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769A -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769A
KR20150081769A KR1020140001569A KR20140001569A KR20150081769A KR 20150081769 A KR20150081769 A KR 20150081769A KR 1020140001569 A KR1020140001569 A KR 1020140001569A KR 20140001569 A KR20140001569 A KR 20140001569A KR 20150081769 A KR20150081769 A KR 20150081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mismatching
graphic
photo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532B1 (ko
Inventor
최광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532B1/ko
Priority to US14/536,006 priority patent/US9618356B2/en
Publication of KR20150081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47Guidance involving output of stored or live camera images or video str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26Terrain dat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33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data
    • G01C21/3852Data derived from aerial or satellite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픽 지도와 사진 지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진 지도 표시 모드에서 사진 지도와 실제 지형, 또는 상기 사진 지도와 그래픽 지도가 서로 다른 위치에 근접하면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래픽 지도 또는 사진 지도를 표시하고, 그래픽 지도 또는 사진 지도에 차량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제 지형과 항공 사진 지도가 상이한 위치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장치는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은 실제 지형과 항공 사진 지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모드를 사진 지도에서 그래픽 지도의 표시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항상 정확한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항공 사진 지도에 현재 위치 및 경로를 맵핑하여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 장치는 다수의 위성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GPS"라 함)을 통해 위성들로부터 위치 정보를 각각 제공받아 현재 차량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를 지도에 맵 매칭(Map Matching)시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경로탐색 알고리즘에 따라 계산된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탐색을 수행하고, 탐색된 경로를 지도에 매칭시켜 표시하고, 경로를 따라 사용자를 목적지까지 안내하는 장치이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경로 안내 시 도로가 교차하는 교차점에서 사용자가 진입도로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그래픽 지도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2분할 화면 기능을 사용하여 일측에는 기존 스케일(Scale)의 그래픽 지도를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일측에는 교차점을 확대한 그래픽 지도를 표시한다.
여기서 교차점은 삼거리 이상의 교차로 및 고가도로 또는 지하도로의 분기점 및 고속도로의 인터체인지(Interchange) 등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는 좌회전, 우회전, 교차로, 다리와 일반도로의 구분을 그래픽, 즉 그림으로 표현함으로 실제 운전자가 있는 지역과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실제 운전자가 있는 지역과 많은 차이를 보이므로 운전자가 혼동을 일으킬 수도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측면은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진 지도와 그래픽 지도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진 지도와 그래픽 지도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은 사진 지도와 그래픽 지도를 비교하고 사진 지도와 그래픽 지도가 서로 매칭되지 않을 때 그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진 지도와 그래픽 지도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차량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는 그래픽 지도와 사진 지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진 지도 표시 모드에서 상기 사진 지도와 실제 지형, 또는 상기 사진 지도와 상기 그래픽 지도가 서로 다른 위치에 근접하면 상기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래픽 지도 또는 사진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지도 또는 상기 사진 지도에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실제 지형과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실제 지형과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는, 그래픽 지도와 사진 지도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는 위치별 그래픽 지도와, 위치별 사진 지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실제 지형과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부; 수신된 위치를 비매칭 위치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지도 표시 모드가 사진 지도 표시 모드이면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이면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래픽 지도 또는 사진 지도를 표시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통신부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서버로부터 실제 지형과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수신한다.
통신부는, 브로드캐스팅 망을 통해 실제 지형과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비 매칭 위치에서 일정 반경 이내이면 그래픽 지도의 표시를 유지 제어하고, 비 매칭 위치에서 일정 반경을 벗어나면 그래픽 지도를 사진 지도로 전환 제어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는 위치별 그래픽 지도와, 위치별 사진 지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실제 지형과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위치를 비매칭 위치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지도 표시 모드가 사진 지도 표시 모드이면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이면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래픽 지도 또는 사진 지도를 표시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매칭시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한다.
제어부는,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이내이면 그래픽 지도의 표시를 유지 제어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를 벗어나면 그래픽 지도를 사진 지도로 전환 제어한다.
제어부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점의 행정 구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행정 구역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한다.
제어부는,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이내이면 그래픽 지도의 표시를 유지 제어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를 벗어나면 그래픽 지도를 사진 지도로 전환 제어한다.
제어부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터치 지점이 연속되면 연속된 터치 지점에 대응하는 지도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지도 위치를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한다.
제어부는,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이내이면 그래픽 지도의 표시를 유지 제어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를 벗어나면 그래픽 지도를 사진 지도로 전환 제어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는 위치별 그래픽 지도와, 위치별 사진 지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래픽 지도와 시진 지도를 위치 별로 비교하고 그래픽 지도와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를 비매칭 위치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지도 표시 모드가 사진 지도 표시 모드이면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이면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그래픽 지도 또는 사진 지도를 표시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매칭시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주행 중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과 연속되는 비 표시 영역의 지도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지도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저장부에 저장된 그래픽 지도와 시진 지도를 위치 별로 비교하고, 그래픽 지도와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를 비매칭 위치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지도 표시 모드가 사진 지도 표시 모드이면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이면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은 지도 표시 모드가 그래픽 지도 표시 모드이면 현재 위치가 매칭된 그래픽 지도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를 비매칭 위치로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를 입력받고, 입력된 위치를 비매칭 위치로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은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은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점의 행정 구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행정 구역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은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터치 지점이 연속되면 연속된 터치 지점에 대응하는 지도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지도 위치를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한다.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은 비 매칭 위치에서 일정 반경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고 설정된 비 매칭 범위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은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이내이면 그래픽 지도의 표시를 유지시키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를 벗어나면 그래픽 지도를 사진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는 실제 지형과 항공 사진 지도가 상이한 위치를 자동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장치는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용이하게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은 실제 지형과 항공 사진 지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모드를 사진 지도에서 그래픽 지도의 표시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항상 정확한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는 현재 차량이 위치한 영역에 적합한 최적의 지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지도의 표시 모드를 유지 또는 전환하여 길을 안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편리성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항공 사진 지도의 업데이트 주기가 약 2년이 걸리고, 이로 인해 새로운 도로가 생기거나 없어지는 경우 잘못된 항공 사진 지도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마련된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지도 표시 예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비 매칭 위치 설정 예시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비 매칭 위치 설정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가 마련된 차량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주행하는 기기로, 도로 위를 이동한다.
차량(1)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를 더 포함하고, 또한 전후좌우 도어에 설치된 사이드 윈도 글라스와, 필러와 필러 사이에 설치되되 개폐 불가능하게 설치된 쿼터 윈도 글라스, 후방 측에 설치된 리어 윈도 글라스, 전방 측에 설치된 프런트 윈도 글라스를 더 포함한다.
차체의 내장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와, 대시보드,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주행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는 속도계, 연료계기,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타코미터, 구간 거리계 등과 같은 계기판(210), 차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 오디오와 공기조화기의 조절판이 있는 센터페시아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시트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DS),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PS),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그리고 센터 페시아는 대시보드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부분으로,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조정하기 위한 조작부, 송풍구, 시거잭 등이 설치된다.
차량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차량의 안정장치로는 차량 충돌 시 운전자 등 탑승자의 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에어백 제어 장치와, 차량의 가속 또는 코너링 시 차량의 자세를 제어하는 차량자세 안정 제어 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종류의 안전장치들이 있다.
또한 차량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해 내비게이션 장치(100), 핸즈프리 장치, GPS, 오디오 기기 및 블루투스 장치, 후방 카메라 등이 더 설치된다.
이 중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복수의 위성에서 제공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현재 위치를 지도에 매칭시켜 표시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고 경로탐색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탐색을 수행하고, 탐색된 경로를 지도에 매칭시켜 표시하고, 경로를 따라 사용자를 목적지까지 안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진 지도 또는 그래픽 지도를 표시하여 길을 안내한다. 아울러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사진 지도와 그래픽 지도를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특정 위치의 지형의 변화 정보가 사진 지도에 적용되었는지의 적용 여부에 따라 사진 지도 또는 그래픽 지도를 자동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 기기나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기기나 서버로부터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 지형의 변경 정보 등을 수신한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를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통신부(140), 사운드부(1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길 안내를 위한 지도, 도로 환경 정보 및 사용자의 명령에 대한 동작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입력부(111) 및 표시부(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부(111)는 터치 패널로 구현 가능하고, 표시부(112)는 LCD 등의 평판 표시 패널로 구현 가능하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 패널과 평판 표시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입력부(111)는 전원 온 오프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입력부(11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버튼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하고, 또한 터치 패널에 터치된 위치의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입력부(111)는 경로 안내 명령 및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입력부(111)는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지도 표시 모드를 입력받는다. 즉 입력부(111)는 표시부에 표시할 지도의 종류를 선택받는다.
여기서 지도 표시 모드는 그래픽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모드와, 사진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제2표시 모드를 포함한다.
표시부(112)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주행 정보, 도로의 환경 정보, 경로 안내 정보와 관련된 지도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12)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매칭된 지도, 동작 상태 및 그 외 부가정보들을 표시한다.
표시부(112)는 지도 표시 시, 사진 지도 또는 그래픽 지도를 표시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사진 지도와 그래픽 지도를 듀얼로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12)는 전화 통화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거나, 음악 재생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외부의 방송 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12)는 사진 지도의 업데이트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1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도 표시 모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표시부(112)는 사용자가 선택한 지도 표시 모드와 다른 지도 표시 모드로 지도를 표시할 경우, 지도 표시모드가 자동으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알림 정보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목적지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일반 안내 모드로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도로 및 도로의 주변 환경의 안내를 제어하고 또한 주행 정보 등의 안내를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목적지가 입력되면 경로 안내 모드로 제어하고, 이때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지도에 맵 매칭한 후 맵 매칭된 지도가 표시되도록 하면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길을 안내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120)는 목적지 정보가 전송되면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 사이의 복수 도로들을 조합하여 복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복수 경로들의 코스트를 산출하고 산출된 코스트 중 가장 낮은 코스트를 가진 경로를 검색하고, 검색된 경로를 따라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안내한다.
아울러, 사용자로부터 복수 경로 중 어느 하나의 경로를 입력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20)는 안내 중인 경로에서 차량이 이탈하면 이탈된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경로를 다시 탐색하고 다시 탐색된 경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11)에 제1표시모드가 입력되면 표시부(112)에 그래픽 지도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그래픽 지도 상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그래픽 지도 상에 차량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11)에 제2표시모드가 입력되면 표시부(112)에 사진 지도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진 지도 상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사진 지도 상에 차량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제 2 표시 모드를 수행하면서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이면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 제어하고 그래픽 지도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표시한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를 비 매칭 위치 정보로 설정하고 설정된 비 매칭 위치 정보가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사진 지도는 위성과 항공기를 통해 촬영된 실제 지형의 사진 지도이다.
아울러 제어부(120)는 비 매칭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비 매칭 위치의 어느 한 지점을 중심 지점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중심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범위를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며 설정된 비 매칭 범위의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
즉, 제어부(120)는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내에 있으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사진 지도가 그래픽 지도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도 표시 모드에 대한 정보가 표시부(112)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제2표시모드가 선택되었으나, 일시적으로 그래픽 지도를 표시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외부라고 판단되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그래픽 지도가 다시 사진 지도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20)는 표시부(112)에 현재 위치가 매칭된 사진 지도가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동일 위치에 대한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가 수신되면 저장된 사진 지도나 그래픽 지도를 업데이트 한다.
통신부(130)는 유무선 통신 망을 통해 외부 기기 및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망은 DMB 등의 TPEG, SXM, RDS와 같은 브로드캐스팅 망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130)는 위치별 사진 지도 및 위치별 그래픽 지도를 수신하고, 또한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별 사진 지도, 위치별 그래픽 지도 및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 정보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본체에 마련된 USB와 같은 포트 등을 더 포함하고, 통신부는 포트 등에 연결된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30)는 USB 통신을 더 포함하고, USB 통신을 통해 수신된 셋업 프로그램이나, 업데이트 정보 등을 제어부(12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포트(미도시)에 연결된 외부기기의 맵 컨텐츠, 맵 프로그램, 맵 어플을 통해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부(130)는 GPS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GPS부(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위치확인시스템)는 다수의 GPS 위성들로부터 각각의 위치신호를 입력받아 자신의 위치를 계산하고 자신(즉, 차량)의 위치가 계산되면 계산된 위치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GPS부는 다수의 GPS 위성들로부터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GPS 안테나(ANT)와,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미도시)와, 차량의 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센서(미도시)를 가지며, GPS부는 차량의 현재 위치와 함께 가속도 데이터 및 방향데이터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
저장부(140)는 위치별 그래픽 지도와, 위치별 사진 지도를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20)에서 전송된 비 매칭 위치 및 비 매칭 범위를 저장한다.
여기서 그래픽 지도는 위도와 경도에 따라 매칭된 전국의 지형 및 지형 상의 도로, 도로의 명칭 및 차선정보 그리고 도로의 변화점에 대한 정보들을 가진다. 여기서 도로의 변화점이란, 임의의 도로에서 차선이 변경되는 지점 및 교차 등과 같은 지점을 의미한다.
사운드부(150)는 경로 및 주행 정보, 지도 표시 모드 변경 알림, 음악, 영상과 관련된 사운드 등을 출력한다.
서버(200)는 위치정보, 도로 환경 정보 및 명칭 정보가 매칭된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를 저장하고, 지도 요청 신호가 전송된 내비게이션 장치(100)로 위치별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를 전송한다.
서버(200)는 항공 사진 또는 위성 사진이 촬영된 촬영 시점 이후 지형이 변경된 위치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제공받고, 제공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저장된 위치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내비게이션 장치(100)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소유한 내비게이션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아울러 서버(200)는 미리 가입된 사용자들로부터 지형이 변경된 위치 정보를 통신을 통해 제공받고 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200)는 업데이트된 사진 지도를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하며, 그래픽 지도를 위치 정보와 함께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200)는 항공 사진을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제조하는 제조 업체의 서버 등을 포함한다.
서버(200)는 그래픽 지도가 업데이트되면 업데이트된 그래픽 지도와 저장된 사진 지도를 위치 별로 각각 비교하여 두 지도 사이에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두 지도가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지형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지형이 변경된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서버(200)는 그래픽 지도를 제공하는 업체의 서버로부터 그래픽 지도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서버(200)는 동일 위치의 그래픽 지도와 사진 지도의 업데이트 날짜 및 시간을 확인하고 사진 지도의 업데이트 날짜 및 시간이 그래픽 지도의 업데이트 날짜 및 시간 보다 최근인 상태에서 두 지도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그래픽 지도의 위치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지도 표시 모드가 제1표시모드인 상태에서 현재 위치가 그래픽 지도의 비 매칭 위치이면 표시부(112)에 표시되는 그래픽 지도를 사진 지도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순서도로 도 5a 및 도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프로그램 설치 시에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를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프로그램 설치 초기에 서버(200)로부터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 중 적어도 하나의 지도를 제공받고, 제공된 지도를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전원이 인가된 대기상태에서도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저장부(140)에 위치별 사진 지도와 그래픽 지도가 저장된 상태에서 서버(200)로부터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 중 적어도 하나의 지도가 수신되면 수신된 지도의 위치를 확인하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지도 중 확인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의 지도를 업데이트 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서버(200)로부터 실제 지형이 변화된 위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사진 지도와의 비 매칭 위치 정보로 저장(301)한다.
여기서 실제 지형이 변화된 위치는, 지형의 변화로 인해 실제 지형과 서버에 저장된 사진 지도가 상이한 곳의 위치이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비 매칭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비 매칭 위치의 어느 한 지점을 중심 지점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중심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범위를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며 설정된 비 매칭 범위를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DMB 모드, 라디오 모드, 길 안내 모드 중 길 안내 모드가 선택되면 통신부(130)의 GPS부를 통해 차량의 위치를 수신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도 표시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지도 표시 모드가 제1표시 모드인지 판단(302)하고, 확인된 지도 표시 모드가 제1표시 모드라고 판단되면 표시부(112)에 차량의 현재 위치가 매칭된 그래픽 지도를 표시(303)하면서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주행 정보 및 도로의 주변 환경 정보 등을 표시부 및 사운드부를 통해 출력한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제1표시모드가 디폴트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지도 표시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차량의 현재 위치가 매칭된 그래픽 지도를 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길을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선택된 지도 표시 모드가 제2표시모드라고 판단되면 표시부(112)에 차량의 현재 위치가 매칭된 사진 지도를 표시(304)하면서 경로를 안내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지도 표시 모드가 제2표시모드이면 길을 안내하면서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305)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지도 표시 모드를 제2표시모드에서 제1표시모드로 전환한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표시부(112)에 표시된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고 그래픽 지도 상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표시(306)한다.
새로운 다리가 건설되고 기존 다리(원 내부의 다리)가 없어진 경우, 차량이 실제 지형과 사진 지도가 상이한 위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도 5a와 같이 사진 지도 상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면서 길을 안내하다가, 도 5b와 같이 그래픽 지도로 전환한 후 그래픽 지도 상에 차량의 위치를 표시하면서 길을 안내한다.
이때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도 표시 모드가 제2표시모드이나, 실제 지형과 사진 지도와의 비 매칭으로 인해 제1표시 모드로 지도를 표시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도 가능하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지도 전환 표시 중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를 벗어났는지 판단(307)하고, 차량이 비 매칭 범위를 벗어 났다고 판단되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그래픽 지도를 다시 사진 지도로 전환 표시(308)한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표시부(112)에 현재 위치가 매칭된 사진 지도를 표시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서버(200)로부터 비 매칭 위치에 대한 사진 지도가 전송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비 매칭 위치의 정보를 삭제하고, 비 매칭 위치의 사진 지도를 업데이트 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구성도로, 일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설치 프로그램, 또는 업그레이드 프로그램 등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를 변경 저장한다.
내비게이션장치(100)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를 포함하고,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 선택 시 사용자로부터 설정된 사진 지도와 비매칭되는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를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제어부(160), 저장부(130), 사운드부(1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고, 길 안내를 위한 지도, 도로 환경 정보 및 사용자의 명령에 대한 동작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입력부(111) 및 표시부(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입력부(111)는 터치 패널로 구현 가능하고, 표시부(112)는 LCD 등의 평판 표시 패널로 구현 가능하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터치 패널과 평판 표시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입력부(111)는 전원 온 오프 버튼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입력부(11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버튼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송하고, 또한 터치 패널에 터치된 위치의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송한다.
입력부(111)는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지도 표시 모드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지도 표시 모드는 그래픽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모드와, 사진 지도를 표시하기 위한 제2표시 모드를 포함한다.
입력부(111)는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11)는 사용자로부터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에 대한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것은,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지점 및 일정 반경을 입력받거나,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지점을 입력받거나,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지점의 지역 명(행정 구역 명)을 입력받거나,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터치된 터치 범위를 입력받는 것을 포함한다.
표시부(112)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주행 정보, 도로의 환경 정보, 경로 안내 정보와 관련된 지도를 표시한다. 즉 표시부(112)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매칭된 지도, 동작 상태 및 그 외 부가정보들을 표시한다.
표시부(112)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에서 지도 표시 시, 사진 지도 또는 그래픽 지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진 지도 또는 그래픽 지도 상에서 비 매칭 위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사진 지도와 그래픽 지도를 듀얼로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12)는 사용자에 의해 비 매칭 위치가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팝업창을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2)는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가 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을 위한 일정 반경의 선택 목록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시부(112)는 일정 반경의 선택 목록으로 1km, 10km, 20km 등을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목적지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일반 안내 모드로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도로 및 도로의 주변 환경의 안내를 제어하고 또한 주행 정보 등의 안내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목적지가 입력되면 경로 안내 모드로 제어하고, 이때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된 경로를 지도에 맵 매칭한 후 맵 매칭된 지도가 표시되도록 하면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길을 안내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11)에 제1표시모드가 입력되면 표시부(112)에 그래픽 지도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그래픽 지도 상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그래픽 지도 상에 차량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11)에 제2표시모드가 입력되면 표시부(112)에 사진 지도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진 지도 상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사진 지도 상에 차량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제 2 표시 모드를 수행하면서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라고 판단되면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 제어하고 그래픽 지도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표시한다.
제어부(160)는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의 내부에 있으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사진 지도가 그래픽 지도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의 외부라고 판단되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그래픽 지도가 다시 사진 지도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60)는 표시부(112)에 현재 위치 및 경로가 매칭된 사진 지도가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입력부(111)에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위치 정보를 비 매칭 위치 정보로 설정하고 설정된 비 매칭 위치 정보가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면 반경 설정을 위한 반경 선택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반경이 선택되면 해당 지점으로부터 선택된 반경만큼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 및 저장한다.
제어부(160)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면 미리 설정된 반경만큼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60)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면 선택 지점이 속하는 행정 구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행정 구역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60)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지역 명이 입력되면 입력된 지역명의 행정 구역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60)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터치 설정이 선택되면 현재 위치를 포함한 지도의 표시를 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터치된 터치 범위를 확인하고 확인된 터치 범위 내의 지도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지도 위치를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6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동일 위치에 대한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가 추가적으로 입력되면 저장된 사진 지도나 그래픽 지도를 업데이트 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본체에 마련된 USB와 같은 포트 등을 더 포함하고, 통신부는 포트 등에 연결된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포트(미도시)에 연결된 외부기기의 맵 컨텐츠, 맵 프로그램, 맵 어플을 통해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40)는 위치별 그래픽 지도와, 위치별 사진 지도를 저장하고, 반경 설정을 위한 반경 설정 목록을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입력된 비 매칭 위치 및 비 매칭 범위를 저장한다.
사운드부(150)는 경로 및 주행 정보, 지도 표시 모드 변경 알림, 음악, 영상과 관련된 사운드 등을 출력한다.
아울러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 정보를 외부의 기기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순서도로 도 8 및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프로그램 설치 시에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를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주행 후, 또는 주행 중 비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판단(311)하고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점을 비 매칭 위치로 설정 및 저장(312)한다.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선택되면 비 매칭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하위 메뉴를 표시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는 하위 메뉴로, 반경 설정, 지역설정, 터치 설정 버튼을 표시한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는 반경 설정이 선택되면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지점(A)이 선택되면 반경 예를 표시한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반경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지점(A)을 중심으로 선택된 반경(r)만큼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한다.
내비게이션 장치는 그래픽 지도, 사진 지도 상에서 어느 하나의 지점을 선택받을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는 지역 설정이 선택되면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의 지점(B)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점이 속하는 행정 구역 명칭(B1)을 확인하고, 확인된 행정 구역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한다.
아울러 내비게이션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행정 구역 명을 직접 입력받고 입력된 행정 구역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는 터치 설정이 선택되면 지도를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연속 터치된 터치 지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연속된 위치를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한다.
아울러 내비게이션 장치는 주행 중 터치된 터치 범위를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는 실제 지형이 변화된 위치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고 입력된 위치 정보를 사진 지도와의 비 매칭 위치 정보로 저장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도 표시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지도 표시 모드가 제1표시 모드인지 판단(313)하고, 확인된 지도 표시 모드가 제1표시 모드라고 판단되면 표시부(112)에 차량의 현재 위치가 매칭된 그래픽 지도를 표시(314)하면서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주행 정보 및 도로의 주변 환경 정보 등을 표시부 및 사운드부를 통해 출력한다.
반면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선택된 지도 표시 모드가 제2표시모드라고 판단되면 표시부(112)에 차량의 현재 위치가 매칭된 사진 지도를 표시(315)하면서 경로를 안내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지도 표시 모드가 제2표시모드이면 길을 안내하면서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316)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지도 표시 모드를 제2표시모드에서 제1표시모드로 전환한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표시부(112)에 표시된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고 그래픽 지도 상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표시(317)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지도 전환 표시 중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를 벗어났는지 판단(318)하고, 차량이 비 매칭 범위를 벗어 났다고 판단되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그래픽 지도를 다시 사진 지도로 전환 표시(319)한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표시부(112)에 현재 위치가 매칭된 사진 지도를 표시한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장치는 서버로부터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치 정보를 비 매칭 위치 정보로 저장한 후 경로 안내 시에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구성도로, 일 실시예와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 통신부(130), 제어부(170), 저장부(130), 사운드부(150)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0)는 일 실시예와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통신부(130)는 서버로부터 위치별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 중 적어도 하나의 지도를 수신한다.
아울러, 내비게이션 장치는 본체의 포트에 연결된 외부 기기로부터 업데이트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수신된 위치별 사진 지도와 그래픽 지도에 기초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사진 지도와 그래픽 지도를 업데이트 한다.
제어부(170)는 그래픽 지도가 업데이트되면 업데이트된 그래픽 지도와 저장부에 저장된 사진 지도를 위치 별로 각각 비교하여 두 지도 사이에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두 지도가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지형이 변경되었다고 판단하고 지형이 변경된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를 비 매칭 위치로 설정한다.
제어부(170)는 비 매칭 위치의 어느 한 지점을 중심 지점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중심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범위를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며 설정된 비 매칭 범위의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170)는 주행 중 차량이 주행할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어부(170)는 주행 중 표시된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에 연속된 비 표시 영역을 확인하고, 비표시 영역 중 차량이 주행할 영역의 비 표시 영역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11)에 제1표시모드가 입력되면 표시부(112)에 그래픽 지도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그래픽 지도 상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그래픽 지도 상에 차량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11)에 제2표시모드가 입력되면 표시부(112)에 사진 지도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진 지도 상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사진 지도 상에 차량의 현재 위치가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제 2 표시 모드를 수행하면서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라고 판단되면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 제어하고 그래픽 지도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표시한다.
제어부(170)는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내에 있으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사진 지도가 그래픽 지도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외부라고 판단되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그래픽 지도가 다시 사진 지도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70)는 표시부(112)에 현재 위치가 매칭된 사진 지도가 표시되도록 한다.
제어부(170)는 동일 위치에 대해 그래픽 지도보다 사진 지도가 더 최근에 업데이트 된 상태에서 그래픽 지도와 사진 지도가 상이하면 그래픽 지도 표시 모드일 때 사진 지도로 전환 표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동일 위치의 그래픽 지도와 사진 지도의 업데이트 날짜 및 시간을 확인하고 사진 지도의 업데이트 날짜 및 시간이 그래픽 지도의 업데이트 날짜 및 시간 보다 최근인 상태에서 두 지도가 매칭되지 않는 경우 그래픽 지도의 위치 정보를 내비게이션 장치(1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본체에 마련된 USB와 같은 포트 등을 더 포함하고, 통신부는 포트 등에 연결된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포트(미도시)에 연결된 외부기기의 맵 컨텐츠, 맵 프로그램, 맵 어플을 통해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업데이트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40)는 위치별 그래픽 지도와, 위치별 사진 지도를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입력된 비 매칭 위치 및 비 매칭 범위를 저장한다.
사운드부(150)는 경로 및 주행 정보, 지도 표시 모드 변경 알림, 음악, 영상과 관련된 사운드 등을 출력한다.
도11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순서도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프로그램 설치 시에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를 외부 기기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위치별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를 최초 저장 후, 그래픽 지도가 추가적으로 제공되어 업데이트되면 업데이트된 그래픽 지도와 사진 지도를 비교(321)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두 지도가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매칭되지 않은 지도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를 비 매칭 위치로 저장(322)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지도 표시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지도 표시 모드가 제1표시 모드인지 판단(323)하고, 확인된 지도 표시 모드가 제1표시 모드라고 판단되면 표시부(112)에 차량의 현재 위치가 매칭된 그래픽 지도를 표시(324)하면서 경로를 안내한다.
또한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주행 정보 및 도로의 주변 환경 정보 등을 표시부 및 사운드부를 통해 출력한다.
반면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선택된 지도 표시 모드가 제2표시모드라고 판단되면 표시부(112)에 차량의 현재 위치가 매칭된 사진 지도를 표시(325)하면서 경로를 안내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지도 표시 모드가 제2표시모드이면 길을 안내하면서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 판단(326)하고,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 내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면 지도 표시 모드를 제2표시모드에서 제1표시모드로 전환한다.
내비게이션 장치의 경우,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미리 설정된 반경을 갖는 크기의 지도를 표시하되, 사용자에 의해 지도가 축소 또는 확대되는 것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크기의 지도보다 더 큰 크기의 지도를 표시 가능한 지도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내비게이션 장치는 표시부에 지도 표시 시 표시부에는 표시되지 않는 비 표시 영역의 지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인식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주행 중 표시된 표시 영역(c1)과, 표시 영역에 연속된 비 표시 영역을 확인하고, 비표시 영역 중 차량이 주행할 전방 영역의 비 표시 영역(c2)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인지 실시간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주행할 전방 영역의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이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고 그래픽 지도 상에 현재 위치를 매칭시켜 표시(327)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지도 전환 표시 중 현재 위치가 비 매칭 범위를 벗어났는지 판단(328)하고, 차량이 비 매칭 범위를 벗어 났다고 판단되면 표시부(112)에 표시된 그래픽 지도를 다시 사진 지도로 전환 표시(329)한다.
즉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표시부(112)에 현재 위치가 매칭된 사진 지도를 표시한다.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설치 프로그램, 또는 업그레이드 프로그램 등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사진 지도 및 그래픽 지도를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거나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1: 차량 100: 내비게이션 장치
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1: 입력부
112: 표시부120, 160, 170: 제어부
130: 통신부140: 저장부
150: 사운드부200: 서버

Claims (26)

  1. 그래픽 지도와 사진 지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진 지도 표시 모드에서 상기 사진 지도와 실제 지형, 또는 상기 사진 지도와 상기 그래픽 지도가 서로 다른 위치에 근접하면 상기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그래픽 지도 또는 사진 지도를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지도 또는 상기 사진 지도에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실제 지형과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실제 지형과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지도와 상기 사진 지도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5. 위치별 그래픽 지도와, 위치별 사진 지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실제 지형과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위치를 비매칭 위치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지도 표시 모드가 사진 지도 표시 모드이면 현재 위치가 상기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이면 상기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그래픽 지도 또는 사진 지도를 표시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실제 지형과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수신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브로드캐스팅 망을 통해 상기 실제 지형과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수신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 매칭 위치에서 일정 반경 이내이면 상기 그래픽 지도의 표시를 유지 제어하고, 상기 비 매칭 위치에서 일정 반경을 벗어나면 상기 그래픽 지도를 사진 지도로 전환 제어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9. 위치별 그래픽 지도와, 위치별 사진 지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실제 지형과 비 매칭되는 사진 지도의 위치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위치를 비매칭 위치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지도 표시 모드가 사진 지도 표시 모드이면 현재 위치가 상기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이면 상기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그래픽 지도 또는 사진 지도를 표시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매칭시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비 매칭 범위 이내이면 상기 그래픽 지도의 표시를 유지 제어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비 매칭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그래픽 지도를 사진 지도로 전환 제어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점의 행정 구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행정 구역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비 매칭 범위 이내이면 상기 그래픽 지도의 표시를 유지 제어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비 매칭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그래픽 지도를 사진 지도로 전환 제어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터치 지점이 연속되면 연속된 터치 지점에 대응하는 지도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지도 위치를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비 매칭 범위 이내이면 상기 그래픽 지도의 표시를 유지 제어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비 매칭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그래픽 지도를 사진 지도로 전환 제어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6. 위치별 그래픽 지도와, 위치별 사진 지도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래픽 지도와 시진 지도를 위치 별로 비교하고 그래픽 지도와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위치를 비매칭 위치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지도 표시 모드가 사진 지도 표시 모드이면 현재 위치가 상기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이면 상기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그래픽 지도 또는 사진 지도를 표시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를 지도에 매칭시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행 중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과 연속되는 비 표시 영역의 지도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지도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8. 저장부에 저장된 그래픽 지도와 시진 지도를 위치 별로 비교하고,
    상기 그래픽 지도와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를 비매칭 위치로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지도 표시 모드가 사진 지도 표시 모드이면 현재 위치가 상기 비 매칭 위치인지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가 비 매칭 위치이면 상기 사진 지도를 그래픽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도 표시 모드가 그래픽 지도 표시 모드이면 현재 위치가 매칭된 그래픽 지도를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통해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를 비매칭 위치로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위치를 비매칭 위치로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를 입력받는 것은,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지점으로부터 일정 반경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를 입력받는 것은,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어느 하나의 지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지점의 행정 구역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행정 구역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지형과 상이한 사진 지도의 위치를 입력받는 것은,
    비 매칭 위치 설정 모드가 입력되고 터치 지점이 연속되면 연속된 터치 지점에 대응하는 지도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지도 위치를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비 매칭 위치에서 일정 반경을 비 매칭 범위로 설정하고 설정된 비 매칭 범위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비 매칭 범위 이내이면 상기 그래픽 지도의 표시를 유지시키고,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비 매칭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그래픽 지도를 사진 지도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내비게이션의 제어 방법.
KR1020140001569A 2014-01-06 2014-01-06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579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69A KR101579532B1 (ko) 2014-01-06 2014-01-06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4/536,006 US9618356B2 (en) 2014-01-06 2014-11-07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69A KR101579532B1 (ko) 2014-01-06 2014-01-06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769A true KR20150081769A (ko) 2015-07-15
KR101579532B1 KR101579532B1 (ko) 2016-01-04

Family

ID=5349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569A KR101579532B1 (ko) 2014-01-06 2014-01-06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18356B2 (ko)
KR (1) KR101579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609B1 (ko) * 2013-11-12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중 경로 안내 텔레매틱스 시스템
US9534919B2 (en) * 2014-07-08 2017-01-03 Honda Motor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travel metric
KR102482595B1 (ko) * 2015-12-17 2022-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도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332395B1 (en) 2017-12-21 2019-06-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lating roadside device position data according to differential position dat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0292A (ja) * 2002-06-14 2004-01-22 Kenwood Corp 地図情報更新システム
JP2006126402A (ja) * 2004-10-28 2006-05-18 Alpine Electronics Inc 地図表示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241276A (ja) * 2007-03-26 2008-10-09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0008073A (ja) * 2008-06-24 2010-01-14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0200A (ja) 2001-02-27 2002-09-13 Joho Kagaku Kenkyusho:Kk 航空立体表示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6064414A (ja) 2004-08-24 2006-03-09 Xanavi Informatics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表示方法
KR20070050157A (ko) 2005-11-10 2007-05-1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 시가지 표시장치
KR101115141B1 (ko) * 2005-12-06 2012-02-2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항공사진을 이용한 확대지도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지는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03677A (ko) 2006-07-03 200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경로설정기능을 갖는 네비게이션과 그 경로설정방법
KR20090050543A (ko) 2007-11-16 2009-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기기의 지도데이터 업데이트 방법 및 그 시스템
US8615359B2 (en) * 2011-05-23 2013-12-24 Microsoft Corporation Map navigation with suppression of off-route feedback near route termin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0292A (ja) * 2002-06-14 2004-01-22 Kenwood Corp 地図情報更新システム
JP2006126402A (ja) * 2004-10-28 2006-05-18 Alpine Electronics Inc 地図表示方法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241276A (ja) * 2007-03-26 2008-10-09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0008073A (ja) * 2008-06-24 2010-01-14 Denso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92427A1 (en) 2015-07-09
US9618356B2 (en) 2017-04-11
KR101579532B1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4399B2 (en) Display apparatus
KR101624185B1 (ko) 단말기, 그와 통신하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31025B1 (ko) 영상정보 획득장치,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2445210B (zh) 导航系统和用于机动车的目的地导航的方法
US20060047420A1 (en) Map display device
US2015000262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140032098A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high-occupancy vehicles
US20060122770A1 (en) Navigation device having route guidance to parking spot close to border
KR101579532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9003538A (ja) 情報提供装置
KR20170130037A (ko) 차량,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및 차량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JP4558753B2 (ja) 表示装置
JP4305538B2 (ja) 表示装置
EP1669722A1 (en) Vehicle-mounted communication device
KR20160021509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0538884A (ja) 複雑な、メニューコントロールされる多機能の車両システム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8285046A (ja) 車載機器制御装置
JP2004239727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6308331A (ja) 車両支援方法及び車両支援装置
KR101614727B1 (ko)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9643B1 (ko) 내비게이션 단말,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8427339B2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nd in-vehicle apparatus
WO2015159497A1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614726B1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내비게이션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4359051A (ja) 車載用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載情報提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