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9228A -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과 그의 리사이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과 그의 리사이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9228A
KR20150079228A KR1020130169302A KR20130169302A KR20150079228A KR 20150079228 A KR20150079228 A KR 20150079228A KR 1020130169302 A KR1020130169302 A KR 1020130169302A KR 20130169302 A KR20130169302 A KR 20130169302A KR 20150079228 A KR20150079228 A KR 20150079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anufactured
parts
unicode
management unit
man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주
Original Assignee
(주)컴이즈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이즈넷 filed Critical (주)컴이즈넷
Priority to KR1020130169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9228A/ko
Publication of KR2015007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30Administration of product recycling or dispo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자동차 관련 부품을 재제조하는 복수의 재제조업체 단말기와; 재제조된 자동차 관련 부품을 사용하는 복수의 구매업체 단말기와; 차량별 재제조된 부품을 관리하는 메인서버;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서버는 재제조업체 회원과 구매업체 회원으로 구분되는 회원의 인증과 등록을 관리하는 회원관리부와;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재제조된 차량의 부품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부품관리부와; 상기 구매업체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재제조된 차량의 부품 수요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수요관리부; 상기 메인서버에는 재제조되는 차량의 부품의 성능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갱신하는 성능 관리부; 상기 메인서버에는 재제조되는 차량의 부품을 유니코드(Unicode)에 의하여 분류하는 코드 관리부; 및 상기 부품관리부와 상기 수요관리부의 데이터를 매칭하는 매칭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차량의 재제조된 부품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특히 재제조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월드 와이드 웹(WWW) 기반에 의한 마켓몰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과 그의 리사이클 방법{MANAGEMENT SYSTEM OF AUTOMOBILE PARTS FOR REMANUFACTURING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되는 자동차를 분해하여 각 부품을 세척, 수리, 검사 및 조정 과정을 거쳐서 각 부품의 성능을 검사하고, 일정한 기준에 의한 성능이 유지되는 재제조 부품의 데이터를 재제조업체의 단말기로 취합하고, 이러한 재제조된 부품을 필요한 복수의 국가에서 수집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복수의 구매업체 단말기를 통하여 배분하여 저 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고 등에 의해 고장이 난 자동차를 수리하는 경우는, 대부분은 부품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는 신부품 또는 중고부품 중 어느 한 부품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중고 부품은 부품 취득용 폐차(parkted car)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고 부품을 사용하는 것은 싸게 자동차의 수리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특히 보험 회사나 중고차 판매 회사에게 큰 메리트가 되고 있고, 또한, 자원 절약 관점에서도 부품을 리싸이클하는 것이 권장된다. 이와 같은 사정으로, 이런 업종의 업자들이 근래 급속하게 발달한 컴퓨터 네트워크(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사내 또는 제휴 회사 간에 중고 부품 정보를 공유화하고 있는 케이스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어디까지나 사내 혹은 제휴회사간에 공유화하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중고 부품을 공급하는 해체/유통 업자나, 실제로 자동차 수리를 하는 정비/판금업자에게는 이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현재 이들 업자는 전화나 팩시밀리로 정보 전달을하고 있으며, 극히 한정적인 정보밖에 얻을 수 없는 실정에 있다. 이로 인해 부품의 재고가 증가하여 유통의 체류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출원된 "중고부품 유통촉진 시스템 및 중고부품 유통촉진방법(공개번호 특2001-0021036)"이 제시되고 있다.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21036호(2001.03.15 공개) 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06105(2011.01.20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중고부품 유통촉진 시스템 및 중고부품 유통촉진방법(공개번호 특2001-0021036)"은 중고차 공급자와 중고차 수용자 간의 중고차 매매를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는 점에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자동차의 부품만을 전문적으로 취급하여 특화한다는 점에서는 활성화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재활용은 사용 후 제품을 용해 또는 분해하여 원재료를 생산하고 이를 동일 제품 또는 다른 제품의 원료로 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하고 있고, 재사용은 사용 후 제품을 생산공정 없이 단순한 세척이나 수리를 통하여 재사용하는 방식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사용 후 분해, 세척, 검사, 수리 및 조정 등의 과정을 거치고 재조립 등의 과정을 거쳐서 원래 신제품의 성능을 갖도록 회복시키는 과정으로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는 재제조 과정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재제조된 부품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고. 또한 국내시장만이 아니라 해외시장을 점목시켜 시장의 확대 및 활성화를 유지 발전시킬 수 있고, 특히 재제조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월드 와이드 웹(WWW) 기반에 의한 마켓몰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은, 자동차 관련 부품을 재제조하는 복수의 재제조업체 단말기와; 재제조된 자동차 관련 부품을 사용하는 복수의 구매업체 단말기와; 차량별 재제조된 부품을 관리하는 메인서버;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서버는 재제조업체 회원과 구매업체 회원으로 구분되는 회원의 인증과 등록을 관리하는 회원관리부와;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재제조된 차량의 부품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부품관리부와; 상기 구매업체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재제조된 차량의 부품 수요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수요관리부; 및 상기 부품관리부와 상기 수요관리부의 데이터를 매칭하는 매칭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에는 재제조되는 차량의 부품의 성능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갱신하는 성능 관리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에는 재제조되는 차량의 부품을 유니코드(Unicode)에 의하여 분류하는 코드 관리부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방법은 메인서버의 회원관리부에는 접속한 사용자의 회원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회원확인단계와; 상기 회원확인단계에서 인증이 거부된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등록단계와; 상기 회원관리부에서 재제조업체회원인가를 확인하는 재제조업체 회원확인단계와; 상기 재제조업체 회원확인단계에서 재제조업체 회원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재제조 부품을 부품관리부에 저장하고 갱신하는 재제조부품 등록단계와; 상기 재제조업체 회원확인단계에서 구매업체 회원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재제조 부품 구매를 수요관리부에 저장하고 갱신하는 재제조부품 구매 등록단계; 및 상기 부품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수요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매칭부에서 매칭 연산을 하는 매칭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제조부품 등록단계는, 등록할 재제조 부품의 유니코드(Unicode)를 확인하고자 하는지 코드 관리부에서 문의하는 유니코드 확인여부단계와; 상기 코드 관리부에서 재제조업체 단말기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유니코드를 조회하는 유니코드조회단계와;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코드 관리부에 유니코드를 입력하는 코드입력단계; 및 부품관리부에서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재제조된 부품의 수량을 등록하는 부품수량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코드입력단계 후에,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에서 해당 재제조 부품에 대한 성능을 입력하는 부품성능입력단계; 및 성능 관리부에서 부품의 성능이 기준치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부품성능확인단계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제조부품 구매 등록단계는 구매업체 단말기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재제조부품의 유니코드를 수요관리부에 등록하고 갱신하는 구매 유니코드 입력단계; 및 상기 구매 유니코드 입력단계에서 입력된 유니코드에 따른 해당 재제조 부품의 수량을 입력하는 구매수량 입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니코드(Unicode)는 영문 및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되고, 자동차의 제조국가, 제조사, 차량 모델 및 부품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매칭연산단계는 상기 부품관리부와 상기 수요관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매칭부에서 호출하여 유니코드별로 연산을 하는 유니코드별 연산단계와; 부품 수량별로 연산을 하는 부품수량별 연산단계; 및 지역별로 연산을 하는 지역별 연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구성과 방법에 의하여 국내시장만이 아니라 해외시장을 접목시켜 시장의 확대 및 활성화를 유지 발전시킬 수 있고, 차량의 재제조된 부품의 성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특히 재제조 부품을 사용함으로써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월드 와이드 웹(WWW) 기반에 의한 마켓몰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한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방법의 전체 흐름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재제조부품 등록단계의 흐름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재제조부품 구매 등록단계의 흐름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매칭연산단계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재제조업체 단말기(20), 복수의 구매업체 단말기(30), 메인서버(10) 및 네트워크(1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20)는 자동차 관련 부품을 재제조하는 재제조업체의 단말기이다. 그리고 상기 구매업체 단말기(30)는 재제조된 자동차 관련 부품을 사용하는 구매업체의 단말기이고, 상기 메인서버(10)는 차량의 재제조된 부품을 관리하고 유통하는 서버이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재제조업체 단말기(20), 복수의 구매업체 단말기(30), 메인서버(10)는 네트워크(인터넷, 100)로 연결되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서버(10)에는 회원관리부(110), 부품관리부(120), 수요관리부(130), 매칭부(140), 성능 관리부(150) 및 코드 관리부(160) 등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회원관리부(110)는 재제조업체 회원과 구매업체 회원으로 구분되는 회원의 인증과 등록을 관리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제조업체는 파손되거나 손상된 차량에서 부품을 수거하고 세척, 수리, 검사 및 조정 과정을 거쳐서 성능을 검사하고, 일정한 기준에 의한 성능이 유지되는 부품을 재제조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구매업체는 차량 부품을 필요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상기 부품관리부(120)에서는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20)에서 수신되는 재제조된 차량의 부품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저장하게 되고, 상기 수요관리부(130)에서는 상기 구매업체 단말기(30)에서 수신되는 재제조된 차량의 부품 수요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매칭부(140)는 상기 부품관리부(120)와 상기 수요관리부(130)의 데이터를 매칭하는 연산을 하게 된다. 상기 성능 관리부(150)는 재제조되는 차량의 부품의 성능을 기준치를 정하여 관리하고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 관리부(160)는 재제조되는 차량의 부품을 유니코드(Unicode)에 의하여 분류하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갱신하게 되는데, 상기 유니코드(Unicode)는 영문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하고, 자동차의 제조국가, 제조사, 차량 모델 및 부품의 데이터가 포함되어야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 의한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서버(10)의 회원관리부(110)에는 접속한 사용자의 회원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회원확인단계(S10)가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회원확인단계(S10)에서 인증이 거부된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등록단계(S110)가 진행된다.
상기 회원등록단계(S110)에서는 회원등록 여부를 문의 한 후에 재제조업체회원으로 등록(S120)하거나 구매업체 회원으로 등록(S130)하게 된다.
상기 회원관리부(110)에서 재제조업체 회원인가를 확인하는 재제조업체 회원확인단계(S10)가 진행되고, 상기 재제조업체 회원확인단계(S10)에서 재제조업체 회원으로 확인(S140)되는 경우에는 재제조부품을 부품관리부(120)에 저장하고 갱신하는 재제조부품 등록단계(S20)가 진행된다.
또한, 상기 재제조업체 회원확인단계(S10)에서 구매업체 회원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재제조부품 구매를 수요관리부(130)에 저장하고 갱신하는 재제조부품 구매 등록단계(S30)가 진행되고, 상기 부품관리부(120)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수요관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매칭부(140)에서 매칭 연산을 하는 매칭연산단계(S40)가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매칭연산단계(S40)에서 매칭된 데이터는 해당 재제조업체 단말기(20)와 해당 구매업체 단말기(30)에 전송하여 유통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재제조부품 등록단계(S2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제조부품 등록단계(S20)는 등록할 재제조 부품의 유니코드(Unicode)를 확인하고자 하는지 코드 관리부(160)에서 문의하는 유니코드 확인여부단계(S210)가 진행되는데, 문의를 원하는 경우에는 상기 코드 관리부(160)를 통하여 재제조업체 단말기(20)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유니코드를 조회하는 유니코드조회단계(S220)가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20)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코드 관리부(160)에 유니코드를 입력하는 코드입력단계(S230)가 진행된다.
상기 유니코드(Unicode)는 영문으로 표기함을 원칙으로 하고, 자동차의 제조국가, 제조사, 차량 모델 및 부품의 데이터가 포함되고, 상기 코드 관리부(160)에 의하여 관리되게 된다. 따라서 언어가 다른 해외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유니코드(Unicode)에 의하여 차량이나 모델의 혼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코드입력단계(S230) 후에, 해당 재제조부품의 성능을 입력하고(S240), 성능 관리부(150)에서 부품의 성능이 기준치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부품성능확인단계(S250)가 진행된다. 상기 재제조업체의 단말기(20)에서 입력된 성능이 기준치에 합당한 경우에는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20)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재제조된 부품의 수량을 등록하는 부품수량입력단계(S260)가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수량입력단계(S260)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는 상기 부품관리부(120)에 등록되고 갱신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재제조부품 구매 등록단계(S30)는 구매업체 단말기(30)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재제조부품의 유니코드를 수요관리부(130)에 등록하고 갱신하는 구매 유니코드 입력단계(S310)가 진행되고, 상기 구매 유니코드 입력단계(S310)에서 입력된 유니코드에 따른 해당 재제조 부품의 수량을 입력하는 구매수량 입력단계(S320)가 진행된다. 상기 유니코드도 상기 코드 관리부(160)에서 관리하는 동일한 유니코드를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재제조부품 등록단계(S20)와 상기 재제조부품 구매 등록단계(S30)가 진행된 후에는 상기 메인서버(10)에서는 상기 매칭부(140)에 의하여 매칭연산단계(S40)가 이루어지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칭연산단계(S40)는 상기 부품관리부(120)와 상기 수요관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매칭부(140)에서 호출하여 유니코드별로 연산을 하는 유니코드별 연산단계(S410), 부품 수량별로 연산을 하는 부품수량별 연산단계(S420) 및 지역별로 연산을 하는 지역별 연산단계(430)가 진행되고, 이와 같이 매칭된 결과는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20)와 상기 구매업체 단말기(30)에 전송되어서 계약이 이루어지고 또한 유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계약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금융거래는 에스크로(ESCROW) 금융 서비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메인서버, 20: 재제조업체 단말기,
30: 구매업체 단말기, 110: 회원관리부,
120: 부품관리부, 130: 수요관리부,
140: 매칭부, 150: 성능 관리부,
160: 코드 관리부, S10: 회원확인단계,
S20: 재제조부품 등록단계, S30: 재제조부품 구매 등록단계,
S40: 매칭연산단계, S110: 회원등록단계,
S210: 유니코드 확인여부단계, S220: 유니코드조회단계,
S230: 코드입력단계, S240: 부품성능입력단계,
S250: 부품성능확인단계, S260: 부품수량입력단계,
S310: 구매 유니코드 입력단계, S320: 구매수량 입력단계,
S410: 유니코드별 연산단계, S420: 부품수량별 연산단계,
S430: 지역별 연산단계

Claims (9)

  1. 자동차 관련 부품을 재제조하는 복수의 재제조업체 단말기(20); 재제조된 자동차 관련 부품을 사용하는 복수의 구매업체 단말기(30); 차량별 재제조된 부품을 관리하는 메인서버(10); 및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서버(10)는 재제조업체 회원과 구매업체 회원으로 구분되는 회원의 인증과 등록을 관리하는 회원관리부(110);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20)에서 수신되는 재제조된 차량의 부품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부품관리부(120); 상기 구매업체 단말기(30)에서 수신되는 재제조된 차량의 부품 수요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수요관리부(130); 및 상기 부품관리부(120)와 상기 수요관리부(130)의 데이터를 매칭하는 매칭부(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10)에는 재제조되는 차량의 부품의 성능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갱신하는 성능 관리부(15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10)에는 재제조되는 차량의 부품을 유니코드(Unicode)에 의하여 분류하는 코드 관리부(160)가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
  4. 메인서버(10)의 회원관리부(110)에는 접속한 사용자의 회원인증 여부를 확인하는 회원확인단계(S10);
    상기 회원확인단계(S10)에서 인증이 거부된 사용자를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등록단계(S110);
    상기 회원관리부(110)에서 재제조업체 회원인가를 확인하는 재제조업체 회원확인단계(S10);
    상기 재제조업체 회원확인단계(S10)에서 재제조업체 회원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재제조 부품을 부품관리부(120)에 저장하고 갱신하는 재제조부품 등록단계(S20);
    상기 재제조업체 회원확인단계(S10)에서 구매업체 회원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재제조 부품 구매를 수요관리부(130)에 저장하고 갱신하는 재제조부품 구매 등록단계(S30); 및
    상기 부품관리부(120)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수요관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여 매칭부(140)에서 매칭 연산을 하는 매칭연산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재제조부품 등록단계(S20)는, 등록할 재제조 부품의 유니코드(Unicode)를 확인하고자 하는지 코드 관리부(160)에서 문의하는 유니코드 확인여부단계(S210);
    상기 코드 관리부(160)에서 재제조업체 단말기(20)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유니코드를 조회하는 유니코드조회단계(S220);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20)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 코드 관리부(160)에 유니코드를 입력하는 코드입력단계(S230); 및
    부품관리부(120)에서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20)에서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재제조된 부품의 수량을 등록하는 부품수량입력단계(S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입력단계(S230) 후에, 상기 재제조업체 단말기(20)에서 해당 재제조 부품에 대한 성능을 입력하는 부품성능입력단계(S240); 및 성능 관리부(150)에서 부품의 성능이 기준치에 부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부품성능확인단계(S250)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재제조부품 구매 등록단계(S30)는 구매업체 단말기(30)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재제조부품의 유니코드를 수요관리부(130)에 등록하고 갱신하는 구매 유니코드 입력단계(S310); 및
    상기 구매 유니코드 입력단계(S310)에서 입력된 유니코드에 따른 해당 재제조 부품의 수량을 입력하는 구매수량 입력단계(S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코드(Unicode)는 영문 및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되고, 자동차의 제조국가, 제조사, 차량 모델 및 부품에 관한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연산단계(S40)는 상기 부품관리부(120)와 상기 수요관리부(130)에 저장된 데이터를 매칭부(140)에서 호출하여 유니코드별로 연산을 하는 유니코드별 연산단계(S410)와; 부품 수량별로 연산을 하는 부품수량별 연산단계(S420); 및 지역별로 연산을 하는 지역별 연산단계(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방법.
KR1020130169302A 2013-12-31 2013-12-31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과 그의 리사이클 방법 KR20150079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02A KR20150079228A (ko) 2013-12-31 2013-12-31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과 그의 리사이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02A KR20150079228A (ko) 2013-12-31 2013-12-31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과 그의 리사이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228A true KR20150079228A (ko) 2015-07-08

Family

ID=5379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302A KR20150079228A (ko) 2013-12-31 2013-12-31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과 그의 리사이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92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794B1 (ko) * 2022-02-18 2022-11-23 주식회사 어메스 폐차장 관리 솔루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9794B1 (ko) * 2022-02-18 2022-11-23 주식회사 어메스 폐차장 관리 솔루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0488B1 (en) System controlled by data bearing records
CN100550780C (zh) 控制软件版本升级的方法、设备及系统
CN110175822B (zh) 一种设备台账管理方法和系统
Syed et al. A novel blockchain-based framework for vehicle life cycle tracking: An end-to-end solution
Andrew-Munot et al. Remanufacturing process and its challenges
US11907985B2 (en) Network,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ertification of vendors using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US20220335553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generating and managing machine executable digital contracts
US11704514B1 (en) System controlled by data bearing records
US20100332240A1 (en) Decentralized account digest using signed electronic receipts
WO20161120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fferentiating commodities based on environmental impact
US202001436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non-approved parts in a vehicle
US20210103972A1 (en) Tracking and maintenance architecture
US11599390B2 (en) Tracking and managing resource performance and maintenance via distributed ledgers
Sundin et al. Remanufacturing of products used in product service system offerings
KR20150079228A (ko) 자동차 부품 관련 재제조 관리 시스템과 그의 리사이클 방법
KR10208668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CN111179073A (zh) 在设备在线市场平台上生成设备的数字身份的系统和方法
US11477027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controlled objects
CN111179014A (zh) 用于在设备在线市场平台上安全地创建设备的列表的系统和方法
US200700736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gotiating term and condition entries of a legal document
WO2020261173A1 (en) A method for managing data and storing them in blockchain
US20200134700A1 (en) Management of servicing of vehicle fleets
KR102671783B1 (ko) 이륜차 표준 보험 견적 청구 및 손해사정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4671615B2 (ja) 適用管理システム
WO20192173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ledger-based floorplan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