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1394A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1394A
KR20150081394A KR1020140000847A KR20140000847A KR20150081394A KR 20150081394 A KR20150081394 A KR 20150081394A KR 1020140000847 A KR1020140000847 A KR 1020140000847A KR 20140000847 A KR20140000847 A KR 20140000847A KR 20150081394 A KR20150081394 A KR 20150081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play unit
unit
mobile termi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병
장인귀
김소진
임상현
박지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1394A/ko
Priority to PCT/KR2014/001429 priority patent/WO2015080344A1/ko
Publication of KR20150081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8Contents-dispensing means for drawer-and-shell-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72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닫힘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키는 열림상태로 전환 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와 결합되고, 상기 닫힘 및 열림상태의 전환에 따라 자성변화를 일으키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구비하는 커버, 상기 단말기 본체에 상기 자석과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자성변화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의 자성변화에 의하여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커버가 장착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를 감싸는 커버는 단순히 이동 단말기를 보호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다만, 열림 및 닫힘 상태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단순한 기능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의 대부분의 외관을 감싸고 있는 커버는 여전히 사용자에게 거추장스러운 악세서리에 취급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장착되는 커버에 따라 서로 다른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일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고 일 영역이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노출영역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노출영역에 대응되도록 기 설정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자석에 의한 자성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한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석이 형성된 커버부의 자석형성위치 및 상기 자석의 양극이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배치구조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자성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디스플레이부를 개폐하는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로 구현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을 노출시키는 기 설정된 형상의 윈도우창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윈도우창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윈도우창에 대응되는 이미지는 상기 윈도우창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변형된 시각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변형된 시각정보는 기 설정된 색채, 기 설정된 글꼴, 기 설정된 크기, 기 설정된 발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데이터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변경된 시각정보는 상기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로부터 선택된 일부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특정 제어시스템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특정 제어시스템에 대응되는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카메라를 개폐하는 카메라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활성여부를 선택 받는 팝업창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디스플레이부와 마주보는 일 면에 기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터치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돌기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 및 해지에 근거하여 상기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터치돌기에 의한 터치입력은 사용자의 손에 의한 터치입력과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버부의 터치돌기는 고유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닫힘상태에서, 서로 접힘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접힌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의 접힘으로써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의 노출영역에 기 설정된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출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다른 시각정보를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소리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출영역이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덮여진 후에도,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된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에 해당되고, 상기 노출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벤트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시각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 본체에 외부 장치에 의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외부장치와 관련된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는 이어폰이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정보는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어 생성된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현재 출력하고 있는 음악정보 또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케이블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시각정보는 충전상태, 충전된 정도, 완충까지의 예상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열림상태일 때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출영역에 대응되는 크기로 변형된 상기 화면정보를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부가 접힌상태를 감지하는 접힘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감지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로 변형됨이 감지되면, 상기 시각정보는 미디어 재생에 관련된 화면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기울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임이 감지되면, 복수의 화면정보를 순차적으로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닫힘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출영역 및 상기 윈도우창에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출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되는 화면정보와 관련된 이미지를, 상기 윈도우창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본체에 커버부가 장착되는 단계,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노출된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부의 노출영역에 대응되도록 기 설정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노출된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자석에 따른 자성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노출된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가 덮이는 닫힘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되는 커버의 특징이 이동 단말기에 의하여 감지되고, 상기 커버의 특징에 근거한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바, 장착되는 커버에 적용되는 이미지를 사용자의 설정없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노출영역을 형성하도록 접힘가능한 커버가 장착되는 경우, 노출영역에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출력함으로, 사용자는 간편하게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을 인한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e는 이동 단말기에 탈착가능하게 형성된 다양한 종류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장착된 커버에 근거한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f는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a 내지 도 8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장착된 커버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a 내지 도 9c는 장착된 커버부에 적용된 제어조건에 근거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a는 변형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커버부의 변형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b 및 도 10c는 커버부의 변형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부의 변형에 근거한 노출영역에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2a 내지 도 12e는 이동 단말기에 특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시각정보를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3a 내지 도 13f는 서로 다른 노출영역에 따른 서로 다른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4a 및 도 14b는 감지되는 본체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노출영역에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5a 및 도 15c는 일 영역에 이미지가 출력되는 커버부의 변형영역에 따른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감(depth)과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감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5)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5)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5)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5)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5)의 예로는 투과형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광전 센서, 미러반사형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입체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5),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5)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안경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모듈(153a), 제1카메라(121a), 제1조작유닛(131) 등이 배치되며, 측면에는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제2조작유닛(1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모듈(153a)과제1카메라(121a)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조작유닛(132, 도 3 참조),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은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홀이 윈도우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121a)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터치, 푸쉬,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31)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을 기준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31)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형성된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음향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도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2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121a,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시(123)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모듈(153b)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모듈(153b)은제1음향출력모듈(153a, 도 2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에 장착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는 제1 부재(51) 및 제2 부재(5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및 제2 부재(51, 52)을 연결하는 연결부(5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3) 형상의 변형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부재(51, 52)의 상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부재(52)의 상기 제1 부재(51)에 대한 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덮이거나 노출된다.
상기 제1 및 제2 부재(51, 52)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부 및 전면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재(51, 52)는 휘어짐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부재(51, 52)와 연결부(53)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VC, 베이클라이트(bakelite), 골판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제1 및 제2 부재(51, 52)와 연결부(53)를 구성하는 소재들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의 (a)는 상기 커버(50)의 제1 부재(51)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가 덮이는 닫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힘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비활성상태로 전환하도록 제어한다.
도 4a의 (b)는 커버(50)의 제1 부재(51)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노출되는 열림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닫힘상태에서 상기 열림상태로 전환됨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활성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열림상태 또는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도 4의 (c)는 커버(50)와 이동 단말기(100)가 분리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커버(103)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본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에 상기 배터리(191)를 덮도록 상기 커버(50)가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커버(50)의 제 2 부재(52)는 상기 이동 단말기 본체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른 디자인으로 형성되는 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원하는 커버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하,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커버를 설명한다.
도 4b 내지 도 4e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b는 디스플레이부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닫힘상태 및 열림상태로 구현 가능한 커버(60)를 도시한다.
상기 커버(60)는 닫힘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 창을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창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윈도우창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된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b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윈도우창의 크기 및 형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윈도우 창은 사각형, 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창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에 서로 다른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62)는 원형의 윈도우창을 포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62)의 닫힘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원형의 윈도우를 통하여 시계형상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c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63)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커버(63)를 통하여 가상 키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63)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 영역에 출력하는 가상 키보드가 통과하도록 반투명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커버(63)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창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가상 키보드가 형성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커버(63)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여 상기 닫힘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의 일 영역이 접힘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63)를 설명한다.
상기 커버(64)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일 부재에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접히는 일 영역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64)는 기 설정된 영역이 변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64)의 일 영역이 변형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노출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0b 내지 도 15b를 참조한다.
도 4e는 디스플레이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e의 (a)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범퍼형(bumper type) 커버(65)를 도시한다. 상기 범퍼형 커버(65)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를 보호한다.
한편, 도 4e의 (b)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형태의 커버(66)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66)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된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 본체에 원하는 커버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커버를 감지하고, 상기 커버에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커버에 따른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장착된 커버에 근거한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커버부(51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100)에 장착된다(S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노출도면 디스플레이부의 노출영역을 감지한다(S20).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센서(141)에 의하여, 상기 닫힘상태에서 상기 커버부(510)에 형성된 자석(511)에 의한 자성변화를 감지된다(S21).
여기에서 상기 감지센서(141)는 홀 센서(Hall IC)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또는 홀소자)는 자계(자성)의 검출과 계측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일종으로 홀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자계를 검출하고, 그 크기에 비례한 아나로그(Analogue)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홀 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지센서(141)는 상시 활성화되되는 타입과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펄스구동되는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41)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커버에 형성된 자석(511)에 의하여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도 7a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커버(510)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버(510)에 형성된 자석(511)에 의한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에 이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영역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30).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변화가 발생된 위치에 근거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S22).
도 7a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커버(510)는 기 설정된 영역의 제1 윈도우창(5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윈도우창(512)은 상기 제1 커버(510)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덮도록 형성되는 부재의 일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윈도우창(512)은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커버(510)의 전면의 오른쪽 하부에 형성된 자석의 자성변화가 상기 감지센서(141)에 의하여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윈도우창(512)에 의하여 기 설정된 제1 이미지(6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이미지(61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이미지(610)는 현재 시각, 현재 날씨, 현재 위치에 관한 시각정보, 수신된 이벤트에 관한 시각정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610)의 크기는 상기 제1 윈도우창(5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커버(510)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기 설정된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6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1 이미지(610)는 상기 감지센서(141)에 의하여 감지되는 자성변화에 대응된다.
한편, 도 7a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커버(520)는 제2 윈도우창(5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윈도우창(522)는 상기 제2 커버(520)의 일 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윈도우창(522)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520)는 제2 자석(52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자석(521)은 상기 제1 자석(511)과 서로 상이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자석(511)은 상기 닫힘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141)와 중첩되는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자석(512)은 상기 닫힘상태에서 상기 감지센서(141)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닫힘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자석에 의하여 상기 감지센서(141)가 감지하는 자성변화는 서로 상이하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커버(510)에 의하여 감지된 자성변화와 다른 자성변화가 상기 제2 자석(521)에 의하여 감지되면, 상기 제1 이미지(610)와 다른 제2 이미지(62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2 이미지(620)는 상기 제1 이미지(610)와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보에 대하여 서로 다른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610, 620)는 현재시각정보를 포함하나, 제1 이미지(610)는 숫자로서, 제2 이미지(620)는 시계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미지(620)는 출력되는 형태도 상기 제1 이미지(610)와 상이하며, 상기 제2 이미지(620)는 상기 제2 윈도우창(522)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2 이미지(620)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커버(52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닫힘상태가 되면, 상기 제2 자석(521)에 의한 자성변화를 감지하고, 원형으로 이루어진 제2 이미지(62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다만, 기 설정된 시간이 흐르거나, 디스플레이부(151)를 비활성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비활성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1 이미지 또는 제2 이미지의 출력도 제한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610, 620)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나머지 영역이 비활성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나머지 영역도 기설정된 시간동안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되지만,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610, 620)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윈도우창(512, 52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본체의 전면 및 후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전면에 윈도우창을 포함하는 타입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커버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에는 상기 윈도우창이 형성되지 아니하는 폴리오 케이스(Folio case), 한쪽이 접히는 형상의 케이스, 본체의 측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범퍼 케이스, 본체의 후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타입의 케이스, 카메라의 렌즈를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타입의 케이스, 방수/방진 케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141)가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상의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자석의 위치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자석은 양면이 N극 및 S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N극과 S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덮는 커버의 내면과 외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여, 윈도우창이 없는 커버부를 감지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4 커버부(540)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면, 상기 감지센서(141)에 의하여 상기 제4 커버부(540)에 구비되는 제4 자석(541)의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센서(14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전면센서(140c)와 이동 단말기의 후면에 근접하도록 배치된 후면센서(140d)를 포함한다. 상기 제4 커버부(54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를 덮도록 형성되는 일 부재에 배치되는 제4 자석(541)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센서(140c)와 상기 후면센서(140d)는 상기 제4 커버부(540)에 형성된 자석의 자성변화를 각각 감지한다. 예를 들어, 도 7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힘 상태일 때 상기 전면센서(140c)는 상기 후면센서(140d)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상기 제4 자석(541)의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도 7b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4 커버부(540)가 열림상태인 경우, 상기 제4 자석(541)의 자성변화를 상기 전면센서(140c) 및 후면센서(140d) 모두 감지하지 못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화면정보는 홈스크린 페이지(Home screen page)에 해당될 수 있다.
도 7b의 (d)는 상기 제4 커버부(540)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덮도록 형성되는 일 부재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전면센서(140c)와 상기 후면센서(140d)는 상기 제4 자석(540)를 각각 감지한다. 상기 전면센서(140c)와 상기 후면센서(140d)는 상기 제4 자석(540)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자성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기 설정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시각정보는 동영상 재생화면, 또는 사용자가 최근에 사용하였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썸네일뷰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에 포함되는 자석의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부(151)는 서로 다른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별도의 제어명령의 입력없이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c는 자석이 형성되는 위치에 근거하여 감지센서부(145)가 감지하는 자성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c를 참조하여, 자석의 양극에 의한 서로 다른 자성변화를 설명한다.
도 7c의 (a)를 참조하면, 자석(501)의 N극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주보는 커버부(500)의 내부면을 바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자석(501)의 S극은 상기 커버부(500)의 외부면을 바라보도록 형성된다. 상기 감지센서(141)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하는 자석에 의한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도 7c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에 두 개의 자석이 형성된 경우에 상기 감지센서(141)는 상이한 자성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디스이동 단말기를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는 두 자석의 극이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이한 자성변화를 형성하게 된다.
다만, 두 개의 자석의 배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의 자석 모두 N극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마주보도록 배치되거나, 2개의 자석 모두 S극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자석의 개수도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자석을 이용하여 자석의 개수의 제곱수 만큼의 자성변화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서로 다른 자성변화가 감지되면, 상이한 커버가 장착되었음을 인식하고, 상기 감지된 자성변화에 따른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잇다.
도 7c의 (c)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커버하는 커버부(500)의 일 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을 노출시키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후면에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상기 감지센서(141)는 S극이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경우의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완전히 노출되고, 상기 커버부(500)의 일 면이 이동 단말기의 후면과 완전히 중첩된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은 자성변화가 감지된 경우, 기 설정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와 같은 자성변화가 계속적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비활성상태로의 전환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c의 (d)를 참조하여 커버부의 일 영역이 절곡가능한 커버에 형성된 자성변화를 감지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는 사용자의 가압에 의하여 커버부재의 일 영역이 구부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는 기 설정된 영역이 접히도록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홈을 기준으로 상기 커버부(500)의 일 영역이 다른 영역과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커버부(500)를 접을 수 있으며, 상기 자석은 상기 접히는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141)는 상기 커버부(500)의 일 영역이 절곡되면 상기 자석의 움직임에 따른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500)의 일 영역이 다시 실질적으로 평평한 상태로 전환되면, 다시 변경된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시각정보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도 7c의 (e)를 참조하면, 상기 절곡된 상기 커버부(500)의 일 영역이 상기 커버부(500)의 다른 영역과 중첩되도록 변형되면, 상기 감지센서(141)는 반대극이 인접하게 형성된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센서(141)에 의하여 감지된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일 영역이 다른 영역과 중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이 노출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c의 (f)는 도 7c의 (a)의 자석의 배치방향과 반대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센서감지(145)는 도 7c의 (a)의 커버와 도 7c의 (f)의 커버를 서로 다른 종류의 커버로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500)에 장착된 자석(501)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서로 다른 커버가 장착되었음을 감지하거나, 커버의 일부가 변형되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이 노출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d는 이동 단말기에 형성된 복수의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커버부를 구별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c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서로 이격되도록형성된 제1 및 제2 센서(145a, 145b)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센서(145a, 145b)는 상기 이동.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윈도우창(51)에 대응되는 제1 이미지단말기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7d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커버부(510)는 닫힘상태에서 상기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기준으로 왼쪽 상부에 형성된 제1 자석(5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부(510)는 사각형 형상의 제1 윈도우창(5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부(510)가 상기 이동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제1 센서(145a)는 상기 제1 자석(511a)의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제2 센서(145b)도 상기 제1 자석(511a)에 의한 자성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나, 상기 제1 센서(145a)보다 미세하게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센서(145a)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제1 자석(511a)의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커버는 사각형 제1 윈도우창(512)을 포함하는 제1 커버부(510)로 인식한다 (6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도 7d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원형의 제2 윈도우창(522)을 구비하는 제2 커버부(52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기준으로 왼쪽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2 자석(521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커버부(520)가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제2 센서(145b)는 상기 제2 자석(521b)의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센서(145b)에 의하여 감지되는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를 제2 커버부(520)로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윈도우창(522)에 대응되는 제2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도 7d의 (d)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 본체의 후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가 노출되는 타입)되는 제3 커버부(53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후면과 인접한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오른쪽 하단부에 배치되는 제3 자석(531)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센서(145a, 145b)는 상기 제3 자석(531)의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제3 자석(531)에 따른 자성변화는 도 7d의 (b) 및 (d)의 감지센서가 감지하는 자성변화와 상이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장착된 커버를 제3 커버부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3 커버부(63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으로 출력되는 제3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자석의 자성변화를 이동 단말기의 서로 다른 위치에 장착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커버부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기 설정된 이미지 또는 정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서로 다른 커버에 대응되는 색으로 이루어진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진 화면정보는 출력되는 화면정보의 기본색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팝업창의 색, 가상 키보드의 색깔, 상태표시 바의 색깔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적용되는 색깔은 사용자 또는 이동 단말기의 생산자에 의하여 상기 커버의 색과 유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커버부가 서로 다른 컬러로 형성되고, 서로 다른 컬러로 형성된 커버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자석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센서부(145)에 의하여 서로 다른 자성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자성변화에 대응되는 색을 적용하여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커버를 이동단말기에 장착하는 경우, 각 커버에 적용된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커버에 따른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커버의 디자인에 적합한 시각효과가 적용된 시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커버와 이동 단말기의 일체감 및 이에 따른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각 실시예에 따른 효과 작성)
도 7e를 참조하여, 서로 다른 커버가 장착된 경우, 동일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7e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윈도우창이 포함되는 제1 커버부(510), 이동 단말기의 측면만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범퍼형의 제5 커버부(550) 및 측면 및 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형태의 제3 커버부(530)의 장착이 가능 한다.
도 7e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커버부(510)가 장착되면, 상기 센서부(141)에 의하여 상기 제1 커버부(510)가 장착되었음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수신된 이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상기 윈도우창에 대응되는 일 영역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수신된 이벤트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 등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커버부(510)가 장착된 상태, 특히 닫힘 상태인 경우, 상기 윈도우창에 상기 이벤트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5 이미지(66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도 7e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5 커버부(550)가 장착된 상태를 인식하고, 상기 수신된 이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6 이미지(66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상기 이벤트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시각정보는 상기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시각정보는 메시지에 대한 간략한 내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제5 커버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시키고, 홈스크린 페이지(901)와 상기 제6 이미지(661)를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화면정보는 홈스크린 페이지(90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이전에 출력하였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이미지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151)의 기 설정된 일 영역만을 활성화시켜 상기 제6 이미지(661)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e의 (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커버부(530)이 장착되었음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이벤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5 이미지(66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홈 스크린페이지(901)를 상기 제5 이미지(660)와 함께 출력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f는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일 부재의 교체가 가능한 커버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도 7f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50)의 제1 부재 (51)가 분리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느나,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제1 및 제2 부재(51, 52)를 탈착 가능한 상태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윈도우창이 서로 다른 형태로 형성된 커버의 제1 부재를 교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직사각형 형태의 윈도우창이 형성되는 커버의 제1 부재를 원형 윈도우창이 형성되는 커버의 제1 부재로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2 부재는 교체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제1 부재의 형태를 선택적으로 이동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부재가 다른 형태로 교체되면 이를 감지하고, 상기 윈도우창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장착된 커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센서부는 상기 커버가 장착되면 상기 커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 설정된 형태의 커버가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바로 실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이벤트가 수신된 경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커버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시각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 커버에 대응되는 설정에 따른 시각정보를 제공받거나, 커버의 형상에 적용된 시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제3 및 제5 커버부는 도면에서 도시한 형태의 커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윈도우창이 형성되지 아니하는 폴리오 케이스(Folio case), 한쪽이 접히는 형상의 케이스, 본체의 측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범퍼 케이스, 본체의 후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타입의 케이스, 카메라의 렌즈를 개폐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타입의 케이스, 방수/방진 케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커버에 형성되는 자석의 자성변화를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하고,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의 형태 및 종류를 감지하는 구성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커버부의 일 영역에 형성되고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하는 터치돌기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커버부의 형태 및 커버부의 변형을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b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장착된 커버부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여, 커버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의 종류를 감지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버부(5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덮는 일 부재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주보는 일면에 형성되는 터치돌기(54)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돌기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돌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입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터치돌기는 정전터치 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비활성상태로 전환되어, 화면정보가 출력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도 상기 터치돌기(54)의 접촉에 의한 전류값을 변화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돌기(54)에 의하여 접촉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터치영역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또는 다른 터치입력기구,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펜 등)에 의한 터치영역(A)과 구별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사용자의 손에 의한 터치영역(A) 보다 상기 터치돌기(54)에 의한 터치영역이 좁도록, 상기 터치돌기(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떠라, 상기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 의한 터치입력과 구별되는 터치입력에 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커버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8a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돌기(54)들은 기 설정된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부(510)가 디스플레이부(151)를 덮는 닫힘상태로 구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터치돌기(54)에 의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윈도우창(512)에 제1 이미지(6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상기 제1 커버부(510)와 다른 형태의 커버는 다른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의 터치돌기(5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의 윈도우창을 포함하는 커버는 다른 형태의 터치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다른 형태로 배치된 터치돌기(54)에 의한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원형 윈도우창에 대등되는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한편, 도 8a의 (c) 및 (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터치돌기(54)에 의하여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닫힘상태에서 상기 윈도우창(512)를 통하여, 제4 이미지(64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1 및 제4 이미지(610, 640)는 서로 구별되는 이미지에 해당된다.
즉, 상기 도 8a의 (a) 및 (c)는 실질적으로 같은 형태이나, 구별되는 커버로 이우어져 있고, 각 커버에 형성되는 복수의 터치돌기(54)의 배열형태가 상이하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는 닫힘상태에서 감지되는 터치돌기(54)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즉, 사용자는 각 커버에 따라서 상기 윈도우창(512)을 통하여 출력되는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부가 장착되고 열림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커버부에 대응되는 조건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부가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돌기에 의한 터치입력이 인가되는 후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커버부에 대응되는 조건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커버부를 장착한 뒤, 상기 터치돌기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입력을 인가한 후, 상기 커버부에 설정된 조건에 의한 시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여, 감지되는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열림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b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자석(511)은 상기 커버부(510)의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덮는 일 부재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커버부(510)의 열림상태에서 제1 밝기가 적용된 홈 스크린 페이지(901)를 출력한다.
상기 감지센서(141)는 닫힘상태에서 상기 제1 커버부(510)의 일 영역에 형성된 제1 자석(511)에 의한 자성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커버부(510)에 의하여 열림상태가 되면, 상기 제1 밝기와 다른 제2 밝기가 적용된 홈 스크린 페이지(90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커버부(510)와 대응되는 조건으로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조건은 밝기, 해상도, 텍스트를 출력하기 위한 글꼴, 색채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닫힘상태가 되면 상기 커버부에 포함된 터치돌기 또는 자석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에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조건을 인식하고, 상기 제어조건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조건은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거나, 가상의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도록 저장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자석의 자성변화 또는 터치돌기에 의한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두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버부를 감지하는 구성 및 이동 단말기가 커버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을 생락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커버부를 감지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감지부로 지칭한다.
또한, 상기 제어조건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제어조건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루는 모든 구성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커버부가 장착된 경우, 음향출력부를 음소거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장착된 커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센서부는 상기 커버가 장착되면 상기 커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커버부에 대응되는 제어조건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장착된 커버부에 적용된 제어조건에 근거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9a를 참조하여, 장착된 커버부에 따른 화면정보의 출력형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a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2 커버부가 장착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커버부의 형태를 인식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커버부(520)가 장착되면, 홈 스크린 페이지(901)를 기 설정된 밝기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커버부(520)가 장착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화면정보를 어둡게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부에 대응되도록 기 설정된 밝기로 디스플레이부(151) 상이 화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선호하는 출력밝기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위치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사용자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화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밝기가 설정된 커버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 9a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제3 커버부(530)룰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커버부(530)가 장착되었음이 감지되면, 상기 화면정보에 포함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기 설정된 출력조건에 근거하여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커버부(530)가 장착되면,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901)에 포함된 아이콘 및 텍스트 등의 크기를 확장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사람들이 이동 단말기를 공유하는 경우 커버부에 의하여 사용자를 변경하고, 각 사용자에 적합한 형태의 화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장착된 커버부에 근거하여 제어 시스템을 변경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어떠한 커버도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를 게스트모드(guest mode)로 활성화시킨다. 상기 게스트 모드에서는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만이 구동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게스트 모드에 대응되는 제1 홈 스크린 페이지(901)와 함께 제1 모드표시(guest mode(902a))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커버부(530)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었음이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되면, 상기 제어시스템을 상기 제3 커버부(530)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시스템으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커버부(530)의 사용자가 JOHN으로 지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JOHN의 제어시스템을 구동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홈 스크린 페이지(901)와 다른 제2 홈 스크린 페이지(903)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903)은 상기 제3 커버부(530)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형성된 화면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커버부(530)가 이동 단말기의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동안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의 결과를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또는 가상의 서버)를 제어한다. 즉, 도면에서 상기 제2 홈 스크린 페이지(903)은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커버부(530)가 장착되면, 이로서 특정 사용자의 시스템으로 이동 단말기를 구동할 것임을 알리는 제2 모드표시(JOHN Login, 902b)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커버를 장착한 뒤, 상기 커버가 장착되었을 때의 제어시스템에 대한 조건 및 사용자의 아이디(또는 이름, 식별번호 등)을 상기 커버와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커버부(530)의 장착이 해지되면, 자동으로 상기 게스트 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시스템을 변경하기 위하여 설정된 비밀번호 등을 입력할 필요없이, 서로 구별되는 커버부를 장착하여 이동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이동 단말기를 서로 다른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여, 커버부에 따른 특정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6 커버부(56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후면 카메라(121)를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덮개부 및 상기 카메라덮개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카베라(121)의 보호를 위하여, 상기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를 덮도록 상기 카메라덮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감지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본체에 상기 제6 커버부(560)가 장착되었음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6 커버부(560)가 장착되면,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한 팝업창(604)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팝업창(604)은 상기 카메라덮개부가 상기 카메라(121)를 덮고 있는 경우, 상기 카메라(121)를 자동으로 OFF시키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를 사용하려면 카메라덮개부를 열도록 알려주는 알림정보를 상기 팝업창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카메라덮개부를 포함하는 제6 커버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121)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케메라(121)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시각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서로 다른 형태 및 서로 다른 구성을 갖는 커버가 장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커버의 종류, 형태 및 커버에 매칭된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커버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각각 설정하지 않고도 기 저장 또는 기 설정된 제어조건으로 이동 단말기를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를 장착되는 커버로 구별하여 여러 사람이 사용하거나 구별되는 여러 모드로 이동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자성변화 및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커버의 종류를 구별하거나, 커버의 열림상태 또는 닫힘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자성변화 및 터치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그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커버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장착된 커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센서부는 상기 커버가 장착되면 상기 커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버가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의 변형에 근거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a는 변형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커버부의 변형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b 및 도 10c는 커버부의 변형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부의 변형에 근거한 노출영역에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a 및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커버부에 의한 닫힘상태를 감지한다(S11). 도 10b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덮는 상기 커버부(710)의 일 부재에 형성된 터치돌기(712)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터치입력을 인가하는지 여부에 의하여 판단할 수 있다. 도 10b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부(710)의 단부에 형성된 자석(713)에 의한 자성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커버부(710)의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부는 상기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가장 먼저 떨어지는 영역에 해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닫힘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일 영역의 변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일부 노출을 감지한다(S23). 도 11b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변형영역(711)이 변형됨으로 상기 변형영역에 형성되는 터치돌기(712)에 의한 터치입력이 해지되었음을 감지하고, 상기 변형영역(711)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일 영역이 노출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의 (b)를 참조하면, 상기 변형영역(711)에 형성된 자석의 이동에 따른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변형영역(711)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이 노출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710)는, 상기 변형영역(711)과 나머지 영역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변형감지센서(7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형감지센서(714)는 상기 변형영역(711)이 나머지 영역으로부터 접히게 되면, 상기 변형감지센서(714)가 상기 접히는 영역에 대응되도록 변형된다(절곡된다). 상기 변형감지센서(714)는 상기 변형상태 및 변형정도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변형감지센서(714)가 상기 커버부의 변형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710)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상기 감지된 변형에 대한 제어신호를 전기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단자(미도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후면부 및 상기 후면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의 일 부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변형감지센서(714)는 피에조센서 또는 밴딩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피에조 센서는 특정방향으로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전기를 발생시키는 성질을 갖는 물질이다. 즉, 상기 피에조 센서는 상기 변형영역(711)이 나머지영역으로부터 변형된 경우, 전기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발생된 전기에 근거한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변형감지센서(714)가 밴딩센서인 경우를 도 10c의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밴딩센서는 기 설정된 감지패턴을 포함하고, 변형되는 힘에 따른 감지패턴의 변형형태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패턴의 변형에 의하여 상기 저항값이 변경된다. 상기 밴딩센서는 ??은 전기절연물 베이스 상에 격자모양의 저항선 또는 포토에칭 가공된 저항박을 형성하고, 이에 인출선을 연결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c의 (b)의 두 번째 도면에서 가늘고 길게 변형된 경우 저항값이 상승되고, 세번째 도면에서 굵고 짧게 변형된 경우 저항값은 감소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밴딩센서에 근거하여 커버부가 변형된 방향 및 변형정도를 출력된 저항값에 의하여 예측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장착된 커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센서부는 상기 커버가 장착되면 상기 커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도 11a이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부의 변형영역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영역에 근거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한다(S31). 상기 노출영역은 상기 변형영역의 일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1a을 참조하여, 상기 나머지 영역을 제1 영역(710a)으로 정의하고, 상기 변형영역을 제2 영역(710b)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커버부(710) 중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일 부재는 서상대적으로 절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영역(710a, 710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덮이는 닫힘상태에서 상기 제2 영역(710b)는 상기 제1 영역(710a)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기준으로 절곡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자성변화의 감지를 이용하거나,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하는 터치돌기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커버부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하나의 커버부에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710a, 710b)의 경계에는 상기 제2 영역(710b)의 변형을 가이드 하도록 직선형태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힘을 가하여 기 설정된 형태의 제2 영역(710b)을 변형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커버부가 변형이 쉬운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영역을 변형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노출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인지를 감지하고, 상기 노출영역에 제1 화면정보(8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도 11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영역(710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오른쪽 일 영역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된다. 다만, 상기 제2 영역(710b)의 형상 및 상기 제2 영역(710b)에 의한 노출영역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화면정보(810)는 이동 단말기의 구동상태를 알리거나, 기 설정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화면정보(810)는 이동 단말기의 알림모드를 알리는 아이콘, 저장된 알람모드를 알리는 아이콘, 통신상태에 대응되는 아이콘 및 수신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노출영역은 터치입력을 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도 11a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정보(810)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제2 화면정보(820)를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화면정보(820)는 현재 음향출력부(153)에 의하여 출력되도록 재생되는 음악에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a의 (b) 및 (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알림모드를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변경된 알림모드를 알리는 아그래픽 이미지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나, 상기 제1 영역(710a)에 의하여 가려진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은 비활성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다만, 커버부의 터치돌기에 의한 터치입력을 감지하고 있는 상태). 또한, 상기 제2 영역(710b)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영역이 커버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노출영역을 비활성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부를 열림상태로 전환하지 아니하고,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을 노출시켜, 필요한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이동 단말기의 각 기능을 보다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여, 수신된 이벤트에 관련된 시각정보를 노출영역에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영역(710b)에 의한 노출영역에 수신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화면정보(8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이미지는 상기 수신된 이벤트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이벤트에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부재중 통화에 대한 그래픽 이미지가 제1 화면정보(810)에 포함된 경우,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콜을 수신한 외부 단말기의 식별인자를 제3 화면정보(830)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화면정보(830)는 상기 식별인자에 콜을 송신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그래픽 이미지(Call)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화면정보(810)에서 수신된 이벤트를 선택하여,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에 인가된 터치입력에 따라 콜을 송신하고, 상기 제2 영역(710b)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151)가 덮여진 상태에서, 상기 콜의 송신을 계속적으로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노출영역의 터치입력에 의하여 실행된 기능을 상기 덮힘상태에서도 계속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영역(710b)이 상기 제1 영역(710a)과 중첩된 상태로 고정가능한 경우, 상기 노출영역이 정의되는 동안에만 상기 기능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수신된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뿐만 아니라, 이에 관련된 기능을 닫힘상태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1c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수신된 이벤트의 세부정보를 포함하는 제4 화면정보(840)를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화면정보(840)는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정보로서, 텍스트 또는 이미지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c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노출영역에 인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세부정보를 계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텍스트로 이루어진 문자 메시지에 대한 정보인 경우, 상기 노출영역에 한번에 출력되지 못하는 정보는 상기 노출영역에 인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의 터치범위에 근거하여, 나머지 텍스트(841)를 계속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벤트에 대한 간단한 정보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도 11c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부(710)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가 열림상태가 되면, 상기 제3 화면정보(830)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9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즉, 사용자가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중에, 디스플레이부(151)를 모두 노출시키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단계 없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실행화면을 바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1d는 닫힘상태에서 상기 커버부를 투과하여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커버부(710)의 일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가 투과하도록 반투명하게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영역(710b)이 투광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710b)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이 노출되면, 화면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710b)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덮이게 되면, 상기 투광성 재질을 상기 제2 영역(710b)를 투과하여 상기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2 영역(710b)으로 덮힌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투과하여 화면정보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영역(710b)에 의하여 덮이는 경우,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버부의 상기 닫힘상태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지연되는 경우 상기 제2 영역(710b)를 통하여 출력되는 화면정보를 차단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닫힘상태에서도 커버의 일 영역을 통하여 화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장착된 커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센서부는 상기 커버가 장착되면 상기 커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도 12a 내지 도 12e는 이동 단말기에 특정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에 따른 시각정보를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콜 신호에 따른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콜이 수신되는 중에, 상기 제2 영역(710b)에 근거하여 노출영역이 형성되면, 상기 노출영역에 상기 수신된 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알림정보(85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알림정보(851)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식별번호(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영역은 상기 수신된 콜을 연결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상기 제어부(180)는 노출영역에 인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콜을 연결하거나, 상기 콜의 수신을 보류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입력에 의하여 콜이 연결되면, 상기 제2 영역(710b)에 의하여 닫힘상태가 되어도 외부 단말기와 콜 연결상태를 지속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알림에 대한 제2 알림정보(852)를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는 푸시(Push) 알림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 날씨정보를 알려주는 애플리케이션에 해당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알림정보(852)는 실시간 날씨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2b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열림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2 알림정보(852)와 무관한 홈스크린 페이지(90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다만, 홈 스크린 페이지(90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실행되었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제어명령의 수신이 일부 제한되는 잠금화면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화면정보가 될 수 있다.
한편, 도 12b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노출영역이 형성된 이후에, 사용자에 의하여 열림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2 알림정보(852)와 관련된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제2 알림정보(852)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노출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따라서,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열림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노출영역에 출력된 시각정보와 관련된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노출영역에서 선택하고, 추가적인정보를 열림상태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알람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알람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된 데이터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을 알리는 알림정보, 달력 애플리케이션에 저장된 일정정보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알림음을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153)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알림음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노출영역이 형성되면, 상기 제3 알림정보(853)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알림정보(853)을 출력하는 노출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알림음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15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도시된 알림정보를 제공받고, 출력되는 알림 데이터(알림음, 진동)를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만을 노출시켜 알림정보들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의 전영역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d 및 도 12e를 참조하여, 연결되는 외부장치에 의한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2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170)에 연결되는 이어폰을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폰의 삽입이 감지된 후, 상기 제2 영역(710b)에 의한 노출영역에 제2 이미지(82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이미지(820)는 이어폰에 의하여 출력되는 소리정보에 관련된 화면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이미지(820)는 현재 이어폰을 통하여 출력되는 음악에 관한 정보와 음악 재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그래픽 이미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영역(710b)이 다시 디스플레이부(151)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도,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폰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음악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2d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어폰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연결된 후, 상기 노출영역에 상기 이어폰으로 소리가 출력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821)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아이콘(821)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는 이어폰과 관련된 정보를 노출영역에 간편하게 제공받고, 간단한 제어명령을 노출영역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12e를 참조하여, 충전 케이블이 이동 단말기에 연결된 경우, 충전정보를 출력하는 제5 화면정보(850)를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충전 케이블이 연결되었음을 인식한 후에, 상기 노출영역이 형성되면, 상기 노출영역에, 현재 충전중인 상태 및 충전된 정도, 완충될때 까지 걸리는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노출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충전을 정지, 해지하거나, 충전을 실행시키도록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충전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51) 전체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낭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장착된 커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센서부는 상기 커버가 장착되면 상기 커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f는 서로 다른 노출영역에 따른 서로 다른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3a를 참조하여, 상기 커버부의 서로 다른 변형영역에 따라 형성되는 노출영역들을 설명한다. 도 13a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는 변형가능한 제1 내지 제3 변형영역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변형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덮는 일 부재의 오른쪽 단부가 접힘으로서 형성된다. 제2 변형영역은 상기 일 부재의 오른쪽 상부 모서리가 기 설정된 각도로 접힌 형태에 해당되고, 상기 제3 변형영역은 상기 일 부재의 오른쪽 하부 모서리가 기 설정된 각도로 접힌 형태에 해당된다.
상기 각 변형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제1 영역(710a), 상기 제1 변형영역을 제2 영역(710b), 상기 제2 변형영역을 제3 영역(710c) 및 상기 제3 변형영역을 제4 영역(710d)로 정의한다. 상기 각 영역들의 경계에는 사용자의 변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변형영역 내지 제3 변형영역에 의하여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노출영역은 제1 내지 제3 노출영역으로 정의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각 영역의 변형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부의 재질, 커버부의 크기 및 각 영역간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덮는 형태로서,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로 구현가능한 종류의 커버이면 제한이 없다.
도 13a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노출영역에는 제1 시각정보(811)가 출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시각정보(811)는 현재 이동 단말기의 구동상태 및 수신된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노출영역에는 제2 시각정보(812)가 출력된다. 상기 제2 시각정보(812)는 새로이 수신된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노출영역에는 제3 시각정보(813)가 출력되고, 상기 제3 시각정보(813)는 현재 출력중인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시각정보(811, 812, 813)서로 구별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부의 복수의 영역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노출영역으로 형성되었는지 감지하고, 각 노출영역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서로 다른 형태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의 시각정보로서, 서로 다른 노출영역들 중 하나의 노출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메시지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제1 노출영역에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텍스트를 출력하거나, 제2 노출영역에 메시지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출력하거나, 상기 제3 노출영역에 메시지를 송신한 외부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양한 위치 및 형태의 노출영역을 형성하여, 원하는 정보를 보다 간편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여, 노출영역에 출력된 시각정보를 열림상태에서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3b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3 영역(710c)의 변형에 근거하여 상기 제2 노출영역에 상기 제2 시각정보(812)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열림상태에서, 기 설정된 홈 스크린 페이지 중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포함된 페이지(90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아이콘은 상기 이벤트의 수신에 관련된 뱃지(bedge)를 포함한다.
도 13b의 (a)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열림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9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실행화면(910)은 상기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수신된 이벤트의 종류를 확인하고, 원하는 경우 추가적인 정보를 열림상태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3c 및 도 13d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형영역에 따라 노출영역에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3c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는 제1 내지 제3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은 상대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변형을 가이드 하도록 일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170a, 170b, 170c)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70a)에 의한 제1 노출영역은 상기 제2 영역(170b)에 의한 제2 노출영역에 포함되며, 상기 제3 영역(170b)이 변형되면 디스플레이부(151) 전체가 노출되는 열림상태로 구현된다.
도 13c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영역(170a)의 변형에 의하여 제1 노출영역이 형성되면, 상기 제1 노출영역에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901)를 전체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전체적으로 출력되는 홈 스크린 페이지의 크기를 변형시켜 상기 제1 노출영역에 출력한다.
도 13c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노출영역에 변형된 크기의 홈 스크린 페이지(90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애플리케이션 등을 실행시키고,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의 크기를 상기 형성된 노출영역에 대응되도록 변형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좁은 영역의 디스플레이부(151)만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여러 영역으로 변형이가능한 커버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의 출력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3d를 참조하여, 노출영역에 대응되는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노출영역에 상기 홈 스크린 페이지 중 상기 제1 노출영역(151'')에 대응되는 제1 출력영역(901'')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 출력영역(901'')은 제1 밝기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제2 노출영역(151')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2 노출영역(151')에 대응되는 제2 출력영역(901')를 제1 밝기보다 밝은 제2 밝기로 출력한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어두운 곳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커버부를 이용하여 좁은 노출영역을 형성하고, 보다 어두운 밝기로 시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두운 환경을 조성하는 사용자의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감소할 수 있다.
도 13e를 참조하여, 커버부의 변형상태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710)는 절곡가능하도록 형성된 변형영역을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받침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지면으로부터 비스듬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열림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일 영역이 변형되었음을 감지한다.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변형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부의 변형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 설정된 영역의 변형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제6 화면정보(86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6 화면정보(860)는 미디어 재생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부(710)의 일 영역이 계속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선택된 미디어 파일 등을 재생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커버부의 일 영역이 변형됨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제어할 것으로 예상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원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3f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다른 커버부의 변형에 근거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13f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720)는 제1 내지 제3 영역(720a, 720b, 720c)로 정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720a, 720b)는 각각 나머지 영역에 대하여 접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720a, 720b, 720c)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내지 제3 영역(720a, 720b, 720c)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영역(720a)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1 노출영역에 상기 제7 화면정보(87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7 화면정보(87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애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은 디스플레이부(151)의 전면으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지 아니하고도 제어할 수 있는 것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720b)에 의한 제2 노출영역은 상기 제1 노출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노출영역이 형성되면, 제8 화면정보(88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8 화면정보는 수신된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나열한 바(bar)형상의 상태표시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영역을 포함하는 커버부에 의하여 각 노출영역에 대응되는 시각정보를 출력하거나, 시각효과를 부여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정보를 닫힘상태에서 간편하게 제공받거나, 간단한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장착된 커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센서부는 상기 커버가 장착되면 상기 커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감지되는 본체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노출영역에 출력되는 시각정보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4a를 참조하여 변형영역에 따른 디스플레이부 상의 화면정보의 전환을 설명한다. 도 14a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710b)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 상의 일 영역이 노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실행화면들을 겹쳐진 상태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실행화면들이 책장이 넘어가는 형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실행화면들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실행화면의 일 영역이 순차적으로 넘어가는 듯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4a의 (b) 및 (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710b)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가 노출되면, 상기 실행화면들이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는 형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영역(710c)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부가 노출되면, 상기 실행화면들이 서로 중첩되고, 각 실행화면들의 더 많은 영역이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의 노출정도를 조절하여 현재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b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커버부의 변형영역인 제2 영역(710b)에 의하여 형성된 노출영역에 제1 화면정보(8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정보(810)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상기 노출영역과 가까운 이동 단말기의 일 모서리와 마주보는 타 모서리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각도(예각)로 회전이동하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울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1 화면정보(810)를 제6 화면정보(860)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6 화면정보(860)는 상기 제1 화면정보(810)와 다른 정보에 해당되면 되고, 제6 화면정보(860)에 포함되는 정보에는 제한이 없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기울여진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복수의 화면정보들을 상기 노출영역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로 다른 정보가 책의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넘겨지는 듯한 미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울어진 각도가 심할수록 상기 화면정보가 전환되는 속도가 더욱 빨리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 본체가 실질적으로 지면과 수평인 상태로 유지되면, 또는 기울어진 정도가 최초의 위치로 복원되면, 복원되는 시점의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가능한 화면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장착된 커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센서부는 상기 커버가 장착되면 상기 커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c는 일 영역에 이미지가 출력되는 커버부의 변형영역에 따른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730)은 닫힘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창(731), 제1 영역(730a)를 기준으로 접힘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151)의 노출영역을 형성하는 제2 영역(730b)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창(731)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은 기 설정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영역(730b)에 의하여 형성된 노출영역에 제1 화면정보(8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윈도우창(731)으로 이미지를 계속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노출영역에 상기 제1 화면정보(810)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화면정보(810)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화면정보(810)의 적어도 일부와 관련되는 관련 이미지(680)를 상기 윈도우창(731)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은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미지를 상기 관련이미지(680)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노출영역에 포함된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열림상태로 전환하지 아니하고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5b는 일부 영역에 이미지가 출력되는 커버부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5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부(710)는 상기 제1 및 제2 영역(710a, 71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710a, 710b)는 기 설정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상기 이미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로부터 출력되는 빛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닫힘상태에서 상기 커버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영역(710b)에 의한 노출영역에 상기 제1 화면정보(8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제어부(180)는 상기 노출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영역(710a)을 통하여 이미지를 계속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일 영역에 의하여 화면정보를 제공받는 중에도 기 설정된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설정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의 변형에 근거한 노출영역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미지의 출력을 제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여, 변형영역이 윈도우창을 포함하는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730)는 상기 윈도우창(731), 상기 제1 및 제2 영역(730a, 73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영역(730a, 730b)은 모두 상기 윈도우창(731)의 일 영역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2 영역(730b)의 변형에 위하여 상기 윈도우창(731)도 변형되게 된다. 상기 닫힘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윈도우창(731)에 대응되는 일 영역에 기 설정된 이미지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영역(730b)의 변형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노출영역에 상기 제1 화면정보(8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미지의 크기를 상기 제1 영역(730a)에 포함된 윈도우창(521)의 일 영역에 대응되도록 변형시킨 변형 이미지(61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윈도우창에 포함되는 정보를 그대로 제공받으면서, 노출영역에 출력되는 화면정보 또한 제공받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 단말기는 장착된 커버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센서부는 상기 커버가 장착되면 상기 커버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커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방법으로 이동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커버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9)

  1. 일면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분리가능하고 일 영역이 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노출영역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노출영역에 대응되도록 기 설정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자석에 의한 자성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한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석이 형성된 커버부의 자석형성위치 및 상기 자석의 양극이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배치구조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자성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디스플레이부를 개폐하는 열림상태 및 닫힘상태로 구현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 영역을 노출시키는 기 설정된 형상의 윈도우창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윈도우창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창에 대응되는 이미지는 상기 윈도우창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변형된 시각정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변형된 시각정보는 기 설정된 색채, 기 설정된 글꼴, 기 설정된 크기, 기 설정된 발기 중 적어도 하나가 적용된 데이터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수신된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변경된 시각정보는 상기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로부터 선택된 일부 정보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특정 제어시스템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고,
    상기 특정 제어시스템에 대응되는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외부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카메라를 개폐하는 카메라덮개부를 더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성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의 활성여부를 선택받는 팝업창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커버부의 디스플레이부와 마주보는 일 면에 기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터치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돌기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 및 해지에 근거하여 상기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돌기에 의한 터치입력은 사용자의 손에 의한 터치입력과 구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버부의 터치돌기는 고유의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닫힘상태에서, 서로 접힘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접힌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영역의 접힘으로써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부의 노출영역에 기 설정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출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다른 시각정보를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소리 데이터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출영역이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덮여진 후에도,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된 이벤트에 관련된 정보에 해당되고,
    상기 노출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벤트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시각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 본체에 외부 장치에 의한 제어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와 관련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이어폰이 연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정보는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어 생성된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현재 출력하고 있는 음악정보 또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실행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케이블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시각정보는 충전상태, 충전된 정도, 완충까지의 예상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열림상태일 때 기 설정된 화면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출영역에 대응되는 크기로 변형된 상기 화면정보를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부가 접힌상태를 감지하는 접힘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힘감지센서에 근거하여 상기 커버부의 일 영역이 기 설정된 각도로 변형됨이 감지되면, 상기 시각정보는 미디어 재생에 관련된 화면정보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의 기울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임이 감지되면, 복수의 화면정보를 순차적으로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닫힘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윈도우창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출영역 및 상기 윈도우창에 대응되는 영역에 각각 화면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출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노출영역에 출력되는 화면정보와 관련된 이미지를, 상기 윈도우창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7.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본체에 커버부가 장착되는 단계;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노출된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커버부의 노출영역에 대응되도록 기 설정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노출된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자석에 따른 자성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노출된 영역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디스플레이부가 덮이는 닫힘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40000847A 2013-11-29 2014-01-03 이동 단말기 KR20150081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847A KR20150081394A (ko) 2014-01-03 2014-01-03 이동 단말기
PCT/KR2014/001429 WO2015080344A1 (ko) 2013-11-29 2014-02-21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847A KR20150081394A (ko) 2014-01-03 2014-01-03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394A true KR20150081394A (ko) 2015-07-14

Family

ID=53793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847A KR20150081394A (ko) 2013-11-29 2014-01-03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139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965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장치 및 그 보호 방법
WO2017142135A1 (ko) * 2016-02-15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015435B2 (en) 2015-12-18 201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8147589A1 (en) * 2017-02-07 2018-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90036184A (ko) * 2017-09-27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 장착된 외부 장치의 상태에 따라 무선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506197B2 (en) 2015-12-18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228669B2 (en) 2018-10-17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ccording to folding angle and method thereof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9965A (ko) * 2015-08-13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를 보호하는 보호 장치 및 그 보호 방법
US11223793B2 (en) 2015-12-18 2022-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956566B2 (en) 2015-12-18 2024-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506197B2 (en) 2015-12-18 2019-1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778935B2 (en) 2015-12-18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588997B2 (en) 2015-12-18 202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32889B2 (en) 2015-12-18 2019-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32890B2 (en) 2015-12-18 2019-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447962B2 (en) 2015-12-18 2019-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089258B2 (en) 2015-12-18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015435B2 (en) 2015-12-18 201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880512B2 (en) 2015-12-18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805573B1 (en) 2015-12-18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917606B2 (en) 2015-12-18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dio-visua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7142135A1 (ko) * 2016-02-15 201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8147589A1 (en) * 2017-02-07 2018-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379625B2 (en) 2017-02-07 2019-08-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1545849B2 (en) 2017-09-27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wireless charging according to state of external device mounted to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90036184A (ko) * 2017-09-27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에 장착된 외부 장치의 상태에 따라 무선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228669B2 (en) 2018-10-17 2022-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pplication according to folding angl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1394A (ko) 이동 단말기
KR10180689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16013172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590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124710A (ko) 폴리오 케이스 및 이동 단말기
KR2016000942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423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8808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6001914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2629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3494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0837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8046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2653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386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861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25864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529933B1 (ko) 이동 단말기
KR20160068534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4104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0586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294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7002527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55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7367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