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849A - 호흡기 질환 환자의 치료를 위한 약품 전달 기구 - Google Patents

호흡기 질환 환자의 치료를 위한 약품 전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3849A
KR20150083849A KR1020157011387A KR20157011387A KR20150083849A KR 20150083849 A KR20150083849 A KR 20150083849A KR 1020157011387 A KR1020157011387 A KR 1020157011387A KR 20157011387 A KR20157011387 A KR 20157011387A KR 20150083849 A KR20150083849 A KR 20150083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ed medicament
inhaler
suction channel
dry powder
mete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1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756B1 (ko
Inventor
마크 패리-빌링스
마리오 스쿠리
마리아 키아라 타베르나
Original Assignee
키에시 파르마슈티시 엣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에시 파르마슈티시 엣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키에시 파르마슈티시 엣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15008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3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with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21Mouthpieces therefor
    • A61M15/0025Mouthpieces therefor with caps
    • A61M15/0026Hinged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91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 A61M15/0093Inhalators mechanically breath-triggered without arming or cocking, e.g. acting directly on the delivery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01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A61M15/0005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 A61M15/0006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 A61M15/0008Details of inhal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medicament using rotating means rotating by air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8Indicating or counting the number of dispensed doses or of remaining doses
    • A61M15/007Mechanical counters
    • A61M15/0071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 A61M15/0075Mechanical counters having a display or indicator on a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1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 proportional output signal, e.g. from a thermis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15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 A61M2016/0018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 A61M2016/0024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inhalation detectors electrical with an on-off output signal, e.g. from a swi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61M2016/003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2Desic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6Solids
    • A61M2202/064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5Acoustical, e.g. ultrasonic,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46Range
    • A61M2205/3553Range remote, e.g. between patient's home and doctor's off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6/00Characteristics of a physical parameter; associated device therefor
    • A61M2206/10Flow characteristics
    • A61M2206/16Rotating swirling helical flow, e.g. by tangential inflo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05Parameter used as control input for the apparatu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건조 분말 흡입기에서 최고 들숨 유량(PIF)과 호흡 작동식 기구(Breath Actuated Mechanism, BAM)와 같은 사용중 이벤트를 탐지할 수 있는 처리 회로와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약품 전달 기구가 설명된다. 본 내용은 시험 중에 있는 흡입기가 사용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시험을 개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호흡기 질환 환자의 치료를 위한 약품 전달 기구{DRUG DELIVERY DEVIC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본 발명은 약품 전달 기구, 그 부품 및 약품 전달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건조 분말 흡입기(dry powder inhaler, DPI), 상기 흡입기의 몸체의 외측 표면에 장착되는 마이크로폰,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과 같은 호흡기 질환에 걸린 환자들의 치료에 사용되는 처리 회로(processing circuitry)를 포함하는 약품 전달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호흡기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베타2-아드레날린성 작용제, 스테로이드 및 항콜린제와 같은 약품이 널리 흡입을 통해서 투여된다.
현재, 흡입 치료를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시스템은 가압 정량 도즈 흡입기(pressurized metered dose inhalers, pMDIs)이고 이는 기도(respiratory tract)에 약품을 함유하는 액적(droplet)을 배출하기 위하여 분사제를 사용한다.
건조 분말 흡입기(Dry powder inhalers, DPIs)는 기도(airway)로 약품을 투여하는데 있어서 MDI에 타당한 대안이 된다. DPI의 주된 장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호흡 작동식 전달 시스템임에 있어서, DPI는 약품의 방출이 환자 자신의 흡입(inhalation)에 의지하는 것이므로 작동의 조화(협력, 상호협력)이 필요하지 않다.
둘째, DPI는 환경에 위해가 되는 분사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서, 본 출원인은 유럽특허공보 EP 1386630에서 포켓 사이즈의 호흡 작동식의 중간 저항 DPI(medium resistance DPI)를 개시하였는 바, 이는 마우스피스가 구비된 몸체를 포함하고, 분말식 약품을 뭉침분쇄(deagglomerating)하기 위한 뭉침분쇄기 시스템(deagglomerator system)이 구비되어 있으며, 분말식 약을 공급하기 위한 개구가 마련된 와류 챔버(vortex chamber)와, 공기를 상기 와류 챔버쪽으로 접선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두 개의 공기 흡입구와, 뭉침분쇄된 분말식 약과 함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출구는 뭉침분쇄기 장치와 축방향으로 공기 흡입구들과 이격되어 있고, 이 때 각 공기 흡입구의 외측벽은 와류 챔버의 아치형 벽체부에 의하여 다른 공기 흡입구에 연결된다.
그러나, DPI는 폐에 도달하기에 충분히 작은 입자들로 분말을 깨는 환자의 힘에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불충분한 환자의 흡입 유량 속도(flow rate)는 도즈 투여가 감소되고 분말의 뭉침분쇄가 불완전해질 수 있고 장치 성능이 불만족스럽게 된다.
상기 뭉침분쇄기 시스템은 또한 사이클론(cyclone)으로 호칭되고 있다.
따라서, 기구 내에서 환자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 흐름과 다른 정도의 기능적 제한과 이것의 연관성, 그리고 약품이 분산되고 종국에는 기도로 흡입되는 것에 대응되는 효율성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특히, EP 1386630호에서의 기구를 통해서 환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흡입 흐름의 정확한 평가를 위한 도구를 제공하는 것과 이러한 동작이 호흡 작동식 기구(Breath Actuated Mechanism, BAM)의 작동으로 귀결되는지 여부, 따라서 호흡기 질환을 가진 환자에 의도한 도즈가 투여되는지를 조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할 것이다.
그러나, EP 1386630호의 흡입기의 뭉침분쇄기 시스템은 흡기(inspired air)가 통과할 때 탐지 가능한 와류 주파수(vortex frequency)를 생성하지 않는다.
WO 2011/135353호는 건조 분말 흡입기, 정량 도즈 흡입기, 코 흡입기(nasal inhaler) 및 연무기(nebuliser)와 같은 흡입기의 공기 통로를 통한 제제의 들숨 동작 중에 핵심 성능 특징들을 측정/모니터링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은 EP 138663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분말식 약품을 뭉침분쇄하기 위한 뭉침분쇄기 시스템이 구비된 DPI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못하다.
본 출원인은 WO 2011/135353호에 개시된 기술이 상기 흡입기에 적용될 수 있고 호흡기 질환을 가진 환자에 있어서 그 핵심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데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호흡기 질환 환자의 치료를 위한 약품 전달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몸체(1)와 덮개(2)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을 앓는 환자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건조 분말 흡입기에 대한 것이며, 상기 몸체는,
- 분말식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컨테이너(7),
- 도징 홈(dosing recess)(18)이 구비된 계량 부재(metering member)(15)(여기서 상기 계량 부재(15)는 도징 홈(18)이 컨테이너(7)의 개구와 함께 정렬되어 분말식 약제의 도즈로 충전될 수 있는 충전 위치와, 상기 도징 홈(18)이 흡입 채널(27)과 함께 정렬되는 흡입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 계량 부재(15)가 상기 흡입 위치에 있을 때 계량 부재(15)의 도징 홈(18)에 포함된 분말식 약품의 도즈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 채널(27)과 교통되는 마우스피스(3),
- 계량 부재(15)와 흡입 채널(27) 사이에 제공되고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보호 부재(19)(여기서, 닫힌 위치에서는 보호 부재(19)가 계량 부재(15)가 흡입 위치에 있을 때 계량 부재(15)의 도징 홈(18)을 적어도 덮어서 도징 홈(18)에 포함된 분말식 약제가 흡입 채널(27)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열린 위치에서는 보호 부재(19)가 도징 홈(18)을 덮지 않아서 도징 홈(18)을 흡입 채널(27)에 노출하고 이로써 도징 홈(18)에 포함된 분말식 약제의 도즈가 흡입될 수 있다),
- 호흡 작동식 기구(BAM)로서, 보호 부재(19)가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 환자가 발휘하는 흡입의 빨아 들이는 힘이 소정의 값을 초과한다면 BAM(21, 23)이 보호 부재(19)가 열린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보호 부재(19)에 결합된 호흡 작동식 기구,
- 분말식 약제를 뭉침분쇄하기 위한 뭉침분쇄기 장치(16)가 구비된 흡입 채널(27)로서, 분말식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가 마련된 와류 챔버(vortex chamber)(73)와, 공기를 상기 와류 챔버(73)쪽으로 접선방향으로(tangentially) 향하게 하기 위한 두 개의 공기 흡입구(75)와, 뭉침분쇄된 분말식 약제와 함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74)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구(74)는 뭉침분쇄기 장치(16)와 축방향으로 공기 흡입구(75)들과 이격되어 있고, 이 때 각 공기 흡입구(75)의 외측벽은 와류 챔버(73)의 아치형 벽체부(79)에 의하여 다른 공기 흡입구(75)에 연결되며, 각각의 아치형 벽체부(79)는 와류 챔버(73)의 직경(d)가 6 mm≤d≤10 mm로 정의되는 수평분도원(horizontal circle)(77)에 대해서 동심이 서로 다르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흡입 채널(27)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기의 몸체의 외부 표면에 장착된 전증폭기(preamplifier)와 일체화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건조 분말 흡입기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음향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가능한 처리 회로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말식 약제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분말식 약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 분말 흡입기를 이용하여 상기 약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으로 호흡기 질환을 앓는 환자의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단기 작용(즉, 속효성) 및 장기 작용(즉, 지속성) 베타2-작용제, 항콜린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포스포디에스테라제-억제제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의 미분화된 입자들과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거친 담체 입자들을 포함하는 제제로 구성된다.
상기 활성 성분은 장기 작용 베타2-작용제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조합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장기 작용 베타2-작용제는 푸마르산 포르모테롤 이수화물 (formoterol fumarate dihydrate)일 수 있고, 상기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beclometasone dipropionate)일 수 있다. 환자들은 천식 또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다양한 형태로부터 선택된 호흡기 질환에 걸려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질병은 중등도 내지 중증의 지속성 천식 또는 중증의 COPD일 수 있다. 또한, 환자들은 12세 이하의 어린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기의 몸체의 외부 표면에 장착된 전증폭기(preamplifier)와 일체화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건조 분말 흡입기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음향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가능한 처리 회로와 함께 상기 언급한 흡입기를 호흡기 질환에 걸린 환자의 치료에 유용한 기구를 제작하는 데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정의들
앞서 사용된 바와 같이, "건조 분말 흡입기(dry powder inhaler, DPI)"는 건조 분말의 형태로 폐에 약제를 전달하는 기구를 의미하는데 DPI는 아래 두 가지 기본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활성 화합물의 사전 세분화된 단일 도즈(pre-subdivided single dose)를 투여하기 위한 단일 도즈 흡입기
둘째, 사전 세분화된 단일 도즈(단회 용량 투여) 또는 멀티플 도즈(다회 용량 투여, multiple dose)에 충분한 활성 성분의 용량이 사전에 장착된 다회용량투여 건조 분말 흡입기(multidose dry powder inhaler, MDPI).
이제는 이들의 디자인과 기계적 특징에 엄격하게 의존하는 필요 들숨 유량 속도(l/min)에 기초하여, 건조 분말 흡입기는 다음과 같이 또한 나뉜다.
1) 저저항 기구(>90 l/min)
2) 중저항 기구(약 60 - 90 l/min)
3) 중고저항 기구(약 50 - 60 l/min)
4) 고저항 기구( 30 l/min 미만)
위와 같은 보고된 분류는 유럽 약전(Eur Ph)에 따라서 4 KPa(킬로파스칼)의 압력 떨어짐을 생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유량 속도에 대하여 생성된다.
"몸체"란 용어와 "케이싱(casing)"이란 용어는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시간 대비 들숨 유량 속도(inspiratory flow rate by time)"라는 용어는 시간을 따라서 단위 시간 당 부피로 측정된 공기의 들숨 유량의 속도 특성을 가리킨다.
"호흡 작동식 기구에서의 흐름과 상기 기구로의 시간(the flow at and time to BAM)"이란 용어는 호흡 작동식 기구의 작동개시(열림) 시에 측정된 공기 흐름과 흡입기 기구로부터 약품의 전달(양)과 상기 호흡 작동식 기구가 열린 시간을 의미한다.
"최고 들숨 유량(peak inspiratory flow, PIF)과 PIF로의 시간"이란 용어는 흡입기 기구를 통하여 환자의 들숨 동안의 최대 흐름(maximum flow)과 최고 들숨 유량이 발생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초기 가속도(initial acceleration)"란 용어는 원점 시간(time 0)으로부터 시작해서 BAM 작동개시(열림)때까지 들숨 유량이 변화하는 속도(rate)를 의미한다.
"미세전자 기계시스템(MicroElectrical-Mechanical System, MEMS)마이크로폰"이란 용어는 마이크로폰 칩 또는 실리콘 마이크로폰을 의미한다. 압력 감지 다이아프램(pressure-sensitive diaphragm)은 MEMS 기술에 의하여 실리콘 칩으로 직접 에칭되고, 통상적으로 통합된 전증폭기(integrated preamplifier)를 수반한다. 대부분은 MEMS 마이크로폰들은 콘덴서 마이크로폰 형태의 변형들이다. 종종 MEMS 마이크로폰들은 동일한 CMOS 칩 상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 ADC)에 구축되어 상기 칩을 디지털 마이크로폰으로 만들고 현대의 디지털 제품과 더욱 손쉽게 통합된다. MEMS 실리콘 마이크로폰을 생산하는 주요 제조처들은 Wolfson Microelectronics, Analog Devices, 및 Akustica Infineon, Knowles Electronics, Memstech, NXP Semiconductors, Sonion MEMS, AAC Acoustic Technologies, 및 Omron이다.
도면
도면 - 통제된 그리고 통제 상태가 안좋은, 또는 통제되지 않은 천식 환자에 있어서 EP 1386630호의 기구 내에서 흐름 특성을 정의하는 주요 파라미터들. 위로부터 아래로 나열하면, BAM 작동개시 시의 유량, 최고 들숨 유량(PIF) 및 초기 가속도이다.
본 발명은 호흡기 질병에 걸린 환자의 치료를 위하여 건조 분말 흡입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것인데, 상기 흡입기는 상기 흡입기의 몸체의 외측 표면에 장착된 전증폭기와 일체화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건조 분말 흡입기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음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작동가능한 처리 회로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폰은 미세전자 기계시스템(MicroElectrical-Mechanical System, MEMS)마이크로폰이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흡입기의 몸체의 바닥에 장착된다.
상기 흡입기의 특징들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EP 1386630에서 보고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구의 덮개(2)는 몸체(케이싱)(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덮개(2)가 닫힌 위치(상기 덮개가 마우스피스(3)를 덮는 위치)와 열린 위치(상기 덮개가 마우스피스(3)를 노출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몸체(1)는 컨테이너(7)에 남아 있거나 흡입된 분말식 약제의 도즈의 수를 표시하는 윈도우(4)를 포함하는데, 상기 분말식 약제의 도즈의 수는 도즈 카운팅 유닛(dose counting unit)(24-26)에 의해서 산정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몸체(1)는 또한 계량 부재(15)의 도징 홈(18)에 포함된 분말식 약제의 도즈가 흡입 준비가 되어 있는지 또는 이미 흡입되었는지를 보여주는 표식(mark)(38)을 보여주기 위한 개구(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는, 컨테이너(7)는 분말식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약제 챔버(8)와 건조제(desiccant)를 저장하기 위한 일체화된 건조제 챔버(integral desiccant chamber)(9)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제 챔버(9)는 투과성 막(permeable membrane)(10)에 의해서 약제 챔버(8)와는 분리된다.
음향 신호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녹음되고, 그리고 나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는 WO 2011/135353호에 따른 상기 특정의 흡입기를 위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합하게 작성된 일련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처리 회로는 i) 들숨 동안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를 트랙킹하고, ii) 음향 신호를 저장된 제1 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흐름 흡입 특성(flow inhalation profile)로 변환하고, iii)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된 신호를 BAM의 작동개시를 탐지하기 위하여 처리하고, 따라서 분말식 약제가 들숨 중에 전달되는 타이밍을 탐지하고, iv) 상기 흐름 흡입 특성에 대한 상기 전달의 탐지된 타이밍을 저장된 제2 보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약제의 전달이 필요한 전달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WO 2011/135353에 개시된 기술은 완전히 비침습적이고, 흡입기의 공기흐름 또는 에어로졸화(aerosolisation)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긍정적이고 즉각적인 사용자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다.
건조 분말 흡입기를 통한 공기흐름에 의해 생성된 음향 신호를 분석하면 "시간 대비 들숨 유량 속도(inspiratory flow rate by time)", "호흡 작동식 기구에서의 흐름과 상기 기구로의 시간(the flow at and time to BAM)", "최고 들숨 유량(peak inspiratory flow, PIF)와 PIF로의 시간", 및 총 흡입된 공기 부피를 포함하는 상기한 건조 분말 흡입기의 중요한 작동 특성을 매우 정확하고 반복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4개의 핵심적인 시나리오들(즉, i) 유량 속도 특성, ii) BAM이 작동 개시하지 않는 것, iii) BAM이 작동개시되었으나 아무것도 전달되지 않는 것과 iv) BAM이 작동개시되고 약제가 전달되는 것)을 확실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실, 상기 기술은 호흡기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원하는 도즈가 전달되었는지 확실히 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흡입기의 작동 조건들을 탐지하는 처리 회로는 흡입기의 몸체 내에 장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 '처리'가 원격 처리 기구(remote precessing device)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에서는, 흡입기는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된 신호들을 기록하고 그리고 나서 흡입기에 저장된 데이터는 컴퓨터 장치에 다운로드되어 '처리'가 수행된다.
상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전자공학 시스템(processing electronics)이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된 신호를 처리하고 전달 맥커니즘이 들숨 동안에 활성화되는 지 탐지하고, 만일 활성화된다면 약품이 또한 전달 맥커니즘에 의하여 전달되었는지 탐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전자공학 시스템은 전달 기구가 활성화되어 약품이 성공적으로 전달되는 때의 횟수와 전달 기구가 활성화되지만 약품이 전달되지 않는 때의 수의 카운트(count)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임상의나 의료진이 후속 진단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피드백 역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어서 사용자들이 약품이 실제 전달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흡입기 기구에 있어서 매우 자주 사용자들이 약품을 너무 많이 투여하게 되는데 이는 1 또는 그 이상의 흡입 중에 약물이 투여되었는지를 알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흡입기에 충진된 분말식 약품은 호흡기 질환 치료를 위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의 미분화된 입자들과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거친 담체 입자들을 포함하는 분말 제제의 형태에 있다.
거친 담체 입자들은 90 마이크론 보다 큰 질량 중앙 직경(mass median diameter, MMD)과, 바람직하게는 50 마이크론과 500 마이크론 사이의 값의 질량 직경(mass diameter, MD),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마이크론과 400 마이크론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210 마이크론과 355 마이크론 사이의 질량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거친 담체 입자들은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균열진 표면, 즉 그 위에 틈과 협곡부와 다른 오목진 영역이 있는 표면을 가질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그러한 표면을 전체적으로 "균열부(fissure)"라고 호칭한다.
그러한 거친 담체 입자들의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균열진(relatively highly fissured)" 표면은 WO 01/78695와 WO 01/78693에 설명된 것과 같은 균열 지표(fissure index) 또는 주름 계수(rugosity coefficient)로 정의될 수 있고 이들은 위 문헌들에 개시된 내용에 따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말 제제는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슈크로오스 모노팔미테이트, 스테아르산, 스테아릴 알코올, 푸마르산 스테아릴 나트륨,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또는 아미노산 류신과 이소류신와 같은 부착 방지제(anti-adherent)의 류에서 선택된 첨가 물질의 입자들로 구성된 35 마이크론 보다 작은 질량 중앙 직경을 가지는 미세 입자들의 분획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말 제제는 15 마이크론 보다 작은, 유리하게는 10 마이크론 보다 작은 질량 중앙 직경을 가지고,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입자들과 EP 1274406의 교시내용에 따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입자들로 구성된 미세입자의 분획을 포함한다.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임의의 무정형 또는 결정형의 동물 또는 식물 출처 또는 이들의 조합인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불활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물질은 결정형 당이고 예를 들어서 글루코스 또는 아라비노오스와 같은 단당류, 또는 말토오스, 자당, 덱스트로오스 또는 락토오스와 같은 이당류이다. 만니톨 , 소르비톨, 말티톨 , 락티톨과 같은 다가알코올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물질은 알파-락토오스 모노하이드레이트이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락토오스의 예는 Capsulac®과 Pharmatose®이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만니톨의 예는 Pearlitol®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세 입자들의 분획은 알파-락토오스 모노하이드레이트의 98 중량%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 중량%로 구성되고 미세 입자들의 분획과 알파-락토오스 모노하이드레이트 입자들로 만들어진 거친 입자들의 분획의 비율은 각각 10:90 중량%이다.
최종 제제에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의 양은 제제의 최종 중량 대비,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와 1.0 중량% 사이이고, 유리하게는 0.05 중량%와 0.5 중량% 사이이고, 보다 유리하게는 0.1 중량%와 0.4 중량 % 이다.
활성 성분은 실질적으로는 호흡기 질환 치료를 위한 건조 분말로서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는 임의의 약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이들은 터부탈린(terbutalin), 레프로테롤(reproterol), 살부타몰(salbutamol), 살메테롤(salmeterol), 포르모테롤(formoterol), 밀베테롤(milveterol), 인다카테롤(indacaterol), 올로다테롤(olodaterol), 페노테롤(fenoterol), 클렌부테롤(clenbuterol), 밤부테롤(bambuterol), 브록사테롤(broxaterol), 에피네프린(epinephrine), 이소프레날린(isoprenaline) 또는 헥소프레날린(hexoprenaline) 또는 이들의 염 및 /또는 이들의 용매화합물과 같은 단기 작용 및 장기 작용 베타2-작용제; 티오트로피움(tiotropium), 이프라트로피움(ipratropium), 옥시트로피움(oxitropium), 옥시부티닌(oxybutynin), 아클리디니움(aclidinium), 트로스피움(trospium), 또는 코드명 GSK 573719 및 GSK 1160274로 알려진 다른 화합물들의 염 형태 및/또는 용매화합물 형태와 같은 단기 작용 및 장기 작용 항콜린작용제; GSK 961081과 같은 이작용기성 무스카린 대항제-베타2 작용제(bifunctional Muscarinic Antagonist-beta2 Agonist, MABA); 부티소카르트(butixocart), 로플레포나이드(rofleponide), 플루니솔라이드(flunisolide), 부데소나이드(budesonide), 시클레소나이드(ciclesonide), 모메타손(mometasone) 및 이것의 에스테르, 즉, 푸로에이트(furoate), 플루티카손(fluticasone) 및 이것의 에스테르, 즉, 프로피오네이트(propionate)와 푸로에이트(furoate), 베클로메타손(beclomethasone) 및 이것의 에스테르, 즉, 프로피오네이트(propionate), 로테프레드놀(loteprednol) 또는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triamcinolone acetonide) 및 이것의 용매화합물 형태와 같은 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필라미나스트(filaminast), 피클라밀라스트(piclamilast) 또는 로플루밀라스트(roflumilast)와 같은 포스포디에스테라제-억제제일 수 있다.
베타2-작용제 및/또는 항콜린제 또는 흡입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제제는 본 발명의 개별적인 실시예들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푸마르산 포르모테롤 이수화물 (formoterol fumarate dihydrate)과 베클로메타손 디프로피오네이트(beclometasone dipropionate)를 포함하는 제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적 사용으로부터 효과를 볼 수 있는 환자들은 임의의 성별 및/또는 임의의 연령의, 천식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과 같은 염증성 또는 폐쇄성 호흡기 질환의 경/중등/중증, 급성 또는 만성, 통제 또는 미통제 증상을 겪는 환자들이다.
본 발명의 복합적 사용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혜택을 볼 수 있는 환자는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GINA)" 지침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중등증 내지 중증의 지속적인 천식을 앓는 환자나 또는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GOLD)" 지침에서 규정된 바와 같은 중증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다.
사실, 상기 환자들은 면역성이 더욱 떨어진 폐기능을 가지고 있고, 들숨 기류(inspiratory flow)가 더욱 제한되고, 따라서 상기 환자들은 약품 전달이 원하는 전달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위험이 더욱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적 사용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혜택을 볼 수 있는 다른 하위 환자군은 소아 환자들, 즉 12살 미만의 어린이들로서 유전적으로 들숨 기류가 제한될 수 있는 환자들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예시에 의하여 보다 잘 설명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다양한 질병 통제 등급의 성인 천식 환자에 있어서 EP 1386630에 개시된 기구를 통한 들숨 기류 특성(inspiratory flow profile)을 평가하는 것이다.
1. 연구 설계
본 연구은 IIa 단계의, 단일 기관의, 오픈 라벨의, 단일군 연구로서 다양한 질병 통제 정도를 가지는 성인 천식 환자들에 있어서 EP 1386630에서 개시된 흡입기 기구(이하에서 '기구'라고 호칭)를 통한 들숨 특성(inspiration profile)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 대상들이 포함/배제 기준(inclusion/exclusion criteria)을 만족한다면, 이들은 상기 기구를 사용하도록 지시를 받을 것이다. 대상들이 이어서 기구를 통하여 흡입할 것이고 들숨 특성이 측정된다.
2. 대상 선택 기준
2.1 대상 모집
총 40명의 성인 천식 환자(18세 이상), 이 중에서 GINA 지침(2011)에 따라서 20명은 통제된 안정적인 질환이고 20명은 부분적으로 통제되거나 통제되지 않은 질환을 가지고 있는 대상이 모집된다.
44명의 환자들을 스크린해서 40명의 환자들을 최종적으로 선별한다(스크린 실패율이 10%라고 가정).
2.2 포함 기준
환자들이 아래의 모든 기준을 만족한다면 클리닉에 등록될 것이다:
1. 환자나 법정 대리인으로부터 설명을 하고서 문서화된 동의서를 받았을 것.
2. 18세 이상의 남성 또는 여성의 입원환자와 외래환자일 것.
3. GINA 지침(2011)에 따라서 통제된, 부분적으로 통제된 또는 통제 되지 않은 천식의 임상 진단이 있을 것.
4. 건조 분말 흡입기를 사용할 수 있고 교육용 기구 BAM의 작동에 의해 확정된 대로 '기구'를 적절하게 사용하도록 훈련받을 수 있는 능력과 협조적 자세를 가지고 있을 것.
2.3 배제 기준
다음 하나 이상의 기준에 해당할 경우 환자들은 등록되지 않을 것이다:
1. 실험실에서 수행한 β- HCG 소변 검사 양성(positive urinary β- HCG laboratory test)(단 IU/ml가 5 초과)이거나 해당되는 경우 수유부인경우
2. 천식이 계절에 따라서 중대한 변화를 일으키거나 또는 알레르기 항원 또는 화학적 민감제(chemical sensitizer)에 간헐적으로 노출되는 동안에만 천식이 발생하는 경우
3. 거의 치명적인 천식의 병력이 있는 경우(예를 들어서, 취약성 천식이나 집중 치료 병동에서 천식 악화로 입원해야 되는 경우)
4. 구속성 폐질환(restrictive lung disease)의 진단
5. 위약 치료의 어떤 성분에 대해서라도 알러지가 있는 경우
6. 연구 절차나 치료에 따라갈 능력이 없는 경우
7. 심장/신장/신경계/간/내분비계 질환 또는 실험자의 의견에 따를 때, 환자의 안전, 순응성, 또는 연구 평가에 방해가 될 수 있는 중대한 근본적인 상황을 나타내는 어떠한 실험적 불안정성의 중대하고 불안정한 의료 기록 및/또는 그러한 것에 대한 처치가 필요한 경우.
2.4 대상 철회
개인적 이유를 포함하여 임의의 사유를 들어 언제든지 환자들은 연구 대상에서 배제될 권리를 가진다. 또한 실험자들은 다음과 같은 상황 발생시 환자들을 연구에서 배제할 권리를 가진다.
* 연구의 모든 단계에서 규정을 준수하지 않거나 그리고/또는 순수히 협력할 의사나 의지가 부족한 경우
* 규정에서 이탈하는 경우
* 환자나 실험자들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정적 상황이 생긴 경우
* 배제 기준에 해당되게 되는 경우
3. 용량 및 관리(Dosage and Administration)
3.1 용량
연구 참여시 모든 환자들은 '기구'에 충진된 2번 흡입분의 위약을 받을 것이다.
3.1 관리(배포)
위약을 포함한 기구의 관리(배포)는 의료적 감시하에 클리닉 방문 시의 아침에 수행될 것이다.
빈 기구를 이용한 훈련은 클리닉 방문 중에 의료진이 수행한다.
4. 연구 계획
4.1 연구 일정
연구 계획은 클리닉을 1회 방문하는 것을 예상한다.
방문 1
* 환자나 법정 대리인에게 설명을 하고 문서화된 동의서를 받는다.
* 포함/배제 기준에 따라서 연구에 참여할 자격이 환자에게 있는지 평가한다.
* 임신 테스트(β- HCG 소변 검사)는 가임기의 여성을 대상으로 수행된다.
* 의료 기록을 기록하고 종합적인 신체 검사를 수행한다.
* 10분 휴식후 착석 자세에서 바이탈 사인(vital sign) 측정한다: 심박수(HR), 수축기 혈압(SBP) 및 확장기 협압(DBP).
* 폐활량 측정법 평가(spirometry assessment)가 수행된다.
* 교육용 기구 BAM의 작동에 의해 확정된 대로 '기구'를 적절하게 사용하도록 환자들을 성공적으로 교육한다.
* 위약을 포함한 '기구'를 환자에게 배포한다. 기구의 사용은 실험자의 감독 하에서 현장에서 이뤄지고 적절한 흡입이 이뤄지는지 검증한다.
* 최대 3분 동안 이격된 두 번의 연속적인 동작(흡입) 중에 음향 모니터링을 통해서 흡입 특성을 기록한다. '동작'이 실험관에 의하여 부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면, 추가적인 동작과 흡입 특성 기록이 수행된다. 실험관은 어떠한 추가적인 동작이라도 이를 수행하는 이유를 기록해야 한다. 타당한 사유가 없다면 실험관의 지시 후 최초 2번의 동작이 분석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불충분한 동작을 이유로 흡입 특성을 추가적으로 기록하는 것은 타당한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기술적 이유들(예를 들어서 흡입 중에 오디오 잭의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로 추가적인 동작을 하는 것은 허용된다.
*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험관이 기구 사용성 평가를 수행한다.
설명 후 동의의 서명을 한 이후 발생한 모든 부정적 상황을 기록한다.
4.2 실험
4.2.1 클리닉에서의 폐활량 측정
컴퓨터로 작동되는 호흡기류계 폐활량 측정기(pneumotachographic spirometer)가 클리닉 방문시의 모든 호흡 기능 측정에 사용된다. 폐활량 측정기의 폐 기능 측정과 일단위 보정은 "Official Statement of the European Respiratory Society and American Thoracic Society (Miller MR, et al. Standardisation of spirometry Eur Respir J 2005; 26: 319-38)"의 권고에 따라서 행해진다.
폐 기능 측정은 최소 10분 휴식 후 코를 쥔상태에서 환자가 서 있거나 앉아 있는 상태로(각 환자에 대해서 이것은 연구 내내 일정하게 한다) 수행한다. 폐활량 측정기의 보정은 폐활량 측정기 동작 전에 각 방문 시에 동일한 실험관에 의해서 수행되어야 하며 보고내용이 해당 연구 기록과 함께 보관되어야 한다.
폐 기능 측정은 오전 8:00 내지 11:00 시간 대의 아침에 시작하고 대략적으로 각 환자에 대해서 일과중 동일한 시간에 수행한다.
다음 파라미터들이 각 방문시에 평가된다:
* 최초 1초에서의 강제 날숨 유량(Forced Expiratory Volume )(FEV1, 예상되는 L 와 %)
* 강제 폐 활량(Forced Vital Capacity)(FVC, 예상되는 L 와 %)
* 최고 날숨 유량(Peak Expiratory Flow)(PEF, 예상 L/min 와 %)
* 최고 들숨 유량(Peak Inspiratory Flow )(PIF, L/min)
폐활량 측정은 아래 표에서 보여지는 대로 GINA 2011 지침에 따라서 천식 통제를 평가하기 위하여 클리닉 방문시에 수행된다.
Figure pct00001
예상되는 수치는 Quanjer 등에 의하여 "Quanjer PH, et al. Spirometric reference values for white European children and adolescents: Polgar revisited Pediatr Pulmonol 1995; 19: 135-42; Quanjer PH. Lung volumes and forced ventilatory flows Eur Respir J 1993; 6 suppl 16: 5-40"에서 보고된 식에 따라서 계산된다.
FEV1, FVC, PEF 및 PIF의 경우 3개의 기술적으로 합당한 시도로부터 얻어진 최고값이 고려된다(이들 수치가 도출된 곡선을 고려하지 않음). 선택된 값은 200 ml(FEV1) 보다 크게 다음 값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차이가 더 크다면, 최대 8번의 측정을 수행하고 최대값을 기록한다.
4.2.2 음향 모니터링에 의하여 들숨 기류 특성의 측정
흡입기(pMDI, DPI 또는 연무기)의 핵심 성능 특성을 모니터링하고 특정하는 WO 2011/135353에 개시된 기술에 따라서 상기 '기구'를 통한 들숨 특성의 평가를 수행하여 사용자, 의료진 또는 헬스케어 제공자들에게 의미있는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현재의 사용상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술은 음향 분석의 사용에 기초하여 "호흡 작동식 기구의 작동개시에서의 흐름과 상기 작동개시까지의 시간(flow at and time to BAM firing)", 분말 분출에서의 흐름과 분말 분출까지의 시간, PIF 및 PIF까지의 시간, 초기 가속도, 흡입된 총량 및 흡입 시간과 같은 흡입 동작 중에 핵심 성능 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모든 파라미터들은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계산된다.
4.2.3 바이털 사인
수축기 혈압(SBP) 및 확장기 혈압(DBP)과 심박수(HR)가 앉은 자세에서 10분 휴식 후에 투여 전(pre-dose)에 측정된다.
5. 평가
* 음향 모니터링 기술에 의하여 흡입 동작 중에 기구를 통한 다음의 변수들이 측정됨:
- 시간 대비 들숨 유량 속도(inspiratory flow rate by time)
- 호흡 작동식 기구의 작동개시에서의 흐름과 상기 작동개시까지의 시간
- 최고 들숨 유량(peak inspiratory flow, PIF)와 PIF로의 시간
- 초기 가속도(흡입 시작에서의 흐름의 변화 속도)
- 흡입된 총량 및 흡입 시간
- 적용 가능하다면, 분말 분출에서의 흐름과 분말 분출까지의 시간
* 폐활량 측정에 의한 폐기능:FEV1, 예상되는 정상값의 FEV1 백분율, FVC, 예상되는 정상값의 FVC 백분율, PEF, 예상되는 정상값의 PEF 백분율 및 PIF.
* 의료진 대상 평가 설문지를 통한 기구의 사용성
6. 안전성 평가
* 부작용(Adverse event)
7. 결과 및 토의
들숨 동작 중에 환자들이 도즈의 효과적인 방출과 전달과 분말의 뭉침분쇄를 촉진하기 위하여 기구 내에서 난류 에너지(turbulent energy)를 생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난류 에너지는 환자가 생성한 들숨 흐름과 기구의 내부 저항의 결과이고 4 kPa의 대체적인 압력 저하에 대응한다. 따라서, 천식 환자의 들숨 흐름(inspiratory flow)은 뭉침분쇄와 이에 따른 약품의 정확한 전달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인자이다. 상이한 천식 환자들은 이들의 폐 기능 상태에 따라서 상이한 들숨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들숨 흐름 자체는 뭉침 분쇄 작용에 대한 완전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초기 가속도가 공기 통로로의 효과적인 분말 방출과 전달을 야기하는 일련의 작용을 결정하는데 또 다른 중요한 인자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본 출원인은 서로 다른 정도의 흐름 제한(flow limitation)을 가지고 있는 천식 환자들에 있어서 다회 용량 투여 수용기 유형의 BAM 작동식 기구(multi-dose reservoir type BAM activated device)를 통한 완전한 들숨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 출원인은 40명의 천식증 대상을 연구하였는데, 2011년판 GINA 지침에 따를 때 20명은 통제된 천식을 가지고 있었고, 20명은 부분적 통제 내지 비통제 천식을 가지고 있었다.
본 출원인의 연구 결과는 도면에 도해되어 있고 통제된 그리고 통제 상태가 안좋은, 또는 통제되지 않은 천식 환자에 있어서 EP 1386630호의 기구 내에서 흐름 특성을 정의하는 여러 파라미터들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BAM 작동 개시시의 평균(±SD) 흐름은 통제(C) 및 부분 통제(PC)/비통제(U) 환자들에 있어서 각각 최초 들숨 중에 35.39 (±9.49)와 34.51(±8.63) l/min 이었고, 반면에 통제(C) 및 부분 통제(PC)/비통제(U) 환자들에 있어서 각각 제2 들숨 중에는 평균 흐름이 34.57(±9.17)과 36.16(±8.99) l/min 이었다. 기구 내에서 생성된 평균(±SD) 최고 들숨 유량(PIF)은 통제(C) 및 부분 통제(PC)/비통제(U) 환자들에 있어서 각각 최초 들숨 중에 70.46 (±28.23)과 58.82(±20.13) l/min 이었고, 반면에 통제(C) 및 부분 통제(PC)/비통제(U) 환자들에 있어서 각각 제2 들숨 중에는 평균 흐름이 72.10(±25.62)와 63.04(±16.83) l/min 이었다. 평균(±SD) 초기 가속도는 통제(C) 및 부분 통제(PC)/비통제(U) 환자들에 있어서 각각 최초 들숨 중에 128.15 (±80.82)과 123.52(±50.62) L/min/sec 이었고, 반면에 통제(C) 및 부분 통제(PC)/비통제(U) 환자들에 있어서 각각 제2 들숨 중에는 평균 흐름이 146.58(±51.92)와 134.40(±46.70) L/min/sec 이었다.
종합하면, 이러한 데이터는 EP 1386630에서 개시된 기구를 통한 완전한 들숨 특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BAM의 작동을 촉발시키는 들숨 흐름은 고저항 기구(high resistance device)를 한정하는 범위 내에 있게 되고 이러한 값은 환자의 유형이나 그 기능적 제한에 무관하게 상당히 일정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통제된 천식 환자에 비하여 부분통제 내지 비통제 환자에 있어서는 더 낮은 들숨 흐름이 나타날 수 있고(표본 크기가 통계적 의미를 가지기에 충분히 크지 않기는 하다), 이것은 그러나 낮은 유량 속도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통제/부분통제/비통제 천식 환자에서 일관적이다.

Claims (7)

  1. 몸체(1)와 덮개(2)로 구성된 호흡기 질환을 앓는 환자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건조 분말 흡입기로서, 상기 몸체는,
    - 분말식 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컨테이너(7),
    - 도징 홈(dosing recess)(18)이 구비된 계량 부재(metering member)(15)(여기서 상기 계량 부재(15)는 도징 홈(18)이 컨테이너(7)의 개구와 함께 정렬되어 분말식 약제의 도즈로 충전될 수 있는 충전 위치와, 상기 도징 홈(18)이 흡입 채널(27)과 함께 정렬되는 흡입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 계량 부재(15)가 상기 흡입 위치에 있을 때 계량 부재(15)의 도징 홈(18)에 포함된 분말식 약품의 도즈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 채널(27)과 교통되는 마우스피스(3),
    - 계량 부재(15)와 흡입 채널(27) 사이에 제공되고 닫힌 위치와 열린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보호 부재(19)(여기서, 닫힌 위치에서는 보호 부재(19)가 계량 부재(15)가 흡입 위치에 있을 때 계량 부재(15)의 도징 홈(18)을 적어도 덮어서 도징 홈(18)에 포함된 분말식 약제가 흡입 채널(27)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열린 위치에서는 보호 부재(19)가 도징 홈(18)을 덮지 않아서 도징 홈(18)을 흡입 채널(27)에 노출하고 이로써 도징 홈(18)에 포함된 분말식 약제의 도즈가 흡입될 수 있다),
    - 호흡 작동식 기구(BAM)로서, 보호 부재(19)가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 환자가 발휘하는 흡입의 빨아 들이는 힘이 소정의 값을 초과한다면 BAM(21, 23)이 보호 부재(19)가 열린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보호 부재(19)에 결합된 호흡 작동식 기구,
    - 분말식 약제를 뭉침분쇄하기 위한 뭉침분쇄기 장치(16)가 구비된 흡입 채널(27)로서, 분말식 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개구가 마련된 와류 챔버(vortex chamber)(73)와, 공기를 상기 와류 챔버(73)쪽으로 접선방향으로(tangentially) 향하게 하기 위한 두 개의 공기 흡입구(75)와, 뭉침분쇄된 분말식 약제와 함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74)를 포함하되, 상기 배출구(74)는 뭉침분쇄기 장치(16)와 축방향으로 공기 흡입구(75)들과 이격되어 있고, 이 때 각 공기 흡입구(75)의 외측벽은 와류 챔버(73)의 아치형 벽체부(79)에 의하여 다른 공기 흡입구(75)에 연결되며, 각각의 아치형 벽체부(79)는 와류 챔버(73)의 직경(d)가 6 mm≤d≤10 mm로 정의되는 수평분도원(horizontal circle)(77)에 대해서 동심이 서로 다르게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흡입 채널(27)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기의 몸체의 외부 표면에 장착된 전증폭기(preamplifier)와 일체화된 마이크로폰과, 상기 건조 분말 흡입기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한 음향 신호를 처리하는데 사용가능한 처리 회로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는 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덮개(2)가 닫힌 위치(상기 덮개가 마우스피스(3)를 덮는 위치)와 열린 위치(상기 덮개가 마우스피스(3)를 노출시키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건조 분말 흡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는 상기 컨테이너(7)에 남아 있거나 흡입된 분말식 약제의 도즈의 수를 표시하는 윈도우(4)를 포함하는데, 상기 분말식 약제의 도즈의 수는 도즈 카운팅 유닛(dose counting unit)(24-26)에 의해서 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는 계량 부재(15)의 도징 홈(18)에 포함된 분말식 약제의 도즈가 흡입 준비가 되어 있는지 또는 이미 흡입되었는지를 보여주는 표식(mark)(38)을 보여주기 위한 개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i) 들숨 동안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를 트랙킹하고, ii) 음향 신호를 저장된 제1보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흐름 흡입 특성(flow inhalation profile)으로 변환하고, iii) 마이크로폰으로부터 획득된 신호를 BAM의 작동개시를 탐지하기 위하여 처리하고, 따라서 분말식 약제가 들숨 중에 전달되는 타이밍을 탐지하고, iv) 상기 흐름 흡입 특성에 대한 상기 전달의 탐지된 타이밍을 저장된 제2보정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약제의 전달이 필요한 전달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기의 작동 상태는, 시간 대비 들숨 유량 속도(inspiratory flow rate by time), 호흡 작동식 기구에서의 흐름과 상기 호흡 작동식 기구로의 시간(flow at and time to BAM), 최고 들숨 유량(peak inspiratory flow, PIF)과 PIF로의 시간, 초기 가속도 및 총 흡입된 공기 부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회로가 상기 흡입기의 몸체 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분말 흡입기.
KR1020157011387A 2012-11-07 2013-11-05 호흡기 질환 환자의 치료를 위한 약품 전달 기구 KR102239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1562.3 2012-11-07
EP12191562 2012-11-07
PCT/EP2013/072988 WO2014072268A1 (en) 2012-11-07 2013-11-05 Drug delivery devic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ea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3849A true KR20150083849A (ko) 2015-07-20
KR102239756B1 KR102239756B1 (ko) 2021-04-14

Family

ID=4717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387A KR102239756B1 (ko) 2012-11-07 2013-11-05 호흡기 질환 환자의 치료를 위한 약품 전달 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052202B2 (ko)
EP (2) EP2916897A1 (ko)
KR (1) KR102239756B1 (ko)
CN (2) CN104780963A (ko)
AR (1) AR093382A1 (ko)
BR (1) BR112015009149A2 (ko)
CA (1) CA2890419C (ko)
HK (1) HK1208830A1 (ko)
IN (1) IN2015DN03811A (ko)
RU (1) RU2648849C2 (ko)
WO (1) WO2014072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7662A1 (en) * 2013-12-23 2015-07-02 Glenmark Pharmaceuticals Ltd A dry powder inhaler
WO2015144442A1 (en) * 2014-03-25 2015-10-01 Koninklijke Philips N.V. Inhaler with two microphones for detection of inhalation flow
US10058661B2 (en) 2014-12-04 2018-08-28 Norton (Waterford) Limited Inhal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SE539111C2 (en) * 2015-06-03 2017-04-11 Iconovo Ab Single dose dry powder inhaler
CN108136144B (zh) 2015-07-20 2020-10-30 珍珠治疗公司 气雾剂输送系统
GB2553281A (en) * 2016-08-22 2018-03-07 Medituner Ab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inhaler
US11229754B2 (en) * 2017-07-21 2022-01-2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Nebulizer and reservoir
GB2570439A (en) * 2017-12-13 2019-07-31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sing user interaction
MA54045A (fr) 2018-10-30 2021-09-08 Chiesi Farm Spa Appareil pour administrer des médicaments à des patients ventilés mécaniquement
CA3161584A1 (en) 2019-11-28 2021-06-03 Chiesi Farmaceutici S.P.A. Electronic module for an inhaler and inhaler assembly comprising the electronic module
AU2020391939A1 (en) * 2019-11-28 2022-06-02 Chiesi Farmaceutici S.P.A. Powder inhaler assembly
US20240042147A1 (en) * 2022-08-03 2024-02-08 Chiesi Farmaceutici S.P.A. Dry powder inhal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5672A1 (en) * 2002-07-31 2006-08-24 John Pinon Powder inhaler
US20080261932A1 (en) * 2007-04-19 2008-10-23 Chiesi Farmaceutici S.P.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an exacerbation of asthma
US20090308387A1 (en) * 2006-03-07 2009-12-17 Bjorn Knud Andersen Acoustic Inhaler Flow Measurement
US20110262543A1 (en) * 2010-04-21 2011-10-27 Chiesi Farmaceutici S.P.A. Process for providing particles with reduced electrostatic charges
WO2011135353A1 (en) * 2010-04-26 2011-11-03 Sagentia Limited Drug delive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5192A (en) * 1969-07-08 1971-01-12 Nasa Audio signal processor
ATE213946T1 (de) * 1991-12-18 2002-03-15 Formoterol und budesonide enthaltende zusammensetzung
US6152130A (en) 1998-06-12 2000-11-28 Microdose Technologies, Inc. Inhalation device with acoustic control
TR200102567T2 (tr) * 1999-03-05 2002-01-21 Chiesi Farmaceutici S.P.A. İnhalasyon için geliştirilmiş toz halindeki farmasötik bileşimler
US6858199B1 (en) * 2000-06-09 2005-02-22 Advanced Inhalation Research, Inc. High efficient delivery of a large therapeutic mass aerosol
PE20011227A1 (es) 2000-04-17 2002-01-07 Chiesi Farma Spa Formulaciones farmaceuticas para inhaladores de polvo seco en la forma de aglomerados duros
SE0302665D0 (sv) * 2003-10-07 2003-10-07 Astrazeneca Ab Novel Process
GB2398065A (en) 2003-10-16 2004-08-11 Bespak Plc Dispensing apparatus
MX2008012784A (es) 2006-04-05 2008-12-09 Microdose Technologies Inc Dispositivo de inhalacion de dosis variable.
GB2451833A (en) 2007-08-13 2009-02-18 Bespak Plc Electrically actuated dose counter for dispensing apparatus
DE102007058112A1 (de) 2007-12-03 2009-06-04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Pulverinhalator mit Wirkstofftablette
US8721632B2 (en) * 2008-09-09 2014-05-13 Tsunami Medtech, Llc Methods for delivering energy into a target tissue of a body
NZ593104A (en) * 2008-12-11 2012-11-30 Respivert Ltd P38 map kinase inhibitors
CN103919785B (zh) * 2009-10-02 2016-08-24 奇斯药制品公司 福莫特罗和二丙酸倍氯米松的药用气雾制剂
WO2011056889A1 (en) 2009-11-03 2011-05-12 Mannkind Corporatio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ing inhalation effor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5672A1 (en) * 2002-07-31 2006-08-24 John Pinon Powder inhaler
US20090308387A1 (en) * 2006-03-07 2009-12-17 Bjorn Knud Andersen Acoustic Inhaler Flow Measurement
US20080261932A1 (en) * 2007-04-19 2008-10-23 Chiesi Farmaceutici S.P.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an exacerbation of asthma
US20110262543A1 (en) * 2010-04-21 2011-10-27 Chiesi Farmaceutici S.P.A. Process for providing particles with reduced electrostatic charges
WO2011135353A1 (en) * 2010-04-26 2011-11-03 Sagentia Limited Drug delive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90419C (en) 2021-01-12
HK1208830A1 (en) 2016-03-18
CA2890419A1 (en) 2014-05-15
RU2015116757A (ru) 2016-12-27
US20140158126A1 (en) 2014-06-12
US11052202B2 (en) 2021-07-06
RU2648849C2 (ru) 2018-03-28
CN104780963A (zh) 2015-07-15
EP3679972B1 (en) 2023-04-05
IN2015DN03811A (ko) 2015-10-02
KR102239756B1 (ko) 2021-04-14
AR093382A1 (es) 2015-06-03
BR112015009149A2 (pt) 2017-07-04
EP3679972A1 (en) 2020-07-15
WO2014072268A1 (en) 2014-05-15
CN111214738A (zh) 2020-06-02
EP2916897A1 (en) 201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756B1 (ko) 호흡기 질환 환자의 치료를 위한 약품 전달 기구
Al-Showair et al. Can all patients with COPD use the correct inhalation flow with all inhalers and does training help?
AU2022204311B2 (en) Inhal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urnell et al. Ex-vivo product performance of DiskusTMand TurbuhalerTMinhalers using inhalation profiles from patients with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US20240115815A1 (en) Inhaler system
US20230302238A1 (en) Inhaler system
US20240108826A1 (en) Inhaler system
US20230302235A1 (en) Inhaler system
US20220168515A1 (en) Inhala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