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970A - 스몰 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채널 측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몰 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채널 측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970A
KR20150083970A KR1020140115649A KR20140115649A KR20150083970A KR 20150083970 A KR20150083970 A KR 20150083970A KR 1020140115649 A KR1020140115649 A KR 1020140115649A KR 20140115649 A KR20140115649 A KR 20140115649A KR 20150083970 A KR20150083970 A KR 20150083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discovery
measurement
small cel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진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5000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567B1/ko
Priority to US14/592,123 priority patent/US9713075B2/en
Publication of KR20150083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9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GPP LTE/LTE-A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임의의 기지국/eNB/RRH/RU에 의해 형성되는 임의의 셀을 탐지(detection)하기 위한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eNB/RRH/RU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인접 셀에 대한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해당 셀에 속한 단말의 수 혹은 데이터 트래픽의 양에 따라 해당 셀을 turned on(active state) 혹은 turned off(dormant state)시키는 semi-static 혹은 dynamic cell on/off mechanism이 지원되는 경우, 단말의 셀 detection 혹은 셀 discovery를 위한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몰 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채널 측정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of channel measurement for small cell discovery}
본 발명은 3GPP LTE/LTE-A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임의의 기지국/eNB/RRH/RU에 의해 형성되는 임의의 셀을 탐지(detection)하기 위한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eNB/RRH/RU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인접 셀에 대한 간섭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서 해당 셀에 속한 단말의 수 혹은 데이터 트래픽의 양에 따라 해당 셀을 turned on(active state) 혹은 turned off(dormant state)시키는 semi-static 혹은 dynamic cell on/off mechanism이 지원되는 경우, 단말의 셀 detection 혹은 셀 discovery를 위한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히, macro cell과 중첩되어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small cell 기지국/eNB/RRH/RU에서의 semi-static 혹은 dynamic small cell on/off 적용에 따른 small cell detection/discovery 참조 신호 설정 방법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기술하지만, 반드시 small cell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이즈 및 다양한 형태의 cell에 동일한 개념을 적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단말이 스몰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채널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PSS와 SSS, CRS, CSI-RS, PRS 기반의 셀 디스커버리 프로시져를 각각 정의하는 단계와 임의의 셀에 대한 측정 설정 시, 상기 임의의 셀의 측정 타입, 디스커버리 타입 및 셀 디스커버리 프로시져 ID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의된 각 셀 디스커버리 프로시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셀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Deployment scenario of small cell in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Small cell deployment scenario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Small cell deployment scenario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Small cell deployment scenario #2a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Small cell deployment scenario #2b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Small cell deployment scenario #3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Mapping of downlink reference signals (normal cyclic prefix)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small cell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small cell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상기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i)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ii) 상기 무선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i)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상기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eNB, RRH, 안테나, RU, LPN, 포인트,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ii) 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 셀, 스몰 셀, RRH, 안테나, RU, LPN(Low Power Node), 포인트, eNB, 송수신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포인트를 통칭하여 기지국으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EPDCCH(enhanced PDCCH 또는 extended PDCCH)를 이용해서도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E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한다는 기재는 EPDCCH를 전송 또는 수신하거나 EPDCCH를 통해서 신호를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기재하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PDCCH를 의미하거나, EPDCCH를 의미할 수 있으며, PDCCH 및 EPDCCH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EPDCCH를 적용할 수 있으며, EPDCCH로 설명한 부분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EPDCCH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시그널링을 포함한다.
eNB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eNB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3GPP LTE/LTE-A rel-11 시스템에서 high power eNB에 의해 형성되는 macro cell과 광 케이블로 해당 high power eNB와 연결된 low power RRH에 의해 형성되는 small cell과의 다양한 CoMP 기술 적용을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정의되었으며, hot spot 혹은 coverage hole을 지원하기 위한 pico cell 혹은 micro cell 등이 macro cell과 중첩되어 형성되는 heterogeneous network scenario에서의 다양한 간섭 제어 기술이 제안되었다. 또한 3GPP LTE/LTE-A rel-12에서는 다양한 small cell enhancement 기법들에 대한 리서치가 진행되고 있다.
아래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제안들의 적용이 가능한 small cell deployment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도 1은 Deployment scenario of small cell in [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small cell과 macro셀이 공존하는 상황에서의 일반적인 도면을 나타내며, 아래 도 2 내지 도 6에서는 macro coverage의 유무와 해당 small cell이 outdoor를 위한 것인지, indoor를 위한 것인지, 해당 small cell의 deployment가 sparse 한지 dense한지, spectrum의 관점에서 macro와 동일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사용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따라 좀 더 상세하게 구분한다.
도 2는 Small cell deployment scenario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는 도 3 내지 도 6의 시나리오에 대한 일반적인 대표 도면을 나타낸다. 각각의 시나리오에 따른 설명은 각 시나리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Small cell deployment scenario #1을 도시한 도면이다.
시나리오 1은 overlaid macro의 존재하에 small cell과 macro의 co-channel deployment 시나리오이며 outdoor small cell 시나리오이다.
도 4는 Small cell deployment scenario #2a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나리오 2a는 overlaid macro의 존재하에 small cell과 macro가 서로 다른 주파수 spectrum을 사용하는 deployment 시나리오이며 outdoor small cell 시나리오이다.
도 5는 Small cell deployment scenario #2b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나리오 2b는 overlaid macro의 존재하에 small cell과 macro가 서로 다른 주파수 spectrum을 사용하는 deployment 시나리오이며 indoor small cell 시나리오이다.
도 6은 Small cell deployment scenario #3를 도시한 도면이다.
시나리오 3은 macro의 coverage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하에 indoor small cell 시나리오이다.
<Small cell discovery 관련 >
기존의 3GPP LTE/LTE-A 시스템(rel-11 이하 시스템)에서 임의의 단말에서 임의의 기지국/eNB/RU/RRH에 의해 형성된 임의의 셀을 detection하기 위한 하향 링크 동기 및 참조 신호로서 PSS/SSS 및 CRS가 이용되었다. 이에 따라 임의의 셀을 구성하고 있는 기지국/eNB/RU/RRH에서는 10ms radio frame 단위로 frame structure type(TDD/FDD)에 따라 FDD의 경우 0/5번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PSS/SSS를 전송하고, TDD의 경우 1/6번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PSS/SSS를 전송하며, 구성된 모든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CRS를 전송하도록 정의되었다.
하지만, 현재 3GPP LTE/LTE-A rel-12의 study를 통해 상기와 같은 다양한 small cell deployment 시나리오에 대한 리서치가 수행되었고, 이와 관련한 한 리서치 영역으로 small cell on/off 동작 방안과 이와 관련된 small cell discovery procedure에 대한 리서치가 수행되었으며, 기존의 PSS/SSS 및 CRS 기반의 small cell discovery 방법에 추가적으로 새로운 참조 신호를 기반으로 한 new small cell discovery procedure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해당 small cell on/off 및 small cell discovery와 관련하여 3GPP RAN1 TR의 내용을 발췌하여 appendix [1] TR36.872을 통해 첨부하도록 한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3GPP LTE/LTE-A 시스템에서 정의된 하향 링크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및 SS(Synchronization Signal) 관련 정보를 appendix [2] TS36.211을 통해 첨부하도록 한다.
이처럼 임의의 macro cell coverage와 중첩되어 다수의 small cell들이 도입되는 경우, cell splitting gain을 통해 전체 시스템 throughput이 증가하게 되지만, 해당 cell splitting gain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small cell과 macro cell 간의 간섭 문제 및 다수의 기지국 도입을 통한 시스템 전력 소모 증가 및 유지 관리 비용의 증가 등의 단점도 존재하게 된다. 특히, 해당 small cell coverage 내에 접속된 단말이 없는 상황에서도 불필요하게 해당 small cell 기지국/eNB/RU/RRH가 지속적으로 PSS/SSS 및 PBCH 혹은 CRS를 포함한 하향 링크 신호를 송출해야 하기 때문에 해당 small cell 기지국/eNB/RU/RRH에서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야기할 뿐 아니라, 인접 셀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에 불필요한 간섭을 끼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small cell에 접속한 단말의 수 혹은 단말의 유무에 따라 해당 small cell 기지국/eNB/RU/RRH off mode/state로 전환하는 small cell on/off 동작 지원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dynamic 혹은 semi-static small cell on/off 동작이 지원될 경우, 해당 small cell off state에서 단말의 cell measurement/discovery procedure를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기존의 PSS/SSS 및 CRS 기반의 cell measurement/discovery procedure 외에 CSI-RS 혹은 PRS 기반의 cell measurement/discovery 방법과 혹은 새로운 discovery RS(본 발명에서는 이를 rel-12 discovery RS라 지칭하도록 한다) 기반의 cell measurement/discovery procedure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macro cell과 다수의 small cell들이 중첩되어 도입된 small cell deployment 시나리오에서 임의의 기지국/eNB/RRH/RU에 접속한 단말의 수, 접속 단말 유무 혹은 데이터 트래픽의 양에 따른 small cell on/off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small cell discovery를 위한 cell measurement/discovery procedure 설정 방법에 관해 제안하도록 한다.
도 7은 Mapping of downlink reference signals (normal cyclic prefix)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존의 3GPP LTE/LTE-A rel-11 이하의 시스템에서는 임의의 셀을 형성하는 기지국/eNB/RU/RRH에서는 단말의 핸드오버 및 cell selection/reselection 등 mobility management 또는 캐리어 병합을 위한 secondary serving cell measurement를 목적으로 한 단말의 하향 링크 채널 측정(measurement)을 위해 아래의 도 7과 같이 해당 기지국에 장착된 안테나 포트 수에 따라 모든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을 전송해야 했다. 단, MBSFN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는 첫번째 슬롯의 첫번째 OFDM 심볼 혹은 두번째 OFDM 심볼을 통해서만 해당 CRS를 전송하였다.
이에 따라 해당 기지국과 접속한 단말은 일정 시간 동안 해당 매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되는 CRS를 수신하여 RSRP/RSRQ를 측정하여 이를 기지국으로 리포팅하고, 네트워크 단에서 이를 기반으로 핸드오버 등과 같은 단말의 mobility management procedure 수행 여부 및 캐리어 병합을 위한 secondary serving cell에 대한 activation/deactivation 여부를 결정하였다. 또한 해당 기지국이 전송하는 상기의 CRS는 인접 기지국과 접속한 단말의 이동에 따른 핸드오버 타겟 기지국 결정을 위한 채널 측정 및 idle 상태의 단말들의 cell selection/reselection을 위한 채널 측정을 위해서도 사용되었기 때문에 해당 기지국과 접속을 맺고 있는 단말이 없더라도 해당 기지국은 항상 상기의 CRS를 모든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해야 했다.
하지만,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macro cell과 중첩되어 다수의 small cell이 도입된 경우, 해당 small cell에 접속한 단말이 하나도 없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small cell에서 전송하는 CRS 및 PSS/SSS 혹은 PBCH와 같은 하향 링크 신호가 불필요하게 macro cell이나 혹은 인접 small cell에 간섭을 미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매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통해 CRS를 전송하기 위해 해당 small cell 기지국/eNB/RU/RRH에서도 항상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임의의 small cell에 접속한 단말이 없거나, 혹은 데이터 트래픽이 없을 경우, 해당 small cell을 off시키는 semi-static 혹은 dynamic small cell on/off 동작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즉, 임의의 셀에 대해 subframe level 혹은 10ms radio frame level로 dynamic하게 on/off 모드 전환, 혹은 semi-static하게 on/off 모드 전환을 통해 기존의 하향 링크 PSS/SSS, CRS 혹은 다른 하향 링크 신호 및 채널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off 모드 동작을 지원하는 small cell on/off 동작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처럼 임의의 small cell 기지국에서 해당 dynamic 혹은 semi-static small cell on/off operation이 적용될 경우, 해당 small cell이 off state에 있을 때, 모든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서 하향 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CRS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 small cell에 대한 단말의 discovery performance를 보장하기 위해 새로운 small cell discovery procedure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기존의 시스템에서 cell discovery를 위해 사용된 기존의 PSS/SSS 및 CRS 기반의 legacy cell measurement RS 기반의 cell discovery procedure 외에 CSI-RS 기반의 cell discovery procedure와 PRS 기반의 cell discovery procedure를 등 서로 다른 하향 링크 참조 신호 기반의 복수의 cell discovery procedure들을 정의하고, 임의의 셀에 대한 measurement 설정 시, 해당 cell measurement/discovery type 혹은 cell discovery procedure ID 설정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이를 기반으로 설정된 discovery procedure를 기반으로 해당 cell discovery를 수행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Point 1.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한 cell measurement/discovery type 설정
TS36.331에 정의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된 LTE/LTE-A(E-UTRA) 셀을 위한 Measurement configuration 구성 정보에 따르면, measurement를 위한 주파수 정보, measurement cell list 설정 정보, measurement gap 설정 정보 및 measurement reporting 관련 설정 정보 등이 전송되었다. 또한 SCell addition/release를 위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구성 정보에 따르면, 임의의 SCell addition을 위해 해당 SCellIndex 정보, cell identification 관련 정보(PCID, DL-carrier frequency), 해당 SCell의 radio resource configuration 관련 정보 등이 전송되었다. 이와 관련한 TS36.331에 정의된 구체적인 정보 영역은 아래와 같다.
MeasObjectEUTRA information element
-- ASN1START
MeasObjectEUTRA ::= SEQUENCE {
carrierFreq ARFCN-ValueEUTRA,
allowedMeasBandwidth AllowedMeasBandwidth,
presenceAntennaPort1 PresenceAntennaPort1,
neighCellConfig NeighCellConfig,
offsetFreq Q-OffsetRange DEFAULT dB0,
-- Cell list
cellsToRemoveList CellIndexList OPTIONAL, -- Need ON
cellsToAddModList CellsToAddModList OPTIONAL, -- Need ON
-- Black list
blackCellsToRemoveList CellIndexList OPTIONAL, -- Need ON
blackCellsToAddModList BlackCellsToAddModList OPTIONAL, -- Need ON
cellForWhichToReportCGI PhysCellId OPTIONAL, -- Need ON
...,
[[measCycleSCell-r10 MeasCycleSCell-r10 OPTIONAL, -- Need ON
*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r10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r10 OPTIONAL -- Need ON
]],
[[widebandRSRQ-Meas-r11 BOOLEAN OPTIONAL -- Cond WB-RSRQ
]]
}
MeasObjectEUTRA-v9e0 ::= SEQUENCE {
carrierFreq-v9e0 ARFCN-ValueEUTRA-v9e0
}
CellsToAddModList ::= SEQUENCE (SIZE (1..maxCellMeas)) OF CellsToAddMod
CellsToAddMod ::= SEQUENCE {
cellIndex INTEGER (1..maxCellMeas),
physCellId PhysCellId,
cellIndividualOffset Q-OffsetRange
}
BlackCellsToAddModList ::= SEQUENCE (SIZE (1..maxCellMeas)) OF BlackCellsToAddMod
BlackCellsToAddMod ::= SEQUENCE {
cellIndex INTEGER (1..maxCellMeas),
physCellIdRange PhysCellIdRange
}
MeasCycleSCell-r10 ::= ENUMERATED {sf160, sf256, sf320, sf512,
sf640, sf1024, sf1280, spare1}
MeasSubframePatternConfigNeigh-r10 ::= CHOICE {
release NULL,
setup SEQUENCE {
measSubframePatternNeigh-r10 MeasSubframePattern-r10,
measSubframeCellList-r10 MeasSubframeCellList-r10 OPTIONAL -- Cond measSubframe
}
}
MeasSubframeCellList-r10 ::= SEQUENCE (SIZE (1..maxCellMeas)) OF PhysCellIdRange
-- ASN1STOP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message for SCell addition/release
SCellToAddModList-r10 ::= SEQUENCE (SIZE (1..maxSCell-r10)) OF SCellToAddMod-r10
SCellToAddMod-r10 ::= SEQUENCE {
sCellIndex-r10 SCellIndex-r10,
cellIdentification-r10 SEQUENCE {
physCellId-r10 PhysCellId,
dl-CarrierFreq-r10 ARFCN-ValueEUTRA
} OPTIONAL, -- Cond SCellAdd
radioResourceConfigCommonSCell-r10 RadioResourceConfigCommonSCell-r10 OPTIONAL, -- Cond SCellAdd
radioResourceConfigDedicatedSCell-r10 RadioResourceConfigDedicatedSCell-r10 OPTIONAL, -- Cond SCellAdd2
...,
[[ dl-CarrierFreq-v1090 ARFCN-ValueEUTRA-v9e0 OPTIONAL -- Cond EARFCN-max
]]
}
SCellToReleaseList-r10 ::= SEQUENCE (SIZE (1..maxSCell-r10)) OF SCellIndex-r10
본 발명에서는 dormant state 혹은 off state에 있는 임의의 셀에 대한 discovery/measurement 수행을 위해 복수의 cell measurement/discovery procedure를 정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임의의 셀이 dormant state 혹은 off state일 경우, 단말에서 해당 셀을 discovery/measurement하기 위한 하향 링크 참조 신호의 종류 혹은 type 및 그에 따른 cell measurement procedure를 정의한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 정보 영역을 정의하여, 이를 상기의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위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혹은 SCell addition을 위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small cell deployment 시나리오 상황에서 임의의 macro cell과 접속을 맺고 있는 단말에 대해 해당 단말에서 주변 small cell 주파수 대역에 대한 CA(Carrier Aggregation) 혹은 handover 등을 목적으로 한 measurement configuration 관련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전송 시, 혹은 해당 스몰 셀 주파수 대역에 대한 CA를 수행하기 위한 SCell addition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전송 시, 해당 small cell을 discovery/measurement 하기 위한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을 설정하여 이를 RRC signaling을 통해 해당 단말에게 함께 전송하도록 한다. 해당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 정보는 해당 cell을 discovery하고 해당 cell의 하향 링크 채널 측정을 위한 measurement RS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해당 설정 값에 단말은 해당 셀을 discovery하기 위해 설정된 RS 기반의 채널 측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실시예 1: 특히, 해당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 정보는 해당 셀이 off state에 있을 때, 단말에서 해당 셀을 discovery하기 위한 measurement RS 설정 정보를 나타내주는 정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해당 셀에서 legacy PSS/SSS+CRS를 전송하지 않는 off state인 경우, 단말이 해당 cell에 대한 discovery 및 measurement를 위해 수신해야 하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의 종류를 indication하기 위한 정보 영역으로 정의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cell off state를 위한 discovery/measurement RS 및 이를 기반으로 한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로서 burst한 CRS 기반의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CSI-RS 기반의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PRS 기반의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혹은 새로운 rel-12 discovery RS 기반의 cell measurement/discovery procedure가 정의될 경우, 해당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 정보 영역을 통해 해당 4가지 type의 cell measurement/discovery procedure 중 단말이 수행해야 하는 cell measurement/discovery procedure를 설정하여 해당 단말에게 알려주도록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단말은 해당 cell에 대해, legacy PSS/SSS 및 CRS 전송을 detection하지 못할 경우, 해당 cell이 off state임을 가정하여 설정된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 값에 따라 정의된 discovery/measurement RS를 통한 cell discovery/measurement를 수행하도록 한다. 단, 단말의 cell measurement/discovery procedure를 돕기 위해 추가적으로 상기의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위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혹은 SCell addition을 위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해당 cell의 state 관련 정보(on state or off state)도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단말은 이에 따라 on state인 경우 legacy PSS/SSS 및 CRS 기반의 cell discovery/measurement를 수행하도록 하고, off state인 경우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 설정 값에 따라 정의된 measurement/discovery RS 기반의 cell discovery/measurement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2: 혹은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은 cell의 state와 관계없이 설정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el-12에서 cell discovery/measurement를 위해 각각 기존의 legacy PSS/SSS+CRS 기반의 type-1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CSI-RS 기반의 type-2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PRS 기반의 type-3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의 3가지 type의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를 각각 정의하고, 해당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중 적용할 type 정보를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위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혹은 SCell addition을 위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각각의 cell 별로 설정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해당 cell의 state에 관계 없이, 설정된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에 따르도록 정의될 수 있다.
단, 상기에서 서술한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의 수와 각각의 type 별 cell discovery/measurement를 위한 참조 신호의 정의 방법은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은 해당 구체적인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방법에 상관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mall cell을 위한 discovery를 위한 measurement RS 혹은 discovery RS로서 PSS/SSS+CRS 기반의 discovery/measurement 방법 혹은 CSI-RS 기반의 discovery/measurement 방법이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small cell discovery/measurement를 위해 PSS/SSS+CRS 기반의 discovery/measurement를 수행해야 하는 셀과 CSI-RS 기반의 measurement를 수행해야 하는 셀들을 각각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위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해당 small cell을 위한 measurement configuration RRC 메시지에 CRS 기반의 measurement를 수행하는 셀의 list(e.g. PCID list)와 CSI-RS 기반의 measurement를 수행하도록 정의된 셀의 list(e.g. PCID 혹은 CSI-RS를 scrambling하기 위한 VCID 등)을 별도로 정의하여 단말에 시그널링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Point 2. Small cell on / off state
상기의 point 1의 실시예 2와 같이 cell state에 관계없이 정의된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에 따라 정의된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를 따르도록 정의된 경우, 임의의 단말에서는 설정된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에 따라 해당 cell의 state 정보를 획득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해당 임의의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은 active, 즉 on state의 cell에서만 설정되도록 정의하고, 나머지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은 dormant, 즉 off state의 cell에서만 설정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혹은 상기의 measurement configuration을 위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나 상기의 SCell addition을 위한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해당 cell의 state 관련 정보를 indication해주기 위한 1 bit으로 구성된 정보 영역을 정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해당 cell의 state을 indication해주는 정보 영역이 정의될 경우, 추가적으로 해당 cell의 state에 따라 상기 point 1의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의 해석이 달라지도록 정의할 수 있다. 즉, on state의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 설정값에 따른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와 off state의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 type 설정값에 따른 cell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가 독립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임의의 단말에서 상기의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addition된 임의의 SCell이 activation될 경우, 해당 SCell의 현재 설정 state에 관계없이 항상 on state로 전환된 것으로 해석하며, 이에 따라 해당 SCell에 대한 discovery/measurement procedure는 PSS/SSS+CRS 기반의 legacy procedure로 암묵적으로 reconfiguration하도록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small cell deployment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서술하였지만, cell size 혹은 type에 관계없이 모든 cell deployment 시나리오에서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상기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셀은 사업자의 의해 설치된 임의의 송수신 포인트에 의해 설정되는 지역적 coverage를 의미하는 말로서 일반적으로 해당 송수신 포인트와 eNB, RRH, RU, 전송 포인트, TP(Transmission Point) 등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셀 자체가 해당 송수신 포인트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기지국(1000)은 제어부(1010), 송신부(1020) 및 수신부(1030)을 포함한다.
제어부(101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macro cell과 다수의 small cell들이 중첩되어 도입된 small cell deployment 시나리오에서 임의의 기지국/eNB/RRH/RU에 접속한 단말의 수, 접속 단말 유무 혹은 데이터 트래픽의 양에 따른 small cell on/off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small cell discovery를 위한 cell measurement/discovery procedure 설정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020)와 수신부(10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단말(1100)은 수신부(1110), 제어부(1120) 및 송신부(1130)를 포함한다.
수신부(11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2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macro cell과 다수의 small cell들이 중첩되어 도입된 small cell deployment 시나리오에서 임의의 기지국/eNB/RRH/RU에 접속한 단말의 수, 접속 단말 유무 혹은 데이터 트래픽의 양에 따른 small cell on/off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small cell discovery를 위한 cell measurement/discovery procedure 설정에 따른 전반적인 단말의 동작을 제어한다.
송신부(11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small cell on/off 및 small cell discovery와 관련한 3GPP RAN1 TR 36.872의 specification 내용 section 6.1 및 6.2
2. 하향 링크 참조신호(Reference Signal) 및 SS(Synchronization Signal) 관련 정보에 대한 3GPP RAN1 TS 36.211의 6.10.1 및 6.11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단말이 스몰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채널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PSS와 SSS, CRS, CSI-RS, PRS 기반의 셀 디스커버리 프로시져를 각각 정의하는 단계;
    임의의 셀에 대한 측정 설정 시, 상기 임의의 셀의 측정 타입, 디스커버리 타입 및 셀 디스커버리 프로시져 ID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정의된 각 셀 디스커버리 프로시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셀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KR1020140115649A 2014-01-10 2014-09-01 스몰 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채널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500839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030A KR101632567B1 (ko) 2014-01-10 2015-01-02 스몰 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채널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US14/592,123 US9713075B2 (en) 2014-01-10 2015-01-08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hannel for small cell discov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54 2014-01-10
KR20140003354 2014-0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970A true KR20150083970A (ko) 2015-07-21

Family

ID=538736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649A KR20150083970A (ko) 2014-01-10 2014-09-01 스몰 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채널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0150000030A KR101632567B1 (ko) 2014-01-10 2015-01-02 스몰 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채널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030A KR101632567B1 (ko) 2014-01-10 2015-01-02 스몰 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채널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083970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4236A (ko) * 2011-07-29 2013-02-07 주식회사 팬택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참조신호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9107056B2 (en) * 2012-04-18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Small cell activation proced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567B1 (ko) 2016-07-04
KR20150083973A (ko) 201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3708B2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102306320B1 (ko)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902406B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셀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331827B2 (en) Enhanced receiver configuration adaptive to cyclic prefix configuration
EP26018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ange expansion in a wireless network
US9801084B2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ES2673308T3 (es) Configuración de medición y notificación en redes de radiocomunicación
CN106416376B (zh) 用户终端、基站以及无线通信方法
KR20200008591A (ko) 비-독립 모드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제공하기 위한 옵션들
US97130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hannel for small cell discovery
US20150215929A1 (en) Cell on-off procedure for dual connectivity
US98439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93291B2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20140044322A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측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2368984A (zh) 用户终端
KR20160010849A (ko) 비면허대역 셀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N112154695A (zh) 用户终端以及无线基站
KR20150013444A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abs 구간 추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14890A (ko) 단말의 세컨더리 셀 동작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83970A (ko) 스몰 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채널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150124046A (ko) 스몰 셀 디스커버리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60058677A (ko) 비면허대역에서 채널 측정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55383A (ko) Small cell 디스커버리 방법 및 장치
KR20150083784A (ko) 스몰 셀 디스커버리를 위한 참조신호 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21014A (ko) 캐리어 병합 제어 방법 및 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