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757A - 골유도재생술용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골유도재생술용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757A
KR20150082757A KR1020140002066A KR20140002066A KR20150082757A KR 20150082757 A KR20150082757 A KR 20150082757A KR 1020140002066 A KR1020140002066 A KR 1020140002066A KR 20140002066 A KR20140002066 A KR 20140002066A KR 20150082757 A KR20150082757 A KR 20150082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tetrafluoroethylene
nanofiber membrane
peo
nanofiber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5513B1 (ko
Inventor
김영진
박진영
이정희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2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513B1/ko
Publication of KR2015008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5Mixed fibres, e.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fibres or fibre ble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318Fluorin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38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003Material related properties of the prosthesis or of a coating on the prosthesis
    • A61F2002/3006Properties of materials and coating materials
    • A61F2002/30062(bio)absorbable, biodegradable, bioerod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0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bioabsorba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0Physical properties porou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2Physical properties biodegradabl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을 포함하는 골유도재생술용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생체적합성, 기계적 강도, 유연성, 다공성 및 낮은 염증반응성을 갖는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유도재생술용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The polytetrafluoroethylene nanofibrous membrane for Guided bone regene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분해성 멤브레인에 사용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을 나노섬유의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우수한 생체적합성과 기계적 강도, 유연성 및 균일한 다공성이 부여된 것이 특징인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임플란트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임플란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로 인해 치과분야에서 임플란트의 성공률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임플란트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임플란트가 이식될 뼈의 강도가 중요하다. 하지만 손상된 부위에서 골조직의 재생속도보다 연조직의 재생 및 침입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충분한 골조직의 강도 확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조직의 침입을 막아 충분한 골조직의 재생이 가능한 공간을 확보해 주는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이 이용되고 있다. 골유도재생술에는 골조직재생의 촉진과 더불어 연조직의 침입을 막기 위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우수한 강도의 멤브레인이 핵심이다.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은 유기고분자 계열에 속하는 비가연성 불소 수지로서 약자인 PTFE 또는 미국 듀퐁(Dupont)사의 상품명인 테프론(Teflon)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화학약품에 대해 내화학성이 있고 마찰계수가 극히 낮으며, -270∼260℃의 온도범위에서 물리적 성질을 유지한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사람의 생체 조직 또는 생체 물질과 장시간 접촉해도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생체재료로 유용하다.
전기방사법(electrospinning)을 이용하여 제조한 나노섬유형 소재는 높은 비 표면적을 지니고 있으며 세포외기질과 유사한 구조로 인하여 단백질 흡착 및 초기 세포 부착반응에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전기방사법으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PEO), 폴리비닐피리딘(polyvinylpyridine; PVP), 젤라틴(Gelatin) 등의 전기방사가 가능한 유기 고분자와 혼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는 열처리를 통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을 제외한 고분자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친다. 유기 고분자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의 혼합 후 전기방사 능력 유지 및 열처리를 통한 제거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이용하여 전기방사 및 멤브레인을 제조한다.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멤브레인 제조에 있어 종래에 사용하지 않던 전기방사법으로 나노섬유 차폐막을 제조하면 높은 비 표면적을 부여하면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이 가지는 고유한 물성을 유지하여 우수한 차폐막의 제조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차폐막 관련 기술로는 폴리카프로락톤 및 생체활성 유리를 포함하는 골유도재생용 차폐막에 대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38476호에 개시된 바 있고, 선택적 투과성 및 골 점착성을 가지는 다공성 골유도재생막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등록특허 제10-1016372호에 개시된 바 있다. 콜라겐과 수화젤이 결합된 다중층 복합 차폐막에 대하여는 등록특허 제10-1260757호에 개시된 바 있고, 폴리(L-락티드)와 폴리N-아세틸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또는 폴리(D-글루코사민)을 혼합하여 형성된 골재생용 차단막에 대하여 등록특허 제10-1221339호에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어디에도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전혀 개시되거나 암시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생체적합성, 유연성, 다공성 및 인체 내 불활성을 갖는 비분해성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골유도재생술용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비분해성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증류수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용해시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얻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용액에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을 혼합하여 전기방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전기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열처리하여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만을 남기면서 나노섬유 형태를 유지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골 조직재생 효과를 평가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유연성, 다공성 및 인체 내 불활성을 갖는 골유도재생술용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a) 비교예 1의 PEO/PTFE 혼합 나노섬유 멤브레인, (b) 제조예 1의 PEO/PTFE 혼합 나노섬유 멤브레인, (c) 제조예 2의 PEO/PTFE 혼합 나노섬유 멤브레인, (d) 제조예 3의 PEO/PTFE 혼합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SEM 촬영 사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a)-(d)의 EDX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a)-(d)의 ATR-FTIR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a)-(d)의 TGA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a)-(d)의 XRD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TCP 및 (b)-(d)의 세포의 증식력 및 부착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b)-(d)의 세포의 증식력 및 부착력을 나타낸 SEM 촬영 사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TCP 및 (b)-(d)의 세포의 분화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TCP 및 (b)-(d)의 세포의 골형성력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TCP 및 (b)-(d)의 염증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과 실시예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ylene) 나노섬유(nanofibrous) 멤브레인(membrane)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이 분산된 용액,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파우더(powder),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비드(bead),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그래뉼(granule) 중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용해를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는 염화 메틸렌 (methylene chloride), 클로로포름 (chloroform), 아세톤 (acetone), 아니솔 (anisole), 아세트산 에틸 (ethyl acetate), 아세트산 메틸 (methyl acetate), N-메틸-2-피롤리돈 (N-methyl-2-pyrrolidone),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hexafluoroisopropan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etrahydrofuran),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sulfoxide), 2-피롤리돈 (2-pyrollidone), 구연산 트리에틸 (triethyl citrate), 유산 에틸 (ethyl lactate),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propylene carbonate), 벤질 알코올 (benzyl alcohol), 벤조산 벤질 (benzyl benzoate), 미글리올810 (Miglyol810), 이소프로판올 (isopropanol), 에탄올 (ethanol), 초임계 이산화탄소 (super critical carbon dioxide), 아세토니트릴 (acetonitrile)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 용매이다.
본 명세서에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당업계에 통상의 기술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용어를 포함하는 다양한 과학적 사전이 잘 알려져 있고, 당업계에서 이용가능하다. 비록 본 명세서에 설명된 것과 유사 또는 등가인 임의의 방법 및 물질이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실험예에 사용되는 것으로 발견되나, 몇몇 방법 및 물질이 설명되어 있다. 당업자가 사용하는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방법학, 프로토콜 및 시약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은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으면 복수의 대상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은 "및/또는"을 의미한다. 더욱이, 용어 "포함하는"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 예를 들어, "가지는", “이루어지는” 및 "구성되는"는 제한적이지 않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
분자량이 600,000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Sigma-Aldrich Co.) 0.5 g을 물 7.5 mL에 용해하여 6.7wt.% PEO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물에 고형분 60wt.%로 분산되어 있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Sigma-Aldrich Co.) 분산액 2.5 mL를 상기 PEO용액과 혼합하여 PEO/PTFE 혼합용액을 제조하였다. 최종적으로 PEO와 PTFE의 고형분을 용매인 물에 대해서 20wt.%로 고정하였으며, 상기 PEO와 PTFE의 무게비는 1:3(w/w)이다.
상기 제조된 고분자 용액에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PEO/PTFE 혼합용액을 24시간 상온에서 교반시켜 고분자 용액:PEO/PTFE 혼합용액을 제조한 다음 전기방사 및 열처리함으로써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전기방사는 전압 14kV, 방사거리 15 cm, 용액 방사 속도는 1mL/h로 고정하여 수행하였다. 열처리는 20℃/h의 승온조건으로 수행하며, 200℃, 300℃, 330℃로 각각 처리하며 온도에 도달하면 10분간 추가적으로 열처리를 수행하였다
제조예 1: 본 발명 PEO / PTFE 혼합 나노섬유를 200℃에서 열처리한 멤브레인
물에 PEO와 PTFE의 무게비 1:3(w/w)로 혼합하여 제조한 용액을 24시간 교반시켰다. 전기방사는 전압 14kV, 방사거리 15cm, 용액 방사 속도는 1mL/h로 고정하여 수행하였다. 상기 제조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상온에서 20℃/h의 승온조건으로 200℃까지 열처리하며, 200℃에 도달하면 10분간 200℃를 유지하였다.
제조예 2: 본 발명 PEO / PTFE 혼합 나노섬유를 300℃에서 열처리한 멤브레인
본 발명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열처리를 200℃에서 20℃/h의 승온조건으로 300℃까지 열처리하며, 300℃에 도달하면 10분간 300℃를 유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본 발명 PEO / PTFE 혼합 나노섬유를 330℃에서 열처리한 멤브레인
본 발명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열처리를 300℃에서 20℃/h의 승온조건으로 330℃까지 열처리하며, 330℃에 도달하면 10분간 300℃를 유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 또는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본 발명 PEO / PTFE 혼합 나노섬유 멤브레인
열처리를 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특성 분석
본 실시예 2의 실험 결과는 (a) 비교예 1의 PEO/PTFE 혼합 나노섬유 멤브레인, (b) 제조예 1의 PEO/PTFE 혼합 나노섬유를 200℃에서 열처리한 멤브레인, (c) 제조예 2의 PEO/PTFE 혼합 나노섬유를 300℃에서 열처리한 멤브레인, (d) 제조예 3의 PEO/PTFE 혼합 나노섬유를 330℃에서 열처리한 멤브레인의 순서로 나타냈다.
실험예 1: 본 발명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표면 분석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들의 형태를 분석은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각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 JSM-6335F, JEOL, 15.0kV, ×3,000),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법(EDX, S-4300, Hitachi, 15.0kV) 및 전반사 측정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ATR-FTIR, ALPHA, Bruker Optics, 400-4000nm)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방법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도 1(a) PEO/PTFE 혼합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경우 500 nm정도의 균일한 섬유 굵기의 분포를 보여주며 무질서한 방향으로 섬유가 배열된 부직포 형태에 섬유의 표면에는 PTFE의 첨가에 의한 입자 형태가 관찰되며, (b) 2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c) 3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경우 1μm 전후의 섬유 굵기의 분포를 보여주며 열처리 후에도 섬유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열처리 이전보다 섬유 표면의 거칠기가 증가한 것이 관찰되었다. (d) 33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경우 500 nm∼1μm의 섬유 굵기 분포를 보여주며 고온에서 열처리를 했지만 나노섬유 형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원소정보는 EDX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도 2(a) PEO/PTFE 혼합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경우 PEO에 의한 0.26keV에서 C피크와 0.52keV에서 O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PTFE에 의한 0.26keV에서 C피크와 0.68keV에서 F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b) 내지 (d)에서는 PTFE에 의한 0.26keV에서 C피크와 0.68keV에서 F피크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열처리에 의해 PEO가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흡광도는 ATR-FTI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3(a) PEO/PTFE 혼합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경우 843, 1280 및 947cm-1에서 PEO 특이 피크를 관찰할 수 있으며, 1466cm-1에서 C-H bending vibration 피크, 1349, 1280 및 1249cm-1에서 O-H bending vibration 피크와 C-H stretching vibration 피크를 관찰됨으로써 PEO 특성화가 확인되었다. -CF2- stretching vibrations 피크가 1203 및 1146cm-1에서 관찰되어 PTFE특성화가 확인되었다. (b) 내지 (d)에서는 PEO의 피크가 제거된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이는 열처리에 의한 제거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발명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열중량 분석
본 발명에 따른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들의 형태 분석은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열중량분석기(TGA, TG-1280, Rigaku, 800℃)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방법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도 4(a) PEO/PTFE 혼합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경우 150℃에서 PEO의 제거에 의한 급격한 중량 감소를 나타내며, 500℃에서 PTFE의 제거에 의한 중량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b) 내지 (d)에서는 200, 300 및 330℃ 각각의 열처리에 의해서 PEO가 제거되어 500℃에서 PTFE의 제거에 의한 중량 감소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본 발명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결정구조 분석
본 발명에 따른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들의 형태 분석은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X선 회절장치(XRD, D/MAX-2500/PC, Rigaku, 60kV, 300mA)을 이용하여 관찰하는 방법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도 5(a) PEO/PTFE 혼합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경우 17, 18° 근처에서 PEO 결정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b) 2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에서도 PEO 결정 피크가 관찰되었다. (c), (d)에서는 PEO 결정 피크가 사라지고 17.5, 18.5°근처에서 PTFE 결정 구조가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서 300℃ 이전의 열처리에 의해서 PEO는 제거되지만 PEO의 결정 구조를 나타내는 것과 300℃ 이후의 열처리에 의해서 PTFE의 결정 구조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본 발명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생체적합성 조사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 및 조직 배양 플레이트(TCP)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생체적합성은 조골세포(MC3T3-E1, ATCC)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4.1 세포의 증식력과 부착력 측정
조골세포는 10% 우태아 혈청(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α-MEM에서 배양되었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 및 TCP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은 UV를 이용하여 멸균처리한 다음 무균상태에서 75%, 50%, 25% 에탄올로 각각 소독하고 인산완충식염수(PBS)를 이용하여 2회 세척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방법에 따라 멸균된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24-well 플레이트 바닥에 밀착시킨 다음,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표면에서만 세포접착이 일어날 수 있도록, 유리링을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위에 밀착시켰다. 상기와 같이 준비된 세포배양용 24 -well 플레이트에 조골세포를 5 X 104 cells/well의 농도로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에 올려진 유리링 안쪽으로 분주하고 37 ℃, 5 % CO2 환경에서 4시간, 1, 3, 5, 7일 동안 각각 배양하여 세포의 부착 및 증식 능력을 MTT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조골세포의 초기 4시간 내지 1일, 3일 부착은 도 6(b) 2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c) 3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에서 큰 차이 없이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며, TCP와 (d) 33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CP와 (d) 33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에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은 실험에서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5일 및 7일에서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생체적합성 평가결과는 조골세포의 초기 점착은 도 7(b) 2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c) 3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보다 (d) 33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이 조금 많은 세포의 부착률을 나타냈다. 그리고 5일이 경과한 이후부터는 (d) 33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세포 부착률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 PTFE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열처리 온도별로 나타낸 결과는 330℃에서 열처리된 본 발명 PEO/PTFE 혼합 나노섬유를 330℃에서 열처리한 멤브레인(d)의 생체적합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4.2 세포의 분화력 측정
본 발명 PTFE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조골세포의 분화능 평가는 알칼린 포스파타제(ALP) 활성 실험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4.1 세포의 증식력과 부착력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된 세포배 양용 24-well 플레이트에 조골세포를 5 X 104 cells/well 의 농도로 분주하고, 배지로는 10% 우태아 혈청(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α-MEM을 사용하여 3, 5, 7, 14일 동안 각각 배양하였다. 상기 각각의 기간 동안 세포를 배양한 다음에 배지를 제거하고 나노섬유 멤브레인 표면에 남아있는 세포를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용해시키고 용해물의 상층액을 취하여 ALP Assay KIT (DALP-250, GENTAUR)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ALP 활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단, 필요한 부분에서는 부분적으로 본 실험에 적합하도록 재설계하였다. 재현성 검토를 위해서 각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마다 동일한 시료를 사용하여 상기 모든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도 8(b) 2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c) 3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경우 3일 내지 7일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d) 33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ALP 농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기 7일까지는 (d) 33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에서 조골세포의 분화력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었다. 14일에는 TCP의 ALP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사용한 경우 (d) 33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ALP 농도가 가장 높게 나오는 것으로 보아, 조골세포의 분화에 가장 적합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3 세포의 골형성력 측정
본 발명 PTFE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조골세포의 골형성력 평가는 알리자린 레드 에스(ARS) 부착 실험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상기 실험예 세포의 증식력과 부착력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된 세포배 양용 24-well 플레이트에 조골세포를 5 X 104 cells/well 의 농도로 분주하고, 배지로는 10% 우태아 혈청(FBS)과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α-MEM을 사용하여 3, 5, 7, 14일 동안 각각 배양하였다. 상기 각각의 기간 동안 세포를 배양한 다음에 배지를 제거하고 나노섬유 멤브레인 표면에 남아있는 세포를 4% 포름알데하이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알리자린 레드 에스(ARS, Sigma-Aldrich Co.)를 pH 4.1, 40 mM 용액으로 만들어 처리하였다. 처리 후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CPC, Sigma-Aldrich Co.)를 10wt.% 용액으로 만들어 처리하여 정량화하였다.
실험결과, 골형성의 경향은 초기 3일과 5일 사이에서 빠르게 나타난 후에 느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5일과 7일은 유사한 수준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9). 골형성에 있어서 (b) 2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c) 3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경향은 이전의 실험과는 다르게 (c) 3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TCP의 골형성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조골세포에 의한 골형성은 이전의 실험과 유사하게 (d) 33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4 염증반응성 평가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 및 TCP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염증반응성은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mouse유래 탐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Murine macrophage cell line인 RAW264.7 세포를 페니실린(100 IU/㎖) 및 스트렙토마이신(100 ㎍/㎖)과 10%의 FBS를 함유한 DMEM 배지를 이용해서 5 X 104 cells/well 조절한 후,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3 및 TCP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이 들어가 있는 24-well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5% CO2 및 37℃에서 48시간 동안 전 배양하였다.
IL-6의 정량은 LPS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1 X 105 cells/well)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상기 배양 배지 50 ㎕를 IL-6 단백질 항체가 부착된 플레이트에 분주 한 다음 ELISA kit(R&D Systems)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플레이트에 탐식세포만을 배양한 TCP에서 IL-6의 방출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도 10). (c) 3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d) 33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에서 배양된 탐식세포의 IL-6의 방출은 TCP와 유사한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 200℃에서 열처리한 나노섬유 멤브레인에서 IL-6의 방출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염증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c)와 (d)는 TCP와 유사한 정도의 낮은 염증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을 포함하는 골유도재생술용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생체적합성, 기계적 강도, 유연성, 다공성 및 낮은 염증반응성을 갖는 비분해성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공함으로 생물의약소재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6)

  1.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oxide;PEO)를 용매에 용해하여 PEO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PEO 용액과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Polytetrafluoroethylene;PTFE)을 혼합하여 전기방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전기방사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얻은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열처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을 포함하는 골유도재생술용 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폴리염화비닐 (polyvinylchloride),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폴리스티렌 (polystyrene), 폴리아미드 (polyamide), 폴리비닐알코올 (polyvinylalcohol),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락타이드 (polylactide), 콜라겐, 젤라틴, 덱스트란, 알긴산염, 키토산, 구아검, 전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인 골유도재생술용 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염화 메틸렌 (methylene chloride), 클로로포름 (chloroform), 아세톤 (acetone), 아니솔 (anisole), 아세트산 에틸 (ethyl acetate), 아세트산 메틸 (methyl acetate), N-메틸-2-피롤리돈 (N-methyl-2-pyrrolidone), 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판올 (hexafluoroisopropan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etrahydrofuran), 디메틸설폭사이드 (dimethylsulfoxide), 2-피롤리돈 (2-pyrollidone), 구연산 트리에틸 (triethyl citrate), 유산 에틸 (ethyl lactate),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propylene carbonate), 벤질 알코올 (benzyl alcohol), 벤조산 벤질 (benzyl benzoate), 미글리올810 (Miglyol810), 이소프로판올 (isopropanol), 에탄올 (ethanol), 초임계 이산화탄소 (super critical carbon dioxide), 아세토니트릴 (acetonitrile) 및 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인 골유도재생술용 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이 분산된 용액,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파우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비드,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그래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특징인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을 포함하는 골유도재생술용 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 열처리는 200∼400℃에서 처리하는 것이 특징인 골유도재생술용 나노섬유 멤브레인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유도재생술용 나노섬유 멤브레인.



KR1020140002066A 2014-01-07 2014-01-07 골유도재생술용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555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066A KR101555513B1 (ko) 2014-01-07 2014-01-07 골유도재생술용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2066A KR101555513B1 (ko) 2014-01-07 2014-01-07 골유도재생술용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757A true KR20150082757A (ko) 2015-07-16
KR101555513B1 KR101555513B1 (ko) 2015-09-25

Family

ID=53884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2066A KR101555513B1 (ko) 2014-01-07 2014-01-07 골유도재생술용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5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0156A (zh) * 2016-06-24 2016-11-16 安徽江威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超级电容器用抗击穿复合隔膜材料
CN111388763A (zh) * 2020-03-25 2020-07-10 南通纺织丝绸产业技术研究院 基于ptfe的血管支架的制备方法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6135A (zh) * 2015-10-16 2016-03-09 天津工业大学 一种用于生产聚四氟乙烯超细纤维微孔膜的静电纺丝溶液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1754B2 (en) 2006-12-05 2015-04-21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Manufacturing three-dimensional scaffolds using electrospinning at low temperatures
US8911996B2 (en) 2007-01-31 2014-12-16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imited Electrospun scaffolds and methods of generating and using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20156A (zh) * 2016-06-24 2016-11-16 安徽江威精密制造有限公司 一种超级电容器用抗击穿复合隔膜材料
CN111388763A (zh) * 2020-03-25 2020-07-10 南通纺织丝绸产业技术研究院 基于ptfe的血管支架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11388763B (zh) * 2020-03-25 2021-12-10 南通纺织丝绸产业技术研究院 基于ptfe的血管支架的制备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513B1 (ko) 2015-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ruppuswamy et al. Functionalized hybrid nanofibers to mimic native ECM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Zhijiang et al. Bacterial cellulose/collagen composite: Characterization and first evaluation of cytocompatibility
Kim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terial cellulose/chitosan composite for potential biomedical application
Zhijiang et al. Poly (3-hydroxubutyrate-co-4-hydroxubutyrate)/bacterial cellulose composite porous scaffold: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biocompatibility evaluation
KR101684790B1 (ko) 비표면적이 다른 이중층 구조를 가지는 경조직 재생용 다공성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Pezeshki‐Modaress et al. Gelatin/chondroitin sulfate nanofibrous scaffolds for stimulation of wound healing: In‐vitro and in‐vivo study
Zhang et al. Electrospun PDLLA/PLGA composite membranes for potential application in guided tissue regeneration
Bender et al. Multi-channeled biodegradable polymer/CultiSpher composite nerve guides
Sultana et al. PHBV/PLLA-based composite scaffolds fabricated using an emulsion freezing/freeze-drying technique for bone tissue engineering: surface modification and in vitro biological evaluation
Zhang et al. Fabrication of silk fibroin blended P (LLA‐CL) nanofibrous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Mao et al. Study of novel chitosan‐gelatin artificial skin in vitro
Jeong et al. Electrospun gelatin/poly (L-lactide-co-ε-caprolactone) nanofibers for mechanically functional tissue-engineering scaffolds
Hayati et al. Characterization of poly (3-hydroxybutyrate)/nano-hydroxyapatite composite scaffolds fabricated without the use of organic solvent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Chen et al. Silk fibroin modified porous poly (ε-caprolactone) scaffold for human fibroblast culture in vitro
Cho et al.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alginate/polyvinyl alcohol hybrid scaffolds for 3D cell culture
KR102001120B1 (ko) 나노섬유 및 하이드로젤의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스캐폴드
Khan et al. Engineered regenerated bacterial cellulose scaffolds for application in in vitro tissue regeneration
KR101260208B1 (ko) 상분리법을 이용한 나노섬유 구조 생체고분자의 제조방법
Xiong et al. Enhanced biological behavior of bacterial cellulose scaffold by creation of macropores and surface immobilization of collagen
Li et al. Improved cell infiltration and vascularization of three-dimensional bacterial cellulose nanofibrous scaffolds by template biosynthesis
Chakrapani et al. Electrospun cytocompatible polycaprolactone blend composite with enhanced wettability for bone tissue engineering
KR101555513B1 (ko) 골유도재생술용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Hadjizadeh et al. Porous hollow membrane sheet for tissue engineering applications
Mokhtari et al. Blood compatibility and cell response improvement of poly glycerol sebacate/poly lactic acid scaffold for vascular graft applications
Reyhaneh Ghavami et al. Design of curcumin-loaded electrospun polyhydroxybutyrate Mat as a wound healing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