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837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837A
KR20150080837A KR1020140000346A KR20140000346A KR20150080837A KR 20150080837 A KR20150080837 A KR 20150080837A KR 1020140000346 A KR1020140000346 A KR 1020140000346A KR 20140000346 A KR20140000346 A KR 20140000346A KR 20150080837 A KR20150080837 A KR 20150080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row
horizontal curvature
colum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456B1 (ko
Inventor
송현철
이규응
최인완
김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456B1/ko
Priority to US14/459,804 priority patent/US9304539B2/en
Priority to EP14187928.8A priority patent/EP2892045B1/en
Priority to CN201410578639.8A priority patent/CN104766539B/zh
Publication of KR20150080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837A/ko
Priority to US15/052,425 priority patent/US1002534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어도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가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어도 두 지점에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진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구조를 개선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분야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각 사용 분야에서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단순히 화상을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특성뿐만 아니라 입체감, 몰입감 등을 고려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시청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어도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가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어도 두 지점에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진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1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수평 곡률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서보다 상기 제2 방향에서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더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수평 곡률은,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중앙 부분에서부터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수평 곡률은, 상기 제1 방향에서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과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수평 곡률은,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중앙 부분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제1 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제1 열이라고 할 때,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행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수평 곡률 차이를 제1 차이라 하고, 상기 제1 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수평 곡률 차이를 제2 차이라 하면, 상기 제1 차이가 제2 차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1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복수 개의 가상 영역으로 구획하면 적어도 두 개의 가상 영역에서 서로 다른 수평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행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는 제1 열과,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행에서 상기 제1 열의 수평 곡률이 상기 제2 열의 수평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행은,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행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열의 수평 곡률이 상기 제1 열의 수평 곡률보다 작고 상기 제2 열의 수평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열은, 복수 개의 제3 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 열은 상기 제1 열로부터 상기 제2 열로 향하면서 수평 곡률이 점점 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행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는 제1 열과,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행에서 상기 제1 열의 수평 곡률보다 상기 제2 열의 수평 곡률이 더 클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제1 행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행 및 상기 제2 행은 각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는 제1 열과,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행의 상기 제1 열의 수평 곡률이 상기 제1 행의 상기 제1 열의 수평 곡률과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행의 상기 제2 열의 수평 곡률이 상기 제1 행의 상기 제2 열의 수평 곡률과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제1 행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행 및 상기 제2 행은 각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는 제1 열과,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행에서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의 수평 곡률 차이를 제1 차이라 하고, 상기 제1 열에서 상기 제1 행과 상기 제2 행의 수평 곡률 차이를 제2 차이라 할 때, 상기 제1 차이가 상기 제2 차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가변 부재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가변 부재가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가변 부재의 상기 수평 곡률은 중앙 부분에서 가장자리 부분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평면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가변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보다 가장자리 부분에서 더 작아지도록 상기 가변 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경사진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가변 부재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 부재는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 사이에 상기 가변 부재를 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곡면 상태인 제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이 적어도 두 지점(또는 두 개의 가상 영역)에서 서로 다른 곡률(일 예로, 제1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의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 부분을 상대적으로 많이 만곡되도록 하여 중앙 부분에서 더 큰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하여 몰입감을 향상하면서도, 가장자리 부분을 상대적으로 적게 만곡되도록 하거나 만곡되지 않도록 하여 가장자리 부분이 시청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의 위치를 최적화하여, 제1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이 중앙 부분과 같거나 그보다 큰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변형이 전체적으로 잘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가변 부재의 개수를 줄이고 패널 구동부의 설치 위치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 및 가변 부재가 제2 상태일 때의 수평 곡률(또는 수평 곡률 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영역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영역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영역이 다른 영역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영역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영역이 다른 영역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영역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영역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영역이 다른 영역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영역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디스플레이 패널(12)(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20)와, 가변 부재(20)에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 변화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구동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면을 덮는 후면 커버(40)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료, 화상 등을 볼 수 있도록 화면으로 나타내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서, 텔레비전, 컴퓨터의 모니터, 휴대폰, 전자책(e-book) 등의 다양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실질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4)와, 지지 부재(14)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은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며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져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형상이 변화할 수 있는 패널이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라 함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박막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밝고 선명한 화질을 가지고 시야각에 의한 제한이 없으며 전력 소모가 적은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특히, 유기물 박막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적용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지지한다. 또한 지지 부재(14)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을 구동하며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 구동부 및 가변 부재(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 패널 구동부, 가변 부재(20)가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할 때는 형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특성, 탄성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열적 스트레스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유사한 수준의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4)는 강화 수지 등의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소재라 함은 두 종류 이상의 물질을 인위적으로 결합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지도록 한 재료이다. 일례로, 복합 소재는 탄소 섬유 강화 수지(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유리 섬유 강화 수지(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등의 강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플라스틱에 의하여 가볍고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다양한 섬유 형태의 보강재에 의하여 높은 강도, 탄성,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14)는 단일의 복합 소재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우수한 강도를 위하여 복수 개의 복합 소재층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 부재(14)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접착제(일례로,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14)는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 변화에 따라 지지 부재(14)의 형상도 이에 대응하여 동일하게 변형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전달된 힘 또는 에너지에 의하여 서로 일체화된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지지 부재(14)가 서로 동일한 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과 지지 부재(14)가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14)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 구동부는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다양한 배선, 소자 등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러한 회로 기판은 브라켓(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하여 지지 부재(14)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일례로, 브라켓은 중앙 부분에서만 지지 부재(14)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을 변화시킬 때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 구동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패널 구동부는 가변 부재(2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지지 부재(14)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부가 더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장자리를 보강 및 보호하는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0) 상에 후면 커버(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부의 형상, 프레임부와 후면 커버(40)의 고정 구조 등은 다양한 구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좀더 상세하게는, 지지 부재(14))의 후면에는 제1 방향(디스플레이 패널(12)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하 방향, 도면의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지지 부재(14)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16)가 위치할 수 있다. 보강 부재(16)는 지지 부재(14)는 제1 방향으로 길게 이어져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디스플레이 패널(12)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 도면의 x축 방향)에 수직한 단면(도면의 yz 단면)에서 곡률(수직 곡률)을 가지지 않고 편평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보강 부재(16)로는 강도를 향상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구조, 방식에 의하여 지지 부재(14)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 부재(16)에 의하여 수직 곡률을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수직 곡률을 가져서 몰입감을 좀더 향상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좀더 상세하게는, 지지 부재(14))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부재(20)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 부재(20)는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 및 설명에서는 가변 부재(20)가 제1 및 제2 부분(21, 22)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가변 부재(20)가 세 개 이상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인접한 두 개의 부분에 대해서 후술할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21, 22)은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길게 이어지는 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힘을 좀더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부분(21, 22)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부분(21, 22)은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할 때 함께 형상이 변화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힘을 가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부분(21, 22)은 복합 소재, 일례로 강화 수지(CFRP, GFRP 등)을 포함하는 층을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물질로 제1 및 제2 부분(21, 22)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가변 부재(20)와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장자리 쪽보다 중앙부 쪽에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가변 부재(20)의 중앙쪽 부분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후방으로 좀더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가변 부재(20)의 제1 및 제2 부분(21, 22)은 편평한 형상을 가지고, 중앙쪽 부분이 후방으로 좀더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과 경사지게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가변 부재(20)의 형상이 변화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곡면 상태로 변형할 때 좀더 쉽게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변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가 밴드 형상의 제1 및 제2 부분(21, 22)만으로 구성되고, 구동부(30)가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가변 부재(20)의 형상을 변형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 부재(20)가 단순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구동부(30)에 의하여 형상 변화가 효과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단부는 구동부(30)에 고정되거나, 구동부(30)에 접촉하여 구동부(30)에 연동하도록 연결되거나, 또는, 지지 부재(14)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부분(21, 22)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단부는 지지 부재(14)에 고정되고,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내측 단부(즉,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에서 서로 인접하는 단부)는 구동부(30)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다.
좀더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단부는 체결 부재(26)에 의하여 지지 부재(14)에 고정된다. 일례로, 지지 부재(14)에 팸 너트(도시하지 않음) 등이 위치할 수 있고, 팸 너트 및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단부의 체결 홀(26a)에 스크루, 볼트 등의 체결 부재(26)를 체결하여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단부를 지지 부재(14)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팸 너트와 스크루, 볼트 등을 이용하면 간단하고 쉽게 체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14)와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단부의 고정 구조로는 다양한 방식,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내측 단부와 구동부(30)의 연결 구조 등은 구동부(30)의 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0)를 설명한 후에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내측 단부와 구동부(30)의 연결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및 제2 부분(21, 22)은 지지 부재(14)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28)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쳐짐 등의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제1 및 제2 부분(21, 22)이 지지 부재(14)에 대하여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 부재(28)는, 지지 부재(14)와 일정한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부 부분(28a)과, 상부 부분(28a)으로부터 절곡되어 지지 부재(14)에 인접하는 측면 부분(28b)을 포함한다. 측면 부분(28b)은 체결 부재(28c)에 의하여 지지 부재(14)에 고정된다. 일례로, 지지 부재(14)에 팸 너트(도시하지 않음) 등이 위치할 수 있고, 팸 너트 및 측면 부분(28b)의 체결 홀에 스크루 등의 체결 부재(28c)를 체결하여 가이드 부재(28)와 지지 부재(14)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팸 너트와 스크루를 이용하면 간단하고 쉽게 체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14)와 가이드 부재(28)의 고정 구조로는 다양한 방식,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28)는 불필요한 가변 부재(20)(즉,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변형을 방지하여 가변 부재(20)의 형상 변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형이 더 많이, 더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부재(28)가 없는 경우에는 구동부(30)에 의하여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면, 제1 부분(21)의 내측 단부(중앙쪽 단부)와 제1 부분(21)의 외측 단부(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단부) 사이에서 제1 부분(21)이 뒤쪽으로 볼록하게 변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앞으로 미는 힘이 크지 않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부분(22)의 내측 단부와 제2 부분(22)의 외측 단부 사이에서 제2 부분(22)이 뒤쪽으로 볼록하게 변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앞으로 미는 힘이 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가변 부재(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정되는 지점이 3개(제1 부분(21)의 외측 단부, 제2 부분(22)의 외측 단부,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이 구동부(30)를 통하여 지지 부재(14)에 연결된 부분)에 불과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을 균일하게 변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 본 실시에에서 가이드 부재(28)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부분(21) 또는 제2 부분(22)이 뒤로 볼록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 및 제2 부분(21, 22)을 앞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므로,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 사이의 거리 증가에 의한 변형을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앞으로 미는 힘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가변 부재(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최소 5개의 지점(제1 부분(21)의 외측 단부, 제2 부분(22)의 외측 단부,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이 구동부(30)를 통하여 지지 부재(14)에 연결된 부분, 제1 부분(21)을 고정하는 가이드 부재(28), 제2 부분(22)을 고정하는 가이드 부재(28))에서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을 더 많이, 더 균일하게 변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변 부재(20)와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이의 거리는 중앙부 쪽으로 갈수록 커지므로 가이드 부재(28)의 측면 부분(28b)의 높이도 중앙부 쪽으로 향하면서 커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및 제2 부분(21, 22)이 가이드 부재(28)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지지되면서도 자유롭게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가이드 부재(28)가 제1 및 제2 부분(21, 22) 각각에 대하여 한 개씩 위치한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의하여 가이드 부재(28)의 개수를 줄여 제조 단가를 절감하고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부분(21, 22) 각각에 대하여 가이드 부재(28)가 두 개 이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부분(21, 22) 각각에 대하여 가이드 부재(28)가 복수 개 위치하면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처짐 현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30)는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켜 가변 부재(20)의 전체적인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 사이의 거리를 늘리면 가변 부재(20)의 전체적인 길이(즉, 제1 부분(21)의 길이, 제2 부분(22)의 길이, 그리고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 사이의 거리의 합)가 길어지면서 가변 부재(20)의 곡률이 커지도록 변형된다. 그러면 가변 부재(20)의 가장자리 쪽 단부가 고정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양쪽 단부가 앞으로 돌출되도록 밀리게 되고,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이 곡면 상태로 변형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적어도 일부가 곡률을 가지도록 전체적으로 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이 변화하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2)까지의 거리가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에서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할 수 있다. 곡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각 부분에서의 곡률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반대로,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 사이의 거리를 다시 줄이면 가변 부재(20)의 전체적인 길이가 줄면서 가변 부재(20)의 곡률이 커진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이 평면 상태로 복원된다. 이에 의하여 몰입감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뉴스 시청 등)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키는 구동부(30)는, 회전 에너지를 공급하는 회전 구동 부재(31)와, 회전 에너지를 직선 운동 에너지로 변화하기 위한 나사산(351, 352)을 구비하는 리드 스크루 부재(35)와, 리드 스크루 부재(35) 상에서 직선 이동하는 이동 부재(3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30)는 회전 구동 부재(31)의 회전 에너지의 회전축 방향을 변환하는 기어 부재(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 부재(31)는 회전 에너지를 공급하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의 구동 부재일 수 있다. 일례로, 회전 구동 부재(31)는 모터(311)를 포함할 수 있고, 모터(311)의 속도를 줄여 회전 에너지를 좀더 크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감속기(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속기(313)를 사용하면 모터(311)의 크기 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때, 감속기(313)의 감속비는 1:2 내지 1:300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는 모터(311)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가변 부재(20)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는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로 한정된 것이다. 그러나 모터(311)의 종류, 구동부(30)의 구조, 방식 등에 의하여 감속기(313)의 감속비가 변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변형 예로, 감속기(313)의 감속비는 1:1일 수도 있다.
기어 부재(33)는 회전 구동 부재(31)의 회전축의 방향을 변환한다. 일례로, 회전 구동 부재(31)의 회전축은 디스플레이 모듈(10)과 평행하면서 가변 부재(20)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한다. 기어 부재(33)는 회전축 방향을 가변 부재(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변형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어 부재(33)는 베벨 기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기어 부재(33)는 원추 형상을 가지는 제1 및 제2 기어 부재(331, 333)을 포함하여 회전 구동 부재(31)의 회전축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때, 기어 부재(33)는 직선 베벨 기어, 곡선 베벨 기어, 제롤 베벨 기어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베벨 기어 방식을 가지는 기어 부재(33)를 사용하면 낮은 출력에 의하여 쉽게 구동할 수 있고 높은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어 부재(33)에 의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리드 스크루 부재(35)는 기어 부재(33)에 고정되어 가변 부재(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리드 스크루 부재(35)에는 왼 나사 및/또는 오른 나사 구조의 나사산(351, 35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분(21)에 인접한 리드 스크루 부재(35)의 제1 측에 제1 나사산(351)이 형성되고, 제2 부분(22)에 인접한 리드 스크루 부재(35)의 제2 측에 제2 나사산(352)이 형성된다. 제1 나사산(351)과 제2 나사산(352)은 나사 방향이 서로 반대될 수 있다. 즉, 제1 나사산(351)이 오른 나사이면 제2 나사산(352)은 왼 나사이고, 제1 나사산(351)이 왼 나사이면 제2 나사산(352)이 오른 나사이다.
이동 부재(37)는, 제1 나사산(351)을 따라 이동하며 제1 부분(21)에 연결되는 제1 이동 부재(371)와, 제2 나사산(352)을 따라 이동하며 제2 부분(22)에 연결되는 제2 이동 부재(372)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는 내면에 제1 및 제2 나사산(351, 352)에 계합되는 너트부(370a)를 구비하는 관통공을 구비한다. 이에 의하여 제1 이동 부재(371)의 너트부(370a)가 리드 스크루 부재(35)의 제1 나사산(351)에 위치하고, 제2 이동 부재(372)의 너트부(370a)가 리드 스크루 부재(35)의 제2 나사산(352)에 위치한다. 이에 의하여 리드 스크루 부재(35)가 회전하면 제1 및 제2 나사산(351, 352)과 결합되어 위치하는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가 직선 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나사산(351)과 제2 나사산(352)의 나사 방향이 서로 반대되므로, 회전 구동 부재(31)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이동 부재(371)와 제2 이동 부재(37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의 너트부(370a)의 양쪽에는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부재(374)가 고정되는 가이드 관통공(370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에 각기 제1 및 제2 부분(21, 22)이 끼워지는 홈(370c)이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제1 이동 부재(371)에 제1 부분(21)이 고정될 수 있고, 제2 이동 부재(372)에 제2 부분(22)이 고정될 수 있다. 제1 부분(21)이 제1 이동 부재(37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체결 부재(370d)에 의하여 제1 부분(21)과 제1 이동 부재(371)가 서로 고정되고, 제2 부분(22)이 제2 이동 부재(372)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체결 부재(370d)에 의하여 제2 부분(22)과 제2 이동 부재(372)가 서로 고정된다. 일례로, 제1 이동 부재(371)와 제1 부분(21)에 형성된 체결 홀(370e)에 스크루, 볼트 등의 제1 체결 부재(370d)를 체결하여 제1 이동 부재(371)와 제1 부분(21)을 고정하고, 제2 이동 부재(372)와 제2 부분(22)에 형성된 체결 홀(370e)에 스크루, 볼트 등의 제2 체결 부재(370d)를 체결하여 제2 이동 부재(372)와 제2 부분(22)을 고정한다. 스크루, 볼트 등의 제1 또는 제2 체결 부재(370d)를 사용하면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와 제1 및 제2 부분(21, 22)을 단순한 구조에 의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371)의 일측에는 리드 스크루 부재(35)의 제1 측의 일측(중앙 부분쪽)에 위치하는 제1 브라켓(371a)이 위치하고, 제1 이동 부재(371)의 타측에는 리드 스크루 부재(35)의 제1 측의 타측(바깥 부분쪽)에 위치하는 제2 브라켓(371b)이 위치한다. 유사하게, 제2 이동 부재(372)의 일측에는 리드 스크루 부재(35)의 제2 측의 일측(중앙 부분쪽)에 위치하는 제1 브라켓(372a)이 위치하고, 제2 이동 부재(372)의 타측에는 리드 스크루 부재(35)의 제2 측의 타측(바깥 부분쪽)에 위치하는 제2 브라켓(372b)이 위치한다.
이때, 제1 브라켓(371a, 372a)은 회전 구동 부재(31)의 회전축이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베어링 부재의 역할과 리드 스크루 부재(35)의 축과 회전 에너지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커플링 부재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브라켓(371a, 372a)에는 리드 스크루 부재(35)가 통과하는 너트부(3710a)와, 가이드 부재(374)가 고정되는 가이드 관통공(371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371b, 372b)에도 리드 스크루 부재(35)가 고정되는 스크루 고정부(3710a)와, 가이드 부재(374)가 고정되는 가이드 관통공(3710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브라켓(371a, 371b)(372a, 372b)은 다양한 구조, 방식에 의하여 지지 부재(14)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부재(14)에 팸 너트가 위치하고, 제1 및 제2 브라켓(371a, 372b)(372a, 372b)의 체결 홀(3710e)을 관통하여 팸 너트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3710d)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가변 부재(20) 및 구동부(30)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변 부재(20) 및 구동부(30)는 디스플레이 패널(12)(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가변 부재(20)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제1 가변 부재(210)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하부 부분에 위치하는 제2 가변 부재(220)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가변 부재(20)가 중앙 부분에서 하나만 위치할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 부분의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이와 같이 가변 부재(20)가 복수 개로 구비되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가변 부재(210, 220)가 각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하여 변형이 일어나기 어려운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변형이 원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가변 부재(210)와 제2 가변 부재(220)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이 공간에 패널 구동부를 위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변 부재(20)를 하나만 구비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구조를 단순화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대면적화되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3개 이상의 가변 부재(20)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가변 부재(20)의 후면에는 후면 커버(40)가 위치한다. 후면 커버(40)는 패널 구동부 등의 구성이 위치할 공간을 제공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 패널 구동부 등을 외부 충격으로 보호한다. 또한, 후면 커버(40)는 패널 구동부 등을 덮어서 외부에서 내부 구성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후면 커버(40)는 전체적으로 완곡한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커버(4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할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 변화를 방해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보호하고 외관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 변화를 도 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IV-IV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평면 상태인 제1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가 제1 브라켓(371a, 372a)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그러면,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작은 제1 거리(L1)를 가지게 된다. 이때, 가변 부재(20)의 제1 및 제2 부분(21, 22)은 편평한 형상을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0)과 경사지게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가변 부재(20)가 여러 번 변형을 하는 경우에도 가변 부재(20)가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2)(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평면 상태를 가지는 제1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곡면 상태인 제2 상태로의 변화를 위한 명령을 제공하면, 회전 구동 부재(31)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어 부재(33)에 의하여 회전축이 가변 부재(2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변환되어 리드 스크루 부재(35)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이동 부재(371)와 제2 이동 부재(372)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이동 부재(371)에 고정된 제1 부분(21)과 제2 이동 부재(372)에 고정된 제2 부분(22)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가 제2 브라켓(371b, 372b)에 도달하면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가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에 의하여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이 상대적으로 큰 제2 거리(L2)를 가지는 상태로 고정된다. 그러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부분(21)의 길이, 제2 부분(22)의 길이, 그리고 제2 거리(L2)의 합인 가변 부재(20)의 전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면서 가변 부재(20)가 곡률을 가지도록 굽혀지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제1 방향(디스플레이 패널(12)의 상하 방향, 도면의 y축 방향)과 수직한 단면(디스플레이 패널(12)이 바닥과 수직하게 위치할 경우 바닥면과 수평인 단면, 도면의 xz 평면)에서 곡률(이하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굽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2) 또한 곡률을 가지면서 곡면 상태인 제2 상태로 변화된다.
사용자가 평면 상태인 제1 상태로의 변화를 위한 명령을 제공하면, 회전 구동 부재(31)가 제1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여 리드 스크루 부재(35)를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 이동 부재(371)와 제2 이동 부재(37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 이동 부재(371)에 고정된 제1 부분(21)과 제2 이동 부재(372)에 고정된 제2 부분(22)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가 제1 브라켓(371a, 372a)에 도달하면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가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에 의하여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거리(L1)를 가지는 상태로 고정된다. 그러면, 제1 부분(21)의 길이, 제2 부분(22)의 길이, 그리고 제1 거리(L1)의 합인 가변 부재(20)의 전체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평면 상태인 제1 상태로 복원된다.
상술한 설명에서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이라 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원격 조정하는 장치(예를 들어, 리모트 콘트롤러) 등을 조작하거나, 일정한 동작을 하는 것(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동자의 변화, 또는 사용자의 박수)에 의하여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명령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의 자체 형상을 직접 변형하는 것이 아니라,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가변 부재(20)의 전체적인 형상을 변화시킨다. 이에 의하여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서도 제1 및 제2 부분(21, 22)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 상에 제1 및 제2 부분(21, 22)이 직접 연결되어 작은 에너지에 의하여 쉽게 가변 부재(20)를 변형할 수 있다. 또한, 곡면 상태로의 변환뿐만 아니라 평면 상태로의 복원 시에서 제1 및 제2 이동 부재(371, 372)가 제1 및 제2 부분(21, 22)에 힘을 가하여 제1 및 제2 부분(21, 22)을 당겨주게 된다. 이에 의하여 평면 상태로의 복원 또한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30)의 회전 에너지를 이동 부재(37)의 이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의 거리를 변화시킨다. 이에 의하여 마찰이 생기는 부분을 최소화하여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제1 부분(21)과 제2 부분(22)의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부(30의 회전 구동 부재(31)의 회전 에너지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가변 부재(20)의 변형 정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형상 필요에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하면서 변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평면 상태인 제1 상태와 곡면 상태인 제2 상태로의 변화를 위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 예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을 가지는 제1 곡면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큰 곡률을 가지는 제2 곡면 상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서로 다른 곡률 경향을 가지는 상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2)이 그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는 상술한 가변 부재(20)에 의하여 제1 및 제2 상태를 가지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2)(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형상이 변화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상태에서 가변 부재(20) 및/또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적어도 두 지점에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12) 및 가변 부재(20)가 제2 상태일 때의 수평 곡률(또는 수평 곡률 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은, 적어도 두 지점에서 서로 다른 곡률(일 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참고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평 곡률이라 함은 제1 방향(디스플레이 패널(12)의 수직 방향, 도면의 y축 방향)에 수직하는 단면(도면의 xz 단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전방을 향하여 구부러진 곡률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상태에서 제1 방향과 교차(일 예로, 직교)하는 제2 방향(디스플레이 패널(12)의 좌우 방향, 도면의 x축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보다 가장자리 부분에서 더 작은 수평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태에서 수평 곡률 반경은 제2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보다 가장자리 부분에서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수평 곡률 반경이라 함은 수평 곡률에 의한 곡률 반경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곡률의 차이는 구동부(30)가 중앙 부분에 위치하여 가변 부재(20)의 제1 및 제2 부분(31, 32)을 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은 상대적으로 큰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어(즉, 좀더 많이 만곡되어) 사용자의 몰입감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거나 수평 곡률을 가지지 않도록 편평하게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과 마주하지 않는 사용자도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안정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에 마주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2)가 만곡되면 몰입감을 향상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으로 벗어난 위치에 위치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대적으로 큰 수평 곡률을 가지게 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 부분이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거나 사용자의 시청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 부분의 수평 곡률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안정적인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수평 곡률을 가지거나 수평 곡률을 가지지 않도록 하여 몰입감을 향상하면서도 안정적인 시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상태에서의 수평 곡률은 제2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 부분을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그러면, 제2 상태에서 상하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수평 곡률(또는 수평 곡률 반경) 차이가 있더라도 시청자가 이를 감지하거나 이에 의하여 시청에 불편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상태에서 제1 방향(디스플레이 패널(12)의 상하 방향, 도면의 y축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중앙 부분과 같거나 그보다 큰 수평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태에서 제1 방향의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 부분의 수평 곡률 반경이 중앙 부분의 수평 곡률 반경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 또는 상태를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20)가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제1 가변 부재(210) 및 하부 부분에 위치하는 제2 가변 부재(220)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변 부재(20)가 제1 및 제2 가변 부재(210, 220)를 포함하면, 형상 변화가 어려울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상부 가장자리 또는 하부 가장자리에서의 형상 변화를 안정적으로 유도하면서도 제1 및 제2 가변 부재(210, 220) 사이 공간에는 패널 구동부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제1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 또 하나의 가변 부재(20)가 위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변 부재(20)의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제1 방향에서의 수평 곡률(또는 수평 곡률 반경)의 차이로부터 가변 부재(20)가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사용자의 좌우 위치는 크게 변할 수 있지만,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사용자의 상하 위치의 변화는 그리 크지 않은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제1 방향에서의 가장자리 부분의 수평 곡률을 크게 하여도 사용자의 시청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제1 방향에서의 가장자리 부분의 수평 곡률을 크게(또는 수평 곡률 반경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좀더 향상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의 안정적 시청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제2 상태에서의 수평 곡률은 제1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가장자리 부분을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그러면, 제2 상태에서 제1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수평 곡률(또는 수평 곡률 반경) 차이가 있더라도 시청자가 이를 감지하거나 시청에 불편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상태에서 제2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수평 곡률 차이(또는 수평 곡률 반경)의 차이(특히,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을 지나는 부분에서의 차이)를 제1 차이라 하고, 제1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수평 곡률 차이(또는 수평 곡률 반경)의 차이(특히,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을 지나는 부분에서의 차이)를 제2 차이라 하면, 제1 차이가 제2 차이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몰입감, 시청 방해 등과 같은 특성에 제2 방향에서의 수평 곡률(또는 수평 곡률 반경) 차이가 좀더 큰 의미를 가지므로 제1 차이를 제2 차이보다 크게 하여 몰입감을 향상하면서도 시청 방해는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을 복수의 가상 영역으로 구획하면, 적어도 두 개의 가상 영역에서 서로 다른 평균 수평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즉, 일정한 크기의 복수 개의 가상 영역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2)을 정의하고, 가상 영역 각각에서의 평균 수평 곡률을 수평 곡률로 볼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가상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을 포함하면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제1 행(111)과, 제1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좀더 구체적으로는,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면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행(1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행(111) 및 제2 행(112)은 각기 디스플레이 패널(10)의 중앙을 포함하는 제1 열(101)과, 제2 방향에서의 디스플레이 패널(10)의 가장자리(좀더 구체적으로,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열(10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열(101)과 제2 열(102)에 적어도 하나의 제3 열(103)이 위치할 수 있고, 특히, 제3 열(103)이 복수 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상태에서 제1 행(111)에서 제1 열(101)의 수평 곡률이 제2 열(102)의 수평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행(111)의 제1 열(101)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1 수평 곡률 반경(R1)을 가지고, 제1 행(111)의 제2 열(102)은 제1 수평 곡률 반경(R1)보다 큰 제2 수평 곡률 반경(R2)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평 곡률 반경(R1)은 1,000mm 내지 6,000mm일 수 있고, 제2 수평 곡률 반경(R2)은 제1 수평 곡률 반경(R1)보다 크면서 5,000nm 이상일 수 있다. 제1 수평 곡률 반경(R1)이 1,000nm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중앙 부분에서 너무 많이 만곡되어 시청자에게 불편함을 수 있다. 제1 수평 곡률 반경(R1)이 6,000nm를 초과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만곡에 의한 몰입감 향상의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제2 수평 곡률 반경(R2)이 5,000nm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너무 많이 만곡되어 사용자의 안정적인 시청이 어려울 수 있다. 제2 수평 곡률 반경(R2)의 상한은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수평 곡률 반경(R2)이 무한대의 값을 가져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 부분은 곡률 없이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수평 곡률 반경(R1, R2)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상태에서, 제1 행(111)에서는 제3 열(103)이 제1 열(101)의 수평 곡률보다 작고 제2 열(102)의 수평 곡률보다 큰 수평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수평 곡률은 제1 열(101)에 인접한 제3 열(103)로부터 제2 행(102)에 인접한 제3 열(103)로 가면서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즉, 제2 상태에서 제1 행(111)의 제3 열(103)은 제1 수평 곡률 반경(R1)보다 크고 제2 수평 곡률 반경(R2)보다 작은 제3 곡률 반경(R31, R32, R33)를 가질 수 있다. 이때, R31은 제1 수평 곡률 반경(R1)보다 크고 R32보다 작은 값을 가지고, R32는 R31보다 크고 R33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R33는 R31보다 크고 제2 수평 곡률 반경(R2)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태에서 제1 행(111)에서는 제1 열(101)에 인접한 제3 열(103)로부터 제2 열(102)에 인접한 제3 열(103)로 향하면서 수평 곡률 반경이 R31, R32, R33로 점점 더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상태에서 제2 행(112)에서 제1 열(101)의 수평 곡률이 제2 열(102)의 수평 곡률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 행(112)의 제1 열(101)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4 수평 곡률 반경(R4)을 가지고, 제2 행(112)의 제2 열(102)는 제4 수평 곡률 반경(R4)보다 큰 제5 수평 곡률 반경(R5)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수평 곡률 반경(R4)은 500mm 내지 5,500mm일 수 있고, 제5 수평 곡률 반경(R5)은 제4 수평 곡률 반경(R4)보다 크면서 6,000nm 이상일 수 있다. 제4 수평 곡률 반경(R1)이 500nm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중앙 부분에서 너무 많이 만곡되어 시청자에게 불편함을 수 있다. 제4 수평 곡률 반경(R4)이 5,500nm를 초과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만곡에 의한 몰입감 향상의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 제5 수평 곡률 반경(R5)이 6,000nm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너무 많이 만곡되어 사용자의 안정적인 시청이 어려울 수 있다. 제5 수평 곡률 반경(R5)의 상한은 한정되지 않으며, 제5 수평 곡률 반경(R5)이 무한대의 값을 가져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 부분은 곡률 없이 편평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4 및 제5 수평 곡률 반경(R4, R5)은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상태에서, 제2 행(112)에서는 제3 열(103)이 제1 열(101)의 수평 곡률보다 작고 제2 열(102)의 수평 곡률보다 큰 수평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수평 곡률은 제1 열(101)에 인접한 제3 열(103)로부터 제2 행(102)에 인접한 제3 열(103)로 가면서 점점 작아질 수 있다. 즉, 제2 상태에서 제2 행(112)의 제3 열(103)은 제4 수평 곡률 반경(R4)보다 크고 제5 수평 곡률 반경(R5)보다 작은 제6 곡률 반경(R61, R62, R63)를 가질 수 있다. 이때, R61은 제4 수평 곡률 반경(R4)보다 크고 R62보다 작은 값을 가지고, R62는 R61보다 크고 R63보다 작은 값을 가지며, R63는 R61보다 크고 제5 수평 곡률 반경(R5)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태에서 제2 행(112)에서는 제1 열(101)에 인접한 제3 열(103)로부터 제2 열(102)에 인접한 제3 열(103)로 향하면서 수평 곡률 반경이 R61, R62, R63로 점점 더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상태에서는, 제1 열(101)에서 제2 행(112)의 수평 곡률이 제1 행(111)의 수평 곡률과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 상태에서는 제2 행(112)의 제1 열(101)의 제4 곡률 반경(R4)이 제1 행(111)의 제1 열(101)의 제1 곡률 반경(R1)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변 부재(210, 220)가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좀더 구체적으로는, 상부 가장자리 및 하부 가장자리)에 대응하도록 위치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상태에서는, 제2 열(102)에서 제2 행(112)의 수평 곡률이 제1 행(111)의 수평 곡률과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 상태에서는 제2 행(112)의 제2 열(102)의 제5 곡률 반경(R5)이 제1 행(111)의 제2 열(102)의 제2 곡률 반경(R2)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특히, 제2 열(102)이 전체적으로 곡률을 가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제2 열(102)이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상태에서는, 제3 열(103)에서 제2 행(112)의 수평 곡률이 제1 행(111)의 수평 곡률과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즉, 제2 상태에서는 제2 행(112)의 제3 열(103)의 제6 곡률 반경(R61, R62, R63)이 제1 행(111)의 제3 열(103)의 제3 곡률 반경(R31, R32, R33)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행(111, 112)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즉, 동일한 열)에서는 제2 행(112)의 수평 곡률이 제1 행(111)의 수평 곡률과 같거나 그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가변 부재(210, 220)의 위치 등에 의하여 이는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행(111)에서 제1 열(101)과 제2 열(102)의 수평 곡률 차이를 제1 차이라 하고, 제1 열(101)에서 제1 행(111)과 제2 행(112)의 수평 곡률 차이를 제2 차이라 하면, 제1 차이가 제2 차이보다 클 수 있다. 즉, 제1 행(111)에서 제1 열(101)과 제2 열(102)의 수평 곡률 반경의 차이(즉, 제1 곡률 반경(R1)과 제2 곡률 반경(R2)의 차이)를 제1 차이라 하고, 제1 열(101)에서 제1 행(111)과 제2 행(112)의 수평 곡률 반경의 차이(즉, 제1 곡률 반경(R1)과 제4 곡률 반경(R4)의 차이)를 제2 차이라 하면, 제1 차이가 제2 차이보다 클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방향에서의 수평 곡률(또는 수평 곡률 반경)의 차이를 제1 방향에서의 수평 곡률(또는 수평 곡률 반경)의 차이보다 크게 한다. 시청 방해 여부와 직접 관여하는 제2 방향에서 수평 곡률 차이를 크게 하여 수평 곡률에 의하여 시청 방해가 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면 및 설명에서는 제3 열(103)이 세 개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열(103)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설명에서는 제1 행(111)과 제2 행(112)을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1 행(111)과 제2 행(112) 사이에 별도의 행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별도의 행에서도 제1 열(101), 제3 열(103), 제2 열(102)을 향하면서 수평 곡률이 작아질 수 있다. 그리고 서로 같은 열에서 제1 행과 제2 행 사이에 위치한 별도의 행의 수평 곡률은 제1 행으로부터 제2 행을 향하면서 점점 더 커질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은 수직 곡률(즉, 제2 방향과 수직한 단면(도면의 yz 평면)에서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직 곡률이 존재하게 되면, 수직 곡률은 제1 열(101)에서의 수평 곡률보다 훨씬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1 상태 및 제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수직 곡률을 가지지 않고 편평한 단면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상태에서는 가변 부재(20)도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제2 상태에서 가변 부재(20)의 중앙 부분 쪽(제1 및 제2 부분(21, 22)의 내측 단부쪽)의 수평 곡률이 가장자리 부분보다 클 수 있다. 이는 가변 부재(20)의 중앙 부분 쪽에 구동부(30)가 위치하여 제1 및 제2 부분(21, 22)을 밀어내고 있기 때문에 중앙 부분에 좀더 큰 변위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하면, 곡면 상태인 제2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이 적어도 두 지점(또는 두 개의 가상 영역)에서 서로 다른 곡률(일 예로, 제1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의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중앙 부분을 상대적으로 많이 만곡되도록 하여 중앙 부분에서 더 큰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하여 몰입감을 향상하면서도, 가장자리 부분을 상대적으로 적게 만곡되도록 하거나 만곡되지 않도록 하여 가장자리 부분이 시청을 방해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20)의 위치를 최적화하여, 제1 방향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2)의 가장자리 부분이 중앙 부분과 같거나 그보다 큰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2)의 변형이 전체적으로 잘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가변 부재(20)의 개수를 줄이고 패널 구동부의 설치 위치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모듈
12: 디스플레이 패널
14: 지지 부재
20: 가변 부재
30: 구동부
40: 후면 커버

Claims (20)

  1.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적어도 제1 상태 및 제2 상태를 가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어도 두 지점에서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1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수평 곡률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에서보다 상기 제2 방향에서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더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수평 곡률은,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중앙 부분에서부터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수평 곡률은, 상기 제1 방향에서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과 같거나 그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수평 곡률은,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중앙 부분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에서의 상기 가장자리 부분을 향하면서 점진적으로 커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제1 행,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제1 열이라고 할 때,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행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수평 곡률 차이를 제1 차이라 하고, 상기 제1 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 부분과 가장자리 부분 사이의 수평 곡률 차이를 제2 차이라 하면,
    상기 제1 차이가 제2 차이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제1 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복수 개의 가상 영역으로 구획하면 적어도 두 개의 가상 영역에서 서로 다른 수평 곡률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행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는 제1 열과,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행에서 상기 제1 열의 수평 곡률이 상기 제2 열의 수평 곡률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행은,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행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열의 수평 곡률이 상기 제1 열의 수평 곡률보다 작고 상기 제2 열의 수평 곡률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열은, 복수 개의 제3 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 열은 상기 제1 열로부터 상기 제2 열로 향하면서 수평 곡률이 점점 더 작아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행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는 제1 열과,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행에서 상기 제1 열의 수평 곡률보다 상기 제2 열의 수평 곡률이 더 큰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제1 행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행 및 상기 제2 행은 각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는 제1 열과,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행의 상기 제1 열의 수평 곡률이 상기 제1 행의 상기 제1 열의 수평 곡률과 같거나 그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행의 상기 제2 열의 수평 곡률이 상기 제1 행의 상기 제2 열의 수평 곡률과 같거나 그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가상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영역을 제1 행과,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행 및 상기 제2 행은 각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앙을 포함하는 제1 열과,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제2 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행에서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의 수평 곡률 차이를 제1 차이라 하고, 상기 제1 열에서 상기 제1 행과 상기 제2 행의 수평 곡률 차이를 제2 차이라 할 때,
    상기 제1 차이가 상기 제2 차이보다 큰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부재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지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가변 부재가 수평 곡률을 가지도록 만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가변 부재의 상기 수평 곡률은 중앙 부분에서 가장자리 부분보다 더 큰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평면 상태를 가지고,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가변 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방향에서의 중앙 부분보다 가장자리 부분에서 더 작아지도록 상기 가변 부재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경사진 방향으로 편평하게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가변 부재 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 부재는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상기 내측 단부와 외측 단부 사이에 상기 가변 부재를 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00346A 2014-01-02 2014-01-02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6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346A KR102206456B1 (ko) 2014-01-02 2014-01-02 디스플레이 장치
US14/459,804 US9304539B2 (en) 2014-01-02 2014-08-14 Display apparatus
EP14187928.8A EP2892045B1 (en) 2014-01-02 2014-10-07 Display apparatus
CN201410578639.8A CN104766539B (zh) 2014-01-02 2014-10-24 显示设备
US15/052,425 US10025347B2 (en) 2014-01-02 2016-02-24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346A KR102206456B1 (ko) 2014-01-02 2014-01-02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837A true KR20150080837A (ko) 2015-07-10
KR102206456B1 KR102206456B1 (ko) 2021-01-21

Family

ID=5168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346A KR102206456B1 (ko) 2014-01-02 2014-01-0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304539B2 (ko)
EP (1) EP2892045B1 (ko)
KR (1) KR102206456B1 (ko)
CN (1) CN104766539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0732A (ko) * 2015-12-30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9947263B2 (en) 2015-11-04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10349535B2 (en) 2015-10-23 2019-07-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3781910A (zh) * 2021-08-31 2021-12-1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和柔性显示装置
WO2022255501A1 (ko) * 2021-05-29 2022-12-08 (주)에이유플렉스 가변형 디스플레이장치
US11749138B2 (en) 2021-04-29 2023-09-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2982A (ko) * 2013-07-25 2015-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73718B1 (ko) * 2014-04-29 2021-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변형 표시장치 및 이의 평판형 모드 및 곡면형 모드 구동방법
CN104050882B (zh) * 2014-05-30 2016-07-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KR20160035132A (ko) * 2014-09-22 2016-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50689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04537950B (zh) * 2014-11-28 2017-01-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率可调节的显示装置
KR20160073787A (ko) * 2014-12-17 2016-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는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08645B1 (ko) 2014-12-29 2021-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5206181B (zh) * 2015-10-09 2018-02-1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率远程可调的曲面显示装置
CN105160999B (zh) * 2015-10-12 2016-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的承载装置及显示设备
CN105118401B (zh) * 2015-10-12 2018-03-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设备
TWI563894B (en) * 2015-12-11 2016-12-21 Au Optronics Corp Back plate of curvature display device and curvature display device utilized thereof
KR102483559B1 (ko) * 2015-12-28 2023-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5578091B (zh) * 2016-01-06 2018-11-3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可曲直转换的柔性屏及电视机
CN105681707B (zh) * 2016-01-06 2018-05-1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可弯曲的显示屏及其电视机
CN106061154B (zh) * 2016-05-27 2019-0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壳体及显示装置
CN106023852B (zh) * 2016-07-11 2018-10-12 浙江映趣电子商务有限公司 平面展示装置
WO2018031040A1 (en) * 2016-08-12 2018-02-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rc bar flexible display
KR101757226B1 (ko) * 2016-11-24 2017-07-17 황창순 활대를 이용한 휨 조절 장치, 이를 포함하는 휘어짐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휨 조절 방법
CN106847096B (zh) 2017-04-14 2019-04-0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曲率可调节的背板组件及曲面显示器
TWI736774B (zh) * 2017-06-06 2021-08-21 美商谷歌有限責任公司 彎曲極限薄膜
TW201918817A (zh) * 2017-11-02 2019-05-16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CN107725730A (zh) * 2017-11-14 2018-02-23 六安市金龙齿轮有限公司 一种可调弧度的轨道用齿轮条及其弧度调节方法
CN108109538B (zh) * 2017-12-11 2020-05-0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可平曲转换的显示装置
KR102529148B1 (ko) * 2017-12-27 2023-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302290B (zh) * 2018-01-12 2019-07-26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可变曲面支架结构
TWI721369B (zh) * 2018-01-30 2021-03-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2476295B1 (ko) * 2018-01-31 2022-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93717B1 (ko) * 2018-08-31 2023-10-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123368A1 (en) * 2018-12-10 2020-06-18 Corning Incorporated Dynamically bendable automotive interior display systems
KR20210001447A (ko) * 2019-06-28 2021-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JP6949279B2 (ja) * 2019-07-18 2021-10-13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モジュール固定構造、及び表示装置
CN110928364B (zh) * 2019-11-07 2021-09-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0928365B (zh) * 2019-11-07 2021-09-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20220008593A (ko) * 2020-07-14 2022-01-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99121B1 (ko) * 2020-08-07 2021-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2599013B (zh) * 2020-12-21 2023-01-2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滑槽结构、显示模组及显示设备
CN112764860A (zh) * 2021-01-22 2021-05-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其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20240155784A1 (en) * 2021-11-03 2024-05-0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4110008B (zh) * 2021-11-10 2022-08-19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形态转换机构、显示装置
CN114399955B (zh) * 2022-02-21 2023-11-2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30167817A (ko) * 2022-06-03 2023-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0423A (ko) * 2011-12-19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38614A (ko) * 2012-06-11 201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5209B2 (ja) * 2008-06-06 2013-11-20 クリエイター テクノロジー べー.フェー. 可撓性ディスプレイの保護
KR101067661B1 (ko) * 2009-04-14 2011-09-27 한국과학기술원 이온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활성 폴리머를 이용한 유연 디스플레이 형상변형장치 및 그 방법
US8787016B2 (en) * 2011-07-06 2014-07-22 Apple Inc. Flexible display devices
US9711752B2 (en) * 2011-12-1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KR101319543B1 (ko) * 2012-05-17 2013-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0423A (ko) * 2011-12-19 2013-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38614A (ko) * 2012-06-11 2013-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9535B2 (en) 2015-10-23 2019-07-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0701814B2 (en) 2015-10-23 2020-06-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947263B2 (en) 2015-11-04 2018-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70080732A (ko) * 2015-12-30 2017-07-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749138B2 (en) 2021-04-29 2023-09-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2255501A1 (ko) * 2021-05-29 2022-12-08 (주)에이유플렉스 가변형 디스플레이장치
CN113781910A (zh) * 2021-08-31 2021-12-1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和柔性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2045A1 (en) 2015-07-08
CN104766539B (zh) 2018-09-21
US20150185761A1 (en) 2015-07-02
CN104766539A (zh) 2015-07-08
KR102206456B1 (ko) 2021-01-21
US20160224059A1 (en) 2016-08-04
EP2892045B1 (en) 2018-05-23
US9304539B2 (en) 2016-04-05
US10025347B2 (en) 201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64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8998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282667B2 (en) Display apparatus
US9541952B2 (en) Display apparatus
EP2940552B1 (en) Adjustable display device
US9658646B2 (en) Display apparatus
US20150043136A1 (en) Display apparatus
US9516775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curvature changing member
CN103489371A (zh) 显示装置
KR2014011718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897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064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후면 커버
KR10204836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가변 부재
KR102135087B1 (ko)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475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229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114170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