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490A -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490A
KR20150081490A KR1020140001023A KR20140001023A KR20150081490A KR 20150081490 A KR20150081490 A KR 20150081490A KR 1020140001023 A KR1020140001023 A KR 1020140001023A KR 20140001023 A KR20140001023 A KR 20140001023A KR 20150081490 A KR20150081490 A KR 20150081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aromatic
vibrator
variable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규
Original Assignee
김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규 filed Critical 김준규
Priority to KR1020140001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490A/ko
Publication of KR2015008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 발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발향장치는 고가의 에어캔에 보관되어 있는 방향제를 캔의 내부에 있는 압축가스로 토출시켜 분사시키는 것이다. 이는 환경오염 문제와 가스와 융해되어 있는 발향제 원액은 화학적 성분으로 변한 것으로 일부는 인체에 유해한 요소로 적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위적인 화학성분의 발향성분이 아닌 자연추출한 발향제인 액체를 기존의 분사노즐과 같이 기화시켜 분사 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이를위해, 분사되는 일정한 발향제 량을 진동자 하단부까지 자동 상승시켜 진동자의 떨림정도에 맞는 일정간격까지 수분을 위치시켜 줄 수 있도록 진동자를 중심부에 고정하고, 상기 진동자의 하단부에 일정간격으로 원통유도부재의 상부끝단을 위치시키는 분사진동단 및 상기 분사진동단의 하부끝단 중심부에 수분을 자동 상승하여 원통유도부재로 수분을 이동시키는 교체유도부재가 인입관로에 고정되며 발향제의 액체를 보관하는 용기와 체결시켜 흔들림이나 거꾸로 위치하여도 액체 성분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함은 물론이고 지속적인 일정량으로 발향되게 한다.
액체의 발향성분을 기존의 분사시키는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 자연친화적인 방향효과와 자연추출물에서 오는 심리적 안정감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본 장치로 다양한 분사 주기 및 발향제의 농도 조절 및 보관용기의 용적률을 조정하여 경량형/다목적 습도조절용 또는 가습기와 같은 기능도 만족할 수 있어 실생활 용품으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및 그 방법{A Efficient diffusion and method using Adjustable vibration unit injection.}
본 발명은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향장치의 휴대성을 증대시키며 악조건의 운영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경량형 구조로써, 고효율적인 발향제의 분사를 위해 일정주기의 진동으로 기화시키는 진동자에 일정량의 수분(액체)을 진동자 하단부에 위치시킬 수 있는 체결구조를 형성하고, 수분이 자동 인입될 수 있는 부재를 착탈식으로 형성하는 체결체로, 이는 발향제를 보관하는 용기와 밀폐되는 효과를 줄 수 있어 흔들림 등에 의한 외부 충격에도 발향제를 흘리거나 낭비하는 경우가 없게 할 수 있는 구조이다.
특히, 본 발명의 가변분사진동단은 다양한 용기와 발향장치의 케이스에 있어 발향되는 분사방향과 용기내 발향제의 정도에 상관없이 구조화할 수 있는 주름유도관으로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진동자만 있는 분사능력보다 멀리 발향성분을 분사하기 위해 케이스의 일측면에서 토출구 방향으로 바람(공기)을 강제유입시키는 유입팬을 구성하며 발향제를 멀리까지 유도하기 위해 토출구 내면에 헬리컬 날개를 구성해 회오리 바람과 같이 직진성이 향상된 발향제를 일정공간(영역)에서 빠른 확산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진동자의 떨림정도로 기화되는 액체의 량을 조절할 수 있어 발향장치와 같은 기능외에도 휴대용 화장수 분사장치와 같은 휴대성이 증대되는 액체성분을 그대로 살린 분사를 위한 모든 장치와 진동자의 운영주기 조절로 가습효과를 위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진된 10-2001-0089049(발향장치)와 같이 공기압축기가 압축공기를 만들어 기포발생부로 전달하면, 용기내의 향료용액에 잠겨있는 기포발생부에서는 기포가 발생되는 고압의 압축공기로 기화 시키거나, 가열하여 발향시키는 공개된 기술 10-2006-0103563(전자동 아로마 발향장치)와 같이 발향성분제의 기화를 위해 가열로를 사용하고 가열되어 액체의 발열효과로 발향토록 하는 것은 자연추출물과 같은 액체 성분의 효능을 저하시키며, 발향시키기 위한 장치로써의 저효율성의 문제가 있다.
또한, 공개된 기술 10-2013-0057341(미스트 발생 장치)는 차량에서와 같은 장소에 사용하기 위해 악조건(동계)에서의 수분 공급에 문제가 없도록 하는 가열식 수분 공급 장치에 대한 것으로 일정한 분사와 방향성을 위한 분사장치에 대한 해결은 하지 못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자연추출물을 기화시키기 위해 진동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정량을 균일되게 진동자에 유입되게 하며, 직분사를 위한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주름유도관으로 하여금 다양한 케이스 형태에 맞게 방향 조절시켜 제작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발향제의 종류에 따라 교체용 부재로 교체할 수 있으며 보다 큰 효율성을 위해 유입팬과 헬리컬 날개형의 토출구로 형성하게 하여 짧은 시간에 멀리까지 발향효과를 증대시키도록 하였다.
발향제의 분사장치들은 위해 액체 상태에서 기체상태로 기화시키는 진동자를 적용하되, 일정량의 수분(액체)를 진동자까지 자연 인입되게 한다.
분사되는 방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주름유도관을 구성하여 자유롭게 분사방향을 조절과 주름유도관 내의 흡수재로 수분 흡수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기화된 발향제를 일정공간내에서 빠른 전달을 위해 유입팬으로 외부에서 강제로 바람을 인입시켜 토출구로 배출되는 발향제를 더욱 강하게 토출되게 한다.
유체의 이동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회전력 부가부재를 회전력을 부가하여 직진성과 확산성을 높여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고압압축된 가스와 혼합되어 노즐분사로 기화시키는 기계적인 장치의 캔내의 환경 유해적인 압축가스로 분출하는 기존 발향장치 또는 발향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발향제의 발열 장치로 인한 과소비전력으로 인한 저효율의 장치 구성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진동자로 발향제의 일정량 분사를 위해 진동자 하단부에 일전간격으로 진동되는 정도에 맞도록 발향제를 자동 유입토록 진동자와 원통유도부재를 포함한 분사진동단을 구성한다.
특히, 분사되는 방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주름유도관을 구성하여 자유롭게 분사방향을 조절과 주름유도관 내의 흡수재로 수분 흡수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유입되는 관로를 용기와 체결시켜 흔들림이나 악조건에서도 액체 기화의 기능에는 차이가 없게 중심고정체결부을 구성하며, 일정공간내 빠른 발향효과 확산을 위해 외부 바람을 강제 유입하는 유도팬과 유입된 바람을 기화된 발향제 성분과 함께 토출구로 유도하게 하는 관로를 구성한다.
기화된 발향제를 멀리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토출되는 기화된 발향제를 회전하여 토출되게 토출구 내경에 밀착된 헬리컬날개를 일정각도로 형성시킨다.
일반적인 발향장치는 고가의 에어캔에 보관되어 있는 방향제를 캔의 내부에 있는 압축가스로 토출시켜 분사시키는 것이다. 이는 환경오염 문제와 가스와 융해되어 있는 발향제 원액은 화학적 성분으로 변한 것으로 일부는 인체에 유해한 요소로 적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위적인 화학성분의 발향성분이 아닌 자연추출한 발향제인 액체를 기존의 분사노즐과 같이 기화시켜 분사 시킬 수 있는 장치로써,
액체의 발향성분을 기존의 분사시키는 방법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 자연친화적인 방향효과와 자연추출물에서 오는 심리적 안정감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본 장치로 다양한 분사 주기 및 발향제의 농도 조절 및 보관용기의 용적률을 조정하여 경량형/다목적 습도조절용 또는 가습기, 휴대형 화장수 분사기(에어 미스트)와 같은 기능도 만족할 수 있어 실생활 용품으로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가변분사진동단의 사시도
도 3은 고효율 발향 장치의 단면도 및 가변분사진동단 측면도
도 4는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고효율 발향 장치의 분사되는 운영도
도 6은 가변분사진동단의 상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헬리컬날개 부재의 운영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에어크리너 부재의 운영도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기존의 발향장치와 같이 큰 외형이 아닌 경량화된 예시를 본다. 발향제를 보관하여 발향성분을 가변분사진동단의 수분 흡수 효과를 이용해 자동 유입시켜 주는 상부 본체와 결합하는 용기(10)를 두며, 고효율 발향 장치에서는 분사되는 토출구(61) 및 조작을 위한 작동스위치(65)와 내부의 각종 구성요소를 보호 및 보관하기 위한 케이스(60)으로 구성한다. 용기(10)내 내려져 있는 교체유도부재(26)는 유연성이 있는 흡수재로 용기(10) 하단부 까지 내려 가기 위함과 수분 흡수를 위한 바닥면까지의 안정적인 접촉을 위해 도 3, 6에서와 같이 무게추(24)로 다양한 형태의 용기(10)에 체결되어도 본 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도2 및 도6을 참고하면 가변분사진동단은 진동자(21)를 원통유도부재(22) 상단 중심부에 고정하고, 상기 진동자의 하단부에 일정간격(A30)으로 고정유도부재(27)의 상부끝단(A40)을 위치시키며 상기 고정유도부재는 주름유도관(23) 내면에 만충되며 주름유도관(23)의 하단(A50)은 인입관로(25)와 결합되어 있어 교체유도부재(26)와 고정유도부재(27)을 연결하여 진동자까지 일정량만으로 액체가 상승되게 한다.
주름유도관내에는 흡수력이 우수한 흡수재를 충만시켜 두어서 교체유도부재에 의한 상승된 수분을 지속적으로 충만시켜 주어서 진동판으로 일정한 량이 충분히 공급되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주름유도관의 구부러짐은 직분사 방법을 적용하는 가습장치 및 발향장치에서는 토출되는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적용하면 제조 및 디자인시 다양한 구성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교체유도부재(26)의 재료는 흡수력이 강한 재질은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상시 교체가 될 수 있게 주름유도관(23)의 하단(A50)은 인입관로(25)까지 충만된 흡수재와 체결(A60)토록 하여 유지보수를 위한 교체 또는 제조시 간편성을 증가시켰다.
도3 및 도4는 가변분사진동단의 운영을 위한 위치와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외부 바람을 인입하는 강제유입구(62)을 일측면을 두고 그 반대 일측면에 토출구(61)를 두어 더 한층 강한 인입된 바람을 활용할 수 있게 하고, 강제유입구 전면에는 유입팬(63)을 두어 바람을 강제로 인입토록 한다. 강제인입구와 토출구는 발향제를 분사시키는 가변분사진동단을 중간부에 둔 일정크기의 관으로 형성하면 유입팬에 의해 인입되는 외부 바람은 인입각도 또는 케이스 각각의 일측면에서 유입시켜도 토출구로 배출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에서 운영에 대한 것으로 분사노즐인 원통유도부재(22)의 상단 중심부 진동자(21)로 에서 입입되는 일정무게로 구성된 무게추(24)로 용기 바닥면까지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흡수된 교체유도부재(26)에 의해 수분이 자연 흡수되고, 주름유도관(23)내 고정유도부재(27)로 수분을 저장하게 되며 일정량만을 진동자 아랫단에 유지시켜 진동자에 의한 일정한 떨림으로 발향된 분사제(B30)이 상슨하게 된다.
자연적인 상부 상승은 토출되는 토출구의 방향에 맞추어 형성되면 바로 배출되게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 예시로 보이는 본체와 같이 상부로만 지향하고 잇는 진동자는 분사제(B30)가 바로 토출될 수 없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주름유도관의 용도가 진동자까지 수분을 상승하게 하고 수분을 저장하는 고정유도부재(27)를 여러 방향과 위치에도 있게 할 수 있는 융통성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된 설계이다.
본 발명에서의 보호케이스의 구조에 따라 분사제(B30)을 토출구(61)로 분사하기 위해서 외부의 바람(B10)을 강제 인입하는 강제유입구(62)를 구성하고 더욱 강력한 인입을 위해 유입팬(63)을 회전시켜 내부 관로에 유입되게 한다. 인입된 바람(B10)과 분사된 분사제(A20,B30)가 혼합되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발향제(B20)를 멀리까지 보내는 토출되는 바람(B40)에 실려 나가게 된다.
또한, 상기 가변분사진동단(20)의 분사정도, 분사주기, 상태표시(ON상태, 경고불빛 또는 음성)를 처리하는 제어통제단(40) 및 상기 제어통제단(40)에 일정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50) 및 일측면에 상기 가변분사진동단(20)에서 분사되는 발향제를 토출시키는 토출구(61) 및 일정부분에 상기 제어통제단(40)를 위치시켜 상기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일정형태의 보호케이스(60)로 구성된다.
상기의 전원공급단은 건전지 타입의 배터리, 충전형 내장 배터리 또는 차량으로부터의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7에서와 같이 분사되는 발향제의 원거리 토출을 위해 토출구 내경에 일정한 각도의 헬리컬날개(64)를 구비토록 하고,
도8에서와 같이 외부에서 강제 유입되는 공기 정화를 위해 상기 강제유입구(62)와 유입팬(63) 사이에 에어크리너(66)를 구비토록 한다.
진동자 하단부에 일정한 량으로 발향제를 유입시켜 일정방향으로 발향제를 직분사하기 위한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방법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교체유도부재(26)와 고정유도부재(27)을 연결하여 진동자 하단부까지 일정량만으로 액체가 상승되게 하여 일정간격의 수분 공급과 주름유도관(23)으로 분사되는 방향을 가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방법이다.
10 : 용기
20 : 가변분사진동단
21 : 진동자
22 : 원통유도부재
23 : 주름유도관
24 : 무게추
25 : 인입관로
26 : 교체유도부재
27 : 고정유도부재
30 : 중심고정체결부
40 : 제어통제단
50 : 전원공급단
60 : 보호케이스
61 : 토출구
62 : 강제유입구
63 : 유입팬
64 : 헬리컬날개
65 : 작동스위치
66 : 에어크리너

Claims (8)

  1. 발향되는 액체를 보관하는 용기(10); 및
    진동자(21)를 원통유도부재(22) 상단 중심부에 고정하고, 상기 진동자의 하단부에 일정간격(A30)으로 고정유도부재(27)의 상부끝단(A40)을 위치시키며 상기 고정유도부재는 주름유도관(23) 내면에 만충되며 주름유도관(23)의 하단(A50)은 인입관로(25)와 결합되어 있어 교체유도부재(26)와 고정유도부재(27)을 연결하여 진동자까지 일정량만으로 액체가 상승되게 하는 가변분사진동단(20);과
    상기 가변분사진동단(20)를 용기와 고정 체결하는 중심고정체결부(30); 및
    상기 가변분사진동단(20)의 분사정도, 분사주기, 상태표시(ON상태, 경고불빛 또는 음성)를 처리하는 제어통제단(40); 및
    상기 제어통제단(40)에 일정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단(50); 및
    일측면에 상기 가변분사진동단(20)에서 분사되는 발향제를 토출시키는 토출구(61) 및 일정부분에 상기 제어통제단(40)를 위치시켜 상기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일정형태의 보호케이스(60);를 특징으로 하는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용기의 액체를 상기 교체유도부재(26)와 닿게 하여 발향제의 상승을 항상 유지하기 위한 교체유도부재(26)의 끝단에는 무게추(24)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61)의 일측면으로 강제유입구(62)와 유입팬(63)으로 외부로부터 바람을 강제 인입시켜 분사되는 발향제를 넓고 멀리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다량의 분사량을 위해 다수의 가변분사진동단(20) 및 다수의 토출구(6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분사되는 발향제의 원거리 토출을 위해 토출구 내경에 일정한 각도의 헬리컬날개(6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에서 강제 유입되는 공기 정화를 위해 상기 강제유입구(62)와 유입팬(63) 사이에 에어크리너(6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단은 건전지 타입의 배터리, 충전형 내장 배터리 또는 차량으로부터의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8. 진동자 하단부에 일정한 량으로 발향제를 유입시켜 일정방향으로 발향제를 직분사를 위한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방법에 있어서,
    일정크기의 교체유도부재(26)와 고정유도부재(27)을 연결하여 진동자 하단부까지 일정량만으로 액체가 상승되게 하여 일정간격의 수분 공급과 주름유도관(23)으로 분사되는 방향을 가변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방법
KR1020140001023A 2014-01-06 2014-01-06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81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023A KR20150081490A (ko) 2014-01-06 2014-01-06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023A KR20150081490A (ko) 2014-01-06 2014-01-06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490A true KR20150081490A (ko) 2015-07-15

Family

ID=5379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023A KR20150081490A (ko) 2014-01-06 2014-01-06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4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678B1 (ko) * 2018-10-23 2019-04-19 박길호 방향액 자연 휘산구조를 갖는 방향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678B1 (ko) * 2018-10-23 2019-04-19 박길호 방향액 자연 휘산구조를 갖는 방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7888A1 (en) Atomizing assembly for use in an aerosol-generating system
US20230020961A1 (en) Atomizing assembly for use in an aerosol-generating system
US11340045B2 (en) Cold fogger
JP2011513697A (ja) 超音波加湿器
US20110280767A1 (en) Device for decontamination by misting
KR10251357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CA2804068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improved delivery of volatile liquids
CN104923428A (zh) 美容液雾化喷涂装置
CN104226528B (zh) 雾气产生装置
JPWO2012147221A1 (ja) エアフレッシュナー
US20060116048A1 (en) Generator for encapsulating a fluid within a bubble
WO2010137503A1 (ja) ミスト発生装置
KR20150081490A (ko) 가변분사진동단을 이용한 고효율 발향 장치 및 그 방법
CN2595458Y (zh) 香液汽化喷射机
KR101869578B1 (ko) 분사 장치 및 향수와 물의 분사 방법
JP2010075913A (ja) 霧化装置
KR200485094Y1 (ko) 아로마 분사장치
US20230210168A1 (en) Device for inhaling a substance
KR101398801B1 (ko) 부표 가이드레인 및 온열단이 구비된 고효율 발향 방법 및 그 장치
JP2023529071A (ja) 物質吸入装置
KR100272973B1 (ko) 분무기와 결합된 선풍기
KR101219071B1 (ko) 음이온 첨가량과 오존 방출량 조절이 가능한 송풍식 방제기
KR970011444B1 (ko) 향료분사장치
CN206351099U (zh) 一种飘香除臭机雾化腔
CN209345871U (zh) 一种利用库伦效应的室内种植用的乳油农药喷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