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769A - 진동 발생기 - Google Patents

진동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769A
KR20150082769A KR1020140002128A KR20140002128A KR20150082769A KR 20150082769 A KR20150082769 A KR 20150082769A KR 1020140002128 A KR1020140002128 A KR 1020140002128A KR 20140002128 A KR20140002128 A KR 20140002128A KR 20150082769 A KR20150082769 A KR 20150082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vibration
frequency
elastic body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관
양현기
안혁상
김은지
주선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to KR1020140002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2769A/ko
Priority to CN201520006989.7U priority patent/CN204425099U/zh
Publication of KR20150082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76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PDA, 류대용 게임기 등에 장착되어 진동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촉감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진동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자가 탄성체의 일단부와 고정 결합되어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상기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의 공진 주파수는 각각 다르게 형성하며,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진동자의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할 경우 그 일치된 공진 주파수에 해당되는 운동 방향으로 진동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회전형 진동 발생기 및 근래의 일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 발생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자에게 다양한 촉감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진동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동 발생기{LINEAR VIBRATOR}
본 발명은 휴대폰, PDA, 휴대용 게임기 등에 장착되어 진동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촉감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진동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자가 탄성체의 일단부와 고정 결합되어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상기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의 공진 주파수는 각각 다르게 형성하며,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진동자의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고유 주파수와 일치할 경우 공진 현상이 발생되어 그 일치된 고유 주파수에 해당되는 운동 방향으로 진동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회전형 진동 발생기 및 근래의 일방향으로 진동하는 진동 발생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자에게 다양한 촉감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진동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휴대용 게임기 등에 장착되어 진동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촉감을 통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진동 발생기는 브러시 DC 모터에 편심형 또는 편질량형 웨이트(Weight)를 장착한 진동 모터이거나 회전체에 편심형 웨이트(Weight)를 장착한 BLDC 진동 모터, 코인형 진동 모터, 또는 공진을 이용한 수직 진동 모터 등이 있었으나, 상기 진동 발생기들은 상기 핸드폰 등의 기기에서 요구하는 장수명, 신뢰성, 박형화 및 높은 진동량 등 조건을 전부 만족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예를 들면, 상기 브러시 DC 모터를 사용한 진동 발생기는 브러시가 정류자의 세그먼트와 또 다른 세그먼트 사이의 극간을 지나면서 기계적인 마찰과 전기적인 스파크 및 마모를 발생시켜 이물질을 생성하여 상기 진동 발생기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공진을 이용하여 상하로 운동하는 수직 진동 모터는 상기 브러시 DC 모터를 사용한 진동 발생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스프링 및 웨이트를 포함한 무빙 어셈블리(Moving Assembly)를 전자기력과 자기장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전자기력을 가진하여 공진 진동을 얻을 수 있었으나, 탄성체를 사용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메커니즘으로 되어 있어 그 구조상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기구적인 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진동 발생기의 높이를 줄일 수 없는 기구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박형의 구조를 가지면서도 진동력이 큰 수평 진동형 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 기술인 특허출원 제10-2010-0090230호, 제10-2011-008308호, 제10-2011-0019823호, 제10-2012-0124255호, 제10-2013-0089911호 등으로 제안한 바 있으나, 상기 특허출원들은 진동부가 좌우 또는 상하 일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다양한 촉감 패턴의 구현의 한계가 있어 다양한 진동 패턴의 구현을 원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진동자가 탄성체의 일단부와 고정 결합되어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상기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의 고유 주파수는 각각 다르게 형성하며,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진동자의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고유 주파수와 일치할 경우 공진 현상이 발생되어 그 일치된 고유 주파수에 해당되는 운동 방향으로 진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진동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촉감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진동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자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자기력에 의하여 운동하는 진동자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진동자에 고정 결합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동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와 고정 결합되어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상기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의 고유 주파수는 각각 다르게 형성하며,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진동자의 상기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고유 주파수와 일치할 경우 공진 현상이 발생되어 그 일치된 고유 주파수에 해당되는 운동 방향으로 상기 진동자가 진동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자의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의 고유 주파수 각각이 상기 진동자와 탄성체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으로 운동하는 고유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들을 적어도 2개 이상을 중첩하여 상기 코일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2개 이상의 공진 주파수로 중첩되면 각 공진 주파수에 의하여 발생된 진동력의 벡터들의 합력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자의 상기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진동은 휴대폰의 착신 신호로 이용되고, 상기 상하 방향의 진동은 상기 휴대폰의 버튼 입력 감지신호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체가 상기 진동자를 'ㄷ'자 형상으로 감싸면서 그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진동자와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동자의 상하 운동 방향의 진동이 상기 고정자와 수직된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고, 상기 진동자의 좌우 운동 방향의 진동은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며, 상기 진동자의 전후 운동 방향의 진동은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없는 부분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진동자의 상기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공진 주파수±10[Hz]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진동자가 탄성체의 일단부와 고정 결합되어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상기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의 고유 주파수는 각각 다르게 형성하며,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진동자의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고유 주파수와 일치할 경우 공진 현상이 발생되어 그 일치된 고유 주파수에 해당되는 운동 방향으로 진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진동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촉감 패턴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사용 환경별 다양한 촉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직관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2개 이상의 공진 주파수로 중첩되게 하여 각 공진 주파수에 의하여 발생된 진동력의 벡터들의 합력 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함으로써, 진동자가 상하, 좌우, 전후 방향의 진동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다양한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 일실시예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2의 (a)는 본 발명에서 진동자, 탄성체, 코일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의 진동방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의 (a) 내지 (c)는 각각 본 발명에서 진동자가 상하 진동, 좌우 진동, 전후 진동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서 고정자에 특정 주파수를 인가하여 진동자의 진동력을 측정한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발생기는 그 일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측벽부와 일면이 개방되고 다른 일면이 폐쇄되는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고정자(4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자(40)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자기력에 의하여 운동하는 진동자(20)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1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진동자(20)에 고정 결합된 탄성체(3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자(40)는 외부로부터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코일(41)과 상기 코일의 하부에 설치된 회로 패턴이 설치된 FPC(Flexible Printed Circuit, 43)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코일(41)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 공간에 코어(42)를 설치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진동자(20)는 상기 고정자(40)의 코일(41)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코일(41)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발생된 전자기력에 의하여 운동하는 것으로서, 웨이트(21)와 상기 웨이트(21)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는 마그네트(22, 2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그네트(22)는 1개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마그네트의 상부에는 자성체로 된 요크를 더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웨이트(21)는 2개의 웨이트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0)는 그 일실시예로서 상기 진동자(20)를 'ㄷ'자 형상으로 감싸면서 그 일단부(31)가 상기 케이스(10)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부(32)는 상기 진동자(20)와 고정 결합되어 외팔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진동자(20)가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으로 진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3및 도 4를 참고하여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을 정의하면, 상기 진동자(20)의 상하 운동 방향의 진동은 상기 고정자와 수직된 방향(Z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고[도 4의 (a) 참조], 상기 진동자(20)의 좌우 운동 방향의 진동은 상기 탄성체(30)의 일단부(31)와 타단부(32)가 마주보는 방향(Y축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며[도 4의 (b) 참조], 상기 진동자(20)의 전후 운동 방향의 진동은 상기 탄성체(30)의 일단부(31)와 타단부(32)가 없는 부분의 방향(X축 방향)으로 진동[도 4의 (c) 참조]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0)는 상기 케이스(10)에 고정 결합된 일단부(31)의 반대쪽 방향인 타단부(32)가 상기 일단부(31)를 기준으로 변형이 크게 나타나게 되는데 상기 타단부(32)에 외력을 가한 후 제거하면 외력 작용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며 그 빠르기는 형상, 재질, 구속 조건 등에 따라 결정되는 변하지 않는 고유 값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동자(20) 및 탄성체(30)의 형상, 재질, 구속 조건 등에서 구할 수 있는 고유 주파수(진동수)와 동일한 주파수인 공진 주파수를 인가하면 상기 X, Y, Z 축 등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진동 발생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진동자(20)의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의 고유 주파수들은 상기 진동자(20)와 상기 탄성체(30)의 구조 등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진동자(20)의 상기 X, Y, Z 축 운동 방향의 고유 주파수는 각각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41)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진동자(20)의 상기 X, Y, Z 축 운동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할 경우 공진 현상이 발생되어 그 일치된 공진 주파수에 해당되는 운동 방향으로 상기 진동자가 진동하게 된다.
도 5의 (a) 내지 (c)는 상기 진동자(20)를 'ㄷ'자 형상으로 감싸면서 그 일단부(31)가 상기 케이스(10)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부(32)는 상기 진동자(20)와 고정 결합된 외팔보 구조를 가진 탄성체로 된 진동 발생기에서 상기 고정자(40)에 특정 주파수를 인가하여 상기 진동자(20)의 X, Y, Z축의 진동력을 측정한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41)에 150Hz의 전기신호를 인가한 경우 Z축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였고, 170Hz의 전기신호를 인가한 경우 Y축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였으며, 230Hz의 전기신호를 인가한 경우 X축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하였다. 즉, Z축 방향의 진동은 150Hz±10[Hz]의 전기신호를 인가되는 경우에만 발생되고, Y축 방향의 진동은 170Hz±10[Hz]의 전기신호를 인가되는 경우에만 발생되고, X축 방향의 진동은 230Hz±10[Hz]의 전기신호를 인가되는 경우에만 발생됨을 알 수 있고, 이들 150Hz, 170Hz, 230Hz는 각각 Z, Y, X축 방향의 진동에 대한 공진 주파수이다. 상기 코일(41)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는 공진주파수±10[Hz]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진 주파수들은 고정된 것이 아니며, 상기 진동자(20) 및 탄성체(30)의 형상, 재질, 구속 조건 등의 구조 설계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즉, 상기 진동자(20) 및 탄성체(30)의 구조 설계에 따라 해당 공진 주파수에서 각각 상하, 좌우, 전후 운동할 수도 있고, 좌우, 상하, 전후 등으로 운동할 수도 있다.
상기 진동자(20)의 진동 방향에 대하여 여러 이용예가 있을 수 있고 그 일예로서 상기 좌우 방향(Y축 방향) 또는 전후 방향(X축 방향)의 진동은 휴대폰의 착신 신호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하 방향(Z축 방향)의 진동은 상기 휴대폰의 버튼 입력 감지신호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일(41)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에 대하여 상기 Z, Y, X축 방향의 진동을 발생하는 공진 주파수들을 적어도 2개 이상을 중첩하여 상기 코일에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코일(41)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2개 이상의 공진 주파수들로 중첩되면 각 공진 주파수에 의하여 각각 해당 방향으로 진동이 발생되고, 이들 진동력은 각각 해당 방향으로 발생된 진동력의 벡터들의 합력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진동자가 상하, 좌우, 전후 방향의 진동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진동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다양한 진동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스 20: 진동자
21: 웨이트 22. 23: 마그네트
30: 탄성체 31: 일단부
32: 타단부 40: 고정자
41: 코일 42: 코어
43: FPC 50: 베이스

Claims (8)

  1.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전기신호가 인가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고정자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자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자기력에 의하여 운동하는 진동자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진동자에 고정 결합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진동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와 고정 결합되어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상기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의 고유 주파수는 각각 다르게 형성하며,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상기 진동자의 상기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고유 주파수와 일치할 경우 공진 현상이 발생되어 그 일치된 고유 주파수에 해당되는 운동 방향으로 상기 진동자가 진동하게 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의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의 고유 주파수 각각은 상기 진동자와 탄성체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으로 운동하는 고유 주파수와 동일한 공진 주파수들을 적어도 2개 이상을 중첩하여 상기 코일에 인가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가 2개 이상의 공진 주파수로 중첩되면 각 공진 주파수에 의하여 발생된 진동력의 벡터들의 합력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의 상기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진동은 휴대폰의 착신 신호로 이용되고, 상기 상하 방향의 진동은 상기 휴대폰의 버튼 입력 감지신호로 이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진동자를 'ㄷ'자 형상으로 감싸면서 그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 결합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진동자와 고정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의 상하 운동 방향의 진동은 상기 고정자와 수직된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고,
    상기 진동자의 좌우 운동 방향의 진동은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마주보는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며,
    상기 진동자의 전후 운동 방향의 진동은 상기 탄성체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없는 부분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진동자의 상기 상하, 좌우, 전후 운동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의 공진 주파수±10[Hz]로 인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발생기.
KR1020140002128A 2014-01-08 2014-01-08 진동 발생기 Withdrawn KR20150082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128A KR20150082769A (ko) 2014-01-08 2014-01-08 진동 발생기
CN201520006989.7U CN204425099U (zh) 2014-01-08 2015-01-06 振动发生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128A KR20150082769A (ko) 2014-01-08 2014-01-08 진동 발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769A true KR20150082769A (ko) 2015-07-16

Family

ID=53475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128A Withdrawn KR20150082769A (ko) 2014-01-08 2014-01-08 진동 발생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82769A (ko)
CN (1) CN20442509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671A1 (ko) * 2016-06-14 2017-12-21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다방향성 구동 모듈
CN109530195A (zh) * 2018-12-19 2019-03-29 池州市弘港科技电子有限公司 一种双联复合弹片微型振动器
KR102234342B1 (ko) * 2020-10-20 2021-03-31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햅틱 엑추에이터
KR102316854B1 (ko) * 2021-01-26 2021-10-25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수평 리니어 진동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8046B (zh) * 2017-12-19 2019-03-26 广东华远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线性振动器
CN109361289A (zh) * 2018-10-22 2019-02-19 池州市弘港科技电子有限公司 一种超薄型双频双向微型线性振动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17671A1 (ko) * 2016-06-14 2017-12-21 주식회사 씨케이머티리얼즈랩 다방향성 구동 모듈
US10423230B2 (en) 2016-06-14 2019-09-24 Ck Materials Lab Co., Ltd. Multi-directional actuating module
US10635178B2 (en) 2016-06-14 2020-04-28 Ck Materials Lab Co., Ltd. Multi-directional actuating module
US10921895B2 (en) 2016-06-14 2021-02-16 Ck Materials Lab Co., Ltd. Multi-directional actuating module
CN109530195A (zh) * 2018-12-19 2019-03-29 池州市弘港科技电子有限公司 一种双联复合弹片微型振动器
KR102234342B1 (ko) * 2020-10-20 2021-03-31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햅틱 엑추에이터
KR102316854B1 (ko) * 2021-01-26 2021-10-25 에이유에스피코리아 주식회사 수평 리니어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425099U (zh)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6828B2 (en) Vibration actuator and portable device
KR101059599B1 (ko) 선형 진동모터
KR20150082769A (ko) 진동 발생기
CN103181090B (zh) 用于便携式终端的振动模块
US11245319B2 (en) Vibration actuator, wearable terminal, and incoming call notification function device
JP7079590B2 (ja) リニア振動モータ及び電子機器
JP4426969B2 (ja) 振動運動を生成するための駆動機構を備えた小型電気器具
CN105207440A (zh) 磁平衡导向线性振动马达
CN105406676A (zh) 一种线性振动马达
WO2017088367A1 (zh) 线性振动马达
WO2018139542A1 (ja) 振動装置、ウェアラブル端末及び着信通知機能デバイス
CN105406677A (zh) 一种线性振动马达
TW202019063A (zh) 振動產生裝置
CN107171526A (zh) 一种线性振动马达
CN105281529A (zh) 线性振动马达
KR102004154B1 (ko) 충격식 진동 액츄에이터
KR101184502B1 (ko) 선형 진동자
KR20200041596A (ko) 수평형 리니어 진동발생장치
WO2018097110A1 (ja) 発電素子、およびスマートキー
JP2007130582A (ja) 振動発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入出力機器
CN207251425U (zh) 一种线性振动马达
JP2018001108A (ja) リニア振動モータ
KR20120018405A (ko) 수평 선형 진동기
CN204967592U (zh) 线性振动马达
CN205583977U (zh) 线性振动马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2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00525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