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0372A - 영상처리방법 및 투명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처리방법 및 투명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0372A
KR20150080372A KR1020130169525A KR20130169525A KR20150080372A KR 20150080372 A KR20150080372 A KR 20150080372A KR 1020130169525 A KR1020130169525 A KR 1020130169525A KR 20130169525 A KR20130169525 A KR 20130169525A KR 20150080372 A KR20150080372 A KR 20150080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output image
transparent display
image processing
processing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8333B1 (ko
Inventor
송지희
이상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333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9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02B2027/0187Display position adjusting means not related to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slaved to mo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body of the user, e.g. head, ey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영상처리방법이 제공된다. 영상처리방법은 투명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영상처리방법에서 투명표시장치의 후면의 배경영상이 먼저 획득된다. 획득된 배경영상을 기초로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처리방식 중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하여, 출력영상이 영상처리된다. 처리된 출력영상은 투명표시장치로 출력된다. 본 영상처리방법에 따르면, 출력영상의 시인성이 유지되는 동시에, 투명표시부의 소비전력도 절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처리방법 및 투명표시장치{IMAGE PROCESSING METHOD AND TRANSPARENT DSI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처리방법 및 투명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표시장치에 출력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영상처리방법 및 투명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불투명하였으나, 최근에는 투명표시장치 상에 영상이 표시되는 중에도, 투명표시장치 뒤의 배경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투명표시장치를 구현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투명표시장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스마트윈도우(smart window), 또는 핸드헬드(hand-held) 디바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투명표시장치 상에 영상이 표시되는 중에도 투명표시장치의 화면을 통해 투명표시장치 뒤의 배경이 시인되므로, 투명표시장치 상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예를 들어, 투명표시장치의 후면으로부터 입사되는 외광이 투명표시장치의 영상보다 지나치게 밝은 경우, 사용자가 영상을 투명표시장치에서 인식하기 어려워진다. 이에, 투명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다.
[관련기술문헌]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구비한 투명 표시장치(한국특허출원 제2012-0055429호)
투명표시장치에 표시된 영상의 시인성과 투명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체로 투명표시장치에 표시된 영상에 대한 시인성은 투명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를 높임으로써 향상되었다. 다만, 영상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 투명표시장치에 공급되는 전류 및/또는 전압이 증가되므로, 영상의 휘도 증가는 투명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상승시키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예를 들어, 투명표시장치가 핸드헬드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경우, 투명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은 디바이스의 최대 구동 시간 관점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투명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투명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는 투명표시장치가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투명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의 저감과 영상의 시인성 향상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사용자의 시선데이터나 사용자와 투명표시장치 간의 거리정보에 따라 영상을 영상처리하면,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하면서 투명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투명표시장치에 표시될 영상에 대응되는 배경을 분석하여, 투명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는 동시에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영상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위치나 시선에 기초하여 영상의 시인성을 개선하며 투명표시장치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투명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영상처리방법이 제공된다. 영상처리방법은 투명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이다. 영상처리방법에서 투명표시장치의 후면의 배경영상이 획득된다. 획득된 배경영상을 기초로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처리방식 중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하여, 출력영상이 영상처리된다. 처리된 출력영상은 투명표시장치로 출력된다. 적용된 영상처리방식이 복수 개일 경우, 각각의 영상처리방식은 순차적으로 적용되거나 병렬적으로 적용된다. 본 영상처리방법에 따르면, 출력영상의 시인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투명표시부의 소비전력도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영상처리방법이 제공된다. 영상처리방법에서 투명표시장치의 후면의 배경영상이 획득된다. 획득된 배경영상을 기초로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포함하는 리스트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처리방식 중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하여, 출력영상이 영상처리된다. 처리된 출력영상은 투명표시장치로 출력된다. 적용된 영상처리방식이 복수 개일 경우, 각각의 영상처리방식은 순차적으로 적용되거나 병렬적으로 적용된다. 본 영상처리방법에 따르면, 투명표시부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면서도 출력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리스트는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시간으로 생성되거나, 이미 저장된 리스트를 메모리로부터 불러오는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로운 투명표시장치가 제공된다. 투명표시장치는 출력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투명표시부를 포함한다. 투명표시장치는 투명표시부를 통해 투과되는 배경영상을 획득하여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배경영상을 수신하여, 출력영상 및 배경영상을 기초로, 복수의 영상처리방식 중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저전력 구동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한다. 또한, 프로세서는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으로 출력영상을 처리하고, 처리된 출력영상을 투명표시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투명표시장치를 통해, 배경영상에 따라 변동되는 출력영상의 시인성이 개선되면서도 투명표시부의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b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를 강조하는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2c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을 변환하는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시선에 기초한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 투명표시부 사이의 거리에 기초한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영상처리방식의 선택방법이 변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발명의 범주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투명표시장치는 적어도 표시장치를 통해 뒤의 사물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투명표시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투명표시장치는 투명표시장치의 투과도가 적어도 20% 이상인 표시장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투명표시장치의 투과도란 투명표시장치의 투과 영역으로 광이 입사되어 투명표시 장치의 각 층의 계면에서 반사 및 흡수된 광을 제외하고 투명표시장치를 투과한 광량을 전체 입사된 광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투명표시장치(100)는 투명표시부(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카메라(140), 시선획득부(150), 배터리(160) 및 거리측정수단(17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표시부(110)는 복수의 화소로 구성된다. 각각의 화소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적층된 유기발광층으로 구성되며, 양극과 음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르는 밝기를 가지며 발광한다. 각각의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소자 및 구동 소자에 의해서 구동된다. 각각의 화소는 스캔라인과 데이터라인과 접속되며 각각의 라인에 인가된 신호에 따라 투명표시부(110)에 영상을 표현한다. 투명표시부(110)는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 영역과 입사되는 빛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투과 영역을 포함한다. 투과 영역은 적어도 가시광 파장 대역의 광에 대해 투과율이 높도록 구성되며 투과 영역을 통해 투명표시부(110)는 빛을 통과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투명표시부(110)를 통해 배경을 인식하는 동시에 투명표시부(110)로부터 발광된 빛에 의해 전달되는 정보를 받는다.
투명표시부(110)는 출력영상을 표시한다. 출력영상은 투명표시부(110)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영상으로서, 텍스트, 아이콘, 도형, 또는 영상 등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출력영상은, 예를 들어, 증강현실과 연관된 영상으로 투명표시부(110)에 비춰진 배경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으며, 투명표시장치(100)의 동작과 연관된 메시지, 기능 선택 등과 연관된 영상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모니터, 텔레비전, 스마트윈도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투명표시장치(100)에서 다양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120)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투명표시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130), 카메라(140), 시선획득부(150) 및 거리측정수단(170) 등으로부터 다양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출력영상에 대한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하여 출력영상을 처리한다. 프로세서(120)는 처리된 출력영상을 투명표시장치(10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120)는 제어부, CPU, 및 구동 유닛 등 그 목적과 쓰임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메모리(130)는 투명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출력영상, 투명표시장치(100)의 후면의 배경영상, 다양한 영상처리방식 및 영상처리방식에 의해 처리된 출력영상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130)는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 와 같이 전자 정보의 저장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메모리는 프로세서(120)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프로세서(120)와 다른 임의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140)는 투명표시장치(100)의 후면의 배경영상을 획득한다. 프로세서(120)는 획득된 배경영상 내에서 배경영역을 결정한다. 결정된 배경영역은 사용자가 투명표시장치(100)를 통해 보고 있는 영역이라고 판단된, 배경영상의 일부 영역을 의미한다. 배경영역은 사용자의 시선데이터가 없을 때 기 설정된 사용자와 투명표시장치(100)간의 거리와 기 설정된 사용자의 얼굴 위치를 기초로 결정된다. 배경영역은 사용자의 눈과 투명표시장치(100)간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나,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같이 사용자의 눈의 위치가 고정되는 경우, 카메라(140)가 촬영한 배경영상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배경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며, 배경영역은 사용자의 눈동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획득된 배경영상 내에서 조정(calibrate)될 수도 있다.
시선획득부(150)는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시선획득부(150)는 투명표시장치(100)의 전면에 배치된 별도의 카메라로 구성된다. 시선획득부(150)는 사용자의 홍체의 중심점을 측정하고 사용자가 응시하는 대상의 위치를 추정기 위한 시선데이터를 생성한다. 시선획득부(150)는 사용자의 양쪽 눈 모두에 대한 시선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시선획득부(150)는 시선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전송한다. 프로세서(120)는 시선데이터를 기초로 시선이 향하는 위치, 시선이 출력영상을 바라보는지 여부, 시선이 머무는 시간, 시선의 이동 순서 등의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들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양쪽 눈의 시선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투명표시부(110) 상에 표시된 표시영상을 향하는지 또는 투명표시장치(100) 뒤의 배경을 향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20)는 초점거리를 판단하여 초점거리를 기초로 시선을 판별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삼각측량방법을 이용하여 시선의 위치를 판별한다. 시선데이터는 거리측정수단(170)에서 사용자와 투명표시장치(100)간의 거리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시선의 위치 판별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시선데이터는 카메라(140)로부터 획득된 배경영상이 실제 사용자가 바라보는 배경영역으로 설정되도록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자 눈동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배경영역 조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배터리(160)는 투명표시장치(100)의 투명표시부(1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60)는 배터리(160)의 잔량을 측정하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며, 배터리(160)의 잔량을 프로세서(120)로 전송한다. 배터리(160) 잔량 정보는 배터리 전압에 기초하여 판단하거나, 배터리(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디바이스에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거리측정수단(170)은 투명표시부(11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 거리측정수단(170)은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구현 가능하다. 거리측정수단(170)은 투명표시부(11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일 세트의 센서, 근접 센서, 또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추정하기 위한 영상을 포착하는 전면 카메라일 수 있다. 거리측정수단(170)은 투명표시부(11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측정 또는 추정하여 프로세서(120)로 전송한다. 거리측정수단(170)은 앞에서 설명한 센서 중 하나의 센서만을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센서에서 획득된 정보를 조합하여 거리를 측정 또는 추정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도시된 투명표시부(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및 카메라(140)의 도면부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투명표시장치(100)의 후면의 배경영상 및 투명표시부(110)에 표시될 출력영상을 획득한다(S110). 투명표시장치(100)의 후면의 배경영역이 카메라(140)로부터 획득된 배경영상 내에서 결정된다. 배경영역은 사용자가 투명표시장치(100)를 통해 보고 있는 배경으로 간주된다.
프로세서(120)는 배경영역을 기초로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한다(S120). 출력영상의 시인성이란 사용자가 출력영상을 인지하는 정도를 의미하고, 출력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된다는 것은 사용자가 출력영상의 존재여부, 형태, 의미 등을 보다 빠르게, 또는 주의를 덜 기울여도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출력영상의 시인성은 투명표시부(110)의 투과 영역에 입사되는 빛의 밝기 및 색상에 따라서 변한다.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영상처리방식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처리방식이다. 영상처리방식은 메모리(130)에 저장된다. 영상처리방식은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상처리방식 외에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영상처리방식, 사용자에 커스터마이즈된(customized) 영상처리방식, 다양한 외부환경에 따른 영상처리방식, 다양한 출력영상의 종류에 따른 영상처리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방식 각각은 복수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상처리방식이면서 동시에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영상처리방식일 수 있다.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상처리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리스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출력영상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방식, 출력영상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방식, 출력영상에 플리커(flicker) 효과를 부여하는 방식, 출력영상의 색을 소비전력이 낮으며 배경에 대해 시인성이 높은 색으로 변환하는 방식, 배경영역의 휘도에 따라 상기 출력영상의 휘도를 변경시키는 방식 등을 포함한다. 영상처리방식 각각에 대한 설명은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하는 단계에서 설명된다.
프로세서(120)는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하여 출력영상을 처리한다(S130).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포함하는 리스트에서 투명표시장치(100)의 전력 소모량이 감소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한다.
프로세서(120)가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배경영역과 출력영상의 위치, 색 등을 비교하여, 출력영상이 영상처리되는 경우, 출력영상의 시인성이 임계치 아래로 내려가게 하는 영상처리방식을 제외하고 남은 영상처리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배경영역의 평균 색을 획득하고, 획득된 평균 색과 관련하여, 리스트에서 가장 전력 소모량을 많이 감소시키는 1개 또는 2개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20)는 영상처리방식 각각에 대해 미리 결정된 점수를 부여하고, 배경영역의 복잡성, 색, 밝기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처리방식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해 점수를 산출하고, 가장 높은 점수를 갖는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전압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이하일 경우, 소비전력 저감 효과가 큰 영상처리방식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영상의 밝기 및 면적에 따라서 특정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할 때 예측되는 소비전력 저감 정도가 판단되고, 영상에 따른 소비전력 저감 정도에 따라서 점수가 산출된다. 또는, 특정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할 때 예측되는 영상의 시인성 정도를 판단하여, 시인성 증가 정도에 따라 점수가 산출될 수도 있다.
또한,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처리방식 각각은 배경영역이 특정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색상과 형태의 건물이 몰려 있는 배경과 같이 배경영역의 복잡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출력영상의 테두리를 강조시키는 방식을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는 영상처리방식으로 선택한다. 하늘이나 아스팔트 도로와 같이 배경영역에서 특정 색의 분포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출력영상의 색을 소비전력이 낮으며 배경에 대해 시인성이 높은 색으로 변환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발광체가 있는 배경과 같이 배경영역의 밝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출력영상에 플리커 효과를 부여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저녁의 고속도로나, 암실과 같이 배경영역의 밝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출력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카메라(140)에서 획득되어 처리된 배경영역의 RGB값의 분포를 분석하여 복잡도를 판단한다. 프로세서(120)는 배경영역 및 출력영상 각각에서 Hue값을 추출하여 상대 비교함으로써 색의 유사도에 따른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판단한다. 즉 배경영역 및 출력영상의 Hue값이 비슷할수록 출력영상의 시인성이 저하되고, Hue값이 상이할수록 출력영상의 시인성이 증가된다. Hue값은 예를 들어, RGB to HSL(Hue Saturation Luminance) 색공간 변환 등을 통하여 획득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색 정보를 가지는 다양한 색공간 변환식을 이용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20)는 어떠한 방식을 통해서든 결국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투명표시부(110)의 전력소모를 저감할 수 있는 영상표시방식을 선택한다.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영상표시방식으로 출력영상을 처리한다. 영상의 처리는 출력영상을 프로세서(120)를 통해 신호 처리하여 목적에 맞게 가공하는 방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디지털 신호 처리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 영상 처리는 영상에 대한 디지털 처리를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폭넓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영상 처리는 포인트 처리, 영역 처리, 기하학적 처리, 그리고 프레임 처리의 4가지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포인트 처리는 화소의 위치를 기반으로 화소 단위로 처리한다. 화소 단위의 처리는 화소의 색, 휘도 등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영역 처리는 화소의 원래 값과 이웃하는 화소의 값을 기반으로 하여 화소값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 있으며, 기하학적 처리는 화소들의 위치나 배열을 변화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처리는 두 개 이상의 영상들에 대한 연산을 기반으로 하여 화소 값들을 처리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배경영역의 휘도에 따라 출력영상의 휘도를 변경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배경영역의 밝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출력영상의 밝기를 더 높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출력영상에 플리커 효과를 부여하는 방식을 적용하면, 시인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은 출력영상의 밝기 변화를 민감하게 인지하므로, 출력영상의 밝기 차이를 지속적으로 변동되게 처리하면, 변화를 감지하게 되어 출력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동시에, 출력영상이 투명표시부(110)에 지속적으로 표시되지않고 일시적으로 표시되면, 표시되지 않는 기간 동안은 투명표시부(110)의 전력 소비가 절감된다 이러한 on/off 비율에 따라서 소비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n/off 비율을 듀티(duty)로 표현할 경우, 듀티가 50%이면 플리커 효과에 따라 시인성은 증가하면서 소비전력은 50% 감소한다. 또한 플리커 효과를 부여하는 방식은 영상의 발광 면적이 클수록 소비전력 감소량을 증가시킨다. 추가적으로 플리커 효과는 출력영상에서 주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객체에만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주요한 정보는 예를 들어 텍스트, 아이콘, 경고 표시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경영역의 밝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출력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눈은 출력영상의 밝기와 주변환경의 밝기 차이를 민감하게 인지하므로, 배경영역의 밝기가 낮은 경우, 출력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키더라도 사용자가 출력영상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휘도가 감소되어 출력영상의 시인성이 감소된다고 판단될 경우, 플리커 부여 효과를 추가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출력영상의 휘도가 감소되더라도 시인성을 향상 시키는 방법으로 2개 이상의 영상처리를 조합하여 더 개선된 저소비전력과 시인성 개선을 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20)는 출력영상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방식으로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유지하면서 투명표시부(110)의 전력 소비를 줄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테두리를 강조하는 방식과 색을 변동시키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2b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두리를 강조하는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2b의 (a)를 참조하면, 투명표시부(210), 투명표시부(210)를 통해 시인되는 배경(230), 출력영상(220a)이 도시된다. 배경(230)에서의 건물에 중첩되는 출력영상(220a)은 건물의 색, 형상 등에 의해 시인성이 낮아 출력영상(220a)은 사용자에 의해 쉽게 인식되지 않는다. 도 2b의 (b)를 참조하면, 출력영상(220b)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처리된 출력영상(220b)이 도시된다. 프로세서는 출력영상(220b)의 테두리를 인식하고, 출력영상(220b)의 테두리만이 표시되도록 출력영상(220b)을 처리한다. 출력영상(220b)의 테두리만이 표시되면, 테두리의 경계와 배경(230) 사이에 존재하는 명암의 차이 색의 차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더 쉽게 인식된다. 동시에, 투명표시부(210)가 출력영상(220b)의 테두리만을 발광시키므로, 투명표시부(210)가 발광시키는 화소의 수가 출력영상(220b)의 전체를 발광시키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소비전력은 발광 면적 또는 발광 화소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발광 면적이 감소하여 투명표시부(210)의 소비전력도 감소한다.
도 2c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을 변환하는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들이다. 도 2c의 (a)를 참조하면, 투명표시부(210), 투명표시부(210)를 통해 시인되는 배경(230), 출력영상(220a)이 도시된다. 배경(230)에서의 도로에 중첩되는 출력영상(220a)은 도로의 색에 의해 시인성이 낮아져, 사용자는 출력영상(220a)을 쉽게 인식할 수 없다. 도 2c의 (b)를 참조하면, 소비전력이 낮으며 배경(230)에 대해 시인성이 높은 색으로 출력영상(220c)의 색을 변환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처리된 출력영상(220c)이 도시된다. 프로세서는 출력영상(220c)의 색과 대응되는 배경영역의 색을 비교하고, 출력영상(220c)의 색을 소비전력이 낮은 동시에 배경(230C)에 대해 시인성이 높은 색으로 변환한다. 투명표시부(210)는 투명유기발광표시장치이므로, 같은 휘도라도, 색마다 소비되는 전력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녹색으로 출력영상(220c)의 색을 변경시키도록 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녹색은 시인성이 높은 동시에 소비전력이 다른 색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녹색이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물질의 소비전력 대비 휘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은 유기 발광물질이 인광 물질인지 형광 물질인지 등 재료에 기인한 것이므로, 재료에 발광 효율에 따라 다양한 색이 선택될 수 있다.
다시 도 2a에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하여 영상처리방식이 적용되도록 출력영상을 처리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처리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영상처리방식 모두가 적용되도록 출력영상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플리커 효과와 색 변환 영상처리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색이 변환된 출력영상을 플리커 효과를 부여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복수의 영상처리방식이 선택되는 경우, 출력영상의 시인성이 유지되면서 투명표시부(110)의 전력 절감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처리된 출력영상을 투명표시장치(100)에 출력한다(S140). 프로세서(120)는 투명표시장치(100)를 통해 처리된 출력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출력영상은 시인성이 향상된 동시에 투명표시부(110)의 소비전력을 절감하도록 처리된 출력영상이다.
도 2a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프로세서(120)는 투명표시장치(100)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수신된 배터리 잔량 정보를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배터리 잔량이 설정된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프로세서(120)는 출력영상의 시인성 향상보다는 소비전력 절감의 효율이 더 높은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한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시선에 기초한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눈동자(240d), 투명표시부(210), 투명표시부(210)가 표시하는 출력영상(220d), 배경(230) 및 시선획득부(250)가 도시된다. 프로세서는 시선획득부(250)로부터 사용자의 시선데이터를 수신한다. 프로세서는 시선 데이터로부터의 양안 시차 정보를 이용하여 시선의 초점거리, 시선이 향하는 위치, 시선이 출력영상을 향하는지 여부, 시선이 머무는 시간, 시선의 이동 순서 등을 판단한다. 사용자의 시선이 A 위치에 머무르는 경우, 즉 사용자의 시선이 배경(230)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서는 출력영상(220d)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사용자의 시선이 배경(230)을 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출력영상(220d)에 대하여 인지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될 수 있으므로, 투명표시부(210)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시선이 머무는 시간에 따라 출력영상(220d)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시선이 배경의 A 위치에 일정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에 출력영상(220d)의 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시선의 이동 순서에 따라 출력영상(220d)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선이 출력영상(220d)에서 배경(230)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출력영상(220d)의 휘도를 천천히 감소시키나 배경(230)에서 출력영상(220d)으로 이동되는 경우, 출력영상(220d)의 휘도를 빨리 높일 수도 있다.
시선데이터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시선이 B 위치에 머무르는 경우, 즉 사용자의 시선이 투명표시부(210) 상에 있지만, 출력영상(220d)과는 상이한 위치에 머무르는 경우, 프로세서는 사용자 시선외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의 출력영상(220d)의 휘도를 감소시킨다. 사용자의 시선이 투명표시부(210)의 출력영상(220d)의 영역과 상이한 영역을 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출력영상(220d)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투명표시부(210)의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선이 출력영상(220d)과는 상이한 위치에 머무르는 경우를 판단하기 위해, 프로세서는 투명표시부(210)에서 출력영상이 표시되는 화소들의 위치를 획득하고, 사용자의 시선이 출력 영상이 표시되는 화소들의 위치와 중첩되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선외 영역을 판단하기 위해서 프로세서는 눈의 시야각 정보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영상을 정확히 볼 수 있는 유효 시야각은 시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45도 정도이다. 또한 집중해서 볼 때의 유효 시야각은 15도 정도이므로 이러한 각도 이상의 영상은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와 투명표시부(210) 간의 거리와 시선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야각을 고려하여 시선외 영역을 판단한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와 투명표시장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한 영상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e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눈동자(240e), 투명표시부(210), 투명표시부(210)가 표시하는 출력영상(220e), 및 거리획득수단(270)이 도시된다. 프로세서는 거리획득수단(270)으로부터 사용자와 투명표시부(210) 간의 거리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신한다. 사용자의 눈동자(240e) 또는 사용자와 투명표시부(210) 간의 거리는 거리 D로 도시된다. 프로세서는 거리획득수단(270)으로부터 획득된 거리 D에 기초하여 출력영상(220e)을 처리한다. 프로세서는 거리 D에 따라 출력영상(220e)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거리 D가 감소되면 프로세서는 출력영상(220e)의 크기도 대응하여 감소하도록 출력영상(220e)을 처리한다. 따라서, 출력영상(220e)의 최소한의 시인성을 유지하도록 출력영상(220e)이 처리될 수 있으므로, 투명표시부(210)의 소비전력도 같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거리 D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늘어나는 경우, 프로세서는 출력영상(220e)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출력영상(220e)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출력영상(220e)을 처리한다. 출력영상(220e)의 크기가 증가하면, 투명표시부(210)의 소비전력도 대응하여 증가한다. 그러나, 출력영상(220e)의 테두리를 강조시키는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하면, 출력영상(220e)을 표시하는 화소의 수는 대응하여 감소한다. 따라서, 출력영상(220e)의 크기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출력영상(220e)의 시인성이 유지되거나 향상되며, 나아가 투명표시부(210)의 소비전력도 절감된다.
또한, 프로세서는 거리 D에 따라 출력영상(220e)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식을 적용하여 출력영상(220e)을 처리한다. 거리 D가 감소되면 출력영상(220e)의 휘도가 감소하더라도 출력영상(220e)가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시인되므로, 프로세서는 출력영상(220e)의 최소한의 시인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휘도를 감소시키는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하여 출력영상(220e)을 처리할 수 있다.
도 3은 영상처리방식의 선택방법이 변형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의 영상처리방식은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는 영상처리방식을 포함하는 리스트로부터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하여 적용하기 위한 영상처리방식이다. 즉,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구체적인 적용방식이 상이하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서 도시된 투명표시부(110) 및 프로세서(120)의 도면 부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프로세서(120)는 투명표시장치(100)의 후면의 배경영역 및 투명표시부(110)에 표시될 출력영상을 획득한다(S210). 프로세서(120)는 배경영역을 기초로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한다(S220).
출력영상의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영상처리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리스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출력영상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방식, 출력영상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방식, 출력영상에 플리커 효과를 부여하는 방식, 출력영상의 색을 소비전력이 낮으며 배경에 대해 시인성이 높은 색으로 변환하는 방식, 배경영상의 휘도에 따라 상기 출력영상의 휘도를 변경시키는 방식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0)는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하여 출력영상을 처리한다(S230). 프로세서(120)는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포함하는 리스트에서 출력영상의 시인성이 향상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한다.
프로세서(120)가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처리방식 각각은 배경영상이 특정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선택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20)는 선택된 방식을 통해서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투명표시부(110)의 전력소모를 저감할 수 있는 영상표시방식을 적용하여 출력영상을 처리한다. 프로세서(120)는 처리된 출력영상을 투명표시부(110)에 출력한다(S240).
본 발명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포함하는 리스트는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에 따라 최적의 영상처리방식을 이미 선정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영상처리방법은 저장된 리스트로부터 시인성과 소비전력의 우선순위에 따라 영상처리방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으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영상처리방법의 다양한 특징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리스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출력영상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방식, 출력영상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방식, 출력영상에 플리커 효과를 부여하는 방식, 출력영상의 색을 소비전력이 낮으며 배경에 대해 시인성이 높은 색으로 변환하는 방식, 및 배경영상의 휘도에 따라 출력영상의 휘도를 변경시키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도록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배경영상의 복잡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출력영상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도록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배경영상에서 특정 색의 분포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출력영상의 색을 소비전력이 낮으며 배경에 대해 시인성이 높은 색으로 변환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도록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배경영상의 밝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출력영상에 플리커 효과를 부여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도록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배경영상의 밝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출력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명표시장치의 후면의 배경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시선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배경영상은 시선데이터를 기초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시선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의 시선이 배경영역에 있는지 판단하여 출력영상의 휘도를 변경시키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출력영상의 휘도를 변경시키는 방식은 사용자의 시선이 배경영역에 있다고 판단될 때 출력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시선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시선외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의 출력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영상처리방법은 투명표시장치와 사용자와의 거리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는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된 출력영상은,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영상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방식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된 출력영상은,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영상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방식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된 출력영상은,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식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영상처리방법은 투명표시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는, 배터리 잔량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명표시장치는 사용자의 시선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시선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명표시장치는 투명 표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배터리의 잔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 방식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명표시장치는 투명표시장치와 사용자와의 거리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투명표시장치의 다양한 특징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명표시장치는 사용자의 시선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시선데이터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명표시장치는 투명 표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배터리의 잔량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 방식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투명표시장치는 투명표시장치와 사용자와의 거리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투명표시장치
110, 210 : 투명표시부
120 : 프로세서
130 : 메모리
140 : 카메라
150, 250 : 시선획득부
160 : 배터리
170, 270 : 거리측정수단
220a, 220b, 220c, 220d, 220e : 출력영상
230 : 배경
240d, 240e : 사용자의 눈동자

Claims (20)

  1. 투명표시부에 표시되는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투명표시부의 후면의 배경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배경영상을 기초로, 상기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image processing)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처리방식 중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출력영상을 상기 투명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상기 출력영상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방식,
    상기 출력영상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방식,
    상기 출력영상에 플리커(flicker) 효과를 부여하는 방식,
    상기 출력영상의 색을 소비전력이 낮으며 배경에 대해 시인성이 높은 색으로 변환하는 방식, 및
    상기 배경영상의 휘도에 따라 상기 출력영상의 휘도를 변경시키는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도록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상기 배경영상의 복잡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출력영상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도록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상기 배경영상에서 특정 색의 분포율이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출력영상의 색을 소비전력이 낮으며 배경에 대해 시인성이 높은 색으로 변환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도록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상기 배경영상의 밝기(brightness)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출력영상에 플리커 효과를 부여하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도록 적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상기 배경영상의 밝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상기 출력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표시부의 후면의 배경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시선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경영상은 상기 시선데이터를 기초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상기 시선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배경영상에 있는지 판단하여 상기 출력영상의 휘도를 변경시키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영상의 휘도를 변경시키는 방식은 상기 사용자의 시선이 상기 배경영상에 있다고 판단될 때 상기 출력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은,
    상기 시선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시선외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의 출력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표시부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된 상기 출력영상은,
    상기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영상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방식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된 상기 출력영상은,
    상기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영상의 테두리를 강조하는 방식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된 상기 출력영상은,
    상기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영상의 휘도를 감소시키는 방식이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표시부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 잔량을 기초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6. 투명표시부에 표시되는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투명표시부의 후면의 배경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배경영상을 기초로,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영상처리방식 중 시인성을 향상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출력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출력영상을 상기 투명표시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방법.
  17. 출력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투명표시부;
    상기 투명표시부를 통해 투과되는 배경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배경영상을 수신받고,
    상기 출력영상 및 상기 배경영상을 기초로, 복수의 영상처리방식 중 상기 출력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저전력 구동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으로 상기 출력영상을 처리하고,
    상기 처리된 출력영상을 상기 투명표시부로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표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시선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선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방식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표시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표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처리 방식을 선택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표시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표시장치와 상기 사용자와의 거리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거리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데이터를 처리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표시장치.
KR1020130169525A 2013-12-31 2013-12-31 영상처리방법 및 투명표시장치 KR102178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525A KR102178333B1 (ko) 2013-12-31 2013-12-31 영상처리방법 및 투명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525A KR102178333B1 (ko) 2013-12-31 2013-12-31 영상처리방법 및 투명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372A true KR20150080372A (ko) 2015-07-09
KR102178333B1 KR102178333B1 (ko) 2020-11-12

Family

ID=53792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525A KR102178333B1 (ko) 2013-12-31 2013-12-31 영상처리방법 및 투명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3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674A (ko) * 2015-07-24 2017-0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영상 처리 회로와,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1716216B1 (ko) * 2015-12-01 2017-03-14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강조하는 이중-디스플레이 장치
US10817054B2 (en) 2017-09-06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ye watch point tracking via binocular and stereo images
CN112308088A (zh) * 2020-09-16 2021-02-02 广州忆游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筛选全透明图片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8801A (ja) * 2003-11-10 2005-06-02 Calsonic Kansei Corp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60014399A (ko) * 2003-05-12 2006-02-15 엘비트 시스템스 엘티디. 시청각 통신 개선 방법 및 시스템
JP2008001182A (ja) * 2006-06-21 2008-01-1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視覚情報呈示装置及び車両用視覚情報呈示方法
KR20130111825A (ko) * 2012-04-02 2013-10-11 (주)휴맥스 배터리 잔량에 따라 제어되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399A (ko) * 2003-05-12 2006-02-15 엘비트 시스템스 엘티디. 시청각 통신 개선 방법 및 시스템
JP2005138801A (ja) * 2003-11-10 2005-06-02 Calsonic Kansei Corp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001182A (ja) * 2006-06-21 2008-01-1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視覚情報呈示装置及び車両用視覚情報呈示方法
KR20130111825A (ko) * 2012-04-02 2013-10-11 (주)휴맥스 배터리 잔량에 따라 제어되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674A (ko) * 2015-07-24 2017-0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영상 처리 회로와,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1716216B1 (ko) * 2015-12-01 2017-03-14 강릉원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강조하는 이중-디스플레이 장치
US10817054B2 (en) 2017-09-06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ye watch point tracking via binocular and stereo images
CN112308088A (zh) * 2020-09-16 2021-02-02 广州忆游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筛选全透明图片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333B1 (ko)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0075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90325817A1 (en) Display unit, image processing unit, and display method for improving image quality
CN101740005B (zh) 显示控制装置及显示控制方法
US991334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gion for luminance reduction
JP4903577B2 (ja) 映像信号変換装置、映像表示装置
US857714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ith improved image contrast
JP5897159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298693A (ja) 映像表示装置及び半導体回路
US10013933B2 (en) Image display panel, imag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2178333B1 (ko) 영상처리방법 및 투명표시장치
US915317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50039458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339568B1 (en) Data display method and device
EP4080496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50348477A1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080094478A1 (en) Image capture and display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US10127885B2 (en) Display device,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nd electronic apparatus
US9754544B2 (en) Image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image display device
CN109920358B (zh) 显示面板功耗控制的方法
US9591276B2 (en) Display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KR102600973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열화 보상 방법 및 장치
CN113516945A (zh) 显示方法和装置、终端和可读存储介质
JP2016126229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922723B1 (ko) 디스플레이 소자에 있어서 명도 및 채도 개선 장치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방법
KR20220047063A (ko) 표시장치, 제어회로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