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984A -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 Google Patents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984A
KR20150078984A KR1020130168900A KR20130168900A KR20150078984A KR 20150078984 A KR20150078984 A KR 20150078984A KR 1020130168900 A KR1020130168900 A KR 1020130168900A KR 20130168900 A KR20130168900 A KR 20130168900A KR 20150078984 A KR20150078984 A KR 20150078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chair
desk
space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 영 김
Original Assignee
남 영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 영 김 filed Critical 남 영 김
Priority to KR1020130168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8984A/ko
Publication of KR2015007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9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4Tables combined with other piece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의자가 책상과 침대 사이에 배치되는 주거 공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하부 다리부분이 ‘ㄷ’자형 또는 ‘I’자형으로 되어 그 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의자의 하부 다리부분이 ‘ㄷ’자형으로 되어 그 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 윗면 높이가 상기 주거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ㄷ’자형에 의해 생긴 홈 공간의 천정 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침대 틀 아래면 높이, 즉 침대 발에 의해 상기 주거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침대 틀이 떠 있는 공간의 높이가 상기 의자의 ‘ㄷ’자형에 의해 생긴 홈 공간의 바닥면(의자 발)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책상의 ‘ㄷ’자형 또는 ‘I’자형으로 형성된 홈 공간에 의해 사람이 의자에 앉을 때 무릎이 책상 밑으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상기 의자의 ‘ㄷ’자형으로 형성된 홈 공간에 침대의 가장자리 부분이 여유 있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서로 공간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로 좁은 공간에서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Desk and Chair and Bed Set to share the space}
본 발명은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실이나 방에서 책상과 의자 및 침대가 차지하는 공간 간에 공간 효율을 높이기 위해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에 관한 것이다.
주거 공간의 작은방이나 오피스텔, 원룸, 학교 등의 기숙사, 고시원 등 공간이 좁고 협소한 경우, 책상과 의자 및 침대 등을 한 공간에 효과적으로 배치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 물론 침대를 접거나 세워두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매일 무거운 침대를 움직여 이동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일이다. 결국 거실 공간의 한 측이 20∼50Cm 정도 부족하여 책상이나 침대를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는 걸 포기하고 불편하게 생활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곤 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658514
본 발명은 주거 공간의 작은방이나 오피스텔, 원룸, 학교 등의 기숙사, 고시원 등 좁고 협소한 공간에서 공간의 한 측이 20∼50Cm 정도 부족하더라도 책상이나 침대를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특히 책상과 침대 사이에 놓인 의자가 침대와 공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사람이 의자에 앉을 때 무릎이 책상다리에 걸리지 않도록 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의자가 책상과 침대 사이에 배치되는 주거 공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하부 다리부분이 ‘ㄷ’자형 또는 ‘I’자형으로 되어 그 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의자의 하부 다리부분이 ‘ㄷ’자형으로 되어 그 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 윗면 높이가 상기 주거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ㄷ’자형에 의해 생긴 홈 공간의 천정 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침대 틀 아래면 높이, 즉 침대 발에 의해 상기 주거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침대 틀이 떠 있는 공간의 높이가 상기 의자의 ‘ㄷ’자형에 의해 생긴 홈 공간의 바닥면(의자 발)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책상의 ‘ㄷ’자형 또는 ‘I’자형으로 형성된 홈 공간에 의해 사람이 의자에 앉을 때 무릎이 책상 밑으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상기 의자의 ‘ㄷ’자형으로 형성된 홈 공간에 침대의 가장자리 부분이 여유 있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서로 공간을 공유하도록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주거 공간의 작은방이나 오피스텔, 원룸, 학교 등의 기숙사, 고시원 등 좁고 협소한 공간에서 책상의 ‘ㄷ’자형 또는 ‘I’자형으로 형성된 홈 공간에 의해 사람이 의자에 앉을 때 무릎이 책상 밑으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으며, 책상과 침대 사이에 놓인 의자가 침대와 공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를 제공할 수 있어 공간의 한 측이 20∼50Cm 정도 부족하더라도 책상이나 침대를 원하는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를 활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입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의 단면 상세도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의 다양한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중 침대의 배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중 책상다리의 ‘ㄷ’자형 또는 ‘I’자형 프레임 상세도이다.
그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에 대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는 주로 좁은 주거 공간에서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의자가 책상과 침대 사이에 배치되는 주거 공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하부 다리부분이 ‘ㄷ’자형 또는 ‘I’자형으로 되어 그 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의자의 하부 다리부분이 ‘ㄷ’자형으로 되어 그 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 윗면 높이가 상기 주거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ㄷ’자형에 의해 생긴 홈 공간의 천정 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침대 틀 아래면 높이, 즉 침대 발에 의해 상기 주거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침대 틀이 떠 있는 공간의 높이가 상기 의자의 ‘ㄷ’자형에 의해 생긴 홈 공간의 바닥면(의자 발)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책상의 ‘ㄷ’자형 또는 ‘I’자형으로 형성된 홈 공간에 의해 사람이 의자에 앉을 때 무릎이 책상 밑으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상기 의자의 ‘ㄷ’자형으로 형성된 홈 공간에 침대의 가장자리 부분이 여유 있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서로 공간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를 설명하면, 상기 침대 발이 상기 의자 발에 걸리지 않도록 침대 발이 침대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
상기 ‘ㄷ’자형 의자 발밑에 바퀴가 달려 있는 것,
상기 ‘ㄷ’자형 의자 위에 등받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ㄷ’자형 의자 위에서 엉덩이가 닿는 부분과 등받이가 회전하는 것,
상기 침대 발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사람이 침대 가장자리 부분을 밟고 올라설 경우 그 반대편 침대 부분이 들릴 수 있어, 균형을 잡기위한 무게균형석이 탑재된 것,
상기 무게균형석에 음이온발생장치, 산소발생장치, 원적외선발생장치, 조명장치, 음향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는 것,
상기 침대 발을 침대 안쪽으로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침대 밑면에 침대 발 홈을 여러 개 형성하여 침대 발의 위치를 다양하게 이동시켜 끼워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
그리고 상기 책상의 하부 다리부분이 ‘ㄷ’자형 또는 ‘I’자형으로 되어 있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하기 위하여 ‘ㄷ’자형 또는 ‘I’자형 책상 다리 또는 그 내부에 ‘ㄷ’자형 또는 ‘I’자형 프레임이 들어 있는 것,
상기 ‘ㄷ’자형 또는 ‘I’자형 프레임의 재질이 강철 또는 강철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특히 도면에서 사각형의 가구들을 실시예로 설명했으나 원형이나 부드러운 곡면 이외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의자가 책상과 침대 사이에 배치되는 주거 공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하부 다리부분이 ‘ㄷ’자형 또는 ‘I’자형으로 되어 그 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의자의 하부 다리부분이 ‘ㄷ’자형으로 되어 그 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 윗면 높이가 상기 주거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ㄷ’자형에 의해 생긴 홈 공간의 천정 면 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침대 틀 아래면 높이, 즉 침대 발에 의해 상기 주거 공간의 바닥면으로부터 침대 틀이 떠 있는 공간의 높이가 상기 의자의 ‘ㄷ’자형에 의해 생긴 홈 공간의 바닥면(의자 발)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서,
    상기 책상의 ‘ㄷ’자형 또는 ‘I’자형으로 형성된 홈 공간에 의해 사람이 의자에 앉을 때 무릎이 책상 밑으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상기 의자의 ‘ㄷ’자형으로 형성된 홈 공간에 침대의 가장자리 부분이 여유 있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여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서로 공간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발이 상기 의자 발에 걸리지 않도록 침대 발이 침대 안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의자 발밑에 바퀴가 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의자 위에 등받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상기 ‘ㄷ’자형 의자 위에서 엉덩이가 닿는 부분과 등받이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발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사람이 침대 가장자리 부분을 밟고 올라설 경우 그 반대편 침대 부분이 들릴 수 있어, 균형을 잡기위한 무게균형석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균형석에 음이온발생장치, 산소발생장치, 원적외선발생장치, 조명장치, 음향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 발을 침대 안쪽으로 이동하기 편리하도록 침대 밑면에 침대 발 홈을 여러 개 형성하여 침대 발의 위치를 다양하게 이동시켜 끼워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의 하부 다리부분이 ‘ㄷ’자형 또는 ‘I’자형으로 되어 있어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를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하기 위하여 ‘ㄷ’자형 또는 ‘I’자형 책상다리 또는 그 내부에 ‘ㄷ’자형 또는 ‘I’자형 프레임이 들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ㄷ’자형 또는 ‘I’자형 프레임의 재질이 강철 또는 강철 합금 또는 스테인리스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KR1020130168900A 2013-12-31 2013-12-31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KR201500789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900A KR20150078984A (ko) 2013-12-31 2013-12-31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900A KR20150078984A (ko) 2013-12-31 2013-12-31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984A true KR20150078984A (ko) 2015-07-08

Family

ID=53791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900A KR20150078984A (ko) 2013-12-31 2013-12-31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89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3994A (zh) * 2018-04-28 2018-07-27 贵州灏瑞科技有限公司 一种床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3994A (zh) * 2018-04-28 2018-07-27 贵州灏瑞科技有限公司 一种床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8168B2 (en) Interconvertable pet stairs and ottoman
US9003979B2 (en) Workstation
KR20150078984A (ko) 책상과 의자와 침대가 공간을 공유하는 책상과 의자와 침대 세트
KR101454800B1 (ko) 의자 겸용 테이블
SG161204A1 (en) Chair providing enhanced health care and comfort
JP3166034U (ja) 座椅子スペーサー
CN206453579U (zh) 一种带有滑动支撑板的沙发
KR20160073267A (ko) 앞뒤 조절 가능한 일체형 책상의자
CN202739358U (zh) 高吧凳
JP3241342U (ja) 組み替え式ソファ
CN103948257A (zh) 人体站立式裆部和臀部受力凳子
KR20180008365A (ko) 유압식 발받침의자
KR100755502B1 (ko) 계단식 좌식방석
CN202445520U (zh) 一种组合式桌椅
CN210471552U (zh) 一种自动伸缩的多功能靠背椅
CN211704104U (zh) 一种多功能桌椅
KR20120130879A (ko) 탄성 지지프레임을 갖는 기능성 의자
KR20100134197A (ko) 의자 수납식 테이블
KR102339291B1 (ko) 의자용 발받침 장치
KR20160092213A (ko) 등받이부가 구비된 침대
KR20180015823A (ko) 높이조절의자
DE50203480D1 (de) Sitz- und/oder Liegemöbel mit Beinabstützung
JP2019097754A (ja) 椅子
CN104433390A (zh) 一种可供休息的折叠型座椅
CN204363455U (zh) 一种办公休闲两用桌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