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903A -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9903A KR20150079903A KR1020157014199A KR20157014199A KR20150079903A KR 20150079903 A KR20150079903 A KR 20150079903A KR 1020157014199 A KR1020157014199 A KR 1020157014199A KR 20157014199 A KR20157014199 A KR 20157014199A KR 20150079903 A KR20150079903 A KR 201500799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hion
- trim component
- rib
- ribs
- substantially parall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62—Mid-console l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내부 트림 구성요소(34)가 이 내부 트림 구성요소(34)의 축방향 단부(82)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리브(90)를 갖는 기재를 포함한다. 내부 트림 구성요소(34)는 제 1 리브(9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각각 배향되는 다수의 제 2 리브(44)들을 또한 포함한다. 제 1 리브(90) 및 각각의 제 2 리브(44)는 트랙을 따르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3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내부 트림 구성요소(34)는 제 2 리브(44)들 및 기재에 커플링되는 쿠션(46)을 더 포함한다. 쿠션(46)은 기재의 제 1 표면을 따라 연장하고, 제 1 리브(90)의 주위를 랩핑하고, 제 1 표면에 대향하는 기재의 제 2 표면과 맞물려서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축방향 단부(82)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용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차량 보관 칸들은 적재물 및 다른 작은 물품들을 보관하기 위해 차량의 내부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오버헤드 콘솔은 선글라스, 운전 안경 또는 다른 물품들을 보관하기에 적절한 보관 칸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보관 칸들은 중앙 콘솔, 팔걸이, 시트들, 도어 패널들 또는 차량 내부의 다른 구역들 내에 위치될 수 있다. 특정 보관 칸들은 칸의 내용물들을 고정하고/하거나 시야로부터 내용물들을 숨기도록 구성된 도어를 포함한다.
다양한 도어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지만, 탬부어 도어(tambour door)들이 곡선의 개구들을 갖는 보관 칸들을 위해 일반적으로 적합하다. 통상적인 탬부어 도어들은 일련의 상호 잠금된 평행한 리브들 또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세그먼트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탬부어 도어는 평행한 세그먼트들의 배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탬부어 도어가 곡선의 보관 칸 개구의 윤곽들에 정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보관 칸 개구에 대한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불행하게도, 리브들이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탬부어 도어의 가시 표면(show surface)은 경질 및/또는 강성일 수 있다. 게다가, 리브들 사이의 리세스들은 먼지 및/또는 다른 오염물들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도어의 외양을 저하시킨다. 대안적으로, 리브들은 탬부어 도어가 리브들의 배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캐리어에 커플링될 수 있다. 불행하게도, 가요성 캐리어가 통상적으로 실질적으로 경질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탬부어 도어의 가시 표면은 바람직하지 않은 견고함(firmness) 및/또는 외양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축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리브를 갖는 기재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각각 제 1 리브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는 다수의 제 2 리브들을 또한 포함한다. 제 1 리브 및 각각의 제 2 리브는 트랙을 따르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제 2 리브들 및 기재에 커플링되는 쿠션을 더 포함한다. 쿠션은 기재의 제 1 표면을 따라 연장하고, 제 1 리브 주위를 랩핑하며, 제 1 표면에 대향하는 기재의 제 2 표면과 맞물려서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축방향 단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트랙을 따르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랙과 맞물리도록 각각 구성되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외부 표면, 배후 표면 그리고 외부 표면과 배후 표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윤곽을 갖는 가로 단부를 갖는 쿠션을 또한 포함한다. 외부 표면은 차량의 내부를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배후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고, 윤곽을 갖는 가로 단부는 배후 표면에 인접한 돌출부를 형성하며, 돌출부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를 둘러싸는 구조물의 내부 표면을 넘어서 가로로 외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트랙을 따르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랙과 맞물리도록 각각 구성되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외부 표면 및 배후 표면을 갖는 쿠션을 또한 포함한다. 외부 표면은 차량의 내부를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배후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며, 하나 이상의 리브의 일부는 배후 표면 내에 매립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및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는 쿠션을 갖는 탬부어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부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트랙을 갖는 지지 구조물, 및 보관 칸을 형성하는 내부 벽을 또한 포함한다. 각각의 리브는 보관 칸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 위치와 보관 칸으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 사이의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벽의 원위 단부는 상기 벽의 원위 단부와 상기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간의 접촉을 통하여 보관 칸을 향하는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트랙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및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로부터 가로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대응하는 돌기들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돌기는 트랙을 따르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외부 표면 및 배후 표면을 갖는 쿠션을 또한 포함한다. 외부 표면은 차량의 내부를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배후 표면은 각각의 리브의 장착 표면에 커플링된다. 쿠션은 돌기들로부터 이격되고, 각각의 리브의 장착 표면을 넘어서 가로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가로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트랙을 따르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랙과 맞물리도록 각각 구성되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일체형 외부 스킨을 갖는 쿠션을 또한 포함한다. 쿠션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고, 일체형 외부 스킨은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제 1 가시 표면을 형성한다.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일체형 외부 스킨 내에 형성되는 장식을 또한 포함한다. 장식은 제 2 가시 표면을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대한 제 1 가시 표면의 제 1 높이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대한 제 2 가시 표면의 제 2 높이와는 상이하다.
도 1은 가요성 탬부어 도어를 각각 갖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보관 칸들을 포함할 수 있는 예시적인 차량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내부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예시적인 중앙 콘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요성 탬부어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2의 중앙 콘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중앙 콘솔 내에 이용될 수 있는 일체형 스킨 가시 표면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라인 5-5을 따라 취해진 도 4의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중앙 콘솔 내에 이용될 수 있는 커버층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라인 7-7을 따라 취해진 도 6의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일체형 외부 스킨이 없는 쿠션을 갖는, 커버층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기재의 축방향 단부 주위를 랩핑하는 쿠션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부분적으로 쿠션 내에 매립되는 리브들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윤곽을 갖는 가로 단부를 갖는 쿠션을 포함하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가시 표면 내에 형성되는 장식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각각의 지지 리브의 장착 표면을 넘어서 가로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쿠션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장착 피쳐가 쿠션의 배후 표면 내에 매립된 지지 리브를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지지 리브들로부터 연장할 수 있는 돌기들의 실시예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내부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예시적인 중앙 콘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가요성 탬부어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2의 중앙 콘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중앙 콘솔 내에 이용될 수 있는 일체형 스킨 가시 표면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라인 5-5을 따라 취해진 도 4의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중앙 콘솔 내에 이용될 수 있는 커버층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라인 7-7을 따라 취해진 도 6의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일체형 외부 스킨이 없는 쿠션을 갖는, 커버층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기재의 축방향 단부 주위를 랩핑하는 쿠션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부분적으로 쿠션 내에 매립되는 리브들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윤곽을 갖는 가로 단부를 갖는 쿠션을 포함하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2는 가시 표면 내에 형성되는 장식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각각의 지지 리브의 장착 표면을 넘어서 가로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쿠션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장착 피쳐가 쿠션의 배후 표면 내에 매립된 지지 리브를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지지 리브들로부터 연장할 수 있는 돌기들의 실시예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1은 시트(14)들 및 중앙 콘솔(16)을 갖는 내부(1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차량(10)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중앙 콘솔(16) 및/또는 내부(12) 내의 다른 구역들은 보관 칸을 에워싸는 가요성 도어와 같은,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보관 칸들은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들은 트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보관 칸의 개구를 따르는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탬부어 도어는 보관 칸의 내부를 대면하는 배후 표면, 차량(10)의 내부(12)를 대면하는 가시 표면(예컨대, 일체형 외부 스킨으로 형성됨)을 갖는 쿠션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쿠션의 외부 표면은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가시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커버층에 의해 랩핑될 수 있다. 배후 표면은 탬부어 도어가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의 배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탬부어 도어가 곡선 보관 칸 개구의 윤곽들에 정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관 칸 개구에 대한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이해되듯이, 통상적인 탬부어 도어들은 일련의 상호 잠금된 또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된 평행한 리브들 또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세그먼트들을 포함한다. 탬부어 도어 세그먼트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시 표면 내에 리세스가 각각의 세그먼트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들은 먼지 및/또는 다른 오염물들을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도어의 외양을 저하시킨다. 게다가, 탬부어 도어가 휠 때, 인접한 세그먼트들은 서로를 향하여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개입된 리세스들의 폭은 감소된다. 리세스들의 감소된 폭은 인접한 세그먼트들 사이에 바람직하지 않은 끼임 지점(pinch point)들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세그먼트들은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기 때문에, 탬부어 도어의 가시 표면은 경질 및/또는 강성일 수 있다. 일체형 외부 스킨 및/또는 커버층을 갖는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본 실시예들은 이러한 리세스들을 없애고 연질의 가시 표면을 발생할 수 있다. 그 결과, 탬부어 도어의 표면 상에 수집되는 임의의 먼지 또는 다른 오염물들은 쉽게 제거될 수 있다. 게다가, 세그먼트들 사이의 끼임의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없어질 수 있다. 또한, 쿠션형 가시 표면은 탬부어 도어가 차량 착석자들을 위한 팔걸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별개의 팔걸이 및 보관 칸 도어에 의해 이용되는 공간을 감소시킨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내부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예시적인 중앙 콘솔(16)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중앙 콘솔(16)은 가요성 탬부어 도어에 의해 에워싸이는 보관 칸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콘솔(16)은 운전자 시트(14)와 승객 시트(14) 사이의 차량 내부(12)의 바닥에 커플링된다. 본 구성에서, 콘솔(16)은 보관 구역 및 하나 또는 양 시트(14)들의 착석자를 위한 팔걸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콘솔(16)은 일반적으로 전방 벽(18), 후방 벽(20), 2 개의 대향되고 일반적으로 대칭은 측벽(22)들 및 정상 표면(24)을 갖는 다면형(prismatic)이다.
콘솔(16)은 콘솔(16)의 메인 본체를 형성하는 2 개의 측 패널(26)들을 또한 포함한다. 본 구성에서, 각각의 측 패널(26)은 콘솔(16)의 측벽(22)들 중 하나 및 후방 벽(20), 전방 벽(18) 및 정상 표면(24)의 부분들을 제공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측벽(22)들은 볼록하고 오목한 부분들 모두를 갖는 복합-곡선 상부 윤곽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상승된 후방 벽(20)과 낮은 전방 벽(18) 사이에서 천이한다. 측 패널(26)들의 정상 에지(28)들은 곡선 정상 표면(24)을 형성한다. 정상 표면(24)은 착석자가 콘솔(16)의 내부로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30)를 포함한다. 특정 구성들에서, 콘솔(16)은 후방 벽(20) 및/또는 정상 표면(24)의 부분을 형성하는 후방 패널(32)을 포함한다.
본 구성에서, 콘솔(16)은 개방 위치와 예시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천이되도록 구성되는 도어(34)를 포함한다. 도어(34)는 착석자가 2 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도어(34)를 슬라이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핸들(38)을 포함한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방향(40)으로 개방 위치를 향하여 도어(34)를 슬라이딩하는 것은 콘솔(16) 내에 위치된 보관 칸의 내부를 노출시킨다. 특정 구성들에서, 도어(34)는 쿠션에 커플링되는 일련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갖는 탬부어 도어이다. 리브들은 측벽(22)들 내의 트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며, 쿠션은 도어(34)가 개구(30)의 윤곽들에 대하여 휘게하고 이들을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쿠션은 또한 도어(34)가 차량 착석자들을 위한 팔걸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의해 별개의 도어(34) 및 팔걸이를 제공하는 것과 연관된 공간을 감소시킨다.
본 탬부어 도어가 중앙 콘솔(16)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차량(10)의 내부(12)에 걸쳐 위치된 유사한 탬부어 도어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오버헤드 콘솔, 도어 패널, 계기 패널 또는 내부(12)의 다른 영역 내에 위치된 보관 칸은 가요성 탬부어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된 도어들 외에, 다른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들이 쿠션에 커플링되는 유사한 평행한 리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가요성 탬부어 도어(34)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2의 중앙 콘솔(16)의 사시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측벽(22)들은 방향(40)으로 도어(3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레일들 또는 트랙(36)들을 포함한다. 특정 구성들에서, 트랙(36)들은 C-형상 횡단면을 포함하고, 측 패널(26)들에 커플링되거나 측 패널(26)들 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탬부어 도어(34)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은 트랙(36)들과 맞물리고 도어(34)를 지지하는 돌기들을 포함하며, 부착된 쿠션은 도어(34)가 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에 의해 개구(30)의 윤곽들을 수용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로의 도어(34)의 천이는 중앙 콘솔(16) 내의 보관 칸의 내부(42)를 노출시킨다.
이해되듯이, 차량 착석자는 핸들(38)을 파지하고 도어(34)를 중앙 콘솔(16)의 전방 벽(18)을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도어(34)를 폐쇄한다. 차량(10)의 내부(12)를 대면하는 도어(34)의 표면이 쿠션으로, 또는 쿠션 주위에 랩핑된 커버층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어(34)의 세그먼트들에 의한 끼임의 가능성은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없어질 수 있다. 일단 폐쇄 위치에 있으면, 도어(34)의 쿠션형 가시 표면은 팔걸이를 위한 적절한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중앙 콘솔 내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일체형 스킨 가시 표면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도어(34)는 패딩형 기재 또는 쿠션(46)에 커플링되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44)들을 포함한다. 리브(44)들은 도어(34)를 지지하고 개구(30)를 가로지르는 도어(3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콘솔(16)의 트랙(36)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브(44)들은 각각의 트랙(36) 내의 대응하는 리세스들과 상호 잠금하도록 구성된 돌기(48)들을 포함한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리브(44)들은 콘솔(16)의 내부(42)를 대면하는 쿠션(46)의 배후 표면에 커플링되며, 이에 의해 단일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어(34)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44)들의 배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휠 수 있고, 이에 의해 탬부어 도어가 곡선 보관 칸 개구의 윤곽들에 정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쿠션(46)은 외부 표면/가시 표면(50)을 형성하며 가요성 도어(34)의 외부 표면에 매끄럽고, 일관된 외양을 제공하는 일체형 외부 스킨을 포함한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리브(44)들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사출 성형을 위한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브(44)들은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과 같은 열가소성 폴리머로 구성될 수 있다. 리브(44)들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출 성형을 위해 적합한 다른 재료들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리브(44)들은 화학 발포제 및/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첨가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쿠션(46)이 몰딩 공정에 의해 형성되며 여기서 2 개의 반응성 폼(foam) 복합물들이 혼합되고 쿠션(46)의 바람직한 형상을 갖는 개방 주형 안으로 부어진다. 주형은 그 후 폐쇄되고 혼합물이 팽창하고 경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폼을 붓기에 앞서 주형 안으로 리브(44)들을 위치시킴으로써, 폼은 경화 공정 동안 리브(44)들에 접합된다. 그 결과, 단일 가요성 구성요소가 형성될 것이다. 또한, 주형 내의 재료 화학 성질 뿐만 아니라 온도 변동들은 저밀도 폼 쿠션의 외부 표면 상에 형성되는 고밀도 가요성 외부 스킨을 유도한다. 결과적인 쿠션(46)은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또는 텍스쳐 가공된(textured) 일체형 외부 스킨을 가지며, 동시에 탬부어 도어(34)가 곡선 보관 칸 개구(30)의 윤곽들을 수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가요성을 제공한다. 폼 복합물들이 주입되기 전에 페인트 층이 주형에 도포될 수 있다. 페인트는 주형의 내부 표면에 인접한 폼과 접합되고, 이에 의해 가요성 외부 스킨의 바람직한 색상을 발생한다. 예컨대, 외부 스킨의 색상은 천(fabric) 시트 커버링의 색상과 매칭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가요성 도어(34)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도어(3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은 패스너들(예컨대, 볼트들, 나사들 등)에 의해 또는 리브(44)들과 함께 사출 성형됨으로써 도어(34)에 부착될 수 있다. 핸들이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들에서, 폼은 일관된 외양을 발생하기 위해 플라스틱 핸들 위에 부어질 수 있거나, 견고한 파지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핸들 주위에 부어질 수 있다. 이해되듯이,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도어(34)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핸들 대신에 다른 구성요소들(예컨대, 노브들, 리세스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실시예들은 쿠션(46) 안으로의 오목부 또는 리세스를 발생함으로써 형성된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세그먼트형 가시 표면들을 갖는 탬부어 도어 구성들과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들의 가요성 도어(34)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는 별개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쿠션(46)은 가요성이어서, 가요성 도어(34)의 단일 시각적 외양을 유지하는 동시에 리브(44)들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쿠션(46)은 연질의 가시 표면(50)을 발생하여서, 이에 의해 탬부어 도어(34)가 차량 착석자들을 위한 팔걸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쿠션(46)은 먼지 및/또는 다른 잔해의 수집 및 끼임을 야기할 수 있는 세그먼트들 사이의 리세스들을 또한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없앤다. 또한, 쿠션(46)의 일체형 외부 스킨은 탬부어 도어(34)의 시각적 외양을 보강할 수 있는 장식층의 도포를 위해 적합할 수 있다.
도 5는 라인 5-5 를 따라 취해진 도 4의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리브(44)들은 콘솔(16)의 내부(42)를 대면하는 쿠션(46)의 배후 표면(52)에 커플링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리브(44)들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해되듯이, 사출 성형은 완성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주형 안으로 액체 수지를 주입하는 것을 수반한다. 일단 리브(44)들이 형성되면, 리브(44)들은 쿠션(46)을 형성하기 위한 형상을 갖는 공동을 갖는 주형 안으로 위치될 수 있다. 폼이 그 후 주형 안으로 부어질 수 있다. 폼이 팽창하고 경화될 때, 폼은 리브(44)들에 접합되고, 이에 의해 리브(44)들 및 쿠션(46)을 포함하는 단일 구조물을 형성한다. 게다가, 주형 내의 재료 화학 성질 및 온도 변동들로 인해, 고밀도 가요성 외부 스킨(54)이 저밀도 폼 쿠션(46) 주위에 형성된다. 일체형 외부 스킨(54)은 폼 쿠션(46)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탬부어 도어(34)에 바람직한 외양을 제공한다.
쿠션(46)의 두께(56)는, 차량 팔걸이로서의 사용을 위해 적절한 쿠션형 표면을 발생하는 동시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44)들의 배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도어(34)의 굽힘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해되듯이, 더 두꺼운 쿠션(46)들은 보강된 편안함을 갖는 팔걸이를 제공할 수 있지만, 더 얇은 쿠션(46)들은 부가적인 가요성을 용이하게 한다. 예컨대, 특정 실시예들에서, 두께(56)는 대략 5 ㎜ 보다 더 클 수 있다. 예로서, 두께(56)는 대략 5 내지 20, 7 내지 16, 8 내지 11 또는 약 9 ㎜ 일 수 있다. 게다가, 일체형 외부 스킨(54)의 두께(58)는 쿠션(46)이 압축될 때 스킨이 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특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일체형 외부 스킨(54)의 두께는 대략 2, 1.5, 1, 0.5, 0.3, 0.2 ㎜, 또는 0.1 ㎜ 미만, 또는 그 미만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쿠션(46)을 형성하는 공동은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일체형 외부 스킨(54)의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가시 표면(50)을 발생한다. 이해되듯이, 매끈함은 쿠션(46)의 가시 표면(50) 내의 치수 변동들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가시 표면(50) 내의 치수 변동들은 대략 0.5 내지 0.01, 0.3 내지 0.03, 0.2 내지 0.05 또는 약 0.1 ㎜ 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치수 표면 변동들은 대략 0.5, 0.3, 0.2, 0.1, 0.05, 0.03 ㎜ 미만, 또는 약 0.01 ㎜ 일 수 있다. 이러한 매끄러운 표면(50)은 차량 내부(12)의 외양을 보강하고/하거나 장식의 적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쿠션(46)을 형성하는 공동은 텍스쳐 가공된 표면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일체형 외부 스킨(54)의 텍스쳐 가공된 가시 표면(50)을 발생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일체형 외부 스킨(54)은 일련의 상호 잠금된 평행한 세그먼트들을 갖는 탬부어 도어의 외양을 모방할 수 있다. 예컨대, 쿠션(46)을 형성하는 공동은 일체형 외부 스킨(54)에 대응하는 평행한 리세스들을 형성하는 일련의 평행한 리지(ridge)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세그먼트들 사이에 바람직하지 않은 끼임 지점들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세그먼트형 탬부어 도어의 외양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탬부어 도어(34)는 일체형 외부 스킨(54)의 가시 표면(50) 상에 배치되는 장식층, 그리고 장식층 상에 배치되고 외부 스킨(54)에 접합되는 정상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정상 코팅층은 실질적으로 가시 표면(50)에 걸쳐 연속성을 유지하면서 외부 스킨(54)에 따라 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일체형 외부 스킨(54)은 텍스쳐 가공된 외부 스킨과 관련된 천 패턴처럼 보이는 표면 마무리를 이용함으로써 천 스킨의 외양을 모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별개의 스킨을 이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제작 비용들을 감소시키면서, 탬부어 도어(34)의 시각적 매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중앙 콘솔 내에 이용될 수 있는 커버층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가요성 도어(34)는 쿠션(46)에 커플링되는 다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44)들을 포함한다. 리브(44)들은 도어(34)를 지지하고 개구(30)를 가로지르는 도어(34)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콘솔(16)의 트랙(36)들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브(44)들은 각각의 트랙(36) 내에서 대응하는 리세스와 상호 잠금하도록 구성되는 돌기(48)들을 포함한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리브(44)들은 콘솔(16)의 내부(42)를 대면하는 쿠션(46)의 배후 표면에 커플링되고, 이에 의해 단일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어(34)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44)들의 배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휠 수 있고, 이에 의해 탬부어 도어가 곡선 저장 칸 개구의 윤곽들에 정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쿠션(46)은 가요성 도어(34)의 외부 표면에 매끄럽고, 일관된 외양을 제공하는 가시 표면을 갖는 커버층(60)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쿠션(46)은 몰딩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주형 내의 재료 화학 성질 및 온도 변동들은 고밀도 가요성 외부 스킨이 저밀도 폼 쿠션의 외부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저밀도 폼 쿠션의 외부 표면에 고밀도 가요성 외부 스킨의 형성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없애는 다양한 폼 복합물들 및/또는 온도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전체 쿠션(46)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저밀도를 가질 수 있다.
세그먼트형 가시 표면들을 갖는 탬부어 도어 구성들과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의 가요성 도어(34)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는 별개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지 않는다. 대신, 쿠션(46)은 가요성이어서, 가요성 도어(34)의 단일 시각적 외양을 유지하는 동시에 리브(44)들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가요성 도어(34)는 쿠션의 외부 표면에 고정되는 커버층(60)을 포함하며, 이에 의해 탬부어 도어(34)가 차량 착석자들을 위한 팔걸이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커버층(60)은 먼지 및/또는 다른 잔해의 수집 및 끼임을 야기할 수 있는 세그먼트들 사이의 리세스들을 또한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없앤다. 또한, 커버층(60)은 탬부어 도어(34)의 시각적 외양을 보강하는 재료들 및/또는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실시예들에서, 커버층(60)은 가죽, 비닐, 천(직물 또는 부직포) 및/또는 다양한 다른 재료들로 제작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커버층(60)은 재료의 제 1 피스(62)와 재료의 제 2 피스(64)를 포함한다. 재료의 제 1 피스(62) 및 재료의 제 2 피스(64)는 스티칭(68)에 의해서 시임(66)에 의해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커버층(60)은 시임들을 갖지 않는 재료의 단일 피스, 또는 다수의 시임(66)들을 갖는 재료의 3 또는 그 초과의 피스들로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예시된 실시예는 가요성 도어(34)를 축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시임(66)을 포함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은 원호들, 코너들, 직선들 및/또는 다른 형상들을 포함하는 다른 구성들의 시임(66)들을 가질 수 있다. 커버층(60)은 이 커버층(60)이 실질적으로 매끄러운(예컨대, 주름지지 않는) 외양을 유지하면서 쿠션(46)을 따라 휠 수 있도록 쿠션(46)의 외부 표면에 고정된다. 커버층(60)은 접착제 연결(adhesive connection)에 의해, 또는 몰딩 공정을 통하여 쿠션(46)의 외부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라인 7-7 을 따라 취해진 도 6의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횡단면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리브(44)들은 콘솔(16)의 내부(42)를 대면하는 쿠션(46)의 배후 표면(52)에 커플링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리브(44)들은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단 리브(44)들이 형성되면, 리브(44)들은 쿠션(46)을 형성하기 위해 형상을 갖는 공동을 갖는 주형 안으로 위치될 수 있다. 폼이 그 후 주형 안으로 부어질 수 있다. 폼이 팽창하고 경화될 때, 폼은 리브(44)들에 접합되고, 이에 의해 리브(44)들 및 쿠션(46)을 포함하는 단일 구조물이 형성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주형 내의 재료 화학 성질 뿐만 아니라 온도 변동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밀도 폼 쿠션(46) 주위에 고밀도 가요성 외부 스킨(54)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커버층(60)은 고밀도 가요성 외부 스킨(54)의 외부 표면(70)에 고정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커버층(60)의 에지(72)는 쿠션(46) 아래로 접힐 수 있고 쿠션(46)의 배후 표면(52)에, 또는 리브(44)들에 패스너(74)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패스너(74)는 스테이플 또는 핀일 수 있다.
쿠션(46)의 두께(76)는, 차량 팔걸이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쿠션형 코어를 발생하면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44)들의 배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도어(34)의 굽힘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해되듯이, 더 두꺼운 쿠션(46)들은 보강된 편안함을 갖는 팔걸이를 제공할 수 있는 반면, 더 얇은 쿠션(46)들은 부가적인 가요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커버층(60)은 팔걸이의 가시 표면으로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가죽, 비닐 또는 옷감과 같은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예로서, 특정 실시예들에서, 두께(76)는 대략 5 ㎜ 보다 더 클 수 있다. 예컨대, 두께(76)는 대략 5 내지 20, 7 내지 16, 8 내지 11, 또는 약 9 ㎜ 일 수 있다. 게다가, 일체형 외부 스킨(54)을 갖는 쿠션(46)들을 위하여, 일체형 외부 스킨(54)의 두께(58)는 쿠션(46)이 압축될 때 스킨이 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특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일체형 외부 스킨(54)의 두께(58)는 대략 2, 1.5, 1, 0.5, 0.3, 0.2 ㎜ 또는 0.1 ㎜ 미만, 또는 그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커버층(60)의 두께(78)는 쿠션(46)이 압축될 때 커버층(60)이 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또한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두께(78)는 대략 2, 1.5 ㎜ 또는 1.0 ㎜ 또는 그 미만일 수 있다.
도 8은 일체형 외부 스킨이 없는 쿠션을 갖는, 커버층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쿠션(46)은 고밀도 외부 스킨이 저밀도 폼 쿠션(46) 주위에 형성되는 것을 야기하지 않는 다양한 폼 복합물들 및/또는 몰딩 공정들로 형성된다. 오히려, 전체 쿠션(46)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저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커버층(60)은 저밀도 폼 쿠션(46)의 외부 표면(8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층(60)은 접착제 연결에 의해 또는 몰딩 프로세스를 통하여 쿠션(46)의 외부 표면(8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기재의 축방향 단부 주위를 랩핑하며, 이에 의해 탬부어 도어의 패딩형 축방향 단부(82)를 발생하는 쿠션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34)의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탬부어 도어(34)는 실질적으로 보관 칸을 에워싸는 폐쇄 위치로부터 보관 칸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 위치로 제 1 축방향(84)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탬부어 도어(34)는, 제 1 축방향(84)과 대향하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제 2 축방향(86)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쿠션은 제 1 축방향(84)에 대하여 패딩형 축방향 선단부(82)를 형성한다. 하지만, 쿠션은 제 1 축방향(84)에 대하여 패딩형 축방향 후단부(즉, 제 2 축방향(86)에 대한 축방향 선단부)를 또한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탬부어 도어(34)는 탬부어 도어(34)의 축방향 단부(82)에 인접하여 위치된 제 1 리브(90)를 갖는 기재(88)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리브(90)는 탬부어 도어의 축방향 단부(82)에 대응하는 기재의 축방향 단부를 형성한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탬부어 도어(34)는 제 1 리브(9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 다수의 제 2 리브(44)들을 또한 포함한다. 또한, 기재는 제 2 방향(86)을 따라 제 1 리브(90)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 3 리브(92)를 포함한다. 각각의 리브는 제 1 및 제 2 축방향들로의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게다가, 기재(88) 및 각각의 제 2 리브(44)는 단일 탬부어 도어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쿠션(46)에 커플링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쿠션(46)은 기재(88)의 제 1 표면(94)을 따라 연장하고, 제 1 리브(90) 주위를 랩핑하며, 기재의 제 2 표면(96)과 맞물린다. 쿠션(46)이 제 1 리브(90) 주위를 랩핑할 때, 쿠션은 리브의 리딩 표면(98), 리브의 바닥 표면(100), 그리고 리브의 트레일링 표면(102)과 접촉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리브(90)의 리딩 표면(98)은 기재의 축방향 단부를 형성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기재(88)의 제 1 리브(90) 주위에 쿠션(46)을 랩핑하는 것은 탬부어 도어(34)의 축방향 단부(82)의 패딩형 단부 부분(104)을 발생한다. 제 1 리브(90) 주위에 쿠션(46)을 랩핑하는 것과 연관된 증가된 접촉 면적으로 인해, 쿠션과 기재 사이의 접합력은 쿠션이 단지 기재의 제 1 표면과 커플링되는 구성들에서보다 더 클 수 있다. 그 결과, 탬부어 도어의 작동 동안 기재/쿠션 분리의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없어진다. 게다가, 쿠션이 실질적으로 기재의 축방향 단부를 커버하기 때문에, 착석자 손과 기재 재료 사이의 접촉 가능성은 실질적으로 감소되고, 이에 의해 탬부어 도어의 인지되는 품질을 보강한다.
이해되듯이, 제 1 리브를 둘러싸는 쿠션(46)의 두께(106)는 바람직한 강도, 외양 및/또는 감촉을 제공하도록 특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실시예들에서, 제 1 리브(90) 주위의 쿠션의 두께(106)는 기재의 제 1 표면(94)을 다른 쿠션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리브를 둘러싸는 쿠션의 부분은 기재(88)의 제 1 표면(94)을 따라 연장하는 쿠션의 부분보다 더 두껍거나 더 얇을 수 있다. 예로서, 두께(106)는 대략 0.25 내지 20, 1 내지 15, 5 내지 10, 또는 약 9 ㎜ 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 2 리브(44)는 리브와 쿠션 사이의 접합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쿠션(46) 내에 감싸진다. 따라서, 폼 층(108)이 쿠션(46)의 배후 표면(52)으로부터 연장하고, 리브(44) 주위를 랩핑하고, 쿠션의 배후 표면(52)으로 복귀한다. 예컨대,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브(44)의 정상 표면(110)은 쿠션(46)의 배후 표면(52)에 접합된다. 폼 층(108)은 리브의 제 1 축방향 표면(112)을 따라 쿠션의 배후 표면(52)으로부터 연장하고, 리브의 바닥 표면(114) 주위를 랩핑하며, 쿠션의 배후 표면(52)으로 리브의 제 2 축방향 표면(116)을 따라 연장한다. 각각의 리브를 중심으로 연장하는 폼 층(108)과 관련된 보강된 접촉 구역으로 인해, 리브들과 쿠션 사이의 접합력은 쿠션이 단지 각각의 리브(44)의 정상 표면(110)과 커플링되는 구성들에서의 접합력보다 더 클 수 있다. 그 결과, 탬부어 도어의 작동 동안 리브/쿠션 분리의 가능성은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없어진다.
이해되듯이, 제 2 리브(44)들을 둘러싸는 폼의 두께(118)는 바람직한 강도 및/또는 외양을 제공하도록 특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실시예들에서, 폼 층(108)의 두께(118)는 대략 0.1 내지 1.0, 0.2 내지 0.8, 0.25 내지 0.5, 또는 약 0.25 ㎜ 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폼 층(108)은 각각의 리브의 전체 가로 범위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폼 층(108)은 리브들의 가로 범위의 일부를 따라 연장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실시예들에서, 서로로부터 가로로 이격된, 폼의 다수의 스트립들이 리브들을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하에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쿠션(46)은 몰딩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브들은 제 1 주형 요소의 대응하는 리세스들 내에 고정될 수 있다. 2 개의 반응성 폼 복합물들은 혼합되고 제 2 주형 요소의 주형 공동 안으로 부어질 수 있다. 2 개의 주형 요소는 주형 공동이 리브들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서로 접촉하게 될 수 있다. 폼이 팽창하고 경화도리 때, 폼은 리브(44)들과 접합되고, 이에 의해 단일 가요성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리브들 주위에 폼 층을 발생하기 위해, 리세스들은 리브들보다 약간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폼이 팽창하고 경화될 때, 폼은 리브들과 대응하는 리세스들 사이의 갭들로 유동하고, 이에 의해 쿠션 내의 각각의 리브를 감싼다.
도 10은 쿠션 내에 부분적으로 매립된 리브들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탬부어 도어(34)는 기재(88)의 제 1 리브(90) 주위에 랩핑되는 쿠션(46)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쿠션(120)은 코팅 재료가 기재(88)에 접착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기재의 제 2 표면(96)을 따라 연장한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쿠션 몰딩 공정 동안, 폼 복합물들이 주입되기 전에 페인트 층이 주형 공동에 도포될 수 있다. 페인트는 주형의 내부 표면에 인접한 폼과 접합하고, 이에 의해 가요성 외부 스킨의 바람직한 색상을 발생한다. 하지만, 기재의 부분들이 탬부어 도어가 주형 내에 있는 동안 페인트에 노출된다면, 페인트는 기재에 부분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하지만, 탬부어 도어의 작동 동안, 기재 상의 페인트는 제거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탬부어 도어의 인지되는 품질이 감소된다. 기재의 제 2 표면(96) 위에 쿠션 연장부(120)를 제공함으로써, 주형 내의 기재(88)에 접착하는 페인트의 가능성은 실질적으로 감소되거나 없어지고, 이에 의해 탬부어 도어의 인지되는 품질을 보강한다.
이해되듯이, 기재의 제 2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폼의 두께(122)는 폼 페인트로부터 바람직한 정도의 보호를 제공하도록 특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실시예들에서, 쿠션 연장부(120)의 두께(122)는 대략 0.1 내지 1.0, 0.2 내지 0.8, 0.25 내지 0.5, 또는 약 0.25 ㎜ 일 수 있다. 또한, 기재의 다른 영역들(예컨대, 제 3 리브(92))이 코팅 재료가 기재에 접착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폼의 얇은 층으로 또한 코팅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리브(44)의 일부가 쿠션(46)의 배후 표면(52) 내에 매립되고, 이에 의해 리브들과 쿠션 사이의 접합력을 보강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브(44)는 쿠션(46) 내에 매립된 제 1 부분(124), 기재로부터 연장하는 제 2 부분(126)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시된 실시예에서, 단지 각각의 리브(44)의 일부만이 쿠션(46) 내에 매립된다. 제 1 부분(124)은 관통 깊이(128)만큼 쿠션 내에서 연장한다. 이해되듯이, 관통 깊이(128)는 리브들과 쿠션 사이에 바람직한 접합 강도를 제공하도록 특히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관통 깊이(128)는 대략 0.5 내지 10, 1 내지 8, 3 내지 6 또는 약 5 ㎜ 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리브(44)의 제 1 부분(124)은 리브와 쿠션 사이에 기계적 잠금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가로 연장부(130)를 포함한다. 이해되듯이, 가로 연장부(130)의 길이 및/또는 기하학적 형상은 리브와 기재 사이에 바람직한 접합 강도를 제공하도록 특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리브(44)의 제 1 부분(124)은 리브(44)의 제 2 부분(126)보다 더 넓고, 이에 의해 리브들과 쿠션 사이의 접합을 더 강하게 한다. 하지만, 가로 연장부(130)는 특정 실시예들에서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다른 리브 형상들이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이용될 수 있다.
각각의 리브의 일부가 쿠션 내에 매립되기 때문에, 제 1 부분(124)과 쿠션의 폼 사이의 접촉은 쿠션에 대한 각각의 리브의 회전에 저항한다. 따라서, 예시된 탬부어 도어는 쿠션이 단지 각각의 리브의 정상 표면에 접합되는 탬부어 도어들에서보다 더 높은 수직 하중들을 저항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실시예들에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폼 층이 리브와 쿠션 사이의 접합을 더 보강하기 위해 각각의 리브의 주변을 중심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쿠션(46)은 몰딩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브들은 제 1 주형 요소의 대응하는 리세스들 내에 고정될 수 있다. 2 개의 반응성 폼 복합물들이 혼합되고 제 2 주형 요소의 주형 공동 안으로 부어질 수 있다. 2 개의 주형 요소는 주형 공동이 리브들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서로 접촉하게 될 수 있다. 폼이 팽창하고 경화될 때, 폼은 리브(44)들과 접합되고, 이에 의해 단일 가요성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쿠션 내에 리브들을 매립하기 위해, 리브들은 대응하는 리브들의 높이보다 더 얕은 리세스들을 갖는 주형 요소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폼이 팽창하고 경화도리 때, 폼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리브의 제 1 부분을 커버하고, 이에 의해 쿠션 내에 리브들을 매립한다.
도 11은 윤곽을 갖는 가로 단부를 갖는 쿠션을 포함하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탬부어 도어(34)는 탬부어 도어(34)를 둘러싸는 중앙 콘솔(16) 내에 장착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중앙 콘솔(16)의 쿠션(132)은 탬부어 도어(34)를 중심으로 배치되고, 탬부어 도어(34)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착석자는 탬부어 도어 쿠션(46)의 패딩 상에 및/또는 중앙 콘솔 쿠션(132)의 패딩 상에 팔을 놓을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중앙 콘솔 쿠션(132)은 구조적 골조(framework; 134)에 의해 지지된다. 구조적 골조(134)는 중앙 콘솔(16)의 저장 칸을 형성하는 내부 벽(136)을 또한 지지한다. 또한, 구조적 골조(134)는 트랙(36)을 형성하는 C-형상 채널(138)을 포함한다. 따라서, 탬부어 도어(34)는 저장 칸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 위치와 저장 칸을 실질적으로 에워싸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트랙(36)을 따르는 탬부어 도어(34)의 축방향 이동을 통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탬부어 도어 쿠션(46)은 축방향을 따르는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갭(140)에 의해 중앙 콘솔 쿠션(132)으로부터 이격된다. 불행하게, 갭은 착석자가 중앙 콘솔/탬부어 도어의 내부 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방향(142)으로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된 탬부어 도어(34)의 쿠션(46)은 콘솔/탬부어 도어의 내부로의 시야의 라인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윤곽을 갖는 가로 단부(144)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중앙 콘솔의 외양을 보강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윤곽을 갖는 가로 단부(144)는 쿠션(46)의 배후 표면(52)에 인접하여 돌출부(146)를 형성한다. 돌출부(146)는 중앙 콘솔 쿠션(132)의 내부 표면(150)을 넘어서 가로로 외향 방향(148)으로 연장한다. 중앙 콘솔 쿠션(132)과 탬부어 도어 쿠션(46) 사이의 겹침으로 인해, 중앙 콘솔의 내부 구조를 관찰하기 위해 방향(142)으로 착석자가 보는 것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중앙 콘솔/탬부어 도어의 외양은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보관 칸을 형성하는 벽(136)이 수직으로 하중을 받는 동안 탬부어 도어(3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벽(136)의 원위 단부(152)는 트랙(36)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벽(136)의 원위 단부(152)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고, 실질적으로 트랙의 바닥 표면(154)과 정렬된다. 따라서, 갭(155)이 리브(44)들과 벽(136)의 원위 단부(152) 사이에 형성되고, 이에 의해 탬부어 도어(34)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하방 수직 하중이 방향(156)으로 탬부어 도어에 가해질 때, 리브들은 각각의 리브(44)의 바닥 표면(158)이 벽(136)의 원위 단부(152)와 접촉하도록 휠 수 있다. 벽(136)의 원위 단부(152)와 리브(44)들 사이의 접촉은 하중을 받는 동안 탬부어 도어(34)를 지지하고, 이에 의해 리브들이 트랙(36)과 맞물림 해제되는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거나 없앤다. 그 결과, 벽의 원위 단부는 탬부어 도어가, 탬부어 도어로의 착석자 전달 중량으로부터와 같은 수직 하중을 받는 동안 저장 칸을 향하는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차단한다. 벽(136)의 원위 단부(152)가 예시된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편평하지만, 원위 단부는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윤곽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예컨대, 리브들의 윤곽들에 정합하기 위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2는 가시 표면 내에 형성된 장식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쿠션(46)은 가시 표면(50)으로부터 기재(88)로 연장하는 개구(168)를 포함한다. 개구(168)는 핸들이 기재(88)에 직접 고정되는 것을(즉, 핸들과 기재 사이에 위치된 폼 층 없이)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 더 타이트한/더 단단한 접합이 핸들과 기재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탬부어 도어의 인지되는 품질은 보강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기재(88)는 핸들을 기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패스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개구(170)들을 포함한다. 하지만, 핸들은, 예컨대 접착제 접합 또는 열 융착(heat-staking)과 같은 다른 방법들에 의해 기재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쿠션(46)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스킨과 같은 일체형 외부 스킨을 포함한다. 게다가, 탬부어 도어는 일체형 외부 스킨의 제 1 가시 표면(50) 내에 형성된 장식(172)을 포함한다. 장식(172)은 이 장식(172)의 경계들을 형성하는 제 2 가시 표면(174)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브들에 대한 제 1 가시 표면(50)의 제 1 높이는 리브들에 대한 제 2 가시 표면(174)의 제 2 높이와는 상이하다. 그 결과, 장식(172)의 경계들이 명백하게 형성된다. 예컨대, 제 2 높이는 제 1 높이보다 더 작을 수 있어서, 이에 의해 양각형 장식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제 2 높이는 제 1 높이보다 더 클 수 있어서, 이에 의해 상승된 장식을 형성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커버층은 상승된 장식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커버층의 가시적인 패턴을 발생한다. 게다가, 장식 코팅이 탬부어 도어의 외양을 더 보강하기 위해 장식에 도포될 수 있다. 이해되듯이, 장식의 높이, 크기 및/또는 형상은 바람직한 탬부어 도어 외양을 제공하도록 특히 선택될 수 있다.
도 13은 각각의 지지 리브의 장착 표면을 넘어서 가로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쿠션을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다른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예시된 바와 같이, 쿠션(46)의 배후 표면(52)은 각각의 리브(44)의 장착 표면(175)에 커플링된다. 게다가, 쿠션(46)은 리브 돌기(48)들로부터 이격되고, 가로로 외향 방향(148)으로 장착 표면(175)을 넘어서 연장하는 가로 돌출부(176)를 포함한다. 그 결과, 리세스(178)가 돌기(48)들과 가로 돌출부(176) 사이에 형성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가로 돌출부(176)는 중앙 콘솔의 내부 구조물 안으로의 시야의 라인을 차단하고, 이에 의해 콘솔/탬부어 도어의 외양을 보강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가로 돌출부(176)는 둘러싸는 중앙 콘솔 구조물의 정상 표면에 겹쳐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쿠션(132)을 제거한다. 그 결과, 중앙 콘솔의 비용 및/또는 복잡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4는 쿠션의 배후 표면 내에 매립된 장착 피처를 갖는 지지 리브를 갖는 가요성 탬부어 도어의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쿠션(46)은 리브 돌기(48)들로부터 이격되고, 가로로 외향 방향(148)으로 각각의 리브의 장착 표면을 넘어서 연장하는 가로 돌출부(176)를 포함한다. 그 결과, 가로 돌출부(176)는 중앙 콘솔의 내부 구조물 안으로의 시야의 라인을 차단하고, 이에 의해 콘솔/탬부어 도어의 외양을 보강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리브(44)는 쿠션(46)의 배후 표면(52) 내에 매립된 장착 피쳐(202)를 포함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쿠션(46)의 부분(204)은 장착 피쳐(202)의 바닥 표면(206)을 따라 연장하고, 이에 의해 리브(44)와 쿠션(46) 사이에 기계적 잠금을 발생한다. 장착 피쳐(202)가 쿠션의 가로 돌출부(176)를 지지하기 때문에, 쿠션(46)의 가로 단부들은 부가적인 하중을 저항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더 내구성 있는 탬부어 도어를 제공하고, 및/또는 쿠션이 각각의 리브의 장착 표면을 넘어서 더 큰 가로 거리로 연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5는 탬부어 도어(34)의 리브(44)들로부터 연장하는 돌기들의 실시예의 상세한 사시도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돌기(48)는 제 1 부분(214)과 제 2 부분(216)을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사출 성형 공정 동안 형성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분(216)은 제 1 부분(214)보다 더 좁다(즉, 제 2 부분(216)의 축방향 크기는 제 1 부분(214)의 축방향 크기 미만이다). 게다가, 제 2 부분(216)의 정상 표면(218)은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돌기(48)는 제 2 부분(216)의 정상 표면(218)을 따라 제 1 지점(220)에서, 제 1 부분(214)의 가로 단부에서 제 2 지점(222)에서 그리고 제 1 부분(214)의 바닥 단부에서 제 3 지점(224)에서 트랙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접촉의 3 개의 지점들은, 탬부어 도어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중앙 콘솔에 대한 탬부어 도어의 가로 및 수직 이동을 차단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기재 및/또는 리브들의 표면 에너지는 쿠션과의 적절한 접합을 발생하도록 특히 선택된다. 예컨대, 특정 실시예들에서, 리브들 및/또는 기재는 30, 40, 50 또는 60 dynes/㎝ 보다 더 크거나, 그 초과인 표면 에너지를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브들 및/또는 기재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및/또는 폴리아미드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리브들 및/또는 기재는 바람직한 레벨로 표면 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해 처리된다(예컨대,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화학적 처리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단지 특정한 특징들 및 실시예들이 예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많은 수정들 및 변경들이 청구항들에 인용된 요지의 신규한 교시들 및 이점들로부터 실질적으로 이탈함이 없이 당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다(예컨대, 크기들, 치수들, 구조물들, 형상들 및 다양한 요소들의 비율들, 파라미터들(예컨대, 온도들, 압력들 등)의 값들, 장착 배열들, 재료들의 사용, 색상들, 배향들, 등). 임의의 프로세스 또는 방법 단계들의 순서 또는 차례는 변할 수 있거나 대안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다시 차례가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들은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에 속하는 것과 같은 모든 이러한 수정들 및 변경들을 커버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간결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으로, 실제 이행의 모든 피처들이 설명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즉, 이는 본 발명을 실행하는 현재 고려된 최적의 모드와 관련이 없거나, 주장된 발명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관련이 없음). 임의의 이러한 실제 이행의 개량에서, 임의의 기계공학적인 또는 디자인 프로젝트로서, 수많은 이행의 구체적인 결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량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 소비적일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실험 없이, 본 개시의 이익을 갖는 당업자에 대한 디자인, 직조 및 제작의 통상적인 일일 것이다.
Claims (29)
- 내부 트림 구성요소로서,
상기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축방향 단부의 근처에 위치되는 제 1 리브를 갖는 기재;
상기 제 1 리브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각각 배향되는 복수의 제 2 리브들로서, 상기 제 1 리브와 각각의 제 2 리브는 트랙을 따르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트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 2 리브들; 및
상기 복수의 제 2 리브들 및 상기 기재에 커플링되는 쿠션으로서, 상기 쿠션은 상기 기재의 제 1 표면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 1 리브의 주위를 랩핑하고, 상기 기재의 제 1 표면에 대향하는 제 2 표면과 맞물려서 상기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축방향 단부를 형성하는, 쿠션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일체형 외부 스킨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상기 기재에 핸들을 고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 1 표면의 근처에 개구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보관 칸을 실질적으로 에워싸도록 구성되는 탬부어 도어(tambour door)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코팅 재료가 상기 기재에 접착(adhere)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기재의 제 2 표면을 따라 연장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내부 트림 구성요소로서,
트랙을 따르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트랙과 맞물리도록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및
외부 표면, 배후 표면, 그리고 외부 표면과 배후 표면 사이에서 연장하는 윤곽을 갖는 가로 단부(contoured lateral end)를 갖는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표면은 차량의 내부를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후 표면은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고, 상기 윤곽을 갖는 가로 단부는 배후 표면의 근처에 돌출부를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를 둘러싸는 구조물의 내부 표면을 넘어서(beyond) 가로로 외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를 둘러싸는 구조물 내의 보관 칸을 실질적으로 에워싸도록 구성되는 탬부어 도어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일체형 외부 스킨을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브는 40 dynes/㎝ 보다 더 큰 표면 에너지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구성요소를 둘러싸는 구조물은 제 2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쿠션은 내부 표면을 형성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내부 트림 구성요소로서,
트랙을 따르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트랙과 맞물리도록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및
외부 표면 및 배후 표면을 갖는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표면은 차량의 내부를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후 표면은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고, 하나 이상의 리브의 일부는 상기 배후 표면 내에 매립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의 일부는 하나 이상의 리브와 쿠션 사이에 기계적 잠금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가로 연장부(lateral extension)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의 일부는 상기 리브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넓은,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리브는 40 dynes/㎝ 보다 더 큰 표면 에너지를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보관 칸을 실질적으로 에워싸도록 구성되는 탬부어 도어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차량 내부 조립체로서,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그리고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는 쿠션을 갖는 탬부어 도어; 및
상기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트랙, 및 보관 칸을 형성하는 내부 벽을 갖는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며,
각각의 리브는 보관 칸으로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개방 위치와 보관 칸으로의 접근을 차단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트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벽의 원위 단부(distal end)는 상기 벽의 원위 단부와 상기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간의 접촉을 통하여 상기 보관 칸을 향하는 상기 탬부어 도어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트랙의 근처에 위치되는,
차량 내부 조립체.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원위 단부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차량 내부 조립체.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원위 단부는 탬부어 도어가 하중을 받지 않는 동안,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로부터 이격되는,
차량 내부 조립체.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벽의 원위 단부는 상기 트랙의 바닥 표면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차량 내부 조립체.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일체형 외부 스킨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조립체.
- 내부 트림 구성요소로서,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로부터 가로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들로서 각각의 돌기가 트랙을 따르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트랙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돌기들; 및
외부 표면 및 배후 표면을 갖는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 표면은 차량의 내부를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후 표면은 각각의 리브의 장착 표면에 커플링되고,
상기 쿠션은 복수의 돌기들로부터 이격되고, 각각의 리브의 장착 표면을 넘어서 가로로 외향으로 연장하는 가로 돌출부(lateral projection)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2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리브는 상기 하나 이상의 리브와 쿠션 사이에 기계적 잠금을 발생하기 위해 쿠션의 배후 표면 내에 매립되는 장착 피쳐를 포함하는,
차량 내부 조립체.
- 제 21 항에 있어서,
주형 내에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을 고정시키는 것과 상기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의 근처에 있는 공동 안으로 폼(foam)을 주입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쿠션이 형성되는,
차량 내부 조립체.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일체형 외부 스킨을 포함하는,
차량 내부 조립체.
- 내부 트림 구성요소로서,
트랙을 따르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트랙과 맞물리도록 각각 구성되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
일체형 외부 스킨을 갖는 쿠션으로서, 상기 쿠션은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커플링되고 상기 일체형 외부 스킨은 내부 트림 구성요소의 제 1 가시 표면(show surface)을 형성하는, 쿠션; 및
상기 일체형 외부 스킨 내에 형성되는 장식을 포함하며,
상기 장식은 제 2 가시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대한 제 1 가시 표면의 제 1 높이는 상기 복수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리브들에 대한 제 2 가시 표면의 제 2 높이와 다른,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높이는 제 1 높이보다 더 높은,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외부 스킨은 장식 위의 커버층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시 표면은 장식 코팅층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트림 구성요소는 보관 칸을 실질적으로 에워싸도록 구성되는 탬부어 도어를 포함하는,
내부 트림 구성요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US2012/062949 WO2014070180A1 (en) | 2012-11-01 | 2012-11-01 |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9903A true KR20150079903A (ko) | 2015-07-08 |
Family
ID=4726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4199A KR20150079903A (ko) | 2012-11-01 | 2012-11-01 |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50258939A1 (ko) |
EP (1) | EP2914459A1 (ko) |
JP (1) | JP2015533360A (ko) |
KR (1) | KR20150079903A (ko) |
CN (1) | CN104812626A (ko) |
WO (1) | WO201407018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5113395B4 (de) | 2015-08-13 | 2019-10-31 |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 Einrichtung mit Mitteln zum Öffnen und Schließen eines Fachs |
US20180118121A1 (en) * | 2016-10-31 | 2018-05-03 | Inoac Usa, Inc. |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 such as a tambour door |
JP2018140662A (ja) * | 2017-02-27 | 2018-09-13 |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 車両用アームレスト装置 |
US10336228B2 (en) * | 2017-03-14 | 2019-07-02 | Ford Global Technologies Pllc | Four-component armres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US10308151B2 (en) | 2017-04-11 | 2019-06-04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Armrest assembly and unitary armrest subassembly having a support substrate and resilient web secured together by mechanical fastening feature |
WO2019005880A1 (en) * | 2017-06-27 | 2019-01-03 |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 VEHICLE INTERIOR COMPONENT |
US10196001B2 (en) * | 2017-06-27 | 2019-02-05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Tambour door and storage console incorporating a tambour door |
US20210086469A1 (en) * | 2017-07-17 | 2021-03-25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urvature limiting film |
US10232802B2 (en) * | 2017-08-02 | 2019-03-19 |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 Vehicle interior panel with compressible layer of non-uniform thickness |
KR102052925B1 (ko) * | 2017-11-09 | 2019-12-11 | 주식회사 서연이화 | 차량용 컵홀더 장치의 커버 |
US10737636B2 (en) * | 2018-01-31 | 2020-08-11 |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 Vehicle interior component |
JP6845185B2 (ja) * | 2018-06-04 | 2021-03-17 | 豊田鉄工株式会社 | 重ね合わせ複合部品および重ね合わせ複合部品の製造方法 |
DE102018222778A1 (de) * | 2018-12-21 | 2020-06-25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Verschließeinrichtung für ein Ablagefach, Ablagefach für ein Kraftfahrzeug |
US12005690B2 (en) * | 2019-04-09 | 2024-06-11 | Karma Automotive Llc | Vehicle interior component |
US11904811B2 (en) * | 2021-03-01 | 2024-02-20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torage assembly for a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870391A (en) * | 1973-08-20 | 1975-03-11 | Vernon J Nims | Cabinet door structure |
JP4467746B2 (ja) * | 2000-09-11 | 2010-05-26 | 株式会社ニフコ | 小物入れ |
US6672554B2 (en) * | 2001-09-19 | 2004-01-06 | Nifco Inc. | Article storage device and shutter used therein |
US6883852B2 (en) * | 2003-01-06 | 2005-04-26 | Intier Automotive Inc. | Articulated door with integrated handle latch |
JP4094592B2 (ja) * | 2004-08-23 | 2008-06-04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扉装置 |
DE102005006119B4 (de) * | 2005-02-10 | 2008-09-25 | Lisa Dräxlmaier GmbH | Rollo mit weicher Oberfläche |
DE102005023062B3 (de) * | 2005-05-19 | 2006-10-05 | Lisa Dräxlmaier GmbH | Rollo mit gekrümmter Oberfläche |
US7540391B2 (en) * | 2005-08-30 | 2009-06-02 | Nifco Inc. | Door shutter |
US7475954B1 (en) * | 2005-10-12 | 2009-01-13 | May & Scofield Llc | Tambour closure |
US7721926B2 (en) * | 2005-11-08 | 2010-05-25 |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e America, Inc. | Vehicle storage structure |
US7287795B1 (en) * | 2006-04-21 | 2007-10-30 |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 Vehicle storage structure |
JP4836698B2 (ja) * | 2006-07-19 | 2011-12-14 |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 蓋装置及び収納装置 |
US7735538B2 (en) * | 2006-10-06 | 2010-06-15 | Nifco Inc. | Door shutter |
US8007020B2 (en) * | 2006-11-21 | 2011-08-30 | Johnson Control Technology Company | Flexible interior component |
US7661749B2 (en) * | 2007-11-12 | 2010-02-16 | Magna International Inc. | Interior trim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US7954871B2 (en) * | 2007-11-20 | 2011-06-07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Transparent/translucent flexible component for a vehicle interior |
US8573665B2 (en) * | 2007-11-20 | 2013-11-05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Transparent/translucent flexible component for a vehicle interior |
DE102009057783A1 (de) * | 2009-12-09 | 2011-06-16 |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 Jalousie zum Verschließen von Öffnungen in Kfz-Innenräumen, Rollbox mit einer Jalousie, Mittelkonsole mit einer Rollobox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Jalousie |
WO2011143467A1 (en) * | 2010-05-12 | 2011-11-17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having an integral skin show surface |
JP5561154B2 (ja) * | 2010-07-30 | 2014-07-30 | 豊田合成株式会社 | シャッタ式物入れ |
WO2012094340A1 (en) * | 2011-01-03 | 2012-07-12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with a cover layer |
DE102011088375B4 (de) * | 2011-12-13 | 2017-02-23 | Lisa Dräxlmaier GmbH | Herstellung eines gewölbten Kunststoff-Rollos für ein Ablagefach |
US8726971B2 (en) * | 2012-04-11 | 2014-05-20 | Inoac Corporation | Shutter |
US8579348B1 (en) * | 2012-06-06 | 2013-11-12 | Honda Motor Co., Ltd. | Sliding lid with object return feature |
US20140167435A1 (en) * | 2012-12-17 | 2014-06-19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Movable interior trim component having a retaining feature |
-
2012
- 2012-11-01 KR KR1020157014199A patent/KR201500799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11-01 EP EP12794580.6A patent/EP2914459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2-11-01 WO PCT/US2012/062949 patent/WO201407018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11-01 US US14/440,041 patent/US2015025893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2-11-01 CN CN201280077324.4A patent/CN104812626A/zh active Pending
- 2012-11-01 JP JP2015540646A patent/JP2015533360A/ja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4812626A (zh) | 2015-07-29 |
WO2014070180A1 (en) | 2014-05-08 |
US20150258939A1 (en) | 2015-09-17 |
JP2015533360A (ja) | 2015-11-24 |
EP2914459A1 (en) | 2015-09-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50079903A (ko) | 가요성 내부 트림 구성요소 | |
JP5555807B2 (ja) | 一体的な皮革外観表面を有する柔軟なインテリアトリム部品 | |
KR101340128B1 (ko) | 차량 구성품 및 차량 구성품 제조 방법 | |
KR101438246B1 (ko) | 국소적인 깊은 연성 구역을 구비하는 트림 패널을 형성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트림 패널 | |
US8071002B2 (en) | Vertical trim panel with integrated stitching | |
EP2661383B1 (en) |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with a cover layer | |
US20040089965A1 (en) | Method and mould for manufacturing a moulded article comprising at least an elastomer polyurethane skin | |
US9481323B2 (en) |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having a smooth surface | |
KR20130133047A (ko) | 차량 인테리어 보관 포켓 | |
US20140167435A1 (en) | Movable interior trim component having a retaining feature | |
US20180118121A1 (en) | Automotive interior component such as a tambour door | |
US7478854B2 (en) | Automotive handle with soft fe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JP2004231030A (ja) | 自動車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成形金型 | |
GB2114051A (en) | Moulding fabric covered plastics foam assemblies | |
JP6650360B2 (ja) | 表皮一体発泡成形品 | |
CA2626502A1 (en) | Interior trim compon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KR20140078567A (ko) | 유지 피처를 갖는 이동 가능한 내부 트림 구성요소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