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748A - 조립이 간단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이 간단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748A
KR20150078748A KR1020130168430A KR20130168430A KR20150078748A KR 20150078748 A KR20150078748 A KR 20150078748A KR 1020130168430 A KR1020130168430 A KR 1020130168430A KR 20130168430 A KR20130168430 A KR 20130168430A KR 20150078748 A KR20150078748 A KR 20150078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circuit board
signal
field generating
brake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8214B1 (ko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동서콘트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콘트롤(주) filed Critical 동서콘트롤(주)
Priority to KR102013016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2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8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장발생부가 이동함에 따라서 자력을 감지하여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되는 제 1 홀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자장을 발생시키는 자장발생부를 지지하고 결합하여 자장발생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회로기판 수용부, 구동부를 수용하고 상기 구동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케이스본체부 및 일측이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일측과 결합하며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일부를 수용하고 하부에 상기 회로기판 수용부의 상부가 결합되는 케이스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자장발생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홀스위치로부터 발생된 전기 신호가, 각각 스톱램프 제어 신호 및 크루즈컨트롤 제어 신호로 분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이 간단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Brake pedal sensor and brake pedal sensor signal gene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홀스위치를 사용하여 브레이크페달의 이동상태를 무접점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립이 간단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크페달 센서는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상태를 금속등의 접점방식에 의해서 감지하여 스톱램프(STOP LAMP,후미등) 온신호와 크루즈컨트롤 오프(OFF)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브레이크페달 센서는 차량의 운전석 앞 부분에 위치하는 장치로서,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스톱램프를 점등하고, 크루즈컨트롤 오프(OFF)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크루즈컨트롤 오프 신호는 ECU 관련 접점 접속시의 전기적 흐름을 의미한다.
홀스위치는 인접배치된 자석이 가까워지면 자장이 증가하여 온(ON)상태가 되고, 자석이 멀어져 자장이 감소하면 오프(OFF)상태가 되는 자석의 가까짐과 멀어짐을 감지할 수 있는 일종의 전압센서이다.
종래구조의 브레이크페달 센서는 금속등의 직접 접촉하는 접점방식에 의해서 스톱램프와 크루즈컨트롤 온신호 발생시켰으나 이럴 경우 접촉에 의해서 스파크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인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다.
또한, 운전자의 귀에 거슬릴 정도로 작동 소음이 발생하고 먼지등이 이물질이 쌓이게 되어 접점간 접점이상이 발생하게 되어 오동작이 발생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홀스위치를 사용하여 브레이크페달의 이동상태를 무접점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브레이크페달 센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자장발생부가 이동함에 따라서 자력을 감지하여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되는 제 1 홀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자장을 발생시키는 자장발생부를 지지하고 결합하여 상기 자장발생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회로기판 수용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고 상기 구동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케이스본체부 및 일측이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일측과 결합하며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일부를 수용하고 하부에 상기 회로기판 수용부의 상부가 결합되는 케이스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자장발생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홀스위치로부터 발생된 전기 신호가, 각각 스톱램프 제어 신호 및 크루즈컨트롤 제어 신호로 분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자장발생부가 이동함에 따라서 자력을 감지하여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되는 제 1 홀스위치 및 상기 제 1 홀스위치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고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함에 따라서 자력을 감지하여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되는 제 2 홀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자장을 발생시키는 자장발생부를 지지하고 결합하여 상기 자장발생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회로기판 수용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고 상기 구동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케이스본체부 및 일측이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일측과 결합하며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일부를 수용하고 하부에 상기 회로기판 수용부의 상부가 결합되는 케이스커버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함에 따라서 먼저 제 1 홀스위치가 온상태가 되면 상기 스톱램프 온신호를 발생시키고, 이후 상기 자장발생부가 일정한 거리를 더 이동했을 때 제 2 홀스위치가 온상태가 되면 크루즈컨트롤 오프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접촉하여 탄성부에서 전달된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를 이동시키는 샤프트지지부; 상기 샤프트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자장발생부를 수용하는 자장발생부삽입홈; 상기 자장발생부삽입홈에 삽입되어 자장을 발생시키는 자장발생부; 상기 자장발생부삽입홈에 삽입된 자장발생부의 일측을 덮는 자장발생부케이스; 상기 샤프트지지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탄성부의 일측을 수용하는 탄성부삽입홈 및 상기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서 압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페달 센서는,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락킹결합부의 외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서로 짝을 이루어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락킹결합부와 결합하는 제1락킹부 및 제2락킹부; 상기 제1락킹부 및 상기 제2락킹부가 락킹결합부의 외부에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락킹부의 제1락킹플레이트삽입부와 상기 제2락킹부의 제2락킹플레이트삽입부에 삽입되는 락킹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본체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구동부가 삽입되는 구동결합부; 샤프트가 삽입되는 락킹결합부; 일측에 상기 락킹결합부가 결합하고 타측에 구동결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본체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본체결합부의 측면 중 개구된 측면과 상기 케이스커버부의 케이스커버삽입돌기가 상기 회로기판수용부의 회로기판삽입홀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구동부의 샤프트가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자장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단계;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제 1 홀스위치가 온상태가 되면 제어부가 스톱램프 온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제 2 홀스위치가 온상태가 되면 크루즈컨트롤 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스톱램프 온신호를 먼저 발생시키고, 이후 상기 자장발생부가 일정한 거리를 더 이동했을 때 크루즈컨트롤 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홀스위치 및 상기 제 2 홀스위치는 상기 스톱램프 온신호 및 상기 크루즈컨트롤 오프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로기판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은, 상기 구동부의 샤프트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자장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단계;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제 2 홀스위치가 오프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가 크루즈컨트롤 온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제 1 홀스위치가 오프상태가 되면 제어부가 스톱램프 오프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구동부의 샤프트가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가 이동하는 단계; 상기 자장발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 세기의 변동에 의해 제1홀스위치가 온(ON)상태가 되면, 이에 대응되는 전기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기신호가 분기되어 각각 스톱램프 온(ON) 신호 및 크루즈컨트롤 오프(OFF) 신호로 작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샤프트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가 이동하는 단계; 상기 자장발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 세기의 변동에 의해 제1홀스위치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 이에 대응되는 전기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기신호가 분기되어 각각 스톱램프 오프(OFF) 신호 및 크루즈컨트롤 온(ON) 신호로 작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는 홀스위치를 사용하여 브레이크페달의 이동상태를 무접점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는 접점방식에 비하여 소리발생을 제거할 수 있고,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크기가 작아져서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는 스파크발생을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는 조립이 간단하여 생산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샤프트가 눌려져 탄성부가 압축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샤프트가 이동하여 탄성부가 팽창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락킹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락킹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수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센서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센서 신호발생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수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센서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센서 신호발생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샤프트가 눌려져 탄성부가 압축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샤프트가 이동하여 탄성부가 팽창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1락킹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락킹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수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10)는 자장을 발생시키는 자장발생부(521)를 지지하고 결합하여 자장발생부(52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500), 제1홀스위치(310) 및 제2홀스위치(320)를 포함하는 회로기판(300), 회로기판(300)을 수용하는 회로기판 수용부(600), 구동부(500)를 수용하고 구동부(500)의 일측을 지지하는 케이스본체부(100) 및 일측이 케이스본체부(100)의 일측과 결합하며 케이스본체부(100)의 일부를 수용하고 하부에 회로기판 수용부(600)의 상부가 결합되는 케이스커버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10)는 락킹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락킹부(400)의 제1락킹부(410) 및 제2락킹부(420)는 서로 짝을 이루어 케이스본체부(100)의 락킹결합부(150)의 외부에 결합할 수 있다. 제1락킹부(410)의 일측에는 제1락킹부돌기(411)가 형성되어 있고, 제1락킹부(410)의 타측에는 제1락킹부홈(4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락킹부(420)의 일측에는 제2락킹부돌기(421)가 형성되어 있고, 제2락킹부(420)의 타측에는 제2락킹부홈(4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락킹부부돌기(411)는 제2락킹부홈(422)과 대응하여 결합하고, 제2락킹부돌기(421)는 제1락킹부홈(412)과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에 의해서 제1락킹부(410)와 제2락킹부(420)는 한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락킹부(410)와 제2락킹부(430)가 락킹결합부(150)의 외부에서 결합된 상태에서 락킹플레이트(430)를 제1락킹플레이트삽입부(413) 및 제2락킹플레이트삽입부(423)에 삽입할 수 있다. 락킹플레이트(430)를 제1락킹플레이트삽입부(413) 및 제2락킹플레이트삽입부(423)에 삽입되어 제1락킹부(410)와 제2락킹부(420)가 락킹결합부(150)와의 유격을 좀 더 작게함으로써, 제1락킹부(410)와 제2락킹부(430)가 락킹결합부(150)와의 결합을 좀 더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락킹부(4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10)가 자동차에 결합될때 사용될 수 있다. 락킹부(400)에 형성된 돌기가 대응되는 자동차의 홈(도면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부(100)는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40)에 구동부(500)가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부(100)의 일측에는 락킹결합부(150)가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본체부(100)의 타측에는 구동결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락킹결합부(150) 표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락킹부(410) 및 제2락킹부(42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될 수 있다.
구동결합부(120)의 내부에는 중공부(140)가 형성될 수 있고 여기에 구동부(500)가 삽입될 수 있다. 구동부(500)의 샤프트(510)는 구동결합부(1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40)를 지나 락킹결합부(150)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관통하여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케이스본체부(100)의 케이스본체결합부(190)의 일측에는 케이스커버결합홈(130)이 형성되어 케이스커버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케이스본체결합돌기(210)와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부(100)는 케이스본체부(100)의 타측에 탄성부(530)의 일측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1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동결합부(120)에 탄성지지결합홈(121)이 형성될 수 있고, 탄성지지결합홈(121)은 탄성지지부(110)에 형성된 구동결합돌기(111)와 결합될 수 있다.
구동결합부(120)의 내부에는 가이드홈(도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홈(도면미도시)은 샤프트지지부(520)의 가이드돌기(525)와 결합합 수 있다. 가이드홈(도면미도시)과 가이드돌기(525)가 결합함에 따라서 샤프트지지부(520)가 구동결합부(120)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케이스본체부(100)의 케이스본체결합부(190)의 일측에는 구동결합부(120)의 일측이 결합할 수 있다. 케이스본체부(100)의 케이스본체결합부(190)의 타측에는 락킹결합부(150)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본체부(100)의 케이스본체결합부(190)는 측면의 세개면이 막혀있고 측면의 한면이 개방되어 있다. 케이스본체결합부(190)의 개구된 측면의 한 면에 회로기판수용부(600)의 상부에 형성된 회로기판삽입홀(620)의 일측이 결합할 수 있다. 케이스본체결합부(190)의 막혀진 측면의 세개면 중 양측의 측면에는 케이스커버결합홈(130)이 형성되어 케이스커버부(200)에 형성된 케이스본체결합돌기(21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300)은 제 1 홀스위치(310), 제 2 홀스위치(320) 및 제어부(도면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홀스위치(310)는 자장발생부(521)가 이동함에 따라서 자장발생부(521)의 근접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 홀스위치(310)는 자장발생부(521)가 근접함에 따라서 자력을 감지하면 온(ON)상태가 되고 자장발생부(521)가 일정한 거리를 벗어나 자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오프(OFF)상태가 된다. 제 1 홀스위치(310)는 제 2 홀스위치(320)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 2 홀스위치(320)는 제 1 홀스위치(310)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고 자장발생부(521)가 이동함에 따라서 자장발생부(521)의 근접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 2 홀스위치(320)도, 제 1 홀스위치와 마찬가지로, 자장발생부(521)가 근접함에 따라서 자력을 감지하면 온(ON)상태가 되고 자장발생부(521)가 일정한 거리를 벗어나 자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오프(OFF)상태가 된다.
제어부(도면 미도시)는 자장발생부(521)가 이동함에 따라서 먼저 제 1 홀스위치(310)가 온이 되면 스톱램프 온신호를 발생시키고, 이후 자장발생부(521)가 일정한 거리를 더 이동했을 때 제 2 홀스위치(320)가 온이 되면 크루즈컨트롤 오프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회로기판(300) 상에 위치한 제1홀스위치(310) 및 제2홀스위치(320)는 회로기판(300) 상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자장발생부(521)가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521)가 가까워지면 자장이 증가하며 제1홀스위치(310) 및 제2홀스위치(320)가 이를 감지하여 순차적으로 온 상태가 된다.
제1홀스위치(310) 및 제2홀스위치(320)에 자장발생부(521)가 근접하여 자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제1홀스위치(310) 및 제2홀스위치(320)가 온상태가 됨에 따라서, 제어부(도면 미도시)가 순차적으로 제1홀스위치(310)가 온상태가 되면 먼저 스톱램프 온신호를 생성하고, 다음으로 제2홀스위치(320)가 온상태가 되면 크루즈컨트롤 오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는 스톱램프가 온신호가 생성되고 난 이후에 크루즈컨트롤 오프신호가 생성시까지 스톱램프 온신호만을 생성할 수 있는 독립적인 제어를 할 수 있다.
회로기판(300)에는 외부입력단자(340) 및 접지단자(3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입력단자(340)는 스톱램프입력단자, 스톱램프출력단자, 크루즈컨트롤입력단자, 크루즈컨트롤출력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500)는 샤프트(510), 샤프트지지부(520) 및 탄성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지지부(520)는 샤프트(510)의 일측에 접촉하여 탄성부(530)에서 전달된 탄성력에 의해서 샤프트(5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샤프트지지부(520)는 일측에 자장발생부삽입홈(522)이 형성되어 자장발생부(521)가 삽입될 수 있다. 자장발생부(521)는 자석을 사용하여 자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자장발생부케이스(523)는 자장발생부삽입홈(522)에 삽입된 자장발생부(521)의 일측을 덮을 수 있다. 샤프트지지부(520)의 타측에는 탄성부(540)의 일측을 수용할 수 있는 탄성부삽입홈(524)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540)는 샤프트(510)의 이동에 따라서 압축되어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450)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회로기판수용부(600)는 회로기판수용부(600)의 상부에 형성된 외부입력단자삽입홈(610)이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수용부(600)의 외부입력단자삽입홈(600)에 회로기판(300)의 외부입력단자(340) 및 접지단자(350)가 삽입될 수 있다.
회로기판수용부(600)의 상부 측면에는 회로기판삽입홀(620)이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삽입홀(620)의 일측에 케이스본체결합부(190) 측면의 개구된 한 면이 결합될 수 있고, 회로기판삽입홀(620)의 타측에 케이스커버삽입돌기(27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커버부(200)는 일측이 케이스본체부(100)의 일측과 결합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케이스본체부(100)의 일부를 수용하고 하부에 회로기판 수용부(600)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커버삽입돌기(270)는 케이스커버부(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케이스커버부(200)의 측면 중 개구되지 않은 세개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커버부(200)의 하부는 개구되어 회로기판 수용부(600)의 상부가 결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는 샤프트(510)가 이동하여 눌려진 상태로 되어 코일 스프링이 압축된다. 이에 따라서 자장발생부(521)가 제1홀스위치(310) 및 제2홀스위치(320)에서 멀어지며 이러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압축되었던 코일 스프링이 복원되면서 샤프트(510)가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자장발생부(521)가 제1홀스위치(310) 및 제2 홀스위치(320)에 차례로 근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센서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센서 신호발생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센서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센서 신호발생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 도 5 및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구동부의 샤프트가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자장의 세기를 변화시킨다(S110).
이후에,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제 1 홀스위치가 온상태가 되면 제어부가 스톱램프 온신호를 생성한다(S120).
다음으로,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제 2 홀스위치가 온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가 크루즈컨트롤 오프 신호를 생성한다(S130).
다음으로, 구동부의 샤프트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자장의 세기를 변화시킨다(S140).
이후에,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제 2 홀스위치가 오프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가 크루즈컨트롤 온신호를 생성한다(S150).
다음으로,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제 1 홀스위치가 오프상태가 되면 제어부가 스톱램프 오프신호를 생성한다(S16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센서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센서 신호발생방법은 자장발생부가 이동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톱램프 온신호를 먼저 발생시키고, 이후 자장발생부가 일정한 거리를 더 이동했을 때 크루즈컨트롤 오프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센서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센서 신호발생방법은 회로기판 상에 제 1 홀스위치 및 제 2 홀스위치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스톱램프 온신호 및 크루즈컨트롤 오프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는 홀스위치를 사용하여 브레이크페달의 이동상태를 무접점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는 스파크발생을 제거할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센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센서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회로기판과 회로기판 수용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센서의 회로기판(300)은 제1홀스위치(310) 및 제어부(도면 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센서는 회로기판(320)이 하나의 제1홀스위치(310)를 가지고 있다.
제1홀스위치(310)는 자장발생부(521)가 이동함에 따라서 자장발생부(521)의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1홀스위치(310)는 자장발생부(521)가 근접함에 따라서 자력을 감지하면 온(ON)상태가 되고 자장발생부(521)가 일정한 거리를 벗어나 자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오프(OFF)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되는 구성을 포함한 통상의 어떠한 홀스위치 작동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신호를 생성함과 생성하지 않음의 차이를 이용하여 회로를 제어하는 방식이 적용된 홀스위치가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전기신호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회로를 제어하는 과정까지도 본 발명의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는 전기신호의 발생, 생성 또는 전기신호의 이용 등으로 통칭하여 표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자장발생부(521)가 이동함에 따라서 제1홀스위치(310)가 온이 되면 이에 대응되는 전기신호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발생된 전기신호는 분기점을 지나며 분기가 이루어짐으로써, 각각 스톱램프 온(ON) 신호와 크루즈컨트롤 오프(OFF) 신호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회로기판(300) 상에 위치한 제1홀스위치(310)로부터 이격된 거리의 차에 의해 스톱램프의 제어를 위한 FET와 크루즈컨트롤을 위한 FET의 작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매우 미세한 차이로써 실제 감지가 이루어지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300)에는 외부입력단자(340) 및 접지단자(35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입력단자(340)로는 스톱램프입력단자, 스톱램프출력단자, 크루즈컨트롤입력단자, 크루즈컨트롤출력단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센서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센서 신호발생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센서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센서 신호발생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구동부의 샤프트가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의 이동이 이루어진다(S210).
이후에, 자장발생부의 이동과 대응하여 발생된 자장에 의해 제1홀스위치가 온(ON)상태가 되면 이에 따른 전기신호가 생성된다(S220).
다음으로, 전기신호가 분기되어 각각 스톱램프 온(ON) 신호와 크루즈컨트롤 오프(OFF) 신호로 작용한다(S230).
다음, 구동부의 샤프트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의 이동이 이루어지면(S240), 이후, 이에 대응되도록 홀스위치가 오프(OFF)상태가 되고 이에 따른 전기 신호가 생성된다(S250).
이어서, 생성된 전기신호가 분기되어 각각 스톱램프 오프(OFF) 신호와 크루즈컨트롤 온(ON) 신호로 작용(S260)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 페달센서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센서 신호발생방법은, 하나의 홀스위치에서 생성되는 전기신호의 분기를 이용하여 각각 스톱램프 및 크루즈컨트롤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브레이크페달 센서는, 홀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브레이크페달의 이동 상태를 무접점방식으로 감지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스파크 발생 방지 및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 방지 등과 같은 장점의 제공이 가능함에서 더 나아가, 회로 구성의 효율성 향상 및 제조 비용 절감 등의 추가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홀스위치로 통상의 어떠한 작동 방식을 갖는 홀스위치가 적용되더라도 무방함은 전술한 바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브레이크페달 센서 100 : 케이스본체부
110 : 탄성지지부 121 : 탄성지지결합홈
190 :케이스본체결합부 200 : 케이스커버부
210 : 케이스본체결합돌기 270 : 케이스커버삽입돌기
300 : 회로기판 310 : 제1홀스위치
320 : 제2홀스위치 340 : 외부입력단자
350 : 접지단자 400 : 락킹부
410 : 제1락킹부 420 : 제2락킹부
430 : 락킹플레이트 500 : 구동부
510 : 샤프트 520 : 샤프트지지부
521 : 자장발생부 522 : 자장발생부삽입홈
523 : 자장발생부케이스 524 : 탄성부삽입홈
525 : 가이드돌기 530 : 탄성부
600 : 회로기판 수용부 610 : 외부입력단자 삽입홈
620 :회로기판삽입홀

Claims (10)

  1. 자장발생부가 이동함에 따라서 자력을 감지하여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되는 제 1 홀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자장을 발생시키는 자장발생부를 지지하고 결합하여 상기 자장발생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회로기판 수용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고 상기 구동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케이스본체부 및
    일측이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일측과 결합하며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일부를 수용하고 하부에 상기 회로기판 수용부의 상부가 결합되는 케이스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자장발생부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홀스위치로부터 발생된 전기 신호가, 각각 스톱램프 제어 신호 및 크루즈컨트롤 제어 신호로 분기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2. 자장발생부가 이동함에 따라서 자력을 감지하여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되는 제 1 홀스위치 및
    상기 제 1 홀스위치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위치하고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함에 따라서 자력을 감지하여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되는 제 2 홀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자장을 발생시키는 자장발생부를 지지하고 결합하여 상기 자장발생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회로기판 수용부;
    상기 구동부를 수용하고 상기 구동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케이스본체부 및
    일측이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일측과 결합하며 상기 케이스본체부의 일부를 수용하고 하부에 상기 회로기판 수용부의 상부가 결합되는 케이스커버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함에 따라서 먼저 제 1 홀스위치가 온상태가 되면 상기 스톱램프 온신호를 발생시키고, 이후 상기 자장발생부가 일정한 거리를 더 이동했을 때 제 2 홀스위치가 온상태가 되면 크루즈컨트롤 오프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일측에 접촉하여 탄성부에서 전달된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를 이동시키는 샤프트지지부;
    상기 샤프트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자장발생부를 수용하는 자장발생부삽입홈;
    상기 자장발생부삽입홈에 삽입되어 자장을 발생시키는 자장발생부;
    상기 자장발생부삽입홈에 삽입된 자장발생부의 일측을 덮는 자장발생부케이스;
    상기 샤프트지지부의 타측에 형성되고 탄성부의 일측을 수용하는 탄성부삽입홈 및
    상기 샤프트의 이동에 따라서 압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부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구동부가 삽입되는 구동결합부;
    샤프트가 삽입되는 락킹결합부;
    일측에 상기 락킹결합부가 결합하고 타측에 구동결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본체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본체결합부의 측면 중 개구된 측면과 상기 케이스커버부의 케이스커버삽입돌기가 상기 회로기판수용부의 회로기판삽입홀과 결합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6. 제 1 홀스위치 및 제 2 홀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자장발생부, 구동부, 회로기판 수용부, 케이스본체부 및 케이스커버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에 있어서,
    구동부의 샤프트가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자장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단계;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제 1 홀스위치가 온상태가 되면 제어부가 스톱램프 온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제 2 홀스위치가 온상태가 되면 크루즈컨트롤 오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스톱램프 온신호를 먼저 발생시키고, 이후 상기 자장발생부가 일정한 거리를 더 이동했을 때 크루즈컨트롤 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스위치 및 상기 제 2 홀스위치는 상기 스톱램프 온신호 및 상기 크루즈컨트롤 오프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회로기판상에 배치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은,
    상기 구동부의 샤프트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자장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단계;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제 2 홀스위치가 오프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가 크루즈컨트롤 온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자장발생부가 이동하여 제 1 홀스위치가 오프상태가 되면 제어부가 스톱램프 오프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9. 제 1 홀스위치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자장발생부, 구동부, 회로기판 수용부, 케이스본체부 및 케이스커버부를 포함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에 있어서,
    구동부의 샤프트가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가 이동하는 단계;
    상기 자장발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 세기의 변동에 의해 제1홀스위치가 온(ON)상태가 되면, 이에 대응되는 전기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기신호가 분기되어 각각 스톱램프 온(ON) 신호 및 크루즈컨트롤 오프(OFF) 신호로 작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샤프트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자장발생부가 이동하는 단계;
    상기 자장발생부의 이동에 따른 자장 세기의 변동에 의해 제1홀스위치가 오프(OFF) 상태가 되면, 이에 대응되는 전기신호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전기신호가 분기되어 각각 스톱램프 오프(OFF) 신호 및 크루즈컨트롤 온(ON) 신호로 작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KR1020130168430A 2013-12-31 2013-12-31 조립이 간단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KR101548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430A KR101548214B1 (ko) 2013-12-31 2013-12-31 조립이 간단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430A KR101548214B1 (ko) 2013-12-31 2013-12-31 조립이 간단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670A Division KR101571297B1 (ko) 2015-03-17 2015-03-17 조립이 간단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748A true KR20150078748A (ko) 2015-07-08
KR101548214B1 KR101548214B1 (ko) 2015-08-31

Family

ID=5379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430A KR101548214B1 (ko) 2013-12-31 2013-12-31 조립이 간단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2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66A (ko) 2018-07-20 2020-0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의 군집 비행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1566B (zh) * 2015-12-09 2018-10-09 十堰玄宇汽车电子有限公司 电子制动踏板总成
KR102327228B1 (ko) * 2017-06-21 2021-11-15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2216A (ja) * 2003-10-30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踏力センサとそれを用いたペダル踏力検出装置
KR101246550B1 (ko) * 2012-11-26 2013-03-25 동서콘트롤(주)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866A (ko) 2018-07-20 2020-01-3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인 비행체의 군집 비행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214B1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214B1 (ko) 조립이 간단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US20150179366A1 (en) Switch device
EP1681747A3 (de) Elektrischer Geräteanschluss
CN103983894A (zh) 插头检测器及插头检测方法
TWI264027B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US7639126B2 (en) Apparatus for lighting brake lamp for vehicle using non-contactless switch
TW200623541A (en) Spring connector
ATE451260T1 (de) Elektrische anhängeranschlusseinrichtung
KR101571297B1 (ko) 조립이 간단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EP1758135A3 (de) Schaltereinheit
US10490371B2 (en) Electrical switch
KR101246552B1 (ko)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JP2016018616A (ja) 配線器具
KR101531544B1 (ko) 홀스위치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KR101246550B1 (ko) 브레이크페달 센서 신호발생방법
CN201584554U (zh) 带开关的usb接口面板
KR20110067457A (ko) 차량용 백업램프 스위치
JP2000062528A (ja) スイッチ
CN205355398U (zh) 一种用于智能终端的智能充电转接头
JP2009230972A (ja) スイッチ装置
WO2016035332A1 (ja) 多方向入力装置
RU201115280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дач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JP5588264B2 (ja) スイッチ装置
CN103414860B (zh) 电视机遥控接收装置
CN205811069U (zh) 开关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