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643A -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81643A KR20150081643A KR1020140001331A KR20140001331A KR20150081643A KR 20150081643 A KR20150081643 A KR 20150081643A KR 1020140001331 A KR1020140001331 A KR 1020140001331A KR 20140001331 A KR20140001331 A KR 20140001331A KR 20150081643 A KR20150081643 A KR 201500816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munication interface
- mobile device
- interface information
- communicati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0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59 nano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모바일 장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기기 간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각 기기에 마련된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통신 연결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최소한의 사용자 조작 만으로 간편하게 통신 연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장치들 간에 네트워크 접속을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이다.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TV와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장치 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결 방법에는 억세스 포인트(AP)를 통하여 내부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방식,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를 이용하여 직접 연결하는 방식, 블루투스(Bluetooth)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존재한다. 이러한 종래의 연결 방법은 TV가 연결된 네트워크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모바일 기기를 접속시킨 후 TV와 연결하거나, TV와 모바일 장치의 모드를 다이렉트 연결 모드로 변경하여 필요한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등 사용자가 수동으로 기기들을 조작하는 절차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 접속에 대한 배경지식이 없거나, 기기의 메뉴 조작이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에게는 위와 같은 연결 과정이 복잡하게 인식되고, 사용자가 해당 기기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카메라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모바일 장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모바일 장치로 전달되며,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전달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는,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문자, QR 코드, 바코드 중 모바일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에는,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가 복수인 경우,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모바일 장치의 식별정보를 카메라를 통해 전달받고, 전달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모바일 장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전달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일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활성화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문자, QR 코드, 바코드 중 모바일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가 복수인 경우,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모바일 장치의 식별정보를 카메라를 통해 전달받는 단계와; 전달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카메라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며,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전달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가 복수인 경우,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는,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카메라를 통해 전달받고, 전달받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은,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정보를 입력받는 제1카메라를 포함하고, 모바일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제2카메라와; 제2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결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카메라를 통해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고, 제2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제1 식별정보를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모바일 장치는 제1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제1카메라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 및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결정된 모바일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모바일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모바일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제2카메라와; 제2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제2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a와 도 3b 및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접속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기기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a와 도 3b 및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접속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기(101)와 제2기기(102)로 구현된 복수의 기기(100)를 포함하며, 제1기기(101)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2기기(102)는 모바일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된 제1기기(101)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영상으로 표시 가능하도록 기 설정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전면 상부에 이미지센서(141)를 포함하는 영상입력부(140) 즉,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방송국의 송출장비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방송정보/방송데이터에 기초한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TV로 구현된 경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가능한 영상의 종류가 방송 영상에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형식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데이터에 기초한 동영상, 정지영상,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OSD(on-screen display), 다양한 동작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이하, GUI(graphic user interface) 라고도 함) 등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TV로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 TV는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고, 웹 브라우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실시간 방송신호의 표시와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검색 및 소비가 가능하고 이를 위하여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TV이다. 또한, 스마트 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TV는 개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통하여 다양한 컨텐츠, 예를 들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예를 들어 SNS, 금융, 뉴스, 날씨, 지도, 음악, 영화, 게임, 전자 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본 실시예와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컴퓨터 본체에 접속된 모니터 등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로 구현된 제2기기(102)는 스마트 폰을 포함하는 휴대폰, 태블릿(스마트 패드),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등을 포함한 디지털 기기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의 모바일 장치는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전면 및/또는 후면 상부에 이미지센서(141)를 포함하는 영상입력부(140) 즉, 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모바일 장치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상호간에 통신 연결이 가능하며, 디스플레이와 카메라가 구비된 서로 다른 복수의 장치로서 제1 및 제2 기기(101, 1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기기(101, 102) 간의 통신을 위한 연결 설정 시 하나의 기기 예를 들어, 제1기기(101)는 호스트로, 다른 하나의 기기 예를 들어, 제2기기(102)는 클라이언트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기기(101)가 TV 즉,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2기기(102)가 스마트 폰 즉, 모바일 장치로 구현된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기기들을 각각 태블릿과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거나, TV와 휴대용 미디어 기기로 구현되거나, 또는 2개의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등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즉, 이하 설명할 실시예는 시스템의 구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는 사항이 아님을 밝힌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모바일 장치로 구현 가능한 본 발명 일실시예의 기기(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기기(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에 도시된 기기(100)의 구성은 도 1의 제1기기(101) 및 제2기기(102)에 모두 적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기기(10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10)와, 영상처리부(11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입력부(130)와,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입력부(140)와,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50)와, 외부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160)와, 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영상처리부(110)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1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20)에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부(110)는 외부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처리부(110)는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거나, 컴포지트(composite) 비디오, 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신호는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예컨대, 영상신호는 PC, AV기기,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통신부(160)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신호는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기인한 것일 수 있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외부에 마련되는 경우 저장부(150)가 연결되는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다양한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라인 스캐닝(line scannin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0)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 구성의 그룹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영상처리부(11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2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입력이 수신되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121)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1)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 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메뉴항목을 포함하는 오브젝트(object, 예를 들어, 메뉴,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도형, 아이콘 및 단축아이콘)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21)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사용자의 신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트와 같은 별도의 포인팅 디바이스로 터치하여, 사용자 입력을 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1)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를 들어,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 동영상,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21)은 GUI를 통해 입력되는 싱글 터치 또는 멀티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121)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가능한 포인팅 디바이스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121)과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스크린(121)과 포인팅 디바이스와의 검출가능한 간격이 30 mm 이하의 호버링(hovering))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121)에서 검출가능한 비접촉 간격은 기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입력은 드래그(drag), 플릭(flick),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탭(tap), 롱 탭(long tap)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120)에는 통신부(160)가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가 표시된다. 제어부(17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통신부(160)의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조회하여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의 사용자 입력부(130)는 기기(100) 본체에 마련된 숫자키, 메뉴키 등의 버튼을 포함하는 키패드(또는 입력 패널)(미도시)와, TV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하게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데이터/정보/신호를 생성하여 기기(100)로 전송하는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키보드(keyboard), 마우스 등의 본체와 이격 분리된 입력장치를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기기(100) 본체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장치이며, 무선통신은 적외선 통신, RF 통신, 무선랜 등을 포함한다. 입력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기기(100)에 전송한다.
키패드는 기기(100)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와, 터치스크린(121) 내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 및 무선으로 연결가능한 물리적인 키패드를 포함한다. 기기(100)의 전면 및/또는 측면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는 기기(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미도시) 및 사용자에 의한 자체 모션을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하며, 사용자 입력부(130)는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 요청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전용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입력부(140)는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로 구현된다. 영상입력부(140)는 기기(100)의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설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기기(100) 본체와 분리되어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영상입력부(140)는 영상이 투과되는 렌즈(미도시) 및 렌즈를 통해 투과된 영상을 감지하는 이미지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센서(141)는 CCD/CMOS 이미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100)가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영상입력부(14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정지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전면의 제1카메라(도 5의 351) 및 후면의 제2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입력부(140)는 제1카메라와 제2카메라 중 하나 또는 양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카메라 또는 제2카메라는 촬영에 필요한 광량을 제공하는 보조 광원(예를 들어, 플래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영상입력부(140)는 타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영상을 촬영하여, 타 기기에서 지원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읽을 수 있다.
영상입력부(14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은 영상처리부(110)에서 처리된다. 제어부(170)는 영상처리부(110)에서 처리된 영상으로부터 후술하는 타 기기의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추출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게 된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서 한정되지 않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5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제어부(170)에 의해 액세스되며, 제어부(170)에 의한 데이터의 독취/기록/수정/삭제/갱신 등이 수행된다.
저장부(15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예를 들면 기기(100)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를 비롯하여, 이 운영체제 상에서 실행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영상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5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110 내지 140 및 160)의 동작에 대응되게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기기(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과 제조사에서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들,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에는 터치스크린(121)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좌표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가 더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터치스크린(121)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면,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감지된 터치 입력의 종류를 식별하고,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정보(X 및 Y 좌표)를 산출하여 산출된 좌표정보를 영상처리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된 터치 입력의 종류 및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영상이 영상처리부(11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저장부(150)에는 통신부(160)에서 지원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통신부(160)가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의 기기 간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조회 또는 탐색하고 그 결과에 대응하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현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50), 제어부(170) 내 롬(미도시), 램(미도시) 또는 기기(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미도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메모리 스틱)를 포함한다.
통신부(160)는 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의 통신부(16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지그비(Zigbee), 무선랜(Wireless LAN), 적외선 통신,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인터페이스 1 내지 N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통신부(160)는 기기(100)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폰인 경우, 이동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동통신부는 기기(100)와 연결가능한 전화번호를 가지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문자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통신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100) 본체에 내장되나, 동글(dongle) 또는 모듈(module) 형태로 구현되어 기기(100)의 커넥터(미도시)에 착탈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기기(100)의 다양한 구성에 대한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70)는 영상처리부(110)가 처리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진행, 사용자 입력부(130)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한 대응 제어동작, 터치스크린(121)에 대한 사용자 터치에 대응하는 조작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조작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포인트(X 및 Y 좌표)를 설정 및 사용자 터치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기기(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예를 들어 CPU에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기(100)의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60)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70)는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110 내지 160)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기기(100)의 제어부(170)는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당해 기기(100)의 통신부(160)가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통신부(160)가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저장부(150)에 미리 저장되며, 문자,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바코드(barcode) 등의 다양한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에 대한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영상입력부(140)를 활성화시키고, 이미지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타 기기의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입력된 타 기기의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타 기기의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당해 기기(100)가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통신 연결에 사용할 통신 인터페이스를 결정하며, 결정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당해 기기(100)와 타 기기가 모두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통신 연결을 설정한다. 제어부(100)는 두 기기에서 공통적으로 지원되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복수인 경우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게 되며, 예를 들어, 시스템 환경,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사용자의 설정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어느 하나를 최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의 복수의 기기(100)는 통신 연결 시 어느 하나가 호스트(host)로 다른 하나가 클라이언트(client)로 동작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제1기기(101)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호스트로, 제2기기(102) 즉, 모바일 기기가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본 발명에는 반대의 경우, 즉 제2기기(102)가 호스트로, 제1기기(101)가 클라이언트로 동작하도록 구현되는 경우도 포함됨은 물론일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기 간 접속 제어방법에 관해 도 3a와 도 3b 및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와 도 3b 및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접속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와 도 3b 및 도 4a와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접속 제어방법은 호스트(101)와 클라이언트(102) 간의 상호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즉, 제1기기(101)는 사용자로부터 기기(101, 102) 간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301). 여기서, 사용자는 제1기기(101)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제2기기(102)와의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통신 연결 요청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전용 버튼을 조작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121) 또는 제1기기(101)와 분리된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통신연결 모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도 있다.
단계 301에서 수신된 기기(101, 102) 간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제어부(170)는 제1기기(101)의 영상입력부(140) 즉, 카메라를 활성화시킨다(302). 여기서, 제1기기(101)는 동작모드가 통신 연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단계 301의 기기(101, 102) 간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1기기(101)의 통신부(160)에서 지원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조회한다(303).
단계 303의 조회 결과에 대응하여, 제어부(170)는 제1기기(101)가 사용 가능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304).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문자, QR 코드, 바코드 등 제2기기(102)에서 인식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표시 가능하다. 도 1은 제1기기(101)가 억세스 포인트(AP),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20)에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가 표시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제1기기(101)는 제2기기(102)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
한편, 클라이언트 즉, 제2기기(102)도 사용자로부터 기기(101, 102) 간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305). 여기서, 사용자는 제2기기(102)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제1기기(102)와의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통신 연결 요청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전용 버튼을 조작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121) 또는 제2기기(102)와 분리된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통신연결 모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계 301과 305의 연결 요청은 동시 또는 시간적 차이를 두고 수신될 수 있으며, 서로 독립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단계 305에서 수신된 기기(101, 102) 간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제2기기(102)의 제어부(170)는 제2기기(102)의 영상입력부(140) 즉, 카메라를 활성화시킨다(306). 여기서, 제2기기(102)는 동작모드가 통신 연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제2기기(102)는 단계 304에서 표시된 호스트 디바이스(101)의 사용 가능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단계 306에서 활성화된 카메라를 통해 입력 받는다(307).
여기서, 제1기기(101)와 제2기기(102)는 서로의 카메라가 서로의 디스플레이부를 촬영 가능하도록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모바일 장치(102)의 디스플레이부가 위치되고, 동시에 모바일 장치(102)의 카메라에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TV 화면이 보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계 301과 단계 305에서 수신된 기기 간 연결요청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기기(101, 102)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당해 기기의 카메라를 위치시키도록 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이부에는 연결 대상 기기의 화면에 카메라를 위치시키세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제1 및 제2 기기(101, 10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2기기(102)의 제어부(170)는 단계 307에서 수신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2기기(102)의 통신부(160)에서 지원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연결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탐색한다(308).
구체적으로, 제2기기(102)의 제어부(17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제1 인터페이스 정보의 형태 즉, 문자, QR 코드 등을 인식하고, 인식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제1기기 즉, 호스트(101)에서 지원 가능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2기기(102)의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2기기(102)는 호스트(101)에서 지원 가능한 제1 통신 인터페이스가 복수인 경우,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정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정렬되어 저장된 복수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들은 호스트와의 연결에 사용 가능한 후보군이 된다. 기설정된 우선순위는 시스템 환경에서의 성능, 예를 들어, 정보의 처리량 (Throughput), 신뢰성(Reliability)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기기(102)의 저장부(150)는 성능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우선순위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기기(102)의 제어부(170)는 제2기기 즉, 클라이언트(102)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비교하여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 여기서, 제2기기(102)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기기(101, 102)에서 공통적으로 지원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인터페이스를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308에서 제1 및 제2 기기(101, 102)가 공통적으로 연결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없는 경우, 제2기기(102)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연결 불가능 정보를 표시하며(309), 이에 제2기기(102)는 연결 시도 동작을 중단하고 통신 연결 모드가 종료된다.
단계 308에서 최적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제2기기(102)는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에 선택된 최적의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 즉, 억세스 포인트(AP)를 표시한다(310).
그리고, 제1기기(101)는 제2기기(102)로부터의 선택 대기를 유지하는 상태에서(311), 단계 308의 탐색 결과에 따른 단계 309의 연결 불가능 정보 또는 단계 310의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단계 302에서 활성화된 카메라를 통해 제1기기 즉, 호스트(101)로 입력된다(312).
단계 312에서 입력된 정보가 클라이언트와 연결 불가능인 경우, 제1기기(101)는 연결 시도 동작을 중단하고 통신 연결 모드가 종료된다.
단계 311에서 입력된 정보가 클라이언트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도 3b와 같이 제1기기(101)의 통신부(160)에서 지원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중 클라이언트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다(313). 그리고, 제1기기(101)의 동작 모드는 호스트 상태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단계 313에서 활성화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연결에 필요한 정보 즉, 호스트 식별정보가 제1기기(101) 즉 호스트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다(314). 여기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블루투스인 경우를 예로 들면, 단계 314의 호스트 식별정보는 기설정된 기설정된 바이트(예를 들어, 6 byte)로 이루어진 제1기기(101)의 블루투스 어드레스(Bluetooth Address))이며,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RF 인 경우를 예로 들면, 단계 314의 호스트 식별정보는 제1기기(101)의 맥 어드레스(Mac Address)가 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AP나 와이파이인 경우, 호스트 식별정보는 IP 어드레스(IP Address)가 될 수 있다.
단계 314에서 표시된 호스트 식별정보는 단계 306에서 활성화된 카메라를 통해 제2기기 즉, 클라이언트(102)로 입력된다(315).
제2기기(102)는 단계 315에서 입력된 호스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변경하고(316), 호스트와의 연결을 시도한다(317). 여기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블루투스 또는 RF 인 경우 제2기기(102)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맥 어드레스가 클라이언트 식별정보로서 제2기기(102)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고, 제1기기(101)의 카메라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계 317의 연결시도에 따라 호스트와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이 성공되면, 제2기기(102)는 연결 성공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318). 그리고, 제2기기(102)의 통신 연결 모드는 종료될 수 있다.
제1기기(101)가 제2기기(102)로부터의 연결 대기를 유지하는 상태에서(319), 단계 317의 연결시도에 따라 호스트와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이 성공되면, 제1기기(101)는 연결 성공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320). 그리고, 제1기기(102)의 통신 연결 모드는 종료될 수 있다.
한편, 단계 317의 연결시도에 따라 호스트와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이 실패하면, 제2기기(102)는 단계 308에서의 통신 인터페이스 탐색을 재수행한다. 여기서, 제2기기(102)의 제어부(170)는 연결이 실패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저장부(150)에 저장된 호스트와의 연결에 사용 가능한 후보군에서 삭제하고, 나머지 후보군에서 다음 순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기기(101)는 제2기기(102)의 재탐색 결과를 입력받아, 단계 313에서 재탐색 결과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에서는 호스트(101) 측에서 사용 가능한 제1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클라이언트(102)가 디스플레이된 제1 인터페이스 정보를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아, 최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호스트(101)와 클라이언트(102) 간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와 비교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는 클라이언트(102) 측에서도 사용 가능한 제2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호스트(101)가 디스플레이된 제2 인터페이스 정보를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아, 최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호스트(101)와 클라이언트(102) 간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트 즉, 제1기기(101)는 사용자로부터 기기(101, 102) 간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401). 여기서, 사용자는 제1기기(101)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제2기기(102)와의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통신 연결 요청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전용 버튼을 조작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121) 또는 제1기기(101)와 분리된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통신연결 모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도 있다.
단계 401에서 수신된 기기(101, 102) 간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제어부(170)는 제1기기(101)의 영상입력부(140) 즉, 카메라를 활성화시킨다(402). 여기서, 제1기기(101)는 동작모드가 통신 연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단계 401의 기기(101, 102) 간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1기기(101)의 통신부(160)에서 지원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조회한다(403).
단계 403의 조회 결과에 대응하여, 제어부(170)는 제1기기(101)가 사용 가능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404).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문자, QR 코드, 바코드 등 제2기기(102)에서 인식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표시 가능하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 단계 403 및 404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의 조회 및 표시 과정을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 즉, 제2기기(102)도 사용자로부터 기기(101, 102) 간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405). 여기서, 사용자는 제2기기(102)의 사용자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제1기기(102)와의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통신 연결 요청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전용 버튼을 조작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 있으며, 터치 스크린(121) 또는 제2기기(102)와 분리된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통신연결 모드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요청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계 401과 405의 연결 요청은 동시 또는 시간적 차이를 두고 수신될 수 있으며, 서로 독립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단계 405에서 수신된 기기(101, 102) 간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제2기기(102)의 제어부(170)는 제2기기(102)의 영상입력부(140) 즉, 카메라를 활성화시킨다(406). 여기서, 제2기기(102)는 동작모드가 통신 연결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단계 405의 기기(101, 102) 간 연결 요청에 대응하여, 제2기기(102)의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2기기(102)의 통신부(160)에서 지원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조회한다(407).
단계 407의 조회 결과에 대응하여, 제어부(170)는 제2기기(102)가 사용 가능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408).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문자, QR 코드, 바코드 등 제1기기(101)에서 인식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표시 가능하다.
제1기기(102)는 단계 408에서 표시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102)의 사용 가능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단계 406에서 활성화된 카메라를 통해 입력 받는다(409).
여기서, 제1기기(101)와 제2기기(102)는 서로의 카메라가 서로의 디스플레이부를 촬영 가능하도록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모바일 장치(102)의 디스플레이부가 위치되고, 동시에 모바일 장치(102)의 카메라에 디스플레이 장치(101)의 TV 화면이 보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계 401과 단계 405에서 수신된 기기 간 연결요청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기기(101, 102)는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당해 기기의 카메라를 위치시키도록 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이부에는 연결 대상 기기의 화면에 카메라를 위치시키세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된 메시지를 확인하고, 제1 및 제2 기기(101, 10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1기기(101)의 제어부(170)는 단계 409에서 수신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저장부(140)에 저장된 제1기기(101)의 통신부(160)에서 지원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연결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탐색한다(410).
구체적으로, 제1기기(101)의 제어부(170)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제2 인터페이스 정보의 형태 즉, 문자, QR 코드 등을 인식하고, 인식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제2기기 즉, 클라이언트(102)에서 지원 가능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1기기(101)의 저장부(150)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1기기(101)는 클라이언트(102)에서 지원 가능한 제2 통신 인터페이스가 복수인 경우,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복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정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정렬되어 저장된 복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들은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에 사용 가능한 후보군이 된다. 기설정된 우선순위는 시스템 환경에서의 성능, 예를 들어, 정보의 처리량 (Throughput), 신뢰성(Reliability)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기기(101)의 저장부(150)는 성능에 따른 통신 인터페이스에 대한 우선순위가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우선순위가 결정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기기(102)의 제어부(170)는 제2기기 즉, 클라이언트(102)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비교하여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 여기서, 제1기기(101)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기기(101, 102)에서 공통적으로 지원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인터페이스를 최적의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410에서 제1 및 제2 기기(101, 102)가 공통적으로 연결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없는 경우, 제1기기(101)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연결 불가능 정보를 표시하며(411), 이에 제1기기(101)는 연결 시도 동작을 중단하고 통신 연결 모드가 종료된다.
단계 410에서 최적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선택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기(101)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선택된 최적의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한다(412).
그리고, 제2기기(102)는 제1기기(101)로부터의 선택 대기를 유지하는 상태에서(413), 단계 409의 탐색 결과에 따른 단계 410의 연결 불가능 정보 또는 단계 411의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단계 405에서 활성화된 카메라를 통해 제2기기 즉, 클라이언트(102)로 입력된다(414).
단계 414에서 입력된 정보가 클라이언트와 연결 불가능인 경우, 제2기기(102)는 연결 시도 동작을 중단하고 통신 연결 모드가 종료된다.
단계 414에서 입력된 정보가 호스트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2기기(102)의 통신부(160)에서 지원되는 통신 인터페이스 중 호스트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다(415). 그리고, 제2기기(102)의 동작 모드는 클라이언트 상태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단계 415에서 활성화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연결에 필요한 정보 즉, 클라이언트 식별정보가 제2기기(102) 즉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된다(416). 여기서, 클라이언트 식별정보는 제2기기(102)의 블루투스 어드레스, 맥 어드레스, IP 어드레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단계 416에서 표시된 클라이언트 식별정보는 단계 401에서 활성화된 카메라를 통해 제1기기 즉, 호스트(101)로 입력된다(417).
제1기기(101)는 단계 417에서 입력된 클라이언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의 설정을 변경하고(418),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시도한다(419). 여기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가 블루투스 또는 RF 인 경우 제1기기(101)의 블루투스 주소 또는 맥 어드레스가 호스트 식별정보로서 제1기기(101)의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되고, 제2기기(102)의 카메라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단계 419의 연결시도에 따라 호스트와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이 성공되면, 제1기기(101)는 연결 성공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420). 그리고, 제1기기(101)의 통신 연결 모드는 종료될 수 있다.
제2기기(102)가 제1기기(101)로부터의 연결 대기를 유지하는 상태에서(421), 단계 419의 연결시도에 따라 호스트와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이 성공되면, 제2기기(102)는 연결 성공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20)에 표시한다(422). 그리고, 제2기기(102)의 통신 연결 모드는 종료될 수 있다.
한편, 단계 419의 연결시도에 따라 호스트와 클라이언트 간의 연결이 실패하면, 제1기기(101)는 단계 410에서의 통신 인터페이스 탐색을 재수행한다. 여기서, 제1기기(101)의 제어부(170)는 연결이 실패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저장부(150)에 저장된 호스트와의 연결에 사용 가능한 후보군에서 삭제하고, 나머지 후보군에서 다음 순위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기기(102)는 제1기기(101)의 재탐색 결과를 입력받아, 단계 415에서 재탐색 결과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기 간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사용자 조작에 대응하여 각 기기에 마련된 카메라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통신 연결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최소한의 사용자 조작 만으로 간편하게 통신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연결 완료 시까지 각 기기의 인터페이스 정보, 현재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연결에 관한 각종 정보가 실시간으로 표시되고, 카메라를 통해 표시된 정보가 즉각적으로 획득 및 해석되어 그에 맞도록 적절한 통신 연결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사용자의 수동 조작과 같은 번거로움 없이 최적의 통신 방식으로 기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정보가 즉시 피드백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101, 102 : 기기 110 : 영상처리부
120 : 디스플레이부 121 : 터치스크린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영상입력부
141 : 이미지센서 150 : 저장부
160 : 통신부 170 : 제어부
120 : 디스플레이부 121 : 터치스크린
130 : 사용자 입력부 140 : 영상입력부
141 : 이미지센서 150 : 저장부
160 : 통신부 170 : 제어부
Claims (32)
-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카메라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모바일 장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달되며,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전달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문자, QR 코드, 바코드 중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가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전달받고, 상기 전달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해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모바일 장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상기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모바일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전달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 - 제14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문자, QR 코드, 바코드 중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형식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 -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 - 제19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상기 모바일 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전달받는 단계와;
상기 전달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 - 모바일 장치에 있어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며,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상기 전달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 제2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상기 활성화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가 복수인 경우, 상기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는 기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 제2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식별정보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전달받고, 상기 전달받은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 모바일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에 있어서,
카메라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와,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접속 제어방법. - 디스플레이 장치와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정보를 입력받는 제1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제2카메라와; 상기 제2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결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제1 식별정보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제1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 디스플레이 장치와 모바일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모바일 장치에 표시된 상기 모바일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제1카메라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 및 상기 제2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라 결정된 상기 모바일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상기 모바일 장치와 연결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를 입력받는 제2카메라와; 상기 제2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통신 인터페이스의 연결에 필요한 제2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1331A KR102204676B1 (ko) | 2014-01-06 | 2014-01-06 |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 |
EP14196710.9A EP2899986B1 (en) | 2014-01-06 | 2014-12-08 | Display apparatus, mobile apparatus, system and setting controlling method for connection thereof |
CN201410779795.0A CN104768055B (zh) | 2014-01-06 | 2014-12-16 | 显示设备、移动设备、系统及其连接的设置控制方法 |
JP2014256856A JP2015130661A (ja) | 2014-01-06 | 2014-12-19 | ディスプレイ装置、モバイル装置、これを含むシステム及びその接続制御方法} |
US14/579,478 US9558711B2 (en) | 2014-01-06 | 2014-12-22 | Display apparatus, mobile apparatus, system and setting controlling method for connection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1331A KR102204676B1 (ko) | 2014-01-06 | 2014-01-06 |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81643A true KR20150081643A (ko) | 2015-07-15 |
KR102204676B1 KR102204676B1 (ko) | 2021-01-19 |
Family
ID=52102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1331A KR102204676B1 (ko) | 2014-01-06 | 2014-01-06 |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9558711B2 (ko) |
EP (1) | EP2899986B1 (ko) |
JP (1) | JP2015130661A (ko) |
KR (1) | KR102204676B1 (ko) |
CN (1) | CN104768055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350053S (en) * | 2013-01-04 | 2013-08-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
JP6471537B2 (ja) * | 2015-02-27 | 2019-02-20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通信機器 |
JP6532333B2 (ja) * | 2015-07-21 | 2019-06-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11032340B2 (en) * | 2019-04-04 | 2021-06-08 |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 Using camera on computer simulation controller |
CN110459128A (zh) * | 2019-08-27 | 2019-11-15 | 宁波阶梯教育科技有限公司 | 一种电子班牌及电子班牌的控制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22327A (ko) * | 2006-09-06 | 2008-03-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 |
KR20110018350A (ko) * | 2008-05-12 | 2011-02-23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동적으로 향상된 미디어 전송 핸들링을 갖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
KR20120005324A (ko) * | 2010-07-08 | 2012-01-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653212B2 (en) * | 2006-05-19 | 2010-01-26 | Universal Electronics Inc. | System and method for using image data in connection with configuring a universal controlling device |
US20100081375A1 (en) * | 2008-09-30 | 2010-04-01 | Apple Inc. |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
US8218080B2 (en) * | 2005-12-05 | 2012-07-1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ersonal settings, parental control, and energy saving control of television with digital video camera |
GB2460683A (en) * | 2008-06-05 | 2009-12-09 | Vodafone Plc | Requesting a webpage in relation to a two-dimensional barcode from a mobile terminal |
JP5591578B2 (ja) * | 2010-04-19 | 2014-09-17 |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 文字列認識装置および文字列認識方法 |
US20120010929A1 (en) * | 2010-07-07 | 2012-01-12 | Vijay Kolli | Method and system for marketing |
US8683086B2 (en) * | 2010-11-17 | 2014-03-25 | Flextronics Ap, Llc. |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automated setup |
EP2501143A3 (en) * | 2011-03-15 | 2016-12-28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thereof |
US9185783B2 (en) | 2011-05-15 | 2015-11-10 | Lighting Science Group Corporation | Wireless pair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
CN102654906A (zh) * | 2011-11-22 | 2012-09-05 | 上海华博信息服务有限公司 | 一种基于二维码的移动设备身份绑定方法及装置 |
US9438575B2 (en) * | 2011-12-22 | 2016-09-06 | Paypal, Inc. | Smart phone login using QR code |
JP2014053667A (ja) * | 2012-09-05 | 2014-03-20 | Sony Corp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CN102883322A (zh) * | 2012-09-28 | 2013-01-16 |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 移动终端和用于移动终端的WiFi连接方法 |
CN203278987U (zh) * | 2013-04-09 | 2013-11-06 |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 可摄像的电视机 |
CN103257839A (zh) * | 2013-06-07 | 2013-08-21 |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 跨设备进行显示的方法、系统和移动终端 |
-
2014
- 2014-01-06 KR KR1020140001331A patent/KR10220467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08 EP EP14196710.9A patent/EP2899986B1/en active Active
- 2014-12-16 CN CN201410779795.0A patent/CN104768055B/zh active Active
- 2014-12-19 JP JP2014256856A patent/JP2015130661A/ja active Pending
- 2014-12-22 US US14/579,478 patent/US955871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22327A (ko) * | 2006-09-06 | 2008-03-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블루투스 장치 간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 |
KR20110018350A (ko) * | 2008-05-12 | 2011-02-23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동적으로 향상된 미디어 전송 핸들링을 갖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
KR20120005324A (ko) * | 2010-07-08 | 2012-01-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의 전자기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04676B1 (ko) | 2021-01-19 |
EP2899986A1 (en) | 2015-07-29 |
US20150194126A1 (en) | 2015-07-09 |
CN104768055B (zh) | 2020-01-14 |
US9558711B2 (en) | 2017-01-31 |
EP2899986B1 (en) | 2018-02-28 |
JP2015130661A (ja) | 2015-07-16 |
CN104768055A (zh) | 2015-07-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50840B1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US10708534B2 (en) | Terminal executing mirror application of a peripheral device | |
US9799251B2 (en) |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image quality matching method thereof | |
JP6522124B2 (ja) | ジェスチャ制御方法、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 |
KR102049789B1 (ko) | 휴대단말기의 정보 전송장치 및 방법 | |
US20130106738A1 (en) |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US10346120B2 (en) | Method of displaying image by us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and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ing a plurality of display apparatuses | |
KR10242958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 |
US9838874B2 (en) | Terminal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mobile device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487534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채널 설정방법 | |
CN102802068A (zh) | 智能电视遥控方法及系统 | |
US9948979B2 (en) | User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20467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모바일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접속 제어방법 | |
KR20150031986A (ko)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US20200186641A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US20120017241A1 (en) | Handheld device and text input method | |
US20140304611A1 (en) |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a Home Media Device Via the Mobile Terminal | |
KR101864276B1 (ko) |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 |
KR20170009302A (ko)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759935B1 (ko) | 영상통화 단말기의 전환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통화 단말기 | |
CN108811177B (zh) | 一种通信方法及终端 | |
KR102121535B1 (ko) | 전자 장치, 보조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 |
US12093309B2 (en) | Display device | |
KR20240153211A (ko)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50119701A (ko) | 메인 디스플레이장치, 서브 디스플레이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중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