KR101801362B1 (ko) 옴니휠을 가지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CA2935515A1 (en) Transferring assembly for conveying systems
KR20140038908A (ko) 롤러 이송 시스템
KR20170060386A (ko) 옴니휠을 가지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KR20150084178A (ko) 볼어레이 이송장치
KR101131181B1 (ko) 기판이송장치
CN109311595B (zh) 输送机单元
KR20150144919A (ko) 회전지지유닛을 가지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KR100813617B1 (ko) 기판 이송 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이송 방법
KR20150128183A (ko) 볼어레이 이송장치
KR20150128180A (ko) 볼어레이 이송장치
KR20130098747A (ko) 물류 컨베이어의 저동력을 이용한 자유 롤러
KR20150107050A (ko) 1볼롤러 및 제2볼롤러로 이루어지는 볼어레이 이송장치
KR20150128182A (ko) 볼어레이 이송장치
JP2011121759A (ja) コンベア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コンベア装置
JP2023048333A (ja) 搬送装置
KR100541918B1 (ko) 평판이송장치
KR20070090503A (ko) 마그네틱 기어 및 이를 이용한 마그네틱 컨베이어
JP2017190212A (ja) 搬送装置
KR20150107047A (ko) 피이송물의 정밀한 위치이송 및 회전가능한 볼어레이 이송장치
KR100593370B1 (ko) 커브벨트 컨베이어
KR20150128181A (ko) 볼어레이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