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984A -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984A
KR20150082984A KR1020140002593A KR20140002593A KR20150082984A KR 20150082984 A KR20150082984 A KR 20150082984A KR 1020140002593 A KR1020140002593 A KR 1020140002593A KR 20140002593 A KR20140002593 A KR 20140002593A KR 20150082984 A KR20150082984 A KR 20150082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advertisement
viewing
viewer
targe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수
이한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02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2984A/ko
Publication of KR20150082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83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demographical data, e.g. age, family status or addres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방법은 시청가구별로 시청자의 성별/연령대 분포를 추론하여 가구별 또는 시청자별 타깃팅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서, 의뢰받은 광고를 시청자 그룹별로 편성한다. 그리고, 시청가구 구성원의 성별 및 연령대 분포의 추론 결과를 저장하고, 추론된 시청가구 구성원의 성별 및 연령대 분포와 시청확률분포를 이용하여 시청자 그룹별 시청요청 확률을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된 그룹별 시청요청 확률에 기초하여 타깃팅 광고를 송출한다.

Description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ARGETING ADVERTISEMENT}
본 발명은 방송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서비스의 타깃팅 광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되면서 종래의 방송이 제공하였던 단순 노출 광고 서비스 이외에 맞춤형 광고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IPTV를 중심으로 VoD 서비스의 전후에 광고를 삽입하여 서비스되고 있는데, 이 광고를 맞춤형 광고로 하려는 시도가 생겨나고 있다. IPTV 뿐만 아니라, 최근 인터넷과 지상파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TV를 비롯한 스마트TV에 대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면서, 인터넷이 연결된 특징으로 인하여 TV는 기존의 지상파 방송처럼 단방향이 아닌 시청자와 소통할 수 있는 양방향 특성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시청자 맞춤형 광고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고주의 상품은 목표로 하는 주 타깃팅 고객층이 있으며, 타깃팅 고객층은 주로 성별/연령대/지역 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기반한다. 광고주가 타깃팅으로 삼는 고객층에게 광고를 집행하면 타깃팅 도달률 등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현재, 지상파 채널이나 케이블 채널 등은 방송 콘텐츠의 편성 시간에 따라 광고가 시간별로 미리 편성되어 있으며, 모든 시청가구에 동일한 광고가 송출된다. 하지만, 주문형 서비스인 경우, 콘텐츠 방영 시간이 미리 편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며 시청자의 시청요청에 따라 요청된 콘텐츠와 광고를 개별적으로 송출한다. 이러한, 양방향의 주문형 서비스 환경에서 타깃팅팅 광고에 대한 시도와 서비스가 있으나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지역 및 위치 기반 타깃팅팅 광고가 대부분이다. 또는 개인형 서비스인 경우에 각 개인별 선호도 분석 등의 심리적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맞춤형 방송 및 타깃팅팅 광고를 하는 기술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TV는 개인이 사용하는 장치가 아니라, 가족들이 공용으로 번갈아가며 사용하는 장치이므로 개인별 심리적 프로파일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7718호 '맞춤형 티브이 광고장치 및 제공방법'은 카메라를 통한 시청자들의 영상을 이용하여 시청자의 성별/연령대를 판별하여 호응이 높은 광고를 편성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영상을 통해 직접 식별된 시청자에 대한 결과만 이용할 뿐, 추론된 시청자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지 못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771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청가구별로 시청자의 성별/연령대 분포를 추론하여 가구별 또는 시청자별 타깃팅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방법은 먼저, 광고주로부터 성별/연령대 타깃팅 광고 의뢰가 접수되면, 의뢰받은 광고를 시청자 그룹별로 편성한다. 그리고, 광고주가 타깃팅 그룹을 하나 이상 지정하여 의뢰한 광고를 시청자 그룹별로 후보광고 리스트로 등록하여 편성한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시청가구별 가구 구성원 성별/연령대 추론 결과를 수신받고, 시청가구 구성원의 성별 및 연령대 분포의 추론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가구별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을 생성 및 저장한다. 다음으로, 성별/연령대별 시청확률분포를 수신하고, 수신된 성별/연령대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을 생성 및 저장한다. 그리고, 추론된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 및 성별/연령대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을 통해 시청자 그룹별 시청요청 확률을 계산한다. 추론된 시청가구 구성원의 성별/연령대 분포를 포함하는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과 현재 시청시점에서의 각 성별/연령대별 시청확률분포를 포함하는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을 이용하여 시청요청 확률을 생성한다. 시청요청 확률이 생성되면, 시청자 타깃팅 또는 가구 타깃팅을 통해 타깃팅 광고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청자 타깃팅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생성된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 및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을 고려하여 시청자 타깃팅 광고를 송출한다. 만약 시청가구 타깃팅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과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을 고려하여, 시청가구를 구성하는 구성원이 아닌 시청가구를 대상으로 한 타깃팅 광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 및 방법는 시청을 요청하는 시청자나 시청가구의 구성원에 맞는 광고를 편성 및 송출함으로써, 광고주가 마케팅 타킷으로 삼는 성별 및 연령대 시청자에게 광고 도달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방법의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방법의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에서의 기능 및 효과를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업계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명시된 경우에는 명시된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경우,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방법은 광고주로부터 성별/연령대 타깃팅 광고 의뢰가 접수(101)되면, 의뢰받은 광고를 시청자 그룹별로 편성한다(102). 광고주는 광고를 의뢰할 때, 의뢰하는 광고와 함께 해당 광고에 대한 타깃팅 그룹을 하나 이상 지정하여 전달한다. 해당 광고에 대한 타깃팅 그룹은 광고주가 해당 광고를 전달하고자 하는 대상 그룹으로, 예를 들어, 10대 또는 40대와 같은 특정 연령층이거나, 남성 또는 여성과 같은 특정 성별대이거나, 20대/남성과 같이 특정 성별/연령층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광고주가 타깃팅 그룹을 하나 이상 지정하여 의뢰한 광고를 표 1과 같이 시청자 그룹별로 후보광고 리스트로 등록하여 편성한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을 생성한다(103). 하나의 광고는 하나의 특정 시청자 그룹에만 등록되거나, 둘 이상의 특정 시청자 그룹에 등록될 수 있다. 표 1에서, 광고 101은 M60 및 F60 2개의 시청자 그룹에 등록되었고, 다른 광고들은 하나의 시청자 그룹에 등록되었다.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
그룹ID 후보광고
U10 광고 001
광고 002
광고 003
M10 광고 011
광고 012
광고 013
F10 광고 021
광고 022
M20 광고 031
광고 032
광고 033
광고 034
... ...
M60 광고 101
F60 광고 101
다음으로, 시청가구별 가구 구성원 성별/연령대 추론 결과를 수신(104)받고, 시청가구 구성원의 성별 및 연령대 분포의 추론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가구별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을 생성 및 저장한다(105). 조사에 의해 정확한 가구 구성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면, 가구에 포함된 그룹의 존재 확률은 1이고, 가구에 포함되지 않은 그룹의 존재 확률은 0이된다. 즉, 정확한 가구 구성원 정보를 아는 경우, 해당 가구 구성원의 연령 및 성별을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가구에 존재하는 구성원이 속하는 그룹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 포함된 그룹의 존재 확률은 1, 포함되지 않은 그룹의 존재 확률은 0이 될 수 있다. 정확한 가구 구성원 정보는 피플미터(Peoplemeter)와 같은 시청률 집계 장치 또는 별도의 셋톱박스를 통해 시청 가구로부터 수집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만약, 정확한 가구 구성원 정보가 아니라, 추론에 의한 가구 구성원 정보라면, 각 그룹별 정밀도를 반영한다. 추론에 의한 가구 구성원 정보는 실제 가구 구성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없을 경우, 인구통계학적 정보로부터 추론된 가구 구성원에 대한 정보이거나, 각 가구의 시청이력으로부터 추론된 가구 구성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실제 가구 구성원 정보 및 가구 구성원 정보를 알 수 없는 가구의 시청이력을 함께 고려하여 추론된 가구 구성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가구 구성원 정보를 추론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 등으로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추론된 가구 구성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반영된 그룹별 정밀도는 추론 결과가 정답과 일치하는 확률을 나타낸다. 그룹별 정밀도는 시청가구 구성원의 성별 및 연령대 분포 추론 방법과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구에 포함되었다고 추론된 그룹 a의 정밀도를 PYa라고 하고, 가구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추론된 그룹의 정밀도를 PNa라고 하면, 각 그룹의 존재 확률은 가구에 포함되었다고 추론된 그룹의 경우 PYa가 되고, 가구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추론된 그룹의 경우 (1-PNa)가 된다.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은 후술하는 도 2의 일례와 같이 저장된다. 다음으로,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를 수신(106)하고, 수신된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을 생성 및 저장한다(107).
다음으로, 추론된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 및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을 통해 시청자 그룹별 시청요청 확률을 계산한다(108). 추론된 시청가구 구성원의 성별/연령대 분포를 포함하는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과 현재 시청시점에서의 각 성별/연령대별 시청확률분포를 포함하는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을 이용하여 시청요청 확률을 생성한다.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은 도 3의 일례와 같이 생성된다.
다음으로, 시청자로부터 주문형 서비스 시청요청이 수신(109)되면, 시청자 타깃팅 또는 가구 타깃팅을 통해 타깃팅 광고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한다(110). 시청자 타깃팅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생성된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 및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을 고려하여 시청자 타깃팅 광고를 송출한다(111). 시청자 타깃팅이 선택되면, 108 단계에서 생성된 시청자 그룹별 시청요청 확률과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을 고려하여 해당 가구를 구성하는 시청자 그룹의 시청요청 확률에 따라 대응하는 그룹별 타겟팅 광고를 편성하여 송출한다. 시청자 그룹별 시청요청 확률은 가구 구성원의 성별/연령대별 존재 확률과 성별/연령대별 시청확률분포를 함께 고려하여, 성별/연령대에 따른 시청확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에 포함된 타깃팅 그룹에 대응하는 광고를 시청요청 확률에 따라 시청자에게 전달한다.
만약 110 단계에서 시청가구 타깃팅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103 단계에서 생성된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과 105 단계에서 생성된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을 고려하여, 시청가구를 구성하는 구성원이 아닌 시청가구를 대상으로 한 타깃팅 광고를 제공한다(11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방법의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에서, 가구에 포함되었다고 추론된 그룹 a의 정밀도를 PYa라고 하고, 가구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추론된 그룹의 정밀도를 PNa라고 하면, 각 그룹의 존재 확률은 가구에 포함되었다고 추론된 그룹의 경우 PYa가 되고, 가구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추론된 그룹의 경우 (1-PNa)가 된다. 시청자 그룹을 성별/연령대에 따라 10대 미만(U10), 10대남(M10), 10대/여(F10), ..., 50대/남(M50), 50대/여(F50), 60대이상/남(M60) 및 60대이상/여(F60)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다. 가구ID가 (1401105)인 가구는 30대/여(F30), 60대이상/남(M60) 및 60대이상/여(F60)의 3명으로 구성된 가구로 추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PYa > 0.5, PNa > 0.5이며, 이 테이블에서 0.5 이상인 값을 갖는 시청자가 포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방법의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에서, 시청자 그룹을 성별/연령대에 따라 10대 미만(U10), 10대남(M10), 10대/여(F10), ..., 50대/남(M50), 50대/여(F50), 60대이상/남(M60) 및 60대이상/여(F60)의 그룹으로 나뉘어져 있다. 그리고, g1, g2, ...,gn은 방송콘텐츠의 장르별 구분을 나타내고, t1, t2, ..., t56은 시간대별 구분을 나타낸다.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은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시청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콘텐츠의 장르에 따라 성별/연령대별 시청확률을 시간대별로 구분한 정보이다.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을 통해,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에서 추론된 각 시청자가 해당 시간, 해당 장르에 따른 시청요청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는 광고의뢰 접수부(410), 타깃 광고 설정부(420) 및 광고 송출부(430)을 포함한다.
광고의뢰 접수부(410)는 광고주로부터 성별/연령대 타깃팅 광고 의뢰가 접수(101)되면, 의뢰받은 광고를 시청자 그룹별로 편성한다. 광고주는 광고를 의뢰할 때, 의뢰하는 광고와 함께 해당 광고에 대한 타깃팅 그룹을 하나 이상 지정하여 전달한다. 해당 광고에 대한 타깃팅 그룹은 광고주가 해당 광고를 전달하고자 하는 대상 그룹으로, 예를 들어, 10대 또는 40대와 같은 특정 연령층이거나, 남성 또는 여성과 같은 특정 성별대이거나, 20대/남성과 같이 특정 성별/연령층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광고주가 타깃팅 그룹을 하나 이상 지정하여 의뢰한 광고를 광고의뢰 접수부(410)는 표 1과 같이 시청자 그룹별로 후보광고 리스트로 등록하여 편성한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을 생성한다. 하나의 광고는 하나의 특정 시청자 그룹에만 등록되거나, 둘 이상의 특정 시청자 그룹에 등록될 수 있다. 표 1에서, 광고 101은 M60 및 F60 2개의 시청자 그룹에 등록되었고, 다른 광고들은 하나의 시청자 그룹에 등록되었다. 광고의뢰 접수부(410)는 생성된 시청자 그룹별 후보 광고 테이블을 타깃 광고 설정부(420)로 전달한다.
타깃 광고 설정부(420)는 시청가구별 가구 구성원 성별/연령대 추론 결과를 수신(104)받고, 타깃 광고 설정부(420)는 시청가구 구성원의 성별 및 연령대 분포의 추론 결과에 기초하여 시청가구별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을 생성 및 저장한다. 조사에 의해 정확한 가구 구성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면, 가구에 포함된 그룹의 존재 확률은 1이고, 가구에 포함되지 않은 그룹의 존재 확률은 0이된다. 즉, 정확한 가구 구성원 정보를 아는 경우, 해당 가구 구성원의 연령 및 성별을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가구에 존재하는 구성원이 속하는 그룹을 정확하게 알 수 있어, 포함된 그룹의 존재 확률은 1, 포함되지 않은 그룹의 존재 확률은 0이 될 수 있다. 정확한 가구 구성원 정보는 피플미터(Peoplemeter)와 같은 시청률 집계 장치 또는 별도의 셋톱박스를 통해 시청 가구로부터 수집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만약, 정확한 가구 구성원 정보가 아니라, 타깃 광고 설정부(420)는 추론에 의한 가구 구성원 정보라면, 각 그룹별 정밀도를 반영한다. 추론에 의한 가구 구성원 정보는 실제 가구 구성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없을 경우, 인구통계학적 정보로부터 추론된 가구 구성원에 대한 정보이거나, 각 가구의 시청이력으로부터 추론된 가구 구성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실제 가구 구성원 정보 및 가구 구성원 정보를 알 수 없는 가구의 시청이력을 함께 고려하여 추론된 가구 구성원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가구 구성원 정보를 추론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 등으로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추론된 가구 구성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반영된 그룹별 정밀도는 추론 결과가 정답과 일치하는 확률을 나타낸다. 그룹별 정밀도는 시청가구 구성원의 성별 및 연령대 분포 추론 방법과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가구에 포함되었다고 추론된 그룹 a의 정밀도를 PYa라고 하고, 가구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추론된 그룹의 정밀도를 PNa라고 하면, 각 그룹의 존재 확률은 가구에 포함되었다고 추론된 그룹의 경우 PYa가 되고, 가구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추론된 그룹의 경우 (1-PNa)가 된다. 그리고, 타깃 광고 설정부(420)는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을 상술한 도 2의 일례와 같이 저장한다. 다음으로, 타깃 광고 설정부(420)는 성별/연령대별 시청확률분포를 수신하고, 수신된 성별/연령대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을 생성 및 저장한다.
그리고, 타깃 광고 설정부(420)는 추론된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 및 성별/연령대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을 통해 시청자 그룹별 시청요청 확률을 계산한다. 추론된 시청가구 구성원의 성별/연령대 분포를 포함하는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과 현재 시청시점에서의 각 성별/연령대별 시청확률분포를 포함하는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을 이용하여 시청요청 확률을 생성한다.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은 상술한 도 3의 일례와 같이 생성된다.
타깃 광고 설정부(420)는 시청자로부터 주문형 서비스 시청요청이 수신되면, 시청자 타깃팅 또는 가구 타깃팅을 통해 타깃팅 광고를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청자 타깃팅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타깃 광고 설정부(420)는 생성된 시청자 그룹별 시청확률분포 테이블 및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을 고려하여 시청자 타깃팅 광고를 편성한다. 또한, 타깃 광고 설정부(420)는 시청자 타깃팅이 선택되면, 시청자 그룹별 시청요청 확률과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을 고려하여 해당 가구를 구성하는 시청자 그룹의 시청요청 확률에 따라 대응하는 그룹별 타겟팅 광고를 편성한다.
만약 시청가구 타깃팅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타깃 광고 설정부(420)는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과 가구 구성원 추론 결과 테이블을 고려하여, 시청가구를 구성하는 구성원이 아닌 시청가구를 대상으로 한 타깃팅 광고를 편성한다.
광고 송출부(430)는 타깃 광고 설정부(420)에서 편성된 타깃팅 광고에 기초하여 시청자에게 타깃팅 광고를 송출한다. 타깃 광고 설정부(420)에서 시청자 타깃팅으로 판단하여 타깃팅 광고를 편성한 경우, 시청자 그룹별 시청요청 확률은 가구 구성원의 성별/연령대별 존재 확률과 성별/연령대별 시청확률분포를 함께 고려하여, 성별/연령대에 따른 시청확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광고 송출부(430)는 그룹별 타깃팅 광고 편성 테이블에 포함된 타깃팅 그룹에 대응하는 광고를 시청요청 확률에 따라 타깃팅 광고를 편성하여 시청자에게 송출한다.
상술한 내용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작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는 당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성된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또는 정보저장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판독되고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록매체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410: 광고의뢰 접수부
420: 타깃 광고 설정부
430: 광고 송출부

Claims (1)

  1. 의뢰받은 광고를 시청자 그룹별로 편성하는 단계;
    시청가구 구성원의 성별 및 연령대 분포의 추론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추론된 시청가구 구성원의 성별 및 연령대 분포와 시청확률분포를 이용하여 시청자 그룹별 시청요청 확률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시청자 그룹별 시청요청 확률에 기초하여 타깃팅 광고를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
KR1020140002593A 2014-01-08 2014-01-08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 및 방법 KR20150082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593A KR20150082984A (ko) 2014-01-08 2014-01-08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593A KR20150082984A (ko) 2014-01-08 2014-01-08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984A true KR20150082984A (ko) 2015-07-16

Family

ID=53884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593A KR20150082984A (ko) 2014-01-08 2014-01-08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29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14525A (ja) * 2022-07-22 2024-02-01 株式会社ビデオリサーチ ストリーム視聴解析システム、ストリーム視聴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14525A (ja) * 2022-07-22 2024-02-01 株式会社ビデオリサーチ ストリーム視聴解析システム、ストリーム視聴解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607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nning and Running Video-on-Demand Advertising
US11930235B2 (en) Targeting content based on location
US10748174B1 (en) Frequency optimization of advertisement insertion in media streams
US11064253B2 (en) Content management of a content feed
US911321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demand based services
JP4617312B2 (ja) 2段階コマーシャル推奨
AU200725768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media based on keyword search
AU2011232539B2 (en) Distributing content
US8943537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personalized television program recommendation to viewers
US200800105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ation of a presentation content stream
WO2009055341A1 (en) System and method to facilitate targeted advertising
KR20150082983A (ko) 사용자 추론 장치 및 추론 방법
US201100670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ing-on-demand
KR20150082984A (ko) 시청자 그룹별 타깃팅 광고 장치 및 방법
JP7066429B2 (ja) 広告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視聴端末、広告配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10613B2 (ja) テレビ番組用広告の提供方法
KR20230051531A (ko) 관련 콘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매체들
JP6831543B2 (ja) テレビ番組用広告の提供方法
JP7186969B2 (ja) テレビ番組用広告の提供方法
US20170149909A1 (en) Output content auto-customisation host device, method and system therefor
KR101341294B1 (ko) 교번적으로 송출되는 브릿지를 포함한 광고 편성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167641A (ja) テレビ番組用広告の提供方法
DeBray et al. Customer Focused Advertising Through Server Based Broadc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