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3335A - 캡슐식 음료 추출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캡슐식 음료 추출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3335A KR20150083335A KR1020140002961A KR20140002961A KR20150083335A KR 20150083335 A KR20150083335 A KR 20150083335A KR 1020140002961 A KR1020140002961 A KR 1020140002961A KR 20140002961 A KR20140002961 A KR 20140002961A KR 20150083335 A KR20150083335 A KR 201500833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beverage
- ice
- capsule
- extracting uni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6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3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13353 coffee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793 Steam injection (oil industr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114 espres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539 instant coff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4 contradic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46 repe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3 reverse 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050 silico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는,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기 유닛과, 정수기 유닛에서 정수된 물을 사용하여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추출 유닛과, 정수기 유닛에 의해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상기 음료 추출 유닛에 공급하는 추출수 공급부를 구비한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기 유닛은, 필터부; 물 탱크; 및 음용수 취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료 추출 유닛은,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수납하는 캡슐 홀더; 및 캡슐의 상면에 밀착하여 상기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필터부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정수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 탱크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정수기의 최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음용수 취출부, 추출수 공급부 및 음료 추출 유닛은 케이스의 내부에서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인 물 탱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정수기와 음료 추출 장치를 일체화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인 실용성과 신뢰성의 문제를 해소하고, 유지보수가 간편한 음료 추출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 원재료가 수용되어 있는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수돗물을 정수하여 음용수로서 공급하는 정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근래에는 이러한 정수기에, 정수된 물을 냉각하거나 가열하여 냉수나 온수를 공급하는 기능, 나아가 정수된 물로 얼음을 제조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한 얼음 냉온 정수기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종래부터 커피로 대표되는 음료 공급 장치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피 공급 장치는 크게, 인스턴트 커피 분말에 온수를 공급하여 커피 분말을 녹임으로써 커피를 공급하는 혼합식인 종래의 전형적인 커피 자동 판매기, 볶은 원두의 분말을 거름망에 넣고 온수를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드립식인 종래의 전형적인 커피 메이커, 볶은 원두의 분말을 필터에 담고 고온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여 농축 커피를 추출하는 에스프레소 머신, 볶은 원두의 분말을 넣어 밀봉한 캡슐에 온수를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캡슐식 커피 머신 등으로 대별된다.
이러한 종래의 커피 공급 장치는, 커피 분말에 혼합하는 온수 또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온수로서, 보통 수돗물을 가열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커피를 제조하는 원수의 품질이 낮다. 한편, 고품질의 원수를 사용하기 위해 별도로 공급되는 생수통을 커피 공급장치에 장착하거나, 생수 또는 별도의 정수기에 의해 정수된 물을 수동으로 커피 공급 장치에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사용상 또는 관리상 번거롭다.
이러한 종래의 커피 공급 장치의 원수 품질이나 번거로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커피 공급 장치와 정수기를 결합하여 일체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의 대부분은 종래의 혼합식(커피 자동 판매기)이나 드립식(커피 메이커) 커피 공급 장치와 정수기를 단순 결합한 방식으로서, 갈수록 고급화하는 커피 애호가들의 취향에 부응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실용화되지 않고 있다. 즉, 전형적으로 자동 판매기에 적용되는 혼합식 커피 공급 장치의 경우, 본래 저렴한 비용으로 단시간에 저급의 인스턴트 커피를 제공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커피 원수로서 정수된 물을 사용한다는 것 자체가 경제성이나 효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커피 메이커로 대표되는 드립식 커피 공급 장치의 경우, 기계로는 바리스타의 손끝에서 나오는 커피 맛과 향의 미묘한 차이를 구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커피 애호가들은 어차피 수동으로 커피 원수를 공급하는 것(핸드 드립)을 선호하는 실정임을 감안하면, 커피 메이커와 정수기의 결합도 경제성이나 효용성이 떨어진다.
한편, 숙련된 바리스타에 의한 핸드 드립보다는 못하지만 상대적으로 고급의 원두 커피를 제조하는 장치인 에스프레소 머신과 캡슐식 커피 머신에 정수기를 결합하려는 시도가, 각각 특허문헌 1(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5025호 공보)과 특허문헌 2(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613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역시 시도에 그치고 있을 뿐 실용화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이렇게 에스프레소 머신이나 캡슐식 커피 머신과 정수기의 결합이 실용화되지 않은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먼저, 에스프레소 머신의 경우 일반적으로 카페와 같은 업소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계화, 자동화가 되어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필터에 담는 원두 분말의 양이나, 캡슐과 같이 완전히 밀봉되지는 않은 상태에서 볶은 원두 분말이 보관된 시간이나 보관 환경의 차이, 희석수의 양이나 온도 조절 등 수동으로 조절되는 요소들이 많기 때문에, 전술한 커피 메이커와 마찬가지로 정수기와의 결합의 경제성이나 효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무엇보다도, 에스프레소 머신이나 캡슐식 커피 머신 등의 커피 머신과 정수기는 종래부터 서로 다른 기술분야로 인식되어 있고, 실제로 커피 머신과 정수기는 각각 별도의 메이커에 의해 제조되어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고유의 기술적 과제가 있으며, 어느 한 분야의 전문가가 자신의 분야의 기술적 과제와 다른 분야의 기술적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기가 곤란한 실정이고, 더욱이 두 분야의 장치를 결합했을 때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해결하기가 더욱 곤란하다. 그 결과, 커피 머신과 정수기를 결합한 제품이 출시되더라도, 커피 머신과 정수기 양쪽 모두의 품질이나 성능, 기능 면에서 수요자가 만족할 만한 제품이 되지는 못한다. 따라서, 수요자는 다소 번거롭지만 각각 만족할 만한 커피 머신과 정수기를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캡슐식 음료 추출 장치와 정수기 각각에 고유한 기술적 과제, 나아가서 두 장치를 결합함에 따라 발생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캡슐식 음료 추출 장치와 정수기를 결합하여 일체화한 장치, 즉 캡슐식 음료 추출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적 과제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먼저, 종래의 캡슐식 음료 추출 장치의 대부분은, 사용자가 레버를 수동으로 회동시키면 링크 기구에 의해 고온 고압의 온수(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분사 기구가 캡슐 상면을 가압하면서 캡슐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 레버 회동폭이나 힘이 일정하지 못하여 스팀 분사 기구의 가압력이 일정하지 못하고, 또한 음료 추출 동작을 장시간 반복하게 되면 이 스팀 분사 기구의 가압력이 떨어져 캡슐과 스팀 분사 기구 사이로 스팀이 누출되어 장치의 고장이나 심한 경우 사용자의 화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레버가 장치 외부로 돌출되어 거추장스럽고, 동작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되며, 레버를 수동으로 동작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시간 반복 사용에도 불구하고 스팀 분사 기구를 캡슐에 안정적이고 일정한 가압력으로 밀착시킬 수 있고, 캡슐식 음료 추출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고 작동이 편리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정수기(정수기 유닛)와 관련하여,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필터나 물탱크 등 각종 부품에 오염물질, 이물질, 세균 등이 축적, 부착, 번식하게 된다. 따라서, 캡슐식 음료 추출 장치와 달리, 정수기를 판매 또는 대여한 대부분의 정수기 제조업체나 대여업체는, 유지관리 요원으로 하여금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물탱크 등을 청소하고 오염 정도를 파악하여 필요한 경우 보수 요원으로 하여금 수리나 필터 등의 부품 교체를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유지관리 요원의 경우 대부분 정수기에 관한 전문 지식이 없고 정수기의 유지관리에 관한 단기간의 교육만을 받고 청소나 점검만을 행하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손쉬운 구조의 정수기가 요구되고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직접 청소 등의 간단한 유지관리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어, 이러한 요구에 적극 부응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수기의 구조와 기능이 갈수록 복잡 다기능화하고 있는 추세에 더해, 본 발명의 경우 기존의 정수기와 캡슐식 음료 추출 장치가 일체화한 장치이기 때문에, 캡슐식 음료 추출 유닛의 추가적인 배치로 인해 이러한 유지관리 작업이 훨씬 복잡해지는 것은 명약관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유지관리 요원이나 사용자라도, 특히 캡슐식 음료 추출 유닛을 구비한 정수기에서, 손쉽게 청소 등의 유지관리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기 유닛과,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추출 유닛과, 상기 정수기 유닛에 의해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상기 음료 추출 유닛에 공급하는 추출수 공급부를 구비한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기 유닛은, 원수를 정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및 상기 물 탱크로부터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음용수 취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료 추출 유닛은,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수납하는 캡슐 홀더; 및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에서 상기 캡슐 홀더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캡슐 홀더에 수용된 상기 캡슐의 상면에 밀착하여 상기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추출수 공급부는, 상기 물 탱크로부터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상기 음료 추출부에 공급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정수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 탱크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정수기의 최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음용수 취출부, 추출수 공급부 및 음료 추출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인 상기 물 탱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는, 상기 물 탱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음용수 취출부, 추출수 공급부 및 음료 추출 유닛을 덮는 전면(前面)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는 착탈식, 슬라이딩식 또는 회동식으로 개방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수기 유닛은 제빙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정수된 물을 사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 및 상기 얼음 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얼음 취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빙부는 상기 물 탱크의 내부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얼음 저장고는 상기 제빙부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상기 얼음 취출부는 상기 음용수 취출부의 측방, 상기 물 탱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얼음 저장고는 상기 전면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 정수기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빙부와 얼음 저장고 사이에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제빙부로부터 탈빙된 얼음을 상기 얼음 저장고로 안내하는 얼음 안내 그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얼음 안내 그릴은 상기 얼음 저장고가 인출되었을 때 정수기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수기에서, 상기 음료 추출 유닛은,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에서 상기 음료 추출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음료 추출부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음료 추출부가 상기 캡슐의 상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스크류; 및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를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음료 추출부가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했음을 감지하는 하강 위치 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하강 위치 센서가 상기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했음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음료 추출부가 정해진 위치까지 상승했음을 감지하는 상승 위치 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상승 위치 센서가 상기 정해진 위치까지 상승했음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슐 홀더는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인 정수기의 전방에서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에 서랍식으로 푸쉬인(push-in) 및 풀아웃(pull-out) 가능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상기 캡슐 홀더는 풀아웃된 상태에서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 홀더가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에 완전히 푸쉬인되었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 홀더가 상기 프레임에 완전히 푸쉬인되었을 때 상기 캡슐 홀더와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서로 다른 극성이 대향하도록 자석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슐 홀더를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인 정수기의 전방에서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에 서랍식으로 푸쉬인(push-in) 및 푸쉬아웃(push-out)할 수 있도록, 래치 스위치가 상기 캡슐 홀더의 내측 단부 또는 상기 캡슐 홀더의 내측 단부와 대향하는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캡슐 홀더는, 상기 래치 스위치에 연동되어 푸쉬인(push-in) 및 푸쉬아웃(push-out) 가능한 슬라이딩부와, 상기 캡슐을 수납하며 상기 슬라이딩부가 푸쉬아웃(push-out)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캡슐 수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모터와 스크류에 의해 음료 추출부를 승강시키는 구조의 음료 추출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링크 구조를 가지고 수동 조작에 의해 음료 추출부를 승강시키는 구조의 음료 추출 유닛에 비해 음료 추출 유닛을 소형화할 수 있고, 음료 추출부를 캡슐에 일정한 정확한 가압력으로 밀착시킬 수 있어, 종래의 정수기와 음료 추출 장치를 일체화함에 있어서 야기되는 문제인 실용성과 신뢰성의 문제를 해결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정수기 유닛의 물 탱크를 정수기의 최상부에 배치하고, 음료 추출 유닛을 정수기의 정면인 물 탱크의 전방에 배치하며, 음료 추출 유닛과 음용수 취출부를 덮는 케이스의 전면 커버를 개방가능한 구조로 하고, 나아가 얼음 저장고를 정수기의 전방에서 삽입, 인출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기능화한 정수기에 음료 추출 기능을 부가한 경우에 더욱 문제가 되는 청소나 점검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그밖의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의 구체적인 장점과 효과들은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구성과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의 전면 커버, 상면 커버와 물 탱크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의 제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얼음 저장고가 정수기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얼음 저장고가 정수기의 전방으로 완전히 인출되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수기의 일부 사시도와 분리된 얼음 저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얼음 안내 그릴이 정수기의 전방으로 완전히 인출되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수기의 일부 사시도와 분리된 얼음 안내 그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를 구비한 정수기의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음료 추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음료 추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음료 추출부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음료 추출부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음료 추출부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음료 추출 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음료 추출 유닛의 단면도로서, 음료 추출부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음료 추출 유닛의 단면도로서, 음료 추출부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구성과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의 전면 커버, 상면 커버와 물 탱크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의 제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얼음 저장고가 정수기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얼음 저장고가 정수기의 전방으로 완전히 인출되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수기의 일부 사시도와 분리된 얼음 저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얼음 안내 그릴이 정수기의 전방으로 완전히 인출되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정수기의 일부 사시도와 분리된 얼음 안내 그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를 구비한 정수기의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음료 추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음료 추출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음료 추출부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음료 추출부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도 1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음료 추출부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음료 추출 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음료 추출 유닛의 단면도로서, 음료 추출부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음료 추출 유닛의 단면도로서, 음료 추출부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내부 구성과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의 전면 커버, 상면 커버 및 물 탱크 커버(도시 생략)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하나의 케이스(10) 내부에,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기 유닛(100)과,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추출 유닛(200)과, 정수기 유닛(100)에 의해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음료 추출 유닛(200)에 공급하는 추출수 공급부(300)를 구비한다.
케이스(10)는 후술하는 정수기의 구성 부품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나사나 후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정수기 전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0)는, 후술하는 음용수 취출부(130), 얼음 취출부(160), 음료 추출 유닛(200) 및 추출수 공급부(300)를 덮는 전면(前面) 커버(12)를 포함하고, 이 전면 커버(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함으로써 개방가능하다. 물론, 전면 커버(12)의 개방 방식은 회동식에 한정되지 않고, 착탈식이나 슬라이딩식으로 개방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면 커버(12)를 간단하게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유지관리/보수요원이나 사용자가 케이스(10) 전체를 분해하지 않아도 전면 커버(12)를 개방하고 음용수 취출부(130), 얼음 취출부(160), 음료 추출 유닛(200) 및 추출수 공급부(300)를 관리, 점검, 보수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상세히는 후술하지만, 전면 커버(12)를 개방하고 얼음 저장고(150)와 얼음 안내 그릴(170)을 정수기로부터 인출하여 관리, 점검, 보수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전면 커버(12)에는 후술하는 음료 추출 유닛(200)에 캡슐을 장착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캡슐 홀더(260) 삽입구 및 그 아래에 추출되는 음료를 받는 컵을 놓는 컵받이(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 커버(12)에는 상세히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정수기의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버튼과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 및 필요한 회로 기판이 장착된다. 또한, 케이스(10)의 전방 음용수 취출부(130) 및 얼음 취출부(160) 아래쪽에는 흘린 물 등을 임시 저장하는 물받이(17)가 장착된다.
또한, 케이스(10)는 정수기의 상면을 덮는 상면 커버(14)를 포함하고, 그밖에 측면 커버, 후면 커버 등을 일체화하여 또는 서로 분리된 부재로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면 커버(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식, 착탈식 또는 회동식으로 간단하게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물 탱크(120)나 제빙부(140)를 관리, 점검, 보수하는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다.
정수기 유닛(100)은, 일반적인 정수기의 구성으로서, 상수도 등으로부터 원수를 받아 필터링함으로써 정수를 생성하는 필터부(110)와, 필터부(110)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120)와, 물 탱크(120)에 저장된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음용수 취출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부(110)는 침전 필터(111), 선카본 필터(112), 역삼투압 방식의 맴브레인 필터(113) 및 후카본 필터(114)를 구비하고, 케이스(10) 내부에서 정수기의 하부(물 탱크(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한편, 정수기 유닛(100)이 구비하는 필터의 종류와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각의 필터의 기능과 연결 방식 등은 정수기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물 탱크(120)는, 필터부(110)에 의해 정수된 상온의 물(이하, 정수된 상온의 물을 '정수'라 한다)을 저장하는 정수 탱크(121)와, 제빙부(140)에 의해 냉각된 냉수 또는 얼음 녹은 물이 저장되는 냉수 탱크(122)를 포함한다. 물 탱크(120)는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정수기의 최상부에 배치되어, 유지관리/보수 요원 또는 사용자가 케이스(10) 상면 커버(14)와 물 탱크 커버(도시 생략)를 분리하면 물 탱크(120) 내부가 바로 개방되어 물 탱크(120)의 청소 등 유지관리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온수 탱크를 구비하지 않고, 후술하는 히터(310)에 의해 순간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나, 별도의 히터를 갖춘 온수 탱크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음용수 취출부(130)는, 정수 탱크(121)로부터 공급되는 상온의 정수, 냉수 탱크(122)로부터 공급되는 냉수, 또는 히터(310)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정수 탱크(121) 및 냉수 탱크(122)에는 각각 정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배관(41,42)과, 히터(310)로부터 온수를 공급하는 배관(43)이 마련되고 각각의 또는 공통된 취출 코크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음용수 취출부(130)는 후술하는 음료 추출 유닛(200)과 함께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인 물 탱크(120)의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세히는 후술하지만 정수기의 전면(前面) 커버를 개방하였을 때 유지관리/보수요원 또는 사용자가 관리, 점검, 보수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 정수기 유닛(100)은, 냉수 탱크(122)에 저장된 냉수를 사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부(140), 제빙부(140)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150) 및 얼음 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얼음 취출부(160)를 더 구비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음료 추출 기능을 갖춘 얼음 냉온 정수기이다.
제빙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탱크, 보다 상세히는 냉수 탱크(122)의 내부 상방에 배치되어, 케이스(10)와 냉수 탱크 커버(도시 생략)를 분리하면 제빙부(140)가 바로 노출되어 제빙부(140)의 관리, 점검, 보수 작업을 수월하게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빙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141), 냉매관에서 냉수 탱크(122)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빙 핑거(142), 제빙 핑거를 향해 물을 분사함으로써 제빙 핑거(142)의 표면으로부터 얼음(30)이 생성되게 하는 노즐 플레이트(143), 및 소정 크기로 제조된 얼음(30)을 제빙 핑거(142)로부터 탈빙하는 수단으로서 전기 히터(146)를 구비한다. 노즐 플레이트(143)는 제빙 핑거(142)를 둘러싸도록 핑거 관통 홀(144)이 형성되어 있고, 각 핑거 관통 홀(144)의 복수 개소에서 제빙 핑거(142)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노즐(145)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 플레이트(143)의 내부는 냉수 탱크(122)로부터 펌프(51)에 의해 공급되는 냉수가 흐르는 공동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빙부(140)의 냉매관(141)은 증발기로서 기능하며, 정수기의 하부 또는 냉수 탱크의 측방에 배치되는 압축기 및 응축기(도시 생략)와 함께 냉각 사이클을 이룬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빙부(140)는 노즐 분사형인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제빙부의 구체적인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제빙부는 얼음 형상을 규정하는 제빙 트레이에 냉수를 흘리는 방식, 제빙 트레이에 냉수를 분사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탈빙수단으로서 전기 히터(146)를 들었지만, 냉매관(141)으로 핫 가스를 흘림으로써 탈빙하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냉수 탱크(122) 내부에서 제빙부(140)의 아래쪽에는 얼음 저장고(150)가 배치되어 제빙 핑거(142)에서 탈빙된 얼음(30)을 저장한다. 또한, 제빙부(140)와 얼음 저장고(150) 사이에는 얼음 안내 그릴(170)이 경사지게 마련되어, 제빙 핑거(142)로부터 탈빙된 얼음(30)을 얼음 저장고(150)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얼음 저장고(150)와 얼음 안내 그릴(170)은 전면 커버(12)가 개방되었을 때 정수기의 전방으로 인출하여 분리 가능한데,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얼음 저장고(150)와 얼음 안내 그릴(17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5에서는 음료 추출 유닛(200)의 구성 부품들은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저장고(150)는,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 용기(151),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52), 모터(152)와 축 결합되는 회전축(154) 및 회전축(154)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얼음 저장 용기(151)에 저장된 얼음(30)을 얼음 취출부(160)로 이송하는 스크류(155)를 가지며 얼음 저장 용기(151)에 장착되는 얼음 이송 부재(153), 그리고 얼음 저장 용기(151)의 얼음 공급구(161)를 개폐하는 얼음 도어(16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얼음 저장 용기(151)는 얼음이 저장되는 얼음 저장고(150)의 본체를 형성하는데, 얼음 저장 용기151()의 바닥면에는 얼음(30)이 녹아서 생긴 물을 냉수 탱크(122)로 안내하는 물 배출공(156)이, 그리고 전면 하부에는 얼음 저장 용기(151)에 저장된 얼음을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얼음 공급구(161)가 각각 마련된다.
모터(152)는 얼음 저장 용기(151)의 전면에 설치되며, 구동력을 발생시켜 회전축(154)에 제공한다.
얼음 이송 부재(153)는 얼음 저장 용기(151)에 저장된 얼음(30)을 얼음 공급구(161) 쪽으로 이송하기 위해 얼음 저장 용기(151)의 내부에 장착된다. 얼음 이송 부재(153)는 모터(152)와 축 결합되는 회전축(154) 및 회전축(154)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얼음 저장 용기(151)에 저장된 얼음(30)을 이송하는 스크류(154)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얼음 도어(162)는 얼음 공급구(16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얼음 공급구(161)와 인접한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축과 결합된 캠(미도시)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얼음 도어(162)는 얼음 공급구(161)와 함께 본 실시예에서 얼음 취출부(160)를 이룬다.
이에 따라 얼음 공급 신호가 입력되어 모터(152)가 구동되면, 스크류(155)가 회전하면서 얼음 저장 용기(151)에 저장된 얼음(30)을 얼음 공급구(161) 쪽으로 이송하게 되고, 얼음 도어(162)는 회동되면서 얼음 공급구(161)를 개방하여 얼음 이송 부재(153)에 의해 이송된 얼음(30)이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를 제공하고, 평상시에는 얼음 공급구(161)를 폐쇄하여 냉기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얼음 취출부(160)는 음용수 취출부(130)의 측방, 냉수 탱크(122)의 전방에 배치되어, 전면 커버(12)만을 개방한 상태에서 유지관리/보수요원 또는 사용자가 얼음 취출부(160)와 모터(152) 등을 포함한 얼음 저장고(150)의 전방측 구성 부품들을 용이하게 관리, 점검, 보수할 수 있다.
얼음 안내 그릴(170)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부(140)와 얼음 저장고(150) 사이에 경사지게 마련되어, 제빙 핑거(142)로부터 탈빙된 얼음(30)을 얼음 저장고(150)로 안내할 수 있다. 얼음 안내 그릴(170)은 상부 플레이트(171)와, 상부 플레이트(171)의 하부에 복층 구조로 마련되는 하부 플레이트(173) 및 중간 플레이트(172), 얼음 안내 그릴(170)의 측면을 폐쇄하는 측면 플레이트(174)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71)는 경사지게 마련되어 제빙 핑거(142)에서 탈빙된 얼음(30)을 얼음 저장고(150)로 이송하는 경사부(175), 및 경사부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며 물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슬릿부(176)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빙 핑거(142)로부터 탈빙된 얼음(30)은 경사부(175)를 따라 얼음 저장고(150)로 안내되며, 제빙 핑거(142)에 의하여 냉각되거나 제빙되지 않고 흘러내린 물은 얼음 저장고(150)로 이동되지 않고 슬릿부(176)를 통과하여 하부 플레이트(173) 및 중간 플레이트(172)로 안내된다.
하부 플레이트(173)는 상부 플레이트(171)의 하단부에 경사지게 마련되며, 슬릿부(176)를 통과한 물을 물 탱크(120)로 안내하고, 중간 플레이트(172)는 상부 플레이트(171)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마련되며, 슬릿부(176)를 통과한 물을 하부 플레이트(173)와는 독립적으로 냉수 탱크(122)로 안내할 수 있다.
측면 플레이트(174)는 상부 플레이트(171)의 슬릿부(176)를 통과한 물이 얼음 안내 그릴(170)의 측면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얼음 안내 그릴(170)의 측면벽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얼음 안내 그릴(170)은 측면이 폐쇄되고 후방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므로, 슬릿부(176)를 통과한 물은 모두 얼음 안내 그릴(170)의 후방쪽으로 안내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에서는 슬릿부(176)를 통과한 물을 냉수 탱크(122)로 안내하기 위한 플레이트가 복층 구조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부 플레이트(171)의 상단부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71)와 중간 플레이트(172)의 교차점 사이의 구간에서는 슬릿부(176)를 통과한 물이 중간 플레이트(172)로 유입된다. 또한, 상부 플레이트(171)와 중간 플레이트(172)의 교차점으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71)의 하단부 사이의 구간에서는 슬릿부(176)를 통과한 물이 하부 플레이트(173)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슬릿부()를 통과한 물을 물 탱크(120)로 안내하기 위한 플레이트를 복층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단일 층의 플레이트를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슬릿부(176)를 통과한 물을 하부 플레이트(173) 및 중간 플레이트(172)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슬릿부(176)를 통과한 물이 이미 플레이트에 고여있는 물 위에 떨어져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전면 커버(12)는 착탈식, 슬라이딩식 또는 회동식으로 개방가능하여, 케이스(10) 전체를 분해하지 않아도 얼음 저장고(150) 및 얼음 안내 그릴(170)을 냉수 탱크(122)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탱크(122)의 전면에는 얼음 저장고(150)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삽입구(123)가 형성된다. 또한, 냉수 탱크(122)의 내측면에는 삽입구(123)를 통해 냉수 탱크(122) 내부로 삽입된 얼음 저장고(150)를 지지하는 지지턱(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얼음 저장고(150)의 후방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턱(124)에 거치될 수 있는 지지홈(15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구(123), 지지턱(124) 및 지지홈(157)이 형성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123)를 통해 얼음 저장고(150)를 냉수 탱크(122)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냉수 탱크(122)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10)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얼음 저장고(150)를 정수기로부터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얼음 저장고(150)가 인출되어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제빙부(140), 얼음 안내 그릴(170) 및 냉수 탱크(122) 등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얼음 저장고(150)가 인출되어 형성된 공간(삽입구(123))을 통해 얼음 안내 그릴(170)을 냉수 탱크(122)의 외부로 인출하거나 냉수 탱크(122)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에서는 얼음 저장고(150)가 정수기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삽입구(123)를 통해 얼음 안내 그릴(170)을 냉수 탱크(122)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냉수 탱크(122)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냉수 탱크(122)의 내측면에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안내 그릴(6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그릴 가이드 레일(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얼음 안내 그릴(170)의 측면에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 가이드 레일(12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그릴 가이드(17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얼음 저장고(150)가 정수기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삽입구(210)을 통해 얼음 안내 그릴(170)을 정수기의 외부로 인출하거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스(10)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얼음 안내 그릴(170)을 쉽게 분해한 후 청소할 수 있어 유지관리/보수 요원이나 사용자의 관리, 점검, 보수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변형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를 구비한 정수기의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얼음 저장고의 변형예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얼음 저장고(150)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에서는 삽입구(123)를 통해 얼음 저장고(150) 전체를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그런데, 얼음 저장고(150)를 삽입 또는 인출할 때에는 모터(152)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의 분리 및 체결 작업이 필요하므로, 일반 사용자가 이를 수행하는데 약간의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변형예에서는, 얼음 저장고(150)의 모터(152')를 모터 하우징(158) 내부에 고정 설치하고, 회전축(154)은 모터(152')와 분리 가능하게 축 결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탱크(122)의 내부 공간에 모터(152')를 고정 설치한다. 여기서, 모터(152')가 냉수 탱크(122)의 내부 공간에 설치됨에 따라, 모터(152')에 물이 튀거나 습기가 유입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냉수 탱크(122)의 내측면에 모터(152')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하우징(158)을 별도로 고정 설치하고, 모터 하우징(158)의 내부에 모터(15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축(154)과 모터(152')를 분리 가능하게 축 결합시키기 위하여, 회전축(154)의 일단부에 회전축 돌기(154a)를 돌출 형성하고, 모터 회전축의 일단부에 회전축 돌기(154a)가 삽입될 수 있는 회전축 삽입홈(152a)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 돌기(154a) 및 회전축 삽입홈(152a)은 서로 형합될 수 있도록 단면 사각형 등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거나 단면 톱니바퀴 모양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본 변형예에 따른 얼음 저장고를 구비한 정수기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158) 및 모터(152')는 냉수 탱크(122)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얼음 저장 용기(151) 및 얼음 이송 부재(153)를 독립적으로 케이스(10)의 내부로 삽입하거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얼음 저장 용기(151) 및 얼음 이송 부재(153)만 독립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어, 얼음 저장고(150) 전체를 분리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감전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고, 일반 사용자라도 더욱 용이하게 얼음 저장고(150)를 분리하여, 점검, 관리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정수기에서 정수기 유닛(100)과 함께 또 다른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는 음료 추출 유닛(2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음료 추출 유닛(200)은, 커피 분말이 수용되어 있는 캡슐에 고온 고압의 추출수를 분사하여 커피 추출액을 얻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캡슐의 내부에는 커피 분말 외에도 찻잎이나, 건조 식물, 곡물 등, 추출수로 우려내기에 적합한 재료가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커피 이외의 재료가 충전된 캡슐로부터 추출액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추출 유닛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수기에서 음료 추출 유닛(2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음료 추출부(250)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11의 C-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음료 추출부(250)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음료 추출부(250)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음료 추출 유닛(200)은,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과,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의 하부에 장착되어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20)(이하, '캡슐'이라 함)을 수납하는 캡슐 홀더(260)와, 캡슐 홀더(260)의 상부에 장착되어 캡슐 홀더에 수납되는 캡슐(20)의 상면에 밀착하여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부(250)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유닛(200)은, 음료 추출부(250)를 하강시켜 캡슐(20)의 상면에 밀착시키고, 음료 추출후 상승시켜 캡슐(20)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동작을 수동으로 행하지 않고 전동식으로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유닛(200)은,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에서 음료 추출부(25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음료 추출부(250)를 승강시킴으로써, 음료 추출부가 캡슐(20)의 상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스크류(240)와,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스크류(240)를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220)를 더 구비한다.
한편, 정수기 유닛(100)에서 정수된 정수를 사용하여 음료 추출 유닛(200)에서 음료를 추출하기 위해, 정수 탱크(121)로부터 정수를 가열, 가압하여 음료 추출 유닛(200)에 공급하는 추출수 공급부(300)를 구비한다. 추출수 공급부(300)는 정수 탱크(121)에 저장된 정수를 펌핑, 가압하여 공급하는 펌프(53)와, 펌프(53)에 의해 공급된 정수를 가열하는 히터(310)로 이루어져, 물 탱크(120)의 전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추출수 공급부(300)을 이루는 펌프(53)와 히터(310)는 온수 공급 기능을 갖춘 정수기라면 당연히 구비하는 부품들이다. 즉, 본 발명의 음료 추출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는, 단순화하면, 종래의 온수 공급 기능을 갖춘 정수기에, 온수의 공급 방향을 절환하는 밸브(55) 및 온수를 음료 추출 유닛(200)으로 공급하는 배관(45)과 함께 음료 추출 유닛(200)을 부가한 구성이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상세히는 후술하지만 음료 추출 유닛(200)을 컴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음료 추출 장치와 정수기를 일체화하면서도 충분히 소형화할 수 있어, 음료 추출 기능을 가지는 얼음 냉온 정수기를 탁상형(카운터 탑)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추출수 공급부(300)와 음료 추출 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음용수 취출부(130) 및 얼음 취출부(160)와 함께, 케이스(12)의 내부에서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인 물 탱크(120)의 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면 커버(12)만을 개방한 상태에서, 유지관리/보수 요원이나 사용자가 음료 추출 유닛(200)의 각 구성 부품들을 용이하게 관리, 점검, 보수할 수 있다.
이하,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00)에 장착되는 스크류(240), 모터(220), 음료 추출부(250)와 캡슐 홀더(260)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의 음료 추출 유닛(2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음료 추출 유닛에 사용하는 캡슐(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커피 분말이 수용되어 있고, 상면 커버(22)에는 추출수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한 홀 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캡슐(20)에 대응하여 캡슐 홀더(260)는 캡슐(20)을 상방에서 넣거나 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의 캡슐 수납부(261)를 가진다. 또한, 캡슐 홀더(260)는 정수기의 전방에서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의 하부에 넣거나 뺄 수 있으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에 서랍식으로 푸쉬인(push-in) 및 풀아웃(pull-out) 가능하고, 풀아웃된 상태에서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으로부터 분리가능하다. 따라서, 음료의 추출이 끝나고 폐캡슐이 아직 뜨거운 상태에서 캡슐 홀더(260) 전체를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으로부터 분리하여 폐캡슐 회수통이나 쓰레기통으로 폐캡슐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캡슐 홀더(260)가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에 푸쉬인되어 완전히 장착되었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여, 캡슐 홀더(260)가 완전히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음료의 추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센서는 캡슐 홀더(260)가 완전히 푸쉬인되었을 때 캡슐 홀더(260)에 의해 두 접점이 연결되는 마이크로 스위치(268)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캡슐 홀더(260)가 장착(푸쉬인)된 상태에서 장치의 진동이나 작은 외력에 의해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슐 홀더(260)와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 내벽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서로 다른 극성이 대향하도록 자석(269a,269b)이 각각 마련되어 인력이 작용하게 한다.
음료 추출부(250)는,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가능하고, 내부에 추출수 유로(253)가 형성된 음료 추출부 바디(251)와, 음료 추출부 바디(251)의 하부에 장착되어 음료 추출부 바디와 함께 승강되어 캡슐의 상면에 밀착/이격되는 캡슐 가압부(255)를 구비한다.
추출수 유로(253)의 일단은 추출수 공급부(300)인 히터(310)의 출수 라인인 배관(45)에 연결되고, 타단은 음료 추출부의 저면 중앙으로 개구된다. 또한, 캡슐 가압부(255)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20)의 상면 커버(22)의 가장자리만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링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캡슐 가압부(255)는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데, 가압시 및 장기간 반복 사용에 따른 변형, 특히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료 추출부 바디(251)의 저면 가장자리에는 캡슐 가압부(255)의 측면을 감싸는 변형 방지 림(rim)(256)이 형성되어 있다.
음료 추출부(250)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로는, 전술한 스크류(240)와 모터(2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승강 기구는, 정역 회전 가능한 모터(220)와, 모터(220)가 장착되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230)와, 모터(220)에 연결되어 정역 회전 가능한 스크류(240)를 포함한다.
모터(220)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서, 회전축(226)이 하방을 향하도록 고정 플레이트(230)에 장착된다. 한편, 도 12에서 보듯이, 모터(220)의 중심축(224)과 스크류(24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226)은 일치하지 않는데, 이는 모터 어셈블리(222) 내의 기어나 벨트 등의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면서 연결한 결과이다. 물론, 회전력과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면 모터(220)의 중심축(224)이 그대로 회전축(226)이 되도록 모터(220)를 그대로 고정 플레이트(230)에 장착할 수도 있다(도 14 참조).
고정 플레이트(230)는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의 상부에 고정되며, 그 위에 상기 모터(220)(모터 어셈블리)가 장착된다. 고정 플레이트(230)의 중앙에는 회전축(226)과 연결되는 스크류(240)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스크류 관통홀(232)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240)는 외주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상부 중앙에는 회전축(226)이 삽입되는 회전축 삽입홈(24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산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인 것이 정밀한 승강과 소음 저감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스크류(240)는 고정 플레이트(230)의 스크류 관통홀(232)에 삽입되고, 회전축 삽입홈(242)에 회전축(226)이 삽입되어, 모터(220)의 회전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스크류(240)에 대응하여 음료 추출부 바디(251)는 그 중앙에 스크류(2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골이 형성된 스크류 삽입홀(252)이 형성되어 있고, 스크류(240)의 회전에 의해 음료 추출부 바디(251)가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스크류 삽입홀(252)에 스크류(240)가 삽입된다. 또한, 음료 추출부 바디(251)의 저면에는 전술한 캡슐 가압부(255)가 장착, 고정되어, 음료 추출부 바디(251)와 함께 승강된다.
한편, 음료 추출부(250)의 원활한 승강을 위해, 음료 추출부 바디(251)의 외측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간(또는 돌출된) 가이드 홈(254)(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홈(254)(또는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여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의 내벽면에는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의 안쪽으로 돌출된(또는 오목하게 들어간) 가이드 돌기(도 16의 214 참조)(또는 가이드 홈)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240)의 회전에 따라 음료 추출부(250)는 가이드 돌기(214)(또는 가이드 홈)를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의 일방의 외측면 상부에는, 음료 추출부(250)가 정해진 위치(최고 상승 위치)까지 상승했음을 감지하는 승강 위치 센서로서 마이크로 스위치(258a)를, 그 접점이 음료 추출부 바디(251)의 돌출된 일부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장착한다.
또한,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의 일방의 외측면 하부에는, 음료 추출부(250)가 정해진 위치(최대 하강 위치)까지 하강했음을 감지하는 하강 위치 센서로서 마이크로 스위치(258b)를, 그 접점이 음료 추출부 바디(251)의 돌출된 일부의 저면과 접촉하도록 장착한다.
한편, 상기 승강 위치 센서로서는, 리미트 스위치나 광 센서, 자기(磁氣) 센서 등 다른 종류의 센서로 변경 가능하며, 그 개수나 설치 위치 등도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 추출 유닛의 변형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그 단면도로서, 도 17은 음료 추출부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도 18은 음료 추출부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변형예에 따른 음료 추출 유닛(200')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음료 추출 유닛(200)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변형예에 따른 음료 추출 유닛(200')이 사용하는 캡슐(20')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음료 추출 유닛(200)에서 사용하는 캡슐(20)과 달리, 상면 커버(22')에 미세 홀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본 변형예에 따른 음료 추출부(250')는, 전술한 음료 추출부(250)의 구성에 더해, 캡슐(20')의 상면 커버(22')를 뚫는 니들(257)을 구비하고, 이 니들(257)은 추출수 유로(253)에 연통되어 니들(257)을 통해 캡슐(20')의 내부로 추출수를 공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캡슐 가압부(255')도 전술한 캡슐 가압부(255)와 달리, 캡슐(20')의 상면 커버(22') 전체를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따른 캡슐 홀더(260')는,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의 하부에 넣거나 뺄 수 있는 것은 전술한 캡슐 홀더(260)와 마찬가지이나, 구체적인 구성에서 약간 다르다. 즉, 본 변형예에 따른 캡슐 홀더(260')는,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에 서랍식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부(262)와, 이 슬라이딩부(262)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도 16의 화살표 참조) 캡슐을 수납하는 캡슐 수납부(261)를 갖는다. 슬라이딩부(262)의 내측 단부(슬라이딩부 중 캡슐 수납부가 연결되어 있는 단부의 반대편 단부) 또는 슬라이딩부(262)의 내측 단부와 대향하는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의 내벽에는 래치 스위치(263)가 설치되어 있어서 슬라이딩부(262)를 캡슐 수납부(261)와 함께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에 푸쉬인(push-in) 및 푸쉬아웃(push-out)할 수 있다. 여기서, 래치 스위치(263)란, 누르면 걸림 돌기 등에 의하여 고정이 되고, 다시 누르면 고정이 해제되는 구성으로서 고정과 고정해제가 반복되는 스위치를 말한다.
그리고, 캡슐 수납부(261)는, 캡슐 홀더(260')가 래치 스위치(263)에 연동되어 푸쉬아웃된 상태에서만 슬라이딩부(262)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를 위해, 캡슐 수납부(261)의 슬라이딩부(262) 쪽 단부에는 스프링(265)을 삽입하기 위한 실린더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실린더형 홈에 스프링(265)이 삽입되며, 이 스프링(265)에 의하여 강구(266)가 탄성 지지된다. 슬라이딩부(262)의 캡슐 수납부(261) 쪽 단부에는 상기 강구(266)의 표면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홈(267)이 형성되며, 이 오목홈(267)은 캡슐 수납부(261)의 회전축(264)을 기준으로 예컨대 45ㅀ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캡슐 수납부(261)를 회전시킬 때 45ㅀ마다 캡슐 수납부(261)가 탄성 고정되며, 캡슐 수납부에 캡슐을 장착하거나 탈거할 때 캡슐 수납부(261)를 미리 정해진 정확한 각도로 맞추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나머지 도 16 내지 도 18에, 도 11 내지 도 15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되어 있지만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동일한 참조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변형예의 어느 일방에만 도시되거나 설명된 구성은 구조적으로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타방에도 적용가능하며, 상호 치환가능하다. 예컨대, 도 11 내지 도 15와 함께 설명된 실시예의 음료 추출부(250) 구조, 캡슐(20) 및 캡슐 홀더(20) 구조, 캡슐 홀더 장착 센서(268), 캡슐 홀더 고정 자석(269a,269b) 등은 도 16 내지 도 18과 함께 설명된 변형예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반대로 변형예의 래치 스위치(263)는 도 11 내지 도 15와 함께 설명된 실시예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음료 추출 유닛(200,2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 바깥으로 나와 있는(풀아웃 또는 푸쉬아웃된) 캡슐 홀더(260,260')에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20,20')을 넣고,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 안쪽 끝까지 밀어 넣으면(푸쉬인), 캡슐 홀더(260,260')가 정위치 즉, 음료 추출 가능 위치에 고정된다. 이때, 음료 추출부(250,250')는 도 14 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 위치까지 승강되어 있다.
이어서, 음료 추출 버튼(도시 생략)을 누르면, 모터(220)가 회전하고(이때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 방향이라 한다) 그에 따라 스크류(240)가 회전함으로써, 음료 추출부(250,250')가 가이드 홈(12)(또는 가이드 돌기)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도 15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추출부(250,250')가 하강하여 음료 추출부의 캡슐 가압부(255,255')가 캡슐(20)의 상면 커버(22)의 가장자리에 밀착하거나(도 15), 상면 커버(22')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밀착함과 동시에 니들(257)이 캡슐(20')의 상면 커버(22')를 관통하고(도 18), 음료 추출부 바디(251)의 저면 일부가 마이크로 스위치(258b)의 두 접점을 눌러 마이크로 스위치(258b)가 스위치 온(ON)되면, 음료 추출부(250,250')가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했으므로 제어부(도시 생략)는 모터(220)의 회전을 정지한다. 이어서, 음료 추출부(250,250')의 추출수 유로(253)를 통해 고온 고압의 추출수를 공급함으로써 캡슐(20,20') 내의 음료용 원재료로부터 음료를 추출하게 된다.
음료의 추출 동작이 끝나면, 자동으로 또는 별도의 버튼(도시 생략)을 누르면, 모터(220)는 역회전하고 그에 따라 스크류(243)가 역회전하여 음료 추출부(250,250')가 상승한다. 음료 추출부가 상승하여 그 상면 일부가 마이크로 스위치(258a)의 두 접점을 눌러 마이크로 스위치(258a)가 스위치 온(ON)되면, 음료 추출부(250,250')가 정해진 위치까지 상승했으므로 모터(220)의 회전이 정지되고 도 14 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어서, 캡슐 홀더(260,260')를 잡아당기거나(도 14의 실시예) 가볍게 누르면(도 17의 변형예) 캡슐 홀더(260,260')가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210)으로부터 전방으로 인출되어, 음료 추출이 끝난 폐캡슐을 캡슐 수납부(261)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 추출 유닛에 따르면, 모터(220)와 스크류(240)에 의해 음료 추출부(250,250')를 승강시키므로, 링크 부재를 이용한 수동 조작에 의해 음료 추출부를 승강시키는 경우에 비해, 캡슐 가압부(255,255')의 캡슐 상면 커버(22,22')를 가압하는 정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상면 커버의 반발력에 의해 캡슐 가압부(255,255')가 위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정확하고 일정한 밀착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음료가 캡슐(20,20')의 상면 커버(22,22')와 캡슐 가압부(255,255') 사이로 누출하는 등의 문제가 없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258a,258b)를 이용하여 음료 추출부(250,250')을 정확한 승강 위치까지 승강시킬 수 있어 항상 일정한 가압력(밀착력)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음료 추출 유닛(200,200')의 장기간 반복 사용에 의해 각 부재의 연결점이나 접점이 마모되어 가압력이 약해지는 경우가 예상되는데, 이 경우에는 마이크로 스위치(258a,258b, 특히 258b)의 높이를 기계적으로 조절하거나,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촉감지 감도를 전자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캡슐 가압부(255,255')의 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케이스
12 : 전면 커버
14 : 상면 커버
16 : 컵받이
17 : 물받이
20,20' : 음료용 원재료 캡슐
22,22' : 캡슐 상면 커버
30 : 얼음
41,42,43,45 : 배관
51,52,53 : 펌프
55 : 밸브
100 : 정수기 유닛
110 : 필터부
111 : 침전 필터
112 : 선 카본 필터
113 : 맴브레인 필터
114 : 후 카본 필터
120 : 물 탱크
121 : 정수 탱크
122 : 냉수 탱크
123 : 삽입구
124 : 지지턱
125 : 그릴 가이드 레일
130 : 음용수 취출부
132 : 취출 코크
140 : 제빙부
141 : 냉매관
142 : 제빙 핑거
143 : 노즐 플레이트
144 : 핑거 관통 홀
145 : 노즐
146 : 전기 히터(탈빙수단)
150 : 얼음 저장고
151 : 얼음 저장 용기
152,152' : 모터
152a : 회전축 삽입홈
153 : 얼음 이송 부재
154 : 회전축
154a : 회전축 돌기
155 : 스크류
156 : 물 배출공
157 : 지지홈
158 : 모터 하우징
160 : 얼음 취출부
161 : 얼음 공급구
162 : 얼음 도어
170 : 얼음 안내 그릴
171 : 상부 플레이트
172 : 중간 플레이트
173 : 하부 플레이트
174 : 측면 플레이트
175 : 경사부
176 : 슬릿부
177 : 그릴 가이드
200,200' : 음료 추출 유닛
210 :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
214 : 가이드 돌기
220 : 모터
222 : 모터 어셈블리
224 : 모터 중심축
226 : 회전축
230 : 고정 플레이트
232 : 스크류 관통홀
240 : 스크류
242 : 회전축 삽입홈
250,250' : 음료 추출부
251 : 음료 추출부 바디
252 : 스크류 삽입홀
253 : 추출수 유로
254 : 가이드 홈
255,255' : 캡슐 가압부
256 : 변형 방지 림
257 : 니들
258a : 상승 위치 센서(마이크로 스위치)
258b : 하강 위치 센서(마이크로 스위치)
260,260' : 캡슐 홀더
261 : 캡슐 수납부
262 : 슬라이딩부
263 : 래치 스위치
264 : 캡슐 수납부 회전축
265 : 스프링
266 : 강구
267 : 오목홈
268 : 캡슐 홀더 장착 센서(마이크로 스위치)
269,269' : 캡슐 홀더 고정 자석
300 : 추출수 공급부
310 : 히터
12 : 전면 커버
14 : 상면 커버
16 : 컵받이
17 : 물받이
20,20' : 음료용 원재료 캡슐
22,22' : 캡슐 상면 커버
30 : 얼음
41,42,43,45 : 배관
51,52,53 : 펌프
55 : 밸브
100 : 정수기 유닛
110 : 필터부
111 : 침전 필터
112 : 선 카본 필터
113 : 맴브레인 필터
114 : 후 카본 필터
120 : 물 탱크
121 : 정수 탱크
122 : 냉수 탱크
123 : 삽입구
124 : 지지턱
125 : 그릴 가이드 레일
130 : 음용수 취출부
132 : 취출 코크
140 : 제빙부
141 : 냉매관
142 : 제빙 핑거
143 : 노즐 플레이트
144 : 핑거 관통 홀
145 : 노즐
146 : 전기 히터(탈빙수단)
150 : 얼음 저장고
151 : 얼음 저장 용기
152,152' : 모터
152a : 회전축 삽입홈
153 : 얼음 이송 부재
154 : 회전축
154a : 회전축 돌기
155 : 스크류
156 : 물 배출공
157 : 지지홈
158 : 모터 하우징
160 : 얼음 취출부
161 : 얼음 공급구
162 : 얼음 도어
170 : 얼음 안내 그릴
171 : 상부 플레이트
172 : 중간 플레이트
173 : 하부 플레이트
174 : 측면 플레이트
175 : 경사부
176 : 슬릿부
177 : 그릴 가이드
200,200' : 음료 추출 유닛
210 :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
214 : 가이드 돌기
220 : 모터
222 : 모터 어셈블리
224 : 모터 중심축
226 : 회전축
230 : 고정 플레이트
232 : 스크류 관통홀
240 : 스크류
242 : 회전축 삽입홈
250,250' : 음료 추출부
251 : 음료 추출부 바디
252 : 스크류 삽입홀
253 : 추출수 유로
254 : 가이드 홈
255,255' : 캡슐 가압부
256 : 변형 방지 림
257 : 니들
258a : 상승 위치 센서(마이크로 스위치)
258b : 하강 위치 센서(마이크로 스위치)
260,260' : 캡슐 홀더
261 : 캡슐 수납부
262 : 슬라이딩부
263 : 래치 스위치
264 : 캡슐 수납부 회전축
265 : 스프링
266 : 강구
267 : 오목홈
268 : 캡슐 홀더 장착 센서(마이크로 스위치)
269,269' : 캡슐 홀더 고정 자석
300 : 추출수 공급부
310 : 히터
Claims (16)
-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원수를 정수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하는 정수기 유닛과,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여 공급하는 음료 추출 유닛과, 상기 정수기 유닛에 의해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상기 음료 추출 유닛에 공급하는 추출수 공급부를 구비한 정수기로서,
상기 정수기 유닛은,
원수를 정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 및
상기 물 탱크로부터 정수된 물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음용수 취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료 추출 유닛은,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음료용 원재료 수용 캡슐을 수납하는 캡슐 홀더; 및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에서 상기 캡슐 홀더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캡슐 홀더에 수용된 상기 캡슐의 상면에 밀착하여 상기 캡슐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음료 추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추출수 공급부는, 상기 물 탱크로부터 정수된 물을 가열하여 상기 음료 추출부에 공급하고,
상기 필터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정수기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 탱크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정수기의 최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음용수 취출부, 추출수 공급부 및 음료 추출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인 상기 물 탱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물 탱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음용수 취출부, 추출수 공급부 및 음료 추출 유닛을 덮는 전면(前面)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는 착탈식, 슬라이딩식 또는 회동식으로 개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 유닛은,
상기 정수된 물을 사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부;
상기 제빙부에 의해 제조된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고; 및
상기 얼음 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얼음 취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빙부는 상기 물 탱크의 내부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얼음 저장고는 상기 제빙부의 아래쪽에 배치되며,
상기 얼음 취출부는 상기 음용수 취출부의 측방, 상기 물 탱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음용수 취출부, 추출수 공급부, 얼음 취출부 및 음료 추출 유닛을 덮는 전면(前面)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커버는 착탈식, 슬라이딩식 또는 회동식으로 개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저장고는 상기 전면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 정수기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부와 얼음 저장고 사이에 경사지게 마련되어, 상기 제빙부로부터 탈빙된 얼음을 상기 얼음 저장고로 안내하는 얼음 안내 그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얼음 안내 그릴은 상기 얼음 저장고가 인출되었을 때 정수기의 전방으로 인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추출 유닛은,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에서 상기 음료 추출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음료 추출부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음료 추출부가 상기 캡슐의 상면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하는 스크류; 및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를 정역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추출부가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했음을 감지하는 하강 위치 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하강 위치 센서가 상기 정해진 위치까지 하강했음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추출부가 정해진 위치까지 상승했음을 감지하는 상승 위치 센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상승 위치 센서가 상기 정해진 위치까지 상승했음을 감지하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 위치 센서는, 감지 높이 또는 감지 감도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홀더는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인 정수기의 전방에서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에 서랍식으로 푸쉬인(push-in) 및 풀아웃(pull-out)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홀더는 풀아웃된 상태에서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홀더가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에 완전히 푸쉬인되었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홀더가 상기 프레임에 완전히 푸쉬인되었을 때 상기 캡슐 홀더와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서로 다른 극성이 대향하도록 자석이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홀더를 사용자와 대면하는 방향인 정수기의 전방에서 상기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에 서랍식으로 푸쉬인(push-in) 및 푸쉬아웃(push-out)할 수 있도록, 래치 스위치가 상기 캡슐 홀더의 내측 단부 또는 상기 캡슐 홀더의 내측 단부와 대향하는 음료 추출 유닛 프레임의 내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 홀더는, 상기 래치 스위치에 연동되어 푸쉬인(push-in) 및 푸쉬아웃(push-out) 가능한 슬라이딩부와, 상기 캡슐을 수납하며 상기 슬라이딩부가 푸쉬아웃(push-out)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한 캡슐 수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2961A KR20150083335A (ko) | 2014-01-09 | 2014-01-09 | 캡슐식 음료 추출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2961A KR20150083335A (ko) | 2014-01-09 | 2014-01-09 | 캡슐식 음료 추출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3335A true KR20150083335A (ko) | 2015-07-17 |
Family
ID=5387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2961A KR20150083335A (ko) | 2014-01-09 | 2014-01-09 | 캡슐식 음료 추출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8333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17744A (zh) * | 2019-03-19 | 2019-05-07 | 宁波西文智能电器有限公司 | 饮料萃取机的拖盘组传动机构 |
-
2014
- 2014-01-09 KR KR1020140002961A patent/KR2015008333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717744A (zh) * | 2019-03-19 | 2019-05-07 | 宁波西文智能电器有限公司 | 饮料萃取机的拖盘组传动机构 |
CN109717744B (zh) * | 2019-03-19 | 2023-11-07 | 浙江西文智能科技有限公司 | 饮料萃取机的拖盘组传动机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759362U (zh) | 咖啡机 | |
US7210401B1 (en) | Single cup pod beverage brewer | |
JP6611787B2 (ja) | 抽出飲料を調製する装置および方法 | |
KR101693261B1 (ko) | 자동 드립커피 메이커 | |
US9664264B2 (en) | Motorized beverage machine with mechanical transmission | |
CN102802477B (zh) | 符合人机工程学的成分保持器和维护单元配合 | |
KR101424208B1 (ko) | 음료 추출 기기 및 추출 방법 | |
CN105030068A (zh) | 自动咖啡滴漏装置 | |
CN100556344C (zh) | 饮料冲泡装置 | |
US20060254428A1 (en) | Coffee making apparatus | |
US20130247771A1 (en) | Simple user-interface for a beverage machine | |
JP5450152B2 (ja) | 飲料製造装置 | |
JP2015535720A (ja) | シフト可能な複数サイズのカートリッジ受け器を有する抽出ユニット | |
US20100199848A1 (en) | Automatic Beverage Maker | |
JP2015533565A (ja) | 複数サイズのカートリッジ空洞を有する抽出ユニット | |
KR20140084342A (ko) | 음료 추출 기기 및 방법 | |
CN101953632A (zh) | 用于输出饮料的设备 | |
KR101595475B1 (ko) | 아메리카노 커피 공급 기능을 구비한 음료 추출 장치 일체형 정수기 | |
CN110040861A (zh) | 净水器 | |
JP5887262B2 (ja) | 飲料を生成するための濾過器 | |
CA2930643A1 (en) |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 |
CN105342463A (zh) | 一种自动煮茶机 | |
KR20150083335A (ko) | 캡슐식 음료 추출 기능을 구비한 정수기 | |
US9241594B2 (en) | Beverage brewing system and method | |
EP4273069A1 (en) | Anti-drip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for electric applia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